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2630B1 - 보강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운송 기기 - Google Patents

보강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운송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630B1
KR102422630B1 KR1020200022150A KR20200022150A KR102422630B1 KR 102422630 B1 KR102422630 B1 KR 102422630B1 KR 1020200022150 A KR1020200022150 A KR 1020200022150A KR 20200022150 A KR20200022150 A KR 20200022150A KR 102422630 B1 KR102422630 B1 KR 102422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frame
circumferential
peripheral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7324A (ko
Inventor
최정필
강다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영
Priority to KR1020200022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630B1/ko
Publication of KR20210107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7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7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forming fluid or electrical conduit means or having other means to accommodate the transmission of a force or sig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3/00Electrophoretic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는, 임의의 유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차량의 프레임인 프레임부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보강 부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내측 공간 내에 배치되는 가림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림본체부는, 상기 가림본체부에 남겨진 잔여 유체가 상기 가림본체부의 둘레를 지나쳐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가림본체부의 일면이 함입되어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보강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운송 기기 {REINFORCING MEMBER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보강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운송 기기에 대한 것으로, 차량의 프레임에 배치되어 차량의 프레임의 내구성을 강화시키는 보강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운송 기기에 대한 것이다.
자동차는 현대 사회에서 생활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장치이다. 자동차는 여러 가지 인자들을 고려하여 복잡한 설계와 제조 공정을 거쳐져서 생산되고 있다. 여기서, 여러 가지 공정 중에서 외부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과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서 내구성 강화가 중요한 요소로서 인식되고 있다.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의=코팅은 외부에서 보이는 차량의 외부 코팅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차량의 내부 코팅도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자동차 조립 과정 중에서 차량의 프레임들을 조립한 뒤에 차량이 프레임들을 전착액 수조에 담가, 차량 프레임의 내 외부 코팅을 전반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여기서, 전착액이 차량 프레임 내측에 전반적으로 도포되도록, 차량 프레임의 내측에는 전착액이 유동되고 배출될 수 있는 내측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 공간의 내구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보강 부재(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24014호, 2004. 03. 10, 등록)가 상기 내측 공간에 배치되고 있다.
여기서,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보강 부재가 전착액의 유동을 방해하여, 잔여 전착액이 자동차 차체 내부에 남게 되어, 차량의 중량 증가, 미관 손상 및 전착액 낭비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차량 제조 과정 중에서 전착액의 낭비를 감소시키고, 차량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강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운송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는, 임의의 유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차량의 프레임인 프레임부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보강 부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내측 공간 내에 배치되는 가림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림본체부는, 상기 가림본체부에 남겨진 잔여 유체가 상기 가림본체부의 둘레를 지나쳐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가림본체부의 일면이 함입되게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림본체부의 중심을 통과하며 중력 방향을 포함하는 가상의 선인 중력 라인의 상기 가림본체부 위로의 정사영인 정사영 라인을 적어도 일부 포함하는 가상의 선인 제1 라인과 상기 가림본체부의 중심을 통과하여 상기 제1 라인과 직교하는 가상의 선인 제2 라인에 대해서, 상기 제2 라인의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가림본체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 라인의 하측과 상기 제1 라인의 일측에 위치되는 상기 가림본체부 중에서 상기 제2 라인의 하측과 상기 제1 라인의 타측에 위치되는 상기 가림본체부 보다 더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가림본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림본체부는, 둘레 부분인 가림둘레부와 상기 가림둘레부와 단차지게 형성되는 가림중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림둘레부의 일부가 함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림둘레부는, 상기 가림중심부와 연결되는 둘레본체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둘레본체부가 내측에 제공하는 공간으로서 상기 가림본체부의 방사 방향으로 개구된 공간인 둘레 공간에 배치되는 형상변형부를 구비하며,상기 형상변형부는, 제1 상태일 경우, 상기 가이드부를 폐쇄하지 않고, 제2 상태일 경우, 형상이 변형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폐쇄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둘레본체부는, 상기 가림중심부와 연결되며 상기 가림본체부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둘레부, 상기 중심둘레부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측둘레부 및 상기 중심둘레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가림본체부의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측둘레부를 구비하며, 상기 형상변형부는, 상기 중심둘레부, 상기 일측둘레부 및 상기 타측둘레부가 제공하는 공간인 상기 둘레 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일측둘레부의 일부와 상기 중심둘레부의 일부가 함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일측둘레부의 일부가 함입되는 동시에 상기 중심둘레부의 일부가 상기 가림중심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림본체부는, 둘레 부분인 가림둘레부와 상기 가림둘레부와 단차지게 형성되는 가림중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림둘레부의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림둘레부는, 상기 가림중심부와 연결되는 둘레본체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둘레본체부가 내측에 제공하는 공간으로서 상기 가림본체부의 방사 방향으로 개구된 