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450B1 - 가스 온도장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가스 온도장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450B1
KR102421450B1 KR1020200124261A KR20200124261A KR102421450B1 KR 102421450 B1 KR102421450 B1 KR 102421450B1 KR 1020200124261 A KR1020200124261 A KR 1020200124261A KR 20200124261 A KR20200124261 A KR 20200124261A KR 102421450 B1 KR102421450 B1 KR 102421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ound wave
light
measurement targe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1302A (ko
Inventor
박문수
이준권
정진규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24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450B1/ko
Publication of KR20220041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1/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 G01K11/22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using measurement of acoustic effects
    • G01K11/24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using measurement of acoustic effects of the velocity of propagation of soun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2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2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 G01K13/024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of moving ga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1702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with opto-acoustic detection, e.g. for gases or analysing sol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1702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with opto-acoustic detection, e.g. for gases or analysing solids
    • G01N2021/1704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with opto-acoustic detection, e.g. for gases or analysing solids in ga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온도장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측정대상부를 둘러싸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외부에 배치되고, 측정대상부에 레이저 유도 파열을 통한 음파를 발생시키는 음파발생부와, 고정부에 장착되고 측정대상부에서 발생되는 음파를 측정하는 음파측정부를 포함하여, 가스 온도장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 온도장 측정장치{GAS TEMPERATURE FIELD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가스 온도장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저 유도 파열 현상을 이용하여 음파를 발생하고, 여러 경로에 대한 음파 도달시간을 측정하여 온도장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는 가스 온도장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 온도장 측정을 위해 열전대 방식이 사용된다. 열전대 방식은 측정 대상 내부로 열전대를 삽입하여 탐침과 가스간 열 평형상태 도달시 온도값을 기록하는 방식이다. 이는 가스장 내부로 탐침을 삽입하여야 하므로 유동과 온도장을 교란하고 측정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탐침 삽입을 하지 않는 간접 가스 온도 측정 방식에 대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 중 음향학적 온도 측정법은 음파 전달 속도가 매질 온도의 제곱근에 비례한다는 사실에 근거한다. 음파 전달 속도는 음파 발생 위치와 시점을 기준으로 음파 수신 위치와 도달시간 측정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음파 도달 시간은 음파 발생과 수신 위치 사이의 경로 함수로, 온도장은 다양한 경로에 대한 음파 도달시간으로부터 토모그래프(tomography) 기법을 통해 계산된다. 이때, 온도장의 정확도는 음파 도달시간을 달리하는 음파 전달 경로의 수가 많을수록 높아진다.
종래에는 초음파 방사기 또는 펄스 전기방전을 통해 음파를 발생하고, 초음파 수신기 또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음파를 수신하고 있다.
그러나, 초음파 방사기를 통한 음파 발생 방식은 해당 장치의 낮은 작동 온도 범위로 인해 음원이 항상 측정 영역 주변의 벽면에 위치해야 되며 음원 경로는 항상 벽면에서 벽면으로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펄스 전기방전을 통한 음파 발생 방식은 전극의 위치를 가스장 내에서 옮겨 측정을 할 수 있으나, 열전대와 마찬가지로 전극 삽입으로 인해 측정 대상을 교란하고 측정 오차를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67393호(2002.08.22 공개, 발명의 명칭 : 음파를 이용한 보일러 내부 온도 측정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레이저 유도 파열 현상을 이용하여 음파를 발생하고, 여러 경로에 대한 음파 도달시간을 측정하여 온도장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는 가스 온도장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온도장 측정장치는: 측정대상부를 둘러싸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측정대상부에 레이저 유도 파열을 통한 음파를 발생시키는 음파발생부; 및 상기 고정부에 장착되고, 상기 측정대상부에서 발생되는 음파를 측정하는 음파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측정대상부를 커버하는 띠 형상을 하는 고정틀부; 및 상기 고정틀부에 형성되고 상기 음파발생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하나 이상의 고정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틀부를 냉각시키는 고정냉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창부를 투과한 광은 상기 측정대상부의 중심을 벗어난 지점으로 이동되어 레이저 유도 파열 위치의 비대칭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파발생부는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광발생부; 및 상기 광발생부에서 조사되는 레이저광을 집속하여 상기 측정대상부 내에서 레이저 유도 파열을 유도하는 광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파발생부는 상기 광집속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측정대상부 내에서 레이저 유도 파열 지점을 변경하는 광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조절부는 조절프레임부; 상기 조절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나사산이 형성되는 조절나사부; 상기 조절나사부를 회전시키는 조절회전부; 및 상기 조절나사부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광집속부를 지지하며, 상기 조절나사부가 회전됨에 따라 직선 이동되는 조절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온도장 측정장치는 음파발생부가 측정대상부의 외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측정대상부의 내부 공간에 레이저 유도 파열을 통한 음파를 발생시켜 주고, 음파측정부가 여러 경로에 대한 음파 도달시간을 감지하여 가스 온도장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온도장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로 입사되는 광으로부터 발생되는 음파를 측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발생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스 온도장 측정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온도장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온도장 측정장치(1)는 고정부(10)와, 음파발생부(20)와, 음파측정부(30)를 포함한다.
