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001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001B1
KR102432001B1 KR1020150143155A KR20150143155A KR102432001B1 KR 102432001 B1 KR102432001 B1 KR 102432001B1 KR 1020150143155 A KR1020150143155 A KR 1020150143155A KR 20150143155 A KR20150143155 A KR 20150143155A KR 102432001 B1 KR102432001 B1 KR 102432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water
making
tray
tr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3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3735A (ko
Inventor
정진
손봉수
장도윤
김윤영
박용종
정문교
서국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3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001B1/ko
Priority to US15/291,526 priority patent/US10365026B2/en
Priority to EP16855724.7A priority patent/EP3295099B1/en
Priority to PCT/KR2016/011467 priority patent/WO2017065507A1/en
Priority to CN201680042309.4A priority patent/CN107850365B/zh
Priority to AU2016339616A priority patent/AU2016339616B2/en
Publication of KR20170043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3735A/ko
Priority to US16/448,558 priority patent/US10794622B2/en
Priority to US17/003,405 priority patent/US1157304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2Distributing ice particularly adapted for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F25C5/24Distributing ice for storing b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25C2305/0221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rotating ice moul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6Multiple ice moulds or tray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상면이 개방된 물 포켓에 물을 저수한 후에 정 위치로 지지 프레임에 장착하고 장착된 후에 기울임으로써 물 포켓에 저수된 물이 제빙 트레이에 공급되도록 하여, 제빙 트레이에 정량의 물을 용이하게 급수할 수 있다. 냉장고는 제빙 트레이의 이빙 시에 제빙 트레이가 회전 이동과 함께 병진 이동하게 마련되거나, 얼음이 하측 제빙 트레이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 방지 부재가 구비되어, 제빙기의 전후 폭이 개선된다. 아이스 버킷을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둔 상태에서 얼음 배출 버튼을 펌핑하여 아이스 버킷에 저장된 얼음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수동 제빙기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본체와, 도어와, 식품을 저장하도록 본체와 도어의 사이에 형성되는 저장실과, 저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를 구비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장치이다. 저장실은 대략 섭씨 0 ~ 5 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실과, 대략 섭씨 0 ~ 영하 30 도로 유지되어 식품을 냉동 보관하는 냉동실을 포함한다.
냉장고에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가 구비되기도 한다. 제빙기는 물을 저수하여 냉각함으로써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 트레이와, 제빙 트레이에서 이빙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버킷을 포함한다.
제빙기는 제빙 트레이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 과정, 제빙 트레이에 저수된 물을 냉각하여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 과정, 생성된 얼음을 제빙 트레이에서 아이스 버킷으로 이빙하는 이빙 과정, 아이스 버킷에서 얼음을 인출하는 얼음 인출 과정의 각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식 제빙기와,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수동 제빙기로 구분될 수 있다.
수동 제빙기의 제빙 트레이에 물을 급수하는 과정은 제빙 트레이 장착부에서 제빙 트레이를 꺼내고, 제빙 트레이에 물을 넘치지 않게 붓고, 물이 저수된 제빙 트레이를 다시 제빙 트레이 장착부에 장착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빙 트레이에 정량의 물을 공급하기가 쉽지 않고, 물을 붓는 과정에서 물이 흘러 넘치거나 주위로 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복수의 제빙 트레이가 상하로 배치되는 수동 제빙기에서 상측의 제빙 트레이에서 얼음을 이빙할 때 이빙된 얼음이 하측의 제빙 트레이에 걸림으로써 아이스 버킷으로 들어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복수의 제빙 트레이가 전후 방향으로 다소 어긋나게 배치되는 구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제빙기의 전후 폭을 불필요하게 증가시킨다.
수동 제빙기의 아이스 버킷에 저장된 얼음을 인출하고자 할 때 아이스 버킷이 장착된 본체 또는 도어에서 아이스 버킷을 통째로 분리한 후에 얼음을 인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빙 트레이에 물을 급수하는 구조가 개선된 수동 제빙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빙 트레이에서 얼음을 이빙하는 구조가 개선되고 두께가 슬림해진 수동 제빙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아이스 버킷에서 얼음을 인출하는 구조가 개선된 수동 제빙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본체와, 도어와,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에 의해 형성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고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버킷을 갖고, 상기 아이스 버킷은, 배출구를 갖는 아이스 버킷 바디;와,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아이스 버킷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수동으로 누름 가능하게 마련되는 얼음 배출 버튼; 및 상기 얼음 배출 버튼에 누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본체와, 도어와,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에 의해 형성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는 제빙기를 갖고, 상기 제빙기는, 지지 프레임;과, 물을 저수하고, 저수된 물이 냉각되어 얼음이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빙 트레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빙 트레이에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수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에 제1위치로 장착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에 장착된 후에 제2위치로 회전하면 저수된 물이 쏟아지도록 마련되는 물 포켓; 및 상기 물 포켓에서 쏟아지는 물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빙 트레이로 안내하는 급수 가이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본체와, 도어와,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에 의해 형성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는 제빙기를 갖고, 상기 제빙기는,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빙 트레이;와, 상기 복수의 제빙 트레이의 얼음을 이빙시키기 위한 레버; 및 상기 레버를 동작시키면 상기 복수의 제빙 트레이가 각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레버와 상기 복수의 제빙 트레이를 연결하는 링크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를 동작시키면 상기 복수의 제빙 트레이 중 적어도 하나의 제빙 트레이는 회전 이동과 함께 병진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본체와, 도어와,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에 의해 형성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는 제빙기를 갖고, 상기 제빙기는,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빙 트레이;와, 상기 복수의 제빙 트레이의 얼음을 이빙시키기 위한 레버;와, 상기 레버를 동작시키면 상기 복수의 제빙 트레이가 각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레버와 상기 복수의 제빙 트레이를 연결하는 링크 유닛; 및 상기 복수의 제빙 트레이 중 어느 하나의 제빙 트레이에서 이빙된 얼음이 다른 제빙 트레이에 걸리지 않도록 얼음을 안내하는 아이스 걸림 방지 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장고는 본체와, 도어와,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에 의해 형성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는 제빙기를 갖고, 상기 제빙기는, 이빙 시에 회전 이동과 함께 상기 제빙기의 전방으로 병진 이동하는 제빙 트레이;와, 상기 제빙 트레이에서 이빙되는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버킷; 및 상기 제빙 트레이에서 이빙되는 얼음을 상기 아이스 버킷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제빙 트레이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아이스 가이드 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제빙 트레이에 정량의 물을 용이하게 급수할 수 있고, 제빙 트레이에 물을 급수할 시에 물 넘침이나 물이 주변으로 흐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하로 배치된 복수의 제빙 트레이를 갖는 제빙기에 있어서, 상측의 제빙 트레이에서 이빙된 얼음이 하측의 제빙 트레이에 걸리지 않고 제빙기의 두께가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아이스 버킷이 장착된 본체 또는 도어에서 아이스 버킷을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둔 상태에서 아이스 버킷에 저장된 얼음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구비한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가 도어에 장착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도어에서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물 포켓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물 포켓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물 포켓이 물 포켓 장착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물 포켓이 물 포켓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전방 프레임의 단면도로서, 물받이부의 물을 제빙 트레이로 안내하는 채널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급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아이스 버킷의 얼음 배출 버튼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아이스 버킷의 얼음 배출 버튼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아이스 버킷의 얼음 배출 버튼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아이스 버킷의 얼음 배출 버튼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아이스 버킷의 얼음 배출 버튼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아이스 버킷의 얼음 배출 버튼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물 포켓과 물 포켓 장착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급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아이스 버킷의 얼음 배출 버튼의 걸림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4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구성 및 이빙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구성 및 이빙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구성 및 이빙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1 및 도 3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구성 및 이빙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3 및 도 34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구성 및 이빙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5 및 도 36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구성 및 이빙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7 및 도 38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구성 및 이빙 구조를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 또는 변형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각 도면은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돕도록 확대하거나 다소 과장하여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로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별도로 명명한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를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이해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또는 명확히 하나라고만 표시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구성 요소, 특징, 숫자, 단계, 동작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성 용소, 특징, 숫자, 단계, 동작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순히 전방에, 후방에, 상측에, 하측에, 좌측에 또는 우측에 라고 표현하는 경우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전방에, 후방에, 상측에, 하측에, 좌측에 또는 우측에마련되는 경우를 지칭할 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 요소들 사이에 제3의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구비한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가 도어에 장착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도어에서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냉장고(1)는 본체(10)와, 도어(21,22,23,24)와, 본체(10)와 도어(21,22,23,24)에 의해 형성되는 저장실(13,14,15)과, 저장실(13,14,15)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 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전방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어(21,22,23,24)는 본체(10)의 개방된 전방을 개폐한다. 저장실(13,14,15)은 수평 격벽(11)과 수직 격벽(12)에 의해 서로 구획될 수 있다. 상측의 저장실(13)은 냉장실로 사용될 수 있고, 하측의 저장실(14,15)은 냉동실로 사용될 수 있다.
상측의 저장실(13)은 도어(21,22)에 의해 개폐될 수 있고, 좌하측의 저장실(14)과 우하측의 저장실(15)은 각각 도어(23) 및 도어(24)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21,22,23,24)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4도어를 갖는 BMF형 냉장고(Bottom Mounted Freezer Type)이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TMF형 냉장고(Top Mounted Freezer Type), 양문형 냉장고(Side By Side Type), 프렌치 도어형 냉장고(French Door Type), 1도어 냉장고 등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다.
냉기 공급 장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 밸브, 증발기 및 송풍팬 등으로 구성되어 냉각 사이클을 통해 냉기를 생성하여 저장실에 공급할 수 있다.
도어(23)의 배면에는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기(30)가 장착될 수 있다. 제빙기(30)는 도어(23)의 배면에서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제빙기(30)는 도어(23)의 배면에 장착되어 저장실(14)의 냉기로써 물을 얼려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제빙기(30)는 냉매가 유동되는 냉매관(미도시)으로부터 직접 냉각 에너지를 공급받아 직냉식으로 얼음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도어(23)의 배면에는 도어(23)를 닫을 때에 본체(10)와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고 도어(23)와 본체(10)와의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가스켓(25)이 설치될 수 있다. 가스켓(25)은 도어(23) 배면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가스켓(25)의 내측에는 다이크(26)가 돌출되고, 다이크(26)에는 도어 가드(29) 및 제빙기(30)를 장착할 수 있는 다이크 장착부(27,28)가 형성될 수 있다.
