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178B1 -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 - Google Patents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178B1
KR102427178B1 KR1020220018577A KR20220018577A KR102427178B1 KR 102427178 B1 KR102427178 B1 KR 102427178B1 KR 1020220018577 A KR1020220018577 A KR 1020220018577A KR 20220018577 A KR20220018577 A KR 20220018577A KR 102427178 B1 KR102427178 B1 KR 102427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dulum
pearl
shaft
outer r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8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세원
Original Assignee
대원전기 주식회사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전기 주식회사, 대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18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1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178B1/ko
Priority to PCT/KR2023/000112 priority patent/WO202315364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3/00Automatic clutches
    • F16D43/02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 F16D43/20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torque, e.g. overload-release clutches, slip-clutches with means by which torque varies the clutching pressure
    • F16D43/202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torque, e.g. overload-release clutches, slip-clutches with means by which torque varies the clutching pressure of the ratchet type
    • F16D43/2028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torque, e.g. overload-release clutches, slip-clutches with means by which torque varies the clutching pressure of the ratchet type with at least one part moving radially between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3/00Automatic clutches
    • F16D43/02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 F16D43/20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torque, e.g. overload-release clutches, slip-clutches with means by which torque varies the clutching pressure
    • F16D43/202Automatic clutches actuated entirely mechanically controlled by torque, e.g. overload-release clutches, slip-clutches with means by which torque varies the clutching pressure of the ratchet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7/00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 F16D7/04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of the ratchet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7/00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 F16D7/04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of the ratchet type
    • F16D7/048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of the ratchet type with parts moving radially between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선기 또는 장력기에 사용되는 회전구동 라쳇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선기나 장력기를 감거나 풀어줄 때 방향전환 레버의 작동 없이 진자의 왕복운동에 의한 자동 반전펄과 진자 구동축 작동판의 작동으로 진자 구동축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회전방향 전환 조작 없이도 간편하게 간접활선용 스틱을 사용하여 회전레버 작동 작업으로 진자 구동축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반전 회전 작동이 자동으로 가능하게 하며, 또한, 진자 구동축이 멀티 앵글 번들 펄에 의해 작동되는 백스탑 라쳇링에 의해 구동되게 구성함으로써, 견고한 역방향 방지 및 반대로 역방향 회전 구동 과정에서 백레쉬 현상이 방지되게 하는 등 견고한 회전구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Automatic direction change pendulum type rotary drive ratchet for indirect live wire}
본 발명은 장선기 또는 장력기에 사용되는 회전구동 라쳇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회전방향 전환 조작 없이 간접활선용 스틱을 사용하여 회전레버 작동 작업으로 회전방향의 자동 조절 및 역회전이 방지되게 하는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활선작업은 전선로에 정전을 하지 않고 송전을 계속하면서 실시하는 선로 작업을 말한다. 이때 직접 활선작업은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기 때문에 송배전 설비와 같이 전력을 차단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 수행되며, 직접 활선작업을 하는 작업자는 절연용 보호구나 방호구를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
전선로의 활선작업은 직접 활선작업과 간접 활선작업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이때, 간접 활선작업은 핫스틱 등의 절연공구를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작업을 하는 방법이다. 간접 활선작업은 안전성이 있는 반면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직접 활선작업은 절연된 버켓 안에서 작업자가 절연장갑을 착용한 후 활선 상태에서 전선과 직접 접촉하여 작업을 하는 방법이다. 직접 활선작업은 간편하고 작업시간이 절약되는 반면, 감전 사고의 위험성이 높아 종종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활선작업으로는 지지 애자 등의 전선로 구성 부품을 점검, 수리, 교체, 청소하는 작업 등이 있으며, 작업의 종류에 따라 직접 활선작업 방식 또는 간접 활선작업 방식이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활선작업에 있어서 장선기 또는 장력기의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이러한 장선기 또는 장력기는 활선작업에 있어서 전선 가선 및 전선의 이도 조정작업에 적당한 딥(dip)을 취하기 위해서 전선을 당기거나 풀어줄 때 사용하는 기구로, 로프 또는 와이어가 감겨진 드럼을 정역 방향 회전 조절에 의해 가능하게 되며, 이러한 드럼의 정역 회전방향은 그 드럼과 연결된 라쳇 등의 회전기구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즉, 일예로 종래의 회전장치(10)는 도 1을 참조하여 벨트드럼(11)이 결합되는 라쳇휠(12)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 조절에 의해 가능하되, 라쳇휠(12)의 양측에는 그 라쳇휠(12)의 정역 회전을 위한 한 쌍의 라쳇(13)(13')이 형성되며, 그 라쳇(13)(13')은 링크부재(14)를 통해 연결된 방향전환 레버(15)와 연결 구성된 것으로, 방향전환 레버(15)의 방향전환 작동에 의해 어느 한 측의 라쳇(13)(13')이 라쳇휠(12)과 치합되어 라쳇휠(12)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선기 또는 장력기에 장착되는 회전장치는 감거나 풀기 위한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 조절을 위해서는 반드시 방향전환 레버를 조작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 조절하게 되는 것인바, 그 조작이 매우 불편하고 부득이 작업자가 근접하여 조작하여야 하는 등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0-0314862호.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16140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장선기나 장력기를 감거나 풀어줄 때 방향전환 레버의 작동 없이 진자의 왕복운동에 의한 자동 반전펄과 진자 구동축 작동판의 작동으로 진자 구동축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회전방향 전환 조작 없이도 간편하게 간접활선용 스틱을 사용하여 회전레버 작동 작업으로 진자 구동축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반전 회전 작동이 자동으로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진자 구동축이 멀티 앵글 번들 펄에 의해 작동되는 백스탑 라쳇링에 의해 구동되게 구성함으로써, 견고한 역방향 방지 및 반대로 역방향 회전 구동 과정에서 백레쉬 현상이 방지되게 하는 등 견고한 회전구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일측에 레버 축설부가 형성된 바디;
