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1157B1 - 감온성 점착제 - Google Patents

감온성 점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1157B1
KR102431157B1 KR1020180033189A KR20180033189A KR102431157B1 KR 102431157 B1 KR102431157 B1 KR 102431157B1 KR 1020180033189 A KR1020180033189 A KR 1020180033189A KR 20180033189 A KR20180033189 A KR 20180033189A KR 102431157 B1 KR102431157 B1 KR 102431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sensitive adhesive
acrylate
meth
crystalline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8517A (ko
Inventor
타쿠미 카토
미노루 난치
신이치로 카와하라
Original Assignee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8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9J1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과제) 내열성 및 고온으로 가열된 후의 박리성이 우수한 감온성 점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함유하고, 상기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점착력이 저하되는 감온성 점착제로서, 상기 측쇄 결정성 폴리머는 탄소수 16 이상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를 모노머 성분으로서 포함하고, 스티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점착 부여제를 더 함유하는 감온성 점착제이다.

Description

감온성 점착제{TEMPERATURE SENSITIVE ADHESIVE}
본 발명은 감온성 점착제에 관한 것이다.
감온성 점착제는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고 있고,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융점 미만의 온도로 냉각되면, 측쇄 결정성 폴리머가 결정화됨으로써 점착력이 저하되는 점착제이다. 감온성 점착제는 시트, 테이프 등으로 가공되어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PD) 등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유리,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판을 가고정할 때에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감온성 점착제는 공정에 따라서는 200℃ 이상, 특히 250℃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되는 일이 있으므로, 내열성이 요구된다. 구체적으로는, 250℃ 이상의 고온에 있어서의 기판의 들뜸 억제 등이 요구된다. 또한 250℃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된 후의 박리성도 요구된다.
일본 특허공개 2012-102212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내열성 및 고온으로 가열된 후의 박리성이 우수한 감온성 점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감온성 점착제는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함유하고, 상기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점착력이 저하되는 것으로서, 상기 측쇄 결정성 폴리머는 탄소수 16 이상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를 모노머 성분으로서 포함하고, 스티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점착 부여제를 더 함유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내열성 및 고온으로 가열된 후의 박리성이 우수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있어서의 열중량 분석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감온성 점착제>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감온성 점착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감온성 점착제는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함유한다. 측쇄 결정성 폴리머는 융점을 갖는 폴리머이다. 융점이란 어떤 평형 프로세스에 의해, 처음에는 질서 있는 배열로 정합되어 있던 중합체의 특정 부분이 무질서 상태가 되는 온도이며, 시차 열주사 열량계(DSC)를 이용하여, 10℃/분의 측정 조건으로 측정해서 얻어지는 값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측쇄 결정성 폴리머는 상술한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결정화되고, 또한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는 상전이해서 유동성을 나타낸다. 즉, 측쇄 결정성 폴리머는 온도변화에 대응해서 결정 상태와 유동 상태를 가역적으로 일으키는 감온성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감온성 점착제는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점착력이 저하된다. 바꿔 말하면, 본 실시형태의 감온성 점착제는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측쇄 결정성 폴리머가 결정화되었을 때에 점착력이 저하되는 비율로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함유한다. 즉, 본 실시형태의 감온성 점착제는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한다. 따라서, 감온성 점착제로부터 피착체를 박리할 때는 감온성 점착제를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융점 미만의 온도로 냉각하면, 측쇄 결정성 폴리머가 결정화됨으로써 점착력이 저하된다. 또한 감온성 점착제를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융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면, 측쇄 결정성 폴리머가 유동성을 나타냄으로써 점착력이 회복되므로,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다.
측쇄 결정성 폴리머는 탄소수 16 이상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모노머 성분으로서 포함한다. 탄소수 16 이상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는 그 탄소수 16 이상의 직쇄상 알킬기가 측쇄 결정성 폴리머에 있어서의 측쇄 결정성 부위로서 기능한다. 즉, 측쇄 결정성 폴리머는 측쇄에 탄소수 16 이상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빗형의 폴리머이며, 이 측쇄가 분자간력 등으로 질서 있는 배열로 정합됨으로써 결정화된다.
