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9839A - 물탱크 청소 장치 - Google Patents

물탱크 청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9839A
KR20120019839A KR1020100083361A KR20100083361A KR20120019839A KR 20120019839 A KR20120019839 A KR 20120019839A KR 1020100083361 A KR1020100083361 A KR 1020100083361A KR 20100083361 A KR20100083361 A KR 20100083361A KR 20120019839 A KR20120019839 A KR 20120019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discharge pipe
unit
contamin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운
Original Assignee
김경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운 filed Critical 김경운
Priority to KR1020100083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9839A/ko
Publication of KR20120019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8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B08B9/2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splash, spray, or jet application, with or without so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B08B9/36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using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8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containers, e.g.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탱크의 내측 표면을 청소하기 위한 물탱크 청소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척면에 흡입구를 구비하고, 타면에 배출관을 구비하는 몸체부와, 이러한 몸체부에 연장 형성되고, 흡입구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며 통수공을 구비하는 탄성 재질의 밀착판부와, 세척면에서 물탱크 내측 표면과 대면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물탱크 내측 표면과 마찰하는 브러쉬부 및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흡입구를 통해 오염물질과 혼합된 물을 흡입하여 필터로 통과시키며, 흡입된 물에 혼합된 오염물질을 걸러낸 후 정화된 물을 배출관으로 배출하는 펌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탱크 청소 장치{CLEANING APPARATUS FOR WATER STORAGE TANK}
본 발명은 물탱크의 내측 표면을 청소하기 위한 물탱크 청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 재질의 밀착판부가 물탱크 내 측면과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면서 물탱크 내측 표면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자동으로 청소하는 물탱크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탱크는 주택 등에 생활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옥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정한 수압을 유지하고 안정적인 물의 공급을 위하여 항상 일정량 이상의 물이 채워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물탱크로 공급될 때부터 급수관에서 발생한 이물질(노폐물), 특히 부식물이 그대로 급수관을 통하여 물탱크에 공급된 후 저장되었다가, 그대로 사용자에게 공급되거나, 물탱크의 내부에 장시간 저장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이 그대로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탱크의 저면에는 이러한 이물질이 침전되고, 저면과 내벽에는 흔히 물때라고 불리는 점액질의 막이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물때는 각종 세균의 번식에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어 각종 수인성 질병을 초래할 위험성이 따른다.
따라서, 주기적인 물탱크의 청소를 통해 이를 예방하고자 하나, 물탱크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무겁고 부피가 큰 청소장비(잔수처리기와 고압세척기 및 소동장비 등)를 탱크의 상판에 설치되어 있는 맨홀을 통해 작업자가 일일이 들고 들어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청소장비를 작업자가 탱크 내부로 가지고 들어가는 과정에서 청소장비의 파손은 물론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물탱크 내측 표면을 밀착한 후 상기 밀착된 공간 내에 존재하는 오염물질과 이를 동반한 물을 흡입하여 여과하고, 배출하는 출수를 추진력으로 활용하여 이동하며 청소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물탱크의 내 측면과 바닥면을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물탱크 청소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세척수로 이용하여 수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물탱크 청소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세척면에 흡입구를 구비하고, 타면에 배출관을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며 통수공을 구비하는 탄성 재질의 밀착판부; 상기 세척면에서 물탱크 내측 표면과 대면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물탱크 내측 표면과 마찰하는 브러쉬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오염물질과 혼합된 물을 흡입하여 필터로 통과시키며, 흡입된 물에 혼합된 오염물질을 걸러낸 후 정화된 물을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하는 