제빙기(30)는 제빙 트레이(61,66)가 장착되는 지지 프레임(31)과, 제빙 트레이(61,66)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버킷(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빙 트레이(61,66)는 물을 저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빙셀을 갖고 제빙셀에 저수된 물이 냉각되어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31)과 아이스 버킷(120)은 각각 독립적으로 도어(23)의 배면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지지 프레임(31)은 제1다이크 장착부(27)에 장착될 수 있고, 아이스 버킷(120)은 제2다이크 장착부(28)에 장착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31)은 제1다이크 장착부(27)에 장착되도록 장착 돌기(51)를 가질 수 있고, 아이스 버킷(120)은 제2다이크 장착부(28)에 장착되도록 장착 돌기(133)를 가질 수 있다. 다이크 장착부(27,28)는 홈 형상을 갖고, 장착 돌기(51,133)가 다이크 장착부(27,28)의 홈 형상에 끼워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물 포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물 포켓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물 포켓이 물 포켓 장착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물 포켓이 물 포켓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전방 프레임의 단면도로서, 물받이부의 물을 제빙 트레이로 안내하는 채널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급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구체적인 구성과, 제빙기에 물을 급수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제빙기(30)는 물을 저수하고 저수된 물이 냉각되어 얼음이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빙 트레이(61,66)와, 적어도 하나의 제빙 트레이(61,66)에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수하는 물 포켓(80)과, 제빙 트레이(61,66) 및 물 포켓(80)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31)과, 제빙 트레이(61,66)에서 이빙되는 얼음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아이스 버킷(1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빙기(30)는 복수의 제빙 트레이(61,66)를 포함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제빙 트레이만 구비될 수도 있다.
복수의 제빙 트레이(61,66)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61,66)는 물을 저수하는 복수의 제빙셀을 가질 수 있다. 제빙 트레이(61,66)는 생성된 얼음을 제빙 트레이(61,66)에서 이빙시킬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빙 트레이(61,66)는 회전축(62,67)을 가질 수 있다. 회전축(62,67)은 제빙 트레이(61,66)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회전축(62,67)은 지지 프레임(31)의 회전축 수용홈(52,53)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61,66)는 각각 후술하는 연결 부재(75)에 연결되는 연결핀(63,68)을 가질 수 있다. 연결핀(63,68)은 각각 회전축(62,67)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연결 부재(75)에 의해 연결핀(63,68)에 회전력이 가해지면 제빙 트레이(61,66)는 각각 회전축(62,67)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빙기(30)는 제빙 트레이(61,66)에서 생성된 얼음을 이빙시키기 위해 제빙 트레이(61,66)를 회전시킬 수 있는 레버(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기(30)는 하나의 레버(70)를 회전시킴으로써 복수의 제빙 트레이(61,66)를 함께 이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빙기(30)는 레버(70)에 가해지는 회전력을 복수의 제빙 트레이(61,66)에 전달하는 링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 유닛은 링크 샤프트(72)와, 연결 부재(75)로 구성될 수 있다.
링크 샤프트(72)는 레버(70)에 결합되는 손잡이 결합부와, 지지 프레임(31)의 링크 샤프트 수용홈(54)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축부(73)와, 제1축부(73)에서 편심되어 회전하는 제2축부(74)와, 제1축부(73)와 제2축부(74)를 연결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75)는 링크 샤프트(72)와 복수의 제빙 트레이(61,66)를 연결한다. 연결 부재(75)는 링크 샤프트(72)의 제2축부(74)가 삽입되는 제2축부 삽입홈(76)과, 제1제빙 트레이(61)의 제1연결핀(63)이 삽입되는 제1연결핀 삽입홈(77)과, 제2제빙 트레이(66)의 제2연결핀(68)이 삽입되는 제2연결핀 삽입홈(78)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레버(70)를 돌리면 링크 샤프트(72)의 제2축부(74)가 제1축부(73)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2축부(74)가 회전함에 따라 연결 부재(75)가 회전하게 되고, 연결 부재(75)가 회전함에 따라 복수의 제빙 트레이(61,62)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물 포켓(80)은 제빙 트레이(61,66)에 정해진 양만큼 정확하게 물을 정량 급수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 포켓(80)은 제빙 트레이(61,66)에 공급할 물을 저수할 수 있고, 물을 저수한 채로 후술하는 물 포켓 장착부(33)에 장착될 수 있다. 물 포켓 장착부(33)는 지지 프레임(31)에 형성될 수 있다. 물 포켓(80)에는 물 포켓(80)에 담을 물의 양을 표시하는 눈금이 마련될 수 있다.
물 포켓(80)은 상면이 개방된 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물 포켓(80)은 전벽(81)과, 후벽(82)과, 좌측벽(83)과, 우측벽(84)과, 바닥(85)을 갖고, 상면은 개방될 수 있다. 물 포켓(80)의 내부에는 물을 저수할 수 있는 저수 공간(87,88)이 형성될 수 있다. 물 포켓(8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저수 공간(87,88)으로 물이 유출입될 수 있다.
즉, 물 포켓(80)의 개방된 상면이 위로 향하도록 세워지는 위치(이하에서 정 위치라고 함)일 때 물 포켓(80)에 물을 담을 수 있고, 물 포켓(80)의 개방된 상면이 옆으로 향하도록 눕혀지는 위치(이하에서 눕혀진 위치라고 함)일 때 물 포켓(80)에 저수된 물이 밖으로 나올 수 있다.
저수 공간(87,88)은 복수의 제빙 트레이(61,66)에 각각 정량의 물을 공급하도록 제1저수 공간(87)과, 제2저수 공간(88)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1저수 공간(87)과 제2저수 공간(88)은 중간벽(86)에 의해 상호 구획될 수 있다.
다만, 제1저수 공간(87)과 제2저수 공간(88) 중 어느 하나의 저수 공간에 물을 담으면 다른 하나의 저수 공간으로도 물이 흘러 들어가도록 중간벽(86)과 후벽(82)의 사이에는 갭(G,도 6)이 형성될 수 있다. 갭(G)은 물 포켓(80)의 상단에서 바닥까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 포켓(80)이 정 위치일 때, 제1저수 공간(87)과, 제2저수 공간(88) 중 어느 하나의 저수 공간에 물이 공급되면 그 물은 갭(G)을 통해 다른 하나의 저수 공간으로도 흘러 들어가 제1저수 공간(87)과 제2저수 공간(88)에 모두 동일한 높이로 물이 채워질 수 있게 된다.
물 포켓(80)이 눕혀진 위치일 때, 갭(G)은 위로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제1저수 공간(87)의 물과 제2저수 공간(88)의 물은 서로 섞이지 않고 각각의 제빙 트레이(61,66)에 정량으로 공급될 수 있다.
물 포켓(80)은 정 위치인 상태로 물이 채워진 후에 물통 장착부(33)에 장착되고, 수동 조작에 의해 눕혀진 위치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물 포켓(80)은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89)와, 물 포켓(8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회전의 중심이 되는 회전핀(91)과,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돌기(92)를 가질 수 있다.
지지 프레임(31)에는 물 포켓(80)의 회전핀(91)이 수용되는 회전핀 수용부(35,도 7)과, 물 포켓(80)의 회전 돌기(92)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 안내홈(36)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31)은 제빙 트레이(61,66)와 물 포켓(80)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31)은 전방 프레임(32)과 후방 프레임(50)과, 상부 프레임(5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방 프레임(32)은 제빙 트레이(61,66)의 전방에 위치하고, 후방 프레임(50)은 제빙 트레이(61,66)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부 프레임(55)은 제빙 트레이(61,66)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전방 프레임(32)과, 후방 프레임(50)과, 상부 프레임(55)은 각각 별개로 마련되어 상호 조립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전방 프레임(32)과, 후방 프레임(50)과, 상부 프레임(55)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후방 프레임(50)에는 도어의 배면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 돌기(5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방 프레임(50)에는 제빙 트레이(61,66)의 회전축(62,67)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축 수용홈(52,53)과, 링크 샤프트(72)의 제1축부(73)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링크 샤프트 수용홈(54)이 형성될 수 있다.
전방 프레임(32)은 물 포켓(80)이 장착되는 물 포켓 장착부(33)를 가질 수 있다. 물 포켓(80)은 물 포켓 장착부(33)에 정 위치로 장착된 후에 수동 조작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전방 프레임(32)은 물 포켓 장착부(33)에 장착된 물 포켓(80)이 정 위치로 유지되도록 물 포켓(80)을 지지하는 물 포켓 지지부(34,도 7,도 9)를 가질 수 있다.
전방 프레임(32)은 물 포켓(80)의 측벽(83)을 지지하는 측벽 지지부(37)를 가질 수 있다. 측벽 지지부(37)에는 물 포켓(80)이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물 포켓 통과구(38)가 형성될 수 있다. 물 포켓(80)은 물 포켓 통과구(38)를 통과하여 물 포켓 장착부(33)에 진입할 수 있다. 즉, 물 포켓(80)은 수평 방향으로 물 포켓 장착부(33)에 진입하여 장착될 수 있다.
물 포켓 통과구(38)는 물 포켓(8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되, 다소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물 포켓(80)은 정 위치(P1,도 11)에서 다소 기울어진 위치(P3,도 10)로 물 포켓 통과구(38)를 통과할 수 있다. 물 포켓 통과구(38)를 통과한 물 포켓(80)은 자중에 의해 정 위치(P1)로 회전하며, 따라서, 물 포켓 통과구(38)를 통과한 물 포켓(80)은 다시 물 포켓 통과구(38)로 빠져 나오지 않을 수 있다.
정 위치(P1)로 회전한 물 포켓(80)은 물 포켓 지지부(34)에 의해 정 위치(P1)로 유지되다가,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눕혀진 위치(P2,도 12)로 회전하여 저수된 물을 토출시킨다.
