KR102432193B1 -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193B1
KR102432193B1 KR1020200124083A KR20200124083A KR102432193B1 KR 102432193 B1 KR102432193 B1 KR 102432193B1 KR 1020200124083 A KR1020200124083 A KR 1020200124083A KR 20200124083 A KR20200124083 A KR 20200124083A KR 102432193 B1 KR102432193 B1 KR 102432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y protein
protease
protein hydrolyzate
derived
mus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6293A (ko
Inventor
박형수
김재환
신중철
안승일
정세영
박석준
박정식
Original Assignee
매일헬스뉴트리션 주식회사
주식회사 네오크레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일헬스뉴트리션 주식회사, 주식회사 네오크레마 filed Critical 매일헬스뉴트리션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080082201.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5052612A/zh
Priority to PCT/KR2020/013116 priority patent/WO2021060927A1/ko
Priority to US17/763,726 priority patent/US20220322700A1/en
Priority to JP2022518411A priority patent/JP7462983B2/ja
Publication of KR20210036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1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012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3/0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 A23J3/3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by hydroly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regeneration or building of ligaments o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42Animal Protein
    • A23V2250/5424Dairy protein
    • A23V2250/54252Whey prote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8Hydrolysis, degree of hydrolysi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감소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유청단백을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로 1차 가수분해하고,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로 2차 가수분해한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단백질 분해를 억제하고 PI3K-Akt 경로를 통한 단백질 합성을 활성화시킴으로써 근감소를 저하시켜 근육의 크기 및 근력을 증가시킨다.

Description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protecting or treating sarcopenia comprising whey protein hydrolysate}
본 발명은 근감소를 저하시켜 근육의 크기 및 근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골격근은 인체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기관으로 총 몸무게의 40-50%를 차지하며 에너지 항상성 및 열생성 등을 비롯한 체내 여러 대사 기능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람의 근육은 40세 이후부터 매년 1% 이상씩 감소하며, 80세가 되면 최대 근육량의 50% 수준이 감소되고, 노년의 근육 감소는 전반적인 신체기능을 떨어뜨리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노화가 진행될수록 근육과 지방의 함량, 골격 왜곡 등 체형이 변화되는 것을 인지하게 되는데, 노년기 근감소에 의한 비만 유병률은 전 세계적으로 30%이상 수준에서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인슐린 분비 이상인 경우 세포에 에너지를 제대로 공급하지 못해 근육발달장애를 일으킬 수 있어, 일반인 보다 당뇨병 환자에게 근감소증이 증가한다. 또한 근육의 감소는 관절염, 허리통증, 만성통증을 더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며, 복부비만에 의한 요실금 증세도 악화시킬 수 있고, 골절에 의한 부상은 노년의 우울증을 증가시켜 사망에 이를 수 있기 때문에 노년의 근감소증은 다양한 질환과 연계되어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이 된다.
근감소증은 골다공증, 인슐린저항성 및 관절염과 같은 노인성 만성질환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개선을 통해서 노화로 인한 신체 활동력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세계의 진행성 운동실조증 및 근력약화 치료제 시장은 2011년 약 140억 달러 규모를 기록했으며 그 이후에는 9.4%의 연평균 복합 성장률로 성장해 2017년에는 약 23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근감소증 환자에서, 근육모세포의 줄기 세포인 위성 세포의 모집, 활성 또는 증식의 장애로 인한 근육모세포(myoblast)의 개수가 감소하며, 근육모세포의 증식 및 분화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근감소증 환자의 근육은 조직학적인 수준에서 근 섬유의 크기 및 수가 감소하여 근기능이 감소하는 증상이 나타난다.
과거 10여년간 미국 및 유럽을 중심으로 근감소증의 역학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최근에 근감소증의 임상적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폭증하고 있다. 초기 연구에서는 근감소증이 전신 쇠약, 활동 장애 및 근력 감소에 의해 삶의 질 저하를 유발한다는 결과들이 주류를 이루었지만, 최근 발표되는 연구들에서는 삶의 질 이외에도 골다공증성 골절 위험이 현저히 증가할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 또한, 근감소증 환자에서 당뇨병 및 대사증후군, 비만, 만성 신부전, 만성 간부전 등의 만성 질환이 유발되며, 궁극적으로는 사망률도 증가시키기 때문에, 근감소증은 적절하게 치료받아야 하는 질환으로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 미국에서는 근감소증 환자에서 신체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약 1.5배 내지 약 3.5배가 증가함으로써 연간 185억 USD의 사회적 비용을 유발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근감소증 유병률은 60세 이상 남성의 42.0%와 여성의 42.7%로 매우 흔한 질환이며, 특히 우리나라는 전세계에서도 고령화 속도가 높기 때문에 향후 중요한 사회적 문제가 될 것이 확실하다.
현재 근감소증에는 운동, 단백질 및 칼로리보충이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근감소증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노인들에서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아 근감소증 치료제가 절실히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근감소증에 사용되는 치료제들은 근육감소 개선 및 근육량 증진에 직접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약물은 아직까지 임상실험 수준의 단계이며, 현재 최종적으로 FDA 승인을 받은 약제는 없는 상황이다. 때문에 근감소증 치료를 위해서 일부 selective androgen receptor modulator, activin receptor antagonist, fast skeletal muscle troponin inhibitor 등을 근감소증 치료제로 개발하려는 노력들은 있으나, 현재 초기 임상을 시도하는 수준이다.
근감소증 치료제 동향에 대한 리포트들에 따르면 2010년 전세계적인 근감소증 치료제 시장은 약 1000만 달러(US)이며, 2018년 2000만 달러(US)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고 보고되었다("Sarcopenia Therapeutics -Pipeline Assessment and Market Forecasts to 2018", 2011.11.17). 또한, 2013년 EU 산하 민간 보관협력체인 Innovative Meticines Initiative에서는 4대 보건 연구 주제 중 하나로서 노인 근감소증 치료제의 개발에 약 5천만 유로를 투자하기로 발표하여 진행중에 있다.
따라서, 노인이 섭취하기에 안전하고 장기 복용할 수 있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근감소증 치료제가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201195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99916호
본 발명의 목적은 근감소를 저하시켜 근육의 크기 및 근력을 증가시키는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유청단백을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로 1차 가수분해하고,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로 2차 가수분해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청단백은 치즈 유청으로부터 유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청단백은 일반유청분말(Normal whey powder), 탈염유청분말(Demineralized whey powder), 유청단백 농축물(Whey protein concentrate) 또는 유청단백 분리물(Whey protein isolate)일 수 있다.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불용성 물질이 제거된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일 수 있다.
상기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는 알칼라아제(Alcalase), 프로타맥스(Protamax) 또는 이들의 혼합효소이며; 상기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는 플라보자임(Flavourzyme)일 수 있다.
