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7637B1 -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7637B1
KR102417637B1 KR1020150139129A KR20150139129A KR102417637B1 KR 102417637 B1 KR102417637 B1 KR 102417637B1 KR 1020150139129 A KR1020150139129 A KR 1020150139129A KR 20150139129 A KR20150139129 A KR 20150139129A KR 102417637 B1 KR102417637 B1 KR 102417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vent
safety vent
electrode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9932A (ko
Inventor
권민형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9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637B1/ko
Priority to US15/144,489 priority patent/US10115946B2/en
Priority to CN201610842273.XA priority patent/CN106981596B/zh
Publication of KR20170039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17Re-sealabl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01M10/044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with bipolar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83Flame arresting or ignition-preven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제1 전극탭이 형성된 제1 전극판, 제2 전극탭이 형성된 제2 전극판, 및 상기 제1 전극판과 상기 제2 전극판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를 커버하는 캡 플레이트, 및 상기 몸체의 하부를 커버하는 바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제1 전극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캡 플레이트 상에 노출된 제1 전극단자, 및 상기 케이스를 통해 상기 제2 전극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캡 플레이트 상에 결합된 제2 전극단자를 포함하는 전극 단자부; 및 상기 바텀 플레이트에 설치된 제1 안전 벤트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외부 표면에는 상기 제1 안전 벤트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스 배출 홈이 형성된 이차 전지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이차 전지{A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용량의 전지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체적의 캔에 더 많은 양의 전극판을 권취해 넣어야 한다. 또한, 전극판에 도포된 활물질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캔 내부에 집전체가 차지하는 부피를 줄여야 한다. 그러나, 고출력의 전지제작을 위해서는 집전효율도 유지해야 함으로 매 권취 턴마다 전극 집전체에 전극탭을 형성하여 전지를 제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작된 전극 조립체를 멀티탭 전극 조립체라고 한다.
상기 전극 조립체의 전극탭은 캔의 상단부에 형성된 전극 단자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양극 단자, 전극 조립체 및 음극 단자를 따라 전류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극 조립체의 열화 특성이 쉽게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캔의 상단부에는 안전 벤트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안전 벤트를 통한 가스 배출 시, 배출 가스의 높은 압력에 의해 캔의 상단부에 발열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차 전지의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류 경로 확장을 통해 열화 특성이 개선되고, 안전 벤트의 위치 변경을 통해 캔의 내압 상승 시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제1 전극탭이 형성된 제1 전극판, 제2 전극탭이 형성된 제2 전극판, 및 상기 제1 전극판과 상기 제2 전극판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를 커버하는 캡 플레이트, 및 상기 몸체의 하부를 커버하는 바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제1 전극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캡 플레이트 상에 노출된 제1 전극단자, 및 상기 케이스를 통해 상기 제2 전극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캡 플레이트 상에 결합된 제2 전극단자를 포함하는 전극 단자부; 및 상기 바텀 플레이트에 설치된 제1 안전 벤트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외부 표면에는 상기 제1 안전 벤트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스 배출 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캡 플레이트에 설치된 제2 안전 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안전 벤트가 상기 제2 안전 벤트보다 먼저 작동하도록 상기 제1 안전 벤트가 상기 제2 안전 벤트보다 더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탭은 상기 전극 조립체로부터 상기 캡 플레이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전극탭은 상기 전극 조립체로부터 상기 바텀 플레이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텀 플레이트에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안전 벤트는, 상기 제1 개구부에 결합되고, 제1 벤트홀이 형성된 커버 벤트; 및 상기 제1 벤트홀에 결합된 제1 벤트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벤트의 외부 표면에는 상기 제1 가스 배출 홈과 각각 연결된 제2 가스 배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전극탭은 상기 커버 벤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전극탭과 상기 커버 