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100B1 - 폐분체도료를 활용한 고형연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분체도료를 활용한 고형연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100B1
KR102428100B1 KR1020220055486A KR20220055486A KR102428100B1 KR 102428100 B1 KR102428100 B1 KR 102428100B1 KR 1020220055486 A KR1020220055486 A KR 1020220055486A KR 20220055486 A KR20220055486 A KR 20220055486A KR 102428100 B1 KR102428100 B1 KR 102428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powder
powder coating
solid fuel
moistur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5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민
이광영
박유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비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비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비아이
Priority to KR1020220055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1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1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06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plastic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34Other details of the shaped fuels, e.g. briquettes
    • C10L5/36Shape
    • C10L5/363Pellets or granu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8Drying or removing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30Pressing, compressing or compac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32Molding or mou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분체도료를 활용한 고형연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거된 폐분체도료를 이물질 제거, 수분 제거, 펠렛 제조 및 압축 과정을 거쳐 고형연료로 제조함으로써, 폐분체도료의 소각 및 폐기에 따른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가공성, 가연성, 발열량 등이 우수하여 석탄, 석유 등의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폐분체도료를 활용한 고형연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분체도료를 활용한 고형연료의 제조방법{A method for manufacturing solid fuel using waste powdery paint}
본 발명은 폐분체도료를 활용한 고형연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거된 폐분체도료를 이물질 제거, 수분 제거, 펠렛 제조 및 압축 과정을 거쳐 고형연료로 제조함으로써, 폐분체도료의 소각 및 폐기에 따른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가공성, 가연성, 발열량 등이 우수하여 석탄, 석유 등의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폐분체도료를 활용한 고형연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체도료는 액상도료와 달리 용매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취급, 관리 및 도장작업이 용이하고, 용매에 의한 질병 발생 및 화재의 위험이 감소될 수 있다.
분체도료는 정전도장 등의 방법으로 피도장물에 부착된 후 열처리되는데, 이때 분체도료의 수지 성분이 열에 의해 가교 및 경화되면서 도막이 형성된다.
한편, 분체도료는 고전압으로 분사되어 도장공정이 진행되므로, 도장공정 중에 피도장물로부터 이탈하여 손실되는 분체도료의 양이 상당히 많은데, 기존에는 이러한 폐분체도료를 수거하여 대부분 소각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폐분체도료를 소각하는 경우 소각처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도장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폐분체도료의 소각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폐분체도료를 재활용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0955658호는 레벨링 첨가제를 포함하는 폐분체도료 90~95중량%에 수산기를 포함하는 용매로 되는 촉매 5~10중량%를 첨가하고 삼본 롤밀을 이용하여 분산하여 선분산된 폐분체도료를 얻는 단계(S1); 레벨링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으며 특수무늬 첨가제를 포함하는 버진 특수무늬 분체도료 조성물에, 선분산된 폐분체도료를 혼합하고 용융압출하여 고상의 칩으로 성형하는 단계(S2); 및 성형된 고상의 칩을 분쇄하는 단계(S3)를 포함하는 재생 특수무늬 분체도료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폐분체도료의 재활용 공정이 복잡하고, 용매를 추가로 사용함에 따라 취급 및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폐분체도료의 재생공정이 간단하고, 가공성, 가연성, 발열량 등이 우수하여 석탄, 석유 등의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재생 고형연료의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55658호(2010.05.06.)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거된 폐분체도료를 이물질 제거, 수분 제거, 펠렛 제조 및 압축 과정을 거쳐 고형연료로 제조함으로써, 폐분체도료의 소각 및 폐기에 따른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가공성, 가연성, 발열량 등이 우수하여 석탄, 석유 등의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폐분체도료를 활용한 고형연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분체도료를 수거한 후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단계;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폐분체도료를 혼합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제거단계;
상기 수분이 제거된 폐분체도료를 용융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는 펠렛 제조단계; 및
