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690B1 - 주차 공간의 유휴 시간을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주차 공간의 유휴 시간을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6690B1
KR102416690B1 KR1020200165369A KR20200165369A KR102416690B1 KR 102416690 B1 KR102416690 B1 KR 102416690B1 KR 1020200165369 A KR1020200165369 A KR 1020200165369A KR 20200165369 A KR20200165369 A KR 20200165369A KR 102416690 B1 KR102416690 B1 KR 102416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arking
location
user terminal
park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6652A (ko
Inventor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주차장만드는사람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차장만드는사람들(주) filed Critical 주차장만드는사람들(주)
Priority to KR1020200165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690B1/ko
Publication of KR20220076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20Analytics; Diagnos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60Positioning; Navig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주차 공간의 유휴 시간을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주차장 공유를 위해 유휴 시간을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전용 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차량의 위치로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이 사용 권한을 가진 지정 주차면에서 발차된 이후 상기 차량의 위치와 상기 지정 주차면의 위치 간 거리를 바탕으로 상기 지정 주차면을 공유할 수 있는 유휴 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지정 주차면을 할당받은 타 차량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유휴 시간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차 공간의 유휴 시간을 제공하는 방법{METHOD FOR PROVIDING IDLE TIME OF PARKING SPACE}
아래의 설명은 주차장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주택가 이면도로의 주차난을 해소하고 주차질서를 확립해 지역 주민에게 안정적인 주차공간과 편익을 제공할 목적으로 교통소통과 소방차 진입에 지장이 없도록 이면도로에 주차구획을 만들어 거주민에게 저렴한 사용료를 받고 편리하게 주차할 수 있도록 한 거주자우선주차제가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거주자 우선 주차장은 주차면을 배정받은 소수의 거주민 차량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정되어 있어 주차면을 배정받은 거주민의 출근, 출타 등으로 주차공간이 비어 있어도 외부 차량은 주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출근 외출 등으로 낮에 비는 공간을 외부 차량과 공유하는 공유 주차제가 시행되고 있다.
주차장 공유 기술의 일례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1849호(등록일 2016년 11월 25일)에는 지정된 소수의 거주민 차량만 전용하던 주거지 전용 주차장을 다수의 차량이 공유할 수 있는 공유 주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지정 차량이 발차된 주차 공간을 다른 차량이 사용할 수 있는 유휴 시간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와 주차 공간에서의 발차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주차장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장 공유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전용 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차량의 위치로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차량이 사용 권한을 가진 지정 주차면에서 발차된 이후 상기 차량의 위치와 상기 지정 주차면의 위치 간 거리를 바탕으로 상기 지정 주차면을 공유할 수 있는 유휴 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지정 주차면을 할당받은 타 차량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유휴 시간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장 공유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차량의 위치로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움직임이 감지된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 빨라지면 상기 차량이 상기 지정 주차면에서 발차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상기 차량의 위치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차량의 위치로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지정 주차면에 설치된 IoT 센서를 통해 상기 차량의 발차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 빨라지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상기 차량의 위치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차량의 위치로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차량 내 다른 시스템과 연동하는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 빨라지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상기 차량의 위치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유휴 시간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유휴 시간과 함께 유휴 주차면으로 할당받은 상기 지정 주차면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유휴 시간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발차 시점에 상기 전용 앱을 통해 상기 차량의 사용자가 직접 유휴 시간을 입력한 경우 상기 계산된 유휴 시간과 상기 입력된 유휴 시간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타 차량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유휴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유휴 시간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위치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를 구분하여 상기 타 차량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는 상기 차량의 위치가 상기 지정 주차면과 멀어지는 이동 상태, 상기 차량의 위치가 상기 지정 주차면과 가까워지는 복귀 상태, 및 상기 차량의 위치가 변함 없는 정지 상태로 구분되며, 상기 유휴 시간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유휴 시간과 관련된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 요소를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에 따라 다르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주차장 공유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차량의 지정 주차면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상기 차량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지정 주차면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상기 차량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지정 주차면에 설치된 IoT 센서와 페어링된 차량 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차량이 주차 중인 전용 주차 상태, 상기 지정 주차면을 할당받은 타 차량이 주차 중인 공유 주차 상태, 상기 타 차량 이외에 다른 차량이 주차 중인 불법 주차 상태로 구분하여 