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478Y1 - 하수용 맨홀 - Google Patents

하수용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478Y1
KR200356478Y1 KR20-2004-0007288U KR20040007288U KR200356478Y1 KR 200356478 Y1 KR200356478 Y1 KR 200356478Y1 KR 20040007288 U KR20040007288 U KR 20040007288U KR 200356478 Y1 KR200356478 Y1 KR 2003564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foreign matter
sewage
projection jaw
charco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72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4-00072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4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4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4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 E03F7/04Valves for preventing return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용 맨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맨홀 뚜껑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별도 처리하여 이물질로 인한 통수 단면을 확보할 수 있고, 이물질이 적재함에 적재되도록 하여 처리가 간편하며, 맨홀 몸체의 내부에 숯망태가 설치되어 맨홀의 악취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하수용 맨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측면에 하수관이 연결되고 맨홀 몸체와 맨홀 뚜껑을 포함하는 맨홀에 있어서, 맨홀 몸체(200); 뚜껑받침 고무(400); 이물질 차단막(500); 숯망태(600); 및 이물질 적재함(7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용 맨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하수용 맨홀{MANHOLE FOR DRAINAGE}
본 고안은 하수용 맨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맨홀 뚜껑을 통해 유입되는이물질을 별도 처리하여 이물질로 인한 통수 단면을 확보할 수 있고, 이물질이 적재함에 적재되도록 하여 처리가 간편하며, 맨홀 몸체의 내부에 숯망태가 설치되어 맨홀의 악취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하수용 맨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하수용 맨홀이 설치되는 바, 그 하수용 맨홀은 대부분 콘크리트를 이용한 제품이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하수용 맨홀의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로(10)에는 지중에 맨홀(70)이 매설되어 하수관(20)과 연결된다.
상기 맨홀(70)은, 콘크리트로 제작된 맨홀 몸체(30)와 그 맨홀 몸체(30)의 상부 중앙의 관통된 위치에 결합되는 맨홀 뚜껑(40)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수용 맨홀(70)은, 하절기와 같은 때에 내부에서 적층된 이물질에 의해 통수 단면이 축소되는 문제점과 함께 악취가 풍기는 경우가 많아 그 주위를 통행하는 사람들에게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또한,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지만 다른 실시예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상기 맨홀(70)에는 내부에 이물질 적재부재, 악취 차단부재 등과 같은 새로운 부재를 설치하여 이물질을 분리하거나 악취를 차단하는 등의 새로운 구조로 맨홀이 설치되기도 하지만,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고자 하는 부재의 사용은 극히 드물다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은, 맨홀 뚜껑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별도 처리하여 이물질로 인한 통수 단면을 확보할 수 있고, 이물질이 적재함에 적재되도록 하여 처리가 간편하며, 맨홀 몸체의 내부에 숯망태가 설치되어 맨홀의 악취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하수용 맨홀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하수용 맨홀의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하수용 맨홀의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하수용 맨홀의 분해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도로 150: 하수관
200: 맨홀 몸체 210: 유출구
214: 사각 돌출턱 230: 칸막이벽
250: 계단 돌출턱 300: 맨홀 뚜껑
400: 뚜껑받침 고무 500: 이물질 차단막
540: 이물질 유도부 570: 역류차단 방지틀
600: 숯망태 700: 이물질 적재함
900: 하수용 맨홀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고안은, 측면에 하수관이 연결되고 맨홀 몸체와 맨홀 뚜껑을 포함하는 맨홀에 있어서, 맨홀 몸체; 뚜껑받침 고무; 이물질 차단막; 숯망태; 및 이물질 적재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용 맨홀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하수용 맨홀의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하수용 맨홀의 분해 상태도이다.
도 2와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하수용 맨홀(900)은, 도로(100)의 지중에 매설되어 하수관(150)과 연결되는 한편, 상기 하수용 맨홀(900)은, 단턱을 가지도록 형성한 맨홀 몸체(200)의 상부 중앙에 맨홀 뚜껑(300)이 설치되고, 내부에 이물질 차단막(500), 숯망태(600)와 이물질 적재함(700)이 설치된다.
상기 하수용 맨홀(900)은, 이물질 적재함(700)이 안착된 자리에 배수홀(234)이 형성되어 이물질 적재함(700)에 포함된 수분, 즉 하수를 배출하게 된다.
