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954B1 -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과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과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954B1
KR102425954B1 KR1020197004827A KR20197004827A KR102425954B1 KR 102425954 B1 KR102425954 B1 KR 102425954B1 KR 1020197004827 A KR1020197004827 A KR 1020197004827A KR 20197004827 A KR20197004827 A KR 20197004827A KR 102425954 B1 KR102425954 B1 KR 102425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optical
surface protection
optical film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4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6033A (ko
Inventor
도모노리 우에노
겐타로 이케시마
사토시 미타
아츠시 기시
징판 수
에미 미야이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26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얇은 광학 기능 필름을 광학 셀에 접합 시에, 롤·투·패널 방식 및 시트·투·패널 방식을 병용해도, 동일한 구성의 광학 표시 패널을 적합하게 제조할 수 있는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은, 롤상의 광학 필름을 사용하여 광학 셀의 한쪽 면에 광학 필름을 부착하는 제1 패널 제조 공정과, 광학 셀의 한쪽 면에 매엽상의 광학 필름을 부착하는 제2 패널 제조 공정을 포함한다. 제2 패널 제조 공정은, 이형 필름, 점착제층, 광학 기능 필름, 제1 표면 보호 필름, 제2 표면 보호 필름이 이 순서로 적층된 구성인 매엽상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이형 필름이 박리되어 노출된 점착제층을 통해, 매엽상의 광학 필름을 광학 셀의 한쪽 면에 부착하고, 광학 셀에 부착된 상태의 매엽상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제2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과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시스템
본 발명은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과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형 필름, 점착제층, 광학 기능 필름(대표적으로는, 편광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이 이 순서로 적층된 광학 필름이 롤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롤상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조출된 광학 필름을, 이형 필름을 남기면서 점착제층, 광학 기능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을 폭 방향으로 절단(하프 컷)하고, 절단하여 얻어진 광학 필름으로부터 이형 필름을 박리하고, 노출한 점착제층을 통해 광학 필름을 광학 셀에 접합하는 방식(이하, 「롤·투·패널 방식」이라고도 함)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2 참조).
한편, 롤·투·패널 방식과는 상이한 광학 필름의 접합 방식으로서, 미리 매엽 상태로 해 둔 광학 필름을, 이형 필름을 박리하여 노출한 점착제층을 통해 광학 셀에 접합하는 방식(이하, 「시트·투·패널 방식」이라고도 함)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2320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5-04911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039238호 공보
현 상황,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공장은, 시트·투·패널 방식의 제조 설비를 많이 보유하며, 롤·투·패널 방식의 제조 설비는 적은 것이 현 상황이다.
최근 들어, 광학 표시 패널의 박형화가 진행됨에 따라, 편광 필름을 비롯하여 종래보다도 얇은 광학 기능 필름(예를 들어, 두께 60㎛ 이하인 편광 필름)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얇은 광학 기능 필름은, 탄력(탄성률)이 약하고, 비틀림, 컬 등이 생기기 쉽다. 그 때문에, 현 상황의 시트·투·패널 방식의 제조 설비에서는 대응할 수 없는 것이 염려된다.
또한, 액정 표시 패널을 비롯한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현장에서는, 롤·투·패널 방식뿐만 아니라, 시트·투·패널 방식을 병용하여 동일한 구성의 광학 표시 패널을 제조하는 케이스가 새롭게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서는, 롤·투·패널 방식을 이용하여 광학 표시 패널을 연속적으로 제조하고, 불량품으로 판정된 광학 표시 패널에 대해 리워크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불량품이 그다지 많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러한 리워크 처리에 있어서 광학 셀에 새로운 광학 기능 필름을 접합할 때에는, 시트·투·패널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생각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동일한 구성의 광학 표시 패널을 단기간에 대량으로 생산해야 하는 경우, 롤·투·패널 방식에서는 모든 공급량을 조달할 수 없고, 시트·투·패널 방식을 병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광학 필름이 얇아질수록, 비틀림, 컬 등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시트·투·패널 방식에 있어서는, 매엽상의 광학 필름의 반송, 이형 필름의 박리, 광학 기능 필름의 액정 셀에 대한 접합 처리와 같은 핸들링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수율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이 염려된다.
본 발명은 얇은 광학 기능 필름을 광학 셀에 접합 시에, 롤·투·패널 방식 및 시트·투·패널 방식을 병용해도, 동일한 구성의 광학 표시 패널을 적합하게 제조할 수 있는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띠상의 광학 필름이 권회되어 이루어지는 롤상의 광학 필름을 사용하여, 광학 셀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당해 광학 필름을 부착하여 광학 표시 패널을 형성하는 제1 부착 공정을 포함하는 제1 패널 제조 공정과,
광학 셀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매엽상의 광학 필름을 부착하여 광학 표시 패널을 형성하는 제2 부착 공정을 포함하는 제2 패널 제조 공정을 포함하는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제1 부착 공정은,
상기 롤상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조출되며, 또한 이형 필름, 점착제층, 광학 기능 필름, 제1 표면 보호 필름이 이 순서로 적층된 구성인 상기 띠상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당해 이형 필름이 박리되어 노출된 당해 점착제층을 통해, 당해 광학 필름을 상기 광학 셀의 상기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부착하고,
상기 제2 부착 공정은,
상기 이형 필름, 상기 점착제층, 상기 광학 기능 필름, 상기 제1 표면 보호 필름, 제2 표면 보호 필름이 이 순서로 적층된 구성인 상기 매엽상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당해 이형 필름이 박리되어 노출된 당해 점착제층을 통해, 당해 매엽상의 광학 필름을 상기 광학 셀의 상기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부착하고,
상기 제2 패널 제조 공정은,
상기 광학 셀에 부착된 상태의 상기 매엽상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상기 제2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제2 표면 보호 필름 박리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 공정은, 상기 롤상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조출된 당해 띠상의 광학 필름을, 당해 광학 필름의 긴 변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당해 이형 필름을 남겨서 절단하는 절단 공정과,