탄소수 16 이상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 들면 세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에이코실(메타)아크릴레이트, 베헤닐(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탄소수 16∼22의 선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예시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1종만을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또, (메타)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모노머 성분 중, 즉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구성하는 전체 모노머 성분 중에 있어서의 탄소수 16 이상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비율은 예를 들면 10∼55중량%이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의 측쇄 결정성 폴리머는 탄소수 16 이상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에 추가해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를 모노머 성분으로서 포함한다. 바꿔 말하면, 본 실시형태의 측쇄 결정성 폴리머는 적어도, 탄소수 16 이상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이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감온성 점착제는 측쇄 결정성 폴리머에 추가해서, 스티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점착 부여제를 더 함유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우수한 내열성을 발휘할 수 있어 고온으로 가열된 후의 박리성이 우수하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구체적으로는, 기판 등의 피착체를 고정한 상태에서 250℃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되어도 피착체의 들뜸 발생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측정 방법으로 측정해서 얻어지는 250℃에서 1시간을 거친 후의 5℃에 있어서의 폴리이미드 필름에 대한 180°박리강도가 0.15N/25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1N/25mm 이하가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감온성 점착제는 FPD의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기판의 가고정용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내열성 및 고온으로 가열된 후의 박리성이 우수하다는 효과가 얻어지는 이유로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추찰된다. 통상, 고온으로 가열되면 응집력이 저하되어 유동성이 증가하므로, 내열성이 저하되기 쉽고, 또한 측쇄 결정성 폴리머가 결정화되었을 때에 발현되는 앵커 효과가 강해져서 박리성도 저하되기 쉽다. 감온성 점착제를 상술한 구성으로 하면, 200℃ 이상, 특히 250℃ 이상의 고온에 있어서 열열화되기 어려워진다. 고온에 있어서 열열화되기 어려워지면, 고온에서 응집력이 저하되기 어려워지는 점에서 우수한 내열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고온으로 가열되어도 유동성의 증가가 적어 측쇄 결정성 폴리머가 결정화되었을 때에 극단적인 앵커 효과가 발현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고온으로 가열된 후라도 우수한 박리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술한 모노머 성분 중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는 주로 감온성 점착제에 응집력을 부여하는 성분으로서 기능한다. 모노머 성분 중에 있어서의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의 비율은, 예를 들면 10∼85중량%이다.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모노머 성분 중에 가장 많은 비율로 포함할 때는 내열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는 주로 감온성 점착제의 내열성을 높이는 성분으로서 기능한다. 모노머 성분 중에 있어서의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의 비율은, 예를 들면 5∼35중량%이다.
상술한 점착 부여제는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시판의 점착 부여제로서는, 예를 들면 야스하라케미컬사제의 「YS레진SX100」 등을 들 수 있다.
점착 부여제는 측쇄 결정성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해서, 예를 들면 1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20∼10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0∼50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된다.
점착 부여제의 연화점은, 예를 들면 90∼110℃, 바람직하게는 95∼105℃이다. 연화점은 JIS K 5902에 규정되는 환구법에 따라서 측정되는 값이다.
한편,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구성하는 모노머 성분에는 상술한 모노머 이외의 다른 모노머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다른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극성 모노머, 반응성 불소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극성 모노머를 모노머 성분으로서 포함하면, 감온성 점착제의 점착 물성을 조정할 수 있다. 극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말산 등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실기를 갖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예시한 극성 모노머는 1종만을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모노머 성분 중에 있어서의 극성 모노머의 비율은, 예를 들면 1∼10중량%이다.
극성 모노머를 모노머 성분으로서 더 포함할 때, 모노머 성분 중에 있어서의 각모노머의 비율은, 예를 들면 탄소수 16 이상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가 9∼45중량%,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가 10∼85중량%,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가 5∼35중량%, 및 극성 모노머가 1∼10중량%이다.
반응성 불소 화합물을 모노머 성분으로서 포함하면, 감온성 점착제를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융점 미만의 온도로 냉각하면, 측쇄 결정성 폴리머가 결정화되는 것에 의한 점착력의 저하에 추가해서, 불소 화합물에 기인하는 이형성도 가해지므로, 점착력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반응성 불소 화합물이란 반응성을 나타내는 관능기를 갖는 불소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반응성을 나타내는 관능기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기(글리시딜기 및 에폭시시클로알킬기를 포함한다), 메르캅토기, 카르비놀기(메티롤기), 카르복실기, 실라놀기, 페놀기, 아미노기, 수산기,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기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기로서는, 예를 들면 비닐기, 알릴기, (메타)아크릴기, (메타)아크릴로일기,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반응성 불소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18028730014-pat00001
[식 중, R1은 기:CH2=CHCOOR2- 또는 CH2=C(CH3)COOR2-(식 중, R2는 알킬렌기를 나타낸다.)을 나타낸다.]
