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2570B1 - 실드 커넥터 및 그 접속방법 - Google Patents

실드 커넥터 및 그 접속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570B1
KR102422570B1 KR1020170176790A KR20170176790A KR102422570B1 KR 102422570 B1 KR102422570 B1 KR 102422570B1 KR 1020170176790 A KR1020170176790 A KR 1020170176790A KR 20170176790 A KR20170176790 A KR 20170176790A KR 102422570 B1 KR102422570 B1 KR 102422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wire
connector
disconnection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2155A (ko
Inventor
야스오 요시우라
가쓰히사 세리자와
Original Assignee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32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01R13/6593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the shield being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1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for shielded multiconductor cable
    • H01R13/65918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for shielded multiconductor cable wherein each conductor is individually surrounded by shie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4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7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단부의 실드부를 제거하여 이루어지는 실드단선과 접속단자의 접속작업에 따르는 임피던스 부정합을 야기하는 것을 최대한으로 억제한다.
(해결수단)
실드전선(30)의 단부의 외부 실드부(36)를 제거하여 복수개의 실드단선(31) 및/또는 실드단선(32)을 노출시키고, 이렇게 노출된 각 실드단선(31) 및/또는 실드단선(32)의 선단의 도체에 접속단자(38)를 접속하고, 이 접속단자(38)를 인너 하우징(39)에 의하여 지지하고, 이 인너 하우징(39)과 상기 실드단선을 실드쉘(42)로 피복하고, 이 실드쉘(42)과 일체의 고착편(47)으로 상기 실드전선(30)의 단부에 고착시켜서 이루어지는 실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실드쉘(42)에 커넥터의 실드부재(43)를 설치하고, 이 커넥터의 실드부재(43)를, 노출된 상기 실드단선(31) 및/또는 실드단선(32)의 단선실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해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실드 커넥터 및 그 접속방법{SHIELDED CONNECTOR AND CONNECTION METHOD}
본 발명은, 1개의 실드전선(shield 電線)에 복수개의 실드단선(shield 單線)을 구비하는 복합 케이블(複合 cable)을 접속하는 실드 커넥터(shield connector)로서, 노출(露出)된 실드단선의 실드부가 오픈 그라운드(open ground)가 되는 일이 없고, 접속가공부에 있어서 대략 전역(全域)에서 임피던스(impedance)의 정합(整合)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실드 커넥터 및 그 접속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실드단선을 구비하는 복합 케이블을 실드 커넥터에 접속하는 실드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1).
이 도6에 있어서, 실드전선(10)은, 실드 커넥터(11)와의 접속부분에 있어서, 시스부(18)와 실드박(21)을 제거하여 복수개의 각 실드단선(20)을 노출시키고, 또한 각 실드단선(20)의 도체를 노출시켜서 메일단자(12)의 압착부(22)에 접속한다. 각각의 메일단자(12)는 인너 하우징(13)에 수용되어, 메일단자(12)의 선단부를 프론트 홀더(14)에 삽입시킨다.
조립된 인너 하우징(13)과 프론트 홀더(14)는, 실드쉘(15)의 실드부(23)로 감싸고, 셀커버(16)로 덮는다. 그리고 실드쉘(15)의 배럴부(19)에 의하여 실드전선(10)의 선단의 시스부(18)에 압착시켜 고정시킨다. 