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104B1 - 체인 개폐방식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체인 개폐방식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104B1
KR102418104B1 KR1020220021891A KR20220021891A KR102418104B1 KR 102418104 B1 KR102418104 B1 KR 102418104B1 KR 1020220021891 A KR1020220021891 A KR 1020220021891A KR 20220021891 A KR20220021891 A KR 20220021891A KR 102418104 B1 KR102418104 B1 KR 102418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hoistway
safety net
opening
closing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1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랑
이준봉
문민석
김호빈
정기효
변양섭
김태균
Original Assignee
(주)대륜엘리스
문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륜엘리스, 문민석 filed Critical (주)대륜엘리스
Priority to KR1020220021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1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측면에서 일측에 설치되는 착탈지지대;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측면에서 타측에 설치되는 고정지지대; 상기 고정지지대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착탈지지대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통한 추락 대상을 차단하도록 수평되게 배치되는 안전망; 상기 안전망을 스프로킷과 체인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안전망이 세워지도록 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개방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카의 통과를 허용하거나, 상기 안전망이 수평으로 복귀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차단시키도록 상기 설치프레임에 설치되는 개폐구동부;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승강시, 상기 안전망이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개방하여야 할 위치 및 차단하여야 할 위치에 각각 도달함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카감지부; 및 상기 카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개폐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한 체인 개폐방식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체인 및 스프로킷을 이용한 개폐방식으로 인해, 설치 환경이 열악한 상태에서도 개폐 동작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동작시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하여 작업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신속한 안전망의 개폐에 의해 승강로를 통한 작업인부, 작업재료 및 작업공구 등의 추락을 방지를 위한 안전망의 안전 확보 시간을 증대시킨다.

Description

체인 개폐방식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Chain opening and closing type elevator hoistway fall preven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체인 개폐방식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체인 및 스프로킷을 이용한 개폐방식으로 인해, 설치 환경이 열악한 상태에서도 개폐 동작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이며,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대한 설치가 용이하고, 승강로를 통한 작업인부, 작업재료 및 작업공구 등의 추락을 방지하는 체인 개폐방식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상가, 빌딩이나 아파트 등의 다층 건축 구조물에 설치되어, 승객이나 화물을 원하는 층까지 실어나르는 승강기로서, 엘리베이터 설치구조물에 수직되게 마련되어 층마다 출입을 위한 출입구가 마련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와,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에 설치되어 기계실 내의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권상로프가 감겨지거나 풀림에 따라 승강하고, 개폐 가능한 도어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카와, 권상로프의 끝단에 고정되어 엘리베이터카의 승강시 균형을 맞추도록 하는 균형추와,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에 고정되어 엘리베이터카의 승강시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레일과,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출입구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장도어를 포함한다.
한편, 공사장의 작업현장은 추락 및 감전 등에 따른 생명을 위협하는 많은 위험이 존재한다. 특히, 작업자, 작업재료, 작업공구 등의 추락은 곧바로 작업자의 생명과 연결되는 문제이다. 특히,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통한 작업자 등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시설의 설치가 필요하다.
