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186B1 - 버섯 추출분말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버섯 추출분말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186B1
KR102426186B1 KR1020170152200A KR20170152200A KR102426186B1 KR 102426186 B1 KR102426186 B1 KR 102426186B1 KR 1020170152200 A KR1020170152200 A KR 1020170152200A KR 20170152200 A KR20170152200 A KR 20170152200A KR 102426186 B1 KR102426186 B1 KR 102426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excipient
powder
extract
extract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5460A (ko
Inventor
오인선
이영식
신동명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2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186B1/ko
Publication of KR20190055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4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free-flowing powder or instant powder, i.e. powder which is reconstituted rapidly when liquid is add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섯 추출분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유효성분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추출분말 제조 시 부형제의 첨가를 최소화함으로써 원재료가 가지는 유효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안정성을 향상시켜 장기적으로 보관이 가능한 추출분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버섯 추출분말 제조 방법{METHOD FOR PREPARING MUSHROOM EXTRACT POWDER}
본 발명은 버섯 추출분말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최근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면서 기능성 식품 소재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버섯은 전통적으로 식용 자원뿐만 아니라 약용 자원으로서 사용되어 왔으며, 많은 버섯 종에서 항암 및 면역조절 기능, 성인병 예방, 노인성 치매 등에 효과가 있는 유효성분들이 보고되었다.
버섯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식물 유래 추출물의 건조에 관한 방법 및 첨가제에 의한 제형화를 적용할 수 있다. 추출물의 분말화를 위하여 종래의 분무건조,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지만 버섯 추출물의 경우 수용성 영양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어 분무건조 공정을 통한 분말화 공정의 적용 사례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수용성 영양성분의 경우 공정조건에 따라 장시간 고온 노출 시 특유의 냄새를 유발하고 영양성분이 변질 또는 손실될 수 있어 건조물의 품질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당류의 함유로 인하여 특정 온도 이상으로 가온 시, 점도 및 점착성의 증가로 건조 효율이 감소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건조 공정을 거쳐 제조된 분말은 보관 시,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분말이 뭉치거나 녹아 내릴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부형제를 투입할 수 있다. 버섯 추출물의 분말화 공정에 부형제를 투입할 경우 버섯 추출 분말의 냄새를 차폐(masking)시킬 뿐만 아니라 추출물을 산소, 빛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수분을 차단하여 흡습성을 저감시킴으로써 식품 원료로의 적용 범위를 넓힐 수 있다. 그러나, 다량의 부형제를 투입할 경우 버섯 추출물 건조 분말 무게 당 본래의 기능 성분의 함량이 감소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부형제의 투입량을 최소화하면서도 보관 시 외부환경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분말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버섯추출물 건조 공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버섯 추출분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버섯 건조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500 내지 5000중량부의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50 내지 120℃에서 상기 건조분말로부터 열수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열수 추출액을 열수 추출액 농도의 1.5 내지 10 배수로 농축시킨 후 지질계 부형제를 첨가하여 부형제 첨가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부형제 첨가 용액을 분무건조하여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버섯 추출분말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사용되는 버섯은 노루궁뎅이버섯, 송이버섯, 양송이버섯, 새송이버섯, 꽃송이버섯,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노랑느타리버섯, 싸리버섯, 능이버섯, 팽이버섯, 목이버섯, 차가버섯, 치마버섯, 동충하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버섯 건조분말은 수분 함량이 1 내지 20%이고, 입자 크기가 5 내지 500um일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부형제 첨가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부형제 첨가 후에 50 내지 160℃로 100 내지 500rpm에서 10분 내지 2시간 동안 교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지질계 부형제는 오메가-3 불포화지방산, 오메가-6 불포화지방산, 오메가-9 불포화지방산, 레시틴, Tween80®,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버섯 건조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지질계 부형제의 함량은 1 내지 100중량부일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부형제 첨가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탄수화물계 부형제, 단백질계 부형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수화물계 부형제는 덱스트린(dextrin),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싸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락토오즈(lactose), 수크로스(sucrose), 전분(starch), 아라비아검(arabic gum), 잔탄검(xanthan gum), 구아검(guar gum), 셀룰로오즈(cellulos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단백질계 부형제는 알지네이트(alginate), 젤라틴(gelatin), 유청단백질, 카제인(casein), 카제인나트륨(sodium caseinate), 카제인칼슘(calcium caseinate)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의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섯 추출분말 제조 방법에 의하면, 버섯이 함유하는 유효성분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추출분말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장기적으로 보관이 가능하다.
