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475B1 -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475B1
KR102423475B1 KR1020170152201A KR20170152201A KR102423475B1 KR 102423475 B1 KR102423475 B1 KR 102423475B1 KR 1020170152201 A KR1020170152201 A KR 1020170152201A KR 20170152201 A KR20170152201 A KR 20170152201A KR 102423475 B1 KR102423475 B1 KR 102423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composition
extract
weight
excip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5461A (ko
Inventor
오인선
이영식
신동명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2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475B1/ko
Publication of KR20190055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68Docosahexaen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7Eicosapentaen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버섯이 함유하는 유효성분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조성물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장기적으로 보관이 가능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MUSHROOM EXTRACT}
본 발명은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최근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면서 기능성 식품 소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버섯은 전통적으로 식용 자원뿐만 아니라 약용 자원으로서 사용되어 왔으며, 많은 버섯 종에서 항암 및 면역조절 기능, 성인병 예방, 노인성 치매 등에 효과가 있는 유효성분들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하는 열수 또는 주정 추출물을 건조하여 분말형태로 제조 시 활용도가 높아져 기능성 식품 원료로의 적용 범위를 넓힐 수 있다.
버섯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식물 유래 추출물의 건조에 관한 방법 및 첨가제에 의한 제형화를 적용할 수 있다. 추출물의 분말화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종래의 분무건조,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분무건조 공정은 식물성 추출물, 지질, 향료 등의 식품 원료들을 건조와 동시에 분말화할 수 있는 공정으로 식품 산업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으나, 버섯 추출물의 경우 수용성 영양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어 분무건조 공정을 통한 분말화 공정의 적용 사례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수용성 영양성분의 경우 공정조건에 따라 장시간 고온 노출 시 특유의 냄새를 유발하고 영양성분이 변질 또는 손실될 수 있어 건조물의 품질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당류의 함유로 인하여 특정 온도 이상으로 가온 시, 점도 및 점착성의 증가로 건조 효율이 감소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건조 공정을 거쳐 제조된 분말은 보관 시,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분말이 뭉치거나 녹아 내릴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부형제를 투입할 수 있다. 버섯 추출물의 분말화 공정에 부형제를 투입할 경우 버섯 추출 분말의 냄새를 차폐(masking)시킬 뿐만 아니라 추출물을 산소, 빛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수분을 차단하여 흡습성을 저감시킴으로써 식품 원료로의 적용 범위를 넓힐 수 있다. 그러나, 다량의 부형제를 투입할 경우 버섯 추출물 건조 분말 무게 당 본래의 기능 성분의 함량이 감소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건강한 식이요법을 위해서는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는 필수지방산과 같은 영양소의 섭취를 늘려 균형잡힌 영양성분의 섭취가 중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버섯으로부터 유효 성분을 추출하는 여러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실제 산업에 적용되고 있으나, 각각의 식품 원료 특성과 용도에 맞는 공정을 찾아 적용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버섯 원재료가 함유하고 있는 유효성분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물리적, 화학적 안정성을 향상시켜 보관 등에 용이한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버섯 추출 분말 및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것인,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버섯 추출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오메가-3 불포화지방산을 1 내지 100중량부 함유할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오메가-3 불포화지방산 총 중량에 대하여, 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DHA)을 0.001 내지 5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지질계 부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조성물은 레시틴, Tween80®,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또한, 상기 조성물은 탄수화물계 부형제, 단백질계 부형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조성물은 덱스트린(dextrin),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싸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락토오즈(lactose), 수크로스(sucrose), 전분(starch), 아라비아검(arabic gum), 잔탄검(xanthan gum), 구아검(guar gum), 셀룰로오즈(cellulos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알지네이트(alginate), 젤라틴(gelatin), 유청단백질, 카제인(casein), 카제인 나트륨(sodium caseinate), 카제인 칼슘(calcium caseinate)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버섯은 노루궁뎅이버섯, 송이버섯, 양송이버섯, 새송이버섯, 꽃송이버섯,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노랑느타리버섯, 싸리버섯, 능이, 팽이버섯, 목이버섯, 차가버섯, 치마버섯, 동충하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의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의하면, 버섯이 함유하는 유효성분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추출물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유효성분의 손실 없이 장기적으로 보관이 가능하다.
