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2270B1 - 차량용 슬라이딩 컵홀더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슬라이딩 컵홀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2270B1
KR102102270B1 KR1020180128732A KR20180128732A KR102102270B1 KR 102102270 B1 KR102102270 B1 KR 102102270B1 KR 1020180128732 A KR1020180128732 A KR 1020180128732A KR 20180128732 A KR20180128732 A KR 20180128732A KR 102102270 B1 KR102102270 B1 KR 102102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holder
housing
pinion gear
damp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80128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22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2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2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7Mid-cons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슬라이딩 컵홀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컵홀더가 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 자동 이동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고, 컵홀더의 이동전 위치에 보다 큰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다양한 크기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게 됨으로써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슬라이딩 컵홀더 장치{SLIDING CUP HOLDER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슬라이딩 컵홀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컵홀더가 자동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컵홀더의 슬라이딩에 의해 보다 큰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또 다른 수납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슬라이딩 컵홀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의 센터콘솔에는 음료 용기를 안정적으로 놓아둘 수 있도록 컵홀더가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컵홀더는 콘솔 상부에 고정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어 그 위치를 이동시킬 수 없으며, 이에 활용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컵홀더에 슬라이딩되는 컵지지부재 등을 설치하여 컵홀더 내 공간을 분할하고 수납되는 음료용기를 좀더 견고하게 고정해둘 수 있도록 된 컵홀더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이 경우에도 컵홀더(컵을 수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전체)가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컵홀더에 설치된 컵지지부재가 이동하는 것으로 결국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은 컵홀더의 내부 공간(음료용기 수납공간)에 한정되어, 공간 활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37040호(2017.04.04.)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컵홀더 자체가 자동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보다 넓은 수납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컵홀더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보다 넓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슬라이딩 컵홀더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센터콘솔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전방부와 후방부 사이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컵홀더와, 상기 하우징의 전방벽 내측면과 컵홀더의 전면 사이에 설치되어 항상 컵홀더를 하우징의 전방부로 당겨주는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후방벽에 설치되고 컵홀더의 후단에 형성된 걸림홀에 삽입되어 걸려져서 컵홀더가 하우징의 후방부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는 후크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컵홀더의 좌우 상단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플랜지가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하방으로 지지되고 전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과 컵홀더의 양측면 사이에 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가이드레일의 고정레일은 하우징에 고정되고 이동레일은 컵홀더에 고정된다.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 저면이 전방부의 저면보다 하방으로 확장되어 추가공간이 형성되고, 추가공간의 상부에는 컵홀더가 위치하는 공간과 추가공간을 구획하는 중간바닥판이 설치된다.
상기 중간바닥판은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홀을 통해 전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추가공간이 개폐된다.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과 컵홀더의 일측면 사이에 스프링에 의한 컵홀더의 전방 이동 속도를 저감시키는 댐퍼가 구비된다.
상기 댐퍼는 하우징의 내측면에 장착된 랙기어와, 랙기어에 치합된 피니언기어와, 피니언기어와 결합되어 피니언기어의 회전을 억제하는 댐핑부재 및 댐핑부재를 컵홀더의 외측면에 고정하는 마운팅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댐핑부재에 원주형 샤프트가 형성되고, 피니언기어에 원통형 샤프트가 형성되어 댐핑부재의 샤프트가 피니언기어의 샤프트에 삽입 및 마찰되는 상태로 댐핑부재와 피니언기어가 결합된다.
상기 댐핑부재의 샤프트 주변으로 댐핑공간이 형성되고, 피니언기어의 샤프트에는 상기 댐핑공간의 내부에 위치되는 댐핑플레이트가 형성되며, 댐핑공간의 내부에는 댐핑플레이트와 마찰하여 그 회전을 억제하는 오일이 주입된다.