상기 레버 축설부에 축설되며 회전고리를 갖는 회전 작동축과, 상기 회전 작동축의 선단에서 중심으로부터 편심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캠과, 상기 캠의 후방측에서 회전 작동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원주 방향으로 유동장공이 형성되고 둘레에는 걸림돌부가 돌출 형성된 회전 작동구와, 상기 회전 작동축과 회전 작동구를 연결하는 완충키로 된 회전 작동레버;
상기 바디의 타측에서 전후 관통 축설되는 진자 구동축;
상기 바디의 전방에서 상기 진자 구동축 둘레에 결합되며, 내륜의 역방향 방지 및 내륜과 외륜의 동시 역방향 회전을 통해 진자 구동축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을 작동시키는 클러치부;
상기 클러치부 전방에서 진자 구동축 둘레에 결합되며, 중간부 둘레에는 톱니부가 형성된 진자 구동축 작동판;
상기 진자 구동축 작동판의 후방측에 결합되며,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캠이 수용되는 수평장공이 형성되어 캠 작동에 의해 진자 구동축을 중심으로 왕복 회동 진자운동 하며, 회전 작동축과 진자 구동축 작동판 사이의 전면에는 자동 반전펄 장착홈이 형성된 진자;
상기 진자 구동축 작동판의 전방 둘레가 관통 및 상기 진자와 결합되며,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판;
상기 자동 반전펄 장착홈에 펄 축 결합 및 상기 진자 구동축 작동판과 간섭되며, 왕복 회동 작동되어 진자 구동축 작동판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반전 회전력을 부여하는 자동 반전펄;
상기 지지판에서 상기 자동 반전펄과 함께 펄 축 결합 및 일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 작동구가 회전시 걸림돌부와 간섭되어 자동 반전펄의 왕복 회동력을 부여하며, 둘레가 펄 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제1,2 반전키 스프링볼로 탄설되어 수평 유지력을 가지는 펄 반전키; 및
상기 진자 구동축 작동판의 전방에서 진자 구동축 및 진자 구동축 작동판과 결합되는 진자 구동축 회전레버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이때, 상기 클러치부는 백스탑 라쳇링으로 구성하되,
백스탑 라쳇링은,
중앙에 내륜 장착공이 관통되고 내륜 장착공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직선부와 경사부가 연속 형성된 외륜 톱니부가 형성되고, 둘레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스토핑홈이 형성된 원형링 형태의 외륜;
중앙에 상기 진자 구동축이 결합되는 축공이 관통된 원형링 형태를 이루어 상기 외륜의 내륜 장착공에 장착되며, 둘레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번들 펄 장착홈이 다수 형성된 내륜; 및
상기 번들 펄 장착홈에 스프링 탄설되어 출몰 작동하며 상기 외륜의 외륜 톱니부와 치합되어 일방향 회전력을 부여하는 멀티 앵글 번들 펄 유닛; 및
상기 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외륜의 스토핑홈에 간섭 및 해제되어 외륜의 회전 또는 정지를 단속하는 회전 단속레버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멀티 앵글 번들 펄 유닛은,
복수조의 제1,2,3 멀티 앵글 번들 펄로 구성하며,
상기 각각의 제1,2,3 멀티 앵글 번들 펄은 서로 다른 각도의 순차적 위치에서 외륜의 외륜 톱니부와 치합되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은, 활선작업용 스틱을 사용하여 단순히 회전 작동축의 회전 방향 조절에 따라 진자의 왕복 회동 작동을 통해 자동으로 진자 구동축 작동판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 작동이 가능한 것인바, 별도의 회전방향 전환 조작 없이도 간편하게 간접활선 작업으로 진자 구동축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반전 회전 작동이 자동으로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백스탑 라쳇링에 의해 진자 구동축의 역방향 방지 및 역방향 구동시 백레쉬 현상이 방지되는 등 항시 견고한 양방향 반전 회전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등 장치의 안정성이 확보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장선기의 방향전환 회전장치를 나타낸 간략도.
도 2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의 평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의 요부 정 단면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의 클러치부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의 진자 및 자동 반전펄과 펄 반전키 요부도.
도 11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의 사용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의 사용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의 정방향 작동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의 백스탑 라쳇링 정방향 작동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의 역방향 작동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의 백스탑 라쳇링 역방향 작동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의 평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의 요부 정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1)은 바디(100)와, 회전 작동레버(200)와, 진자 구동축(300)과, 클러치부(400)와, 진자 구동축 작동판(500)과, 진자(600)와, 지지판(700)과, 자동 반전펄(800)과, 펄 반전키(900)와, 진자 구동축 회전레버(1000)로 구성된다.
먼저, 바디(100)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1)을 구성함에 있어 그 기초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수직형 판체 형태를 이루게 구성되며, 일측(도면상 좌측)에는 내부가 중공된 레버 축설부(110)가 구성된다.
상기 회전 작동레버(200)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1)을 구성함에 있어 후술하는 진자 구동축(30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을 위한 작동력을 부여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회전 작동레버(200)는 먼저, 상기 레버 축설부(110)에 수평 방향으로 축설되는 회전 작동축(210)이 구성된 것으로, 회전 작동축(210)의 선단은 상기 레버 축설부(110)의 내측에 위치되고 후단은 레버 축설부(110)의 회측으로 돌출되어 회전고리(211)가 형성된다.
또한, 회전 작동레버(200)에는 상기 회전 작동축(210)의 선단에는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는 위치에 캠(220)이 구성된다.
또한, 회전 작동레버(200)에는 상기 캠(220)의 후방측에서 회전 작동축(210)의 둘레에는 회전 작동구(230)가 구성된 것으로, 회전 작동구(230)는 상기 회전 작동축(210)과 슬라이딩 결합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회전 작동구(230)의 둘레 일측에는 원주 방향으로 약 110°를 이루게 유동장공(231)이 형성되고, 타측 둘레에는 걸림돌부(232)가 돌출 구성된다.
