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836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836B1
KR102428836B1 KR1020210091509A KR20210091509A KR102428836B1 KR 102428836 B1 KR102428836 B1 KR 102428836B1 KR 1020210091509 A KR1020210091509 A KR 1020210091509A KR 20210091509 A KR20210091509 A KR 20210091509A KR 102428836 B1 KR102428836 B1 KR 102428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magnetic sensor
coil
coils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1092A (ko
Inventor
다까히로 이
아라따 가사마쯔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91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092A/ko
Priority to KR1020220094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5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006Controlling linear motors
    • H04N5/23258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02K11/215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effect or magneto-resis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4Electronic commutators
    • H02P6/16Circuit arrangements for detect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04N5/2253
    • H04N5/2254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magnetic circuits
    • H02K2201/18Machines moving with multiple degrees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과제] 자기 센서에 의해, 자석의 이동 방향에 관계없이 높은 검출 정밀도로 자석의 위치를 검출한다.
[해결 수단] 카메라 모듈은, 렌즈와, 렌즈를 포함하는 이동체에 설치된 제1 자석 및 제2 자석과, 제1 자석의 근방에 배치되고, 제1 자석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코일부와, 제2 자석의 근방에 배치되고, 제1 방향을 검지 방향으로 하여 제2 자석의 위치를 검지하는 자기 센서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CAMERA MODULE}
본 개시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근년, CCD나 CMOS 등의 고체 촬상 소자를 갖는 모바일 카메라를 탑재하는 휴대 전화 등의 단말기가 다수 존재하고 있으며, 모바일 카메라에 적용되는 광학계에 있어서, 순시에 고정밀도의 위치 검출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 검출 기구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서, 자석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두개의 자기 센서를 나란히 배치함으로써, 자석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실용 신안 등록 제3189365호
그러나,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위치 검출 장치에서는, 두개의 자기 센서가 배열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자석이 이동한 경우에는, 자석의 이동(자석의 위치)을 검출하는 것이 검출되지 않는다.
그래서, 본 개시는,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자석, 코일 및 자기 센서의 배치 자유도가 높고, 또한 높은 검출 정밀도로 자석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개시의 일 양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은, 렌즈와, 렌즈를 포함하는 이동체에 설치된 제1 자석 및 제2 자석과, 제1 자석의 근방에 배치되고, 제1 자석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코일부와, 제2 자석의 근방에 배치되고, 제1 방향을 검지 방향으로 하여 제2 자석의 위치를 검지하는 자기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은, 렌즈와, 렌즈를 갖는 이동체에 설치된 자석과, 자석의 근방에 배치되고, 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고, 또한 권회축이 각각 일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자석을 일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두개의 코일을 갖는 코일부와, 자석의 일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검지하는 자기 센서와, 자기 센서에 대해서, 두개의 코일이 각각 역극성의 자장을 발생시키도록 코일부를 구동하는 드라이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르면, 자석의 이동 방향에 관계없이, 높은 검출 정밀도로 자석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의 (A) 및 도 1의 (B)는,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의 일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카메라 모듈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의 자석, 코일 및 자기 센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4의 (A)는, 기준 위치로부터의 자석의 거리와, 두개의 자기 센서에 인가되는 자속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의 (B)는, 기준 위치로부터의 자석의 거리와, 두개의 자기 센서에 인가되는 자속의 합 자속과 차 자속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회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의 일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의 일 구성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의 자석, 코일 및 자기 센서의 배치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10의 (A)는, 기준 위치로부터의 자석의 거리와, 두개의 자기 센서에 인가되는 자속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10의 (B)는, 기준 위치로부터의 자석의 거리와, 두개의 자기 센서에 인가되는 자속의 합 자속과 차 자속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 블록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 형태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도록 많은 특정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특정한 구체적인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 양태가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는, 특허 청구 범위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실시 형태에 설명되어 있는 특징적인 구성의 조합의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의 「좌우」나 「상하」의 방향은, 단순히 설명의 편의상의 정의이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지면을 90도 회전하면 「좌우」와 「상하」는 교환되어 읽히고, 지면을 180도 회전하면 「좌」가 「우」로, 「우」가 「좌」로 됨은 물론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두께와 평면 치수의 관계, 각 층의 두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하다.
1. 제1 실시 형태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카메라 모듈(100)은,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전자 기기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의 휴대 전화 기기, 디지털 카메라 및 디지털 무비 등이다.
[카메라 모듈의 구성]
도 1의 (A)는,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10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의 (B)는 카메라 모듈(100)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에 나타내는 카메라 모듈(100)의 II-II 단면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의 (A) 및 도 2에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자기 센서(Sx)를 포함하는 디바이스(110x) 및 자기 센서(Sy)를 포함하는 디바이스(110y)가 설치된 하우징(4)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디바이스(110x)는, 자기 센서(Sx)와, 코일(Cx)에 인가하는 전류를 제어하는 드라이버(120x)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디바이스(110y)는, 자기 센서(Sy)와, 코일(Cy)에 인가하는 전류를 제어하는 드라이버(120y)를 구비하고 있다. 자기 센서(Sx, Sy), 드라이버(120x, 120y) 및 하우징(4)의 상세는 후술한다. 또한, 도 1의 (A) 및 도 1의 (B)에는, 설명의 편의상, 카메라 모듈(100)에 대응지어진 XYZ 직교 좌표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A) 및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00)은, 박판 직사각형의 이동체인 렌즈 홀더(21)와, 렌즈 홀더(21)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설치된 렌즈(22)를 가지고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22)의 하부에,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CMOS 이미지 센서 등의 촬상 소자(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 홀더(21)는,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전자 기기에 구비된 하우징(4)의 홀더 설치부(41)에 마련되어 있다. 렌즈 홀더(21)는, 홀더 설치부(41)에 있어서, 하우징(4)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 홀더(21)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에 마련된 자석(M)을 가지고 있다. 자석(M)은, 자석(Mx) 및 자석(My)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석(Mx), 자석(My)은, 렌즈 홀더(21)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자석(My)은, 자석(Mx)이 배치된 렌즈 홀더(21)의 측면에 직교하는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110x, 110y)는, 하우징(4)에 설치되어 있다.
디바이스(110x)는, 자석(My)에 대향 배치되어 있고, 디바이스(110x)의 주위에는, 자석(My)에 대향 배치된 코일(Cy)이 마련되어 있다. 디바이스(110y)는, 자석(Mx)에 대향 배치되어 있고, 디바이스(110y)의 주위에는, 자석(Mx)에 대향 배치된 코일(Cx)이 마련되어 있다.
코일(Cx)에는, 디바이스(110x)가 검출하는 자석(My)의 위치 검출 신호에 따라 디바이스(110x)로부터 출력된 구동 신호(Sdx)에 기초한 전류가 공급된다. 코일(Cy)에는, 디바이스(110y)가 검출하는 자석(Mx)의 위치 검출 신호에 따라 디바이스(110y)로부터 출력된 구동 신호(Sdy)에 기초한 전류가 공급된다.
도 1의 (A) 및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렌즈 홀더(21)의 기준 위치(설계값)에 있어서, 렌즈(22)의 광축 방향에 XYZ 직교 좌표계의 Z축 방향이 대응지어져 있다. 또한, 렌즈 홀더(21)의 기준 위치에 있어서, 렌즈(22)의 광축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 XY 좌표 평면이 대응지어져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일(Cx)에 의해 자석(Mx)이 움직여지는 방향인 제1 방향으로서, 렌즈(22)의 광축과 수직인 방향(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X축 방향)이 대응지어져 있다. 또한, 코일(Cy)에 의해 자석(My)이 움직여지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서, 렌즈(22)의 광축 방향과, 제1 방향(X축 방향)에 수직인 Y축 방향이 대응지어져 있다.
즉, 코일(Cx)과 자석(Mx)이 배열되는 방향에 X축 방향이 대응지어져 있다. 바꾸어 말하면, X축 방향은, 자석(My)의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응지어져 있다. 코일(Cx)측으로부터 자석(Mx)측(렌즈(22)측)을 향하는 방향이 X축의 정방향이다. 또한, 코일(Cy)과 자석(My)이 배열되는 방향에 Y축 방향이 대응지어져 있다. 바꾸어 말하면, Y축 방향은, 자석(Mx)의 긴 변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응지어져 있다. 자석(My)측(렌즈(22)측)으로부터 코일(Cy)측을 향하는 방향이 Y축의 정방향이다.