벤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보조 전극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전극탭에는 제2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 전극탭에는 제3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3 개구부는 상기 제1 벤트 플레이트와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스 배출 홈은 상기 제1 안전 벤트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로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스 배출 홈은 상기 제1 안전 벤트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류 경로 확장을 통해 열화 특성이 개선되고, 안전 벤트의 위치 변경을 통해 캔의 내압 상승 시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 안전 벤트의 구성과 작동 시 가스 배출 경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하부 및 바텀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된 제1 안전 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텀 플레이트와 제1 안전 벤트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II-II'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이차전지의 상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 안전 벤트의 구성과 작동 시 가스 배출 경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하부 및 바텀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된 제1 안전 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텀 플레이트와 제1 안전 벤트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100)는, 전극 조립체(110), 케이스(120), 전극 단자부(130) 및 제1 안전 벤트(140)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 조립체(110)는 제1 전극판(111), 제2 전극판(112) 및 세퍼레이터(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판(111)은 구리 또는 니켈과 같은 금속 포일로 형성된 제1 전극 집전체(111b)에 흑연 또는 탄소 등의 제1 전극 활물질(111c)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제1 전극 집전체(111b) 중 상기 제1 전극 활물질(111c)이 도포되지 않은 영역으로부터 캡 플레이트(122)를 향해 연장되어 돌출된 다수의 제1 전극탭(11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탭(111a)은 상기 전극 조립체(110)의 제작을 위해 권취 과정을 통해 일정 위치에 정렬되어 멀티탭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탭(111a)은, 제1 전극단자(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전극판(111)과 제1 전극단자(131) 사이에서 전류 흐름의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판(112)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포일로 형성된 제2 전극 집전체(112b)에 전이금속산화물 등의 제2 전극 활물질(112c)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제2 전극 집전체(112b) 중 상기 제2 전극 활물질(112c)이 도포되지 않은 영역으로부터 바텀 플레이트(123)를 향해 연장되어 돌출된 다수의 제2 전극탭(112a)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전극탭(112a)은 상기 제1 전극탭(111a)과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탭(112a)은 상기 전극 조립체(110)의 제작을 위해 권취 시 일정 위치에 정렬되어 멀티탭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탭(112a)은 상기 케이스(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2 전극판(112)과 상기 케이스(120)에서 전류 흐름의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113)는 상기 제1 전극판(111)과 제2 전극판(112)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이들 간의 단락을 방지하고, 리튬 이온과 같은 유동 이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세퍼레이터(130)는 상기 제1 전극판(111)과 제2 전극판(112)의 폭보다 넓게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제1 전극판(111)과 제2 전극판(112) 보다 상, 하부 방향으로 각각 더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퍼레이터(113)는 상기 제1 전극판(111)과 제2 전극판(112)가 상기 전극 조립체(110)의 상, 하부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120)의 내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전극판(111)은 음극으로 작동하며 상기 제2 전극판(112)은 양극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그 반대로도 실시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120)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니켈이 도금된 스틸과 같은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며,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120)는 몸체(121), 캡 플레이트(122) 및 바텀 플레이트(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121)는 상, 하단부가 개방된 사각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전극 조립체(110)의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캡 플레이트(122)는 상기 몸체(121)의 상단 개구부를 밀봉하도록 상기 몸체(121)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캡 플레이트(112)의 일측에는 제1 단자홀(12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홀(122a)을 통해 상기 제1 전극단자(131)의 제1 전극핀(131b)이 삽입 관통될 수 있다.