상기 혼합효소는 알칼라아제(Alcalase)와 프로타맥스(Protamax)가 1 : 0.5-2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Cys 9 내지 11 mg/g, Tyr 19 내지 22 mg/g, Arg 18 내지 19 mg/g, Ala 37 내지 39 mg/g, Pro 43 내지 45 mg/g, Lys 68 내지 72 mg/g, His 13.5 내지 14 mg/g, Ile 40 내지 41 mg/g, Leu 77 내지 80 mg/g, Met 15 내지 17 mg/g, Phe 24 내지 25 mg/g, Val 36 내지 37 mg/g, Glu 120 내지 130 mg/g, Asp 80 내지 82 mg/g, Ser 35 내지 41 mg/g, Gly 14.5 내지 15 mg/g, Thr 54 내지 55 mg/g 및 Trp 10 내지 11 mg/g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전체 아미노산 중에서 유리아미노산이 1 내지 5 중량%로 함유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BCAA 아미노산이 155 내지 180 mg/g으로 함유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의 지표펩타이드의 함량은 10 내지 40 mg/g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근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유청단백을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로 1차 가수분해하고,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로 2차 가수분해한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근감소증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은 유청단백을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로 1차 가수분해하고,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로 2차 가수분해한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근감소증은 근위축증, 근무력증, 근이영양증, 근경직증, 근긴장저하, 근력약화, 근육퇴행위축,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또는 중증 근무력증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유청단백을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로 1차 가수분해하고,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로 2차 가수분해한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근육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근감소증은 근위축증, 근무력증, 근이영양증, 근경직증, 근긴장저하, 근력약화, 근육퇴행위축,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또는 중증 근무력증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A) 유청단백과 물을 1 : 3-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상기 유청단백을 용해시키는 단계; (B) 상기 용해된 유청단백 용해물 100 중량부에 유청단백을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를 0.1 내지 1의 중량부로 투입하여 1차 가수분해를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1차 가수분해된 분해물에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를 0.1 내지 1의 중량부로 투입하여 2차 가수분해를 수행하는 단계; 및 (D) 상기 2차 가수분해된 분해물을 여과시켜 불용성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단계 이후에 (E) 상기 수득된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살균 후 실온에서 냉각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살균 및 냉각된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건조시켜 여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는 알칼라아제(Alcalase), 프로타맥스(Protamax) 또는 이들의 혼합효소일 수 있다.
상기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는 플라보자임(Flavourzym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근육의 비대가 유도되었고, 근기능이 개선되었으며, 근감소 관련 유전자의 발현이 대조군에 비하여 우수한 수준으로 발현되므로 근감소를 저하시켜 근육의 크기 및 근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근육 합성 관련 유전자의 발현이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발현되므로 근육의 크기 및 근력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 1의 투여군, 실시예 2의 투여군, 비교예 1의 투여군 및 비교예 2의 투여군에 공급된 단백질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 1의 투여군, 실시예 2의 투여군, 비교예 1의 투여군 및 비교예 2의 투여군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악력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 1의 투여군, 실시예 2의 투여군, 비교예 1의 투여군 및 비교예 2의 투여군 마우스의 대퇴사두근(quadriceps) 무게를 측정한 그래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 1의 투여군, 실시예 2의 투여군, 비교예 1의 투여군 및 비교예 2의 투여군 마우스의 장딴지근(Gastrocnemius) 무게를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3c는 본 발명의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 1의 투여군, 실시예 2의 투여군, 비교예 1의 투여군 및 비교예 2의 투여군 마우스의 비장근(Soleus) 무게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 1의 투여군, 실시예 2의 투여군, 비교예 1의 투여군 및 비교예 2의 투여군 마우스의 근섬유 단면적을 염색한 사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 1의 투여군, 실시예 2의 투여군, 비교예 1의 투여군 및 비교예 2의 투여군 마우스의 근섬유 단면적을 정량화한 그래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 1의 투여군, 실시예 2의 투여군, 비교예 1의 투여군 및 비교예 2의 투여군 마우스의 근육에서 근섬유 CSA의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 1의 투여군, 실시예 2의 투여군, 비교예 1의 투여군 및 비교예 2의 투여군 마우스의 근육 분해 관련 인자의 발현을 나타낸 웨스턴 블롯이며; 도 6b 내지 도 6g는 각각 본 발명의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 1의 투여군, 실시예 2의 투여군, 비교예 1의 투여군 및 비교예 2의 투여군 마우스의 p-Foxo3a, Atrogin-1 protein, MuRF-1 protein, Atrogin-1 mRNA, MuRF-1 mRNA 및 Bnip3 mRNA 인자의 발현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 1의 투여군, 실시예 2의 투여군, 비교예 1의 투여군 및 비교예 2의 투여군 마우스의 근육 합성 관련 인자의 발현을 나타낸 웨스턴 블롯이며; 도 7b 내지 도 7e는 근육 합성 관련 인자의 인산화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가수분해물의 분자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3 내지 5의 각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에 대한 세포독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대조군(무처리), 덱사메타손 처리군, 실시예 1 및 비교예 3 내지 5로 처리 시 근관세포의 두께를 현미경으로 측정한 사진이다.
도 11은 대조군(무처리), 덱사메타손 처리군, 실시예 1 및 비교예 3 내지 5로 처리 시 근관세포의 두께를 현미경으로 측정한 결과를 data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대조군(무처리), 덱사메타손 처리군, 실시예 1 및 비교예 3 내지 5로 처리 시 근관세포의 두께를 현미경으로 측정한 사진이다.
도 13은 대조군(무처리), 덱사메타손 처리군, 실시예 1 및 비교예 3 내지 5로 처리 시 근관세포의 두께를 현미경으로 측정한 결과를 data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근감소를 저하시켜 근육의 크기 및 근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원재료로 사용되는 유청단백은 우유 단백질에서 커드를 분리하여 치즈를 제조하면서 만들어진 치즈 유청 유래이다.
이러한 유청단백은 일반유청분말(Normal whey powder), 탈염유청분말(Demineralized whey powder), 유청단백 농축물(Whey protein concentrate) 또는 유청단백 분리물(Whey protein isolate)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유청단백을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로 1차 가수분해하고,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로 2차 가수분해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유청단백을 단백질 분해효소로 분해한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여과를 통해 불용성 물질이 제거된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청단백을 1차 가수분해하는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로는 단백질 분해 최적 pH가 7.0-8.5인 알칼라아제(Alcalase), 단백질 분해 최적 pH가 5.0-11.0이고 최적 온도가 60 ℃인 프로타맥스(Protamax) 또는 단백질 분해 최적 pH가 8.0-12.0이고 최적 온도가 40-50 ℃인 푸드프로 알칼라인 프로테아제(Foodpro Alkaline protease)를 들 수 있다. 또한, 2차 가수분해하는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로는 단백질 분해 최적 pH가 5.0-7.0이고 최적 온도가 50 ℃인 플라보자임(Flavourzyme) 또는 프로자임(Prozyme 2000P)을 들 수 있다.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가 아닌 다른 단백질 분해효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근감소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낮거나 없을 수 있다.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로 가수분해된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Cys 9 내지 11 mg/g, Tyr 19 내지 22 mg/g, Arg 18 내지 19 mg/g, Ala 37 내지 39 mg/g, Pro 43 내지 45 mg/g, Lys 68 내지 72 mg/g, His 13.5 내지 14 mg/g, Ile 40 내지 41 mg/g, Leu 77 내지 80 mg/g, Met 15 내지 17 mg/g, Phe 24 내지 25 mg/g, Val 36 내지 37 mg/g, Glu 120 내지 130 mg/g, Asp 80 내지 82 mg/g, Ser 35 내지 41 mg/g, Gly 14.5 내지 15 mg/g, Thr 54 내지 55 mg/g 및 Trp 10 내지 11 mg/g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전체 아미노산 중에서 유리아미노산이 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중량%로 함유되며; 류신(Leu), 이소류신(Ile) 및 발린(Val)을 지칭하는 BCAA 아미노산은 155 내지 180 mg/g, 바람직하게는 155 내지 170 mg/g이다.
