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228B1 -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228B1
KR102421228B1 KR1020210011883A KR20210011883A KR102421228B1 KR 102421228 B1 KR102421228 B1 KR 102421228B1 KR 1020210011883 A KR1020210011883 A KR 1020210011883A KR 20210011883 A KR20210011883 A KR 20210011883A KR 102421228 B1 KR102421228 B1 KR 102421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eat
guide
guide duc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10011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2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22Constructive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나란한 한 쌍으로 배치되고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레일, 고정레일 각각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 안내되고 차량용 시트를 고정 연결하는 시트레일, 및 시트레일의 왕복 이동시 시트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보호하는 와이어프로텍트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시트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구비되는 레일에 대응되도록 와이어프로텍트유닛을 구비하여, 배터리나 전장품과 시트를 연결하는 와이어의 꼬임을 방지하고 감싸서 보호함에 따라 와이어의 노출에 따른 타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하고, 와이어가 타부품에 부딪힘에 따른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SEAT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seat)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구비되는 레일에 대응되도록 와이어프로텍트유닛을 구비하여, 배터리나 전장품과 시트를 연결하는 와이어의 꼬임을 방지하고 감싸서 보호함에 따라, 와이어의 노출에 따른 타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하고, 와이어가 타부품에 부딪힘에 따른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고자 하는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슬라이드시트(slide-sheet)는 탑승자가 자신의 신체 조건에 맞게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드시트의 전후 이동은 기본적으로 슬라이드레일을 이용하는데, 슬라이드레일의 로어레일은 차량 실내의 플로어에 고정되고, 어퍼레일에 슬라이드시트의 쿠션프레임이 고정됨으로써 로어레일을 따라 전후 이동하는 어퍼레일과 함께 슬라이드시트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시트의 전후 이동 기능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전후 이동 장치를 모터에 의해 구동하고 있다.
특히, 모터를 이용하여 어퍼레일을 전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모터에 전원을 인가하며 제어신호를 전달해주어 어퍼레일을 이동시키는 전선이 구비된다.
이와 관련하여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에 대한 일예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30470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선행기술문헌은 전기배선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체 플로어와 슬라이드 시트 사이에 시트레일이 마련되며, 시트레일의 측부와 인접하여 본체와 뚜껑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차량용 슬라이드시트는 어퍼레일(시트레일)과 모터가 함께 전후 이동되므로 모터와 전원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이 꼬이지 않으면서 외관상에 노출되지 않도록 수납하는 공간도 함께 요구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트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구비되는 레일에 대응되도록 와이어프로텍트유닛을 구비하여, 배터리나 전장품과 시트를 연결하는 와이어의 꼬임을 방지하고 감싸서 보호함에 따라, 와이어의 노출에 따른 타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하고, 와이어가 타부품에 부딪힘에 따른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고자 하는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는: 적어도 나란한 한 쌍으로 배치되고,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레일; 상기 고정레일 각각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 안내되고, 차량용 시트를 고정 연결하는 시트레일; 및 상기 시트레일의 왕복 이동시, 상기 시트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보호하는 와이어프로텍트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프로텍트유닛은, 상기 고정레일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차체에 고정되며, 일측이 배터리 또는 전장품에 연결되는 상기 와이어를 내부에 수용하는 가이드덕트; 및 상기 시트레일에 연결된 채 상기 가이드덕트를 따라 직선 왕복 이동 안내되고, 상기 가이드덕트 내부에 수용된 상기 와이어의 타측을 상기 시트 측으로 안내하는 이송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덕트는 상기 와이어의 타측을 외부로 인출한 채 왕복 이동 허용하기 위해 둘레면에 축 방향을 따라 개방홀부를 통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가이드부재는 상기 개방홀부를 통해 상기 가이드덕트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의 인출을 안내하고, 상기 가이드덕트의 둘레면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덕트는 둘레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나란한 한 쌍의 가이드돌부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이송가이드부재는 대응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부 사이를 따라 이송 안내되도록 직선안내돌기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는 타측이 상기 이송가이드부재에 구비된 커넥팅커넥터에 접속되고, 상기 커넥팅커넥터는 상기 시트에 연결되는 접속케이블을 연장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덕트 내부의 상기 와이어는 케이블베어에 삽입되어 꼬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시트(seat)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구비되는 레일에 대응되도록 와이어프로텍트유닛을 구비하여, 배터리나 전장품과 시트를 연결하는 와이어의 꼬임을 방지하고 감싸서 보호함에 따라, 와이어의 노출에 따른 타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와이어가 타부품에 부딪힘에 따른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의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의 요부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의 요부 확대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의 요부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20)의 슬라이딩 장치(100)는 고정레일(110), 시트레일(120) 및 와이어프로텍트유닛(200)을 포함한다.