종래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통한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52279호의 "엘리베이터 홀 추락방지장치"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다중구조로 된 추락 방지 그물망부와; 홀 내부 벽면에 걸쳐지게 설치되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에 가하는 충격을 지탱하는 벽고정브라켓을 구비하여 중앙이 절첩되고 가로와 세로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홀내부로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홀 추락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좌/우측 가로지지대와 좌/우측 세로지지대로 구성되고, 상기 좌/우측 가로지지대의 중앙이 절첩이 되도록 결합부에 받침면과 돌기면이 서로 높이가 다른 단차를 두고 형성되어 받침면과 돌기면이 서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기면은 서로 축볼트로 결합하여 접고 펼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좌/우측 세로지지대에 길이조절 뭉치부가 구성되고, 상기 좌/우측 세로지지대에 구성된 길이조절 뭉치부는 전/후방 지지대와 전/후방 지지대의 사이에 나사산이 형성된 축봉이 조절봉 내에 구성되어 조절봉의 회전에 의해 전/후방 지지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엘리베이터카의 통과를 어렵게 함으로써, 엘레베이터 홀 내에서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제한이 따르고, 설치 및 관리에 불편을 초래함으로써 작업인부의 효율적 배치를 저해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2212061호의 "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에 추락 대상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는 안전망; 상기 안전망을 지지하되, 일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설치되는 설치부; 및 상기 안전망을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세워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개폐시키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에서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안전망의 일측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에서 타측에 상기 지지프레임과 같은 높이에서 나란하도록 고정되어, 상기 안전망의 타측 하부를 지지하는 힌지프레임; 상기 힌지프레임과 상기 안전망의 타측 하부를 힌지 결합시키는 힌지결합부재; 및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에 수직되게 설치되는 수직프레임의 플랜지에 고정되어, 상측에 상기 지지프레임 또는 상기 힌지프레임이 지지되도록 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플랜지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자신에게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결합되는 다수의 고정편과의 사이에 상기 플랜지의 양쪽 측단이 각각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안전망에서 힌지 결합되는 측의 반대측에 끝단이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안전망이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를 하방으로 당길 경우, 상기 안전망을 수직되게 세울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는 도르래;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와이어와 도르래를 이용한 개폐방식으로 인해 안전망의 개폐시 많은 소음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안전망의 개폐 동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으로써 개폐 동작시 안전망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해칠 수 있고, 잦은 사용으로 인해 와이어 가이드 등이 손상시 와이어의 꼬임으로 인해 제대로 동작하지 못하게 되며, 이로 인해 유지 및 관리에 추가적인 인원 및 비용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체인 및 스프로킷을 이용한 개폐방식으로 인해, 설치 환경이 열악한 상태에서도 개폐 동작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이고, 동작시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하여 작업 환경을 개선시키며, 신속한 안전망의 개폐에 의해 승강로를 통한 작업인부, 작업재료 및 작업공구 등의 추락을 방지를 위한 안전망의 안전 확보 시간을 증대시키고, 개폐 구동부의 모듈화를 통한 편리한 설치뿐만 아니라 유지 및 관리에 소요되는 인원 및 비용을 줄이며, 자동으로 엘리베이터카의 승강을 허용하면서 추락 사고를 방지함으로써 관리 인원을 최소화하면서도 편리한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측면에서 일측에 설치되는 착탈지지대;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측면에서 타측에 설치되는 고정지지대; 상기 고정지지대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착탈지지대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통한 추락 대상을 차단하도록 수평되게 배치되는 안전망; 상기 안전망을 스프로킷과 체인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안전망이 세워지도록 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개방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카의 통과를 허용하거나, 상기 안전망이 수평으로 복귀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차단시키도록 하는 개폐구동부;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승강시, 상기 안전망이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개방하여야 할 위치 및 차단하여야 할 위치에 각각 도달함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카감지부; 및 상기 카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개폐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체인 개폐방식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착탈지지대는,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측면에 다수개가 수평되게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각각이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측면에 다수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며, 각각에 상기 안전망이 탄성 지지되도록 상방으로 스프링이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전망은, 테두리를 이루고, 상기 착탈지지대에 지지되도록 하는 테두리프레임; 상기 테두리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네트; 상기 테두리프레임의 일측부에 다수로 마련되는 축고정부; 및 상기 축고정부 각각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테두리프레임의 일측부에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지지대는, 판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측면에 다수의 고정부재에 의해 수직되게 고정됨으로써 상기 안전망의 폭방향에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테두리프레임의 일측부 하측에 위치하는 다수의 지지편이 마련되며, 상기 지지편 상에 상기 테두리프레임의 일측면 저면이 탄성 지지되는 스프링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가 