펌프부;를 포함하는 물탱크 청소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배출관의 출측에 연결되며, 다각도로 분지 형성되어 분사되는 출수의 수압 및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추력 및 조향 기능을 발휘하는 추진조향 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추진조향 조절부는, 상기 배출관의 출측과 연결되며, 다각도로 분지 형성된 세부배관을 구비함으로써, 출수의 분사 방향을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출수배관; 및 상기 세부배관에 각각 설비되어, 상기 세부배관으로 분사되는 출수 흐름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구비된 조절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수배관은, 마모 또는 손상 시 부분 교체가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착판부는, 상기 흡입구 주변을 둘러싸며, 내부에서 상기 브러쉬부의 마찰로 인해 박리 제거된 오염물질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밀폐 형성된 밀착판; 및 상기 밀착판의 외주연 상에 복수 배치되어, 외부로부터의 지속적인 물의 도입을 위해 미세한 홀 형상으로 이루어진 통수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러쉬부는, 연성의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물탱크 내측 표면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진동하며 박리하는 브러쉬; 및 상기 브러쉬에 진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필터에 의해 걸러진 오염물질을 별도로 저장하는 오염물 저장조가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펌프부는, 상기 몸체부 내로 물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상기 흡입구로부터 물이 배출되는 상기 배출관까지 내부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된 내부배관; 상기 내부배관 상에 장착되어 물의 유입 및 유출에 필요한 작용력을 발휘하도록 구비된 펌프; 및 상기 내부배관 상으로 유입된 물로부터 오염물질만을 여과하도록 구비된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흡입구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물탱크 내측 표면에 대해 UV광을 조사하도록 구비된 살균소독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펌프부의 작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출수배관에 구비된 상기 조절밸브의 개폐를 조절함으로써, 추력 및 조향을 제어하는 추진조향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진조향 제어부는, 상기 몸체부에 대해 추진 방향 측으로 물탱크 내측 표면을 촬상하여 영상을 획득하도록 구비된 영상입력부; 획득된 영상을 빠른 화상 처리를 위해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도록 구비된 영상처리부;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무선 콘트롤러로 전송하도록 구비된 인터페이스부; 및 사용자의 무선 콘트롤러로부터 인가된 추력 또는 조향 제어에 관한 지령을 수신하여, 상기 펌프부의 작동 및 상기 조절밸브의 선택적 개폐를 제어하는 마이콤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물탱크 내측 표면에 존재하는 오염물질과 이를 동반한 물을 여과한 뒤, 배출되는 물을 추진력으로 사용하여 이동하면서 물탱크의 내 측면과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세척수로 이용하여 수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탱크 원격제어를 통해 소망하고자 하는 동작을 무선으로 제어함으로 인해, 물탱크 청소 장치를 원격으로 간편하게 조정하여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청소 장치의 개념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청소 장치의 개념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청소 장치의 구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작동관계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진조향 조절부의 구조 및 작동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청소 장치의 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 구성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착판부의 원리를 나타낸 도면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물탱크 청소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 청소 장치의 전원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무선일 경우에는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는 형식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 청소 장치의 전원의 설명은 별도로 하지 않고,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청소 장치의 개념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청소 장치의 개념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으로,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 및 도 2를 동시에 참조하면, 물탱크 청소 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몸체부(110)와, 이러한 몸체부(110)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는 밀착판부(130)와, 물탱크의 내측 표면(S)과 마찰하는 브러쉬부(150)와, 물탱크 청소의 흡입부터 배출까지 구동을 담당하는 펌프부(17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원리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하며, 구체적인 구성의 구조 및 작동관계에 대해서는 도 3에 후술하도록 한다.