공간인 둘레 공간에 배치되는 형상변형부를 구비하며, 상기 형상변형부는, 제1 상태일 경우, 상기 가이드부를 폐쇄하지 않고, 제2 상태일 경우, 형상이 변형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폐쇄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둘레본체부는, 상기 가림중심부와 연결되며 상기 가림본체부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둘레부, 상기 중심둘레부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측둘레부 및 상기 중심둘레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가림본체부의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측둘레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일측둘레부의 일부, 상기 타측둘레부의 일부 및 상기 형상변형부의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림본체부는, 둘레 부분인 가림둘레부와 상기 가림둘레부와 단차지게 형성되는 가림중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림둘레부의 둘레 전체의 일부 두께가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림둘레부는, 상기 가림중심부와 연결되는 둘레본체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둘레본체부가 제공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형상변형부를 구비하고, 상기 형상변형부는, 제1 상태일 경우, 상기 가이드부를 폐쇄하지 않고, 제2 상태일 경우, 형상이 변형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폐쇄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되며, 상기 둘레본체부는, 상기 가림중심부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둘레부 및 상기 중심둘레부의 단부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측둘레부를 구비하며, 상기 형상변형부는, 상기 중심둘레부와 상기 타측둘레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는, 임의의 유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차량의 프레임인 프레임부 - 상기 프레임부는 제1 프레임부 및 소정의 틈이 형성되게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이격되는 제2 프레임부를 구비함 -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보강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내측 공간 내에 배치되는 가림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림본체부는, 가림중심부와 상기 가림중심부의 둘레와 연결되는 가림둘레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림둘레부는, 상기 가림중심부와 연결되는 둘레본체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둘레본체부가 내측에 제공하는 공간으로 상기 가림본체부의 방사 방향으로 개구된 공간인 둘레 공간에 배치되는 형상변형부를 구비하고, 상기 형상변형부는, 상기 둘레본체부의 일면이 함입되게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며, 제1 상태일 경우,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상기 제2 프레임부가 이루는 소정의 틈을 폐쇄시키지 못하고, 제2 상태일 경우, 팽창되어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상기 제2 프레임부가 이루는 소정의 틈을 폐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형상변형부는, 열에 의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둘레본체부는, 제1 둘레본체부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상기 제1 둘레본체부에 연결되는 제2 둘레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적어도 절반 길이 이상의 상기 제2 둘레본체부의 일면이 함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 기기는, 하중을 지지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배치되면서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내측 공간 내에 배치되는 가림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림본체부는, 상기 가림본체부에 남겨진 잔여 유체가 상기 가림본체부의 둘레를 지나쳐 일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가림본체부의 일면이 함입되게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운송 기기는 전착액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유체의 유동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좌, 우 차체 프레임 모두에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금형 제작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좌, 우 자체 프레임 모두에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좌, 우 프레임에 잘못된 부품을 조립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자동차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는 유체를 배출 공정 중에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제조 공정 중에서 유체가 배출되어, 발생되는 공장 오염 또는 환경 오염을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차량의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의 전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X-X' 및 Y-Y'에 대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차량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의 전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의 전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차량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의 전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의 전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차량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차량의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프레임인 프레임부(P10)는 내측에 임의의 유체가 유동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인 내측 공간(S10)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임의의 유체는 전착액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임의의 유체의 종류는 차량 제조에 활용되는 모든 종류의 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공간(S10)에 보강 부재(10)가 배치되고, 보강 부재(10)의 일부는 상기 프레임부(P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부재(10)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프레임부(P10)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보강 부재(10)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X-X' 및 Y-Y'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는 임의의 유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차량의 프레임인 프레임부(P10, 도 1 참조)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 공간(S10)에 배치되는 보강 부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P10)에 결합되는 체결부(100) 및 상기 체결부(100)와 연결되며 상기 내측 공간(S10) 내에 배치되는 가림본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림본체부(200)는 둘레 부분인 가림둘레부(210)와 상기 가림둘레부(210)와 단차지게 형성되는 가림중심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림둘레부(210)는 상기 가림중심부(220)와 연결되는 둘레본체부(211)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둘레본체부(211)가 내측에 제공하는 공간으로서 상기 가림본체부(200)의 방사 방향으로 개구된 공간인 둘레 공간(S211)에 배치되는 형상변형부(212)를 구비할 수 있다.