판단하고 상기 지정 주차면의 주차 상태와 관련된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 요소를 상기 상태 정보에 따라 다르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정 차량의 위치를 기준으로 지정 차량이 발차된 주차 공간을 다른 차량이 사용할 수 있는 유휴 시간을 산출하여 제공함으로써 주차장 공유 서비스의 효율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 차량의 위치와 주차 공간에서의 발차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 차량을 보다 정확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공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주차장 공유를 위해 주차 대상 주차면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사용 권한이 설정된 전용 주차면을 타 차량에 할당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휴 시간 표시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주차 상태 표시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차장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개시되는 것들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은 지정 차량이 발차된 주차 공간을 다른 차량이 사용할 수 있는 유휴 시간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성, 편의성, 효율성, 비용 절감 등의 측면에 있어서 상당한 장점들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공유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을 대상으로 주차장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차량(10)의 사용자 단말(20)과 통신망(150)을 통해 통신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서버로 구성될 수 있으며, 통신망(150)은 널리 알려진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동작 구성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실행)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하며, 프로세서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통신망(150)이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 방식의 일례로,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5G 이동통신 서비스, 블루투스(Bluetooth), LoRa(Long Rang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의 무선 통신망이 포함될 수 있으며, 유선 통신망으로는 유선 LAN(Local Area Network), 유선 WAN(Wide Area Network),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차량(10)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20)은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단말(20)은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통신망(150)을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시스템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클라이언트인 차량(10)의 사용자 단말(20)을 대상으로 사용자 단말(20) 상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주차 공유 앱)이나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관련된 웹/모바일 사이트 접속을 통해 주차장 공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주차장 공유 시스템의 상세 동작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주차 안내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주차 안내 요청에는 차량(1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 차량(10)의 차량 식별 정보, 차량(10)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식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관리 대상인 복수의 주차면(주차 공간)과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주차면 정보가 저장된 주차 DB와 사용자별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 회원 D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주차면 정보는 주차면 식별을 위한 주차면 식별 정보, 주차면의 위치 정보, 주차면의 이용 가능 시간, 주차면이 특정인에게 사용 권한이 설정된 전용 주차면인 경우 주차면의 사용 권한이 있는 권리자(지정 차량 또는 지정 차량의 사용자)의 식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차면의 이용 가능 시간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시간, 불규칙적인 스케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차량 정보(차량 식별 정보 포함), 사용자의 연락처 정보, 사용자의 지정 주차면 위치, 사용자의 주차 선호 위치, 사용자가 설정한 주차 조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차 조건은 주차면 선택 기준, 차량의 주차 시 사용자가 설정한 주차면 이용 시간인 주차 필요 시간, 주차 가용 금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주차 조건에 설정된 주차면 선택 기준은 주차 선호 위치와의 기준 거리(기준 이격 거리), 지상 및 지하 중 어느 하나의 주차면 배치 위치가 시간 또는 기간별로 설정된 주차면의 배치 위치 기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동차 공유 서비스에 등록된 모든 차량을 대상으로 각 차량의 사용자 단말은 자신 차량의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지정된 주차면에서의 주차 여부 및/또는 발차 여부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망(150)을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주차면 별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를 해당 주차면 정보와 매칭하여 주차 DB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주차면 별로 상태 정보를 기초로 유휴 상태인 유휴 주차면을 판단(식별)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주차 DB에서 주차면 별로 주차면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된 기존 상태 정보를 가장 최근에 수신된 상태 정보로 갱신할 수 있으며, 주차면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되는 상기 갱신된 상태 정보를 기초로 주차면 별 유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주차 요청 정보 수신 시 주차 요청 정보 수신 시점에 복수의 주차면 중에서 유휴 주차면이 존재하는 경우 유휴 주차면을 하나 이상 식별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주차 요청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를 회원 DB에서 식별할 수 있으며, 주차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식별된 하나 이상의 유휴 주차면 중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차량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따른 사용자의 주차 선호 위치 및 주차 조건을 기초로 주차 대상 주차면을 결정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주차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하나 이상의 유휴 주차면 중 주차 조건에 따라 주차 선호 위치를 기준으로 가장 인접한 유휴 주차면을 주차 대상 주차면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주차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식별된 하나 이상의 유휴 주차면을 대상으로 유휴 주차면별 주차면 정보에 따라 유휴 주차면별 주차 가능 시간(또는 이용 가능 시간)을 확인한 후 주차 조건 또는 주차 요청 정보에 설정된 사용자의 주차 필요 시간과 유휴 주차면별 주차 가능 시간을 비교하여 주차 필요 시간 동안 차량의 주차가 가능한 하나 이상의 유휴 주차면 중에서 주차 대상 주차면을 결정할 수 있다.
