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408B1 - 자가발전이 가능한 차선규제봉 - Google Patents

자가발전이 가능한 차선규제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408B1
KR102320408B1 KR1020210078295A KR20210078295A KR102320408B1 KR 102320408 B1 KR102320408 B1 KR 102320408B1 KR 1020210078295 A KR1020210078295 A KR 1020210078295A KR 20210078295 A KR20210078295 A KR 20210078295A KR 102320408 B1 KR102320408 B1 KR 102320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motor
generator
light emitting
emit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창근
Original Assignee
노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창근 filed Critical 노창근
Priority to KR1020210078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4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6Rotors
    • F03D1/065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 F03D1/0675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lements of the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10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 F03D9/11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storing electrica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4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generator
    • F21S9/04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generator driven by wind power, e.g. by wind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70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 F05B2220/706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21Rotors for wind turbines
    • F05B2240/221Rotors for wind turbines with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30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차선규제봉을 개시한다. 차선규제봉은 노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발광유닛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노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바람에 의해 회전 가능한 팬과, 상기 팬의 회전을 이용하여 상기 발광유닛에 공급되는 전력을 생산 가능한 모터-발전기 및 상기 모터-발전기를 통해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가발전이 가능한 차선규제봉 {SELF-POWERED LANE RESTRICTION POLE}
본 발명은 차선규제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풍력을 이용한 자가발전이 가능한 차선규제봉에 관한 것이다.
차선의 명확한 구분, 차량의 불법유턴 방지, 차량의 진입통제 등 다양한 목적으로 차선규제봉을 도로면에 설치하여 차량의 안전주행을 유도하고 있다.
일반적인 종래 차선규제봉은 외측면에 부착되는 반사지를 이용하여 차량이 발하는 헤드라이트 광 등을 차량을 향해 반사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종래 차선규제봉의 반사지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오염되거나 박리되어 반사도가 현저히 낮아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차선규제봉의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반사지를 LED 광원으로 대체하여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 경우 LED 광원에 전력을 공급하는 방법이 문제되었다.
등록실용신안 20-0260066 (2001.12.26)
본 발명은 종래의 반사지가 필요 없는 차선규제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긴 수명을 가지는 차선규제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주행풍 및 자연풍을 이용하여 자가발전이 가능한 차선규제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자가발전으로 생산한 전력을 이용하여 발광함으로써 시인성이 향상되는 차선규제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효율적인 전력 소비가 가능한 차선규제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설치, 교체, 및 수리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차선규제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침수 방지 구조가 마련되는 차선규제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차선규제봉은 노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발광유닛;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노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바람에 의해 회전 가능한 팬; 상기 팬의 회전을 이용하여 상기 발광유닛에 공급되는 전력을 생산 가능한 모터-발전기; 및 상기 모터-발전기를 통해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전모듈은 상기 발광유닛 및 상기 모터-발전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력을 공급 가능하고, 상기 모터-발전기는 상기 축전모듈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팬을 구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팬은 야광물질, 형광물질, 반사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노출구가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바디; 설치면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바디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바디를 지지하는 스탠드; 및 상기 하우징바디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노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바디의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을 상기 하우징바디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발전기 및 상기 축전모듈을 수용하는 모터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모터-발전기 및 상기 축전모듈이 수용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외측을 둘러싸고, 상기 하우징바디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형성되고, 빗물을 상기 배수구로 안내하는 우수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환경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 상기 팬의 회전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계측센서; 및 상기 조도센서 및 상기 계측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유닛 및 상기 모터-발전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축전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측센서는 상기 팬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는 회전속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를 통해 외부환경의 조도가 일정 수준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광유닛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축전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조도센서를 통해 외부환경의 조도가 일정 수준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회전속도센서를 통해 상기 팬의 회전 속도가 일정 수준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팬이 상기 모터-발전기에 의해 강제 구동될 수 있게 상기 모터-발전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축전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계측센서는 상기 팬의 회전에 의하여 모터-발전기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를 통해 외부환경의 조도가 일정 수준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광유닛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축전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조도센서를 통해 외부환경의 조도가 일정 수준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전력센서를 통해 상기 모터-발전기에서 생산되는 전력이 일정 수준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팬이 상기 모터-발전기에 의해 강제 구동될 수 있게 상기 모터-발전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축전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노출구는 한 쌍 또는 복수의 노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한 쌍의 노출구가 좌우 측면에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바디; 상기 하우징바디의 전후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팬이 보여지는 관찰구;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관찰구를 커버하는 투명커버; 및 상기 하우징바디에 고정되는 한 쌍의 에어가이드로서, 한 쌍의 에어가이드 각각의 유출구는 대응되는 상기 한 쌍의 노출구 각각에 연결되고 한 쌍의 에어가이드 각각의 유입구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는 한 쌍의 에어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외면 상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제1 발광유닛; 및 상기 노출구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고정되는 제2 발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차선규제봉은 상기 팬의 외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팬과 함께 회전하는 도광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고정되고, 내측에 상기 제2 발광유닛이 배치되며, 상기 제2 발광유닛의 빛을 상기 도광부재를 향하여 안내하는 광가이드파이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광부재는 상기 팬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제2 발광유닛의 빛을 반경 방향으로 출사할 수 있다.
