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9271B1 - 소다 스크류 블라스트 - Google Patents

소다 스크류 블라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9271B1
KR101869271B1 KR1020170160600A KR20170160600A KR101869271B1 KR 101869271 B1 KR101869271 B1 KR 101869271B1 KR 1020170160600 A KR1020170160600 A KR 1020170160600A KR 20170160600 A KR20170160600 A KR 20170160600A KR 101869271 B1 KR101869271 B1 KR 101869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pipe
discharge port
compressed ai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경은
윤종규
김종우
김유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움씨앤씨
(주)세기건설안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움씨앤씨, (주)세기건설안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움씨앤씨
Priority to KR1020170160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92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9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9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7/00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다 스크류 블라스트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킹소다를 이용한 표면처리로 일반 그라인더 작업보다 작업능률이 매우 우수한 것은 물론, 안전성과 편리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다 스크류 블라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다 스크류 블라스트{BAKING SODA SCREW BLAST}
본 발명은 소다 스크류 블라스트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킹소다를 이용한 표면처리로 일반 그라인더 작업보다 작업능률이 매우 우수한 것은 물론, 안전성과 편리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다 스크류 블라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라스트 공법은 노즐에서 연마재를 분사하여 소재 표면을 다듬거나 절삭하는 공법을 뜻한다.
이전에는 주로 모래를 연마재로 사용하여 샌드 블라스트라는 명칭으로 불려졌으나, 최근에는 모래 이외에도 산화 알루미늄, 탄화 규소와 같은 세라믹 분말이나 글래스 비드, 플라스틱 파우더 등이 연마재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블라스트 공법으로는 연마재와 물을 혼합한 뒤 노즐을 통해 분사하여 가공하는 습식 블라스트(wetblast)와, 고압의 에어를 이용하여 연마재만 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건식 블라스트(air blast)가 있는데, 건식 블라스트의 경우 습식 블라스트에 비해 가공 능력은 뛰어나지만 분진 등이 많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고, 습식 블라스트의 경우 건식 블라스트에 비해 가공성은 떨어지지만 연마재가 물과 혼합되어 소재의 표면에 닿기 때문에 표면이 매끄럽게 가공된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블라스트 공법을 건물, 자동차, 도로 시설물 등의 세척이나 건물 등에 부착된 부착물 및 페인트의 제거에 활용하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건식 블라스트를 사용할 경우 분진 등이 많이 발생되고, 세척 대상물의 표면이 상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789244호(2017.10.23.)에는 '베이킹소다를 포함하는 습식 블라스트 공법을 이용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베이킹소다를 포함하는 습식 블라스트 공법을 이용한 세척장치는 연마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비싼 재료비와 작업후 연마재를 회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789244호(2017.10.23.) '베이킹소다를 포함하는 습식 블라스트 공법을 이용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킹소다를 이용한 표면처리로 일반 그라인더 작업보다 작업능률이 매우 우수한 것은 물론, 안전성과 편리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다 스크류 블라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다가 포함된 세척수가 수용되는 저장탱크(110); 상기 저장탱크(110)에 저장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120); 및 상기 저장탱크(110)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부(120)로 공급하는 공급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부(130)는, 에어공급장치(131); 일단부는 상기 에어공급장치(13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저장탱크(110)의 일측 상부에 연결되는 공급관(132); 및 일단부는 상기 공급관(132)의 양단부 사이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저장탱크(110)의 하부에 연결되는 교반관(133)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부(120)는, 노즐(122)을 포함하는 분사건(121); 및 상기 분사건(121)과 상기 저장탱크(110)를 연결하는 연결관(123)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122)은, 양단부가 개방되며, 일단부가 상기 분사건(121)에 연결되고, 타단부에 배출구(125)가 형성되면서 상기 배출구(125)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하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형태를 이루고, 내주면에 나선홈(126)이 형성되면서 상기 배출구(125)를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가 선회하며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다 스크류 블라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킹소다를 이용한 표면처리로 일반 그라인더 작업보다 작업능률이 매우 우수한 것은 물론, 안전성과 편리성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다 스크류 블라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다 스크류 블라스트에서 노즐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다 스크류 블라스트에서 노즐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소다 스크류 블라스트는 소다가 포함된 세척수가 수용되는 저장탱크(110), 상기 저장탱크(110)에 저장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120) 및 상기 저장탱크(110)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부(120)로 공급하는 공급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소다 스크류 블라스트는 모든 콘트리트 구조물의 표면처리 전 세척 및 기존 중성화 방지제, 도색, 이물질 제거 등에 사용 가능하다.
또한, 강교도장 전 녹제거 및 들뜬 도장면 정리, 차선도색 작업 전 기존 도색선 제거작업 등에 사용 가능하다.
소다는 일반적인 형태의 베이킹 소다로 이해될 수 있으며, 세척수는 물에 소다 분말이 녹은 형태로 이해될 수 있다.
세척수에는 기포억제제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부(130)는 에어공급장치(131), 일단부는 상기 에어공급장치(13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저장탱크(110)의 일측 상부에 연결되는 공급관(132) 및 일단부는 상기 공급관(132)의 양단부 사이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저장탱크(110)의 하부에 연결되는 교반관(133)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공급장치(131)는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일반적인 형태의 에어컴프레셔로 이루어지며 구동에 따라 상기 저장탱크(110)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분사부(120)에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급관(132)은 상기 에어공급장치(131)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교반관(133)은 압축공기가 상기 저장탱크(110)의 하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저장탱크(110)에 저장된 세척수가 선회하면서 소다가 가라앉거나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분사부(120)로의 원활한 배출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130)는 상기 에어공급장치(131)와 상기 교반관(133)의 일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급관(132)에 구비되는 필터(134)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필터(134)는 드레인필터로 이루어지며, 압축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등이 여과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급부(130)는 상기 필터(134)와 상기 교반관(133)의 일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급관(132)에 구비되는 압력감지센서(135), 상기 압력감지센서(135)와 상기 교반관(133)의 일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급관(132)에 구비되는 제1밸브(136), 상기 교반관(133)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2밸브(137) 및 상기 교반관(133)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제3밸브(138)을 포함한다.
상기 공급부(130)는 상기 제1,2,3밸브(136,137,138)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압력감지센서(135)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1,2,3밸브(136,137,138)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거나, 상기 제2,3밸브(137,138)가 개방 또는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분사부(120)는 노즐(122)을 포함하는 분사건(121) 및 상기 분사건(121)과 상기 저장탱크(110)를 연결하는 연결관(123)을 포함한다.
상기 분사건(121)에는 분사를 위한 개폐밸브(124)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관(123)은 일단부가 상기 저장탱크(110)의 타측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분사건(121)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즐(122)은 양단부가 개방되며, 일단부가 상기 분사건(121)에 연결되고 타단부에 배출구(125)가 형성되면서 상기 배출구(125)로 세척수가 분사된다.
상기 배출구(125)는 세척수가 고르게 분사될 수 있도록 중앙부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배출유닛(125a)이 중앙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면서 '*'와 같은 별 모양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노즐(122)은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면서 상기 배출구(125)를 배출되는 세척수의 압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즐(122)은 내주면에 나선홈(12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배출구(125)를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의 압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한편, 세척수가 선회하면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로 인해, 상기 소다 스크류 블라스트는 압축공기와 세척수의 이상적인 배합이 가능토록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선회 배출을 통한 세척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110 : 저장탱크 120 : 분사부
121 : 분사건 122 : 노즐
123 : 연결관 124 : 개폐밸브
125 : 배출구 125a : 배출유닛
130 : 공급부 131 : 에어공급장치
132 : 공급관 133 : 교반관
134 : 필터 135 : 압력감지센서
136 : 제1밸브 137 : 제2밸브
138 : 제3밸브 140 : 제어부