다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개폐구동부는, 상기 고정지지대에 마련됨으로써 상기 고정지지대와 함께 모듈화를 이루되, 상기 고정지지대의 하부에 고정되는 개폐모터; 상기 개폐모터의 회전력을 커플링을 통해서 제공받고, 상기 고정지지대의 하부에 고정되는 라인파워; 상기 라인파워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구동스프라킷; 상기 구동스프라킷과 일렬로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종동스프라킷; 및 상기 구동스프라킷과 상기 종동스프라킷을 서로 연결시키는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감지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상부에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치되는 제 1 송신부;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하부에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치되는 제 2 송신부; 및 상기 제 1 또는 제 2 송신부로부터 정해진 거리에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송신부의 신호를 수신받아 감지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안전망이나 상기 지지대 또는 이의 부근에 설치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송신부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상기 수신부가 수신하면,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안전망이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개폐구동부를 제어하고, 정해진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송신부 중 다른 하나의 신호를 상기 수신부가 수신하면,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통과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안전망이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차단시키도록 상기 개폐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체인 개폐방식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에 의하면, 체인 및 스프로킷을 이용한 개폐방식으로 인해, 설치 환경이 열악한 상태에서도 개폐 동작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동작시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하여 작업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신속한 안전망의 개폐에 의해 승강로를 통한 작업인부, 작업재료 및 작업공구 등의 추락을 방지를 위한 안전망의 안전 확보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고, 개폐 구동부의 모듈화를 통한 편리한 설치뿐만 아니라 유지 및 관리에 소요되는 인원 및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자동으로 엘리베이터카의 승강을 허용하면서 추락 사고를 방지함으로써 관리 인원을 최소화하면서도 편리한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체인 개폐방식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엘레이베이터 승강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체인 개폐방식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에서 안전망 및 개폐구동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체인 개폐방식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에서 안전망 및 개폐구동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체인 개폐방식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에서 안전망 및 개폐구동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체인 개폐방식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체인 개폐방식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엘레이베이터 승강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체인 개폐방식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에서 안전망 및 개폐구동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체인 개폐방식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에서 안전망 및 개폐구동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체인 개폐방식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에서 안전망 및 개폐구동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체인 개폐방식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100)는 착탈지지대(110), 고정지지대(120), 안전망(130), 개폐구동부(140), 카감지부(150; 도 5 참조) 및 제어부(160; 도 5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체인 개폐방식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100)는 엘리베이터 승강로(210) 내에 2 ~ 3개 층마다 각각 설치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승강로(210) 내에 다수로 설치될 수 있다.
착탈지지대(110)는 엘리베이터 승강로(210)의 내측면(212)에서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착탈지지대(110)는 엘리베이터 승강로(210)의 내측면(212)에 다수개, 예컨대 2개가 수평되게 배열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각각이 엘리베이터 승강로(210)의 내측면(212)에 다수의 고정부재(121)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각각에 안전망(130)이 탄성 지지되도록 상방으로 스프링(123)이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재(121)는 앙카볼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착탈지지대(110) 각각을 다수개가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123)은 압축스프링으로서, 상방으로 내려오는 안전망(130)을 탄성 지지함으로써 안전망(13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고정지지대(120)는 엘리베이터 승강로(210)의 내측면(212)에서 타측, 즉 착탈지지대(110)의 맞은 편에 설치될 수 있다.
안전망(130)은 고정지지대(120)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착탈지지대(110)에 지지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승강로(210)를 통한 추락 대상을 차단하도록 수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추락 대상은 예컨대, 작업인부 뿐만 아니라, 작업재료 또는 작업공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승강로(210)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설치구조물(200)에 수직되게 설치되며, 층마다 출입을 위한 출입구(211)가 마련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승강로(210)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카(300)는 기계실 내의 모터 구동력을 이용하여, 권상로프의 감김이나 풀림에 의해 승강하게 되고, 개폐 가능한 도어를 가지는데, 권상로프의 끝단에 엘리베이터카(300)의 승강시 균형을 맞추도록 균형추가 고정되고, 엘리베이터 승강로(210) 내에 엘리베이터카(300)의 승강시 안내를 위한 한 쌍의 안내레일이 설치될 수 있다.