고가의 소모품인 반사지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비용 절감 및 수명 연장이 가능하고, 자가발전으로 생산한 전력을 이용하여 발광함으로써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팬은 주행풍 및 자연풍에 의하여 회전되어 발광유닛에 소비되는 전력을 생산함과 동시에, 발광하면서 회전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선을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여러 구성이 배치되는 하우징바디를 설치면에 고정된 스탠드로부터 따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수리,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차선규제봉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로부터 다수의 전자부품을 포함하는 구성을 보호할 수 있고, 유입된 빗물을 배수구를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으므로 침수로 인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규제봉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선규제봉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선규제봉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선규제봉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차선규제봉의 구동부 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차선규제봉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차선규제봉의 제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선규제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차선규제봉의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선규제봉의 팬 및 도광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팬 및 도광부재를 포함하는 차선규제봉의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선규제봉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단", "하단", "상부", "하부"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선규제봉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선규제봉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선규제봉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선규제봉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차선규제봉의 구동부 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5을 참조할 때, 차선규제봉(1)은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에 고정되는 발광유닛(200)과,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되는 팬(300)과, 모터 또는 발전기로 구동 가능한 모터-발전기(420)(또는, "모터 겸용 발전기") 및 모터-발전기(420)에 의해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모듈(430)을 포함하는 구동부 어셈블리(4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외관을 형성하고 상단이 막혀있고 하단이 개방된 대략 실린더 형상을 갖는 하우징바디(110)와, 앵커볼트 등의 체결수단(121)에 의해 설치면(예: 도로면)에 고정되고 하우징바디(1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개방된 하우징바디(110)의 하단을 커버하는 스탠드(120)와, 하우징바디(110)의 일 측면에 형성되고 하우징(100) 내부공간(또는, 하우징바디(110) 내부공간)을 하우징(100) 외부로 노출시키는 노출구(130)를 포함할 수 있다. 팬(300)은 노출구(130)를 통하여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노출구(130)는 한 쌍의 노출구(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노출구(130)는 하우징바디(110)의 좌우 측면에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후 방향이란 도로가 연장되는 방향이고, 좌우 방향이란 전후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이다. 즉, 좌우 방향은 도로의 폭 방향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노출구(130)는 2 개 이상인 복수의 노출구(1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스탠드(120)는 하우징바디(110)를 지지 또는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탠드(120)는 삽입홈(122) 및 삽입홈(122)과 연결되는 체결그루브(123)를 포함할 수 있고, 하우징바디(110)는 하단에 형성되는 체결돌기(111)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돌기(111)를 삽입홈(122)에 삽입한 상태에서 하우징바디(110)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삽입홈(122)에 삽입된 체결돌기(111)는 체결그루브(123)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돌기(111)가 체결그루브(123)와 결합되면 하우징바디(110)는 스탠드(12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바디(11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체결돌기(111)는 삽입홈(122)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하우징바디(110)를 위로 당기면 하우징바디(110)와 스탠드(120)는 분리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앵커볼트(121)를 풀어 설치면에 설치된 스탠드(120) 채로 분리할 필요 없이, 하우징바디(110) 만을 스탠드(120)에서 분리시킴으로써 하우징바디(110)에 배치되는 여러 전자부품들을 용이하게 수리 또는 교체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하우징(10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노출구(130)를 통해 유입되는 빗물 등을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구(11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구(112)는 복수의 배수구(11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구(112)는 하우징바디(110)의 하단부의 일부가 삭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수구(112)는 스탠드(120)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배수구(112)는 하우징(100)(또는, 하우징바디(110))의 내부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발광유닛(200)은 차량의 운전자에게 인식되는 빛을 발할 수 있다. 발광유닛(200)은 하우징(100)의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유닛(200)(또는, 제1 발광유닛)은 하우징(100)의 외면을 통해 하우징(100)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외부로 빛을 발할 수 있다. 발광유닛(200)은 빛을 방출하는 광원(201)과, 광원(201)을 커버하는 커버(202)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유닛(200)을 통해 방출되는 빛은 커버(202)를 투과할 수 있다. 커버(202)는 하우징바디(110)에 방수되게 결합될 수 있다. 광원(201)은 LED를 포함할 수 있고, 커버(202)는 실질적으로 투명하거나 실질적으로 반투명한 유리, 아크릴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202)는 유채색일 수 있다.
차선규제봉(1)은 시계(視界)가 좋지 않은 환경(예: 밤, 우천 시 등)에서 발광유닛(200)의 빛을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차선(예: 중앙선)의 존재 및 진행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팬(300)은 노출구(130)를 통해 유입되는 바람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를 달리는 차량은 차량의 주변에 주행풍을 형성할 수 있고, 차량에 의하여 형성된 주행풍이 노출구(130)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면서 팬(3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연풍이 노출구(130)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면서 팬(300)을 회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팬(300)은 모터-발전기(420)의 회전축(401)에 결합되는 허브(310)와, 상하단이 허브(310)에 연결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320)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310)는 블레이드(320)의 상단이 연결되는 제1 허브와 블레이드(320)의 하단이 연결되는 제2 허브를 포함하는 한 쌍의 허브를 포함할 수 있고, 블레이드(320)는 복수의 블레이드(32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320)는 상단과 하단이 수직선 상에 놓이지 않게 배치되도록 상단에서 하단으로 연장됨에 따라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팬(30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팬(300)은 금속(예: 철, 알루미늄),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팬(300)은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팬(300)은 야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300)은 주변이 밝을 때(예: 낮) 빛을 흡수하고 주변이 어두울 때(예: 밤) 빛을 방출할 수 있다.
