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448B1 - 제빙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제빙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448B1
KR102451448B1 KR1020150172559A KR20150172559A KR102451448B1 KR 102451448 B1 KR102451448 B1 KR 102451448B1 KR 1020150172559 A KR1020150172559 A KR 1020150172559A KR 20150172559 A KR20150172559 A KR 20150172559A KR 102451448 B1 KR102451448 B1 KR 102451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frame
water tank
tray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2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6035A (ko
Inventor
홍창우
박경기
육민섭
김병수
이현일
전상운
윤세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2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448B1/ko
Priority to EP16200257.0A priority patent/EP3182040B1/en
Priority to CN201611101626.7A priority patent/CN106839552B/zh
Priority to US15/368,537 priority patent/US10508851B2/en
Publication of KR20170066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6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8Producing ice by immersing freezing chambers, cylindrical bodies or plates into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5Ice bins therefor with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2Bas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6Multiple ice moulds or tray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제빙 어셈블리가 저장공간 내에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트레이를 분리하지 않고 트레이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수조, 트레이, 아이스 바스켓이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냉장고의 저장공간에 구비되어 얼음을 형성하는 제빙 어셈블리는, 얼음을 형성하는 제빙유닛 및 상기 제빙유닛에서 형성된 얼음이 저장되는 바스켓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빙유닛은, 냉장고에 장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얼음을 형성하는 공간이 구비되는 트레이 및 상기 프레임에 틸팅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트레이에 물을 공급하는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가 일방향으로 틸팅되면 상기 수조에 저수된 물이 상기 트레이로 공급된다.

Description

제빙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구조가 개선된 제빙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증발기에서 생성되는 냉기를 냉동실과 냉장실로 공급하여 각종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가전제품이다. 냉동실에는 결빙온도 이하로 유지되어야 하는 식품, 예컨대 고기류나 생선류, 빙과류 등을 저장하고, 냉장실에는 결빙온도 이하로 유지되어야 하는 식품, 예컨대 야채류나 과일, 음료수 등을 저장하게 된다.
냉동실에는 얼음을 만들 수 있는 제빙 어셈블리가 구비될 수 있다. 제빙 어셈블리는 물이 공급되는 트레이, 트레이로부터 얼음을 분리시키는 취출장치 및 트레이로부터 분리된 얼음이 보관되는 아이스 바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취출장치는 트레이를 트위스트시키는 방식으로 트레이로부터 얼음을 분리할 수 있다. 아이스 바스켓은 트레이의 하부에 위치되어, 트레이로부터 분리된 얼음이 낙하하여 수용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제빙 어셈블리가 냉동실 내부의 선반에 장착되도록 구비되었다. 사용자는 트레이를 분리하여 트레이에 물을 직접 공급한 후 트레이를 냉동실 내부의 선반에 장착시켰다. 트레이에 공급된 물이 얼음이 되면 취출장치를 이용하여 얼음을 트레이로부터 분리하고, 분리된 얼음은 트레이 하부에 위치된 아이스 바스켓에 저장되었다.
이와 같이, 제빙 어셈블리가 냉동실 내부의 선반에 장착되는 경우, 냉동실 내부의 많은 공간을 제빙 어셈블리가 차지하게 되어 공간 활용이 비효율적이었다. 또한 사용자가 트레이를 직접 분리하여 물을 공급하여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하였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공간 내에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빙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이를 분리하지 않고 트레이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제빙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조, 트레이, 아이스 바스켓이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제빙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는, 냉장고의 저장공간에 구비되어 얼음을 형성하는 제빙 어셈블리는, 얼음을 형성하는 제빙유닛 및 상기 제빙유닛에서 형성된 얼음이 저장되는 바스켓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빙유닛은, 냉장고에 장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얼음을 형성하는 공간이 구비되는 트레이; 및 상기 프레임에 틸팅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트레이에 물을 공급하는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가 일방향으로 틸팅되면 상기 수조에 저수된 물이 상기 트레이로 공급된다.
상기 수조는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수조는 일체로 형성된 회전돌기를 중심으로 틸팅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수조의 측면에는 상기 수조의 틸팅 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장착가이드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가이드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제1수용부 및 상기 수조의 측면에 구비되는 회전돌기가 삽입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수용부의 일측 및 상기 제2수용부의 일측은 개방되어, 상기 제1수용부, 상기 제2수용부에 각각 수용되는 상기 가이드돌기 및 상기 회전돌기가 상기 제1수용부, 상기 제2수용부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회전돌기가 상기 제2수용부 내에서 회전 운동을 하면,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수용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수용부에는, 상기 수조가 일방향으로 틸팅되어 개방될 때, 상기 가이드돌기를 간섭하여 상기 수조가 일방향으로 틸팅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부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안착되어 이동하는 안착부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수용부에는, 상기 수조가 타방향으로 틸팅되어 닫힐 때, 상기 가이드돌기를 간섭하여 상기 수조가 임의로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안착가이드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가이드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안착되어 이동하는 안착부의 일부가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마련된다.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트레이와 연결되고 틸팅가능한 레버가 구비된다.
상기 레버가 틸팅되면 상기 트레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바스켓 유닛은,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바스켓을 포함한다.
상기 바스켓은 상기 프레임에 틸팅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바스켓의 측면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장착가이드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가이드의 일측은 개방되어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돌기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장착가이드에는 간섭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돌기에는 상기 간섭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바스켓이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일방향으로 틸팅되면, 상기 걸림부에 상기 간섭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바스켓이 틸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이 타방향으로 틸팅되면, 상기 간섭돌기의 일측은 상기 장착가이드에 구비되는 회전제한부에 의해 간섭되어, 상기 바스켓이 임의로 일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얼음을 형성하는 제빙유닛; 및 상기 도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빙유닛에서 형성된 얼음을 보관하는 바스켓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빙유닛은, 얼음이 형성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트레이 및 틸팅되어 상기 트레이로 물을 공급하는 수조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장착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장착돌기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빙유닛의 측면 및 상기 바스켓유닛의 측면에는 각각 상기 장착돌기에 의해 간섭되는 간섭부가 구비된다.