도 1은 흡습도 실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버섯 추출 분말 및 불포화지방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버섯 추출 분말 및 오메가-3 불포화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버섯 추출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오메가-3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을 1 내지 100중량부, 예를 들어 10 내지 40중량부, 예를 들어 10 내지 20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오메가-3 불포화지방산(ω-3 unsaturated fatty acid)은 오메가-3 고도불포화지방산(ω-3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 또는 고도불포화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라고도 불리며, 대표적으로는 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 DHA), 에이코사펜타엔산(eicosapentaenoic acid, EPA), 도코사펜타엔산(docosapentaenoic acid, DPA) 및 α-리놀렌산(α-linolenic acid, ALA) 등이 알려져 있다. 도코사헥사엔산 및 에이코사펜타엔산은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는 필수지방산의 일종으로 주로 식품을 통해서 섭취하여야 한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DHA)을 포함할 수 있다. 도코사헥사엔산은 인간이나 동물의 망막, 정액 및 두뇌조직에 풍부하게 존재하며, 특히 두뇌지방의 60%를 구성하고 있는 필수지방산이다. 도코사헥사엔산은 오메가-6 불포화지방산인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과 함께 유아의 두뇌, 눈, 신경체계의 건강한 발달을 위해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울러, 에이코사펜타엔산 및 도코사헥사엔산과 함께 건조한 눈을 개선하여 눈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기억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생리활성기능 2등급을 인정받은 개별인정형 원료로 등록된 바 있다. 오메가-9 불포화지방산으로는 올레산(oleic acid), 에루크산(erucic acid) 등이 있다. 올레산은 혈청의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고, 고밀도 콜레스테롤(HDL-콜레스테롤)의 농도는 저하시키지 않아 고지혈증 환자에게 특히 유익하며 모유에도 가장 많이 함유된 지방산으로 아기의 성장, 발달을 돕는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오메가-3 불포화지방산 총 중량에 대하여, 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DHA)을 0.001 내지 50 중량%, 예를 들어 0.5 내지 10중량%, 예를 들어 1 내지 5중량% 포함할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지질계 부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질계 부형제는 식용 유지 및 유화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출 분말에 소수성기를 도입하여 흡습성을 저하시키는 데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반면, 지질계 부형제는 추출액에 첨가할 때 상 분리가 일어날 수 있으며, 입자가 큰 에멀젼을 형성하므로 분무건조 공정 시 분말에 균일하게 적용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므로, 지질계 부형제의 함량은 예를 들어, 버섯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0중량부, 예를 들어 10 내지 30중량부, 예를 들어 10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지질계 부형제의 종류로는 구체적으로, 레시틴(lecithin), Tween80®, 지방산 에스테르(fatty acid ester)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체, 액체 등의 형태로 첨가될 수 있으나, 그 형태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탄수화물계 부형제, 단백질계 부형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자량이 큰 탄수화물계 또는 단백질계 부형제의 경우에는 상온에서 물에 쉽게 용해되기 어렵고, 뭉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각각 버섯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0중량부, 예를 들어 10 내지 30중량부, 예를 들어 10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탄수화물계 부형제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비교적 높고 그 수용액의 점도가 낮으며, 외부 산소 및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며, 예를 들어 다당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백질계 부형제는 탄수화물계 부형제에 비하여 용해도는 낮을 수 있으나, 유화액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분말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는데 용이하다. 또한, 탄수화물계 부형제는 다당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덱스트린(dextrin),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싸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락토오즈(lactose), 수크로스(sucrose), 전분(starch), 아라비아검(arabic gum), 잔탄검(xanthan gum), 구아검(guar gum), 셀룰로오즈(cellulos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백질계 부형제는 알지네이트(alginate), 젤라틴(gelatin), 유청단백질, 카제인(casein), 카제인 나트륨(sodium caseinate), 카제인 칼슘(calcium caseina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부형제를 많이 첨가하는 경우, 추출액의 상태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도 높은 수율로 분말을 제조할 수는 있으나, 본래의 추출 건조 분말에 비하여 기능성을 나타내는 유효 성분의 함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부형제로서의 유효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최소한의 양을 첨가함으로써 유효 성분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는 예를 들어,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풍미제, 착색제, 충진제, 증점제, 방부제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그 종류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추출물의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사용되는 버섯은 노루궁뎅이버섯, 송이버섯, 양송이버섯, 새송이버섯, 꽃송이버섯,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노랑느타리버섯, 싸리버섯, 능이버섯, 팽이버섯, 목이버섯, 차가버섯, 치마버섯, 동충하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노루궁뎅이버섯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버섯의 자실체, 균사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버섯 자실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버섯은 자연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재배된 것 어느 것이든 제한되지 않는다.
