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5059B1 - 광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장치 및 이를이용한 자동차 도어 - Google Patents

광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장치 및 이를이용한 자동차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5059B1
KR100845059B1 KR1020060130945A KR20060130945A KR100845059B1 KR 100845059 B1 KR100845059 B1 KR 100845059B1 KR 1020060130945 A KR1020060130945 A KR 1020060130945A KR 20060130945 A KR20060130945 A KR 20060130945A KR 100845059 B1 KR100845059 B1 KR 100845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ight source
fiber
car door
optical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0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7536A (ko
Inventor
권윤정
박연봉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0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5059B1/ko
Publication of KR20080057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17Doors, e.g. door sills;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60Q3/62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light guides
    • B60Q3/66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light guides for distributing light among several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05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0/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 F21S10/02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 F21S10/023Lighting devices or systems producing a varying lighting effect changing colors by selectively switching fixed light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도어들이 열려있을 때 상기 광섬유를 발광하게 함으로써 상기 자동차 도어들 중에 어느 도어가 열려있는지 용이하게 알 수 있고, 또한 미관 향상에 도움이 되는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자동차 도어 프레임, 상기 도어 프레임에 구비되는 도어 유리, 상기 도어 프레임의 일면에 구비되는 도어 트림 및 운전자에게 도어 열림 여부를 알려주는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장치는 자동차 도어 트림에 구비되고 광섬유들을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 트림용 섬유 부재, 상기 광섬유들에 빛을 공급하는 광원장치, 자동차 도어 스위치 또는 조작버튼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광원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를 받아 상기 광원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를 포함한다.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장치, 광섬유, 도어트림, 섬유부재

Description

광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A APPARATUS FOR CHECKING CAR DOOR'S OPEN USING OPTICAL FIBER AND A CAR DOOR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자 도어 열림 확인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섬유부재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섬유부재을 보여주는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3 섬유부재을 보여주는 도면,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4 섬유부재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도어 100:도어 열림 확인장치
200:도어 프레임 300:도어 유리
400:도어트림 410:암레스트
110:섬유부재 120:측면발광 광섬유
130:광원장치 140:제어장치
150:전원장치 210:도어 스위치
220:조작버튼 120a:끝단발광 광섬유
110a:제 1 섬유부재 110b:제 2 섬유부재
110c:제 3 섬유부재 110d:제 4 섬유부재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장치는 도어의 스위치에 의해 도어의 개폐여부가 감지되고 상기 도어가 열리면 운전석 계기판에 도어 열림 경고등이 점등되어 운전자에게 도어 열림을 알려주는 장치이다.
또한 광섬유는 중심부에는 굴절률이 높은 유리를, 중심부를 싸고 있는 바깥 부분은 굴절률이 낮은 유리를 사용하여 중심부 유리를 통과하는 빛이 전반사가 일 어나도록 한 광학적 섬유이다. 현재는 조명용 뿐만 아니라 통신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플라스틱 광섬유가 개발되어 있는 추세이다.
상기 광섬유는 소재에 따라 유리 광섬유와 플라스틱 광섬유로 분류할 수 있으며, 유리 광섬유는 굴절률이 높은 코어(Core)와 굴절률이 낮은 클래드(Clad)의 2층 구조로 되어 있으며, 광섬유의 한 끝단으로부터 빛을 받아 코어와 클래드에서 전반사를 통하여 다른 한 끝단으로 빛이 전달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플라스틱 광섬유는 원리는 유리 광섬유와 비슷하지만 코어는 고순도 PMMA(Poly methyl methacrylate)로되어 있고 클래드는 고순도 F-PMMA (Fluorinated Pmma)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유리 광섬유의 특징은 비교적 내굴곡성이 우수하지 못하고, 구부러지는 충격에 약하지만 고온에서 사용가능하다.
반면에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는 내굴곡성이 우수하고, 구부러지는 충격에 강하며, 절단면 처리가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하다
또한 발광형태에 따라 끝단발광(END LIGHT) 광섬유, 측면발광(SIDE LIGHR) 광섬유로 구분할 수 있고 끝단발광 광섬유는 광섬유의 한쪽 시작부분에 빛을 입사하여 끝쪽으로 출광되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서 점조명 이라고도 한다.
광섬유는 램프의 원 색깔을 대상물에 전달해 줄수 있는 환상적인 조명 매개체인 것이다.
측면발광 광섬유는 허용된 광섬유의 굴곡 반경(Bending radius)이하로 구부리면, 광섬유는 클래드층을 통하여 빛이 새어나온다. 이 현상을 미세굴곡 분 광(Micro-Bend dispersion)이라 부른다.
