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065B1 -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 - Google Patents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065B1
KR102418065B1 KR1020210144550A KR20210144550A KR102418065B1 KR 102418065 B1 KR102418065 B1 KR 102418065B1 KR 1020210144550 A KR1020210144550 A KR 1020210144550A KR 20210144550 A KR20210144550 A KR 20210144550A KR 102418065 B1 KR102418065 B1 KR 102418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unit
emergency signal
signal devic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4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10144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0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96Mounting of devices using L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는 내부 수용공간을 가지는 반구형의 제1 본체와, 내부 수공공간을 가지는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힌지부를 통하여 상기 제1 본체와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의 내부에는 가스저장부, 상기 가스저장부에서 공급되는 가스로 팽창 가능한 풍선, 상기 가스저장부의 가스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풍선의 팽창시 상기 풍선에 가압되어 상기 제1 본체 및 상기 제2 본체를 개방시키는 스위치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 본체의 내부에는 배터리부가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부와 제어부는 상기 힌지부를 통하여 상기 제1 본체 및 상기 제2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선을 통하여 연결된다.

Description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THROW TYPE INFLATABLE EMERGENCY SIGNAL DEVICE}
본 발명은 비상신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상에서 사고차량 발생 등 상황 발생시 사고 예방을 위하여 설치되는 비상신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속도로 등에서 사고가 발행하거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사고차 또는 고장차 후미로 추가 충돌로 인한 2차 사고로 인한 사망사고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2차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사고차 또는 고장차 후미에 삼각대 설치 등 안전 조치가 필수적이지만, 오히려 이러한 후속 조치 중 치명적인 2차 사고가 발행하는 경우도 매우 많다.
이에 정부는 안전 조치 중에 발생하는 사고 방지를 위해 사고 후 삼각대 의무설치 등의 규정을 완화하였지만 2차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최소한의 안전 조치가 필수적이기에 안전하게 비상신호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종래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894723호(이하 '723특허'로 약칭한다)의 경우 인플랫터블 타입의 사고 알림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723특허는 종래의 삼각대의 시인성이 떨어지는 점을 고려하여 사고 차량 위로 떠 있을 수 있게 하는 사고 차량 알림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723 특허는 사고 차량 위에서 떠 있을 수 있는 방식의 인플랫터블 알림 장치를 개시하고 있어 사고차 또는 고장차 후미로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서 설치하기에는 어렵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94723호(2018.08.29)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고차 또는 고장차의 후미에서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도록 투척 가능한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는, 내부 수용공간을 가지는 반구형의 제1 본체; 및 내부 수공공간을 가지는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힌지부를 통하여 상기 제1 본체와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의 내부에는 가스저장부, 상기 가스저장부에서 공급되는 가스로 팽창 가능한 풍선, 상기 가스저장부의 가스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풍선의 팽창시 상기 풍선에 가압되어 상기 제1 본체 및 상기 제2 본체를 개방시키는 스위치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 본체의 내부에는 배터리부가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부와 제어부는 상기 힌지부를 통하여 상기 제1 본체 및 상기 제2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선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 본체의 내부에는 투척끈이 감겨진 보빈이 더 배치되고, 상기 투척끈의 끝단은 상기 제2 본체의 외벽에 형성된 제1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제2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홀더에 연결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관통홀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홀더는 외부의 금속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 본체는 상기 제1 본체와 개방되는 경우 노출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는 상기 제2 본체와 개방되는 경우 노출되는 결합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본체 및 상기 제2 본체가 결합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풍선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풍선에 결합되는 발광부가 더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풍선의 팽창시 상기 발광부가 발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외부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풍선의 팽창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빈의 상기 투척끈이 모두 풀어져 상기 보빈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보빈에 가해지는 힘을 감지하여 상기 풍선의 팽창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보빈의 축에서 상기 제어부로 상기 힌지부를 통하여 이어지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이어가 당겨지는 경우 상기 풍선의 팽창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 본체의 내부에는 스피커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 본체의 외벽에는 상기 스피커부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외부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제3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 본체의 내부에는 일부가 상기 제2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구동바퀴 및 상기 구동바퀴를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본체 또는 상기 제2 본체의 외부면에는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고차 또는 고장차의 후미에서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도록 투척 가능한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는 사고차 또는 고장차의 후미에서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된 위치에서 상부로 팽창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비상신호장치를 설치할 수 잇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풍선이 팽창된 상태의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풍선 및 발광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가 실제 도로상에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10)는 제1 본체(100) 및 제2 본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본체(100) 및 제2 본체(200)는 내부 수용공간을 가지는 반구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초기 상태에서는 제1 본체(100) 및 제2 본체(200)는 서로 결합된 상태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 형상을 갖는다. 도 1의 사시도에서는 제2 본체(200)의 하부면에 구동바퀴(240)가 일부 노출되어 있으며, 제2 본체(200)의 일측면에서 홀더(70)가 결합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본체(100) 및 제2 본체(200)는 힌지부(20)를 통하여 상호 피봇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2 본체(200)는 제1 본체(100)와 개방되는 경우 노출되는 결합돌기(205)를 포함하고, 제1 본체(100)는 제2 본체(200)와 개방되는 경우 노출되는 결합홈(10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결합돌기(205)가 결합홈(105)에 삽입되어 제1 본체(100) 및 제2 본체(200)가 결합된다.
