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3206A - 차량의 트레이 - Google Patents

차량의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3206A
KR20110063206A KR1020090120161A KR20090120161A KR20110063206A KR 20110063206 A KR20110063206 A KR 20110063206A KR 1020090120161 A KR1020090120161 A KR 1020090120161A KR 20090120161 A KR20090120161 A KR 20090120161A KR 20110063206 A KR20110063206 A KR 20110063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lid
opening
housing
inert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0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룡
이영범
김혜경
김헌수
허상구
최호식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0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63206A/ko
Publication of KR20110063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2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수납 공간이 형성된 트레이 하우징과; 상기 트레이 하우징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트레이 리드와; 상기 트레이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트레이 리드의 개방 방향으로 관성이 작용할 때 회전 이동 후 직선 이동되어 상기 트레이 리드의 개방을 방지하는 개방 방지 유닛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관성이 작용할 때 트레이 리드의 개방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탑승자의 상해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트레이{TRAY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성이 발생할 경우 트레이 리드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트레이는 수납 공간이 형성된 트레이 하우징과, 트레이 하우징을 개폐할 수 있는 트레이 리드로 구성된다.
이러한 차량의 트레이에는, 차량 진행 중에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관성이 발생한 경우, 상기 트레이 리드의 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개방 방지 유닛이 구비되어 있다.
종래 개방 방지 유닛은 트레이 하우징에 관성이 발생하는 경우 트레이 리드의 개방 방향으로 유동되는 하중추가 설치되고, 하중추의 반대측에 설치된 고리에 트레이 리드가 걸리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 차량의 트레이에 있어서는, 관성이 발생하는 경우 하중추 반대측에 설치된 고리가 트레이 리드에 걸릴 때 일정 구간 걸림을 유지하기 위한 거리가 필요하므로, 트레이 리드가 일부 열려 내부 수납물이 튀어나와 탑승자에 상해를 입힐 수 있어 법규에 저촉될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성이 작용할 때 트레이 리드의 개방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탑승자의 상해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차량의 트레이에 따라, 수납 공간이 형성된 트레이 하우징과; 상기 트레이 하우징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트레이 리드와; 상기 트레이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트레이 리드의 개방 방향으로 관성이 작용할 때 회전 이동 후 직선 이동되어 상기 트레이 리드의 개방을 방지하는 개방 방지 유닛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방 방지 유닛은 상기 트레이 하우징의 전단에 회전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관성 레버와; 상기 관성 레버와 연결되어 관성이 작용할 때 상기 관성 레버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트레이 리드를 향해 직선 이동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개방 방지 유닛은 일단이 상기 관성 레버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트레이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관성 레버를 항상 후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평상시 상기 슬라이더가 아래 방향에 위치하도록 지지하여 상기 트레이 리드가 전방으로 개방 가능하다.
상기 관성 레버는 관성이 작용할 때 전방으로 이동하는 웨이트와, 상기 웨이 트와 일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결합핀으로 일체 결합되는 연결편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트레이 하우징 및 상기 트레이 리드에는 상기 트레이 리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유지시키는 판 스프링이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레이 하우징에는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로터리 핀이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 리드의 저면에는 상기 로터리 핀을 안내하며 끝단에 상기 트레이 리드가 완전히 개방될 때 걸림 유지되기 위한 하트 캠을 가지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관성이 작용할 때 트레이 리드의 개방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탑승자의 상해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차량의 트레이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트레이(1)는 트레이 하우징(10)과, 트레이 하우징(10)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트레이 리드(20)와, 관성이 작용할 때 트레이 리드(20)의 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개방 방지 유닛(30, 도 4 참조)으로 구성된다.