체결부(100)는 둘레본체부(211)에 연결될 수 있다.
체결부(100)는 상기 둘레본체부(211)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체결부(100)는 프레임부(P10)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상기 가림본체부(200)를 상기 프레임부(P10)에 가 고정시킬 수 있다.
체결부(100), 가림중심부(220) 및 둘레본체부(21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체결부(100), 상기 가림중심부(220) 및 상기 둘레본체부(211)는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둘레본체부(211)는 가림중심부(220)의 둘레에 연결될 수 있다.
둘레본체부(211)는 상기 가림중심부(220)와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둘레본체부(211)는 상기 가림중심부(220)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둘레본체부(211)는 상기 가림중심부(220)의 일면과 타면에 대해서 양 쪽의 두께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는 차량의 좌측 프레임 또는 우측 프레임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가림중심부(220)가 둘레본체부(211)로부터 함입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체가 보강 부재에 방해 받지 않고 내측 공간(S10) 상에서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형상변형부(212)는 제1 상태일 경우 접착성을 띄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상태일 경우 접착성을 띌 수 있다.
형상변형부(212)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될 경우, 부피가 팽창될 수 있다.
형상변형부(212)는 열에 의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될 수 있다.
일례로, 형상변형부(212)는 구조용 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형상변형부(212)는 둘레본체부(211)가 제공하는 둘레 공간(S211)에 배치될 수 있다.
형상변형부(212)는 상기 둘레 공간(S211)에 배치되는 형상변형본체부(212a)는 상기 형상변형본체부(212a)에 연결되면서 상기 둘레본체부(211)에 연결되어 상기 형상변형본체부(212a)가 상기 둘레 공간(S21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방지부(212b)는 구비할 수 있다.
분리방지부(212b)는 상기 형상변형본체부(212a)의 일면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방지부(212b)는 후술하는 중심둘레부(211a)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분리방지부(212b)는 상기 형상변형본체부(212a)에 연결되는 제1 분리방지부(212b-1)와 상기 제1 분리방지부(212b-1)와 연결되며 상기 중심둘레부(211a) 내측에 위치되는 제2 분리방지부(212b-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분리방지부(212b-2)의 폭은 상기 제1 분리방지부(212b-1)의 폭 보다 더 클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둘레본체부(211)는 상기 가림중심부(220)와 연결되며 상기 가림중심부(220)의 일면 및 타면으로부터 상기 가림본체부(200)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중심둘레부(211a), 상기 중심둘레부(211a)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가림본체부(200)의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측둘레부(211b) 및 상기 중심둘레부(211a)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가림본체부(200)의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가림중심부(220)를 기준으로 상기 일측둘레부(211b)와 대칭되어 형성되는 타측둘레부(211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심둘레부(211a), 상기 일측둘레부(211b) 및 상기 타측둘레부(211c)는 상기 둘레 공간(S211)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체결부(100), 상기 가림중심부(220), 상기 둘레본체부(211) 및 상기 형상변형부(212)는 이중 사출로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100), 상기 가림중심부(220) 및 상기 둘레본체부(211)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체결부(100), 상기 가림중심부(220) 및 상기 둘레본체부(211)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형상변형본체부(212a)는 상기 일측둘레부(211b)와 상기 타측둘레부(211c)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림본체부(200)에 남겨진 잔여 유체가 상기 가림본체부(200)의 둘레를 지나쳐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가림본체부(200)에는 상기 가림본체부(200)의 일면이 함입되게 가이드부(G10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G100)는 상기 가림둘레부(210)의 일부가 함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여기서, 전착액의 점성 때문에, 잔여 전착액이 둘레본체부(211)와 가림중심부(220)의 단차 부분에 고일 수 있다.