[카메라 모듈의 동작]
본 실시 형태의 카메라 모듈(100)에서는, 렌즈 홀더(21)에 설치된 자석(Mx) 및 자석(My)의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렌즈(22)의 위치를 특정한다. 자석(Mx)의 위치는, 자석(Mx)과 대향하여 마련된 자기 센서(Sy)에 의해 검출된다. 자석(My)의 위치는, 자석(My)과 대향하여 마련된 자기 센서(Sx)에 의해 검출된다. 자석(Mx) 및 자석(My)의 위치 검출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 형태의 카메라 모듈(100)에서는, 자석(Mx) 및 자석(My)과 근접하여 배치된 코일(Cx) 또는 코일(Cy)에 구동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자석(Mx) 또는 자석(My)을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코일(Cx)에 구동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코일(Cx)의 주위에 자장을 발생시켜, 자장의 방향에 따라 자석(Mx)을 X축의 정방향 또는 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코일(Cy)에 구동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자석(My)을 Y축의 정방향 또는 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 카메라 모듈(100)의 각 부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자기 센서)
자기 센서(Sx)는, 자석(My)의 근방에 배치되고, X축 방향을 검지 방향으로 하여 X축 방향에 있어서의 자석(My)의 위치를 검지하는 센서이다. 또한, 자기 센서(Sy)는, 자석(Mx)의 근방에 배치되고, Y축 방향을 검지 방향으로 하여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자석(Mx)의 위치를 검지하는 센서이다. 자기 센서(Sx, Sy)는, 감자축의 방향이 X축(제1 방향), Y축(제2 방향)과 각각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기 센서(Sx) 및 자기 센서(Sy)는, 하우징(4)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자기 센서(Sx) 및 자기 센서(Sy)는 홀더 설치부(41)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자기 센서(Sy)(제1 자기 센서의 일례)는, 자석(Mx)에 대향 배치되어 있다. 자석(Mx)이 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한 자장의 변화에 따라, 자기 센서(Sy)의 출력 전압이 변화한다. 자기 센서(Sx)(제2 자기 센서의 일례)는, 자석(My)에 대향 배치되어 있다. 자석(My)이 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한 자장의 변화에 따라, 자기 센서(Sx)의 출력 전압이 변화한다.
도 3은, 자석(Mx), 코일부(Cx) 및 자기 센서(Sy)의 위치 관계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자기 센서(Sy)만을 도시하고, 자기 센서(Sy)를 포함하는 디바이스(110y)와, 자기 센서(Sy)와 함께 디바이스(110y)에 포함되는 드라이버(120y)의 도시를 생략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기 센서(Sy)는, Y축 방향(제2 방향의 일례)을 따라 배치된 두개의 자전 변환 소자(HEy1, HEy2)를 가지고 있다. 자기 센서(Sy)에 있어서, 자전 변환 소자(HEy2)는, 자전 변환 소자(HEy1)에 대해서 Y축 방향의 정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자전 변환 소자(HEy1, HEy2)는, 자석(Mx)이 Y축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자전 변환 소자(HEy1)가 출력하는 자장 검출 신호(Y1)의 변화량의 부호와, 자전 변환 소자(HEy2)가 출력하는 자장 검출 신호(Y2)의 변화량의 부호가, 서로 역부호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자기 센서(Sx)는, X축 방향(제1 방향의 일례)을 따라 배치된 두개의 자전 변환 소자(HEx1, HEx2)(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자기 센서(Sx)에 있어서, 자전 변환 소자(HEx2)는, 자전 변환 소자(HEx1)에 대해서 X축 방향의 정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자전 변환 소자(HEx1, HEx2)는, 자석(Mx)이 Y축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자전 변환 소자(HEx1)가 출력하는 자장 검출 신호(X1)의 변화량의 부호와, 자전 변환 소자(HEx2)가 출력하는 자장 검출 신호(X2)의 변화량의 부호가, 서로 역부호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4의 (A)는, 자석(Mx)의 위치(기준 위치로부터의 자석(Mx)의 거리)와, 자기 센서(Sy)의 자전 변환 소자(HEy1, HEy2)의 출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의 (A)에 있어서, 기준 위치로부터의 자석(Mx)의 거리가 정인 경우, 자석(Mx)은, 기준 위치보다도 Y축 방향의 부의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도 4의 (A) 중, 자전 변환 소자(HEy1)가 출력하는 자장 검출 신호(Y1)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자전 변환 소자(HEy2)가 출력하는 자장 검출 신호(Y2)를 점선으로 나타낸다. 도 4의 (B) 중, 자장 검출 신호(Y1)와 자장 검출 신호(Y2)의 합 신호(Y1+Y2)를 점선으로 나타내고, 자장 검출 신호(Y1)와 자장 검출 신호(Y2)의 차 신호(Y1-Y2)를 쇄선으로 나타낸다.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 신호(Y1+Y2)는, 자석(Mx)의 위치에 관계없이 대략 일정해진다. 한편,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 신호(Y1-Y2)는, 자석(Mx)의 위치에 따라 변화한다. 이 때문에, 자전 변환 소자(HEy1, HEy2)를 본 실시 형태의 배치로 함으로써, 합 신호(Y1+Y2)에 대한 차 신호(Y1-Y2)의 비(즉 (Y1-Y2)/(Y1+Y2))에 기초하여, 자석(Mx)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검출 신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위치 검출 신호는 상기 합 신호에 대한 차 신호의 비에 상당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얻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장 검출 신호(Y2)에 대한 자장 검출 신호(Y1)의 비 신호(Y1/Y2)를 사용하여, {(Y1/Y2)-1}/{(Y1/Y2)+1}에 기초하여 자석(Mx)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검출 신호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자석(My), 자기 센서(Sx)(자전 변환 소자(HEx1, HEx2)), 코일부(Cy)를 도 3에 있어서의 자석(Mx), 자기 센서(Sy)(자전 변환 소자(HEy1, HEy2)), 코일부(Cx)와 마찬가지의 배치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자전 변환 소자(HEx1)의 출력(X1), 자전 변환 소자(HEx2)의 출력(X2)의 합 신호(X1+X2)는, 자석(My)의 위치에 관계없이 대략 일정해진다. 한편, 차 신호(X1-X2)는, 자석(My)의 위치에 따라 변화한다. 이 때문에, 자전 변환 소자(HEx1, HEx2)를 본 실시 형태의 배치로 함으로써, 합 신호(X1+X2)에 대한 차 신호(X1-X2)의 비(즉 (X1-X2)/(X1+X2))에 기초하여, 자석(My)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검출 신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위치 검출 신호는, 상술한 합 신호에 대한 차 신호의 비에 상당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얻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장 검출 신호(X2)에 대한 자장 검출 신호(X1)의 비 신호(X1/X2)를 사용하여, {(X1/X2)-1}/{(X1/X2)+1}에 기초하여 자석(My)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검출 신호를 얻을 수도 있다.
자기 센서(Sx, Sy)는, 예를 들어 자전 변환 소자(HEx1, HEx2, HEy1, HEy2)로서 홀 소자를 사용한 홀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자기 센서(Sx, Sy)는, 예를 들어 자전 변환 소자(HEx1, HEx2, HEy1, HEy2)로서 자기 저항 효과 소자(MR소자)를 사용한 자기 저항(MR)센서 등이어도 된다.
(자석)
자석(Mx), 자석(My)은, 박판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 대략 동등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자석(Mx, My)은, 하나의 N극과 하나의 S극을 갖는 양극의 영구 자석이다. 자석(Mx), 자석(My)은, 렌즈 홀더(21)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되어 있다. 자석(Mx)은, 코일(Cx)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움직여지고, 자석(Mx)의 이동에 대응하여 렌즈(22)가 X축 방향으로 움직여진다. 또한, 자석(Mx)은, 자석(My)이 Y축 방향으로 움직여짐으로써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자석(My)은, 코일(Cy)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움직여지고, 자석(My)의 이동에 대응하여 렌즈(22)가 Y축 방향으로 움직여진다. 또한, 자석(My)은, 자석(Mx)이 X축 방향으로 움직여짐으로써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자석(Mx)은, 자기 센서(Sy) 내에서 두개의 자전 변환 소자(HEy1, HEy2)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분포한 2극 자석이다. 또한, 자석(My)은, 자기 센서(Sx) 내에서 두개의 자전 변환 소자(HEx1, HEx2)가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분포하고 있다. 즉, 도 1의 (A) 및 도 1의 (B)에서는, 자석(Mx)은, S극을 렌즈 홀더(21)측으로 분포시키고, N극을 자기 센서(Sy)측으로 분포시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자석(My)은, S극을 렌즈 홀더(21)측으로 분포시키고, N극을 자기 센서(Sx)측으로 분포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석(Mx)은, 자기 센서(Sy)가 갖는 두개의 자전 변환 소자(HEy1, HEy2)에 대해서, 각각 동일한 자극(도 3에서는 N극)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자석(My)은, 자기 센서(Sx)가 갖는 두개의 자전 변환 소자(HEx1, HEx2)에 대해서, 각각 동일한 자극(도 1에서는 N극)이 대향하도록 자석(My)이 배치되어 있다.
