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047B1 - 차량용 내장재 - Google Patents

차량용 내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9047B1
KR102429047B1 KR1020200139966A KR20200139966A KR102429047B1 KR 102429047 B1 KR102429047 B1 KR 102429047B1 KR 1020200139966 A KR1020200139966 A KR 1020200139966A KR 20200139966 A KR20200139966 A KR 20200139966A KR 102429047 B1 KR102429047 B1 KR 102429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on
decoration part
interior material
skin layer
bas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5651A (ko
Inventor
윤치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00139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047B1/ko
Publication of KR20220055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2Plastic parts manufactured by moulding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내장재에 관한 것으로, 차량 내장재의 골격을 형성하며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데코레이션부가 구비된 기재층과, 기재층의 전방에 적층되며 데코레이션부와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데코레이션부를 전방으로 노출시키는 스킨층을 포함하고, 스킨층은 데코레이션부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제조시 데코레이션부의 스킨층의 관통홀을 통해 노출되는 부분이 왜곡 등의 불량 없이 일정한 형상을 갖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내장재{Iinteri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내장재에 관한 것으로, 제조시 데코레이션부의 스킨층의 관통홀을 통해 노출되는 부분이 왜곡 등의 불량 없이 일정한 형상을 갖도록 하는 차량용 내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이나 플로어 콘솔(Floor console) 또는 암레스트(Arm rest) 등과 같이 차량용 내장재로 사용되는 각종 부품의 표면에는 차량의 실내에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제공함과 동시에, 탑승자의 신체적인 접촉이 예상되는 부분에 부드러운 감촉을 부여함으로써 탑승자에게 보다 안락한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각종 표피재, 일명 스킨(Skin) 소재가 적용되고 있다.
표피재 적용의 가장 대중적인 방식으로는 형태를 유지하는 코어(기재)에 가죽 재질의 원단을 감싸는 방식이 있다. 이 경우 원단 고유의 질감과 원단을 재봉한 스티치 라인이 노출되어 더욱 고급스러운 느낌을 줄 수 있다.
하지만 적지 않은 수작업과 원단 재료비로 인해 일부 고급 차종에만 적용되고 있다.
특히, 가죽 스킨에 실재로 재봉을 하는 것은 내장재의 고급화 및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는 데 있어서는 좋지만, 일일이 사람의 수작업으로 재봉을 한다는 것 자체에 공정시간 및 그에 따른 많은 인건비가 상승되며, 불량율이 높은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표피재로써 플라스틱 시트를 사용하며 코어에 표피재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되며 성형시 스티치 형상과 유사한 데코레이션을 성형하는 차량용 내장재도 사용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는 종래의 차량용 내장재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고하면, 코어(3)는 전방면에서 돌출되어 스티치 형상을 구현하는 데코레이션(4)을 구비하며, 코어(3)의 전방면에 스킨(5)이 사출 성형되되 데코레이션(4)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사출 성형된다.
이때, 도 2의 (a)와 같이 데코레이션(4)의 전방면과 스킨(5)의 전방면이 일치하도록 설계되어 제작될 경우, 도 3과 같이 금형에 코어(3)를 인서트한 후 스킨(5)을 사출 성형할 때 데코레이션(4)의 전방면과 금형 사이가 뜨거나 틈새가 발생하면서 데코레이션(4)의 전방면과 금형 사이로 수지가 침투하는 문제가 종종 발생된다.
이렇게 데코레이션의 전방면과 금형 사이로 침투된 수지는 데코레이션의 전방면의 일부를 덮도록 성형되기 때문에 제품 완성 후 외관상으로 보이는 스티치 형상에 왜곡이 발생하며 제품의 품질을 떨어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2의 (b)와 같이 금형과 데코레이션의 전방면 사이가 뜨거나 틈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데코레이션의 전방면이 스킨의 전방면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계되어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금형이 코어를 인서트할 때 데코레이션의 전방면이 금형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서 인서트함에 따라, 데코레이션의 전방면이 금형에 눌리면서 데코레이션의 단면 형상이 변형되고 원하는 스티치 형상으로 성형되지 않아 제품의 품질을 떨어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데코레이션의 전방면이 스킨의 전방면 보다 같거나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계될 경우 복수의 데코레이션의 돌출 높이가 일정하지 않는 경우 스킨의 일부가 데코레이션을 덮거나 데코레이션이 눌리는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제조시 데코레이션부의 스킨층의 관통홀을 통해 노출되는 부분이 왜곡 등의 불량 없이 일정한 형상을 갖도록 하며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며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는 차량용 내장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골격을 형성하며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데코레이션부가 구비된 기재층과, 기재층의 전방에 적층되며 데코레이션부와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데코레이션부를 전방으로 노출시키는 스킨층을 포함하고, 스킨층은 데코레이션부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차량용 내장재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스킨층은 데코레이션부의 전방면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관통홀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가림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데코레이션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의 평면상의 크기는 데코레이션의 단면 형상의 크기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용 내장재는 기재층이 사출되어 형성되고, 기재층의 전방에 스킨층이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시 데코레이션부의 스킨층의 관통홀을 통해 노출되는 부분이 왜곡 등의 불량 없이 일정한 형상을 갖도록 하며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며 제품의 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내장재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차량용 내장재의 불량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내장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내장재를 사출하는 금형장치가 도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내장재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내장재를 사출하는 금형장치가 도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내장재(100)는 차량 내장재(100)의 골격을 형성하며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데코레이션부(111)가 구비된 기재층(110)과, 기재층(110)의 전방에 적층되며 데코레이션부(111)와 대응되는 관통홀(121)이 형성되어 데코레이션부(111)를 전방으로 노출시키는 스킨층(120)을 포함하고, 스킨층(120)은 데코레이션부(111)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차량용 내장재(100)는 차량 내부의 도어트림, 인스트루먼트 패널, 플로어 콘솔, 암레스트 등에 사용될 수 있고, 고급화 및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기 위해 리얼스티치, 이미테이션 스티치, 패드 인쇄 등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데코레이션부(111)가 구비된 기재층(110)과 기재층(110)의 전방에 적층되는 스킨층(120)으로 구성된다.
