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1981B1 - 압축기 또는 상기 압축기가 적용된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압축기 또는 상기 압축기가 적용된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1981B1
KR102431981B1 KR1020200006012A KR20200006012A KR102431981B1 KR 102431981 B1 KR102431981 B1 KR 102431981B1 KR 1020200006012 A KR1020200006012 A KR 1020200006012A KR 20200006012 A KR20200006012 A KR 20200006012A KR 102431981 B1 KR102431981 B1 KR 102431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unit
compressor
drum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2516A (ko
Inventor
박상백
김철환
최윤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6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981B1/ko
Priority to PCT/KR2020/017816 priority patent/WO2021145561A1/en
Publication of KR20210092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92Removing solid or liquid contaminants from the gas under pumping, e.g. by filtering or deposition; Purging; Scrubbing;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4Heating; Cooling; Heat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10Fluid working
    • F04C2210/1005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2Fluid gaseous, i.e. compressible
    • F04C2210/221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2Fluid gaseous, i.e. compressible
    • F04C2210/227St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20/00Application
    • F04C2220/20Pumps with means for separating and evacuating the gaseous ph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20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6Air or water being indistinctly used as working fluid, i.e. the machine can work equally with air or water without any mo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을 가열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가 적용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압축기는 내부에서 스팀이 응축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응축된 스팀을 배출하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축기 또는 상기 압축기가 적용된 의류처리장치 {A compressor and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which the compressor is applied}
본 발명은 공기 또는 수분을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가 적용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세탁기와,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건조기와, 의류의 먼지 또는 세균을 제거하는 재생을 수행하는 리프레셔를 포함하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 리프레셔의 상품명으로는 LGE의 트롬 스타일러가 있다.)
근자에는 건조기뿐 만 아니라, 세탁기와 리프레셔도 의류에 열풍 또는 스팀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추세이다.
도1은 상기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는 종래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5299호 참조)
도1(a)를 참조하면,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과,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200)과,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300)와, 상기 드럼과 연통되어 상기 드럼 내부에 고온 공기(열풍)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열풍공급부(420)와, 상기 열풍공급부(420)를 지지하거나 설치하는 순환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드럼(200)의 외주면에 감겨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00)는 상기 벨트(34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드럼(200)에 수용된 의류는 상기 열풍에 고르게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순환부(500)와 상기 드럼(200)은 건조덕트(410)를 통해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건조덕트(410)는 상기 드럼(200)의 일측과 연통되어 상기 의류의 수분 및 상기 의류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드럼(200)에서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배출덕트(411)과, 상기 드럼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어느 하나에 연통되어 상기 열풍공급부(420)를 통과한 공기를 다시 드럼(200)으로 흡입시키는 흡입덕트(4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풍공급부(420)는 증발기(422)와 응축기(423) 등의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상기 순환부(500)를 통과하는 공기를 건조 및 가열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열풍공급부(420)는 상기 드럼(200) 내부의 공기를 상기 순환부(500)로 전달하는 송풍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풍공급부(420)는 상기 배출덕트(411)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422)와,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냉매를 압축하여 가열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를 통과한 냉매로 공기를 가열하여 고온 건조한 열풍을 생성하는 웅축기(423)와, 상기 응축기(423)를 통과한 냉매를 팽창하여 온도를 절감시키는 팽창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열풍공급부(420)는 히트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풍공급부(420)가 작동하면, 상기 압축기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는 상기 응축기(423)를 통과하여 열을 배출한다. 이후, 상기 냉매는 상기 팽창밸브로 유입되어 저온 저압으로 팽창된다. 그리고, 상기 냉매는 상기 증발기(422)로 유입되어 열을 흡수하고 상기 압축기로 다시 유입되어 압축된다. 즉, 상기 응축기(423)는 주위로 열을 방출하며, 상기 증발기(422)는 주위의 열을 흡수할 수 있다.
종래 의류처리장치에서 상기 송풍팬이 구동하면, 상기 드럼(200) 내부에 있는 공기는 상기 순환부(500)로 배출될 수 있고, 다시 상기 드럼(200)으로 유입되면서 순환될 수도 있다.
상기 순환부(500)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증발기(422)에 먼저 노출되어 냉각되고, 상기 공기에 함유된 수분은 응축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증발기(422)를 통과하여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상기 응축기(423)에 노출되어 고온으로 가열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상기 공기는 고온 건조한 열풍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423)에서 가열된 공기는 다시 상기 드럼(200)으로 유입되어 상기 의류에 접촉되어 상기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의류를 통과한 공기는 다시 증발기(422)를 통과하여 냉각되고, 상기 공기 중에 함유된 상기 수분은 응축되어 제거될 수 있다.
이렇게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냉매를 상기 열풍공급부(420)에서 순환시킴으로써, 상기 건조행정을 수행하였다. 상기 히트펌프 방식은 전기에너지를 이용하는 히터로 공기를 직접 가열하는 것보다 에너지 효율이 더 우수한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렇게 공기와 별도로 구비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포함한 열풍공급부가 적용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직접 접촉하지 않는 냉매를 보관 및 수용하고 순환시켜야 하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다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다.
즉, 상기 냉매가 의류에 전혀 접촉하지 않는 구성임에도, 상기 드럼에서 토출된 공기를 냉각 시키거나 가열시키기 위해, 상기 냉매를 수용하거나 순환시켜야 하는 별도의 회로 구성을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설치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냉매가 상기 공기에 노출되어 상기 의류가 오염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었다. 특히, 상기 냉매가 가연성인 경우, 상기 의류처리장치에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도 있었다.
한편, 상기 압축기 및 복수의 열교환기 팽창밸브를 포함하는 열풍공급부는 부피가 크고 구성이 복잡하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열풍공급부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외에 별도의 설치공간을 추가로 확보해야 하는 단점도 있었다.
또한, 상기 열풍공급부는 공기가 유동하는 순환부에 2개의 열교환기를 설치해야 하므로, 상기 송풍팬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문제도 있었다.
