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544B1 - 배출 기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배출 방법 및 연기 생성 기기 - Google Patents
배출 기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배출 방법 및 연기 생성 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16544B1 KR102416544B1 KR1020207008029A KR20207008029A KR102416544B1 KR 102416544 B1 KR102416544 B1 KR 102416544B1 KR 1020207008029 A KR1020207008029 A KR 1020207008029A KR 20207008029 A KR20207008029 A KR 20207008029A KR 102416544 B1 KR102416544 B1 KR 1024165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erosol
- forming substrate
- heating element
- rotating part
- alo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Landscapes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출 기기(Releasing Mechanism), 에어로졸(Aerosol) 발생 장치, 배출 방법 및 연기 생성 기기(Smoking Producing Article)에 관한 것이다. 배출 기기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부, 에어로졸 형성 기재(Aerosol-forming Substrate) 및 발열체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전환되는 동안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되, 제1 위치와 제2 위치 모두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발열체와 접촉 상태다. 본 발명의 배출 기기를 이용해, 사용자는 발열체로부터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쉽게 뺄 수 있으며, 사용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편리하게 사용하고 쉽게 청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에어로졸 발생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출 기기(Releasing Mechanism), 에어로졸(Aerosol) 발생 장치, 배출 방법 및 연기 생성 기기(Smoking Producing Article)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 년 동안, 전통 담배가 건강과 환경에 끼치는 영향력에 대한 전세계 국가들의 관심이 점점 커지고 있다. 담배 제조사들은 덜 해로운 담배 제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일에 전념하고 있다. 저온 발열 및 비가열 담배 제품이 새로운 형태의 담배 소비재로 시장에서 환영 받기 시작했으며, 많은 국가의 궐련형 담배 소비자들도 점차 이를 수용하는 추세다.
예를 들어, 중국 특허 공보문 CN106376975A호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캐비티 케이스(Cavity Case)를 갖는 캐비티 및 캐비티 케이스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 어코모데이팅 공간(Cavity Accommodating Space)을 포함하되, 캐비티 어코모데이팅 공간은 가열되는 도구(Medium)를 어코모데이팅 하는데 사용되며, 캐비티의 상단에는 필터 코튼(Filter Cotton)이 위치하며; 캐비티의 하단부에서 씰링(Sealing)하도록 캐비티의 하단부에 배치된 씰링 커버를 포함하되, 씰링 커버의 하단은 침투부(Penetrated Part)로 형성되며; 유도홈(Guiding Groove)과 유도홀(Guiding Hole)을 가지며 씰링 커버 아래에 배치된 에어 디플렉터(Air Deflector)를 포함하되, 유도홀은 침투부에 대응해 배치되며; 히터 하단 커버를 포함하는 히터 및 히팅 세라믹 시트(Heating Ceramic Sheet)를 포함하되, 히터 하단 커버는 에어 디플렉터 아래에 배치되며, 히팅 세라믹 시트는 히터 하단 커버에 고정되어 유도홀을 통과하고 침투부를 통과해 캐비티 어코모데이팅 공간으로 침투한다.