또한, 회전 작동레버(200)에는 상기 회전 작동축(210)과 회전 작동구(230)의 연결력을 부여하기 위한 완충키(240)가 구성된 것으로, 이때 완충키(240)는 일측은 회전 작동축(210)에 고정되고 타측은 회전 작동구(230)의 유동장공(231) 내부에 위치되게 구성된다.
이에, 상기 회전 작동축(21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키게 되면 완충키(240)가 유동장공(231) 내에서 일정 구간 동안 공회전하고, 유동장공(231)의 어느 한 측의 단부에 걸림시 회전 작동구(230)를 함께 회전시키게 구성되는 것인바, 이러한 과정에서 갑작스런 회전으로 인한 후술하는 진자 구동축 작동판(500)에 충격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진자 구동축(300)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1)을 구성함에 있어 실질적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력을 가지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바디(100)의 타측에서 전후로 관통되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진자 구동축(300)은 바디(10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위치의 형상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통상의 장선기 또는 장력기에 결합 사용 가능할 것이다.
상기 클러치부(400)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1)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진자 구동축(30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을 작동시키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바디(100)의 전방에서 상기 진자 구동축(300)이 관통 결합되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클러치부(400)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내륜과 외륜 사이에 캠이 형성되어 내륜의 정방향 회전시 내륜만 회전 가능하고, 역방향 회전시 내륜과 외륜의 동시 회전이 가능한 캠클러치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부(400)는 도 5 내지 9를 참조하여 백스탑 라쳇링(401)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백스탑 라쳇링(401)은 외륜(410)과, 내륜(420)과, 멀티 앵글 번들 펄 유닛(430)과 회전 단속레버(440)를 이루게 구성된다.
먼저, 외륜(410)은 백스탑 라쳇링(401)을 구성함에 있어 외부로 동력을 출력하게 구성된 것으로, 중앙에는 후술하는 내륜(420)이 장착되는 내륜 장착공(411)이 관통된 원형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외륜(410)에는 내륜 장착공(411)의 내주면에 외륜 톱니부(412)가 구성된 것으로, 외륜 톱니부(412)는 직선부와 경사부가 연속 형성되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이 외륜 톱니부(412)를 구성하는 직선부는 동력 전달시 걸림되고, 경사부는 공회전시 미끄러짐을 안내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외륜(410)에는 그 외둘레에 일정한 간격으로 후술하는 회전 단속레버(440)가 걸림 또는 해제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스토핑홈(413)이 구성된다.
상기 내륜(420)은 백스탑 라쳇링(401)을 구성함에 있어 실질적으로 메인 동력이 전달되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외륜(410)과 간섭 또는 해제되어 메인 동력을 외륜(410)에 전달 또는 해제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내륜(420)은 중앙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상기 진자 구동축(300)이 결합되는 축공(421)이 관통된 원형링 형태를 이루게 구성되어 상기 외륜(410)의 내륜 장착공(411)에 내입 장착되게 구성된다.
또한, 내륜(420)에는 그 외둘레에 후술하는 제1,2,3 멀티 앵글 번들 펄(431)(432)(433)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원주방향으로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번들 펄 장착홈(422)이 다수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외륜(410)과 내륜(420)은 서로 결합함에 있어 긴밀한 결합 및 안정된 슬라이딩 작동 또한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먼저, 상기 외륜(410)의 외륜 톱니부(412)는 내륜 장착공(411)의 내측으로 소정 돌출 형성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에 그 외륜 톱니부(412)의 전방 및 후방에는 전,후방 단턱부(412a)(412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륜(420)에는 먼저, 후방 둘레에 안착돌부(423)가 돌출 구성되어 상기 외륜(410)의 후방 단턱부(412b)에 안착 및 슬라이딩 안내되고, 전방에는 상기 축공(421)과 연장되도록 돌출되는 마감판 지지부(424)가 돌출 형성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내륜(420)의 전방은 마감판(425)으로 마감되게 구성된 것으로, 마감판(425)은 둘레가 상기 외륜(410)의 전방 단턱부(412a)에 안착 및 내륜(420)에 볼트 체결되어 외륜 톱니부(412)를 구속하게 구성되며, 중앙에는 내륜(420)의 마감판 지지부(424)가 관통되는 관통공(425a)이 관통 구성된다.