더욱이, 상기 냉매를 사용하는 열풍공급부를 구비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에서 토출된 고온의 공기를 바로 증발기를 통해 냉각시켜야만 하는 단점이 있었다. 즉, 드럼에서 토출된 고온 다습한 공기의 에너지를 전혀 활용하지 못하므로 에너지 손실이 유발되어 에너지 낭비가 될 수 밖에 없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드럼에서 토출된 공기 또는 수분을 압축하여 가열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드럼에서 토출된 공기 또는 수분의 일부를 압축하여 상기 드럼으로 유입되는 공기 또는 수분을 가열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드럼에서 토출된 공기에 함유된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공기 또는 수분과 별도로 구비되는 냉매를 순환시키거나 냉매를 보관하는 장치를 생략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드럼에 투입되는 공기가 열교환기에 충돌하는 횟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수분을 포함한 공기를 압축하면서도 수분이 내부에서 응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압축기 또는 상기 압축기가 적용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수분을 포함한 공기를 압축하더라도 상기 수분이 물로 응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압축기 또는 상기 압축기가 적용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수분이 적체되더라도 공기 또는 수분을 지속적으로 흡입하여 압축할 수 있는 압축기 또는 상기 압축기가 적용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응축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압축기 또는 상기 압축기가 적용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팀 압축기 또는 용적식 압축기 또는 상기 압축기가 설치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다만, 상기 압축기는 외기(15~30℃와 흡입(100℃이상) 고온의 온도차에 의해 응축수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응축수는 압축기의 압축 체적을 감소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는 단열이 필요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는 스크롤 압축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압축기 흡입측에 압축공간 외측으로 응축수가 흘러 나갈 수 있는 유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는 외곽에 별도 구조로 덮는 단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부는 응축수를 사전에 제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는 스크롤압축기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열부는 고정스크롤을 흡입유체를 이용해 외기와 단열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기와 압축공간 사이에 공간을 구성하고 작동유체를 통과하게 하는 단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부로 인해 금속 전도에 의한 열 손실을 차단할 수 있고, 압축공간내에 응축수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 하며, 응축수 관리를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팀을 작동유체로 하는 압축기에서 단열을 위해 흡입 유체가 압축기 전체 또는 일부의 외측을 둘러싸는 공간 및 흡입 유체가 반드시 해당 공간을 통과하도록 직렬로 구성된 유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팀을 작동유체로 하는 압축기에서 단열을 위해 흡입 유체가 압축기 전체 또는 일부의 외측을 둘러싸는 공간 및 흡입 유체의 일부가 해당공간에 유입되도록 병렬로 구성된 유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스팀을 작동유체로 하는 압축기에서 단열을 위해 토출 유체가 압축기 전체 또는 일부의 외측을 둘러싸는 공간 및 토출 유체가 반드시 해당 공간을 통과하도록 직렬로 구성된 유로 구조를 젝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팀을 작동유체로 하는 압축기에서 단열을 위해 토출 유체가 압축기 전체 또는 일부의 외측을 둘러싸는 공간 및 토출 유체의 일부가 해당공간에 유입되도록 병렬로 구성된 유로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드럼에서 토출된 공기 또는 수분을 압축하여 가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드럼에서 토출된 공기 또는 수분의 일부를 압축하여 상기 드럼으로 유입되는 공기 또는 수분을 가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드럼에서 토출된 공기에 함유된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공기 또는 수분과 별도로 구비되는 냉매를 순환시키거나 냉매를 보관하는 장치를 생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드럼에 투입되는 공기가 열교환기에 충돌하는 횟수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분을 포함한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기에 수분이 응축 또는 적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분을 포함한 공기를 압축하더라도 상기 수분이 물로 응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압축기를 포함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압축기 내부에 수분이 응축되더라도 공기 또는 수분을 지속적으로 흡입하여 압축할 수 있는 압축기를 포함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적체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압축기를 포함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구조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적용된 압축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적용된 압축기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적용된 압축기에 수분을 따로 보관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에 적용된 압축기에서 수분을 배출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에 적용된 압축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에 적용된 압축기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적용된 압축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압축기의 마지막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200)와, 상기 의류수용부와 연결되어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에 수용된 상기 의류에서 배출된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순환부(500)의 공기를 추출하여 압축하고, 상기 압축된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순환부(500)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분지가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종래 의류처리장치와 냉매를 순환시키면서 상기 드럼(200)의 공기를 가열시키는 열풍공급부를 생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종래 히트펌프 시스템을 상기 분지가열부(600)로 대체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종래 히트펌프 시스템을 상기 분지가열부(600)로 대체할 수 있고, 히트펌프가 설치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상기 냉매 자체를 사용하지 않아 상기 냉매를 보관하거나 수용할 필요가 없고, 상기 냉매의 누설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어 설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냉매가 이동하는 유로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어, 상기 순환부(500)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건조기로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분지가열부(600)가 적용될 수 있다면 세탁기 또는 리프레셔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가 건조기로 구비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의 상기 의류수용부(200)는 상기 캐비닛(100)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200)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300)는 종래 의류처리장치와 같이 풀리와 벨트(340)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드럼(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면, 상기 구동부(300)는 DD타입으로 구비되어 상기 드럼(200)에 결합된 회전축을 직접 회전시키도록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종래 의류처리장치와 같이 상기 순환부(500)를 상기 드럼(200)의 하부에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드럼(200)과 연통되어 상기 드럼(200)에 고온의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면, 상기 순환부(500)는 상기 드럼의 측면 또는 상부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순환부(500)가 건조덕트(410)를 통해 상기 드럼(200)에 양단과 모두 연통되는 순환식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드럼(200)에 상기 드럼(200)에 열풍을 공급할 수 만 있다면, 상기 순환부(500)는 순환식이 아니라 배기식 타입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을 위해,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가 순환식 타입으로 구비된 것을 설명한다.
상기 순환부(500)와 상기 드럼(200)은 종래 의류처리장치와 같이 건조덕트(410)를 통해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건조덕트(410)는 상기 드럼(200)의 일측과 연통되어 상기 의류의 수분 및 상기 의류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드럼(200)에서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배출덕트(411)과, 상기 드럼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어느 하나에 연통되어 공기를 다시 드럼(200)으로 흡입시키는 흡입덕트(4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부(500)는 상기 드럼(200)의 공기를 상기 순환부(500)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순환부(500)의 공기를 상기 드럼(200)으로 주입시키는 송풍팬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 순환부(500)는 상기 배출덕트(411)와 연통되어 상기 드럼(200)의 공기를 유입받는 배출연결덕트(510)와, 상기 배출연결덕트(51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며 상기 분지가열부(600)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는 공기유동부(520)와, 상기 공기유동부(520)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드럼(200)으로 안내하도록 상기 흡입덕트(412)와 연통하는 흡입연결덕트(5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부(500)에는 송풍팬(570)이 설치되어 상기 드럼(200) 내부의 공기가 상기 순환부(500)를 통해 순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드럼(200)의 공기는 상기 배출연결덕트(510)에 유입되어 상기 공기유동부(520)를 지나 상기 흡입연결덕트(540)를 통해 상기 드럼(200)으로 다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분지가열부(600)는 별도의 냉매 없이 상기 순환부(500)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지가열부(600)는 상기 순환부(500)를 유동하는 상기 공기의 일부를 추출하는 분지관(630)과, 상기 분지관으로 유입된 공기를 압축하는 스팀압축기(610)와, 상기 순환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스팀압축기에서 압축된 상기 공기로 상기 순환부를 순환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공급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순환부(500)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드럼(200)에 수용된 의류에 함유되었던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순환부(500)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의류에서 전달된 수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압축기(610)는 공기뿐만 아니라 상기 의류에서 배출된 수분을 동시에 압축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자체는 비압축성이라고 하더라도 상기 공기에 함유된 수분이 압축됨으로써, 상기 스팀압축기(610)에서 투입된 공기는 고온 고압으로 압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팀압축기(610)에서 고온 고압으로 압축된 공기는 고온의 스팀(steam)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팀압축기(610)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공기 또는 스팀은 열공급관(650)을 통해 상기 열공급부(62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열공급관(650)은 상기 열공급부(620)를 통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공급부(620)는 열교환기로 구비되어 상기 열공급관(650)을 통과하는 공기의 열을 외부로 발산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공급부(620)는 상기 순환부(5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열공급부(620)는 상기 순환부(500)를 유동하는 공기 또는 수분을 가열시키도록 상기 공기유동부(5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열공급부(620)는 상기 드럼(200)에서 토출되어 상기 순환부(500)를 통과하는 공기와, 상기 열공급관(650)을 통과하는 공기를 서로 열교환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열공급관(650)을 흐르는 고온의 공기 또는 스팀은 상기 순환부(500)를 통과하는 공기 또는 수분과 열교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드럼(200)에서 토출되어 상기 분지관(630)으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공기유동부(52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순환부(500)를 통과하면서 상기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열공급부(62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공기는 상기 드럼(200)으로 다시 유입되어 상기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의류를 건조하면서 수분을 함유한 공기는 다시 상기 드럼(200)에서 토출되어 일부는 상기 분지관(630)으로 유입되고, 나머지는 상기 공기유동부(520)로 유입된 후에 상기 열공급부(620)에서 서로 열교환 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드럼(200)의 공기의 일부는 계속 순환되면서 가열되어 상기 드럼(200)의 의류는 건조될 수 있다.