상기 댐핑플레이트는 피니언기어의 샤프트 외주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블레이드이고, 블레이드는 회전방향에 수직인 평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컵홀더가 스프링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컵홀더가 이동되면 컵홀더가 있던 자리에 컵홀더 보다 큰 수납공간이 형성되므로 보다 다양한 크기의 물건을 수납할 수 있게 되는 바,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다.
컵홀더의 하부에는 별도의 커버로 가려진 또 다른 공간(추가공간)이 존재하므로 이를 비밀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컵홀더의 측면에는 가이드홈 또는 가이드레일이 구비되어 컵홀더 이동시 정확한 경로를 따라 부드럽고 안정적이며 조용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컵홀더와 하우징의 사이에는 댐퍼가 구비되어 스프링에 의한 이동시 적당히 느린 속도로 이동될 수 있게 됨으로써 작동감이 향상되고, 컵홀더가 충격으로부터 보호되며, 충돌 소음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슬라이딩 컵홀더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댐퍼의 설치 상태도.
도 6은 상기 댐퍼의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컵홀더 장치의 하우징(10)이다. 하우징(10)은 센터콘솔의 내부바디 역할을 겸한다.
하우징(10)은 전방 상면에 스위치패널(차량에 구비되는 여러 장치들의 조작스위치가 함께 설치됨)이 장착되는 스위치패널 장착홀(11)이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강성 보강을 위한 다수의 리브(12)들이 형성된다.
하우징(10)의 내부는 빈 공간이며, 전후 방향으로 대략 양분하여 전방부에 비해 후방부의 공간이 상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 형상을 가진다.
컵홀더(20)는 하우징(10)의 후방부 내부에 설치된다. 컵홀더(20)가 내장된 하우징(10)의 후방부 상부는 개구되어 있으며, 그 개구부에는 주름식 슬라이딩 커버(30)가 구비되어 손잡이(31)를 잡고 전후 이동시킴으로써 개폐 가능하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홀더(20)는 복수의 사출품들이 서로 조립되어 내측함체(21)와 외측함체(22)를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내측함체(21)와 외측함체(22)의 사이는 빈 공간으로 형성된다. 내측함체(21)의 내부는 컵이나 병 등의 음료용기를 놓아두기에 적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컵홀더(20)는 하우징(10)의 전방부 내부 공간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즉, 하우징(10)의 전방부는 컵홀더(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컵홀더(20)보다 큰 크기로 형성된다.
컵홀더(20)의 좌우측 상단에는 좌우측면보다 횡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23)가 형성된다. 플랜지(23)는 수평 방향의 정확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다(도 2를 기준으로 왼쪽이 전방 오른쪽이 후방이며, 전방을 바라보고 아래쪽이 왼쪽 위쪽이 오른쪽이다).
이에 대응하여 하우징(10)의 좌우 양측면에는 상기 플랜지(23)가 삽입되는 가이드홈(13)이 형성된다. 가이드홈(13) 역시 수평의 직선 형태로 형성되며, 하우징(10)의 전방에서 후방까지 전체적으로 길게 형성된다. 컵홀더(20)는 플랜지(23)가 하우징(10)의 가이드홈(13)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플랜지(23)는 가이드홈(13)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컵홀더(20)는 도 3과 같이 하우징(10)의 후방부에 위치한 사용위치와, 도시하지 않았으나 하우징(10)의 전방부에 위치한 수납위치 사이를 동일 높이를 유지하면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컵홀더(20)의 전후 이동을 위하여 상기 플랜지(23)와 가이드홈(13) 이외에 가이드레일(미도시)을 이용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의 고정레일을 하우징(10) 전방부의 양측면에 설치하고, 그로부터 인출되는 이동레일을 컵홀더(20)의 양측면에 고정함으로써 가이드레일의 직선 안내 작용에 의해 컵홀더(20)가 하우징(10)의 전방부와 후방부 사이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컵홀더(20)는 하우징(10)의 전방 벽과 스프링(40)으로 연결된다. 즉, 스프링(40)은 일측 단부가 하우징(10)의 전방벽 내측면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가 컵홀더(20)의 전면에 고정된다.