결합돌기(205)의 주위에는 작은 돌기 또는 홈이 존재하고, 결합홈(105) 내부에 결합돌기(205)의 돌기 또는 홈에 대응되는 홈 또는 돌기가 존재하여 결합돌기(205)가 결합홈(105)에 일정 깊이 이상 삽입되는 경우 결합돌기(205)가 결합홈(105)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본체(100)의 내부 수용공간에는 풍선(110), 발광부(120), 가스저장부(130) 및 제어부(140)가 배치된다.
제어부(140)는 후술할 배터리부(2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가스저장부(130) 및 발광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풍선(110)은 가스저장부(130)에 연결되어 가스저장부(130)로부터 가스를 공급받는 경우 팽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가스저장부(130)에는 헬륨 가스와 같이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가 저장되며, 제어부(140)에 의해 가스저장부(130)의 밸브가 개방되는 경우에 풍선(110)에 가스가 공급되어 팽창하게 된다.
제1 본체(100)의 내부면 중에서 결합홈(105)의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스위치부(107)가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스위치부(107)는 풍선(110)이 팽창하는 경우 풍선(110)에 가압될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하며, 충선(100)에 의하여 가압되어 눌러지는 경우에 결합홈(105)의 내부에 존재하는 구조물의 변형을 일으켜 결합돌기(205)가 결합홈(105)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힌지부(20)는 제1 본체(100) 및 제2 본체(200)가 서로 벌려지도록 하는 힘을 받도록 내부에 코일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스위치부(107)의 동작에 의해 결합돌기(205)가 결합홈(105)에서 분리되면 제1 본체(100) 및 제2 본체(200)는 힌지부(20)의 탄성력에 의하여 약 180도 정도로 벌려지도록 개방되게 된다.
풍선(110)에는 발광부(120)가 부착된다. 발광부(120)는 제3 전선(125)를 통하여 제어부(140)에 연결된다.
제어부(140)는 풍선(110)의 팽창시 발광부(120)가 발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본체(200)의 내부에는 보빈(210), 배터리부(220), 구동부(230), 구동바퀴(240), 스피커부(250)가 배치된다.
보빈(210)은 상하부 원형판이 기둥에 의하여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어 중앙 기둥에 투척끈(50)이 감겨지게 된다.
보빈(210)의 중앙의 기둥의 축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2 본체(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빈(210)의 하부에 배터리부(220)의 상부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투척끈(50)는 보빈(210)에 감겨지거나 풀릴 수 있도록 구성되며, 투척끈(50)의 끝단은 제2 본체(200)의 외벽에 형성된 제1 관통홀(203)을 통하여 제2 본체(200)의 외부로 노출되어 홀더(70)로 연결되고, 홀더(70)는 제1 관통홀(203)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투척끈(50)이 보빈(210)에 완전히 감겨진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홀더(70)를 제1 관통홀(203)에 끼울 수 있다. 홀더(70)는 외부의 금속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렇게 홀더(70)가 자석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경우 차량의 외부면에 홀더(70)를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배터리부(220)는 본 발명의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배터리부(22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외부 충전 단자가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배터리부(220)의 충전단자가 위치한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제2 관통홀(207)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배터리를 충전할 때에는 외부에서 USB 단자와 같은 외부 단자를 상기 제2 관통홀(207)에 삽입하여 배터리부(2220)를 충전할 수 있다.
