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9913B1 - 자동차용 도어 커티시 램프 및 도어 커티시 램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 커티시 램프 및 도어 커티시 램프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9913B1
KR100439913B1 KR10-2001-0064102A KR20010064102A KR100439913B1 KR 100439913 B1 KR100439913 B1 KR 100439913B1 KR 20010064102 A KR20010064102 A KR 20010064102A KR 100439913 B1 KR100439913 B1 KR 100439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mp
cut
switches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4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2370A (ko
Inventor
안길섭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4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9913B1/ko
Publication of KR20030032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2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9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99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17Doors, e.g. door sills;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92Battery protection from overload or over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의 트림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각각의 도어 커티시 램프를 제어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 커티시 램프 및 도어 커티시 램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커티시 램프 제어장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 병렬로 접속되어 각 도어의 트림 하측에 장착된 다수의 도어 커티시 램프와, 도어가 열릴때 온되도록 도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각 도어 커티시 램프의 점등을 제어하도록 상기 각 도어 커티시 램프에 접속되는 다수의 도어 스위치와, 상기 다수의 도어 스위치 중 어느 하나가 온될때 이를 감지하도록 상기 도어 스위치들과 접속되고, 상기 도어 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가 온되면 경고신호를 인가하는 조명 콘트롤 시스템과, 상기 조명 콘트롤 시스템으로부터 인가되는 경고신호에 의해 점등되어 운전자에게 도어 열림을 경고하기 위한 경고등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어 커티시 램프와 배터리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각각의 도어 커티시 램프를 제어하는 다수의 램프 제어 스위치 포함한다. 또한, 도어 트림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도어가 열릴때 점등됨으로써 뒤차에게 도어 열림을 알리는 동시에 도어 하측의 바닥을 조명하기 위한 자동차용 도어 커티시 램프에 있어서, 광원의 빛을 투과시키는 투과창의 상단부는 도어트림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투과창의 하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 커티시 램프 및 도어 커티시 램프 제어장치 {An automobile door courtesy lamp and a device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명장치, 즉 자동차용 도어 커티시 램프(door courtesy lamp)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도어에 설치된 도어 커티시 램프들을 개별적으로 점멸시킬 수 있는 다수의 램프 제어 스위치를 구비한 도어 커티시 램프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야간에 또는 어두운 곳에서 자동차의 실내, 외를 비추기 위한 각종 조명장치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 중에서 도어 커티시 램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도어의 트림 하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야간에 승객이 자동차에 승하차 할때, 바닥을 비추어 주고 또한 후방에서 접근하는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도어가 열려있음을 환기시킴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도어 커티시 램프 제어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0)와, 배터리(10)에 병렬로 접속된 도어 커티시 램프(20)와, 도어 커티시 램프(20)를 제어하는 조명 콘트롤 시스템(30)과, 조명 콘트롤 시스템(30)에 접속되는 도어 스위치(40)를 포함한다.
다수의 도어 스위치(40)는 각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며, 어느 한 도어라도 열리면, 조명 콘트롤 시스템(30)에 신호를 전달하고, 신호를 받은 조명 콘트롤 시스템(30)에서 각 도어의 트림 하측에 장착된 다수의 도어 커티시 램프(20)가 동시에 켜지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어 커티시 램프(20) 및 도어 커티시 램프(20) 제어 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었다.
도어중 어느 한 도어라도 열리면, 즉 도어 스위치(40)가 온되면, 각 도어의 트림 하측에 장착된 도어 커티시 램프(20) 전부가 동시에 켜진다. 반면, 어느 한도어라도 닫히게 되면, 즉 도어 스위치(40)가 오프되면, 각 도어의 트림 하측에 장착된 도어 커티시 램프(20) 전부가 꺼진다. 그러나, 도어를 닫았는데 완전히 닫히지 않은 경우, 즉 적어도 어느 한 도어가 반도어 상태인 경우, 도어 커티시 램프(20)는 모두가 동시에 켜지게 되어 운전자 또는 탑승자는 어느 도어가 열려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모든 도어를 점검해야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각각의 도어 커티시 램프(20)는 도어스위치에 의해서만 온/오프되기 때문에 반도어 상태 또는 도어가 열린 동안에는 도어 커티시 램프(20)는 계속 켜진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도어가 장시간동안 열려진 경우 램프에 의한 배터리(10) 방전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도어 커티시 램프(2)의 투과창을 통과한 빛이 도어의 트림에 수평방향으로 투사되므로 차체 바닥에 대한 조명기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어느 한 도어가 열렸을때 열린 도어가 어떤 도어인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잇도록 열린 도어에 해당되는 도어 커티시 램프만 불이 켜지도록 된 자동차용 도어 커티시 램프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도 도어 커티시 램프를 끌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 커티시 램프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체의 바닥에 대한 조명성능이 우수한 자동차용 도어 커티시 램프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도어 커티시 램프 확대도.