고정레일(110)은 차체(10)에 고정되고, 적어도 나란한 한 쌍으로 배치된다. 그래서, 차량용 시트(20)가 직선 왕복 이동되도록 지지한다. 편의상, 고정레일(110)은 시트(20)에 대응되도록 나란한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아울러, 고정레일(11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시트레일(120)은 고정레일(110) 각각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 안내되고, 차량용 시트(20)를 고정 연결한다. 이때, 시트레일(120)은 전원에 의해 자동으로 또는 탑승자에 의한 수동 조작에 의해 대응되는 고정레일(110)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시트레일(120)은 시트(20)를 고정 결합한다. 물론, 시트레일(12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시트(20)와 차량의 배터리 또는 전장품은 와이어(3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와이어(30)는 일측이 배터리 또는 전장품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제 1커넥터(32)를 구비한다.
이때, 시트(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와이어(30)는 차량의 배터리 또는 전장품에 연결됨에 따라 시트(20)의 주위에서 노출된다. 이 경우, 시트(20)가 왕복 이동시, 와이어(30)는 타부품과 간섭이 발생되거나 꼬임이 발생될 수 있다. 아울러, 와이어(30)는 차체(10)와의 부딪힘에 의한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프로텍트유닛(200)이 구비된다.
즉, 와이어프로텍트유닛(200)은, 시트레일(120)과 시트(20)가 왕복 이동시, 시트(20)에 연결되는 와이어(3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와이어프로텍트유닛(200)은 가이드덕트(210) 및 이송가이드부재(220)를 포함한다.
가이드덕트(210)는 고정레일(110)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고, 차체(10)에 고정된다.
그리고, 가이드덕트(210)는 일측이 배터리 또는 전장품에 연결되는 와이어(30)를 내부에 수용한다. 아울러, 가이드덕트(210)는 타측이 시트(20)에 연결되어 시트(20)의 이동에 따라 와이어(30)의 움직임을 허용한다. 특히, 와이어(30)가 가이드덕트(210) 내부에서 움직임에 따라 타부품과의 간섭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가이드덕트(210)는 배터리 또는 전장품에서 연장되는 와이어(30)를 삽입하기 위해 적어도 축 방향을 따라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특히, 제 1커넥터(32)는 가이드덕트(210)의 개방된 일측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한편, 이송가이드부재(220)는 시트레일(120)에 연결된 채 가이드덕트(210)를 따라 직선 왕복 이동 안내한다. 그리고, 이송가이드부재(220)는 가이드덕트(210) 내부에 수용된 와이어(30)의 타측을 시트(20) 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가이드덕트(210)는 와이어(30)의 타측을 외부로 인출한 채 왕복 이동 허용하기 위해 둘레면에 축 방향을 따라 개방홀부(212)를 통공한다. 이때, 와이어(30)는 단면상 원형 형상으로 적용될 수 있으나, 편의상 플랫 타입(flat type)의 가요성을 갖는 것으로 적용한다.
아울러, 이송가이드부재(220)는 개방홀부(212)를 통해 가이드덕트(2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와이어(30)의 인출을 안내하고, 가이드덕트(210)의 둘레면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이 안내된다.
상세히, 이송가이드부재(220)는 가이드블록(222) 및 결속브라켓(224)을 포함한다.