기재층(110)은 차량용 내장재(100)의 골격을 형성하기 위한 층으로, 일정 강성을 갖도록 일정 두께로 형성되며 스티치 형상을 구현하는 데코레이션부(111)가 구비된다.
데코레이션부(111)는 기재층(110)의 전방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일정 형상으로 형성되되 등간격 이격되어 스티치 형상의 라인을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기재층(110)은 사출되어 형성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형합되는 금형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에 수지를 주입한 후 경화하여 성형된다.
여기서 수지를 경화하여 기재층(110)을 성형할 때 두께, 경화 조건, 형상에 따라 수축률이 상이하기 때문에 완성된 기재층(110)에서 데코레이션부(111)의 돌출 높이는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스킨층(120)은 차량용 내장재(100)의 외관을 형성하기 위한 층으로, 기재층(110)의 전방에 적층되며 데코레이션부(111)와 대응되는 관통홀(121)이 형성되어 데코레이션부(111)를 전방으로 노출시킨다.
즉, 스킨층(120)은 기재층(110)의 전방면 중 데코레이션부(111)가 형성되지 않은 전방면에 사출되어 기재층(110)의 전방에 적층되고, 관통홀(121)에 데코레이션부(111)가 삽입되며 데코레이션부(111)를 전방으로 노출시킨다.
이러한 스킨층(120)은 사출되어 형성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형합되는 금형 중 한측에 기재층(110)이 인서트 된 후 금형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에 수지를 주입하고 경화하여 성형된다.
또한, 스킨층(120)은 데코레이션부(111)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스킨층(120)의 두께가 데코레이션부(111)의 돌출 높이 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스킨층(120)의 전방면이 데코레이션부(111)의 돌출 단부의 전방면 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데코레이션부(111)의 돌출 단부와 금형 사이의 틈새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기재층(110)을 금형에 밀착되도록 가해지는 일정 하중에 따라 데코레이션부(111)의 돌출 단부가 금형에 지지되어 형상이 변형되어도 스킨층(120)의 관통홀(121)을 통해 노출되는 데코레이션부(111)의 형상은 변형되지 않는다.
즉, 금형에 지지되어 데코레이션부(111)의 형상이 변형되어도 스킨층(120)의 관통홀(121)은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되기 때문에 데코레이션부(111)는 외관상으로는 관통홀(121)을 통해 일정한 형상이 노출된다.
일예로, 데코레이션부(111)가 금형에 지지되어 눌리면 돌출 높이가 낮아지면서 단면상 넓이가 넓어지도록 형상이 변형될 수 있으며, 스킨층(120)의 관통홀(121)의 내측이 일부분 함몰되게 형성되며 데코레이션부(111)가 삽입될 수 있으나 스킨층(120)의 관통홀(121)의 데코레이션부(111)가 삽입되지 않은 부분은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도 5를 참고하면, 스킨층(120)의 두께는 데코레이션부(111)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므로, 관통홀(121)은 데코레이션부(111)와 접촉되는 부분(c)과 데코레이션부(111)와 접촉되지 않는 부분(d)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데코레이션부(111)와 접촉되는 부분(c)은 데코레이션부(111)의 변형되는 형상에 따라 사출되어 성형될 수 있고, 데코레이션부(111)와 접촉되지 않는 부분(d)은 데코레이션부(111)의 변형되는 형상에 상관없이 일정한 형상으로 사출되어 성형된다.
또한, 스킨층(120)은 데코레이션부(111)의 전방면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관통홀(121)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가림부(122)를 구비한다.
가림부(122)는 관통홀(121)의 데코레이션부(111)와 접촉되지 않는 부분(d)이 관통홀(12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장재(100)의 스티치 형상의 크기를 결정한다.
이에 따라 데코레이션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의 평면상의 크기(a)는 실제 데코레이션부(111)의 단면 형상의 크기(b) 보다 작으며, 실제 데코레이션부(111)의 단면 형상의 크기(b)는 기재층(110)이 금형에 밀착되게 하는 지지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나 데코레이션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의 평면상의 크기(a)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아래에서는,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내장재(100)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데코레이션부(111)가 구비된 기재층(110)을 사출하여 성형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이 단계에서는 기재층(110)과 대응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한쌍의 금형을 준비한 후, 한쌍의 금형을 형폐하여 캐비티에 수지를 주입한 후 경화하여 기재층(110)을 사출한다.
그 다음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형(200)과 하형(300)으로 이루어지는 금형장치에 기재층(110)을 인서트하고 상형(200)과 하형(300)을 형폐한다.
하형(300)은 상형(200)과 마주보는 면에서 함입되어 형성되어 기재층(110)이 안착되는 오목부(310)가 구비된다.
상형(200)은 오목부(310)에 삽입되도록 오목부(3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10)가 구비되어 돌출된 면은 스킨층(120)을 사출하여 성형하는 성형면이 된다.
그리고 돌출부(210)에는 스티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부(220)가 구비되며 지지부(220)의 돌출된 면은 기재층(110)을 지지하는 지지면이 된다.
이러한 지지면은 기재층(110)의 데코레이션부(111)를 누르면서 지지하며, 하형(300)과 기재층(110) 사이, 데코레이션부(111)와 지지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지한다.
그 다음 상형(200)의 성형면, 지지면, 하형(300), 기재층(110) 사이에 형성되는 캐비티에 수지를 주입한 후 경화하여 내장재(100)를 완성한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제조시 데코레이션부의 스킨층의 관통홀을 통해 노출되는 부분이 왜곡 등의 불량 없이 일정한 형상을 갖도록 하며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며 제품의 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내장재 110: 기재층
111: 데코레이션부 120: 스킨층
121: 관통홀 122: 가림부