주차 가능 시간은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연산에 의해 산출된 주차가 가능한 시간일 수 있으며, 이용 가능 시간은 주차면 정보에 설정된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주차 요청 정보에 대응되어 주차 대상 주차면이 결정되면 해당 주차 대상 주차면의 위치 정보를 통신망(150)을 통해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 공유 시스템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차량(10)의 주차 시 사용자가 선호하는 주차 위치 및 조건에 따라 차량(10)의 주차 공간인 주차면이 결정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차량(10) 이용에 대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음과 아울러 차량(10)이 주차 가능한 유휴 주차면을 신속히 찾아 차량(10)에 할당하여 차량(10)의 주차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사용 권한이 있는 전용 주차면이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이용에 따른 유휴 주차면으로 전환될 때 유휴 주차면의 이용 가능 시간을 예측하여 해당 이용 가능 시간 동안 타 사용자의 차량이 이용 가능하도록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도 3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공유 시스템은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이동통신 단말,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단말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 단말(20)에 구성된 제어 모듈은 사용자 단말(20)에 저장되는 미리 설정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관련 데이터를 실행하여 주차 공유 앱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주차 공유 앱은 사용자 단말(20)에 구성된 통신 모듈을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다.
주차 공유 앱은 사용자 단말(20)에 구성된 GPS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위치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주차 DB에 저장된 사용자에게 사용 권한이 설정된 특정 전용 주차면에 대응되는 주차면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회원 DB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20)의 식별 정보와 사용자의 차량(10)에 대한 차량 식별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주차 DB에 저장된 주차 완료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차량(10)이 특정 전용 주차면에 주차한 상태에서 이후에 사용자가 차량(10)을 이용하여 발차하는 경우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의 주차 공유 앱은 차량(10)의 발차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의 위치 정보는 차량(10)의 위치 정보로 활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0) 또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 차량(1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주차 완료 정보 및 상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차량(10)의 특정 주차면으로부터 발차시(발차 확인시) 주차 완료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를 회원 DB에서 확인한 후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20)로 위치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특정 주차면의 사용 권한이 있는 사용자에 대해서만 발차 여부를 확인하여 발차시 위치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의 주차 공유 앱은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위치 요청 정보 수신 시에 차량(10)의 위치 정보로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차량(10)에 대한 발차 확인시 사용자 단말(20)의 주차 공유 앱으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차량(10)에 대한 탑승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실제 차량(10)을 탑승하여 이동하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의 주차 공유 앱은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위치 요청 정보 수신 시에만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탑승 여부가 확인된 사용자의 차량(10)에 대해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차량(1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차량(1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차량(10)에 대한 이동 위치를 식별하고 차량(10)의 이동 위치와 특정 주차면의 위치 사이의 거리를 기초로 사용자의 차량(10)이 특정 주차면까지 복귀하는데 소요되는 복귀 소요 시간, 즉 유휴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차량(10)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식별된 차량(10)의 이동 위치(현재 위치)와 특정 주차면의 위치를 미리 설정된 내비게이션 관련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이동 위치와 특정 주차면의 위치 사이의 거리 차이에 따라 차량(10)이 특정 주차면까지 복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연산하여 복귀 소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동 위치의 변화에 따라 복귀 소요 시간을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차량(10)이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발차된 것으로 확인된 이후 사용자에게 사용 권한이 설정된 전용 주차면인 특정 주차면을 타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유휴 주차면으로 식별할 수 있으며, 복귀 소요 시간을 유휴 주차면의 이용 가능 시간으로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타사용자의 특정 차량에 대한 주차 대상 주차면 결정시 유휴 주차면으로 전환된 특정 주차면에 대해 산출한 복귀 소요 시간을 특정 주차면의 이용 가능 시간으로 판단하고, 이용 가능 시간에 따라 특정 주차면에 대한 타사용자 차량의 주차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전용으로 이용하는 전용 주차면으로부터 사용자가 탑승한 상태의 차량(10)에 대한 발차 확인시 사용자의 복귀 소요 시간을 예측하여 유휴 주차면으로 전환된 전용 주차면의 이용 가능 시간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용 주차면을 타 차량에 배차할 때 복귀 소요 시간에 따라 예측된 이용 가능 시간 내에서 이용 가능한 타 차량에 전용 주차면이 할당되도록 함으로써 주차면 할당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차량(10)이 특정 주차면에서 발차된 때부터 주차 공간에서 차량(10)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해당 주차면을 사용할 수 있는 복귀 소요 시간(즉, 유휴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의 위치를 차량(10)의 위치로 판단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20)의 주차 공유 앱은 사용자 단말(20)의 위치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이동이 차량(10)을 이용한 이동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차량(10)의 탑승과 발차를 판단할 수 있다. 