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1744A - 냉장고의 제빙 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제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1744A
KR20090131744A KR1020080057651A KR20080057651A KR20090131744A KR 20090131744 A KR20090131744 A KR 20090131744A KR 1020080057651 A KR1020080057651 A KR 1020080057651A KR 20080057651 A KR20080057651 A KR 20080057651A KR 20090131744 A KR20090131744 A KR 20090131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tray
water
refrigerator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7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7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31744A/ko
Publication of KR20090131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17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 제빙 장치, 물튀김

Description

냉장고의 제빙 장치{An ice-maker device f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의 저온 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로써, 보관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서 음식물을 냉동 또는 냉장 보관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장고의 내부는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서 냉각되며, 상기 냉기는 압축-응축-팽창-증발의 과정을 거치는 냉동 사이클(Cycle)에 의한 냉매의 열 교환 작용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의 내부로 공급된 냉기는 대류에 의해서 냉장고 내부에 고르게 전달되어 냉장고 내부의 음식물을 원하는 온도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냉장고 본체는 전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이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냉장실과 냉동실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냉장실 도어와 냉동실 도어가 구비된다.
그리고, 냉장고 내부의 저장 공간에는 다양한 음식물들을 최적의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서랍과 선반 및 수납박스 등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도어들의 배면에는 바스켓이 다수 제공 된다. 상기와 같은 선반, 수납박스 및 바스켓 등에 의해 상기 냉장고 내부의 저장 공간이 구획되어 적합한 음식물들의 저장이 가능하게 된다.
최근에 출시되는 냉장고에는, 사용자가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펜서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펜서 장치에는, 취출되는 물이 저장되는 물 탱크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냉장실 도어 또는 상기 냉장고 도어의 배면에는 물이 공급되어 얼음이 제조되도록 하는 제빙 장치가 제공되어, 사용자가 상기 디스펜서를 통해 얼음을 바로 취출할 수 있다.
상기 제빙 장치 내에는, 아이스트레이가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아이스트레이에서는 상기 물 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고, 냉기를 공급받아 얼음이 생성된다. 그리고, 제빙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아이스트레이가 상하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복수 개가 제공되기도 한다. 이처럼 상기 아이스트레이가 복수 개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상기 물 탱크로부터 복수 개의 아이스트레이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이 별도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트레이의 회전 동작 등으로 상기 아이스트레이로부터 얼음이 이빙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아이스트레이가 상하로 제공되는 경우, 급수관에서 물이 낙하하는 위치 또는 급수관을 통과하는 물의 수압 변동 또는 물이 공급되는 도중의 도어의 개폐 동작으로 인한 흔들림 등에 의하여 하부 아이스트레이의 외부로 물이 튀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상기 아이스트레이에 제공된 얼음이 뭉치게 되어 양질의 얼음을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아이스트레이 외부로 튄 물에 냉기가 공급되면, 상기 제빙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결빙을 일으키게 되므로 오작동과 고장의 원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급수관으로부터 아이스트레이로 제공되는 물이 상기 아이스트레이 외부로 튀지 않는 냉장고의 제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빙 장치 구성 요소들의 결빙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냉장고의 제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별도의 구성의 추가 없이 상기 아이스트레이에서의 물 튀김이 방지되는 냉장고의 제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 장치에는 냉장고 도어의 이면에 제공되는 제빙용 물 탱크, 상기 물 탱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급수관, 상기 물 급수관의 하측에 제공되고, 얼음 생성을 위한 제빙 홈이 적어도 2 열 이상 제공되는 아이스트레이 및 상기 아이스트레이의 하측에 제공되어 상기 아이스트레이에서 생성된 얼음이 낙하하여 저장되는 아이스뱅크가 포함되고, 상기 급수관의 단부는 인접하는 상기 제빙 홈의 경계 영역의 직상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 장치에 의하면 급수관으로부터 아이스트레이에 공급되는 물이 상기 아이스트레이 외부로 튀기지 않는 장 점이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의 제빙 장치가 구성 요소의 결빙 문제 없이 안정적으로 작동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구성의 추가 없이 상기 아이스트레이에서의 물 튀김이 방지되므로 제조 원가의 증가를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 장치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냉동실 도어(1)의 이면에는 얼음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제빙 장치(10)가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제빙 장치(10)에는 물을 저장하는 물 탱크(100)와, 상기 물 탱크(100)의 하측에 구비되어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실(200)과, 상기 제빙실(200)의 하측에 구비되어 얼음을 보관하는 아이스뱅크(300) 등이 포함된다.