상기 펠렛을 압축하여 고형연료를 제조하는 고형연료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폐분체도료를 활용한 고형연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분 제거단계는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폐분체도료를 40~70℃에서 혼합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분 제거단계는 입자크기가 177~250㎛인 폐분체도료 및 입자크기가 125~177㎛인 폐분체도료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분 제거단계 이후에, 상기 수분이 제거된 폐분체도료를 40~70℃에서 열처리하는 열처리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거된 폐분체도료를 이물질 제거, 수분 제거, 펠렛 제조 및 압축 과정을 거쳐 고형연료로 제조함으로써, 폐분체도료의 소각 및 폐기에 따른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가공성, 가연성, 발열량 등이 우수하여 석탄, 석유 등의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폐분체도료를 활용한 고형연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통상의 기술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 등이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폐분체도료를 수거한 후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단계;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폐분체도료를 혼합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제거단계;
상기 수분이 제거된 폐분체도료를 용융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는 펠렛 제조단계; 및
상기 펠렛을 압축하여 고형연료를 제조하는 고형연료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폐분체도료를 활용한 고형연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물질 제거단계는 폐분체도료를 수거한 후 폐분체도료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 이물질, 불순물, 덩어리 등을 제거하는 단계로서, 메쉬 등의 여과망을 사용하여 특정 크기 이하의 폐분체도료를 선별하여 수거할 수 있다.
또한 자석을 이용하여 폐분체도료에 포함된 철, 금속 등의 철재류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여과망의 크기는 60~150메쉬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여과망을 통과한 폐분체도료를 사용하는 경우 가공성, 가연성 및 발열량이 극대화될 수 있다.
여과망의 크기가 60메쉬인 경우 선별된 폐분체도료의 입경은 250㎛ 이하이고, 여과망의 크기가 80메쉬인 경우 선별된 폐분체도료의 입경은 177㎛ 이하이며, 여과망의 크기가 120메쉬인 경우 선별된 폐분체도료의 입경은 125㎛ 이하이며, 여과망의 크기가 150메쉬인 경우 선별된 폐분체도료의 입경은 104㎛ 이하이다.
상기 선별된 폐분체도료의 입경은 250㎛ 이하(여과망의 크기가 60메쉬인 경우)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77㎛ 이하(여과망의 크기가 80메쉬인 경우)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입자크기(입경)가 125~177㎛인 폐분체도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입자크기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가공성, 가연성 및 발열량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자크기가 177~250㎛인 폐분체도료(폐분체도료 1) 및 입자크기가 125~177㎛인 폐분체도료(폐분체도료 2)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폐분체도료 1 및 폐분체도료 2의 중량비는 20~40:60~8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가공성, 가연성 및 발열량이 극대화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입자크기가 177~250㎛인 폐분체도료(폐분체도료 1), 입자크기가 125~177㎛인 폐분체도료(폐분체도료 2) 및 입자크기가 125㎛ 이하인 폐분체도료(폐분체도료 3)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폐분체도료 1, 폐분체도료 2 및 폐분체도료 3의 중량비는 10~30:100:5~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가공성, 가연성 및 발열량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자크기가 177~250㎛인 폐분체도료(폐분체도료 1), 입자크기가 125~177㎛인 폐분체도료(폐분체도료 2), 입자크기가 104~125㎛인 폐분체도료(폐분체도료 3) 및 입자크기가 104㎛ 이하인 폐분체도료(폐분체도료 4)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폐분체도료 1, 폐분체도료 2, 폐분체도료 3 및 폐분체도료 4의 중량비는 10~30:100:5~20:2~1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가공성, 가연성 및 발열량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수분 제거단계는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폐분체도료를 40~70℃에서 혼합하여 폐분체도료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 습기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폐분체도료에 포함된 수분 및 습기는 작업성 및 가공성을 저하시키고, 펠렛이나 고형연료의 내부에 기공을 형성시켜 가연성 및 발열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폐분체도료를 40~70℃에서 교반함으로써 폐분체도료의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 및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분 제거단계는 40~70℃에서 1~5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온도 및 시간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가공성, 가연성 및 발열량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분 제거단계는 40~70℃에서 1~5시간 동안 혼합한 후, 20~35℃에서 1~3시간 동안 냉각한 다음, 다시 40~70℃에서 1~5시간 동안 혼합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을 통하여 폐분체도료의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 및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수분 제거단계를 거친 폐분체도료는 상온에서 보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분 제거단계에서 에어 또는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수분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펠렛 제조단계는 상기 수분이 제거된 폐분체도료를 용융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압출온도는 80~150℃인 것이 바람직하며, 압출온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가공성, 가연성 및 발열량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펠렛 제조단계는 가연성 및 