이 때, 전착액은 중력 방향으로 유동되기 때문에, 가장 하측에 위치되는 둘레본체부(211)와 가림중심부(220)의 단차 부분에 가장 많은 전착액이 고일 수 있다.
이를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해, 가이드부(G100)가 상술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부(G100)는 상기 일측둘레부(211b)의 일부와 상기 중심둘레부(211a)의 일부가 함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둘레본체부(211)가 상기 체결부(100)가 연결되는 제1 둘레본체부(211-1), 상기 제1 둘레본체부(211-1)의 일단부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결되는 제2 둘레본체부(211-2), 상기 제1 둘레본체부(211-1)의 타단부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연결되는 제3 둘레본체부(211-3) 및 상기 제2 둘레본체부(211-2)와 상기 제3 둘레본체부(211-3)에 연결되는 제4 둘레본체부(211-4)로 이루어진다고 가정할 경우, 상기 가이드부(G100)는 상기 제2 둘레본체부(211-2)와 상기 제4 둘레본체부(211-4)가 연결되는 부근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G100)는 상기 제2 둘레본체부(211-2)의 일 부분이 함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좌, 우 차량 프레임에 통용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일측둘레부(211b)의 일부, 상기 중심둘레부(211a)의 일부 및 상기 타측둘레부(211c)의 일부가 함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가이드부(G100)는 상기 일측둘레부(211b)의 일부, 상기 중심둘레부(211a)의 일부만 함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형상변형부(212)의 일부도 함입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형상변형부(212)의 일부는 함입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상기 형상변형부(212)의 일부의 두께 방향 양 단부가 함입될 수 있다.
여기서, 일측둘레부(211b)의 일부라는 것의 의미는 일부 길이의 일측둘레부(211b)라는 것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타측둘레부(211c)의 일부라는 것의 의미는 일부 길이의 타측둘레부(211c)라는 것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중심둘레부(211a)의 일부라는 것의 의미는 일부 길이의 중심둘레부(211a)라는 것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형상변형부(212)의 일부라는 것의 의미는 일부 길이의 형상변형부(212)라는 것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가이드부(G100)는 일부 길이의 일측둘레부(211b)와 일부 길이의 타측둘레부(211c)가 전체적으로 함입(관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G100)는 상기 타측둘레부(211c)의 일부, 상기 일측둘레부(211b)의 일부가 함입되는 동시에 상기 중심둘레부(211a)의 일부가 상기 가림중심부(220)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G100)는 상기 일측둘레부(211b)의 일부가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가이드부(G110) 및 상기 타측둘레부(211c)의 일부가 함입되어 형성되되 상기 가림중심부(220)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가이드부(G110)와 대칭되어 형성되는 제2 가이드부(G12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부(G110) 및 상기 제2 가이드부(G120)는 각각 상기 일측둘레부(211b) 및 상기 타측둘레부(211c)의 일부가 함입되는 동시에 상기 상기 중심둘레부(211a)의 일부가 상기 가림중심부(220)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임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가림중심부(220)와 상기 둘레본체부(211)의 단차에 의해 유체가 가이드부(G100)로 효과적으로 유동되지 않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차량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형상변형부(212)가 제1 상태일 경우 상기 형상변형부(212)는 상기 가이드 부를 