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399B1 -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의 조명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의 조명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399B1
KR102428399B1 KR1020210093702A KR20210093702A KR102428399B1 KR 102428399 B1 KR102428399 B1 KR 102428399B1 KR 1020210093702 A KR1020210093702 A KR 1020210093702A KR 20210093702 A KR20210093702 A KR 20210093702A KR 102428399 B1 KR102428399 B1 KR 102428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reflective housing
longitudinal direction
reflectiv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미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이엔씨
Priority to KR1020210093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3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8B1/002
    • B08B1/0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1Outdoor lighting of tunnels or the like, e.g. under brid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터널의 조명 기구에 포함된 반사 구조에 부착된 이물질을 감지하고, 상기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의 조명제어장치와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기술된 바, 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의 조명제어장치는, 터널의 천장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조명 기구들; 및 상기 복수개의 조명 기구들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조명 기구들에 포함된 램프에서 조사되는 광원을 상기 터널내의 도로쪽으로 반사시키며, 반사 하우징의 내측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반사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의 조명제어장치{LIGHTING CONTROL DEVICE OF TUNNEL FOR REDUCING MAINTENANCE COS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터널의 조명 기구에 포함된 반사체 구조에 부착된 이물질을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의 조명제어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의 천장이나 측벽에 설치되어 광원을 조사하는 터널용 조명 기구는 주간에 차량이 터널에 진입할 경우 일어나는 블랙홀 현상(차량의 운전자가 터널 밖의 밝은 휘도에 순응된 상태에서 차량이 어두운 터널로 진입할 때 순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 또는 차량이 터널의 내부로 진입한 후에 급격한 휘도 차이로 인하여 생리적으로 눈의 순응이 늦어지는 암순응(暗順應: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들어갔을 때, 처음에는 보이지 않던 것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차차 보이기 시작하는 현상)현상으로 인하여 운전자에게 일시적으로 시각장애를 주어 교통사고를 유발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로와는 달리 협소한 공간 내에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터널의 조명 기구는 터널의 천정이나 측벽에 설치된 2열 이상의 램프로 구성되어 터널 내부에 상기 램프의 광원을 조사하고, 상기 램프의 후면에 터널내의 도로측으로 상기 광원을 반사시키는 반사판이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터널 조명 기구의 반사판은 외부에 노출되다 보니 먼지나 이물질등이 쌓여 반사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더불어,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상기 반사판에 부착된 이물질을 세척하는 방식으로 제거하였는데, 이 같은 방식에 있어서는 인력 낭비는 물론 그에 따른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34039호(2015.07.07 공고)가 있으면, 상기 선행문헌에는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도로 터널 내부의 조명 시스템"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 바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터널에 배치된 조명 기구에 포함된 반사 구조의 반사 하우징의 내측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감지하고, 구동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 이동하여 상기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의 조명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의 조명제어장치는, 터널의 천장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조명 기구들; 및 상기 복수개의 조명 기구들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조명 기구들에 포함된 램프에서 조사되는 광원을 상기 터널내의 도로쪽으로 반사시키며, 하기 반사 하우징의 내측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반사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 구조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전면이 개방된 개구부를 형성한 반사 하우징; 상기 반사 하우징의 길이방향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 1, 2 기어부; 상기 제 1, 2 기어부와 맞물리고, 구동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제 1, 2 기어부를 따라 회전 이동하는 제 1, 2 회전 기어부; 상기 제 1, 2 회전 기어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반사 하우징의 길이방향의 내측면과 대면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2 회전 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함과 아울러 상기 반사 하우징의 길이방향의 수직으로 회전 이동하여 상기 반사 하우징의 내측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부러쉬부; 상기 반사 하우징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반사 하우징의 내측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감지하며, 이를 신호화하는 이물질 감지 센서; 및 상기 이물질 감지 센서 및 상기 구동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이물질 감지 센서의 감지 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기어부는 상기 반사 하우징의 길이방향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기어부는 상기 반사 하우징의 길이방향의 타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2 기어부는 상기 반사 하우징의 반구형상에 따라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회전 기어부는 상기 부러쉬부의 길이방향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기어부와 맞물리며, 상기 제 2 회전 기어부는 상기 부러쉬부의 길이방향의 타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기어부와 맞물리며,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로드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러쉬부의 