지지 프레임(31)은 물 포켓(80)에서 쏟아지는 물을 제빙 트레이(61,66)로 안내하는 급수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 가이드부는 물 포켓(80)에서 쏟아지는 물을 받는 물받이부(40)와, 물받이부(40)의 물을 제빙 트레이(61,66)로 안내하는 채널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물받이부(40)는 물 포켓(80)에서 쏟아지는 물을 안정적으로 모을 수 있도록 접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받이부(40)는 물 포켓(80)의 복수의 저수 공간(87,88)에서 쏟아지는 물을 각각 받을 수 있도록 복수의 물받이(40a,40b)로 구획될 수 있다. 복수의 물받이(40a,40b)는 구획 리브(41)에 의해 서로 독립된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물 포켓(80)은 ??여진 위치로 회전 시에 제1저수 공간(87)과 제2저수 공간(88)의 물이 서로 섞이지 않고 제1물받이(40a)와 제2물받이(40b)로 각각 공급될 수 있도록 구획 리브(41)가 삽입되는 구획 리브 삽입홈(90)을 가질 수 있다.
채널부(42)는 물받이부(40)의 물을 누수 없이 제빙 트레이(61,66)로 안내하도록 통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채널부(42)는 제1물받이(40a)에 연결되는 제1채널(42a)과, 제2물받이(40)에 연결되는 제2채널(4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제빙 트레이(61,66)에 물을 급수할 시에 정량의 물을 용이하게 급수할 수 있다. 제빙 트레이(61,66)가 복수개로 마련된 경우에도 각각의 제빙 트레이(61,66)에 정량의 물을 용이하게 급수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아이스 버킷의 얼음 배출 버튼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아이스 버킷의 얼음 배출 버튼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아이스 버킷의 얼음 배출 버튼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아이스 버킷의 얼음 배출 버튼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아이스 버킷의 얼음 배출 버튼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아이스 버킷의 얼음 배출 버튼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 와,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아이스 버킷의 구성과 얼음 인출 구조를 설명한다.
제빙기(30)는 제빙 트레이(61,66)에서 이빙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버킷(120)을 포함한다.
아이스 버킷(120)은 아이스 버킷 바디(121)와, 아이스 버킷 바디(121)에 저장된 얼음을 인출하기 위해 마련되는 얼음 배출 버튼(140)과, 얼음 배출 버튼(140)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160)를 포함한다.
아이스 버킷 바디(121)는 상면이 개방된 통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고, 제빙 트레이(61,66)의 아래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빙 트레이(61,66)에서 이빙되어 자유 낙하하는 얼음이 아이스 버킷 바디(121)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종래 일반적인 아이스 버킷 바디(121)는 별도의 얼음 배출구를 갖지 않으므로, 아이스 버킷 바디(121)에 저장된 얼음을 인출하고자 할 때는 아이스 버킷 바디(121)를 통째로 분리하여 아이스 버킷 바디(121)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얼음을 인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버킷 바디(121)는 얼음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2)를 포함한다. 따라서, 아이스 버킷 바디(121)에서 얼음을 인출하고자 할 때 아이스 버킷 바디(121)를 통째로 도어에서 분리할 필요가 없으며 아이스 버킷 바디(121)가 도어에 장착된 상태에서 배출구(122)를 개방함으로써 얼음이 배출구(122) 아래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아이스 버킷 바디(121)는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 저장부(123)와, 얼음 배출 버튼(140)을 안내하고 수용하는 얼음 배출 버튼 수용부(12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얼음 배출 버튼 수용부(124)는 중앙에 위치하고 얼음 저장부(123)는 얼음 배출 버튼 수용부(124)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으나,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얼음 저장부(123)와 얼음 배출 버튼 수용부(124)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면 충분하다.
아이스 버킷 바디(121)는 얼음 저장부(123)와 얼음 배출 버튼 수용부(124)를 구획하는 구획벽(125)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구획벽(125)은 원통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되고 있으나 그 형상에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다.
배출구(122)는 구획벽(125)에 형성되는 제1배출구(126)와, 아이스 버킷 바디(121)의 바닥(127)에 형성되는 제2배출구(128)를 포함한다.
제1배출구(126)는 복수의 얼음 저장부(123)에 대응되도록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제1배출구(126)는 얼음 저장부(123)와 얼음 배출 버튼 수용부(124)를 연통시켜서 얼음 저장부(123)의 얼음이 얼음 배출 버튼 수용부(124)로 배출되도록 한다.
제2배출구(128)는 얼음 배출 버튼 수용부(124)의 얼음이 아이스 버킷 바디(121)의 아래로 배출되도록 한다.
얼음 배출 버튼(140)은 얼음 배출 버튼 수용부(124)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대략 원통 형상을 갖고 중공(146)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얼음 배출 버튼(140)은 얼음 배출 버튼 수용부(124)에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얼음 배출 버튼(140)은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얼음 배출 버튼(140)은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얼음 배출 버튼(140)은 수동으로 푸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누름부(141)와, 누름부(141)의 반대 측에 마련되는 탄성 부재 지지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얼음 배출 버튼(140)의 원주부(143)에는 제1통과구(145)와 제2통과구(147)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통과구(145)는 아이스 버킷 바디(121)의 제1배출구(126)에 대응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제2통과구(147)는 아이스 버킷 바디(121)의 제2배출구(128)에 대응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얼음 배출 버튼(140)이 얼음 배출 버튼 수용부(124)에 인입되면 얼음 배출 버튼(140)은 제1배출구(126)와 제2배출구(128)를 막도록 마련될 수 있다.
얼음 배출 버튼(140)은 누름부(141)를 수동으로 누름으로써 얼음 배출 버튼 수용부(124)로 인입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얼음 배출 버튼(140)이 얼음 배출 버튼 수용부(124)에서 인출되면 얼음 배출 버튼(140)은 제1배출구(126)와 제2배출구(128)를 개방하여 아이스 버킷 바디(121)에 저장된 얼음이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얼음 배출 버튼(140)의 제1통과구(145)가 아이스 버킷 바디(121)의 제1배출구(126)에 대면하고, 얼음 배출 버튼(140)의 제2통과구(147)가 아이스 버킷 바디(121)의 제2배출구(128)에 대면한다.
얼음 저장부(123)의 얼음은 제1배출구(126), 제1통과구(145), 중공(146), 제2통과구(147), 제2배출구(128)를 거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얼음 배출 버튼(140)은 탄성 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해 얼음 배출 버튼 수용부(124)에서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즉, 탄성 부재(160)는 사용자가 누름부(141)를 눌러서 얼음 배출 버튼(140)을 얼음 배출 버튼 수용부(124)로 인입시키면 탄성력을 축적하였다가, 사용자가 누름부(141)에서 손을 떼면 얼음 배출 버튼(140)에 누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여 얼음 배출 버튼(140)을 얼음 배출 버튼 수용부(124)의 외부로 밀어 낸다.
얼음 배출 버튼(140)은 닫힌 상태에서 아이스 버킷 바디(121)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탄성 걸림 돌기(148)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걸림 돌기(148)가 아이스 버킷 바디(121)에 걸리게 되면 얼음 배출 버튼(140)은 탄성 부재(160)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닫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탄성 걸림 돌기(148)는 얼음 배출 버튼(140)의 원주부(143)에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돌출될 수 있다.
아이스 버킷 바디(121)는 탄성 걸림 돌기(148)의 이동을 안내하는 탄성 걸림 돌기 통로(130)와, 탄성 걸림 돌기(148)가 걸리는 탄성 걸림홈(131)을 포함한다.
탄성 걸림 통로(130)는 구획벽(125)의 내주면에 소정 깊이로 얼음 배출 버튼(140)의 인입 및 인출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탄성 걸림홈(131)은 탄성 걸림 통로(130)의 끝단에 탄성 걸림 통로(130)의 깊이 보다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아이스 버킷(120)은 아이스 버킷 바디(121)에 저장된 얼음에 진동을 가하는 떨림 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떨림 부재(170)는 얼음에 진동을 가하여 얼음들 간의 뭉침으로 해소하여 얼음이 용이하게 배출구(122)를 통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떨림 부재(170)는 얼음 배출 버튼(140)에 연동하여 움직이도록 마련될 수 있다. 떨림 부재(170)는 양 측의 얼음 저장부(123)에 각각 배치되도록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떨림 부재(170)는 얼음을 지지하는 얼음 지지부(171)와, 아이스 버킷 바디(121)에 결합되는 고정단부(172)와, 고정단부(172)의 반대 측에서 고정단부(172)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가동단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아이스 버킷 바디(121)에는 고정단부(172)가 삽입되는 고정단부 삽입홈(132)이 형성될 수 있다.
얼음 배출 버튼(140)은 얼음 배출 버튼(140)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떨림 부재(170)를 움직이도록 돌출되는 연동부(149)를 포함한다. 연동부(149)는 떨림 부재(170)의 가동단부(173)에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연동 돌기(149a)를 포함한다.
가동단부(173)는 얼음 배출 버튼(140)의 이동에 따라 가동단부(17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연동 돌기(149a)와 상호 작용하는 경사면부(174)를 포함한다.
도 15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배출 버튼(140)이 A 방향으로 인출되면 연동 돌기(149a)가 경사면부(174)를 따라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떨림 부재(170)의 가동단부(173)를 B 방향으로 상승시킨다. 반대로, 얼음 배출 버튼(140)이 인입되면 연동 동기(149a)가 경사면부(174)를 따라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고 떨림 부재(170)의 가동단부(173)는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떨림 부재(170)의 가동단부(173)가 승하강함에 따라 얼음 지지부(171)에 지지되어 있는 얼음이 진동을 받게 되어서 얼음 뭉침이 해소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물 포켓과 물 포켓 장착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급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 대해 설명한다.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제1실시예와 달리 물 포켓(100)은 물 포켓 장착부(116)에 장착된 후에 스스로 눕혀진 위치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와 달리 물 포켓(100)은 물 포켓 장착부(116)에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즉,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포켓(100)에 물을 담은 후에 지지 프레임(115)의 물 포켓 장착부에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장착되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포켓(100)이 스스로 눕혀진 위치로 회전하면서 물 포켓(100)에 담겨진 물이 쏟아져서 제빙 트레이(61,62)에 공급될 수 있다.