상기 바텀 플레이트(123)는 상기 몸체(121)의 하단 개구부를 밀봉하도록 상기 몸체(121)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텀 플레이트(123)의 중앙 부분에는 제1 안전 벤트(1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바텀 플레이트(123)는 상기 이차 전지(100)의 거치면과 접촉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안전 벤트(140)의 작동 시 상기 케이스(120)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원활히 배출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텀 플레이트(123)의 외부 표면 즉 상기 거치면과 접촉하는 상기 바텀 플레이트(123)의 외면에 상기 제1 안전 벤트(140)와 연결되며 소정의 깊이를 갖는 다수의 제1 가스 배출 홈(125a1, 125b1)을 형성하여, 상기 제1 안전 벤트(140)의 작동 시 상기 케이스(120) 내부의 가스가 상기 제1 가스 배출 홈(125a1, 125b1)과 거치면이 이루는 배출 경로를 따라 상기 케이스(120)의 외부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가스 배출 홈(125a1, 125b1)은, 상기 제1 안전 벤트(140)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바텀 플레이트(123)의 가장자리로 이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안전 벤트(140)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스 배출 홈(125a1, 125b1)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상기 제1 안전 벤트(140)의 구성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케이스(120)의 내면에는 절연 처리가 되어 있어 상기 전극 조립체(110)와 상기 케이스(120)가 서로 절연될 수 있다.
상기 전극 단자부(130)는 제1 전극 단자(131)와 제2 전극 단자(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단자(131)는, 상기 캡 플레이트(122)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전극탭(111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단자(131)는 제1 하부 단자 플레이트(131a), 제1 전극핀(131b) 및 제1 상부 단자 플레이트(13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단자 플레이트(131a)의 하면은 상기 제1 전극탭(111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면은 상기 제1 전극핀(131b)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부 단자 플레이트(131a)는 하부 절연부재(126)에 의해 상기 케이스(120)의 내면과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핀(131b)의 하부는 상기 제1 하부 단자 플레이트(131a)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핀(131b)의 상부는 상기 캡 플레이트(122)에 형성된 제1 단자홀(122a)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120)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제1 상부 단자 플레이트(131c)의 제2 단자홀(131ab)에 삽입된 후 리베팅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단자홀(122a)에는 상기 제1 전극핀(131b)과 함께 시일 가스켓(124)이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시일 가스켓(124)은 상기 제1 단자홀(122a)을 밀봉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전극핀(131b)을 상기 캡 플레이트(122)로부터 절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단자 플레이트(131c)는 상기 캡 플레이트(122)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 절연부재(125)를 통해 상기 캡 플레이트(122)와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절연부재(125)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는 상기 제1 상부 단자 플레이트(131c)의 하부 측면의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캡 플레이트(1222)의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상부 단자 플레이트(131c)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 단자(132)는 상기 캡 플레이트(122) 상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120)를 통해 상기 제2 전극탭(112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 단자(132)는 상기 제1 상부 전극 플레이트(131c)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안전 벤트(140)는 상기 바텀 플레이트(123)에 형성된 제1 개구부(123a)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안전 벤트(140)는 커버 벤트(141)와 제1 벤트 플레이트(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벤트(141)는 상기 제1 개구부(123a)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개구부(123a)를 밀봉할 수 있으며, 상기 바텀 플레이트(123)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 벤트(141)의 중앙부에는 제1 벤트홀(141a)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벤트홀(141a)에는 상기 제1 벤트 플레이트(142)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벤트(141)의 외부 표면에는 상기 제1 가스 배출 홈(125a1, 125b1)과 연결되는 제2 가스 배출 홈(125a2, 125b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텀 플레이트(123)의 외부 표면에는 상기 제1 안전 벤트(140)를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각각 가로지르는 상기 제1 가스 배출 홈(125a1, 