가이드블록(222)은 개방홀부(212)에 삽입되어, 가이드덕트(210)의 상부 둘레면의 상면과 하면에 동시에 접하여 이송 안내된다. 그래서, 가이드블록(222)은 대략 '디귿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가이드블록(222)은, 가이드덕트(210) 내부의 와이어(30)를 외부로 인출 안내시 개방홀부(212)의 내측면과 직접적으로 접촉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30)를 삽입하여 인출할 수 있도록 채널(223)을 형성한다.
그래서, 가이드덕트(210) 내부의 와이어(30)는 채널(223)을 통해 외부로 인출 안내된다.
그리고, 결속브라켓(224)은 가이드덕트(210)의 상부 둘레면의 상부면과 접한 가이드블록(222)에서 연장되어 시트레일(120)에 결속된다. 이때, 결속브라켓(224)은 시트레일(1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고, 시트레일(120)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래서, 시트레일(120)이 시트(20)와 함께 이동시, 이송가이드부재(220)가 가이드덕트(210)를 따라 이송 안내된다.
아울러, 결속브라켓(224)은 가이드블록(222)을 통해 가이드덕트(210)에서 인출되는 와이어(30)를 접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가이드덕트(210)는 둘레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나란한 한 쌍의 가이드돌부(225)를 돌출 형성한다. 즉, 가이드덕트(210)는 상부 둘레면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가이드돌부(225)를 돌출 형성한다.
그리고, 이송가이드부재(220)의 가이드블록(222)은 대응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부(225) 사이를 따라 이송 안내되도록 직선안내돌기(226)를 돌출 형성한다.
직선안내돌기(226)가 대응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부(225) 사이에서 직선 이송 안내됨으로써, 이송가이드부재(220)는 가이드덕트(210)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송 안내된다.
물론, 가이드돌부(225)와 직선안내돌기(226)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덕트(210)의 외측으로 인출된 와이어(30)의 타측은 이송가이드부재(220)의 결속브라켓(224)에 구비된 커넥팅커넥터(227)에 접속된다. 그리고, 커넥팅커넥터(227)는 시트(20)에 연결되는 접속케이블(228)을 연장 형성한다. 이때, 접속케이블(228)은 시트(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단부에 제 2커넥터(229)를 구비한다.
특히, 커넥팅커넥터(227)가 결속브라켓(224)에 고정된 채 가이드덕트(210)에서 인출되는 와이어(30)를 접속하여 정렬 고정함으로써 와이어(30)의 자유도를 감소시킴에 따라, 가이드덕트(210)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와이어(30)가 흔들림에 따란 간섭이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20)의 슬라이딩 장치(100)는 고정레일(110), 시트레일(120) 및 와이어프로텍트유닛(200)을 포함한다.
고정레일(110) 및 시트레일(120)은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와이어프로텍트유닛(200)은 가이드덕트(210), 이송가이드부재(220) 및 케이블베어(230)를 포함한다.
가이드덕트(210)와 이송가이드부재(220)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아울러, 케이블베어(230)는 가이드덕트(210) 내부의 와이어(30)가 시트레일(120)의 이동에 따라 움직이면서 꼬이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케이블베어(230)는 움직이는 와이어(30)의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가이드덕트(210) 내부의 와이어(30)가 케이블베어(230)에 감싸져서 보호됨으로써, 와이어(30)는 가이드덕트(210)의 내측면과의 마찰에 의한 손상이 방지된다.
