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994B1 -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994B1
KR102423994B1 KR1020197016739A KR20197016739A KR102423994B1 KR 102423994 B1 KR102423994 B1 KR 102423994B1 KR 1020197016739 A KR1020197016739 A KR 1020197016739A KR 20197016739 A KR20197016739 A KR 20197016739A KR 102423994 B1 KR102423994 B1 KR 102423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ed
time
display
ma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6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7005A (ko
Inventor
마사히로 타카하시
히데노리 카라사와
료 타카오카
다이스케 히로
하루카 카와타
아야코 이와세
카나코 야나
Original Assignee
소니그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그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그룹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97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1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in combination with active ranging signals, e.g. using light or sound signals emitted towar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50Control of the SSIS exposure
    • H04N25/57Control of the dynamic range
    • H04N25/58Control of the dynamic range involving two or more expos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18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 H04N5/232945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18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 G03B17/20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visible in viewfin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5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comprising setting of focusing reg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50Control of the SSIS exposure
    • H04N25/57Control of the dynamic range
    • H04N25/58Control of the dynamic range involving two or more exposures
    • H04N25/581Control of the dynamic range involving two or more exposures acquired simultaneously
    • H04N25/583Control of the dynamic range involving two or more exposures acquired simultaneously with different integration ti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50Control of the SSIS exposure
    • H04N25/57Control of the dynamic range
    • H04N25/58Control of the dynamic range involving two or more exposures
    • H04N25/587Control of the dynamic range involving two or more exposures acquired sequentially, e.g. using the combination of odd and even image fields
    • H04N25/589Control of the dynamic range involving two or more exposures acquired sequentially, e.g. using the combination of odd and even image fields with different integration times, e.g. short and long expos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6Addressed sensors, e.g. MOS or CMOS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Abstract

본 기술은, 유저가, 촬상과 관계되는 체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화소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소 신호에 기초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을, 스루 화상으로서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지시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스루 화상과 함께, 기록 처리를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한다. 마크는, 표시부의 네 코너에 표시된다. 또는 마크는, 오토 포커스의 프레임의 근방에 표시된다. 본 기술은, 촬상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본 기술은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촬상 시에 촬상이 행해지고 있는 것을 체감할 수 있는 구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센서 등의 촬상 소자를 구비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가 보급되고 있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는 정지화상을 촬상하는 것이고,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는 동화상을 촬상하는 것이지만, 동화상을 촬상 가능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정지화상을 촬상 가능한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도 존재한다. 또한, 이후에서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와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특히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순히 "디지털 카메라"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에 나타낸 바와 같은 디지털 카메라는,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구성된 표시부를 구비하고, 해당 표시부에 촬상된 화상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 또한, 최근에는, 상기에 나타낸 디지털 카메라 중에는, 촬상된 화상 내로부터 인간의 얼굴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영역에 대해서 색조의 조정을 행하는 등과 같은, 촬상된 화상에 대해서 화상 처리를 실시하는 것도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13-055589호 공보
또한, 최근의 디지털 카메라 중에는, 촬상 소자 내의 화소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보다 고정세의 화상(해상도가 높은 화상)을 촬상 가능하게 한 것도 있다. 그 한편, 화상의 고정세화에 수반하여 해당 화상의 데이터 양도 증대하는 경향에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촬상된 화상을 유저가 확인하기 위해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처리나, 촬상된 화상을 해석하여 해당 화상에 대해 화상 처리를 실시하여 출력하는 처리 등과 같이, 촬상된 화상의 출력에 관련되는 처리 시간도 증대하는 경우가 있다.
처리 시간이 증대하면, 표시부에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시간, 소위 블랙 아웃이라 불리는 상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처리 시간 중에, 소위 스루 화상이라 부르는 화상을 계속 표시하는 장치도 있다. 이 경우, 스루 화상은, 처리 시간 중에는 갱신되지 않고, 멈춰버린 것 같은 표시 상태가 되어, 유저에 따라서는, 어떤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여겨 어리둥절해 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어리둥절함을 유저가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일부러 흑화상을 표시하여, 블랙 아웃과 같은 상황을 만들어 내는 장치도 있다.
그러나, 표시부에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시간(블랙 아웃)이 발생하거나, 또는 멈춰버린 것 같은 스루 화상이 표시되거나 하면, 그 사이에 피사체를 놓치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블랙 아웃이 발생하는 시간(멈춰버린 것 같은 스루 화상이 표시되는 시간)이 단축되는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
한편, 촬상자(유저)에 따라서는, 이 블랙 아웃의 발생으로, 촬상의 타이밍이나 노광 시간을 파악하고 있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촬상자에 따라서는, 블랙 아웃이 없기 때문에, 촬상의 타이밍이나 노광 시간을 파악하지 못하여, 사용하기 불편하다고 느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유저가 촬상의 타이밍이나 노광 시간을 파악할 수 있어, 촬상이 행해지고 있음을 체감시키는 메커니즘을 제공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기술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유저에게 촬상이 행해지고 있음을 체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기술의 일 측면의 촬상 장치는, 복수의 화소의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소 신호에 기초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을, 스루 화상으로서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지시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스루 화상과 함께, 기록 처리를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한다.
본 기술의 일 측면의 촬상 방법은, 복수의 화소의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소 신호에 기초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을, 스루 화상으로서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지시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스루 화상과 함께, 기록 처리를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하는 스텝을 포함한다.
본 기술의 일 측면의 프로그램은, 복수의 화소의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소 신호에 기초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을, 스루 화상으로서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상기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지시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스루 화상과 함께, 기록 처리를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실행시킨다.
본 기술의 일 측면의 촬상 장치, 촬상 방법 및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복수의 화소의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소 신호에 기초하는 데이터가 처리되고, 처리된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이, 스루 화상으로서 표시부에 표시된다. 또한, 데이터를 기록하는 지시에 따라, 표시부에 표시되는 스루 화상과 함께, 기록 처리를 나타내는 마크가 표시된다.
또한, 제어 장치는, 독립된 장치이어도 되고, 1개의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 블록이어도 된다.
또한, 프로그램은, 전송 매체를 거쳐 전송함으로써, 또는,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기술의 일 측면에 의하면, 유저에게 촬상이 행해지고 있음을 체감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효과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개시 중에 기재된 어떤 효과이어도 된다.
[도 1] 비교예와 관련되는 촬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비교예와 관련되는 촬상 장치의 처리의 흐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비교예와 관련되는 촬상 장치의 처리의 흐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본 기술의 일 측면의 촬상 장치의 개요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 촬상 장치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촬상 장치의 처리의 흐름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타임 차트이다.
[도 7] 촬상 장치의 처리의 흐름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타임 차트이다.
[도 8] 피드백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표시 시간의 설정 처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 피드백 표시의 타이밍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피드백 표시의 타이밍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피드백 표시의 타이밍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피드백 표시의 타이밍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노광 개시 시의 처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 피드백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노광 종료 시의 처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 타이머의 계시 종료 시의 처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8] 표시 위치의 설정의 처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9] 피드백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 피드백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 피드백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 피드백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 피드백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 피드백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 피드백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 피드백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 피드백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 피드백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 피드백 표시의 조합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 스마트 폰에 적용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 스마트 폰에 적용했을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 기록 매체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기술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이하, 실시형태라고 한다)에 대해 설명한다.
[비교예]
본 개시의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촬상 장치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촬상 장치의 비교예로서,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종래의 촬상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비교예와 관련되는 촬상 장치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비교예와 관련되는 촬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예를, 이후에는 비교예 1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도 1에서, 참조 부호 "100a"는, 비교예 1과 관련되는 촬상 장치에 설치된 이미지 센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미지 센서(100a)는, 예를 들면,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나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 등의, 피사체를 촬상하고, 촬상 화상의 디지털 데이터를 얻는 촬상 소자이다. 이미지 센서(100a)는, 복수의 화소가 행렬(어레이) 형상으로 배치된 화소 어레이부(1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화소 어레이부(111) 이외의 회로도 포함하지만, 도 1에 도시한 예에서는,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해당 화소 어레이부(111) 이외의 회로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참조 부호 "200a"는, 화소 어레이부(111)의 각 화소로부터의 화소 신호에 기초하여 공급되는 화상 신호에 대해서, 소위 화상 처리를 실시하는 화상 처리 LSI(Large Scale Integration)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화상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흑레벨 보정이나, 혼색 보정, 결함 보정, 디모자이크 처리, 매트릭스 처리, 감마 보정, 및 YC 변환 등을 들 수 있다.
화상 처리부(210)는, 화상 처리 LSI(200a)에 의해 실현되는 화상 처리 기능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화상 처리 LSI(200a)는, 화상 처리 이외의 다른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해도 되나, 도 1에 도시한 예에서는,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화상 처리부(210) 이외의 구성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참조 부호 "n0"는, 이미지 센서(100a)와 화상 처리 LSI(200a)의 사이의 신호의 흐름(스트림)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에 도시한 비교예 1과 관련되는 촬상 장치에서는, 이미지 센서(100a)는, 도시하지 않은 광학계 소자를 거쳐 입사한 광을 광전 변환하고, 각 화소의 화소치를 A/D 변환함으로써, 피사체의 촬상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이미지 센서(100a)는, 생성한 화상 신호를 스트림(n0)으로서, 화상 처리 LSI(200a)의 화상 처리부(210)에 출력한다.
화상 처리 LSI(200a)는, 스트림(n0)으로서, 이미지 센서(100a)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를 취득하고, 취득한 화상 신호에 대해서 화상 처리를 실시하여, 화상 처리 후의 화상 신호를, 예를 들면 표시부(도시하지 않음)에 프리뷰 화상(소위, 스루 화상, 또는 모니터 화상이라고도 불린다)으로서 표시시킨다. 이에 의해, 유저는, 촬상된 화상을, 표시부를 거쳐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도 1에 도시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이미지 센서(100a)에 의해 피사체의 화상이 노광(촬상)되어, 노광된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신호가 화상 처리 LSI(200a)에 판독될 때까지의 처리의 흐름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비교예와 관련되는 촬상 장치의 처리의 흐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기계식의 선막 및 후막을 사용한 소위 포컬 플레인 셔터(focal plane shutter)를 적용했을 경우의 개략적인 타임 차트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예를, 이후에서는 비교예 2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도 2에서, 횡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있고, 종축은 화소 어레이부(111)의 행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참조 부호 "d910" 및 "d911"은, 화소 어레이부(111)의 각 화소의 노광 기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참조 부호 "d910"으로 나타낸 노광 기간은, 참조 부호 "d911"로 나타낸 노광 기간 이전에 촬상된 화상의 노광 기간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피사체의 화상이 촬상될 때의 일련의 처리의 흐름에 대해, 노광 기간(d911)에 주목하여 설명한다. 우선, 참조 부호 "d901"로 나타내어진 타이밍에서, 모든 화소에 축적된 화소 신호가 리셋된다. 모든 화소의 리셋이 완료되면, 참조 부호 "d921"에 나타낸 것처럼, 각 화소에의 광의 입사를 차폐하고 있는 선막이 행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선막에 의해 차폐되고 있던 광이 각 화소에 입사하여, 노광이 개시된다.
그 후, 참조 부호 "d931"에 나타낸 것처럼, 후막이 선행하는 선막을 따르도록 행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당해 후막이 각 화소에의 광의 입사를 차폐하여, 노광이 종료된다. 즉, 각 화소에 대해, 참조 부호 "d921"와 "d931"로 나타낸 기간(T93)이, 당해 화소에 있어서의 노광 시간에 상당하고, 도 2에 나타낸 예에서는, 행 단위로, 각 화소의 노광 개시 및 종료의 타이밍이 다르다.
또한, 도 2에 있어서의 참조 부호 "d941"은, 각 화소로부터의 화소 신호의 판독과 관련되는 처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즉, 도 2에 도시한 비교예 2에서는, 일련의 화소에 대해 노광이 완료된 후에, 각 화소로부터 화소 신호가 행 단위로 축차 판독된다. 참조 부호 "T95"는, 일련의 화소로부터의 화소 신호의 판독과 관련된 처리의 기간을 나타내고 있다.