한편, 스팀압축기(610)에 유입된 공기는 함유된 수분이 많을수록 고온으로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건조행정 초기에는 드럼(200)은 저온 상태이므로 상기 의류에 함유된 수분은 쉽게 증발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건조행정 초기에 스팀압축기(610)를 구동하는 것은 효율이 떨어질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스팀압축기(610)를 통과한 공기가 가열되지 않으므로 건조행정 자체가 불가능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순환부(500) 내부에 상기 순환부(500)를 유동하는 공기를 직접 가열하는 히터(H)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H)는 시스히터 등 에너지를 공급받아 열을 발산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드럼(200)에 수용된 의류에서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해서, 상기 히터(H)는 상기 드럼(200) 내부에 위치하거나 상기 순환부(500)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히터(H)는 상기 순환부(500)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200)에 투입되는 공기 부터 고온이 될 것이므로, 상기 의류를 더 빨리 건조시켜 상기 드럼(200)에 토출되는 공기의 습도를 더 빨리 높일 수 있다. 상기 순환부(500)를 통과하는 공기가 열손실 없이 상기 드럼(200)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상기 히터(H)는 상기 흡입연결덕트(54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지가열부(600)는 상기 분지관(630)의 개폐를 조절하는 분지결정부(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지결정부(640)는 상기 분지관(630)의 개폐를 조절하는 밸브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지가열부(600)는 상기 분지결정부(640)가 상기 분지관(630)의 개폐를 결정하도록 제어하는 개폐제어부(6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제어부(651)는 상기 분지관(630) 또는 상기 순환부(500)를 유동하는 공기의 습도가 기준값 이상인 것을 감지하거나, 기준값 이상이라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분지결정부(640)가 상기 분지관(630)을 개방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습도센서가 상기 순환부(500)에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개폐제어부(651) 자체가 습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기준값은 상기 스팀압축기(610)가 공기를 압축하여 가열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최소 습도에 해당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초기 송풍팬(570)과 상기 히터(H)를 구동시키면서, 상기 드럼(200)의 공기를 상기 순환부(500)로 순환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순환되는 공기가 상기 히터(H)에 가열되면서 고온 건조해지고 상기 드럼(200)의 의류와 접촉되면서 습도가 높아질 수 있다. 상기 습도가 기준값 이상이 되면 상기 개폐제어부(651)가 상기 분지결정부(640)를 개방하고, 상기 순환부(500)를 유동하는 공기 일부는 상기 분지관(630)으로 유입되어 상기 스팀압축기(610)에서 온전히 가열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가열된 공기는 상기 열공급부(620)를 통과하며 상기 순환부(500)를 유동하는 나머지 공기를 가열시킬 수 있다. 상기 열공급부(620)를 통과한 상기 순환부(500)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드럼(200)으로 유입되어 상기 드럼(200)의 의류를 더 빨리 건조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히터(H)는 상기 스팀압축기(610)와 동시에 구동하여 상기 흡입연결덕트(540)를 통과하는 공기를 더 가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팀압축기(610)가 구동하기 시작하면, 상기 히터(H)는 구동을 멈추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팀압축기(610)와 상기 히터(H)가 일정시간 동안만 동시에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지관(630)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스팀압축기(610)와 상기 열공급관(650)을 따라 이동한 후에 상기 드럼(200)에 유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열공급부(620)를 통과한 상기 공기는 상기 분지부(500)를 통과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면서 냉각되어 상기 드럼(200)의 의류를 건조하는데 큰 기여를 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공급부(620)를 통과한 상기 공기는 상기 분지부(500)를 통과하는 공기와 냉각되면서 수분이 일부 응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200)에 다시 투입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공급부(62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드럼(200)으로 유입되지 않고, 상기 드럼(200)과 별도로 구비된 응축수 수집부(534) 또는 수집통(560)에 연통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분지관(630)에 유입된 공기는 최종적으로 상기 수집통(560)으로 배출될 수 있고 상기 수집통(560)에는 응축된 물이 수집될 수 있다.
상기 순환부(500)는 상기 드럼(200)에서 토출된 공기 중 린트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비되는 순환필터(5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압축기(610)에 린트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양을 감소시킬 수 있어, 상기 스팀압축기(610)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공급부(620)에 린트 등의 이물질이 적체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열공급부(620)의 열교환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드럼(200)에서 배출된 린트 등의 이물질이 다시 드럼(200)으로 유입되어 의류를 재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럼(200)과 순환부(500)를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가 반복적으로 상기 수집통(560)으로 유출되므로, 상기 드럼(200) 내부의 압력이 지속적으로 감소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상기 드럼(200)과 순환부(500)을 유동하는 공기는 지속적으로 가열될 뿐 냉각되지 않으므로 상기 캐비닛(100) 내부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실시예는 상기 캐비닛(100) 외부의 공기를 상기 드럼(200) 또는 순환부(560)에 공급하거나, 상기 캐비닛(100) 내부로 유입할 수 있는 외기유입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기유입부(700)는 상기 캐비닛(100)을 관통하여 상기 캐비닛 외부 공기를 상기 캐비닛 내부로 안내하는 외기공급관(710)과, 상기 외기공급관(710)에 유입된 공기를 다시 상기 캐비닛(100) 외부로 배출하는 외기배출관(760)과, 상기 외기공급관(710)에 공급된 공기를 상기 드럼 또는 순환부로 유입시킬 수 있는 연통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기공급관(710)은 상기 연통부(750)를 통해 상기 순환부(500)에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기공급관(710)은 상기 연통부(750)를 통해 상기 외기배출관(760)에도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연통부(750)는 분지관 및 상기 분지관의 개폐를 조절하는 삼방밸브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순환부(500)를 유동하는 공기의 압력, 온도 또는 습도 중 하나 이상이 특정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연통부(750)를 제어하여 상기 캐비닛(100) 외부 공기를 상기 순환부(500)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순환부(500)를 유동하는 공기가 외부공기와 희석되어 압력이 회복되거나, 온도 또는 습도가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외기유입부(700)는 상기 외기공급관(710)에 외부공기가 더 효과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외기공급관(710) 내부에 음압을 발생시키는 공급팬(7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기유입부(700)는 상기 외기공급관(700)에서 유입되는 공기로 상기 열공급관(650)을 유동하는 공기를 더 냉각시켜 상기 공기 중에 수분을 응축시키는 열회수부(7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회수부(720)는 열교환기로 구비되어 상기 외기공급관(700)과 상기 열공급관(750)이 모두 통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열공급관(650)을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열공급부(620)에서 상기 순환부(500)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1차적으로 냉각되고, 상기 열회수부(720)를 통과하면서 상기 외기공급관(700)을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2차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공급관(650)을 통과하는 공기가 상기 순환부(500)를 통과하면서 충분히 냉각되지 않거나 상기 공기에 함유된 수분이 충분히 응축되지 않더라도, 상기 열회수부(720)를 통과하면서 충분히 냉각되고 함유된 수분도 상당량 응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응축수 수집부(534) 또는 수집통(560)에 저온 저압의 공기가 토출되어, 상기 응축수 수집부(534) 또는 수집통(560)을 포함한 상기 캐비닛(100) 내부가 불필요하게 가열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응축수 수집부(534) 또는 수집통(560)에 상기 의류에서 증발된 물이 다량으로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회수부(720)를 통과하며 가열된 외부 공기는 필요에 따라 상기 연통부(750)를 통해 상기 순환부(50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순환부(500) 내부 공기의 습도를 낮추거나, 상기 순환부(500)를 유동하는 공기를 추가 가열하여 상기 순환부(500)를 유동하는 공기의 건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지가열부(600)는 상기 열회수부(720)를 통과한 공기 또는 스팀의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압력저감부(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저감부(660)는 상기 열공급관(650)에 결합되어 유동하는 유체의 압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예를들어, 팽창밸브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력저감부(660)는 상기 스팀압축기(610)에서 상승한 공기의 압력을 다시 캐비닛(100) 내부의 압력까지 저감시킬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수집통(560) 내부의 압력이 상기 캐비닛(100) 내부의 압력과 평형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수집통(560)이 일반적인 플라스틱 통으로 제작될 수 있고, 상기 공급관(650)과 상기 수집통(560)은 실링되지 않은 상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연통되어 상기 공급관(650) 내부의 물은 상기 수집통(560)으로 수집되되, 상기 공급관(650) 내부의 공기는 상기 