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061B1 -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9061B1
KR102429061B1 KR1020170146055A KR20170146055A KR102429061B1 KR 102429061 B1 KR102429061 B1 KR 102429061B1 KR 1020170146055 A KR1020170146055 A KR 1020170146055A KR 20170146055 A KR20170146055 A KR 20170146055A KR 102429061 B1 KR102429061 B1 KR 102429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ap pocket
holder
opened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0542A (ko
Inventor
유동근
이상헌
김정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6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061B1/ko
Publication of KR20190050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093Weight arrangements in locks; gravity activated lock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1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항 방향으로 개폐되는 차량의 도어에 출납되도록 설치되면서 도어 개방시 도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도어(2)의 내부에 출납가능하게 설치되는 맵포켓(11)과, 상기 도어(2)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시 중력에 의해 상기 맵포켓(11)의 일측에 결합되면서, 상기 맵포켓(11)의 개방을 제한하는 맵포켓 구속부(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MAP POCKET ASSEMBLY FOR DOOR OPENABLE UPWARD}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개폐되는 차량의 도어에 적용되는 맵포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항 방향으로 개폐되는 차량의 도어에 출납되도록 설치되면서 도어 개방시 도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도어에는 각종 물건을 수납하게 위한 맵포켓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맵포켓은 물건을 상하방향으로 출납할 수 있도록 상단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탑승자가 각종 물건을 수납하여 보관하거나,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차량의 도어는 통상적으로 힌지축이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차량의 좌우측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스윙도어가 적용되거나, 지면과 평행하게 슬라이딩하면서 개폐되는 슬라이딩식 도어가 주로 적용되고 있으나, 일부 차량(1)의 경우에는 상기 도어가 상하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하고 있다.
예컨대, 버터플라이 도어(Butterfly Door), 시저도어 (Scissor Door), 걸윙 도어(Gullwing Door) 등은 도어가 상하 방향으로 개폐된다. 상기 버터플라이 도어(2)는 상기 도어(2)의 후단이 상승하면서 도어(2) 전체가 벌어지도록 개방되고, 상기 시저도어는 상기 도어의 후단이 상승하면서 개방되며, 상기 시저도어는 상기 도어의 후단이 지면과 수직한 면을 따라 상승하면서 개방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상하 개폐식 도어(2)는 상기 도어(2)의 개방시 상기 도어(2)에 형성된 맵포켓(111)으로부터 상기 맵포켓(111)에 수납된 물건이 쏟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에는 버터플라이 도어(2)가 적용된 차량(1)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1과 같이, 버터플라이 도어(2)가 개방되면, 상기 맵포켓(111)에 수납된 물건이 쏟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는 '자동차 도어의 맵포켓'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KR 10-1294142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상하 개방식 도어에서 각종 물건을 수납하는 맵포켓을 도어로부터 인출되게 설치하고, 상기 도어의 개방시 맵포켓이 인출되는 것을 구속하여, 상기 맵포켓의 내부에 수용된 물건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도어의 내부에 출납가능하게 설치되는 맵포켓과,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시 중력에 의해 상기 맵포켓의 일측에 결합되면서, 상기 맵포켓의 개방을 제한하는 맵포켓 구속부를 포함한다.