도 1은 흡습도 실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버섯 추출분말 제조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버섯 건조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500 내지 5000중량부의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50 내지 120℃에서 상기 건조분말로부터 열수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열수 추출액을 열수 추출액 농도의 1.5 내지 10 배수로 농축시킨 후 지질계 부형제를 첨가하여 부형제 첨가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부형제 첨가 용액을 분무건조하여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버섯 추출분말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열수 추출액을 수득하는 추출 단계, 부형제 첨가 용액을 제조하는 전처리 단계 및 건조 단계로 분리될 수 있다. 열수 추출 단계를 통하여 유효 성분이 포함된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으며, 그 물성에 따른 전처리를 거친 후 건조시킬 수 있는데, 건조 시 예를 들어 미세분말의 제조를 위하여 일반적인 분무건조 공정을 적용할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사용되는 버섯은 노루궁뎅이버섯, 송이버섯, 양송이버섯, 새송이버섯, 꽃송이버섯,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노랑느타리버섯, 싸리버섯, 능이버섯, 팽이버섯, 목이버섯, 차가버섯, 치마버섯, 동충하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노루궁뎅이버섯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버섯의 자실체, 균사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버섯 자실체를 사용할 수 있다.
노루궁뎅이버섯(Hericium erinaceus)은 산호버섯과에 속하는 버섯으로 가을철 활엽수의 고목이나 생목에서 발생하며, 중국에서는 원숭이머리버섯, 곰머리버섯으로 알려져 있고, 일본에서는 야마부시타케(Yamabushitake)로 알려져 있다. 노루궁뎅이버섯에는 탄수화물, 단백질, 아미노산, 효소, 무기염류 및 비타민 등이 풍부하고, 다양한 활성 다당류가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버섯의 대표 다당류로 알려져 있는 베타글루칸(β-glucan)의 함유량이 높아 항암 및 면역기능 증대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버섯 건조분말은 버섯 내 수분 함량이 1 내지 20%, 예를 들어 3 내지 8%로 건조되고, 입자 크기가 5 내지 500um, 예를 들어 50 내지 100um로 분쇄된 것일 수 있다. 수분 제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열풍건조, 트레이건조, 동결건조, 감압건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버섯 건조분말의 분쇄는 볼밀, 롤러밀, 원추분쇄기, 콜로이드밀 등 업계에서 알려진 분쇄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버섯은 건조 버섯 중량 기준 약 60 내지 70%의 수용성 영양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열수추출을 통해 추출액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액은 단순 열수추출 이외에도 예를 들어, 알칼리 추출, 산 추출, 가압 열수추출 등의 추출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추출 용매로는 예를 들어 물 또는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아세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물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 용매의 함량은 버섯 건조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500 내지 5000중량부, 예를 들어 1000 내지 2000중량부, 예를 들어 1500중량부일 수 있다. 추출은 시간은 1 내지 50시간, 예를 들어 1 내지 30시간, 예를 들어 5 내지 30시간, 예를 들어 24시간 동안, 50 내지 120℃, 예를 들어 70 내지 90℃, 예를 들어 80℃의 온도에서 교반하며 진행될 수 있다.
추출 공정을 통해 수득된 추출액은 농축하여 전처리 및 분무건조 공정에 적합한 농도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농축 과정은 부형제를 투입하는 전처리 공정에서 과량의 액량으로 인한 생산 설비 규모 증가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추출액 내 고형분의 함량이 낮아 분무건조 공정 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농축이 추출액에 대하여 10배 초과로 과하게 진행될 경우, 공정 비용이 증가하고, 부형제를 투입할 때 점도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1.5 내지 10배, 예를 들어 2 내지 3배로 농축할 수 있다.
