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598B1 - 보강토블록 조립체 - Google Patents

보강토블록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598B1
KR102421598B1 KR1020200115966A KR20200115966A KR102421598B1 KR 102421598 B1 KR102421598 B1 KR 102421598B1 KR 1020200115966 A KR1020200115966 A KR 1020200115966A KR 20200115966 A KR20200115966 A KR 20200115966A KR 102421598 B1 KR102421598 B1 KR 102421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upled
protrusion
gri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3738A (ko
Inventor
권성욱
김병철
Original Assignee
그린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린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5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598B1/ko
Publication of KR20220033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3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4Geogri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Abstract

본발명은 보강토블록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전면블록(10)과, 상기 전면블록(10)과 중간블록(30)에 의해 연결되는 후면블록(20)으로 이루어지는 블록몸체(100)로 구성되되, 상기 블록몸체(100)의 중간블록(30) 중앙에는 통공(103)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면블록(10,20)의 상면에는 가로홈(101)이 폭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가로홈(21)과 직각인 후방방향으로 중간에 세로홈(102)이 형성되며 후면블록(20)에는 다수개의 세로홈(102)이 전후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보강토블록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후면블록(20)에는 경성그리드(310)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본발명은 보강토블록에 경성, 연성그리드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보강토 블록시공이 정확하고 편리하며 시공시간이 짧아 경제적인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보강토블록 조립체{Reinforced soil block assembly}
본발명은 보강토블록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강토블록에 경성, 연성그리드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보강토 블록시공이 정확하고 편리하며 시공시간이 짧아 경제적인 보강토블록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토사면에는 보강토블록이 축조되어 사면의 무너짐과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보강토블록의 형상 및 시공방법에 대해 기술들이 개발되어 왔고, 일례로서, 종래기술인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884462호에는 절토사면 구간과 성토구간이 혼합된 혼합구간의 보강토옹벽 하부에 그리드(10)를 각각 설치하되, 상기 성토구간에는 성토구간과 같은 길이로 그리드(10)를 설치하고 절토사면 구간의 경우엔 그리드(10)를 전방으로 연장한 그리드 연장부(11)를 형성하고, 상기 그리드 연장부(11)를 네일철근(20)에 고정시킨 횡철근(30)에 결속하여 절토, 성토에 관계없이 보강토옹벽을 안전하게 시공하는 절토사면 구간과 성토구간의 보강토옹벽 그리드 설치방법에있어서, 상기 네일철근(20)은 인근 옹벽에 삽입고정되고, 상기 네일철근(20) 끝단에 수직으로 두 개의 지압판(40)이 이격되어 각각 결합되며, 상기 지압판(40)의 이격공간에 횡철근(30)이 네일철근(20)과 횡방향으로 수직되게 설치되며, 상기 횡철근(30)에 그리드 연장부(11)의 끝단이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네일철근(20) 끝단과 지압판(40)과 횡철근(30) 끝단부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보강부(60)가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네일철근(20) 끝단에 수직으로 두 개의 지압판(40)이 이격되어 결합되는 방법은 용접에 의한 것이며, 상기 횡철근(30)에 그리드 연장부(21)의 끝단이 결합되는 방법은 그리드를 횡방향 철근에 말아 감은후 케이블타이로 고정한후 그리드와 횡방향철근, 횡방향철근과 네일 및 지압판부분에 줄기초 모양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사면 구간과 성토구간의 보강토옹벽 그리드 설치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30886호에는 설계에 따라 정해진 크기를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전면의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바깥쪽이 좁고 안쪽이 넓은 사다리꼴 형태의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부면의 좌우양쪽에는 정해진 크기와 높이를 갖는 걸림턱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좌우의 걸림턱 사이에 해당되는 상부면에는 걸림턱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성토지면 또는 절개지면를 따라 종방향및 횡방향으로 연속·반복하여 적층·시공되는 후면블럭과; 상기 후면블럭의 전후 두께에 비하여 얇은 두께로 형성되며, 다양한 색상 또는 문양을 갖도록 성형되고, 후면의 종방향 중심선을 따라 후면블럭상의 장착홈에 꼭맞게 끼워져 결합되는 장착편이 돌출된 전면블럭; 및 상기 전면블럭의 앞표면에 장착되는 장식판재로 이루어지는 옹벽블럭에 있어서, 상기 전면블럭의 앞표면 중심부와 장식판재의 전면 중심부에는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정해진 직경을 갖는 고정공이 형성되어 상기 장식판재가 전면블럭의 앞표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장식판재의 앞쪽으로부터 고정공을 통하여 끼워지는 스터드앵커에 의하여 견고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블럭의 장식판재 장착구조가 공개되어 있다.