실드쉘(15)을 실드전선(10)에 코킹(calking)하여 고정시키면, 실드쉘(15)을 아우터 하우징(17)에 삽입시켜 고정시킨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229254호 공보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서는, 실드전선(10)으로부터 시스부(18)와 실드박(21)을 제거하여 노출된 복수개의 실드단선(20)과 메일단자(12)는, 실드쉘(15)과 셀커버(16)로 피복되지만, 실드단선(20)이 고속차동전송(高速差動傳送)에 사용되는 것 같은 고속 와이어(高速 wire)일 경우에, 노출된 부분은, 실드쉘(15)과 셀커버(16)로 피복해도 임피던스 부정합(impedance 不整合)을 야기(惹起)하여 전송성능이 나빠진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에서는, 노출시키는 부분의 길이는, 짧으면 짧을수록 좋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실드전선(10)중의 실드단선(20)의 개수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시스부(18)와 실드박(21)을 제거하여 노출된 다수개의 실드단선(20)과 메일단자(12)의 접속이나 실드 커넥터(11)와의 조립의 작업성으로부터, 노출된 부분의 길이를 짧게 하는 데에도 한도가 있어, 임피던스 부정합을 야기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실드단선을 실드부재에 의하여 실드한 복합 실드전선에 있어서, 단부의 실드부를 제거하여 실시하는 실드단선과 접속단자와의 접속작업에 따르는 임피던스 부정합(impedance 不整合)을 야기하는 것을 최대한으로 억제하도록 한 실드 커넥터 및 그 접속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드 커넥터는,
실드전선(30)의 단부의 외부 실드부(36)를 제거하여 복수개의 실드단선(31) 및/또는 실드단선(32)을 노출시키고, 이렇게 노출된 각 실드단선(31) 및/또는 실드단선(32)의 선단의 도체에 접속단자(38)를 접속하고, 이 접속단자(38)를 인너 하우징(39)에 의하여 지지하고, 이 인너 하우징(39)과 상기 실드단선을 실드쉘(42)로 피복하고, 이 실드쉘(42)과 일체의 고착편(47)으로 상기 실드전선(30)의 단부에 고착시켜서 이루어지는 실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실드쉘(42)에 커넥터의 실드부재(43)를 설치하고, 이 커넥터의 실드부재(43)를, 노출된 상기 실드단선(31) 및/또는 실드단선(32)의 단선실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넥터의 실드부재(43)와 단선실드부의 전기적 접속위치는, 접속단자(38)에 의하여 접속한 상기 실드단선(31) 및/또는 실드단선(32)의 도체(31a) 및/또는 도체(32a)의 노출위치에 가급적 가까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의 실드부재(43)의 기립편(44)을, 노출된 상기 실드단선(31) 및/또는 실드단선(32)의 단선실드부에 압접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실드전선(30)은, 일례로서 복수개의 고속 와이어(31)와 1개의 드레인선(34)을 내부 실드부(35)로 포위하고, 이 내부 실드부(35)의 외주에 복수개의 중속 와이어(32)와 2개의 전원선(33)을 배치하고, 전체를 외부 실드부(36)와 시스부(37)로 피복한 것이 사용된다.
복수개의 실드단선(31) 및/또는 실드단선(32) 중에서, 적어도 임피던스 부정합을 야기하기 쉬운 고속 와이어(31)의 횡권실드(31c)와 실드부(31d)로 이루어지는 단선실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의 실드부재(43)를 설치한다.
복수개의 고속 와이어(31)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중속 와이어(32)의 횡권실드(32c)와 실드부(32d)로 이루어지는 단선실드부에 면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컬렉터의 실드부재(43)를 설치하여도 좋다.
복수개의 고속 와이어(31)는, 차동신호 전송신호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실드전선(30)의 단부의 외부 실드부(36)를 제거하여 복수개의 실드단선(31) 및/또는 실드단선(32)을 노출시키고, 이렇게 노출된 각 실드단선(31) 및/또는 실드단선(32)의 선단의 도체(31a) 및/또는 도체(32a)에 접속단자(38)를 접속하고, 이 접속단자(38)를 인너 하우징(39)에 의하여 지지하고, 이 인너 하우징(39)과 상기 실드단선을 실드쉘(42)로 피복하고, 이 실드쉘(42)과 일체의 고착편(47)으로 상기 실드전선(30)의 단부에 고착시켜서 이루어지는 실드 커넥터의 접속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드쉘(42)에 커넥터의 실드부재(43)를 설치하고, 이 커넥터의 실드부재(43)를, 노출된 상기 실드단선(31) 및/또는 실드단선(32)의 단선실드부에 가압하고, 코킹, 납땜 또는 삽입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1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실드전선의 단부의 외부 실드부를 제거하여 복수개의 실드단선을 노출시키고, 이렇게 노출된 각 실드단선의 선단의 도체에 접속단자를 접속하고, 이 접속단자를 인너 하우징에 의하여 지지하고, 이 인너 하우징과 상기 실드단선을 실드쉘에 의하여 피복하고, 이 실드쉘과 일체의 고착편에 의하여 상기 실드전선의 단부에 고착시켜서 이루어지는 실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실드쉘에 커넥터의 실드부재를 설치하고, 이 커넥터의 실드부재를, 노출된 상기 실드단선의 단선실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이루어지므로, 실드단선과 접속단자의 접속가공 때문에, 노출된 실드단선이 접속가공 때문에 길어지는 경우가 있어도, 실드부가 오픈 그라운드가 되는 일이 없고, 임피던스의 정합을 하기 쉬워진다. 또한 실드 커넥터 부품의 간격을 덮을 수 있어, 실드특성이 개선된다.
