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837B1 - 배수구 악취 역류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배수구 악취 역류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837B1
KR102420837B1 KR1020200016164A KR20200016164A KR102420837B1 KR 102420837 B1 KR102420837 B1 KR 102420837B1 KR 1020200016164 A KR1020200016164 A KR 1020200016164A KR 20200016164 A KR20200016164 A KR 20200016164A KR 102420837 B1 KR102420837 B1 KR 102420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opening
drain hole
closing part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1782A (ko
Inventor
홍선희
조종호
주병숙
Original Assignee
경기건설 주식회사
홍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건설 주식회사, 홍선희 filed Critical 경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6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837B1/ko
Publication of KR20210101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구 악취 역류 방지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배수구 악취 역류 방지 장치는 배수구에 매입되는 그레이팅의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상으로 측부에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구멍은 몸체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개폐부에 의해 개폐 가능하여 배수되는 물에 의해 개방되고, 배수가 이루어지면 폐쇄되어 악취의 역류를 방지한다.

Description

배수구 악취 역류 방지 장치 {APPARATUS FOR PREVENTING STENCH AND REVERSE FLOW IN DRAINAGE}
본 발명은 배수구 악취 역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영업소 등에서 오수를 배수하는 배수구에는 생활하수를 비롯하여 각종 오폐수 및 유기물이 유입되는 관계로 배수과정에서 부패가 진행되어 악취 등이 실내로 역류되므로 실내 환경을 오염시킨다.
특히 여름과 같이 습하고 기온이 높은 계절에는 그 부패가 급속도로 진해됨에 따라 심한 악취를 유발하게 되며, 이와 같이 발생된 악취는 역류하여 배수구를 통해 외부로 발산되므로 배수구 주변을 지날 때 심한 악취로 인하여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종래의 배수구 악취 역류 방지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2) 내측에 차단막(3)이 잠기어 일정 높이 물을 고이게 하여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이 배수변(4) 내측에 잔류된 오폐수가 일정시간 동안 방치되면 각종 위해한 해충의 번식 및 서식에 의해 위생상 문제점 및 병균을 전염시켜 사람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배수구의 내부에 판상형의 역류방지판을 설치함으로써 배수시에는 개방되고 악취의 역류시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도록 한 것이 있다.
그러나 상기 역류방지판은 축 부위에 이물질이 끼어 회동이 어려워지게 됨에 따라 배수시 역류방지판이 개방된 후 닫히지 않게 되어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배수를 위한 개방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배수구에 우수나 물이 유입되더라도 원활하게 배수하며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차단하여 악취의 역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배수구 악취 역류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수구에 매입되는 그레이팅의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상으로 측부에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구멍은 몸체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개폐부에 의해 개폐 가능하여 배수되는 물에 의해 개방되고, 배수가 이루어지면 폐쇄되어 악취의 역류를 방지한다.
상기 몸체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을 향해 하향 경사진 제 1 경사부; 및 상기 제 1 경사부로부터 외측 방향을 향해 경사진 제 2 경사부; 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의 하면과 상기 제 2 경사부가 이루는 각도는 수평을 기준으로 예각이다.
상기 개폐부의 상부는 상기 몸체와 힌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개폐부의 하부는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곡면을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악취 역류 방지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배수는 원활하게 하면서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배수되는 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물의 역류를 방지하여 그레이팅이 배수구로부터 이탈되어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배수구 악취 역류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배수구 악취 역류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배수구 악취 역류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배수구 악취 역류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배수구 악취 역류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배수구 악취 역류 방지 장치는 배수구에 매입되는 그레이팅(10)의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100) 및 상기 지지 프레임(100)에 의해 지지되며,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상으로 측부에 배수구멍(202)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200)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구멍(202)은 몸체(200)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개폐부(250)에 의해 개폐 가능하여 배수되는 물에 의해 개방되고, 배수가 이루어지면 폐쇄되어 악취의 역류를 방지한다. 