수집통(56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집통(560)이 상기 캐비닛(100) 외부로 인출되어 수집된 물이 외부로 버려질 때에도, 갑작스런 수분 또는 공기의 팽창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기유입부(700)로 인해 외기는 다량으로 상기 드럼(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드럼(200)은 완벽한 밀봉 상태가 아니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외기는 상기 캐비닛(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비닛(100) 내부는 상기 공급관(650)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거나 상기 드럼(200)에서 고온 고습의 공기가 유입되어도 상기 외부유입부(700)로 인해 저온 저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캐비닛(100) 내부와 외부의 공기 상태를 평형시키는 압력유지관(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유지관(800)은 상기 스팀압축기(610)에 의해 상기 순환부(500)를 유동하는 공기의 일부가 압축되어 상기 캐비닛(100) 내부로 배출되거나, 상기 외기유입부(700)로 인해 상기 캐비닛(100) 내부의 압력이 증가되는 경우, 상기 캐비닛(100) 내부의 압력을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분지가열부(600)로 인해 상기 캐비닛(100) 내부는 일시적으로 고압 또는 고온 및 고습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압력유지관(800)으로 상기 캐비닛(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캐비닛(100) 내부가 외부상태와 달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기유입부(700)로 인해 상기 캐비닛(100) 내부의 공기는 저온, 저압, 저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비닛(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에 배출하는 압력유지관(800)이 설치되어 있어도,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배치된 실내 환경의 습도 또는 온도 변화는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연통부(750)가 상기 외기공급관(710)의 공기가 상기 순환부(5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 경우, 상기 외기공급관(710)의 공기를 상기 외기배출관(760)으로 배출하도록 상기 공급팬(73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스팀압축기(610)가 구동하는 경우에 캐비닛 외부 공기를 상기 열회수부(720)에 지속적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기 공급관(710)과 상기 외기배출관(760)을 연통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열공급부(650)을 흐르는 공기를 더 빨리 냉각시킬 수 있다.
도3은 도2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구조가 적용된 실제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순환부(500)는 상기 드럼(200) 하부에 배치된 베이스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분지가열부(600) 및 상기 외기유입부(7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순환부(500)는 일단이 상기 배출덕트(411)와 연통하고, 타단이 상기 흡입덕트(412)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부(500)는 상기 배출덕트(411)와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배출연결덕트(510)와, 상기 배출연결덕트(510)에서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며 가열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공기유동부(520)와, 상기 공기유동부(520)를 통과한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흡입덕트(412)와 연통하는 흡입연결덕트(540)와, 상기 공기유동부(520)와 격벽(550)으로 구분되어 상기 구동부(300) 및 배수펌프(535) 등의 각종 장치가 설치되어 지지되는 장치장착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550)으로 인해 드럼(200) 내부의 공기는 장치장착부(530)로 유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른 장치에 충돌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순환부(500)의 공기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동부(520)에는 상기 드럼(200)에서 토출된 공기와 직접적으로 접촉될 필요가 있는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장치장착부(530)는 상기 건조공기와 직접적으로 접촉될 필요가 없는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동부(520)는 상기 드럼(200)에서 토출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증발기(422)와 상기 응축기(423)가 설치될 수 있는 하우징으로 구비되고, 상기 장치장착부(530)와 격벽(55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동부(520)의 일단에 구비되는 배출연결덕트(510)는 상기 배출덕트(411)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과 결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배출덕트(411)에서 배출된 공기가 상기 공기유동부(520)로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51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출연결덕트(510)는 상기 관통홀(511)에서 상기 공기유동부(520)로 갈수록 면적이 더 넓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배출덕트(411)에서 유입된 공기의 속도를 늦춰 상기 공기유동부(520)에서 공기의 열교환량이 많아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공기유동부(520)의 타단에는 상기 공기유동부(520)를 통과한 공기를 수집하여 상기 흡입연결덕트(540)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수집리브(5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집리브(521)들은 상기 응축기(423)를 통과하여 고온 건조 공기 또는 열풍을 유동저항을 낮추면서 흡입덕트(412)로 온전히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장치장착부(530)는 상기 송풍팬(570)가 설치되어 지지되거나 일부가 수용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 송풍팬 장착부(531)와, 상기 구동부(300)가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는 구동부 장착부(532)와, 상기 스팀압축기가 지지될 수 있는 압축기 장착부(533)와, 상기 열공급부(620) 및 열회수부(720)에서 응축된 물이 수집될 수 있는 응축수 수집부(5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수집부(534)의 상부면에 상기 배수펌프(43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전술한 수집통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570)는 상기 공기유동부(520)에 공기를 유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해야 하므로, 상기 송풍팬장착부(531)는 상기 흡입덕트(412)와 상기 공기유동부(520)와 각각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 장착부(531)은 상기 일면이 관통되어 복수의 수집리브(521)의 말단과 마주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흡입덕트(412)와 마주하는 타면이 관통되어 상기 열풍을 상기 흡입덕트(412)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송풍팬 장착부(531)와 상기 구동부장착부(532)가 마주하는 곳은 구동회전축이 지지되는 축지지부(531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장착부(532)에서 상기 압축기 장착부(533)와 마주하는 곳은 상기 구동회전축의 타단이 지지되는 풀리지지부(532A)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공급부(620)와 상기 열회수부(700)는 금속재질로 구비된 복수의 열교환판과 냉매가 흐르는 냉매관이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고, 공기가 유동하는 방향과 상기 열교환판은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이동부(520)에는 상기 열공급부(620)와 상기 열회수부(700)를 분리하도록 지면과 나란한 분리벽이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드럼(200)에 토출된 공기는 상기 열공급부(620)에는 접촉되나 상기 열회수부(700)에는 접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드럼(200)에서 토출된 고온다습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열공급부(620) 및 상기 열회수부(720)를 통과하면서 냉각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공기에 함유된 수분은 응축되어 상기 열공급관(650)을 따라 상기 응축수 수집부(534)에 수집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수집부(534)에 수집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535)가 상기 순환부(5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물을 별도로 수집하는 수집통(560, 도2참조)이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분지관(620)은 상기 열공급부(620) 보다 상류에서 상기 공기이동부(520)와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드럼(200)에서 토출된 다습한 공기를 가열 전에 상기 스팀압축기(610)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스팀압축기(610)로 안내된 공기는 압축되면서 고온으로 가열되어 상기 열공급관(650)으로 배출되고, 상기 열공급부(620)를 통과한 뒤 상기 열회수부(700)로 투입되어 상기 응축수 수집부(534)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분지관(620)으로 유입되지 않은 공기는 상기 열공급부(620)에서 가열되어 상기 흡입연결덕트(540)를 통해 상기 드럼(200)으로 유입될 수 있다.(II방향)
상기 외기공급관(710)에서 유입된 외기는 상기 열회수부(720)를 통과하는 열공급관(650)을 냉각시킨 후에 상기 연통부(750)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외기유입부(700)는 상기 연통부(750)와 상기 순환부(500)를 연통하는 외기흡수관(7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통부(750)의 개폐여부에 따라, 상기 외기는 상기 캐비닛(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외기흡수관(770)을 따라 상기 공기이동부(520)를 통해 상기 드럼(20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스팀압축기(610)로 유입되어 손실된 공기를 보상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570)은 상기 순환부(500) 중 상기 공기이동부(520)와 연통되는 곳에 설치되어 드럼(200) 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570)은 상기 구동부(300)에 결합되어 동력을 제공받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구동모터(310)가 작동하면 상기 드럼(200)은 회전하며, 동시에 상기 송풍팬(570)도 상기 드럼(200)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570)은 상기 드럼(200) 내부의 공기가 I 방향으로 상기 배출덕트(411)를 통과한 후, 상기 순환부(500) 및 열풍공급부(400)를 지나 II방향으로 상기 흡입덕트(412)로 유입시킬 수 있다.