팬(300)은 형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300)은 주변의 빛을 흡수하여 다시 방출할 수 있다.
팬(300)은 발광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300)은 발광할 수 있다. 발광물질은 다양한 메커니즘에 의하여 빛을 발하면 충분하다.
팬(300)은 반사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팬(300)은 차량이 방출하는 빛(예: 헤드라이트 빛)을 재귀반사할 수 있다.
팬(300)은 다양한 원리에 의하여 발광할 수 있도록 야광물질, 형광물질, 발광물질, 및 반사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야광물질, 형광물질, 발광물질, 및 반사물질 중 적어도 하나는 블레이드(320)의 표면에 도포될 수도 있고 블레이드(320)의 제작에 사용되는 소재(예: 플라스틱)에 혼입될 수도 있다.
팬(300)은 회전되면서 발광할 수 있다. 팬(300)의 회전으로 발광하는 블레이드(320)의 위치가 주기적으로 변화됨에 따라 팬(300)이 방출하는 빛은 차량의 운전자에게 점멸하는 것처럼 보이거나 시간에 따라 밝기가 변하는 것처럼 보이게 되고, 이러한 시각적 자극을 이용하여 차선규제봉(1)은 운전자의 시선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팬(300)은 야광물질, 형광물질, 발광물질, 및 반사물질 어느 것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팬(300)은 야광물질, 형광물질, 발광물질, 및 반사물질을 이용해서 발광하지는 않을 수 있다.
구동부 어셈블리(400)는 모터 또는 발전기로 구동 가능한 모터-발전기(420)와, 모터-발전기(420)가 생산하는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모듈(430)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발전기(420)는 팬(300)과 결합되어 팬(300)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401)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401)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회전축(401)의 하단은 모터-발전기(420)의 본체(421)에 결합될 수 있고, 회전축(401)의 상단은 하우징(100)(예: 하우징바디(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팬(300)은 회전축(401)에 결합될 수 있고, 회전축(401)은 팬(30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모터-발전기(420)는 모터로도 구동될 수 있고 발전기로도 구동될 수 있도록 복수의 회로, 전극, 전선, 스위치 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발전기(420)는 회전축(401)을 통해서 팬(300)의 운동에너지를 공급받거나, 모터-발전기(420)의 동력을 팬(3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모터-발전기(420)는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팬(300)의 운동에너지를 회전축(401)을 통해 전달받을 수 있고,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모터-발전기(420)는 축전모듈(430) 및/또는 발광유닛(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모터-발전기(420)는 축전모듈(430)로부터 공급받은 전기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전환하여 팬(300)에 전달할 수 있다.
축전모듈(430)은 축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축전지는 납 축전지, 니켈 수소 전지, 리튬 이온 배터리 등에 해당될 수 있다. 축전모듈(430)은 축전지에 저장된 전력을 축전모듈(430)의 외부로 공급하고 단속하기 위한 다양한 회로, 전선, 전극, 및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 어셈블리(400)는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되는 모터케이스(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케이스(410)는 모터-발전기(420) 및/또는 축전모듈(430)을 커버할 수 있다. 모터케이스(410)가 하우징(100)에 결합됨으로써 구동부 어셈블리(400)는 스탠드(120)의 상부에 배치되고 스탠드(12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구동부 어셈블리(400)는 배수구(11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동부 어셈블리(400)는 스탠드(120)의 상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모터케이스(410)는 내부에 모터-발전기(420) 및/또는 축전모듈(43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413)을 형성하고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부(411,412)와, 케이스부(411,412)와 이격되고 케이스부(411,412)를 둘러싸도록 대략 고리 형상을 가지며 하우징(100)(예: 하우징바디(110))의 내측면에 접촉 및/또는 고정되는 고정부(414)와, 케이스부(411,412)의 외주면에 연결되고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케이스부(411,412)와 고정부(414)를 연결하는 연결부(415)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415)는 복수의 연결부(415)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부(411,412)는 상부케이스(411)와 하부케이스(412)를 포함할 수 있고, 상부케이스(411)는 수용공간(413)을 형성할 수 있고, 하부케이스(412)는 상부케이스(411)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케이스(411)와 하부케이스(412)가 결합됨에 따라서 수용공간(413)은 커버 및/또는 밀폐될 수 있다. 상부케이스(411)의 상면에는 회전축(401)이 관통할 수 있는 개구(418)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415)는 내부가 비어있는 사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연결부(415)의 내부공간은 케이스부(411,412)의 내부공간(또는, 수용공간(413))과 연통될 수 있다. 연결부(415)는 전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416)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발전기(420) 및/또는 축전모듈(430)과 연결되는 복수의 전선들은 수용공간(413)에서 연결부(415)의 내부공간을 통하여 홀(416)에 도달할 수 있고, 홀(416)을 통해 모터케이스(410)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전선은 방수 가능한 피복으로 코팅될 수 있다. 전선이 통과되는 홀(416)은 방수접착제, 실리콘 등이 도포되어 방수되게 실링될 수 있다. 