여기서 그레이팅(Grating)(10)은 배수구의 뚜껑 등에 쓰이는 철제로 이루어진 스틸 그레이팅(Steel Grating)이 일반적으로서, 내측에 다수의 격벽이 상호 교차하여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배수홀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 프레임(100)은 배수구(1)에 배치되어 고정되며, 상기 몸체(200)를 내측에서 지지하도록 단차(110)가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몸체(200)는 상기 지지 프레임(100)에 의해 지지되는 플랜지부(210), 상기 플랜지부(210)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몸체(200)의 내부 공간을 향해 하향 경사진 제 1 경사부(220) 및 상기 제 1 경사부(220)로부터 연장되며 외측 방향을 향해 경사진 제 2 경사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200)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상으로 상기 몸체(200)의 상단은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되어 배수구에 지지되는 플랜지부(2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210)로부터 상기 몸체(200)의 내부 공간을 향해 하향 경사진 제 1 경사부(220)가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경사부(220)로부터 연장되어 외측 방향을 향해 경사진 제 2 경사부(2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경사부(230)의 하부에는 몸체(200)의 하면(24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경사부(230)의 각각의 면에는 배수구멍(20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몸체(200)의 하면(240)과 상기 제 2 경사부(230)가 이루는 각도는 수평을 기준으로 예각을 이루고 있다. 상기 몸체(200)의 하면(240)과 상기 제 2 경사부(230)가 이루는 각도 범위는 75도 내지 85도가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몸체(200)의 하면(240)은 상방으로 돌출된 볼록면(2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록면(242)은 몸체(200)의 내부 공간을 향해 돌출되어 배수구멍(202)이 개방되었을 때 물고임을 방지하고 배수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250)의 상부(252)는 상기 몸체(200)에 형성되어 있는 배수구멍(202)을 덮으며 상기 몸체(200)와 힌지 결합되어 있다. 상기 개폐부(250)의 상부(252)는 힌지 결합 부위로서, 상기 몸체(200)의 제 1 경사부(220)의 하측에 위치하고, 제 2 경사부(230)의 외측에 위치하며, 배수구멍(202)보다 상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250)의 상부(252)의 힌지 결합 부위에 이물질이 끼거나 손상되어 회동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닫히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악취 역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개폐부(250)의 하부(254)는 외측을 향해 돌출된 구조를 취하고 있어 자체 무게를 통해 하중을 가하여 상기 개폐부(250)의 차폐 역할을 보다 확실히 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상기 개폐부(250)의 하부(254)에 돌출된 곡면 형상의 내부 공간을 구비하여 소정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개폐부(250)의 차폐를 돕는 무게추 역할을 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배수구 악취 역류 방지 장치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배수구(1)에 지지 프레임(100)이 정위치에 배치되어 고정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100)에 형성되어 있는 단차(110)의 내측으로 몸체(20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지지 프레임(100)과 몸체(200)가 배수구(1)에 삽입 고정되면 그 상부에는 그레이팅(10)이 배치된다.
상기 배수구(1)로 물이 유입되면 몸체(200) 내부로 물이 유입된다. 이때 상기 개폐부(250)가 몸체(200)의 배수구멍(202)을 덮으면서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배수구멍(202)은 상기 몸체(200)의 제 2 경사부(230)에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제 2 경사부(230)와 상기 몸체(200)의 하면(240)은 예각을 이루고 있어 상기 개폐부(250)의 자중에 의해 배수구멍(202)을 밀폐하게 된다.
상기 몸체(200)로 물이 유입되면 상기 개폐부(250)를 가압하게 되고, 상기 개폐부(250)는 상기 개폐부(250)의 상부(252)와 힌지 결합되어 있어 회전하면서 물이 상기 배수구멍(202)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개폐부(250)의 상부(252)의 힌지 결합 부위는 상기 몸체(200)의 제 1 경사부(220)의 하측에 위치하고, 제 2 경사부(230)의 외측에 위치하며, 배수구멍(202)보다 상측에 위치하여 힌지 결합 부위에 이물질이 끼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회동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물이 배수된 후에 닫히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종래에는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로에 회동 가능한 판상형의 역류방지판을 구비한 악취방지장치가 있기도 하나 물과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이 역류방지판에 걸리게 되어 역류방지판이 닫히지 않게 됨으로써 그 틈새를 통해 악취가 지속적으로 역류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 악취 역류 방지 장치는 배수는 원활하게 하면서 악취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배수되는 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물의 역류를 방지하여 그레이팅이 배수구로부터 이탈되어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 중에서 작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 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 예가 가능함을 밝혀둔다.
1: 배수구
10: 그레이팅
100: 지지 프레임
110: 단차
200: 몸체
202: 배수구멍
210: 플랜지부
220: 제 1 경사부
230: 제 2 경사부
240: 하면
242: 볼록면
250: 개폐부
252: 상부
254: 하부