또한,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하수용 맨홀(900)은, 맨홀 몸체(200), 맨홀 뚜껑(300), 뚜껑받침 고무(400), 이물질 차단막(500), 숯망태(600) 및 이물질 적재함(7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맨홀 몸체(200)는, 내측이 단턱을 가지도록 형성함과 아울러, 중앙부에 칸막이벽(230)이 형성되고, 내측 상부에 사각 돌출턱(214)과 계단 돌출턱(250)이형성된다.
또한, 상기 맨홀 몸체(200)는, 하수를 유입할 수 있도록 유출구(210)가 측면에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하수관이 연결되고, 사각 돌출턱(214)과 계단 돌출턱(250)에 볼트홀(216)이 형성되며, 한편 칸막이벽(230)과 계단 돌출턱(250)에 매설 볼트(232)가 형성되고 칸막이벽(230)의 사이에 배수홀(234)이 관통되어 이물질 적재함(700)이 안착된 후 그 내부에 포함된 수분, 즉 하수를 하부로 낙하시켜 집수하게 된다.
상기 맨홀 뚜껑(30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틸 그라우팅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뚜껑받침 고무(400)는 사각 돌출턱(214)과 계단 돌출턱(250)에 안착되어 체결 볼트(420)로 고정되어 맨홀 뚜껑(300)이 안착시 상부에서 전해지는 진동에 적절하게 대응하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뚜껑받침 고무(400)는 중앙 상부가 라운딩되도록 형성되고 다수개의 볼트홀(416)이 형성되어 체결 볼트(420)가 체결되게 된다.
상기 이물질 차단막(500)은 상,하부가 절곡된 절곡부(510)와 그 절곡부(510)의 사면부(520)가 일체로 형성된 부재로, 하수를 하측으로 배출함과 아울러, 그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이물질 적재함(700)으로 적재시킬 수 있도록 맨홀 몸체(200)의 내부에 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물질 차단막(500)은 사면부(520)에 다수개의 수직 및 수평하게 이물질 유도부(540)와 배수홀(550)이 형성되고, 그 후방에 수평하게 방지틀연결부(560)가 형성되어 역류차단 방지틀(570)이 힌지 운동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이물질 차단막(500)은 매설 볼트(232)에 체결 너트(530)가 체결되어 맨홀 몸체(20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숯망태(600)는, 직사각형 그물형 망태 구조로, 내측에 숯이 적재되어 사각 돌출턱(214)에 밀착되도록 입설되는 한편, 상기 이물질 적재함(700)은 직사각형 박스 형태로, 상부가 오픈되고 양측에 각각 운반 고리(710)가 형성되며, 숯망태(600)의 측면에 위치된다.
상술한 구성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하수용 맨홀(900)은, 맨홀 뚜껑(300)을 통해 대량의 우수가 대량으로 유입되어 맨홀의 내측에 과다하게 집수되는 경우 외부로 유출되려는 문제점을 이물질 차단막(500)의 하부로 형성된 역류차단 방지틀(570)에 의해 저지됨과 아울러, 칸막이벽(230)과 계단 돌출턱(250)의 사이에 이물질 차단막(500)이 설치되어 우수는 하수관(150)이 연결되는 내측으로 낙하되고, 이물질이 이물질 적재함(700) 측으로 낙하되어 적재되며, 한편 상기 이물질 적재함(700)의 측면에 숯망태(600)가 설치되어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최대한 억제하게 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한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하수용 맨홀은, 맨홀 상부 도로에서 발생되는 우수 및 이물질을 별도 처리하여 이물질로 인한 통수 단면의 축소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물질이 이물질 차단막을 통해 이물질 적재함으로 유입되는 구조로 구성되는관계로 적재된 이물질에 대한 처리가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하수용 맨홀은, 이물질 적재함이 설치된 그 측면에 숯망태가 설치되므로 맨홀 몸체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상쇄시킬 수 있게 되어 외부로 유출되는 악취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측면에 하수관이 연결되고 맨홀 몸체와 맨홀 뚜껑을 포함하는 맨홀에 있어서,
    내측이 단턱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중앙부에 칸막이벽(230)이 형성되고, 내측 상부에 사각 돌출턱(214)과 계단 돌출턱(250)이 형성되며, 사각 돌출턱(214)과 계단 돌출턱(250)에 볼트홀(216)이 형성되고, 칸막이벽(230)과 계단 돌출턱(250)에 매설 볼트(232)가 형성되며, 칸막이벽(230)의 사이에 배수홀(234)이 관통되어 이물질과 하수를 분리할 수 있도록 설치된 맨홀 몸체(200);
