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784B1 - 물탱크 청소용 블라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물탱크 청소용 블라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784B1
KR102419784B1 KR1020210098222A KR20210098222A KR102419784B1 KR 102419784 B1 KR102419784 B1 KR 102419784B1 KR 1020210098222 A KR1020210098222 A KR 1020210098222A KR 20210098222 A KR20210098222 A KR 20210098222A KR 102419784 B1 KR102419784 B1 KR 102419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suction
mixing
spr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은
Original Assignee
홍영은
(주)명성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영은, (주)명성에스피 filed Critical 홍영은
Priority to KR1020210098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7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93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4Cleaning by means of spray elements moving over the surface to be clea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06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by boiling th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4Removing waste, e.g. labels, from cleaning liquid; Regenerating clean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852Drainage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856Cleaning of water-treatment instal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B08B9/3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using scrapers, chains, grains of shot, sand or other abras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46Inspecting cleaned containers for cleanliness

Abstract

본 발명은 블라스트 공법을 적용함으로써 물탱크 청소의 작업효율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안전성과 편리성이 확보될 수 있는 물탱크 청소용 블라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킹소다 분말을 공급하는 제1 공급수단(200); 물을 공급하는 제2 공급수단(300); 상기 제1 및 제2 공급수단(200, 300)의 각각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 밸브(210, 310); 상기 제1 공급수단(200)으로부터의 베이킹소다 분말과 상기 제2 공급수단(300)으로부터의 물을 혼합하여 세척수로서 배출시키는 혼합수단(400); 상기 혼합수단(400)을 경유하여 유입되는 세척수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가속수단(500); 상기 가속수단(500)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가속수단(500)을 통해 가속된 세척수를 물탱크(100) 내부로 분사하는 분사수단(600); 상기 분사수단(600)을 상하이동시키는 가동수단(700); 및 세척수에 의해 세척된 이물질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수단(8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물탱크 청소용 블라스트 장치{BLASTING DEVICE FOR WATER TANK CLEANING}
본 발명은 물탱크 청소용 블라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블라스트 공법을 적용함으로써 물탱크 청소의 작업효율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안전성과 편리성이 확보될 수 있는 물탱크 청소용 블라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탱크는 주택이나 아파트 등에 생활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옥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정한 수압을 유지하고 안정적인 물의 공급을 위하여 항상 일정량 이상의 물이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물이 물탱크에 저장된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물탱크 내부의 벽면에는 흔히 물때라고 불리는 점액질의 막이 형성된다. 이러한 물때는 각종 세균의 번식에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어 각종 수인성 질병을 초래할 위험성이 따르며, 따라서, 정기적으로 물탱크 내부를 청소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물탱크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무겁고 부피가 큰 청소장비(잔수처리기와 고압세척기 및 소동장비 등)를 탱크의 상판에 설치되어 있는 맨홀을 통해 작업자가 일일이 들고 들어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 국내 공개특허 제2012-0019839호가 있다.
한편, 블라스트 공법은 노즐에서 연마재를 분사하여 소재 표면을 다듬거나 절삭하는 공법을 뜻한다.