즉, 도 2에 도시한 비교예 2의 경우에는, 일련의 화소에 대해 노광이 완료되고, 또한, 해당 일련의 화소로부터 화소 신호가 판독된 후에, 촬상된 화상이 생성되게 된다. 환언하면, 도 2에 도시한 비교예 2의 경우에는, 모든 화소의 리셋이 이루어지고나서, 일련의 화소로부터의 화상 신호의 판독이 완료될 때까지의 기간(T91a) 중에는, 노광 기간(d911)에서 촬상된 화상을 출력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기간(T91a) 중에, 노광 기간(d910)에서 촬상된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전에 촬상된 화상을, 예를 들면, 해당 화상을 모니터링 화상으로서 표시시키는 경우에는, 실제로 유저가 보고 있는 피사체보다 이전의 피사체의 화상을 출력하게 된다. 실시간성이 부족하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도 1에 도시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의, 이미지 센서(100a)에 의해 피사체의 화상이 노광(촬상)되고, 노광된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신호가 화상 처리 LSI(200a)에 판독될 때까지의 처리의 흐름의 다른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비교예와 관련되는 촬상 장치의 처리의 흐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기계식의 선막 및 후막을 사용하지 않고, 전자적으로 각 화소의 노광 기간을 제어하는 경우의 개략적인 타임 차트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예를, 이후에는 비교예 3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도 3에서, 횡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있고, 종축은 화소 어레이부(111)의 행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참조 부호 "d910" 및 "d911"은, 도 2와 마찬가지로, 화소 어레이부(111)의 각 화소의 노광 기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참조 부호 "d910"으로 나타낸 노광 기간은, 참조 부호 "d911"로 나타낸 노광 시간 이전에 촬상된 화상의 노광 시간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3에 도시한 비교예 3에서는, 각 화소에 축적된 화소 신호의 리셋과, 해당 화소의 노광 개시가 동기하고 있다. 즉, 참조 부호 "d901"로 나타낸 것처럼, 각 화소의 리셋이 행 단위로 축차 실행되어, 각 화소의 리셋이 완료되면, 신속하게 해당 화소의 노광이 개시된다. 또한, 각 화소의 노광 종료와, 해당 화소로부터의 화소 신호의 판독이 동기하고 있다. 즉, 참조 부호 "d941"로 나타낸 것처럼, 각 화소의 노광이 종료되면, 신속하게 해당 화소로부터의 화소 신호의 판독이 개시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3에 도시한 비교예 3에서는, 모든 화소의 노광의 완료를 기다리지 않고, 각 화소로부터의 화소 신호의 판독을 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도 3에 도시한 비교예 3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비교예 2에 비해, 노광이 개시된 후부터 일련의 화소로부터의 화소 신호의 판독이 완료할 때까지의 기간(T91b)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가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비교예 3에서는, 각 화소 사이의 주사 속도가, 참조 부호 "d941"로 나타낸 각 화소로부터의 화상 신호의 판독과 관련되는 속도에 의존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스트림(n0)의 전송 속도가 제한되고 있는 경우에는, 촬상되는 화상의 해상도가 클수록, 주사 스피드가 늦어져, 예를 들면, 포컬 플레인 왜곡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스트림(n0)의 전송 속도가 제한되는 경우의 일례로서는, 이미지 센서(100a)와 화상 처리 LSI(200a)의 사이의 버스의 대역이 제한되어 있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에 나타낸 비교예 2 및 비교예 3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촬상된 화상에 대해서 화상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일련의 화소로부터의 화소 신호의 판독이 완료되고, 해당 화소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을 해석한 후, 해당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화상 처리를 실시하게 된다.
그 때문에, 비교예 2 및 비교예 3에서는, 촬상되는 화상의 해상도가 높아질수록, 노광으로부터 화소 신호의 판독과 관련되는 처리와, 화소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의 해석과 관련되는 처리의 처리 시간이 증대하여, 결과적으로, 화상의 출력에 필요해지는 시간이 증대하게 된다.
화상의 출력에 필요해지는 시간(처리 시간)이 증대하면, 표시부에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시간, 소위 블랙 아웃이라고 칭해지는 상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처리 시간 중에, 소위 스루 화상이라고 칭해지는 화상을 계속 표시하는 장치도 있다. 이 경우, 스루 화상은, 처리 시간 중에는 갱신되지 않고, 멈춰버린 것과 같은 표시 상태가 된다. 유저에 따라서는, 어떤 에러가 발생하였다고 여겨 어리둥절해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어리둥절함을 유저가 느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일부러 흑화상을 표시하여, 블랙 아웃과 같은 상황을 만들어 내는 장치도 있다.
그러나, 표시부에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시간(블랙 아웃)이 발생하거나, 또는 멈춰버린 것과 같은 스루 화상이 표시되거나 하면, 그 사이에 피사체를 놓치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이러한 일로부터, 블랙 아웃이 발생하는 시간(멈춰버린 것과 같은 스루 화상이 표시되는 시간)이 단축되는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촬상 장치는, 촬상된 화상을 유저가 확인하기 위해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처리나, 촬상된 화상을 해석하여 해당 화상에 대해 화상 처리를 실시하고 출력하는 처리 등의, 촬상된 화상의 출력에 관련되는 처리 시간을 보다 단축한다.
[본 기술을 적용한 촬상 장치의 구성]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촬상 장치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촬상 장치의 개요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촬상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 이미지 센서(100)와 화상 처리 LSI(200)에 주목해 도시하고 있고,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미지 센서(100)는, 프레임 메모리(190)를 포함하는 점에서, 도 1에 도시한 비교예 1과 관련되는 이미지 센서(100a)와 다르다. 참조 부호 "n1" 및 "n2"는, 이미지 센서(100)와 화상 처리 LSI(200)의 사이의 신호의 흐름(스트림)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촬상 장치는, 도 3에 기초하여 설명한 비교예 3과 마찬가지로, 기계식의 선막 및 후막을 사용하지 않고, 전자적으로 각 화소의 노광 기간을 제어한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촬상 장치는, 모든 화소의 노광 완료를 기다리지 않고, 노광이 완료된 화소로부터 화소 신호를 축차 판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촬상 장치에서는, 이미지 센서(100)는, 도시하지 않은 광학계 소자를 거쳐 입사한 광을 광전 변환하고, 각 화소의 화소치를 A/D변환함으로써, 피사체의 촬상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신호를 생성한다. 이 때, 이미지 센서(100)는, 화소 어레이부(111)를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 가운데, 적어도 일부의 화소로부터의 화소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 신호를, 스트림(n1)으로서 화상 처리 LSI(200)에 출력한다.
또한, 이미지 센서(100)는, 화소 어레이부(111)를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 각각으로부터 화소 신호를 프레임 메모리(190)에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또한, 이미지 센서(100)는, 프레임 메모리(190)에 기억된 각 화소의 화소 신호를 축차 판독하고, 판독된 화소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 신호를, 스트림(n2)으로서 화상 처리 LSI(200)에 출력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이미지 센서(100)는, 예를 들면, 일부의 화소로부터의 화소 신호에 기초하는 저해상도의 화상(즉, 솎음(thinned-out) 화상)을 스트림(n1)으로 하고, 모든 화소로부터의 화소 신호에 기초하는 고해상도의 화상을 스트림(n2)으로 하여, 화상 처리 LSI(200)에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미지 센서(100)는, 모든 화소로부터의 화소 신호를 프레임 메모리(190)에 일시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트림(n1)과 스트림(n2)을, 반드시 같은 타이밍에 병렬로 화상 처리 LSI(200)에 출력할 필요는 없다. 즉, 이미지 센서(100)는, 스트림(n1)의 출력 후에 스트림(n2)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이미지 센서(100)는, 스트림(n1)과 스트림(n2)을 병렬로 화상 처리 LSI(200)에 출력해도 됨은 말할 필요도 없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화상 처리 LSI(200)는, 이미지 센서(100)로부터 스트림(n1)으로서 선행하여 출력되는 화상 신호(저해상도의 화상)를 프리뷰 화상으로서 표시부에 표시시키고, 스트림(n2)으로서 출력되는 화상 신호(고해상도의 화상)를 화상 데이터로서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촬상 장치는, 이미지 센서(100)와 화상 처리 LSI(200)의 사이의 전송 속도가 제한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전술한 각 비교예에 비해, 노광의 완료로부터 프리뷰 화상을 표시할 때까지의 시간(환언하면, 화상의 촬상 후에 있어서의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화상의 촬상 후에 있어서의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시간은, 블랙 아웃 등으로 칭해지는 일이 있으나,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 블랙 아웃 시간을 단축, 혹은 0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것처럼, 표시부에 표시되는 프리뷰 화상용으로는, 저해상도의 화상의 화상 신호(스트림(n1))가 사용된다. 저해상도의 화상의 화상 신호는, 데이터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전송과 관련되는 시간이나 처리와 관련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리뷰 화상을, 소정의 간격(프리뷰 화상의 갱신 레이트)으로, 표시부에 계속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블랙 아웃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기록용 화상 신호에는, 고해상도의 화상 신호(스트림(n2))가 사용된다. 고해상도의 화상 신호는, 데이터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전송과 관련되는 시간이나 처리와 관련되는 시간은, 스트림(n1)보다 길어져 버린다.
만일, 스트림(n2)을 프리뷰 화상에 사용했을 경우, 전송과 관련되는 시간이나 처리와 관련되는 시간이, 프리뷰 화상의 갱신 레이트보다 길어져, 프리뷰 화상이 갱신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상황은, 프리뷰 화상이 멈춰 버린 것과 같은 상태, 또는 블랙 아웃이 발생한 상태가 되어, 유저에게 불안감을 주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기술에 의하면, 상기한 것처럼, 데이터 사이즈가 작은 스트림(n1)을 사용하여 프리뷰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시키기 때문에, 프리뷰 화상이 멈춰 버리거나, 블랙 아웃이 발생하거나 하는 것과 같은 경우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표시부에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시간(블랙 아웃)이 발생하거나, 표시되어 있는 화상이 멈춰버리거나 하면, 그 사이에 피사체를 놓치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으나, 본 실시형태와 관계되는 촬상 장치에 의하면, 블랙 아웃이 발생하는 시간을 단축(0)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피사체를 놓치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른 일례로서, 화상 처리 LSI(200)는, 이미지 센서(100)로부터 스트림(n1)으로서 선행하여 출력되는 화상 신호(저해상도의 화상)를 해석하고, 해당 해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스트림(n2)으로서 출력되는 화상 신호(고해상도의 화상)에 대해서 화상 처리를 실시하는 일도 가능해진다.
즉, 화상 처리 LSI(200)는, 스트림(n1)으로서 출력되는 화상 신호의 해석과, 스트림(n2)으로서 출력되는 화상 신호의 취득을 병행하여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스트림(n1)으로서 저해상도의 화상의 화상 신호를 취득하기 때문에, 모든 화소의 화상 신호를 해석하는 경우에 비해, 해석의 대상이 되는 화상 신호의 취득과 관련되는 시간과, 해당 해석 자체와 관련되는 시간의 쌍방을 단축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촬상 장치는, 노광의 완료로부터, 촬상된 화상을 해석하고, 해당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촬상된 화상에 대해서 화상 처리를 실시한 후에, 화상 처리 후의 화상을 출력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술한 구성에 의해, 화상 처리 LSI(200)는, 스트림(n1 및 n2)을 시분할로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해당 스트림(n1 및 n2)으로서, 같은 프레임에서 촬상된 화상의 화상 신호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촬상 장치는, 다른 프레임에서 촬상된 화상 신호의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화상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 비해, 화상 처리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른 일례로서, 화상 처리 LSI(200)는, 스트림(n1)으로서 저해상도의 화상의 화상 신호를 이미지 센서(100)로부터 축차 취득하고, 취득한 해당 화상에 기초하여 동화상을 생성해도 된다. 또한, 이 때, 화상 처리 LSI(200)는, 소망하는 프레임(예를 들면, 유저로부터 지정된 프레임)에 대응하는 고해상도의 화상의 화상 신호를 스트림(n2)으로서 취득하고, 취득한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정지화상을 생성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촬상 장치는, 동화상과 정지화상의 쌍방을 동시에 촬상하고, 또한, 정지화상으로서 동화상보다 해상도가 높은 화상을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때, 이미지 센서(100)로부터는, 소망하는 프레임에 대해서만 고해상도의 화상의 화상 신호가 출력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촬상 장치는, 이미지 센서(100)와 화상 처리 LSI(200)의 사이에 전송되는 화상 신호의 용량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나아가서는, 각 화상의 출력이 요하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촬상 장치의 구성의 일례에 대해 더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촬상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전술한 이미지 센서(100)와 화상 처리 LSI(200)를 동일 케이스 내에 설치한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촬상 장치(300)는, 피사체를 촬상하고, 그 피사체의 화상을 전기 신호로서 출력하는 장치이다.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촬상 장치(300)는, 렌즈부(311), CMOS 센서(312), 조작부(314), 제어부(315), 화상 처리부(316), 표시부(317), 코덱 처리부(318), 및 기록부(319)를 갖는다.
렌즈부(311)는, 렌즈나 조리개 등의 광학계 소자에 의해 구성된다. 렌즈부(311)는, 제어부(315)에 의해 제어되어, 피사체까지의 초점을 조정하고, 초점이 맞는 위치로부터의 광을 집광하여, CMOS 센서(312)에 공급한다.
CMOS 센서(312)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이미지 센서로서, 제어부(315)에 의해 제어되어, 입사광을 광전 변환하고, 각 화소의 화소치를 A/D변환함으로써, 피사체의 촬상 화상의 데이터(촬상 화상)를 얻는다. CMOS 센서(312)는, 제어부(315)에 의해 제어되어, 그 촬상에 의해 얻어진 촬상 화상 데이터를 화상 처리부(316)에 공급한다.
조작부(314)는, 예를 들면, 조그 다이얼(상표), 키, 버튼, 또는 터치 패널 등에 의해 구성되고,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을 받아, 그 조작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315)에 공급한다.
제어부(315)는, 조작부(314)에 의해 입력된 유저의 조작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렌즈부(311), CMOS 센서(312), 화상 처리부(316), 표시부(317), 코덱 처리부(318), 및 기록부(319)의 구동을 제어하고, 각 부에 촬상에 관한 처리를 행하게 한다.
화상 처리부(316)는, CMOS 센서(312)로부터 공급된 화상 신호에 대해서, 예를 들면, 흑레벨 보정이나, 혼색 보정, 결함 보정, 디모자이크 처리, 매트릭스 처리, 감마 보정, 및 YC 변환 등의 각종 화상 처리를 실시한다. 이 화상 처리의 내용은 임의이며, 상술한 이외의 처리가 이루어져도 된다. 화상 처리부(316)는, 화상 처리를 실시한 화상 신호를 표시부(317) 및 코덱 처리부(318)에 공급한다.
표시부(317)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등으로서 구성되고, 화상 처리부(316)로부터의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화상을 표시한다.
코덱 처리부(318)는, 화상 처리부(316)로부터의 화상 신호에 대해서, 소정의 방식의 부호화 처리를 실시하고, 부호화 처리의 결과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기록부(319)에 공급한다.
기록부(319)는, 코덱 처리부(318)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기록한다. 기록부(319)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서 화상 처리부(316)에 의해 판독됨으로써, 표시부(317)에 공급되어, 대응되는 화상이 표시된다.