중국 특허 공보문 CN103974640A호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Aerosol-forming Substrate)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기재 내에 위치하는 내부 히터와 상기 기재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 히터를 모두 이용하여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내부 히터와 외부 히터 모두 사용하면, 내부 히터나 외부 히터 둘 중 하나만 사용하는 경우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각각의 히터가 작동하게 된다. 내부 히터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외부 히터를 작동시키면, 상기 기재는 상대적으로 균일한 온도 분포를 가지며 가열되는 반면, 장치의 외부 온도는 허용 가능한 수준의 낮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종래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사용자가 흡입해야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히터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한다. 사용자가 흡입을 마친 후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빼면,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히터에 붙는다. 그러므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부터 빼기 어려워, 소비자 사용 시 불편을 초래하고 사용감에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은, 발열체에 부착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발열체 사이에서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인 움직임이 있는 동안 발열체로부터 분리되며, 사용자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발열체로부터 쉽게 뺄 수 있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편리하게 사용하고 쉽게 청소할 수 있는 한편, 발열체와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움직이지만 축 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움직이지 않아, 발열체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빼는 동안 축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음으로써, 발열체와 에어로졸 발생 장치 사이의 연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해 발열체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출 기기에 위치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Aerosol-forming Substrate)로 삽입되는 발열체(Heating Body)를 제공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Aerosol Generating Device)를 위한 배출 기기(Releasing Mechanism)을 제공하되, 상기 배출 기기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상기 발열체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전환되는 동안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모두에서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상기 발열체와 접촉된 상태다.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발열체에 대하여 제1 축방향 위치(Axial Position)를 가지며;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상기 제2 위치에서의 상기 발열체에 대하여 제2 축방향 위치를 가지며, 상기 제1 축방향 위치는 상기 제2 축방향 위치와 동일하다.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상기 회전부와 동기화되어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상기 제2 위치에서 방사형 압력(Radial Pressing Force)을 받는다.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상기 방사형 압력을 적용하기 위한 가압 기기는, 상기 회전부에 배치된다.
상기 가압 기기가,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가압 탄성 부품(Pressing Elastic Piece)이다.
상기 가압 탄성 부품이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의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압 탄성 부품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와 연통(Communicating)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관통홀(Through-hole)이 상기 회전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 기기가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며,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상기 방사형 압력을 적용하도록 상기 가압 기기의 일단(One End)이 방사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관통홀로 삽입된다.
상기 가압 기기는 축 방향을 따라 확장되며, 이는 상기 발열체의 삽입 방향과 일치된다.
상기 회전부 상에 슬리브되고(Sleeved)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해 상기 가압 기기를 상기 제1 관통홀로 가압하는, 제1 케이스를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는 인접면(Abutting Surface)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 기기의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의 부분은 상기 인접면에 인접하며, 상기 가압 기기의 상기 타단은 상기 회전부와 탄성 물질(Elastic Element)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탄성 물질은, 상기 회전부의 외부 표면 상에 슬리브되고 상기 가압 기기의 상기 타단을 클램핑(Clamping)한다.
상기 가압 기기는,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떨어져 있는 복수의 가압 기기다.
상기 가압 기기는, 상기 방사 방향을 따라 확장되는 제1 볼록 부분(Convex Portion)을 가지고, 상기 제1 볼록 부분은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벽에 인접한다.
상기 인접면에 제2 볼록 부분이 위치하며, 상기 가압 기기의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사이의 상기 부분에는 상기 제2 볼록 부분이 인접한 제1 오목 부분(Concave Portion)이 위치하거나; 대안적으로, 상기 인접면에 제1 오목 부분이 위치하고, 상기 가압 기기의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사이의 상기 부분에는 상기 제1 오목 부분에 인접한 제2 볼록 부분이 제공된다.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방사형 압력을 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볼록 부분은 상기 회전부의 벽면에 배치된다.
상기 볼록 부분은 탄성 부품이다.
상기 탄성 부품은 축 방향을 따라 확장된다.
상기 탄성 부품은 상기 회전부의 상기 벽면에 각각 연결된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의 부분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단부와 대향하는 방향을 따라 바깥으로 방사형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바깥으로 방사형으로 돌출된 상기 부분의 윗부분의 표면적은 상기 제1 단부의 표면적과 상기 제2 단부의 표면적 각각보다 작다.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상기 회전부를 구동하도록 상기 발열체의 삽입 방향과 일치되는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 케이스 -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회전부 상에 슬리브됨 - 를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의 외부 표면에 상기 축 방향을 따라 확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홈(Spiral Groove)이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3 볼록 부분이 상기 제1 케이스의 케이스 벽면 내에 배치되거나; 대안적으로, 상기 회전부의 외부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3 볼록 부분이 위치하고, 상기 제1 케이스의 케이스 벽면의 내부 표면에 상기 축 방향으로 확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홈이 위치하며; 상기 제3 볼록 부분은 상기 나선홈에 배치되며 상기 나선홈 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제3 볼록 부분은 상기 동일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떨어져 있는 복수의 제3 볼록 부분이다.