상기 광학 필름으로부터 상기 이형 필름을 박리하는 박리 공정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띠상의 광학 필름이, 상기 이형 필름을 제거하고 소정 간격으로 절입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부착 공정은, 상기 롤상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조출된 상기 광학 필름으로부터 상기 이형 필름을 내측으로 접는 것으로 박리하는 박리 공정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다른 발명은, 띠상의 광학 필름이 권회되어 이루어지는 롤상의 광학 필름을 사용하여, 광학 셀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당해 광학 필름을 부착하여 광학 표시 패널을 형성하는 제1 부착부를 포함하는 제1 패널 제조부와,
광학 셀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매엽상의 광학 필름을 부착하여 광학 표시 패널을 형성하는 제2 부착부를 포함하는 제2 패널 제조부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시스템이며,
상기 제1 부착부는,
상기 롤상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조출되며, 또한 이형 필름, 점착제층, 광학 기능 필름, 제1 표면 보호 필름이 이 순서로 적층된 구성인 상기 띠상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당해 이형 필름이 박리되어 노출된 당해 점착제층을 통해, 당해 광학 필름을 상기 광학 셀의 상기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부착하고,
상기 제2 부착부는,
상기 이형 필름, 상기 점착제층, 상기 광학 기능 필름, 상기 제1 표면 보호 필름, 제2 표면 보호 필름이 이 순서로 적층된 구성인 상기 매엽상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당해 이형 필름이 박리되어 노출된 당해 점착제층을 통해, 당해 매엽상의 광학 필름을 상기 광학 셀의 상기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부착하고,
상기 제2 패널 제조부는,
상기 광학 셀에 부착된 상태의 상기 매엽상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상기 제2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제2 표면 보호 필름 박리부를, 가져도 된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부는, 상기 롤상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조출된 당해 띠상의 광학 필름을, 당해 광학 필름의 긴 변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당해 이형 필름을 남겨서 절단하는 절단부와,
상기 광학 필름으로부터 상기 이형 필름을 박리하는 박리부를 가져도 된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띠상의 광학 필름이, 상기 이형 필름을 제거하고 소정 간격으로 절입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부착부는, 상기 롤상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조출된 상기 광학 필름으로부터 상기 이형 필름을 내측으로 접음으로써 박리되는 박리부를 가져도 된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학 기능 필름, 상기 제1 광학 기능 필름, 상기 제2 광학 기능 필름으로서, 편광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 또는 그 구성의 일 부재로서 편광 필름이 포함되는 경우에, 띠상의 편광 필름의 흡수축 방향이, 띠상의 편광 필름의 긴 변 방향에 대해 평행이어도 되고, 긴 변 방향에 대해 직교여도 되며, 경사(예를 들어 긴 변 방향에 대해 45°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여도 된다. 또한, 직사각형의 매엽상의 편광 필름의 흡수축 방향은, 긴 변 방향에 대해 평행이어도 되고, 긴 변 방향에 대해 직교여도 되며, 경사(예를 들어 긴 변 방향에 대해 45°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여도 된다. 또한, 정사각형의 매엽상의 편광 필름의 흡수축 방향은, 임의의 한 변에 대해 평행이어도 되고, 경사(예를 들어 변에 대해 45°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여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롤상의 광학 필름은, 이형 필름을 남기면서 점착제층, 광학 기능 필름 및 표면 보호 필름이, 광학 필름의 긴 변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폭 방향)에, 광학 셀이 대향하는 다른 한 쌍의 변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절입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롤·투·패널 방식에 있어서 광학 필름을 절단(하프 컷)할 필요가 없다.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학 셀이, VA 모드 혹은 IPS 모드의 액정 셀 또는 유기 EL 셀이어도 된다.
상기 광학 셀의 형상은, 대향하는 한 쌍의 변과 대향하는 다른 한 쌍의 변을 갖는 형상인 한, 정사각형이어도 되며, 직사각형이어도 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통상 광학 셀이 대향하는 한 쌍의 변과 대향하는 다른 한 쌍의 변과는 서로 직교한다.
「롤·투·패널 방식」은, 롤상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조출된 광학 필름으로부터 이형 필름을 박리하고, 노출한 점착제층을 통해 광학 필름을 광학 셀에 접합하는 방식이다. 여기서, 이형 필름이 박리되기 전까지는, 광학 필름에 그의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의 절취선이 이형 필름을 남기고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조출 전에 광학 필름에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조출된 후로부터 이형 필름의 박리 전에 광학 필름에 절취선이 형성되어도 된다.
「시트·투·패널 방식」은, 미리 매엽 상태로 해 둔 광학 필름으로부터 이형 필름을 박리하고, 노출한 점착제층을 통해 광학 필름을 광학 셀에 접합하는 방식이다.
롤상의 광학 필름은, 롤·투·패널 방식을 이용하여, 광학 셀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점착제층, 광학 기능 필름 및 제1 표면 보호 필름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구성의 광학 표시 패널을 제조하는 것에 사용된다. 또한, 제2 표면 보호 필름이 설치되어 있는 매엽상의 광학 필름은, 핸들링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비틀림, 컬 등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시트·투·패널 방식을 이용하여, 광학 셀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점착제층, 광학 기능 필름 및 제1 표면 보호 필름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구성의 광학 표시 패널을 제조하는 것에 사용된다. 그리고, 광학 표시 패널에 접합된 매엽상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제2 표면 보호 필름을 제거(예를 들어, 박리)한다. 결과적으로, 롤·투·패널 방식으로 제조된 광학 표시 패널과 동일한 적층 구성의 광학 표시 패널을 시트·투·패널 방식에서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의 광학 필름 세트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롤·투·패널 방식의 제조 시스템의 개략도.
도 3은 시트·투·패널 방식의 제조 시스템의 개략도.
<광학 필름 세트>
먼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광학 필름 세트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광학 필름 세트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 상부에 롤상의 제1 광학 필름(1)의 측면, 평면 및 일부 단면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1 하부에 매엽상의 제1 광학 필름(2)의 측면, 평면 및 일부 단면 확대도를 나타낸다. 롤상의 제1 광학 필름(1)은, 제1 이형 필름(11), 제1 점착제층(12), 제1 광학 기능 필름(13) 및 제1 표면 보호 필름(14)이 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다.
롤상의 제1 광학 필름(1)은, 롤·투·패널 방식으로 광학 표시 패널을 제조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에, 롤상의 제1 광학 필름(1)으로부터 조출된, 폭 a의 띠상의 제1 광학 필름(10)은, 절단 수단 C에서 소정의 간격 b로 이형 필름(11)을 남기고 절단된다. 부호 s는, 제1 광학 필름(10)에 상기 절단으로 형성된 절입이다.