이전에는 주로 모래를 연마재로 사용하여 샌드 블라스트라는 명칭으로 불려졌으나, 최근에는 모래 이외에도 산화 알루미늄, 탄화 규소와 같은 세라믹 분말이나 글래스 비드, 플라스틱 파우더 등이 연마재로 사용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블라스트 공법을 건물, 자동차, 도로 시설물 등의 세척이나 건물 등에 부착된 부착물 및 페인트의 제거에 활용하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여전히 물탱크의 청소에는 응용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KR 2012-0019839 A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블라스트 공법을 적용함으로써 물탱크 청소의 작업효율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안전성과 편리성이 확보될 수 있는 물탱크 청소용 블라스트 장치를 제공함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 청소용 블라스트 장치는, 베이킹소다 분말을 공급하는 제1 공급수단(200); 물을 공급하는 제2 공급수단(300); 상기 제1 및 제2 공급수단(200, 300)의 각각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 밸브(210, 310); 상기 제1 공급수단(200)으로부터의 베이킹소다 분말과 상기 제2 공급수단(300)으로부터의 물을 혼합하여 세척수로서 배출시키는 혼합수단(400); 상기 혼합수단(400)을 경유하여 유입되는 세척수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가속수단(500); 상기 가속수단(500)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가속수단(500)을 통해 가속된 세척수를 물탱크(100) 내부로 분사하는 분사수단(600); 상기 분사수단(600)을 상하이동시키는 가동수단(700); 및 세척수에 의해 세척된 이물질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수단(800)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수단(700)은 상부위치로 설치된 고정 프레임(710)과, 상기 고정 프레임(710)의 말단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관절수단(720)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수단(600)은 상기 관절수단(720)에 의해 상하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수단(400)은, 베이킹소다 분말과 물이 혼합되는 본체(401)와, 상기 본체(401)의 외면에 구비되어 본체(401) 내부로 열을 전달하는 제1 히터(403) 및 제2 히터(405)와, 상기 본체(401)의 내부에 구비되어 베이킹소다 분말과 물을 혼합하는 교반수단(407)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히터(403)는 고온히터이고 상기 제2 히터(405)는 저온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속수단(500)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원통 형상을 구비하고, 내주면에 다수의 나선형 홈(5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사수단(600)은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사수단(600)은 고정축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대칭구조로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상부 분사부(610) 및 한 쌍의 하부 분사부(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분사부(610)의 제1 노즐부(612) 및 상기 하부 분사부(620)의 제2 노즐부(622)는 배출구(6121)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형태를 이루고, 내주면에 다수의 나선홈(6123)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6121)를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가 선회하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분사부(620)의 말단에는 조명수단(624) 및 촬영수단(626)이 상호 수직하게 배열되고, 상기 촬영수단(626)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통해 물탱크(100) 내부의 세척 불량 여부를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추가 세척작업 여부를 판단하는 모니터링 컴퓨터(9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수수단(800)은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810)와, 상기 물탱크(100)의 바닥면에서 세척후 발생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수단(830)과, 상기 흡입수단(830)에 연결되어 흡입한 이물질을 수용하는 회수탱크(820)와, 상기 진공펌프(810) 및 상기 흡입수단(830)을 상호 연결하는 유로부(L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수단(830)은 상기 유로부(L2)의 단부에 연결되고 물탱크(100)의 바닥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진공펌프(810)의 흡입력에 의해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836)와, 상기 흡입부(836)의 일단과 연결된 와이어부재(832)와, 상기 와이어부재(832)를 감거나 풀어 상기 흡입부(836)를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부(8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부재(832)는 상기 흡입부(836)의 상측에 구비된 롤러(833)를 경유하여 상기 구동부(831)와 상기 흡입부(836)를 연결하며, 상기 구동부(831)의 구동에 따라 상기 흡입부(836)가 상하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 청소용 블라스트 장치에 의하면, 블라스트 공법을 적용함으로써 물탱크 청소의 작업효율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안전성과 편리성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 청소용 블라스트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수단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속수단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수단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수단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수수단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매체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 청소용 블라스트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혼합수단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속수단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수단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수단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수수단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 청소용 블라스트 장치는, 제1 공급수단(200)과, 제2 공급수단(300)과, 제1 및 제2 밸브(210, 310)와, 혼합수단(400)과, 가속수단(500)과, 분사수단(600)과, 가동수단(700)과, 회수수단(8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공급수단(200)은 베이킹소다 분말을 공급하는 저장탱크일 수 있고, 제2 공급수단(300)은 물을 공급하는 저장탱크일 수 있다.
여기서, 베이킹소다 분말은 친환경적이면서도 세척력이 우수하여 환경오염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신속하게 세척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연마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비싼 재료비와 작업후 연마재를 회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없는 장점이 있다.
제1 및 제2 밸브(210, 310)는 상기 제1 및 제2 공급수단(200, 300)의 각각의 공급량을 제어한다.
제1 밸브(210), 제2 밸브(310)는 세척수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체크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혼합수단(400)은 상기 제1 공급수단(200)으로부터의 베이킹소다 분말과 상기 제2 공급수단(300)으로부터의 물을 혼합하여 세척수로서 배출시킨다.
혼합수단(400)은 고압펌프(도시안됨)에 의해 세척수를 후술되는 가속수단(50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고압펌프는 300㎏/㎠, 120∼150ℓ/min의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혼합수단(400)은 베이킹소다 분말과 물이 혼합되는 혼합본체(401)와, 혼합본체(401)의 외면에 구비되어 혼합본체(401) 내부로 열을 전달하는 제1 히터(403) 및 제2 히터(405)와, 혼합본체(401)의 내부에 구비되어 베이킹소다 분말과 물을 혼합하는 교반수단(407)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1 히터(403)는 고온히터이고 제2 히터(405)는 저온히터일 수 있다( 그 역도 가능함).