상기 발열체에 인접한 상기 회전부의 일부분에 상기 회전부와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관통홀이 위치하고,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상기 제2 관통홀에 의해 노출된다.
상기 방사 방향을 따라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방사형 압력을 적용하는 가압 기기가 상기 제2 관통홀에 배치된다.
상기 회전부의 외부 표면에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확장되는 기어가 위치하고, 상기 기어가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동시키는 전력원이 상기 배출 기기에 배치된다.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상기 원주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상기 발열체의 확장 방향과 일치하는 축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부에 위치한 후에 제한된다.
상기 회전부의 내벽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목 부분이 위치하고,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외부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4 볼록 부분이 위치하며, 상기 제4 볼록 부분은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오목 부분으로 삽입되거나; 대안적으로, 상기 회전부의 내벽에 적어도 하나의 제4 볼록 부분이 위치하고,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외부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목 부분이 위치하며, 상기 제4 볼록 부분은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오목 부분으로 삽입된다.
상기 제2 오목 부분은 상기 축 방향을 따라 확장되며, 상기 제4 볼록 부분은 상기 축 방향을 따라 확장된다.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상기 회전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전환되는 동안 방사형 압력을 받는다.
상기 탄성 부품의 변형에 따라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상기 회전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변형 센서가 상기 탄성 부품에 제공된다.
상기 회전부에 상기 발열체가 삽입되는 홀(Hole)이 위치하며, 상기 홀은 상기 발열체의 외경 이상인 구멍(Aperture)을 갖는다.
상기 회전부는 캐비티(Cavity)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발열체; 및 상기 어느 한 내용의 상기 배출 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발열체가 배치된 몸체 부분, 및 상기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기 몸체 부분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 부분에 대하여 상기 축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없는, 상기 몸체 부분에 배치된 상기 회전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발열체가 배치된 몸체 부분, 및 상기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기 발열체에 연결되며, 상기 발열체에 대하여 상기 축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없는 상기 몸체 부분에 배치된 상기 회전부를 더 포함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열체가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 삽입된 후,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상기 발열체에 대하여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상기 발열체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전환되는 동안 상기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모두에서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상기 발열체와 접촉된 상태다.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발열체에 대하여 제1 축방향 위치를 가지며;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상기 제2 위치에서의 상기 발열체에 대하여 제2 축방향 위치를 가지며, 상기 제1 축방향 위치는 상기 제2 축방향 위치와 동일하다.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상기 어느 한 내용의 상기 배출 기기의 상기 회전부와 동기화되어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상기 제2 위치에서 방사형 압력을 받는다.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상기 어느 한 내용의 상기 배출 기기의 상기 회전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전환되는 동안 방사형 압력을 받는다.
연기 생성 물질(Smoking Producing Article)은 상기 배출 기기에 사용할 수 있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외부 표면에 제4 볼록 부분 또는 제2 오목 부분이 제공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출 기기(Releasing Mechanism)에 배치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Aerosol-forming Substrate)로 삽입되는 발열체(Heating Body)를 제공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Aerosol Generating Device)를 위한 배출 기기를 제공한다. 배출 기기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위치하는 회전부를 포함한다. 회전부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발열체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전환되는 동안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사용자가 흡입할 때,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회전부에 위치하고 발열체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 삽입된다. 이 때, 회전부는 제1 위치에 있으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발열체와 접촉된 상태고, 발열체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가열하여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에어로졸을 발생하도록 제어된다. 사용자가 흡입을 완료하면, 회전부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빠지기 전에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대해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하여 전환되도록 제어된다. 이때,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발열체와 접촉된 상태이며,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발열체는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움직인다.
