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4492B1 - 나노 판상 알루미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나노 판상 알루미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4492B1
KR102424492B1 KR1020200096088A KR20200096088A KR102424492B1 KR 102424492 B1 KR102424492 B1 KR 102424492B1 KR 1020200096088 A KR1020200096088 A KR 1020200096088A KR 20200096088 A KR20200096088 A KR 20200096088A KR 102424492 B1 KR102424492 B1 KR 102424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ehmite
alumina
ethyl alcohol
added
na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5717A (ko
Inventor
이상봉
Original Assignee
(주)아라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라미스 filed Critical (주)아라미스
Priority to KR1020200096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4492B1/ko
Publication of KR20220015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5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7/00Compounds of aluminium
    • C01F7/02Aluminium oxide; Aluminium hydroxide; Aluminates
    • C01F7/44Dehydration of aluminium oxide or hydroxide, i.e. all conversions of one form into another involving a loss of water
    • C01F7/441Dehydration of aluminium oxide or hydroxide, i.e. all conversions of one form into another involving a loss of water by calcination
    • C01F7/442Dehydration of aluminium oxide or hydroxide, i.e. all conversions of one form into another involving a loss of water by calcination in presence of a calcination addit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7/00Compounds of aluminium
    • C01F7/02Aluminium oxide; Aluminium hydroxide; Aluminates
    • C01F7/021After-treatment of oxides or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7/00Compounds of aluminium
    • C01F7/02Aluminium oxide; Aluminium hydroxide; Aluminates
    • C01F7/021After-treatment of oxides or hydroxides
    • C01F7/023Grinding, deagglomeration or disinteg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7/00Compounds of aluminium
    • C01F7/02Aluminium oxide; Aluminium hydroxide; Aluminates
    • C01F7/34Preparation of aluminium hydroxide by precipitation from solutions containing aluminium sal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2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two dimensions, e.g. plate-like
    • C01P2004/24Nanoplates, i.e. plate-like particles with a thickness from 1-100 nan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unds Of Alkaline-Earth Elements, Aluminum Or Rare-Earth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 판상 알루미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Al(NO3)3 ·9H2O에 에틸알코올을 넣은 후 교반하여 용해시키고, pH를 0.2~1.0으로 조정한 후, 암모니아수와 에틸알코올의 혼합액을 투입하고 400~600rpm으로 교반하면서 pH가 6~7이 될 때까지 반응시켜 보헤마이트를 제조한 다음, 건조된 보헤마이트에, AlF3 또는 ZnF2와, 에틸알코올을 넣고 볼밀로 밀링한 후, 도가니에 넣고 980~1050℃에서 10~30분간 소성한 다음, 습식 해쇄하여 평균입경 200~400nm이고 평균두께 40~100nm의 나노 판상 알루미나를 얻는 것으로 구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면 대용량화 및 고출력화와 소형화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의 분리막에 코팅되어 분리막의 안전성 제고와 고성능화에 부응할 수 있는 분리막 코팅제로써 분리막의 표면에 효과적으로 적층될 수 있는 평균입경 200~400nm, 특정하게는 220~340nm의 나노 판상 형태의 알파 알루미나를 효과적이고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나노 판상 알루미나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Nano-Sized Plate-Like Alumina}