또한, 매엽상의 제1 광학 필름(2)은, 제1 이형 필름(21), 제1 점착제층(22), 제1 광학 기능 필름(23), 제1 표면 보호 필름(24) 및 제2 표면 보호 필름(25)이 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다. 매엽상의 제1 광학 필름(2)의 사이즈는, 세로 a, 가로 b이다. 매엽상의 제1 광학 필름(2)은, 시트·투·패널 방식으로 광학 표시 패널을 제조하는 데 사용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이형 필름(11)과 제1 이형 필름(21)은 동일한 구성이다. 제1 점착제층(12)과 제1 점착제층(22)은 동일한 구성이다. 제1 광학 기능 필름(13)과 제1 광학 기능 필름(23)은 동일한 구성이다. 제1 표면 보호 필름(14)과 제1 표면 보호 필름(24)과 제2 표면 보호 필름(25)은 동일한 구성이다. 「동일한 구성」이란, 재료, 두께 등이 완전히 일치할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동일(예를 들어, 제조 품질상 동일)하면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표면 보호 필름(14)(또는 24)이, 제1 기재 필름 및 제1 점착제층을 갖고, 당해 제1 점착제층을 통해 제1 광학 기능 필름(13)(또는 23)에 적층되어 있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 제1 표면 보호 필름(14)(또는 24)이 자기 점착형 필름이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2 표면 보호 필름(25)이, 제2 기재 필름 및 제2 점착제층을 갖고, 당해 제2 점착제층을 통해 제1 표면 보호 필름(24)에 적층되어 있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 제2 표면 보호 필름(25)이 자기 점착형 필름이어도 된다.
(상간 박리력의 관계)
또한, 제1 표면 보호 필름(24)과 제1 광학 기능 필름(23)의 층간의 박리력이, 제2 표면 보호 필름(25)과 제1 표면 보호 필름(24)의 층간의 박리력보다도 큰 구성이다. 이것에 의하면, 제2 표면 보호 필름(25)을 보다 원활하게 박리할 수 있다. 박리력의 측정으로는, 예를 들어 인장 시험기를 사용할 수 있다. 박리 조건으로는 0.3m/분의 180° 박리로 측정한다. 박리력은, 점착제의 조성이나 두께 등에 의해 제어한다.
매엽상의 제1 광학 필름(2)에 있어서의 각 층간의 박리력의 대소 관계는 이하와 같다.
제1 이형 필름(21)과 제1 점착제층(22)의 층간 박리력 A,
제1 점착제층(22)과 제1 광학 기능 필름(23)의 층간 박리력 B,
제1 광학 기능 필름(23)과 제1 표면 보호 필름(24)의 층간 박리력 C,
제1 표면 보호 필름(24)과 제2 표면 보호 필름(25)의 층간 박리력 D로 한 경우에,
A<B, A<C, A<D이다.
바람직하게는, A<D<C≤B 혹은 A<D<B≤C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A<D<C<B이다.
상기의 상간 박리력의 관계에 의하면, 제1 이형 필름이 박리될 때에, 제2 표면 보호 필름이 박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광학 기능 필름>
제1 광학 기능 필름(13, 23)은, 광학 기능을 갖는 필름인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 휘도 향상 필름, 확산 필름 등을 들 수 있지만, 대표적으로는 편광 필름이다.
(편광 필름)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박형화의 관점에서, 두께(총 두께)가 60㎛ 이하인 편광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편광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어 (1) 편광자의 양측에 보호 필름(「편광자 보호 필름」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이 적층되어 있는 구성(「양보호 편광 필름」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2) 편광자의 편측에만 보호 필름이 적층되어 있는 구성(「편보호 편광 필름」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등을 들 수 있다.
(편광자)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사용한 것이 사용된다. 편광자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2색성 염료의 2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1축 연신한 것,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과 요오드 등의 2색성 물질을 포함하는 편광자가 적합하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고 1축 연신한 편광자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의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염색하고, 원래 길이의 3 내지 7배로 연신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붕산이나 황산아연, 염화아연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며, 요오드화칼륨 등의 수용액에 침지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염색 전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물에 침지시켜 수세해도 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수세함으로써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로킹 방지제를 세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팽윤시킴으로써 염색의 얼룩 등의 불균일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연신은 요오드로 염색한 후에 행해도 되고, 염색하면서 연신해도 되고, 또한 연신하고 나서 요오드로 염색해도 된다. 붕산이나 요오드화 칼륨 등의 수용액이나 수욕 중에서도 연신할 수 있다.
편광자의 두께는, 박형화의 관점에서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8㎛ 이하, 나아가 7㎛ 이하, 나아가 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편광자의 두께는 2㎛ 이상, 나아가 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박형의 편광자는, 두께 불균일이 적고, 시인성이 우수하고, 또한 치수 변화가 적기 때문에 열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다. 한편, 두께 10㎛ 이하인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 필름은, 필름의 탄력(탄성률)이 현저하게 낮아지기 때문에, 시트·투·패널 방식에 있어서, 비틀림, 컬 등이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당해 편광 필름에 특히 적합하다.
박형의 편광자로서는, 대표적으로는,
일본 특허 제4751486호 명세서,
일본 특허 제4751481호 명세서,
일본 특허 제4815544호 명세서,
일본 특허 제5048120호 명세서,
국제 공개 제2014/077599호 팸플릿,
국제 공개 제2014/077636호 팸플릿,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박형 편광자 또는 이들에 기재된 제조 방법으로부터 얻어지는 박형 편광자를 들 수 있다.
상기 편광자는, 단체 투과율 T 및 편광도 P에 의해 표현되는 광학 특성이, 다음 식
P>-(100.929T-42.4-1)×100(단, T<42.3), 또는
P≥99.9(단, T≥42.3)
의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구성된 편광자는, 일의적으로는, 대형 표시 소자를 사용한 액정 TV용 디스플레이로서 요구되는 성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콘트라스트비 1000:1 이상 또한 최대 휘도 500cd/㎡ 이상이다. 다른 용도로서는, 예를 들어 유기 EL 셀의 시인측에 접합된다.
