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720B1 -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720B1
KR102419720B1 KR1020200022232A KR20200022232A KR102419720B1 KR 102419720 B1 KR102419720 B1 KR 102419720B1 KR 1020200022232 A KR1020200022232 A KR 1020200022232A KR 20200022232 A KR20200022232 A KR 20200022232A KR 102419720 B1 KR102419720 B1 KR 102419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base
beverage
base
froze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7348A (ko
Inventor
이상석
계난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학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학식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학식품
Priority to KR1020200022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720B1/ko
Publication of KR20210107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73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30Encapsulation of particles, e.g. foodstuff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20Ingredients acting on or related to th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개시되는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는, 액상 상태로 제공되는 제 1 음료 베이스; 및 제 1 음료 베이스를 내부에 수용하는, 동결된 제 2 음료 베이스;를 포함하되,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는 제 1 음료 베이스 및 제 2 음료 베이스를 준비하는 단계; 제 1 음료 베이스를 동결시키는 단계; 및 동결된 제 1 음료 베이스의 외면을 감싸도록 제 2 음료 베이스를 동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 및 이의 제조방법{BLOCK TYPE BEVERAGES BAS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Disclosure)은,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음료를 보다 간편하고 깔끔하게 즐길 수 있게 하는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일반적으로 당도가 높은 액상의 음료, 예를 들어 홍삼 농축액(진액)은 시중에 다양한 형태로 제품화되어 유통되고 있으며, 주로 유리 용기 또는 스틱형으로 개별 포장되어 유통되고 있다.
이렇게 유통되는 홍삼 농축액은 복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하게 복용할 수 있으나, 아이들도 부담 없이 복용할 수 있도록 주로 물에 타서(희석) 복용하게 된다.
그러나, 홍삼 농축액을 물에 타기 위해서는 홍삼 농축액을 티스푼 등으로 덜어내거나 짜내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홍삼 농축액의 경우 장기간의 유통 시에 제품 특성상 지속적으로 숙성되면서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고, 저장 및 유통 조건에 따라 숙성 진행 속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각별한 관리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4867호. 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07560호 3.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07571호
본 발명(Disclosure)은, 동결된 제 1 음료 베이스가 동결된 제 2 음료 베이스의 내부에 한정되도록 제조되되, 냉동상태로 저장 및 유통과정에서 제 1 음료 베이스는 액상으로 상변화 되고 제 2 음료 베이스는 동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물이 담긴 컵에 넣기만 하면 제 2 음료 베이스가 녹으면서 제 1 음료 베이스가 물에 희석되는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 및 이의 제조방법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는, 액상 상태로 제공되는 제 1 음료 베이스; 및 제 1 음료 베이스를 내부에 수용하는, 동결된 제 2 음료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에서, 제 1 음료 베이스는 동결된 상태로 제 2 음료 베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되, 제 1 음료 베이스는 냉동 저장 및 유통 시 액상으로 상변화되고, 제 2 음료 베이스는 상변화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에서, 제 1 음료 베이스는 제 2 음료 베이스의 당도 보다 높은 당도를 가지며, 제 1 음료 베이스의 어는점 온도는 제 2 음료 베이스의 어는점 온도 보다 충분히 낮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에서,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는 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의 제조방법은, 제 1 음료 베이스 및 제 2 음료 베이스를 준비하는 단계(S10); 제 1 음료 베이스를 동결시키는 단계(S20); 및 동결된 제 1 음료 베이스의 외면을 감싸도록 제 2 음료 베이스를 동결시키는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의 제조방법에서, 단계(S10)에서의 제 1 음료 베이스는 제 2 음료 베이스의 당도 보다 높은 당도를 가지며, 제 1 음료 베이스의 어는점 온도는 제 2 음료 베이스의 어는점 온도 보다 충분히 낮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의 제조방법에서, 단계(S20)에서의 제 1 음료 베이스의 동결은 영하 18℃ 보다 낮은 온도 환경에서 수행되며, 제 1 음료 베이스는 구 형상으로 동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의 제조방법에서, 단계(S30)에서의 제 2 음료 베이스의 동결은 영하 18℃ 보다 높은 온도 환경에서 수행되며, 제 2 음료 베이스는 구 형상으로 동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또 다른 일 관점(aspect)에 따른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의 저장 및 유통 방법은, 제 1 음료 베이스의 어는점의 온도 보다는 높고 제 2 음료 베이스의 어는점의 온도 보다는 낮은 온도 환경에서 저장 및 유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를 물에 넣으면 냉동상태의 제 2 음료 베이스가 녹으면서 액상의 제 1 음료 베이스가 유출되어 물에 희석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티스푼 등을 사용하거나 짜내는 등의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액상의 제 1 음료 베이스가 냉동된 제 2 음료 베이스의 내부에 내장되어 저장 및 유통되기 때문에 음료의 장기간 유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보관 시에도 음료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본 발명은 새로운 형태의 음료로 소비자들에게 음료의 맛뿐만 아니라 음료가 제조되는 보는 즐거움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며, 간편하고 깔끔하게 음료를 즐길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의 제조 직후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1의 (B)는 도 1의 (A)에 도시된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 저장 및 유통 시 그 내부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 및 이의 제조방법을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를 나타낸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100)는 제 1 음료 베이스(110)와, 제 1 음료 베이스(110)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 2 음료 베이스(120)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음료 베이스(110)는 액상(liquid state) 상태로 제공되며, 제 2 음료 베이스(120)는 동결(freezing)된 상태로 제공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100)는 동결된 제 2 음료 베이스(120) 내부에 액상 상태의 제 1 음료 베이스(110)가 내장된 상태로 제공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10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우선 제 1 및 제 2 음료 베이스(110, 120)를 준비한다(단계 S10).