상기 맵포켓의 일측에는 상기 맵포켓으로부터 상기 도어의 후단을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되는 잠금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맵포켓 구속부는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중력에 의해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잠금돌기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맵포켓 구속부는, 상기 도어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도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는 홀더와, 일부는 상기 홀더의 내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잠금돌기에 결합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홀더에 수용되고 상기 홀더의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도어의 개방시 상기 잠금돌기에 결합되는 돌기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에 상기 홀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부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릿에 끼워져. 상기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잠금돌기의 외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돌기 결합부의 내경은 상기 잠금돌기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 결합부에 상기 돌기 결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돌기가 상기 맵포켓과 연결되는 부위가 상기 슬릿에 끼워져 상기 돌기 결합부와 상기 잠금돌기의 결합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의 전단과 상기 돌기 결합부의 후단 사이에는 상기 도어의 폐쇄시 상기 돌기 결합부가 상기 잠금돌기와 분리되도록 상기 스토퍼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의 후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에 홀더 체결너트가 체결되어 상기 홀더가 상기 도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가 상기 도어에 체결되는 부위에는 상기 홀더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조립돌기가 상기 홀더의 둘레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도어에는 상기 조립돌기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의 개방시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스토퍼가 상기 잠금돌기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구속해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속해제수단은, 상기 스토퍼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홀더를 관통하는 와이어와, 상기 도어의 표면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브는 그 둘레가 상기 도어의 표면과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의 후단은 상기 홀더의 내경으로부터 외경 쪽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맵포켓은, 상부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도어에 형성된 맵포켓 수납부에 하단이 힌지연결되어 상단이 회전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맵포켓은, 상부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도어에 형성된 맵포켓 수납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출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후단이 전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승하면서 도어 전체가 벌어지도록 개방되는 버터플라이 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후단이 전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지면과 수직한 면을 따라 개방되는 시저 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에 따르면, 맵포켓을 도어의 내부에 장착하여 사용시 인출되도록 설치하고, 도어의 오픈시 상기 맵포켓을 구속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맵포켓으로부터 내용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한다.
도 1은 버터플라이 도어가 적용된 차량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맵포켓 어셈블리가 적용된 상하 개폐식 도어의 도어 트림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에서 회전식으로 인출되는 맵포켓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에서 서랍식으로 인출되는 맵포켓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의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상하 개폐식 도어의 폐새시 본 발명에 따른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상하 개폐식 도어의 개방시 본 발명에 따른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에서 잠금해제 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에서 도어 폐쇄시 잠금해제 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에서 도어 폐쇄시 잠금해제 수단을 작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가 적용된 도어(2)는 대략적으로 도 2와 같은 레이아웃을 갖는다.
맵포켓(11)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차량의 도어(2)에 설치된다.
상기 도어(2)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도어(2)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도어(2)의 후단이 전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승하면서 도어(2) 전체가 벌어지도록 개방되는 버터플라이 도어(2)가 되거나, 상기 도어(2)의 후단이 전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지면과 수직한 면을 따라 개방되는 시저 도어(2)가 될 수 있다.
상기 맵포켓(11)은 상기 차량의 도어(2)에 상기 맵포켓(11)이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맵포켓 수납부(2a)에 설치된다.
상기 맵포켓(11)은 상부가 개방되고, 나머지 면에 폐쇄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고,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그 내부에 물건을 출납할 수 있다.
상기 맵포켓(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맵포켓(11)이 상기 맵포켓 수납부(2a)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맵포켓(11)의 일측이 상기 도어(2)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맵포켓(11)이 회전하면 상기 맵포켓(11)의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맵포켓(11)의 내부로 물건을 출납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맵포켓(11)을 상기 맵포켓 수납부(2a)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맵포켓(11)과 상기 도어(2)의 내측에 레일(미도시)를 설치하여, 상기 맵포켓(11)에 상기 맵포켓 수납부(2a)로부터 슬라이딩되어 인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맵포켓 구속부(20)는 상기 도어(2)의 개방시 상기 맵포켓(11)의 일측을 구속하여, 상기 도어(2)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맵포켓(11)이 인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상하 개방식 도어(2)는 상기 도어(2)의 개방시 중력에 의해 상기 맵포켓(11)이 인출되고, 상기 맵포켓(11)의 내부에 수납된 물건이 쏟아진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도어(2)가 개방되면, 중력에 의해서 상기 맵포켓(11)의 일측에 체결되는 맵포켓 구속부(20)를 구비하도록 한다.