전선은 빗물이 잘 닿지 않는 하우징바디(110)의 내면에 부착될 수 있고, 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홀(416)은 모터케이스(410)의 외주 측(또는, 고정부(414))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414)는 하우징바디(110)의 내측면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고, 하우징바디(110)를 관통하는 체결부재(예: 볼트 등)에 의하여 하우징바디(110)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모터케이스(41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모터케이스(410)는 케이스부(411,412)와 고정부(414) 사이에 배치되는 우수로(417)를 포함할 수 있다. 우수로(417)는 케이스부(411,412) 및 고정부(414)에 둘러싸여 형성될 수 있다. 우수로(417)는 케이스부(411,412), 고정부(414), 및 연결부(415)에 의하여 둘러싸여 형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우수로(417)는 연결부(415)에 의하여 복수 개로 구획될 수 있다. 모터케이스(410)는 배수구(11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우수로(417)는 노출구(130)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된 빗물을 하부에 위치된 배수구(112)로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터케이스(410)는 복수의 전자부품을 포함하는 모터-발전기(420) 및/또는 축전모듈(430)이 빗물 등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노출구(130)를 통해 빗물 등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되더라도 우수로(417) 및 배수구(112)를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으므로 모터-발전기(420), 축전모듈(430) 등이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차선규제봉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차선규제봉의 제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7을 참조하여 차선규제봉(1)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차선규제봉(1)은 차선규제봉(1) 외부 환경의 조도를 측정할 수 있는 조도센서(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선규제봉(1)은 팬(300)의 회전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계측센서(1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계측센서(103)는 팬(300)의 회전속도를 측정 가능한 회전속도센서 및 팬(300)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력을 측정 가능한 전력센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회전속도센서 및 전력센서는 통상적인 회전속도센서 및 전력센서에 해당될 수 있다.
차선규제봉(1)은 조도센서(102) 및/또는 계측센서(103)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축전모듈(430) 및/또는 모터-발전기(420) 및/또는 발광유닛(200)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1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1)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메모리, 및 저장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메모리 및/또는 저장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와 저장 장치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로 구성될 수 있다.
조도센서(102)는 하우징바디(110)의 외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계측센서(103)는 하우징(100) 내부 및/또는 수용공간(413)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01)는 수용공간(413)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01)는 조도센서(102), 계측센서(103), 축전모듈(430), 모터-발전기(420). 및 발광유닛(200)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01)는 조도센서(102)를 통해 획득된 측정값(예: 외부 환경의 조도값)과 기설정된 기준값(L)(또는 "기준조도값")을 비교할 수 있다(S100). 기준값(L)은 평균적인 밤의 조도값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값(L)은 50 lux에 해당될 수 있다.
외부환경의 조도를 측정한 조도센서(102)의 측정값이 기준값(L)을 초과하는 동안(예: 낮 동안), 발광유닛(200)은 구동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에 의하여 팬(300)이 회전함에 따라 발생된 전력은 발광유닛(200)에 사용되지 않은 채 축전모듈(430)에 저장될 수 있다.
외부환경의 조도를 측정한 조도센서(102)의 측정값이 기준값(L) 이하이면 (예: 밤 동안), 발광유닛(200)은 구동될 수 있다(S200). 구체적으로, 제어부(101)는 축전모듈(430)이 발광유닛(200)으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축전모듈(430)을 제어할 수 있다.
외부환경의 조도가 기준값(L) 이하인 상태에서, 계측센서(103)는 팬(300)의 회전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제어부(101)는 계측센서(103)를 통해 획득된 측정값(예: 팬의 회전속도, 또는 팬의 회전으로 인하여 발생된 전력)과 기설정된 기준값(H)(또는 "기준계측값")을 비교할 수 있다(S300). 예를 들어, 계측센서(103)가 회전속도센서인 경우 측정값과 기준값(H)(예: 10 rpm)은 회전속도값에 해당될 수 있고, 계측센서(103)가 전력센서인 경우 측정값과 기준값(H)(예: 10 Watt)은 전력량값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회전속도센서는 일정 시간 동안(예: 30분)의 팬(300)의 평균 회전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전력센서는 일정 시간 동안(예: 30분) 팬(300)의 회전에 의해 발전되는 전력량을 통해 전력을 측정할 수 있다.
계측센서(103)의 측정값이 기준값(H)을 초과하는 동안 팬(300)은 강제 구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미, 팬(300)은 주행풍 및/또는 자연풍에 의하여 회전되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때, 팬(300)의 회전을 이용하여 모터-발전기(420)는 전력을 생산할 수 있고, 생산된 전력은 축전모듈(430) 및/또는 발광유닛(200)에 공급될 수 있다.