본 발명은 나노 판상 알루미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2차 전지의 분리막의 안전성 제고를 위한 코팅막 형성에 유용한 평균입경 200~400nm, 특정하게는 220~340nm의 나노 판상 알루미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루미나는 1950대부터 화학 산업의 흡수제, 흡착제, 촉매 등으로 이용되기 시작한 이래, 1960년대부터는 세라믹엔진 등 구조용 세라믹스로 이용되기 시작하였고, 산업발전에 따라 그 용도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 정밀화학 소재로써, χ, ρ, η, γ, δ, θ, β, α 등의 천이알루미나와 Al(OH)3, AlOOH(Boehmite) 등의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화인세라믹스 또는 알루미나 세라믹스라고 칭하여지는 기능성 알루미나는 1600℃ 정도 고온에서의 안정한 내열성, 내마모성, 환경 변화에 따라 전기저항이 변하는 반도성, 절연성, 전기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변환하는 압전성, 전기장 내에서 자유전자가 없어 전류는 거의 흐르지 않지만 양쪽 표면에 전하가 나타나 전기분극이 생기는 유전성, 빛의 투과, 반사 및 간섭작용에 의한 광기능성, 30~1000Å 사이의 미세기공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기공성, 100~500㎡/g 정도의 비표면적과, 표면화학적 특성에 기인한 우수한 흡착성 등의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기능성 알루미나, 특히 α-Al2O3는 집적 회로기판, LCD 또는 PDP 부품용 전자세라믹스, 자동차엔진과 같은 기계구조용 세라믹스, 충진재, 촉매 및 촉매담체, 이차전지 분리막 코팅제, 인공치골이나 인공관절 등의 생체 세라믹스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다양한 용도 중에서도, 근래 들어서는 모바일 기기나 전기 자동차(EV)나 에너지 저장 장치(ESS)의 이차전지용 분리막 코팅제로써 주로 사용되는 것은 AlOOH 및 α-Al2O3이며, 특히 최근 들어서는 전기 자동차의 급격한 수요 증대에 따라 전기 자동차용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증하는 추세에 있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양극재와 음극재, 분리막 및 전해질로 구성되며, 여기서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 사이의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담보함과 아울러 리튬이온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상기한 이차전지용 분리막은 충분한 기계적 강도와 화학적 안전성을 보유하는 폴리올레핀, 특히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이 주로 사용되며, 상기한 이차전지용 분리막은 리튬이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미세기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폴리올레핀 분리막은 열적 안전성이 부족하여 120℃ 이상의 고온에서는 심각한 열수축이 발생한다는 문제점 및 물리적 강도가 취약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단락될 우려가 있으며 이러한 단락 발생 시 이차전지 내 전류가 급격히 증가하여 온도가 급상승하게 되어 분리막이 변형될 수 있다는 심각한 안전상 위험성이 있음과 아울러, 소수성 소재이므로 전해액과의 친화성 부족으로 인해 습윤성(wettability)이 낮아 전해액 함침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최근 들어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폴리올레핀 분리막의 표면에 세라믹 소재를 바인더와 분산제 및 용매와 혼합하여 코팅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차전지, 특히 리튬 이차전지는 전기 자동차와 에너지 저장 장치 등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확대됨에 따라 대용량, 고출력이면서도 높은 안전성이 요구되고 있으므로, 분리막 코팅제의 중요성은 매우 높아지고 있다.
상기한 세라믹 소재 중에서도, 보헤마이트 또는 알루미나는 입자내 수분량이 적고 열적특성이 우수하여 열수축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차전지의 단락으로 인해 전지내부의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더라도 분리막의 열변형을 방지함으로써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나 분말은 졸-겔(Sol-Gel)법, 기상 열분해법, 알루미늄 알콕시화물의 가수분해법, 또는 보오크사이트 광물을 원료로 하는 바이어 공정(bayer process)을 통하여 제조되며, 이중에서 상업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바이어 공정은 보오크사이트를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용해시켜 모액을 만들고, 이 모액에 수산화알루미늄 시드(seed)를 첨가하여 30 내지 100 ㎛의 수산화알루미늄을 제조한 후 이를 1,200 ℃ 이상의 고온에서 알파-알루미나로 상 전이시키고, 이를 분쇄하여 알루미나를 제조한다(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13213호: 2007.01.30. 공개).