상기 아미노산 성분의 함량, 전체 아미노산 중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 및 BCAA 아미노산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해야 근감소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의 분자량은 100 내지 5000 Da,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500 Da이다.
또한, 본 발명의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의 지표펩타이드의 함량은 10 내지 40 mg/g,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mg/g이다.
본 발명의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근감소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우수하여 근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또는 근감소증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근감소증"은 근육의 부피 및 근력이 점진적으로 쇠퇴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상기 근감소증으로는 근위축증, 근무력증, 근이영양증, 근경직증, 근긴장저하, 근력약화, 근육퇴행위축,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또는 중증 근무력증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용어 "근기능 개선"은 근육의 근력 및/또는 크기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를 제조하는 방법은 (A) 유청단백과 물을 1 : 3-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상기 유청단백을 용해시키는 단계; (B) 상기 용해된 유청단백 용해물 100 중량부에 유청단백을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를 0.1 내지 1의 중량부로 투입하여 1차 가수분해를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1차 가수분해된 분해물에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를 0.1 내지 1의 중량부로 투입하여 2차 가수분해를 수행하는 단계; 및 (D) 상기 2차 가수분해된 분해물을 여과시켜 불용성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D)단계 이후에 (E) 상기 수득된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살균 후 실온에서 냉각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살균 및 냉각된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건조시켜 여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A)단계에서는 유청단백과 물을 1 : 3-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pH 7.0-7.5 하에서 40 내지 60 ℃,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5 ℃의 환경에서 상기 유청단백을 용해시킨다.
유청단백을 용해 시 온도 및 pH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유청단백이 용해되지 않으므로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B)단계에서는 상기 용해된 유청단백용해물에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가 투입되어 1차 가수분해를 수행한다.
상기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로는 서로 다른 2종의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를 혼합한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칼라아제(Alcalase)와 프로타맥스(Protamax)가 혼합된 혼합효소일 수 있다.
상기 알칼라아제(Alcalase)와 프로타맥스(Protamax)는 1 : 0.5-2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1-1.5의 중량비로 혼합된다. 알칼라아제(Alcalase)를 기준으로 프로타맥스(Protamax)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근감소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대한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알칼라아제(Alcalase)와 프로타맥스(Protamax)가 혼합된 혼합효소를 사용하면 단백질을 사슬의 안쪽에서부터 분해하는 특성을 가짐으로써, 단백질을 중간중간 분해해서 중간 길이의 펩타이드, 특히 소수성 펩타이드가 끝부분에 노출되는데 이렇게 펩타이드가 끝부분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쓴맛이 강하여 관능성이 저하되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다음 단계에서 제2 단백질 분해효소로 2차 가수분해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알칼라아제(Alcalase)와 프로타맥스(Protamax)가 혼합된 혼합효소는 상기 용해된 유청단백용해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의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4의 중량부로 사용된다. 혼합효소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짧은 길이의 펩타이드가 다량으로 생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중간 길이의 펩타이드만 다량으로 생성되어 근감소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대한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가수분해는 40 내지 60 ℃,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5 ℃에서 2 내지 5시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시간 동안 수행된다. 1차 가수분해 시 반응 온도 및 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1차 가수분해가 완전히 수행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부산물이 다량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1차 가수분해된 분해물의 pH는 6.0-7.0이다.
다음으로, 상기 (C)단계에서는 상기 1차 가수분해된 분해물에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를 투입하여 2차 가수분해를 수행한다.
상기 (B)단계에서는 혼합효소에 의해 관능성이 저하되므로 (C)단계에서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를 사용함으로써 더 짧은 길이의 펩타이드를 생성하여 관능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는 플라보자임(Flavourzyme)일 수 있다.
상기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는 상기 용해된 유청단백용해물 100 중량부에 0.1 내지 1의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5의 중량부로 투입된다. 제2 단백질 분해효소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더 짧은 길이의 펩타이드가 적게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부산물이 다량으로 발생할 수 있다.
상기 2차 가수분해는 40 내지 60 ℃,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55 ℃에서 10 내지 20시간,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17시간 동안 수행된다. 2차 가수분해 시 반응 온도 및 시간이 상기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2차 가수분해가 완전히 수행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상한치 초과인 경우에는 부산물이 다량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D)단계에서는 상기 2차 가수분해된 분해물을 여과시켜 불용성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수득한다. 상기 (D)단계 이전에 2차 가수분해된 분해물을 80 내지 100 ℃에서 5 내지 15분 동안 처리하여 효소를 실활시킨 후 상온(23 내지 26 ℃)에서 냉각시킨 후 냉각된 2차 가수분해된 분해물을 (D)단계에서 이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더욱 우수한 근감소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위하여 상기 2차 가수분해된 분해물을 여과시켜 불용성 물질이 제거된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수득한다.
상기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지 않은 가수분해물은 불용성 물질이 제거된 가수분해물에 비하여 3-20배 효과가 낮다.
상기 여과는 불용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필터를 이용한 여과를 들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E)단계에서는 상기 수득된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80 내지 100 ℃에서 20 내지 60분 동안 살균 후 실온에서 냉각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F)단계에서는 상기 살균 및 냉각된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건조시켜 여과시킨다.
상기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분무건조방법으로 건조시킨 후 자성물질을 제거한 다음 30 내지 40 mesh의 여과장치로 여과시켜 최종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수득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이란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의 효능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예로,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10 내지 1500 ㎍/㎖,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0 ㎍/㎖의 농도로 사용된다.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의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제학적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분야의 적절한 방법으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1-10 g/㎏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알코올 음료류, 과자류, 다이어트바, 유제품, 육류, 초코렛,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유청단백 가수분해물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와 음료류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및 각종 식물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감소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건강기능식품이란,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이와 같은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의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의 첨가량은, 대상인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 없지만, 식품 본래의 맛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하면 되며, 대상 식품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20 중량%의 범위이다. 또한, 환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캡슐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의 경우에는 통상 0.1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8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면 된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환제, 정제, 캡슐제 또는 음료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근감소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또는 식품의 제조를 위한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근감소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유동물에게 유효량의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근감소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포유동물"은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대상인 포유동물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말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 "유효량"은 연구자, 수의사, 의사 또는 기타 임상의에 의해 생각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인간에서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유효 성분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양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는 해당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의 완화를 유도하는 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효 성분에 대한 유효량 및 투여횟수는 원하는 효과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투여될 최적의 투여량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으며,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 및 다른 성분의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 방법에 있어서, 성인의 경우, 아나카딕산 또는 이의 허용가능한 염을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시, 0.001 g/kg 내지 10 g/kg의 용량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치료방법에서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경구, 직장, 정맥내, 동맥내, 복강내, 근육내, 흉골내, 경피, 국소, 안구내 또는 피내 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과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의 비교
실시예 1.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WP-S)
유청단백(WPC)과 50 ℃의 물을 1 : 5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중조를 이용하여 pH를 7.0 내지 7.5로 조절하여 상기 유청단백을 용해시킨 다음 상기 용해된 유청단백용해물 100 중량부에 혼합효소(알칼라아제(Alcalase 2.4L FG, Novo Nordisk 사) : 프로타맥스(Protamax, Novo Nordisk 사) = 1 : 1의 중량비)를 0.4 중량부로 투입하여 50 ℃에서 4시간 동안 1차 가수분해를 수행하였다. 1차 가수분해 반응 종료 시 pH는 6.0 내지 7.0이다.