상기 멀티 앵글 번들 펄 유닛(430)은 백스탑 라쳇링(401)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외륜(410)의 외륜 톱니부(412)와 반응하여 내륜(420)의 동력을 외륜(410)에 전달 또는 해제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멀티 앵글 번들 펄 유닛(430)은 제1,2,3 멀티 앵글 번들 펄(431)(432)(433)을 이루게 복수조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1,2,3 멀티 앵글 번들 펄(431)(432)(433)은 상기 번들 펄 장착홈(422)에 스프링(S) 탄설되어 외둘레로 출몰 작동하게 구성된 것으로, 상기 외륜(410)의 외륜 톱니부(412)와 치합되어 일방향 회전력을 부여하게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제1,2,3 멀티 앵글 번들 펄(431)(432)(433)은 하나의 3개조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각 조는 방사상 즉, 90° 간격으로 4개가 한 조를 이루는 각각의 제1,2,3 치합툴(431a)(432a)(432a)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각 조에 해당하는 제1,2,3 치합툴(431a)(432a)(432a)은 번들 펄 장착홈(422)에 스프링(S) 탄설되어 돌출력을 가지게 구성되며, 각각의 제1,2,3 치합툴(431a)(432a)(432a)의 선단에는 상기 외륜(410)의 외륜 톱니부(412)와 치합되도록 직선부와 경사부를 이루는 치합툴 톱니부(431b)(432b)(432b)가 각각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각 조의 제1,2,3 멀티 앵글 번들 펄(431)(432)(433)에 해당하는 제1,2,3 치합툴(431a)(432a)(432a)은 상기 번들 펄 장착홈(422)에 장착됨에 있어서는 서로 교차되는 위치에 즉, 일측 회전 방향으로 제1 멀티 앵글 번들 펄(431)의 제1 치합툴(431a)과 제2 멀티 앵글 번들 펄(432)의 제2 치합툴(432a)과 제3 멀티 앵글 번들 펄(433)의 제3 치합툴(433a)이 연속 및 반복되게 구성되어 서로 다른 각도의 순차적 위치에서 치합툴 톱니부(431b)(432b)(432b)가 외륜 톱니부(412)와 치합되게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서 제1,2,3 멀티 앵글 번들 펄(431)(432)(433)의 제1,2,3 치합툴(431a)(432a)(432a) 중 어느 하나의 치합툴 톱니부(431b)(432b)(432b)가 외륜(410)의 외륜 톱니부(412)와 치합되는 것으로, 일예로 제1 치합툴(431a)의 치합툴 톱니부(431b)의 직선부가 외륜 톱니부(412)의 직선부와 접하여 치합되게 되면, 다른 제2 치합툴(432a)의 치합툴 톱니부(432b)의 직선부가 외륜 톱니부(412)의 경사부 끝단에 위치되어 치합되지 않고, 또한 제3 치합툴(433a)의 치합툴 톱니부(433b)는 직선부가 외륜 톱니부(412)의 경사부 중간부에 위치되게 되는 등 외륜 톱니부(412)의 1피치 내에서 치합툴 톱니부(431b)(432b)(432b)의 치합 구간이 나뉘어지는 것인바, 톱니 공극이 최소화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조를 이루는 제1,2,3 멀티 앵글 번들 펄(431)(432)(433)을 3개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제1,2,3 멀티 앵글 번들 펄(431)(432)(433)의 구성을 다양하게 등간격으로 다양하게 배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일예로, 4개조의 멀티 앵글 번들 펄로 구성하고 각 조는 4개 한 조의 치합툴을 이루게 구성하거나, 3개조의 멀티 앵글 번들 펄로 구성하고 각 조는 8개의 치합툴을 이루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다양한 수량의 조절을 통해 백스탑 라쳇링(401)이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정밀성의 조절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상기 회전 단속레버(440)는 백스탑 라쳇링(401)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외륜(410)의 회전 또는 정지를 단속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회전 단속레버(440)는 상기 바디(100)에 축설 및 스프링 탄설되게 구성되어 회동 작동에 의해 외륜(410)의 스토핑홈(413)에 삽입 및 이탈 작동하게 구성된 것으로, 그 삽입시 외륜(410)의 회전을 차단하고, 이탈시 외륜(410)의 회전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진자 구동축 작동판(500)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1)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진자 구동축(300)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진자 구동축 작동판(500)은 두께를 가지는 원형 플레이트 형태를 이루어 상기 클러치부(400)의 전방측에서 진자 구동축(300) 둘레에 결합되며, 중간부 둘레에는 삼각 형태의 톱니부(510)가 돌출 구성된다.
상기 진자(600)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1)을 구성함에 있어 진자운동을 통해 후술하는 자동 반전펄(800)의 왕복 회동 작동을 단속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진자(600)는 상기 진자 구동축 작동판(500)의 후방이 회전 간섭 없이 관통되게 구성되며,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 작동레버(200)의 캠(220)이 수용되는 수평장공(610)이 구성된 것으로, 캠(220)의 회동 작동시 수평장공(610)과 간섭되어 상기 진자 구동축(300)을 중심으로 왕복 회동작동하는 진자운동을 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진자(600)에는 상기 회전 작동축(210)과 진자 구동축 작동판(500)의 사이 전면에 후술하는 자동 반전펄(800)이 장착되는 자동 반전펄 장착홈(620)이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700)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1)을 구성함에 있어 후술하는 펄 반전키(900)가 장착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지지판(700)은 상기 진자 구동축 작동판(500)의 전방이 회전 간섭 없이 관통되게 구성되며, 상기 진자(600)와 결합되어 진자 구동축 작동판(500)을 구속하게 구성되며, 상기 회전 작동축(210) 측으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상기 자동 반전펄(800)은 본 발명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1)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진자 구동축 작동판(500)과 간섭되어 그 진자 구동축 작동판(50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반전 회전을 자동으로 작동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자동 반전펄(800)은 상기 진자(600)의 자동 반전펄 장착홈(620)에 펄 축(801)으로 결합되게 구성되어 진자 구동축 작동판(500)이 왕복 회동 작동하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자동 반전펄(800)은 도 10을 참조하여 선단 즉, 진자 구동축 작동판(500) 측에는 상기 진자 구동축 작동판(500)의 톱니부(510)와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삼각 형태의 제1,2 걸림돌기(810)(810')가 대칭되게 돌출 구성된다.
그리고 자동 반전펄(800)에는 그 둘레에는 만곡한 곡률을 이루는 제1 걸림홈(821)(821')과 제2 걸림홈(822)(822')이 구성된 것으로, 이때, 어느 한 측의 제1 걸림홈(821)과 제2 걸림홈(822)이 각각 제1,2 걸림돌기(810)(810') 측에 위치되도록 제1 걸림홈(821)(821')과 제2 걸림홈(822)(822')이 서로 대칭되는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자동 반전펄(800)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펄 반전키(900)가 장착되는 반전키 장착홈(830)이 구성된 것으로, 반전키 장착홈(830)은 상기 진자 구동축 작동판(500) 측으로부터 회전 작동축(210) 측으로 확장되는 테이퍼홈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자동 반전펄(800)은 제1,2 반전펄 스프링볼(840)(840')을 통해 탄설되게 구성된 것으로, 제1,2 반전펄 스프링볼(840)(840')은 상기 진자(600)에 결합되어 자동 반전펄(800)로 돌출 탄성을 가지게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제1,2 반전펄 스프링볼(840)(840')은 제1 걸림홈(821)(821')과 제2 걸림홈(822)(822')에 간섭되게 구성된 것으로, 각각이 어느 하나의 제1 걸림홈(821)(821') 및 어느 하나의 제2 걸림홈(822)(822')에 교차되는 위치에 간섭되게 구성된다.