구동부(230)는 구동바퀴(240)에 연결되어 구동바퀴(240)를 특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동바퀴(240)는 제2 본체(200)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구동부(230)는 구동바퀴(240)를 직교하는 두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10)의 위치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40)는 구동부(230)를 구동시켜 구동바퀴(240)가 이동할 방향을 향하도록 좌우로 회전시키고 방향이 정해지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바퀴(2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동바퀴(240)의 이동 제어는 비상신호장치(10)의 위치가 도로의 갓길에서 너무 멀어져 이동하는 차량에 부딛힐 위험이 있는 경우에 필요할 수 있다.
스피커부(250)는 제어부(140)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소리 또는 음성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제2 본체(200)의 외벽에는 스피커부(250)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외부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3 관통홀(209)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피커부(250)는 제1 본체(100) 및 제2 본체(2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고차량 안내 등의 음성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으며, 제1 본체(100) 및 제2 본체(2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도 제3 관통홀(209)을 통하여 외부에 필요한 음성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본체(100)의 제어부(140)와 제2 본체(200)의 배터리부(220)은 서로 전선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제1 전선(30)에 연결되고, 제1 전선(30)은 힌지부(20)을 통하여 제2 본체(200) 내부의 제2 전선(40)과 연결되며, 제2 전선(40)은 배터리부(200)에 연결된다.
힌지부(20)는 제1 전선(30) 및 제2 전선(40)이 서로 연결될 수 있는 내부 통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힌지부(20)에 전선이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단자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외부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풍선(110)으 팽창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10)를 투척 후 스마트폰에 제어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40)는 가스저장부(130)의 밸브를 개방시켜 풍선(110)에 가스를 공급하게 할 수 있다.
풍선(100)에 가스가 공급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팽창되는 풍선(110)이 스위치부(107)를 누르게 되면서 제1 본체(100) 및 제2 본체(200)가 서로 개방되면서 풍선(100)이 위로 솟구치게 된다.
이때, 제어부(140)는 동시에 제3 전선(125)에 전력을 공급하여 발광부(120)가 빛나게 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제어부(140)는 보빈(210)의 투척끈(50)이 모두 풀어져 보빈(210)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보빈(210)에 가해지는 힘을 감지하여 풍선(110)의 팽창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설명하면 투척끈(50)의 길이만큼 비상신호장치(10)가 이동한 경우에 투척끈(50)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보빈(210)의 회전축에 그 힘이 가해지면서 보빈(210)의 축에 연결된 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이를 통하여 제어부(140)는 가스저장부(130)의 밸브를 개방시킬 수 있다.
보빈(210)의 축에 가해지는 힘의 감지는 전자적인 센서를 통하여 감지할 수도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 보빈(210)의 축에 와이어를 연결하고 와이어가 힌지부(20)를 통하여 제어부(140)에 연결되는 방식으로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부(140)에는 와이어에 연결되는 스위치 모듈이 배치되어 와이어가 일정 변위 이상으로 당겨지는 경우에 가스저장부(130)의 밸브를 개방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 4는 풍선이 팽창된 상태의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10)는 상기 제어부(140)의 동작에 의하여 풍선(110)이 팽창하면서 스위치부(107)를 누르게 되고, 이에 의하여 제1 본체(100) 및 제2 본체(200)가 개방되면서 풍선(110)이 상부로 떠오르게 된다.
이때,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하여 풍선(110)에 부착된 발광부(120)에 전원이 공급되어 빛이 발광하게 된다.
발광부(120)는 저전력이며 가벼운 LED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시인성을 높이기 위하여 풍선(110)의 상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발광부(120)는 제1 발광부(120a) 및 제2 발광부(12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발광부(120a)는 파란색을, 제2 발광부(120b)을 빨간색을 발광할 수 있으며,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하여 파란색 및 빨간색이 동시에 발광되거나 번갈아가면서 점멸될 수 있다.