상기 1차 가수분해된 분해물에 플라보자임(Flavourzyme 1000L, Novo Nordisk 사) 0.2 중량부를 투입하여 50 ℃에서 15시간 동안 2차 가수분해를 수행한 후 상기 2차 가수분해된 분해물을 하우징 필터(1 ㎛)로 여과시켜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수득한다.
상기 수득된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90 ℃에서 30분 동안 살균한 후 실온에서 냉각한 다음 분무건조(온도조건은 inlet: 190 ℃, outlet: 100 ℃; 수분증발량은 1 내지 3 kg/hr)로 건조시키고 10,000 Gaus의 강한 자석을 이용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40 mesh의 여과지로 여과시켜 분말의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유청단백 가수분해물(WP-H)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2차 가수분해된 분해물을 하우징 필터로 여과하지 않고 바로 사용하여 수용성이 아닌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수용성 산성유청단백 가수분해물(AW-S)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유청단백 대신 산성유청단백을 이용하여 수용성 산성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산성유청단백(acid whey)은 질량차이가 아닌 pH 조절을 통한 등전점 원리를 이용하여 유청단백을 분리한 것이다.
비교예 2. 산성유청단백 가수분해물(AW-H)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2차 가수분해된 분해물을 하우징 필터로 여과하지 않고 바로 사용하여 수용성이 아닌 산성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Ⅰ>
실험동물
마우스의 뒷다리 고정(hindlimb immobilization, IM)을 실시하는 근육 위축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근육 위축을 형성시킨 후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가수분해물 투여를 통해 근육 위축이 회복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주간 IM을 진행한 뒤, 2주간 IM과 동시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가수분해물 4종을 각각 투여하였다. 5주령 수컷 C57BL/6 마우스 42마리를 구입하여 1주일간 본 동물실 환경에 적응시킨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군은 아무 처리를 하지 않은 정상군(Normal)과 대조군(근육 위축 유도군, IM) 그리고 가수분해물 4종 투여군(AW-H, AW-S, WP-H, WP-S)으로 총 6군이며 각 군당 7마리씩으로 진행하였다. 시료는 정수에 녹여 800 mg/kg/day로 사용되었으며, 다리 고정은 참고 문헌(Disease models & mechanisms, 8(9), 1059-1069, 2015)의 방법을 이용하여 1.5 ml 마이크로튜브(microtube), 클립, 벨크로 테이프로 제작한 고정 기구를 마우스 한쪽 뒷다리에 끼워 진행하였다. 실험 기간 동안 3일마다 마우스의 식이 및 물 섭취량, 체중을 측정하였다.
-6개 군의 마우스-
정상군(Normal): 근육 위축을 형성하지 않은 군
대조군(IM): 근육 위축 후 가수분해물 대신 식수 투여
실시예 1(WP-S): 근육 위축 후 가수분해물(WP-S) 800 mg/kg/day 투여
실시예 2(WP-H): 근육 위축 후 가수분해물(WP-H) 800 mg/kg/day 투여
비교예 1(AW-S): 근육 위축 후 가수분해물(AW-S) 800 mg/kg/day 투여
비교예 2(AW-H): 근육 위축 후 가수분해물(AW-H) 800 mg/kg/day 투여
시험예 1. 단백질 공급차이 측정
도 1은 본 발명의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 1의 투여군, 실시예 2의 투여군, 비교예 1의 투여군 및 비교예 2의 투여군에 공급된 단백질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공급된 가수분해물이 단백질이므로 식이섭취량에 의한 차이가 염려되어 식이섭취량과 가수분해물 섭취량을 계산하여 1일 단백질 섭취량을 계산하였을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수분해물의 투여로 인한 단백질 공급차이는 군간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각 군의 악력 변화 측정
도 2는 본 발명의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 1의 투여군, 실시예 2의 투여군, 비교예 1의 투여군 및 비교예 2의 투여군에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악력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P<0.05, ##P<0.01, ###P<0.001
다리 고정 및 시료 투여를 진행하는 동안 grip strength test(Bioseb, Fracne)기기를 사용하여 실험동물의 악력 변화를 3일마다 측정하였다. 이때, 마우스가 네 발로 악력 측정기의 mesh를 잡게 한 뒤 실험자가 꼬리를 잡아서 mesh에서 떼어내었을 때의 최대 악력값(g)을 측정하였으며 마우스 한 마리당 5번 측정한 값의 평균을 기록하였다. 상기 평균 값을 몸무게에 대한 비율로 표준화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군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악력이 체중에 비례하여 증가했고, 대조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악력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또한, 가수분해물의 경구투여 9일 이후부터 실시예 1의 투여군에서 악력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실시예 1의 투여군은 12일 이후부터 다른 군에 비하여 악력이 유의성 있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근육조직 무게의 변화 측정
도 3a는 본 발명의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 1의 투여군, 실시예 2의 투여군, 비교예 1의 투여군 및 비교예 2의 투여군 마우스의 대퇴사두근(quadriceps) 무게를 측정한 그래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 1의 투여군, 실시예 2의 투여군, 비교예 1의 투여군 및 비교예 2의 투여군 마우스의 장딴지근(Gastrocnemius) 무게를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3c는 본 발명의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 1의 투여군, 실시예 2의 투여군, 비교예 1의 투여군 및 비교예 2의 투여군 마우스의 비장근(Soleus) 무게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P<0.05, ##P<0.01, ###P<0.001
실험 종료 후 sacrifice하여 한 쪽 뒷다리의 대퇴사두근(quadriceps)과 장딴지근(Gastrocnemius) 그리고 비장근 (Soleus)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측정한 data를 체중과 비례하여 표준화한 후 비교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근육 위축이 발생하여 대퇴사두근은 약 20%, 장딴지근은 약 23% 및 비장근은 약 37% 무게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WP-S) 투여군에서는 대퇴사두근 약 13%, 장딴지근 약 18% 및 비장근 약 18%가 감소하였고 모든 근육에서 각각 36%, 20%, 52%의 근육 무게 감소에 대한 보호능을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비교예 2(AW-H) 투여군에서는 대퇴사두근 약 19%, 장딴지근 약 22% 및 비장근 약 23%가 감소하였고 비장근에서 유의성 있게 37%의 근육 무게 감소에 대한 보호능이 확인되었으며; 비교예 1(AW-S) 투여군에서는 대퇴사두근 약 21%, 장딴지근 약 22% 및 비장근 약 25% 감소하였고; 실시예 2(WP-H) 투여군에서는 대퇴사두근 약 20%, 장딴지근 약 22% 및 비장근 약 23%가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가수분해물 4종 중 실시예 1(WP-S)이 근육 무게에 대한 가장 우수한 보호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근섬유 단면적 감소 완화 효과 확인