계측센서(103)의 측정값이 기준값(H) 이하인 경우 팬(300)은 모터-발전기(420)에 의해 구동(또는, 강제 구동)될 수 있다(S400). 구체적으로, 제어부(101)는 축전모듈(430)이 모터-발전기(420)로 전력을 공급하고 모터-발전기(420)가 모터로서 구동되도록 축전모듈(430) 및/또는 모터-발전기(420)를 제어할 수 있다. 모터-발전기(420)는 일정 시간 동안(예: 30분) 팬(3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도가 기준값(L) 아래로 시계가 나쁜 환경에서 모터-발전기(420)가 발광하는 팬(300)을 회전시킴으로써, 운전자의 시선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에 의하여 팬(300)이 회전되지 않더라도 발광하는 팬(300)을 강제 구동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선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모터-발전기(420)가 일정 시간 동안 팬(300)을 회전시킨 후, 모터-발전기(420)는 팬(300)의 강제 구동을 중단할 수 있다. 이후, 다시 계측센서(103)는 팬(300)의 회전과 관련된 정보(예: 팬의 회전속도, 팬의 회전에 의해 발전되는 전력)를 획득할 수 있다.
계측센서(103)가 팬(300)의 회전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동안, 모터-발전기(420)는 발전기로서 구동될 수 있으며 팬(300)을 강제 구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차선규제봉(1)의 동작은 조도센서(102)의 측정값과 기준값(L)을 비교하는 단계(S100)부터 다시 새롭게 반복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선규제봉(1)은 축전모듈(430)에 저장된 전력을 효율적으로 소비할 수 있고, 외부 환경이 밝음에도 발광유닛(200)이 구동됨으로써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차선규제봉(1)은 다양한 유무선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통신모듈을 통해 미치 연동된 사용자 단말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정 시간(예: 48시간) 이상 계측센서(103)의 측정값이 기준값(H) 이하인 경우, 제어부(101)는 팬(300) 및/또는 모터-발전기(420)에 고장 및/또는 파손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고,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특정한 고장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고장 신호는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차선규제봉 고장"과 같은 문구일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특정한 소리의 출력음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선규제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차선규제봉의 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7에 도시된 차선규제봉(1)에 관한 설명은 후술하는 내용과 충돌하지 않는 한 도 8 내지 9에 도시된 차선규제봉(1')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내지 9를 참조할 때, 차선규제봉(1')의 하우징(100)은 하우징바디(110)의 전후 측면에 개구되어 형성되고 팬(300)이 보여지는 관찰구(113)와, 실질적으로 투명한 유리, 아크릴 등의 소재로 형성되고 관찰구(113)를 커버하는 투명커버(114)와, 하우징바디(110)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에어가이드(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투명커버(114)는 생략될 수 있다. 관찰구(113)는 한 쌍의 관찰구(113)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투명커버(114) 역시 한 쌍의 투명커버(11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에어가이드(140)는 각각 한 쌍의 노출구(130)에 대응될 수 있다. 한 쌍의 노출구(130)는 제1,2 노출구(130a,130b)를 포함할 수 있고, 한 쌍의 에어가이드(140)는 제1,2 에어가이드(141,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에어가이드(141)는 제1 노출구(130a)에 대응될 수 있고, 제2 에어가이드(142)는 제2 노출구(130b)에 대응될 수 있다. 제1,2 에어가이드(141,142)는 서로 대칭될 수 있다.
제1,2 에어가이드(141,142)는 일단에 형성되는 유입구(141c,142c)와, 타단에 형성되고 유입구(141c,142c)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유출구와, 유입구(141c,142c)와 유출구를 연결하는 가이드유로(141d,142d)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에어가이드(141)의 구성은 "제1"을 붙여 서술하고, 제2 에어가이드(142)의 구성은 "제2"를 붙여 서술한다. 구체적으로, 제1,2 에어가이드(141,142) 각각은 제1 가이드벽(141a,142a)과 제2 가이드벽(142a,142b)을 포함할 수 있고, 제1,2 에어가이드(141,142) 각각의 제1,2 가이드벽(141a,141b,142a,142b)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가이드유로(141d,142d)는 제1 가이드벽(141a,142a)과 제2 가이드벽(141b,142b)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해당될 수 있고, 유입구(141c,142c)는 제1,2 가이드벽(141a,141b,142a,142b)의 일단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고, 유출구는 제1,2 가이드벽(141a,141b,142a,142b)의 타단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2 에어가이드(141,142) 각각의 제1,2 가이드벽(141a,141b,142a,142b)은 대략 곡률지게 구부러진 판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벽(141a,142a)은 하우징(100)의 전방 좌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고, 제2 가이드벽(141b,142b)은 하우징(100)의 후방 우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2 에어가이드(141,142)는 각각 대응되는 노출구(130)에 연결될 수 있다. 유출구를 형성하는 제1,2 가이드벽(141a,142a,141b,142b) 각각의 타단은 노출구(130a,130b)의 일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제1,2 에어가이드(141,142)의 유입구가 노출구(130a,130b)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유입구(141c,142c)의 면적은 유출구(또는, 노출구(130a,130b))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유입구(141c,142c)를 통해 유입된 바람은 유출구를 통과할 때 더욱 가속되어 토출될 수 있다. 즉, 제1,2 에어가이드(141,142)는 제1,2 노즐에 해당될 수 있다.