한편, 본 발명자에 의한 등록특허공보 제10-1551616호(2015.09.03. 등록)는 알루미늄염 1몰에, 제1인산나트륨 0.0065~0.0105몰, 황산나트륨 0.5~0.8몰, 불화알루미늄 0.02~0.04몰, 불화나트륨 0.3~0.5몰, 황산마그네슘 0.00001~0.00002몰을 혼합한 후, 250~350℃/hr의 승온 속도로 1120~1180℃까지 가열하고 6~10hr 유지한 후, 실온까지 노냉하여 소성한 다음, 파쇄 후 물에 용해시키고, 소편상 알루미나의 분리를 위하여 표면적 부하 9~15m3 /m2 hr로 침전시켜 분급하고, 50~80℃에서 산처리한 후 중화시키고 여과하여 건조시키는 소편상 알루미나의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나, 이는 평균 입도가 30~32㎛로써 나노입자가 아니며 이차전지용이 아닌 안료용에 관한 것이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0299351호(2001.06.08. 등록)는 AlCl3·6H2O를 증류수와 혼합한 뒤, NH4OH를 소정량 첨가하여 교반시켜서 알루미늄 수산화물을 침전시키되, 상기한 NH4OH는 혼합물이 pH7∼pH10사이가 되도록 소정량 첨가하고, 침전된 알루미늄 수산화물을 증류수로 세척한 뒤 에탄올로 다시 세척하여 건조시킨 AlOOH 분말(30∼300nm)을 얻는 것과 이 분말을 400℃∼1000℃정도의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알루미나 분말을 얻는 알루미나계 분말 합성 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나, 입경이 1~2㎛로써 나노입자가 아니며 이차전지용이 아닌 정밀여과 또는 한외여과 분리막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용 분리막 코팅용으로써,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10477호(2018.01.31. 공개)는 초미립 수산화알루미늄, 염화암모늄 및 폴리인산나트륨을 용매 중에서 혼합한 후 혼합액을 1 내지 15 ℃/분으로 승온하여 800 내지 1,200 ℃에서 열처리한 다음, 얻어진 생성물을 여과 및 세척한 후, 결과로써 얻어진 생성물을 건식 해쇄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판상 알루미나의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나, 평균 직경이 1 내지 10.0 ㎛로써 나노입자는 아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85949호(2020.07.16. 공개)는 바인더 고분자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기계적 강도와 열전달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무기질 입자 30~100중량부, 기계적 강도와 열전달 특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복합 나노 무기질 분말입자 1~30중량부, 무기질 입자와 복합 나노 무기질 분말입자를 분산시키기 위한 분산제 1~10중량부, 바인더 고분자 수지를 도포 가능한 액체 상태로 용해시켜 주기 위한 분산용매 1~70중량부가 혼합되어 도포 가능한 액상슬러리 형태의 고분자 복합물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무기질입자는 보헤마이트 또는 알루미나를 사용하는 EV나 ESS의 중대형 이차전지용 분리막 코팅제를 제안하고 있으나, 복합 나노 무기질 분말입자로써 보헤마이트와 알루미나의 복합물을 사용하며, 평균입경이 1.4㎛ 이하라는 언급만 있을 뿐 평균 입경이나 하한치는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13213호(2007.01.30. 공개)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10477호(2018.01.31. 공개)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85949호(2020.07.16.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이차전지, 특히 대용량화 및 고출력화와 소형화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의 분리막에 코팅되어 분리막의 안전성 제고와 고성능화에 부응할 수 있는 분리막 코팅제로써의 나노 판상 알루미나의 효과적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이차전지의 소형화에 부응하여 분리막의 표면에 효과적으로 적층될 수 있는 나노 판상 형태의 알파 알루미나의 효율적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반 목적은, (A) Al(NO3)9H2O에 에틸알코올을 넣은 후 교반하여 용해시키고, d-HCl로 pH를 0.2~1.0으로 조정하는 질산알루미늄 용액 제조 단계; (B) 암모니아수에 에틸알코올을 넣은 후 뚜껑을 닫고 서서히 저어준 후, 상기한 질산알루미늄 용액에 암모니아수와 에틸알코올의 혼합액을 투입하고 400~600rpm으로 교반하면서 pH가 6~7이 될 때까지 200~300min 동안 반응시키고 형성된 반응물을 건조시키는 보헤마이트(Boehmite) 제조 단계; 및 (C) 건조된 보헤마이트에, AlF3 또는 ZnF2와, 에틸알코올을 넣고 볼밀로 18~30시간 밀링한 후, 도가니에 넣고 980~1050℃에서 10~30분간 소성한 다음, 습식 해쇄하여 평균입경 220~340nm이고 평균두께 40~80nm의 나노 판상 알루미나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한 단계 (C)에서의 보헤마이트에 대한 AlF3의 첨가 중량비(w/w)는 0.2~0.8%이고, 보헤마이트에 대한 ZnF2의 첨가 중량비(w/w)는 0.8~2.0%인 이차전지 분리막 코팅제로서의 나노 판상 알루미나의 제조방법에 의해 원활히 달성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한 단계 (B)에서, 상기한 질산알루미늄 용액은 35~55℃, 특정하게는 40~50℃로 유지하면서 암모니아수와 에틸알코올의 혼합액을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단계 (B)에서의 건조 온도는 40~60℃, 특정하게는 50℃일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면, 대용량화 및 고출력화와 소형화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의 분리막에 코팅되어 분리막의 안전성 제고와 고성능화에 부응할 수 있는 분리막 코팅제로써 분리막의 표면에 효과적으로 적층될 수 있는 평균입경 200~400nm, 특정하게는 220~340nm의 나노 판상 형태의 알파 알루미나를 효과적이고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가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나노 판상 알루미나의 주사전자현미경(SEM)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나노 판상 알루미나의 X선 회절 피크도(XRD)이다.