발열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및 2-하이드록시메틸 아크릴레이트(HEMA)의 공중합체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폐분체도료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제조되는 펠렛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로는 3-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메타크릴록시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타크릴록시메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이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및 2-하이드록시메틸 아크릴레이트(HEMA)의 중량비는 20~40:100:60~80 인 것이 바람직하며, 중량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가공성, 가연성 및 발열량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폐분체도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공중합체의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가공성, 가연성 및 발열량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펠렛 제조단계는 가연성 및 발열량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및 2-하이드록시메틸 아크릴레이트(HEMA)를 반응시켜 제조되는 실란 커플링제 올리고머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 올리고머는 폐분체도료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제조되는 펠렛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 올리고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50,000g/mol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로는 2-글리시독시에틸메틸디메톡시실란, 2-글리시독시에틸메틸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2-글리시독시에틸트리메톡시실란, 2-글리시독시에틸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메틸디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메틸디에톡시실란, 3-(3,4-에폭시시클로헥실)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3,4-에폭시시클로헥실)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에톡시실란, 3-(3,4-에폭시시클로헥실)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3,4-에폭시시클로헥실)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이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및 2-하이드록시메틸 아크릴레이트(HEMA)의 중량비는 20~40:100:30~50:10~30 인 것이 바람직하며, 중량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가공성, 가연성 및 발열량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실란 커플링제 올리고머는 폐분체도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실란 커플링제 올리고머의 함량이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가공성, 가연성 및 발열량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고형연료 제조단계는 상기 펠렛을 압축하여 고형연료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펠렛을 압축 또는 압착하여 직육면체 형상, 정육면체 형상, 원통 형상, 원기둥 형상, 각뿔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고형연료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고형연료는 석탄, 석유 등의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연료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분 제거단계 및 상기 펠렛 제조단계 사이에, 상기 수분이 제거된 폐분체도료를 40~70℃에서 1~5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열처리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단계를 수행함으로써, 폐분체도료의 내부에 잔존하는 수분 및 습기를 추가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폐분체도료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압출공정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제조되는 펠렛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처리를 통하여 폐분체도료의 표면특성 및 흐름성이 개선되어 압출공정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열처리단계를 40~50℃에서 1~3시간 동안 수행한 후, 55~70℃에서 1~2시간 동안 단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단계적 열처리를 통하여 제조되는 펠렛의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예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폭시계 폐분체도료를 수거한 후, 80메쉬의 여과망 및 120메쉬의 여과망에 통과시켜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이때 입경이 125~177㎛인 폐분체도료를 수득하였다.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폐분체도료를 50℃에서 2시간 동안 혼합한 후, 상온으로 냉각하여 폐분체도료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 습기 등을 제거하였다.
상기 수분이 제거된 폐분체도료를 120℃에서 용융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상기 펠렛을 압축하여 직육면체 형상의 고형연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폐분체도료를 50℃에서 30분 동안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형연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폐분체도료를 50℃에서 6시간 동안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형연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폐분체도료를 50℃에서 2시간 동안 혼합한 후, 30℃에서 2시간 동안 냉각한 다음, 다시 50℃에서 2시간 동안 혼합한 후, 상온으로 냉각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형연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에폭시계 폐분체도료를 수거한 후, 60메쉬의 여과망 및 80메쉬의 여과망에 통과시켜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이때 입경이 177~250㎛인 폐분체도료를 수득하였다.