상기 맵포켓(11)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맵포켓(11)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도어(2)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잠금돌기(11a)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2)의 개방시 상기 맵포켓 구속부(20)이 일측이 상기 잠금돌기(11a)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맵포켓(11)이 개방되지 않도록 상기 맵포켓(11)을 구속한다.
상기 맵포켓 구속부(20)는 상기 도어(2)의 일측에 고정되는 홀더(21)와, 상기 도어(2)의 개방시 전진하여 상기 잠금돌기(11a)에 결합되는 스토퍼(23)와, 상기 스토퍼(23)를 초기위치로 복원시키는 스프링(24)을 포함한다.
상기 홀더(21)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다. 상기 홀더(21)의 후단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에 홀더 체결너트(22)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홀더(21)를 상기 도어(2)의 일측에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홀더(21)의 둘레에는 상기 홀더(21)가 상기 도어(2)에 정해진 위치에 위치하도록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립돌기(21b)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2)에 상기 조립돌기(21b)를 수용하는 홈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홀더(21)는 정해진 위치와 정해진 자세로 상기 도어(2)에 체결된다.
상기 홀더(21)에는 상기 홀더(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21a)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슬릿(21a)은 상기 스토퍼(23)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도록 한다.
스토퍼(23)는 일부가 상기 홀더(21)의 내부에 수용되어 슬라이딩하고, 나머지 부분이 상기 도어(2)의 개방시 상기 잠금돌기(11a)와 결합된다. 상기 스토퍼(23)는 상기 홀더(21)에 수용되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23a)와, 상기 슬라이딩부(23a)의 전단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잠금돌기(11a)와 결합되는 돌기 결합부(23b)를 포함한다.
슬라이딩부(23a)는 상기 홀더(21)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홀더(21)를 따라 슬라이딩한다. 상기 슬라이딩부(23a)의 외측에는 일부가 상기 슬라이딩부(23a)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위가 상기 홀더(21)의 슬릿(21a)에 삽입되어, 스토퍼(23)의 슬라이딩시 반경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돌기 결합부(23b)는 상기 슬라이딩부(23a)의 전단으로부터 도어(2)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돌기 결합부(23b)는 상기 스토퍼(23)는 상기 도어(2)가 개방되면, 자중에 의해 상기 홀더(21)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전진하면서 상기 돌기 결합부(23b)가 상기 잠금돌기(11a)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맵포켓(11)의 개방을 제한한다. 상기 돌기 결합부(23b)는 상기 도어(2)의 개방시 전진하여 상기 잠금돌기(11a)와 결합가능한 구조로서, 예컨대, 상기 돌기 결합부(23b)가 상기 잠금돌기(11a)를 수용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 결합부(23b)의 내경이 상기 잠금돌기(11a)의 외경보가 약간 크게하여, 상기 스토퍼(23)가 전진하면 상기 돌기 결합부(23b)가 상기 잠금돌기(11a)를 감싸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돌기 결합부(23b)의 일측으로는 상기 스토퍼(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23c)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슬릿(23c)은 상기 잠금돌기(11a)가 상기 맵포켓(11)과 연결되는 부위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돌기 결합부(23b)의 슬라이딩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돌기 결합부(23b)에 형성되는 슬릿(23c)은 상기 홀더(21)에 형성되는 슬릿(21a)과 그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24)은 상기 도어(2)가 폐쇄되면, 상기 스토퍼(23)를 원래 위치로 복원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24)은 상기 홀더(21)의 전단과 상기 돌기 결합부(23b)의 후단 사이에 구비되는 코일 스프링(24)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24)은 상기 스토퍼(23)가 전진하면, 상기 스토퍼(23)를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이 발휘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2)의 개방시 자중에 의해 전진한 스토퍼(23)를 상기 도어(2)가 폐쇄되면, 상기 스토퍼(23)를 후퇴시켜 상기 