도 3은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나노 판상 알루미나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나노 판상 알루미나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5는 실시예 4에서 제조한 나노 판상 알루미나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6은 실시예 5에서 제조한 나노 판상 알루미나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7은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나노 판상 알루미나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8은 비교예 2에서 제조한 알루미나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9는 비교예 3에서 제조한 알루미나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10은 비교예 4에서 제조한 알루미나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11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나노 판상 알루미나를 습식 해쇄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 판상 알루미나의 제조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A) 질산알루미늄 용액 제조 단계:
Al(NO3)3 ·9H2O에 에틸알코올을 넣은 후 교반하여 용해시키고, 묽은 염산(d-HCl)을 적가하여 pH를 0.2~1.0으로 조정한다.
이때 pH가 1.0을 초과하면 후속하는 보헤마이트 제조 단계에서 보헤마이트의 생성이 불량하게 될 우려가 있다.
(B) 보헤마이트(Boehmite) 제조 단계:
암모니아수에 에틸알코올을 넣은 후 뚜껑을 닫고 서서히 저어준다. 상기한 질산알루미늄 용액을 35~55℃, 특정하게는 40~50℃로 유지하면서 암모니아수와 에틸알코올의 혼합액을 투입한다. 이때 교반속도는 400~600rpm을 유지하고, pH가 6~7이 될 때까지 반응시킨다.
Figure 112020080734761-pat00001
Figure 112020080734761-pat00002
형성된 반응물은 건조기에서 40~60℃, 특정하게는 50℃로 건조시킨다.
여기서, 보헤마이트 제조를 위한 반응시간은 200~300min, 특정하게는 250min이다. 반응속도가 200min 미만에서는 보헤마이트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을 염려가 있으며, 역으로 300min를 초과하면 생성되는 보헤마이트가 지나치게 딱딱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교반속도가 400rpm미만이면 후속하는 나노 판상 알루미나 제조 시 판상체가 형성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역으로 600rpm을 초과하면 판상체가 지나치게 커지게 될 우려가 있다.
(C) 나노 판상 알파 알루미나의 수득 단계:
건조된 보헤마이트에, AlF3 또는 ZnF2와, 에틸알코올을 넣고 볼밀로 18~30시간 밀링한 후, 도가니에 넣고 980~1050℃에서 10~30분간 소성한 다음, 습식 해쇄하여 평균입경 200~500nm, 바람직하게는 200~400nm, 특정하게는 220~340nm이고, 평균두께 40~100nm, 바람직하게는 40~80nm의 나노 판상 알루미나를 얻는다.
Figure 112020080734761-pat00003
소성온도가 1050℃를 초과하면 판상체가 너무 커지고 두껍게 형성될 우려가 있고, 역으로 980℃ 미만이면 판상체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헤마이트에 대한 AlF3의 첨가 중량비(w/w)는 0.2~0.8%이고, 보헤마이트에 대한 ZnF2의 첨가 중량비(w/w)는 0.8~2.0%이다.