상기 송풍팬(570) 상류 또는 하류에 상기 히터(H)가 설치되어 상기 흡입연결덕트(540)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200)을 통과한 공기의 온도 또는 감지하는 온도센서 또는 습도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흡입덕트(412)에 온도센서 또는 습도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습도센서 또는 온도센서를 통해 본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분지결정부(640) 및 상기 스팀압축기(610), 상기 외기유입부(700) 또는 히터(H)의 적절한 시점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에서 토출된 공기 또는 수분을 압축하여 가열하기 때문에 별도의 냉매가 필요하지 않는다. 즉, 상기 드럼에서 토출된 공기 또는 수분의 일부를 압축하여 상기 드럼으로 유입되는 공기 또는 수분을 가열하고 이를 상기 드럼(200)에 투입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드럼(200)의 의류를 건조함에 있어서, 상기 드럼(200)을 순환하는 공기 또는 상기 캐비닛(100) 내부 및 외부의 공기 외에 별도의 냉매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또는 수분과 별도로 구비되는 냉매를 순환시키거나 냉매를 보관하는 장치까지 생략할 수 있다. 상기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별도의 냉매 회로 구성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제작비용도 절감하며 구조를 단순화 시켜 설치 및 수리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냉매의 유실을 걱정할 필요가 없어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드럼(200)에서 배출된 공기를 냉각시키지 않고 바로 가열하므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즉, 상기 드럼(200)에서 토출된 공기에 함유된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히터(H) 또는 상기 열공급부(620)에 가해진 에너지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증발기를 구비하지 않으르모, 상기 드럼에 투입되는 공기가 열교환기에 충돌하는 횟수 및 강도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송풍팬(570)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스팀압축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팀압축기(610)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스팀압축기(610)는 냉매가 아니라 공기, 물 또는 수분을 압축하여 가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 스팀압축기(6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6100)와, 상기 케이스(6100)에 결합되어 회전축(630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6200)와, 상기 회전축(6300)에 결합되어 수분 또는 공기를 압축하도록 구비되는 압축부(6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6100)는 상기 구동부(6200) 또는 압축부(6400)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바디(6120)와, 상기 수용바디 (6120)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공간을 차폐하도록 구비되는 수용커버(6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6100)는 상기 구동부(6200)와 상기 압축부(6400)를 전부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나, 상기 구동부(6200)만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부(6200)는 상기 수용바디(6120)에 결합되어 회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구동스테이터(6210)와, 상기 회전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6300)을 회전시키는 구동로터(6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부(6400)는 상기 수용바디(612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6300)이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메인프레임(6410)과, 상기 메인프레임(6410)과 결합되어 상기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공간을 제공하는 고정스크롤(6420)과, 상기 메인프레임(6410) 및 상기 고정스크롤(6420)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축(6300)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 또는 수분 중 하나 이상을 압축하도록 구비되는 선회스크롤(64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6410)은 상기 케이스(6100)에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으나, 상기 수용바디(6120) 바디의 자유단에 결합되어 외부로 노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부(6400)가 냉매가 아닌 공기 또는 스팀(수분)을 가압하기 때문에, 냉매를 압축할 때와 같은 고압으로 가압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부(6400)는 상기 케이스(6100)에 수용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압축부(6400)가 상기 케이스(6100)에 수용되는 경우, 압축된 수분은 상기 케이스(610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수분은 상기 케이스(6100)와 접촉되는 과정에서 일부 응축되어 상기 케이스(6100)에 잔류하거나 상기 구동부(6200)를 합선 및 누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부(6400)는 상기 케이스(6100)에 수용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상기 압축부(6400)를 통과하는 유로와, 상기 케이스(6100)에 수용된 공간이 완전히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압축부(6400)과 상기 케이스(6100)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가 수용된 공간과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6100)의 전체적인 부피도 감소될 수 있어 상기 스팀압축기(610)가 차지하는 공간도 최소화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부(6400)는 상기 케이스(6100)의 직경에 구애받지 않고 부피를 더 확장시켜 더 많은 수분 또는 공기를 압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메인프레임(6410)과 상기 수용바디(6120)을 결합시키는 결합부(6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6130)는 볼트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6410)은 상기 수용바디(6120)에 결합되는 메인경판(6411)과 상기 메인경판(6411)에서 연장되어 상기 선회스크롤(6430)을 수용하는 메인측판(6412)과, 상기 메인경판(6411)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6300)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메인축수부(64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축수부(6413)의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축(6300)을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메인베어링(647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경판(6411)은 상기 수용바디(6120)의 직경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6130)와 결합되는 나사홈(6411a)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스크롤(6420)은 상기 공기 또는 수분의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고정경판(6421)과 상기 고정경판(6421)에서 연장되어 상기 선회스크롤(6420)을 수용하며 상기 메인측판(6412)에 결합되는 고정측판(6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측판(6422)는 상기 메인측판(6412)에 접촉되는 면적을 더 확장할 수 있는 고정결합대(642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결합대(6422a)의 직경은 상기 고정측판(6422)의 직경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결합대(6422a)와 상기 메인측판(6412)는 용접 등이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경판(6421)은 상기 메인프레임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공기 또는 수분이 이동하며 압축될 수 있는 고정랩(64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랩(6423)은 상기 고정경판(6421)의 둘레 방향을 따라 회오리 형태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경판(6421)은 상기 고정랩(6423)의 내각 말단 또는 중앙 부분을 관통하여 상기 압축된 수분 또는 공기가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배출홀(64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측판(6422)은 상기 수분 또는 공기가 상기 고정랩(6423)을 따라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홀(6425)가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선회스크롤(6430)은 상기 회전축(6300)에 결합되어 공전 운동하도록 구비되는 선회경판(6431)과, 상기 선회경판(6431)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6300)과 결합되는 선회축수부(6432)와, 상기 선회경판(6431)에서 상기 고정랩(6423)과 맞물리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분 또는 공기를 압축하도록 구비되는 선회랩(64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6300)은 상기 로터(6220)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는 축바디(6310)과, 상기 축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선회축수부(6432)에 수용되는 편심부(6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심부(6320)은 상기 축바디(6310)보다 일측으로 더 두껍게 구비되거나, 편심되도록 구비될 수 있따. 따라서, 상기 편심부(6320)은 상기 축바디(6310)의 회전반경보다 더 크게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회스크롤(6430)은 상기 편심부(6320)의 편심을 보상하도록 구비되는 보상결합부(64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상결합부(6460)는 상기 편심부(6320)와 상기 선회축수부(6432)를 결합면서도 상기 편심부(6320)가 상기 선회축수부(6432)와 별도로 회전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축바디(6310)가 회전할 때, 상기 편심부(6320)는 선회스크롤(6430)을 상기 선회스크롤(6430)의 반경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편심부(6320)가 가압하는 힘에 의해, 상기 선회랩(6433)은 상기 고정랩(6423)과 맞물리며 상기 수분 또는 공기를 압축할 수 있다.