상기 박형 편광자로서는, 적층체의 상태에서 연신하는 공정과 염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법 중에서도, 고배율로 연신할 수 있어서 편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일본 특허 제4751486호 명세서, 일본 특허 제4751481호 명세서, 특허 제4815544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붕산 수용액 중에서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법으로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일본 특허 제4751481호 명세서, 특허 제4815544호 명세서에 기재된 붕산 수용액 중에서 연신하기 전에 보조적으로 공중 연신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박형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이하, PVA계 수지라고도 함)층과 연신용 수지 기재를 적층체의 상태에서 연신하는 공정과 염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 제법이면, PVA계 수지층이 얇아도, 연신용 수지 기재에 지지되어 있음으로써 연신에 의한 파단 등의 문제없이 연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호 필름(편광자 보호 필름))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 안정성, 수분 차단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 디아세틸셀룰로오스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중합체, 폴리스티렌이나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AS 수지) 등의 스티렌계 중합체,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내지는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중합체, 염화비닐계 중합체, 나일론이나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중합체, 이미드계 중합체, 술폰계 중합체, 폴리에테르술폰계 중합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중합체, 폴리페닐렌술피드계 중합체, 비닐알코올계 중합체, 염화비닐리덴계 중합체, 비닐부티랄계 중합체, 아릴레이트계 중합체, 폴리옥시메틸렌계 중합체, 에폭시계 중합체 또는 상기 중합체의 블렌드물 등도 상기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중합체의 예로서 들 수 있다.
또한, 보호 필름 중에는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가 1종 이상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활제, 가소제, 이형제, 착색 방지제, 난연제, 핵제, 대전 방지제, 안료,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투명 보호 필름 중의 상기 열 가소성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9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8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7중량%이다. 투명 보호 필름 중의 상기 열 가소성 수지의 함유량이 50중량% 미만인 경우, 열 가소성 수지가 원래 갖는 높은 투명성 등이 충분히 발현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상기 보호 필름으로서는, 위상차 필름, 휘도 향상 필름, 확산 필름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의 편광자를 접착시키지 않는 면에는, 하드 코팅층, 반사 방지층, 스티킹 방지층, 확산층 내지 안티글레어층 등의 기능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드 코팅층, 반사 방지층, 스티킹 방지층, 확산층이나 안티글레어층 등의 기능층은, 투명 보호 필름 그 자체에 설치할 수 있는 것 외에, 별도, 투명 보호 필름과는 별체의 것으로 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개재층)
상기 보호 필름과 편광자는 접착제층, 점착제층, 하도층(프라이머층) 등의 개재층을 개재시켜 적층된다. 이때, 개재층에 의해 양자를 공기 간극없이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층은 접착제에 의해 형성된다. 접착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은 광학적으로 투명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접착제로서는, 수계, 용제계, 핫 멜트계,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등의 각종 형태의 것이 사용되지만, 수계 접착제 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가 적합하다.
수계 접착제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접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젤라틴계 접착제, 비닐계 라텍스계, 수계 폴리에스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수계 접착제는, 통상 수용액을 포함하는 접착제로서 사용되고, 통상 0.5 내지 60중량%의 고형분을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전자선, 자외선(라디칼 경화형, 양이온 경화형) 등의 활성 에너지선에 의해 경화가 진행되는 접착제이며, 예를 들어 전자선 경화형, 자외선 경화형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는, 예를 들어 광 라디칼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광 라디칼 경화형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자외선 경화형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당해 접착제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및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한다.
또한, 편광자와 보호 필름의 적층에 있어서, 투명 보호 필름과 접착제층 사이에는 접착 용이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접착 용이층은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골격, 폴리에테르 골격, 폴리카르보네이트 골격, 폴리우레탄 골격, 실리콘계, 폴리아미드 골격, 폴리이미드 골격, 폴리비닐알코올 골격 등을 갖는 각종 수지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들 중합체 수지는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접착 용이층의 형성에는 다른 첨가제를 가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나아가 점착 부여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내열 안정제 등의 안정제 등을 사용해도 된다.
점착제층은, 점착제로부터 형성된다. 점착제로서는 각종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어, 예를 들어 고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비닐알킬에테르계 점착제,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점착제,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점착제, 셀룰로오스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제의 종류에 따라 점착성의 베이스 중합체가 선택된다. 상기 점착제 중에서도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고, 적당한 습윤성과 응집성과 접착성의 점착 특성을 나타내고, 내후성이나 내열성 등이 우수한 점에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하도층(프라이머층)은, 편광자와 보호 필름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형성된다. 프라이머층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기재 필름과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의 양쪽에 어느 정도 강한 밀착력을 발휘하는 재료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투명성, 열 안정성, 연신성 등이 우수한 열 가소성 수지 등이 사용된다. 열 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표면 보호 필름)
제1, 제2 표면 보호 필름은, 광학 필름에 있어서, 편광 필름의 편면(점착제층을 적층하고 있지 않은 면)에 설치되고, 편광 필름 등의 광학 기능 필름을 보호한다.
제1, 제2 표면 보호 필름의 기재 필름으로서는, 검사성이나 관리성 등의 관점에서, 등방성을 갖는 또는 등방성에 가까운 필름 재료가 선택된다. 그 필름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아세테이트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와 같은 투명한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기재 필름은,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필름 재료의 라미네이트체로서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필름의 연신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기재 필름 필름의 두께는, 10㎛ 내지 1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2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제2 표면 보호 필름은, 상기 기재 필름을 자기 점착형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 외에도, 상기 기재 필름 및 점착제층을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제2 표면 보호 필름은, 편광 필름 등의 광학 기능 필름을 보호하는 관점에서는 점착제층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제2 표면 보호 필름의 적층에 사용되는 점착제층으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실리콘계 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불소계나 고무계 등의 중합체를 베이스 중합체로 하는 점착제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투명성, 내후성, 내열성 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중합체를 베이스 중합체로 하는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점착제층의 두께(건조 막 두께)는, 필요로 하는 점착력에 따라 결정된다. 통상 1 내지 100㎛ 정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이다.
또한, 제1, 제2 표면 보호 필름에는, 점착제층을 형성한 면의 반대면에, 실리콘 처리, 장쇄 알킬 처리, 불소 처리 등의 저접착성 재료에 의해, 박리 처리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점착제층>
점착제층(12, 22)의 형성에는, 적당한 점착제를 사용할 수 있고, 그 종류에 대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점착제로서는, 고무계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비닐알킬에테르계 점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점착제,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점착제,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점착제, 셀룰로오스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점착제 중에서도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고, 적당한 습윤성과 응집성과 접착성의 점착 특성을 나타내고, 내후성이나 내열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특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점착제층(12, 22)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점착제를 박리 처리한 이형 필름(세퍼레이터 등에 도포하고, 중합 용제 등을 건조 제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에, 편광자(또는 투명 보호 필름)에 전사하는 방법 또는 편광자(또는 투명 보호 필름)에 상기 점착제를 도포하고, 중합 용제 등을 건조 제거하여 점착제층을 편광자에 형성하는 방법 등에 의해 제작된다. 또한, 점착제의 도포에 있어서는, 적절히 중합 용제 이외의 1종 이상의 용제를 새로이 추가해도 된다.