노루궁뎅이버섯(Hericium erinaceus)은 산호침버섯과에 속하는 식용 버섯으로 가을철 활엽수의 고목이나 생목에서 발생하며, 중국에서는 원숭이머리버섯, 곰머리버섯으로 알려져 있고, 일본에서는 야마부시타케(Yamabushitake)로 알려져 있다. 노루궁뎅이버섯에는 탄수화물, 단백질, 아미노산, 효소, 무기염류 및 비타민 등이 풍부하고, 다양한 활성 다당류가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버섯의 대표 다당류로 알려져 있는 베타글루칸(β-glucan)의 함유량이 높아 항암 및 면역기능 증대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노루궁뎅이버섯 열수추출물은 주로 수용성 식이섬유로 이루어져 있다. 식이섬유는 식물에서 발견되는 탄수화물의 일종으로 수용성 식이섬유와 불용성 식이섬유로 구분된다. 수용성 식이섬유는 대장의 장내 세균을 증가시켜 면역개선뿐만 아니라 변비에도 효과적이라 알려져 있으며, 체내 과잉 지방과 당을 흡착하여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여 혈액 내 콜레스테롤 수치와 중성지방 수치를 개선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노루궁뎅이버섯은 항암 및 면역기능을 증대시키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기억력 외 항암효과를 가진 성분을 비롯하여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은 학습 능력 또는 기억력 향상과 관련된 해마줄기세포의 세포증식과 세포분화 및 뇌신경세포의 생존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밝혀진바 있다. 또한,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물은 학습능력 향상 또는 기억력 향상을 위한 기능성 식품용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청소년 및 성인의 인지기능 향상을 위한 건강보조식품으로 적용되고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노루궁뎅이버섯 추출 분말로는 노루궁뎅이버섯 내 수분 함량이 1 내지 20%, 예를 들어 3 내지 8%가 되도록 건조하고 입자 크기가 5 내지 500um, 예를 들어 50 내지 100um가 되도록 분쇄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및 비교예: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제조
실시예 1
버섯 추출액 제조
노루궁뎅이버섯 분말(씨엔지유기농영농조합)은 수분함량 5.65%, 평균 입자크기 100um인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분말 200g에 증류수 3,000ml을 첨가하여 80℃에서 약 24시간 동안 추출하고, 실온에서 냉각 후 9,000rpm에서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인 노루궁뎅이버섯 추출액을 약 2,780g 수득하였다. 3개의 알루미늄 디쉬에 추출액을 20g씩 놓고, 120℃ 오븐에서 건조하여 전, 후 무게를 측정한 결과 4.05%의 고형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추출액 전처리
상기 추출액을 고형분 함량 8.51%가 되도록 감압 농축하고, 600g 정량한 후, 부형제를 추출액 내 최종 고형분 함량의 20%가 되도록 계산하여 12.76g을 투입하였다. 부형제로는 오메가-3 분말(중국 후이송)을 사용하였다. 부형제를 추출액 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하여 추출액의 온도를 약 80℃까지 승온시킨 후, 200rpm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출액 분말화
분무건조 조건을 입풍 온도 약 180℃, 배풍 온도 약 100℃로 설정하고, 상기 추출액 전처리 단계에서 얻어진 혼합액을 15㎖/min의 속도로 투입하여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분말을 제조하였다. 건조된 분말의 수분 함량은 5% 이하로 조절하였다.