먼저, 몸체부(1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몸체부(110)는, 세척면에 흡입구(112)를 구비하고, 타면에 배출관(114)을 구비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물탱크 청소 장치(100)는, 수중에서 청소를 하는 장치이므로, 상기 몸체부(110)는 방수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110)는, 수중에서 청소하는 물탱크 청소 장치(100)의 뼈대로써, 물탱크 내의 바닥면을 청소할 때는 부력에 의해 뜨지 않도록 비교적 큰 무게 하중을 갖는 심재를 내장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밀착판부(1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밀착판부(130)는,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12)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또한, 이러한 밀착판부(130)는 통수공(134)을 구비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밀착판부(130)는, 상기 몸체부(110)의 흡입구(112) 주변을 둘러싸며 형성된다. 상기 밀착판부(130)의 내부에서 상기 브러쉬부(150)의 마찰로 인해, 물탱크 내에 존재하는 오염물질과 혼합된 물을 박리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거된 오염물질이 상기 밀착판부(130)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밀폐 형성되는데, 이러한 역할을 하도록 상기 밀착판부(130)에 밀착판(132)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밀착판부(130)는, 상기 밀착판(132)의 외주연 상에 복수 배치되어, 외부로부터의 물이 물탱크 청소 장치(100)가 작동 중에 지속적으로 물이 도입될 수 있도록 미세한 홀 형상으로 이루어진 통수공(13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밀착판부(130)는, 물탱크 청소 장치(100)가 물탱크 내측 표면(S)에 밀착되어 청소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밀착판(132)과 통수공(134)을 포함한다.
이렇게 통수공(134)이 구비된 밀착판부(130)가 물탱크 내측 표면(S) 상에 원활하게 밀착되기 위해서는 후술될 펌프부(170)의 역할이 중요하다.
구체적인 구성 요소들 간의 작동관계는 후술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브러쉬부(15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브러쉬부(150)는, 물탱크 내측 표면(S)에 존재하는 오염물질과 혼합된 물을 박리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브러쉬부(150)는, 물탱크 내측 표면(S)에 접촉하게 형성되어, 물탱크 내측 표면(S)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진동하며 박리하는 브러쉬(152)와, 상기 브러쉬(152)에 진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브러쉬(152)는, 상기 몸체부(110) 하단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브러쉬부(150)는, 몸체부(110)에 구비되며, 브러쉬(152)는 외부로 돌출되어있다. 이러한 브러쉬(152)는, 상기 구동모터(154)로부터 전달받은 진동력으로 인해 물탱크 내측 표면(S)을 진동하며 마찰한다. 이때, 물탱크 내측 표면(S)에 닿았을 때 마찰력이 발생되며, 오염물질과 혼합된 물을 박리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펌프부(17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펌프부(170)는,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물탱크 청소 장치(100)가 작동되는 원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도시된 바로는, 펌프부(170)의 단면형상이 사각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나, 이러한 단면 형상은 여러 가지 각 구성을 포괄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적인 형상일 뿐, 본 발명은 이러한 형상에 제한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원, 사다리꼴 단면 형상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도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펌프부(170)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물탱크 청소 장치(100)가 물탱크 내측 표면(S)에 닿았을 때, 몸체부(110)의 하부에 구비된 흡입구(112)를 통해 오염물질과 혼합된 물을 흡입한다. 이렇게 흡입된 오염물질과 혼합된 물을 필터(176)를 통해 통과시킨다. 이렇게 흡입되어 필터(176)로 통과된 물에 혼합된 오염물질을 걸러낸 후 정화된 물을 배출관(114)으로 배출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상기 펌프부(170)가 작동함으로써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펌프부(17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물이 유입되어 배출되는 내부배관(172)과, 물의 유입 및 유출에 필요한 작용력을 발휘하는 펌프(174)와, 오염물질만을 여과하는 필터(176)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배관(172)은, 몸체부(110) 내로 물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흡입구(112)로부터 물이 배출되는 배출관(114)까지 내부 유로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펌프(174)는, 상기 내부배관(172) 상에 장착되어 물의 유입 및 유출에 필요한 작용력을 발휘하도록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176)는, 상기 내부배관(172) 상으로 유입된 물로부터 오염물질만을 여과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물탱크 청소 장치(100)는 추진 및 조향역할을 할 수 있도록 추진조향 조절부(18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추진조향 조절부(180)는, 다각도로 분지 형성된 출수배관(182)과, 상기 출수배관(182)내에 형성되며, 상기 출수배관(182)의 개폐 조절을 담당하는 조절밸브(184)를 포함한다.