박리 처리한 이형 필름으로서는, 실리콘 박리 라이너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라이너 상에 본 발명의 점착제를 도포, 건조시키고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점착제를 건조시키는 방법으로서는, 목적에 따라 적의, 적절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포막을 가열 건조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가열 건조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2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80℃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70℃이다. 가열 온도를 상기 의 범위로 함으로써, 우수한 점착 특성을 갖는 점착제를 얻을 수 있다.
건조 시간은, 적의, 적절한 시간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건조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5초 내지 20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5초 내지 10분, 특히 바람직하게는, 10초 내지 5분이다.
제1 점착제층(12, 22)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각종 방법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롤 코팅, 키스 롤 코팅, 그라비아 코팅, 리버스 코팅, 롤 브러시, 스프레이 코팅, 딥 롤 코팅, 바 코팅, 나이프 코팅, 에어나이프 코팅, 커튼 코팅, 립 코팅, 다이 코터 등에 의한 압출 코팅법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제1 점착제층(12, 22)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1 내지 100㎛ 정도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5㎛이다.
<이형 필름>
제1 이형 필름(11, 21)은, 실용에 제공될 때까지 점착제층을 보호한다. 이형 필름의 구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플라스틱 필름, 종이, 천, 부직포 등의 다공질 재료, 네트, 발포 시트, 금속박 및 이들의 라미네이트체 등의 적당한 박엽체 등을 들 수 있지만,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점에서 플라스틱 필름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그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상기 점착제층을 보호할 수 있는 필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부텐 필름, 폴리부타디엔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염화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제1 이형 필름(11, 21)의 두께는, 통상 5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 정도이다. 상기 세퍼레이터에는 필요에 따라, 실리콘계, 불소계, 장쇄 알킬계 혹은 지방산 아미드계의 이형제, 실리카분 등에 의한 이형 및 방오 처리나, 도포형, 혼입형, 증착형 등의 대전 방지 처리도 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이형 필름의 표면에 실리콘 처리, 장쇄 알킬 처리, 불소 처리 등의 박리 처리를 적절히 행함으로써,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액정 셀, 액정 표시 패널)
액정 셀은, 대향 배치되는 1쌍의 기판(제1 기판(시인 측면) Pa, 제2 기판(배면) Pb)간에 액정층이 밀봉된 구성이다. 액정 셀은, 임의의 타입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높은 콘트라스트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수직 배향(VA) 모드, 면 내 스위칭(IPS) 모드의 액정 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표시 패널은, 액정 셀의 편면 또는 양면에 편광 필름이 접합된 것이며, 필요에 따라 구동 회로가 내장된다.
(유기 EL 셀, 유기 EL 표시 패널)
유기 EL 셀은, 한 쌍의 전극간에 전계 발광층이 끼움 지지된 구성이다. 유기 EL 셀은, 예를 들어 톱 에미션 방식, 보텀 에미션 방식, 더블 에미션 방식 등의 임의의 타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 EL 표시 패널은, 유기 EL 셀의 편면 또는 양면에 편광 필름이 접합된 것이며, 필요에 따라 구동 회로가 내장된다.
(롤·투·패널 방식의 제1 패널 제조부)
도 2는, 롤상의 제1 광학 필름(1)을 사용한 롤·투·패널 방식의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시스템을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학 셀로서 액정 셀, 광학 표시 패널로서 액정 표시 패널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롤상의 제1 광학 필름(1)은, 제1 이형 필름(11), 제1 점착제층(12), 제1 광학 기능 필름(13) 및 제1 표면 보호 필름(14)이 이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상의 제1 광학 필름(1)은 폭 a이며, 액정 패널의 긴 변에 대응한 폭(액정 셀 P의 긴 변보다 실질적으로는 짧은 폭)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액정 표시 패널의 제조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셀 P를 제1 부착부(64)에 반송하는 제1 반송부(81), 액정 셀 P의 제1면 P1에 롤상의 제1 광학 필름(1)을 사용하여 광학 필름을 부착한 후의 액정 셀 P를 반송하는 제2 반송부(82)를 갖는다. 각 반송부는,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액정 셀 P를 반송시키기 위한 복수의 반송용 롤러 R을 갖고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반송 롤러 이외에 흡착 플레이트 등을 갖고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액정 셀 반송 공정)
액정 셀 P를 수납하는 수납부(91)로부터, 액정 셀 P가 제1면 P1을 천장면이 되도록, 제1 반송부(81)로 배치되어, 반송 롤러 R의 회전에 의해 제1 부착부(64)로 반송된다.