(코일)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Cx) 및 코일(Cy)은, 하우징(4)에 설치되어 있다. 코일(Cx)은, 자석(Mx)의 근방에 배치되고,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자장을 발생시켜, 자석(Mx)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코일(Cx)은, 코일(Cx)의 주위에 발생한 자속의 방향에 따라, 자석(Mx)을 X축 방향의 정방향 또는 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코일(Cy)은, 자석(My)의 근방에 배치되고,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자장을 발생시켜, 자석(My)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코일(Cy)은, 코일(Cy)의 주위에 발생한 자속의 방향에 따라, 자석(My)을 Y축 방향의 정방향 또는 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코일(Cy)은, 자석(My)을, 자석(Mx)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코일(Cx)은, 자기 센서(Sy)의 주위에, 자석(Mx)과 대향 배치되어서 마련되어 있다. 코일(Cx)에는, 자기 센서(Sx)가 검출하는 검출 신호(자석(My)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에 기초한 전류가 공급된다. 즉, 코일(Cx)에는, 자석(My)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에 기초하여, 자석(Mx)을 X축 방향의 목표 위치로 움직이게 하기 위한 전류가 공급된다.
코일(Cy)은, 자기 센서(Sx)의 주위에, 자석(My)과 대향 배치되어서 마련되어 있다. 코일(Cy)에는, 자기 센서(Sy)가 검출하는 검출 신호(자석(Mx)의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에 기초한 전류가 공급된다. 즉, 코일(Cy)에는, 자석(Mx)의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에 기초하여, 자석(My)을 Y축 방향의 목표 위치로 움직이게 하기 위한 전류가 공급된다.
이에 의해, 코일(Cx)은, 자기 센서(Sy)에 의해 검출된 자석(My)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에 기초하여, X축 방향으로 자석(Mx)을 이동시킨다. 또한, 코일(Cy)은, 자기 센서(Sy)에 의해 검출된 자석(Mx)의 위치에 기초하여, Y축 방향으로 자석(My)을 이동시킨다.
(디바이스)
도 5는, 자기 센서(Sy)와, 렌즈(22)를 X축 방향의 목표 위치로 이동시키는 드라이버(120y)를 갖는 디바이스(110y)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디바이스(110y)는, 자기 센서(Sy)와, 드라이버(120y)를 구성하는 각 부(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130y), 제어 신호 출력부(140y) 및 구동 신호 출력부(150y))의 적어도 하나가 일체화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디바이스(110y)는, 예를 들어 자기 센서(Sy)와 드라이버(120y)가 1매의 기판 내 또는 기판 상에 만들어 넣어진 모놀리식 IC나, 1기판 상에 자기 센서(Sy)와 드라이버(120y)가 접속된 하이브리드 IC여도 된다. 또한, 디바이스(110y)는, 예를 들어 자기 센서(Sy)와 드라이버(120y)가 하나의 패키지 내에 일체화되어 있어도 된다. 디바이스(110y)의 일례로서는, 예를 들어 홀 IC나 자기 저항(MR) IC를 들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드라이버(120y)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드라이버(120y)는, 자기 센서(Sy)에서 검출한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자석(Mx)의 위치에 기초하여, 코일(Cy)을 제어한다. 드라이버(120y)는, 코일(Cy)을 제어하여 자석(My)을 움직임으로써, 렌즈(22)를 Y축 방향에 있어서의 목표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드라이버(120y)의 제어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도 5에는, 드라이버(120y)를 포함하는 디바이스(110) 이외의 렌즈(22), 자석(Mx, My) 및 코일(Cy)을 기재하고 있다.
드라이버(120y)는, 자석(Mx)의 Y축 방향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130y)와, 코일(Cy)을 구동하는 구동 신호 출력부(150y)와, 구동 신호 출력부(15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 출력부(140y)를 가지고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00)은, 도 5 중 도시하지 않은 디바이스(110x)를 구비하고 있다. 디바이스(110x)는, 자기 센서(Sx)와, 렌즈(22)를 Y축 방향의 목표 위치로 이동시키는 드라이버(120x)를 갖는다. 드라이버(120x)는,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130x), 제어 신호 출력부(140x) 및 구동 신호 출력부(150x)를 구비하고 있다. 디바이스(110x)는, 자기 센서(Sx)와, 드라이버(120x)를 구성하는 각 부(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130x), 제어 신호 출력부(140x) 및 구동 신호 출력부(150x))의 적어도 하나가 일체화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이하, 드라이버(120)의 각 부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에는, 디바이스(110x) 및 디바이스(110y), 드라이버(120x) 및 드라이버(120y), 그리고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130x) 및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130y) 각각을 구별하지 않고, 디바이스(110), 드라이버(120)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자기 센서(Sy)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130)는, 자기 센서(Sy)의 두개의 자전 변환 소자(HEy1, HEy2)로부터 각각 출력된 자장 검출 신호(Y1, Y2)에 기초하여 자석(Mx)의 Y축 방향의 위치를 검출한다. 자석(Mx)의 Y축 방향의 위치는, 자기 변환 소자(HEy1, HEy2)가 각각 출력하는 두개의 자장 검출 신호(Y1, Y2)의 합 신호, 차 신호 및 비 신호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검출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130)는, 연산부(132)와, 검출부(138)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전 변환 소자(HEy1, HEy2)는 전원(80)과 접속되어, 구동 전류 또는 구동 전압이 인가된다.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130)는, 자장 검출 신호(Y1, Y2)를 AD 변환하는 AD 변환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AD 변환부는, 예를 들어 연산부(132) 내에 마련된다.
연산부(132)는, 가산기(136a) 및 감산기(136b)를 가지고 있다. 연산부(132)는, 두개의 자기 변환 소자(HEy1, HEy2)가 각각 출력하는 두개의 자장 검출 신호(Y1, Y2)를 가산기(136a)에 입력하고, 자장 검출 신호(Y1, Y2)의 합 신호(Y1+Y2)를 검출부(138)에 출력한다. 또한, 연산부(132)는, 자장 검출 신호(Y1, Y2)를 감산기(136b)에 입력하고, 자장 검출 신호(Y1, Y2)의 차 신호(Y1-Y2)를 검출부(138)에 출력한다.
검출부(138)는, 예를 들어 합 신호(Y1+Y2)에 대한 차 신호(Y1-Y2)의 비 {(Y1-Y2)/(Y1+Y2)}를 위치 검출 신호(Sp(Spy))로서 제어 신호 출력부(140)에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합 신호(Y1+Y2)는, 자석(Mx)의 위치에 관계없이 대략 일정한 값으로 된다(도 4의 (B) 참조). 이 때문에, (Y1-Y2)/(Y1+Y2)로 표시되는 위치 검출 신호(Spy)는, 자석(Mx)의 위치(자석(Mx)의 기준 위치에 대한 상대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신호로 된다.
(제어 신호 출력부)
제어 신호 출력부(140)는, 구동 신호 출력부(150)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Sc(Scy))를 출력한다. 제어 신호 출력부(140)는,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130)로부터 입력된 자석(Mx)의 Y축 방향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검출 신호(Sp(Spy))와, 자석(My)(렌즈(22))의 Y축 방향의 목표 위치를 나타내는 목표 위치 신호(Stp(Stpy))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Sc(Scy))를 출력한다. 제어 신호 출력부(140)는, 예를 들어 목표 위치 신호(Stp)와 위치 검출 신호(Sp)의 차분으로부터, Y축 방향에 있어서의 목표 위치까지의 자석(My)의 이동량을 산출한다. 제어 신호 출력부(140)는, 당해 이동량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Sc)를 구동 신호 출력부(150)에 출력한다. 또한, 제어 신호 출력부(140)는, PID 제어(Propo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er)를 사용하여 제어 신호(Sc)를 구동 신호 출력부(150)에 출력해도 된다.