상기 제빙유닛과 상기 바스켓유닛의 장착 위치는, 상기 도어에서 상하 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제빙유닛은 상기 도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수조 및 상기 트레이는 상기 프레임에 틸팅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트레이와 연결되는 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레버가 틸팅되면 상기 트레이가 함께 틸팅된다.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트레이의 일측의 회전을 간섭하는 스토퍼가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수조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는 물이 유출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로 유입된 물이 상기 홀을 향해 흐를 수 있도록 상기 바닥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의하면, 제빙 어셈블리의 설치위치가 가변되도록 구비되어 냉동실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를 분리하지 않고 트레이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사용상 편리하다.
또한, 수조, 트레이, 아이스 바스켓이 분리가능하게 구비되어 세척이 용이하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에 제빙 어셈블리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유닛의 일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유닛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유닛의 장착가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유닛에 장착되는 수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의 가이드돌기가 장착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유닛의 레버가 틸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와 트레이의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가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 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이 틸팅된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과 프레임의 측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 유닛의 프레임에 구비되는 가이드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에 구비되는 틸팅가이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 및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가이드가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 유닛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의 트레이가 회전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유닛에 구비되는 수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유닛에 구비되는 프레임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유닛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식품저장공간이 마련되고, 적어도 일측이 개구가 형성된 본체(10) 및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11,12,13,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1,12,13,14)에는 도어(11,12,13,14)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손잡이(111,121,131,141)가 구비될 수 있다. 도어(11,12,13,14)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식 도어일 수 있다. 도어(11,12,13,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내부에 음식물을 저장할 수 있는 바스켓과 연결된 서랍식 도어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어(11,12,13,14)가 회전식 도어로 구비되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체(10)의 내부에는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격벽(15)이 구비될 수 있다. 격벽(15)에 의해 본체(10)의 내부 공간이 구획되어 어느 하나의 공간은 냉장실이 되고 다른 하나는 냉동실이 될 수 있다. 일례로 격벽(15)에 의해 마련되는 상부 저장공간(110,120)은 냉장실이 될 수 있고, 하부 저장공간(130,140)은 냉동실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부 저장공간(110,120)이 냉장실로 구비되고, 하부 저장공간(130,140)이 냉동실로 구비되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부 저장공간(110,120)은 제1도어(11) 및 제2도어(1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부 저장공간(110,120)은 제1도어(11)에 의해 개폐되는 제1상부 저장공간(110) 및 제2도어(12)에 의해 개폐되는 제2상부 저장공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상부 저장공간(110)과 제2상부 저장공간(120)은 연결된 하나의 공간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저장공간(110,120)의 일부는 측벽(113)에 의해 제1상부 저장공간(110)과 제2상부 저장공간(120)이 분리될 수 있다. 측벽(113)과 상부 저장공간(110,120)의 내측면을 이용하여 선반(112,122)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선반(112,122)의 위치는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부 저장공간(110,120)에는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는 바스켓(115,125)이 구비될 수도 있다.
제1도어(11) 및 제2도어(12)의 내측면에는 음시물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바스켓(114,124)이 장착될 수 있다. 바스켓(114,124)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바스켓(114,124)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하부 저장공간(130,140)은 격벽(16)에 의해 구획되는 제1하부 저장공간(130) 및 제2하부 저장공간(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하부 저장공간(130)은 제3도어(13)에 의해 개폐되고, 제2하부 저장공간(140)은 제4도어(14)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제1하부 저장공간(130)과 제2하부 저장공간(140)에는 각각 선반(132,142)이 구비되어 선반(132,142) 위에 음식물을 위치시킬 수 있다. 제1하부 저장공간(130), 제2하부 저장공간(140)에는 바스켓(133,143)이 구비되어 바스켓(133,143) 내부에 음식물 등을 저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제3도어(13), 제4도어(14)의 내측면에는 음식물 등을 수납할 수 있는 바스켓(134,144)이 장착될 수 있다. 바스켓(134,144)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바스켓(134,144)은 그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3도어(13) 또는 제4도어(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는 제빙 어셈블리(2)가 장착될 수 있다. 일례로 제빙 어셈블리(2)는 제4도어(14)의 내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4도어(14)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바스켓(144)들과 유사하게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제빙 어셈블리(2)는 그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빙 어셈블리(2)가 제4도어(14)에 장착되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에 제빙 어셈블리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4도어(14)에는 제빙 어셈블리(2)가 장착될 수 있다. 제빙 어셈블리(2)는 제빙유닛(3) 및 바스켓 유닛(4)을 포함할 수 있다. 제빙유닛(3)에서는 얼음이 형성될 수 있다. 바스켓 유닛(4)은 제빙유닛(3)에서 형성된 얼음이 저장될 수 있다. 바스켓 유닛(4)은 제빙유닛(3)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4도어(14)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장착돌기(145)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장착돌기(145)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제빙 어셈블리(2)는 측면에 구비되는 간섭부(317,402:도 4, 도 16 참조)가 장착돌기(145)에 의해 간섭됨으로써 제4도어(14)의 내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4도어(14)에 장착되는 바스켓(144)의 측면에도 간섭부가 구비되고 간섭부가 장착돌기(145)에 의해 간섭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빙 어셈블리(2)의 간섭부(317,402)가 장착돌기(145)로부터 간섭된 상태를 해제시킴으로써 제빙 어셈블리(2)를 제4도어(14)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빙 어셈블리(2)를 분리하여 제4도어(14)의 상부에 위치한 장착돌기(145)에 장착시키거나 하부에 위치한 장착돌기(145)에 장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편의에 따라 제빙 어셈블리(2)의 장착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때, 제빙유닛(3)에 의해 형성된 얼음이 낙하하여 바스켓 유닛(4)에 저장될 수 있도록 바스켓 유닛(4)은 제빙유닛(3)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유닛(3)은 물이 공급되어 얼음이 형성되는 트레이(30), 트레이(30)가 장착되는 프레임(31,32) 및 트레이(30)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수조(3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1,32)은 제4도어(14)에 장착되는 제1프레임(31), 제1프레임(31)의 전방에 장착되는 제2프레임(32)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30)는 제1프레임(31)에 장착될 수 있다. 수조(33)는 제2프레임(32)에 틸팅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트레이(30) 및 수조(33)는 각각 제1프레임(31) 및 제2프레임(32)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1프레임(31) 또는 제2프레임(32) 중 어느 하나에는 레버(3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레버(34)는 제2프레임(32)에 장착될 수 있다. 레버(34)는 연결부(35)를 통해 트레이(30)와 연결될 수 있다. 레버(34)를 틸팅가능하게 구비되고, 사용자는 레버(34)를 틸팅시켜 트레이(30)의 얼음을 분리시킬 수 있다. 트레이(30)로부터 분리된 얼음은 제빙유닛(3)의 하부에 위치된 바스켓 유닛(4)으로 낙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제1프레임(31)의 일측에는 제4도어(14)의 장착돌기(145)에 의해 간섭될 수 있는 간섭부(317)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간섭부(317)가 장착돌기(145)에 의해 간섭됨으로써 제빙유닛(3)이 제4도어(14)에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간섭부(317)가 장착돌기(145)에 의해 간섭된 상태를 해제시킴으로서 제빙유닛(3)을 제4도어(14)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제1프레임(31)에는 수조(33)의 물이 유입되는 공간인 수용부(310)가 구비될 수 있다. 수조(33)에 물이 공급되고, 수조(33)가 틸팅되면 수조(33) 내에 수용된 물은 수용부(310)로 유입될 수 있다.