주차 공유 앱은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획득한 센서 정보(GPS나 움직임 등과 관련된 센싱 값)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한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사용자의 이동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으로 빨라진 경우 차량(10)을 이용한 이동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이동 속도가 일정 속도 이내로 일정한 경우 도보 이동으로 판단하고,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된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사용자의 이동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으로 빨라진 경우에는 버스 등 다른 교통 수단을 이용한 이동으로 판단할 수 있다. 주차 공유 앱은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된 현재 위치에서 지정 주차면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기반으로 지정 주차면까지의 도보 시간을 예측한 후 예측된 도보 시간 직후 사용자의 이동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으로 빨라지면 사용자가 차량(10)에 탑승하여 지정 주차면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주차 공유 앱은 차량(10)의 탑승과 발차로 판단된 이후 사용자 단말(20)의 현재 위치를 차량(10)의 위치로서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주차면에 차량(10)의 주차 여부(발차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주차면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주차면 센서는 IoT 단말로 구성될 수 있다. 주차면에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센서를 통해 차량(10)의 발차를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20)에서 사용자가 차량(10)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발차로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20)의 위치를 차량(10)의 위치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주차 공유 앱은 사용자 단말(20)이 차량(10) 내 다른 시스템(예를 들어, 차량 내비게이션 시스템, 차량 블루투스 페어링, 애플 카플레이, 안드로이드 오토 등)과 연동하는 이후 사용자 단말(20)의 위치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이동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으로 빨라지면 차량(10)의 탑승과 발차로 판단할 수 있다. 주차 공유 앱은 차량(10)의 탑승과 발차로 판단된 이후 사용자 단말(20)의 현재 위치를 차량(10)의 위치로서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의 위치를 차량(10)의 위치로 판단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의 차량(10)이 지정 주차면에서 발차된 이후 주기적으로 차량(10)의 위치를 모니터링 하면서 차량(10)의 복귀 소요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일례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지정 주차면에서 차량(10)의 현재 위치까지의 거리를 기반으로 복귀 소요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차량(10)의 이동 위치(즉, 현재 위치)와 지정 주차면의 위치를 미리 설정된 내비게이션 관련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이동 위치와 지정 주차면의 위치 사이의 거리 차이에 따라 차량(10)이 지정 주차면까지 복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연산하여 복귀 소요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동 위치의 변화에 따라 복귀 소요 시간을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이외에도,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의 주차 공유 앱을 통해 사용자가 차량(10)의 발차 시점에 직접 입력한 유휴 시간을 차량(10)의 복귀 소요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의 주차 공유 앱을 통해 사전 설정으로 설정된 고정 유휴 시간을 차량(10)의 복귀 소요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차량(10)의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추정한 복귀 소요 시간, 차량(10)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유휴 시간, 사전 설정을 통한 고정 유휴 시간에 대한 우선 순위에 따라 차량(10)의 복귀 소요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차량(10)의 이동 위치를 바탕으로 추정한 복귀 소요 시간이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고, 또는 차량(10)의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유휴 시간이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차량(10)의 지정 주차면을 유휴 주차면으로서 할당받은 타 사용자를 대상으로 차량(10)의 복귀 소요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타 사용자의 단말에 설치된 주차 공유 앱은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할당 받은 유휴 주차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유휴 주차면 정보 인터페이스 화면(400)을 제공할 수 있다. 유휴 주차면 정보 인터페이스 화면(400)에는 유휴 주차면으로 할당받은 주차면의 위치(401)를 포함하는 지도가 표시될 수 있고, 차량(10)의 복귀 소요 시간을 나타내는 유효 시간(402)이 표시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차량(10)의 이동 위치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차량(10)의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타 사용자 단말 상의 주차 공유 앱은 차량(1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유효 시간(402)과 관련된 인터페이스(403)에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요소를 적용할 수 있다. 차량(10)의 상태 정보는 차량(10)의 현재 위치가 차량(10)의 지정 주차면(타 사용자의 차량에 할당된 주차면)과 점점 멀어지는 상태(이동 중), 차량(10)의 현재 위치가 차량(10)의 지정 주차면(타 사용자의 차량에 할당된 주차면)과 점점 가까워지는 상태(복귀 중), 차량(10)의 현재 위치가 변함이 없는 상태(정지 중)로 구분될 수 있다. 타 사용자 단말의 주차 공유 앱은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차량(1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상태 정보에 따라 유효 시간(402)과 관련된 인터페이스(403)의 디스플레이 요소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이 이동 중인 경우 유효 시간(402)과 관련된 인터페이스(403)의 색상을 초록색으로, 정지 중인 경우 노란색으로, 복귀 중인 경우 빨간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도,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차량(10)의 지정 주차면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지정 주차면에 대한 상태 정보는 사용 권한이 설정된 전용 차량(10)이 주차 중인 상태(전용 주차), 차량(10)의 지정 주차면을 유휴 주차면으로서 할당받은 타 사용자의 차량이 주차 중인 상태(공유 주차), 이외의 다른 차량, 즉 불법 차량이 주차 중인 상태(불법 주차)로 구분될 수 있다. 