(구동 신호 출력부)
구동 신호 출력부(150)는, 제어 신호 출력부(140)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Sc(Scy))에 기초하여, 구동 신호(Sd(Sdy))를 코일(Cy)에 출력한다. 구동 신호(Sd(Sdy))는, 코일(Cy)에 구동 전류를 흘리기 위한 신호이다. 구동 신호 출력부(150)는, 구동 신호(Sd(Sdy))에 의해 소정의 구동 전류를 코일(Cy)에 흘려서 코일(Cy)의 주위에 자장을 발생시켜, 자석(My)을 Y축 방향으로 소정량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구동 신호 출력부(15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자석(Mx, My)이 설치된 렌즈(22)(렌즈 홀더(21))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상, 자기 센서(Sy)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코일(Cy)을 구동하는 드라이버(120)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자기 센서(Sx)에서 검출한 자석(My)의 위치에 기초하여 코일(Cx)을 구동하는 드라이버(도시하지 않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변형예]
(1) 변형예 1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카메라 모듈(100)은,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카메라 모듈(100)은, 코일(Cy), 디바이스(120x), 자기 센서(Sx) 및 자석(My)의 각각 대신에, 두개의 코일(Cy1, Cy2), 디바이스(120x1, 120x2), 자기 센서(Sx1, Sx2) 및 자석(My1, My2)(디바이스(120x2), 자기 센서(Sx2)는 도시하지 않음)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디바이스(120y)는, 자기 센서(Sy)에서의 자석(Mx)의 위치 검출 결과에 따라 드라이버(120y)로부터 코일(Cy1) 및 코일(Cy2)의 양쪽에 대해서 구동 신호(Sdy)를 출력하고, 코일(Cy1) 및 코일(Cy2)에 전류를 인가한다. 또한, 디바이스(120x1, 120x2)는, 자기 센서(Sx1, Sx2)에서의 자석(My1, My2)의 위치 검출 결과에 따라, 드라이버(120x1,120x2)의 각각으로부터 코일(Cx)에 대해서 구동 신호(Sdx)를 출력하고, 코일(Cx)에 전류를 인가한다. 도 7에 있어서, 구동 신호(Sdx, Sdy)의 출력을 화살표로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00)은, 코일(Cx), 디바이스(120y), 자기 센서(Sy) 및 자석(Mx)의 각각 대신에, 두개의 코일(Cy1, Cy2), 디바이스(120y1, 120y2), 자기 센서(Sx1, Sx2) 및 자석(My1, My2)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2) 변형예 2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카메라 모듈(100)은, 제1 방향을 렌즈(22)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즉 Z축 방향)으로 하고, 제2 방향을 광축과 수직인 방향(즉,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렌즈(22)(렌즈 홀더(21))의 하부에 코일(Cz), 자기 센서(Sz) 및 자석(Mz)을 배치함으로써, Z축 방향의 자석(Mz)의 이동을 검출할 수 있다.
(3) 변형예 3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22)의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검지하고, 검지 결과에 따라 코일(Cx, Cy)을 구동함으로써 렌즈(22)의 위치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22)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도시하지 않은 코일(Cz)과 자석(Mz)을 추가로 구비하고, 렌즈(22)의 Z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검지하고, 검지 결과에 따라 렌즈(22)의 Z축 방향의 위치를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자석(Mz)은, 렌즈 홀더(21)를 사이에 두고 자석(Mx)에 대향 배치되어 있다. 자석(Mz)은, 하우징(4)에 마련된 홀더 설치부(41) 내에서 렌즈 홀더(21)가 움직여도, 디바이스(110z)와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홀더 설치부(41) 내에 마련되어 있다. 자석(Mz)은, 렌즈 홀더(21)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자석(Mz)과 렌즈 홀더(21)는, 서로 독립적으로 가동하도록 되어 있다.
코일(Cz)을 구동하는 디바이스(110z)(도시하지 않음)는, 하우징(4)에 설치되어 있다. 디바이스(110z)의 주위에는, 자석(Mz)에 대향 배치된 코일(Cz)이 마련되어 있다. 코일(Cz)에는, 디바이스(110z)가 검출하는 검출 신호에 기초한 전류가 공급된다.
이에 의해,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22)의 X-Y 평면 내에서의 떨림의 보정뿐만 아니라, 렌즈(22)의 Z축 방향으로의 떨림의 보정이나 초점의 보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 변형예 4
본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카메라 모듈(100)은, 변형예 3과 마찬가지로, X축 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의 렌즈(22)의 위치를 제어하는 기능에 더하여, Z축 방향으로의 렌즈(22)의 위치를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변형예 4의 카메라 모듈(100)은, 예를 들어 세개의 자석(Mx), 자석(My) 및 자석(Mz), 세개의 코일(Cx), 코일(Cy) 및 코일(Cz) 및 세개의 드라이버(110x), 드라이버(110y) 및 드라이버(110z)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카메라 모듈(100)에서는, 자석(Mx), 자석(My) 및 자석(Mz)이 렌즈 홀더(21)에 설치되어 있고, 자석(Mx), 자석(My) 및 자석(Mz)의 근방에는 코일(Cx), 코일(Cy) 및 코일(Cz)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드라이버(110x)는, 예를 들어 코일(Cx) 또는 코일(Cz)의 근방에 배치되고, 드라이버(110y)는, 예를 들어 코일(Cz) 또는 코일(Cx)의 근방에 배치되고, 드라이버(110z)는, 예를 들어 코일(Cx) 또는 코일(Cy)의 근방에 배치된다.
드라이버(110x)가 갖는 자기 센서(Sx)는, X축 방향을 검지 방향으로 하여 자석(My)의 위치를 검지한다. 드라이버(110y)가 갖는 자기 센서(Sy)는, Y축 방향을 검지 방향으로 하여 자석(Mz)의 위치를 검지한다. 드라이버(110z)가 갖는 자기 센서(Sz)는, Z축 방향을 검지 방향으로 하여 자석(Mx)의 위치를 검지한다.
코일(Cx)은, 드라이버(110x)로부터의 구동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서 자석(Mx)을 제1 방향인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코일(Cy)은, 드라이버(110y)로부터의 구동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서 자석(My)을 제2 방향인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코일(Cz)은, 드라이버(110z)로부터의 구동 신호에 의해 구동되어서 자석(Mz)을 제3 방향인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변형예 4의 카메라 모듈(100)은, 이동체에 설치된 제1 자석, 제2 자석 및 제3 자석을 가지고 있다. 코일부는, 제1 자석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코일부와, 제2 자석을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코일부와, 제3 자석을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의 어느 것과도 상이한 제3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코일부를 가지고 있다. 또한, 자기 센서는, 제3 방향을 검지 방향으로 하여 제1 자석의 위치를 검지하는 제1 자기 센서와, 제1 방향을 검지 방향으로 하여 제2 자석의 위치를 검지하는 제2 자기 센서와, 제2 방향을 검지 방향으로 하여 제3 자석의 위치를 검지하는 제3 자기 센서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카메라 모듈(100)에서는, 자기 센서(Sx), 자기 센서(Sy) 및 자기 센서(Sz)가 각각 렌즈(21)를 X, Y 및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코일(Cx), 코일(Cy) 및 코일(Cz)로부터의 누설 자장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렌즈(21)의 이동 방향에 관계없이 보다 높은 검출 정밀도로 렌즈(21)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5) 변형예 5
변형예 5의 카메라 모듈(100)은, 예를 들어 두개의 자석(Mx, Myz), 세개의 코일(Cx), 코일(Cy) 및 코일(Cz) 및 세개의 드라이버(110x), 드라이버(110y) 및 드라이버(110z)를 가지고 있다. 자석(Myz)은, 코일(Cy) 및 코일(Cz)의 양쪽의 근방에 배치되는 자석이며, 변형예 4에 기재된 자석(My, Mz)의 양쪽의 기능을 갖는 자석이라는 점에서 변형예 4와 상이하다.
코일(Cx)은, 자석(Mx)의 근방에 배치되고, 자석(Mx)을 X축 방향(제1 방향의 일례)으로 이동시킨다. 코일(Cy)은, 자석(Myz)의 근방에 배치되고, 자석(Myz)을 Y축 방향(제2 방향의 일례)으로 이동시킨다. 코일(Cz)은, 자석(Myz)의 근방에 배치되고, 자석(Myz)을 Z축 방향(제3 방향의 일례)으로 이동시킨다.