Claims (1)

  1. 소다가 포함된 세척수가 수용되는 저장탱크(110);
    상기 저장탱크(110)에 저장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120); 및
    상기 저장탱크(110)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분사부(120)로 공급하는 공급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부(130)는,
    에어공급장치(131);
    일단부는 상기 에어공급장치(13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저장탱크(110)의 일측 상부에 연결되면서 상기 에어공급장치(131)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상기 저장탱크(110)의 상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관(132);
    일단부는 상기 공급관(132)의 양단부 사이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저장탱크(110)의 하부에 연결되면서 압축공기가 상기 저장탱크(110)의 하부로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저장탱크(110)에 저장된 세척수가 선회하면서 소다가 가라앉거나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분사부(120)로의 원활한 배출을 유도하는 교반관(133);
    상기 에어공급장치(131)와 상기 교반관(133)의 일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급관(132)에 구비되어 압축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134);
    상기 필터(134)와 상기 교반관(133)의 일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급관(132)에 구비되는 압력감지센서(135);
    상기 압력감지센서(135)와 상기 교반관(133)의 일단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공급관(132)에 구비되는 제1밸브(136);
    상기 교반관(133)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2밸브(137) 및 상기 교반관(133)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제3밸브(138); 및
    상기 제1,2,3밸브(136,137,138)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압력감지센서(135)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1,2,3밸브(136,137,138)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거나, 상기 제2,3밸브(137,138)가 개방 또는 닫히도록 제어하고,
    상기 분사부(120)는,
    노즐(122)을 포함하는 분사건(121); 및
    상기 분사건(121)과 상기 저장탱크(110)를 연결하는 연결관(123)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122)은,
    양단부가 개방되며, 일단부가 상기 분사건(121)에 연결되고, 타단부에 배출구(125)가 형성되면서 상기 배출구(125)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하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형태를 이루고, 내주면에 나선홈(126)이 형성되면서 상기 배출구(125)를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가 선회하며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배출구(125)는,
    세척수가 고르게 분사될 수 있도록 중앙부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배출유닛(125a)이 중앙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다 스크류 블라스트.
KR1020170160600A 2017-11-28 2017-11-28 소다 스크류 블라스트 KR101869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600A KR101869271B1 (ko) 2017-11-28 2017-11-28 소다 스크류 블라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600A KR101869271B1 (ko) 2017-11-28 2017-11-28 소다 스크류 블라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9271B1 true KR101869271B1 (ko) 2018-06-21