물 포켓(100)은 상면이 개방된 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물 포켓(100)은 전벽(101)과, 후벽(102)과, 좌측벽(103)과, 우측벽(104)와, 바닥(105)을 갖고, 상면은 개방될 수 있다. 물 포켓(100)의 내부에는 물을 저수할 수 있는 저수 공간(107,108)이 형성될 수 있다. 물 포켓(10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저수 공간(107,108)으로 물이 유출입될 수 있다.
저수 공간(107,108)은 복수의 제빙 트레이에 각각 정량의 물을 공급하도록 제1저수 공간(107)과, 제2저수 공간(108)로 구획될 수 있다. 제1저수 공간(107)과 제2저수 공간(108)은 중간벽(106)에 의해 상호 구획될 수 있다.
물 포켓(100)은 전벽(101)에서 돌출되는 돌출부(109)를 더 포함하고, 돌출부(109)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라운드부(109a)를 포함한다. 물 포켓(100)은 물 포켓 장착부(116)에 장착되면 돌출부(109)의 무게와 라운드부(109a)의 형상에 의해서 스스로 회전할 수 있다.
물 포켓(100)은 좌측벽(103)과 우측벽(104)에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핀(111)이 마련되고, 지지 프레임(115)에는 회전핀(111)이 삽입되는 회전핀 수용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15)은 물 포켓(100)에서 쏟아지는 물을 제빙 트레이로 안내하는 급수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 가이드부는 물 포켓(100)에서 쏟아지는 물을 받는 물받이부와, 물받이부의 물을 제빙 트레이로 안내하는 채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물받이부는 물 포켓(100)에서 쏟아지는 물을 안정적으로 모을 수 있도록 접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물 포켓(100)의 복수의 저수 공간(107,108)에서 쏟아지는 물을 각각 받을 수 있도록 구획 리브(118)에 의해 복수의 물받이로 구획될 수 있다.
물 포켓(100)에는 정 위치에서 눕혀진 위치로 회전 시에 제1저수 공간(107)과 제2저수 공간(108)에서 쏟아지는 물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구획 리브(118)가 삽입되는 구획 리브 삽입홈(1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아이스 버킷의 얼음 배출 버튼의 걸림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전술한 제1실시예와 달리, 얼음 배출 버튼(150)은 닫힌 상태에서 아이스 버킷 바디(155)에 걸리도록 탄성 걸림 돌기 대신에 회전 걸림 돌기(151)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걸림 돌기(151)는 얼음 배출 버튼(150)의 원주부(143)에 고정되게 돌출될 수 있다.
아이스 버킷 바디(155)에는 회전 걸림 돌기(151)의 이동을 안내하는 회전 걸림 돌기 통로(156)와, 회전 걸림 돌기(151)가 걸리는 회전 걸림홈(157)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 걸림 통로(156)는 아이스 버킷 바디(155)의 내주면에 얼음 배출 버튼(150)의 인입 및 인출 방향(C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회전 걸림홈(157)은 회전 걸림 통로(156)의 끝단에 얼음 배출 버튼(150)의 회전 방향(D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얼음 배출 버튼(150)을 아이스 버킷 바디(155)의 얼음 배출 수용부에 C 방향으로 인입한 후에 얼음 배출 버튼(150)을 D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 걸림 돌기(151)가 회전 걸림홈(157)에 걸리게 되어 얼음 배출 버튼(150)이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닫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도 24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구성 및 이빙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제빙기(400)는 물을 저수하고 저수된 물이 냉각되어 얼음이 생성되는 복수의 제빙 트레이(441,446)와, 제빙 트레이(441,446)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410)과, 복수의 제빙 트레이(441,446)에서 얼음을 이빙시키기 위해 수동 조작되는 레버(420)와, 레버(420)가 동작되면 복수의 제빙 트레이(441,446)에 각각 이빙력을 전달하도록 레버(420)와 복수의 제빙 트레이(441,446)를 연결하는 링크 유닛과, 제빙 트레이(441,446)에서 이빙되는 얼음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아이스 버킷(46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빙 트레이(441,446)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빙 트레이(441,446)는 2개가 마련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제빙 트레이(441,446)가 3개 이상 마련될 수도 있다.
제빙 트레이(441,446)는 물을 저수하는 복수의 제빙셀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의 제빙셀에서 얼음을 이빙시키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빙 트레이(441,446)는 회전축(442,447)을 가질 수 있다. 회전축(442,447)은 제빙 트레이(441,446)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측의 제1제빙 트레이(441)의 제1회전축(442)은 지지 프레임(410)의 회전축 수용홈(411)에 삽입되고, 하측의 제2제빙 트레이(446)의 제2회전축(447)은 지지 프레임(410)의 병진 이동 안내홈(414)에 삽입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441,446)는 각각 링크 유닛의 연결 부재(427)에 연결되는 연결핀(443,448)을 가질 수 있다. 연결핀(443,448)은 각각 회전축(442,447)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연결 부재(427)에 의해 연결핀(443,448)에 회전력이 가해지면 제빙 트레이(441,446)는 각각 회전축(442,447)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빙기(40)는 제빙 트레이(441,446)에서 생성된 얼음을 이빙시키기 위해 제빙 트레이(441,446)를 회전시킬 수 있는 레버(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기(40)는 하나의 레버(420)를 회전시킴으로써 복수의 제빙 트레이(441,446)를 함께 이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링크 유닛은 링크 샤프트(422)와, 연결 부재(427)로 구성될 수 있다.
링크 샤프트(422)는 레버(420)에 결합되는 손잡이 결합부(423)와, 지지 프레임(410)의 링크 샤프트 수용홈(413)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축부(424)와, 제1축부(424)에서 편심되어 회전하는 제2축부(426)와, 제1축부(424)와 제2축부(426)를 연결하는 연장부(425)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427)는 링크 샤프트(422)와 복수의 제빙 트레이(441,446)를 연결한다. 연결 부재(427)는 링크 샤프트(422)의 제2축부(426)가 삽입되는 제2축부 삽입홈(428)과, 제1제빙 트레이(441)의 제1연결핀(443)이 삽입되는 제1연결핀 삽입홈(429)과, 제2제빙 트레이(446)의 제2연결핀(448)이 삽입되는 제2연결핀 삽입홈(4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5 및 도 26을 기준으로 좌측을 제빙기(400)의 전방이라고 하고 우측을 제빙기(400)의 후방이라고 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빙 트레이(441)의 제1회전축(442)과, 제2제빙 트레이(446)의 제2회전축(447)은 동일 수직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1제빙 트레이(441)의 제1연결핀(443)은 제1회전축(442)의 전방에 위치되고, 제2제빙 트레이(446)의 제2연결핀(448)은 제2회전축(447)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420)를 F 방향으로 돌리면, 회전력이 링크 유닛을 통해 제1제빙 트레이(441)와 제2제빙 트레이(446)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제1제빙 트레이(441)는 R1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제2제빙 트레이(446)는 R2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병진 이동한다. 왜냐하면, 제2제빙 트레이(446)의 회전 시에 제2회전축(447)이 지지 프레임(410)의 병진 이동 안내홈(414)을 따라 T 방향으로 병진 이동하게 되기 때문이다.
제빙기(400)는 제2제빙 트레이(446)가 전방으로 병진 이동 시에 제2제빙 트레이(446)에서 이빙되어 낙하하는 얼음을 아이스 버킷(460)으로 안내하는 아이스 가이드 부재(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이스 가이드 부재(450)는 하단에 돌출되는 회전핀(451)을 포함하고, 회전핀(451)은 지지 프레임(410)의 지지홈(415)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아이스 가이드 부재(450)는 초기에 닫혀 있다가, 제2제빙 트레이(446)가 전방으로 병진 이동하면 제2제빙 트레이(446)에 의해 가압되어 전방으로 열리면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제빙 트레이(446)에서 낙하하는 얼음이 아이스 버킷(460) 안으로 들어가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제빙기(400)는 레버(420)를 풀면 제빙 트레이(441,446)를 원 위치로 회전 복원시키는 회전 복원 부재(471)와, 제빙 트레이(446)를 원 위치로 병진 복원시키는 병진 복원 부재(47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빙기(400)는 레버(420)를 풀면 아이스 가이드 부재(450)를 원 위치로 복원시키는 아이스 가이드 복원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제빙기(400)는 하나의 레버(420)로 상하로 배치된 복수의 제빙 트레이(441,446)를 함께 이빙시킬 수 있다.
또한, 레버(420)를 작동 시에 하측의 제2제빙 트레이(446)가 전방으로 병진 이동하게 되므로 상측의 제1제빙 트레이(441)에서 낙하하는 얼음이 하측의 제2제빙 트레이(446)에 걸리지 않고 아이스 버킷(460)으로 들어갈 수 있다.
또한, 레버(420)를 작동 시에 아이스 가이드 부재(450)가 전방으로 회전하여, 제2제빙 트레이(446)에서 낙하하는 얼음은 아이스 가이드 부재(450)에 의해 아이스 버킷(460)으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빙 트레이를 갖는 제빙기의 전후 방향 폭을 슬림하게 설계할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구성 및 이빙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전술한 제4실시예에서 손잡이의 작동 시에 하측의 제2제빙 트레이(446)가 전방으로 병진 이동하도록 마련되나, 손잡이의 작동 시에 상측의 제1제빙 트레이(541)이 전방으로 병진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빙기(500)는 물을 저수하고 저수된 물이 냉각되어 얼음이 생성되는 복수의 제빙 트레이(541,546)와, 제빙 트레이(541,546)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510)과, 복수의 제빙 트레이(541,546)에서 얼음을 이빙시키기 위해 수동 조작되는 레버(520)와, 레버(520)가 동작되면 복수의 제빙 트레이(541,546)에 각각 이빙력을 전달하도록 레버(520)와 복수의 제빙 트레이(541,546)를 연결하는 링크 유닛과, 제빙 트레이(541,546)에서 이빙되는 얼음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아이스 버킷(56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빙 트레이(541,546)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빙 트레이(541,546)는 2개가 마련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제빙 트레이(541,546)가 3개 이상 마련될 수도 있다.