따라서 본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보강토블록에 경성, 연성그리드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보강토 블록시공이 정확하고 편리하며 시공시간이 짧아 경제적인 보강토블록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보강토블록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전면블록(10)과, 상기 전면블록(10)과 중간블록(30)에 의해 연결되는 후면블록(20)으로 이루어지는 블록몸체(100)로 구성되되, 상기 블록몸체(100)의 중간블록(30) 중앙에는 통공(103)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면블록(10,20)의 상면에는 가로홈(101)이 폭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가로홈(101)과 직각인 후방방향으로 중간에 세로홈(102)이 형성되며 후면블록(20)에는 다수개의 세로홈(102)이 전후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보강토블록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후면블록(20)에는 경성그리드(310)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발명은 보강토블록에 경성, 연성그리드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보강토 블록시공이 정확하고 편리하며 시공시간이 짧아 경제적인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의 강봉 보강재를 사용한 보강토블록조립체 설치도
도 2는 본발명의 경성그리드와 보강토블록 조립도
도 3은 본발명의 경성그리드를 사용한 보강토블록조립체 설치도
도 4는 본발명의 보강토블록 평면도
도 5는 본발명의 보강토블록 측면도
도 6은 본발명의 보강토블록 배면도
도 7은 본발명의 연성그리드를 사용한 보강토블록조립체 설치도
도 8은 본발명의 강격자 보강재를 사용한 보강토블록조립체 설치도
도 9는 본발명의 경성그리드와 보강토블록 조립체의 결합수단 단면도
도 10은 본발명의 경성그리드와 보강토블록 조립체의 다른 실시례 결합수단 단면도
본발명은 보강토블록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전면블록(10)과, 상기 전면블록(10)과 중간블록(30)에 의해 연결되는 후면블록(20)으로 이루어지는 블록몸체(100)로 구성되되, 상기 블록몸체(100)의 중간블록(30) 중앙에는 통공(103)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면블록(10,20)의 상면에는 가로홈(101)이 폭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가로홈(101)과 직각인 후방방향으로 중간에 세로홈(102)이 형성되며 후면블록(20)에는 다수개의 세로홈(102)이 전후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보강토블록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후면블록(20)에는 경성그리드(310)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경성그리드를 고정하는 커버와, 보강토블록과 연결하는 가로홈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상기 커버는 상부면과, 좌우측면으로 이루어져서 다수개의 봉형 경성그리드의 선단을 덮어서 보호하되, 상기 상부면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들 사이에 경성그리드의 선단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로홈고정부는 상기 커버의 전단에 결합되며, 하부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후면블록(20)의 가로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금속재질봉의 외주면에 합성수지가 결합되는 것으로, 인서트사출방식에 의해 일체화되게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상기 전면블록의 일부와, 중간블록, 후면블록에는 연성그리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면블록에는 강격자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발명의 강봉 보강재를 사용한 보강토블록조립체 설치도, 도 2는 본발명의 경성그리드와 보강토블록 조립도, 도 3은 본발명의 경성그리드를 사용한 보강토블록조립체 설치도, 도 4는 본발명의 보강토블록 평면도, 도 5는 본발명의 보강토블록 측면도, 도 6은 본발명의 보강토블록 배면도, 도 7은 본발명의 연성그리드를 사용한 보강토블록조립체 설치도, 도 8은 본발명의 강격자 보강재를 사용한 보강토블록조립체 설치도, 도 9는 본발명의 경성그리드와 보강토블록 조립체의 결합수단 단면도, 도 10은 본발명의 경성그리드와 보강토블록 조립체의 다른 실시례 결합수단 단면도이다.
본발명의 보강토블록조립체는 전면블록(10)과, 상기 전면블록(10)과 중간블록(30)에 의해 연결되는 후면블록(20)으로 이루어지는 블록몸체(100)로 구성되되, 상기 블록몸체(100)의 중간블록(30) 중앙에는 통공(103)이 형성된다. 상기 전후면블록(10,20)의 상면에는 가로홈(101)이 폭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가로홈(101)과 직각인 후방방향으로 중간에 세로홈(102)이 형성되며 후면블록(20)에는 다수개의 세로홈(102)이 전후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면블록(20)에는 경성그리드(310)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결합수단은 경성그리드를 고정하는 커버와, 보강토블록과 연결하는 가로홈고정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경성그리드는 PP 또는 HDPE재질이고 결합수단은 HDPE재질이다.
상기 커버는 길이가 긴 상부면과, 좌우측면으로 이루어져서 다수개의 봉형 경성그리드의 선단을 덮어서 보호하되, 상기 상부면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구분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구분돌기들 사이에 경성그리드의 선단이 위치하게 되어 좌우움직임이 제한된다.