제1,2 유출구는 유입구(141c,142c)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대략 팬(300)의 접선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출구는 유입구(141c,142c)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가속한 후 팬(300)의 회전방향과 일치하는 접선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으므로, 더욱 효율적으로 팬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1,2 유입구(141c,142c)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략 전후 방향을 따라서, 제1 유입구(141c)는 차선규제봉(1')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한 곳을 바라볼 수 있고, 제2 유입구(142c)는 제1 유입구(141c)가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바라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차선규제봉(1')이 중앙선에 설치될 때 제1,2 유입구(141c,142c)가 달려오는 차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유입구(141c)는 하우징(100)의 좌측에서 주행하는 차를 마주하도록 전방을 향해 개방될 수 있고, 제2 유입구(142c)는 하우징(100)의 우측에서 주행하는 차를 마주하도록 후방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2 유입구(141c,142c)는 전후 방향에서 서로 반대 측을 향하므로, 차선규제봉(1')이 중앙선에 설치되었을 때 차선규제봉(1')의 좌우 측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주행하는 차량들의 주행풍 모두를 팬(300)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안내하여 팬(300)의 회전을 더욱 효율적이고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관찰구(113) 및 투명커버(114)는 운전자가 팬(300)을 감지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관찰구(113)를 통해서 팬(300)의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팬(300)에 바람이 유입됨에 따라 회전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선규제봉의 팬 및 도광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팬 및 도광부재를 포함하는 차선규제봉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7에 도시된 차선규제봉(1)에 관한 설명 및/또는 도 8 내지 9에 도시된 차선규제봉(1')에 관한 설명은 후술하는 내용과 충돌하지 않는 한 도 10 내지 11에 도시된 차선규제봉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 내지 11을 참조할 때, 차선규제봉은 팬(300)과 결합되는 도광부재(500)와, 도광부재(500)에 빛을 입사시키는 발광유닛(220)(또는, 제2 발광유닛)과, 제2 발광유닛(220)의 빛을 도광부재(500)로 안내하는 광가이드파이프(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바디(110)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하우징바디(110의 외측면 상에서 노출되는 발광유닛(210)을 제1 발광유닛(210)이라 할 수 있다. 발광유닛(200)은 제1,2 발광유닛(210,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발광유닛(220)은 하우징(100)의 내면 상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발광유닛(220)은 하우징(100)(예: 하우징바디(110))의 상측 내면 상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하우징(100)은 제2 발광유닛(220)은 하우징바디(110)의 상측 내면 상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부(221)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발광유닛(220)은 지지부(221)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발광유닛(220)은 팬(3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발광유닛(220)은 노출구(130)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발광유닛(300)은 노출구(130)를 통해 유입되는 빗물 등에 오염되지 않을 수 있다.
도광부재(500)는 팬(300)의 외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광부재(500)는 팬(300)의 허브(310)(예: 제1 허브) 외측을 커버하는 허브커버부(510)와, 팬(300)의 블레이드(320) 외측의 적어도 일부분을 커버하는 블레이드커버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커버부(520)는 복수의 블레이드커버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커버부(520)는 허브커버부(510)의 가장자리에 연결될 수 있고, 허브커버부(51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허브커버부(510)와 블레이드커버부(5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광부재(500)는 팬(30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도광부재(500)는 실질적으로 투명하거나 실질적으로 반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광부재(500)를 형성하는 소재는 유리, 아크릴, 플라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가이드파이프(600)는 하우징(100)(예: 하우징바디(110))의 상측 내면 상에 고정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광가이드파이프(600)는 속이 빈 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광가이드파이프(600)는 반사율이 뛰어난 금속(예: 철, 알루미늄, 티타늄 등), 유리, 아크릴,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가이드파이프(600)의 내측에는 제2 발광유닛(220)이 배치될 수 있다. 광가이드파이프(600)의 내측의 빈 공간의 일단부(예: 상단부)에 제2 발광유닛(220)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가이드파이프(600)의 상단에 지지부(221)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지지부(221)의 하면에 배치된 제2 발광유닛(220)은 광가이드파이프(6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발광유닛(220)의 빛은 광가이드파이프(600)의 내면에 반사 및/또는 난반사 되면서 도광부재(500)로 안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가이드파이프(600)에 의하여 제2 발광유닛(220)의 빛은 다른 곳으로 누설되지 않으며 효율적으로 도광부재(500)로 안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발광유닛(220)의 빛은 광가이드파이프(600)의 타단(예: 하단)을 통해서 출사될 수 있고, 광가이드파이프(600)에서 출사된 빛은 광가이드파이프(600)의 타단(예: 하단)의 하부에서 광가이드파이프(600)의 타단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도광부재(500)의 허브커버부(510)로 입사될 수 있다.