청구항2의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의 실드부재와 단선실드부의 전기적 접속위치는, 접속단자에 의하여 접속된 상기 실드단선의 도체의 노출위치에 가급적 가까이 되었으므로, 더 확실하게 실드부가 오픈 그라운드가 되는 일이 없어져, 임피던스의 정합이 취하기 쉬워진다.
청구항3의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의 실드부재의 기립편을, 노출된 상기 실드단선의 단선실드부에 압접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이루어지므로,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실드부가 오픈 그라운드가 되는 일이 없어, 임피던스의 정합이 취하기 쉬워진다.
청구항4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실드전선은, 복수개의 실드단선으로 이루어지는 고속 와이어와 1개의 드레인선을 내부 실드부에 의하여 포위하고, 이 내부 실드부의 외주에 복수개의 실드단선으로 이루어지는 중속 와이어와 2개의 전원선을 배치하고, 전체를 외부 실드부와 시스부에 의하여 피복한 것으로 이루어지므로, 고속 와이어와 중속 와이어를 포함하는 복합 와이어에 이용할 수 있다.
청구항5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노출된 복수개의 실드단선으로 이루어지는 고속 와이어의 단선실드부에 면하여, 이 단선실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의 실드부재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특히 임피던스의 부정합이 일어나기 쉬운 고속 와이어의 실드전선에 유효하다.
청구항6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노출된 복수개의 실드단선으로 이루어지는 고속 와이어의 단선실드부와 복수개의 실드단선으로 이루어지는 중속 와이어의 단선실드부에 면하여, 이들 고속 와이어와 중속 와이어의 단선실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의 실드부재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서로 다른 종류의 복합 실드전선에 효과가 있다.
청구항7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고속 와이어는 차동신호 전송신호선으로 이루어지므로, 신호선의 전송속도를 보다 빨리 함과 아울러 신호선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청구항8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실드전선의 단부의 외부 실드부를 제거하여 복수개의 실드단선을 노출시키고, 이렇게 노출된 각 실드단선의 선단의 도체에 접속단자를 접속하고, 이 접속단자를 인너 하우징에 의하여 지지하고, 이 인너 하우징과 상기 실드단선을 실드쉘에 의하여 피복하고, 이 실드쉘과 일체의 고착편에 의하여 상기 실드전선의 단부에 고착시켜서 이루어지는 실드 커넥터의 접속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드쉘에 커넥터의 실드부재를 설치하고, 이 커넥터의 실드부재를, 노출된 상기 실드단선의 단선실드부에 가압하고, 코킹, 납땜 또는 삽입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였으므로, 접속단자와의 접속가공성, 실드특성의 중요도 등 목적에 따라서 접속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도1은, (a)는, 본 발명에 의한 실드 커넥터 및 그 접속방법의 실시예1를 나타내는 단면도, (b)는, 본 발명의 실시예2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에 나타내는 복합 실드전선의 일례를 나타내는 끝면도이다.
도3은, (a)는, 본 발명의 실드 커넥터 및 그 접속방법에 접속하기 위해서 배열가공한 실드전선의 정면도, (b)는, (a)에 나타나 있는 실드전선의 평면도이다.
도4는, (a)는, 본 발명에 의한 실드 커넥터 및 그 접속방법의 케이블잭의 분해사시도, (b)는, 실드단선의 도체를 접속단자의 압착부에 도전성의 보호부재와 일체로 압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케이블잭에 접속되는 기판측 플러그의 정면도이다.