즉, 변형예 5의 카메라 모듈(100)은, 이동체에 설치된 제1 자석 및 제2 자석을 가지고 있다. 코일부는, 제1 자석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코일부와, 제2 자석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코일부와, 제2 자석을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의 어느 것과도 상이한 제3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 코일부를 가지고 있다. 또한, 자기 센서는, 제3 방향을 검지 방향으로 하여 제1 자석의 위치를 검지하는 제1 자기 센서를 추가로 갖는다.
[제1 실시 형태의 효과]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100)에서는, 이하의 효과를 갖는다. (1) 자전 변환 소자와 대향하여 배치된 자석이 두개의 자전 변환 소자가 배열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라도, 자석의 이동(자석의 위치)을 높은 검출 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2. 제2 실시 형태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면서 도 8 내지 도 11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카메라 모듈(200)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100)보다도 더욱 높은 검출 정밀도로 자석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100)은, 코일(Cx, Cy)의 중심에 자기 센서(Sy, Sx)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자기 센서(Sy, Sx)는, 자석(Mx, My)에 의해 발생하는 자장뿐만 아니라, 코일(Cx, Cy)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자장도 검출한다.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200)은, 코일(Cx, Cy)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자장의 검출을 억제하여, 보다 높은 검출 정밀도로 자석의 위치를 검출한다.
[카메라 모듈의 구성]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200)은, 4극의 자석 M'(Mx', My')와, 코일(Cx1, Cx2) 및 코일(Cy1, Cy2)과, 디바이스(110x, 110y)를 구비하고 있다. 디바이스(110x)는, 자기 센서(Sx)와, 드라이버(120x)를 갖고, 드라이버(120x)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신호(Sd)(도 8 중 화살표로 나타냄)에 의해, 코일(Cx1, Cx2)에 전류를 인가한다. 디바이스(110y)는, 자기 센서(Sy)와, 드라이버(120y)를 갖고, 드라이버(120x)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신호(Sd)(도 8 중 화살표로 나타냄)에 의해, 코일(Cx1, Cx2)에 전류를 인가한다. 자기 센서(Sy)를 갖는 디바이스(110y)는, 두개의 코일(Cx1, Cx2)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자기 센서(Sx)를 갖는 디바이스(110x)는, 두개의 코일(Cy1, Cy2)의 사이에 배치된다.
자석(Mx')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기 센서(Sy)가 갖는 두개의 자전 변환 소자(HEy1, HEy2)에 대해서, 각각 상이한 자극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기 센서(Sy)는 자석(Mx')의 S극 및 N극의 양쪽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자석(My)은, 자기 센서(Sx)가 갖는 두개의 자전 변환 소자(HEx1, HEx2)에 대해서, 각각 상이한 자극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기 센서(Sx)는 자석(My')의 S극 및 N극의 양쪽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하, 카메라 모듈(200)의 각 부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자기 센서)
도 9는, 자석(Mx') 코일부(Cx1, Cx2) 및 자기 센서(Sy)의 위치 관계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자기 센서(Sy)만을 도시하고, 자기 센서(Sy)를 포함하는 디바이스(110y)와, 자기 센서(Sy)와 함께 디바이스(110y)에 포함되는 드라이버(120y)의 도시를 생략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기 센서(Sy)는, Y축 방향(제2 방향의 일례)을 따라 배치된 두개의 자전 변환 소자(HEy1, HEy2)를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자기 센서(Sx)는, X축 방향(제1 방향의 일례)을 따라 배치된 두개의 자전 변환 소자(HEx1, HEx2)(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자전 변환 소자(HEy1, HEy2)는, 자석(Mx')이 Y축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자전 변환 소자(HEy1)가 출력하는 자장 검출 신호(Y1)의 변화량의 부호와, 자전 변환 소자(HEy2)가 출력하는 자장 검출 신호(Y2)의 변화량의 부호가, 서로 같은 부호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의 자전 변환 소자(HEy1, HEy2)와 상이하다.
도 10의 (A)는, 자석(Mx')의 위치(기준 위치로부터의 자석(Mx')의 거리)와, 자전 변환 소자(HEy1, HEy2)에 인가되는 자장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의 (A)에 있어서, 기준 위치로부터의 자석(Mx')의 거리가 정인 경우, 자석(Mx')은, 기준 위치보다도 Y축 방향의 부의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도 10의 (A) 중, 자전 변환 소자(HEy1)가 출력하는 자장 검출 신호(Y1)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자전 변환 소자(HEy2)가 출력하는 자장 검출 신호(Y2)를 점선으로 나타낸다. 도 10의 (B) 중, 자장 검출 신호(Y1)와 자장 검출 신호(Y2)의 합 신호(Y1+Y2)를 점선으로 나타내고, 자장 검출 신호(Y1)와 자장 검출 신호(Y2)의 차 신호(Y1-Y2)를 쇄선으로 나타낸다.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 신호(Y1-Y2)는, 자석(Mx')의 위치에 관계없이 대략 일정해진다. 한편,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 신호(Y1+Y2)는, 자석(Mx')의 위치에 따라 변화한다. 이 때문에, 자전 변환 소자(HEy1, HEy2)를 본 실시 형태의 배치로 함으로써, 차 신호(Y1-Y2)에 대한 합 신호(Y1+Y2)의 비(즉 (Y1+Y2)/(Y1-Y2))에 기초하여, 자석(Mx')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검출 신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위치 검출 신호는 상기 차 신호에 대한 합 신호의 비에 상당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얻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장 검출 신호(Y2)에 대한 자장 검출 신호(Y1)의 비 신호(Y1/Y2)를 사용하여, {(Y1/Y2)+1}/{(Y1/Y2)-1}에 기초하여 자석(Mx')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검출 신호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자석(My'), 자기 센서(Sx)(자전 변환 소자(HEx1, HEx2)), 코일(Cy1, Cy2)을 도 9에 있어서의 자석(Mx'), 자기 센서(Sy)(자전 변환 소자(HEy1, HEy2)), 코일(Cy1, Cy2)과 마찬가지의 배치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자전 변환 소자(HEx1)의 출력(X1), 자전 변환 소자(HEx2)의 출력(X2)의 차 신호(X1-X2)는, 자석(Mx')의 위치에 관계없이 대략 일정해진다. 한편, 합 신호(X1+X2)는, 자석(Mx')의 위치에 따라 변화한다. 이 때문에, 자전 변환 소자(HEx1, HEx2)를 본 실시 형태의 배치로 함으로써, 차 신호(X1-X2)에 대한 합 신호(X1+X2)의 비(즉 (X1+X2)/(X1-X2))에 기초하여, 자석(Mx')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검출 신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위치 검출 신호는 상기 차 신호에 대한 합 신호의 비에 상당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얻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장 검출 신호(X2)에 대한 자장 검출 신호(X1)의 비 신호(X1/X2)를 사용하여, {(X1/X2)+1}/{(X1/X2)-1}에 기초하여 자석(My)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검출 신호를 얻을 수도 있다.
(자석)
자석(Mx', My')은, 두개의 N극과 두개의 S극을 갖는 4극의 영구 자석이다. 자석(Mx')은, 자기 센서(Sy) 내에서 두개의 자전 변환 소자(HEy1, HEy2)가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분포하고, 또한 자전 변환 소자(HEy1, HEy2)가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는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분포된 4극 자석이다. 또한, 자석(My')은, 자기 센서(Sx) 내에서 두개의 자전 변환 소자(HEx1, HEx2)가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분포하고, 자전 변환 소자(HEx1, HEx2)가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는 방향에 수평한 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분포된 4극 자석이다. 또한, 자석(Mx', My')은, 4극 자석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4극 이외의 다극의 자석이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석(Mx')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기 센서(Sy)가 갖는 두개의 자전 변환 소자(HEy1, HEy2)에 대해서, 각각 상이한 자극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자석(My')은, 자기 센서(Sx)가 갖는 두개의 자전 변환 소자(HEx1, HEx2)에 대해서, 각각 상이한 자극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코일)
두개의 코일(Cx1, Cx2)은, 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고, 두개의 코일(Cy1, Cy2)은,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코일(Cx1, Cx2)은,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자장을 발생시켜, 자석(Mx')을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코일(Cy1, Cy2)은,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자장을 발생시켜, 자석(My')을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코일(Cy)은, 자석(My')을, 자석(Mx')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1은, 자기 센서(Sy)에 대해서 코일(Cx1, Cx2)이 발생하는 자장에 대해서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에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자기 센서(Sy)만을 도시하고, 디바이스(110y) 및 드라이버(120y)의 도시를 생략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Cx1, Cx2)은, 자기 센서(Sy)에 대해서 각각 역극성의 자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코일(Cx1, Cx2)은, 자기 센서(Sx)에 대해서 가능한 한 동등한 크기의 자장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자기 센서(Sy)의 위치에 있어서, 코일(Cx1)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자장과, 코일(Cx2)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발생하는 자장이 캔슬된다. 이 때문에, 자기 센서(Sy)는, 코일(Cx1, Cx2)로부터의 자장의 영향이 저감되어, 자석(Mx')의 위치를 높은 정밀도로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코일(Cx1, Cx2)에 자기 센서(Sy)에 대해서 각각 역극성의 자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코일(Cx1, Cx2)은, 이하의 어느 구성으로 된다. (i) 코일(Cx1, Cx2)은, 도체의 권취 방향이 동일하며, 역방향의 전류가 인가된다(도 11 참조). (ii) 코일(Cx1, Cx2)은, 도체의 권취 방향이 역방향이며, 동일한 방향의 전류가 인가된다.