중심부는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들에 따르면, 조명 기구에 반사 구조를 포함하고, 이러한 상기 반사 구조에 포함된 반사 하우징의 내측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감지하고, 구동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 이동하여 상기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부러쉬부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부러쉬부는 반사 하우징의 내측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이로인해 반사 구조의 반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반사 하우징에 부착된 이물질을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제거할 필요가 없으므로, 반사 구조의 이물질 제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사 구조의 유지 보수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의 조명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의 조명제어장치의 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의 조명제어장치가 터널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단면도로서,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의 조명제어장치의 구성 중 반사 구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단면도로서,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의 조명제어장치의 구성 중 반사 구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일부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전면', '후면', '상면', '하면' 등과 같은 도면에 보이는 것을 기준으로 기술된 상대적인 용어들은 '제1', '제2' 등과 같은 서수들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서수들에 있어서 그 순서는 언급된 순서나 임의로 정해진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1)의 조명제어장치(100)는 반사 구조(120)에 포함된 반사 하우징(121)에 부착된 이물질(미도시됨)을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의 조명제어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의 조명제어장치(100)의 결합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의 조명제어장치(100)가 터널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단면도로서,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의 조명제어장치(100)의 구성 중 반사 구조(12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의 B-B'선단면도로서,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의 조명제어장치(100)의 구성 중 반사 구조(12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의 조명제어장치(100)는, 복수개의 조명 기구(110)들 및 반사 구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개의 조명 기구(110)들은 터널(1)의 천장 또는/및 터널의 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개의 조명 기구(110)들은 터널(1)의 천정에 배치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복수개의 조명 기구(110)들은 조명 하우징(111), 램프(112), 램프 소켓(113) 및 소켓 결합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조명 하우징(111)은 상기 램프(112), 상기 램프 소켓(113) 및 상기 소켓 결합부(114)를 내장할 수 있다. 상기 램프(112)는 광원(C1)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램프 소켓(113)은 상기 램프(112)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램프(112)를 상기 소켓 결합부(114)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소켓 결합부(114)는 상기 램프(112)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램프 소켓(113)과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반사 구조(120)는 상기 복수개의 조명 기구(110)들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반사 구조(120)는 상기 복수개의 조명 기구(110)들에 포함된 램프(112)에서 조사되는 상기 광원(C1)을 상기 터널(1)내의 도로(2)쪽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반사 구조(120)는 후술하는 반사 하우징(121)의 내측면에 부착된 이물질(미도시됨)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반사 구조(120)는 반사 하우징(121), 제 1, 2 기어부(122, 123), 제 1, 2 회전 기어부(124, 125), 부러쉬부(126), 이물질 감지 센서(127) 및 프로세서(128)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반사 하우징(121)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반사 하우징(121)의 전면이 개방된 개구부(121a)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반사 하우징(121)은 상기 반사 하우징(121)내에 상기 램프(112)를 배치할수 있고, 상기 램프(112)의 광원(C1)을 반사시킬 수 있으며, 반사된 상기 램프(112)의 광원(C1)을 상기 개구부(121a)를 통해 상기 터널(1)내의 도로(2)쪽으로 조사시킬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1 기어부(122)는 후술하는 제 1 회전 기어부(124)와 맞물도록 상기 반사 하우징(121)의 길이방향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어부(123)는 후술하는 제 2 회전 기어부(125)와 맞물도록 상기 반사 하우징(121)의 길이방향의 타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1, 2 기어부(122, 123)는 상기 반사 하우징(121)의 형상에 따라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반사 하우징(121)은 반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2 기어부(122, 123)도 반구형상의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반사 하우징(121)은 반구형상이외에 다양한 형상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2 기어부(122, 123)도 반구형상의 곡선이외에 다양항 곡선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회전 기어부(124)는 후술하는 상기 부러쉬부(126)의 길이방향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1 회전 기어부(124)는 상기 제 1 기어부(122)와 맞물리고,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기어부(122)를 따라 상기 반사 하우징(121)의 길이방향의 수직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1 회전 기어부(124)는 반구형상의 상기 제 1 기어부(122)를 따라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회전 기어부(125)는 후술하는 상기 부러쉬부(126)의 길이방향의 타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2 회전 기어부(125)는 상기 제 2 기어부(123)와 맞물리고,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 기어부(123)를 따라 상기 반사 하우징(121)의 길이방향의 수직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2 회전 기어부(125)는 반구형상의 상기 제 2 기어부(123)를 따라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2 