R2가 나타내는 알킬렌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렌기, 에틸렌기, 트리메틸렌기, 프로필렌기, 테트라메틸렌기, 펜타메틸렌기, 헥사메틸렌기 등의 탄소수 1∼6의 직쇄 또는 분기된 알킬렌기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I)으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식(Ia)으로 나타내어지는 2,2,2-트리플루오로에틸아크릴레이트, 식(Ib)으로 나타내어지는 2,2,2-트리플루오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112018028730014-pat00002
상술한 반응성 불소 화합물은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시판의 반응성 불소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모두 오사카 유키 가가쿠고교사제의 「비스코트3F」, 「비스코트3FM」, 「비스코트4F」, 「비스코트8F」, 「비스코트8FM」, Kyoeisha Chemical Co., Ltd.제의 「라이트 에스테르M-3F」 등을 들 수 있다.
반응성 불소 화합물은 1종만을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모노머 성분 중에 있어서의 반응성 불소 화합물의 비율은, 예를 들면 1∼10중량%이다.
상술한 극성 모노머 및 반응성 불소 화합물을 모노머 성분으로서 더 포함할 때, 모노머 성분 중에 있어서의 각 모노머의 비율은, 예를 들면 탄소수 16 이상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가 8∼35중량%,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가 10∼85중량%,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가 5∼35중량%, 극성 모노머가 1∼10중량%, 및 반응성 불소 화합물이 1∼10중량%이다.
모노머의 중합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용액 중합법, 괴상 중합법, 현탁 중합법, 유화 중합법 등을 들 수 있다. 용액 중합법을 채용할 경우에는, 모노머와 용매를 혼합하고, 필요에 따라 중합개시제, 연쇄이동제 등을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40∼90℃ 정도에서 2∼10시간 정도 반응시키면 좋다.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예를 들면 100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000∼9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00∼700000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로 측정하고, 얻어진 측정값을 폴리스티렌 환산한 값이다.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융점은, 예를 들면 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60℃이다. 융점은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조성 등을 바꿈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감온성 점착제는 가교제를 더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아지리딘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예시한 가교제 중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을 채용하면,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다가 금속의 아세틸아세톤 배위 화합물, 다가 금속의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테르 배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금속으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니켈, 크롬, 철, 티타늄, 아연, 코발트, 망간, 지르코늄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은 1종만을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알루미늄의 아세틸아세톤 배위 화합물 또는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테르 배위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알루미늄트리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가교제의 함유량은 측쇄 결정성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해서, 예를 들면 0.1∼10중량부이다.
가교반응은 감온성 점착제에 가교제를 첨가한 후, 가열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온도가 90∼110℃ 정도이며, 시간이 1분∼20분 정도이다.
상술한 감온성 점착제의 사용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그대로 사용해도 좋고, 하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점착 시트, 점착 테이프 등의 형태로 사용해도 좋다.
<감온성 점착 시트>
본 실시형태의 감온성 점착 시트는 상술한 감온성 점착제를 포함하는 것이며, 기재리스의 시트상이다. 감온성 점착 시트의 두께는, 예를 들면 5∼100㎛, 바람직하게는 5∼50㎛이다.
감온성 점착 시트의 표면에는 이형 필름을 적층해도 좋다. 이형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의 표면에 실리콘 등의 이형제를 도포한 것을 들 수 있다. 이형 필름의 두께는, 예를 들면 5∼500㎛, 바람직하게는 25∼250㎛이다. 이형 필름은 감온성 점착 시트의 사용시에 박리된다.
<감온성 점착 테이프>
본 실시형태의 감온성 점착 테이프는 필름상의 기재와, 기재의 적어도 편면에 적층되어 있는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있다. 필름상이란 필름상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실시형태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필름상 내지 시트상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기재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등의 합성수지를 들 수 있다.