(제1 광학 필름 조출 공정, 제1 광학 필름 절단 공정)
롤상의 제1 광학 필름(1)으로부터 조출된 띠상의 제1 광학 필름(10)은, 제1 이형 필름(11)측을 흡착 고정하면서, 절단부(61)에서 제1 이형 필름(11)을 절단하지 않고 남기고 띠상의 점착제층(12), 띠상의 제1 광학 기능 필름(13), 띠상의 제1 표면 보호 필름(14)을 소정 사이즈(액정 셀 P의 짧은 변에 따른 길이(짧은 변보다도 실질적으로 짧은 길이))로 절단하고, 절입부 s를 형성한다. 절단부(61)에 의한 절단은, 예를 들어 칼날을 사용한 절단(잡아당겨 절단하는 칼날에 의한 절단), 레이저 장치에 의한 절단을 들 수 있다. 절단된 후의 절입부 s의 일례를 도 2의 화살표로 나타내지만,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일부러 절입을 크게 그리고 있다. 도시되지 않은 닙 롤러가 절단부(61)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배치되고, 띠상의 제1 광학 필름(10)을 반송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닙 롤러가 절단부(61)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장력 조절 공정)
띠상의 제1 광학 필름(10)의 절단 처리와, 후단의 부착 처리에 있어서, 장시간에 걸쳐 처리가 중단되지 않도록 연속된 처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또한 필름의 이완을 조정하기 위해서 제1 장력 조정부(6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장력 조정부(62)는, 예를 들어 추를 사용한 댄서 기구를 갖고 구성된다. 도시되지 않은 닙 롤러가 제1 장력 조정부(62)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배치되고, 제1 광학 필름(10)을 반송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닙 롤러가 제1 장력 조정부(62)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박리 공정)
제1 광학 필름(10)은, 제1 박리부(63)에 감아 걸어 반전되고, 제1 광학 필름(10)이 제1 이형 필름(11)으로부터 박리된다. 제1 이형 필름(11)은, 제1 권취부(65)에 의해 롤에 권취된다. 제1 권취부(65)는 롤과 회전 구동부를 갖고, 회전 구동부가 롤을 회전시킴으로써 제1 이형 필름(11)을 롤에 권회한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닙 롤러가 박리부(63)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배치되고, 제1 광학 필름(10) 또는 제1 이형 필름(11)을 반송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닙 롤러가 박리부(63)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1 부착 공정)
제1 부착부(64)는, 액정 셀 P를 반송하면서, 액정 셀 P의 제1면 P1에, 제1 이형 필름(11)이 박리된 제1 광학 필름(10)을, 제1 점착제층(12)을 통해 부착한다. 제1 부착부(64)는, 1쌍의 제1 롤러(64a)와 제2 롤러(64b)로 구성된다. 어느 한쪽이 구동 롤러이고 다른 쪽이 종동 롤러여도 되고, 양롤러가 구동 롤러여도 된다. 1쌍의 제1 롤러(64a), 제2 롤러(64b)로 제1 광학 필름(10)과 액정 셀 P를 끼움 지지하면서 하류로 보냄으로써, 제1 광학 필름(10)을 액정 셀 P의 제1면 P1로 부착된다. 액정 셀 P의 제1면 P1에 매엽상의 제1 광학 필름(10)이 부착된 후의 액정 셀 P는, 제2 반송부(82)에서 하류로 반송된다.
(시트·투·패널 방식의 제2 패널 제조부)
도 3은, 매엽상의 제1 광학 필름(2)을 사용한 시트·투·패널 방식의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시스템을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학 셀로서 액정 셀, 광학 표시 패널로서 액정 표시 패널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매엽상의 제1 광학 필름(2)은, 제1 이형 필름(21), 제1 점착제층(22), 제1 광학 기능 필름(23), 제1 표면 보호 필름(24) 및 제2 표면 보호 필름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엽상의 제1 광학 필름(2)은 세로 a, 가로 b이며, 액정 패널의 긴 변에 대응한 폭(액정 셀 P의 긴 변보다 실질적으로는 짧은 폭)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액정 표시 패널의 제조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 셀 P를 매엽 부착 장치(164)(제2 부착부에 상당함)로 반송하는 제3 반송부(181), 액정 셀 P의 제1면 P1에 매엽상의 제1 광학 필름(2)을 사용하여 광학 필름을 부착한 후의 액정 셀 P를 반송하는 제4 반송부(182)를 갖는다. 각 반송부는,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액정 셀 P를 반송시키기 위한 복수의 반송용 롤러 R을 갖고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반송 롤러 이외에 흡착 플레이트 등을 갖고 구성되고 있어도 된다.
(액정 셀 반송 공정)
액정 셀 P를 수납하는 수납부(191)로부터, 액정 셀 P가 제1면 P1을 천장면이 되도록, 제3 반송부(181)로 배치되어, 반송 롤러 R의 회전에 의해 매엽 부착 장치(164)로 반송된다.
매엽상의 제1 광학 필름(2)이 수용된 용기(100)로부터, 매엽상의 제1 광학 필름(2)을 매엽 부착 장치(164)의 흡착부(164a)로 흡착시켜, 접합 위치로 공급한다. 매엽상의 제1 광학 필름(2)으로부터 제1 이형 필름(21)이 박리 수단에 의해 박리된다. 흡착부(164a)의 흡착면은 단면 원호상이다. 박리 수단은, 예를 들어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점착 테이프를 제1 이형 필름(21)면에 접합하고, 점착 테이프를 이동 기구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이형 필름(21)을 박리해도 된다.
매엽 부착 장치(164)는, 고정면(164b)을 갖고, 고정면(164b)이 액정 셀 P의 제1면 P1측을 흡착 고정한다. 제1 이형 필름(21)이 박리되어 제1 점착제층(22)이 노출한 상태의 매엽상의 제1 광학 필름(2)을 액정 셀 P의 제1면 P1에 흡착부(164a)를 구르게 하여 부착한다.
(제2 표면 보호 필름 박리 공정)
매엽상의 제1 광학 필름(2)을 부착한 후에, 제2 표면 보호 필름(25)을 박리한다. 박리 처리는, 수작업으로 행해도 되고, 박리 장치로 행해도 된다.
상기 제1 패널 제조부에 있어서, 액정 셀의 한쪽 면(제1면 P1)에 대해 롤·투·패널 방식으로 광학 필름을 부착하고 있었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액정 셀의 다른쪽 면(제2면 P2)에 대해서도 롤·투·패널 방식 또는 시트·투·패널 방식으로 광학 필름을 부착해도 된다.
상기 제2 패널 제조부에 있어서, 액정 셀의 한쪽 면(제1면 P1)에 대해 시트·투·패널 방식으로 광학 필름을 부착하고 있었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액정 셀의 다른쪽 면(제2면 P2)에 대해서도 롤·투·패널 방식 또는 시트·투·패널 방식으로 광학 필름을 부착해도 된다.
상기 제1, 제2 패널 제조부에 있어서, 광학 필름을 어느 한쪽 면 또는 양면에 부착한 후에, 광학적 검사를 행해도 된다. 광학 검사의 결과에 따라(예를 들어 불량품 판정된 경우), 액정 셀(광학 셀)로부터 광학 필름을 제거하고, 제2 패널 제조부(시트·투·패널 방식)에서, 광학 셀을 다시 부착하여 액정 표시 패널(광학 표시 패널)을 재제조해도 된다.