일례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주차면에 설치된 주차면 센서를 통해 주차면의 점유 여부는 물론이고, 전용 주차 상태, 공유 주차 상태, 불법 주차 상태를 구분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주차면 센서와 주차 중인 차량(또는 사용자 단말)과의 페어링을 통해 전용 주차 상태, 공유 주차 상태, 불법 주차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에 설치된 주차 공유 앱은 차량(10)에 사용 권한이 있는 지정 주차면에 대한 모니터링 인터페이스 화면(500)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의 주차 공유 앱은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차량(10)의 지정 주차면에 대한 상태 정보(501)를 수신하여 모니터링 인터페이스 화면(50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수신된 상태 정보(501)에 따라 주차 상태와 관련된 인터페이스(502)에 상태 정보(501)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요소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용 주차 상태인 경우 주차 상태와 관련된 인터페이스(502)의 색상을 초록색으로, 공유 주차 상태인 경우 노란색으로, 불법 주차 상태인 경우 빨간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지정 차량의 위치를 기준으로 지정 차량이 발차된 주차 공간을 다른 차량이 사용할 수 있는 유휴 시간을 산출하여 제공함으로써 주차장 공유 서비스의 효율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 차량의 위치와 주차 공간에서의 발차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 차량을 보다 정확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공유 중인 주차면에 대해 전용 차량의 복귀 여부에 따라 유휴 시간과 관련된 인터페이스를 달리 표시할 수 있고, 전용 주차면에 어떤 차량이 주차했는지 구분하여 주차 상태와 관련된 인터페이스를 달리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주차장 공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장 공유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전용 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차량의 위치로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차량이 사용 권한을 가진 지정 주차면에서 발차된 이후 상기 차량의 위치와 상기 지정 주차면의 위치 간 거리를 바탕으로 상기 지정 주차면을 공유할 수 있는 유휴 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지정 주차면을 할당받은 타 차량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유휴 시간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차장 공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차량의 위치로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움직임이 감지된 후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 빨라지면 상기 차량이 상기 지정 주차면에서 발차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상기 차량의 위치로 모니터링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공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차량의 위치로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지정 주차면에 설치된 IoT 센서를 통해 상기 차량의 발차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 빨라지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상기 차량의 위치로 모니터링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공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차량의 위치로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차량 내 다른 시스템과 연동하는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속도가 일정 속도 이상 빨라지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상기 차량의 위치로 모니터링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공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휴 시간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유휴 시간과 함께 유휴 주차면으로 할당받은 상기 지정 주차면의 위치를 포함하는 지도를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공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휴 시간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발차 시점에 상기 전용 앱을 통해 상기 차량의 사용자가 직접 유휴 시간을 입력한 경우 상기 계산된 유휴 시간과 상기 입력된 유휴 시간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타 차량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유휴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차장 공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휴 시간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위치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를 구분하여 상기 타 차량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공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는 상기 차량의 위치가 상기 지정 주차면과 멀어지는 이동 상태, 상기 차량의 위치가 상기 지정 주차면과 가까워지는 복귀 상태, 및 상기 차량의 위치가 변함 없는 정지 상태로 구분되며,
    상기 유휴 시간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유휴 시간과 관련된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 요소를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에 따라 다르게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차장 공유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공유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차량의 지정 주차면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상기 차량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주차장 공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주차면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상기 차량의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지정 주차면에 설치된 IoT 센서와 페어링된 차량 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차량이 주차 중인 전용 주차 상태, 상기 지정 주차면을 할당받은 타 차량이 주차 중인 공유 주차 상태, 상기 타 차량 이외에 다른 차량이 주차 중인 불법 주차 상태로 구분하여 판단하고 상기 지정 주차면의 주차 상태와 관련된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 요소를 상기 상태 정보에 따라 다르게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차장 공유 방법.