여기서, 제1 히터(403)는 혼합본체(401)의 상부에 배치되고 70~90℃의 고온으로 가열하는 고온히터로서 구성되고, 베이킹소다 분말과 물의 혼합이 용이하도록 보조한다. 또한, 제2 히터(405)는 하부에 배치되고 40~50℃의 저온으로 가열하는 저온히터로서 구성되고, 베이킹소다 분말과 물의 점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보조한다.
즉, 혼합수단(400)은 베이킹소다 분말과 물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점도 등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제1 밸브(210), 제2 밸브(310)에 의해 공급량이 제어되어 제1 및 제2 공급부(200, 300)로부터 공급되는 베이킹소다 분말과 물은 혼합본체(401) 내의 교반수단(407)에 의해 교반되어 후술되는 세척수 공급관(402)을 통해 가속수단(500)으로 배출될 수 있다.
교반수단(407)은 회전축(4071)이 수평으로 배치되는 교반날개(4073)를 포함한다. 여기서, 교반날개(4073)의 표면에는 교반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다수의 돌기(4073a)가 형성될 수 있다.
가속수단(500)은 상기 혼합수단(400)을 경유하여 유입되는 세척수의 유속을 증가시킨다.
도 3를 참조하면, 가속수단(500)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원통 형상을 구비하고, 그 상부에는 에어 공급관(510) 및 세척수 공급관(402)이 각각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세척수 배출관(512)이 설치되며, 원통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나선형 유도홈(53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에어 공급관(510)에는 에어 콤프레서와 같은 모터 등의 기계 동력을 이용하여 피스톤, 임펠러(impeller), 스크류(screw) 등으로 구성된 에어압축장치를 통해 에어를 압축시켜 공급하는 에어공급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에어 공급관(510) 및 세척수 공급관(402)으로 유입되는 에어와, 세척수는 중력에 의해 하부로 하강하고, 이때 원심력에 의해 유도홈(530)을 따라 선회하면서 유속이 가속되며, 세척수 배출관(520)을 통해 배출된다.
분사수단(600)은 상기 가속수단(500)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가속수단(500)을 통해 가속된 세척수를 물탱크(100) 내부로 분사한다.
가동수단(700)은 상기 분사수단(600)을 상하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동수단(700)은 상부위치로 설치된 고정 프레임(710)과, 상기 고정 프레임(710)의 말단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관절수단(720)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수단(600)은 상기 관절수단(720)에 의해 상하이동가능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분사수단(600)은 본체(611)와, 고정축(612)과, 한 쌍의 상부 분사부(610)와, 한 쌍의 하부 분사부(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611)는 그 상단이 가동수단(700)의 관절수단(720)의 일단에 장착되어 분사수단(600)이 상하이동가능하도록 한다.
본체(611)의 일측에는 세척수의 공급을 위해 가속수단(500)의 세척수 배출관(512)과 연결되는 유로관(L1)이 결합될 수 있다.
고정축(612)은 본체(611)의 양측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한 쌍의 상부 분사부(610) 및 한 쌍의 하부 분사부(620)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세척수의 통과를 위해 중공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한 쌍의 상부 분사부(610) 및 한 쌍의 하부 분사부(620)는 상호 대칭구조를 갖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부 및 하부라는 용어는 위치에 따른 상대적인 표현일 뿐 특정기능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지 않는다.
여기서, 고정축(612)에는 한 쌍의 상부 분사부(610) 및 한 쌍의 하부 분사부(620)를 상호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배열한후 볼트(B)에 의해 조임 결합되는 방식으로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분사부(620)의 말단에는 조명수단(624) 및 촬영수단(626)이 상호 수직하게 배열되고, 상기 촬영수단(626)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통해 물탱크(100) 내부의 세척 불량 여부를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추가 세척작업 여부를 판단하는 모니터링 컴퓨터(9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명수단(624) 및 촬영수단(626)은 하부 분사부(620)이 아니라 상부 분사부(610)의 말단에도 배열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수단의 구성도로서, 회전구동부(628)를 더 포함하여 좌우로 회전가능하다는 점을 제외하면 나머지 구성은 앞서 설명한 분사수단(600)의 구성과 동일하며,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다만, 회전구동부(628)는 기어(628a, 628b)를 통해 모터(M2)에 연결되며, 제어부(900)의 제어동작에 의해 분사수단(60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고정축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대칭구조로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상부 분사부(610) 및 한 쌍의 하부 분사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부 분사부(610)의 제1 노즐부(612) 및 상기 하부 분사부(620)의 제2 노즐부(622)는 배출구(6121)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형태를 이루고, 내주면에 다수의 나선홈(6123)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6121)를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가 선회하며 배출될 수 있다(도 6 참조).