도6은 종래의 실드 커넥터 및 그 접속방법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드 커넥터는,
실드전선(30)의 단부의 외부 실드부(36)를 제거하여 복수개의 실드단선(31) 및/또는 실드단선(32)을 노출시키고, 이렇게 노출된 각 실드단선(31) 및/또는 실드단선(32)의 선단의 도체(31a) 및/또는 도체(32a)에 접속단자(38)를 접속하고, 이 접속단자(38)를 인너 하우징(39)에 의하여 지지하고, 이 인너 하우징(39)과 상기 실드단선을 실드쉘(42)로 피복하고, 이 실드쉘(42)과 일체의 고착편(47)으로 상기 실드전선(30)의 단부에 고착시켜서 이루어지는 실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실드쉘(42)에 커넥터의 실드부재(43)를 설치하고, 이 커넥터의 실드부재(43)를, 노출된 상기 실드단선(31) 및/또는 실드단선(32)의 단선실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커넥터의 실드부재(43)와 단선실드부의 전기적 접속위치는, 접속단자(38)에 의하여 접속한 상기 실드단선(31) 및/또는 실드단선(32)의 도체(31a) 및/또는 도체(32a)의 노출위치에 가급적 가까이 되는 것이 특성향상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보다 더 구성을 간략화하기 위해서, 커넥터의 실드부재(43)의 기립편(44)을, 노출된 상기 실드단선(31) 및/또는 실드단선(32)의 단선실드부에 압접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실드전선(30)은, 일례로서 복수개의 고속 와이어(31)와 1개의 드레인선(34)을 내부 실드부(35)로 포위하고, 이 내부 실드부(35)의 외주에 복수개의 중속 와이어(32)와 2개의 전원선(33)을 배치하고, 전체를 외부 실드부(36)와 시스부(37)로 피복한 것이 사용된다.
복수개의 실드단선(31) 및/또는 실드단선(32) 중에서, 적어도 임피던스 부정합을 야기하기 쉬운 고속 와이어(31)의 횡권실드(31c)와 실드부(31d)로 이루어지는 단선실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의 실드부재(43)를 설치한다.
또한 복수개의 고속 와이어(31)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중속 와이어(32)의 횡권실드(32c)와 실드부(32d)로 이루어지는 단선실드부에 면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컬렉터의 실드부재(43)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복수개의 고속 와이어(31)는, 차동신호 전송신호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실드전선(30)의 단부의 외부 실드부(36)를 제거하여 복수개의 실드단선(31) 및/또는 실드단선(32)을 노출시키고, 이렇게 노출된 각 실드단선(31) 및/또는 실드단선(32)의 선단의 도체(31a) 및/또는 도체(32a)에 접속단자(38)를 접속하고, 이 접속단자(38)를 인너 하우징(39)에 의하여 지지하고, 이 인너 하우징(39)과 상기 실드단선을 실드쉘(42)로 피복하고, 이 실드쉘(42)과 일체의 고착편(47)으로 상기 실드전선(30)의 단부에 고착시켜서 이루어지는 실드 커넥터의 접속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드쉘(42)에 커넥터의 실드부재(43)를 설치하고, 이 커넥터의 실드부재(43)를, 노출된 상기 실드단선(31) 및/또는 실드단선(32)의 단선실드부에 가압하고, 코킹, 납땜 또는 삽입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방법을 목적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1)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1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드 커넥터 및 그 접속방법에 사용되는 8심의 복합 실드전선(30)을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 있어서의 복합 실드전선(30)은 6개의 실드단선을 구비하고, 이 중의 4개의 실드단선(31)은, 차동신호전송 등에 사용되는 고속 와이어이고, 2개의 실드단선(32)은, 중속 와이어로 이루어진다. 이 복합 실드전선(30)에는, 또한 2개의 전원선(33)과, 1개의 드레인선(34)을 구비한다.
상기 4개의 고속 와이어(31)는, 중심의 도체(31a)가 절연체(3lb)로 피복되고, 또한 외주가 횡권실드부(31c)와 알루미늄 테이프(31d)로 이루어지는 단선실드부에 의하여 피복되고, 마찬가지로, 상기 2개의 중속 와이어(32)는, 중심의 도체(32a)가 절연체(32b)로 피복되고, 또한 외주가 실드부(32c)와 알루미늄 테이프(32d)로 이루어지는 단선실드부에 의하여 피복되어 있다. 상기 전원선(33)은, 중심의 도체(33a)가 절연체(33b)로 피복되어 있다.
상기 4개의 고속 와이어(31)는, 1개의 드레인선(34)과 함께 절연 테이프(35a)와 알루미늄 테이프(35b)로 이루어지는 내부 실드부(35)로 한묶음으로 묶여져 있다. 이들의 고속 와이어(31)의 외주에는, 상기 2개의 중속 와이어(32)와 2개의 전원선(33)이 배치되어, 상기 내부 실드부(35)로 한묶음으로 묶인 것을 포함해서 전체가 편조실드(36a)와 알루미늄 테이프(36b)로 이루어지는 외부 실드부(36)로 피복되고, 또한 외주가 시스부(37)로 보호되어 있다.