상기 편심부(6320)는 상기 축바디(6310)과 무게중심을 공유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회전축(6300)이 회전하면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일실시예의 스팀압축기(610)는 상기 편심부(6320)의 편심을 보상하고 진동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밸런서(6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런서(6500)는 상기 회전축(6300)에 상기 편심부(6320)가 상기 축바디(6310)에서 편심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축바디(6310) 또는 상기 로터(6220)에 결합되는 메인밸런서(65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밸런서(6500)는 상기 메인밸런서(6520)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이나 편심도 방지할 수 있는 보조밸런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보조밸런서는 상기 로터(6220)에 상기 메인밸런서(6520)와 이격되어 결합되는 제1보조밸런서(6510)와, 상기 편심부(6320)의 맞은편에 결합되는 제2보조밸런서(653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보조밸런서(6510)은 상기 메인밸런서(6520)와 반대방향으로 편심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보조밸런서(6530)은 상기 편심부(6320)과 반대방향으로 편심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보조밸런서(6510)의 부피 또는 무게는 상기 메인밸런서(6520)의 부피 또는 무게 더 작게 나갈 수 있다. 상기 메인밸런서(6520)는 상기 메인프레임(6430)과 상기 구동부(6200)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보조밸런서(6510)는 상기 구동부(200)와 상기 케이스(1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보조밸런서(6530)는 상기 선회축수부(6432)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축부(6400)은 상기 회전축(6300)이 회전하더라도 상기 선회스크롤(6430)이 자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올담링(6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올담링(6440)은 상기 선회스크롤(6430)이 상기 회전축(6300)에 의해 가압되더라도 상기 선회스크롤(6430)이 상기 회전축(6300)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올담링(6440)은 상기 선회스크롤(6430)과 상기 메인프레임(6410) 사이에서 상기 선회스크롤(6430)과 상기 메인프레임(6410)에 각각 직선 왕복이동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6200)가 구동하여 상기 회전축(6300)이 회전하면, 상기 선회스크롤(6430)이 편심부(6530)으로 인해 자전하여 상기 선회랩(6433)과 상기 고정랩(6423)이 순차적으로 맞물린다. 상기 선회랩(6433)과 상기 고정랩(6423)은 내측과 외측에 2개 이상의 압축공간이 발생하게 되고, 압력변화에 의해 상기 유입홀(6425)에서 공기 또는 수분은 흡입될 수 있다.(A방향)
이때, 상기 선회랩(6433)과 상기 고정랩(6423)이 반복적으로 맞물리면 상기 유입홀에 유입된 공기 또는 수분은 상기 고정랩(6423)의 내면 및 외면을 따라 압축되어 상기 배출홀(6424)로 배출될 수 있다. (B방향)
한편, 상기 압축부(6400)는 스크롤 타입 압축기 외에 스팀 또는 공기를 압축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성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5는 상기 압축부(6400)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5(a)를 참조하면, 상기 유입홀(6425)로 수분 또는 공기가 유입되면 상기 고정측판(6421) 내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랩(6423)을 따라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선회스크롤(6430)의 선회랩(6433, 검은선)이 상기 회전축(63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랩(6423)의 내측과 외측을 번갈아가며 접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수분 또는 공기는 상기 선회랩(6433)의 내측과 외측에 나누어 유입되어 이동하면서 상기 배출홀(6424) 방향으로 이동할 있고, 상기 유입홀(6425)에서 상기 배출홀(6424)로 이동하면서 체적이 작아짐에 따라 수분 또는 공기는 압축되어 고온 고압으로 가열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고정랩(6423)의 최내각으로 이동한 공기 또는 수분은 상기 배출홀(6424)로 배출될 수 있다. 그 결과, 저온 저압으로 유입된 수분 또는 공기는 고온 고압으로 압축되어 배출될 수 있다.
도5(b)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스크롤(6420)과, 상기 선회스크롤(6430)은 강철 등의 금속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열전달율이 높다. 따라서, 상기 고정스크롤(6420)이나 상기 선회스크롤(6430)에 수분 또는 공기가 접촉되면, 상기 수분 또는 공기는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스팀압축기(610)가 구동하기 전이거나, 구동을 시작한지 얼마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유입홀(6425)로 유입된 공기 또는 수분은 더 많이 냉각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입홀(6425) 부근은 상기 공기 또는 수분이 압축되기 전이므로 상기 배출홀(6424) 보다 저온일 수 있으므로, 상기 유입된 공기 또는 수분은 더 많이 냉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입홀(6425)에는 상기 공기 또는 수분이 응축되어 액체인 물(w)로 변환될 수 있고 상기 물(w)은 고정랩(6423)과 상기 선회랩(6433)에 압축되지 않을 수 있다. 심할 경우, 상기 물(w)은 상기 고정랩(6423)과 상기 선회랩(6433)의 유로를 차폐하여 스팀압축기(610)의 작동을 불능 상태로 만들 수도 있다.
특히, 상기 물(w)은 상기 유입홀(6425)에서 가장 많이 응축될 것이므로, 상기 공기 또는 수분이 상기 압축기(610) 내부로 진입하는 자체를 방해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상기 스팀압축기(610)가 의도한 성능을 발휘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 일실시예의 스팀압축기(610)는 상기 압축부(64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 또는 수분에서 응축된 물을 수집하는 수집부(64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집부(6426)는 상기 압축부(6400) 내부 일면이 함몰되어 구비되어 응축된 물이 수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집부(6426)는 상기 유입홀(6425)로 유입된 공기 또는 수분이 응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아니라, 응축된 물을 따로 수집하여 상기 응축된 물이 유로를 차폐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집부(6426)는 상기 고정스크롤(6420)의 일면이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집부(6426)는 상기 고정경판(6421) 중 상기 고정랩(6423) 사이 부분이 함몰되어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유입홀(6425)와 마주하는 부분이 함몰되어 구비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수집부(6426)는 상기 고정측판(6422)가 함몰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수집부(6426)은 상기 압축부(6400) 중 중력방향과 대응되는 부분이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유입홀(6425)에서 유입된 물이 응축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수집부(6426)에 수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입홀(6425)와 상기 유로가 상기 응축된 물에 차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유입홀(6425)에 응축되는 물의 양이 가장 많을 것이므로, 상기 수집부(6426)는 상기 유입홀(6425)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도6은 상기 수집부(6426)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을 참조하면, 상기 수집부(6426)는 상기 고정스크롤(6420)에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집부(6426)는 상기 고정측판(6422)이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집부(6426)은 상기 공기 또는 수분이 상기 고정랩(6423)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전혀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집부(6426)는 상기 유입홀(6425)에서 상기 고정랩(6423)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고정측판(6422)을 함몰시켜 구비되는 연장수집홈(6426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입홀(6425)에서 응축된 물(w)은 상기 고정측판(6422) 이나 상기 고정랩(6423)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연장수집홈(6426a)으로 수집될 수 있다.