상기 가로홈고정부는 몸체가 상기 커버의 전단에 결합되며, 몸체 전단의 하부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후면블록(20)의 가로홈에 삽입된다.
상기 돌출부는 금속재질봉의 외주면에 합성수지가 결합되는 좌우방향길이가 긴 직육면체 형상인 것으로, 관용의 인서트사출방식에 의해 일체화되게 제조될 수 있다.인서트 사출방식은 금형내에 금속재질봉을 먼저 삽입하고 이후 합성수지액을 주입하여 일체화시킨후 식힌것이다. 상기 합성수지는 수팽창고무를 사용하여 물기가 닿으면 가로홈내에서 팽창되게하여 블록에 결합수단이 확실하게 결합되게 할 수 있다. 커버 내측 구분돌기들 사이에도 수팽창고무가 코팅되어 시공후 수분이 닿으면 팽창되게 되어 강성그리드 봉선단을 확실히 움직이지 않게 파지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는 용기모양으로 하면이 오목하게 형성되게 하여, 다른 그리드들이 가로방향으로 통과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홈을 형성하여 후면블록의 세로홈과 나란하게 하여 일부 경성그리드를 길게 전방으로 돌출시켜 선단이 통과하게 한다. 상기 커버전면과 가로홈고정부 몸체 후면은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몸체 전면에 결합되는 돌출부는 판재모양의 중간편에 의해 결합되며, 중간편과 몸체 전면은 힌지가 형성되어 시공전 돌출부를 반시계 방향으로 위로 당겨 뒤로 접어두었다가 결합시는 시계방향으로 아래로 내려서 상기 돌출부가 블록의 가로홈에 삽입고정되게 하여 시공이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본발명의 블록의 최전면은 중앙이 볼록한 곡선형상이 되고 상기 곡선형상면에는 홈과 돌기부를 반복적으로 형성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발명의 다른 실시례는 경성그리드 대신 강봉보강재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경성그리드 대신 연성그리드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전면블록의 일부와, 중간블록, 후면블록에는 연성그리드가 덮어져 결합되는 것이다. 연성그리드는 PE원사에 PET를 코팅한 제품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후면블록에는 강격자가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후면블록의 가로홈에 강철재질의 강격자의 전면 가로봉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본발명은 보강토블록에 경성, 연성그리드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보강토 블록시공이 정확하고 편리하며 시공시간이 짧아 경제적인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 블록몸체 10 : 전면블록
20 : 후면블록 101: 가로홈
102 : 세로홈 103 : 통공
30 :중간블록
200결합수단 210 커버
211 : 구분돌기
220 가로홈 고정부 221 : 몸체
222 : 중간편 223 : 돌출부
223-1:금속재질봉 223 -2 : 합성수지층
310 : 경성그리드 320 : 연성그리도
330 : 강격자 340 : 강봉보강재

Claims (3)

  1. 전면블록(10)과, 상기 전면블록(10)과 중간블록(30)에 의해 연결되는 후면블록(20)으로 이루어지는 블록몸체(100)로 구성되되, 상기 블록몸체(100)의 중간블록(30) 중앙에는 통공(103)이 형성되고, 상기 전후면블록(10,20)의 상면에는 가로홈(101)이 폭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가로홈(101)과 직각인 후방방향으로 중간에 세로홈(102)이 형성되며 후면블록(20)에는 다수개의 세로홈(102)이 전후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보강토블록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후면블록(20)에는 경성그리드(310)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보강토블록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경성그리드(310)를 고정하는 커버(210)와, 보강토블록과 연결하는 가로홈고정부(2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210)는 길이가 긴 상부면과, 좌우측면으로 이루어져서 다수개의 봉형 경성그리드(310)의 선단을 덮어서 보호하되, 상기 상부면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구분돌기(211)가 형성되어 상기 구분돌기(211)들 사이에 경성그리드(310)의 선단이 위치하게 되어 좌우움직임이 제한되며,
    상기 가로홈고정부(220)는 몸체(221)가 상기 커버(210)의 전단에 결합되며, 몸체(221) 전단의 하부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후면블록(20)의 가로홈에 삽입되며
    상기 돌출부(223)는 금속재질봉의 외주면에 합성수지가 결합되는 좌우방향길이가 긴 직육면체 형상인 것으로, 금형내에 금속재질봉을 먼저 삽입하고 이후 합성수지액을 주입하여 일체화시킨후 식히는 인서트사출방식에 의해 일체화되게 제조되는 것이되, 인서트 사출시 합성수지액은 수팽창고무를 사용하여 물기가 닿으면 가로홈내에서 팽창되게하여 블록몸체(100)에 결합수단이 확실하게 결합되게 할 수 있고 커버(210) 내측 구분돌기(211)들 사이에도 수팽창고무가 코팅되어 시공후 수분이 닿으면 팽창되게 되어 경성그리드(310) 봉선단을 확실히 움직이지 않게 파지하게 하며, 상기 돌출부(223)는 하면이 오목하게 형성되게 하여, 다른 경성그리드(310)들이 가로방향으로 통과되게 하며,