기재의 구조는 단층 구조 또는 다층 구조 어느 것이어도 좋다. 기재의 두께는, 예를 들면 5∼500㎛, 바람직하게는 25∼250㎛이다. 기재는 점착제층에 대한 밀착성을 높인 후에 표면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표면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블라스트 처리, 케미컬 에칭 처리, 프라이머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기재의 적어도 편면에 적층되어 있는 점착제층은 상술한 감온성 점착제를 포함하는 것이다. 점착제층을 기재의 적어도 편면에 적층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감온성 점착제에 용제를 추가해서 도포액을 조제하고, 얻어진 도포액을 코터 등으로 기재의 편면 또는 양면에 도포해서 건조시키면 좋다. 코터로서는, 예를 들면 나이프 코터, 롤 코터, 캘린더 코터, 콤마 코터, 그라비어 코터, 로드 코터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예를 들면 5∼100㎛, 바람직하게는 5∼50㎛이다.
기재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적층할 경우에는, 편면의 점착제층과 타면의 점착제층은 서로의 두께, 조성 등이 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또한 편면의 점착제층이 상술한 감온성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한, 타면의 점착제층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타면의 점착제층은, 예를 들면 감압성 접착제로 구성할 수도 있다. 감압성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천연 고무 접착제, 합성 고무 접착제,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 베이스 접착제, 아크릴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감온성 점착 테이프의 표면에는 이형 필름을 적층해도 좋다. 이형 필름으로서는 상술한 감온성 점착 시트에서 예시한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이형 필름은 감온성 점착 테이프의 사용시에 박리된다.
이하, 합성예 및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합성예 및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예 1∼3 및 비교 합성예:측쇄 결정성 폴리머)
우선, 표 1에 나타내는 모노머를 표 1에 나타내는 비율로 반응 용기에 첨가했다. 표 1에 나타내는 모노머는 이하와 같다.
C18A:스테아릴아크릴레이트
C22A:베헤닐아크릴레이트
C1A:메틸아크릴레이트
FA513AS:히타치카세이사제의 디시클로펜타닐아크릴레이트 「FA-513AS」
AA:아크릴산
V3F:상술한 식(Ia)으로 나타내어지는 2,2,2-트리플루오로에틸아크릴레이트인 오사카 유키 가가쿠고교사제의 반응성 불소 화합물 「비스코트3F」
다음에 고형분 농도가 30중량%가 되도록 아세트산 에틸:톨루엔=75:25(중량비)의 혼합 용매를 반응 용기에 첨가하고, 혼합액을 얻었다. 얻어진 혼합액을 55℃에서 4시간 교반함으로써 각 모노머를 공중합시켜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얻었다.
합성예 1∼3 및 비교 합성예에서 얻어진 각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융점을 표 1에 나타낸다. 또,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로 측정해서 얻어진 측정값을 폴리스티렌 환산한 값이다. 융점은 DSC를 이용하여 10℃/분의 측정 조건으로 측정한 값이다.
Figure 112018028730014-pat00003
[실시예 1∼5 및 비교예 1∼3]
<감온성 점착 시트의 제작>
우선, 합성예 1∼3 및 비교 합성예에서 얻어진 각각의 측쇄 결정성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해서, 표 2에 나타내는 점착 부여제를 표 2에 나타내는 비율로 혼합했다. 표 2에 나타내는 점착 부여제는 이하와 같다.
스티렌 수지:연화점이 95∼105℃인 야스하라케미컬사제의 「YS레진SX100」
로진:연화점이 150∼170℃인 아라카와 가가쿠고교사제의 로진에스테르 「D-160」
다음에 측쇄 결정성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해서, 가교제를 3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고, 감온성 점착제를 얻었다. 사용한 가교제는 이하와 같다.
가교제:금속 킬레이트 화합물인 가와켄화인케미칼사제의 알루미늄트리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
다음에 얻어진 감온성 점착제를 아세트산 에틸에 의해 고형분 농도가 30중량%가 되도록 조정하고, 도포액을 얻었다. 그리고, 얻어진 도포액을 이형 필름 상에 도포하고, 100℃×10분의 조건으로 가교반응을 행하고, 두께 25㎛의 감온성 점착 시트를 얻었다. 또, 이형 필름은 표면에 실리콘이 도포된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했다.