본 발명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발열체 사이를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동안,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발열체에 부착되는 것에서 발열체로부터 배출되는 것으로 바뀌고,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사용자에 의해 발열체로부터 쉽게 빠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사용하고 청소하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위의 내용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설치된 배출 기기(Releasing Mechanism)의 단면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기기의 확대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기기의 제1 분해 사시도(Exploded Perspective View)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기기의 제2 분해 사시도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기기의 횡단면도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기기의 제1 케이스의 사시도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기기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제1 사시도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기기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제2 사시도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기기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제3 사시도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기기를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설치한 개략도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기기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 사이의 연결 상태에 대한 단면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설치된 배출 기기(Releasing Mechanism)의 단면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기기의 확대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기기의 제1 분해 사시도(Exploded Perspective View)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기기의 제2 분해 사시도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기기의 횡단면도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기기의 제1 케이스의 사시도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기기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제1 사시도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기기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제2 사시도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기기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제3 사시도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기기를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설치한 개략도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 기기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 사이의 연결 상태에 대한 단면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아래와 같이 설명하면,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의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의 다른 장점과 기능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해 설명할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청구항을 기초로 발전된 다른 가능한 대안이나 수정을 포함하도록 실시예와 함께 설명된다. 본 발명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를 위해, 다음 설명에는 구체적인 설명이 다수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핵심을 혼동케 하거나 희석시키는 일부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되었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해, 본 발명은 발열체(30)를 제공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생성하기 위한 배출 기기(10)을 제공한다. 발열체(30)는 배출 기기에 위치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로 삽입된다. 배출 기기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위치하는 회전부(11)을 포함한다. 회전부(11)의 구체적인 모양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회전부에 위치할 수 있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부(11)는 캐비티(Cavity)이며, 회전부(11)는 전체적으로 실린더 모양으로 어코모데이팅 챔버(Accommodating Chamber)(11a)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회전부는 다른 모양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회전부는 2개의 클램핑 부분이 볼록하게 형성된 디스크 바디(Disc Body)를 가지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클램핑(Clamping) 부분에 의해 클램핑되어,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회전부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회전부(11)의 특정 물질은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회전부(11)는 고온을 견딜 수 있는 금속, 세라믹 또는 고분자 물질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회전부(11)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20) 및 발열체(30)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전환되는 동안 원주 방향(도 1에서 Z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사용자가 흡입할 때,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회전부(11)의 어코모데이팅 챔버(11a)에 위치하고, 발열체(30)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20)에 삽입된다. 회전부(11)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발열체(30)와 접촉 상태가 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발열체(30)에 대해 제1 축방향 위치(Axial Position)를 갖고, 발열체(30)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를 가열하여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에어로졸을 발생하도록 제어된다.
사용자가 흡입을 완료하면, 회전부(11)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빠지기 전에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대해 원주 방향(도 1에서 Z 방향)을 따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하여 전환되도록 제어된다. 회전부(1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원주 방향을 따라 교대로 시계 방향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11)가 제1 방향에서 제2 방향으로 전환되는 동안, 에어로졸 형성 기재(20) 및 발열체(30)는 원주 방향(도 1에서 Z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2 위치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발열체(30)에 대해 제2 축방향 위치를 갖는다. 제1 축방향 위치는 제2 축방향 위치와 동일하다. 바람직하게,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발열체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전환하는 동안 축 방향으로 상대적인 움직임이 없다.
즉, 제1 위치와 제2 위치 모두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발열체(30)와 접촉된 상태이고, 축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움직임은 없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20)와 발열체(30) 사이에서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인 움직임이 있는 동안, 발열체(30)에 부착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발열체(30)로부터 분리된다. 사용자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를 발열체(30)로부터 쉽게 뺄 수 있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편리하게 사용하고 쉽게 청소할 수 있다.
