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847B1 -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847B1
KR102418847B1 KR1020200177387A KR20200177387A KR102418847B1 KR 102418847 B1 KR102418847 B1 KR 102418847B1 KR 1020200177387 A KR1020200177387 A KR 1020200177387A KR 20200177387 A KR20200177387 A KR 20200177387A KR 102418847 B1 KR102418847 B1 KR 102418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mode
autonomous driving
vehicle body
vehicle
mai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7052A (ko
KR102418847B9 (ko
Inventor
백찬우
이상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200177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847B1/ko
Publication of KR20220087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847B1/ko
Publication of KR102418847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847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1Indicating devices mount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9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built in the vehicle body
    • B60Q1/2623Details of the faste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19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built in the vehicle body
    • B60Q1/2638Positioning the device housing by indexing means separate from the fastening means, e.g. pins,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5Handover processes
    • B60W60/0051Handover processes from occupants to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12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 links or levers, and cams, or members of at least two of these typ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55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 G05D1/006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automatic pilot to manual pilot and vice versa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88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characterized by the autonomous decision making process, e.g. artificial intelligence, predefined behaviou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적용되는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는, 전동식 액추에이터부의 구동으로 램프를 차체의 외부로 팝업하거 수납하는 기계적 작동구조를 갖는 등화기 및 차량의 자율주행모드 여부에 따라 상기 등화기를 작동하여 상기 차체로부터 팝업 시키거나 수납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AUTONOMOUS DRIVING MODE LIGH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자율주행상태를 타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한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율주행차량은 운전자의 개입 없이 차량 스스로 원하는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다. 통상 자율주행 기술은 제어 주체, 주행 책임 및 자동화 수준(정도)를 고려하여 0레벨에서 5레벨까지의 6단계로 분류되고 있다.
현재까지는 운전자의 부분적 개입이 필요한 레벨 2~3레벨 수준의 주행보조 역할의 부분적 자율주행차량들이 운행 중이지만, 가까운 미래에 4레벨 이상으로 운전자의 개입이 필요 없이 완전에 가까운 자율주행 차량들의 상용화 개발이 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하, 자율주행차량은 적어도 시스템을 주체로 조향 및 가감속을 제어할 수 있는 2레벨 이상의 차량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므로, 현재 그리고 가까운 미래에는 일반차량과 다양한 레벨의 자율주행차들이 도로 위에 공존하면서 주행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운행 중에는 다양한 위험요소와 돌발상황 등의 변수가 존재하고 일반차량의 경우 운전자의 운전성향, 패던, 감정상태 및 감각 등에 따른 상황을 예측/판단하여 대처하게 된다.
반면, 자율주행차량의 경우 운전자를 모사한 시스템의 인지처리 능력을 향상시켜 안전한 주행을 도모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돌발상황이나 각종 외부 조건 및 주행환경에 빠르게 대응하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자율주행차량은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해야 하는 특성상 최대한 안전이 확보될 수 있게 보수적인 운전성향의 시스템이 적용되고, 이는 안전성을 위주로 마일드(Mild) 특성의 주행을 하게 되어 도로의 주행 상황에서 타 운전자와 심리적 갈등을 초래할 수 있다.