이를 위해, 케이블베어(230)는 가이드덕트(210) 내부에 구비되고, 축 방향을 따라 일측 또는 타측이 가이드덕트(210)에 고정된다. 물론, 케이블베어(23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이때, 케이블베어(230)에 감싸여지는 와이어(30)는 원형 타입 또는 플랫 타입 등으로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차체 20: 시트(seat)
30: 와이어 100: 슬라이딩 장치
110: 고정레일 120: 시트레일
200: 와이어프로텍트유닛 210: 가이드덕트
212: 개방홀부 220: 이송가이드부재
222: 가이드블록 223: 채널
224: 결속브라켓 225: 가이드돌부
226: 직선안내돌기 227: 커넥팅커넥터
228: 접속케이블 230: 케이블베어

Claims (7)

  1. 적어도 나란한 한 쌍으로 배치되고,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레일; 상기 고정레일 각각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 안내되고, 차량용 시트를 고정 연결하는 시트레일; 및 상기 시트레일의 왕복 이동시, 상기 시트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보호하는 와이어프로텍트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프로텍트유닛은, 상기 고정레일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차체에 고정되며, 일측이 배터리 또는 전장품에 연결되는 상기 와이어를 내부에 수용하는 가이드덕트; 및
    상기 시트레일에 연결된 채 상기 가이드덕트를 따라 직선 왕복 이동 안내되고, 상기 가이드덕트 내부에 수용된 상기 와이어의 타측을 상기 시트 측으로 안내하는 이송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덕트는 상기 와이어의 타측을 외부로 인출한 채 왕복 이동 허용하기 위해 둘레면에 축 방향을 따라 개방홀부를 통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가이드부재는 상기 개방홀부를 통해 상기 가이드덕트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와이어의 인출을 안내하고, 상기 가이드덕트의 둘레면을 따라 직선 왕복 이동이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덕트는 둘레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나란한 한 쌍의 가이드돌부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이송가이드부재는 대응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부 사이를 따라 이송 안내되도록 직선안내돌기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
  6. 제 1항,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타측이 상기 이송가이드부재에 구비된 커넥팅커넥터에 접속되고,
    상기 커넥팅커넥터는 상기 시트에 연결되는 접속케이블을 연장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
  7. 제 1항,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덕트 내부의 상기 와이어는 케이블베어에 삽입되어 꼬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
KR1020210011883A 2021-01-27 2021-01-27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 KR102421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883A KR102421228B1 (ko) 2021-01-27 2021-01-27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883A KR102421228B1 (ko) 2021-01-27 2021-01-27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1228B1 true KR102421228B1 (ko) 2022-07-15

Family

ID=82401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883A KR102421228B1 (ko) 2021-01-27 2021-01-27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22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9402A (ja) * 2011-08-02 2013-03-14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配索構造
KR20200058186A (ko) * 2018-11-19 2020-05-27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9402A (ja) * 2011-08-02 2013-03-14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ハーネス配索構造
KR20200058186A (ko) * 2018-11-19 2020-05-27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레일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51501B2 (ja) ドア用回路体の伸縮構造
JP4560478B2 (ja) スライド構造体用の給電装置
US6494523B2 (en) Harness-wiring system for a sliding door of vehicles
CN101089647B (zh) 磁共振仪的头部线圈系统
JP6032125B2 (ja) スライドシート用のワイヤハーネス配索装置
JP6054198B2 (ja) スライド給電装置
WO2012060094A1 (ja) スライドドア用給電装置
KR20160083076A (ko) 슬라이드 시트용 와이어 하니스의 배선 장치
JP2010524423A (ja) 配線案内装置
CN113315054B (zh) 线束布设装置
EP2523285B1 (en) Wire-harness wiring structure
KR102421228B1 (ko)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장치
CN108988236B (zh) 用于电线的保护壳
JP2020078169A (ja) 配索構造
KR102629793B1 (ko) 무선 전력 공급 장치
JP2001151042A (ja) 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へのワイヤハーネス配索構造
JP2007185063A (ja) スライド構造体用給電装置
JP6899730B2 (ja) ワイヤハーネス
JP2004357360A (ja) 給電装置
JP2005168256A (ja) ハーネス用ガイドプロテクタ及びそれを備えた電線余長吸収構造並びにハーネス用ガイドプロテクタの固定方法
US10249982B2 (en) Power supply device
JP5578104B2 (ja) スライド移動部材用配線装置
KR20180000328A (ko)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JP2016197944A (ja) ワイヤハーネスの経路規制装置
CN112424027A (zh) 机动车手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