스토퍼(23)의 돌기 결합부(23b)가 상기 잠금돌기(11a)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도어(2)가 개방되어 상기 맵포켓 구속부(20)에 의해 상기 맵포켓(11)의 개방이 제한된 경우에도 탑승자의 필요에 의해 상기 맵포켓(11)을 개방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맵포켓(11)의 구속을 해제하는 구속해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속해제수단의 예로서, 상기 스토퍼(23)의 후단에 연결되는 와이어(31)와 상기 와이어(31)의 단부에 연결되어 탑승자가 조작하는 노브(32)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31)는 상기 스토퍼(23)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홀더(2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31)는 상기 홀더(21)의 후단에 형성되는 와이어 출입공(21c)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후, 상기 도어(2)의 표면으로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 출입공(21c)은 상기 홀더(21)의 내경으로부터 외경 쪽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와이어(31)가 상기 홀더(21)의 타단을 관통하여 이동시 상기 와이어(3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노브(32)는 상기 도어(2)의 표면에서 상기 와이어(31)에 연결된다. 상기 노브(32)는 탑승자가 상기 와이어(31)를 잡아 당기도록 조작하는 부위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브(32)의 둘레와 상기 도어(2)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하여(도 12의 'A'참조), 상기 탑승자가 용이하게 상기 노브(32)를 잡아당길 수 잇도록 한다.
상기 탑승자가 상기 노브(32)를 잡아 당기면, 상기 스토퍼(23)가 상기 홀더(21)에서 후진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되므로, 상기 돌기 결합부(23b)가 상기 잠금돌기(11a)에 결합된 경우에도, 상기 노브(32)를 이용하여 상기 와이어(31)를 잡아당기면, 상기 스토퍼(23)가 후진하여 상기 돌기 결합부(23b)와 상기 잠금돌기(11a)가 분리되어 상기 맵포켓(11)이 개방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에는 상기 도어(2)의 폐쇄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2)가 폐쇄중일 때에는 상기 맵포켓 구속부(20)가 상기 맵포켓(11)의 잠금돌기(11a)를 구속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맵포켓(11)이 상기 도어(2)로부터 인출이 가능하게 때문에, 탑승자는 상기 맵포켓(11)을 개방시켜 상기 맵포켓(11)의 내부로 물건을 수납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상기 도어(2)가 폐쇄중일 때에는 상기 슬라이더가 지면과 실질적으로 수평한 상태이므로, 상기 스프링(24)이 상기 스토퍼(23)를 초기위치, 즉 상기 스토퍼(23)와 상기 잠금돌기(11a)가 중첩되지 않은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스토퍼(23)와 상기 잠금돌기(11a)가 중첩되지 않았으므로, 상기 맵포켓(11)을 상기 탑승자가 인출할 수 있다.
도 10에는 상기 도어(2)가 개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어(2)가 개방되면, 상기 도어(2)의 전방보다 후방이 높아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스토퍼(23)가 전진하여 상기 스토퍼(23)의 내부에 상기 잠금돌기(11a)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맵포켓(11)의 개방이 불가한 상태가 된다.
버터플라이 도어, 시저 도어 등과 같은 상하 개방식 도어(2)는 개방되면, 상기 도어(2)의 전방보다 후방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 도어(2)의 후방이 높아지면 상기 스토퍼(23)는 자중에 의해서 상기 홀더(21)로부터 이탈되는 방향, 즉 상기 도어(2)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23)는 상기 도어(2)의 후방이 높아지면, 상기 스토퍼(23)의 자중에 의해서 상기 홀더(21)로부터 인출되는 방향, 즉 상기 도어(2)의 전방으로 이동하려 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23)의 자중(自重)에 의해 슬라이딩하려는 힘이 상기 스프링(24)이 상기 스토퍼(23)를 상기 홀더(21) 쪽으로 이동시키려는 힘보다 커지면, 상기 스토퍼(23)는 상기 도어(2)의 전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스토퍼(23)가 상기 도어(2)의 전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는 지점은 상기 스프링(24)의 탄성계수를 조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23)의 중량, 차량의 주차 상태 등을 고려하여 상기 도어(2)가 20도 이상 개방되면 상기 스토퍼(23)가 중력과 상기 스프링(24)의 탄성력을 이기고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23)가 상기 도어(2)의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돌기 결합부(23b)와 상기 잠금돌기(11a)가 중첩되어, 상기 잠금돌기(11a)의 둘레를 상기 돌기 결합부(23b)가 감싸게 된다.