안전망(13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고정지지대(120)에 의해 서로 이격되도록 수평되게 배치될 수 있고, 이렇게 이격된 사이를 통해서 엘리베이터카(300)의 승강 및 설치를 위한 수직구성(220)이 통과하는 통로를 제공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이러한 수직구성(220) 등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안전망(130)은 앞서 설명한 안내레일과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안전망(130)은 일례로, 테두리를 이루고, 착탈지지대(110)에 지지되도록 하는 테두리프레임(131)과, 테두리프레임(131)의 내측에 설치되는 네트(132)와, 테두리프레임(131)의 일측부에 다수로 마련되는 축고정부(133)와, 축고정부(133) 각각에 고정됨으로써 테두리프레임(131)의 일측부에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회전축(134)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132)는 메쉬망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가장자리가 테두리프레임(131)에 연결 내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네트(132)는 금속이나 합성수지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어느 정도 변형이 가능한 재질이라면, 추락 대상의 추락시 충격을 완화하면서 추락 대상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안전망(130)은 엘리베이터 승강로(210) 내에서 출입구(211)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고정지지대(120)에 의해 설치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출입구(211)를 통해서 낙하하는 추락 대상의 낙하거리를 줄여서 추락 대상에 대한 충격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축고정부(133)는 용접이나 볼팅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고정방식에 의해 테두리프레임(131)과 회전축(134)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고정지지대(120)는 판상으로 이루어져서 엘리베이터 승강로(210)의 내측면(212)에 다수의 고정부재(121)에 의해 수직되게 고정됨으로써 안전망(130)의 폭방향에 대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테두리프레임(131)의 일측부 하측에 위치하는 다수의 지지편(122)이 마련될 수 있으며, 지지편(122) 상에 테두리프레임(131)의 일측면 저면이 탄성 지지되는 스프링(123)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회전축(13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124)가 다수로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재(121)는 예컨대, 다수의 앙카볼트로 이루어져서 고정지지대(120)를 엘리베이터 승강로(210)의 내측면에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수직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편(122)은 테두리프레임(131)의 일측부 하측까지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상측의 스프링(123)이 안전망(130)의 수평 안착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위치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축지지부(124)는 베어링을 매개로 회전축(134)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도 있다.
개폐구동부(140)는 안전망(130)을 스프로킷(144,145)과 체인(146)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안전망(130)이 세워지도록 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로(210)를 개방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카(300)의 통과를 허용하거나, 안전망(130)이 수평으로 복귀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승강로(210)를 차단시키도록 한다.
개폐구동부(140)는 예컨대 본 실시례에서처럼, 고정지지대(120)의 하부에 고정되는 개폐모터(141)와, 개폐모터(141)의 회전력을 커플링을 통해서 제공받고, 고정지지대(120)의 하부에 고정되는 라인파워(143)와, 라인파워(143)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구동스프라킷(144)과, 구동스프라킷(144)과 일렬로 배치되도록 회전축(134)에 고정되는 종동스프라킷(145)과, 구동스프라킷(144)과 종동스프라킷(145)을 서로 연결시키는 체인(146)을 포함할 수 있다. 개폐모터(141)는 예컨대, 회전수 제어가 가능한 서보모터나 스텝모터로 이루어짐으로써, 후술하게 될 제어부(160; 도 5 참조)에 의해 안전망(130)의 회전 각도 및 자세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안전망(130)의 수직 자세 및 수평 자세를 접촉이나 광 등의 감지매체를 통해서 감지하는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제어부(160)가 수신받아 안전망(130)의 회전 각도 및 자세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카감지부(150)는 엘리베이터카(300)가 승강시, 안전망(130)이 엘리베이터 승강로(210)를 개방하여야 할 위치 및 차단하여야 할 위치에 각각 도달함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즉, 카감지부(150)는 엘리베이터 승강로(210)에서 엘리베이터카(300)가 안전망(130)에 의해 차단되는 영역을 통과하기 위해 진입하는 것을 감지할 뿐만 아니라, 안전망(130)에 의해 개방되는 영역을 통과하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다시 안전망(130)으로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다.