촬상 장치(300)의 CMOS 센서(312)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이미지 센서(100)에 해당한다. 또한 촬상 장치(300)의 화상 처리부(316)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화상 처리부(210)에 해당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화상 처리부(210)(화상 처리 LSI(200))에, 촬상 장치(300)의 코덱 처리부(318)나 제어부(315)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CMOS 센서(312)는, 1개의 화소의 신호의 출력처로 하는 ADC(컬럼 ADC)의 수를 선택하는 선택부(스위치)를 갖는다. 즉, CMOS 센서(312)는, 이 ADC의 수에 따라, 보다 다양한 화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촬상 장치(300)는, 그 다양한 화소 신호를 이용하여, 보다 다양한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CMOS 센서(312)는, 프레임 메모리(190)를 구비하고, 모든 화소로부터의 화소 신호를 프레임 메모리(190)에 일시적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저해상도의 화상과 고해상도의 화상을, 서로 다른 스트림(n1 및 n2)으로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처리부(316)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화상 처리 LSI(200)의 화상 처리부(210)에 상당한다. 그 때문에, 화상 처리부(316)는, 예를 들면, CMOS 센서(312)로부터 선행하여 출력되는 화상 신호(저해상도의 화상)를 프리뷰 화상으로서 표시부에 표시시키고, 이어서 출력되는 화상 신호(고해상도의 화상)를 화상 데이터로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촬상 장치(300)는, CMOS 센서(312)와 화상 처리부(316)의 사이의 전송 속도가 제한되고 있는 경우에도, 노광의 완료로부터 프리뷰 화상을 표시할 때까지의 시간을 보다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른 일례로서, 화상 처리부(316)는, CMOS 센서(312)로부터 선행하여 출력되는 화상 신호(저해상도의 화상)를 해석하고, 해당 해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이어서 출력되는 화상 신호(고해상도의 화상)에 대해서 화상 처리를 실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즉, 촬상 장치(300)는, 노광의 완료로부터, 촬상된 화상을 해석하고, 해당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촬상된 화상에 대해서 화상 처리를 실시한 후에, 화상 처리 후의 화상을 출력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술한 구성에 의해, 화상 처리부(316)는, 고해상도의 화상에 대한 화상 처리에 대해서, 선행하여 출력되는 해당 화상과 같은 프레임에 대응하는 저해상도의 화상의 해석 결과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촬상 장치(300)는, 다른 프레임에서 촬상된 화상의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화상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 비하여, 화상 처리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촬상 장치의 동작]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촬상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와 관계되는 촬상 장치의 처리의 흐름의 일례에 대해, 도 4에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와 아울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촬상 장치의 처리의 흐름의 일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타임 차트이다.
도 6은, 각 화소에서의 노광 처리를 나타내는 화소 제어와, 프레임 메모리(190)에의 화소 신호의 입출력과 관련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메모리 제어와, 이미지 센서(100)로부터 화상 처리 LSI(200)에의 화소 신호의 전송과 관련되는 처리를 나타내는 출력 제어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서, 횡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화소 제어, 메모리 제어, 및 출력 제어로서 나타내는 타임 차트의 종축은, 대상이 되는 화소 신호의 출력원인 화소의 행방향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참조 부호 "T11" 및 "T12"는,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이미지 센서(100)에 있어서의 수직 동기 신호의 일례를 프레임 레이트로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T11은, 약 30[fps]이며, T12는, 약 120[fps]이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기간(T11)은, 일련의 화소가 노광을 완료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기간을 나타내고 있고, 기간(T12)은, 일련의 화소를 주사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주사 기간에 상당한다.
또한, 참조 부호 "d110" 내지 "d114"는, 화소 어레이부(111)의 각 화소의 노광 기간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즉, 노광 기간(d110 내지 d114)의 각각은, 화소 어레이부(111)의 각 화소에 있어서의 노광을, 행 단위로 시계열에 따라 개시 타이밍을 변동시키면서 실행하는 처리의 흐름을, 시계열에 따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참조 부호 "T13"은, 각 화소의 노광 시간을 나타내고 있다.
참조 부호 "d210" 내지 "d213"은, 노광 기간("d110" 내지 "d113")의 각각에 있어서, 이미지 센서(100)가, 각 화소로부터 출력된 화소 신호를 프레임 메모리(190)에 기입하는 처리(일시적으로 보관 유지시키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후에서는, 참조 부호 "d210" 내지 "d213"에 나타낸, 프레임 메모리(190)에의 화소 신호의 기입 처리를, 단순히 "기입 처리"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참조 부호 "d310" 내지 "d313"은, 이미지 센서(100)가, 화소 어레이부(111)를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 가운데, 적어도 일부의 화소로부터의 화소 신호를, 도 4에 도시한 스트림(n1)으로서, 화상 처리 LSI(200)에 출력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후에는, 참조 부호 "d310" 내지 "d313"으로 나타낸, 이미지 센서(100)로부터 화상 처리 LSI(200)에의 화상 신호의 출력 처리를, "제1 출력 처리"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또한, 참조 부호 "d221" 내지 "d223"은, 이미지 센서(100)가, 프레임 메모리(190)에 기입된(일시적으로 보관 유지된) 화소 신호를 판독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후에는, 참조 부호 "d221" 내지 "d223"으로 나타낸, 이미지 센서(100)로부터의 화상 신호의 판독과 관련되는 처리를, 단순히 "판독 처리"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또한, 참조 부호 "d321" 내지 "d323"은, 이미지 센서(100)가, 프레임 메모리(190)로부터 판독한 화소 신호를, 도 4에 도시한 스트림(n2)으로서, 화상 처리 LSI(200)에 출력하는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후에는, 참조 부호 "d321" 내지 "d323"으로 나타낸, 프레임 메모리(190)로부터 판독된 화소 신호가, 이미지 센서(100)로부터 화상 처리 LSI(200)에 출력되는 처리를, "제2 출력 처리"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기입 처리(d211) 및 제1 출력 처리(d311)는, 노광 기간(d111)의 종료와 동기하여 실행된다. 즉, 화소 어레이부(111)의 각 화소에서 노광이 종료하면(즉, 노광 기간(d111)이 완료되면), 이미지 센서(100)는, 기입 처리(d211)에 나타내는 처리 타이밍에서, 각 화소로부터 출력되는 화소 신호를 프레임 메모리(190)에 축차 기입한다.
또한, 일부의 화소로부터의 화소 신호에 대해서는, 이미지 센서(100)는, 프레임 메모리(190)를 향해 출력되는 화소 신호를 분파시키고, 일방의 화소 신호를 제1 출력 처리(d310)에 나타내는 처리 타이밍에서 화상 처리 LSI(200)에 직접 출력한다. 또한, 분파된 타방의 화소 신호에 대해서는, 이미지 센서(100)는, 해당 화소 신호를 프레임 메모리(190)에 기입한다.
이는, "d110", "d112" 내지 "d114"로 나타낸 다른 노광 기간 완료 후에, 각 화소로부터 출력되는 화소 신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이미지 센서(100)는, 제1 출력 처리(d311)의 완료 후에, 기입 처리(d211)에 있어서 프레임 메모리(190)에 기입된 화소 신호(예를 들면, 모든 화소로부터의 화소 신호)를, 판독 처리(d221)가 나타내는 처리 타이밍에 축차 판독한다. 그리고, 이미지 센서(100)는, 프레임 메모리(190)로부터 판독된 화소 신호를, 제2 출력 처리(d321)에 나타내는 처리 타이밍에서, 화상 처리 LSI(200)에 출력한다.
이는, "d212" 및 "d213"으로 나타낸 다른 기입 처리에 의해, 프레임 메모리(190)에 기입된 화소 신호(즉, 노광 기간(d112 및 d113)의 완료 후에 출력된 화소 신호)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기초하여, 이미지 센서(100)는, 일부의 화소로부터의 화소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 신호(저해상도의 화상)와, 모든 화소로부터의 화소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 신호(고해상도의 화상)를, 제1 출력 처리(d311) 및 제2 출력 처리(d321)로서 시분할로 화상 처리 LSI(200)에 출력한다.
그 때문에, 화상 처리 LSI(200)는, 예를 들면, 제1 출력 처리(d311)에 기초해 선행하여 출력되는 화상 신호(저해상도의 화상)를 프리뷰 화상으로서 표시부에 표시시키고, 다음으로 제2 출력 처리(d321)에 기초하여 출력되는 화상 신호(고해상도의 화상)를 화상 데이터로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촬상 장치는, 이미지 센서(100)와 화상 처리 LSI(200)의 사이의 전송 속도가 제한되고 있는 경우에도, 노광의 완료로부터 프리뷰 화상을 표시할 때까지의 시간을 보다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화상 처리 LSI(200)는, 제1 출력 처리(d311)에 기초하여 선행하여 출력되는 화상 신호(저해상도의 화상)를 해석하고, 해당 해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이어 제2 출력 처리(d321)에 기초하여 출력되는 화상 신호(고해상도의 화상)에 대해서 화상 처리를 실행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즉,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촬상 장치는, 노광의 완료로부터, 촬상된 화상을 해석하고, 해당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촬상된 화상에 대해서 화상 처리를 실시한 후, 화상 처리 후의 화상을 출력할 때까지의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노광 기간(d110 내지 d113) 각각에서 취득된 화소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출력 처리(d310 내지 d323)를 실행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일부의 노광 기간에 취득된 화소 신호에 대해서는 제1 출력 처리를 실행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예의 경우에는, 제1 출력 처리(d311)를 실행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에는, 노광 기간(d111)에 촬상된 화소 신호에 대해서는, 제2 출력 처리(d321)에 기초하여 고해상도의 화상 신호만이 화상 처리 LSI(200)에 출력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일부의 노광 기간에 취득된 화소 신호에 대해서는 제2 출력 처리를 실행하지 않아도 되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예에서는, 노광 기간(d110)에서 촬상된 화소 신호에 대해서는, 제1 출력 처리(d310)에 기초하여 저해상도의 화상 신호만이 화상 처리 LSI(200)에 출력되게 된다.
또한, 제1 출력 처리에 기초하여 저해상도의 화상만을 화상 처리 LSI(200)에 출력하는 경우에는, 이미지 센서(100)는, 기입 처리, 즉, 프레임 메모리(190)에의 화소 신호의 기입과 관련되는 처리를 반드시 실행하지 않아도 되다.
나아가, 도 7을 참조하여, 노광과 스루 화상의 표시의 타이밍에 대해 설명을 더한다. 시각(t1)으로부터 시각(t2)의 노광 시간에 의해, 화상(P1)이 촬상된다. 이 화상(P1)은, 스루 화상(라이브 뷰)용으로 촬상된 화상이며, 유저의 지시에 의해 촬상된 화상은 아니라고 한다.
라이브 뷰 화상은,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이며, 소정의 간격으로 촬상되어, 처리되어, 표시되는 화상이다.
시각(t2)에서, 노광이 종료한 시점에서, 이미지 센서(100)의 화소 어레이부(111)로부터, 화상 처리부(210)에 화소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 신호가 출력된다. 이 경우, 라이브 뷰용 화상이기 때문에, 저해상도의 화상이어도 되며, 화소 어레이부(111)로부터 저해상도의 화상의 화상 신호(스트림(n1))가, 화상 처리부(210)에 공급된다.
시각(t2)으로부터 이미지 센서(100)에서 출력된 화상 신호가, 화상 처리부(210)에서 처리되고, 시각(t3)로부터 표시부에, 처리된 화상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이 표시된다. 도 7에서는, 이미지 센서(100)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신호(스트림(n1))를, LV(라이브 뷰)라고 표기하고,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을 LV'이라고 표기한다.
이 경우, 시각(t2)으로부터 이미지 센서(100)에서 출력된 화상 신호(LV1)는, 화상 처리부(210)에서 처리됨으로써, 시각(t3)으로부터 시각(t6)까지, 표시부에, 화상(LV1')으로서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시각(t4)으로부터 시각(t5)의 노광 시간에 촬상된 화상(P2)의 화상 신호(LV2)는, 노광 종료 시각(t5)으로부터 이미지 센서(100)에서, 화상 처리부(210)에 출력된다. 이 경우, 화상(P2)은 라이브 뷰용 화상 촬상이기 때문에, 프레임 메모리(190)에 축적되지 않고, 직접적으로, 이미지 센서(100)로부터 화상 처리부(210)에 출력된다.
시각(t5)으로부터 이미지 센서(100)에서 출력된 화상 신호(LV2)는, 화상 처리부(210)에서 처리됨으로써, 시각(t6)으로부터 시각(t9)까지, 표시부에서, 화상(LV2')으로서 표시된다.
시각(B1)에서, 유저로부터 촬상의 지시, 예를 들면, 셔터 버튼이 눌려지는 등의 소정의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 촬상이 행해진다.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시각(t7)으로부터 시각(t8)의 노광 시간에 촬상된 화상(P3)의 화상 신호는, 라이브 뷰용과 기록용으로 분리되어 처리된다.
즉, 시각(t7)에서, 라이브 뷰용 화상 신호(LV3)는, 이미지 센서(100)로부터 화상 처리부(210)에 직접적으로, 스트림(n1)으로서 출력된다. 한편, 기록용 화상 신호(CAP1)는, 시각(t7)에서, 이미지 센서(100) 내의 화소 어레이부(111)로부터 프레임 메모리(190)에 축적된다.
프레임 메모리(190)에 축적된 화상 신호(CAP1)는, 시각(t7)보다 후의 시점에서, 예를 들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타이밍에서, 스트림(n2)으로서, 화상 처리부(210)에 출력된다.
시각(t8)으로부터 이미지 센서(100)에서 출력된 화상 신호(LV3)는, 화상 처리부(210)에서 처리됨으로써, 시각(t9)으로부터 시각(t12)까지, 표시부에서, 화상(LV3')으로서 표시된다.