    상기 맨홀 몸체(200)의 중앙 상부에 안착되는 맨홀 뚜껑(300)을 지지하는 한편, 중앙 상부가 라운딩되도록 형성되고 다수개의 볼트홀(416)이 형성되어 체결 볼트(420)에 의해 사각 돌출턱(214)과 계단 돌출턱(250)에 고정되는 뚜껑받침 고무(400);
    상기 뚜껑받침 고무(420)의 상부에 체결 볼트(420)로 체결되는 한편, 상,하부가 절곡된 절곡부(510)와 그 절곡부(510)의 사면부(520)가 일체로 형성된 부재로, 하수를 하측으로 배출함과 아울러, 그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이물질 적재함(700)으로 적재시키며, 사면부(520)에 다수개의 수직 및 수평하게 이물질 유도부(540)와 배수홀(550)이 형성되고, 그 후방에 수평하게 방지틀 연결부(560)가 형성되어 역류차단 방지틀(570)이 힌지 운동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이물질 차단막(500)은 매설 볼트(232)에 체결 너트(530)가 체결되어 맨홀 몸체(200)의 내부에 설치된 이물질 차단막(500);
    상기 맨홀 몸체(200)의 내측에 설치되는 한편, 직사각형 그물형 망태 구조로, 내측에 숯이 적재되어 사각 돌출턱(214)에 밀착되도록 입설되는 숯망태(600); 및
    상기 숯망태(600)의 측면에 설치되고, 직사각형 박스 형태로, 상부가 오픈되고 양측에 각각 운반 고리(710)가 형성된 이물질 적재함(7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용 맨홀.
KR20-2004-0007288U 2004-03-17 2004-03-17 하수용 맨홀 KR2003564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288U KR200356478Y1 (ko) 2004-03-17 2004-03-17 하수용 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7288U KR200356478Y1 (ko) 2004-03-17 2004-03-17 하수용 맨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478Y1 true KR200356478Y1 (ko) 2004-07-15

Family

ID=49433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7288U KR200356478Y1 (ko) 2004-03-17 2004-03-17 하수용 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47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069B1 (ko) 2008-03-10 2008-07-11 이병인 오물 분리 기능이 구비된 맨홀 장치
KR101102576B1 (ko) * 2011-06-08 2012-01-04 대송환경개발(주) 맨홀용 협잡물 수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069B1 (ko) 2008-03-10 2008-07-11 이병인 오물 분리 기능이 구비된 맨홀 장치
KR101102576B1 (ko) * 2011-06-08 2012-01-04 대송환경개발(주) 맨홀용 협잡물 수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5928B1 (ko) 역류방지 및 배수성 증대를 위한 빗물 배수용 집수정
KR100845544B1 (ko) 우수 및 오수 겸용 공공물받이
KR200356478Y1 (ko) 하수용 맨홀
KR200416118Y1 (ko) 우, 오수받이.
KR101198705B1 (ko) 역류 방지 기능을 구비한 배수 트랩
KR100680125B1 (ko) 오수 및 하수용 조립식 맨홀
KR20090108277A (ko) 배수트랩
KR200228281Y1 (ko) 빗물받이 집수정의 악취방지 덮개
KR200338772Y1 (ko) 하수구 맨홀용 여과 및 악취방지장치
KR20050080155A (ko) 악취차단과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생활하수용 배수조
KR20160068164A (ko) 하수악취 차단장치
KR200388943Y1 (ko)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20150136237A (ko) 하수구 맨홀 악취 방지장치
JP2955546B2 (ja) 下水用会所枡
KR101301697B1 (ko) 우수 맨홀용 유로 개폐장치
KR200447046Y1 (ko) 맨홀용 악취차단장치
KR102420837B1 (ko) 배수구 악취 역류 방지 장치
KR200320468Y1 (ko) 우오수받이의 악취차단장치
JP4759169B2 (ja) 人孔蓋受枠、マンホールの人孔蓋飛散防止構造
KR101032155B1 (ko) 하수용 맨홀
CN218667807U (zh) 一种大流量排水地漏
KR200349005Y1 (ko) 필터재 우수맨홀을 이용한 빗물 중수도 시설물
KR200338761Y1 (ko) 맨홀용 악취 차단장치
KR100662712B1 (ko) 악취발산 방지용 맨홀
CN213805755U (zh) 一种用于市政建筑工程的集水井盖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