카감지부(150)는 이를 위해, 다양한 방식의 접촉 또는 비접촉 방식에 의해 엘리베이터카(300)의 감지를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설치의 편의성 및 동작의 신뢰성을 고려하여, 엘리베이터카(300)의 상부에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치되는 제 1 송신부(151)와, 엘리베이터카(300)의 하부에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치되는 제 2 송신부(152)와, 제 1 또는 제 2 송신부(151,152)로부터 정해진 거리에서, 제 1 또는 제 2 송신부(151,152)의 신호를 수신받아 감지신호를 출력하도록 안전망(130), 착탈지지대(110), 고정지지대(120) 또는 이의 부근에 설치되는 수신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카감지부(150)에서, 신호는 광신호 뿐만 아니라, RF신호를 비롯하여,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양한 무선신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정해진 거리는 수신부(153)가 제 1 및 제 2 송신부(151,152) 중 어느 하나만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수신범위를 가지되, 엘리베이터 승강로(210)에서 안전망(130)의 세워짐이나 수평으로의 복귀에 필요한 공간 확보를 고려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로(210)를 차단시킨 안전망(130) 측으로 엘리베이터카(300)가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도록 하는 수신범위를 가지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신호의 출력 세기, 수신 감도, 엘리베이터카(300)의 속도, 안전망(130)의 규격, 안전망(130)의 자세전환 소요시간 등을 고려하여, 실험적으로 또는 실제 적용에서의 조정을 통해 구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160)는 카감지부(150)의 감지신호를 수신받고, 개폐구동부(140)를 제어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승강로(210)에 대한 엘리베이터카(300)의 승강을 허용하면서, 엘리베이터 승강로(210)의 차단상태 복귀 내지 유지를 가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제어부(160)는 일례로, 본 실시례에서처럼, 카감지부(150)가 제 1 및 제 2 송신부(151,152) 및 수신부(153)를 포함하는 경우, 제 1 및 제 2 송신부(151,152)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수신부(153)가 수신하면, 엘리베이터카(300)가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안전망(130)이 엘리베이터 승강로(300)를 개방시키도록 개폐구동부(140)의 개폐모터(141)를 제어할 수 있고, 정해진 시간 범위 내에서 제 1 및 제 2 송신부(151,152) 중 다른 하나의 신호를 수신부(153)가 수신하면, 엘리베이터카(300)가 통과한 것으로 판단하여, 안전망(130)이 엘리베이터 승강로(210)를 차단시키도록 개폐구동부(140)의 개폐모터(141)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정해진 시간 범위는 엘리베이터카(300)가 상승시, 수신부(153)가 제 1 송신부(151)의 신호 수신후부터 제 2 송신부(152)의 신호를 수신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일 수 있고, 반대로 엘리베이터카(300)가 하강시, 수신부(153)가 제 2 송신부(152)의 신호 수신후부터 제 1 송신부(151)의 신호를 수신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일 수 있으며, 신뢰성 확보를 위해 이러한 시간보다 여유롭게 시간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 개폐방식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엘리베이터카(300)가 엘리베이터 승강로(210)의 내측을 따라 승강시, 그 승강 경로 상에 위치하는 안전망(130)은 카감지부(150)에 의한 엘리베이터카(300)의 진입을 감지하는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개폐구동부(140)의 개폐모터(141) 동작에 의해, 체인(146)을 회전시켜서 회전축(134)을 회전시킴으로써, 안전망(130)이 회전축(13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세워지도록 하고,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카(30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승강로(210)가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엘리베이터카(300)가 통과하면, 카감지부(150)에 의한 엘리베이터카(300)의 통과를 감지함에 따라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개폐구동부(140)의 개폐모터(141) 동작에 의해, 체인(146)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안전망(130)이 하방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착탈지지대(110)에 지지되도록 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로(210)를 차단시키도록 하고, 이로 인해 엘리베이터 승강로(210)를 통한 작업인부, 작업재료 및 작업공구 등의 추락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 개폐방식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에 따르면, 체인 및 