이와 같이, 기록용 화상이 촬상되었을 때(캡처가 행해졌을 때)에, 라이브 뷰용 화상 신호(LV)와 캡처용 화상 신호(CAP)를 각각 화소 어레이부(111)로부터 출력하여,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라이브 뷰용 화상이 끊어지는 일 없이, 계속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라이브 뷰용 화상(LV1'), 화상(LV2'), 화상(LV3')은, 끊어지는 일 없이 표시되기 때문에, 블랙 아웃이 발생하는 일 없이, 유저에게 라이브 뷰 화상을 계속 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캡처가 행해진 후, 라이브 뷰 화상의 갱신의 타이밍이 되면, 촬상이 행해져, 라이브 뷰 화상용 화상 신호가 취득된다. 시각(t10)으로부터 시각(t11)의 노광 시간에 촬상된 화상(P4)의 화상 신호(LV4)는, 노광 종료 시각(t11)으로부터 이미지 센서(100)에서, 화상 처리부(210)로 직접적으로 출력된다.
시각(t12)으로부터 이미지 센서(100)에서 출력된 화상 신호(LV4)는, 화상 처리부(210)에서 처리됨으로써, 시각(t12)으로부터 시각(t15)까지, 표시부에서, 화상(LV4')으로서 표시된다.
나아가, 유저로부터의 촬상의 지시가 없고, 라이브 뷰 화상의 갱신의 타이밍이 되었을 경우, 촬상이 행해져, 라이브 뷰 화상용 화상 신호가 취득된다. 또한 유저로부터의 촬상의 지시가 있었을 경우, 그 지시에 기초하는 촬상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라이브 뷰 화상의 갱신이 행해짐으로써, 또한,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촬상이 행해지는 때이더라도, 라이브 뷰 화상용 화상 신호와 기록용 화상 신호를 분파하여 처리함으로써, 라이브 뷰 화상이 끊어지는 일 없이 계속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표시부에 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시간(블랙 아웃)이 발생하면, 그 사이에 피사체를 놓치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으나, 본 실시형태와 관계되는 촬상 장치에 의하면, 블랙 아웃이 발생하는 시간을 단축(0)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피사체를 놓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7에서는, 위상차 화소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는 타이밍 등에 대해서는 기재하고 있지 않지만, 위상차 화소를 설치하고, 그 위상차 화소로부터의 신호가 취득되어, 처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위상차 화소는, 예를 들면, 화소 어레이부(111) 내에 설치되어, 예를 들면, 2개의 위상차 화소가 1조가 되고, 그 2개의 위상차 화소로부터 얻어지는 화상으로부터 위상차를 검출함으로써, 위상차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화소이다. 또한, 그 위상차 정보를 이용하여, 피사체에 대한 초점 맞춤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위상차 화소로부터의 화소 신호도, 화소 어레이부(111)로부터 판독되고, 화상 처리부(210)에 공급되어, 위상차 정보가 생성된다. 예를 들면, 화소 어레이부(111)로부터, 화상 신호(LV1)가 판독되기 전의 타이밍에서, 위상차 화소로부터의 화소 신호가 판독되고, 화상 처리부(210)에서 처리되어, 위상차 정보가 생성된다.
[촬상 시의 피드백에 대하여]
그러나, 상기한 것처럼, 블랙 아웃이 발생하지 않는 촬상의 경우, 유저는, 촬상의 타이밍이나 노광 시간을 파악할 수 없을(체감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종래, 예를 들면, 기계적인 셔터를 이용하여 촬상되고 있는 경우나, 화상 신호의 전송에 시간이 걸리는 경우 등, 블랙 아웃이 발생하고 있었지만, 촬상자(유저)에 따라서는, 이 블랙 아웃의 발생으로, 지시한 촬상이 실행된 타이밍이나 노광 시간을 파악하고 있는 경우가 있었다.
유저에 따라서는, 블랙 아웃이 발생함으로써, 자기가 지시한 촬상이 실행되고 있는 것을 체감하는 유저도 있다.
따라서, 촬상자에 따라서는, 블랙 아웃이 없음으로써, 지시한 촬상이 실행된 타이밍이나 노광 시간을 파악하지 못하여, 사용하기 불편하다고 느낄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지시한 촬상이 실행된 타이밍이나 노광 시간을 파악할 수 있도록, 이하에 설명하는 것과 같은 처리가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촬상 장치(300)와 같이, 표시부(317)를 갖고, 그 표시부(317)에 라이브 뷰 화상이 표시되는 촬상 장치의 경우, 유저는, 촬상 시에 표시부(317)에 표시되고 있는 라이브 뷰 화상을 보면서 촬상을 행한다.
이 표시부(317)에,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마크(401)가 표시된다. 도 8에 도시한 마크(401)는, 표시부(317)의 네 코너에, 각각 사각형 형상으로 표시되는 마크이다.
이 마크(401)는, 일례로서, 유저가 촬상을 지시했을 때의 촬상에 있어서의 노광 시간의 사이, 표시부(317)에 표시된다. 예를 들면, 도 7을 다시 참조하여, 시각(t7)으로부터 시각(t8)에 있어서,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의한 촬상이 행해지지만, 이 시각(t7)으로부터 시각(t8)의 사이에, 마크(401)가 표시부(317)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유저의 지시에 의한 촬상이 행해질 때, 마크(401)를 표시함으로써, 촬상자는, 촬상 시(노광 시)에, 마크(401)를 시인할 수 있고, 마크(401)를 시인함으로써, 지시한 촬상이 실행된 타이밍이나 노광 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크(401)의 표시 형태, 표시의 타이밍 등에 대해, 이하에 설명을 더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마크(401)의 표시는, 피드백 표시라고 적절히 기재하고, 촬상이 행해지고 있는 것을 유저에게 체감시키기 위한 표시라고 하여 설명을 계속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피드백 표시가 행해지는 것은, 유저가 촬영을 지시했을 때에 행해지며, 예를 들면, 그 촬영의 노광 시간에 따른 시간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단순히 "노광 시간"이라고 기술했을 때는, 유저에 의해 지시된 촬영이 행해진 때의 노광 시간이며, 라이브 뷰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소정의 주기로 행해지고 있는 촬영에 있어서의 노광 시간은 아닌 것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이하의 설명에서, 촬상이란, 유저가 지시했을 때에 행해지는 촬상으로 하고, 촬상의 타이밍은, 유저가 지시한 촬상이 행해지는 타이밍으로 한다.
[노광 시간에 의한 표시 시간의 설정]
도 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노광 시간에 의해 피드백의 표시 시간을 설정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피드백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것은, 화상 처리부(210)(도 4)인 것으로 하여 설명을 계속하지만, 화상 처리 LSI(200) 내에, 피드백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화상 처리부(210)와 별개로 설치해도 된다.
스텝(S101)에서, 화상 처리부(210)는, 노광 시간은, 40msec 이하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노광 시간의 사이, 마크(401)를 표시한다고 한 경우, 노광 시간이 짧은 경우, 마크(401)를 표시했다고 하더라도, 유저가 시인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여기에서는, 40msec 이하의 시간이면, 유저는 마크(401)를 시인할 수 없다고 하여 설명을 계속하지만, 40msec는 일례이며, 다른 시간이어도 된다.
스텝(S101)에서, 노광 시간≤40msec의 관계가 만족된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스텝(S102)에서 처리는 진행된다. 스텝(S102)에서, 피드백의 표시 시간은, 40msec로 설정된다.
스텝(S102)으로 처리가 진행되었을 경우, 노광 시간이 40msec 이하이기 때문에, 만일, 노광 시간의 사이, 마크(401)를 표시했을 경우, 40msec 이하의 시간밖에 표시되지 않고, 유저는 마크(401)를 시인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노광 시간은 40msec 이하이지만, 마크(401)(피드백)를 표시하는 시간은, 40msec로 하고, 노광 시간과 같거나 또는 긴 시간, 표시되도록 설정된다.
스텝(S102)으로 처리가 진행되었을 경우, 화상 처리부(210)는, 스트림(n1)으로 화소 어레이부(111)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 상에, 마크(401)를 중첩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그 중첩되는 시간을, 40msec로 한다. 예를 들면, 화상 처리부(210)는, 타이머를 구비하고, 마크(401)의 중첩을 개시한 시간으로부터 계시(計時)를 개시하여, 그 계시하고 있는 시간이, 40msec가 된 시점에서, 마크(401)의 중첩을 정지한다.
한편, 스텝(S101)에서, 노광 시간≤40msec의 관계가 만족되지 않는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스텝(S103)으로 처리는 진행된다. 스텝(S103)에서, 피드백의 표시 시간은, 노광 시간과 동등한 시간으로 설정된다. 또한, 여기서는, 노광 시간과 동등한 시간으로 설정된다고 하여 설명을 계속하지만, 노광 시간보다 긴 시간이 설정되도록 해도 된다.
스텝(S103)으로 처리가 진행되었을 경우, 노광 시간이 40msec보다 크기 때문에, 노광 시간의 사이, 마크(401)가 표시되도록 설정된다. 이 경우, 화상 처리부(210)는, 스트림(n1)으로 화소 어레이부(111)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 상에, 마크(401)를 중첩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그 중첩하는 시간을, 노광 시간으로 한다.
스텝(S103)에서도, 스텝(S102)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화상 처리부(210)는, 타이머를 구비하고, 마크(401)의 중첩을 개시한 시간부터 계시를 개시하고, 그 계시하고 있는 시간이, 노광 시간과 동일한 시간이 된 시점에서, 마크(401)의 중첩을 정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노광 시간에 따라, 마크(401)의 표시 시간(피드백의 표시 시간)이 제어된다.
여기서, 도 9에 도시한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표시되는 피드백 표시에 대해, 도 10,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을 더한다. 도 10, 도 11은, 노광, 스루 화상의 표시, 및 피드백 표시의 타이밍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10을 참조하여, 스텝(S103)에서, 피드백 표시 시간=노광 시간으로 설정되었을 경우에 대해 설명을 더한다.
시각(B1)에서, 유저에 의해 촬상이 지시되면, 그 지시에 대응한 촬상이, 시각(t7)으로부터 시각(t8)에서 행해진다. 즉, 시각(t7)에서, 노광이 개시되고, 시각(t8)에서, 노광이 종료된다. 이 시각(t7)으로부터 시각(t8)까지의 시간이 노광 시간이며, 이 노광 시간이, 40msec 이하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판정의 결과, 노광 시간은, 40msec 이하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스텝(S103)에서, 피드백 표시 시간=노광 시간으로 설정된다. 이 경우, 도 10에 도시한 것처럼, 피드백 표시는, 시각(t7)으로부터 시각(t8)까지, 즉, 노광 시간과 동등한 시간만큼 행해진다.
도 10에서는, 시각(t7)에서 노광이 개시되고, 같은 타이밍에서, 피드백 표시가 행해지는 예를 나타냈지만, 피드백 표시는, 같은 타이밍이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면, 피드백 표시는, 시각(t7)보다 조금 후의 시점으로부터 개시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스텝(S102)에서, 피드백 표시 시간=40msec로 설정되었을 경우에 대해 설명을 더한다.
시각(B1')에서, 유저에 의해 촬상이 지시되면, 그 지시에 대응한 촬상이, 시각(t7')으로부터 시각(t8')에 있어서 행해진다. 즉, 시각(t7')에서, 노광이 개시되고, 시각(t8')에서, 노광이 종료된다. 이 시각(t7')으로부터 시각(t8')까지의 시간이 노광 시간이며, 이 노광 시간이, 40msec 이하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판정의 결과, 노광 시간은, 40msec 이하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스텝(S102)에서, 피드백 표시 시간=40msec로 설정된다. 이 경우, 도 11에 도시한 것처럼, 피드백 표시는, 시각(t7')으로부터 시각(t8'')까지 행해진다. 도 11에 도시한 예에서는, 시각(t8'')은, 노광 종료 시각인 시각(t8')보다 후의 시각이며, 시각(t7')으로부터 시각(t8'')은, 40msec이다.
이 경우, 시각(t7')에서, 노광과 피드백 표시가 개시되지만, 시각(t8')에서 노광이 종료되고, 그 후, 노광 개시 시각(t7')으로부터 40msec 경과한 시각(t8")에서, 피드백 표시가 종료된다.
이 경우도, 도 10에 도시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각(t7')에서 노광이 개시되고, 같은 타이밍에서, 피드백 표시가 행해지는 예를 나타냈지만, 피드백 표시는, 같은 타이밍이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면, 피드백 표시는, 시각(t7')보다 조금 후의 시점으로부터 개시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제어가 행해짐으로써, 상기한 것처럼, 노광 시간에 관계없이, 유저는, 마크(401)(피드백)를 시인할 수 있고, 촬상이 실행되고 있는 타이밍이나, 노광 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시간 노광의 경우, 마크(401)가 노광 중, 계속하여 표시부(317)에 표시되기 때문에, 촬상자는, 촬상이 개시된 타이밍, 촬상이 계속되고 있는 기간(노광 중), 촬상이 종료된 타이밍을, 마크(401)를 시인함으로써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장시간 노광의 경우, 표시부(317)에 표시되고 있는 라이브 뷰 화상은, 멈춘 화상(노광 개시 전에 촬상되어 있던 화상인 채로, 예를 들면, 도 10에서는, 화상(LV2'))이 된다. 또한, 멈춘 화상이 표시되는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멈춘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대신에, 흑화상을 삽입하여, 블랙 아웃 상태를 일부러 만들어 내는 경우도 있다. 또한, 멈춘 화상이 표시되는 것과 같은 상황일 때, 표시부에, "현재 노광 중입니다"라는 메세지가 표시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흑화상의 표시나 메세지의 표시는, 예를 들면 노광 시간이 소정의 시간 이상, 예를 들면, 1초 이상으로 설정되었을 경우에 행해진다.