수용부(310)를 형성하는 제1프레임(31)의 바닥면(311)에는 홀(312)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310)로 공급된 물은 홀(312)을 통해 유출되어 트레이(30)로 공급될 수 있다. 수용부(310)로 공급된 물은 홀(312)을 통해 유출되어 수용부(310)의 하부에 위치한 트레이(30)로 유입될 수 있다.
제1프레임(31)의 바닥면(311)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바닥면(311)에서 가장 낮은 위치에 홀(312)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310)로 공급된 물은 경사진 바닥면(311)에 의해 안내되어 홀(312)을 통해 유출될 수 있다.
바닥면(311)의 하부에는 트레이(30)가 수용될 수 있는 트레이 수용공간(313)이 마련될 수 있다. 트레이 수용공간(313)을 형성하는 제1프레임(331)의 측면에는 트레이(3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315)가 구비될 수 있다. 장착부(315)에는 트레이(30)의 일측에 구비되는 회전축(301a)이 장착될 수 있다. 장착부(315)는 트레이(30)의 일측에 구비되는 회전축(301a)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홀 또는 홈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트레이(30)의 타측에 구비되는 회전축(301)은 레버(34)와 연결되는 연결부(35)에 장착될 수 있다.
제1프레임(331)의 측면에는 트레이(30)의 일측에 구비되는 간섭돌기(302)를 간섭하도록 구비되는 스토퍼(315)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315)는 단차진 형상으로 구비되어 트레이(30)의 일측이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간섭할 수 있다.
제1프레임(331)에는 제2프레임(32)이 장착되도록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체결부(316)가 구비될 수 있다.
제2프레임(32)의 전방에는 수조(33)가 장착되어 수조(33) 내의 물이 수용부(31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1개구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개구부(320)를 형성하는 제2프레임(32)의 측면에는 수조(33)가 틸팅가능하도록 가이드돌기(332)를 안내하는 장착가이드(323)가 구비될 수 있다. 장착가이드(323)의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한다. 수조(33)는 제2프레임(32)에 틸팅가능하게 장착되고, 필요한 경우 제2프레임(32)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
제2프레임(32)의 일측에는 레버(34)가 장착될 수 있다. 레버(34)와 제2프레임(32)의 전방면이 동일한 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제2프레임(32)에는 레버(34)가 수용될 수 있는 레버 수용부(321)가 구비될 수 있다.
제2프레임(32)에는 트레이(30)를 인출입시킬 수 있는 제2개구부(322)가 구비될 수 있다. 제2개구부(322)는 제1개구부(32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수조(33)는 제2프레임(32)에 틸팅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수조(33)의 측면에는 제2프레임(32)에 구비되는 장착가이드(323)의 일측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돌기(333) 및 장착가이드(323)에 의해 안내되는 가이드돌기(33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332)가 장착가이드(323)를 따라 이동함으로서 수조(33)가 안정적으로 틸팅될 수 있다. 회전돌기(333) 및 장착가이드(323)는 수조(33)와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수조(33)는 제2프레임(32)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수조(33)를 제2프레임(32)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조(33)의 세척 등이 필요한 경우, 수조(33)를 제빙유닛(3)으로부터 분리하여 세척 등을 할 수 있다.
수조(33)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잡고 수조(33)를 용이하게 틸팅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부(331)가 구비될 수 있다.
트레이(30)에는 물이 수용되어 제빙이 되는 공간인 제빙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트레이(30)의 측면에는 회전축(310)이 구비될 수 있다. 회전축(310)은 트레이(30)의 측면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3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회전축(310)은 제1프레임(31)의 장착부(31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트레이(30)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회전축(310)은 레버(34) 측과 연결될 수 있다. 회전축(310)은 연결부(35)에 의해 레버(34)와 연결될 수 있다. 레버(34) 및 연결부(35)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트레이(30)의 측면에는 스토퍼(315)에 의해 간섭될 수 있는 간섭돌기(302)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간섭돌기(302)는 트레이(30)의 일측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30)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회전축(310)에는 레버(34)가 연결되고, 사용자에 의해 레버(34)가 틸팅되면 트레이(30)는 회전할 수 있다. 트레이(30)가 소정 각도 회전한 후, 트레이(30)의 일측은 간섭돌기(302)가 스토퍼(315)에 의해 간섭되어 회전이 제한되지만, 트레이(30)의 타측은 레버(34)에 의해 트레이(30)의 일측보다 더 회전되어 트레이(30)가 뒤틀려질 수 있다. 트레이(30)가 뒤틀려짐으로써 제빙부(300)에 수용된 얼음이 제빙부(3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트레이(30)로부터 분리된 얼음은 낙하하여 트레이(30)의 하부에 위치된 바스켓 유닛(4)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트레이(30)의 회전축(301,301a) 간섭돌기(302)는 트레이(30)와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트레이(30)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회전축(301)은 연결부(35)를 통해 레버(34)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레버(34)를 틸팅시켜 트레이(30)를 회전축(301)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연결부(35)는 하우징(350,351) 및 하우징(350,351) 내에 위치되는 기어부(352,353)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부(352,353)는, 레버(34)와 연결되는 제1기어(352) 및 트레이(30)의 회전축(301)과 연결되는 제2기어(3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기어(353)는 제1기어(352)와 치합될 수 있다.