제빙 트레이(541,546)는 물을 저수하는 복수의 제빙셀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의 제빙셀에서 얼음을 이빙시키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빙 트레이(541,546)는 회전축(542,547)을 가질 수 있다. 회전축(542,547)은 제빙 트레이(541,546)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측의 제1제빙 트레이(541)의 제1회전축(542)은 지지 프레임(410)의 병진 이동 안내홈(514)에 삽입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541,546)는 각각 링크 유닛의 연결 부재(527)에 연결되는 연결핀(543,548)을 가질 수 있다. 링크 유닛은 링크 샤프트(522)와, 연결 부재(527)로 구성될 수 있다.
링크 샤프트(522)는 레버(520)에 결합되는 손잡이 결합부와, 지지 프레임(510)의 링크 샤프트 수용홈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축부(524)와, 제1축부(524)에서 편심되어 회전하는 제2축부(526)와, 제1축부(524)와 제2축부(526)를 연결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7 및 도28을 기준으로 좌측을 제빙기(500)의 전방이라고 하고 우측을 제빙기(500)의 후방이라고 한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빙 트레이(541)의 제1회전축(542)과, 제2제빙 트레이(546)의 제2회전축(547)은 동일 수직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1제빙 트레이(541)의 제1연결핀(543)은 제1회전축(542)의 후방에 위치되고, 제2제빙 트레이(546)의 제2연결핀(548)은 제2회전축(547)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520)를 F 방향으로 돌리면, 회전력이 링크 유닛을 통해 제1제빙 트레이(541)와 제2제빙 트레이(546)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제1제빙 트레이(541)는 R1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병진 이동한다. 왜냐하면, 제1제빙 트레이(541)의 회전 시에 제1회전축(542)이 지지 프레임(510)의 병진 이동 안내홈(514)을 따라 T 방향으로 병진 이동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제2제빙 트레이(546)는 R2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빙기(500)는 제1제빙 트레이(541)가 전방으로 병진 이동 시에 제1제빙 트레이(541)에서 이빙되어 낙하하는 얼음을 아이스 버킷(560)으로 안내하는 아이스 가이드 부재(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이스 가이드 부재(550)는 하단에 돌출되는 회전핀(551)을 포함하고, 회전핀(551)은 지지 프레임(5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아이스 가이드 부재(550)는 초기에 닫혀 있다가, 제1제빙 트레이(541)가 전방으로 병진 이동하면 제1제빙 트레이(541)에 의해 가압되어 전방으로 열리면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제빙 트레이(541)에서 낙하하는 얼음이 아이스 버킷(560) 안으로 들어가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제빙기(500)는 하나의 레버(520)로 상하로 배치된 복수의 제빙 트레이(541,546)를 함께 이빙시킬 수 있다.
또한, 레버(520)를 작동 시에 상측의 제1제빙 트레이(541)가 전방으로 병진 이동하게 되므로 상측의 제1제빙 트레이(541)에서 낙하하는 얼음이 하측의 제2제빙 트레이(546)에 걸리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레버(520)를 작동 시에 아이스 가이드 부재(550)가 전방으로 회전하여, 제1제빙 트레이(541)에서 낙하하는 얼음은 아이스 가이드 부재(550)에 의해 아이스 버킷(560)으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빙 트레이를 갖는 제빙기의 전후 방향 폭을 슬림하게 설계할 수 있다.
도 29 및 도 3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구성 및 이빙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전술한 제4실시예 및 제5실시예에서 손잡이의 작동 시에 상측의 제1제빙 트레이와 하측의 제2제빙 트레이 중 어느 하나가 전방으로 병진 이동하도록 마련되나, 손잡이의 작동 시에 상측의 제1제빙 트레이(641)는 후방으로 병진 이동하고 하측의 제2제빙 트레이(646)는 전방으로 병진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제빙기(600)는 물을 저수하고 저수된 물이 냉각되어 얼음이 생성되는 복수의 제빙 트레이(641,646)와, 제빙 트레이(641,646)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610)과, 복수의 제빙 트레이(641,646)에서 얼음을 이빙시키기 위해 수동 조작되는 레버(620)와, 레버(620)가 동작되면 복수의 제빙 트레이(641,646)에 각각 이빙력을 전달하도록 레버(620)와 복수의 제빙 트레이(641,646)를 연결하는 링크 유닛과, 제빙 트레이(641,646)에서 이빙되는 얼음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아이스 버킷(66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빙 트레이(641,646)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빙 트레이(641,646)는 2개가 마련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제빙 트레이(641,646)가 3개 이상 마련될 수도 있다.
제빙 트레이(641,646)는 물을 저수하는 복수의 제빙셀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의 제빙셀에서 얼음을 이빙시키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빙 트레이(641,646)는 회전축(642,647)을 가질 수 있다. 회전축(642,647)은 제빙 트레이(641,646)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측의 제1제빙 트레이(641)의 제1회전축(642)은 지지 프레임(610)의 제1병진 이동 안내홈(614a)에 삽입될 수 있다. 하측의 제2제빙 트레이(646)의 제2회전축(647)은 지지 프레임(610)의 제2병진 이동 안내홈(614b)에 삽입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641,646)는 각각 링크 유닛의 연결 부재(627)에 연결되는 연결핀(643,648)을 가질 수 있다. 링크 유닛은 링크 샤프트(622)와, 연결 부재(627)로 구성될 수 있다.
링크 샤프트(622)는 레버(620)에 결합되는 손잡이 결합부와, 지지 프레임(610)의 링크 샤프트 수용홈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축부(624)와, 제1축부(624)에서 편심되어 회전하는 제2축부(626)와, 제1축부(624)와 제2축부(626)를 연결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9 및 도30을 기준으로 좌측을 제빙기(600)의 전방이라고 하고 우측을 제빙기(600)의 후방이라고 한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빙 트레이(641)의 제1회전축(642)과, 제2제빙 트레이(646)의 제2회전축(647)은 동일 수직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1제빙 트레이(641)의 제1연결핀(643)은 제1회전축(642)의 전방에 위치되고, 제2제빙 트레이(646)의 제2연결핀(648)은 제2회전축(647)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620)를 F 방향으로 돌리면, 회전력이 링크 유닛을 통해 제1제빙 트레이(641)와 제2제빙 트레이(646)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제1제빙 트레이(641)는 R1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후방으로 병진 이동한다. 왜냐하면, 제1제빙 트레이(641)의 회전 시에 제1회전축(642)이 지지 프레임(610)의 병진 이동 안내홈(614a)을 따라 T1 방향으로 병진 이동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제2제빙 트레이(646)는 R2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병진 이동 한다. 왜냐하면, 제2제빙 트레이(646)의 회전 시에 제2회전축(647)이 지지 프레임(610)의 병진 이동 안내홈(614b)을 따라 T2 방향으로 병진 이동하게 되기 때문이다.
제빙기(600)는 제2제빙 트레이(646)가 전방으로 병진 이동 시에 제2제빙 트레이(646)에서 이빙되어 낙하하는 얼음을 아이스 버킷(660)으로 안내하는 아이스 가이드 부재(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이스 가이드 부재(650)는 하단에 돌출되는 회전핀(651)을 포함하고, 회전핀(651)은 지지 프레임(6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아이스 가이드 부재(650)는 초기에 닫혀 있다가, 제2제빙 트레이(646)가 전방으로 병진 이동하면 제2제빙 트레이(646)에 의해 가압되어 전방으로 열리면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제빙 트레이(646)에서 낙하하는 얼음이 아이스 버킷(660) 안으로 들어가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제빙기(600)는 하나의 레버(620)로 상하로 배치된 복수의 제빙 트레이(641,646)를 함께 이빙시킬 수 있다.
또한, 레버(620)를 작동 시에 상측의 제1제빙 트레이(641)가 후방으로 병진 이동하고, 하측의 제2제빙 트레이(646)가 전방으로 병진 이동하게 되므로 상측의 제1제빙 트레이(641)에서 낙하하는 얼음이 하측의 제2제빙 트레이(646)에 걸리지 않고 아이스 버킷(660)으로 들어갈 수 있다.
또한, 레버(620)를 작동 시에 아이스 가이드 부재(650)가 전방으로 회전하여, 제2제빙 트레이(646)에서 낙하하는 얼음은 아이스 가이드 부재(650)에 의해 아이스 버킷(660)으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빙 트레이를 갖는 제빙기의 전후 방향 폭을 슬림하게 설계할 수 있다.
도 31 및 도 32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구성 및 이빙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전술한 제6실시예에서 손잡이의 작동 시에 상측의 제1제빙 트레이(641)는 후방으로 병진 이동하고 하측의 제2제빙 트레이(646)는 전방으로 병진 이동하도록 마련되나, 반대로 상측의 제1제빙 트레이(741)는 전방으로 병진 이동하고 하측의 제2제빙 트레이(746)는 후방으로 병진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제빙기(700)는 물을 저수하고 저수된 물이 냉각되어 얼음이 생성되는 복수의 제빙 트레이(741,746)와, 제빙 트레이(741,746)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710)과, 복수의 제빙 트레이(741,746)에서 얼음을 이빙시키기 위해 수동 조작되는 레버(720)와, 레버(720)가 동작되면 복수의 제빙 트레이(741,746)에 각각 이빙력을 전달하도록 레버(720)와 복수의 제빙 트레이(741,746)를 연결하는 링크 유닛과, 제빙 트레이(741,746)에서 이빙되는 얼음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아이스 버킷(76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빙 트레이(741,746)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빙 트레이(741,746)는 2개가 마련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제빙 트레이(741,746)가 3개 이상 마련될 수도 있다.
제빙 트레이(741,746)는 물을 저수하는 복수의 제빙셀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의 제빙셀에서 얼음을 이빙시키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빙 트레이(741,746)는 회전축(742,747)을 가질 수 있다. 회전축(742,747)은 제빙 트레이(741,746)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측의 제1제빙 트레이(741)의 제1회전축(742)은 지지 프레임(710)의 제1병진 이동 안내홈(714a)에 삽입될 수 있다. 하측의 제2제빙 트레이(746)의 제2회전축(747)은 지지 프레임(710)의 제2병진 이동 안내홈(714b)에 삽입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741,746)는 각각 링크 유닛의 연결 부재(727)에 연결되는 연결핀(743,748)을 가질 수 있다. 링크 유닛은 링크 샤프트(722)와, 연결 부재(727)로 구성될 수 있다.