Claims (4)

  1. 골격을 형성하며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데코레이션부가 구비된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전방에 적층되며 상기 데코레이션부와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데코레이션부를 전방으로 노출시키는 스킨층을 포함하고,
    상기 스킨층은 상기 데코레이션부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스킨층은 상기 데코레이션부의 전방면의 가장자리를 덮도록 상기 관통홀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가림부를 구비하여, 상기 데코레이션부의 형상이 변형되어도 상기 가림부를 통해 노출되는 상기 데코레이션부의 형상은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레이션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의 평면상의 크기는 상기 데코레이션의 단면 형상의 크기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이 사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기재층의 전방에 상기 스킨층이 사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장재.

KR1020200139966A 2020-10-27 2020-10-27 차량용 내장재 KR102429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966A KR102429047B1 (ko) 2020-10-27 2020-10-27 차량용 내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966A KR102429047B1 (ko) 2020-10-27 2020-10-27 차량용 내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651A KR20220055651A (ko) 2022-05-04
KR102429047B1 true KR102429047B1 (ko) 2022-08-05

Family

ID=81583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966A KR102429047B1 (ko) 2020-10-27 2020-10-27 차량용 내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90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6369A (ja) * 2011-10-18 2013-05-13 Inoac Corp 樹脂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6369A (ja) * 2011-10-18 2013-05-13 Inoac Corp 樹脂成形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651A (ko) 202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5711B1 (ko) 자동차 도어 내부 패널의 제조방법
KR102429047B1 (ko) 차량용 내장재
KR102323092B1 (ko) 차량용 내장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429039B1 (ko) 차량용 내장재 제조방법
KR102124593B1 (ko) 스티치가 형성된 자동차 내장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111319570B (zh) 装饰模制部件
KR101925296B1 (ko) 발포제 함량에 따른 스티치 형상이 구현된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
KR101925298B1 (ko) 발포원액 후주입 방식에 의해 스티치 형상이 구현된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
KR102384727B1 (ko) 차량용 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차량용 내장재
CN108569173B (zh) 四件式扶手总成及其制造方法
KR20170084437A (ko) 재봉라인이 형성된 차량용 내장재 및 그 제조방법
JP3135847B2 (ja) 発泡成形品の製造方法
JP2907413B2 (ja) 積層成形体の成形装置
JP2689868B2 (ja) 表皮材とパッド材との一体成形方法及び一体成形型
KR101925295B1 (ko) 어두운 색상의 스티치 형상이 구현된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
KR102250797B1 (ko) 자동차 내장재의 성형방법 및 이에 의한 자동차 내장재
JP2962778B2 (ja) 表皮付き深絞り樹脂成形体の製造法
JP3220446B2 (ja) 発泡成形品の製造方法
JP2525973B2 (ja) 表皮材の真空貼着方法
KR101925297B1 (ko) 표피제거장치에 의한 스티치 형상이 구현된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
KR101892587B1 (ko) 스티치 형상이 구현된 자동차 내장재의 제조 방법
JP2747452B2 (ja) 表皮一体発泡成形製品の製造方法とこれに使用する開口部保持具
JP2001079893A (ja) 加飾成形方法
JP3058320B2 (ja) 自動車用内装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355844A (ja) 加飾部材を備えた自動車用内装ライニング部品及びそれを一体成形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