회전 기어부(125)는 상기 구동 모터(130)의 회전 로드(13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2 회전 기어부(125)는 상기 구동 모터(130)가 구동시 상기 구동 모터(130)의 회전 로드(131)가 회전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 2 회전 기어부(125)도 상기 회전 로드(131)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회전 기어부(125)가 회전할 경우, 상기 제 1 회전 기어부(124)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부러쉬부(126)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1, 2 회전 기어부(124, 12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부러쉬부(126)의 길이방향의 일측에 상기 제 1 회전 기어부(124)를 배치할 수 있고, 상기 부러쉬부(126)의 길이방향의 타일측에 상기 제 2 회전 기어부(125)를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부러쉬부(126)는 상기 반사 하우징(121)의 길이방향의 내측면과 대면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부러쉬부(126)는 상기 제 1, 2 회전 기어부(124, 125)의 회전에 따라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반사 하우징(121)의 길이방향의 수직으로 회전 이동하여 상기 반사 하우징(121)의 내측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부러쉬부(126)의 중심부는 상기 구동 모터(130)의 회전 로드(13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구동 모터(130)의 구동에 따라 상기 회전 로드(131)가 회전할 경우, 상기 제 1, 2 회전 기어부(124, 125)도 회전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부러쉬부(126)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2 회전 기어부(124, 125)는 반구형상의 상기 제 1, 2 기어부(122, 123)을 따라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 2 회전 기어부(124, 125)가 회전 이동할 경우, 마찬가지로 상기 부러쉬부(126)도 상기 반사 하우징(121)의 내측면을 따라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러쉬부(126)는 상기 반사 하우징(121)의 내측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물질 감지 센서(127)는 상기 반사 하우징(121)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이물질 감지 센서(127)는 상기 반사 하우징(121)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이물질 감지 센서(127)는 상기 이물질을 감지하고, 이를 신호화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이물질 감지 센서(127)는 감지된 신호를 후술하는 프로세서(128)에 인가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8)는 상기 이물질 감지 센서(127) 및 상기 구동 모터(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프로세서(128)는 상기 이물질 감지 센서(127)의 감지 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구동 모터(13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28)는 상기 이물질 감지 센서(127) 및 상기 구동 모터(13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부(미도시됨)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로세서(128)는 상기 구동 모터(130)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상기 구동 모터(130)에 공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의 조명제어장치(100)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의 조명제어장치(100)는, 복수개의 조명 기구(110)들 및 반사 구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반사 구조(120)는 상기 복수개의 조명 기구(110)들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 구조(120)는 상기 복수개의 조명 기구(110)들에 포함된 램프(112)에서 조사되는 광원(C1)을 상기 터널(1)내의 도로(2)쪽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반사 구조(120)는 반사 하우징(121), 제 1, 2 기어부(122, 123), 제 1, 2 회전 기어부(124, 125), 부러쉬부(126), 이물질 감지 센서(127) 및 프로세서(128)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1, 2 기어부(122, 123)는 상기 반사 하우징(121)의 길이방향의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1 기어부(122)는 상기 반사 하우징(121)의 길이방향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 기어부(123)는 상기 반사 하우징(121)의 길이방향의 타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회전 기어부(124)는 상기 제 1 기어부(122)와 맞물리고, 상기 제 2 회전 기어부(125)는 상기 제 2 기어부(123)와 맞물릴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부러쉬부(126)는 상기 제 1, 2 회전 기어부(124, 12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부러쉬부(126)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부러쉬부(126)의 길이방향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회전 기어부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부러쉬부(126)의 길이방향의 타일단에는 상기 제 2 회전 기어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부러쉬부(126)의 길이방향의 외측 둘레는 상기 반사 하우징의 길이방향의 내측면에 대면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회전 기어부(125)의 일면에는 상기 구동 모터(130)의 회전 로드(13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회전 로드(131)는 상기 부러쉬부(126)의 중심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로드(131)의 일단은 제 1 회전 기어부(124)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회전 로드(131) 타일단은 상기 제 2 회전 기어부(125)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구동 모터(130)의 회전 로드(131)는 상기 부러쉬부(126)의 중심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 모터(130)의 구동에 따라 상기 회전 로드(131)가 회전할 경우, 상기 부러쉬부(126)도 회전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 1, 2 회전 기어부(124, 125)도 함께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앞서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이물질 감지 센서(127)는 상기 반사 하우징(121)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이물질 감지 센서(127)와 상기 구동 모터(130)는 프로세서(128)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터널(1)내의 이물질(미도시됨)이 상기 반사 하우징(121)의 내측면에 부착될 경우, 상기 이물질 감지 센서(127)는 상기 이물질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이물질 감지 센서(127)는 상기 이물질을 감지하고 이를 신호화 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감지 센서(127)는 이물질 감지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128)에 인가할 수 있다.