Family

ID=62806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600A KR101869271B1 (ko) 2017-11-28 2017-11-28 소다 스크류 블라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92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817B1 (ko) * 2019-12-27 2020-03-09 주식회사 엘케이이엔씨 친환경 건식 습식 겸용 소다 블라스팅 표면처리장치
KR102200655B1 (ko) * 2020-06-11 2021-01-11 신현남 개선된 블라스트 세척장치
KR102419784B1 (ko) * 2021-07-27 2022-08-04 홍영은 물탱크 청소용 블라스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4455A (ko) * 2005-02-04 2007-10-25 조 알렉산더 소다 블라스팅 장치
JP6102299B2 (ja) * 2013-02-08 2017-03-29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長計測装置
KR101789244B1 (ko) 2015-07-06 2017-10-23 주식회사 엘엔케이시설물 베이킹소다를 포함하는 습식 블라스트 공법을 이용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4455A (ko) * 2005-02-04 2007-10-25 조 알렉산더 소다 블라스팅 장치
JP6102299B2 (ja) * 2013-02-08 2017-03-29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長計測装置
KR101789244B1 (ko) 2015-07-06 2017-10-23 주식회사 엘엔케이시설물 베이킹소다를 포함하는 습식 블라스트 공법을 이용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817B1 (ko) * 2019-12-27 2020-03-09 주식회사 엘케이이엔씨 친환경 건식 습식 겸용 소다 블라스팅 표면처리장치
KR102200655B1 (ko) * 2020-06-11 2021-01-11 신현남 개선된 블라스트 세척장치
KR102419784B1 (ko) * 2021-07-27 2022-08-04 홍영은 물탱크 청소용 블라스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9271B1 (ko) 소다 스크류 블라스트
KR101789244B1 (ko) 베이킹소다를 포함하는 습식 블라스트 공법을 이용한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EP3515661B1 (en) Apparatus configured to provide both wet and dry blasting and method for oprrating such an apparatus
JP6067722B2 (ja) 混気ジェットブラスト方法及び装置
US4995202A (en) Nozzle unit and method for using wet abrasives to clean hard surfaces
KR20110062045A (ko) 분무 살수장치
CN103072086A (zh) 旋转磨料射流清洁方法及装置
US20060137127A1 (en) Cleaning system utilizing purified water
KR102252710B1 (ko) 욕실 청소용 스프레이 건
JP2002136939A (ja) 一般建築物や集合住宅等の給水管の洗浄車
CN206701823U (zh) 洗沙机
CN208992489U (zh) 3d打印物体后处理装置及系统
JP4585194B2 (ja) 配管洗浄方法
JP2003293413A (ja) 排水管の更生方法
CN211613679U (zh) 一种矿用管道除垢装置
CN202460207U (zh) 户外沉淀水箱
CN217773079U (zh) 一种消防水带清洗装置
JP4288034B2 (ja) ブラスト装置
KR200433065Y1 (ko) 표면처리용 노즐
CN210385000U (zh) 地埋式一体化污水处理设备
JP2003305422A (ja) 高圧洗浄機能を有した湿式ブラスト装置
CN212170082U (zh) 一种具有除尘功能的机械磨具
KR102533047B1 (ko) 관로 세척 퍼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세척 퍼지 방법
JP4295893B2 (ja) 排水枝管の更生方法
KR100394825B1 (ko) 블라스터용 자기흡인 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