스프링(40)은 도 3과 같이 컵홀더(20)가 하우징(10) 후방부의 사용위치에 있을 때 최대로 신장되고, 컵홀더(20)가 하우징(10) 전방부의 수납위치에 있을 때 원래 길이로 수축된다. 따라서, 스프링(40)은 컵홀더(20)가 하우징(10) 후방부에 있을 때는 항상 컵홀더(20)를 하우징(10) 전방부로 잡아당기는 힘을 가한다.
따라서, 컵홀더(20)를 강제로 하우징(10)의 후방부에 잡아 두는 록(lock) 상태가 해제될 경우 컵홀더(20)는 스프링(40)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슬라이딩하여 하우징(10)의 전방부로 이동된다.
컵홀더(20)의 사용위치 유지를 위하여 컵홀더(20)의 후단에는 걸림홀(24)이 형성되고, 이 걸림홀(24)에 단부가 삽입되어 걸려지는 후크(50)가 하우징(10)의 후방 벽면에 설치된다. 상기 후크(50)는 사용자가 손으로 누르면 걸림홀(24)과의 걸림상태가 해제되고, 걸림홀(24)에 걸려있지 않은 자유상태에서 컵홀더(20)가 후크(50)쪽으로 이동하면 걸림홀(24)로 삽입되면서 서로 걸려지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10)의 후방부는 전방부에 비하여 하방으로 깊게 형성된다. 즉, 하우징(10)의 후방부는 전방부에 비하여 저면이 하방으로 더 돌출 형성되어 추가 공간(14)이 형성된다.
추가공간(14)의 상부에는 컵홀더(20)가 위치되는 공간과 추가공간(14)을 구획하는 중간바닥판(60)이 설치된다. 중간바닥판(60)은 컵홀더(20)가 설치되는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중간바닥판(60)의 좌우 양측 단부와 후단부는 하우징(10)에 형성된 가이드홈(15)에 삽입되어 하방으로 떨어지지 않고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중간바닥판(60)의 전방 단부는 하우징(10)에 형성된 개구홀(16)을 통해 추가공간(14)의 외측 즉,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중간바닥판(60)은 상기 개구홀(16)을 통해 전진하여 하우징(10)의 전방부 외부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다시 후진하여 추가공간(14)의 상부를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중간바닥판(60)의 좌우 양단부가 하우징(10) 좌우 양측부의 가이드홈(15)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전후 이동 경로가 정확히 안내된다.
중간바닥판(60)의 전후 이동 조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중간바닥판(60)의 후단측 상면에는 하방으로 오목한 손잡이홈(61)이 형성된다.
한편, 하우징(10)의 일측면과 컵홀더(20)의 일측면 사이에는 컵홀더(20)의 이동속도를 저감시키는 댐퍼(70)가 설치된다.
댐퍼(70)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기어(71), 피니언기어(72), 댐핑부재(73)를 포함한다.
랙기어(71)는 상면에 기어이가 형성된 직선형 바(bar)이며, 하우징(10)의 내측면에 장착된다.
피니언기어(72)는 랙기어(71)에 치합되어 랙기어(71)의 상부를 구름 진행하는 것으로 댐핑부재(73)와 결합된다.
댐핑부재(73)는 마운팅브라켓(74)으로 컵홀더(20)의 측면에 고정된다.
즉, 컵홀더(20)의 외측면에 서로 결합된 댐핑부재(73)와 피니언기어(72)가 설치되고, 하우징(10)의 내측면에 랙기어(71)가 설치되는 것이다.
피니언기어(72)의 중앙에는 원통형의 샤프트(72a)가 형성되고 댐핑부재(73)의 중앙에는 원주형의 샤프트(73a)가 형성되어, 댐핑부재(73)의 샤프트(73a)가 피니언기어(72)의 샤프트(72a)에 삽입되는 상태로 피니언기어(72)와 댐핑부재(73)가 결합된다.