폐쇄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형상변형부(212)가 제2 상태일 경우 상기 형상변형부(212)는 형상이 변형되어 상기 가이드부(G100)를 폐쇄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부(P1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체결부(100)가 프레임부(P10)에 연결되어, 보강 부재가 프레임부(P10)에 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 부재의 가림본체부(구체적으로, 둘레본체부(211))는 상기 프레임부(P10)의 내면과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차량 프레임 조립체를 액체가 담긴 수조에 담근 후에, 수조로부터 인출시킬 경우, 액체는 중력에 의해 내측 공간(S10)에서 일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여기서, 액체는 상기 둘레본체부(211)와 상기 프레임부(P10) 사이 이격 공간을 통하여 일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대부분의 액체가 차량 프레임 조립체로부터 배출된 후, 잔여 유체(F100)는 상기 가이드부(G100)를 통해 일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유체를 차량용 프레임 조립체로부터 일정 정도 시간 동안 배출시킨 후, 상기 차량용 프레임 조립체에 열을 인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형상변형부(212)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어 팽창될 수 있다.
상기 형상변형부(212)(일례로, 형상변형본체부(212a))는 팽창하면서 접착성의 성질을 띄게 되어, 상기 둘레본체부(211)와 상기 프레임부(P10) 사이의 이격 공간을 메우면서 상기 둘레본체부(211)를 상기 프레임부(P10)에 부착,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형상변형부(212)가 팽창되면서 상기 둘레본체부(211)의 일부가 함입되게 형성된 가이드부(G100)가 폐쇄될 수 있다.
상기 형상변형부(212)가 제2 상태일 경우, 상기 보강 부재를 지나쳐 일 방향으로 유동되지 못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의 전체 사시도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의 가림본체부(200)는둘레 부분인 가림둘레부(210)와 상기 가림둘레부(210)와 단차지게 형성되는 가림중심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G200)는 상기 가림둘레부(210)의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림둘레부(210)는 상기 가림중심부(220)와 연결되는 둘레본체부(211)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둘레본체부(211)가 내측에 제공하는 공간으로서 상기 가림본체부(200)의 방사 방향으로 개구된 공간인 둘레 공간(S211)에 배치되는 형상변형부(21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형상변형부(212)가 제1 상태일 경우 상기 형상변형부(212)는 상기 가이드부(G200)를 폐쇄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형상변형부(212)가 제2 상태일 경우 상기 형상변형부(212)는 형상이 변형되어 상기 가이드부(G200)를 폐쇄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부(P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둘레본체부(211)는 상기 가림중심부(220)와 연결되며 상기 가림본체부(20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둘레부(211a), 상기 중심둘레부(211a)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측둘레부(211b) 및 상기 중심둘레부(211a)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가림본체부(200)의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측둘레부(211c)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G200)는 상기 중심둘레부(211a)의 일부가 함입되고, 상기 일측둘레부(211b)의 일부, 상기 타측둘레부(211c)의 일부와 상기 형상변형부(212)의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둘레부(211a)의 일부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일부 길이의 일측둘레부(211b), 일부 길이의 타측둘레부(211c) 및 일부 길이의 형상변형부(212)는가 전체적으로 함입(관통)될 수 있다.