이로써, 상부 분사부(610) 및 하부 분사부(620)에 있어서, 세척수가 선회 배출가능하게 됨으로써 세척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회수수단(800)은 세척수에 의해 세척된 물탱크(100) 내의 이물질을 회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회수수단(800)은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810)와, 상기 물탱크(100)의 바닥면에서 세척후 발생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수단(830)과, 상기 흡입수단(830)에 연결되어 흡입한 이물질을 수용하는 회수탱크(820)와, 상기 진공펌프(810) 및 상기 흡입수단(830)을 상호 연결하는 유로부(L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흡입수단(830)은 상기 유로부(L2)의 단부에 연결되고 물탱크(100)의 바닥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진공펌프(810)의 흡입력에 의해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836)와, 상기 흡입부(836)의 일단과 연결된 와이어부재(832)와, 상기 와이어부재(832)를 감거나 풀어 상기 흡입부(836)를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부(83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부재(832)는 상기 흡입부(836)의 상측에 구비된 롤러(833)를 경유하여 상기 구동부(831)와 상기 흡입부(836)를 연결하며, 상기 구동부(831)의 구동에 따라 상기 흡입부(836)가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831)는 모니터링 컴퓨터(910)에서의 원격조정에 의해 상승 작동 또는 하강 작동하여 흡입부(836)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장치일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 청소용 블라스트 장치는 베이킹소다분말과 물의 세척수 중에서 지속된 사용기간 동안 베이킹소다분말이 가속수단(500)의 벽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진동수단(800)을 제공할 수 있다.
진동수단(800)은 가속수단(500)의 일측에 연결되어 가속수단(500)의 진동을 실시하고, 이에 따라 가속수단(500)은 가속 중에 계속하여 일정한 진동 폭 및 주기로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진동하게 되며, 그결과 지속된 사용기간 동안 베이킹소다분말이 가속수단(500)의 벽면에 부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물탱크
200 : 제1 공급수단
300 : 제2 공급수단
210, 310 : 제1 및 제2 밸브
400 : 혼합수단
500 : 가속수단
600 : 분사수단
700 : 가동수단
800 : 회수수단

Claims (10)

  1. 베이킹소다 분말을 공급하는 제1 공급수단(200);
    물을 공급하는 제2 공급수단(300);
    상기 제1 및 제2 공급수단(200, 300)의 각각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 밸브(210, 310);
    상기 제1 공급수단(200)으로부터의 베이킹소다 분말과 상기 제2 공급수단(300)으로부터의 물을 혼합하여 세척수로서 배출시키는 혼합수단(400);
    상기 혼합수단(400)을 경유하여 유입되는 세척수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가속수단(500);
    상기 가속수단(500)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가속수단(500)을 통해 가속된 세척수를 물탱크(100) 내부로 분사하는 분사수단(600);
    상기 분사수단(600)을 상하이동시키는 가동수단(700); 및
    세척수에 의해 세척된 이물질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수단(800)을 포함하고,
    상기 가동수단(700)은 상부위치로 설치된 고정 프레임(710)과, 상기 고정 프레임(710)의 말단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관절수단(720)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수단(600)은 상기 관절수단(720)에 의해 상하이동가능하고,
    상기 회수수단(800)은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810)와, 상기 물탱크(100)의 바닥면에서 세척후 발생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수단(830)과, 상기 흡입수단(830)에 연결되어 흡입한 이물질을 수용하는 회수탱크(820)와, 상기 진공펌프(810) 및 상기 흡입수단(830)을 상호 연결하는 유로부(L2)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수단(830)은 상기 유로부(L2)의 단부에 연결되고 물탱크(100)의 바닥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진공펌프(810)의 흡입력에 의해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부(836)와, 상기 흡입부(836)의 일단과 연결된 와이어부재(832)와, 상기 와이어부재(832)를 감거나 풀어 상기 흡입부(836)를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부(831)을 포함하는 물탱크 청소용 블라스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수단(400)은,
    베이킹소다 분말과 물이 혼합되는 본체(401)와,
    상기 본체(401)의 외면에 구비되어 본체(401) 내부로 열을 전달하는 제1 히터(403) 및 제2 히터(405)와,
    상기 본체(401)의 내부에 구비되어 베이킹소다 분말과 물을 혼합하는 교반수단(407)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히터(403)는 고온히터이고 상기 제2 히터(405)는 저온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청소용 블라스트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600)은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청소용 블라스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600)은 고정축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대칭구조로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상부 분사부(610) 및 한 쌍의 하부 분사부(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청소용 블라스트 장치.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분사부(620)의 말단에는 조명수단(624) 및 촬영수단(626)이 상호 수직하게 배열되고, 상기 촬영수단(626)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통해 물탱크(100) 내부의 세척 불량 여부를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추가 세척작업 여부를 판단하는 모니터링 컴퓨터(9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청소용 블라스트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재(832)는 상기 흡입부(836)의 상측에 구비된 롤러(833)를 경유하여 상기 구동부(831)와 상기 흡입부(836)를 연결하며, 상기 구동부(831)의 구동에 따라 상기 흡입부(836)가 상하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청소용 블라스트 장치.