댐핑부재(73)는 마운팅브라켓(74)을 매개로 컵홀더(2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전이 불가하고, 상기 두 샤프트(72a,73a)의 결합에 의해 피니언기어(72)는 댐핑부재(73)의 샤프트(73a)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피니언기어(72)의 샤프트(72a) 내주면과 댐핑부재(73)의 샤프트(73a) 외주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은 피니언기어(72)의 회전을 억제하는 감쇠력으로 작용한다.
또한, 댐핑부재(73)의 내부에는 샤프트(73a)를 중심으로 원주 방향 전체에 걸쳐 댐핑공간(73b)이 형성된다. 그리고, 피니언기어(72)의 샤프트(72a) 단부에는 상기 댐핑공간(73b)의 내부에 위치되는 댐핑플레이트(72b)가 형성된다.
댐핑플레이트(72b)는 단순한 원판이거나 또는 샤프트(72a)의 원주면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블레이드일 수 있다. 블레이드로 형성되는 경우 블레이드는 회전방향에 대해 수직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댐핑부재(73)의 댐핑공간(73b)에는 점도가 높은 오일이 가득 주입되며, 피니언기어(72)의 샤프트(72a) 외주면과 댐핑부재(73)의 댐핑공간(73b) 입구부 사이에는 오링(75)이 설치되어 오일의 누유를 방지한다.
상기 구조에 의해 피니언기어(72)가 회전될 때 댐핑플레이트(72b)가 일체로 회전되며, 댐핑플레이트(72b)에는 오일의 저항에 의해 회전 억제력이 작용한다.
이와 같이 피니언기어(72)에는 두 샤프트(72a,73a) 사이의 마찰력과 댐핑플레이트(72b)에 작용하는 오일의 저항력에 의해 항상 회전을 감쇠시키는 힘이 작용한다.
이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도 3의 상태는 스프링(40) 수축력에 저항하여 컵홀더(20)가 하우징(10)의 후방부로 잡아당겨진 상태이며, 그 상태는 컵홀더(20) 후면의 걸림홀(24)에 하우징(10) 후방벽에 설치된 후크(50)가 걸려짐으로써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탑승자는 커버(30)를 후방으로 당겨 열고 컵홀더(20)에 음료 용기를 거치할 수 있다. 즉, 컵홀더(20)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후크(50)를 조작하여 걸림홀(24)과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면 스프링(40)의 수축력에 의해 컵홀더(20)가 전방으로 당겨져서 하우징(10)의 전방부 내측으로 이동한다.
컵홀더(20)의 이동으로 인해 컵홀더(20)가 있던 자리에 하우징(10)의 좌우측면과 후방면 및 전방으로 이동한 컵홀더(20)의 후면을 사방 면으로 하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은 컵홀더(20)의 수납공간(음료용기 수납공간)에 비하여 그 크기가 훨씬 더 크다. 따라서, 탑승자는 새로이 형성된 넓은 공간을 다양한 크기의 물품을 수납하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컵홀더(20) 이동으로 인해 형성된 상기 수납공간의 바닥은 중간바닥판(6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중간바닥판(60)은 손잡이홈(61)을 잡고 전후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중간바닥판(60)의 하부에는 상기 추가공간(14)이 존재한다.
따라서, 탑승자는 중간바닥판(60)을 열고 추가공간(14)까지 수납공간을 확장하여 보다 큰 물건을 수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추가공간(14)은 중간바닥판(60)에 가려져 있어, 이러한 세부 구조를 미리 알지 못한 사람은 그 존재를 알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추가공간(14)은 보다 높은 보안이 요구되거나 개인적인 물품을 보관하는 시크릿박스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컵홀더(20)는 이동시 플랜지(23)가 가이드홈(13)을 따라 이동하므로 정확한 경로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플랜지(23)와 가이드홈(13)을 적용하는 대신 고정레일과 이동레일을 포함하는 가이드레일을 적용하게 되면, 보다 부드럽고, 원활하며, 소음이 적은 작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크(50)에 의한 걸림상태가 해제되면 스프링(40)에 의해 잡아당기는 힘이 갑자기 강하게 작용하므로 컵홀더(20)가 전방으로 순간 고속 이동하여 그 속도에 의해 적정 위치에서 정지하지 못하고 스프링(40)을 압축 변형시키면서 더 전진하여 하우징(10)의 전방 내벽면에 충돌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렇게 되면 충돌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게 되고, 그때의 충격으로 인해 스프링(40)이 영구 변형되며 컵홀더(20)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댐퍼(70)가 마련되었다.