(변형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롤상의 광학 필름 및 매엽상의 광학 필름의 광학 필름 세트를, 액정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방법에 사용하는 것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고, 유기 EL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방법에 사용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롤상의 광학 필름으로서, 상기한 광학 필름을 사용했지만, 롤상의 광학 필름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형 필름을 제외하고, 복수의 절입선이 폭 방향으로 형성된 띠상의 광학 필름이 권회된 것(절취선을 넣은 광학 필름)을 사용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띠상의 광학 필름을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절단(하프 컷)하고 있었지만, 수율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띠상의 광학 필름의 결점 부분을 피하도록 띠상의 광학 필름을 폭 방향으로 절단(스킵 컷)해도 되고, 결점 부분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을 소정 간격(광학 셀의 사이즈)보다도 작은 사이즈로(보다 바람직하게는, 가능한 작은 사이즈로) 절단해도 된다.
실시 형태에서는, 가로로 긴 직사각형의 액정 셀 및 액정 표시 패널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액정 셀 및 액정 표시 패널의 형상은, 대향하는 한 쌍의 변과 대향하는 다른 한 쌍의 변을 갖는 형상인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1: 롤상의 광학 필름
11: 이형 필름
12: 점착제층
13: 광학 기능 필름
14: 제1 표면 보호 필름
2: 매엽상의 광학 필름
21: 이형 필름
22: 점착제층
23: 광학 기능 필름
24: 제1 표면 보호 필름
25: 제2 표면 보호 필름

Claims (6)

  1. 띠상의 광학 필름이 권회되어 이루어지는 롤상의 광학 필름을 사용하여, 광학 셀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당해 광학 필름을 부착하여 광학 표시 패널을 형성하는 제1 부착 공정을 포함하는 제1 패널 제조 공정과,
    광학 셀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매엽상의 광학 필름을 부착하여 광학 표시 패널을 형성하는 제2 부착 공정을 포함하는 제2 패널 제조 공정을 포함하는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제1 부착 공정은,
    상기 롤상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조출되며, 또한 이형 필름, 점착제층, 광학 기능 필름, 제1 표면 보호 필름이 이 순서로 적층된 구성인 상기 띠상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당해 이형 필름이 박리되어 노출된 당해 점착제층을 통해, 당해 광학 필름을 상기 광학 셀의 상기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부착하고,
    상기 제2 부착 공정은,
    상기 이형 필름, 상기 점착제층, 상기 광학 기능 필름, 상기 제1 표면 보호 필름, 제2 표면 보호 필름이 이 순서로 적층된 구성인 상기 매엽상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당해 이형 필름이 박리되어 노출된 당해 점착제층을 통해, 당해 매엽상의 광학 필름을 상기 광학 셀의 상기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부착하고,
    상기 제2 패널 제조 공정은,
    상기 광학 셀에 부착된 상태의 상기 매엽상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상기 제2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제2 표면 보호 필름 박리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표면 보호 필름이, 점착제층을 갖거나, 또는 자기 점착형이고,
    상기 제2 표면 보호 필름이, 점착제층을 갖거나, 또는 자기 점착형이고,
    상기 제1 표면 보호 필름과 상기 제2 표면 보호 필름이, 동일한 구성이고,
    상기 매엽상의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각 층간 박리력의 대소 관계가, 상기 이형 필름과 상기 점착제층의 층간 박리력 A, 상기 점착제층과 상기 광학 기능 필름의 층간 박리력 B, 상기 광학 기능 필름과 상기 제1 표면 보호 필름의 층간 박리력 C, 상기 제1 표면 보호 필름과 상기 제2 표면 보호 필름의 층간 박리력 D로 한 경우에, A<D<C<B이고,
    상기 매엽상의 광학 필름의 상기 광학 기능 필름이, 두께 60㎛ 이하의 편광 필름이고, 상기 편광 필름이 두께 10㎛ 이하의 편광자를 갖는,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 공정은,
    상기 롤상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조출된 당해 띠상의 광학 필름을, 당해 광학 필름의 긴 변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당해 이형 필름을 남기고 절단하는 절단 공정과,
    상기 광학 필름으로부터 상기 이형 필름을 박리하는 박리 공정을 포함하는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띠상의 광학 필름이, 상기 이형 필름을 제거하고 소정 간격으로 절입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부착 공정은,
    상기 롤상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조출된 상기 광학 필름으로부터 상기 이형 필름을 내측으로 접음으로써 박리하는 박리 공정을 포함하는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4. 띠상의 광학 필름이 권회되어 이루어지는 롤상의 광학 필름을 사용하여, 광학 셀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당해 광학 필름을 부착하여 광학 표시 패널을 형성하는 제1 부착부를 포함하는 제1 패널 제조부와,
    광학 셀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매엽상의 광학 필름을 부착하여 광학 표시 패널을 형성하는 제2 부착부를 포함하는 제2 패널 제조부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시스템이며,
    상기 제1 부착부는,
    상기 롤상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조출되며, 또한 이형 필름, 점착제층, 광학 기능 필름, 제1 표면 보호 필름이 이 순서로 적층된 구성인 상기 띠상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당해 이형 필름이 박리되어 노출된 당해 점착제층을 통해, 당해 광학 필름을 상기 광학 셀의 상기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부착하고,
    상기 제2 부착부는,
    상기 이형 필름, 상기 점착제층, 상기 광학 기능 필름, 상기 제1 표면 보호 필름, 제2 표면 보호 필름이 이 순서로 적층된 구성인 상기 매엽상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당해 이형 필름이 박리되어 노출된 당해 점착제층을 통해, 당해 매엽상의 광학 필름을 상기 광학 셀의 상기 적어도 어느 한쪽 면에 부착하고,
    상기 제2 패널 제조부는,
    상기 광학 셀에 부착된 상태의 상기 매엽상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상기 제2 표면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제2 표면 보호 필름 박리부를 갖고,
    상기 제1 표면 보호 필름이, 점착제층을 갖거나, 또는 자기 점착형이고,
    상기 제2 표면 보호 필름이, 점착제층을 갖거나, 또는 자기 점착형이고,
    상기 매엽상의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각 층간 박리력의 대소 관계가, 상기 이형 필름과 상기 점착제층의 층간 박리력 A, 상기 점착제층과 상기 광학 기능 필름의 층간 박리력 B, 상기 광학 기능 필름과 상기 제1 표면 보호 필름의 층간 박리력 C, 상기 제1 표면 보호 필름과 상기 제2 표면 보호 필름의 층간 박리력 D로 한 경우에, A<D<C<B이고,
    상기 매엽상의 광학 필름의 상기 광학 기능 필름이, 두께 60㎛ 이하의 편광 필름이고, 상기 편광 필름이 두께 10㎛ 이하의 편광자를 갖는,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부는,
    상기 롤상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조출된 당해 띠상의 광학 필름을, 당해 광학 필름의 긴 변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당해 이형 필름을 남기고 절단하는 절단부와,
    상기 광학 필름으로부터 상기 이형 필름을 박리하는 박리부를 갖는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띠상의 광학 필름이, 상기 이형 필름을 제거하고 소정 간격으로 절입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부착부는,
    상기 롤상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조출된 상기 광학 필름으로부터 상기 이형 필름을 내측으로 접음으로써 박리되는 박리부를 갖는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시스템.