도 2는 종래의 도어 커티시 램프 제어장치의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커티시 램프 제어장치의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어 커티시 램프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배터리 20 : 도어 커티시 램프
30 : 조명 콘트롤 시스템 40 : 도어 스위치
50 : 계전기 60 : 경고등
70 : 램프 제어 스위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커티시 램프 제어장치는 배터리와, 배터리에 병렬로 접속되어 각 도어의 트림 하측에 장착된 다수의 도어 커티시 램프와, 다수의 도어 커티시 램프와 각각 접속되어 각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도어 스위치와, 다수의 도어 스위치에 접속되어 경고등에 신호를 전달하는 조명 콘트롤 시스템과, 조명 콘트롤 시스템에 접속되는 경고등을 포함한다. 한편, 도어 커티시 램프에 각각 연결되어 각각의 도어 커티시 램프를 제어하는 다수의 램프 제어 스위치를 포함한다. 또한, 도어 커티시 램프에 있어서, 투과창의 상단부는 도어의 트림에 평행이고, 도어 커티시 램프 투과창의 하단부는 도어 트림측 하단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커티시 램프 제어장치의 회로도를 도시한다.
도시된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커티시 램프 제어장치는
배터리(10), 다수의 도어 커티시 램프(20), 다수의 도어 스위치(40), 조명 콘트롤 시스템(30) 및 경고등(60)을 포함한다.
다수의 도어 커티시 램프(20)는 배터리(10)에 병렬로 접속되어 각 도어의 트림 하측에 장착된다.
다수의 도어 스위치(40)는 도어가 열릴때 온되도록 도어 일측에 설치되고,각 도어 커티시 램프(20)의 점등을 제어하도록 각 도어 커티시 램프(20)에 접속된다.
조명 콘트롤 시스템(30)은 다수의 도어 스위치(40) 중 어느 하나가 온될때 이를 감지하도록 도어 스위치(40)들과 접속되고, 도어 스위치(40)들 중 어느 하나가 온되면 경고신호를 인가한다.
경고등(60)은 조명 콘트롤 시스템(30)으로부터 인가되는 경고신호에 의해 점등되어 운전자에게 도어 열림을 경고한다.
다수의 도어 커티시 램프(20)는 각 도어의 트림하측에 장착되며, 어느 한 도어가 열리면, 그에 해당되는 도어 커티시 램프(20)만이 불이 켜지도록 설치되어 있고, 도어중 어느 한 도어가 닫히면, 그에 해당되는 도어 커티시 램프(20)만이 꺼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다수의 도어 스위치(40)는 각각의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며, 도어가 열리면 온되고 닫히면 오프되는 것에 따라 온/오프된다. 따라서, 어느 한 도어가 반도어 상태인 경우, 즉 어느 한 도어 스위치(40)가 온인 경우, 그에 해당되는 도어 커티시 램프(20)만 불이 켜지게 되고, 동시에 조명 콘트롤 시스템으로 신호를 전달한다. 조명 콘트롤 시스템은 개폐스위치 역할을 하는 계전기(50)에 신호를 전달하고 이 계전기(50)에 연결된 경고등(60)에 불이 켜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운전자는 도어의 개폐여부를 쉽게 감지할 수 있다.
특히, 램프 제어 스위치(70)는 도어 커티시 램프(20)와 배터리(10) 사이에 연결된다. 본 발명은 도어를 장시간동안 열어 두는 경우, 램프 제어 스위치(70)를수동으로 오프하여 도어 커티시 램프(20)를 오프시킴으로써 배터리(10)의 방전을 방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어 커티시 램프(20) 확대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커티시 램프(20)의 투과창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21a)와 하단부(21b)로 구분된다. 또한, 도어 커티시 램프(20) 투과창의 상단부(21a)는 도어의 트림에 평행이고, 도어 커티시 램프(20) 투과창의 하단부(21b)는 도어의 트림 하단방향으로 경사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도어 커티시 램프(20)의 상단부(21a)는 도어 커티시 램프(20)의 투과창을 통과한 빛이 도어 외측의 수평방향으로 투사되어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도어가 열려 있음을 환기시키게 된다. 도어 커티시 램프(20)의 하단부(21b)는 도어 커티시 램프(20)의 투과창을 통과한 빛이 그 경사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투사되어 차체 바닥을 비추는 조명기능을 수행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커티시 램프 제어장치는 도어중 어느 한 도어가 열린 경우, 그에 해당되는 도어 커티어 램프만이 불이 켜지게 되어 도어의 개폐여부를 손쉽게 감지한다.