고정부(10)는 측정대상부(100)를 둘러싼다. 일예로, 측정대상부(100)는 가스 온도장이 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연소기의 상방에 형성되는 온도장이 될 수 있다. 그 외, 측정대상부(100)는 가스발전기의 연소실을 감싸는 케이스 자체가 될 수 있다. 즉, 고정부(10)는 가스 온도장을 측정하기 위해 가스 온도장을 감싸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음파발생부(20)는 고정부(10)의 외부에 배치되고, 측정대상부(100)에 레이저 유도 파열을 통한 음파를 발생시킨다. 일예로, 음파발생부(2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광은 고정부(10)를 투과한 후 측정대상부(100)로 입사할 수 있다.
음파측정부(30)는 고정부(10)에 장착되고, 측정대상부(100)에서 발생되는 음파를 측정한다. 일예로, 음파측정부(30)는 고정부(10)를 따라 복수개가 균일한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고, 레이저 유도 파열 지점에서 발생되는 음파를 측정할 수 있다. 음파측정부(30)로는 마이크로폰이 될 수 있으며, 각각의 음파측정부(30)는 처리부(40)에 연결되어 측정데이터를 전송하고, 처리부(40)는 전송된 정보를 바탕으로 가스 온도장을 계산할 수 있다.
한편, 측정대상부(100)에서는 온도가 높을수록 또는 밀도가 낮을수록 음파 전파속도가 빠르므로, 매질을 통과한 음파는 온도장에 따라 도달시간을 달리할 수 있다. 이때, 음파 최단 도달시간은 음파 발생 시점과 음파 도달 최초 감지 시점간 차이로 계산될 수 있다. 음파 발생 시점은 음파발생부(20)를 통한 레이저광 조사 시점과 동일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로 입사되는 광으로부터 발생되는 음파를 측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0)는 고정틀부(11)와 고정창부(12)를 포함한다.
고정틀부(11)는 측정대상부(100)를 커버하는 띠 형상을 한다. 일예로, 고정틀부(11)는 별도의 고정수단을 통해 측정대상부(100)를 감싸도록 지지되거나 연소기를 감싸는 케이스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틀부(11)는 원띠 형상을 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고정창부(12)는 고정틀부(11)에 형성되고, 음파발생부(20)에서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킨다. 일예로, 고정창부(12)는 광 투과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정사각형 또는 원 형상 보다는 직사각형 또는 타원 형상을 할 수 있다. 고정창부(12)는 고정틀부(11)의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가 균일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0)는 고정냉각부(13)를 포함한다. 고정냉각부(13)는 고정틀부(11)를 냉각시켜 고정틀부(11)가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예로, 고정냉각부(13)는 고정틀부(11)에 내장되고 냉각수를 안내하는 냉각내장부(131)와, 냉각내장부(131)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공급부(132)와, 냉각내장부(131)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열교환된 냉각수를 배출하는 냉각배출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냉각부(13)에 의해 고정틀부(11)에 장착된 음파측정부(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고정창부(12)를 투과한 광은 측정대상부(100)의 중심을 벗어난 지점으로 이동되어 레이저 유도 파열 위치의 비대칭을 유도한다. 일예로, 직사각형이나 타원 형상을 하는 고정창부(12)의 중심부에서 벗어난 지점을 투과한 광은 측정대상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온도장에 비스듬하게 입사할 수 있다. 광의 이동경로 및 이러한 광에 의한 레이저 유도 파열 지점이 비대칭이 되면, 각각의 음파측정부(30)와 레이저 유도 파열 지점에서 발생되는 음파와의 거리가 서로 달라서 정보 획득량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발생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발생부(20)는 광발생부(21)와, 광집속부(22)를 포함한다.