KR1020197004827A 2016-07-22 2017-06-29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과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시스템 KR1024259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44846A JP6732580B2 (ja) 2016-07-22 2016-07-22 光学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と光学表示パネルの製造システム
JPJP-P-2016-144846 2016-07-22
PCT/JP2017/023956 WO2018016289A1 (ja) 2016-07-22 2017-06-29 光学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と光学表示パネルの製造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033A KR20190026033A (ko) 2019-03-12
KR102425954B1 true KR102425954B1 (ko) 2022-07-28

Family

ID=60992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827A KR102425954B1 (ko) 2016-07-22 2017-06-29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과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732580B2 (ko)
KR (1) KR102425954B1 (ko)
CN (1) CN109478383B (ko)
TW (1) TWI729163B (ko)
WO (1) WO20180162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75071B (zh) * 2020-05-05 2022-08-21 威光自動化科技股份有限公司 附有上、下離形膜之膠帶的下離形膜的自動剝離方法及其裝置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8262B2 (ja) * 1995-07-14 2003-04-2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2001166132A (ja) * 1999-12-06 2001-06-22 Sumitomo Chem Co Ltd 光学フィルム
KR100830392B1 (ko) * 2004-03-25 2008-05-2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의 제조 방법, 편광판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 표시장치
JP2006039238A (ja) 2004-07-28 2006-02-09 Yodogawa Medekku Kk 偏光板やarフィルム等の機能性フィルムの貼付装置
JP2008256852A (ja) * 2007-04-03 2008-10-23 Nitto Denko Corp 光学フィルム体および光学フィルム体の製造方法
KR101525128B1 (ko) * 2008-12-29 2015-06-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박막형 편광판의 제조방법, 박막형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5243343B2 (ja) * 2009-02-03 2013-07-24 株式会社ジロオコーポレートプラン 偏光子外面保護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素子
CN102326105B (zh) * 2009-03-05 2013-06-05 日东电工株式会社 薄型高功能偏振膜及其制造方法
JP4503693B1 (ja) * 2009-10-13 2010-07-14 日東電工株式会社 連続ウェブ形態の切込線入り光学フィルム積層体の連続ロール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5616054B2 (ja) * 2009-12-09 2014-10-29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の貼合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の製造システム
JP5959799B2 (ja) * 2010-02-25 2016-08-02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
KR20110113310A (ko) * 2010-04-09 2011-10-1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4972197B2 (ja) * 2010-08-27 2012-07-11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機能フィルム連続ロー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ならびに光学機能フィルム貼り合せ装置
JP4691205B1 (ja) * 2010-09-03 2011-06-01 日東電工株式会社 薄型高機能偏光膜を含む光学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
JP5478553B2 (ja) * 2010-09-03 2014-04-23 日東電工株式会社 連続ウェブ状光学フィルム積層体ロ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5243514B2 (ja) * 2010-11-12 2013-07-24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130009394A (ko) * 2011-07-15 2013-01-2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광학필름 적층체 롤 및 이의 제조방법
CN102520547A (zh) * 2011-12-06 2012-06-27 友达光电(厦门)有限公司 一种用于液晶面板组装时的偏光片结构及保护方法
US20140091288A1 (en) * 2012-09-28 2014-04-03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782010B2 (ja) * 2012-11-09 2015-09-24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表示パネルの連続製造方法および光学表示パネルの連続製造システム
JP2015049115A (ja) 2013-08-30 2015-03-16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部材貼合体の製造方法
JP6138002B2 (ja) * 2013-09-09 2017-05-31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導電膜用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JP6356408B2 (ja) * 2013-11-05 2018-07-11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914452B2 (ja) * 2013-12-24 2016-05-11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JP6215262B2 (ja) * 2014-06-27 2017-10-18 日東電工株式会社 長尺状の偏光子の製造方法
JP2016085444A (ja) * 2014-10-27 2016-05-19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CN105549144B (zh) * 2014-10-27 2018-11-06 住友化学株式会社 偏振片及液晶显示装置
CN107003459B (zh) * 2014-11-05 2019-04-05 住友化学株式会社 偏振板单片体的制造方法
CN204228993U (zh) * 2014-11-21 2015-03-25 日东电工株式会社 偏光膜的制造装置
JP6258911B2 (ja) * 2014-12-22 2018-01-10 住友化学株式会社 プロテクトフィルム付偏光板及びそれを含む積層体
CN105717572B (zh) * 2014-12-22 2020-05-12 住友化学株式会社 带有保护膜的偏振板及包含它的层叠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033A (ko) 2019-03-12
TW201805146A (zh) 2018-02-16
TWI729163B (zh) 2021-06-01
CN109478383A (zh) 2019-03-15
JP6732580B2 (ja) 2020-07-29
CN109478383B (zh) 2021-07-27
JP2018013728A (ja) 2018-01-25
WO2018016289A1 (ja) 2018-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6860B1 (ko) 광학 필름 세트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8885298B (zh) 光学薄膜、剥离方法以及光学显示面板的制造方法
KR102338615B1 (ko) 광학 필름, 박리 방법 및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TWI801333B (zh) 附黏著劑層之單面保護偏光薄膜、影像顯示裝置及其連續製造方法
JP2020190754A (ja) 光学フィルム、剥離方法及び光学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JP2023061955A (ja) 光学フィルム及び光学表示パネル
KR102326712B1 (ko)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과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시스템.
KR102425954B1 (ko)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과 광학 표시 패널의 제조 시스템
KR102356930B1 (ko) 매엽상의 광학 필름
JP2017181789A (ja) 離型フィルムの剥離方法及び光学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