또, 상기 실드전선(30)은 8심을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이상이라도 좋고, 그 이하라도 좋다. 또한 고속 와이어와 중속 와이어의 개수의 조합도 상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개수가 많을수록 발명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실드전선(30)의 단부는, 본 발명의 실드 커넥터의 접속단자(38)와의 접속을 위하여, 실드전선(30)의 시스부(37)와 외부 실드부(36)의 일부를 제거하여 고속 와이어(31)의 도체(31a), 중속 와이어(32)의 도체(32a), 전원선(33)의 도체(33a)를 노출시키는 가공이 이루어진다. 실드전선(30)의 지름이 6.5mm라고 하면, 접속가공 하기 쉽도록 고속 와이어(31) 등의 단선을 약15∼20mm 노출시키지만, 고속 와이어(31), 중속 와이어(32)를 노출시킴으로써 임피던스 부정합을 야기하여 전송특성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렇게 노출길이는 접속가공성과의 균형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실드부의 제거작업은, 고속 와이어(31)의 도체(31a)가 선단으로부터 2mm정도 노출되도록 절연체(3lb)와 횡권실드부(31c)와 알루미늄 테이프(31d)를 제거하고, 또한 도체(31a)가 횡권실드부(31c)와 알루미늄 테이프(31d)에 단락하는 일이 없도록 횡권실드부(31c)와 알루미늄 테이프(31d)를 도체(31a)로부터 1mm정도 제거한다. 중속 와이어(3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도체(32a)를 선단으로부터 2mm정도 노출시키고, 또한 도체(32a)로부터 횡권실드부(32c)와 알루미늄 테이프(32d)를 1mm정도 제거한다. 전원선(33)에 대해서도, 도체(33a)가 2mm정도 노출되도록 절연체(33b)를 제거한다.
이렇게 하여 선단의 도체가 노출되도록 실드부의 제거처리가 이루어진 실드전선(30)은, 도3(a),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드전선(30)의 단부에 보강링(29)을 삽입한다. 또한 케이블잭(48)의 핀구멍(57)에 일치하도록, 밑의 단(段)에는, 드레인선(34)을 중심으로 해서 양측에 2개씩 고속 와이어(31)을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하고, 위의 단에는, 중앙의 2개의 중속 와이어(32)를 배치하고, 그 양측에 1개씩 전원선(33)을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한다.
상기 외부 실드부(36)의 편조실드(36a)의 일부는, 실드전선(30)의 단부의 시스부(37)에 결합된 보강링(29)의 외주로 말려 올라간다.
상기 실드전선(30)으로부터 노출된 고속 와이어(31)와 중속 와이어(32)와 전원선(33)의 각 도체부(31a, 32a, 33a)와 드레인선(34)은, 도4(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속단자(38)의 압착부(45)에 삽입되고, 또한 U자형의 도전성 보호부재(46)를 밑에서부터 대어, 도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일체로 압착하여 접속한다. 압착되어 접속된 모두 9개의 접속단자(38)의 압착접속부분을 인너 하우징(39)의 하홈(54)과 상홈(55)에 배치하고 또한 접속단자(38)의 선단부가 인너 하우징(39)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대어, 프론트 홀더(40)에 삽입한다. 이렇게 하면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접속단자(38)의 돌출부분이 프론트 홀더(40)의 핀구멍(57)에 수납된다.
상기 접속단자(38)과 인너 하우징(39)을 삽입한 프론트 홀더(40)의 외측을 각기둥형의 실드쉘(42)로 포위한다. 이 실드쉘(42)의 바닥판은 일부 절단되어 있어, 이 홈(53)에 하측으로부터 커넥터의 실드부재(43)를, 실드쉘(42)과 전기적으로 접속상태가 되도록 삽입한다. 이 커넥터의 실드부재(43)에는 기립편(44)이 형성되고, 이 기립편(44)이 결합홈(56)의 하측의 끝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고속 와이어(31)의 횡권실드(31c)와 알루미늄 테이프(31d)로 이루어지는 실드부에 하방으로부터 가압하여 접속된다. 이 기립편(44)의 상면에는, 고속 와이어(31)의 실드부와의 접촉면을 크게 하기 위해서 실드부의 외경에 맞는 오목부나 요철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드부에 대한 상기 기립편(44)과 고속 와이어(31)의 접촉위치는, 접속단자(38)에 의하여 접속한 고속 와이어(31) 등의 도체(31a)의 노출위치에 가능한 한 가까운 것이 임피던스 부정합을 방지하여, 전송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드단선용의 실드부재(4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드쉘(42)과 별체여도 좋고, 또한 실드쉘(42)과 일체여도 좋다.