코일(Cy1, Cy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자기 센서(Sx)에 대해서 각각 역극성의 자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자기 센서(Sx)의 위치에 있어서, 코일(Cx1, Cx2)로부터의 자장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코일(Cy1, Cy2)에 자기 센서(Sx)에 대해서 각각 역극성의 자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코일(Cx1, Cx2)은, 상술한 (i) (ii)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여겨진다.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130)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130)는, 연산부(132)와, 검출부(138)를 가지고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130)는, 차 신호(Y1-Y2)에 대한 합 신호(Y1+Y2)의 비에 기초하여 위치 검출 신호(Sp(Spy))를 출력한다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130)와 상이하다.
검출부(138)는, 예를 들어 차 신호(Y1-Y2)에 대한 합 신호(Y1+Y2)의 비 {(Y1+Y2)/(Y1-Y2)}를 위치 검출 신호(Spy)로 하여 제어 신호 출력부(140)에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차 신호(Y1-Y2)는, 자석(Mx')의 위치에 관계없이 대략 일정한 값으로 된다(도 10의 (B) 참조). 이 때문에, (Y1+Y2)/(Y1-Y2)로 표시되는 위치 검출 신호(Spy)는, 자석(Mx')의 위치(자석(Mx')의 기준 위치에 대한 상대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신호로 된다.
[제2 실시 형태의 효과]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카메라 모듈(200)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효과 (1)에 더하여, 이하의 효과를 갖는다. (2) 제2 실시 형태의 카메라 모듈(200)에서는, 인접하여 배치된 두개의 코일과, 두개의 코일의 사이에 배치되고, 두개의 자기 변환 소자를 갖는 자기 센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200)에서는, 자석이, 자기 센서가 갖는 두개의 자전 변환 소자에 대해서, 각각 상이한 자극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두개의 코일은, 자기 센서에 대해서 각각 역극성의 자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자기 센서의 위치에 있어서, 두개의 코일로부터의 자장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3. 다른 실시 형태
이하, 본 개시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130)에 있어서, 자장 검출 신호(Y1, Y2)의 합 신호(Y1+Y2)와 차 신호(Y1-Y2)의 비를 위치 검출 신호(Sp)로서 출력하고 있었지만, 이 대신,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130)에서는 이하와 같은 연산을 행해도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제1 예)
도 12의 (A)는, 다른 실시 형태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의 (A)에 나타내는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230)는, 연산부(132) 대신 연산부(232)를 갖고, 검출부(138) 대신 검출부(238)를 갖는다는 점에서, 도 6에 나타내는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130)와 상이하다.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230)는, 제1 실시 형태의 카메라 모듈(100)에 적용할 수 있다.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230)는, 연산부(232)와 검출부(238)를 가지고 있다.
연산부(232)는, 자전 변환 소자(HEy1)에 접속된 증폭부(234a)와, 자전 변환 소자(HEy2)에 접속된 증폭부(234b)를 가지고 있다. 증폭부(234a, 234b)에서는, 가산기(236b)에서 산출된 증폭부(234a)의 출력 신호와 증폭부(234b)의 출력 신호의 합 신호(Y1+Y2)가 일정해지도록 계수(증폭률)가 연산된다. 연산부(232)는, 감산기(236a)에서 연산된 증폭률 α로 제어된 증폭부(234a)의 출력 신호 αY1과 증폭부(234b)의 출력 신호 αY2의 차 신호 α(Y1-Y2)를 검출부(238)에 출력한다.
검출부(238)는, 연산부(232)의 출력(차 신호 α(Y1-Y2))에 기초하여, 자석(Mx)의 위치를 검출한다. 또한, 검출부(238)는, 자석(Mx)의 위치 검출 신호(Spy)를, 위치 검출 신호(Spy)로서 제어 신호 출력부(140)에 출력한다. 위치 검출 신호(Spy)는, 예를 들어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자석(Mx)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상대 위치를 나타낸다.
도 12의 (A)에 기재된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230)는, 제2 실시 형태의 카메라 모듈(100)에 적용하는 경우,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330)로 치환된다.
도 12의 (B)에 나타내는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330)는, 연산부(132) 대신 연산부(332)를 갖고, 검출부(138) 대신 검출부(338)를 갖는다는 점에서, 도 6에 나타내는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130)와 상이하다.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330)는, 연산부(332)와 검출부(338)를 가지고 있다.
연산부(332)는, 자전 변환 소자(HEy1)에 접속된 증폭부(334a)와, 자전 변환 소자(HEy2)에 접속된 증폭부(334b)를 가지고 있다. 증폭부(334a, 334b)에서는, 가산기(336a)에서 산출된 증폭부(334a)의 출력 신호와 증폭부(334b)의 출력 신호의 차 신호(Y1-Y2)가 일정해지도록 계수(증폭률)가 연산된다. 연산부(332)는, 감산기(336b)에서 연산된 증폭률 α로 제어된 증폭부(334a)의 출력 신호 αY1과 증폭부(334b)의 출력 신호 αY2의 합 신호 α(Y1+Y2)를 검출부(238)에 출력한다.
검출부(238)는, 연산부(232)의 출력(합 신호 α(Y1+Y2))에 기초하여, 자석(Mx)의 위치를 검출한다. 또한, 검출부(338)는, 자석(Mx)의 위치 검출 신호(Spy)를, 위치 검출 신호(Spy)로서 제어 신호 출력부(140)에 출력한다. 위치 검출 신호(Spy)는, 예를 들어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자석(Mx)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상대 위치를 나타낸다.
(다른 실시 형태의 제2 예)
도 13의 (A)는, 다른 실시 형태의 제2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의 (A)에 나타내는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430)는, 연산부(132) 대신 연산부(432)를 갖고, 검출부(138) 대신 검출부(438)를 갖는다는 점에서, 도 6에 나타내는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130)와 상이하다.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430)는, 제1 실시 형태의 카메라 모듈(100)에 적용할 수 있다.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430)는, 연산부(432)와 검출부(438)를 가지고 있다.
연산부(432)는, 가산기(436b)에서 산출된 자전 변환 소자(HEy1)로부터의 출력 Y1과 자전 변환 소자(HEy2)로부터의 출력 Y2의 합 신호(Y1+Y2)를 증폭률 연산부(435)에 입력한다. 증폭률 연산부(435)에서는, 합 신호(Y1+Y2)가 일정해지는 계수(증폭률)를 연산한다. 증폭부(434)에서는, 증폭률 연산부(435)로부터 입력된 증폭률 β를, 감산기(436a)에서 연산한 자전 변환 소자(HEy1)로부터의 출력 Y1과 자전 변환 소자(HEy2)로부터의 출력 Y2의 차 신호(Y1-Y2)에 곱하는 연산을 행한다. 연산부(432)는, 연산 결과로서 증폭률 β와 차 신호(Y1-Y2)의 곱 β(Y1-Y2)를 검출부(438)에 출력한다.
검출부(438)는, 연산부(432)의 출력에 기초하여, 자석(Mx)의 위치를 검출한다. 또한, 검출부(438)는, 자석(Mx)의 위치 검출 신호(Spy)를 제어 신호 출력부(140)에 출력한다. 위치 검출 신호(Spy)는, 예를 들어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자석(Mx)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상대 위치를 나타낸다.
도 13의 (A)에 기재된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430)는, 제2 실시 형태의 카메라 모듈(100)에 적용하는 경우,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530)로 치환된다.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530)는, 연산부(532)와 검출부(538)를 가지고 있다.