이 원거리에 따라, 광섬유를 꼬아서 길이 방향으로 측면에서 일정한 빛이 발광되는 케이블을 만들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광섬유의 얇은 클래드층을 물리적이나 화학적 방법으로 제거하므로 측면으로부터 빛이 새어 나오게 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레이저 빔, 연마제 혹은 절단 기구로서 클래드층을 문질러 벗기는 방법이 있다.
광섬유의 용도로써는 전광판, 인테리어, 디스플레이, 장식용품 등으로 활용영역이 다양하다.
또한, 누전, 방전등과 같은 전기적 위험성과 무관하며, 자유로운 색상표현을 할 수 있고 재질이 반영구적이므로 유지되고, 보수비가 거의 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장치는 자동차 도어가 열렸을 때, 도어의 스위치에 의해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운전석 계기판에 도어 열림 경고등이 점등됨으로써 도어의 열림을 운전자에게 알려주었다.
따라서 상기 도어 열림 확인장치는 자동차의 도어들 중에서 어떤 도어가 열려있는지 알려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계기판의 노후화 등으로 상기 도여 열림 경고등이 잘 보이지 않는다거나 상기 경고등이 고장났을 경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주행하게 되어 대형 교통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 도어가 열렸을 때, 상기 자동차 도어들 중에 어느 도어가 열렸는지 확인이 용이한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반영구적으로 유지되고 보수비가 거의 들지 않는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자동차 실내 미관 향상에도 도움이 되는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의 구성은 자동차 도어 프레임, 상기 도어 프레임에 구비되는 도어 유리, 상기 도어 프레임의 일면에 구비되는 도어 트림 및 운전자에게 도어 열림 여부를 알려주는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장치는 자동차 도어 트림에 구비되고 광섬유들을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 트림용 섬유 부재, 상기 광섬유들에 빛을 공급하는 광원장치, 자동차 도어 스위치 또는 조작버튼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광원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를 받아 상기 광원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장치의 구성은 자동차 도어 트림에 구비되고 광섬유들을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 트림용 섬유 부재, 자동차의 일정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광섬유들에 빛을 공급하는 광원장치, 자동차의 일정부분에 구비되고 자동차 도어 스위치 또는 조작버튼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광원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를 받아 상기 광원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들는 측면발광(SIDE LIGHT) 광섬유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광섬유들은 끝단발광(END LIGHT) 광섬유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광섬유들은 측면발광 광섬유 및 끝단발광 광섬유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섬유 부재는 광섬유들과 일반섬유가 함께 직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자동차 도어 트림이 구비된 도어가 열리면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광원장치로 '온'신호를 전달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원장치의 광원은 메탈할라이드램프, 할로겐램프 또는 LED램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원장치는 광원의 색깔을 바꿔주는 컬러필터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LED램프는 멀티컬러 LED램프로 구비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도어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자 도어 열림 확인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10)는 도어프레임(200), 도어유리(300), 도어트림(400) 및 도어 열림 확인장치(100)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에 따른 섬유부재(110)는 위사(횡사, 씨실) 또는 경사(종사, 날실)의 일부 또는 전부를 광섬유(120)로 직조하여 상기 도어트림(400)에 구비하도록 하며, 상기 자동차 도어(10)의 열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장치(100)는 자동차 도어 트림용 섬유 부재(110), 광섬유들(120), 광원장치(130), 제어장치(140) 및 전원장치(150)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차 도어 트림용 섬유 부재(110)는 도어 트림(400)의 암레스트(410) 상단에 구비되고 운전자나 승객의 팔걸이인 암레스트 주변에 부착되어 완충효과와 흡음성을 향상시키고 자동차의 실내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섬유 부재(110)는 일반섬유(111)와 광섬유들(120,120a)이 함께 직조 된다.
상기 광섬유들(120)은 측면발광 광섬유(120)로 이루어지고 광원장치(130)로 부터 수광하여 측면으로 빛을 발산한다.
상기 광원장치(130)는 내부에 빛을 발산하는 광원(미도시)을 구비하고 상기 광원(미도시)은 상기 광섬유(120)로 빛을 입광시켜준다.
또한 상기 광원(미도시)의 전면에는 빛을 색깔을 바꿔주는 컬러필터(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원(미도시)은 메탈할라이드램프, 할로겐램프 또는 LED램프 등을 이용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원으로 LED램프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LED램프는 복수의 색을 발산하는 멀티컬러LED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140)는 도어 스위치(21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거나 자동차의 일정부분에 구비된 조작버튼(220)에 의해 조작된다.