<평가>
실시예 1∼5 및 비교예 1∼3에서 얻어진 각 감온성 점착 시트에 대해서 180°박리강도 및 내열성을 평가했다. 또한 실시예 3 및 비교예 1∼3에서 얻어진 각 감온성 점착 시트에 대해서 열중량 분석(TGA)을 평가했다. 각 평가 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또한 180°박리강도 및 내열성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고, 열중량 분석의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180°박리강도)
50℃, 200℃, 250℃ 및 5℃에 있어서의 폴리이미드 필름에 대한 180°박리강도를 JIS Z0237에 준거해서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50℃의 분위기 온도에 있어서, 감온성 점착 시트를 2kg의 고무 롤러를 사용해서 유리판에 점착했다. 다음에 200℃×10분의 조건으로 감온성 점착 시트를 탈가스 처리했다. 그 후에 분위기 온도를 50℃로 내리고, 이 분위기 온도에서 감온성 점착 시트에 폴리이미드 필름을 부착해서 시험편을 얻었다.
얻어진 시험편을 이하의 조건으로 한 후, 로드셀을 이용하여 300mm/분의 속도로 폴리이미드 필름을 감온성 점착 시트로부터 180°박리했다(n=3).
[50℃]
시험편을 50℃의 분위기 온도에 20분간 정치한 후에 180°박리했다.
[200℃]
시험편을 200℃의 핫플레이트 위에 20분간 적재한 후에 180°박리했다.
[250℃]
시험편을 250℃의 핫플레이트 위에 20분간 적재한 후에 180°박리했다.
[5℃]
시험편을 250℃의 핫플레이트 위에 1시간 적재한 후, 또한 5℃의 쿨플레이트 위에 20분간 적재하고나서 180°박리했다.
(내열성)
우선, 상술한 180°박리강도의 평가와 동일하게 해서 시험편을 얻었다. 다음에 얻어진 시험편을 50℃에서 3분간 정치한 후, 250℃의 열풍 순환 오븐 내에서 30분간 가열했다. 그리고, 시험편의 상태를 실온(23℃)에서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써 내열성을 평가했다. 평가기준은 이하와 같이 설정했다.
○:폴리이미드 필름에 들뜸이 보여지지 않았다.
×:폴리이미드 필름에 들뜸이 보여졌다.
(열중량 분석)
실시예 3 및 비교예 1∼3에서 얻어진 각 감온성 점착 시트에 대해서 온도변화에 따른 중량변화를 측정했다. 측정 조건은 이하와 같다.
측정기기:히타치 하이테크사제의 「TG/DTA6200」
가온범위:30∼300℃
승온 레이트:10℃/분
기타:250ml/분의 질소 분위기 하
Figure 112018028730014-pat00004
표 2로부터 명백하듯이, 실시예 1∼5는 50∼250℃에 있어서의 180°박리강도의 값이 높고, 250℃를 거친 후의 5℃에 있어서의 180°박리강도의 값이 낮아 내열성도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로부터 명백하듯이, 실시예 3은 200℃ 이상, 특히 250℃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되었을 때의 열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측쇄 결정성 폴리머를 함유하고, 상기 측쇄 결정성 폴리머의 융점 미만의 온도에서 점착력이 저하되는 감온성 점착제로서,
    상기 측쇄 결정성 폴리머는 탄소수 16 이상의 직쇄상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를 모노머 성분으로서 포함하고,
    스티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점착 부여제를 더 함유하는 감온성 점착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를 모노머 성분 중에 5∼35중량%의 비율로 포함하는 감온성 점착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부여제를 측쇄 결정성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해서 20∼5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하는 감온성 점착제.
  4. 제 1 항에 있어서,
    250℃에서 1시간을 거친 후의 5℃에 있어서의 폴리이미드 필름에 대한 180°박리강도가 0.15N/25mm 이하인 감온성 점착제.
  5. 제 1 항에 있어서,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의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기판의 가고정용인 감온성 점착제.
  6. 제 1 항에 기재된 감온성 점착제를 포함하는 감온성 점착 시트.
  7. 필름상의 기재와,
    상기 기재의 적어도 편면에 적층되어 있고 제 1 항에 기재된 감온성 점착제를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감온성 점착 테이프.