보헤마이트에 대한 불화물의 첨가 중량비가 상기한 범위 미만이면 판상체의 모양과 두께 및 크기가 원하는 범위를 벗어나게 될 우려가 있으며, 역으로 상기한 범위를 초과하면 형성되는 판상체가 지나치게 커질 우려가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사용된 시료 및 장치는 다음과 같다.
Al(NO3)3 ·9H2O(99%), 암모니아수(28%), Ethyl Alcohol(99%), AlF3(98%), ZnF2(99%), 반응장치, 건조장치, 볼밀, 지르코늄볼(3mm,10mm), 지르코늄자, 전기로.
또한 습식 해쇄는 나노 판상 알루미나 400 g에 순수 1.2 L을 풀은 뒤, 지르코늄볼 직경 0.3~0.5mm 볼을 이용하여 1200~2000rpm으로 0.5 내지 1.5시간, 특정하게는 1시간 동안 볼밀링 한 것으로써 해쇄된 판상체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우유빛 색조를 나타냈음.
실시예 1:
Al(NO3)3 ·9H2O 3kg을 Et(OH) 3.0 L을 넣고 용해시킨 후 pH 0.8을 맞춘 뒤 암모니아수 1.5 kg에 Et(OH) 1.4L로 희석한 뒤, 50℃로 유지하면서 교반속도 500rpm에서 12 mL/min의 양으로 투입하여 보헤마이트를 생성시켰다. 생성된 보헤마이트를 50℃로 건조시켜 백색의 보헤마이트를 얻었다. 이 보헤마이트 중 249 g과 AlF3 2.0018 g을 볼밀로 24시간 분쇄한 후, 실온으로부터 승온속도 10℃/min으로 1000℃까지 올리고 1000℃에서 10분간 소성하였다.
얻어진 나노 판상 알루미나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을 도 1에, 그리고 알파 알루미나임을 확인할 수 있는 X선 회절 피크도(XRD)를 도 2에 각각 나타냈다.
실시예 2:
Al(NO3)3 ·9H2O 3kg을 Et(OH) 3.0 L을 넣고 용해시킨 후 pH 0.8을 맞춘 뒤 암모니아수 1.5 kg에 Et(OH) 1.4L로 희석한 뒤, 50℃로 유지하면서 교반속도 500rpm에서 12 mL/min의 양으로 투입하여 보헤마이트를 생성시켰다. 생성된 보헤마이트를 50℃로 건조시켜 백색의 보헤마이트를 얻었다. 이 보헤마이트 중 350 g과 ZnF2 2.964 g을 볼밀로 24시간 분쇄한 후, 실온으로부터 승온속도 10℃/min으로 1000℃까지 올리고 1000℃에서 10분간 소성하였다.
얻어진 나노 판상 알루미나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을 도 3에 나타냈다.
실시예 3:
Al(NO3)3 ·9H2O 3kg을 Et(OH) 3.0 L을 넣고 용해시킨 후 pH 0.8을 맞춘 뒤 암모니아수 1.5 kg에 Et(OH) 1.4L로 희석한 뒤, 50℃로 유지하면서 교반속도 500rpm에서 12 mL/min의 양으로 투입하여 보헤마이트를 생성시켰다. 생성된 보헤마이트를 50℃로 건조시켜 백색의 보헤마이트를 얻었다. 이 보헤마이트 중 350.8g과 AlF3 2.0018 g을 볼밀로 24시간 분쇄한 후, 실온으로부터 승온속도 10℃/min으로 1000℃까지 올리고 1000℃에서 10분간 소성하였다.
얻어진 나노 판상 알루미나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을 도 4에각각 나타냈다.
실시예 4:
Al(NO3)3 ·9H2O 3kg을 Et(OH) 3.0 L을 넣고 용해시킨 후 pH 0.8을 맞춘 뒤 암모니아수 1.5 kg에 Et(OH) 1.4L로 희석한 뒤, 50℃로 유지하면서 교반속도 500rpm에서 12 mL/min의 양으로 투입하여 보헤마이트를 생성시켰다. 생성된 보헤마이트를 50℃로 건조시켜 백색의 보헤마이트를 얻었다. 이 보헤마이트 중 300g과 AlF3 1.2037 g을 볼밀로 24시간 분쇄한 후, 실온으로부터 승온속도 10℃/min으로 1000℃까지 올리고 1000℃에서 10분간 소성하였다.