레버(34)가 틸팅되면 제1기어(352)는 레버(34)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1기어(352)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기어(353)는 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기어(353)가 회전하면, 제2기어(353)에 장착된 트레이(301)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트레이(30)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회전축(301)은 제2기어(353)에 구비되는 회전축 삽입홀(353a)에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트레이(3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회전축(301a)은 제1프레임(31)에 구비되는 장착부(314)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트레이(30)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회전축(301)은 회전축 삽입홀(353a)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트레이(30)를 제빙유닛(3)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30)의 세척 등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트레이(30)를 제빙유닛(3)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세척 등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트레이(30)를 제빙유닛(3)으로부터 분리하여 제2프레임(32)에 형성되는 제2개구부(322)를 통해 제2프레임(32)의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조(33) 및 트레이(30)가 제빙유닛(3)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제빙유닛(3)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제2프레임(32)에 형성되는 제2개구부(322)에는 커버(36)가 장착될 수 있다. 커버(36)는 제2개구부(322)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어, 커버(36)는 힌지축(360)을 중심으로 틸팅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커버(36)를 개방하여 제2개구부(322)를 통해 트레이(30)를 제1프레임(31)에 장착시키거나 제1프레임(3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유닛의 일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유닛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유닛(3)에 구비되는 수조(33)는 틸팅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조(33)를 통해 트레이(3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수조(33)는 회전돌기(333)를 중심으로 틸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평상시에는 수조(33)에 의해 제1프레임(31)에 형성되는 수용부(310)가 닫혀 있을 수 있다. 트레이(30)에 물을 공급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자는 수조(33)를 틸팅시켜 수용부(31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수조(33)에는 트레이(30)에 적정량의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표시선(미도시)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수조(33)를 일방향 수조(33)의 표시선에 이르도록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수조(33)에 적당량의 물이 공급된 후, 수조(33)는 타방향(B)으로 틸팅될 수 있다. 수조(33)가 타방향(B)으로 틸팅되면 수조(33)의 물이 수용부(310)로 유입되고, 바닥면(311)에 형성된 홀(312)을 통해 유출될 수 있다. 홀(312)을 통해 유출된 물은 트레이(30)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제빙유닛(3)에 구비되는 수조(33)를 통해 트레이(30)로 적정량의 물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유닛의 장착가이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유닛에 장착되는 수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 및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의 가이드돌기가 장착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프레임(32)에는 수조(33)가 틸팅가능하고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2프레임(32)에는 수조(33)에 구비되는 회전돌기(333)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가이드돌기(332)의 이동을 안내하는 장착가이드(323)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332)가 장착가이드(323)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수조(33)가 안정적으로 틸팅될 수 있다.
장착가이드(323)는 절곡된 리브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장착가이드(323)는 가이드돌기(332)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제1수용부(324) 및 회전돌기(333)가 삽입되는 제2수용부(3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수용부(324) 및 제2수용부(325)는 일측이 개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개방된 일측을 통해 가이드돌기(332) 및 회전돌기(333)가 제1수용부(324) 및 제2수용부(325)로 출입할 수 있다. 이로써 수조(33)가 제2프레임(32)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2수용부(325)에 삽입된 회전돌기(333)는 제자리에서 회전만 가능하고 직선이동을 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수용부(324)는 회전돌기(333)를 중심으로 수조(33)가 회전할 때, 가이드돌기(332)의 이동 경로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수용부(324)는 제2수용부(325)보다 긴 경로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수용부(324), 제2수용부(325)는 하나의 연속된 리브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장착가이드(323)에서, 제1수용부(324)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가이드돌기(332)가 안착되는 부분을 안착가이드(327)라고 할 때, 제1수용부(324)의 입구(328) 측에 위치된 안착가이드(327)에는 하부로 오목하게 절곡된 제1안착부(326)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안착부(326)에 위치되는 안착가이드(327)는 입구(328) 측에 위치된 걸림부(326a)에 의해 간섭되어 제1수용부(324)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수조(33)가 일방향(A)으로 틸팅되어 개방되면, 가이드돌기(332)는 제1안착부(326)에 위치되고, 걸림부(326a)에 의해 간섭되어 수조(33)가 틸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수조(33)가 타방향(B)으로 틸팅되어 닫히면, 가이드돌기(332)는 제1수용부(324)의 안쪽에 위치된 제2안착부(329)에 위치될 수 있다. 제2안착부(329)는 안착가이드(327)가 하부로 오목하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조(33)가 타방향(B)으로 틸팅되면, 가이드돌기(332)는 안착가이드(327)를 따라 이동하고, 가이드돌기(332)가 제2안착부(329)에 위치되면 제2안착부(329)에 이르기 직전의 상부로 볼록한 형상의 안착가이드(327a)에 의해 가이드돌기(332)가 제2안착부(329)로부터 임의로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돌기(332)가 제1안착부(326)로부터 임의로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외력이 없는 한, 수조(33)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2프레임(32)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3332)가 제2안착부(329)로부터 임의로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외력이 없는한 수조(33)가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조(33)의 틸팅가능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수조(33)와 제2프레임(32) 이외에 추가적인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추가 부품의 생산에 따른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추가 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조(33)가 제빙유닛(3)에 틸팅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트레이(3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추가적인 구성을 연결하거나 트레이(30)를 분리할 필요가 없이 적정량의 물을 트레이(30)에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수조(33)가 제2프레임(32)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므로, 분리하여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로서 수조(33)가 위생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유닛의 레버가 틸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와 트레이의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가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유닛(3)에는 트레이(30)와 연결되어 트레이(30)를 회전시키는 레버(34)가 구비될 수 있다. 레버(34)는 제2프레임(32)에 틸팅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트레이(30)로부터 얼음을 분리할 때 사용자는 레버(34)를 일방향으로 틸팅시킬 수 있다. 레버(34)가 일방향으로 틸팅되면 트레이(30)가 회전할 수 있다. 트레이(30)는 소정 각도 회전한 후, 뒤틀려짐으로써 트레이(30) 내의 얼음이 트레이(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트레이(30)의 일측면(30a)에는 회전돌기(301a) 및 회전돌기(301a)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된 간섭돌기(302)가 구비될 수 있다. 트레이(30)가 소정 각도 회전하면, 간섭돌기(302)는 제1프레임(31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스토퍼(315)에 의해 간섭될 수 있다.