125b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벤트(141)의 외부 표면에는 상기 제1 가스 배출 홈(125a1, 125b1)과 연결되는 가로 및 세로 방향의 제2 가스 배출 홈(125a2, 125b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스 배출 홈(125)은 상기 제1 벤트 플레이트(142)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 벤트 플레이트(142) 작동 시 상기 케이스(120) 내부의 고압의 가스가 외부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버 벤트(141)는 상기 제1 벤트 플레이트(142)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커버 벤트(141)의 두께(D1)는 대략 0.3mm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벤트(141)는 상기 제2 전극탭(112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벤트(141)와 상기 제2 전극탭(112a) 간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커버 벤트(141)과 상기 제2 전극탭(112a) 사이를 연결하는 보조 전극탭(112b)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탭(112b)에는 제2 개구부(112ba)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 전극탭(112c)에는 제3 개구부(112c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개구부(112ba)와 제3 개구부(112ca)는 상기 제1 벤트 플레이트(142)와 대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벤트 플레이트(142)의 작동 시 상기 케이스(120) 내부의 가스(A)가 상기 제1 벤트홀(141a)을 통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스 배출 홈(125)은, 상기 바텀 플레이트(123)가 상기 이차 전지(100)의 거치면과 접촉됨에 따라 상기 거치면과 함께 가스 배출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스(120)의 내부 압력이 미리 설정된 제1 압력을 초과할 경우 상기 제1 벤트 플레이트(142)는 제1 노치(142a)에 의해 파단됨으로써 상기 제1 벤트홀(141a)이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20)의 내부에 있던 고압의 가스(A)가 상기 제1 벤트홀(141a)을 통해 배출되고, 상기 제1 벤트홀(141a)을 통해 배출된 가스(A)는 상기 가스 배출 홈(125)과 상기 거치면이 이루는 배출 경로를 따라 상기 케이스(120)의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벤트 플레이트(142)는 상기 제1 벤트홀(141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벤트 플레이트(142)의 상면에는 상기 제1 벤트 플레이트(142)가 미리 설정된 제1 압력에서 개방될 수 있도록 제1 노치(14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벤트 플레이트(142)는 상기 커버 벤트(141)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벤트 플레이트(142)의 두께(D2)는 대략 0.15mm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II-II'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이차전지의 상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이차 전지(100')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의 구성과 유사하다. 다만, 일 실시예와 달리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플레이트(122')에 제2 안전 벤트(15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안전 벤트(150)는, 상기 캡 플레이트(122')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제2 벤트홀(122b')에 설치되며, 제2 노치(152)가 형성된 제2 벤트 플레이트(15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스(120')의 내부 압력이 미리 설정된 제2 압력을 초과할 경우 상기 제2 벤트 플레이트(151)는 상기 제2 노치(152)에 의해 파단됨으로써 상기 제2 벤트홀(122b')이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120) 내부의 가스가 상기 제2 벤트홀(122b')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압력은 상술한 제1 압력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압력에서 상기 제1 안전 벤트(140)가 상기 제2 안전 벤트(150)보다 먼저 작동하고, 상기 케이스(120) 내압이 제2 압력에 도달하면 상기 제2 안전 벤트(150)가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벤트 플레이트(142)의 두께(D3)가 상기 제1 벤트 플레이트(142)의 두께(D2)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벤트 플레이트(142)의 두께(D2)가 대략 0.15mm 정도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2 벤트 플레이트(151)의 두게(D3)는 대략 0.2mm 정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상기 제2 안전 벤트(150)를 제외하고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차 전지의 거치면과 접촉하는 케이스의 바닥면에 안전 벤트를 형성함으로써, 고압의 배출 가스에 의해 전극 단자 측에 발열이 집중되어 열폭주되는 형상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바닥면에 안전 벤트와 연결되는 가스 배출 홈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원활한 가스 배출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전극 탭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하고, 그 중 하나를 케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해서 전류 경로를 확장시킴으로써, 전극 조립체의 열화 특성 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캡 플레이트에 안전 벤트를 추가 형성함으로써, 바닥면에 형성된 안전 벤트가 오작동할 경우, 캡 플레이트에 형성된 안전 벤트가 작동함으로써, 이차 전지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이차 전지 112b: 보조 전극탭