상기 고정랩(6423)은 상기 유입홀(6425)와 마주하는 부분에서 배출홀 까지 상기 선회랩(6433)과 함께 상기 공기 또는 수분이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연장수집홈(6426a)은 상기 유입홀(6425)에서 상기 유로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고 볼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공기 또는 수분이 상기 압축부(6400) 내부에서 응축되더라도 상기 유입홀(6425) 또는 상기 고정랩(6423)과 상기 선회랩(6433)을 차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응축되지 않은 상기 공기 또는 수분은 기체 상태이므로 중력을 극복할 수 있어 상기 고정랩(6423)을 따라 상기 배출홀(6424)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6300)은 지면과 나란하거나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수집홈(6426a)은 상기 고정경판(6421)에서 상기 지면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7은 상기 수집부(6426)에 물 배출부(6427)이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수집부(6426)에 물이 과도하게 수집되는 경우, 상기 물(w)이 상기 유입홀(6425)까지 차올라 상기 유입홀(6425)을 차폐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물(w)이 상기 압축부(6400) 내부에서 부패할 우려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스팀압축기(610)은 상기 수집부(6426)에 수집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물 배출부(642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배출부(6427)는 상기 연장수집홈(6426a)에서 상기 고정경판(6421)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고정제거홀(6427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제거홀(6427a)는 상기 고정경판(6421)을 관통하여 상기 연장수집홈(6426a)과 상기 고정경판(6321) 외부를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제거홀(6427a)은 상기 연장수집홈(6426a)과 마주하는 직경이 상기 고정경판(6321)의 외주면과 마주하는 직경보다 더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유출홀(6425)에 유입된 공기 또는 수분이 상기 고정제거홀(6427a)로 배출되는 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제거홀(6427a)의 직경은 상기 연장수집홈(6426a)에서 상기 고정경판(6421)의 외주면으로 갈수록 점점 더 확장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스팀압축기(610)는 상기 수집부(6426)에 수집되는 물의 양이 많아도, 상기 물(w)이 유입홀(6425)를 차폐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집부(6426)에 수집된 상기 물(w)이 상기 압축부(6400) 내부에서 잔류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w)이 부패하거나, 이물질에 엉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압축부(6400)에 물을 주입하여 세척할 경우에, 세척수를 용이하게 상기 물배출부(6427)로 원할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부(6400)에 린트 등의 이물질은 중력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 스팀압축기(6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중복되는 설명을 위해, 이하에서는 도4에 도시된 스팀압축기(610)와 다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 스팀압축기(610)는 유입홀(6425)과 상기 고정랩 (6423) 사이에 유입차단벽(64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차단벽(6428)은 상기 유입홀(6425)과 이격되되, 상기 유입홀(6425)와 마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유입홀(6425)에 유입된 공기 또는 수분은 상기 유입차단벽(6428)에 접촉된 후에 상기 고정랩(6423)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수분을 함유한 공기는 상기 유입차단벽(6428)에 먼저 차단된 후 응축될 수 있고, 상기 수집부(6426)에 우선적으로 수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입차단벽(6428)이 상기 공기 또는 수분 등에 의해 가열되면 더 이상 공기 또는 수분은 상기 유입홀(6425) 부근에서 응축되지 않고 상기 고정랩(6423)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스팀압축기(610)는 상기 회전축(6300)이 지면과 수직이거나, 지면과 이루는 경사가 45도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수분 또는 공기는 지면과 나란하거나 45 미만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상기 유입홀(6425)로 유입되는 유입된 후에(A방향), 상기 지면과 수직이거나 45도 이상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상기 배출홀(6424)에서 배출될 수 있다.(B방향)
이 경우, 상기 스팀압축기(610)에 상기 연장수집홈(6426a)가 구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응축된 물은 상기 연장수집홈(6426a)에 수집되지 않고 상기 유입홀(6425)로 흘러나오거나 상기 유입홀(6425)을 적어도 일부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집부(6426)은 상기 고정경판(621)에 상기 고정경판(6321)에서 상기 유입홀(6425)과 상기 고정랩(6423) 사이 공간이 함몰되어 구비되는 연직수집홈(6426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배출부(6427)은 상기 연직수집홈(6426b)에서 상기 연직수집홈에서 상기 고정경판부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물제거홀(6247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9는 상기 연직수집홈(6426b)과 상기 물제거홀(6247b)이 적용된 구조를 자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상기 연직수집홈(6426b)은 상기 고정경판(6421)이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연직수집홈(6426b)는 상기 고정경판(6421) 중 상기 유입홀(6425)과 마주하는 부분이 상기 회전축(6300) 방향으로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홀(6425) 부근에서 응축된 물(w)은 상기 연직수집홈(6426b)에 수집되어 상기 유입홀(6425)보다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응축된 물(w)은 상기 유입홀(6425)이나 상기 고정랩과 선회랩이 형성하는 유로를 폐쇄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물배출홀(6427b)은 상기 고정경판(6421)를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배출홀(6427b)은 상기 고정경판(6421)의 표면과 상기 연직수집홈(6426b)을 연통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직수집홈(6426b)에 수집된 물은 중력방향을 따라 자연스럽게 상기 물배출홀(6427b)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축부(6400)에 유입되는 수분 또는 공기가 응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필요가 있다. 즉, 상기 압축부(6400) 자체가 수분 또는 공기가 응축되는 것을 방지할 정도로 고온이라면 상기 수분 또는 공기가 상기 압축부(6400) 내부에서 응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0은 본 발명 스팀압축기(610)에 유입된 공기 또는 수분이 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0의 스팀압축기(610) 기본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 스팀압축기(610)는 상기 압축부(6400)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부(6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부(6450)는 압축부(6400) 전체를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압축부(6400)와 이격되어 상기 단열부(6450)의 내주면과 상기 압축부(6400)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공기 또는 수분이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공기 또는 수분이 상기 압축부(6400)로 유입되기 전에 상기 유로를 유동하면서 상기 압축부(6400)가 구동하는 열에 의해 예열되어 수분이 미리 응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압축부(6400) 자체 열을 보존하여 상기 공기 또는 수분이 상기 압축부(6400)에 유입되더라도, 상기 공기 또는 수분이 상기 압축부(6400)에 접촉되어 응축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단열부(6450)는 단열효과가 우수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스티로폼 또는 다공성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단열부(6450)은 상기 고정스크롤(6420)의 외주면을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고정스크롤(6420)보다 직경이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6450)는 상기 고정스크롤(6420)과 결합된 부분 이외에는 상기 고정스크롤(6420)과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공기 또는 수분이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열부(6450)는 상기 고정측판(6422) 중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측판(6422)과 적어도 일부가 이격되어 구비되는 단열케이스(6451)과, 상기 단열케이스(6451)를 관통하여 상기 압축부(6400)로 유입되는 공기 또는 수분이 유입될 수 있는 단열유입부(64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케이스(6451)은 상기 유입홀(6425)와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측판(6422)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단열케이스(6451)의 내주면과 상기 고정측판(6422)의 외주면은 상기 공기 또는 수분이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열케이스(6451)는 전체가 상기 고정스크롤(6420)를 수용하도록 그릇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측판(6422)만 수용하도록 상기 고정경판(6421)의 외주면과 상기 고정측판(6422)의 외주면에 끼움결합되는 링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고정경판(6421)에서 배출되는 배출홀(6424)을 간섭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1는 상기 단열부(6450)가 상기 압축부(6400)에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1는 상기 단열부(6450)가 상기 연장수집홈(6426a)이 설치된 압축부(6400)에 적용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상기 연직수집홈(6426b)가 설치된 압축부(6400)에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도12를 참조하면, 상기 단열유입부(6452)는 상기 회전축(6300)을 기준으로 상기 유입홀(6425)에서 일정각도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열유입부(6452)는 상기 유입홀(6425)과 마주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홀(6425)에서 유로상으로 가장 멀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단열유입부(6425)와 상기 유입홀(6425)은 상기 회전축(6300)을 기준으로 둔각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180도로 이격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단열유입부(6452)로 유입된 공기는 최대한 상기 압축부(6400)에 접촉된 후에 상기 유입홀(6425)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또는 수분은 상기 단열유입부(6425)로 유입된 후 상기 유입홀(6425)로 유입되기 까지 상기 압축부(6400)에서 발생한 열로 충분히 예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또는 수분이 상기 압축부(6400)를 충분히 예열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압축부(6400)가 가동하면서 상기 공기 또는 수분이 상기 유입홀(6425)로 유입되기 까지 충분히 예열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유입홀(6425)에 유입된 공기 또는 수분은 상기 유입홀(6425)에서 일부 냉각되더라도 수분이 응축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부(6400)가 예열되어 상기 공기 또는 수분이 상기 유입홀(6425)에서부터 냉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열부(6450)를 통과하는 공기 또는 수분은 상기 단열부(6450)와 접촉되어 응축되거나, 상기 압축부(6400)와 접촉되는 과정에서 상기 압축부(6400)를 예열시키면서 미리 응축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단열부(6450)와 상기 고정스크롤(6420) 사이에서 응축되는 물(W)은 상기 단열부(6450) 중 가장 낮은 부분으로 수집될 수 있다. (D방향)
상기 단열부(6450)에 수집된 물이 많은 경우에는 상기 물이 오히려 상기 공기 또는 수분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단열부(6450)는 상기 단열케이스에 응축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열제거부(64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제거부(6453)는 상기 단열부(6450)를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단열부(6450) 중 가장 낮은 부분을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단열부(6450) 내부에서 응축된 물을 신속히 제거하여, 상기 유입홀(6425)로 공기 또는 수분이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열제거부(6453)는 물 배출부(6427)과 마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물배출부(6427)에서 C방향으로 토출되는 물은 바로 상기 단열제거부(6453)를 통해 상기 압축기(6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스팀압축기(610)는 수분이 내부에 적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분을 포함한 공기를 압축하더라도 상기 수분이 내부에서 물로 응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 스팀압축기(610)는 압축기 내부에 수분이 응축되더라도 공기 또는 수분을 지속적으로 흡입하여 압축할 수 있다.