허브커버부(510)로 입사된 제2 발광유닛(220)의 빛은 허브커버부(510)의 내부를 따라 팬(300)의 반경 방향으로(또는, 허브커브부(510)이 외주연을 향하여) 확산될 수 있고, 허브커버부(510)의 내부를 진행하는 제2 발광유닛(220)의 빛은 블레이드커버부(520)의 내부로 진행될 수 있고, 블레이드커버부(520)의 내부를 진행하는 빛은 팬(300)의 블레이드(320)를 마주하는 면과 반대되는 측인 블레이드커버부(520)의 외측면을 통해서 팬(300)의 반경 방향으로 출사될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커버부(520)를 마주하는(또는, 블레이드커버부(520)와 접촉되는) 블레이드(320)의 일면은 회전축(401)을 향하는 제2 발광유닛(220)의 빛이 블레이드커버부(520)의 외측면을 통해서 출사되도록 제2 발광유닛(220)의 빛을 반사할 수 있다.
또한, 도광부재(500)는 팬(300)과 함께 회전할 수 있으므로, 팬(300)과 함께 회전하면서 제2 발광유닛(220)의 빛을 반경 방향으로 출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선규제봉은 도광부재(500) 및 팬(300)의 회전을 이용하여 발광유닛(220)의 빛을 점멸하는 것처럼 보이거나 시간에 따라 밝기가 변하는 것처럼 보이게 운전자를 향해 방출할 수 있고, 운전자의 시선을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더욱이, 회전하는 팬(300)에 발광유닛(220)을 직접 배치시키려면 발광유닛(22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슬립링과 같은 복잡한 구조의 부품이 마련되어야 하지만, 본 실시예는 회전하는 팬(300)에 발광유닛(220)을 직접 배치시키지 않고도 회전하는 팬(300)에 발광유닛(220)을 직접 배치한 것과 같이 전력을 이용하여 형성된 빛이 팬(300)에서 방출되게 만들 수 있으므로,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고 오염에 대한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선규제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7에 도시된 차선규제봉(1)에 관한 설명 및/또는 도 8 내지 9에 도시된 차선규제봉(1')에 관한 설명 및/또는 도 10 내지 11에 도시된 차선규제봉에 관한 설명은 후술하는 내용과 충돌하지 않는 한 도 12에 도시된 차선규제봉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를 참조할 때, 차선규제봉은 하우징(100)(예: 하우징바디(110))의 상부에 배치되고 회전축(401)과 함께 회전 가능한 인디케이터(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축(401)의 상단은 하우징바디(110)의 상단을 관통할 수 있고, 하우징바디(110)의 상단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회전축(401)의 상단에 인디케이터(700)가 결합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700)는 회전축(401)에 결합되는 허브(710)와, 허브(710)에 연결되고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날개(720)를 포함할 수 있다. 날개(720)는 타원형 평판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수평방향으로 오목한 스푼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한 쌍의 날개(720)는 팬(300)과 유사하게 야광물질, 형광물질, 발광물질, 및 반사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야광물질, 형광물질, 발광물질, 및 반사물질에 대한 설명은 팬(300)의 경우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인디케이터(700)는 하우징(100)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인디케이터(700)만 보고 불량인 차선규제봉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300)이 불량 또는 파손된 차선규제봉의 인디케이터(700)는 회전하지 않으므로 인디케이터(700)가 회전되는 복수의 정상 차선규제봉 사이에서 불량 차선규제봉(700)을 직관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차선규제봉
100; 하우징
200; 발광유닛
300; 팬
420; 모터-발전기
430; 축전모듈

Claims (10)

  1. 노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발광유닛;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노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바람에 의해 회전 가능한 팬;
    상기 팬의 회전을 이용하여 상기 발광유닛에 공급되는 전력을 생산 가능한 모터-발전기; 및
    상기 모터-발전기를 통해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축전모듈은 상기 발광유닛 및 상기 모터-발전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력을 공급 가능하고,
    상기 모터-발전기는 상기 축전모듈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팬을 구동 가능하고,
    상기 노출구는 한 쌍의 노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한 쌍의 노출구가 좌우 측면에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바디;
    상기 하우징바디의 전후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팬이 보여지는 관찰구;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관찰구를 커버하는 투명커버; 및
    상기 하우징바디에 고정되는 한 쌍의 에어가이드로서, 한 쌍의 에어가이드 각각의 유출구는 대응되는 상기 한 쌍의 노출구 각각에 연결되고 한 쌍의 에어가이드 각각의 유입구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는 한 쌍의 에어가이드; 를 포함하는, 차선규제봉.