얻어진 나노 판상 알루미나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을 도 5에 나타냈다.
실시예 5:
Al(NO3)3 ·9H2O 3kg을 Et(OH) 3.0 L을 넣고 용해시킨 후 pH 0.8을 맞춘 뒤 암모니아수 1.5 kg에 Et(OH) 1.4L로 희석한 뒤, 50℃로 유지하면서 교반속도 500rpm에서 12 mL/min의 양으로 투입하여 보헤마이트를 생성시켰다. 생성된 보헤마이트를 50℃로 건조시켜 백색의 보헤마이트를 얻었다. 이 보헤마이트 중 250g과 ZnF2 3.670 g을 볼밀로 24시간 분쇄한 후, 실온으로부터 승온속도 10℃/min으로 1000℃까지 올리고 1000℃에서 10분간 소성하였다.
얻어진 나노 판상 알루미나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을 도 6에 나타냈다.
상기한 실시예 1 내지 6에서 얻어진 나노 판상 알파 알루미나의 치수와 각형비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낸다.
각형비(z)
나노 판상
알루미나
길이
(SEM 실측치)
두께
(nm)
Z
실시예1 311.8 62.69 5.0
311.6 69.48 4.5
224.4 79.98 2.8
202.2 66.17 3.1
226.9 73.21 3.1
230.9 79.41 2.9
실시예2 271.9 68.12 4.0
239.5 60.06 4.0
289 71.95 4.0
221.7 60.06 3.7
264.9 59.16 4.5
326.3 52.05 6.3
실시예3 233.3 60.4 3.9
287.6 55.59 5.2
294.4 47.72 6.2
303.4 46.7 6.5
298.6 53.6 5.6
300 45.08 6.7
실시예4 330.6 58.59 5.6
334.9 62.36 5.4
310 67.33 4.6
339.5 70.35 4.8
300.1 57.3 5.2
309.3 76.2 4.1
실시예5 276.2 41.75 6.6
323.9 62.36 5.2
320 63.96 5.0
320 57.32 5.6
263.7 58.74 4.5
243.3 62.22 3.9
비교예 1:
Al(NO3)3 ·9H2O 3kg을 Et(OH) 3.0 L을 넣고 용해시킨 후 pH 1.08을 맞춘 뒤 암모니아수 1.5 kg에 Et(OH) 1.0L로 희석한 뒤, 50℃로 유지하면서 교반속도 500rpm에서 13.5 mL/min의 양으로 투입하여 보헤마이트를 생성시켰다. 생성된 보헤마이트를 50℃로 건조시켜 백색의 보헤마이트를 얻었다. 이 보헤마이트 중 420g과 AlF3 1.5404 g을 볼밀로 24시간 분쇄한 후, 실온으로부터 승온속도 10℃/min으로 1000℃까지 올리고 1000℃에서 20분간 소성하였다.
얻어진 나노 판상 알루미나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을 도 7에 나타냈다.
도 7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판상체가 원하는 크기 이상으로 형성되었으며, 이는 초기 pH 범위가 설정치를 초과하여 벗어남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비교예 2:
Al(NO3)3 ·9H2O 1kg을 Et(OH) 1.0 L을 넣고 용해시킨 후 초기 pH를 2.0으로 하고 암모니아수 550 g에 Et(OH) 550mL로 희석한 뒤, 50℃로 유지하면서 교반속도 500rpm에서 13.5 mL/min의 양으로 투입하여 보헤마이트를 생성시켰다. 생성된 보헤마이트를 50℃로 건조시켜 백색의 보헤마이트를 얻었다. 이 보헤마이트 중 50g과 AlF3 0.3792 g을 볼밀로 24시간 분쇄한 후, 실온으로부터 승온속도 10℃/min으로 900℃까지 올리고 900℃에서 20분간 소성하였다.
얻어진 알루미나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을 도 8에 나타냈다.