이러한 추출 공정을 통하여 수득된 추출액을 전처리 없이 바로 분무건조를 할 경우, 고온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변질될 우려가 있으며, 추출액 내에 함유되어 있는 당류에 의하여 점도 및 점착성이 증가함에 따라 분무기 벽면에 입자가 달라붙어 분말 수율이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제조된 분말은 외부의 수분을 흡수하여 뭉치거나 녹아 내리게 되어 품질 저하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분무건조 공정 전에 전처리 공정 단계가 필요하다. 상기 전처리 공정은 추출액이 분말 형태로 건조되는 과정에서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는 첨가제를 투입하여 반응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첨가제는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부형제는 지질계 부형제, 탄수화물계 부형제, 단백질 부형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지질계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탄수화물계 부형제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비교적 높고 그 수용액의 점도가 낮으며, 외부 산소 및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며, 예를 들어 다당류를 포함할 수 있다. 단백질계 부형제는 탄수화물계 부형제에 비하여 용해도는 낮을 수 있으나, 유화액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분말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는데 용이하다. 지질계 부형제는 식용 유지 및 유화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출 분말에 소수성기를 도입하여 흡습성을 저하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구체적으로, 지질계 부형제는 오메가-3 불포화지방산(omega-3 unsaturated fatty acid), 오메가-6 불포화지방산(omega-6 unsaturated fatty acid), 오메가-9 불 포화지방산(omega-9 unsaturated fatty acid), 레시틴(lecithin), Tween80®, 지방산 에스테르(fatty acid ester)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오메가-3 불포화지방산, 오메가-6 불포화지방산, 오메가-9 불포화지방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오메가-3 불포화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고, 오메가-3 불포화지방산은 예를 들어 분말 형태일 수 있으나, 그 형태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탄수화물계 부형제는 다당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덱스트린(dextrin),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싸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락토오즈(lactose), 수크로스(sucrose), 전분(starch), 아라비아검(arabic gum), 잔탄검(xanthan gum), 구아검(guar gum), 셀룰로오즈(cellulos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백질계 부형제는 알지네이트(alginate), 젤라틴(gelatin), 유청단백질, 카제인(casein), 카제인나트륨(sodium caseinate), 카제인칼슘(calcium caseina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버섯 건조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지질계 부형제의 함량을 1 내지 100중량부, 예를 들어 10 내지 40중량부, 예를 들어 10 내지 20중량부로 첨가할 수 있다. 부형제를 많이 첨가하는 경우, 추출액의 상태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도 높은 수율로 분말을 제조할 수는 있으나, 본래 추출물 건조분말에 비하여 기능성을 나타내는 유효 성분의 함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부형제로서의 유효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최소한의 양을 첨가함으로써 유효 성분의 함량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분자량이 큰 탄수화물계 또는 단백질계 부형제의 경우에는 상온에서 물에 쉽게 용해되기 어렵고, 뭉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지질계 부형제의 경우 추출액에 첨가할 때 상 분리가 일어날 수 있으며, 입자가 큰 에멀젼을 형성하므로 분무 공정 시 분말에 균일하게 적용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부형제 첨가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부형제를 첨가한 후에 50 내지 160℃, 예를 들어 70 내지 90℃, 예를 들어 80℃로 승온시킨 후, 100 내지 500rpm, 예를 들어 100 내지 300rpm, 예를 들어 200rpm으로 10분 내지 2시간, 예를 들어 30분 내지 1시간 반, 예를 들어 1시간 동안 교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승온 및 교반 단계를 통하여 추출액 내에서 부형제가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부형제 첨가 후 교반 시, 온도가 지나치게 낮거나 교반 시간이 짧을 경우 추출액 내 부형제가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아 상 분리가 일어날 수 있으며 입자가 큰 에멀젼이 형성됨에 따라 최종 제품의 품질이 고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고온에서 오랜 시간 동안 교반을 할 경우 단백질 부형제의 경우 변질되나, 지질계 부형제의 경우 산화가 촉진될 우려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및 비교예: 버섯 추출분말 제조
실시예 1
버섯 추출액 제조
노루궁뎅이버섯 분말(씨엔지유기농영농조합)은 수분함량 5.65%, 평균 입자크기 100um인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분말 200g에 증류수 3,000ml을 첨가하여 80℃에서 약 24시간 동안 추출하고, 실온에서 냉각 후 9,000rpm에서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인 노루궁뎅이버섯 추출액을 약 2,780g 수득하였다. 3개의 알루미늄 디쉬에 추출액을 20g씩 놓고, 120℃ 오븐에서 건조하여 전, 후 무게를 측정한 결과 4.05%의 고형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추출액 전처리
상기 추출액을 고형분 함량 8.51%가 되도록 감압 농축하고, 600g 정량한 후, 부형제를 추출액 내 최종 고형분 함량의 20%가 되도록 계산하여 12.76g을 투입하였다. 부형제로는 오메가-3 분말(중국 후이송)을 사용하였다. 부형제를 추출액 내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하여 추출액의 온도를 약 80℃까지 승온시킨 후, 200rpm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출액 분말화
분무건조 조건을 입풍 온도 약 180℃, 배풍 온도 약 100℃로 설정하고, 상기 추출액 전처리 단계에서 얻어진 혼합액을 15㎖/min의 속도로 투입하여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분말을 제조하였다. 건조된 분말의 수분 함량은 5% 이하로 조절하였다.