스프로킷을 이용한 개폐방식으로 인해, 설치 환경이 열악한 상태에서도 개폐 동작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동작시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하여 작업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속한 안전망의 개폐에 의해 승강로를 통한 작업인부, 작업재료 및 작업공구 등의 추락을 방지를 위한 안전망의 안전 확보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폐 구동부의 모듈화를 통한 편리한 설치뿐만 아니라 유지 및 관리에 소요되는 인원 및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자동으로 엘리베이터카의 승강을 허용하면서 추락 사고를 방지함으로써 관리 인원을 최소화하면서도 편리한 사용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착탈지지대 111 : 고정부재
112 : 스프링 120 : 고정지지대
121 : 고정부재 122 : 지지편
123 : 스프링 124 : 축지지부
130 : 안전망 131 : 테두리프레임
132 : 네트 133 : 축고정부
134 : 회전축 140 : 개폐구동부
141 : 개폐모터 142 : 커플링
143 : 라인파워 144 : 구동스프로킷
145 : 종동스프로킷 146 : 체인
150 : 카감지부 151,152 : 송신부
153 : 수신부 160 : 제어부
200 : 엘리베이터 설치구조물 210 : 엘리베이터 승강로
211 : 출입구 212 : 내측면
220 : 수직구성 300 : 엘리베이터카

Claims (5)

  1.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측면에서 일측에 설치되는 착탈지지대;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측면에서 타측에 설치되는 고정지지대;
    상기 고정지지대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착탈지지대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통한 추락 대상을 차단하도록 수평되게 배치되는 안전망;
    상기 안전망을 스프로킷과 체인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안전망이 세워지도록 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개방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카의 통과를 허용하거나, 상기 안전망이 수평으로 복귀함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차단시키도록 하는 개폐구동부;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승강시, 상기 안전망이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개방하여야 할 위치 및 차단하여야 할 위치에 각각 도달함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카감지부; 및
    상기 카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개폐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망은,
    테두리를 이루고, 상기 착탈지지대에 지지되도록 하는 테두리프레임;
    상기 테두리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네트;
    상기 테두리프레임의 일측부에 다수로 마련되는 축고정부; 및
    상기 축고정부 각각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테두리프레임의 일측부에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지지대는,
    판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측면에 다수의 고정부재에 의해 수직되게 고정됨으로써 상기 안전망의 폭방향에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테두리프레임의 일측부 하측에 위치하는 다수의 지지편이 마련되며, 상기 지지편 상에 상기 테두리프레임의 일측면 저면이 탄성 지지되는 스프링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가 다수로 마련되는, 체인 개폐방식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탈지지대는,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측면에 다수개가 수평되게 배열되도록 배치되고, 각각이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측면에 다수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며, 각각에 상기 안전망이 탄성 지지되도록 상방으로 스프링이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체인 개폐방식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동부는,
    상기 고정지지대에 마련됨으로써 상기 고정지지대와 함께 모듈화를 이루되,
    상기 고정지지대의 하부에 고정되는 개폐모터;
    상기 개폐모터의 회전력을 커플링을 통해서 제공받고, 상기 고정지지대의 하부에 고정되는 라인파워;
    상기 라인파워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구동스프라킷;
    상기 구동스프라킷과 일렬로 배치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종동스프라킷; 및
    상기 구동스프라킷과 상기 종동스프라킷을 서로 연결시키는 체인;
    을 포함하는, 체인 개폐방식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
  5. 청구항 1, 청구항 2 및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감지부는,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상부에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치되는 제 1 송신부;