앞서 도 5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128)는 상기 이물질 감지 센서(127)로부터 상기 이물질 감지 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이물질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구동 모터(130)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130)가 상기 프로세서(128)에 의해 정방향으로 구동될 경우, 상기 구동 모터(130)의 회전 로드(131)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회전 로드(131)의 정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제 1, 2 회전 기어부(124, 125)와 상기 부러쉬부(126)도 함께 정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1, 2 회전 기어부(124, 125)는 반구형상의 상기 제 1, 2 기어부(122, 123)를 따라 제 1 방향(①)을 향하여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2 회전 기어부(124, 125)가 제 1 방향(①)을 향하여 회전 이동할 경우, 상기 부러쉬부(126)도 함께 제 1 방향(①)을 향하여 회전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반사 하우징(121)의 내측면을 따라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방향(①)을 향하여 회전 이동하는 상기 부러쉬부(126)는 상기 반사 하우징(121)의 내측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모터(130)가 상기 프로세서(128)에 의해 정방향의 반대인 역방향으로 구동될 경우, 상기 구동 모터(130)의 회전 로드(131)를 상기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회전 로드(131)의 역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제 1, 2 회전 기어부(124, 125)와 상기 부러쉬부(126)도 함께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제 1, 2 회전 기어부(124, 125)는 반구형상의 상기 제 1, 2 기어부(122, 123)를 따라 제 1 방향(①)의 반대인 제 2 방향(②)을 향하여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2 회전 기어부(124, 125)가 상기 제 2 방향(②)을 향하여 회전 이동할 경우, 상기 부러쉬부(126)도 함께 상기 제 2 방향(②)을 향하여 회전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반사 하우징(121)의 내측면을 따라 회전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방향(②)을 향하여 회전 이동하는 상기 부러쉬부(126)는 상기 반사 하우징(121)의 내측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반사 구조(120)는 상기 반사 하우징(121)의 내측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 감지 센서(127)에서 감지하고, 프로세서(128)는 상기 이물질 감지 센서(127)의 이물질 감지 신호에 따라 구동 모터(130)를 구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부러쉬부(126)를 회전시켜 자동으로 이물질을 제거시킴으로써, 상기 반사 구조(120)는 상기 제 1, 2 기어부(122, 123), 상기 제 1, 2 회전 기어부(124, 125), 상기 구동 모터(130), 상기 이물질 감지 센서(127) 및 상기 부러쉬부(126)를 이용하여 상기 반사 하우징의 내측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고. 이로인해 상기 반사 구조(120)의 반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반사 하우징(121)에 부착된 이물질을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제거할 필요가 없으므로, 반사 구조(120)의 이물질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사 구조(120)의 유지 보수 시간 및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의 조명제어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조명제어장치 110: 조명 기구
120 : 반사 구조 121 : 반사 하우징
122, 123 : 제 1, 2 기어부 124, 125 : 제 1, 2 회전 기어부
126 : 부러쉬부 127 : 이물질 감지 센서
128 : 프로세서
C1 : 광원

Claims (4)

  1.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의 조명제어장치에 있어서,
    터널의 천장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조명 기구들; 및
    상기 복수개의 조명 기구들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조명 기구들에 포함된 램프에서 조사되는 광원을 상기 터널내의 도로쪽으로 반사시키며, 하기 반사 하우징의 내측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반사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 구조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전면이 개방된 개구부를 형성한 반사 하우징;
    상기 반사 하우징의 길이방향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 1, 2 기어부;
    상기 제 1, 2 기어부와 맞물리고, 구동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제 1, 2 기어부를 따라 이동하는 제 1, 2 회전 기어부;