상기 출수배관(182)은, 배출관(114)의 출측과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때, 출수배관(182)은, 다각도로 분지 형성된 세부배관을 구비함으로써, 출수의 분사 방향을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출수배관(182)는, 마모 또는 손상 시에 부분 교체가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밸브(184)는, 상기 세부배관에 각각 설비되어, 상기 세부배관으로 분사되는 출수 흐름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절밸브(184)의 개폐 조절로 인해, 분지 형성된 출수배관(182)의 개폐가 결정된다. 이때, 출수배관(182)에 배출되는 방향에 따라 물탱크 청소 장치(100)의 추진방향이 결정되며,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조절밸브(184)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수배관(182)의 원리 및 자세한 설명은 후술되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도록 한다.
한편, 물탱크 청소 장치(100)는, 물탱크 내측 표면(S)에 오염물질과 혼합된 물을 흡입 및 여과함과 동시에 살균소독을 하도록 살균소독 처리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살균소독 처리부(120)는, 몸체부(110)로부터 흡입구(112)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또한, 물탱크 내측 표면(S)에 대해 UV광을 조사하여 살균소독 처리를 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청소 장치의 구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작동관계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물탱크 청소 장치(도 1의 100)는 원격제어를 하여 각 구성요소들 간의 작동관계에 대해서 도식화 하였다. 더욱 상세하게는, 화면에 출력된 물탱크 청소 장치(도 1의 100)의 움직임을 사용자가 확인하면서 무선 컨트롤러(199)로 조작하며 청소를 실시하는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이때, 물탱크 청소 장치(도 1의 100)의 구동과정을 설명하기에 앞서,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구비된 추진조향 제어부(19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추진조향 제어부(190)는, 펌프부(170)의 작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도시된 출수배관(182)에 구비된 조절밸브(184)의 개폐를 조절한다. 또한, 이렇게 개폐를 조절함으로써, 추력 및 조향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진조향 제어부(190)는, 청소되는 부위를 촬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입력부(192)와,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변환시키는 영상처리부(194)와, 변환된 데이터를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실시간으로 무선컨트롤러(199)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196)와, 상기 펌프부(170)의 작동 및 상기 조절밸브(184)의 선택적 개폐를 제어하는 마이콤부(198)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입력부(192)는, 일정 주파수 이상의 빛이 입사되면 도체 내부의 광전자가 방출되는 광전효과를 이용하여 빛으로 들어온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CCD 방식은, 노이즈가 적고, 정밀도가 높아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194)는 일종의 화상처리모듈로써, 획득된 영상 데이터를 병렬로 처리하므로 빠른 이미지 저장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부(196)는, 컴퓨터와 단말기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매개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마이콤부(198)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96)에 의해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펌프부(170)를 작동시킨다. 또한, 펌프부(170)에 의해 배출되는 물이 출수배관(182)의 개폐 여부를 결정짓는 조절밸브(184)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조절밸브(184) 개폐여부 조절은, 출수배관(182)에 배출되는 물을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추진조향 조절부의 구조 및 작동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추진조향 조절부(180)는, 다각도로 분지 형성되어 출수의 분사 방향을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출수배관(182)과, 출수 흐름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조절밸브(184)가 구비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출수배관(182)내에 구비된 상기 조절밸브(184)는, 원하는 방향으로 추력을 얻기 위해서 세부배관1(182a)을 열고, 세부배관2(182b) 및 세부배관3(182c)를 닫는 방식으로 적용된다. 이러한 방식은 수압이 세부배관1(182a)으로 집중되어 배출되는 물로 얻어진 추력으로 인해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세부배관1(182a)은 닫고, 세부배관2(182b) 및 세부배관3(182c)을 여는 방식으로도 할 수 있다. 또한, 이는 본 발명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예로도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출수배관(182)은, 상술한 바와 같이, 마모 또는 손상 시 부분 교체가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서 설명된 추진조향 조절부(180)는, 출수배관(182)이 고정된 형태였다면,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H)을 구비하여 회전이 가능한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힌지축(H)을 중심으로 좌, 우로 회전이 가능하며,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 조향이 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추진조향 조절부(180)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원활하게 방향전환이 가능한 고정방식에서 한쪽을 막고, 다른 쪽을 개방하는 방식 및 회전하는 방식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도 변형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청소 장치의 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브러쉬(152)를 둘러싼 흡입구(112)와, 상기 흡입구(112) 주변을 둘러싸며, 살균소독 처리 하는 살균소독 처리부(120)와, 이러한 구성들 주변을 둘러싸며 밀폐 형성된 밀착판(132)이 구성된다.