    상기 엘리베이터카의 하부에 신호를 송신하도록 설치되는 제 2 송신부; 및
    상기 제 1 또는 제 2 송신부로부터 정해진 거리에서, 상기 제 1 또는 제 2 송신부의 신호를 수신받아 감지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안전망, 상기 착탈지지대 및 상기 고정지지대 중 어느 하나 또는 이의 부근에 설치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송신부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상기 수신부가 수신하면,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진입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안전망이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개방시키도록 상기 개폐구동부를 제어하고, 정해진 시간 범위 내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송신부 중 다른 하나의 신호를 상기 수신부가 수신하면, 상기 엘리베이터카가 통과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안전망이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를 차단시키도록 상기 개폐구동부를 제어하는, 체인 개폐방식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
KR1020220021891A 2022-02-21 2022-02-21 체인 개폐방식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 KR102418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891A KR102418104B1 (ko) 2022-02-21 2022-02-21 체인 개폐방식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891A KR102418104B1 (ko) 2022-02-21 2022-02-21 체인 개폐방식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8104B1 true KR102418104B1 (ko) 2022-07-07

Family

ID=82398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891A KR102418104B1 (ko) 2022-02-21 2022-02-21 체인 개폐방식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10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154U (ko) * 2017-10-16 2019-01-16 정하익 시설, 탱크의 청소, 처리, 숏팅, 코팅, 도장 장치
KR102251663B1 (ko) * 2020-12-09 2021-05-13 (주)대륜엘리스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자동 방지 장치
KR102332754B1 (ko) * 2021-05-03 2021-12-01 박준원 차량 추락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154U (ko) * 2017-10-16 2019-01-16 정하익 시설, 탱크의 청소, 처리, 숏팅, 코팅, 도장 장치
KR102251663B1 (ko) * 2020-12-09 2021-05-13 (주)대륜엘리스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자동 방지 장치
KR102332754B1 (ko) * 2021-05-03 2021-12-01 박준원 차량 추락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1663B1 (ko)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자동 방지 장치
KR102212061B1 (ko)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
KR100326109B1 (ko) 조속기를 갖는 엘리베이터
EP1016614B1 (en) Controller for elevators
KR100196671B1 (ko) 보수용 승강체 부착 입출장치
CA2310866C (en) Non-personnel lifting device
US75816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dvance opening of doors in an elevator
EP3795527B1 (en) Elevator car frame
KR101766914B1 (ko)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상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KR102418104B1 (ko) 체인 개폐방식의 엘리베이터 승강로 추락 방지 장치
KR20220125633A (ko) 포설용 말비계탑승장치
EP1566357B1 (en) Elevator equipment
CN114599598B (zh) 电梯装置以及电梯装置的门位置检测装置
CN108349693B (zh) 电梯及电梯的运转方法
CN110294392B (zh) 轿厢门机的安装结构、安装方法及主连接支架、辅连接支架
WO2021140556A1 (ja) エレベーター及びエレベーターの制御方法
JP6648247B2 (ja) 乗客及び障害物検知機能を含む電車プラットフォーム安全装置
EP1329411B1 (en) Elevator device
KR101794202B1 (ko) 엘리베이터용 수직 개폐식 도어의 하부 구동축 구동시스템
CN116601102A (zh) 电梯的建造装置和方法
JP6300715B2 (ja) エレベータ用足場装置
KR102446299B1 (ko) 고소작업대탑승장치
KR102446293B1 (ko) 사다리차 탑승장치
JP4252160B2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CN215974504U (zh) 一种建筑施工用升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