110: 전극 조립체 112ba: 제2 개구부
111: 제1 전극판 112ca: 제3 개구부
111a: 제1 전극탭 120: 케이스
111b: 제1 전극 집전체 121: 몸체
111c: 제1 전극 활물질 122: 캡 플레이트
112: 제2 전극판 122a: 제1 단자홀
112a: 제2 전극탭 122b': 제2 벤트홀
112b: 제2 전극 집전체 123: 바텀 플레이트
112c: 제2 전극 활물질 123a: 제1 개구부
125: 가스 배출 홈 132: 제2 전극단자
125a1, 125b1: 제1 가스 배출 홈 140: 제1 안전 벤트
125a2, 125b2: 제2 가스 배출 홈 141: 커버 벤트
130: 전극 단자부 141a: 제1 벤트홀
131: 제1 전극단자 142: 제1 벤트 플레이트
131a: 제1 하부 단자 플레이트 142a: 제1 노치
131b: 제1 전극핀 150: 제2 안전 벤트
131c: 제1 상부 단자 플레이트 151: 제2 벤트 플레이트
131ab: 제2 단자홀 152: 제2 노치

Claims (10)

  1. 제1 전극탭이 형성된 제1 전극판, 제2 전극탭이 형성된 제2 전극판, 및 상기 제1 전극판과 상기 제2 전극판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를 커버하는 캡 플레이트, 및 상기 몸체의 하부를 커버하는 바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제1 전극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캡 플레이트 상에 노출된 제1 전극단자, 및 상기 케이스를 통해 상기 제2 전극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캡 플레이트 상에 결합된 제2 전극단자를 포함하는 전극 단자부; 및
    상기 바텀 플레이트에 설치된 제1 안전 벤트를 포함하고,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외부 표면에는 상기 제1 안전 벤트와 연결되고,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외부 표면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양단을 연통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스 배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플레이트에 설치된 제2 안전 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전 벤트가 상기 제2 안전 벤트보다 먼저 작동하도록 상기 제1 안전 벤트가 상기 제2 안전 벤트보다 더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탭은 상기 전극 조립체로부터 상기 캡 플레이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전극탭은 상기 전극 조립체로부터 상기 바텀 플레이트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플레이트에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안전 벤트는,
    상기 제1 개구부에 결합되고, 제1 벤트홀이 형성된 커버 벤트; 및
    상기 제1 벤트홀에 결합된 제1 벤트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벤트의 외부 표면에는 상기 제1 가스 배출 홈과 각각 연결된 제2 가스 배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탭은 상기 커버 벤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탭과 상기 커버 벤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보조 전극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탭에는 제2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 전극탭에는 제3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부와 상기 제3 개구부는 상기 제1 벤트 플레이트와 각각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스 배출 홈은 상기 제1 안전 벤트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바텀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로 이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스 배출 홈은 상기 제1 안전 벤트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KR1020150139129A 2015-10-02 2015-10-02 이차 전지 KR102417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129A KR102417637B1 (ko) 2015-10-02 2015-10-02 이차 전지
US15/144,489 US10115946B2 (en) 2015-10-02 2016-05-02 Secondary battery
CN201610842273.XA CN106981596B (zh) 2015-10-02 2016-09-22 二次电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129A KR102417637B1 (ko) 2015-10-02 2015-10-02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932A KR20170039932A (ko) 2017-04-12
KR102417637B1 true KR102417637B1 (ko) 2022-07-06

Family

ID=58447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129A KR102417637B1 (ko) 2015-10-02 2015-10-02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15946B2 (ko)
KR (1) KR102417637B1 (ko)
CN (1) CN1069815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94063B (zh) * 2016-05-16 2023-06-06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电池
DE102017221854A1 (de) * 2017-12-04 2019-06-0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Zellanordnung