상기 실드쉘(42)과 일체로 형성된 고착편(47)을, 실드전선(30)의 단부에서 보강링(29)의 외주로 말아올려진 편조실드(36a) 부분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또한 기계적으로 고정시키도록 단단하게 감는다.
상기 실드전선(30)이 실드쉘(42)에 고착된 상태에서 아우터 하우징(41)의 조립홈(58)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면, 프론트 홀더(40)의 앞쪽 끝면과 아우터 하우징(41)의 앞쪽 끝면이 동일면이 된다.
이렇게 하여 조립되는 케이블잭(48)과 기판측 플러그(49)를 결합하면, 기판측 플러그(49)로부터 돌출한 접속핀(50)이 케이블잭(48)의 접속단자(38)에 결합하고, 신호단자(51)로 인출된다. 또한 기판측 플러그(49)의 외주의 도전박스(59)가 케이블잭(48)의 실드쉘(42)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기판측 플러그(49)의 어스단자(52)로부터 외부로 인출된다.
이 케이블잭(48)과 기판측 플러그(49)을 결합하여 PC판 등에 조립되면, 신호단자(51)로부터 신호선과 결합하고, 어스단자(52)가 어스선에 결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실드 커넥터에 있어서, 실드전선(30)으로부터 노출된 고속 와이어(31)는, 고속 와이어(31)의 노출부분에서, 고속 와이어(31)의 횡권실드부(31c)와 알루미늄 테이프(31d)로 이루어지는 실드단선용의 실드부와 기립편(44)이 접속되어서, 접속가공을 위하여 노출된 부분의 전역에서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실드효과를 높일 수 있다.
(실시예2)
상기 실시예에서는, 차동신호전송용의 고속 와이어(31)에 대해서 기립편(44)을 형성하여 노출된 부분의 전역에서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하도록 했지만, 중속 와이어(32)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도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드쉘(42)의 일부를 하방을 향하여 절단해서 커넥터의 실드부재의 기립편(60)으로 하고, 이 기립편(60)을 중속 와이어(32)의 횡권실드부(32c)와 알루미늄 테이프(32d)로 이루어지는 단선실드부에 압접함으로써 중속 와이어(32)에 있어서의 노출된 부분의 전역에서 임피던스 정합을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실드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고속 와이어(31)의 단선실드부와 기립편(44)의 접속 및/또는 중속 와이어(32)의 단선실드부와 기립편(60)의 접속은, 가공성이 우수하므로 압접구조로 하였다. 그러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코킹 구조, 납땜 구조 또는 삽입의 방법 중에서 어느 하나를 목적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다.
10…실드전선, 11…실드 커넥터, 12…메일단자, 13…인너 하우징, 14…프론트 홀더, 15…실드쉘, 16…셀커버, 17…아우터 하우징, 18…시스부, 19…배럴부, 20…실드단선, 21…실드박, 22…압착부, 23…실드부, 29…보강링, 30…실드전선, 31…실드단선(고속 와이어), 32…실드단선(중속 와이어), 33…전원선, 34…드레인선, 35…내부 실드부, 36…외부 실드부, 37…시스부, 38…접속단자, 39…인너 하우징, 40…프론트 홀더, 41…아우터 하우징, 42…실드쉘, 43…커넥터의 실드부재, 44…기립편, 45…압착부, 46…도전성 보호부재, 47…고착편, 48…케이블잭, 49…기판측 플러그, 50…접속핀, 51…신호단자, 52…어스단자, 53… 홈, 54…하홈, 55…상홈, 56…결합홈, 57…핀구멍, 58…조립홈, 59…도전박스, 60…커넥터의 실드부재.