이는, 가이드부(G200) 상에서 유체의 이동 양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차량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는 임의의 유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차량의 프레임인 프레임부 - 상기 프레임부는 제1 프레임부 및 소정의 틈이 형성되게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이격되는 제2 프레임부를 구비함 -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보강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체결부(100) 및 상기 체결부(100)와 연결되며 상기 내측 공간내에 배치되는 가림본체부(20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림본체부(200)는 가림중심부(220)와 상기 가림중심부(220)의 둘레와 연결되는 가림둘레부(210)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가림둘레부(210)는 상기 가림중심부(220)와 연결되는 둘레본체부(211)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둘레본체부(211)가 내측에 제공하는 공간으로 상기 가림본체부(200)의 방사 방향으로 개구된 공간인 둘레 공간(S211)에 배치되는 형상변형부(2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형상변형부(212)는 상기 둘레본체부(211)의 일면이 함입되게 가이드부(G300)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일면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가이드부(G300)는 일부 길이의 일측둘레부(211b)와 일부 길이의 타측둘레부(211c)가 전체적으로 함입(관통)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가이드부(G300)는 상기 일측둘레부(211b)의 일부와 상기 중심둘레부(211a)의 일부만 함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부 길이의 형상변형부(212)의 두께 방향의 양측 일면이 함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일부 길이의 형상변형부(212)의 두께 방향의 양측 일면이 함입되지 않을 수 있다.
가이드부(G300)는 일 변을 이루는 둘레본체부(211)의 적어도 절반 길이 이상에 대해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가이드부(G300)는 적어도 절반 길이 이상의 상기 제2 둘레본체부(211-2)의 일면이 전체적으로 함입(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심둘레부(211a)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도 8(a)을 참조하면, 체결부(100)가 제1 프레임부(P11)에 연결되어 상기 보강 부재(300)가 상기 제1 프레임부(P11)에 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프레임부(P11) 상측에 상기 제2 프레임부(P12)가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프레임부(P11)와 상기 제2 프레임부(P12) 사이에는 소정의 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보강 부재에 열이 인가되는 경우, 보강 부재의 형상변형부(212)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어 팽창될 수 있다.
상기 형상변형부(212)가 제1 상태일 경우, 상기 제1 프레임부(P11)와 상기 제2 프레임부(P12)가 이루는 소정의 틈을 폐쇄시키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상변형부(212)가 제2 상태일 경우, 제1 상태일 경우와 비교하여 팽창되어 상기 제1 프레임부(P11)와 상기 제2 프레임부(P12)가 이루는 소정의 틈을 폐쇄시킬 수 있다.
형상변형부(212)는 둘레본체부(211)와 가림중심부(220)를 프레임부(P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프레임부(P10) 간에 형성되는 틈을 밀폐시키는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운송기기(차량)의 소음,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송 기기는, 하중을 지지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배치되면서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실시예의 보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내측 공간 내에 배치되는 가림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림본체부는 상기 가림본체부에 남겨진 잔여 유체가 상기 가림본체부의 둘레를 지나쳐 일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가림본체부의 일면이 함입되게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의 전체 사시도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의 가림중심부(1220)에는 상기 가림중심부(1220)의 중심이 포함되도록 일면에서부터 타면이 관통된 중앙통로부(h12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앙통로부(h1220)는 유체가 일 방향으로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유체가 이동되는 통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의 가림본체부는 상기 중앙통로부(h1220)가 형성되는 내측 공간의 일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가림중심부(1220)에 연결되는 통로개폐부(12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통로개폐부(1230)는 제1 상태일 경우 접착성을 띄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상태일 경우 접착성을 띌 수 있다.
통로개폐부(1230)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될 경우, 부피가 팽창될 수 있다.
통로개폐부(1230)는 열에 의해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될 수 있다.
일례로, 통로개폐부(1230)는 구조용 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통로개폐부(1230)가 제1 상태일 경우 내측 방향으로 소정의 공간인 유동 공간(S1230)을 제공하여, 유체는 일 방향으로 통로개폐부(1230)가 내측 방향으로 제공하는 상기 유동 공간(S1230) 상으로 유동될 수 있다.
통로개폐부(1230)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는 경우, 상기 통로개폐부(1230)가 팽창되게 되며, 상기 통로개폐부(1230)가 제2 상태일 경우, 상기 유동 공간(S1230)은 폐쇄될 수 있다.