상기 잠금돌기(11a)가 상기 돌기 결합부(23b)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2)의 개방이 더 진행되더라도, 상기 맵포켓(11)이 상기 맵포켓(11)의 자중에 의해 인출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상하 개방식 도어(2)의 개방시 맵포켓(11)의 개방으로 인하여 상기 맵포켓(11)에 수용된 내용물이 쏟아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도어(2)가 개방된 상태에서 다시 상기 도어(2)가 폐쇄되면, 상기 도어(2)의 후방이 하강하게 되고, 상기 스토퍼(23)가 지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토퍼(23)가 상기 지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해지면, 상기 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스토퍼(23)는 상기 홀더(21)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23)가 상기 스프링(24)의 탄성력으로 상기 홀더(21)의 내측방향, 즉 상기 도어(2)의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스토퍼(23)의 돌기 결합부(23b)가 상기 잠금돌기(11a)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맵포켓(11)은 탑승자에 의해 인출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스토퍼(23)가 상기 잠금돌기(11a)를 구속하여 상기 맵포켓(11)의 개방이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탑승자가 상기 맵포켓(11)의 내부에 수용된 물건을 꺼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구속해제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맵포켓(11)이 인출되도록 한다.
상기 탑승자가 상기 노브(32)를 잡아 당기면, 상기 탑승자의 조작이 상기 와이어(31)를 통하여 상기 스토퍼(23)로 전달되어, 상기 스토퍼(23)가 상기 도어(2)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23)가 상기 탑승자의 조작력에 의해 상기 도어(2)의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스토퍼(23)의 돌기 결합부(23b)가 상기 잠금돌기(11a)와 분리되고, 상기 탑승자는 상기 맵포켓(11)을 개방시켜 상기 맵포켓(11)의 내부에 수용된 물건을 인출할 수 있다.
1 : 차량 2 : 도어
2a : 맵포켓 수용부 11 : 맴포켓
11a : 잠금돌기 20 : 맴포켓 구속부
21 : 홀더 21a : 슬릿
21b : 조립돌기 21c : 와이어 출입공
22 : 홀더 체결너트 23 : 스토퍼
23a : 슬라이딩부 23b : 돌기 결합부
23c : 슬릿 24 : 스프링
31 : 와이어 32 : 노브
111 : 맵포켓

Claims (18)

  1.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도어의 내부에 출납가능하게 설치되는 맵포켓과,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시 중력에 의해 상기 맵포켓의 일측에 결합되면서, 상기 맵포켓의 개방을 제한하는 맵포켓 구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맵포켓의 일측에는 상기 맵포켓으로부터 상기 도어의 후단을 향하여 연장되게 형성되는 잠금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맵포켓 구속부는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중력에 의해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잠금돌기에 결합되며,
    상기 맵포켓 구속부는,
    상기 도어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도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는 홀더와,
    일부는 상기 홀더의 내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잠금돌기에 결합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홀더에 수용되고 상기 홀더의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도어의 개방시 상기 잠금돌기에 결합되는 돌기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 상기 홀더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측이 상기 슬라이딩부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릿에 끼워져. 상기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잠금돌기의 외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돌기 결합부의 내경은 상기 잠금돌기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결합부에 상기 돌기 결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돌기가 상기 맵포켓과 연결되는 부위가 상기 슬릿에 끼워져 상기 돌기 결합부와 상기 잠금돌기의 결합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전단과 상기 돌기 결합부의 후단 사이에는 상기 도어의 폐쇄시 상기 돌기 결합부가 상기 잠금돌기와 분리되도록 상기 스토퍼를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후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에 홀더 체결너트가 체결되어 상기 홀더가 상기 도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가 상기 도어에 체결되는 부위에는 상기 홀더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조립돌기가 상기 홀더의 둘레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도어에는 상기 조립돌기를 수용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방시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스토퍼가 상기 잠금돌기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는 구속해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구속해제수단은,