도 4는 본 발명의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 1의 투여군, 실시예 2의 투여군, 비교예 1의 투여군 및 비교예 2의 투여군 마우스의 근섬유 단면적을 염색한 사진이며; 도 5a는 본 발명의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 1의 투여군, 실시예 2의 투여군, 비교예 1의 투여군 및 비교예 2의 투여군 마우스의 근섬유 단면적을 정량화한 그래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 1의 투여군, 실시예 2의 투여군, 비교예 1의 투여군 및 비교예 2의 투여군 마우스의 근육에서 근섬유 CSA의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P<0.05, ##P<0.01, ###P<0.001
가수분해물이 근육 위축 마우스 모델에서 근섬유 단면적 감소를 개선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해 조직학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상기 시험예 3에서 수득된 장딴지근 조직을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paraformaldehyde)를 사용하여 고정한 후 단면적을 관찰하기 위해 염색된 근육 조직을 근육 결에 90도 방향으로 잘라내어 4 ㎛ 두께의 파라핀 절편으로 제작하였다. 상기 절편을 hematoxylin and eosin(H&E)으로 13시간 동안 염색한 뒤 광학 현미경(Olympus, Tokyo, Japan)을 통해 100배에서 관찰하였다. 그 후 Image J software를 통해 각 근섬유의 단면적(cross-sectional area, CSA) 정량화를 진행하였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근육 위축이 발생하여 47% 근섬유 단면적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상군에 비해 비교예 2(AW-H) 투여군에서는 약 37%, 비교예 1(AW-S) 투여군에서는 약 47%, 실시예 2(WP-H) 투여군에서는 약 47% 및 실시예 1(WP-S) 투여군에서는 약 34% 근섬유 단면적이 감소하였으며, 실시예 1(WP-S) 투여군에서만 근섬유 단면적 감소에 대해 유의성 있게 25%의 보호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각 근섬유의 빈도를 근섬유단면적에 대한 분포로 나타내었을 때 실시예 1(WP-S) 투여군이 가장 정상군과 가까운 분포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5. 근육 분해 관련 인자의 발현 조절 확인
도 6a는 본 발명의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 1의 투여군, 실시예 2의 투여군, 비교예 1의 투여군 및 비교예 2의 투여군 마우스의 근육 분해 관련 인자의 발현을 나타낸 웨스턴 블롯이며; 도 6b 내지 도 6g는 각각 본 발명의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 1의 투여군, 실시예 2의 투여군, 비교예 1의 투여군 및 비교예 2의 투여군 마우스의 p-Foxo3a, Atrogin-1 protein, MuRF-1 protein, Atrogin-1 mRNA, MuRF-1 mRNA 및 Bnip3 mRNA 인자의 발현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P<0.05, ##P<0.01, ###P<0.001
근육 위축 마우스 모델에서 근육 분해와 관련된 인자인 Foxo3a, MuRF-1, Atrogin-1 및 Bnip3의 단백질 및 유전자 발현 정도를 변화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웨스턴 블롯과 qRT-PCR을 진행하였다. Foxo3a는 근육 위축 관련 인자들의 전사 인자로 phosphorylation되면 cytosol로 localization되어 활동이 저해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Atrogin-1과 MurF1은 근육에서만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ubiquitin ligase로서 근육 위축 시 근육 단백질을 분해하는 가장 대표적인 인자로 알려져 있다. Bnip3는 mitophagy 및 autophagy와 관련된 인자로 근육 위축 시 그 발현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시험예 3에서 적출한 장딴지근에서 Roche Diagnostics사(미국, 인디애나폴리스)의 completeTM 프로테아제 인히비터 칵테일 타블렛(protease inhibitor cocktail tablets)이 포함된 용해 완충액(lysis buffer)을 사용하여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단백질은 Thermo Fisher Scientific사(미국, 록퍼드)의 PierceTM BCA 단백질 분석 키트(Protein Assay Kit)를 이용하여 제품설명서에 따라 단백질 농도를 확인한 후 일정한 단백질 농도로 조정하였다. 동일한 양의 단백질을 12% 소듐 도데실 설페이트-폴리아크릴아미드 겔(Sodium Dodecyl Sulfate(SDS)-polyacrylamide gel)에서 전기영동을 진행한 후 일렉트로블롯팅(electroblotting)을 이용하여 폴리비닐이딘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 막으로 이동(transfer)시켰다. 상기 막을 5% 탈지유(skim milk)를 이용해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블로킹(blocking)한 후 4 ℃에서 1차 항체와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다음날에 상기 막을 HRP(horseradish peroxidase)-결합된 2차 항체와 1시간 반 이상 인큐베이션한 후에 후지 필름사(일본, 도쿄)의 LAS3000 발광 이미지 분석기(luminescent image analyzer)를 이용하여 현상하였다. Foxo3a, p-Foxo3a 항체는 셀 시그널링사(Cell Signaling Technology, 미국, 댄버스)에서 구입하였으며; MuRF-1, Atrogin-1, 2차 항체는 산타크루즈 바이오테크놀리지사(Santa Cruz Biotechnology, 미국, 산타크루즈)에서 구입하였고; β-actin 항체는 진텍스 (GeneTex,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구입하였다.
상기 시험예 3에서 적출한 장딴지근에서 easy-RED(iNtRON Biotechnology, 한국, 성남)를 이용해 mRNA를 추출한 뒤 RevoScriptTM Reverse Transcriptase premix kit (iNtRON Biotechnology)를 이용하여 총 부피 20 μL로 반응하여 cDNA로 합성하였다. SYBR premix EX Taq(Takara, 일본) 10 μL, cDNA 2 μL, 각각의 프라이머(10 pmol/μL) 1 μL, Rox dye 1 μL 및 Rnase/Dnase free water 6 μL를 섞어 step one plus real time PCR(Applied Biosystems, CA, USA)을 이용하였다. 프라이머는 BIONICS 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서열은 하기 표 1과 같다.
Oligo name primer sequence (5'- 3')
Atrogin1 F AGA AAG AAA GAC ATT CAG AAC A
Atrogin1 R GCT CCT TCG TAC TTC CTT
MurF1 F AAG ACT GAG CTG AGT AAC TG
MurF1 R TAG AGG GTG TCA AAC TTC TG
Bnip3 F TTC CAC TAG CAC CTT CTG ATG A
Bnip3 R GAA CAC CGC ATT TAC AGA ACA A
Gapdh F TCG GTG TGA ACG GAT TTG
Gapdh R GGT CTC GCT CCT GGA AGA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p-Foxo3a와 Foxo3a의 인산화 비율을 보면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비율이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으며, 실시예 1(WP-S) 투여군에서만 비율이 유의성 있게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Atrogin-1의 단백체 및 유전체 발현 결과를 보면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 가수분해물 투여에 의해 유의성 있게 발현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WP-S > AW-H >= WP-H).