이는, 일예로 진자 구동축 작동판(500)이 정방향 즉, 시계방향 회전시에는 일측의 제1 반전펄 스프링볼(840)이 일측에 위치한 제1 걸림홈(821')에 걸림되고, 타측의 제1 반전펄 스프링볼(840')은 다른측에 위치한 제2 걸림홈(822)에 걸림되게 구성되며, 반대로 반시계방향 회전시에는 일측의 제1 반전펄 스프링볼(840)이 일측에 위치한 제1 걸림홈(821)에 걸림되고 타측의 제1 반전펄 스프링볼(840')이 다른측에 위치한 제2 걸림홈(822')에 걸림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펄 반전키(900)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1)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자동 반전펄(800)의 왕복 회동력을 부여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펄 반전키(900)는 상기 자동 반전펄(800)의 반전키 장착홈(830)에 수용되되, 상기 지지판(700)에 자동 반전펄(800)과 동일한 펄 축(801)으로 결합 및 일측 즉, 회전 작동축(210)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 작동축(21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회전 작동구(230)의 걸림돌부(232)가 간섭되어 왕복 회동 작동하게 구성된다.
이때, 펄 반전키(900)는 항시 수평을 유지하려는 수평력을 가지게 구성된 것으로, 이를 위해 양측이 펄 축(801)을 기준으로 하여 지지판(700)에 형성되는 제1,2 반전키 스프링볼(910)(910')로 탄설되게 구성된다.
상기 진자 구동축 회전레버(1000)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1)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진자 구동축 작동판(500)의 회전력을 진자 구동축(300)으로 전달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진자 구동축 회전레버(1000)는 상기 진자 구동축(300)의 전방 및 진자 구동축 작동판(500)에 결합되게 구성된 것으로, 진자 구동축(300) 및 진자 구동축 작동판(500)과 함께 회전 작동하게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1)은 도 11 및 도 12의 도시와 같이 진자 구동축(300)을 이용하여 장선기(20) 또는 장력기(30)의 드럼(21)(31)에 연결 장착되어 드럼(21)(31)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력을 부여하게 구성되되, 별도의 방향 전환레버의 작동 없이도 전동기구 등이 장착된 활선작업용스틱을 이용하여 배전선로와 안전거리가 확보된 상태에서 간접활선 작업으로 간단하게 회전 작동축(210)의 회전방향 조절만으로 진자 구동축(30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반전 회전 작동이 가능하게 한다.
이에, 일예로 본 발명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1)을 장선기(20) 또는 장력기(30)의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벨트의 권취를 위해서는 진자 구동축(300)을 시계방향 즉, 정방향 회전 구동하여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그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이를 위해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회전 작동레버(2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되는 것으로, 이때 회전 단속레버(440)는 외륜(410)의 어느 하나의 스토핑홈(413)에 끼움되어 그 외륜(410)의 회전이 방지되게 될 것이다.
이에, 회전 작동레버(200)를 조작하여 회전 작동축(210)을 반시계방향 회전시키게 되면, 캠(220)이 진자(600)의 수평장공(610) 내에서 회전 작동하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과정에서 진자(600)를 펄 축(801)을 중심으로 왕복 회동 진자운동 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회전 작동축(210)에 형성된 회전 작동구(230)의 걸림돌부(232)는 펄 반전키(900)를 제1 걸림홈(821)(821') 측으로 돌리게 되며, 이에 펄 반전키(900)는 자동 반전펄(800)을 제1 걸림홈(821)(821') 방향으로 밀어 펄 축(80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때 제1 걸림홈(821)측 제1 걸림돌기(810)가 진자 구동축 작동판(500)의 톱니부(510)에 치합되게 된다.
이에, 회전 작동축(210)을 연속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캠(220)과 수평장공(610)의 작동에 의해 진자(600)가 왕복 회동 작동하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과정에서 회전 작동구(230)의 걸림돌부(232) 간섭에 의해 회전방향으로 돌려지는 펄 반전키(900)가 자동 반전펄(800)의 제1 걸림홈(821)(821') 측을 지지 및 함께 왕복 회동 작동하는 자동 반전펄(800)이 치합된 진자 구동축 작동판(500)을 밀어 돌리게 되는 것이며, 이때 진자 구동축 작동판(500)의 정방향 회전과 함께 진자 구동축(300)이 회전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진자 구동축(300)이 장력을 위한 회전시 그 진자 구동축(300)의 역회전을 방지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이는 클러치부(400)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 클러치부(400)는 백스탑 라쳇링(401)으로 구성된 것인바, 백스탑 라쳇링(401)에 의해 역방향 회전이 방지되는 것으로, 그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도 14를 참조하여 진자 구동축(300)과 결합된 내륜(420)이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각각의 제1,2,3 멀티 앵글 번들 펄(431)(432)(433)을 이루는 제1,2,3 치합툴(431a)(432a)(432a)의 치합툴 톱니부(431b)(432b)(432b)의 경사부가 외륜(410)의 외륜 톱니부(412)의 경사부를 타고 넘어가게 된다.
즉, 외륜 톱니부(412)를 타고 넘어가는 치합툴 톱니부(431b)(432b)(432b)는 제1,2,3 치합툴(431a)(432a)(432a)이 내륜(420)에 스프링(S) 탄설된 것인바, 그 스프링(S)의 압축력에 의해 후방으로 소정 밀림과 동시에 외륜 톱니부(412)의 경사부와 치합툴 톱니부(431b)(432b)(432b)의 경사부가 서로 미끄러지면서 타고 넘어가게 되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정방향 구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장선기(20) 또는 장력기(30)의 벨트 장력에 의해 내륜(420)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회전력이 작용할 수 있는 것인데, 이때 백스탑 라쳇링(401)에서는 제1,2,3 멀티 앵글 번들 펄(431)(432)(433)의 어느 하나의 제1,2,3 치합툴(431a)(432a)(432a)에 형성된 치합툴 톱니부(431b)(432b)(432b)가 외륜 톱니부(412)에 치합되어 그 역회전이 방지되게 것으로, 장선기(30) 또는 장력기(30)의 안정적인 벨트 권취 및 장력 부여가 가능하게 된다.