Claims (8)

  1. 실드전선(shield 電線)의 단부(端部)의 외부 실드부를 제거하여 복수개의 실드 단선(shield 單線)을 노출(露出)하고, 이렇게 노출된 각 실드단선의 선단의 도체에 접속단자(接續端子)를 접속하고, 이 접속단자를 인너 하우징(inner housing)에 의하여 지지하고, 이 인너 하우징과 상기 실드단선을 실드쉘(shield shell)에 의하여 피복(被覆)하고, 이 실드쉘과 일체(一體)의 고착편(固着片)에 의하여 상기 실드전선의 단부에 고착시켜서 이루어지는 실드 커넥터(shield connector)에 있어서,
    상기 실드쉘에 커넥터의 실드부재를 설치하고, 이 커넥터의 실드부재를, 노출된 상기 실드단선의 단선실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이루어지고,
    커넥터의 실드부재의 기립편을, 노출된 상기 실드단선의 단선실드부에 압접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커넥터의 실드부재와 단선실드부의 전기적 접속위치는, 접속단자에 의하여 접속된 상기 실드단선의 도체의 노출위치에 가급적 가까이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 커넥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실드전선은, 복수개의 실드단선으로 이루어지는 고속 와이어(高速 wire)와 1개의 드레인선(drain線)을 내부 실드부에 의하여 포위(包圍)하고, 이 내부 실드부의 외주에 복수개의 실드단선으로 이루어지는 중속 와이어(中速 wire)와 2개의 전원선(電源線)을 배치하고, 전체를 외부 실드부와 시스부에 의하여 피복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노출된 복수개의 실드단선으로 이루어지는 고속 와이어의 단선실드부에 면하여, 이 단선실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의 실드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 커넥터.
  6. 제4항에 있어서,
    노출된 복수개의 실드단선으로 이루어지는 고속 와이어의 단선실드부와 복수개의 실드단선으로 이루어지는 중속 와이어의 단선실드부에 면하여, 이들 고속 와이어와 중속 와이어의 단선실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의 실드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 커넥터.
  7. 제4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고속 와이어는, 차동신호 전송신호선(差動信號 傳送信號線)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 커넥터.
  8. 실드전선의 단부의 외부 실드부를 제거하여 복수개의 실드단선을 노출시키고, 이렇게 노출된 각 실드단선의 선단의 도체에 접속단자를 접속하고, 이 접속단자를 인너 하우징에 의하여 지지하고, 이 인너 하우징과 상기 실드단선을 실드쉘에 의하여 피복하고, 이 실드쉘과 일체의 고착편에 의하여 상기 실드전선의 단부에 고착시켜서 이루어지는 실드 커넥터의 접속방법에 있어서,
    상기 실드쉘에 커넥터의 실드부재를 설치하고, 이 커넥터의 실드부재를, 노출된 상기 실드단선의 단선실드부에 가압하고, 코킹(calking), 납땜 또는 삽입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커넥터의 실드부재의 기립편을, 노출된 상기 실드단선의 단선실드부에 압접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 커넥터의 접속방법.
KR1020170176790A 2017-09-19 2017-12-21 실드 커넥터 및 그 접속방법 KR1024225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78502 2017-09-19
JP2017178502A JP6579398B2 (ja) 2017-09-19 2017-09-19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その接続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155A KR20190032155A (ko) 2019-03-27
KR102422570B1 true KR102422570B1 (ko) 2022-07-18

Family

ID=65720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790A KR102422570B1 (ko) 2017-09-19 2017-12-21 실드 커넥터 및 그 접속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24880B2 (ko)
JP (1) JP6579398B2 (ko)
KR (1) KR102422570B1 (ko)
CN (1) CN1095248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13875B3 (de) * 2017-06-22 2018-10-18 Te Connectivity Industrial Gmbh Elektrischer Stecker mit einem Schutzleiterkontakt und damit einstückig ausgebildeten Schutzleiterverbindungselement zur Erdung von Außenteilen
JP6982587B2 (ja) * 2019-02-27 2021-12-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21015739A (ja) * 2019-07-12 2021-02-1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モジュール、コネクタ付通信ケーブル、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7379085B2 (ja) * 2019-10-25 2023-11-1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圧着部構造
JP7256474B2 (ja) * 2020-01-06 2023-04-1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ワイヤハーネス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69063A (zh) * 2007-05-29 2009-10-28 株式会社自动网络技术研究所 屏蔽连接器
CN102891392A (zh) * 2011-07-19 2013-01-23 矢崎总业株式会社 屏蔽连接器和屏蔽连接器的组装方法
JP2013229254A (ja) 2012-04-26 2013-11-07 Yazaki Corp シールドコネクタ
US20150333450A1 (en) 2012-12-12 2015-11-19 Hirakawa Hewtech Corporation Method for connecting differential transmission cable, differential transmission cable and electric device
WO2016170962A1 (ja) * 2015-04-21 2016-10-2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通信用コネクタの製造方法及び通信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11850B1 (fr) * 1993-10-22 1995-12-29 Eurocopter France Procédé et dispositif pour assurer la continuité électrique de blindages de câbles.