실시예 2
부형제를 추출액 내 최종 고형분 함량의 40%가 되도록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부형제 투입 시 승온 및 교반 단계 없이 단순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부형제를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부형제를 아라비아검(arabic gum)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부형제를 카제인나트륨(sodium caseinate)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추출액 내 최종 고형분 함량에 대하여 부형제를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35% 및 Tween80® 5%로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적용 조건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구분 첨가제 투입량 전처리
실시예 1 오메가-3 분말 20% 80℃,
1시간 교반
실시예 2 오메가-3 분말 40% 80℃,
1시간 교반
실시예 3 오메가-3 분말 40% 단순 투입
비교예 1 말토덱스트린 40% 80℃,
1시간 교반
비교예 2 아리비아 검 40% 80℃,
1시간 교반
비교예 3 카제인나트륨 40% 80℃,
1시간 교반
비교예 4 말토덱스트린
Tween80®
35%
5%
80℃,
1시간 교반
실험예 1: 흡습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추출물의 흡습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각의 추출 분말을 알루미늄 디쉬에 1g씩 정량한 후 진공 데시케이터(vaccum desicator, ISOLAB, GERMANY)를 사용하여 상온, 습도 약 75% 조건에서 10시간 이후 증가한 중량을 측정하여 비교평가 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 및 도 1과 같다.
구분 흡습도
실시예 1 17.58%
실시예 2 17.21%
실시예 3 19.50%
비교예 1 26.16%
비교예 2 24.14%
비교예 3 23.31%
비교예 4 25.05%
표 2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메가-3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흡습도가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말토덱스트린을 사용한 비교예 1의 경우, 자체 조성의 흡습성이 높으므로 조해성으로 인하여 녹아내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는 흡습으로 인하여 분말이 서로 뭉쳐 고형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3은 어느 정도 성상 유지가 되는 것으로 보였으나, 흡습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예 4는 분말이 뭉쳐있는 모습을 나타내므로 장시간 보관 시 고화(cacking)될 가능성을 나타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은 분말 성상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흡습도를 저하시키는 데에도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유효성분 함량 분석
실험예 2-1: 베타글루칸 함량 분석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조성물 내의 베타글루칸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Mushroom and yeast beta-glucan kit(Megazyme Ltd.)를 사용하여 시료 내 베타글루칸을 효소반응을 통해 선택적으로 가수분해 하고, 당 함량을 분석한 후, 총 글루칸 함량과 알파글루칸 함량의 차이로 베타글루칸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베타글루칸의 함량 측정 결과 부형제가 첨가되지 않은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분말 자체의 경우 5.23%로 확인되었으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상기 부형제가 첨가되지 않은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분말은 실시예 1의 버섯 추출액 제조 과정을 통해 얻어진 추출액을 열풍건조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4.18% 3.15% 3.12% 3.18% 3.20% 3.13% 3.10%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내의 기능성 유효 성분의 함량은 첨가제의 종류 및 함량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실시예 1의 경우 4.18%로 베타글루칸의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2: 도코사헥사엔산(DHA) 함량 분석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조성물 내의 도코사헥사엔산(DHA)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Agilent사의 가스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시스템을 이용하여 식품공전 상에 기재된 지방산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된 분말은 각각 3회씩 분석을 실시하여 평균값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4와 같다.