트레이(30)의 타측면(30a)에는 회전돌기(301)가 구비될 수 있다. 트레이(30)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회전돌기(301)는 레버(34)와 기어연결될 수 있다. 레버(34)는 제1기어(352)에 연결되고, 회전돌기(301)는 제1기어(352)에 치합되는 제2기어(353)에 연결될 수 있다. 레버(34)가 틸팅되면, 제1기어(352), 제2기어(353), 회전돌기(301)를 통해 회전력이 전달되어 트레이(30)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레버(34)와 트레이(30)가 기어연결되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레버(34)와 트레이(30)의 연결 구조는 상기 기재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레버(34)가 일방향으로 틸팅되면, 트레이(30)는 타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트레이(30)가 타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면, 트레이(3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간섭돌기(302)는 스토퍼(315)에 의해 간섭될 수 있다. 간섭돌기(302)가 스토퍼(315)에 의해 간섭되면 트레이(30)의 일측은 회전을 멈추고, 레버(34)가 일방향으로 더 틸팅되면 트레이(30)의 타측은 타방향으로 더 회전할 수 있다. 트레이(30)의 일측과 타측의 회전 각도가 상이함에 따라, 트레이(30)의 형상은 뒤틀리고 트레이(30)에 수용된 얼음은 트레이(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트레이(30)는, 회전돌기(301,301a)를 제2기어(353), 장착부(314)로부터 분리하여 제1프레임(3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트레이(30)의 세척이 필요할 때, 사용자는 트레이(30)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어 트레이(30)를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트레이(30)로부터 분리된 얼음은 낙하하여 제빙유닛(3)의 하부에 위치된 바스켓 유닛(4)에 수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바스켓 유닛(4)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 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이 틸팅된 모습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1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과 프레임의 측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 유닛(4)은 제4도어(14)에 장착되는 프레임(40) 및 프레임(40)에 장착되는 바스켓(41)을 포함할 수 있다. 바스켓(41)에는 제빙유닛(3)에서 제빙된 얼음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인 저장부(410)가 마련될 수 있다. 바스켓(41)은 프레임(40)에 장착되어 틸팅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바스켓(41)을 틸팅시켜 바스켓(41) 내부에 저장된 얼음을 취출할 수 있다.
프레임(40)은 제4도어(14)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하부 저장공간(140:도 2참조)의 공간활용도를 고려하여 바스켓 유닛(4)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즉, 바스켓 유닛(4)이 제4도어(14)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제4도어(14)의 내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된 복수의 장착돌기(145)가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40)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장착돌기(145)에 의해 간섭될 수 있는 간섭부(402)가 구비될 수 있다. 간섭부(402)는 프레임(40)의 측면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간섭부(402)가 장착돌기(145)에 의해 간섭되도록 하여 프레임(40)을 제4도어(14)의 내측면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간섭부(402)와 장착돌기(145)의 간섭상태를 해제시켜 프레임(40)을 제4도어(14)의 내측면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프레임(40)은 바스켓(41)의 일부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프레임(40)은 바스켓(41)의 배면, 적어도 일부 측면, 적어도 일부 바닥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40)은, 배면, 측면, 바닥면에 의해 바스켓(41)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인 수용부(400)가 마련될 수 있다. 바스켓(41)이 수용부(400)에 수용됨으로써 바스켓(41)은 프레임(4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제4도어(14)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바스켓(41)은 프레임(4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바스켓(41)은 프레임(40)에 장착된 상태에서 틸팅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바스켓(41)에는 가이드돌기(411)가 형성되고, 프레임(40)에는 가이드돌기(411)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장착가이드(401)가 구비될 수 있다. 장착가이드(401)는 바스켓(41)과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111)는 프레임(40)과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바스켓(41)과 프레임(40)이 틸팅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 유닛의 프레임에 구비되는 가이드부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에 구비되는 틸팅가이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2 및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가이드가 가이드부에 의해 안내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41)에는 가이드돌기(411)가 돌출형성되고, 프레임(40)에는 가이드돌기(411)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장착가이드(401)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411)가 출입하는 장착가이드(401)의 입구(407)는 개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장착가이드(401)의 입구(407)이 개방되도록 구비됨으로써 가이드돌기(411)가 장착가이드(401)에 삽입되거나 장착가이드(401)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바스켓(41)이 프레임(40)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바스켓(41)은 틸팅된 상태로 프레임(40)에 장착되고, 틸팅된 상태에서 프레임(4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411)는 대략 직선으로 연장된 연결부(415)를 중심으로 일측 단부에는 제1가이드부(413)가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는 제2가이드부(414)가 구비될 수 있다. 제1가이드부(413) 및 제2가이드부(414)의 직경(D1)은 연결부(415의 너비(D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부(413) 측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걸림부(416)가 구비될 수 있다.
장착가이드(401)는, 제1가이드부(413)가 위치될 수 있는 제1가이드 수용부(403), 제2가이드부(414)가 위치될 수 있는 제2가이드 수용부(404)를 포함할 수 있다.
바스켓(41)이 틸팅된 상태에서, 프레임(40)에 장착될 때, 제2가이드부(414)는 제2가이드 수용부(404)에 위치될 수 있다. 연결부(415)는 장착가이드(401)의 하측에 구비되는 직선부(405)에 안착될 수 있다.