    몸체 전면에 결합되는 돌출부(223)는 판재모양의 중간편(222)에 의해 결합되므로, 몸체(221), 중간편(222), 돌출부(223)가 순차적으로 후방에서 전방으로 일체로 결합형성되되, 상기 중간편(222)과 몸체 (221)전면은 힌지가 형성되어 시공전 돌출부(223)를 반시계 방향으로 위로 당겨 뒤로 접어두었다가 결합시는 시계방향으로 아래로 내려서 상기 돌출부(223)가 블록의 가로홈에 삽입고정되게 하여 시공이 편리하게 하며, 블록몸체(100)의 최전면은 중앙이 볼록한 곡선형상이 되고 곡선형상면에는 홈과 돌기부를 반복적으로 형성하여 미관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블록조립체
  2. 삭제
  3. 삭제
KR1020200115966A 2020-09-10 2020-09-10 보강토블록 조립체 KR102421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966A KR102421598B1 (ko) 2020-09-10 2020-09-10 보강토블록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966A KR102421598B1 (ko) 2020-09-10 2020-09-10 보강토블록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738A KR20220033738A (ko) 2022-03-17
KR102421598B1 true KR102421598B1 (ko) 2022-07-15

Family

ID=80936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966A KR102421598B1 (ko) 2020-09-10 2020-09-10 보강토블록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5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7361B1 (ko) * 1998-01-14 2000-03-15 박병영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축조공법
KR101700830B1 (ko) 2016-03-18 2017-02-01 다성기업(주) 보강토 옹벽블록과 그리드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5276A (ja) * 1996-01-23 1997-07-29 Kyokado Eng Co Ltd 補強土構造物
KR100506749B1 (ko) * 1996-05-21 2005-11-04 네트론 리미티드 매립물을 보강하기 위한 벽 및 상기 벽을 고정하는 고정요소
KR19980082071A (ko) * 1998-08-20 1998-11-25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7361B1 (ko) * 1998-01-14 2000-03-15 박병영 블록식 보강토 옹벽의 축조공법
KR101700830B1 (ko) 2016-03-18 2017-02-01 다성기업(주) 보강토 옹벽블록과 그리드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3738A (ko) 2022-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3426B1 (ko) 건축용 pc벽체구조물
CN104775336B (zh) 铁轨紧固扣件用锚定装置
JP3903057B2 (ja) 安定処理土構造体およびその建設用の表面部材単位
KR100906100B1 (ko) 콘크리트 타설용 형틀 패널
BRPI0708683B1 (pt) Estrutura de solo estabilizada; elemento de revestimento para uma estrutura de solo estabilizada e estojo protetor para um elemento de revestimento de uma estrutura de solo estabilizada
US8579549B2 (en) Reinforced ground structure, and siding elements for constructing same
KR102421598B1 (ko) 보강토블록 조립체
KR20120128633A (ko) 후크들을 갖는 오버몰딩된 부재와 받침대를 포함하는 주형과의 조립체
KR20180020476A (ko)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KR10151911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이음부 지수판
JP2017137637A (ja) 既存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耐震補強構造
KR100952895B1 (ko) 도로확장용 블록구조물과 시공방법
KR20160140120A (ko)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
KR102036772B1 (ko) 단열 데크플레이트
US20070200050A1 (en) Form Made Of Thermoplastic Resin
JP6860311B2 (ja) 軽量盛土用側壁の施工方法
JP3833791B2 (ja) コンクリート基礎の型枠
KR20120118476A (ko) 후크들을 갖는 다수의 오버몰딩된 부재들을 포함하는 성형된 물품들 및 커버로 구성된 조립체
EP3365495B1 (en) Polymer based combined kerb drainage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JP2002206338A (ja) プラスチック製パネル
KR101337865B1 (ko) 콘크리트 충전 에프알피 튜브 침목 및 그 제조방법
KR101588693B1 (ko) 지반안정공법용 파일 및 그 제조방법
JP6722555B2 (ja) 表面材付き発泡樹脂ブロック
KR10169365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격자 조립형 철근
KR200341655Y1 (ko) 보강형 가드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