또한, 상기 도어 스위치(210)는 자동차의 도어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 스위치(210)는 상기 도어(10)가 열리면 이를 감지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상기 제어장치(1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장치(140)는 상기 도어(10)가 열리면 상기 도어 스위치(210)의 감지에 의해 이를 감지하며, 상기 광원장치로 '온'신호를 전달하고 전원장치(150)로부터 광원장치(130)로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광섬유들(120)이 발광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열려있는 도어(10)의 광섬유들(120)만 빛을 발산하게 하여 자동차 도어들 중에 어느 도어가 열려있는지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140)는 상기 조작버튼(220)에 의해서도 조작되므로 도어가 열려있을 때, 뿐만 아니라 수동으로 조작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버튼(220)을 온/오프 하여 상기 광섬유들(120)의 발광을 제어함으로써 실내 조명등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전원장치(150)는 상기 제어장치(140)의 제어를 받아 상기 광원장치(130)로 전원을 공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섬유부재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섬유부재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3 섬유부재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4 섬유부재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광섬유들(120)은 상기 섬유 부재(110)의 경사 일부, 경사 전부, 위사 일부 또는 위사 전부로 직조된다.
상기 제 1 섬유부재(110a)는 위사 전부가 일반섬유(111)로 직조되고, 경사 일부는 일반섬유(111)로, 다른 경사 일부는 광섬유들(120)로 직조된다.
상기 제 2 섬유부재(110b)는 위사 전부가 일반섬유(111)로 직조되고, 경사 전부는 광섬유들(120)로 직조된다.
상기 제 3 섬유부재(110c)는 위사 전부가 광섬유들(120)로 직조되고, 경사 전부는 일반섬유(111)로 직조된다.
상기 제 4 섬유부재(110d)는 위사 일부가 광섬유들(120)로, 다른 위사 일부가 일반섬유(111)로 직조되고, 경사 전부는 일반섬유(111)로 직조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장치를 보여주 는 도면이다.
상기 일 실시예에서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장치는 섬유부재(110), 끝단발광 광섬유들(120a), 광원장치(130), 제어장치(140) 및 전원장치(15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끝단발광 광섬유들(120a)은 각각 동일길이 및/또는 다른 길이로 상기 일반섬유(111)와 함께 직조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140)는 상기 광원장치(130)의 광원(미도시)을 제어하여 상기 광섬유(120a)의 끝단이 반짝이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별자리모양 등 원하는 디자인으로 직조하여 미감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광섬유들(122,122a)이 상기 섬유 부재(121)의 표면 및/또는 후면에 부착된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장치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광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자동차 도어들 중에 어느 도어가 열렸는지 쉽게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광섬유의 특성을 이용하여 반영구적으로 유지되고 보수비가 거의 들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차 실내 미관 향상을 극대화하고 실내등이나 무드등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자동차 도어 트림에 구비되고 광섬유들을 포함하는 자동차 도어 트림용 섬유부재;
    자동차의 일정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광섬유들에 빛을 공급하는 광원장치;
    자동차의 일정부분에 구비되고 조작버튼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광원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제어 장치의 제어를 받아 상기 광원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광섬유들은 측면발광(SIDE LIGHT) 광섬유로 이루어지고,
    상기 섬유부재는 상기 광섬유들과 일반섬유가 함께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자동차 도어 스위치로부터 신호를 더 전달받으며, 상기 자동차 도어 트림이 구비된 도어가 열리면 상기 광원장치로 '온'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장치의 광원은 메탈할라이드램프, 할로겐램프 또는 LED램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장치는 광원의 색깔을 바꿔주는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LED램프는 멀티컬러 LED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장치.