예컨대, 한국의 경우 아직까지 1차선 정속 주행 차량도 많고 기타 앞차의 주행상황 등 여러 가지 사유로 추월하거나 끼어드는 복잡한 상황이 많이 발생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차량의 운전자가 자율주행차량들과 함께 주행하고 있는 경우의 답답함과 추월과 끼어들기 등의 심리적 갈등이 더욱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자율주행차량의 보급이 확대될 수록 주변의 타 운전자에게 운전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으며, 기존 도로 환경에서 추가되어 또 다른 사고원인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의 자율주행모드로 주행 시 차체로부터 팝업 되어 타 차량 운전자에게 현재 차량이 자율주행상태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알리는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에 적용되는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는, 전동식 액추에이터부의 구동으로 램프를 차체의 외부로 팝업하거 수납하는 기계적 작동구조를 갖는 등화기; 및 차량의 자율주행모드 여부에 따라 상기 등화기를 작동하여 상기 차체로부터 팝업 시키거나 수납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등화기는, 상기 차체의 루프 레일에 홀을 뚫어 내측에 수납되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화기는, 상기 차체의 내측에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 장착되는 마운팅 하우징; 상기 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팅 하우징의 상부에 안착되는 메인 하우징; 및 상기 마운팅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동식 및 기계적 가이드 구조를 통해 상기 메인 하우징을 상승하여 상기 차체의 외부로 팝업 시키거나 하강하여 상기 차체의 내부로 수납시키는 액추에이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운팅 하우징은, 원통형 베이스를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양측에 날개형상으로 형성되어 체결부재를 통해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된 브라켓; 상기 본체의 하부에 장착되는 커넥터 단자; 및 상기 본체의 상면에 상기 액추에이터부의 구동 모터 장착을 위해 형성된 장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운팅 하우징은, 상기 본체의 상면과 상기 장착홈의 내측에 상기 램프와 구동 모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 인출을 위한 인출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하우징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된 케이스;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여 상기 차체로부터 팝업 시 점등되는 램프; 및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나선형 구조로 형성된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부는, 상기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구동 기어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 링 형상으로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치가 상기 구동 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회전력에 따라 회전되는 가이드 기어; 및 일측 단부가 상기 가이드 기어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타측 단부에 결합된 캠볼이 상기 메인 하우징의 내주면에 나선형 구조로 형성된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캠 서포트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기어는, 하면에 링 모양의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마운팅 하우징의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링 모양의 슬롯에 회전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와 슬롯 사이에 상기 가이드 기어의 회전을 위한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메인 하우징을 상기 차체의 외부로 팝업시키기 위한 제1 방향 혹은 내부로 수납 시키기 위한 제2 방향으로 동작하는 양방향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에 적용된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의 제어 방법은, a) 제어기가 차량이 시동 온(ON)되면 자율주행 시스템의 동작여부에 따른 주행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주행상태가 초기 수동주행모드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파악하는 단계; 및 c) 차체에 수납 및 팝업 가능하게 설치된 등화기를 상기 팝업 모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등화기가 램프를 포함하는 메인 하우징이 상기 차체 내 수납된 상태에서, 구동 모터를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 기어와 가이드 기어를 통해 전달되는 제1 회전력으로 캠 서포트바의 캠볼이 상기 메인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가이드 홈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고 이로 인한 상기 메인 하우징이 상승하여 상기 차체로부터 팝업 되는 단계; 및 상기 램프를 점등하여 상기 차량이 자율주행모드임을 타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 이후에, d) 상기 자율주행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등화기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수납 모드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율주행모드의 종료는 상기 차량의 수동주행모드 전환 및 시동 오프(OFF)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상기 등화기가 상기 구동 모터를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 기어와 가이드 기어를 통해 전달되는 제2 회전력으로 캠 서포트바의 캠볼이 상기 나선형 가이드 홈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고 이로 인한 상기 메인 하우징이 하강하여 상기 차체에 수납되는 단계; 및 상기 램프를 상기 메인 하우징의 수납과 동시에 소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의 자율주행모드 시 등화기를 팝업하여 주변의 타 운전자가 이를 식별하도록 함으로써 타 운전자의 정속 주행 혹은 추월의 심리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 차량의 운전자에게 당해 차량이 자율주행모드 주행중임을 인식시켜 타 운전자의 주행 의사결정을 돕고 이에 대처하도록 함으로써 교통 사고의 위험도를 줄이고 일반차량과 자율주행차량이 공존하는 상황에서의 더욱 쾌적한 도로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수동주행모드 시 등화장치를 차체에 자동 수납함으로써 공기저항 및 풍절음 발생을 예방하고 차체의 디자인적 요소를 해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등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등화기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4의 A-A선 단면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1)는 차체에 수납 및 팝업 가능하게 설치된 등화기(100) 및 차량의 자율주행모드 여부에 따라 등화기(100)를 작동(ON/OFF)하여 상기 차체로부터 팝업 시키거나 수납시키는 제어기(200)를 포함한다.
등화기(100)는 차체의 루프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차체의 루프 레일에 홀을 뚫고 내측에 수납되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은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등화기(100)가 루프 레일에 장착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되, 그 장착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등화기(100)는 제어기(200)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른 전동식 액추에이터(도 3 참조)의 구동으로 램프(122)를 차체의 외부로 팝업(상승)하거나 수납(하강)하는 기계적 작동구조를 갖는다.
제어기(200)는 차량의 주행상태를 제어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이거나 그 주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마이크로 컨트롤 유닛(MCU), 혹은 스위치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200)는 차량의 주행상태를 파악하여 운전자에 의한 수동주행모드이면, 등화기(100)를 미작동(OFF)하여 차체 내부로 수납하고 램프(122)를 소등 시킨다.