JPH0946875A (ja) * 1995-07-27 1997-02-14 Mitsubishi Cable Ind Ltd 電磁遮蔽を施したコネクタ付同軸ケーブル
TW326584B (en) * 1996-03-01 1998-02-11 Molex Inc System for terminating the shield of high speed cables(7)
JPH10125404A (ja) * 1996-10-22 1998-05-15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のシールド構造
US6238246B1 (en) * 1998-06-30 2001-05-29 The Whitaker Corporation Grounding bracket for a shielded cable connector
US6080018A (en) * 1998-06-30 2000-06-27 The Whitaker Corporation Grounding arrangement for a shielded cable connector
TW573839U (en) * 2003-06-27 2004-01-21 Hon Hai Prec Ind Co Ltd Cable connector assembly
JP4549277B2 (ja) * 2005-10-27 2010-09-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DE202006015641U1 (de) * 2006-10-12 2006-12-21 Harting Electronics Gmbh & Co. Kg Abschirmkontakt für ein Steckergehäuse
US7918685B1 (en) * 2010-04-01 2011-04-05 CableJive LLC Cable assembly for mobile media devices
JP5638858B2 (ja) * 2010-07-05 2014-12-10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電線接続構造及びシールド電線接続方法
CN202171980U (zh) * 2011-07-08 2012-03-21 江苏南瑞淮胜电缆有限公司 高速电缆
JP2016072067A (ja) * 2014-09-30 2016-05-09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69063A (zh) * 2007-05-29 2009-10-28 株式会社自动网络技术研究所 屏蔽连接器
CN102891392A (zh) * 2011-07-19 2013-01-23 矢崎总业株式会社 屏蔽连接器和屏蔽连接器的组装方法
JP2013229254A (ja) 2012-04-26 2013-11-07 Yazaki Corp シールドコネクタ
US20150333450A1 (en) 2012-12-12 2015-11-19 Hirakawa Hewtech Corporation Method for connecting differential transmission cable, differential transmission cable and electric device
WO2016170962A1 (ja) * 2015-04-21 2016-10-2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通信用コネクタの製造方法及び通信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24880B2 (en) 2019-09-24
US20190089099A1 (en) 2019-03-21
KR20190032155A (ko) 2019-03-27
JP2019053937A (ja) 2019-04-04
JP6579398B2 (ja) 2019-09-25
CN109524848A (zh) 2019-03-26
CN109524848B (zh) 202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2570B1 (ko) 실드 커넥터 및 그 접속방법
JP3656187B2 (ja) シールド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3935878B2 (ja) 改良された接地手段を備えたコネクタ
US8801461B2 (en) Stepped termination block
CN107887714B (zh) 电缆连接用结构和电缆用连接器
US7470150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simplified grounding path
WO2017090682A1 (ja)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シールドケーブル
JP4901632B2 (ja) 同軸線用コネクタ及び同軸線接続ユニット
US7674134B2 (en) Shielded connector
JPH03208274A (ja) モジュラコネクタ
US20110281469A1 (en) Cable assembly with improved terminating means
US20100065327A1 (en) Cable assembly with molded grounding ba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110189900A1 (en) Cable assembly with improved terminating mean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8123913A (ja) 内導体端子及び同軸コネクタ
US20110250797A1 (en) Cable assembly with improved terminating means
US20110250796A1 (en) Cable assembly with improved terminating means
KR100382175B1 (ko) 동축 케이블 관리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EP0951092A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axial cables
US5078619A (en) Coaxial cable terminal
JP7206906B2 (ja) 端子モジュールおよびコネクタ
US6477769B2 (en) Method for assembling a controlled impedance connector
US6261127B1 (en) High speed, shielded cable assembly
US5971794A (en) Connector, in particular for ribbon cables
TWI802517B (zh) 電纜連接器及其金屬殼體
CN111864434B (zh) 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