    상기 제 1, 2 회전 기어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반사 하우징의 길이방향의 내측면과 대면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2 회전 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함과 아울러 상기 반사 하우징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반사 하우징의 길이방향의 수직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여 상기 반사 하우징의 내측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부러쉬부;
    상기 반사 하우징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반사 하우징의 내측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감지하며, 이를 신호화하는 이물질 감지 센서; 및
    상기 이물질 감지 센서 및 상기 구동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이물질 감지 센서의 이물질 감지 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이물질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의 조명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어부는 상기 반사 하우징의 길이방향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기어부는 상기 반사 하우징의 길이방향의 타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2 기어부는 상기 반사 하우징의 반구형상에 따라 곡선으로 형성되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의 조명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 기어부는 상기 부러쉬부의 길이방향의 일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기어부와 맞물리며,
    상기 제 2 회전 기어부는 상기 부러쉬부의 길이방향의 타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기어부와 맞물리며,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로드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의 조명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러쉬부의 중심부는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로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의 조명제어장치.
KR1020210093702A 2021-07-16 2021-07-16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의 조명제어장치 KR102428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702A KR102428399B1 (ko) 2021-07-16 2021-07-16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의 조명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702A KR102428399B1 (ko) 2021-07-16 2021-07-16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의 조명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8399B1 true KR102428399B1 (ko) 2022-08-02

Family

ID=82845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702A KR102428399B1 (ko) 2021-07-16 2021-07-16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의 조명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39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500B1 (ko) * 2009-07-29 2010-04-16 남세인 무인 세척장치
KR101036874B1 (ko) * 2008-06-23 2011-05-25 윤호식 자동 세척장치가 구비된 터널용 조명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874B1 (ko) * 2008-06-23 2011-05-25 윤호식 자동 세척장치가 구비된 터널용 조명등
KR100953500B1 (ko) * 2009-07-29 2010-04-16 남세인 무인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0788B2 (en) LED vehicle wheel well illumination device
US20170101046A1 (en) Modular Illumination Device
KR102428399B1 (ko) 유지관리가 용이한 터널의 조명제어장치
JPS62191246A (ja) 車体側方照明灯並びにその装置
CN210485567U (zh) 一种汽车顶部照明装置
KR102320408B1 (ko) 자가발전이 가능한 차선규제봉
KR102453855B1 (ko) 도로터널의 내부 조명시설
KR101102887B1 (ko) 반사갓 가변형 도로용 조명기구
KR200405961Y1 (ko) 도로 표지병.
KR101937978B1 (ko) 차량용 가이드 램프
KR101728493B1 (ko) 차량용 도로표시판 식별장치
CN219414631U (zh) 一种防磨损的汽车倒车灯
CN117537298B (zh) 一种基于can通讯实现灯语的车前灯
CN219303108U (zh) 一种警戒安全发光灯
CN220135284U (zh) 一种自动翻盖的雾灯
CN214405909U (zh) 一种自适应远光变色前照灯系统
CN213920835U (zh) 一种汽车保险杠
JP4228084B2 (ja) 車両用ランプ装置
KR200309308Y1 (ko) 철도차량용 자동문 개폐표시 램프
CN209351305U (zh) 增强型倒车照明系统
KR200345590Y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안전삼각대
JPH046704A (ja) 道路の照明方法
EP0981455B1 (en) Lighting fixture
KR101825690B1 (ko) 차량의 램프 장치
KR960006691Y1 (ko) 전륜자동차의 엔진실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