제어기(200)는 차량의 주행상태를 파악하여 자동주행모드이면, 상기 등화기(100)에 작동신호(ON)을 인가하여 차체 외부로 팝업하고 램프(122)를 소등 시킨다.
여기서, 상기 자율주행모드는 시스템이 차량을 스스로 설정된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3레벨 이상의 자율주행을 의미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운전자의 개입 없이 차량 내 시스템이 조향 및 가감속(속도)을 스스로 제어할 수 있는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을 포함한 2~3레벨에도 확대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적어도 차량의 시스템에 의한 차속과 조향 제어로 자율주행 가능한 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등화기의 구성과 작동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등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등화기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4의 A-A선 단면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등화기(100)는 크게 3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차체의 내측에 고정 장착되는 마운팅 하우징(110), 램프(122)를 포함하여 상기 마운팅 하우징(110)의 상부에 안착되는 메인 하우징(120) 및 상기 마운팅 하우징(110)의 상부에 장착되어 기계적인 전동식 가이드 구조를 통해 상기 메인 하우징(120)을 상승시켜 상기 차체의 외부로 팝업 하거나 하강시켜 상기 차체의 내부로 수납하는 액추에이터부(130)를 포함한다.
마운팅 하우징(110)은 원통형 베이스를 이루는 본체(111), 상기 본체(111)의 양측에 날개형상으로 형성되어 체결부재를 통해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홀(112)이 형성된 브라켓(113), 상기 본체(111)의 하부에 장착되는 커넥터 단자(114) 및 상기 본체(111)의 상면에 상기 액추에이터부(130)의 구동 모터(131)의 장착을 위해 형성된 장착홈(115)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재(B)는 예컨대, 볼트와 너트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마운팅 하우징(110)은 상기 본체(111)의 상면과 장착홈(115)의 내측에 상기 램프(122)와 구동 모터(13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 인출을 위한 인출 홀(116)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상기 각 케이블이 본체(111)의 내부에서 커넥터 단자(114)와 연결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120)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된 케이스(121),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여 상기 차체로부터 팝업 시 점등되는 램프(122) 및 케이스(121)의 내주면에 나선형 구조로 형성된 가이드 홈(123)을 포함한다.
액추에이터부(130)는 커넥터 단자(114)를 통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구동 기어(132)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131), 링 형상으로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치가 상기 구동 기어(132)와 치합되며 상기 회전력에 따라 반대로 회전되는 가이드 기어(133) 및 일측 단부가 상기 가이드 기어(133)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홈(134)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타측 단부에 결합된 캠볼(136)이 가이드 홈(12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캠 서포트바(135)를 포함한다.
가이드 기어(133)는 하면에 링 모양의 돌기(133a)가 형성되어 상기 마운팅 하우징(110)의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링 모양의 슬롯(117)에 회전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돌기(133a)와 슬롯(117) 사이에 가이드 기어(133)의 회전을 위한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작동 상태를 참조하면, 구동 모터(131)는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등화기(100)의 메인 하우징(120)을 루프 레일(차체)의 외부로 팝업(상승)시키기 위한 제1 방향 혹은 내부로 수납(하강) 시키기 위한 제2 방향으로 동작하는 양방향 모터로 구성된다.
이에, 등화기(100)는 메인 하우징(120)이 차체 내 수납된 상태에서, 구동 모터(131)가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 기어(132)와 가이드 기어(133)를 통해 전달되는 제1 회전력으로 캠 서포트바(135)의 캠볼(136)이 나선형 가이드 홈(123)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고 이로 인한 메인 하우징(120)이 상승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 때, 램프(122)는 메인 하우징(120)의 팝업과 동시에 외부에 노출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되어 현재 차량이 자율주행모드임을 타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표출한다.
반대로, 등화기(100)는 메인 하우징(120)이 차체로부터 팝업된 상태에서, 구동 모터(131)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 기어(132)와 가이드 기어(133)를 통해 전달되는 제2 회전력으로 캠 서포트바(135)의 캠볼(136)이 나선형 가이드 홈(123)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고 이로 인한 메인 하우징(120)이 하강하도록 작동 할 수 있다. 이 때, 램프(122)는 메인 하우징(120)의 수납과 동시에 제어신호에 따라 소등된다.
한편, 전술한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1)의 구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 제어 방법을 다음의 도 7을 통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1)의 제어 방법은 등화기(100)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200)를 통해 제어될 수 있고 이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정된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 제어 방법의 각 단계를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 된 것일 수 있다.