또한, MurF1의 단백체 및 유전체 발현 결과를 보면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발현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 실시예 1(WP-S) 투여군에서 유의성 있게 발현이 감소되었다.
또한, Bnip3의 유전체 발현 결과에서도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으며, 가수분해물 투여에 의해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다(WP-S > AW-S).
결론적으로, 근육 위축 마우스 모델에서 실시예 1(WP-S)의 투여는 근육 위축으로 인해 증가한 근육 분해 관련 인자의 단백체 및 유전체 발현을 감소시켜 근육 위축을 해소하였다.
시험예 6. 근육 합성 관련 인자의 발현 조절 확인
도 7a는 본 발명의 정상군, 대조군, 실시예 1의 투여군, 실시예 2의 투여군, 비교예 1의 투여군 및 비교예 2의 투여군 마우스의 근육 합성 관련 인자의 발현을 나타낸 웨스턴 블롯이며; 도 7b 내지 도 7e는 근육 합성 관련 인자의 인산화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P<0.05, ##P<0.01, ###P<0.001
근육 위축 마우스 모델에서 근육 합성과 관련된 인자인 PI3K, Akt, S6K1 및 4E-BP1의 인산화 비율을 변화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웨스턴 블롯(Western blot)을 진행하였다. PI3K - Akt pathway는 IGF-1과 같은 growth factor등에 의해 활성화 되어 최종적으로는 근육 합성을 증가시키는 신호전달경로로 잘 알려져 있다. PI3K의 인산화, Akt의 인산화 등에 의해 S6K1과 4E-BP1이 인산화되며, S6 ribosomal protein을 인산화하거나 또는 eukaryotic translation initiation factor 4E(eIF4E)을 유리시켜 단백질 합성이 유도된다. 따라서, 웨스턴 블롯을 통해 네 인자들의 인산화 비율을 측정하여 유단백가수분해물 투여 시 근육 합성이 증가하는 지를 측정하였다.
상기 시험예 3에서 적출한 장딴지근에서 시험예 5와 같은 방법으로 웨스턴 블롯을 진행하였다. p-PI3K 항체는 에이비캠사(abcam ,England)에서 구입하였고; PI3K, p-Akt, Akt, p-S6K1, S6K1, p-4E-BP1, 4E-BP1 항체는 셀 시그널링사(Cell Signaling Technology, 미국, 댄버스)에서 구입하였으며; Gapdh 항체는 진텍스사 (GeneTex,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구입하였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p-PI3K와 PI3K의 인산화 비율을 보면 정상군에 비해 나머지 군에서 비율이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다.
또한, p-Akt와 Akt의 인산화 비율을 보면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비율이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으며 실시예 1(WP-S) 투여에 의해 유의성 있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p-S6K1와 S6K1의 인산화 비율을 보면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비율이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으며, 가수분해물 투여에 의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WP-S > AW-H).
또한, p-4E-BP1와 4E-BP1의 인산화 비율을 보면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비율이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으며, 가수분해물 투여에 의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WP-S > WP-H > AW-S).
결론적으로 근육 위축 마우스 모델에서 실시예 1(WP-S) 투여는 근육 위축으로 인해 감소한 근육 합성 관련 인자의 인산화를 증가시켜 근육 위축을 해소하였다.
본 발명의 유청단백 가수분해물과 타사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의 비교
실시예 1.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WP-S)
상기 실시예 1의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이용하였다.
비교예 3. 알라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알라 유청단백 가수분해물(Arla Foods Ingredients, Arla SP-8011, 알라웨이프로틴)을 이용하였다.
비교예 4. 힐마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힐마 유청단백 가수분해물(Hilmar Ingredients, Hilmar8010)을 이용하였다.
비교예 5. 머레이걸번코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머레이걸번코 유청단백 가수분해물(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11318호의 실시예 2)을 이용하였다.
<시험예 Ⅱ>
시험예 7. 구성아미노산 측정
구성아미노산 조성은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산가수분해법으로 분해한 후 아미노산 자동분석기로 조성을 측정하였다. 즉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 25 mg을 cap tube에 정확히 칭량하여 넣은 후 2.5 mL의 6 N HCl을 가하고 110 ℃에서 24시간 가수분해하였다. 3G-4 glass filter로 미가수분해물질을 제거한 여액은 회전진공증발기(N-1110, EYELA, Tokyo, Japan)로 50 ℃에서 완전히 용매를 휘발시킨 후 0.01 N HCl를 사용하여 25 mL로 정용하여 아미노산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아미노산 분석은 시료 용액 40 uL를 주입하여 아미노산 자동분석기(Biochrom 30, Cambridge, UK)로 분석하였다.
아미노산(mg/g) 실시예 1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Asp 81.56 82.22 84.31 83.11
Thr 54.29 56.87 55.79 58.46
Ser 39.78 42.94 41.63 43.27
Glu 129.96 137.17 132.99 132.43
Pro 43.75 46.84 43.95 45.79
Gly 14.57 14.00 14.44 13.92
Ala 38.81 43.09 39.87 39.33
Cys 10.08 11.8 12.35 17.00
Val 36.91 39.6 38.98 37.12
Met 15.08 14.3 15.46 14.15
Ile 40.57 41.97 44.68 41.08
Leu 77.84 83.21 80.72 76.32
Tyr 19.55 22.53 22.34 19.56
Phe 24.91 25.6 25.64 23.66
His 13.75 14.41 14.29 13.48
Lys 68.32 72.76 72.09 67.06
Arg 18.29 19.43 17.76 16.14
Trp 10.63 11.27 11.60 10.41
Ile+Leu+Val 155.32 164.78 148.72 154.52
시험예 8. 분자량 측정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가수분해물의 분자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실시예 1의 가수분해물 0.01 g에 이차 증류수 490 uL와 0.1% TFA를 포함한 acetonitrile 500 uL를 가하여 용해한 후 MALDI-Tof 질량분석기(4700 Proteomics Analyzer, Applied Biosystems, MA, USA)로 질량분포를 확인하였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분자량은 210 내지 2800 Da이며 CHCA matrix 피크를 배제한 주요 펩타이드의 피크는 324 m/z, 496 m/z, 611 m/z, 1375 m/z, 1700 m/z, 1880 m/z였고 주로 1700 m/z이하에서 많은 펩타이드 피크들이 검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9. 지표펩타이드 함량 측정
지표펩타이드 합성
아미노산 서열분석을 통해 확인한 지표펩타이드 Leu-Asp-Ile-Gln-Lys(LDIQK)는 일반고상합성법에 따라 앱클론 사(서울, 한국)에서 합성하였으며 합성 펩타이드 LDIQK의 분자량과 순도는 각각 615.73 Da과 95.05%였다.