반대로, 장선기(20) 또는 장력기(30)의 장력을 해제하기 위한 벨트의 권해를 위해서는 진자 구동축(300)을 반시계방향 즉, 역방향 회전 구동하여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그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이를 위해서는 도 15를 참조하여 별도의 방향 전환장치 등의 작동 없이 회전 작동레버(200)를 외륜(410)의 스토핑홈(413)으로부터 분리하여 외륜(410)을 회전 가능하게 하면 된다.
이에, 회전 작동레버(200)를 조작하여 회전 작동축(210)을 시계방향 회전시키게 되면, 캠(220)이 진자(600)의 수평장공(610) 내에서 회전 작동하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과정에서 진자(600)를 펄 축(801)을 중심으로 왕복 회동 진자운동 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회전 작동축(210)에 형성된 회전 작동구(230)의 걸림돌부(232)는 펄 반전키(900)를 제2 걸림홈(822)(822') 측으로 밀어 돌리게 되며, 이에 펄 반전키(900)는 자동 반전펄(800)을 제2 걸림홈(822)(822') 방향으로 밀어 펄 축(80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때 자동 반전펄(800)의 제2 걸림홈(822) 측 제2 걸림돌기(810')가 진자 구동축 작동판(500)의 톱니부(510)에 치합되게 된다.
이에, 회전 작동축(210)을 연속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캠(220)과 수평장공(610)의 작동에 의해 진자(600)가 왕복 회동 작동하게 되는 것인바, 이러한 과정에서 회전 작동구(230)의 걸림돌부(232) 간섭에 의해 회전방향으로 돌려지는 펄 반전키(900)가 자동 반전펄(800)의 제2 걸림홈(822') 측을 지지 및 함께 왕복 회동 작동하는 자동 반전펄(800)이 치합된 진자 구동축 작동판(500)을 밀어 돌리게 되는 것이며, 이때 진자 구동축 작동판(500)의 역방향 회전과 함께 진자 구동축(300)이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진자 구동축(300)이 역방향 회전시 그 진자 구동축(300)에 연결된 백스탑 라쳇링(401)도 함께 회전하게 되는 것인데, 이때 백스탑 라쳇링(401)에서는 내륜(420)의 제1,2,3 멀티 앵글 번들 펄(431)(432)(433)의 어느 하나의 제1,2,3 치합툴(431a)(432a)(432a)에 형성된 치합툴 톱니부(431b)(432b)(432b)가 외륜 톱니부(412)에 치합되어 외륜(410)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내륜(420)의 역방향 작동에 따른 외륜(410)을 구동시 내륜(420)의 백레쉬(밀림 현상)를 제로에 가깝게 하여 동력 전달시 충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내륜(420)의 회전 동력을 외륜(410)에 전달하기 위한 멀티 앵글 번들 펄 유닛(430)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1,2,3 멀티 앵글 번들 펄(431)(432)(433)의 제1,2,3 치합툴(431a)(432a)(432a) 중 어느 하나의 치합툴 톱니부(431b)(432b)(432b)가 외륜(410)의 외륜 톱니부(412)와 순차적으로 치합되게 된다.
일예로, 제1 치합툴(431a)의 치합툴 톱니부(431b)의 직선부가 외륜 톱니부(412)의 직선부와 서로 접하여 치합된 상태를 이루면, 다른 제2 치합툴(432a)의 치합툴 톱니부(432b)의 직선부가 외륜 톱니부(412)의 경사부 끝단에 위치되어 치합되지 않고, 또한 제3 치합툴(433a)의 치합툴 톱니부(433b)는 직선부가 외륜 톱니부(412)의 경사부 중간부에 위치되게 되는 것으로, 내륜(420)이 회전시 연속하여 제1,2,3 치합툴(431a)(432a)(432a)이 순차적으로 외륜 톱니부(412)와 치합력을 부여하는 것인바, 항시 멀티 앵글 번들 펄 유닛(430)이 외륜 톱니부(412)에 순차적으로 치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백스탑 라쳇링(401)에서는 외륜 톱니부(412)의 1피치 내에서 치합툴 톱니부(431b)(432b)(432b)의 치합 구간이 나뉘어지는 것인바, 서로 다른 각도의 순차적 위치에서 미세한 회전에도 순차적인 치합력을 가져 역방향 동력이 전달시 백레쉬 현상 없이 정밀한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1)은 장선기(20) 또는 장력기(30)를 사용하기에 앞서 작업 준비시간에 벨트를 충분히 권해 하고자 할 때에는 회전 작동레버(200)의 작동 없이 간단하게 수동으로 진자 구동축(300)의 역방향 회전이 가능한 것으로, 이는 회전 단속레버(440)가 외륜(410)의 스토핑홈(413)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진자 구동축(300)과 연결된 진자 구동축 회전레버(1000)의 회전 조절에 의해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은 진자 구동축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 별도의 방향 전환장치의 작동 없이도 회전 작동축의 회전방향 조절 및 진자의 작동에 의해 간편하게 자동으로 반전 조작 사용이 가능하게 되며, 특히 장선기 또는 장력기의 장력이 작용하는 정방향 구동시 백스탑 라쳇링 작용에 의해 역회전이 완전 차단되게 되는 등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100 : 바디 110 : 레버 축설부
200 : 회전 작동레버 210 : 회전 작동축
211 : 회전고리 220 : 캠
230 : 회전 작동구 231 : 유동장공
232 : 걸림돌기 240 : 완충키
300 : 진자 구동축
400 : 클러치부 401 : 백스탑 라쳇링
410 : 외륜 411 : 내륜 장착공
412 : 외륜 톱니부 412a,412b : 전,후방 단턱부
413 : 스토핑홈 420 : 내륜
421 : 축공 422 : 번들 펄 장착홈
423 : 안착돌부 424 : 마감판 지지부
425 : 마감판 425a : 관통공
430 : 멀티 앵글 번들 펄 유닛 431,432,433 : 제1,2,3 멀티 앵글 번들 펄
431a,432a,432a : 제1,2,3 치합툴 431b,432b,432b : 치합툴 톱니부
440 : 회전 단속레버
500 : 진자 구동축 작동판 510 : 톱니부
600 : 진자 610 : 수평장공
620 : 자동 반전펄 장착홈
700 : 지지판
800 : 자동 반전펄 801 : 펄 축
810,810' : 제1,2 걸림돌기 821,821' : 제1 걸림홈
822,822' : 제2 걸림홈
830 : 반전키 장착홈 840,840' : 제1,2 반전펄 스프링볼
900 : 펄 반전키 910.910' : 제1,2 반전키 스프링볼
1000 : 진자 구동축 회전레버

Claims (6)

  1. 일측에 레버 축설부(110)가 형성된 바디(100);