특히,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도 도어 커티시 램프를 끌 수 있는 램프 제어 스위치에 의해 도어 커티시 램프를 수동으로 오프시킬 수 있어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 커티시 램프의 투과창의 그 하단부에 경사를 주어 도어의 하측을투사하는 기능을 강화하여 조명기능을 수행한다.

Claims (3)

  1.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 병렬로 접속되어 각 도어의 트림 하측에 장착된 다수의 도어 커티시 램프와, 도어가 열릴때 온되도록 도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각 도어 커티시 램프의 점등을 제어하도록 상기 각 도어 커티시 램프에 접속되는 다수의 도어 스위치와, 상기 다수의 도어 스위치 중 어느 하나가 온될때 이를 감지하도록 상기 도어 스위치들과 접속되고, 상기 도어 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가 온되면 경고신호를 인가하는 조명 콘트롤 시스템과, 상기 조명 콘트롤 시스템으로부터 인가되는 경고신호에 의해 점등되어 운전자에게 도어 열림을 경고하기 위한 경고등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 커티시 램프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 커티시 램프와 배터리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각각의 도어 커티시 램프를 제어하는 다수의 램프 제어 스위치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 커티시 램프 제어장치.
  2. 삭제
  3. 도어 트림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도어가 열릴때 점등됨으로써 뒤차에게 도어 열림을 알리는 동시에 도어 하측의 바닥을 조명하기 위한 자동차용 도어 커티시 램프에 있어서,
    광원의 빛을 투과시키는 투과창의 상단부는 도어트림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투과창의 하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커티시 램프.
KR10-2001-0064102A 2001-10-17 2001-10-17 자동차용 도어 커티시 램프 및 도어 커티시 램프 제어장치 KR100439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102A KR100439913B1 (ko) 2001-10-17 2001-10-17 자동차용 도어 커티시 램프 및 도어 커티시 램프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102A KR100439913B1 (ko) 2001-10-17 2001-10-17 자동차용 도어 커티시 램프 및 도어 커티시 램프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370A KR20030032370A (ko) 2003-04-26
KR100439913B1 true KR100439913B1 (ko) 2004-07-12

Family

ID=29565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4102A KR100439913B1 (ko) 2001-10-17 2001-10-17 자동차용 도어 커티시 램프 및 도어 커티시 램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99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059B1 (ko) * 2006-12-20 2008-07-09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광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장치 및 이를이용한 자동차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370A (ko) 200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01010A (ko) 자동차 도어핸들 모듈
KR100439913B1 (ko) 자동차용 도어 커티시 램프 및 도어 커티시 램프 제어장치
JP2007112251A (ja) 車両用照明装置
US5254907A (en) Lighting system for use in vehicle cabin
KR0154516B1 (ko)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대시보드 조명장치
KR100521569B1 (ko) 자동차용 램프의 자동제어 시스템
KR20000003311U (ko) 자동차의 실내바닥 조명장치
JP2022085302A (ja) 車両ドアの照明装置
KR100405812B1 (ko) 차량의 실내등 제어장치
KR0138728Y1 (ko) 차량의 인사이드 도어핸들부 위치표시장치
KR100439911B1 (ko) 자동차의 도어 램프 구동 장치
KR20050061842A (ko) 자동차의 실내 조명 시스템
KR0126060Y1 (ko) 자동차의 실내등 점등회로
KR0122910Y1 (ko) 자동차용 실내등
JP2008265630A (ja) 車室内照明システム
KR200191649Y1 (ko) 긴급 구조차량의 2중색 경광등
KR19980036320U (ko) 자동차의 실내등
KR20100011757U (ko) 차량용 커티시 램프
KR19980046846A (ko) 자동차의 조명장치
KR970069618A (ko) 자동차의 밧데리방전 예방장치
JPS6264647A (ja) 車両用室内灯変調装置
KR19980054711U (ko) 자동차의 도어핸들 점멸표시장치
KR19990028111A (ko) 조명등이 설치된 자동차용 룸미러
KR19980048082U (ko) 실내등 자동 소등장치
KR19990039083U (ko) 차량부착용 경고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