지표펩타이드의 정량
지표펩타이드의 정량은 Watchers 120 ODS-BP(4.6x250 mm, 5 um)를 장착한 Agilent 1260 infinity HPLC 시스템(Santa Clara, CA, USA)과 Shimdzu HPLC prominence 시스템으로 실시하였다. 분석장비를 제외한 분석조건은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실시예 1의 시료는 별도의 전처리를 하지 않고 실시예 1의 시료분말 0.5 g을 HPLC급 증류수에 완전히 녹여 10 mL로 정용한 후 원심분리(7,500xg, 20 min)하여 얻은 상층액을 0.20 um 실린저 필터로 여과하여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단백질 농도 확인을 위해 Biuret법으로 가용성 단백질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HPLC시스템에서 지표펩타이드 정량을 위한 분석조건은 표 3과 같으며, 지표펩타이드(LDIQK)의 함량은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20101948942-pat00001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LDIQK(mg/g) 23.46±2.47 0.1±0.01 미만 0.3±0.01 0.6±0.01
위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비교예 3 내지 5에 비하여 지표펩타이드의 함량이 월등히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10. 세포독성 측정
도 9a 내지 도 9d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3 내지 5의 각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에 대한 세포독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마우스 근원세포주인 C2C12세포를 seeding 후 90% 채워져 있을 때 분화배지(2% horse serum)로 갈아준 다음 7일간 분화시켰다. 분화 후 실시예 1 및 비교예 3 내지 5의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을 농도 별(0 , 50, 100, 250, 500 ㎍/ml)로 처리하고 48시간 후에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비교예 3 내지 5의 각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은 500 ㎍/ml까지 세포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11. 근관세포 두께 측정(myotube diameter) 측정
도 10은 대조군(무처리), 덱사메타손 처리군, 실시예 1 및 비교예 3 내지 5로 처리 시 근관세포의 두께를 현미경으로 측정한 사진이다.
도 11은 대조군(무처리), 덱사메타손 처리군, 실시예 1 및 비교예 3 내지 5로 처리 시 근관세포의 두께를 현미경으로 측정한 결과를 data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마우스 근아세포인 C2C12 세포를 seeding 후 포화도가 80%이상이 되면 분화배지(2% horse serum media)로 갈아준 후 근아세포를 근관세포로 7일간 분화시켰다. 근 위축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근관세포로 분화유도 7일째 되는 날부터 2일(48시간)동안 배지에 50 μM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dexa; sigma Aldrich, USA)과 함께 실시예 1 및 비교예 3내지 5의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 100 ㎍/ml을 동시에 처리하였다. 배양 종료 후, 광학현미경(CKX41, Olympus)을 이용하여 x400배율로 촬영한 후 image J software(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well부분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현미경 촬영하였으며, 각 well로부터 최소 10개의 myotube 두께를 분석하였다(6반복/군).
대조군(무처리)은 처리하지 않은 C2C12 세포이며 덱사메타손 처리군은 C2C12 세포에 50 μM 덱사메타손을 처리한 군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이 덱사메타손 처리군 및 비교예 3 내지 5에 비하여 근관세포의 두께가 넓은 것을 확인하였다.
도 11은 도 10의 결과를 data 화한 그래프로서, 대조군(무처리) 대비 덱사메타손 처리군은 근관세포 두께가 30.4% 감소하였으며, 덱사메타손 처리군 대비 실시예 1은 근관세포 두께가 21%(회복율 48%)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덱사메타손 처리군 대비 비교예 3은 근관세포 두께가 12%(회복율 28%)증가 하였고, 덱사메타손 처리군 대비 비교예 4 및 비교예 5는 근관세포 두께가 각각 9%(회복율 21%)씩 증가하였으므로, 실시예 1의 수용성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이 비교예 3 내지 5에 비하여 덱사메타손의 처리로 감소된 근관세포 두께를 가장 우수하게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12. 단백질 함량 보정 후 근관세포 두께 측정(myotube diameter) 측정
도 12는 대조군(무처리), 덱사메타손 처리군, 실시예 1 및 비교예 3 내지 5로 처리 시 근관세포의 두께를 현미경으로 측정한 사진이다.
도 13은 대조군(무처리), 덱사메타손 처리군, 실시예 1 및 비교예 3 내지 5로 처리 시 근관세포의 두께를 현미경으로 측정한 결과를 data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마우스 근아세포인 C2C12 세포를 seeding 후 포화도가 80%이상이 되면 분화배지(2% horse serum media)로 갈아준 후 근아세포를 근관세포로 7일간 분화시켰다. 근 위축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근관세포로 분화유도 7일째 되는 날부터 2일(48시간)동안 배지에 50 μM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dexa; sigma Aldrich, USA)과 함께 단백질 함량을 각각 80 ㎍/ml로 보정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3 내지 5의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을 동시에 처리하였다. 배양 종료 후, 광학현미경(CKX41, Olympus)을 이용하여 x400배율로 촬영한 후 image J software(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well부분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현미경 촬영하였으며, 각 well로부터 최소 10개의 myotube 두께를 분석하였다(6반복/군).
대조군(무처리)은 처리하지 않은 C2C12 세포이며 덱사메타손 처리군은 C2C12 세포에 50 μM 덱사메타손을 처리한 군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이 덱사메타손 처리군 및 비교예 3 내지 5에 비하여 근관세포의 두께가 넓은 것을 확인하였다.
도 13은 도 12의 결과를 data 화한 그래프로서, 대조군(무처리) 대비 덱사메타손 처리군은 근관세포 두께가 32% 감소하였으며, 덱사메타손 처리군 대비 실시예 1은 근관세포 두께가 35%(회복율 74%)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덱사메타손 처리군 대비 비교예 3은 근관세포 두께가 16%(회복율 33%)증가 하였고, 덱사메타손 처리군 대비 비교예 4 및 비교예 5는 근관세포 두께가 각각 13%(회복율 29%)씩 증가하였으므로, 실시예 1의 수용성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이 비교예 3 내지 5에 비하여 덱사메타손의 처리로 감소된 근관세포 두께가 가장 우수하게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기에 본 발명의 분말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50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3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20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60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 당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4 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g으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과립제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과립제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과립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기능성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얻은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20)

  1. 유청단백을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로 1차 가수분해하고,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로 2차 가수분해하며,
    상기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는 알칼라아제(Alcalase)와 프로타맥스(Protamax)가 1 : 0.5-2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효소이고,
    상기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는 플라보자임(Flavourzym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청단백은 치즈 유청 유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청단백은 일반유청분말(Normal whey powder), 탈염유청분말(Demineralized whey powder), 유청단백 농축물(Whey protein concentrate) 또는 유청단백 분리물(Whey protein isol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불용성 물질이 제거된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Cys 9 내지 11 mg/g, Tyr 19 내지 22 mg/g, Arg 18 내지 19 mg/g, Ala 37 내지 39 mg/g, Pro 43 내지 45 mg/g, Lys 68 내지 72 mg/g, His 13.5 내지 14 mg/g, Ile 40 내지 41 mg/g, Leu 77 내지 80 mg/g, Met 15 내지 17 mg/g, Phe 24 내지 25 mg/g, Val 36 내지 37 mg/g, Glu 120 내지 130 mg/g, Asp 80 내지 82 mg/g, Ser 35 내지 41 mg/g, Gly 14.5 내지 15 mg/g, Thr 54 내지 55 mg/g 및 Trp 10 내지 11 mg/g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전체 아미노산 중에서 유리아미노산이 1 내지 5 중량%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은 BCAA 아미노산이 155 내지 180 mg/g으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의 지표펩타이드의 함량은 10 내지 40 mg/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청단백 가수분해물.