KR102570969B1 (ko) 2018-02-01 2023-08-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US20200212379A1 (en) * 2018-12-29 2020-07-02 Contemporary Amperex Technology Co., Limited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CN110379976B (zh) * 2019-06-20 2021-12-14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一种安全防护型锂离子电池盖板
DE102020121500A1 (de) 2020-08-17 2022-02-1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atteriezelle
KR20220087167A (ko) * 2020-12-17 2022-06-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및 전극 조립체를 구비한 이차전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77062A1 (en) * 2009-04-15 2012-03-29 Johnson Controls - Saft Advanced Power Solutions Llc Vent for electrochemical cell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9760B2 (ja) 1993-12-22 2000-07-24 古河電池株式会社 角形密閉電池
CN1089952C (zh) * 1994-08-09 2002-08-28 廖志成 密封铅蓄电池橡皮紧箍式单向排气阀与加液密封装置
JPH0945304A (ja) * 1995-08-01 1997-02-14 Tdk Corp 密閉電池の安全装置
US6255014B1 (en) * 1998-01-19 2001-07-0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Center point vent cover for battery
KR100777721B1 (ko) 2001-12-22 2007-11-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0601508B1 (ko) 2004-09-22 2006-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종압축에 대한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 전지
CN2757343Y (zh) * 2004-11-16 2006-02-0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防爆安全电池
CN2862336Y (zh) * 2005-10-10 2007-01-2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方形二次电池
KR100833737B1 (ko) * 2006-10-25 2008-05-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각형 리튬 이온 전지
JP4780231B2 (ja) * 2009-12-25 2011-09-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
US8658296B2 (en) * 2010-02-25 2014-02-25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DE102010013027A1 (de) * 2010-03-26 2011-09-29 Daimler Ag Einzelzelle für eine Batterie
KR101453783B1 (ko) * 2010-10-15 2014-10-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캡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CN103733378B (zh) * 2011-06-13 2016-08-31 江森自控帅福得先进能源动力系统有限责任公司 用于帮助电化学电池的通风口的断裂的装置
CN202308089U (zh) * 2011-10-13 2012-07-04 超威电源有限公司 一种多通道排气的上盖
JP2013182785A (ja) * 2012-03-01 2013-09-12 Hitachi Maxell Ltd 密閉型電池
KR101440891B1 (ko) * 2013-01-30 2014-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CN203415658U (zh) * 2013-06-07 2014-01-29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锂离子二次电池及其安全保护装置
KR102172843B1 (ko) * 2014-03-20 2020-11-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77062A1 (en) * 2009-04-15 2012-03-29 Johnson Controls - Saft Advanced Power Solutions Llc Vent for electrochemical ce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81596B (zh) 2021-10-08
US10115946B2 (en) 2018-10-30
CN106981596A (zh) 2017-07-25
US20170098808A1 (en) 2017-04-06
KR20170039932A (ko) 201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7637B1 (ko) 이차 전지
US9136520B2 (en) Battery module
EP2228852B1 (en) Rechargeable battery comprising current collecting plates with improved structure
JP5520912B2 (ja) 二次電池
KR102567831B1 (ko) 이차 전지
JP5588941B2 (ja) 二次電池
US20140377601A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2371192B1 (ko) 이차 전지
US10910626B2 (en) Secondary battery including bottom retainer
KR102612060B1 (ko) 멤브레인을 갖는 이차 전지
JP6568703B2 (ja) 二次電池
KR102659830B1 (ko)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JP5203729B2 (ja) 二次電池及び電池モジュール
KR102221633B1 (ko) 이차 전지
US10490782B2 (en) Rechargeable battery and case manufacturing method of case including the same
KR102264700B1 (ko) 이차 전지
KR102611656B1 (ko) 이차 전지
KR102487890B1 (ko) 이차 전지
US9692022B2 (en) Rechargeable battery
JP2001093486A (ja) 角形密閉電池とその製造方法
US10256441B2 (en) Rechargeable battery
KR102371195B1 (ko) 이차 전지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모듈
KR20090022418A (ko) 원통형 이차 전지
KR20160123787A (ko) 이차 전지
US9660228B2 (en) Secondary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