KR1020200165369A 2020-12-01 2020-12-01 주차 공간의 유휴 시간을 제공하는 방법 KR102416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369A KR102416690B1 (ko) 2020-12-01 2020-12-01 주차 공간의 유휴 시간을 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369A KR102416690B1 (ko) 2020-12-01 2020-12-01 주차 공간의 유휴 시간을 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652A KR20220076652A (ko) 2022-06-08
KR102416690B1 true KR102416690B1 (ko) 2022-07-05

Family

ID=81981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369A KR102416690B1 (ko) 2020-12-01 2020-12-01 주차 공간의 유휴 시간을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6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63901A (zh) * 2022-06-16 2023-06-30 广州市果豆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停车位共享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904B1 (ko) 2012-10-22 2013-05-29 주식회사 코엔 차량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장 공유 시스템
KR101408320B1 (ko) 2012-12-27 2014-06-20 와이엠디(주)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JP2018196018A (ja) 2017-05-18 2018-12-06 楽天株式会社 出庫判定装置、携帯端末、サーバ装置、出庫判定システム、出庫判定方法及び出庫判定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4406B1 (ko) * 2012-11-05 2014-11-04 와이엠디(주)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KR101855331B1 (ko) * 2016-09-28 2018-06-08 주식회사재영비즈 IoT 기반 거주자 우선주차구역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42435B1 (ko) * 2019-05-02 2021-12-23 한형우 실시간 공유주차 서비스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904B1 (ko) 2012-10-22 2013-05-29 주식회사 코엔 차량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장 공유 시스템
KR101408320B1 (ko) 2012-12-27 2014-06-20 와이엠디(주)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JP2018196018A (ja) 2017-05-18 2018-12-06 楽天株式会社 出庫判定装置、携帯端末、サーバ装置、出庫判定システム、出庫判定方法及び出庫判定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652A (ko)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76611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ly managing vehicle operation state
JP6696417B2 (ja) 車載更新装置、更新システム及び可搬型通信器
WO2018210184A1 (zh) 车队的控制方法、设备及车联网系统
JP7116164B2 (ja) 自律車両を乗車者にマッチングさせ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808669B1 (ko) 주차장 운영시스템
JP2017533856A (ja) 車両を動作させ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A2860132C (en)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 locating and sequencing
EP3531396A1 (en) Vehicle-mounted terminal, parking space sharing system, and parking space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416690B1 (ko) 주차 공간의 유휴 시간을 제공하는 방법
JP2021005866A (ja) ビークルマイクロクラウドによる協調パーキングスペースサーチ
JP2019041179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CN107839691B (zh) 车辆控制方法和装置
CN111417065B (zh) 基于v2x消息变量匹配第一联网设备和第二联网设备
US20200240800A1 (en) Routing multiple autonomous vehicles using local and general route planning
CN109774716B (zh) 车辆控制方法和装置
EP4100935A1 (en) Vehicle to vehicle communication control for vehicles in platoon
KR101682792B1 (ko) Wap를 이용한 실내 주차장에서의 차량 진입 구분 방법 및 시스템
JP2022514644A (ja) 自動化車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計算リソースのプラトーニング
US202400078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ly managing vehicle operation state
US20210200225A1 (en) System, on-vehicle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2228464B1 (ko) 자율 주행 차량을 위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4225114A (ja) 車両衝突防止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JP7101481B2 (ja) 通信装置
JP6943165B2 (ja) 駐車区画管理システムおよび駐車区画管理方法
US10721686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telematic control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