중앙통로부와 통로개폐부의 구조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생략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가 차량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는 임의의 유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차량의 프레임인 프레임부 - 상기 프레임부는 제1 프레임부 및 소정의 틈이 형성되게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이격되는 제2 프레임부를 구비함 -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보강 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체결부(100) 및 상기 체결부(100)와 연결되며 상기 내측 공간 내에 배치되는 가림본체부(20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림본체부(200)는 가림중심부(220)와 상기 가림중심부(220)의 둘레와 연결되는 가림둘레부(210)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가림둘레부(210)는 상기 가림중심부(220)와 연결되는 둘레본체부(211)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둘레본체부(211)가 제공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형상변형부(212)를 구비할 수 있다.
둘레본체부(1211)는 상기 가림중심부(220)의 둘레에 연결되는 중심둘레부(1211a) 및 상기 중심둘레부(1211a)의 단부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측둘레부(1211c)를 구비할 수 있다.
중심둘레부(1211a)는 상기 가림중심부(220)의 둘레부분으로부터 전후 방향(두께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심둘레부(1211a)의 전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심둘레부(1211a)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타측둘레부(12111c)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형상변형부(212)는 상기 중심둘레부(1211a)와 상기 타측둘레부(1211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심둘레부(1211a)의 측면과 상기 타측둘레부(1211c) 정면 사이에 상기 형상변형부(212)가 배치될 수 있다.
형상변형부(212)와 중심둘레부(1211a) 간의 관계는 상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한도에서 될 수 있다.
가이드부(400)은 형상변형부(212)의 정면과 상기 중심둘레부(1211a)의 전단부 경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 부재 관점으로 설명하자면, 가이드부는 일측둘레부 전부가 함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림둘레부의 둘체 전체의 일부 두께가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림둘레부 전체적으로 가이드부(G400)가 형성되기 때문에, 전착액이 더욱 효과적으로 유동될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체결부(100)가 제1 프레임부(P11)에 연결되어 상기 보강 부재(300)가0 상기 제1 프레임부(P11)에 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프레임부(P11) 상측에 상기 제2 프레임부(P12)가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프레임부(P11)와 상기 제2 프레임부(P12) 사이에는 소정의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1 프레임부(P11)와 상기 제2 프레임부(P12) 사이에는 소정의 틈의 후측에 상기 보강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보강 부재에 열이 인가되는 경우, 보강 부재의 형상변형부(212)는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상태 변화되어 팽창될 수 있다.
상기 형상변형부(212)가 제1 상태일 경우, 상기 제1 프레임부(P11)와 상기 제2 프레임부(P12)가 이루는 소정의 틈을 폐쇄시키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상변형부(212)가 제2 상태일 경우, 제1 상태일 경우와 비교하여 팽창되어 상기 제1 프레임부(P11)와 상기 제2 프레임부(P12)가 이루는 소정의 틈을 폐쇄시킬 수 있다.
형상변형부(212)는 둘레본체부(211)와 가림중심부(220)를 프레임부(P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프레임부(P10) 간에 형성되는 틈을 밀폐시키는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타측둘레부(1211c)의 가이드로인해, 형상변형부(212)는 상기 중심둘레부(1211a)의 전단부 방향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팽창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없거나 떨어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표현하거나 생략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 체결부 200 : 가림본체부
210 : 가림둘레부 220 : 가림중심부

Claims (8)

  1. 임의의 유체가 유동될 수 있도록 차량의 프레임인 프레임부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보강 부재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에 결합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내측 공간 내에 배치되는 가림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림본체부는,
    상기 가림본체부에 남겨진 잔여 유체가 상기 가림본체부의 둘레를 지나쳐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가림본체부의 일면이 함입되게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림본체부는,
    둘레 부분인 가림둘레부와 상기 가림둘레부와 단차지게 형성되는 가림중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림둘레부의 일부가 함입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림둘레부는,
    상기 가림중심부와 연결되는 둘레본체부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둘레본체부가 내측에 제공하는 공간으로서 상기 가림본체부의 방사 방향으로 개구된 공간인 둘레 공간에 배치되는 형상변형부를 구비하며,
    상기 형상변형부는,
    제1 상태일 경우, 상기 가이드부를 폐쇄하지 않고,
    제2 상태일 경우, 형상이 변형되어 상기 가이드부를 폐쇄하는 동시에 상기 프레임부에 연결되고,
    상기 둘레본체부는,
    상기 가림중심부와 연결되며 상기 가림중심부의 일면 및 타면으로부터 상기 가림본체부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중심둘레부, 상기 중심둘레부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가림본체부의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측둘레부 및 상기 중심둘레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가림본체부의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가림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일측둘레부와 대칭되어 형성되는 타측둘레부를 구비하며,
    상기 형상변형부는,
    상기 중심둘레부, 상기 일측둘레부 및 상기 타측둘레부가 제공하는 공간인 상기 둘레 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일측둘레부의 일부가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타측둘레부의 일부가 함입되어 형성되되 상기 가림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가이드부와 대칭되어 형성되는 제2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보강 부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일측둘레부 및 상기 타측둘레부의 일부가 함입되는 동시에 상기 중심둘레부의 일부가 상기 가림중심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입되게 형성되어 있는,
    보강 부재.