KR1020210098222A 2021-07-27 2021-07-27 물탱크 청소용 블라스트 장치 KR102419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222A KR102419784B1 (ko) 2021-07-27 2021-07-27 물탱크 청소용 블라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222A KR102419784B1 (ko) 2021-07-27 2021-07-27 물탱크 청소용 블라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784B1 true KR102419784B1 (ko) 2022-08-04

Family

ID=82834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222A KR102419784B1 (ko) 2021-07-27 2021-07-27 물탱크 청소용 블라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7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8340A (ja) * 1993-01-25 1994-08-09 Keiyo Butsuriyuu Kk タンクの洗浄装置
KR20120019839A (ko) 2010-08-27 2012-03-07 김경운 물탱크 청소 장치
KR101869271B1 (ko) * 2017-11-28 2018-06-21 주식회사 새움씨앤씨 소다 스크류 블라스트
KR102200655B1 (ko) * 2020-06-11 2021-01-11 신현남 개선된 블라스트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8340A (ja) * 1993-01-25 1994-08-09 Keiyo Butsuriyuu Kk タンクの洗浄装置
KR20120019839A (ko) 2010-08-27 2012-03-07 김경운 물탱크 청소 장치
KR101869271B1 (ko) * 2017-11-28 2018-06-21 주식회사 새움씨앤씨 소다 스크류 블라스트
KR102200655B1 (ko) * 2020-06-11 2021-01-11 신현남 개선된 블라스트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570600U (zh) 手持式清洗机
CN106499159B (zh) 一体化全自动墙面粉刷机组及其使用方法
CN108301299A (zh) 一种道路施工用路面灌缝装置
KR102419784B1 (ko) 물탱크 청소용 블라스트 장치
CN209125638U (zh) 一种模具表面喷砂用循环装置
CN210550494U (zh) 一种铝型材喷砂装置
CN116765963B (zh) 一种装配式建筑安装用打磨设备
KR102200655B1 (ko) 개선된 블라스트 세척장치
CN216262497U (zh) 衬砌台车布料机快捷清洁装置
CN207839473U (zh) 一种用于冲击器的清洗回收装置
CN115319583A (zh) 一种汽车管件焊接加工用焊缝打磨修复装置
CN210650259U (zh) 一种喷砂机
CN208629256U (zh) 一种可调节磨液喷砂机
CN209566004U (zh) 一种输送式自动液体喷砂设备
CN208557199U (zh) 碎屑回收喷砂房
CN218392903U (zh) 室内降尘装置
RU13232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мывки гладких поверхностей
CN217269052U (zh) 房屋墙体加固补强装置
CN109821824A (zh) 一种消防用消防水管清洗装置
CN114770733B (zh) 一种自清洁的小型3d打印水泥砂浆泵车
CN217948725U (zh) 一种用于公路施工的裂缝修补装置
CN219922458U (zh) 一种采矿业爆破尘土快速清洗装置
CN210965638U (zh) 一种叶轮喷漆小车
CN108422333A (zh) 一种可调节磨液喷砂机
CN215092805U (zh) 一种用于安全玻璃回收再利用的粗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