댐퍼(70)는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샤프트(72a,73a)간 마찰력과 댐핑플레이트(72b)에 작용하는 오일 저항에 의하여 피니언기어(72)의 회전을 억제하는 것이다.
후크(50)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스프링(40)에 의해 컵홀더(20)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피니언기어(72)는 위치 고정되어 있는 랙기어(71)를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한다.
이때 피니언기어(72)에 상기와 같이 회전을 억제하는 힘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피니언기어(72)의 치형이 랙기어(71)의 치형에 걸려 피니언기어(72)의 전방 이동이 억제된다.
피니언기어(72)의 회전은 완전히 억제되어 있는 것이 아니므로 결국 피니언기어(72)는 랙기어(71)의 상부를 서서히 진행하게 되며, 이에 컵홀더(20) 역시 그와 동일한 속도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컵홀더(20)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천천히 이동하게 되므로 스프링(40)이 원상태로 수축된 이후에는 그 보다 더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컵홀더(20)가 하우징(10)의 전방벽에 충돌하지 않게 됨으로써 스프링(40)의 영구 변형이나 컵홀더(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충돌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컵홀더(20)가 적당한 속도로 소음 없이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주며, 이는 차량 상품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하우징 11 : 스위치패널 장착홀
12 : 리브 13 : 가이드홈
14 : 추가공간 15 : 가이드홈
16 : 개구홀 20 : 컵홀더
21 : 내측함체 22 : 외측함체
23 : 플랜지 24 : 걸림홀
25 : 손잡이 30 : 커버
40 : 스프링 50 : 후크
60 : 중간바닥판 70 : 댐퍼
71 : 랙기어 72 : 피니언기어
72a : 샤프트 72b : 댐핑플레이트
73 : 댐핑부재 73a : 샤프트
73b : 댐핑공간 74 : 마운팅브라켓
75 : 오링

Claims (10)

  1. 센터콘솔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의 전방부와 후방부 사이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컵홀더와,
    상기 하우징의 전방벽 내측면과 컵홀더의 전면 사이에 설치되어 항상 컵홀더를 하우징의 전방부로 당겨주는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후방벽에 설치되고 컵홀더의 후단에 형성된 걸림홀에 삽입되어 걸려져서 컵홀더가 하우징의 후방부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는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 저면이 전방부의 저면보다 하방으로 확장되어 추가공간이 형성되고, 추가공간의 상부에는 상기 컵홀더가 위치하는 공간과 상기 추가공간을 구획하는 중간바닥판이 설치되며,
    상기 중간바닥판은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홀을 통해 전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추가공간을 개폐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컵홀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컵홀더의 좌우 상단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플랜지가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하방으로 지지되고 전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컵홀더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과 컵홀더의 양측면 사이에 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가이드레일의 고정레일은 하우징에 고정되고 이동레일은 컵홀더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컵홀더 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과 컵홀더의 일측면 사이에 스프링에 의한 컵홀더의 전방 이동 속도를 저감시키는 댐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컵홀더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하우징의 내측면에 장착된 랙기어와, 랙기어에 치합된 피니언기어와, 피니언기어와 결합되어 피니언기어의 회전을 억제하는 댐핑부재 및 댐핑부재를 컵홀더의 외측면에 고정하는 마운팅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컵홀더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재에 원주형 샤프트가 형성되고, 피니언기어에 원통형 샤프트가 형성되어 댐핑부재의 샤프트가 피니언기어의 샤프트에 삽입 및 마찰되는 상태로 댐핑부재와 피니언기어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컵홀더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재의 샤프트 주변으로 댐핑공간이 형성되고, 피니언기어의 샤프트에는 상기 댐핑공간의 내부에 위치되는 댐핑플레이트가 형성되며, 댐핑공간의 내부에는 댐핑플레이트와 마찰하여 그 회전을 억제하는 오일이 주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컵홀더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댐핑플레이트는 피니언기어의 샤프트 외주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블레이드이고, 블레이드는 회전방향에 수직인 평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슬라이딩 컵홀더 장치.