실시예 2
부형제를 추출액 내 최종 고형분 함량의 40%가 되도록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부형제 투입 시 승온 및 교반 단계 없이 단순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부형제를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부형제를 아라비아검(arabic gum)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부형제를 카제인나트륨(sodium caseinate)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추출액 내 최종 고형분 함량에 대하여 부형제를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35% 및 Tween80® 5%로 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적용 조건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구분 부형제 투입량 전처리
실시예 1 오메가-3 분말 20% 80℃,
1시간 교반
실시예 2 오메가-3 분말 40% 80℃,
1시간 교반
비교예 1 오메가-3 분말 40% 단순 투입
비교예 2 말토덱스트린 40% 80℃,
1시간 교반
비교예 3 아리비아 검 40% 80℃,
1시간 교반
비교예 4 카제인나트륨 40% 80℃,
1시간 교반
비교예 5 말토덱스트린
Tween80®
35%
5%
80℃,
1시간 교반
실험예 1: 흡습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추출분말의 흡습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각의 추출분말을 알루미늄 디쉬에 1g씩 정량한 후 진공 데시케이터(vaccum desicator, ISOLAB, GERMANY)를 사용하여 상온, 습도 약 75% 조건에서 10시간 이후 증가한 중량을 측정하여 비교평가 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 및 도 1과 같다.
구분 흡습도
실시예 1 17.58%
실시예 2 17.21%
비교예 1 19.50%
비교예 2 26.16%
비교예 3 24.14%
비교예 4 23.31%
비교예 5 25.05%
표 2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 지질계 부형제를 투입하고 용액을 승온 및 교반하는 전처리 과정을 통하여 건조된 분말의 흡습도가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말토덱스트린을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 자체 조성의 흡습성이 높으므로 조해성으로 인하여 녹아내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3은 흡습으로 인하여 분말이 서로 뭉쳐 고형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4는 어느 정도 성상 유지가 되는 것으로 보였으나, 흡습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예 5는 분말이 뭉쳐있는 모습을 나타내므로 장시간 보관 시 고화(cacking)될 가능성을 나타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는 분말 성상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흡습도를 저하시키는 데에도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유효성분 함량 분석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추출분말 내의 베타글루칸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Mushroom and yeast beta-glucan kit(Megazyme Ltd.)를 사용하여 시료 내 베타글루칸을 효소반응을 통해 선택적으로 가수분해 하고, 당 함량을 분석한 후, 총 글루칸 함량과 알파글루칸 함량의 차이로 베타글루칸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베타글루칸의 함량 측정 결과 부형제가 첨가되지 않은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분말 자체의 경우 5.23%로 확인되었으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상기 부형제가 첨가되지 않은 노루궁뎅이버섯 추출분말의 경우 실시예 1에서 제시된 버섯 추출액 제조방법으로 추출액을 제조하고 열풍건조 후 막자사발을 이용하여 분말화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4.18% 3.15% 3.12% 3.18% 3.20% 3.13% 3.10%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버섯 추출분말 내의 기능성 유효 성분의 함량은 부형제의 투입량 및 투입 방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실시예 1의 경우 4.18%로 베타글루칸의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버섯 고유의 유효 성분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면서도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한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버섯 건조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500 내지 5000중량부의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50 내지 120℃로 열수 추출하여 열수 추출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열수 추출액을 열수 추출액 농도의 1.5 내지 10 배수로 농축시킨 후 지질계 부형제를 첨가하고, 50 내지 160℃로 100 내지 500rpm에서 10분 내지 2시간 동안 교반하여 부형제 첨가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부형제 첨가 용액을 분무건조하여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질계 부형제가 오메가-3 불포화지방산, 오메가-6 불포화지방산 및 오메가-9 불포화지방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버섯 추출분말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은 노루궁뎅이버섯, 송이버섯, 양송이버섯, 새송이버섯, 꽃송이버섯, 표고버섯, 느타리버섯, 노랑느타리버섯, 싸리버섯, 능이버섯, 팽이버섯, 목이버섯, 차가버섯, 치마버섯, 동충하초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버섯 추출분말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 건조분말의 수분 함량이 1 내지 20%이고, 입자 크기가 5 내지 500um인 것인, 버섯 추출분말 제조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계 부형제가 레시틴, Tween80®, 지방산 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버섯 추출분말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 건조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지질계 부형제의 함량이 1 내지 100중량부인 것인, 버섯 추출분말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형제 첨가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탄수화물계 부형제, 단백질계 부형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첨가하는 것이며,
    상기 탄수화물계 부형제가 덱스트린(dextrin), 말토덱스트린(maltodextrin), 싸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 락토오즈(lactose), 수크로스(sucrose), 전분(starch), 아라비아검(arabic gum), 잔탄검(xanthan gum), 구아검(guar gum), 셀룰로오즈(cellulos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단백질계 부형제가 알지네이트(alginate), 젤라틴(gelatin), 유청단백질, 카제인(casein), 카제인나트륨(sodium caseinate), 카제인칼슘(calcium caseinate)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버섯 추출분말 제조 방법.