링크 샤프트(722)는 레버(720)에 결합되는 손잡이 결합부와, 지지 프레임(710)의 링크 샤프트 수용홈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축부(724)와, 제1축부(724)에서 편심되어 회전하는 제2축부(726)와, 제1축부(724)와 제2축부(726)를 연결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1 및 도32를 기준으로 좌측을 제빙기(700)의 전방이라고 하고 우측을 제빙기(700)의 후방이라고 한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빙 트레이(741)의 제1회전축(742)과, 제2제빙 트레이(746)의 제2회전축(747)은 동일 수직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1제빙 트레이(741)의 제1연결핀(743)은 제1회전축(742)의 후방에 위치되고, 제2제빙 트레이(746)의 제2연결핀(748)은 제2회전축(747)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720)를 F 방향으로 돌리면, 회전력이 링크 유닛을 통해 제1제빙 트레이(741)와 제2제빙 트레이(746)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제1제빙 트레이(741)는 R1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병진 이동한다. 왜냐하면, 제1제빙 트레이(741)의 회전 시에 제1회전축(742)이 지지 프레임(710)의 병진 이동 안내홈(714a)을 따라 T1 방향으로 병진 이동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제2제빙 트레이(746)는 R2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후방으로 병진 이동 한다. 왜냐하면, 제2제빙 트레이(746)의 회전 시에 제2회전축(747)이 지지 프레임(710)의 병진 이동 안내홈(714b)을 따라 T2 방향으로 병진 이동하게 되기 때문이다.
제빙기(700)는 제1제빙 트레이(741)가 전방으로 병진 이동 시에 제1제빙 트레이(741)에서 이빙되어 낙하하는 얼음을 아이스 버킷(760)으로 안내하는 아이스 가이드 부재(7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이스 가이드 부재(750)는 하단에 돌출되는 회전핀(751)을 포함하고, 회전핀(751)은 지지 프레임(7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아이스 가이드 부재(750)는 초기에 닫혀 있다가, 제1제빙 트레이(741)가 전방으로 병진 이동하면 제1제빙 트레이(741)에 의해 가압되어 전방으로 열리면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제빙 트레이(741)에서 낙하하는 얼음이 아이스 버킷(760) 안으로 들어가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제빙기(700)는 하나의 레버(720)로 상하로 배치된 복수의 제빙 트레이(741,746)를 함께 이빙시킬 수 있다.
또한, 레버(720)를 작동 시에 상측의 제1제빙 트레이(741)가 전방으로 병진 이동하고, 하측의 제2제빙 트레이(746)가 후방으로 병진 이동하게 되므로 상측의 제1제빙 트레이(741)에서 낙하하는 얼음이 하측의 제2제빙 트레이(746)에 걸리지 않고 아이스 버킷(760)으로 들어갈 수 있다.
또한, 레버(720)를 작동 시에 아이스 가이드 부재(750)가 전방으로 회전하여, 제1제빙 트레이(741)에서 낙하하는 얼음은 아이스 가이드 부재(750)에 의해 아이스 버킷(760)으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빙 트레이를 갖는 제빙기의 전후 방향 폭을 슬림하게 설계할 수 있다.
도 33 및 도 34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구성 및 이빙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전술한 제4실시예 내지 제7실시예에서 상측의 제빙 트레이에서 낙하하는 얼음이 하측의 제빙 트레이에 걸리지 않고 아이스 버킷으로 들어가도록 상측의 제빙 트레이와 하측의 제빙 트레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빙 트레이가 병진 이동하도록 마련되나, 제빙 트레이는 병진 이동하지 않도록 마련되고 대신에 제빙기는 상측의 제빙 트레이에서 낙하하는 얼음이 하측의 제빙 트레이에 걸리지 않도록 얼음을 안내하는 아이스 걸림 방지 부재(8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기(800)는 물을 저수하고 저수된 물이 냉각되어 얼음이 생성되는 복수의 제빙 트레이(841,846)와, 제빙 트레이(841,846)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810)과, 복수의 제빙 트레이(841,846)에서 얼음을 이빙시키기 위해 수동 조작되는 레버(820)와, 레버(820)가 동작되면 복수의 제빙 트레이(841,846)에 각각 이빙력을 전달하도록 레버(820)와 복수의 제빙 트레이(841,846)를 연결하는 링크 유닛과, 제빙 트레이(841,846)에서 이빙되는 얼음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아이스 버킷(86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빙 트레이(841,846)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빙 트레이(841,846)는 2개가 마련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제빙 트레이(841,846)가 3개 이상 마련될 수도 있다.
제빙 트레이(841,846)는 물을 저수하는 복수의 제빙셀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의 제빙셀에서 얼음을 이빙시키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빙 트레이(841,846)는 회전축(842,847)을 가질 수 있다. 회전축(842,847)은 제빙 트레이(841,846)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841,846)는 각각 링크 유닛의 연결 부재(827)에 연결되는 연결핀(843,848)을 가질 수 있다. 링크 유닛은 링크 샤프트(822)와, 연결 부재(827)로 구성될 수 있다.
링크 샤프트(822)는 레버(820)에 결합되는 손잡이 결합부와, 지지 프레임(810)의 링크 샤프트 수용홈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축부(824)와, 제1축부(824)에서 편심되어 회전하는 제2축부(826)와, 제1축부(824)와 제2축부(826)를 연결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제빙 트레이(841)의 일 측에 아이스 걸림 방지 부재(880)가 마련될 수 있다. 아이스 걸림 방지 부재(880)는 제1제빙 트레이(84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별개로 마련되어 제1제빙 트레이(841)에 조립될 수도 있다.
아이스 걸림 방지 부재(880)는 제1제빙 트레이(841)가 회전하면 제1제빙 트레이(841)에서 낙하하는 얼음이 제2제빙 트레이(846)에 걸리지 않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아이스 걸림 방지 부재(880)는 실리콘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냉기 순환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냉기가 통과하는 슬릿(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아이스 걸림 방지 부재(880)는 상측의 제1제빙 트레이(841)가 아닌 하측의 제2제빙 트레이(848)에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빙 트레이(841)의 제1회전축(842)과, 제2제빙 트레이(846)의 제2회전축(847)은 동일 수직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1제빙 트레이(841)의 제1연결핀(843)은 제1회전축(842)의 전방에 위치되고, 제2제빙 트레이(846)의 제2연결핀(848)은 제2회전축(847)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820)를 F 방향으로 돌리면, 회전력이 링크 유닛을 통해 제1제빙 트레이(841)와 제2제빙 트레이(846)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제1제빙 트레이(841)는 R1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제빙 트레이(846)는 R2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1제빙 트레이(841)에 마련된 아이스 걸림 방지 부재(880)도 제1제빙 트레이(841)과 함께 회전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며, 제1제빙 트레이(841)에서 이빙되는 얼음이 제2제빙 트레이(846)에 걸리지 않고 아이스 버킷(860)으로 진입되도록 안내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제빙기(800)는 하나의 레버(820)로 상하로 배치된 복수의 제빙 트레이(841,846)를 함께 이빙시킬 수 있다.
또한, 레버(820)를 작동 시에 아이스 걸림 방지 부재(880)가 상측의 제1제빙 트레이(841)와 하측의 제2제빙 트레이(846)의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측의 제1제빙 트레이(841)에서 낙하하는 얼음이 하측의 제2제빙 트레이(846)에 걸리지 않고 아이스 버킷(860)으로 들어가도록 안내한다.
따라서,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빙 트레이를 갖는 제빙기의 전후 방향 폭을 슬림하게 설계할 수 있다.
도 35 및 도 36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구성 및 이빙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 및 도 3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전술한 제8실시예에서 상측의 제빙 트레이에서 낙하하는 얼음이 하측의 제빙 트레이에 걸리지 않도록 얼음을 안내하는 아이스 걸림 방지 부재(880)가 제1제빙 트레이(841)에 마련되나, 아이스 걸림 방지 부재(980)는 제빙 트레이(941,946)과 별개로 마련될 수 있다.
제빙기(900)는 물을 저수하고 저수된 물이 냉각되어 얼음이 생성되는 복수의 제빙 트레이(941,946)와, 제빙 트레이(941,946)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910)과, 복수의 제빙 트레이(941,946)에서 얼음을 이빙시키기 위해 수동 조작되는 레버(920)와, 레버(920)가 동작되면 복수의 제빙 트레이(941,946)에 각각 이빙력을 전달하도록 레버(920)와 복수의 제빙 트레이(941,946)를 연결하는 링크 유닛과, 제빙 트레이(941,946)에서 이빙되는 얼음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아이스 버킷(96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빙 트레이(941,946)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빙 트레이(941,946)는 2개가 마련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제빙 트레이(941,946)가 3개 이상 마련될 수도 있다.
제빙 트레이(941,946)는 물을 저수하는 복수의 제빙셀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의 제빙셀에서 얼음을 이빙시키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빙 트레이(941,946)는 회전축(942,947)을 가질 수 있다. 회전축(942,947)은 제빙 트레이(941,946)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빙 트레이(941,946)는 각각 링크 유닛의 연결 부재(927)에 연결되는 연결핀(943,948)을 가질 수 있다. 링크 유닛은 링크 샤프트(922)와, 연결 부재(927)로 구성될 수 있다.
링크 샤프트(922)는 레버(920)에 결합되는 손잡이 결합부와, 지지 프레임(910)의 링크 샤프트 수용홈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축부(924)와, 제1축부(924)에서 편심되어 회전하는 제2축부(926)와, 제1축부(924)와 제2축부(926)를 연결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제빙 트레이(941)과 제2제빙 트레이(946)의 사이에 아이스 걸림 방지 부재(980)가 마련될 수 있다. 아이스 걸림 방지 부재(980)는 초기에 대략 수평하게 위치되다가 레버(920)가 작동하면 연동하여 움직여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레버(920)와 아이스 걸림 방지 부재(980)의 연동 구조는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이스 걸림 방지 부재(980)는 실리콘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냉기 순환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냉기가 통과하는 슬릿(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빙 트레이(941)의 제1회전축(942)과, 제2제빙 트레이(946)의 제2회전축(947)은 동일 수직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1제빙 트레이(941)의 제1연결핀(943)은 제1회전축(942)의 전방에 위치되고, 제2제빙 트레이(946)의 제2연결핀(948)은 제2회전축(947)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920)를 F 방향으로 돌리면, 회전력이 링크 유닛을 통해 제1제빙 트레이(941)와 제2제빙 트레이(946)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제1제빙 트레이(941)는 R1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제빙 트레이(946)는 R2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1제빙 트레이(941)와 제2제빙 트레이(946)의 사이에 마련된 아이스 걸림 방지 부재(980)가 회전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며, 제1제빙 트레이(941)에서 이빙되는 얼음이 제2제빙 트레이(946)에 걸리지 않고 아이스 버킷(960)으로 진입되도록 안내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제빙기(900)는 하나의 레버(920)로 상하로 배치된 복수의 제빙 트레이(941,946)를 함께 이빙시킬 수 있다.