풍선(110)은 도로상의 강풍에서도 효과적으로 떠 있을 수 있도록 한 쌍의 관통부(115)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이 세게 부는 경우 관통부(115)가 바람길의 역할을 하므로 풍선(110)이 형상 유지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풍선 및 발광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서는 풍선에 발광부가 부착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도 5의 풍선(310)에는 발광부(320)가 상부에 부착되지 않고 풍선(310)이 부착된 부분 하부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풍선(310)이 제어부(미도시)의 상부면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제어부의 상부면에 발광부(320)가 부착되도록 설치되고 풍선(310)이 부풀어져서 떠오른 경우 발광부(320)가 하단에서 빛 또는 레이더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풍선(310)의 상단에는 'V'자 형상의 반사판이 설치되어 발광부(320)에서 전달되는 빛 또는 레이더신호를 원거리 차량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풍선(310) 역시 바람의 저항을 적게 받도록 한 쌍의 관통부(3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가 실제 도로상에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 도면이다.
도로상에서 차량 사고가 발생한 경우 운전자는 본 발명의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10)를 꺼내고 투척끈(50)을 원하는 길이만큼 조절한 후 홀더(70)를 사고차량의 후미에 부착시킨다.
그 후 원형의 비상신호장치(10)를 굴려서 투척끈(50)이 팽팽해질 때까지 비상신호장치(10)를 사고차량(3)의 후미로부터 이동시킬 수 있다.
운전자는 비상신호장치(10)와 블루투스 등의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하여 제어부(140)를 제어하여 풍선(110)을 팽창하도록 가스저장부(130)의 밸브를 개방시킨다.
풍선(110)의 팽창에 의하여 제1 모듈(100) 및 제2 모듈(200)은 개방되고, 풍선(100)은 상부로 떠오르게 되고, 발광부(120)가 동시에 발광되면서 후미차량(5)에 경고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운전자는 비상신호장치(10)의 위치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 스마트폰을 통하여 제어부(140)를 제어하여 구동바퀴(240)를 이동시켜 비상신호장치(10)를 원하는 장소로 원격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풍선(100) 내부에는 헬륨가스가 충진되어 일정한 부력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 부력은 제1 본체(100)가 지면에서 살짝 떠 있을 정도의 힘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비상신호장치(10)의 원격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위에서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통하여 풍선(110)의 팽창을 제어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투척끈(50)이 완전히 풀어진 경우 보빈(210)에 가해지는 힘의 감지에 의하여 자동으로 풍선(110)이 팽창하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제어하여 비상신호장치(100)의 스피커부(250)를 통하여 안내 멘트 등을 출력시켜 후미차량(5)으로부터의 충돌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10)는 상기와 같은 구조 및 동작으로 도로상에서 사고차량 발생시 사고차량(3)으로부터 이동하지 않도록 먼 거리에 비상신호장치를 설치할 수 있으며, 자석이 설치된 홀더(70) 및 발광부(120)의 구성으로 사용성 및 시인성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 사고차량 5: 후미차량
10: 비상신호장치 20: 힌지부
30: 제1 전선 40: 제2 전선
50: 투척끈 70: 홀더
100: 제1 본체 105: 결합홈
107: 스위치 110: 풍선
115: 관통부 120: 발광부
120a: 제1 발광부 120b: 제2 발광부
125: 제3 전선 130: 가스저장부
140: 제어부 200: 제2 본체
203: 관통홀 205: 결합돌기
210: 보빈 220: 배터리부
230: 구동부 240: 구동바퀴
250: 스피커부 310: 풍선
315: 관통부 317: 반사판
320: 발광부

Claims (11)

  1. 내부 수용공간을 가지는 반구형의 제1 본체; 및
    내부 수공공간을 가지는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힌지부를 통하여 상기 제1 본체와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의 내부에는 가스저장부, 상기 가스저장부에서 공급되는 가스로 팽창 가능한 풍선, 상기 가스저장부의 가스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풍선의 팽창시 상기 풍선에 가압되어 상기 제1 본체 및 상기 제2 본체를 개방시키는 스위치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 본체의 내부에는 배터리부 및 투척끈이 감겨진 보빈이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부와 제어부는 상기 힌지부를 통하여 상기 제1 본체 및 상기 제2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선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투척끈의 끝단은 상기 제2 본체의 외벽에 형성된 제1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제2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홀더에 연결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관통홀에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외부의 금속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석을 포함하는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는 상기 제1 본체와 개방되는 경우 노출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본체는 상기 제2 본체와 개방되는 경우 노출되는 결합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본체 