이와 같은 멈춘 화상(흑화상)이 표시되는 등의 상황일 때에, 만일 마크(401)가 표시되지 않으면, 촬상자는 촬상이 정상적으로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지 못하여, 에러가 발생하여 멈춰버린 화상(흑화상)이 표시되고 있다고 잘못된 판단을 내려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기술에 의하면, 촬상하고 있는 것을 유저에게 피드백하는 표시가 행해지기 때문에, 촬상자가 잘못된 판단을 내려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연속 촬상(연사)과 같은 촬상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 연사 중의 1회의 촬상과 관련되는 노광 시간은, 짧아져서, 예를 들면, 40msec 이하가 될 수도 있다. 연사 중이고, 연사 중의 1회의 촬상과 관련되는 노광 시간이 40msec 이하가 되는 등의 경우, 노광 시간보다 피드백이 표시되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촬상 회수보다도, 피드백(마크(401))이 표시되는 회수가 적어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한 것처럼, 연속 촬영에서, 5매의 화상이 촬상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시각(t31)으로부터 시각(t32)의 노광 시간에서, 화상(P11)이 촬상되고, 시각(t34)으로부터 시각(t35)의 노광 시간에서, 화상(P12)이 촬상되며, 시각(t37)으로부터 시각(t38)의 노광 시간에서, 화상(P13)이 촬상되고, 시각(t40)으로부터 시각(t41)의 노광 시간에서, 화상(P14)이 촬상되며, 시각(t43)으로부터 시각(t44)의 노광 시간에서, 화상(P15)이 촬상된다.
이러한 화상(P11 내지 P15)의 각 화상이, 촬상되었을 때의 노광 시간은, 모두 40msec 이하였던 것으로 한다. 이 경우, 1회의 피드백 표시 시간은, 40msec로 설정되기 때문에, 도 12에 도시한 것처럼, 예를 들면, 3회의 피드백 표시가 행해진다.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한 것처럼, 화상(P11)의 촬상이 개시된 시각(t31)으로부터, 피드백 표시(FB31)의 표시도 개시되어, 40msec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화상(P13)의 촬상이 개시된 시각(t37)으로부터, 피드백 표시(FB32)의 표시도 개시되어, 40msec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화상(P15)의 촬상이 개시된 시각(t43)으로부터, 피드백 표시(FB33)의 표시도 개시되어, 40msec 표시된다.
이와 같이, 3회의 피드백 표시가 행해진다. 즉 이 경우, 5매의 연속 촬영에 대해서, 3회의 피드백 표시가 행해진다.
또한 여기서는, 피드백 표시가 행해지는 최저 표시 시간(40msec)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피드백 표시가 행해지지 않는 최저 비표시 시간도 설정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2에서, 시각(t51)으로부터 시각(t37)의 사이는, 피드백 표시가 행해지지 않지만, 이 시간은, 미리 피드백 표시가 비표시의 시간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시간을 만족하는 시간으로 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최저 표시 시간과 최저 비표시 시간을 마련하도록 하여, 피드백 표시의 시인성이 확보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촬상 회수보다 피드백 표시의 회수가 적어지는 것과 같은 경우가 있어도 된다.
또한 연사의 경우, 예를 들면, 마크(401)는, 점멸하는 것 같은 표시로 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한 것처럼, 연속 촬영에서, 5매의 화상이 촬상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시각(t51)으로부터 시각(t52)의 노광 시간에서, 화상(P21)이 촬상되고, 시각(t54)으로부터 시각(t55)의 노광 시간에서, 화상(P22)이 촬상되며, 시각(t57)으로부터 시각(t58)의 노광 시간에서, 화상(P23)이 촬상되고, 시각(t60)으로부터 시각(t61)의 노광 시간에서, 화상(P24)이 촬상되며, 시각(t63)으로부터 시각(t64)의 노광 시간에서, 화상(P25)이 촬상된다.
이러한 화상(P21 내지 P25)의 각 화상이, 촬상되었을 때의 노광 시간은, 모두 40msec보다 큰 시간이였던 것으로 한다. 이 경우, 피드백 표시 시간은, 노광 시간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도 13에 도시한 것처럼, 각 촬상에 대응하여, 5회의 피드백 표시가 행해진다.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한 것처럼, 화상(P21)의 촬상이 개시된 시각(t51)으로부터, 피드백 표시(FB51)의 표시도 개시되어, 시각(t52)까지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화상(P22)의 촬상이 개시된 시각(t54)으로부터, 피드백 표시(FB52)의 표시도 개시되어, 시각(t55)까지 표시된다.
마찬가지의 피드백 표시가 반복됨으로써, 화상(P25)의 촬상이 개시된 시각(t63)으로부터, 피드백 표시(FB55)의 표시도 개시되어, 시각(t64)까지 표시된다.
이와 같이, 5회의 피드백 표시가 행해진다. 즉 이 경우, 5매의 연속 촬영에 대해서, 5회의 피드백 표시가 행해진다. 따라서, 마크(401)는, 점멸하고 있는 듯한 표시가 된다.
마크(401)가 점멸함으로써, 촬상자는, 연사가 행해지고 있음을 체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연사 등의 경우에도, 본 기술에 의하면, 촬상이 실행되고 있는 타이밍이나, 노광 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드백 표시가 점멸하고 있는 것과 같은 표시로 되는 것과 같은 경우, 동일한 마크가, 동일 위치에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동일 마크이지만, 그 표시되는 위치가 이동되어 표시되도록(점멸할 때마다, 표시 위치가 시프트되도록) 해도 된다. 나아가, 점멸할 때마다, 다른 마크가 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연사일 때에는, 피드백 표시의 표시가 변화하도록 하여, 연사인 것을 보다 유저에게 인식시킬 수 있는 표시로 해도 된다.
또한, 연사의 경우, 연사의 개시와 종료 시에만 피드백 표시가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상기한 것처럼, 연사의 경우, 마크(401)가 점멸하고 있는 것과 같은 표시가 행해진다. 그와 같은 표시는, 촬상자에 따라서는 눈에 거슬리게 될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예를 들면, 연사의 모드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촬상 버튼이 조작되었을 때에, 소정의 시간, 예를 들면 40msec 이상의 시간, 마크(401)가 표시되고, 조작 버튼의 조작이 종료했을 때, 또는 촬상 가능 매수에 이르렀을 때(이르기 전)에, 소정의 시간, 예를 들면, 40msec 이상의 시간, 마크(401)가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또는, 연사의 개시로부터 종료까지, 피드백 표시가 계속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모드에 의해 피드백의 표시 시간이나, 표시 회수 등이 제어되도록 해도 된다.
[노광 개시 시, 종료 시의 처리]
다음으로, 노광 개시 시와 종료 시의 처리에 대해, 설명을 더한다. 우선 도 1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노광 개시 시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스텝(S201)에서, 피드백 표시 중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스텝(S201)에서, 피드백 표시 중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스텝(S202)으로 처리가 진행되어, 표시 중인 피드백 표시(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마크(401))가 소거된다.
그리고, 스텝(S203)에서, 타이머가 리셋(0으로 설정)된다. 이 타이머는, 상기한 것처럼, 피드백 표시를 행하는 시간을 계시하기 위한 타이머이다.
한편, 스텝(S201)에서, 피드백 표시 중이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또는 스텝(S203)에서 처리가 종료되었을 경우, 스텝(S204)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S204)에서, 포커스 모드(Focus Mode)는, AF-C인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포커스 모드에는, 예를 들면, AF-C와 AF-S가 있다. AF-C는, 콘티뉴어스(Continuous) 오토 포커스라 칭해지는 모드이며, 셔터 버튼이 반 눌러져 있는 동안, 초점 맞추기가 계속되는 모드이다.
AF-S는, 싱글 오토 포커스라고 칭해지는 모드이며, 셔터 버튼이 반 눌러져, 한 번 초점이 맞춰지면, 반 눌러져 있는 동안, 초점이 고정되는 모드이다.
스텝(S204)에서, 포커스 모드=AF-C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스텝(S205)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S205)에서, 초점 맞추기가 성공했는지 여부(초점이 맞춰졌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스텝(S204)에서, 초점 맞추기가 성공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S206)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S206)에서, 초점 맞음 위치를 표시 중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스텝(S206)에서, 초점 맞음 위치를 표시 중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스텝(S207)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S207)에서, AF 프레임에 추종한 위치에 피드백 표시가 된다. AF 프레임은, 오토 포커스의 포커스가 맞춰져 있는 피사체(초점이 맞아 있는 피사체) 부분에 표시되는 프레임이다.
AF 프레임에 추종한 위치에 피드백 표시가 되었을 경우의 화면예를 도 15에 도시한다. 도 15에 도시한 화면예에서, 표시부(317)의 중앙 부분에 표시되어 있는 열쇠괄호(『』)의 형상이, AF 프레임(501)이다. 그 AF 프레임(501)을 둘러싸도록 사각형 형상으로 마크(402)(피드백 표시)가 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한 것처럼, AF 프레임(501)의 근방에, 마크(402)를 표시함으로써, 피드백 표시가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15에서는, 표시부(317)의 중앙 부분에 AF 프레임(501)이 표시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 AF 프레임(501)은, AF-C 모드인 경우, 이동할 가능성이 있고, AF 프레임(501)의 이동에 맞추어, 마크(402)의 표시 위치도 이동한다. 즉, AF 프레임(501)에 추종한 위치에, 마크(402)는 표시된다.
이와 같이 포커스 모드가 AF-C 모드인 경우에, AF 프레임(501)에 추종하여 마크(402)를 표시하는 것은, AF-C 모드인 경우, 촬상자의 시선은, 움직이는 피사체에 집중되어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AF-C 모드의 경우, 움직이는 피사체가 피사체로 되고, 그 움직이는 피사체에 AF 프레임(501)이 표시된다. 따라서, 그러한 촬상자가 주시하고 있는 영역에 피드백 표시가 행해지도록, AF 프레임(501)의 근방에, 마크(402)가 표시된다.
이러한 표시가 행해지도록, 스텝(S204)에서, 포커스 모드가 AF-C 모드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또한, AF-C 모드이어도, 초점 맞춤에 실패하고 있는 경우, 촬상자가 목적으로 하는 피사체가 촬상되어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한 때에 피드백 표시가 행해지지 않도록 제어된다.
이러한 표시의 제어가 행해지도록, 스텝(S205)에서, 초점 맞춤이 성공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또한, AF-C 모드이며, 초점 맞춤이 성공하고 있는 상태이더라도, 초점 맞음 위치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환언하면, AF 프레임(501)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 마크(402)만이 표시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촬상자는, 갑자기, 마크(402)만이 표시된 것을 시인하게 되어, 촬상자에게 위화감을 주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러한 때에 피드백 표시가 행해지지 않도록 제어된다.
이러한 표시의 제어가 행해지도록, 스텝(S206)에서, 초점 맞음 위치는 표시되고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그리고, 상기한 것처럼, AF-C 모드이며, 초점 맞춤이 성공하여, 초점 맞음 위치가 표시되어 있을 때는, AF 프레임(501)에 추종한 위치에 피드백 표시가 행해진다.
한편, 스텝(S204)에서, 포커스 모드는, AF-C 모드가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스텝(S205)에서, 초점 맞춤은 성공하지 않았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또는, 스텝(S206)에서, 초점 맞음 위치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스텝(S208)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S208)에서, 고정 위치에 피드백 표시가 설정된다. 고정 위치에 피드백 표시가 행해지는 경우,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표시부(317)(화면)의 네 코너에 마크(401)가 표시됨으로써 피드백 표시가 행해진다. 도 8에 도시한 피드백 표시예는, 화면의 네 코너에 마크(401)가 표시되고, 이 마크(401)는, AF 프레임(501)(도 15)에는 추종하지 않고, 화면 내에서 표시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예이다.
이와 같이, 피드백 표시는, 오토 포커스 모드에 의해, 표시 방식이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환언하면, 피드백 표시는, 복수의 표시 방법이 있고, 오토 포커스 모드에 의해, 복수의 표시 방법으로부터, 최적의 표시 방법이 선택되어, 그 선택된 표시 방법으로 표시가 행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표시 방법으로부터, 최적의 표시 방법이 선택되도록 구성한 경우, 선택하기 위한 조건은, 오토 포커스 모드 외에, 연사인지, 장시간 노광인지 등의 복수의 조건이 가미되어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표시 방법으로서, 여기서는, 도 8에 도시한 화면의 네 코너에 마크(401)을 표시시키는 방법과, 도 15에 도시한 AF 프레임(501)에 추종한 마크(402)를 표시시키는 방법을 예시했지만, 다른 표시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4에 도시한 예에서는, 촬상자가 주시하고 있는 영역이 있다고 판정될 때에는, 그 주시하고 있는 영역에 피드백 표시가 행해지고, 그러한 주시하고 있는 영역이 특정되지 않을 때에는, 촬상자에게 방해가 되지 않는 영역에 피드백 표시가 행해진다.
도 14의 흐름도의 처리로 설명을 되돌려, 스텝(S207) 또는 스텝(S208)에서, 피드백 표시의 방식이 설정되어, 그 설정에 기초한 피드백 표시가 개시되면, 스텝(S209)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S209)에서, 타이머의 계시가 개시된다. 타이머는, 상기한 것처럼, 노광 시간이 짧은 경우 등에, 피드백 표시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일정 시간, 피드백 표시가 계속되도록 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예에서는, 40msec를 계시하는 타이머로 된다.
노광 개시 시에는, 도 14에 도시한 것과 같은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피드백 표시가 개시된다. 또한, 노광 종료 시에는, 도 16에 도시한 것과 같은 흐름도에 기초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스텝(S251)에서, 타이머가 카운트 중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스텝(S251)에서, 타이머가 카운트 중이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노광 종료 시의 처리는 종료된다. 즉 이 경우, 타이머가 카운트 중이기 때문에, 피드백 표시는, 노광이 종료되었다고 하여도, 계속된다.
한편, 스텝(S251)에서, 타이머는 카운트 중이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스텝(S252)으로 처리는 진행된다. 스텝(S252)에서, 피드백 표시는 소거된다.