더 상세히, 사각박스 형상의 제빙 케이스(11)가 제빙 장치(10)의 개략적인 외관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빙 케이스(11)의 중앙부에는 얼음이 생성되는 제빙실(200)이 형성된다. 상기 제빙실(200)에는 복수 개의 아이스트레이(230, 240)가 포함되는데, 상기 아이스트레이(230, 24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상기 물 탱크(100)가 상기 제빙실(200)의 상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200)의 하측 에는 상기 제빙실(200)에서 생성된 얼음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아이스뱅크(30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빙 장치(10)는 상기 냉동실 도어 뿐만 아니라 냉장실 도어 또는 냉장고 본체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제빙 장치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냉장고의 제빙 장치를 포함한 도어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아이스트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빙실(200)은 상방과 하방이 개구된 사각박스 형상의 트레이케이스(201)에 의해 감싸여져 있으며, 상기 트레이케이스(201)의 후면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부에서 상기 제빙실(200) 내부를 관찰하면서 이빙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케이스(201)의 후면에는 냉기의 유동 통로가 되는 냉기 관통구(202)가 상하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냉기 관통구(202)는 제빙 효율을 높이기 상기 아이스트레이(230, 240)의 측방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200) 내부에는 상기 아이스트레이(230, 240)가 상하로 제공된다. 상세히, 상반부에 제공되는 아이스트레이를 상부 아이스트레이(230), 하반부에 제공되는 아이스트레이를 하부 아이스트레이(240)라고 칭한다.
더 상세히, 상기 아이스트레이(230, 240)는 상하로 이격 설치됨과 동시에 전후로도 서로 일정거리 어긋나게 배치된다. 즉, 상기 상부 아이스트레이(230)는 상기 제빙실(200) 내부의 후방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부 아이스트레 이(240)는 상기 제빙실(200) 내부의 전방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상기 아이스트레이(230, 240)들은 서로 간섭되지 않고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아이스트레이(24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조가 제공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물 탱크(100) 내부에는 저장된 물을 상기 아이스트레이(230, 240)로 제공하기 위한 물 공급부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물 공급부에는 상기 물 탱크(100) 내부에는 저장되는 물이 선택적으로 하측으로 낙하하도록 제어하는 개폐레버(11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레버(110)는 상기 물 탱크(100)의 저면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물 공급구(1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물 탱크(100) 내부의 물이 선택적으로 하방으로 낙하하여 상기 제빙실(200)로 유입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물 공급부에는 간섭레버(1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간섭레버(130)는 단부가 상기 개폐레버(110)의 일단과 간섭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물 탱크(100)가 장착된 경우에는 상기 간섭레버(130)의 단부가 상기 개폐레버(110)를 위로 밀어올리게 되어, 상기 물 공급구(120)는 개방된다.
한편,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물 탱크(100) 내부는 좌우로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하나의 공간(예로 좌측 공간)에는 상기 상부 아이스트레이(230)에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고, 다른 하나의 공간(예로 우측 공간)에는 상기 하부 아이스트레이(240)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 각각의 공간에는 각각의 물 공급구(120) 및 개폐레버(1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200)의 최상부에는 상기 하부 아이스트레이(240)로 물 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물 탱크(100)로부터 낙하하는 물을 받는 물 접시(210)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물 접시(210)의 저면에는 상기 하부 아이스트레이로 물을 안내하는 급수관(220)이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물 접시(210)는 접시 모양의 그릇과 같이 형성되어 상기 물 공급구(12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물 탱크(100)의 물을 모집하게 되고, 이러한 물 접시(210)에 의해 모집된 물이 상기 급수관(220)을 따라 상기 하부 아이스트레이(240)로 안내된다. 상기 급수관(220)은 상기 하부 아이스트레이(24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제빙실(200) 내부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물 탱크(100)의 좌측 공간의 물은 상기 상부 아이스트레이(230)로 바로 낙하하게 되고, 우측 공간의 물은 상기 물 접시(210) 및 급수관(220)을 통해 상기 하부 아이스트레이(240)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물 탱크(100)의 좌측 공간과 우측 공간의 크기는 상기 상부 아이스트레이(230)와 하부 아이스트레이(240)의 내부 공간의 크기와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물 탱크(100)의 좌우측 공간의 물이 모두 상기 아이스트레이(230, 240)로 공급되면, 상기 아이스트레이(230, 240)의 내부 공간은 모두 물에 의해 충만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케이스(201)의 우측면에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기어케이스(400)가 제공된다. 상기 기어케이스(400)의 후면에는 레버 가이드홈(450)이 형성된다. 상기 레버 가이드홈(450)은 이빙레버(440)가 삽입되어 유동되는 부분이다.