KR1020170152200A 2017-11-15 2017-11-15 버섯 추출분말 제조 방법 KR102426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200A KR102426186B1 (ko) 2017-11-15 2017-11-15 버섯 추출분말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200A KR102426186B1 (ko) 2017-11-15 2017-11-15 버섯 추출분말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460A KR20190055460A (ko) 2019-05-23
KR102426186B1 true KR102426186B1 (ko) 2022-07-27

Family

ID=66681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200A KR102426186B1 (ko) 2017-11-15 2017-11-15 버섯 추출분말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1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51262B (zh) * 2022-08-11 2023-11-17 齐鲁工业大学 一种桑蛋白提取物与壳聚糖联合降粘的喷雾干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792B1 (ko) * 2005-12-29 2007-06-21 김병갑 식물조직에서 분리한 신선한 탈수액 분무건조물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049B1 (ko) * 2007-05-14 2008-12-01 다윈이십일주식회사 글루코사민을 함유한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792B1 (ko) * 2005-12-29 2007-06-21 김병갑 식물조직에서 분리한 신선한 탈수액 분무건조물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박수정 외 3명. 노루궁뎅이 버섯 추출물을 이용한 제형가공 및 품질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3(5): 569-573(2006.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460A (ko) 2019-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rabandi et al. Effect of different carriers on microstructure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pray dried apple juice concentrate
JP2519008B2 (ja) 安定な熱水不溶性乾燥粉末
Mourão et al. Antioxidant activity of Agaricus brasiliensis basidiocarps on different maturation phases
US9961930B2 (en) Koji fermented composition, seasoning using the same, antioxidant, and food or beverage
TW201639467A (zh) 一種製備含高濃度天然維生素c的產品的方法
JP2001149042A (ja) 安定な粉末状のビタミンおよび/またはカロチノイド製品ならびにその製法
KR102426186B1 (ko) 버섯 추출분말 제조 방법
JP6930537B2 (ja) ビタミン製剤
EP2348879B1 (en) Process for producing protein microparticles
JP2018537113A5 (ko)
CN104757138A (zh) 一种以益生元和乳清浓缩蛋白为壁材的微胶囊化乳清蛋白水解物的制备及其方法
Fernandes et al. Influence of drying methods over in vitro antitumoral effects of exopolysaccharides produced by Agaricus blazei LPB 03 on submerged fermentation
JordánSuárez et al. Optimization of processing parameters for the microencapsulation of soursop (Annona muricata L.) leaves extract: Morphology,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KR101503136B1 (ko) 홍삼환의 제조 방법
KR102423475B1 (ko)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739695B1 (ko) 용해성, 항인습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홍삼농축액 과립의 제조 방법
JP3460124B2 (ja) 抽出液の乾燥方法
KR20130109502A (ko) 식물 농축 입자
KR101241308B1 (ko) 나노 분말 들깨유
KR101773026B1 (ko) 신령버섯 및 홍삼을 포함하는 쓴맛이 개선된 식품조성물
KR101865422B1 (ko) 코팅 시스템
CN114009769B (zh) 一种应用于脱油蛋黄粉复配片剂的复配填充剂
KR20200098991A (ko) 버섯을 이용한 엽산의 추출 방법
RU2516348C2 (ru)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ая добавка к пище
Ran et al. Flavor Changes in the Heat-reacted Essence of the Enzymatic Hydrolysate of Mussel under Different Heating Conditions and Drying Proce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