또한, 레버(920)를 작동 시에 아이스 걸림 방지 부재(980)가 상측의 제1제빙 트레이(941)와 하측의 제2제빙 트레이(946)의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측의 제1제빙 트레이(941)에서 낙하하는 얼음이 하측의 제2제빙 트레이(946)에 걸리지 않고 아이스 버킷(960)으로 들어가도록 안내한다.
따라서,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빙 트레이를 갖는 제빙기의 전후 방향 폭을 슬림하게 설계할 수 있다.
도 37 및 도 38은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구성 및 이빙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7 및 도 3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상측의 제빙 트레이와 하측의 제빙 트레이는 하나의 레버를 통해 연동하여 이빙되나, 상측의 제빙 트레이(1041)와 하측의 제빙 트레이(1046)는 상호 독립적으로 이빙될 수 있다.
상측의 제1제빙 트레이(1041)는 제1회전축(1042)과 이빙을 위한 제1 레버(1020a)를 갖고, 하측의 제2제빙 트레이(1046)은 제2회전축(1047)과 이빙을 위한 제2레버(1020b)를 가질 수 있다.
상측의 제1제빙 트레이(1041)의 제1회전축(1042)과 하측의 제2제빙 트레이(1046)의 회전축(1047)은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측의 제1제빙 트레이(1041)의 제1회전축(1042)은 지지 프레임(1010)의 병진 이동 안내홈(1014)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서, 제1제빙 트레이(1041)는 회전 이동과 함께 병진 이동할 수 있다.
제빙기(1000)는 상측의 제1제빙 트레이(1041)가 전방으로 병진 이동 시에 제1제빙 트레이(1041)에서 이빙되어 낙하하는 얼음을 아이스 버킷(1060)으로 안내하는 아이스 가이드 부재(10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이스 가이드 부재(1050)는 하단에 돌출되는 회전핀(1051)을 포함하고, 회전핀(1051)은 지지 프레임(10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아이스 가이드 부재(1050)는 초기에 닫혀 있다가, 제1제빙 트레이(1014)가 전방으로 병진 이동하면 제1제빙 트레이(1014)에 의해 가압되어 전방으로 열리면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제빙 트레이(1014)에서 낙하하는 얼음이 아이스 버킷(1060) 안으로 들어가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레버(1020a)를 작동 시에 제1제빙 트레이(1014)가 전방으로 병진 이동하게 되므로 제1제빙 트레이(1014)에서 낙하하는 얼음이 하측의 제2제빙 트레이(1046)에 걸리지 않고 아이스 버킷(1060)으로 들어갈 수 있다.
또한, 레버(1020a)를 작동 시에 아이스 가이드 부재(1050)가 전방으로 회전하여, 제1제빙 트레이(1041)에서 낙하하는 얼음은 아이스 가이드 부재(1050)에 의해 아이스 버킷(1060)으로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빙 트레이를 갖는 제빙기의 전후 방향 폭을 슬림하게 설계할 수 있다.
1 : 냉장고 10 : 본체
30 : 제빙기 31 : 지지 프레임
61 : 제1제빙 트레이 66 : 제2제빙 트레이
72 : 링크 샤프트 75 : 연결 부재
80 : 물 포켓 87 : 제1저수 공간
88 : 제2저수 공간 120 : 아이스 버킷
121 : 아이스 버킷 바디 122 : 배출구
123 : 얼음 저장부 124 : 얼음 배출 버튼 수용부
125 : 구획벽 126 : 제1배출구
128 : 제2배출구 131 : 탄성 걸림홈
140 : 얼음 배출 버튼 141 : 누름부
146 : 중공 148 : 탄성 걸림 돌기
149 : 연동부 149a : 연동 돌기
160 : 탄성 부재 170 : 떨림 부재
450 : 아이스 가이드 부재 880 : 아이스 걸림 방지 부재

Claims (38)

  1. 본체와, 도어와,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에 의해 형성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고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버킷을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버킷은,
    배출구를 갖는 아이스 버킷 바디;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아이스 버킷 바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수동으로 누름 가능하게 마련되는 얼음 배출 버튼; 및
    상기 얼음 배출 버튼에 누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버킷 바디는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 저장부와, 상기 얼음 배출 버튼을 안내하고 수용하는 얼음 배출 버튼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얼음 배출 버튼을 푸시하여 상기 얼음 배출 버튼이 상기 얼음 배출 버튼 수용부로 들어가면 상기 배출구가 닫히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얼음 배출 버튼이 상기 얼음 배출 버튼 수용부에서 나오면 상기 배출구가 열리는 냉장고.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버킷 바디는 상기 얼음 저장부와 상기 얼음 배출 버튼 수용부를 구획시키는 구획벽을 포함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얼음 저장부의 얼음을 상기 얼음 배출 버튼 수용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구획벽에 형성되는 제1배출구를 포함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배출 버튼은 얼음이 통과하도록 상기 제1배출구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1통과구를 포함하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얼음 배출 버튼 수용부의 얼음을 상기 아이스 버킷 바디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아이스 버킷 바디의 바닥에 형성되는 제2배출구를 포함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배출 버튼은 얼음이 통과하도록 상기 제2배출구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통과구를 포함하는 냉장고.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배출 버튼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버킷 바디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탄성 걸림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버킷 바디는 상기 탄성 걸림 돌기가 걸리도록 마련되는 탄성 걸림홈을 포함하는 냉장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배출 버튼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버킷 바디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회전 걸림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버킷 바디는 상기 얼음 배출 버튼을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 걸림 돌기가 걸리도록 마련되는 회전 걸림홈을 포함하는 냉장고.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버킷은 상기 얼음 배출 버튼에 연동하여 움직이는 떨림 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떨림 부재는 상기 아이스 버킷 바디에 결합되는 고정단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떨림 부재는 상기 고정단부의 반대 측에 상기 고정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가동단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단부는 상기 얼음 배출 버튼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도록 상기 얼음 배출 버튼에 접촉하는 경사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떨림 부재는 얼음을 지지하는 얼음 지지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6. 본체와, 도어와,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에 의해 형성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는 제빙기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지지 프레임;
    물을 저수하고, 저수된 물이 냉각되어 얼음이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빙 트레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빙 트레이에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수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에 제1위치로 장착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에 장착된 후에 제2위치로 회전하면 저수된 물이 쏟아지도록 마련되는 물 포켓; 및
    상기 물 포켓에서 쏟아지는 물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빙 트레이로 안내하는 급수 가이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물 포켓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상기 제1위치로 장착된 후에 수동 조작으로 상기 제2위치로 회전되는 냉장고.
  17. 삭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물 포켓이 장착되는 물 포켓 장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물 포켓이 상기 물 포켓 장착부에서 상기 제1위치로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물 포켓 지지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물 포켓은 회전핀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물 포켓의 회전핀이 수용되는 회전핀 수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물 포켓은 회전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물 포켓의 회전을 안내하도록 상기 물 포켓의 회전 돌기를 수용하는 회전 안내홈을 포함하는 냉장고.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물 포켓은 상기 물 포켓 장착부에 수평 방향으로 진입하여 장착되는 냉장고.
  23.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물 포켓의 측벽을 지지하는 측벽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 지지부에는 상기 물 포켓이 통과하는 물 포켓 통과구가 형성되고,
    상기 물 포켓 통과구는 상기 물 포켓이 상기 제1위치에서 기울어진 상태로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가이드부는 상기 물 포켓에서 쏟아지는 물을 받는 물받이부와, 상기 물받이부의 물을 상기 제빙 트레이로 안내하는 채널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5.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빙 트레이는 복수의 제빙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물 포켓은 상기 복수의 제빙 트레이 각각에 공급할 물을 저수하도록 복수의 저수 공간을 포함하는 냉장고.
  26.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물 포켓은 상기 복수의 저수 공간을 구획하는 중간벽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저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저수 공간에 물이 공급되면 나머지 저수 공간에도 물이 채워지도록 상기 중간벽과 상기 물 포켓의 후벽의 사이에 갭이 형성되는 냉장고.
  27. ◈청구항 2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가이드부는 상기 복수의 저수 공간에서 쏟아지는 물을 받는 복수의 물받이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 가이드부는 상기 복수의 물받이를 구획하는 구획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물 포켓은 상기 제2위치로 회전할 시에 상기 복수의 저수 공간의 물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상기 구획 리브가 삽입되는 구획 리브 삽입홈을 포함하는 냉장고.
  28. ◈청구항 2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물 포켓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상기 제1위치로 장착된 후에 스스로 상기 제2위치로 회전되는 냉장고.