도 8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판상체가 형성되지 않았으며, 이는 초기 pH 범위가 크게 벗어나고 소성온도가 낮음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비교예 3:
Al(NO3)3 ·9H2O 306g을 Et(OH) 250 mL을 넣고 용해시킨 후 pH 0.5로 맞춘 뒤 암모니아수 150 g에 Et(OH) 150mL로 희석한 뒤, 50℃로 유지하면서 교반속도 500rpm에서 13.5 mL/min의 양으로 투입하여 보헤마이트를 생성시켰다. 생성된 보헤마이트를 50℃로 건조시켜 백색의 보헤마이트를 얻었다. 이 보헤마이트 중 50g과 AlF3 0.022 g을 볼밀로 24시간 분쇄한 후, 실온으로부터 승온속도 10℃/min으로 1000℃까지 올리고 1000℃에서 10분간 소성하였다.
얻어진 알루미나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을 도 9에 나타냈다.
도 9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판상체 모양 및 두께와 크기가 원하는 결과에 부합하지 않았으며 이는 불화물의 첨가량이 지나치게 적음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비교예 4:
Al(NO3)3 ·9H2O 500g을 Et(OH) 500 mL을 넣고 용해시킨 후 pH 0.2로 맞추고 암모니아수 250 g에 Et(OH) 250mL로 희석한 뒤, 50℃로 유지하면서 교반속도 500rpm에서 13.5 mL/min의 양으로 투입하여 보헤마이트를 생성시켰다. 생성된 보헤마이트를 50℃로 건조시켜 백색의 보헤마이트를 얻었다. 이 보헤마이트 중 50g과 ZnF2 0.42 g을 볼밀로 24시간 분쇄한 후, 실온으로부터 승온속도 10℃/min으로 1100℃까지 올리고 1100℃에서 20분간 소성하였다.
얻어진 알루미나의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을 도 10에 나타냈다.
도 10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판상체 크기가 지나치게 크게 형성되었으며 이는 소성 온도가 지나치게 높음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Claims (6)

  1. (A) Al(NO3)9H2O에 에틸알코올을 넣은 후 교반하여 용해시키고, d-HCl로 pH를 0.2~1.0으로 조정하는 질산알루미늄 용액 제조 단계;
    (B) 암모니아수에 에틸알코올을 넣은 후 뚜껑을 닫고 서서히 저어준 후, 상기한 질산알루미늄 용액에 암모니아수와 에틸알코올의 혼합액을 투입하고 400~600rpm으로 교반하면서 pH가 6~7이 될 때까지 200~300min 동안 반응시키고 형성된 반응물을 건조시키는 보헤마이트(Boehmite) 제조 단계; 및
    (C) 건조된 보헤마이트에, AlF3 또는 ZnF2와, 에틸알코올을 넣고 볼밀로 18~30시간 밀링한 후, 도가니에 넣고 980~1050℃에서 10~30분간 소성한 다음, 습식 해쇄하여 평균입경 220~340nm이고 평균두께 40~80nm의 나노 판상 알루미나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한 단계 (C)에서의 보헤마이트에 대한 AlF3의 첨가 중량비(w/w)는 0.2~0.8%이고, 보헤마이트에 대한 ZnF2의 첨가 중량비(w/w)는 0.8~2.0%인 이차전지 분리막 코팅제로서의
    나노 판상 알루미나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단계 (B)에서 상기한 질산알루미늄 용액을 35~55℃로 유지하면서 암모니아수와 에틸알코올의 혼합액을 투입하는 나노 판상 알루미나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단계 (B)에서의 건조 온도가 40~60℃인 나노 판상 알루미나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200096088A 2020-07-31 2020-07-31 나노 판상 알루미나의 제조방법 KR102424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088A KR102424492B1 (ko) 2020-07-31 2020-07-31 나노 판상 알루미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088A KR102424492B1 (ko) 2020-07-31 2020-07-31 나노 판상 알루미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717A KR20220015717A (ko) 2022-02-08
KR102424492B1 true KR102424492B1 (ko) 2022-07-25

Family

ID=80251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088A KR102424492B1 (ko) 2020-07-31 2020-07-31 나노 판상 알루미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44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0171A (ko) 2022-08-30 2024-03-07 (주)아라미스 플럭스법에 의한 침상 알파 알루미나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616B1 (ko) 2013-11-13 2015-09-09 이상봉 소편상 알루미나의 제조방법