이와 같이, 노광 종료 시에, 타이머에 의한 계시가 계속되고 있는 때에는, 그대로 피드백 표시도 계속되고, 타이머에 의한 계시가 종료되어 있는 때에는, 그 시점에서 행해지고 있던 피드백 표시는, 소거된다.
이와 같이, 피드백 표시가 타이머에 의해 계시되는 시간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 도 17에 도시한 흐름도의 처리도 실행된다. 도 17에 도시한 흐름도는, 타이머의 계시 종료 시의 처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스텝(S301)에서, 노광 중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타이머에 의한 계시가 종료한 시점에서, 노광 중이라고 판정된 경우, 타이머의 계시 종료 시의 처리는 종료된다. 이 경우, 타이머의 계시는 종료했지만, 노광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에, 피드백 표시도 계속된다.
한편, 스텝(S301)에서, 노광 중이 아니라고 판정되었을 경우, 스텝(S302)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S302)에서, 피드백 표시는 소거된다.
이와 같이, 타이머에 의한 계시가 종료되었을 때에, 노광이 계속되고 있는 때에는, 그대로 피드백 표시도 계속되고, 노광이 종료되어 있는 때에는, 그 시점에서 행해지고 있던 피드백 표시는, 소거된다.
도 9에 도시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노광 시간에 따라, 피드백 표시의 시간이 설정되는 경우, 구체적으로는, 노광 시간이 40msec 이하인 때에는, 피드백 표시가 40msec 계속되는 것으로 설정되는 경우, 타이머에 의해 40msec 계시되어, 40msec 경과한 시점에서, 피드백 표시가 소거된다. 이 경우, 도 17에 도시한 타이머의 계시 종료 시의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피드백 표시가 소거된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노광 시간에 따라, 피드백 표시의 시간이 설정되는 경우, 구체적으로는, 노광 시간이 40msec보다 클 때에는, 피드백 표시가 노광 시간 중 계속되는 것으로서 설정되는 경우, 노광 시간이 종료한 시점에서, 피드백 표시가 소거된다. 이 경우, 도 16에 도시한 노광 종료 시의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피드백 표시가 소거된다.
[피드백의 표시 위치의 설정 처리]
도 18에 도시한 흐름도를 참조하여, 피드백의 표시 위치의 설정과 관계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한 노광 개시 시의 처리와 관계되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피드백 표시는, AF 프레임(501)(도 15)에 추종하여 행해지거나, AF 프레임(501)에 추종하지 않고 고정된 위치에서 행해진다. 이러한 추종한 표시 또는 고정한 표시 중 어느 쪽으로 표시할지는,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설정할 수도 있지만, 도 18에 도시한 흐름도에 기초하여 설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스텝(S401)에서, 피드백 표시 위치는, 고정으로 설정된다. 즉 이 경우, 디폴트로서, 피드백 표시 위치는, 고정으로 되어 있다.
스텝(S402)에서, 포커스 모드는, AF-C인지 여부가 판정되고, 스텝(S403)에서, 초점 맞춤이 성공하였는지 여부가 판정되며, 스텝(S404)에서, 초점 맞음 위치를 표시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이 스텝(S402 내지 S404)의 처리는, 도 14에 도시한 흐름도에서 스텝(S204 내지 S206)의 처리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처리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설명은 생략한다.
포커스 모드가 AF-C이며, 초점 맞춤이 성공하여 있고, 초점 맞음 위치가 표시 중인 경우, 스텝(S405)에서, 피드백 표시 위치는, AF 프레임에 추종한다로 설정된다. 즉, 이 경우,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촬상자가 주시하고 있는 영역이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그 영역에 피드백 표시가 행해지도록 설정된다.
도 18에 도시한 흐름도의 처리에 의하면, 피드백 표시 위치는, 디폴트로서는 고정이지만, 촬상자가 주시하고 있는 영역이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그 영역에 피드백 표시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피드백 표시 위치가 설정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한 것처럼, 피드백 표시의 위치나, 그 표시 내용은, 소정의 조건에 의해 변경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상기한 조건 이외에 의해, 피드백 표시의 위치나, 그 표시 내용이 변경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조건을 마련하지 않고, 피드백 표시는, 항상 같은 피드백 표시가 행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피드백 표시의 다른 예]
상술한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피드백 표시에 대해, 도 8과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했다. 또 다른 피드백 표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는, 피드백 표시의 다른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한 피드백 표시는, 화면의 상변과 하변에 선 형상의 마크(403)가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화면의 상하에, 각각 선 형상의 마크(403)를 표시함으로써, 피드백 표시를 행하면, 화면의 중앙 부분은, 촬상되고 있는 화상을 표시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촬상자가 마크(403)를 방해라고 느끼는 표시가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한편, 마크(403)가 표시됨으로써, 상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촬상의 타이밍이나 노광 시간을 촬상자에게 파악시킬 수 있어, 촬상이 행해지고 있음을 체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선 형상의 마크(403)의 선의 굵기는, 촬상자의 방해가 되지 않고, 또한 피드백이 확실히 행해지는 굵기로 설정된다. 또한, 상변에 표시되는 마크(403)의 굵기와, 하변에 표시되는 마크(403)의 굵기는, 동일한 굵기이어도 되고, 일방이 타방보다 굵게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19에 도시한 피드백 표시에서는, 화면의 상변과 하변에 선 형상의 마크(403)가 표시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화면의 좌변과 우변에 선 형상의 마크(403)가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화면의 상변과 하변에 선 형상의 마크(403)가 표시되는 경우와, 화면의 좌변과 우변에 선 형상의 마크(403)는, 촬상 장치의 방향에 따라 전환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화면이 가로로 긴 경우(촬상 장치가 가로로 지지되어 있는 경우), 화면의 상변과 하변에 선 형상의 마크(403)가 표시되고, 화면이 세로로 긴 경우(촬상 장치가 세로로 지지되어 있는 경우), 화면의 좌변과 우변에 선 형상의 마크(403)가 표시되는 것처럼, 촬상 장치의 방향에 따라, 피드백 표시가 전환되도록 해도 된다.
도 20은, 피드백 표시의 다른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한 피드백 표시는, 화면의 상변, 하변, 좌변, 우변에 선 형상의 마크(404)가 표시되어, 사각 형상의 마크(404)를 형성하고 있다. 환언하면, 화면(표시부(317))의 표시 프레임과 동일 형상(사각 형상)이며, 화면의 프레임을 따른 위치에, 소정의 굵기의 선(화면의 프레임에 따른 형상)으로 묘화(描畵)되는 마크(404)가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화면의 프레임을 따른 위치에 마크(404)를 표시함으로써, 화면의 중앙 부분은, 촬상되고 있는 화상을 표시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촬상자가 마크(404)를 방해물이라고 느끼는 등의 표시로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한편, 마크(404)가 표시됨으로써, 상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촬상의 타이밍이나 노광 시간을 촬상자에게 파악시킬 수 있어, 촬상이 행해지고 있음을 체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마크(404)의 선의 굵기는, 촬상자의 방해가 되지 않고, 또한 피드백이 확실히 행해지는 굵기로 설정된다. 또한, 각변에 표시되는 마크(404)의 굵기는, 동일한 굵기이어도 되고, 다른 굵기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좌우에 각각 표시되는 선은 동일한 굵기이며, 상하에 각각 표시되는 선은 동일한 굵기이지만, 좌우에 표시되어 있는 선의 굵기와 상하에 표시되어 있는 선의 굵기는 다르게 해도 된다.
도 20에 도시한 마크(404)는, 화면 내의 측벽에 표시되지만, 도 21에 도시한 것처럼, 화면 내의 중앙 부근에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도 21은, 피드백 표시의 다른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한 피드백 표시는, 화면 내에, 사각 형상의 마크(405)가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화면 내에 마크(405)를 표시함으로써, 피드백 표시를 행하면, 마크(405) 이외의 화면 내에 있어서는, 촬상되고 있는 화상을 표시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촬상자가 마크(405)를 방해물로 느끼는 등의 표시로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만일 마크(405)의 선을 굵게 하면, 촬상자가, 마크(405)를 방해물로 느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마크(405)의 선의 굵기는, 예를 들면, 마크(404)(도 20)의 선의 굵기보다 가늘게 표시된다.
이와 같이, 피드백 표시로서 표시되는 마크의 선의 굵기는, 표시되는 위치에 따라 다르도록 해도 된다. 또한, 표시되는 위치에 따라 다르도록 한 경우, 화면의 중앙 부분에 가까운 위치인 경우에는 가늘게, 화면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인 경우, 굵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마크(405)가 표시됨으로써, 상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촬상의 타이밍이나 노광 시간을 촬상자에게 파악시킬 수 있어, 촬상이 행해지고 있음을 체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1에 도시한 마크(405)는, 사각 형상이지만, 도 22에 도시한 것처럼, 원 형상의 마크(406)이어도 된다.
도 21이나 도 22에 도시한 것처럼, 화면의 중앙 부분에 피드백 표시를 행하는 경우, 그 피드백 표시의 형상(마크의 형상)은, 도 21에 도시한 사각 형상이어도 되고, 도 22에 도시한 원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사각 형상이나 원 형상 이외의 형상, 예를 들면, 다각형 등이어도 된다.
또한, 도 23에 도시한 것처럼, 동일 형상의 마크(407)가 복수 표시되도록 하여도 된다. 도 23에 도시한 마크(407)는, 중심을 같이하는 크기가 다른 3개의 사각 형상의 도형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형으로서는, 사각 형상 이외에 원 형상이나, 다각형상 등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동일 형상의 복수의 도형이 피드백 표시로서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23에 도시한 마크(407)는, 중심을 같이 하는 크기가 다른 3개의 사각 형상의 도형이 동시에 표시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다른 타이밍에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환언하면, 피드백 표시는, 정지화상과 같이 표시될 뿐만 아니라, 동화상과 같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23에 도시한 사각 형상의 마크(407)를 일례로서 설명하면, 시각(t1)일 때에 마크(407-1)가 표시되고, 시각(t2)일 때에, 마크(407-1)가 소거되는 한편, 마크(407-2)가 표시되고, 시각(t3)일 때에, 마크(407-2)가 소거되는 한편, 마크(407-3)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화면의 중심으로부터, 서서히 외측으로 마크(407)가 이동하도록 표시가 행해져도 된다. 또는, 화면의 끝으로부터, 서서히 중앙으로 마크(407)가 이동하는 것 같은 표시이어도 된다.
또한, 시각(t1)일 때에 마크(407-1)가 표시되고, 시각(t2)일 때에, 마크(407-2)가 더 표시되며, 시각(t3)일 때에, 마크(407-3)가 더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도 24는, 피드백 표시의 또 다른 표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에 도시한 피드백 표시는, 화면의 중앙 부분에, 가로 막대가 마크(408)로서 표시되어 있다. 도 24에 도시한 것처럼, 선 형상의 마크(408)를 화면 내에 표시해도 된다. 또한, 선의 방향은, 화면의 가로 방향이어도 되고, 세로 방향이어도 된다.
또한, 도 24에 도시한 위치에, 정지화상처럼 표시되어도 되고, 도 25에 도시한 것처럼 동화상처럼 표시되어도 된다. 동화상과 같이 마크(408)가 표시되는 경우, 예를 들면, 가로 방향의 선 형상의 마크(408')가, 화면의 위쪽으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시간 경과와 함께, 서서히 이동하면서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또는, 가로 방향의 선 형상의 마크(408)(도시하지 않음)가, 화면의 아래쪽으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시간 경과와 함께, 서서히 이동하면서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선상의 마크(408')가, 예를 들면, 화면의 위쪽으로부터 아래쪽까지 이동할 때의 이동 시간은, 노광 시간과 동등한 시간, 또는 상기한 예에서는, 40msec로 할 수 있다. 또한 마크(408)와 같이, 소정의 도형이 이동하는 피드백 표시의 경우의 이동 시간은, 노광 시간에 관계되지 않고 일정한 시간(고정된 시간)이어도 된다.
도 26은, 피드백 표시의 또 다른 표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에 도시한 피드백 표시는, 화면의 하부 부분에, 인디케이터가 마크(409)로서 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연사의 경우, 인디케이터가 마크(409)로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의 길이는, 연사 시의 최대 매수를 나타내는 길이(버퍼의 남은 용량을 나타내는 길이)로 하고, 예를 들면, 도 26에 도시한 예에서는, 촬상 매수가 증가함에 따라, 게이지가 도면 중 아래 방향으로부터 윗방향으로 이동하는 표시가 되어, 상단에 이르렀을 때에 최대 촬상 매수가 촬상된 것을 나타낸다. 또한, 인디케이터의 하부에는, 남은 촬영 매수를 나타내는 수치도 표시되어 있다. 유저는, 마크(409)(수치)를 시인함으로써, 연사가 행해지고 있는 것이나, 남은 매수를 직감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수치는, 촬상 매수, 또는 촬상 가능한 남은 매수를 나타내는 숫자로 하고, 피드백 표시로서, 인디케이터의 하부가 아닌, 화면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수치만이, 피드백 표시로서 표시되도록 해도 되고, 인디케이터만이, 피드백 표시로서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피드백 표시가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도 27의 왼쪽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노광 중에는, AF 프레임(501)과 대략 같은 크기의 프레임(410)이 표시된다. 그리고, 노광 종료 후에, 도 27의 오른쪽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AF 프레임(501)보다 조금 큰 프레임(410')으로, 표시가 전환된다.
즉 이 경우, 노광 중에 프레임(410)이 표시되고, 노광 완료 후에, 그 프레임(410)이 조금 확장된 프레임(410')으로 전환되는 피드백 표시가 행해진다. 이 프레임(410)으로부터 프레임(410')으로 표시가 전환될 때, 애니메이션 표시로 되어도 된다.