    상기 레버 축설부(110)에 축설되며 회전고리(211)를 갖는 회전 작동축(210)과, 상기 회전 작동축(210)의 선단에서 중심으로부터 편심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캠(220)과, 상기 캠(220)의 후방측에서 회전 작동축(2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원주 방향으로 유동장공(231)이 형성되고 둘레에는 걸림돌부(232)가 돌출 형성된 회전 작동구(230)와, 상기 회전 작동축(210)과 회전 작동구(230)를 연결하는 완충키(240)로 된 회전 작동레버(200);
    상기 바디(100)의 타측에서 전후 관통 축설되는 진자 구동축(300);
    상기 바디(100)의 전방측에서 상기 진자 구동축(300) 둘레에 결합되며, 내륜의 역방향 방지 및 내륜과 외륜의 동시 역방향 회전을 통해 진자 구동축(30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을 작동시키는 클러치부(400);
    상기 클러치부(400) 전방측에서 진자 구동축(300) 둘레에 결합되며, 중간부 둘레에는 톱니부(510)가 형성된 진자 구동축 작동판(500);
    상기 진자 구동축 작동판(500)의 후방측에 결합되며, 일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캠(220)이 수용되는 수평장공(610)이 형성되어 캠(220) 작동에 의해 진자 구동축(300)을 중심으로 왕복 회동 진자운동 하며, 회전 작동축(210)과 진자 구동축 작동판(500) 사이의 전면에는 자동 반전펄 장착홈(620)이 형성된 진자(600);
    상기 진자 구동축 작동판(500)의 전방 둘레가 관통 및 상기 진자(600)와 결합되며,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판(700);
    상기 자동 반전펄 장착홈(620)에 펄 축(801) 결합 및 상기 진자 구동축 작동판(500)과 간섭되며, 왕복 회동 작동되어 진자 구동축 작동판(500)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반전 회전력을 부여하는 자동 반전펄(800);
    상기 지지판(700)에서 상기 자동 반전펄(800)과 함께 펄 축(801) 결합 및 일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 작동구(230)가 회전시 걸림돌부(232)와 간섭되어 자동 반전펄(800)의 왕복 회동력을 부여하며, 둘레가 펄 축(801)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제1,2 반전키 스프링볼(910)(910')로 탄설되어 수평 유지력을 가지는 펄 반전키(900); 및
    상기 진자 구동축 작동판(500)의 전방에서 진자 구동축(300) 및 진자 구동축 작동판(500)과 결합되는 진자 구동축 회전레버(100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키(240)는,
    일측이 상기 회전 작동축(210)에 고정되고, 타측은 회전 작동구(230)의 유동장공(231) 내부에 위치되게 구성하되,
    상기 회전 작동축(21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시 완충키(240)가 유동장공(231) 내에서 일정 구간 동안 공회전되고,
    상기 유동장공(231)의 어느 한 측의 단부에 걸림시 회전 작동구(230)를 함께 회전시키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부(400)는 백스탑 라쳇링(401)으로 구성하되,
    백스탑 라쳇링(401)은,
    중앙에 내륜 장착공(411)이 관통되고 내륜 장착공(411)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으로 직선부와 경사부가 연속 형성된 외륜 톱니부(412)가 형성되고, 둘레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스토핑홈(413)이 형성된 원형링 형태의 외륜(410);
    중앙에 상기 진자 구동축(300)이 결합되는 축공(421)이 관통된 원형링 형태를 이루어 상기 외륜(410)의 내륜 장착공(411)에 장착되며, 둘레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번들 펄 장착홈(422)이 다수 형성된 내륜(420); 및
    상기 번들 펄 장착홈(422)에 스프링(S) 탄설되어 출몰 작동하며 상기 외륜(410)의 외륜 톱니부(412)와 치합되어 일방향 회전력을 부여하는 멀티 앵글 번들 펄 유닛(430); 및
    상기 바디(100)에 형성되어 상기 외륜(410)의 스토핑홈(413)에 간섭 및 해제되어 외륜(410)의 회전 또는 정지를 단속하는 회전 단속레버(44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멀티 앵글 번들 펄 유닛(430)은,
    복수조의 제1,2,3 멀티 앵글 번들 펄(431)(432)(433)로 구성하며,
    상기 각각의 제1,2,3 멀티 앵글 번들 펄(431)(432)(433)은 서로 다른 각도의 순차적 위치에서 외륜(410)의 외륜 톱니부(412)와 치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륜(410)의 외륜 톱니부(412)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하여 전방 및 후방에 전,후방 단턱부(412a)(412b)가 형성되게 구성하고,
    상기 내륜(420)의 후방 둘레에는 상기 외륜(410)의 후방 단턱부(412b)에 안착되는 안착돌부(423)가 형성되고, 전방에는 축공(421)과 연장되도록 돌출되는 마감판 지지부(424)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내륜(420)의 전방은 마감판 지지부(424)가 관통되는 관통공(425a)이 형성된 마감판(425)이 전방 단턱부(412a)에 안착 결합되어 외륜(410)을 구속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 멀티 앵글 번들 펄(431)(432)(433)은,
    3개조를 이루게 구성하고, 각 조는 방사상으로 4개가 한 조를 이루는 제1,2,3 치합툴(431a)(432a)(432a)로 구성하되,
    각각의 제1,2,3 치합툴(431a)(432a)(432a)은 서로 교차되는 위치에서 번들 펄 장착홈(422)에 돌출력을 가지도록 스프링(S) 탄설되며, 선단에는 상기 외륜(410)의 외륜 톱니부(412)와 치합되도록 직선부와 경사부를 이루는 치합툴 톱니부(431b)(432b)(432b)가 각각 형성되게 구성하되,
    상기 내륜(420)은 일측 방향 회전시 제1,2,3 멀티 앵글 번들 펄(431)(432)(433)의 치합툴 톱니부(431b)(432b)(432b)가 외륜 톱니부(412)에 걸림 간섭되지 않아 내륜(420)이 공회전 가능하고, 타측 방향 회전시 어느 하나의 제1,2,3 멀티 앵글 번들 펄(431)(432)(433)의 치합툴 톱니부(431b)(432b)(432b)가 외륜 톱니부(412)에 순차적으로 치합되어 반대방향 회전이 방지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반전펄(800)은,
    일측에는 진자 구동축 작동판(500)의 톱니부(510)와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한 쌍의 제1,2 걸림돌기(810)(810')가 형성되고,