상기 살균소독 처리부(120)에 의한 살균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 대부분 습한 환경에서 서식하는 이물질을 살균하는데 효과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살균소독 처리부(120)는, 점등시키는 것만으로 살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비와 유지비가 저렴한 효과가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착판부의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동시에 참조하면, 밀착판부(130)가 물탱크 내측 표면(S)에 안착되어, 도 8에 도시된 상단 화살표 방향으로 진행되는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밀착판부(130)는, 통수공(134)이 구비되므로, 수중의 부력으로부터 제한되지 않기 위해 지속적인 흡입을 한 상태로 밀착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통수공(134)을 통해 유입되는 오염물질과 동반한 물을 흡입한다.
이때, 흡입된 오염물질을 여과한 후 물을 배출하여 추력을 얻고, 얻어진 추력을 바탕으로 방향을 조절한다. 이러한 과정이 가능하려면, 연속적으로 물이 통수공(134)을 통해 유입되고, 지속적인 흡입을 하여야 밀착되는 상태에서도 이동하며 청소가 가능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을 통해, 화살표 진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청소가 가능한 실시예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밀착판부(130)의 내외부의 압력(P) 차를 이용해서 계속적인 밀착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 청소 장치(100)는 물탱크 내측 표면(S)에 존재하는 오염물질과 이를 동반한 물을 여과한 뒤, 배출되는 물을 추진력으로 사용하여 이동하면서 물탱크의 내 측면과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탱크에 저장된 물을 세척수로 이용하여 수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탱크 원격제어를 통해 소망하고자 하는 동작을 무선으로 제어함으로 인해, 물탱크 청소 장치를 원격으로 간편하게 조정하여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물탱크 청소 장치 112 : 흡입구
114 : 배출관 116 : 오염물 저장조
120 : 살균소독 처리부 130 : 밀착판부
132 : 밀착판 134 : 통수공
150 : 브러쉬부 152 : 브러쉬
154 : 구동모터 170 : 펌프부
172 : 내부배관 174 : 펌프
176 : 필터 180 : 추진조향 조절부
182 : 출수배관 182a : 세부배관1
182b : 세부배관2 182c : 세부배관3
184 : 조절밸브 190 : 추진조향 제어부
192 : 영상입력부 194 : 영상처리부
196 : 인터페이스부 198 : 마이콤부
199 : 무선 콘트롤러 S : 물탱크 내측 표면
H : 힌지축 P : 압력

Claims (11)

  1. 세척면에 흡입구를 구비하고, 타면에 배출관을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며 통수공을 구비하는 탄성 재질의 밀착판부;
    상기 세척면에서 물탱크 내측 표면과 대면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물탱크 내측 표면과 마찰하는 브러쉬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오염물질과 혼합된 물을 흡입하여 필터로 통과시키며, 흡입된 물에 혼합된 오염물질을 걸러낸 후 정화된 물을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하는 펌프부;를 포함하는 물탱크 청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출측에 연결되며, 다각도로 분지 형성되어 분사되는 출수의 수압 및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추력 및 조향 기능을 발휘하는 추진조향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청소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조향 조절부는,
    상기 배출관의 출측과 연결되며, 다각도로 분지 형성된 세부배관을 구비함으로써, 출수의 분사 방향을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출수배관; 및
    상기 세부배관에 각각 설비되어, 상기 세부배관으로 분사되는 출수 흐름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구비된 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청소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배관은,
    마모 또는 손상 시 부분 교체가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청소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판부는,
    상기 흡입구 주변을 둘러싸며, 내부에서 상기 브러쉬부의 마찰로 인해 박리 제거된 오염물질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밀폐 형성된 밀착판; 및