상세히, 상기 기어케이스(400)의 내부에는 다수의 트레이기어(410, 420, 430)가 설치된다. 상기 트레이기어(410, 420, 430)는 외주면에 기어이(齒)가 형성된 기어(gear,齒車)이다. 상기 트레이기어(410, 420, 430) 중 일부는 상기 아이스트레이(230, 240)와 동일 회전축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아이스트레이(230, 240)의 일측에는 상기 트레이기어(410, 43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245)가 제공되고, 상기 연결부(240)는 상기 기어케이스(400)를 관통하여 상기 트레이기어(410, 430)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기어(410, 430)의 회전력이 상기 아이스트레이(230, 240)에 전달되게 된다.
더 상세히, 상기 트레이기어(410, 420, 430)는 상기 상부 아이스트레이(230)의 우측에 결합 설치되는 상기어(410)와, 상기 하부 아이스트레이(240)의 우측에 결합 설치되는 하기어(43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연결기어(420)는 상기 상기어(410)와 하기어(4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기어(430)의 회전력을 상기 상기어(41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기어(420)는 상기 상기어(410) 및 하기어(430)와 마찬가지로 외주면에 기어이(齒)가 형성된 기어(gear,齒車)이다. 즉, 상기 상기어(410)와 하기어(312) 및 연결기어(420)의 외주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기어이(齒)가 형성되어 서로 치차(齒車)결합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하기어(43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상기어(410)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빙레버(440)는 상기 아이스트레이(230, 240)에서 얼음을 이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빙레버(440)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트레이케이스(201)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세히, 상기 이빙레버(440)는 우측단은 상 기 하기어(430)의 우측면에 고정되고, 좌측단은 상기 트레이케이스(201)의 좌측면에 연결되어 회전 운동한다. 즉, 상기 이빙레버(440)가 하방으로 회전하면, 상기 하기어(430) 및 상기 상기어(410)는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이빙레버(440)가 상방으로 회전하면, 상기 하기어(430) 및 상기 상기어(410)는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아이스트레이(224)에는 물이 고여진 후 결빙되는 공간인 다수의 제빙 홈(243)과 상기 제빙 홈(243)을 구획하는 경계 영역인 트레이 리브(244)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빙 홈(243)은 각 홈에 고인 물을 결빙시켜 소정 크기의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는 정육면체에 가까운 얼음 덩어리가 형성되도록 사각 홈의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트레이(230, 240)의 상기 기어케이스(400) 반대 측면에는 회전축(241)이 제공되어, 상기 트레이케이스(201)의 좌측면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41)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아이스트레이(230, 240)의 회전 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돌출부(242)가 제공된다. 상기 돌출부(242)는 상기 트레이케이스(201)에 천공 형성된 회전 가이드(203, 204)에 삽입되어, 상기 아이스트레이(230, 240)가 정해진 궤적에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빙레버(440)가 하방으로 회전되면 상기 트레이기어(410, 420, 430)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아이스트레이(230, 240)도 상기 회전 가이드(203, 204)를 따라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트레이케이스(201)의 좌측 내면에는 상기 아이스트레이(230, 240)의 회전 궤적과 일정 부분 겹치도록 스토퍼(205, 206)가 돌출 형성 된다. 따라서, 상기 이빙레버(440)의 하방 회전에 의한 상기 아이스트레이(230, 240)의 회전이 종료되기 직전에는 상기 아이스트레이(230, 240)의 상기 트레이기어(410, 430)와 결합된 측은 계속 회전하려고 하고, 그 타측은 상기 스토퍼(205, 206)에 의해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아이스트레이(230, 240)에는 비틀림 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비틀림 모멘트에 의해 상기 아이스트레이(230, 240)는 찌그러지게 되므로 상기 제빙 홈(243)에 들어있는 얼음은 이빙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급수관(220)의 토출구(221)는 상기 하부 아이스트레이(240)의 내부로 물이 낙하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토출구(221)는 상기 하부 아이스트레이(240)의 중앙의 트레이 리브(244)로 물이 낙하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토출구(221)는, 파선으로 표시한 것(222)과 같은 종래의 구조보다 더 상기 하부 아이스트레이(240)의 중심 쪽으로 치우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물이 상기 급수관(220)으로부터 상기 하부 아이스트레이(240)로 낙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물 튀김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히, 움푹 패어진 상기 제빙 홈(243)보다 상기 트레이 리브(244)가 더 높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급수관(220)으로부터의 낙하하는 물의 낙하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낙하하는 물이 상기 하부 아이스트레이(240)에 부딪힐 때의 속도가 더 작게 되므로, 충격량 또한 작아져서 물이 튀기는 양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상기 트레이 리브(244)는 상기 제빙 홈(243)보다 상대적으로 날카롭게 제공되므로 낙하하는 물과의 접촉 면적이 적어 물의 튀김이 적게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아이스트레이(240)의 중앙부의 트레이 리브로 물이 낙하하므로, 물의 튀김이 다소 발생하더라도 상기 하부 아이스트레이(240)의 측면 모서리까지의 거리가 확보되어 상기 하부 아이스트레이(240)의 외부로 물이 유출되지 않는다.