장착가이드(401)에는 걸림부(416)에 삽입될 수 있는 간섭돌기(408)가 구비될 수 있다. 간섭돌기(408)는 장착가이드(401)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바스켓(41)이 틸팅된 상태에서 걸림부(416)에는 간섭돌기(408)가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부(416)가 간섭돌기(408)에 의해 간섭되도록 구비됨으로써, 바스켓(41)이 소정 각도 틸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가이드돌기(411)가 장착가이드(401)로부터 쉽게 빠져나오지 않을 수 있다.
일방향으로 틸팅된 바스켓(41)을 타방향으로 틸팅시키면, 장착가이드(411)는 제2가이드부(414)를 중심으로 타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가이드부(413)는 제1가이드 수용부(403)에 위치될 수 있다. 제1가이드부(413)는 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방으로 볼록한 회전제한부(406)를 통과할 수 있다. 회전제한부(406)는 하부로 볼록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1가이드 수용부(403)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전제한부(406)는 텐션을 갖도록 구비되어 외력에 의해 제1가이드부(403)는 회전제한부(406)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제1가이드부(413)가 제1가이드 수용부(403)에 위치되면 회전제한부(406)에 의해 간섭되어 외력이 없는 한 제1가이드부(413)는 제1가이드 수용부(403)에 위치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로써 바스켓(41)이 닫히면 외력이 없는 한 바스켓(41)이 임의로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바스켓(41)을 틸팅시켜 얼음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바스켓(41)이 틸팅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하기 위해 바스켓(41), 프레임(40) 이외의 구성을 추가로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추가적은 구성에 대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필요한 부품의 조립 공정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생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바스켓(41)은 프레임(40)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므로,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바스켓(41)을 프레임(4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하여 세척 등을 할 수 있다. 이로써 바스켓(41)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2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 유닛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 유닛(5)은 프레임(50) 및 바스켓(51)을 포함할 수 있다. 바스켓(51)은 서랍 방식으로 인출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바스켓(51)에는 제빙유닛(3)에서 제빙된 얼음이 저장되는 공간인 저장부(51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제빙유닛은, 도 4 내지 도 15에 도시된 제빙유닛(3)과 동일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프레임(50)에는 바스켓(51)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500)가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50)의 외측면에는 냉장고 도어에 돌출형성된 장착돌기에 의해 간섭될 수 있는 간섭부가 구비될 수 있다. 간섭부가 장착돌기에 의해 간섭됨으로써 프레임(50)이 냉장고 도어에 장착될 수 있다.
프레임(50)의 내측면에는 바스켓(51)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부(501)가 구비될 수 있다. 레일부(501)는 프레임(50)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스켓(51)의 외측면에는 레일부(501)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부(511)가 구비될 수 있다. 바스켓(51)의 외측면에는 레일부(501)를 따라 부드럽게 슬라이딩하도록 롤러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의 트레이가 회전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스켓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 어셈블리(6)는 얼음을 만드는 제빙유닛(7) 및 제빙유닛(7)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저장되는 바스켓 유닛(8)을 포함할 수 있다.
제빙유닛(7)에는 얼음이 형성되는 트레이(72,73)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트레이(72,73)는 제1트레이(72) 및 제1트레이(72)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2트레이(73)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72,73)는 제빙유닛(7)에 구비되는 프레임(7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트레이(72,73)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빙유닛(7)에 복수의 트레이(72,73)가 구비됨으로써 단위 시간당 더 많은 양의 얼음을 만들 수 있다.
제빙유닛(7)에는 틸팅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74)가 구비되고, 레버(74)에 의해 트레이(72,73)가 회전할 수 있다. 트레이(72,73)가 소정 각도 회전한 후 레버(74)가 더 틸팅되면, 트레이(72,73)는 형상이 뒤틀려져 트레이(72,73)에서 형성된 얼음이 분리될 수 있다. 트레이(72,73)의 형상이 뒤틀리게 하는 구성은 도 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내용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트레이(72,73)로부터 분리된 얼음은 낙하하여 제빙유닛(7)의 하부에 위치된 바스켓 유닛(8)에 저장될 수 있다. 바스켓 유닛(8)에는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81)가 구비될 수 있다. 레버(81)를 회전시키면 바스켓 유닛(8)의 내부에 형성된 저장부(80)에 저장된 얼음이 취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레버(81)를 회전시켜 원하는 양의 얼음을 취출할 수 있다. 일례로 많은 양의 얼음을 취출하고자 할 경우, 적은 양의 얼음을 취출할 때보다 레버(81)를 더 많은 횟수로 회전시킬수 있다.
레버(81)에는 복수의 블레이드(811)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811)는 저장부(8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811)는 레버(81)의 중심으로부터 연장된 중심부(미도시)를 중심으로 외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인접하는 블레이드(811) 사이에 마련된 수용부(810)에는 일정량의 얼음이 수용될 수 있다. 레버(81)를 회전시키면 수용부(810)에 수용된 얼음이 취출구(801)를 통해 빠져나올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양의 얼음이 취출될 때까지 레버(8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도구 없이 레버(81)를 이용하여 얼음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또한 손으로 직접 취출하지 않아도 되므로 위생적이다.
수용부(810)에 얼음이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저장부(80)의 바닥면(800)은 수용부(810) 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72,73)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된 얼음은 경사진 바닥면(800)을 따라 이동하여 수용부(81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수용부(810)에는 적정량의 얼음이 수용되어 사용자가 레버(81)를 회전시키는 정도에 따라 소정의 얼음이 취출될 수 있다.
트레이(30)의 상부에는 트레이(30)로 물을 공급하는 수조(71)가 위치될 수 있다. 수조(71)는 프레임(7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수조(71)에 저수된 물이 복수의 트레이(72,73)에 공급되는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2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유닛에 구비되는 수조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유닛에 구비되는 프레임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유닛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유닛(7)에는 복수의 트레이(72,73)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수조(71)가 구비될 수 있다. 수조(71)는 트레이(72,73)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수조(71)는 프레임(7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수조(71)에는 손잡이부(710)가 구비되어 사용자는 손잡이부(710)를 잡고 수조(71)를 용이하게 장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수조(71)에는 복수의 유출구(711,712)가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70)에는 복수의 유출구(711,712)의 위치에 대응되는 복수의 유입구(701,702)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수조(71)에는 제1유출구(711) 및 제1유출구(711)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제2유출구(712)가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70)에는, 제1유출구(711)에 대응되는 제1유입구(701) 및 제2유출구(712)에 대응되는 제2유입구(702)가 구비될 수 있다.