    상기 밀착판의 외주연 상에 복수 배치되어, 외부로부터의 지속적인 물의 도입을 위해 미세한 홀 형상으로 이루어진 통수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청소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부는,
    연성의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물탱크 내측 표면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을 진동하며 박리하는 브러쉬; 및
    상기 브러쉬에 진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청소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필터에 의해 걸러진 오염물질을 별도로 저장하는 오염물 저장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청소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는,
    상기 몸체부 내로 물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상기 흡입구로부터 물이 배출되는 상기 배출관까지 내부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비된 내부배관;
    상기 내부배관 상에 장착되어 물의 유입 및 유출에 필요한 작용력을 발휘하도록 구비된 펌프; 및
    상기 내부배관 상으로 유입된 물로부터 오염물질만을 여과하도록 구비된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청소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흡입구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물탱크 내측 표면에 대해 UV광을 조사하도록 구비된 살균소독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청소 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부의 작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출수배관에 구비된 상기 조절밸브의 개폐를 조절함으로써, 추력 및 조향을 제어하는 추진조향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청소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추진조향 제어부는,
    상기 몸체부에 대해 추진 방향 측으로 물탱크 내측 표면을 촬상하여 영상을 획득하도록 구비된 영상입력부;
    획득된 영상을 빠른 화상 처리를 위해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도록 구비된 영상처리부;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무선 콘트롤러로 전송하도록 구비된 인터페이스부; 및
    사용자의 무선 콘트롤러로부터 인가된 추력 또는 조향 제어에 관한 지령을 수신하여, 상기 펌프부의 작동 및 상기 조절밸브의 선택적 개폐를 제어하는 마이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탱크 청소 장치.
KR1020100083361A 2010-08-27 2010-08-27 물탱크 청소 장치 KR201200198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361A KR20120019839A (ko) 2010-08-27 2010-08-27 물탱크 청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361A KR20120019839A (ko) 2010-08-27 2010-08-27 물탱크 청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839A true KR20120019839A (ko) 2012-03-07

Family

ID=46128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361A KR20120019839A (ko) 2010-08-27 2010-08-27 물탱크 청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9839A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203B1 (ko) * 2013-11-08 2014-1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중 청소로봇
CN104399696A (zh) * 2014-11-27 2015-03-11 贵州盘江矿山机械有限公司 设备检修台冲洗系统
KR101540304B1 (ko) * 2013-11-08 2015-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중 청소로봇
KR101540312B1 (ko) * 2013-11-08 2015-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중 청소로봇
KR20160029879A (ko) * 2014-09-05 2016-03-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중 청소로봇
CN105562410A (zh) * 2016-02-03 2016-05-11 茹朝贵 一种水池清洗机