다만, 등화기(100)와 제어기(200)는 하나의 등화 장치(1)로 통합될 수 있는바, 이하 차량의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 제어 방법의 제어주체를 등화 장치(1)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 제어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등화 장치(1)는 차량이 시동 온(ON)되면(S1), 차량의 주행상태를 확인한다(S2). 예컨대, 등화 장치(1)는 차량에 적용된 자율주행 시스템의 동작에 따른 자율주행모드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등화 장치(1)는 초기 수동주행모드를 유지하면(S3; 아니오), 상기 주행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되, 상기 초기 수동주행모드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전환되면(S3; 예), 등화기(10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차체로부터 팝업 되도록 제어한다(S4).
이 때, 등화기(100)는 메인 하우징(120)이 차체 내 수납된 상태에서, 구동 모터(131)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 기어(132)와 가이드 기어(133)를 통해 전달되는 제1 회전력으로 캠 서포트바(135)의 캠볼(136)이 나선형 가이드 홈(123)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고 이로 인한 메인 하우징(120)이 상승하는 팝업 모드로 작동된다. 또한, 등화기(100)는 메인 하우징(120)의 팝업으로 노출되는 램프(122)를 점등하여 현재 차량이 자율주행모드임을 타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표출할 수 있다.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1)는 상기 자율주행모드 중에는 상기 등화기(100)의 팝업 제어를 유지하고(S5; 아니오), 상기 자율주행모드가 종료되면(S5; 예), 등화기(10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차체 내부로 수납 되도록 제어한다(S6).
여기서, 상기 자율주행모드의 종료는 수동주행모드로의 전환 또는 차량의 시동 오프(OFF) 등을 포함하는 여러 사유로 상기 자율주행모드가 비활성화된 것을 의미한다.
이때, 등화기(100)는 메인 하우징(120)이 차체로부터 팝업된 상태에서, 구동 모터(131)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 기어(132)와 가이드 기어(133)를 통해 전달되는 제2 회전력으로 캠 서포트바(135)의 캠볼(136)이 나선형 가이드 홈(123)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고 이로 인한 메인 하우징(120)이 하강하는 수납 모드로 작동 된다. 그리고, 램프(122)는 메인 하우징(120)의 수납과 동시에 제어신호에 따라 소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의 자율주행모드 시 등화기를 팝업하여 주변의 타 운전자가 이를 식별하도록 함으로써 타 운전자의 정속 주행 혹은 추월의 심리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 차량의 운전자에게 당해 차량이 자율주행모드 주행중임을 인식시켜 타 운전자의 주행 의사결정을 돕고 이에 대처하도록 함으로써 교통 사고의 위험도를 줄이고 일반차량과 자율주행차량이 공존하는 상황에서의 더욱 쾌적한 도로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수동주행모드 시 등화장치를 차체에 자동 수납함으로써 공기저항 및 풍절음 발생을 예방하고 차체의 디자인적 요소를 해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등화 장치 100: 등화기
110: 마운팅 하우징 111: 본체
112: 체결홀 113: 브라켓
114: 커넥터 단자 115: 장착홈
116: 인출 홀 120: 메인 하우징
121: 케이스 122: 램프
123: 가이드 홈 130: 액추에이터부
131: 구동 모터 132: 구동 기어
133: 가이드 기어 134: 고정홈
135: 캠 서포트바 136: 캠볼
200: 제어기

Claims (15)

  1. 차량에 적용되는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에 있어서,
    전동식 액추에이터부의 구동으로 램프를 차체의 외부로 팝업하거 수납하는 기계적 작동구조를 갖는 등화기; 및
    차량의 자율주행모드 여부에 따라 상기 등화기를 작동하여 상기 차체로부터 팝업 시키거나 수납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등화기는 상기 차체의 내측에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 장착되는 마운팅 하우징, 상기 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팅 하우징의 상부에 안착되는 메인 하우징 및 상기 마운팅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동식 및 기계적 가이드 구조를 통해 상기 메인 하우징을 상승하여 상기 차체의 외부로 팝업 시키거나 하강하여 상기 차체의 내부로 수납시키는 액추에이터부를 포함하되,
    상기 마운팅 하우징은 원통형 베이스를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양측에 날개형상으로 형성되어 체결부재를 통해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홀이 형성된 브라켓, 상기 본체의 하부에 장착되는 커넥터 단자 및 상기 본체의 상면에 상기 액추에이터부의 구동 모터 장착을 위해 형성된 장착홈을 포함하는 차량의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화기는,
    상기 차체의 루프 레일에 홀을 뚫어 내측에 수납되는 형태로 장착되는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하우징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된 케이스;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여 상기 차체로부터 팝업 시 점등되는 램프; 및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나선형 구조로 형성된 가이드 홈;
    을 포함하는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부는,
    상기 제어기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구동 기어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
    링 형상으로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치가 상기 구동 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회전력에 따라 회전되는 가이드 기어; 및