    둘레에는 제1 걸림홈(821)(821')과 제2 걸림홈(822)(822')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중앙에는 진자 구동축 작동판(500) 측으로부터 회전 작동축(210)으로 확장되는 테이퍼 형태의 반전키 장착홈(830)이 형성되어 펄 반전키(900)가 펄 축(801)에 자동 반전펄(800)과 함께 결합되게 구성하고,
    진자(600)에는 자동 반전펄(800)의 왕복 회동 방향을 잡아주는 제1,2 반전펄 스프링볼(840)(840')이 각각 탄설되게 구성하되,
    상기 제1,2 반전펄 스프링볼(840)(840')은 각각 자동 반전펄(800)의 어느 하나의 제1 걸림홈(821)(821')과 제2 걸림홈(822)(822')에 교차되도록 걸림 작동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
KR1020220018577A 2022-02-14 2022-02-14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 KR102427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577A KR102427178B1 (ko) 2022-02-14 2022-02-14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
PCT/KR2023/000112 WO2023153643A1 (ko) 2022-02-14 2023-01-03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8577A KR102427178B1 (ko) 2022-02-14 2022-02-14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7178B1 true KR102427178B1 (ko) 2022-08-01

Family

ID=82844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8577A KR102427178B1 (ko) 2022-02-14 2022-02-14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27178B1 (ko)
WO (1) WO202315364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643A1 (ko) * 2022-02-14 2023-08-17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4646A (en) * 1971-11-09 1974-09-10 Rainsford Metal Prod Proprieta Take-up spool latch
KR200314862Y1 (ko) 2003-02-27 2003-06-02 이정수 양방향 장선기
KR20050060679A (ko) * 2003-12-17 2005-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동 세탁기의 로터부싱
KR20150142644A (ko) * 2015-10-22 2015-12-22 정민시 진자운동을 일방향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장치
KR102161405B1 (ko) 2020-04-10 2020-10-05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전동 외접기어 더블락 라쳇형 장선기 및 이를 이용한 이도 조정, 긴선 작업, 현수애자 교체 간접 활선공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178B1 (ko) * 2022-02-14 2022-08-01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4646A (en) * 1971-11-09 1974-09-10 Rainsford Metal Prod Proprieta Take-up spool latch
KR200314862Y1 (ko) 2003-02-27 2003-06-02 이정수 양방향 장선기
KR20050060679A (ko) * 2003-12-17 2005-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동 세탁기의 로터부싱
KR20150142644A (ko) * 2015-10-22 2015-12-22 정민시 진자운동을 일방향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장치
KR102161405B1 (ko) 2020-04-10 2020-10-05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전동 외접기어 더블락 라쳇형 장선기 및 이를 이용한 이도 조정, 긴선 작업, 현수애자 교체 간접 활선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3643A1 (ko) * 2022-02-14 2023-08-17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53643A1 (ko) 2023-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7178B1 (ko)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
KR102447795B1 (ko)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 장선기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전선 가선공법
US2891434A (en) Ratchet wrench
US3942508A (en) Wire-saw
JP2020143573A (ja) 結束機
TWI696417B (zh) 修枝剪
DE202016107390U1 (de) Drehmomentausgangswerkzeug
TWI682714B (zh) 雙軸承捲線器
CN109866165B (zh) 进给装置和附带进给装置的螺钉紧固器
JP2017523935A (ja) グレージングパネル取外し装置
KR102481158B1 (ko) 무제한 장력 거리 조절기능을 갖는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치차 라쳇 장력기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무정전 배전공법
JP6949328B2 (ja) 高太枝伐採装置
KR20160038762A (ko) 낚시용 릴의 토크 제한 장치
US3823624A (en) Hand ratchet wrench for torque wrench actuation
GB2607229A (en) Endoscope control handle with a steering assembly
KR20150107850A (ko) 양방향 렌치
TW201739578A (zh) 防崩齒棘動工具
US3067748A (en) Surgical instrument
JP2013166251A (ja) チェーンソー
KR20060091711A (ko) 무저직기의 캐치코드 가연(假撚)장치
US2580792A (en) Wire-coiling machine
US3881690A (en) Fence stretcher
KR930009410B1 (ko) 양측 전선감기장치
KR102312533B1 (ko) 자동 스패너
CH381883A (de) Einrichtung zur schrittweisen Fortschaltung eines Diamagaz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