트레이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물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C)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면에는 트레이 리드(20)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안 내하는 가이드 레일(15)이 형성되어 있다.
트레이 리드(20)는 가이드 레일(15)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트레이 하우징(10)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트레이 리드(20)는 도 1과 같이 항상 폐쇄되는 방향으로 유지되는데,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판 스프링(65)이다.
판 스프링(65)의 일단이 트레이 하우징(10)에 고정되고 타단이 트레이 리드(20)의 저면에 고정됨으로써, 판 스프링(65)이 트레이 리드(20)를 후방으로 당겨 평소에 트레이 리드(20)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트레이 리드(20)가 도 3의 (a)와 같이 가이드 레일(15)을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 판 스프링(65)은 도 3의 (b) 및 (c)와 같이 트레이 리드(20)의 진행 방향(전방)으로 인장되는데, 이 때 트레이 리드(20)의 개방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것은 로터리 핀(70) 및 하트 캠(26)에 의해 가능하다.
로터리 핀(70)은 트레이 하우징(10)에 Z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로터리 핀(70)은 트레이 리드(20)의 저면에 형성된 가이드 홈(25)에 의해 안내된다.
여기서, 로터리 핀(70)은 가이드 홈(25) 및 후술할 하트 캠(26)을 따라 안내될 때 유동될 수 있도록 Z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가이드 홈(25)은 트레이 리드(2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때 로터리 핀(70)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며, 끝단에는 트레이 리드(20)가 완전히 개방될 때 걸림 유지되기 위한 하트 캠(26)이 형성되어 있다.
하트 캠(26)은 벽면(26a)과, 벽면(26a)을 따라 연장된 후 함몰 형성된 걸림홈(26b)으로 구성됨으로써, 트레이 리드(20)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때 로터리 핀(70)은 가이드 홈(25)을 따라 안내된 다음 하트 캠(26)의 벽면(26a)을 따라 이동된 후 걸림홈(26b)에 걸림으로써 트레이 리드(20)의 개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도 3의 (b) 및 (c) 참조).
한편, 개방 방지 유닛(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하우징(10)의 전단부에 마련되는데, 트레이 리드(20)의 개방 방향으로 관성이 작용할 때 회전 이동 후 직선 이동되어 트레이 리드(20)의 개방을 방지한다.
즉, 개방 방지 유닛(30)은 차량 진행 중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관성이 발생한 경우(일 예로, 전방 충돌시), 트레이 리드(20)가 관성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개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납 공간(C)에 수납된 물품이 외부로 튀어나와 탑승자의 상해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개방 방지 유닛(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트레이 하우징(10)의 전단에 회전핀(41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관성 레버(40)와, 관성 레버(40)와 연결되어 관성(F)이 작용할 때 관성 레버(4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트레이 리드(20)를 향해 직선 이동되는 슬라이더(50)로 구성된다.
이 때, 개방 방지 유닛(30)은 일단이 관성 레버(40)에 결합되고 타단이 트레이 하우징(10)에 결합되어 관성 레버(40)를 항상 후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60)을 더 포함한다. 이에, 스프링(60)은 관성 레버(40)를 항상 후방으로 밀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50)가 아래 방향에 위치하도록 지지됨으로써, 평상시(관 성이 작용하지 않을 때) 트레이 리드(20)를 개폐할 때 아무런 제약이 없게 된다.
관성 레버(40)는 부메랑 모양으로 이루어지는데, 관성(F)이 작용할 때 전방으로 이동하는 웨이트(weight, 41)와, 웨이트(41)와 일체 형성되어 슬라이더(50)와 결합핀(42a)으로 일체 결합되는 연결편(4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관성(F)이 작용할 때 관성 레버(40)가 회전핀(41a)을 중심으로 P 방향으로 회전하면, 결합핀(42a)으로 연결된 슬라이더(50)가 이와 연동하여 Q 방향으로 직선 이동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리드(20)가 전방으로 개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관성 작용시 회전 이동 후 직선 이동되는 개방 방지 유닛(30)에 의해 트레이 리드(20)의 개방이 원천적으로 방지됨으로써, 내부 수납물이 튀어나와 탑승자에 상해를 가하는 일이 방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트레이의 트레이 리드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후방 사시도.
도 2의 (a)는 도 1의 트레이 하우징을 보여주기 위해 트레이 리드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후방 사시도, (b)은 트레이 리드가 폐쇄된 상태에서 트레이 하우징과 결합된 상태를 보여준 저면도.
도 3의 (a)는 도 1의 트레이 리드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후방 사시도, (b)는 도 1의 트레이 리드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과정을 나타낸 저면도, (c)는 트레이 리드가 (b) 상태에서 더 전방으로 이동하여 로터리 핀이 하트 캠에 걸린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트레이의 개방 방지 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전방 사시도.
도 5는 평상시 도 4의 개방 방지 유닛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관성 발생시 도 5의 개방 방지 유닛에 의해 트레이 리드의 개방이 방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트레이 10 : 트레이 하우징
20 : 트레이 리드 25 : 가이드 홈
26 : 하트 캠 30 : 개방 방지 유닛
40 : 관성 레버 50 : 슬라이드
60 : 스프링 65 : 판 스프링
70 : 로터리 핀