상기 스팀압축기(610)는 전술한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의류처리장치 외에 수분을 별도로 압축하는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캐비닛 200 드럼 300 구동부
400 건조덕트 500 베이스 600 분지가열부
700 외기유입부 800 압력유지관

Claims (19)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수분을 포함한 공기를 압축하도록 구비되는 압축부;
    상기 압축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에서 응축된 물을 수집하는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부는
    상기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홀과,
    상기 공기가 압축되어 배출되는 배출홀과,
    상기 유입홀에서 상기 배출홀까지 연장되어 상기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부는 상기 유입홀에서 상기 유로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압축부 내부 일면이 함몰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압축부 중 중력방향과 대응되는 부분이 함몰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선회경판부와, 상기 선회경판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선회랩을 포함하는 선회스크롤과,
    상기 선회스크롤과 마주하는 고정경판와, 상기 고정경판에 연장되어 상기 선회랩과 맞물려 상기 공기를 압축하도록 구비되는 고정랩과, 상기 고정경판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공기를 공급받는 유입홀을 포함하는 고정스크롤을 포함하고,
    상기 수집부는 상기 고정경판에서 상기 유입홀의 일측에 함몰되어 구비되는 연장수집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수집홈은 상기 유입홀에서 상기 고정랩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함몰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수집홈에서 상기 고정경판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고정제거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지면과 경사지거나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연장수집홈은 상기 고정경판에서 상기 지면을 향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고정경판에서 상기 유입홀과 상기 고정랩 사이 공간이 함몰되어 구비되는 연직수집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직수집홈은 상기 고정경판에서 상기 회전축을 향하여 함몰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직수집홈에서 상기 고정경판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물제거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스크롤은
    상기 유입홀의 일부를 차폐하여 상기 공기와 접촉되도록 유도하도록 상기 고정경판에서 연장되는 유입차단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와 결합되어 상기 압축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는
    상기 압축부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부로 유입되는 상기 공기를 상기 압축부 내부로 안내하는 단열케이스와 ,
    상기 단열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단열케이스 내부로 상기 공기로 유입하는 단열 유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상기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열유입부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유입홀에서 일정각도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는
    상기 단열케이스에 응축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단열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8. 삭제
  19.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과 연결되어 상기 의류에서 배출된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부;
    상기 순환부를 유동하는 상기 공기의 일부를 추출하는 분지관과, 상기 분지관으로 유입된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순환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상기 공기로 상기 순환부를 순환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공급부를 포함하는 분지가열부;
    상기 캐비닛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압축기와 상기 열공급부를 통과한 상기 공기를 냉각하는 열회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수분을 포함한 공기를 압축하도록 구비되는 압축부;
    상기 압축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에서 응축된 물을 수집하는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부는
    상기 분지관으로 유입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홀과,
    상기 공기가 압축되어 배출되는 배출홀과,
    상기 유입홀에서 상기 배출홀까지 연장되어 상기 공기가 이동하는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부는 상기 유입홀에서 상기 유로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00006012A 2020-01-16 2020-01-16 압축기 또는 상기 압축기가 적용된 의류처리장치 KR102431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012A KR102431981B1 (ko) 2020-01-16 2020-01-16 압축기 또는 상기 압축기가 적용된 의류처리장치
PCT/KR2020/017816 WO2021145561A1 (en) 2020-01-16 2020-12-08 Compresso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compres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012A KR102431981B1 (ko) 2020-01-16 2020-01-16 압축기 또는 상기 압축기가 적용된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516A KR20210092516A (ko) 2021-07-26
KR102431981B1 true KR102431981B1 (ko) 2022-08-12

Family

ID=76864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012A KR102431981B1 (ko) 2020-01-16 2020-01-16 압축기 또는 상기 압축기가 적용된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1981B1 (ko)
WO (1) WO202114556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62933A (ja) * 2016-10-12 2018-04-19 三浦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流体機械
JP2018135855A (ja) * 2017-02-23 2018-08-30 アネスト岩田株式会社 スクロール流体機械及びスクロール流体機械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3506U (ko) * 1974-11-15 1976-05-19
JP2004332557A (ja) * 2003-04-30 2004-11-25 Tokico Ltd スクロール式流体機械
DK179480B1 (en) * 2016-06-10 2018-12-12 Force Technology Dryer and method of dry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62933A (ja) * 2016-10-12 2018-04-19 三浦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流体機械
JP2018135855A (ja) * 2017-02-23 2018-08-30 アネスト岩田株式会社 スクロール流体機械及びスクロール流体機械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45561A1 (en) 2021-07-22
KR20210092516A (ko) 202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966B1 (ko) 의류처리장치
JP4386894B2 (ja) 乾燥機
EP2891742B1 (en) Clothes dryer
JP4326445B2 (ja) 洗濯乾燥機
JP4386895B2 (ja) 乾燥機
EP3294943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233698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31981B1 (ko) 압축기 또는 상기 압축기가 적용된 의류처리장치
JP2008183298A (ja) 衣類乾燥装置および同装置を備えた洗濯乾燥機
KR10237098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04188B1 (ko) 의류처리장치
JP3956825B2 (ja) 洗濯乾燥機
KR102366464B1 (ko) 의류처리장치
JP2016123770A (ja) 洗濯乾燥機
JP2015107307A (ja) 衣類乾燥機
KR20120014428A (ko) 의류건조기
KR101174656B1 (ko) 증기압축 사이클 시스템을 구비하는 의류 건조기
JP2017217046A (ja) 洗濯乾燥機
KR100565506B1 (ko) 세탁기
KR100595760B1 (ko) 증기압축 사이클 시스템을 구비하는 의류 건조기
KR100595762B1 (ko) 증기압축 사이클 시스템을 구비하는 의류 건조기
KR100595761B1 (ko) 증기압축 사이클 시스템을 구비하는 의류 건조기
JP2013081637A (ja) 衣類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