KR1020180033189A 2017-04-21 2018-03-22 감온성 점착제 KR1024311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84435 2017-04-21
JP2017084435A JP6792509B2 (ja) 2017-04-21 2017-04-21 感温性粘着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517A KR20180118517A (ko) 2018-10-31
KR102431157B1 true KR102431157B1 (ko) 2022-08-10

Family

ID=63939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189A KR102431157B1 (ko) 2017-04-21 2018-03-22 감온성 점착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92509B2 (ko)
KR (1) KR102431157B1 (ko)
CN (1) CN108727996B (ko)
TW (1) TWI7400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41847B (zh) * 2019-04-24 2021-06-25 厦门市豪尔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温控性粘离胶及包含其的温控性粘离膜
CN116355559A (zh) * 2021-12-28 2023-06-30 南京清尚新材料科技有限公司 用于低温剥离的压敏粘合剂和粘合片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4979A (ja) 2009-02-10 2010-08-26 Nitta Ind Corp 感温性粘着テープ
JP2015135628A (ja) 2014-01-17 2015-07-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用積層体、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WO2016158413A1 (ja) 2015-04-01 2016-10-06 ニッタ株式会社 感温性粘着剤組成物
JP2016196544A (ja) 2015-04-03 2016-11-24 ニッタ株式会社 感温性粘着剤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700B1 (ko) * 2009-02-16 2016-07-14 니타 가부시키가이샤 감온성 점착제 및 감온성 점착 테이프
JP5639446B2 (ja) 2010-11-09 2014-12-10 ニッタ株式会社 易剥離性粘着シートおよび易剥離性粘着テープ
JP6229256B2 (ja) * 2011-10-31 2017-11-15 日立化成株式会社 感光性エレメント、レジストパターンの形成方法及び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6011407B2 (ja) * 2013-03-22 2016-10-19 東亞合成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製フィルム又はシート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接着剤組成物
US10005938B2 (en) * 2013-05-24 2018-06-26 Nitta Corporation Thermosensitive adhesive
JP6101165B2 (ja) * 2013-06-27 2017-03-22 積水フーラー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
CN106103632B (zh) * 2014-03-18 2020-07-17 胡网加成股份有限公司 辐射固化树脂组合物
JP6546910B2 (ja) * 2014-03-25 2019-07-17 ニッタ株式会社 感温性粘着剤
JP6289960B2 (ja) * 2014-03-27 2018-03-07 ニッタ株式会社 感温性粘着剤
JP6695271B2 (ja) * 2014-04-04 2020-05-20 ニッタ株式会社 側鎖結晶性ポリマー、感温性粘着剤、感温性粘着シートおよび感温性粘着テープ
JP6635727B2 (ja) * 2015-01-22 2020-01-29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シート
KR102036278B1 (ko) * 2015-07-21 2019-10-25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용 점착제 조성물 및 광학용 점착 필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4979A (ja) 2009-02-10 2010-08-26 Nitta Ind Corp 感温性粘着テープ
JP2015135628A (ja) 2014-01-17 2015-07-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用積層体、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WO2016158413A1 (ja) 2015-04-01 2016-10-06 ニッタ株式会社 感温性粘着剤組成物
JP2016196544A (ja) 2015-04-03 2016-11-24 ニッタ株式会社 感温性粘着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727996A (zh) 2018-11-02
JP6792509B2 (ja) 2020-11-25
TWI740022B (zh) 2021-09-21
CN108727996B (zh) 2021-08-06
TW201843275A (zh) 2018-12-16
JP2018178057A (ja) 2018-11-15
KR20180118517A (ko) 2018-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7533B1 (ko) 감온성 점착제
KR102344755B1 (ko) 감온성 점착제
KR101825980B1 (ko) 감온성 점착제
JP7460451B2 (ja) 感温性粘着剤
JP6546910B2 (ja) 感温性粘着剤
JP2011037944A (ja) 感温性粘着剤および感温性粘着テープ
KR102431157B1 (ko) 감온성 점착제
KR102655512B1 (ko) 감온성 점착제, 감온성 점착 시트 및 감온성 점착 테이프
JP2018178060A (ja) 感温性粘着剤
JP6479540B2 (ja) 感温性粘着剤
KR20170113269A (ko) 감온성 점착제
KR20170113401A (ko) 감온성 점착제
KR102652136B1 (ko) 감온성 점착제, 감온성 점착 시트 및 감온성 점착 테이프
JP2002155254A (ja) 再剥離型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