광발생부(21)는 레이저광을 발생한다. 일예로, 광발생부(21)는 펄스 레이저광을 생성하여 고정창부(12)로 조사할 수 있다. 광발생부(21)는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전후 또는 좌우 위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광집속부(22)는 광발생부(21)에서 조사되는 레이저광을 집속하여 측정대상부(100) 내에서 레이저 유도 파열을 유도한다. 광집속부(22)는 광발생부(21)에서 조사되는 광이 측정대상부(100)의 임의의 공간상에서 집중되도록 하는 광학렌즈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광 집중으로 인해 레이저 유도 파열 현상이 발생되며, 레이저 유도 파열 현상을 음파 발생을 동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발생부(20)는 광조절부(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조절부(23)는 광집속부(22)의 위치를 조절하여 측정대상부(100) 내에서 레이저 유도 파열 지점을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조절부(23)에 의해 측정대상부(100) 내부의 다양한 지점에서 레이저 유도 파열을 발생시켜 줌으로써, 음파측정부(30)를 통해 다량의 표본값을 획득하여 측정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조절부(23)는 조절프레임부(231)와, 조절나사부(232)와, 조절회전부(233)와, 조절받침부(234)를 포함한다.
조절프레임부(231)는 고정물에 고정 설치된다. 일예로, 조절프레임부(231)는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상을 하고, 광발생부(21)와 고정창부(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조절프레임부(231)는 일단부가 광발생부(21)에 연결될 수 있다.
조절나사부(232)는 조절프레임부(2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나사산이 형성된다. 일예로, 조절나사부(232)는 조절프레임부(231)의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조절회전부(233)는 조절나사부(232)를 회전시킨다. 일예로, 조절회전부(233)는 전원이 인가되면 조절나사부(232)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가 될 수 있다. 그 외, 조절회전부(233)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이 될 수 있다.
조절받침부(234)는 조절나사부(232)에 나사 결합되고, 광집속부(22)를 지지하며, 조절나사부(232)가 회전됨에 따라 직선 이동된다. 일예로, 조절받침부(234)에는 광집속부(22)가 장착되고, 조절프레임부(231)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절받침부(234)에는 조절나사부(232)가 관통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온도장 측정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정부(10)가 측정대상부(100)를 감싼 상태에서, 고정부(10)에 측정대상부(30)를 장착하고, 고정부(10)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도록 음파발생부(20)를 설치한다.
즉, 광발생부(21)를 설치하고, 광발생부(21)와 고정창부(12) 사이에 광집속부(22)를 배치시킨다. 이때, 광집속부(22)는 광조절부(23)에 의해 전후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한 상태에서, 광발생부(21)에서 생성된 레이저광은 광집속부(22)에 의해 고정창부(12)를 통과하고, 측정대상부(100)의 소정 지점에서 레이저 유도 파열로 인한 음파를 발생한다. 그리고, 광조절부(23)를 통해 광집속부(22)의 위치가 변화되면 레이저 유도 파열에 의한 음파 발생 지점이 변경된다.
측정대상부(100)에서 음파가 발생되면, 고정부(10)에 장착된 다수의 음파측정부(30)가 음파 도달시간을 측정하고, 처리부(40)는 이러한 표본들을 이용하여 가스 온도장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 온도장 측정장치(1)는 음파발생부(20)가 측정대상부(100)의 외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측정대상부(100)의 내부 공간에 레이저 유도 파열을 통한 음파를 발생시켜 주고, 음파측정부(30)가 여러 경로에 대한 음파 도달시간을 감지하여 가스 온도장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고정부 11: 고정틀부
12 : 고정창부 13 : 고정냉각부
20 : 음파발생부 21 : 광발생부
22 : 광집속부 23 : 광조절부
30 : 음파측정부 40 : 처리부
100 : 측정대상부

Claims (7)

  1. 측정대상부를 둘러싸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측정대상부에 레이저 유도 파열을 통한 음파를 발생시키는 음파발생부; 및
    상기 고정부에 장착되고, 상기 측정대상부에서 발생되는 음파를 측정하는 음파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측정대상부를 커버하는 띠 형상을 하는 고정틀부; 및
    상기 고정틀부에 형성되고 상기 음파발생부에서 조사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하나 이상의 고정창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창부를 투과한 광은 상기 측정대상부의 중심을 벗어난 지점으로 이동되어 레이저 유도 파열 위치의 비대칭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온도장 측정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틀부를 냉각시키는 고정냉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온도장 측정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발생부는
    레이저광을 발생하는 광발생부; 및
    상기 광발생부에서 조사되는 레이저광을 집속하여 상기 측정대상부 내에서 레이저 유도 파열을 유도하는 광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온도장 측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발생부는
    상기 광집속부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측정대상부 내에서 레이저 유도 파열 지점을 변경하는 광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온도장 측정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광조절부는
    조절프레임부;
    상기 조절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나사산이 형성되는 조절나사부;
    상기 조절나사부를 회전시키는 조절회전부; 및
    상기 조절나사부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광집속부를 지지하며, 상기 조절나사부가 회전됨에 따라 직선 이동되는 조절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온도장 측정장치.