연산부(532)는, 가산기(536b)에서 산출된 자전 변환 소자(HEy1)로부터의 출력 Y1과 자전 변환 소자(HEy2)로부터의 출력 Y2의 차 신호(Y1-Y2)를 증폭률 연산부(535)에 입력한다. 증폭률 연산부(535)에서는, 차 신호(Y1-Y2)가 일정해지는 계수(증폭률)를 연산한다. 증폭부(534)에서는, 증폭률 연산부(535)로부터 입력된 증폭률 β를, 감산기(536a)에서 연산한 자전 변환 소자(HEy1)로부터의 출력 Y1과 자전 변환 소자(HEy2)로부터의 출력 Y2의 합 신호(Y1+Y2)에 곱하는 연산을 행한다. 연산부(532)는, 연산 결과로서 증폭률 β와 합 신호(Y1+Y2)의 곱 β(Y1+Y2)를 검출부(438)에 출력한다.
검출부(538)는, 연산부(532)의 출력에 기초하여, 자석(Mx)의 위치를 검출한다. 또한, 검출부(538)는, 자석(Mx)의 위치 검출 신호(Spy)를 제어 신호 출력부(140)에 출력한다. 위치 검출 신호(Spy)는, 예를 들어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자석(Mx)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상대 위치를 나타낸다.
(다른 실시 형태의 제3 예)
도 14의 (A)는, 다른 실시 형태의 제3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의 (A)에 나타내는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630)는, 연산부(132) 대신 연산부(632)를 갖고, 검출부(138) 대신 검출부(638)를 갖는다는 점에서, 도 6에 나타내는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130)와 상이하다.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630)는, 제1 실시 형태의 카메라 모듈(100)에 적용할 수 있다.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630)는, 연산부(632)와 검출부(638)를 가지고 있다.
연산부(632)는, 가산기(636b)에서 산출된 자전 변환 소자(HEy1)로부터의 출력 Y1과 자전 변환 소자(HEy2)로부터의 출력 Y2의 합 신호(Y1+Y2)가 일정해지도록, 자기 센서의 출력값을 연산한다. 연산부(632)는,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전원(80)을 제어하고, 합 신호(Y1+Y2)가 일정해지도록 자기 센서(Sy)를 구동한다.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630)는, 자기 센서(Sy)의 합 신호(Y1+Y2)가 일정해지도록, 자기 센서(Sy)의 구동 전압 또는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자기 센서 구동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전원(80)이 자기 센서 구동 제어부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자기 센서의 구동 전압 또는 구동 전류가 제어된다.
검출부(638)는, 보정된 자기 센서(Sy)로부터의 출력값 Y1, Y2에 기초하여 감산기(636a)에서 연산된 차 신호(Y1-Y2)에 기초하여, 자석(Mx)의 위치를 검출한다. 또한, 검출부(638)는, 자석(Mx)의 위치 검출 신호(Spy)를 제어 신호 출력부(140)에 출력한다. 위치 검출 신호(Spy)는, 예를 들어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자석(Mx)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상대 위치를 나타낸다.
도 14의 (A)에 기재된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630)는, 제2 실시 형태의 카메라 모듈(100)에 적용하는 경우,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730)로 치환된다.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730)는, 연산부(732)와 검출부(738)를 가지고 있다.
연산부(732)는, 감산기(736b)에서 산출된 자전 변환 소자(HEy1)로부터의 출력 Y1과 자전 변환 소자(HEy2)로부터의 출력 Y2의 차 신호(Y1-Y2)가 일정해지도록, 자기 센서의 출력값을 연산한다. 연산부(732)는, 연산 결과에 기초하여 전원(80)을 제어하고, 차 신호(Y1-Y2)가 일정해지도록 자기 센서(Sy)를 구동한다.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730)는, 자기 센서(Sy)의 차 신호(Y1-Y2)가 일정해지도록, 자기 센서(Sy)에 대한 입력값을 제어해도 된다. 이 경우, 검출부(738)는, 입력값이 제어된 자기 센서(Sy)의 구동 전압 또는 구동 전류를 제어하는 자기 센서 구동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전원(80)이 자기 센서 구동 제어부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자기 센서의 구동 전압 또는 구동 전류가 제어된다.
검출부(738)는, 보정된 자기 센서(Sy)로부터의 출력값 Y1, Y2에 기초하여 가산기(736a)에서 연산된 합 신호(Y1+Y2)에 기초하여, 자석(Mx)의 위치를 검출한다. 또한, 검출부(738)는, 자석(Mx)의 위치 검출 신호(Spy)를 제어 신호 출력부(140)에 출력한다. 위치 검출 신호(Spy)는, 예를 들어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자석(Mx)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상대 위치를 나타낸다.
이상, 다른 실시 형태의 제1 내지 제3 예에 있어서의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의 구성에 대해서 각각 설명하였지만, 각 예에 있어서, 자전 변환 소자(Sx)로부터의 출력(X1, X2)을 사용하여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해도 된다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 본 개시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상기 실시 형태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장치나 방법을 예시하는 것이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구성 부품의 재질, 형상, 구조, 배치 등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이 규정하는 기술적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할 수 있다.
4: 하우징
21: 렌즈 홀더
22: 렌즈
41: 홀더 설치부
80: 전원
100, 200: 카메라 모듈
110, 110y: 디바이스
120, 120x, 120y: 드라이버
130: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
140: 제어 신호 출력부
150: 구동 신호 출력부
Sx, Sy: 자기 센서
HEx1, HEx2, HEy1, HEy2: 자전 변환 소자
Mx, My, Mx', My': 자석
Cx, Cx1, Cx2, Cy, Cy1, Cy2: 코일

Claims (13)

  1. 이동체에 설치된 자석과,
    상기 자석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고, 또한 권회축이 각각 상기 일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자석을 상기 일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두개의 코일을 갖는 코일부와,
    상기 두개의 코일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자석의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검지하는 자기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부의 상기 두개의 코일 양쪽이, 상기 자석에 대하여 동일한 측면에서 상기 자석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렌즈를 갖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센서에 대하여, 상기 두개의 코일이 각각 역극성의 자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코일부를 구동하는 드라이버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4. 이동체에 설치된 자석과,
    상기 자석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고, 또한 권회축이 각각 상기 일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자석을 상기 일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두개의 코일을 갖는 코일부와,
    상기 두개의 코일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자석의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검지하는 자기 센서와,
    상기 자기 센서에 대하여, 상기 두개의 코일이 각각 역극성의 자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코일부를 구동하는 드라이버를 구비하고,
    상기 두개의 코일은, 서로 도체의 권취 방향이 동일하고,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코일부의 두개의 코일에 대해서 서로 역방향의 전류를 인가하는, 카메라 모듈.
  5. 이동체에 설치된 자석과,
    상기 자석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고, 또한 권회축이 각각 상기 일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자석을 상기 일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두개의 코일을 갖는 코일부와,
    상기 두개의 코일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자석의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검지하는 자기 센서와,
    상기 자기 센서에 대하여, 상기 두개의 코일이 각각 역극성의 자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코일부를 구동하는 드라이버를 구비하고,
    상기 두개의 코일은, 서로 도체의 권취 방향이 역방향이며,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코일부의 두개의 코일에 대해서 서로 동일한 방향의 전류를 인가하는, 카메라 모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하부에,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촬상 소자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센서가 상기 일방향과 수직인 방향에서 볼 때 상기 두개의 코일 사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센서는, 상기 일방향을 따라 배치된 두개의 자전 변환 소자를 갖고,
    상기 두개의 자전 변환 소자가 각각 출력하는 두개의 자장 검출 신호의 합 신호, 차 신호 및 비 신호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자석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를 더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센서가 갖는 상기 두개의 자전 변화 소자에 대해서, 각각 상이한 자극이 대향하도록 상기 자석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위치 검출 신호 출력부는, 상기 차 신호에 대한 상기 합 신호의 비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 모듈.
  10. 이동체에 설치된 자석과,
    상기 자석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고, 또한 권회축이 각각 상기 일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자석을 상기 일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코일과 제2 코일을 갖는 코일부와,
    상기 자석의 상기 일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검지하는 자기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일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코일, 상기 자기 센서, 상기 제2 코일 순으로 배치되고,
    상기 코일부의 상기 제1 코일과 상기 제2 코일 양쪽이, 상기 자석에 대하여 동일한 측면에서 상기 자석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센서는, 상기 일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 자전 변환 소자와 제2 자전 변환 소자를 갖는, 카메라 모듈.