입경이 125~177㎛인 폐분체도료 및 입경이 177~250㎛인 폐분체도료를 70:3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형연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수분 제거단계 및 상기 펠렛 제조단계 사이에, 상기 수분이 제거된 폐분체도료를 60℃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형연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폐분체도료를 50℃에서 2시간 동안 혼합한 후, 상온으로 냉각하여 폐분체도료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 습기 등을 제거하는 단계를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형연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제조된 고형연료의 특성을 평가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저위발열량)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고형연료의 저위발열량을 측정하였다.
(내산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고형연료를 5% 황산에 48시간 동안 침지한 후 고형연료의 외관을 확인하여, 탁월, 우수, 보통, 불량으로 표기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1
저위발열량
(kcal/kg)
5,974 5,460 5,392 6,315 6,508 6,463 5,017
내산성 우수 보통 보통 탁월 탁월 탁월 불량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6은 고형연료의 발열량 및 내산성이 우수하며, 특히 실시예 1, 4 내지 6은 상기 특성이 가장 우수하다.
반면 비교예 1은 실시예에 비하여 상기 특성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폐분체도료를 수거한 후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단계;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폐분체도료를 혼합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제거단계;
    상기 수분이 제거된 폐분체도료를 용융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는 펠렛 제조단계; 및
    상기 펠렛을 압축하여 고형연료를 제조하는 고형연료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폐분체도료를 활용한 고형연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분 제거단계는 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폐분체도료를 40~70℃에서 혼합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상기 수분 제거단계는 입자크기가 177~250㎛인 폐분체도료 및 입자크기가 125~177㎛인 폐분체도료를 혼합하여 사용하며,
    상기 입자크기가 177~250㎛인 폐분체도료 및 입자크기가 125~177㎛인 폐분체도료의 중량비는 20~40:60~80 이며,
    상기 수분 제거단계 이후에,
    상기 수분이 제거된 폐분체도료를 40~70℃에서 열처리하는 열처리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분체도료를 활용한 고형연료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20055486A 2022-05-04 2022-05-04 폐분체도료를 활용한 고형연료의 제조방법 KR102428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486A KR102428100B1 (ko) 2022-05-04 2022-05-04 폐분체도료를 활용한 고형연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486A KR102428100B1 (ko) 2022-05-04 2022-05-04 폐분체도료를 활용한 고형연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8100B1 true KR102428100B1 (ko) 2022-08-03

Family

ID=82847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486A KR102428100B1 (ko) 2022-05-04 2022-05-04 폐분체도료를 활용한 고형연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10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49813A1 (en) * 1999-12-30 2001-07-12 Gert Hjort Jensen Method for the use of powdered material
KR20020031123A (ko) * 2002-02-26 2002-04-26 이선상 폐분체도료로 분체도료를 제조하는 방법