및 상기 제2 본체가 결합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풍선의 가압에 의하여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동작하는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풍선에 결합되는 발광부가 더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풍선의 팽창시 상기 발광부가 발광되도록 제어하는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외부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풍선의 팽창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빈의 상기 투척끈이 모두 풀어져 상기 보빈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보빈에 가해지는 힘을 감지하여 상기 풍선의 팽창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축에서 상기 제어부로 상기 힌지부를 통하여 이어지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와이어가 당겨지는 경우 상기 풍선의 팽창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의 내부에는 스피커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 본체의 외벽에는 상기 스피커부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외부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제3 관통홀이 형성된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의 내부에는 일부가 상기 제2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구동바퀴 및 상기 구동바퀴를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가 더 배치되는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
  11. 삭제
KR1020210144550A 2021-10-27 2021-10-27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 KR102418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550A KR102418065B1 (ko) 2021-10-27 2021-10-27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550A KR102418065B1 (ko) 2021-10-27 2021-10-27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8065B1 true KR102418065B1 (ko) 2022-07-08

Family

ID=82407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4550A KR102418065B1 (ko) 2021-10-27 2021-10-27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0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723B1 (ko) 2018-04-11 2018-09-04 김동묵 인플랫터블 타입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
KR20180099413A (ko) * 2017-02-28 2018-09-05 주식회사 시그놀러지 부표를 이용한 사고 알림 경고 시스템
KR102042560B1 (ko) * 2019-08-28 2019-11-08 조준상 차량용 충격 팽창 안전 표지 장치
KR20210090432A (ko) * 2020-01-10 2021-07-20 최준호 투척식 안전삼각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413A (ko) * 2017-02-28 2018-09-05 주식회사 시그놀러지 부표를 이용한 사고 알림 경고 시스템
KR101894723B1 (ko) 2018-04-11 2018-09-04 김동묵 인플랫터블 타입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
KR102042560B1 (ko) * 2019-08-28 2019-11-08 조준상 차량용 충격 팽창 안전 표지 장치
KR20210090432A (ko) * 2020-01-10 2021-07-20 최준호 투척식 안전삼각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7236B2 (ja) 自動式可搬型発光装置
JP5769850B1 (ja) 係留気球
KR101346199B1 (ko) 차량용 긴급상황 알림장치
JP7013573B2 (ja) 自動車用の水没自己救助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KR102418065B1 (ko) 투척형 자동팽창식 비상신호장치
CN108839629A (zh) 一种汽车落水自动充气救生装置
JP2020536015A5 (ko)
KR101917190B1 (ko) 사고방지용 원격 운전형 안전표지장치
US7669616B2 (en) Apparatus for puncturing a gas filled bottle
KR102323619B1 (ko) 투척식 안전삼각대
KR102334592B1 (ko) 차량의 역주행 방지장치
KR101793390B1 (ko) 차량의 안전 표시 시스템
KR101858722B1 (ko) 에어 플로팅 타입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
JP6999981B2 (ja) 車両用緊急通報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後方車両配慮システム
KR101974998B1 (ko) 부표를 이용한 사고 알림 경고 시스템
WO2015130038A1 (ko) 교통안전표지 삼각대
KR102407798B1 (ko) 비행체가 탑재된 차량 2차사고 예방 시스템
KR200488470Y1 (ko) 비상신호 표시장치
KR101948087B1 (ko) 차량용 긴급 알림 장치
US20210291995A1 (en) Patent application for Invention of protective and retrieval mechanisms for making unmanned aerial vehicles (UAV) and drones float on water surface to make them retrievable after a crash into water bodies.
US3128951A (en) emergency signal lamp device
KR102274168B1 (ko) 투척형 안전 표시장치
KR102358844B1 (ko) 차량사고 알림 장치, 차량사고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89251A (ko) 원형 튜브 형상의 에어 플로팅 타입 차량용 사고 알림 장치
CN111516591A (zh) 一种车辆警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