아울러, 상기 하부 아이스트레이(240)로 급수 과정 중 상기 냉동실 도어(1)의 회동 등에 의해 물의 낙하 방향이 흔들리더라도, 물의 낙하 지점인 상기 트레이 리브(244)로부터 상기 하부 하이스트레이(240)의 측면 모서리까지 거리가 충분히 길므로 상기 하부 아이스트레이(240)의 외부로 물이 유출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아이스트레이(240)로 물이 공급되는 과정에 있어서의 튀김의 우려가 없으므로 상기 제빙 장치(10)는 구성 요소의 결빙 문제 없이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구성의 추가 없이 상기 급수관(220)의 낙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하부 아이스트레이(240)에서의 물 튀김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 장치에서는 복수개의 아이스트레이가 제공되며 상기 아이스트레이가 상하로 제공되는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급수관의 위치를 개선하여 아이스트레이의 중앙으로 물을 낙하시킴으로써 물 튀김을 방지한다는 발명의 사상은 다른 구성의 제빙 장치에서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즉,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실시예의 변경, 추가, 삭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 장치가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제빙 장치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투시도.
도 3은 도 1의 냉장고의 제빙 장치를 포함한 도어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의 아이스트레이의 평면도.

Claims (3)

  1. 냉장고 도어의 이면에 제공되는 제빙용 물 탱크;
    상기 물 탱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급수관;
    상기 물 급수관의 하측에 제공되고, 얼음 생성을 위한 제빙 홈이 적어도 2 열 이상 제공되는 아이스트레이; 및
    상기 아이스트레이의 하측에 제공되어, 상기 아이스트레이에서 생성된 얼음이 낙하하여 저장되는 아이스뱅크가 포함되고,
    상기 급수관의 단부는 인접하는 상기 제빙 홈의 경계 영역의 직상방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트레이는 상하로 한 쌍이 제공되는 냉장고의 제빙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은 하측에 제공되는 상기 아이스트레이 쪽으로 연장되는 냉장고의 제빙 장치.
KR1020080057651A 2008-06-19 2008-06-19 냉장고의 제빙 장치 KR200901317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651A KR20090131744A (ko) 2008-06-19 2008-06-19 냉장고의 제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651A KR20090131744A (ko) 2008-06-19 2008-06-19 냉장고의 제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744A true KR20090131744A (ko) 2009-12-30

Family

ID=41690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7651A KR20090131744A (ko) 2008-06-19 2008-06-19 냉장고의 제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317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5026B2 (en) 2015-10-14 2019-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65026B2 (en) 2015-10-14 2019-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0794622B2 (en) 2015-10-14 2020-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11573040B2 (en) 2015-10-14 2023-0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4576B1 (ko) 냉장고 제빙수단
KR101713327B1 (ko) 냉장고
KR20100092168A (ko) 제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10111794A (ko) 냉장고
CN107850365B (zh) 冰箱
KR20120082990A (ko) 제빙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US20110185759A1 (en) Water funnel and ice maker for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437173B1 (ko) 냉장고
KR20100020897A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090075911A (ko) 냉장고
US11598566B2 (en) Revolving ice maker
KR100690702B1 (ko) 빌트인 타입 냉장고의 냉기 토출장치
US9915460B2 (en) Ice tray for ice-making device and method of making ice
KR100783236B1 (ko) 냉장고용 아이스 트레이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90103807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1721760B1 (ko) 아이스메이커 및 이를 포함한 냉장고
KR20090043971A (ko) 제빙장치
US9377235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090131744A (ko) 냉장고의 제빙 장치
KR101871713B1 (ko) 제빙 트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080006235U (ko)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0728361B1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KR20100113205A (ko) 냉장고
KR20120072764A (ko) 제빙기가 장착된 냉장고
KR101573540B1 (ko) 냉장고의 아이스 버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