  29. 본체와, 도어와,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에 의해 형성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는 제빙기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빙 트레이;
    상기 복수의 제빙 트레이의 얼음을 이빙시키기 위한 레버; 및
    상기 레버를 동작시키면 상기 복수의 제빙 트레이가 각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레버와 상기 복수의 제빙 트레이를 연결하는 링크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레버를 동작시키면 상기 복수의 제빙 트레이 중 적어도 하나의 제빙 트레이는 회전 이동과 함께 병진 이동하는 냉장고.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빙 트레이는 제1제빙 트레이와, 제2제빙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를 동작시키면 상기 제1제빙 트레이와 상기 제2제빙 트레이 중 어느 하나의 제빙 트레이가 상기 제빙기의 전방으로 병진 이동하는 냉장고.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빙 트레이는 제1제빙 트레이와, 제2제빙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를 동작시키면 상기 제1제빙 트레이와 상기 제2제빙 트레이 중 어느 하나의 제빙 트레이가 상기 제빙기의 전방으로 병진 이동하고, 나머지 하나의 제빙 트레이가 상기 제빙기의 후방으로 병진 이동하는 냉장고.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상기 제빙 트레이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빙 트레이의 회전축의 병진 이동을 안내하는 병진 이동 안내홈을 포함하는 냉장고.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유닛은,
    상기 레버가 결합되는 제1축부와, 상기 제1축부에서 편심된 제2축부를 갖는 링크 샤프트; 및
    상기 제2축부와 상기 복수의 제빙 트레이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 를 포함하는 냉장고.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상기 제빙 트레이에서 이빙되는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버킷과, 상기 제빙 트레이가 전방으로 병진 이동 시에 상기 제빙 트레이에서 낙하하는 얼음을 상기 아이스 버킷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제빙 트레이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아이스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35. 본체와, 도어와,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에 의해 형성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는 제빙기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빙 트레이;
    상기 복수의 제빙 트레이의 얼음을 이빙시키기 위한 레버;
    상기 레버를 동작시키면 상기 복수의 제빙 트레이가 각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레버와 상기 복수의 제빙 트레이를 연결하는 링크 유닛; 및
    상기 복수의 제빙 트레이 중 어느 하나의 제빙 트레이에서 이빙된 얼음이 다른 제빙 트레이에 걸리지 않도록 얼음을 안내하는 아이스 걸림 방지 부재; 를 포함하는 냉장고.
  36. ◈청구항 3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걸림 방지 부재는 상기 복수의 제빙 트레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냉장고.
  37. ◈청구항 3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걸림 방지 부재는 상기 복수의 제빙 트레이의 사이에 마련되는 냉장고.
  38. 본체와, 도어와,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에 의해 형성되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는 제빙기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이빙 시에 회전 이동과 함께 상기 제빙기의 전방으로 병진 이동하는 제빙 트레이;
    상기 제빙 트레이에서 이빙되는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버킷; 및
    상기 제빙 트레이에서 이빙되는 얼음을 상기 아이스 버킷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제빙 트레이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아이스 가이드 부재; 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50143155A 2015-10-14 2015-10-14 냉장고 KR102432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155A KR102432001B1 (ko) 2015-10-14 2015-10-14 냉장고
US15/291,526 US10365026B2 (en) 2015-10-14 2016-10-12 Refrigerator
EP16855724.7A EP3295099B1 (en) 2015-10-14 2016-10-13 Refrigerator
PCT/KR2016/011467 WO2017065507A1 (en) 2015-10-14 2016-10-13 Refrigerator
CN201680042309.4A CN107850365B (zh) 2015-10-14 2016-10-13 冰箱
AU2016339616A AU2016339616B2 (en) 2015-10-14 2016-10-13 Refrigerator
US16/448,558 US10794622B2 (en) 2015-10-14 2019-06-21 Refrigerator
US17/003,405 US11573040B2 (en) 2015-10-14 2020-08-26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155A KR102432001B1 (ko) 2015-10-14 2015-10-14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3735A KR20170043735A (ko) 2017-04-24
KR102432001B1 true KR102432001B1 (ko) 2022-08-16

Family

ID=58518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3155A KR102432001B1 (ko) 2015-10-14 2015-10-14 냉장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0365026B2 (ko)
EP (1) EP3295099B1 (ko)
KR (1) KR102432001B1 (ko)
CN (1) CN107850365B (ko)
AU (1) AU2016339616B2 (ko)
WO (1) WO20170655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2001B1 (ko) 2015-10-14 2022-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451448B1 (ko) 2015-12-04 2022-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90125123A (ko) * 2018-04-27 2019-11-06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제빙 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20200009354A (ko) * 2018-07-18 2020-01-30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제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00062738A (ko) * 2018-11-27 2020-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CN109579407B (zh) * 2018-11-28 2020-11-17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一种冰箱
JP7373186B2 (ja) * 2019-09-18 2023-11-02 アクア株式会社 製氷装置及び製氷装置を備えた冷蔵庫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5450B1 (ko) 1996-10-18 1999-06-15 윤종용 냉장고의 얼음 디스펜서
KR200359348Y1 (ko) * 2004-06-04 2004-08-16 (주)드림전자 급수용 단열박스
KR100728361B1 (ko) * 2006-09-18 2007-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장치
US20090205358A1 (en) * 2008-02-19 2009-08-20 Whirlpool Corporation Variable capacity ice storage assembly
KR101396973B1 (ko) 2007-07-06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2053A (en) * 1969-06-23 1971-03-23 Gen Electric Household refrigerator including through-the-door ice service
US3602007A (en) * 1969-10-16 1971-08-31 Gen Electric Refrigerator including through-the-door ice service
US3747810A (en) 1971-07-08 1973-07-24 Westinghouse Electric Corp Ice cube storage container and dispenser
US3747363A (en) * 1972-05-30 1973-07-24 Gen Electric Refrigerator including through-the-door ice service
CH555281A (fr) 1972-08-16 1974-10-31 Weltpat Anstalt Procede de mise en place automatique d'un element sur une piece mecanique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JPS5316686Y2 (ko) * 1973-05-30 1978-05-02
JPS5013269A (ko) 1973-06-09 1975-02-12
JPS5316687Y2 (ko) * 1973-06-14 1978-05-02
JPS5062754U (ko) * 1973-10-04 1975-06-07
JPS5062754A (ko) 1973-10-05 1975-05-28
US4209999A (en) * 1978-06-12 1980-07-01 General Electric Company Household refrigerator with through-the-door ice service
US4227383A (en) * 1979-05-04 1980-10-14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or including through-the-door ice service
US4306757A (en) * 1980-05-27 1981-12-22 General Electric Company Refrigerator including through-the-door ice service
JPH0734303Y2 (ja) * 1989-07-13 1995-08-02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貯氷ディスペンサーの氷放出装置
JP3441093B2 (ja) 1992-06-17 2003-08-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静油圧式無段変速機
US5860564A (en) * 1995-09-07 1999-01-19 Imi Cornelius Inc. Ice dispensing chute
JP3112450B2 (ja) * 1998-03-03 2000-11-27 三星電子株式会社 冷蔵庫のアイスディスペンサー
KR100510698B1 (ko) * 2003-09-17 2005-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장치용 디스펜서
KR100705182B1 (ko) * 2006-05-29 2007-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아이스 트레이 어셈블리
KR100714559B1 (ko) 2006-06-28 2007-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아이스 트레이 어셈블리
US8196419B2 (en) * 2006-09-20 2012-06-1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0719255B1 (ko) * 2006-09-25 2007-05-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제빙 장치
KR20080065435A (ko) * 2007-01-09 2008-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얼음안내장치
KR100869510B1 (ko) * 2007-01-18 200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797481B1 (ko) * 2007-01-18 2008-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0868347B1 (ko) 2007-02-12 2008-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1422005B1 (ko) * 2007-07-04 2014-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펜서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DE102007048574A1 (de) * 2007-10-10 2009-04-1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Eisspender
KR101212087B1 (ko) * 2007-12-06 2012-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8443619B2 (en) * 2008-01-16 2013-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ce making unit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090131744A (ko) 2008-06-19 2009-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 장치
KR20100054813A (ko) * 2008-09-08 2010-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US20100224279A1 (en) * 2009-03-09 2010-09-09 Chin-Wen Chou Dispensing method for ice makers
US9581382B2 (en) * 2009-06-22 2017-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Lever for dispens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406188B1 (ko) * 2009-07-20 2014-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장치 및 이를 갖춘 냉장고
KR20120043290A (ko) * 2010-10-26 2012-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10459B1 (ko) * 2011-01-19 2017-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디스펜서
KR20130078530A (ko) * 2011-12-30 201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907166B1 (ko) * 2011-12-30 2018-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370250B1 (ko) 2012-05-17 2014-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아이스 메이커
KR20140003792A (ko) 2012-06-28 2014-01-10 코웨이 주식회사 정량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제빙기
PL3063480T3 (pl) * 2013-11-01 2019-09-30 Arçelik Anonim Sirketi Urządzenie do wytwarzania lodu z ulepszonym urządzeniem do uzupełniania wody i wyposażona w nie lodówka
KR101696850B1 (ko) * 2015-06-17 2017-01-16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아이스버킷 록킹장치를 갖는 냉장고 및 아이스버킷 록킹장치의 설치 방법
KR102432001B1 (ko) * 2015-10-14 2022-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5450B1 (ko) 1996-10-18 1999-06-15 윤종용 냉장고의 얼음 디스펜서
KR200359348Y1 (ko) * 2004-06-04 2004-08-16 (주)드림전자 급수용 단열박스
KR100728361B1 (ko) * 2006-09-18 2007-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1396973B1 (ko) 2007-07-06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20090205358A1 (en) * 2008-02-19 2009-08-20 Whirlpool Corporation Variable capacity ice storag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95099A1 (en) 2018-03-21
US10794622B2 (en) 2020-10-06
US20170108258A1 (en) 2017-04-20
WO2017065507A1 (en) 2017-04-20
US11573040B2 (en) 2023-02-07
CN107850365A (zh) 2018-03-27
US20190310006A1 (en) 2019-10-10
KR20170043735A (ko) 2017-04-24
AU2016339616A1 (en) 2018-01-04
EP3295099B1 (en) 2021-01-06
US10365026B2 (en) 2019-07-30
US20200393183A1 (en) 2020-12-17
EP3295099A4 (en) 2018-06-27
AU2016339616B2 (en) 2019-08-15
CN107850365B (zh) 202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2001B1 (ko) 냉장고
US10775087B2 (en) Ice-making tray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EP3062048B1 (en) Refrigerator
KR101406187B1 (ko) 제빙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101997259B1 (ko) 냉장고
KR101957793B1 (ko) 냉장고
US8733122B2 (en) Refrigerator having drawer
KR101612861B1 (ko)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1410754B1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30029924A (ko) 냉장고
KR20110072506A (ko) 냉장고
KR20100020897A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00113193A (ko) 냉장고
KR101596502B1 (ko) 냉장고
JP2007120853A (ja) 自動製氷機を備えた貯蔵庫
KR101691226B1 (ko) 냉장고
KR102202704B1 (ko) 냉장고용 제빙기
US11808510B2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532248B1 (ko) 냉장고
KR20150060642A (ko)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1595399B1 (ko) 제빙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20110072436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