WO2016084723A1 (ja) 2014-11-28 2016-06-02 日本碍子株式会社 板状アルミナ粉末の製法及び板状アルミナ粉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710038A (en) 2005-07-25 2007-03-16 Sumitomo Chemical Co Fine αl-alumina particle
KR20180010477A (ko) 2016-07-21 2018-01-31 주식회사 씨아이에스 이차전지 분리막 코팅용 판상 알루미나의 제조방법
KR102190691B1 (ko) 2019-01-04 2020-12-16 에너에버배터리정보 주식회사 Ev나 ess의 중대형 이차전지용 분리막 코팅제와 이를 이용한 ev나 ess의 중대형 이차전지용 코팅 분리막 제조방법 및 ev나 ess의 중대형 이차전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616B1 (ko) 2013-11-13 2015-09-09 이상봉 소편상 알루미나의 제조방법
WO2016084723A1 (ja) 2014-11-28 2016-06-02 日本碍子株式会社 板状アルミナ粉末の製法及び板状アルミナ粉末
JP6615116B2 (ja) 2014-11-28 2019-12-04 日本碍子株式会社 板状アルミナ粉末の製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rtificial Cells, Nanomedicine, and Biotechnology. 2019, Vol. 47, pp. 201-209 (2019.01.19.)*
Korean Chem. Eng. Res. Vol. 48, pp. 627-631 (2010.1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0171A (ko) 2022-08-30 2024-03-07 (주)아라미스 플럭스법에 의한 침상 알파 알루미나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5717A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92570B (zh) MXene粒子材料、浆料、二次电池、透明电极、MXene粒子材料的制造方法
JP3738454B2 (ja) 複合金属酸化物粉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718918B1 (ko) 인산제2철 함수물 입자 분말 및 그의 제조법, 올리빈형 인산철리튬 입자 분말 및 그의 제조법 및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
CN111116198A (zh) 掺杂固溶物的llzo无机氧化物固态电解质及制备方法
CA2741218A1 (en) Zinc oxide particle, method for producing it, exoergic filler, exoergic resin composition, exoergic grease and exoergic coating composition
Yang et al. A facile method for the synthesis of a sintering dense nano-grained Na 3 Zr 2 Si 2 PO 12 Na+-ion solid-state electrolyte
JP4743481B2 (ja) チタン含有ペロブスカイト型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130966B2 (ja) リチウムポリオキソアニオン塩の析出を介した無機基材上の酸化物シェルの形成
JPH05330824A (ja) チタン酸バリウ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313842A (zh) 钛酸钡分散液
KR102424492B1 (ko) 나노 판상 알루미나의 제조방법
CN113224380A (zh) 一种固态电解质材料及其制备方法、电池
JPH06134294A (ja) 重合体フォーム内に組み込まれた前駆体からのサブミクロン/ナノサイズのセラミック粉体の製造法
KR102086628B1 (ko) 나노 금속산화물로 표면개질된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재료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1521873A (ja) 複合品及び製造方法
JP4210533B2 (ja) 易焼結性正方晶ジルコニア粉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03097527A1 (ja) 粒子状窒化アルミニウ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139436A (ja) 固体電解質用ジルコニア微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
Mishra et al. Textured Ti3SiC2 by gelcasting in a strong magnetic field
Chiu et al. A novel green approach to synthesis of nanostructured Li4Ti5O12 anode material
JP2023532164A (ja) 正方晶相チタン酸バリウムナノ粒子の製造方法
Yang et al. Dispersion properties of silicon nitride powder coated with yttrium and aluminium precursors
KR20180106773A (ko) 나노 알루미나로 표면개질된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SI20973A (sl) Sintrno pomožno sredstvo na osnovi silikata in postopek
KR102016916B1 (ko) Llzo 산화물 고체 전해질 분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