Claims (5)

  1. 배수구에 매입되는 그레이팅의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상으로 측부에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을 향해 하향 경사진 제 1 경사부;
    상기 제 1 경사부로부터 외측 방향을 향해 경사진 제 2 경사부; 및
    상기 제 2 경사부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볼록면인 하면; 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하면과 상기 제 2 경사부가 이루는 각도는 수평을 기준으로 예각이며,
    상기 몸체의 제 2 경사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배수구멍을 덮도록 개폐부의 상부가 상기 몸체에 힌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배수구멍은 몸체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개폐부에 의해 개폐 가능하여 배수되는 물에 의해 개방되고, 배수가 이루어지면 폐쇄되어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며,
    상기 개폐부의 하부는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곡면을 이루고,
    상기 개폐부의 하부에 돌출된 곡면 형상의 내부 공간을 구비하여 소정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개폐부의 차폐를 돕는 무게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 악취 역류 방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16164A 2020-02-11 2020-02-11 배수구 악취 역류 방지 장치 KR102420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164A KR102420837B1 (ko) 2020-02-11 2020-02-11 배수구 악취 역류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164A KR102420837B1 (ko) 2020-02-11 2020-02-11 배수구 악취 역류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782A KR20210101782A (ko) 2021-08-19
KR102420837B1 true KR102420837B1 (ko) 2022-07-15

Family

ID=77492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164A KR102420837B1 (ko) 2020-02-11 2020-02-11 배수구 악취 역류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8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610B1 (ko) * 2006-11-29 2007-07-02 광주광역시 남구 하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KR101111091B1 (ko) * 2011-11-07 2012-02-29 장용해 하수구 악취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996A (ko) * 2015-01-30 2016-08-09 권희준 맨홀악취방지덮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610B1 (ko) * 2006-11-29 2007-07-02 광주광역시 남구 하수구의 역류 방지장치
KR101111091B1 (ko) * 2011-11-07 2012-02-29 장용해 하수구 악취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782A (ko)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94678A (ko)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차단장치
KR20130030553A (ko) 맨홀의 악취차단장치
KR20090014689A (ko) 맨홀 커버장치
KR102420837B1 (ko) 배수구 악취 역류 방지 장치
KR20080111668A (ko) 맨홀 커버장치
KR20140005618A (ko) 부력식 악취방지 배수트랩
KR200338772Y1 (ko) 하수구 맨홀용 여과 및 악취방지장치
KR200228281Y1 (ko) 빗물받이 집수정의 악취방지 덮개
KR20150136237A (ko) 하수구 맨홀 악취 방지장치
KR20090108277A (ko) 배수트랩
KR101722499B1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JP2004285649A (ja) 雨水ます
JP2004150171A (ja) 排水トラップ
JP4044433B2 (ja) 排水構造
KR20050095067A (ko) 하수관 냄새제거 및 오물 걸림장치
JP4283700B2 (ja) ディスポーザ
KR200356478Y1 (ko) 하수용 맨홀
KR200372205Y1 (ko) 악취 역류방지 장치
JP2955546B2 (ja) 下水用会所枡
KR200328170Y1 (ko) 하수 악취차단장치
KR102604594B1 (ko) 배수구 악취 차단장치
KR200300280Y1 (ko) 배수조용 악취차단구
KR200414187Y1 (ko) 배수관 차단장치
KR930006767Y1 (ko) 방동 배수전의 개폐밸브
JP3087146B2 (ja) 生ごみ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