    상기 스토퍼의 후단에 연결되고, 상기 홀더를 관통하는 와이어와,
    상기 도어의 표면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그 둘레가 상기 도어의 표면과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후단은 상기 홀더의 내경으로부터 외경 쪽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맵포켓은,
    상부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도어에 형성된 맵포켓 수납부에 하단이 힌지연결되어 상단이 회전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맵포켓은,
    상부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도어에 형성된 맵포켓 수납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출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후단이 전단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승하면서 도어 전체가 벌어지도록 개방되는 버터플라이 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후단이 전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지면과 수직한 면을 따라 개방되는 시저 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

KR1020170146055A 2017-11-03 2017-11-03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 KR102429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055A KR102429061B1 (ko) 2017-11-03 2017-11-03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055A KR102429061B1 (ko) 2017-11-03 2017-11-03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542A KR20190050542A (ko) 2019-05-13
KR102429061B1 true KR102429061B1 (ko) 2022-08-04

Family

ID=66581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055A KR102429061B1 (ko) 2017-11-03 2017-11-03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90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0335B1 (ko) 2022-08-10 2022-11-25 대진테크(주) 컨셉트 카의 버터플라이 도어 개폐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5028A (ja) * 1998-09-18 2000-04-04 Nifco Inc 自動車用ドアポケット
KR100921299B1 (ko) 2008-06-30 2009-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레이 열림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041U (ja) * 1992-09-04 1994-04-05 河西工業株式会社 回動式ドアにおけるドアポケット構造
KR100439916B1 (ko) * 2001-12-24 2004-07-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열림 방지 구조를 가지는 푸쉬형 트레이
KR101294142B1 (ko) 2011-10-21 2013-08-08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 도어의 맵포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5028A (ja) * 1998-09-18 2000-04-04 Nifco Inc 自動車用ドアポケット
KR100921299B1 (ko) 2008-06-30 2009-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레이 열림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542A (ko) 201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3855B2 (ja) 開放防止構造を持つ車両用収納装置
US9573527B2 (en) Roll cover assembly
JP2016215763A (ja) 蓋付き収納装置
JP6342864B2 (ja) 自動車用収納ボックス
KR102603037B1 (ko) 차량의 수납 장치
KR102429061B1 (ko)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
CN108688582A (zh) 承载地板闩锁和闩锁组件以及具有闩锁组件的车辆
JP4564690B2 (ja) トノカバー装置
JP3965190B2 (ja) 食品若しくは飲料容器のための保持装置
US11440477B2 (en) Guide rail arrangement
KR102417392B1 (ko)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
KR101516354B1 (ko) 차량의 적재함 도어 잠금장치
KR20140011834A (ko) 차량용 물품수납장치
JP2009227137A (ja) 車両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101180649B1 (ko) 차량용 카고스크린 어셈블리
KR20130106101A (ko) 자동차의 수납박스
KR101836470B1 (ko) 차량용 러기지 룸의 사이드 트림
KR101757186B1 (ko) 컵홀더
KR20130106102A (ko) 자동차의 수납박스
WO2016084818A1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
ES2753431T3 (es) Dispositivo para transportar una carga en vehículos de motor
JP4526219B2 (ja) バン型車両における扉の90°開放位置での扉の自動ストッパ装置
JP5508152B2 (ja) 車両用物入れ
JP2017136992A (ja) 車両用スロープ収納機構
KR20110063206A (ko) 차량의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