KR20160075975A (ko) * 2014-12-19 2016-06-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물질수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청소로봇
KR20160087544A (ko) * 2015-01-14 2016-07-22 웅진고분자 주식회사 배출 도관 막힘의 해소 장치
CN108316407A (zh) * 2018-04-17 2018-07-24 苏州科技大学 一种核电用给水箱壁面检视和清洁装置及方法
CN109330500A (zh) * 2018-11-23 2019-02-15 红塔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制丝线储柜尾料清扫装置
KR20220039105A (ko) 2020-09-21 2022-03-29 (주)신정개발 저장소 청소 장치
KR102407366B1 (ko) * 2022-02-08 2022-06-10 (주)에스엘엠 선체 청소 시스템
KR102419784B1 (ko) 2021-07-27 2022-08-04 홍영은 물탱크 청소용 블라스트 장치
KR102556408B1 (ko) 2022-09-26 2023-07-17 (주)신정개발 협업형 무인로봇을 이용한 산업용 저장소의 자율 클리닝 시스템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203B1 (ko) * 2013-11-08 2014-1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중 청소로봇
KR101540304B1 (ko) * 2013-11-08 2015-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중 청소로봇
KR101540312B1 (ko) * 2013-11-08 2015-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중 청소로봇
KR20160029879A (ko) * 2014-09-05 2016-03-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수중 청소로봇
CN104399696A (zh) * 2014-11-27 2015-03-11 贵州盘江矿山机械有限公司 设备检修台冲洗系统
KR20160075975A (ko) * 2014-12-19 2016-06-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물질수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중청소로봇
KR20160087544A (ko) * 2015-01-14 2016-07-22 웅진고분자 주식회사 배출 도관 막힘의 해소 장치
CN105562410A (zh) * 2016-02-03 2016-05-11 茹朝贵 一种水池清洗机
CN108316407A (zh) * 2018-04-17 2018-07-24 苏州科技大学 一种核电用给水箱壁面检视和清洁装置及方法
CN108316407B (zh) * 2018-04-17 2023-08-11 苏州科技大学 一种核电用给水箱壁面检视和清洁装置及方法
CN109330500A (zh) * 2018-11-23 2019-02-15 红塔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制丝线储柜尾料清扫装置
KR20220039105A (ko) 2020-09-21 2022-03-29 (주)신정개발 저장소 청소 장치
KR102419784B1 (ko) 2021-07-27 2022-08-04 홍영은 물탱크 청소용 블라스트 장치
KR102407366B1 (ko) * 2022-02-08 2022-06-10 (주)에스엘엠 선체 청소 시스템
WO2023153598A1 (ko) * 2022-02-08 2023-08-17 (주)에스엘엠 선체 청소 시스템
KR102556408B1 (ko) 2022-09-26 2023-07-17 (주)신정개발 협업형 무인로봇을 이용한 산업용 저장소의 자율 클리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9839A (ko) 물탱크 청소 장치
CN201414772Y (zh) 一种与洗涤槽结合的全自动洗涤器具
KR101110854B1 (ko) 여과장치
KR100979214B1 (ko) 강변여과수 수직정 청소장치 및 청소방법
CN108046475A (zh) 一种生活污水过滤消毒处理装置
KR101416657B1 (ko) 수영장 청소 로봇
CN210150882U (zh) 一种小型储水箱
KR100758876B1 (ko) 워터젯수단을 구비한 수질 정화 시스템
CN101011041A (zh) 密封式鱼池管理系统
KR102500344B1 (ko) 식물공장 및 재배기 전용 순환식 수경재배 양액 전처리 정화장치
KR101747813B1 (ko) 세척 및 살균기능을 구비한 모래놀이터
CN213012388U (zh) 一种改进型智能过滤器
CN209481387U (zh) 一种便于清洗内壁的污水处理池
CN113387476A (zh) 一种工业生产废水处理装置
CN105434127A (zh) 人体智能护理仪
CN206126936U (zh) 生物转盘与定盘过滤一体化设备
KR20170035474A (ko) 여과장치
CN107571427A (zh) 一种用于塑料吸管消毒回收的设备
KR102545177B1 (ko) 의료 현장에서 석션 시 생성되는 분비물의 여과, 살균 및 무한 석션 처리 장치
KR102183577B1 (ko) 여과와 세정을 동시에 수행 가능한 여과시스템
CN218527314U (zh) 一种用于水产工厂化养殖用水池排污装置
CN106186286A (zh) 生物转盘与定盘过滤一体化设备
KR100969866B1 (ko) 초음파 세척장치가 구비된 슬러지 탈수기
CN214259103U (zh) 一种节能食品净化清洗机
CN208121905U (zh) 一种智能消毒过滤的马桶过滤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