KR1020180128732A 2018-10-26 2018-10-26 차량용 슬라이딩 컵홀더 장치 KR102102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732A KR102102270B1 (ko) 2018-10-26 2018-10-26 차량용 슬라이딩 컵홀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732A KR102102270B1 (ko) 2018-10-26 2018-10-26 차량용 슬라이딩 컵홀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2270B1 true KR102102270B1 (ko) 2020-04-21

Family

ID=70456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732A KR102102270B1 (ko) 2018-10-26 2018-10-26 차량용 슬라이딩 컵홀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22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9525A (ko) * 2020-06-02 2021-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암레스트의 컵홀더 장치
KR20230161233A (ko) 2022-05-18 2023-11-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컵홀더 겸용 트레이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1706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스프링 일체형 댐퍼
US20090174211A1 (en) * 2008-01-08 2009-07-09 Charan Singh Lota Vehicle console with sliding panel
KR20150002639U (ko) * 2013-12-27 2015-07-08 현대다이모스(주) 컵홀더
KR20170037040A (ko) 2015-09-25 2017-04-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컵홀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1706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스프링 일체형 댐퍼
US20090174211A1 (en) * 2008-01-08 2009-07-09 Charan Singh Lota Vehicle console with sliding panel
KR20150002639U (ko) * 2013-12-27 2015-07-08 현대다이모스(주) 컵홀더
KR20170037040A (ko) 2015-09-25 2017-04-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컵홀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9525A (ko) * 2020-06-02 2021-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암레스트의 컵홀더 장치
KR102370494B1 (ko) * 2020-06-02 2022-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암레스트의 컵홀더 장치
KR20230161233A (ko) 2022-05-18 2023-11-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컵홀더 겸용 트레이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2270B1 (ko) 차량용 슬라이딩 컵홀더 장치
JP5410483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04263461A (ja) ハートカム−ダンパ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開閉制御装置
US20060208506A1 (en) Latching mechanism
US9962826B1 (en) Tool cabinet and storage assembly
WO2008075622A1 (ja) 車両用収納ボックスのリッドロック構造
JP2006044516A (ja) 小物入れ
JP5965166B2 (ja) 収納装置
JP2006026331A (ja) スライド補助装置
EP0287314B1 (en) Apparatus for accommodating box-like articles
KR101172576B1 (ko) 이동체의 로크기구
US6702241B2 (en) Cup holder
AU2018229381A1 (en) Dispensing apparatus
CN109070808B (zh) 用于车辆内部的储藏隔室
JP6284449B2 (ja) 収納装置
KR102516645B1 (ko) 냉장고 냉기 커버 어셈블리
JP2017202732A (ja)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装置
JP4129751B2 (ja)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
US20150035293A1 (en) Push-push latch arrangement
JP4470064B2 (ja) 緩衝機能付き引出し
KR20130119272A (ko) 서랍식 도어가 구비된 냉장고
KR102251713B1 (ko) 특히 차량 대시보드용 보관 기기 및 대응하는 차량
KR101481683B1 (ko) 수납장치
KR20190050542A (ko) 상하 개폐식 도어의 맵포켓 어셈블리
KR200151186Y1 (ko) 냉장고 서랍식 용기의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