KR100503347B1 (ko) * 2004-06-23 2005-07-26 한국히트마공업(주) 폐페인트와 분진, 오니를 이용한 고체 연료 제조방법
KR100661875B1 (ko) * 2006-04-12 2006-12-27 (주)글로벌이테크 폐페인트를 이용한 가연성고체연료
US20080184615A1 (en) * 2007-01-23 2008-08-07 Mccarty Joe Processing paint sludge to produce a combustible fuel product
US20080216392A1 (en) * 2007-03-05 2008-09-11 Mccarty Joe P Processing paint sludge to produce a combustible fuel product
KR100955658B1 (ko) 2009-10-21 2010-05-06 주식회사 대양피앤티 재생 특수무늬 분체도료의 제조방법
KR101957726B1 (ko) * 2018-04-30 2019-03-14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유기성 폐기물을 포함하는 고형 연료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49813A1 (en) * 1999-12-30 2001-07-12 Gert Hjort Jensen Method for the use of powdered material
KR20020031123A (ko) * 2002-02-26 2002-04-26 이선상 폐분체도료로 분체도료를 제조하는 방법
KR100503347B1 (ko) * 2004-06-23 2005-07-26 한국히트마공업(주) 폐페인트와 분진, 오니를 이용한 고체 연료 제조방법
KR100661875B1 (ko) * 2006-04-12 2006-12-27 (주)글로벌이테크 폐페인트를 이용한 가연성고체연료
US20080184615A1 (en) * 2007-01-23 2008-08-07 Mccarty Joe Processing paint sludge to produce a combustible fuel product
US20080216392A1 (en) * 2007-03-05 2008-09-11 Mccarty Joe P Processing paint sludge to produce a combustible fuel product
KR100955658B1 (ko) 2009-10-21 2010-05-06 주식회사 대양피앤티 재생 특수무늬 분체도료의 제조방법
KR101957726B1 (ko) * 2018-04-30 2019-03-14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유기성 폐기물을 포함하는 고형 연료 및 그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블로그, 폐도료를 재활용한 펠릿연료, https://m.blog.naver.com/lju5853/222579512705 (2021.11.26) 1부.* *
보고서, 폐 분체도료의 환경 친화적 재생산을 위한 기술개발, 한국환경기술진흥원, 20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1148B1 (ko) 폐분체도료를 활용한 재생 분체도료의 제조방법
CN103059567A (zh) 一种阻燃六方氮化硼/热固性树脂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0684462B (zh) 一种植酸掺杂态聚苯胺/聚亚苯基砜涂料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428100B1 (ko) 폐분체도료를 활용한 고형연료의 제조방법
CN110607126B (zh) 一种用于电子线路板保护的电子披覆胶及其制备方法
CN112409893A (zh) 一种高固体分低voc防护涂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645983B (zh) 一种添加型可交联阻燃剂及其制备方法
CN111138713A (zh) 一种硬脂胺改性聚磷酸铵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587119A (zh) (001)晶面优势生长的六角片状氢氧化镁的制备方法
CN116239935B (zh) 一种基于锂盐的无溶剂自修复防腐涂料及其制备和使用方法
KR101536270B1 (ko) 자기 치유 능력이 있는 uv 경화형 코팅 조성물, 코팅 필름 및 코팅 필름의 제조 방법
CN108192387B (zh) 一种用于防护中高频电磁波辐射的复合涂料及制备方法
CN107880252B (zh) 一种功能化无机基质固化剂的制备方法
CN116283002A (zh) 一种混凝土改性剂及其制备方法与混凝土
CN113430831B (zh) 一种耐高温的水性碳纤维通用上浆剂及制备方法和应用
CN112143357B (zh) 一种基于改性氯化橡胶的双组分重防腐涂料
CN110776823A (zh) 一种改性聚氨酯涂料及其制备方法
CN108978224B (zh) 一种赋予纺织品多功能的整理剂的制备方法及整理方法
CN111393980A (zh) 一种竹制品低温喷涂用粉末涂料及竹制品低温喷涂方法
CN111393808A (zh) 一种改性聚磷酸铵-黑磷阻燃pet聚酯的制备方法
CN111574807A (zh) 能有效包容已反应过热固性塑料的电木粉颗粒及制备方法
CN114773707B (zh) β-环糊精微胶囊化聚磷酸铵膨胀阻燃低密度聚乙烯及其制备方法
CN109822089B (zh) 一种硬质合金生产用成型剂
CN113512299A (zh) 一种木质素/壳聚糖/蒙脱土复合材料的制备方法
CN116355346B (zh) 一种储能用低烟无卤阻燃交联聚烯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