KR1020200124261A 2020-09-24 2020-09-24 가스 온도장 측정장치 KR102421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261A KR102421450B1 (ko) 2020-09-24 2020-09-24 가스 온도장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261A KR102421450B1 (ko) 2020-09-24 2020-09-24 가스 온도장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302A KR20220041302A (ko) 2022-04-01
KR102421450B1 true KR102421450B1 (ko) 2022-07-18

Family

ID=81183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261A KR102421450B1 (ko) 2020-09-24 2020-09-24 가스 온도장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4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6808A (ja) 1998-07-31 2000-02-18 Nippon Steel Corp 充填層内部状況の診断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音波発生装置
JP4781039B2 (ja) * 2005-08-04 2011-09-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ガス分析装置
KR101268152B1 (ko) * 2011-02-24 2013-05-2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광안내부를 구비하는 입자 측정 센서
KR101403344B1 (ko) * 2012-02-15 2014-06-1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레이저를 이용한 가동 중 원전의 실시간 재료 부식 분석 장치
KR102079565B1 (ko) * 2018-11-12 2020-02-20 한국전력공사 터빈 입구 온도 계측 시스템 및 계측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8199A (ko) * 2014-05-09 2015-11-18 코리아스펙트랄프로덕츠(주) 광학 렌즈 시스템의 액추에이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6808A (ja) 1998-07-31 2000-02-18 Nippon Steel Corp 充填層内部状況の診断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音波発生装置
JP4781039B2 (ja) * 2005-08-04 2011-09-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ガス分析装置
KR101268152B1 (ko) * 2011-02-24 2013-05-2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광안내부를 구비하는 입자 측정 센서
KR101403344B1 (ko) * 2012-02-15 2014-06-1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레이저를 이용한 가동 중 원전의 실시간 재료 부식 분석 장치
KR102079565B1 (ko) * 2018-11-12 2020-02-20 한국전력공사 터빈 입구 온도 계측 시스템 및 계측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Lee et al. Laser-induced breakdown thermometry via time-of-arrival measurements of associated acoustic waves. Applied Physics Letters, 2018, 113(12), 123504
J. Lee et al. Thermometry of combustion gases using light emission and acoustic wave from laser-induced sparks. J. Phys. D: Appl. Phys., 2019, 52(31), 31520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302A (ko) 202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59083B (zh) 激光加工装置
US9419343B2 (en) Radar beam deflection unit for a radar level indicator
KR102421450B1 (ko) 가스 온도장 측정장치
JP3712531B2 (ja) Xafs測定方法及びxafs測定装置
JP2010204015A (ja) レーザレーダ装置
JPH06118039A (ja) 熱分析装置
JP2017032477A (ja) 管溶接部探傷装置と方法
JP5495820B2 (ja) 管内スケール計測装置及び計測方法
JP5894757B2 (ja) 熱定数測定装置
CA2339699A1 (en) Flow meter
JP2009282073A (ja) テラヘルツ波の強度変調方法およびテラヘルツ波の強度変調装置
JP7308355B2 (ja) レーザ加工モニタ装置、レーザ加工モニタ方法、およびレーザ加工装置
JP2018124244A (ja) 携帯型3軸応力測定装置
JP2009085796A (ja) 高温における電磁波の反射率または透過率測定装置
JP2015518364A (ja) 回転式のレーザーワイヤ剥離システム
JP2009085795A (ja) 高温における電磁波の反射率または透過率測定方法
JP3439286B2 (ja) 電子スピン共鳴用試料加熱方法および装置
KR200418412Y1 (ko) X선을 이용한 결정체의 원자 간 거리 측정장치
JP2002228578A (ja) ガス検出装置及び該装置の焦点合わせ方法
JP6696642B2 (ja) 0度入射絶対反射率測定装置
JP4359116B2 (ja) X線回折装置の微小部x線照射装置及び微小部x線照射方法
JP5233040B2 (ja) 固体nmr用masプローブ装置
KR100855236B1 (ko) 외부 소음 차단 부재 및 이를 적용한 외부 소음 차단마이크로폰
JP2020056776A (ja) X線回折装置およびx線回折測定方法
JP2012247442A (ja) 固体nmr用masプロー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