  2. 차선규제봉에 있어서,
    노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발광유닛;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노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바람에 의해 회전 가능한 팬;
    상기 팬의 회전을 이용하여 상기 발광유닛에 공급되는 전력을 생산 가능한 모터-발전기; 및
    상기 모터-발전기를 통해 생산된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축전모듈은 상기 발광유닛 및 상기 모터-발전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력을 공급 가능하고,
    상기 모터-발전기는 상기 축전모듈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팬을 구동 가능하고,
    상기 발광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외면 상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제1 발광유닛; 및
    상기 노출구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고정되는 제2 발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차선규제봉은:
    상기 팬의 외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팬과 함께 회전하는 도광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고정되고, 내측에 상기 제2 발광유닛이 배치되며, 상기 제2 발광유닛의 빛을 상기 도광부재를 향하여 안내하는 광가이드파이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광부재는 상기 팬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제2 발광유닛의 빛을 반경 방향으로 출사하는, 차선규제봉.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야광물질, 형광물질, 반사물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차선규제봉.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노출구가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바디;
    설치면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바디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바디를 지지하는 스탠드; 및
    상기 하우징바디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노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바디의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을 상기 하우징바디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구;를 포함하는, 차선규제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바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발전기 및 상기 축전모듈을 수용하는 모터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모터-발전기 및 상기 축전모듈이 수용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외측을 둘러싸고, 상기 하우징바디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고정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형성되고, 빗물을 상기 배수구로 안내하는 우수로;를 포함하는, 차선규제봉.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외부 환경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
    상기 팬의 회전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계측센서; 및
    상기 조도센서 및 상기 계측센서의 측정값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유닛 및 상기 모터-발전기 중 적어도 하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축전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차선규제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센서는 상기 팬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는 회전속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를 통해 외부환경의 조도가 일정 수준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광유닛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축전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조도센서를 통해 외부환경의 조도가 일정 수준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회전속도센서를 통해 상기 팬의 회전 속도가 일정 수준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팬이 상기 모터-발전기에 의해 강제 구동될 수 있게 상기 모터-발전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축전모듈을 제어하는, 차선규제봉.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센서는 상기 팬의 회전에 의하여 모터-발전기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측정하는 전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를 통해 외부환경의 조도가 일정 수준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광유닛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축전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조도센서를 통해 외부환경의 조도가 일정 수준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전력센서를 통해 상기 모터-발전기에서 생산되는 전력이 일정 수준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팬이 상기 모터-발전기에 의해 강제 구동될 수 있게 상기 모터-발전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축전모듈을 제어하는, 차선규제봉.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78295A 2021-06-16 2021-06-16 자가발전이 가능한 차선규제봉 KR102320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295A KR102320408B1 (ko) 2021-06-16 2021-06-16 자가발전이 가능한 차선규제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295A KR102320408B1 (ko) 2021-06-16 2021-06-16 자가발전이 가능한 차선규제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408B1 true KR102320408B1 (ko) 2021-11-02

Family

ID=78476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295A KR102320408B1 (ko) 2021-06-16 2021-06-16 자가발전이 가능한 차선규제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4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87761A1 (en) * 2019-09-20 2021-03-25 Initech Co., Ltd. Self-powered delineator including lighting-emitt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066Y1 (ko) 2001-09-17 2002-01-10 이은식 차선 규제봉
KR200281811Y1 (ko) * 2002-03-19 2002-07-13 박래봉 탄력봉 점멸 및 차량 점멸장치
KR20060107647A (ko) * 2005-04-11 2006-10-16 김봉태 차선 규제봉
KR101197319B1 (ko) * 2011-06-22 2012-12-04 이선일 도로의 조명장치
JP3187508U (ja) * 2013-06-26 2013-12-05 林均▲げん▼ 垂直軸式風力発電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066Y1 (ko) 2001-09-17 2002-01-10 이은식 차선 규제봉
KR200281811Y1 (ko) * 2002-03-19 2002-07-13 박래봉 탄력봉 점멸 및 차량 점멸장치
KR20060107647A (ko) * 2005-04-11 2006-10-16 김봉태 차선 규제봉
KR101197319B1 (ko) * 2011-06-22 2012-12-04 이선일 도로의 조명장치
JP3187508U (ja) * 2013-06-26 2013-12-05 林均▲げん▼ 垂直軸式風力発電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87761A1 (en) * 2019-09-20 2021-03-25 Initech Co., Ltd. Self-powered delineator including lighting-emitter
US11505905B2 (en) * 2019-09-20 2022-11-22 Initech Co., Ltd. Self-powered delineator including lighting-emit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0408B1 (ko) 자가발전이 가능한 차선규제봉
KR100806209B1 (ko) 발광 과속 방지턱
KR20030061166A (ko) 태양전지와 발광다이오드 셀을 이용한 도로 표지판
KR20100064093A (ko) 대체 에너지를 이용한 전기 설비 수용 시스템
JP2004250982A (ja) カラーコーン
JP2004250982A6 (ja) カラーコーン
KR200224014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도로 표시장치
JP3513745B2 (ja) 道路鋲
JP2012038669A (ja) 照明器具
JP3154596U7 (ko)
JP3154596U (ja) 仮囲い板
JP2600517Y2 (ja) 標識灯
JP2005183077A (ja) トンネル用照明装置
JPH083948A (ja) 自発光式道路用ブロック及び自発光式道路点滅照明装置
KR20100110975A (ko) 도로표시용 델리네이터
JP5558169B2 (ja) 自発光視線誘導標
KR200430991Y1 (ko) 온도표시기능을 갖는 데리네이터
KR102339742B1 (ko) 풍력발전기가 구비된 도로 반사경장치
KR102547241B1 (ko) Led 모듈 및 이를 이용하는 가로등
JP2008302913A (ja) 自転車用照明装置
JPH0731474B2 (ja) 面発光表示器
JP2004224323A (ja) 二輪車用ホイール発光装置
KR20100089196A (ko) 교통안전표시장치
JPH1079201A (ja) 屋外灯
KR100210600B1 (ko) 휘도를 증가시킨 도로 교통 표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