제 1 및 제 2 음료 베이스(110, 120)는 음용 시 물에 희석되는 것으로, 제 1 및 제 2 음료 베이스(110, 120)는 동일한 종류의 음료 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음료로 제공되되 제 1 음료 베이스(110)의 당도(Brix)는 제 2 음료 베이스(120)의 당도(Brix) 보다 높은 당도(Brix)를 가지도록 제공된다.
일례로, 제 1 음료 베이스(110)는 통상의 농축액 일 수 있으며, 제 2 음료 베이스(120)는 정제된 순수한 물(water)일 수 있다.
전술한 단계(S10)와 같이 제 1 및 제 2 음료 베이스(110, 120)가 준비되면, 다음으로 제 1 음료 베이스(110)를 동결(freezing)시킨다(단계 S20).
제 1 음료 베이스(110)의 동결은 후술하는 단계(S20)에서 제 2 음료 베이스(120)가 제 1 음료 베이스(110)의 외면을 감쌀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 1 음료 베이스(110)의 동결은 대략 영하 18℃ 보다 낮은 온도(T1) 환경에서 수행되며, 이를 위해서 제 1 음료 베이스(110)는 영하 18℃ 보다 낮은 온도(T1) 환경에서 동결되는 당도(Brix)를 가지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제 1 음료 베이스(110)는 동결 과정에서 설정된 형상으로 동결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제 1 음료 베이스(110)는 구(ball) 형상으로 동결된다.
여기서, 제 1 음료 베이스(110)를 설정된 형상, 즉 구(ball) 형상으로 동결시키는 것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단계(S20)와 같이 제 1 음료 베이스(110)가 동결되면, 다음으로 제 1 음료 베이스(110)의 외면을 감싸도록 제 2 음료 베이스(110)를 동결(freezing)시켜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100)의 제조를 완료한다(단계 S30).
제 2 음료 베이스(120)의 동결은 제 1 음료 베이스(110)를 내부에 수용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 2 음료 베이스(120)의 동결은 대략 영하 18℃ 보다 높은 온도(T2) 환경에서 수행되며, 이를 위해서 제 2 음료 베이스(120)는 영하 18℃ 보다 높은 온도(T2) 환경에서 동결되는 당도(Brix)를 가지도록 제공된다.
그리고 제 2 음료 베이스(120)는 동결 과정에서 설정된 형상으로 동결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제 2 음료 베이스(120)는 구(ball) 형상으로 동결된다.
여기서, 제 2 음료 베이스(120)를 설정된 형상, 즉 구(ball) 형상으로 동결시키는 것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 1 음료 베이스(110)를 대략 영하 18℃ 보다 낮은 온도(T1) 환경에서 동결시키고, 제 2 음료 베이스(110)를 대략 영하 18℃ 보다 높은 온도(T2) 환경에서 동결시키는 것은, 통상의 빙과류 및 냉동식품이 제조과정에서 살균 처리된 후 세균이 증식할 가능성이 낮은 대략 영하 18℃의 온도로 저장 및 유통되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은 저장 및 유통 시 동결된 제 2 음료 베이스(120)는 상변화가 일어나지 않게 하며, 동결된 제 1 음료 베이스(110)는 액상으로 상변화가 일어나게 하기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조건 하에서 제 1 및 제 2 음료 베이스(110, 120)의 동결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100)는 동결된 제 2 음료 베이스(120) 내부에 액상 상태의 제 1 음료 베이스(110)가 내장된 상태 제공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동결된 제 2 음료 베이스(120) 내부에 액상 상태의 제 1 음료 베이스(110)가 내장된 상태 제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100)는 제 1 음료 베이스(110)의 어는점의 온도(T1) 보다는 높고 제 2 음료 베이스(120)의 어는점의 온도(T2) 보다는 낮은 온도 환경에서 저장 및 유통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100)를 물에 넣으면 냉동상태의 제 2 음료 베이스(120)가 녹으면서 액상의 제 1 음료 베이스(110)가 유출되어 물에 희석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티스푼 등을 사용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액상의 제 1 음료 베이스(110)가 냉동된 제 2 음료 베이스(120)의 내부에 내장되어 유통되기 때문에 음료의 장기간 유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보관 시에도 음료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새로운 형태의 음료로 소비자들에게 음료의 맛뿐만 아니라 음료가 제조되는 보는 즐거움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며, 간편하고 깔끔하게 음료를 즐길 수 있게 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액상 상태로 제공되는 제 1 음료 베이스; 및
    상기 제 1 음료 베이스를 내부에 수용하는, 동결된 제 2 음료 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음료 베이스는 동결된 상태로 제공되고, 상기 제 2 음료 베이스는 상기 제 1 음료 베이스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동결된 상기 제 1 음료 베이스의 외면을 감싸며 동결되며, 상기 제 1 음료 베이스는 냉동 저장 및 유통 시 액상으로 상변화되고, 상기 제 2 음료 베이스는 상변화되지 않는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료 베이스는 상기 제 2 음료 베이스의 당도 보다 높은 당도를 가지며,
    상기 제 1 음료 베이스의 어는점 온도는 상기 제 2 음료 베이스의 어는점 온도 보다 낮은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는 구 형상을 가지는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
  5. 제 1 음료 베이스 및 제 2 음료 베이스를 준비하는 단계(S10);
    상기 제 1 음료 베이스를 동결시키는 단계(S20); 및