또한, 도 27에서는, AF 프레임(501)이 표시되고, 그 AF 프레임(501)에 해당하는 크기로 프레임(410)이 표시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프레임(410)은, AF 프레임(501)과 관계없이, 일정한 크기나 소정의 위치에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표시되어 있던 프레임(410)이 페이드 아웃하는 것처럼 애니메이션 표시가 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표시가 행해짐으로써, 잔상을 표현하는 듯한 표시를 행할 수 있고, 노광 시간이 짧을 경우의 시인성을 높인 표시를 행하거나, 표현의 효과를 높이는 것 같은 표시를 행하거나 할 수 있다.
AF 프레임(501)에 추종하여 피드백 표시가 되는 경우, 예를 들면,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도 15에서는, 1개의 AF 프레임(501)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복수의 피사체에 초점이 맞춰지고, 복수의 AF 프레임(501)이 표시되는 경우도 있다.
복수의 AF 프레임(501)이 표시되는 경우, 복수의 AF 프레임(501)에, 프레임(402)(도 15)이 각각 표시되도록 해도 되고, 도 28에 도시한 것처럼, 복수의 AF 프레임(501)을 둘러싸도록 프레임이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도 28에 도시한 피드백 표시는, AF 프레임(501-1)과 AF 프레임(501-2)이 표시되고, 그 AF 프레임(501-1)과 AF 프레임(501-2)을 둘러싸는 사각형으로, 프레임(411)이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AF 프레임(501)이 표시되는 경우에는, 그들을 둘러싸는 프레임(411)이 표시됨으로써, 피드백 표시가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27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프레임(411)은, 노광 시에 표시되고, 노광 종료 후, 조금 확대되어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 예를 들면, 프레임(411)(도 28) 등은, 실선으로 표시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파선, 일점 쇄선 등, 실선 이외의 선 종류로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마크가 피드백 표시로서 화면에 표시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마크 이외의 마크, 예를 들면, 셔터의 선막이나 후막을 이미지 시키는 것 같은 동화상이 피드백 표시로서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한 마크가, 소정의 조건으로 선택적으로 선택되어,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풍경을 촬상하고 있는 경우나, 포트레이트(portrait)를 촬상하고 있는 경우 등에는, 피사체의 시인성을 우선하여,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마크(401), 도 19에 도시한 마크(403), 도 20에 도시한 마크(404) 등, 화면의 중앙 부분에 마크가 표시되지 않는 피드백 표시가 선택된다.
또한, 예를 들면, 동체를 촬상하고 있는 경우 등은, 피드백 표시의 인지성을 우선하여,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한 마크(402)와 같이, AF 프레임(501)에 추종하는 것 같은 표시나, 도 21에 도시한 마크(405)나 도 22에 도시한 마크(406) 등과 같이, 화면의 중앙 부분에 마크가 표시되는 피드백 표시가 선택된다.
또한, 도 21이나 도 22에 도시한 마크(405)(마크(406))는, AF 프레임(501)에 추종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유저의 기호에 맞는 피드백 표시를 선택,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마크의 색(피드백 표시의 색)에 대해서는 기재하고 있지 않지만, 마크의 색은,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은 흑색이어도 되고, 흑색 이외의 색이어도 된다. 또한, 투명색이어도 된다. 피드백 표시를 투명색으로 행하도록 했을 경우, 스루 화상이 관통하여 보이기 때문에, 피사체를 시인하기 쉬운 상태로, 피드백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피드백 표시의 색은, 고정(예를 들면 흑색)으로 되어 있어도 되고, 가변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가변으로 했을 경우, 예를 들면 촬상되고 있는 화상의 색에 의해, 마크의 색이 설정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촬상되고 있는 화상의 휘도가 높은 경우, 마크는 흑색으로 표시되고, 촬상되고 있는 화상의 휘도가 낮은 경우, 마크는 백색으로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화면이 가로로 긴 경우(촬상 장치가 가로로 지지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화면이 세로로 긴 경우(촬상 장치가 세로로 지지되어 있는 경우)에도, 본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촬상 장치가 가로로 지지되어 있는 경우와 세로로 지지되어 있는 경우에서, 피드백 표시의 방법이 다르도록 해도 되고, 동일하게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25에 도시한 선 형상의 마크(408)가 동화상과 같이 표시되는 경우, 가로로 지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하 방향(예를 들면, 아래로부터 위 방향)으로, 마크(408)가 이동하는 것과 같은 표시가 행해진다. 촬상 장치가 세로로 지지되어 있는 경우, 세로로 지지되어 있는 상태의 화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마크(408)가 이동하도록 표시가 행해진다.
이 경우, 마크(408)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고 하는 점에서는, 촬상 장치가 가로로 놓여 있는 경우와 세로로 놓여 있는 경우에서, 피드백 표시의 방법은 동일하다. 또한 이 경우, 세로로 지지되어 있는 때의 상하 방향은, 가로로 지지되어 있는 때의 좌우 방향에 해당하기 때문에, 만일, 가로로 지지되어 있는 때를 기준으로 생각했을 경우, 다른 방향으로 마크(408)가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이 점에서는 피드백 표시의 방법은 다르다.
또는, 세로로 지지되어 있는 상태의 화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마크(408)가 이동하도록 표시가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마크(408)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점에서는, 촬상 장치가 가로로 놓여 있는 경우와 세로로 놓여 있는 경우에서, 피드백 표시의 방법은 다르다. 또한 이 경우, 세로로 지지되어 있는 때의 좌우 방향은, 가로로 지지되어 있는 때의 좌우 방향에 해당하기 때문에, 만일, 가로로 지지되어 있는 때를 기준으로 생각했을 경우, 동일 방향으로 마크(408)가 이동하게 되기 때문에, 이 점에서는 피드백 표시의 방법은 동일하다.
상기한 피드백 표시(마크(401 내지 409))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음과 함께,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한 피드백 표시(마크(401))만을 행하도록 해도 좋고, 도 8에 도시한 피드백 표시(마크(401))와 도 15에 도시한 피드백 표시(마크(402))가, 소정의 조건에 의해 나뉘어져 이용되도록 해도 된다.
즉, 복수의 피드백 표시를 준비해 두고, 선택적으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피드백 표시가 동시에 행해지는, 예를 들면, 마크(401)와 마크(405)가 동시에 표시되는 피드백 표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피드백 표시가 행해짐과 함께, 셔터 음을 의사적으로 내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한 마크의 다른 피드백 표시로서, 블랙 아웃 시의 표시를 의사적으로 만들어 내도 된다. 예를 들면, 마크를 촬상되고 있는 화면에 중첩하는 경우와 같이, 촬상되고 있는 화면에, 흑색의 화면을 중첩함으로써, 의사적인 블랙 아웃을 발생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했을 경우, 종래부터 있는 블랙 아웃에 친숙한 유저에 대해, 의사적인 블랙 아웃을 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한 피드백 표시에서는, 화면의 일부에 마크를 표시하는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화면 전체에, 피드백 표시가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피드백 표시로서, 화면 전체의 명도나 채도를 올리거나, 또는 내리도록 해도 된다. 환언하면, 화면 전체를 밝게 하거나, 어둡게 하거나, 모노크롬 표시로 하거나, 색을 반전시키거나 함으로써, 피드백 표시가 행해져, 유저에게 촬상이 행해지고 있음을 체감시키는 표시가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상기한 피드백 표시는, 라이브 뷰 화상 상에 표시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표시부 내에서, 라이브 뷰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에, 피드백 표시가 되거나, 또는 피드백 표시 전용의 표시부를 설치하고, 그 표시부에 피드백 표시가 되거나 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피드백 표시로서 표시되는 마크, 의사적인 셔터 음, 의사적인 블랙 아웃 등은, 유저에 의해 기호의 설정이 행해지고, 그 설정에 기초하여 피드백 표시가 행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유저에 의해 된 설정에 의해, 상기한 복수의 피드백 표시가 조합되거나, 전환되거나 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복수의 피드백 표시가 전환되는 일례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의사적인 블랙 아웃(이하, 흑화상이라고 기술한다)과, 상기한 피드백 표시 가운데, 도 8에 도시한 마크(401)가 전환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1매만 촬영하는 경우를 단사라고 기술하고, 복수매 연속하여 촬영하는 경우를 연사라고 기술한다.
예를 들면, 연사인 때의 1매째가 촬영될 때의 피드백 표시와, 2매째 이후가 촬영될 때의 피드백 표시(설정에 따라서는, 1매째로부터의 피드백 표시)를, 각각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유저는, 피드백 표시로서, 흑화상이 표시되는 설정(ON)과 흑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설정(OFF), 마크(401)가 표시되는 설정(ON), 및 마크(401)가 표시되지 않는 설정(OFF)을 조합하여 설정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여, 유저가, 흑화상을 표시하는 설정을 ON으로 하고, 마크(401)를 표시하는 설정을 ON으로 설정했을 경우, 단사일 때와 연사일 때의 1매째의 화상이 촬영될 때에는, 흑화상이 피드백 표시로서 표시된다. 또한, 연사일 때의 2매째 이후의 화상이 촬영될 때에는, 마크(401)가, 피드백 표시로서 표시된다.
또한, 도 29를 참조하여, 유저가, 흑화상을 표시하는 설정을 ON으로 하고, 마크(401)를 표시하는 설정을 OFF로 설정했을 경우, 단사일 때와 연사일 때의 1매째의 화상이 촬영될 때에는, 흑화상이 피드백 표시로서 표시된다. 또한, 연사일 때의 2매째 이후의 화상이 촬영될 때는, 피드백 표시는 되지 않는다.
또한, 도 29를 참조하여, 유저가, 흑화상을 표시하는 설정을 OFF로 하고, 마크(401)를 표시하는 설정을 ON으로 설정했을 경우, 단사일 때와 연사일 때의 1매째의 화상이 촬영될 때에는, 마크(401)가 피드백 표시로서 표시된다. 또한, 연사일 때의 2매째 이후의 화상이 촬영될 때에는, 1매째의 촬영 시와 같이, 계속해서, 마크(401)가, 피드백 표시로서 표시된다.
또한 도 29를 참조하여, 유저가, 흑화상을 표시하는 설정을 OFF로 하고, 마크(401)를 표시하는 설정을 OFF로 설정했을 경우, 피드백 표시는 행해지지 않는다.
이와 같이, 유저는, 피드백 표시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일례로서 든 것처럼, 연사일 때에, 1매째의 촬영 시의 피드백 표시와, 2매째 이후의 촬영 시의 피드백 표시를 다른 피드백 표시로 할 수 있다.
또한, 1매째의 촬영 시의 피드백 표시를, 흑화상, 즉 의사적인 블랙 아웃으로 함으로써, 종래의 촬영 체험을 계승한, 촬영의 체감을 유저에게 주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1매째의 촬영 시의 피드백 표시를, 흑화상으로 함으로써, 1매째가 촬영되고 있는 것(1매째의 촬영 타이밍)을, 유저에게, 보다 명확하게 체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여기에서는, 마크(401)가 표시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을 했지만, 유저가, 소망으로 하는 마크가 선택되도록 구성하는 것은, 물론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복수의 피드백 표시 가운데 하나의 피드백 표시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 화면을 유저에게 제시하고, 그 선택 화면으로부터, 유저는, 소망하는 피드백 표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상술한 피드백 표시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그 어플리케이션으로서는, 휴대 단말, 예를 들면, 스마트 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폰의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상술한 피드백 표시를 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을 더한다.
도 30은, 스마트 폰에서,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했을 때의 화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마트 폰의 표시부(601)에는, 촬상되고 있는 피사체를 표시하는 화상 표시부(602)가 설치되어 있다. 도 30에서는, 표시부(601)의 크기와 동등한 크기가, 화상 표시부(602)로 되어 있고, 도 30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촬상되고 있는 피사체가, 표시부(601)의 전체에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표시부(601)는, 터치 패널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표시부(601)에는, 예를 들면, 촬상 시에 설정되어 있는 조건(예를 들면, 플래시의 사용 금지, 허가 등의 조건)을 나타내는 촬상 설정 아이콘(603)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전회 촬영 시의 썸네일 화상(604), 셔터 버튼(605), 동화상 녹화 개시 버튼(606), 촬영 모드 설정 시에 조작되는 촬영 모드 설정 아이콘(607) 등도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화면이 스마트 폰의 표시부(601)에 표시되어 있을 때, 유저가 셔터 버튼(605) 또는 물리적인 셔터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조작했을 경우, 촬영이 행해진다. 또한 이러한 셔터 버튼 이외에, 표시부(601) 내(터치 패널)를 터치함으로써, 촬영이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또한, 그 설정은, 유저에 의해 설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나아가, 터치하고 있는 동안(화면을 길게 누름)은, 연사 모드가 되어, 연속하여 촬영이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31에 도시한 것처럼, 촬영이 행해졌을 때에는, 그것을 나타내는 피드백 표시가 행해진다. 도 31에 도시한 예에서는, 도 8에 도시한 피드백 표시가 행해지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피드백 표시는, 화면의 네 코너에 표시된다고 했지만, 도 31에 도시한 것처럼, 네 코너 이외의 곳에 표시되도록 해도 되고,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처럼, 화면의 네 코너에 표시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표시 위치의 설정은, 유저가 소망하는 위치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8 이외에 나타낸 피드백 표시가 행해져도 물론 되고, 상기한 것처럼, 유저가 선택할 수 있거나, 복수의 피드백 표시가 전환되어 행해지도록 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것처럼, 화면을 길게 누름으로써, 연사가 행해지고 있을 때에는, 상기한 연사 모드일 때의 피드백 표시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스마트 폰 등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도, 본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기술에 의하면, 블랙 아웃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피사체의 추종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블랙 아웃이 발생하지 않아도, 셔터의 타이밍이나 노광 시간을 유저에게 피드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것이 가능해짐으로써, 촬영의 기회를 큰 폭으로 넓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블랙 아웃이 발생하지 않는 촬영을 유저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셔터 조작에 대한 피드백을 적확하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종래의 촬영 체험을 계승하면서, 선진성이 있는 사용감을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고, 촬영의 체감을 더 높이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본 기술이 적용되는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촬상 장치(300)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장치이어도 되고, 다른 구성을 가지는 장치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표시부(317)(도 5)가 디스플레이이고, 그 디스플레이는 터치 패널로 구성되어 있는 것과 같은 장치에 대해서도 본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314)(도 5)가, 촬상 장치(300)를 구성하는 다른 부분(촬상을 행하는 촬상부)과 별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과 같은 장치에 대해서도 본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촬상부를 조작부에서 원격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장치에 대해서도 본 기술을 적응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원격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해서 본 기술을 적용하는 경우, 조작부에서, 상기한 피드백 표시가 행해진다. 조작부에 표시부를 설치하고, 그 표시부에서 상기한 피드백 표시나 라이브 뷰 화상의 표시가 행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장치에서는, 조작부와 촬상부의 사이에서, 통신이 행해지는 시간이나, 그 통신과 관계되는 처리가 행해지는 시간 등, 원격 조작을 행하지 않는 장치에서는 필요가 없는 시간도, 관계될 가능성이 있다. 즉, 원격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장치에서는, 타임 래그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종래대로, 블랙 아웃인 채의 표시가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나아가 본 기술은, 1대의 촬상부를 갖는 장치에 대해서만 적용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대의 촬상부를 갖는 장치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대의 촬상부를, 1대의 조작부에서 조작하는 것 같은 장치에 대해서도, 본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기재한 조작부로서, 스마트 폰이나 타블렛 단말 등의 휴대 단말을 사용할 수도 있다.