수조(71)가 프레임(70)에 장착되면, 제1유출구(711)와 제1유입구(701)는 연통되고, 제2유출구(712)와 제2유입구(702)는 연통될 수 있다.
프레임(70)의 내부에는 제1유입구(701)로부터 연장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유입구(701)로부터 연장된 유로는 제1트레이(72)의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트레이(72)의 상부에는 프레임(70)으로부터 연장된 유로와 연결되는 유로가이드(703)가 위치될 수 있다. 유로가이드(703)의 저면에는 유출구(703a)가 형성되고, 유출구(703a)를 통해 제1트레이(72)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프레임(70)의 내부에는 제2유입구(702)로부터 연장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유입구(702)로부터 연장된 유로는 제2트레이(73)의 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2트레이(73)의 상부에는 프레임(70)으로부터 연장된 유로와 연결되는 유로가이드(704)가 위치될 수 있다. 유로가이드(704)의 저면에는 유출구(704a)가 형성되고, 유출구(704a)를 통해 제2트레이(72)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70) 내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수조(71)에 저수된 물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트레이(72,73)에 공급될 수 있다.
1: 냉장고 2: 제빙 어셈블리
3: 제빙유닛 4: 바스켓 유닛
10: 본체 14: 제4도어
30: 트레이 31: 제1프레임
40: 프레임 41: 바스켓
32: 제2프레임 33: 수조
34: 레버 35: 연결부
145: 장착돌기 300: 제빙부
301a: 회전축 302: 간섭돌기
310: 수용부 311: 바닥면
312: 홀 314: 장착부
315: 스토퍼 317: 간섭부
323: 장착가이드 332: 가이드돌기
333: 회전돌기 352: 제1기어
353: 제2기어 401: 장착가이드
402: 간섭부 411: 가이드돌기

Claims (30)

  1. 냉장고의 저장공간에 구비되어 얼음을 형성하는 제빙 어셈블리는, 얼음을 형성하는 제빙유닛 및 상기 제빙유닛에서 형성된 얼음이 저장되는 바스켓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빙유닛은,
    냉장고에 장착되고 장착 가이드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고, 얼음을 형성하는 공간이 구비되는 트레이; 및
    상기 프레임에 틸팅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트레이에 물을 공급하는 수조로서 상기 장착 가이드에 삽입되어 상기 수조의 회전축으로 구성되는 회전돌기를 포함하는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가 제1방향으로 틸팅되면 상기 수조에 저수된 물이 상기 트레이로 공급되고,
    상기 수조가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틸팅되면 상기 수조는 물을 공급받도록 개방되는 제빙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제빙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돌기는 상기 수조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수조가 상기 회전돌기를 중심으로 틸팅가능하게 구비되는 제빙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측면에는 상기 수조의 틸팅 동작을 안내하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되는 제빙 어셈블리.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가이드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빙 어셈블리.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가이드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제1수용부 및 상기 수조의 측면에 구비되는 회전돌기가 삽입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는 제빙 어셈블리.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의 일측 및 상기 제2수용부의 일측은 개방되어, 상기 제1수용부, 상기 제2수용부에 각각 수용되는 상기 가이드돌기 및 상기 회전돌기가 상기 제1수용부, 상기 제2수용부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빙 어셈블리.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돌기가 상기 제2수용부 내에서 회전 운동을 하면,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제1수용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제빙 어셈블리.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에는, 상기 수조가 상기 제2방향으로 틸팅되어 개방될 때, 상기 가이드돌기를 간섭하여 상기 수조가 일방향으로 틸팅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걸림부가 구비되는 제빙 어셈블리.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안착되어 이동하는 안착부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빙 어셈블리.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에는, 상기 수조가 상기 제1방향으로 틸팅되어 닫힐 때, 상기 가이드돌기를 간섭하여 상기 수조가 임의로 개방되지 않도록 하는 안착가이드가 구비되는 제빙 어셈블리.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가이드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안착되어 이동하는 안착부의 일부가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마련되는 제빙 어셈블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트레이와 연결되고 틸팅가능한 레버가 구비되는 제빙 어셈블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가 틸팅되면 상기 트레이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빙 어셈블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제1프레임이고,
    상기 바스켓 유닛은, 제2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바스켓을 포함하는 제빙 어셈블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상기 제2프레임에 틸팅가능하게 장착되는 제빙 어셈블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가이드는 제1장착가이드이고,
    상기 바스켓의 측면에는 가이드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제2장착가이드가 구비되는 제빙 어셈블리.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착가이드의 일측은 개방되어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제2장착가이드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빙 어셈블리.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장착가이드에는 간섭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돌기에는 상기 간섭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부가 구비되고, 상기 바스켓이 상기 제2프레임에 장착되어 일방향으로 틸팅되면, 상기 걸림부에 상기 간섭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바스켓이 틸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제빙 어셈블리.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이 타방향으로 틸팅되면, 상기 간섭돌기의 일측은 상기 제2장착가이드에 구비되는 회전제한부에 의해 간섭되어, 상기 바스켓이 임의로 일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는 제빙 어셈블리.
  21.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얼음을 형성하는 제빙유닛; 및
    상기 도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빙유닛에서 형성된 얼음을 보관하는 바스켓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빙유닛은, 장착 가이드를 포함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되어 얼음이 형성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트레이 및 상기 프레임에 틸팅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트레이로 물을 공급하는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는 상기 장착가이드에 삽입되는 회전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조가 상기 회전돌기를 중심으로 제1방향으로 틸팅되면 상기 수조에 저수된 물이 상기 트레이로 공급되고, 상기 수조가 상기 제1방향과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틸팅되면 상기 수조는 물을 공급받도록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개방되는 냉장고.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장착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장착돌기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냉장고.