    동결된 상기 제 1 음료 베이스의 외면을 감싸도록 제 2 음료 베이스를 동결시키는 단계(S30);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S10)에서의 상기 제 1 음료 베이스는 상기 제 2 음료 베이스의 당도 보다 높은 당도를 가지며,
    상기 제 1 음료 베이스의 어는점 온도는 상기 제 2 음료 베이스의 어는점 온도 보다 낮은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의 제조방법.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단계(S20)에서의 상기 제 1 음료 베이스의 동결은 영하 18℃ 보다 낮은 온도 환경에서 수행되며,
    상기 제 1 음료 베이스는 구 형상으로 동결되는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의 제조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단계(S30)에서의 상기 제 2 음료 베이스의 동결은 영하 18℃ 보다 높은 온도 환경에서 수행되며,
    상기 제 2 음료 베이스는 구 형상으로 동결되는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22232A 2020-02-24 2020-02-24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19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232A KR102419720B1 (ko) 2020-02-24 2020-02-24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232A KR102419720B1 (ko) 2020-02-24 2020-02-24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348A KR20210107348A (ko) 2021-09-01
KR102419720B1 true KR102419720B1 (ko) 2022-07-12

Family

ID=77779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232A KR102419720B1 (ko) 2020-02-24 2020-02-24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72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591B1 (ko) * 2018-06-26 2019-11-08 단태욱 농축액이 코팅된 커피원두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867Y1 (ko) 2002-01-26 2002-05-11 이상효 얼음으로 만들어진 포장용기
KR101730556B1 (ko) * 2015-05-27 2017-04-26 하이트진로 주식회사 과즙을 함유하는 복합 코팅 캡슐의 제조방법
KR20160143056A (ko) * 2015-06-04 2016-12-14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동결 음료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음료
KR20180107560A (ko) 2017-03-22 2018-10-02 주식회사 파이닉스푸드 액상 물질 코팅 얼음
KR20180107571A (ko) 2017-03-22 2018-10-02 주식회사 파이닉스푸드 액상 물질 코팅 얼음 제조 방법
KR101915490B1 (ko) * 2017-03-31 2018-11-06 주식회사농심 캡슐기름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591B1 (ko) * 2018-06-26 2019-11-08 단태욱 농축액이 코팅된 커피원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348A (ko) 202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97921A1 (en) Beverage supplemen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6511693B2 (en) Frozen slushy in a squeezable pouch
MX2007001920A (es) Paquete sellado de ingredientes para una bebida batida fria hecha a base de ingredientes naturales, individual y metodos y aparatos asociados.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_____.
US20130232992A1 (en) Novel ic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ice
WO2001084958A3 (en) Formula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a universal fruit base for use in preparing non-settling, creamy, smooth, thick fruit beverages
CN102805164A (zh) 一种冷泡茶的泡制方法
KR102419720B1 (ko) 블록 타입 음료 베이스 및 이의 제조방법
JP6405300B2 (ja) 凍結飲料の解凍時の甘味変化又は色調変化を緩和する方法
JP4716921B2 (ja) 冷菓及び冷菓を作る方法
KR20140019931A (ko) 커피 얼음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커피
KR20160143056A (ko) 동결 음료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음료
US20050163892A1 (en) Frozen additive for use with a heated beverage
KR101741126B1 (ko) 아이스 생맥주 및 그 제조방법
JPH01262779A (ja) 冷凉飲料用氷
CN105668012A (zh) 液体饮料和冷冻饮品用组合式容器
CN112244140A (zh) 一种酒心巧克力雪糕局及其制备方法
JP3243561U (ja) 飲料用氷
JP2010022784A (ja) 飲料冷却攪拌食器
KR20160112781A (ko) 더치 커피를 이용한 아이스 아메리카노 제조방법
KR100529473B1 (ko) 식음용 조성액을 함유하는 얼음 및 그 얼음의 제조방법
KR101394530B1 (ko) 초콜릿이 토핑된 음료 및 그 제조방법
JP7398513B1 (ja) 固形物を含有する容器詰飲料
US20190104755A1 (en) Method of making tomato water
WO2023233845A1 (ja) 可撓性容器に密封された容器詰飲料
CN106922878A (zh) 一种方便鲜果茶及其饮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