  12. 삭제
  13. 삭제
KR1020210091509A 2018-11-14 2021-07-13 카메라 모듈 KR102428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715A KR102577576B1 (ko) 2018-11-14 2022-07-29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14181 2018-11-14
JP2018214181 2018-11-14
JPJP-P-2019-170466 2019-09-19
JP2019170466 2019-09-19
KR1020190144099A KR102278971B1 (ko) 2018-11-14 2019-11-12 카메라 모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099A Division KR102278971B1 (ko) 2018-11-14 2019-11-12 카메라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715A Division KR102577576B1 (ko) 2018-11-14 2022-07-29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092A KR20210091092A (ko) 2021-07-21
KR102428836B1 true KR102428836B1 (ko) 2022-08-04

Family

ID=7055029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099A KR102278971B1 (ko) 2018-11-14 2019-11-12 카메라 모듈
KR1020210091509A KR102428836B1 (ko) 2018-11-14 2021-07-13 카메라 모듈
KR1020220094715A KR102577576B1 (ko) 2018-11-14 2022-07-29 카메라 모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099A KR102278971B1 (ko) 2018-11-14 2019-11-12 카메라 모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715A KR102577576B1 (ko) 2018-11-14 2022-07-29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431269B2 (ko)
JP (2) JP7364435B2 (ko)
KR (3) KR102278971B1 (ko)
CN (1) CN21174455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3979A (ko) * 2019-12-27 2021-07-07 삼성전기주식회사 조리개 모듈의 위치 검출 장치
CN116097658A (zh) * 2020-08-24 2023-05-09 株式会社村田制作所 抖动修正机构及具备该抖动修正机构的相机模块
KR102632350B1 (ko) * 2021-06-24 2024-02-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13555992B (zh) * 2021-07-21 2022-06-21 上海比路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三轴自动对焦的防抖潜望马达
JP7273127B1 (ja) * 2021-11-15 2023-05-12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ポータブル電子機器、および、位置制御システム
JP7190604B1 (ja) 2022-05-31 2022-12-15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icチップ
WO2024014713A1 (ko) * 2022-07-15 2024-01-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3525A (ja) 2007-03-20 2008-10-02 Tamron Co Ltd 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備えたレンズユニット、カメラ
JP2008292386A (ja) 2007-05-28 2008-12-04 Konica Minolta Opto Inc 位置検出装置、駆動装置及び光学機器
JP2010097278A (ja) * 2008-10-14 2010-04-30 Asahi Kasei Electronics Co Ltd 位置検出装置及びその位置検出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2013083597A (ja) 2011-10-12 2013-05-09 Asahi Kasei Electronics Co Ltd 位置検出装置及び位置検出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16033480A (ja) * 2014-07-31 2016-03-10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線形運動デバイスの位置センサ及びその位置センサを用いた線形運動デバイスの位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15A (ja) 1983-05-20 1985-01-05 Canon Inc レンズ駆動装置
US4605286A (en) 1983-05-20 1986-08-12 Canon Kabushiki Kaisha Motor built-in lens mounting
JP3189365B2 (ja) 1992-03-03 2001-07-16 日本ゼオン株式会社 熱可塑性飽和ノルボルネン系樹脂の接着方法及びハードコート層形成方法
JP4408045B2 (ja) 2004-02-17 2010-02-03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
JP2005331401A (ja) 2004-05-20 2005-12-02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位置検出装置、手振れ補正機構及び撮像装置
JP4133990B2 (ja) 2004-10-01 2008-08-13 株式会社タムロン 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備えた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
JP2008003041A (ja) 2006-06-26 2008-01-10 Victor Co Of Japan Ltd 位置検出方法及び撮像装置
JP5089999B2 (ja) 2007-01-24 2012-12-0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位置検出回路及びその応用装置
JP2011066486A (ja) 2009-09-15 2011-03-31 Olympus Corp 位置検出回路及びぶれ補正装置
JP5417127B2 (ja) 2009-11-18 2014-02-12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US9042042B2 (en) 2009-11-18 2015-05-26 Nidec Sankyo Corporation Lens drive device
JP5845577B2 (ja) 2010-12-28 2016-01-20 ソニー株式会社 像ぶれ補正装置及び撮像装置
JP5731871B2 (ja) 2011-03-30 2015-06-10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位置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アクチュエータ
KR101300353B1 (ko) 2011-12-22 2013-08-28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장치
JP3189365U (ja) 2012-12-19 2014-03-13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位置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5757014B2 (ja) 2012-12-21 2015-07-29 国立研究開発法人土木研究所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変位計
JP6057839B2 (ja) 2013-06-04 2017-01-1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ブレ補正装置
KR102125558B1 (ko) * 2013-08-19 2020-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이에 사용되는 위치 검출 장치 및 위치 검출 방법
CN104995556A (zh) 2013-09-30 2015-10-21 爱斯尼克电子有限公司 具有自动调焦及补正手颤功能的便携式设备用相机促动器
CN107003494B (zh) 2014-12-18 2020-06-12 奥林巴斯株式会社 光学单元和内窥镜
KR101609351B1 (ko) 2015-04-08 2016-04-05 자화전자(주) Ois 액츄에이터
CN107873132B (zh) * 2015-07-09 2021-01-01 Lg伊诺特有限公司 相机模块和光学设备
CN113608324B (zh) * 2015-09-08 2024-03-05 Lg伊诺特有限公司 双相机模块及光学装置
CN107238910B (zh) * 2016-03-29 2023-08-15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镜头驱动装置
JP6818473B2 (ja) * 2016-09-07 2021-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ブレ補正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撮像装置
US10863094B2 (en) * 2017-07-17 2020-12-08 Apple Inc. Camera with image sensor shift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3525A (ja) 2007-03-20 2008-10-02 Tamron Co Ltd 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備えたレンズユニット、カメラ
JP2008292386A (ja) 2007-05-28 2008-12-04 Konica Minolta Opto Inc 位置検出装置、駆動装置及び光学機器
JP2010097278A (ja) * 2008-10-14 2010-04-30 Asahi Kasei Electronics Co Ltd 位置検出装置及びその位置検出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2013083597A (ja) 2011-10-12 2013-05-09 Asahi Kasei Electronics Co Ltd 位置検出装置及び位置検出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16033480A (ja) * 2014-07-31 2016-03-10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線形運動デバイスの位置センサ及びその位置センサを用いた線形運動デバイスの位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320A (ko) 2020-05-22
JP2021051277A (ja) 2021-04-01
US20220360200A1 (en) 2022-11-10
KR20210091092A (ko) 2021-07-21
US20200153366A1 (en) 2020-05-14
KR102577576B1 (ko) 2023-09-13
JP2023179616A (ja) 2023-12-19
US11431269B2 (en) 2022-08-30
CN211744557U (zh) 2020-10-23
KR102278971B1 (ko) 2021-07-20
KR20220115791A (ko) 2022-08-18
US11984835B2 (en) 2024-05-14
JP7364435B2 (ja) 202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8836B1 (ko) 카메라 모듈
JP5089999B2 (ja) 位置検出回路及びその応用装置
JP6517302B1 (ja) 位置検出装置
JP5731871B2 (ja) 位置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アクチュエータ
US8805176B1 (en) Auto-focus driving structure
JP4874720B2 (ja) 保持機構
JP3189365U (ja) 位置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6049650B2 (ja) 非接触回転角センサ
JP4926626B2 (ja) 位置検出システム、位置検出システムを用いた光学系と撮像装置
JP5483516B2 (ja) 位置検出装置、位置検出装置を有する光学系と撮像装置
CN210609394U (zh) 照相机模块
EP3890304A1 (en)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JP7124856B2 (ja) 位置検出信号の補正方法及び位置検出装置
JP2012247298A (ja) 位置検出装置
KR102138528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오토 포커스 방법
JP2009150786A (ja) 磁気式座標位置検出装置
US11997385B2 (en) Tiltless 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circuit and OIS device
JP6368185B2 (ja) 線形運動デバイスの位置センサ及びその位置センサを用いた線形運動デバイスの位置制御装置
KR102414840B1 (ko) 틸트리스 ois 회로 및 장치
JP2006284415A (ja) 位置検出装置およびカメラ
US20230388619A1 (en) Camera module and ic chip
WO2023058697A1 (ja) モータ用位置検知システム
KR20200070600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JP2018066695A (ja) 信号検出装置、信号検出方法及び信号検出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