  11. 유청단백을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로 1차 가수분해하고,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로 2차 가수분해한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는 알칼라아제(Alcalase)와 프로타맥스(Protamax)가 1 : 0.5-2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효소이고,
    상기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는 플라보자임(Flavourzym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12. 유청단백을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로 1차 가수분해하고,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로 2차 가수분해한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는 알칼라아제(Alcalase)와 프로타맥스(Protamax)가 1 : 0.5-2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효소이고,
    상기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는 플라보자임(Flavourzym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감소증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근감소증은 근위축증, 근무력증, 근이영양증, 근경직증, 근긴장저하, 근력약화, 근육퇴행위축,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또는 중증 근무력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14. 유청단백을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로 1차 가수분해하고,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로 2차 가수분해한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는 알칼라아제(Alcalase)와 프로타맥스(Protamax)가 1 : 0.5-2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효소이고,
    상기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는 플라보자임(Flavourzym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근육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근감소증은 근위축증, 근무력증, 근이영양증, 근경직증, 근긴장저하, 근력약화, 근육퇴행위축,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또는 중증 근무력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17. (A) 유청단백과 물을 1 : 3-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상기 유청단백을 용해시키는 단계;
    (B) 상기 용해된 유청단백 용해물 100 중량부에 유청단백을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를 0.1 내지 1의 중량부로 투입하여 1차 가수분해를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1차 가수분해된 분해물에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를 0.1 내지 1의 중량부로 투입하여 2차 가수분해를 수행하는 단계; 및
    (D) 상기 2차 가수분해된 분해물을 여과시켜 불용성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바실러스 리케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유래 엔도 프로테아제(Endo protease)는 알칼라아제(Alcalase)와 프로타맥스(Protamax)가 1 : 0.5-2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효소이고,
    상기 아스퍼질러스 오리자에(Aspergillus oryzae) 유래 엑소 프로테아제(Exo protease)는 플라보자임(Flavourzym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 이후에 (E) 상기 수득된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살균 후 실온에서 냉각시키는 단계; 및
    (F) 상기 살균 및 냉각된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건조시켜 여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19. 삭제
  20. 삭제
KR1020200124083A 2019-09-25 2020-09-24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32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80082201.4A CN115052612A (zh) 2019-09-25 2020-09-25 含有水解乳清蛋白作为活性成分的用于减轻、预防或治疗肌肉减少症的组合物
PCT/KR2020/013116 WO2021060927A1 (ko) 2019-09-25 2020-09-25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7/763,726 US20220322700A1 (en) 2019-09-25 2020-09-25 Composition for alleviating, preventing or treating sarcopenia, containing whey protein hydrolysate as active ingredient
JP2022518411A JP7462983B2 (ja) 2019-09-25 2020-09-25 乳清タンパク加水分解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筋減少症の改善、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18146 2019-09-25
KR1020190118146 2019-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293A KR20210036293A (ko) 2021-04-02
KR102432193B1 true KR102432193B1 (ko) 2022-08-12

Family

ID=75466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083A KR102432193B1 (ko) 2019-09-25 2020-09-24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1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1380A (zh) * 2022-02-25 2022-05-06 广东君悦营养医学有限公司 一种适用于肌肉衰减综合症的蛋白水及其制备方法
KR102540497B1 (ko) * 2022-07-05 2023-06-08 (주)네오크레마 유청단백질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성장 촉진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0160A (ja) * 2008-12-24 2010-07-08 Snow Brand Milk Prod Co Ltd 筋肉増強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448B1 (ko) * 2008-03-06 2010-09-0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청 단백질 가수분해물과 프로바이오틱(probiotic) 유산균을 첨가한 기능성 음료 및그의 제조방법
KR20090095902A (ko) * 2008-03-06 2009-09-1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유청 단백질 가수분해물, 그의제조방법 및 그의 식품에 사용하는 용도
JP2011184314A (ja) * 2010-03-04 2011-09-22 Snow Brand Milk Products Co Ltd 筋肉萎縮防止剤
KR102011957B1 (ko) 2016-06-08 2019-08-19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Slit-robo 시스템을 이용한 근감소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99916B1 (ko) 2018-01-19 2019-07-12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긴불레기말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력 강화 또는 근감소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0160A (ja) * 2008-12-24 2010-07-08 Snow Brand Milk Prod Co Ltd 筋肉増強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서형주 등, "유기농 유청 단백 가수분해의 최적 효소 선발."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017, 30권, 6호, 페이지 1359-136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293A (ko) 202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8512B2 (ja) ジペプチド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組成物
KR100996985B1 (ko) 글루카곤양 펩티드-1 분비 촉진제, 글루카곤양 펩티드-1분비 촉진용 음식품, 식후 혈당값 상승 억제제 및 식후혈당값 상승 억제용 음식품
KR102432193B1 (ko) 유청단백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09136611A1 (ja) グルタチオン産生促進剤、グルタチオンの欠乏に起因する疾患の予防・治療剤、飲食品及び飼料
JP2021020954A (ja) 動植物由来ペプチド含有血清カルノシン分解酵素阻害用組成物
CA2603452A1 (en) Tripeptides that down regulate the activity of plasma membrane transporters including sodium-d-glucose cotransporter sglt1
EP1824501B1 (en) Protein hydrolysate with antidiabetic effect
TW200939975A (en) Dietary compositions for promoting weight loss
EP3329928A1 (en) Composition containing cyclic dipeptide and sweetening agent
JP7358239B2 (ja) エネルギー消費促進用組成物
WO2005074961A1 (ja) 体脂肪調整剤
US20120088840A1 (en) Novel use of panduratin derivative or boesenbergia pandurata extract
JP7462983B2 (ja) 乳清タンパク加水分解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筋減少症の改善、予防又は治療用組成物
JP6661597B2 (ja) α−グルコシダーゼ阻害剤
JP5144000B2 (ja) 形質転換増殖因子β抑制用組成物
JP2009209088A (ja) アスペルロシドまたはその類縁体を含む筋肉増強剤
KR101963439B1 (ko) 아라자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4954295B2 (ja) アラザイムを有効成分とする肝機能保護用薬学的組成物
TW201938042A (zh) 腸道屏障功能改善用組成物
US20220151987A1 (en) Muscle building agent
KR20240054436A (ko) 근기능 개선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근감소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077235B2 (ja) 筋萎縮抑制組成物
WO2019168149A1 (ja) 認知機能を改善するペプチド
EP4304557A1 (en) Methods and uses of microbiome compositions, components, or metabolites for treating eye disorders
WO2017002765A1 (ja) カロリー低減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