KR1020060130945A 2006-12-20 2006-12-20 광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장치 및 이를이용한 자동차 도어 KR100845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945A KR100845059B1 (ko) 2006-12-20 2006-12-20 광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장치 및 이를이용한 자동차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945A KR100845059B1 (ko) 2006-12-20 2006-12-20 광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장치 및 이를이용한 자동차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536A KR20080057536A (ko) 2008-06-25
KR100845059B1 true KR100845059B1 (ko) 2008-07-09

Family

ID=39803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0945A KR100845059B1 (ko) 2006-12-20 2006-12-20 광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장치 및 이를이용한 자동차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50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762Y1 (ko) 2012-11-23 2014-05-20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무드램프 어셈블리
WO2020050441A1 (ko) * 2018-09-03 2020-03-12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자동차의 윈도우 차양 장치용 위험 상황 알림 조립체 및 자동차의 후방 윈도우용 위험 상황 알림 조립체
KR20200076657A (ko) * 2020-06-11 2020-06-29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자동차의 윈도우 차양 장치용 위험 상황 알림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273B1 (ko) * 2012-07-20 2014-06-13 주식회사 루키스 카시트에서의 일루미네이팅 제어 시스템
US20200324693A1 (en) * 2019-04-09 2020-10-15 Karma Automotive Llc Illumination for vehicle interio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8783A (ja) * 1995-05-26 1996-12-03 Kanto Auto Works Ltd 自動車ドアハンドルにおける照明装置
KR19990008705U (ko) * 1997-08-09 1999-03-05 홍종만 자동차의 각종 내장 조명장치
KR200292393Y1 (ko) 2002-07-24 2002-10-19 장철호 월풀 욕조용 광섬유 조명 장치
KR20030032370A (ko) * 2001-10-17 2003-04-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커티시 램프 및 도어 커티시 램프 제어장치
KR20040104074A (ko) * 2003-06-03 2004-12-10 최진석 광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비상등, 커티시 램프, 다용도 램프 및 광원 장치
JP2005019155A (ja) * 2003-06-25 2005-01-20 Ichikoh Ind Ltd 車両用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8783A (ja) * 1995-05-26 1996-12-03 Kanto Auto Works Ltd 自動車ドアハンドルにおける照明装置
KR19990008705U (ko) * 1997-08-09 1999-03-05 홍종만 자동차의 각종 내장 조명장치
KR20030032370A (ko) * 2001-10-17 2003-04-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커티시 램프 및 도어 커티시 램프 제어장치
KR200292393Y1 (ko) 2002-07-24 2002-10-19 장철호 월풀 욕조용 광섬유 조명 장치
KR20040104074A (ko) * 2003-06-03 2004-12-10 최진석 광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비상등, 커티시 램프, 다용도 램프 및 광원 장치
JP2005019155A (ja) * 2003-06-25 2005-01-20 Ichikoh Ind Ltd 車両用照明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762Y1 (ko) 2012-11-23 2014-05-20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무드램프 어셈블리
WO2020050441A1 (ko) * 2018-09-03 2020-03-12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자동차의 윈도우 차양 장치용 위험 상황 알림 조립체 및 자동차의 후방 윈도우용 위험 상황 알림 조립체
US11702002B2 (en) 2018-09-03 2023-07-18 Korea Fuel-Tech Corporation Dangerous situation notification assembly for window shade device of vehicle and dangerous situation notification assembly for rear window of vehicle
KR20200076657A (ko) * 2020-06-11 2020-06-29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자동차의 윈도우 차양 장치용 위험 상황 알림 조립체
KR102163748B1 (ko) * 2020-06-11 2020-10-12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자동차의 윈도우 차양 장치용 위험 상황 알림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536A (ko) 200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059B1 (ko) 광섬유를 이용한 자동차 도어 열림 확인장치 및 이를이용한 자동차 도어
CN101511641B (zh) 照明装置
CN101791966B (zh) 包括发光纤信号的后视镜组件
EP1197388B1 (en) Meter case for vehicle
US20070098969A1 (en) Light-guiding assembly and automotive vehicle roof
US20020167820A1 (en) Light-guiding system for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a motor vehicle
CN102076523A (zh) 照明装置及使用了该照明装置的门衬里
CN110774972A (zh) 车辆照明总成
US7186012B2 (en) Lighting element with a light emitting diode
CN109311420A (zh) 具有照明的汽车装饰件
US6206533B1 (en) Fiber optic lighted instrument panel
US87918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forming passengers of a public transport vehicle of a door lock status
US20080105345A1 (en) Tire having an improved sidewall illumination system
CN101434185A (zh) 用于车载装置的具有信息显示功能的开关
JP4896119B2 (ja) ベンチレータ
EP3268521B1 (en) Light guide, lighting device and vehicle part
WO2009089109A1 (en) Multifurcated accent lighting system
JP2010143265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の表示部の表示方法、車両用空気調和装置の表示部、およ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4085873B2 (ja) 車両用照明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車両用表示装置
CN110730546B (zh) 一种基于lin总线的车载灯具自适应控制系统
KR102522197B1 (ko) 면 조명 장치
CN201580341U (zh) 发光的车辆用侧裙
CN115610201A (zh) 一种使用柔性光导和外置光源的发光外水切
CN219976229U (zh) 一种车顶灯总成
CN219115334U (zh) 氛围灯装置及具有该氛围灯装置的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