    일측 단부가 상기 가이드 기어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타측 단부에 결합된 캠볼이 상기 메인 하우징의 내주면에 나선형 구조로 형성된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캠 서포트바;
    를 포함하는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메인 하우징을 상기 차체의 외부로 팝업시키기 위한 제1 방향 혹은 내부로 수납 시키기 위한 제2 방향으로 동작하는 양방향 모터로 구성되는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
  11. 차량에 적용된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제어기가 차량이 시동 온(ON)되면 자율주행 시스템의 동작여부에 따른 주행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주행상태가 초기 수동주행모드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파악하는 단계; 및
    c) 차체에 수납 및 팝업 가능하게 설치된 등화기를 상기 팝업 모드로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등화기가 램프를 포함하는 메인 하우징이 상기 차체 내 수납된 상태에서, 구동 모터를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 기어와 가이드 기어를 통해 전달되는 제1 회전력으로 캠 서포트바의 캠볼이 상기 메인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가이드 홈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되고 이로 인한 상기 메인 하우징이 상승하여 상기 차체로부터 팝업 되는 단계; 및
    상기 램프를 점등하여 상기 차량이 자율주행모드임을 타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표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 제어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d) 상기 자율주행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등화기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수납 모드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 제어 방법.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등화기가 상기 구동 모터를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 기어와 가이드 기어를 통해 전달되는 제2 회전력으로 캠 서포트바의 캠볼이 상기 나선형 가이드 홈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고 이로 인한 상기 메인 하우징이 하강하여 상기 차체에 수납되는 단계; 및
    상기 램프를 상기 메인 하우징의 수납과 동시에 소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 제어 방법.
KR1020200177387A 2020-12-17 2020-12-17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18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387A KR102418847B1 (ko) 2020-12-17 2020-12-17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387A KR102418847B1 (ko) 2020-12-17 2020-12-17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052A KR20220087052A (ko) 2022-06-24
KR102418847B1 true KR102418847B1 (ko) 2022-07-08
KR102418847B9 KR102418847B9 (ko) 2023-04-12

Family

ID=82216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387A KR102418847B1 (ko) 2020-12-17 2020-12-17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847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7990B1 (ko) * 1996-07-12 1999-10-01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경광등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052A (ko) 2022-06-24
KR102418847B9 (ko) 202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32428B (zh) 车辆用照明装置
CN102951075B (zh) 一种自动开启转向灯的控制方法
KR101134867B1 (ko) 적응형 전조등 시스템
CN111065564A (zh) 车辆及其控制装置以及控制方法
CN104203648A (zh) 车辆照明设备
US20180154821A1 (en) Headlight setting activation via a stalk switch
JP2009067139A (ja) 車両用照明制御装置
JP4768303B2 (ja) パワーウインドウ装置
KR102418847B1 (ko) 자율주행모드 등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140751B2 (ja) 車両用照明装置
US6729749B2 (en) Automatic headlight axis direction control for vehicles
US5170097A (en) Intermittent windshield wiper and headlight control
EP1714831B1 (en) Vehicle headlight device
JP4737075B2 (ja) 車載用前照灯の配光制御装置及び車載用前照灯
KR100521569B1 (ko) 자동차용 램프의 자동제어 시스템
KR100488502B1 (ko) 고도 변화에 따른 자동차용 헤드램프 조사각 변동장치
CN112776707A (zh) 一种降低音乐氛围灯干扰驾驶员转向视野的方法及系统
KR0135493Y1 (ko) 자동차의 전조등
KR100368153B1 (ko) 자동차용 헤드램프 자동조절장치
CN218877055U (zh) 一种辅助乘车人下车的警示灯装置
JP3161726B2 (ja) 自動車用多重通信システム
KR101321139B1 (ko) 자동차 측조등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3120081A (zh) 汽车转向辅助系统
KR100439913B1 (ko) 자동차용 도어 커티시 램프 및 도어 커티시 램프 제어장치
KR20220087626A (ko) 자율주행센서 팝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