  8. 하중을 지지하는 프레임부; 및
    제1항에 따른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운송 기기.
KR1020200022150A 2020-02-24 2020-02-24 보강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운송 기기 KR102422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150A KR102422630B1 (ko) 2020-02-24 2020-02-24 보강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운송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150A KR102422630B1 (ko) 2020-02-24 2020-02-24 보강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운송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324A KR20210107324A (ko) 2021-09-01
KR102422630B1 true KR102422630B1 (ko) 2022-07-20

Family

ID=77780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150A KR102422630B1 (ko) 2020-02-24 2020-02-24 보강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운송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26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2152A (ja) * 2000-05-01 2003-10-28 シカ コーポレーション バッフルおよび補強用アセンブリ
JP2004004445A (ja) * 2002-04-11 2004-01-08 Kyowa Sangyo Kk 中空構造物の中空室遮断具
JP2005319844A (ja) * 2004-05-06 2005-11-17 Nitto Denko Corp 発泡充填部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2152A (ja) * 2000-05-01 2003-10-28 シカ コーポレーション バッフルおよび補強用アセンブリ
JP2004004445A (ja) * 2002-04-11 2004-01-08 Kyowa Sangyo Kk 中空構造物の中空室遮断具
JP2005319844A (ja) * 2004-05-06 2005-11-17 Nitto Denko Corp 発泡充填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324A (ko) 202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30201B (zh) 车辆用树脂后尾门
WO2010029989A1 (ja) 自動車の給油口構造
US20140020969A1 (en) Battery box
JP2009067360A (ja) 車両用ドア
JP6051644B2 (ja) 樹脂製ドア構造
KR102422630B1 (ko) 보강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운송 기기
JP4798617B2 (ja) 射出成形品
EP3395654A1 (en) Vehicle rear portion structure
EP3124305A1 (en) A liquid vehicle tank comprising fastened component
KR20220051314A (ko) 보강 부재
JP2017077850A (ja) ドアシール構造
CN206436806U (zh) 密封条固定结构
JP2009078665A (ja) ドアウエザストリップ
JP6905663B2 (ja) 車両用ドアのシール構造
JP2018079782A (ja) 板材の接合構造
KR20210050104A (ko) 테일게이트 모듈의 이너패널 및 보강재 조립구조
JP2013001290A (ja) 車両用ドア
US20190152536A1 (en) Vehicle rear portion structure
KR20170002899A (ko) 자동차의 쿼터글라스 어셈블리
JP2007331486A (ja) 輸送用液体タンクのスロッシング制御装置
JPWO2018151082A1 (ja) フィラーパイプ用スリーブ体、及び給油部構成装置
JP6102580B2 (ja) 車両ドア用ロアサッシュ
JP7059895B2 (ja) ドアガーニッシュ構造
JP7304673B2 (ja) 車両用サイドドア構造
JP7466171B2 (ja) 注出具および包装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