실시예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1.8% 3.6% 3.4% - - - -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코사헥사엔산의 함량은 오메가-3 분말 투입량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의 경우 오메가-3 분말을 투입하지 않았기에 분석 시 도코사헥사엔산(DHA)가 검출되지 않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버섯 고유의 유효 성분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안정성을 향상시킨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한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버섯 추출물로, 버섯 추출 분말; 및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고,
    상기 불포화지방산이 상기 버섯 추출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오메가-3 불포화지방산을 1 내지 100중량부 함유하는 것인,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오메가-3 불포화지방산 총 중량에 대하여, 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 DHA)을 0.001 내지 50중량% 포함하는 것인,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지질계 부형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지질계 부형제가 레시틴, Tween80®,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탄수화물계 부형제, 단백질계 부형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탄수화물계 부형제가 덱스트린(dextrin),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싸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락토오즈(lactose), 수크로스(sucrose), 전분(starch), 아라비아검(arabic gum), 잔탄검(xanthan gum), 구아검(guar gum), 셀룰로오즈(cellulos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단백질계 부형제가 알지네이트(alginate), 젤라틴(gelatin), 유청단백질, 카제인(casein), 카제인 나트륨(sodium caseinate), 카제인 칼슘(calcium caseinate)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이 노루궁뎅이버섯, 송이버섯, 양송이버섯, 새송이버섯, 꽃송이버섯,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노랑느타리버섯, 싸리버섯, 능이, 팽이버섯, 목이버섯, 차가버섯, 치마버섯, 동충하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170152201A 2017-11-15 2017-11-15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423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201A KR102423475B1 (ko) 2017-11-15 2017-11-15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201A KR102423475B1 (ko) 2017-11-15 2017-11-15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461A KR20190055461A (ko) 2019-05-23
KR102423475B1 true KR102423475B1 (ko) 2022-07-20

Family

ID=66681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201A KR102423475B1 (ko) 2017-11-15 2017-11-15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3475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049B1 (ko) * 2007-05-14 2008-12-01 다윈이십일주식회사 글루코사민을 함유한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KR101200318B1 (ko) * 2010-08-26 2012-11-12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차가버섯 미세캡슐을 포함하는 우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461A (ko)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90258B1 (ja) カプセル皮膜用組成物、カプセル皮膜、これを用いたカプセル剤、及びカプセル剤の製造方法
Boateng A critical review of current technologies used to reduce ginkgotoxin, ginkgotoxin-5′-glucoside, ginkgolic acid, allergic glycoprotein, and cyanide in Ginkgo biloba L. seed
TWI764960B (zh) 至少一種甘草屬植物製劑之用途、包括該製劑之解毒劑、及該解毒劑之用途
JP2012236826A (ja) 美肌促進剤及びその利用
CN113647627A (zh) 一种粉末油脂及其制备方法
JP2014019660A (ja) 活性酸素抑制剤
dos Santos et al. Bioavailability of blackberry pomace microcapsules by using different techniques: An approach for yogurt application
KR102423475B1 (ko)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100337B1 (ko) 상황버섯을 활용한 기능성 과립차 제조방법
Cheng et al. Pine pollen: A review of its chemical composition, health effects, processing, and food applications
JP4506079B2 (ja) 血管新生阻害剤
KR20150068959A (ko) 헬리안투스 안누우스로부터 카페오일퀴닉산-풍부 추출물을 얻는 방법
KR102426186B1 (ko) 버섯 추출분말 제조 방법
JP4913340B2 (ja) カプセル剤
Egea et al. Bioactive phytochemicals from sunflower (Helianthus annuus L.) oil processing byproducts
KR20220083535A (ko) 반려동물 심장 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KR101200584B1 (ko) 발효 당침지 검정콩 스낵의 제조방법
Kapri et al. Mushroom as a source of fungal based functional foods
KR101825104B1 (ko) 초음파 처리를 이용하는 영지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US20180200314A1 (en) Euglena derived composition having biomass and immune response inducing components
WO2018062354A1 (ja) 卵殻膜含有粉末を含む腸内フローラ改善剤および腸内フローラ改善用組成物
CN108244331A (zh) 一种极易溶解的大豆肽的制备方法
JP2018102292A (ja) ローヤルゼリー素材の製造方法、ローヤルゼリー素材、ローヤルゼリー含有飲食品、及びローヤルゼリー含有化粧料
Bernal-Mercado et al. Shiitake (Lentinula edodes)
Wang et al. The protective effect of Jerusalem artichoke polysaccharides against oxidative damage to biomolecu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