Claims (6)

  1. 수납 공간이 형성된 트레이 하우징과;
    상기 트레이 하우징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트레이 리드와;
    상기 트레이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트레이 리드의 개방 방향으로 관성이 작용할 때 회전 이동 후 직선 이동되어 상기 트레이 리드의 개방을 방지하는 개방 방지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레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방 방지 유닛은
    상기 트레이 하우징의 전단에 회전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관성 레버와;
    상기 관성 레버와 연결되어 관성이 작용할 때 상기 관성 레버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트레이 리드를 향해 직선 이동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레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방 방지 유닛은 일단이 상기 관성 레버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트레이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관성 레버를 항상 후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평상시 상기 슬라이더가 아래 방향에 위치하도록 지지하여 상기 트레이 리드가 전방으로 개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레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관성 레버는 관성이 작용할 때 전방으로 이동하는 웨이트와, 상기 웨이트와 일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와 결합핀으로 일체 결합되는 연결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레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하우징 및 상기 트레이 리드에는 상기 트레이 리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유지시키는 판 스프링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레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하우징에는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로터리 핀이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 리드의 저면에는 상기 로터리 핀을 안내하며 끝단에 상기 트레이 리드가 완전히 개방될 때 걸림 유지되기 위한 하트 캠을 가지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레이.
KR1020090120161A 2009-12-04 2009-12-04 차량의 트레이 KR201100632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161A KR20110063206A (ko) 2009-12-04 2009-12-04 차량의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0161A KR20110063206A (ko) 2009-12-04 2009-12-04 차량의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206A true KR20110063206A (ko) 2011-06-10

Family

ID=44397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0161A KR20110063206A (ko) 2009-12-04 2009-12-04 차량의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632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065B1 (ko) * 2012-06-12 2013-09-11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트레이의 커버 잠금장치
WO2018199608A1 (ko) * 2017-04-28 2018-11-01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 트레이용 지센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065B1 (ko) * 2012-06-12 2013-09-11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트레이의 커버 잠금장치
WO2018199608A1 (ko) * 2017-04-28 2018-11-01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 트레이용 지센서
US11499347B2 (en) 2017-04-28 2022-11-15 Nifco Korea, Inc. G-sensor for automobile tr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3923B2 (ja) 蓋付き収納装置
KR101786663B1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 래치
US20060208506A1 (en) Latching mechanism
KR100505892B1 (ko) 소물 수납함
JP2000052879A (ja) 自動車内へ組み込むための、抜き出し部分を備えた装置
CN112055669B (zh) 收纳箱
KR101417535B1 (ko) 자동차의 멀티 박스
KR101172576B1 (ko) 이동체의 로크기구
KR101293919B1 (ko) 자동차용 콘솔 박스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JP5965166B2 (ja) 収納装置
JP6342864B2 (ja) 自動車用収納ボックス
KR102603037B1 (ko) 차량의 수납 장치
JP2004149025A (ja) 自動車の小物入れ兼用カップホルダ装置
KR20110063206A (ko) 차량의 트레이
JP5261123B2 (ja) 収容装置
JP6284449B2 (ja) 収納装置
JP3965190B2 (ja) 食品若しくは飲料容器のための保持装置
US20080224370A1 (en) Latching rack damper assembly
WO2017151508A1 (en) Storage compartment for vehicle interior
KR102102270B1 (ko) 차량용 슬라이딩 컵홀더 장치
JP4650369B2 (ja) 蓋付き装置
KR20140011834A (ko) 차량용 물품수납장치
CN109152480A (zh) 用于可动家具部件的弹射装置、家具部件及开闭可动家具部件的方法
JP6017333B2 (ja) 車両用収納装置
KR20100069467A (ko) 수납물 보관함 잠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