  23.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유닛의 측면 및 상기 바스켓유닛의 측면에는 각각 상기 장착돌기에 의해 간섭되는 간섭부가 구비되는 냉장고.
  24.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유닛과 상기 바스켓유닛의 장착 위치는, 상기 도어에서 상하 방향으로 가변될 수 있게 구비되는 냉장고.
  25.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도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프레임에 틸팅가능하게 장착되는 냉장고.
  26.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트레이와 연결되는 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레버가 틸팅되면 상기 트레이가 함께 틸팅되는 냉장고.
  27. ◈청구항 2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트레이의 일측의 회전을 간섭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냉장고.
  28. ◈청구항 2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수조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29. ◈청구항 2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바닥면에는 물이 유출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되는 냉장고.
  30. ◈청구항 3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로 유입된 물이 상기 홀을 향해 흐를 수 있도록 상기 바닥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냉장고.
KR1020150172559A 2015-12-04 2015-12-04 제빙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451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559A KR102451448B1 (ko) 2015-12-04 2015-12-04 제빙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EP16200257.0A EP3182040B1 (en) 2015-12-04 2016-11-23 Refrigerator having an ice maker assembly
CN201611101626.7A CN106839552B (zh) 2015-12-04 2016-12-02 制冰机组件和具有该制冰机组件的冰箱
US15/368,537 US10508851B2 (en) 2015-12-04 2016-12-02 Ice maker assembly with tilted water tank for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559A KR102451448B1 (ko) 2015-12-04 2015-12-04 제빙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035A KR20170066035A (ko) 2017-06-14
KR102451448B1 true KR102451448B1 (ko) 2022-10-07

Family

ID=57391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559A KR102451448B1 (ko) 2015-12-04 2015-12-04 제빙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08851B2 (ko)
EP (1) EP3182040B1 (ko)
KR (1) KR102451448B1 (ko)
CN (1) CN1068395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14507B2 (en) * 2017-06-06 2021-02-09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bin
KR20200139043A (ko) * 2019-06-03 2020-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CN113108544B (zh) * 2021-04-19 2022-09-06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精确制冰沙装置及控制方法
EP4246062A1 (de) * 2022-03-14 2023-09-20 Liebherr-Hausgeräte Marica EOOD Eisbereiter und ein kühl- und/oder gefriergerät und verfahren zum montieren eines eisbereite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2667A1 (en) * 2013-11-01 2015-05-07 Arcelik Anonim Sirketi Ice making apparatus with improved water replenishment facility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4204A (en) * 1958-03-31 1961-08-01 Erling B Archer Automatic ice making apparatus
US3411554A (en) * 1965-09-27 1968-11-19 Kelvinator Inc Refrigerator tray filling device
US4265089A (en) * 1980-02-11 1981-05-05 General Electric Company Ice making apparatus and method
JPH09264645A (ja) * 1996-03-28 1997-10-07 Toshiba Corp 自動製氷装置
US6112540A (en) * 1998-04-07 2000-09-05 Varity Automotive, Inc. Ice maker
BR0303842B1 (pt) * 2003-09-16 2013-12-17 Sistema de abastecimento de formas de gelo em aparelhos de refrigeração
MXPA04003411A (es) * 2004-04-07 2005-10-11 Mabe De Mexico S De R L De C V Dispositivo para la fabricacion de hielos en gabinetes refrigerados.
KR20060071641A (ko) * 2004-12-22 2006-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얼음취출장치
KR100714559B1 (ko) * 2006-06-28 2007-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아이스 트레이 어셈블리
KR20090080305A (ko) 2008-01-21 2009-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 저장장치 및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
JP5484187B2 (ja) * 2009-09-24 2014-05-0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製氷装置
JP2011122750A (ja) 2009-12-09 2011-06-23 Panasonic Corp 製氷装置および冷却貯蔵装置
KR101761739B1 (ko) * 2010-04-21 2017-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용 수납서랍을 구비한 냉장고
DE102011006858A1 (de) * 2011-04-06 2012-10-1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Eisstückbereitersystem und Kältegerät mit einem solchen Eisstückbereitersystem
CN102538359B (zh) * 2012-02-29 2014-03-12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一种冰箱
US9599385B2 (en) 2012-12-13 2017-03-21 Whirlpool Corporation Weirless ice tray
JP6118191B2 (ja) 2013-06-21 2017-04-19 シャープ株式会社 製氷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冷蔵庫
KR102432001B1 (ko) 2015-10-14 2022-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2667A1 (en) * 2013-11-01 2015-05-07 Arcelik Anonim Sirketi Ice making apparatus with improved water replenishment facility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839552A (zh) 2017-06-13
US20170159986A1 (en) 2017-06-08
EP3182040A1 (en) 2017-06-21
US10508851B2 (en) 2019-12-17
CN106839552B (zh) 2020-08-11
EP3182040B1 (en) 2023-03-22
KR20170066035A (ko) 201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6731B2 (en) Refrigerator
EP3690362B1 (en) Refrigerator
EP2381195B1 (en) Refrigerator having drawer
EP2623906B1 (en) Refrigerator
US9222722B2 (en) Refrigerator and water tank assembly for refrigerator
KR102451448B1 (ko) 제빙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8800315B2 (en) Refrigerator
US8161767B2 (en) Ice making apparatus of refrigerator
US20110283734A1 (en) Refrigerator
KR101997259B1 (ko) 냉장고
KR101713227B1 (ko) 냉장고
KR20080025237A (ko) 냉장고 제빙수단
US20220065517A1 (en) Refrigerator
KR20070059486A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0688657B1 (ko) 착탈식 수납코너가 구비된 냉장고
KR101225974B1 (ko) 냉장고용 물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1871713B1 (ko) 제빙 트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00001250A (ko) 냉장고의 서랍 장착 구조
US11493251B2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120086634A (ko) 냉장고용 직립식 슬라이딩 도어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101742828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아이스 메이커 어셈블리
KR20200057559A (ko) 아이스 메이커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090079044A (ko) 냉장고
KR20090007326U (ko) 냉장고
KR20050080683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