[기록 매체에 대해]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하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인스톨 된다. 여기서, 컴퓨터에는, 전용의 하드웨어에 포함되어 있는 컴퓨터나, 각종의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이 포함된다.
도 32는,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컴퓨터에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1001), ROM(Read Only Memory)(1002), RAM(Random Access Memory)(1003)은, 버스(1004)에 의해 서로 접속되고 있다. 버스(1004)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가 더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에는, 입력부(1006), 출력부(1007), 기억부(1008), 통신부(1009), 및 드라이브(1010)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부(1006)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등으로 이루어진다. 출력부(1007)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진다. 기억부(1008)는, 하드 디스크나 불휘발성의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통신부(1009)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으로 이루어진다. 드라이브(1010)는,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1011)를 구동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컴퓨터에서는, CPU(1001)가, 예를 들면, 기억부(1008)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 및 버스(1004)를 거쳐, RAM(1003)에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일련의 처리가 행해진다.
컴퓨터(CPU(10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패키지 미디어 등으로서의 리무버블 미디어(1011)에 기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인터넷, 디지털 위성 방송이라고 하는,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거쳐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에서는, 프로그램은, 리무버블 미디어(1011)를 드라이브(1010)에 장착함으로써,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를 거쳐, 기억부(1008)에 인스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거쳐, 통신부(1009)로 수신하고, 기억부(1008)에 인스톨 할 수 있다. 그 밖의, 프로그램은, ROM(1002)이나 기억부(1008)에, 미리 인스톨해 둘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순서에 따라 시계열로 처리가 행해지는 프로그램이어도 되고, 병렬로, 혹은 호출을 행했을 때 등의 필요한 타이밍에 처리가 행해지는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에 의해 구성되는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다른 효과가 있어도 된다.
또한, 본 기술의 실시형태는, 상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도 취할 수 있다.
(1) 복수의 화소의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소 신호에 기초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을, 스루 화상으로서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지시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스루 화상과 함께, 기록 처리를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하는
제어 장치.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마크는, 상기 표시부의 네 코너에 표시되는 제어 장치.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마크는, 오토 포커스의 프레임의 근방에 표시되는 제어 장치.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마크는, 상기 표시부의 상하에 각각 선 형상으로 표시되는 제어 장치.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마크는, 상기 표시부의 프레임에 따른 형상으로 표시되는 제어 장치.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마크는, 상기 표시부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형상으로 표시되는 제어 장치.
(7)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마크는, 상기 표시부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형상의 도형으로 복수 표시되는 제어 장치.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마크는, 정지화상인 제어 장치.
(9)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마크는, 동화상인 제어 장치.
(10)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마크는, 상기 표시부의 소정의 한 변으로부터 마주 보는 변으로, 이동하는 선인 제어 장치.
(11)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마크는, 촬영 가능 매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인 제어 장치.
(12)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마크는, 노광 시간과 대략 동일한 시간 표시되는 제어 장치.
(13) 상기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마크는, 노광 시간이 소정의 시간보다 짧을 경우, 상기 노광 시간보다 긴 시간 표시되는 제어 장치.
(14)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마크는, 셔터 버튼이 반 누름으로 되어 있는 동안, 초점 맞춤이 계속되는 모드일 때에는, 오토 포커스의 프레임에 추종한 위치에 표시되고, 다른 모드일 때에는, 상기 표시부 내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되는 제어 장치.
(15) 상기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마크는, 복수매를 연속적으로 촬상하는 연사 모드일 경우, 연사가 개시된 시점과 종료된 시점에 표시되는 제어 장치.
(16) 상기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소 신호에 기초하는, 제1 데이터 밀도로 전송된 제1 데이터와, 상기 제1 데이터 밀도와는 다른 제2 데이터 밀도로 전송된 제2 데이터를 각각 처리하고,
상기 제1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을 상기 스루 화상으로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제어 장치.
(17) 상기 (16)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지시되었을 때, 일단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제2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제어 장치.
(18) 상기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을, 스루 화상으로서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지시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스루 화상과 함께, 기록 처리를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제어 방법.
(19) 복수의 화소의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소 신호에 기초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을, 스루 화상으로서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는 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상기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지시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스루 화상과 함께, 기록 처리를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100: 이미지 센서
111: 화소 어레이부
190: 프레임 메모리
200: 화상 처리 LSI
210: 화상 처리부
312: CMOS 센서
316: 화상 처리부
317: 표시부
401 내지 409: 마크
501: AF 프레임

Claims (19)

  1. 복수의 화소의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소 신호에 기초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을, 스루 화상으로서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
    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지시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스루 화상과 함께, 기록 처리를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하고,
    상기 마크는, 노광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긴 경우에는, 상기 노광 시간과 동일한 시간동안 표시되고,
    상기 마크는, 노광 시간이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짧을 경우에는, 상기 노광 시간보다 긴 시간동안 표시되는,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는, 상기 표시부의 네 코너에 표시되는,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는, 오토 포커스의 프레임의 근방에 표시되는,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는, 상기 표시부의 상하에 각각 선 형상으로 표시되는,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는, 상기 표시부의 프레임에 따른 형상으로 표시되는,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는, 상기 표시부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형상으로 표시되는,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는, 상기 표시부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형상의 도형으로 복수 표시되는,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는, 정지화상인,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는, 동화상인, 제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는, 상기 표시부의 소정의 한 변으로부터 마주 보는 변으로, 이동하는 선인, 제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는, 촬영 가능 매수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인, 제어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는, 셔터 버튼이 반 누름으로 되어 있는 동안, 초점 맞춤이 계속되는 모드일 때에는, 오토 포커스의 프레임에 추종한 위치에 표시되고, 다른 모드일 때에는, 상기 표시부 내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되는, 제어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는, 복수매를 연속적으로 촬상하는 연사 모드인 경우, 연사가 개시된 시점과 종료된 시점에 표시되는, 제어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소 신호에 기초하는, 제1 데이터 밀도로 전송된 제1 데이터와, 상기 제1 데이터 밀도와는 다른 제2 데이터 밀도로 전송된 제2 데이터를 각각 처리하고,
    상기 제1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을 상기 스루 화상으로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제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지시되었을 때, 일단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제2 데이터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제어 장치.
  18. 복수의 화소의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소 신호에 기초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을, 스루 화상으로서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
    를 구비하는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지시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스루 화상과 함께, 기록 처리를 나타내는 마크를 표시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마크는, 노광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긴 경우에는, 상기 노광 시간과 동일한 시간동안 표시되고,
    상기 마크는, 노광 시간이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짧을 경우에는, 상기 노광 시간보다 긴 시간동안 표시되는,
    제어 방법.
  19. 복수의 화소의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소 신호에 기초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 의해 처리된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을, 스루 화상으로서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부
    를 구비하는 제어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에,
    상기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를 기록하는 지시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스루 화상과 함께, 기록 처리를 나타내는 마크 표시를 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마크는, 노광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긴 경우에는, 상기 노광 시간과 동일한 시간동안 표시되고,
    상기 마크는, 노광 시간이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짧을 경우에는, 상기 노광 시간보다 긴 시간동안 표시되는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97016739A 2016-12-19 2017-12-06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4239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45101 2016-12-19
JP2016245101 2016-12-19
JP2017081744 2017-04-18
JPJP-P-2017-081744 2017-04-18
PCT/JP2017/043758 WO2018116824A1 (ja) 2016-12-19 2017-12-06 制御装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005A KR20190097005A (ko) 2019-08-20
KR102423994B1 true KR102423994B1 (ko) 2022-07-25

Family

ID=62627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6739A KR102423994B1 (ko) 2016-12-19 2017-12-06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63612B2 (ko)
EP (1) EP3557860A4 (ko)
JP (1) JP7028189B2 (ko)
KR (1) KR102423994B1 (ko)
CN (2) CN110063054A (ko)
WO (1) WO20181168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53272B2 (ja) * 2017-10-23 2021-10-2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制御装置
JP7377048B2 (ja) 2019-09-30 2023-11-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及び撮像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5188A (ja) * 2012-06-08 2013-12-19 Sony Corp 撮像素子、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062114A (ja) 2014-09-12 2016-04-25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8948A (ja) * 2001-06-22 2003-01-10 Fuji Photo Film Co Ltd 電子カメラ及びその画像表示方法並びに画像記録方法
WO2005122556A1 (en) * 2004-06-07 2005-12-2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device and image pickup system
US9374494B2 (en) * 2004-09-08 2016-06-21 Sony Corpor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JP4371049B2 (ja) * 2004-12-22 2009-11-2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ガイドフレーム表示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086407B1 (ko) * 2005-03-15 2011-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효율적 재생 동작을 위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사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CN101715061B (zh) * 2005-12-06 2012-07-0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数字相机、相机机身及该数字相机的控制方法
JP2008017238A (ja) * 2006-07-07 2008-01-24 Casio Comput Co Ltd 撮像装置、スルー画像表示制御方法、及びスルー画像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09232227A (ja) * 2008-03-24 2009-10-08 Sanyo Electric Co Ltd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CN101715064A (zh) * 2008-10-06 2010-05-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影像撷取装置及其影像拍摄方法
JP4655135B2 (ja) * 2008-10-22 2011-03-23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領域表示方法および撮像領域表示プログラム
JP2010141582A (ja) 2008-12-11 2010-06-24 Olympus Imaging Corp カメラ、連写タイミング設定方法および連写タイミング設定用プログラム
JP2011160412A (ja) * 2010-01-06 2011-08-18 Panasonic Corp 撮像装置
JP5439197B2 (ja) * 2010-01-15 2014-03-12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撮像プログラム
JP5240213B2 (ja) * 2010-02-09 2013-07-17 株式会社リコー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5630146B2 (ja) 2010-08-23 2014-11-26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2099917A (ja) * 2010-10-29 2012-05-24 Sanyo Electric Co Ltd 撮像装置
US9041853B2 (en) * 2010-12-01 2015-05-26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Mobile terminal, method of image processing, and program
JP5862126B2 (ja) 2011-09-06 2016-02-16 ソニー株式会社 撮像素子および方法、並びに、撮像装置
KR101956170B1 (ko) * 2012-08-29 2019-03-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의 이미지 저장 장치 및 방법
JP6160996B2 (ja) * 2012-09-12 2017-07-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
JP5725049B2 (ja) * 2013-01-24 2015-05-2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14617B1 (ko) * 2014-01-08 2020-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28468B1 (ko) * 2014-02-19 2020-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미지 처리 방법
JPWO2015146004A1 (ja) * 2014-03-28 2017-04-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
US10097755B2 (en) * 2014-09-12 2018-10-0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capturing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598028B2 (ja) * 2016-02-22 2019-10-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5188A (ja) * 2012-06-08 2013-12-19 Sony Corp 撮像素子、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062114A (ja) 2014-09-12 2016-04-25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16824A1 (ja) 2018-06-28
JPWO2018116824A1 (ja) 2019-10-24
JP7028189B2 (ja) 2022-03-02
EP3557860A1 (en) 2019-10-23
EP3557860A4 (en) 2020-01-15
CN113965704A (zh) 2022-01-21
US20190320121A1 (en) 2019-10-17
CN110063054A (zh) 2019-07-26
US11463612B2 (en) 2022-10-04
KR20190097005A (ko) 201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4583B2 (ja) 撮像装置
US9204051B2 (en) Image pickup apparatus, image pickup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JP5706654B2 (ja) 撮影機器、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63157B2 (ja) 撮影装置およびライブビュー表示方法
CN109981978B (zh) 摄像装置
US8963993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wide-range image
TW200952472A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live preview image
JP2011199565A (ja) 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185294B2 (en) Image apparatus,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EP2690861B1 (en) Apparatus and method to photograph an image
JP6659148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KR20120140036A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JP5915514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23994B1 (ko) 제어 장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WO2020195073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撮像装置
JP7292961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207360B2 (ja) 撮像装置及び画像信号処理方法
JP2006060496A (ja) 画像表示装置
JP5792273B2 (ja) カメラシステム
JP2017034344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20184697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333949B2 (ja) 撮像装置
JP2012165405A (ja) 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8035110A (ja) カメラ
JP2011166496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