한편, 에어로졸 형성 기재(20) 및 발열체(30)가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움직이지만, 축 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회전부(11)는 회전하는 동안 발열체(30)에 축방향력(Axial Force)이 적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발열체(30)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연결 상태를 안정화시키고 발열체(30)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발열체(30)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움직이지만, 축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발열체(30)의 고온부(발열체(30)의 가장 말단부)가 배출 기기와 접촉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서, 배출 기기가 노화되는 것을 지연시키고 배출 기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제1 위치에서의 발열체(30)에 대하여 제1 축방향 위치를 갖고,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제2 위치에서의 발열체(30)에 대하여 제2 축방향 위치를 가지며, 제1 축방향 위치와 제2 축방향 위치는 동일하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즉, 제1 위치와 제2 위치 모두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발열체(30)와 접촉된 상태이며, 축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없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축방향 위치는 제2 축방향 위치와 동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대해 회전부(11)가 회전하는 동안,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발열체(30)와 접촉된 상태이며, 발열체(30)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원주 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지만, 축 방향으로 움직인다. 단,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전환하는 동안 에어로졸 형성 기재(20) 및 발열체(30)는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움직이고,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발열체(30)와 접촉하는 경우에 한해서 이처럼 적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회전부(11)을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전환하는 동안, 회전부(11)는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하며, 발열체(3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2위치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20)와 발열체(30)가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동안, 발열체는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고, 회전부(11)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발열체가 원주 방향을 따라 움직일 때, 발열체는 발열체가 위치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동기화되어 움직일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발열체가 위치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고정된 상태일 동안, 발열체도 움직일 수 있다.
추가로, 발열체(30)에 의해 가열된 후 사용자가 흡입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는 타입인 한, 본 발명의 에어로졸 형성 기재(20)의 특정 타입은 제한되지 않는다. 발열체(30)가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를 가열하는 동안,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가열될 수 있지만 연소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담배 요소를 포함하는 고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이며,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외부 패키지(예를 들어, 알루미늄 포일 층)로 포장되어 있다.
덧붙여, 발열체(30)의 특정 모양은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발열체(30)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기둥 모양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발열체(30)는 사각형, 삼각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발열체(30)의 단면의 변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발열체(30)와 에어로졸 형성 기재(20) 사이에서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동안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발열체(30)로부터 더 쉽게 배출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발열체(30)로부터 빠질 때, 발열체(30)에 남아 있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20)의 양이 더 적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사용자가 쉽게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발열체(30)의 특정 물질은, 상기 물질이 동력을 받아 가열하여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로 하여금 에어로졸을 발생하도록 하는 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발열체(30)의 물질은 세라믹을 포함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회전부(11)와 동기화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제2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동시에, 제2 위치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회전부(11)와 동기화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발열체가 제2 위치에서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부와 동기화되어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제2 위치에서 방사형 압력(Radial Pressing Force)을 받는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발열체(30)에 의해 가열된 후, 에어로졸 형성 기재(20)와 발열체(30)는 서로 부착됨으로써, 방사형 압력 하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20)의 외부 패키지는 회전부(11)와 동기화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한 손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발열체(30)에 대해 이동하게 된다. 반면,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외부 패키지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20)의 외부 패키지가 회전부(11)와 동기화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것을 막는 한편,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동기화되어 회전하지 않는다.
한편,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회전부(11)와 동기화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충분한 거리를 회전한 후, 즉, 방사형 압력 하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발열체(30)로부터 원주 방향을 따라 충분히 움직인 후에, 축 방향을 따라 발열체(30)로부터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빠질 때, 발열체(30)에 남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20)의 양이 더 적기 때문에,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쉽게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방사형 압력을 적용하기 위한 가압 기기는, 회전부에 배치된다. 가압 기기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가압 탄성 부품(Pressing Elastic Piece)이다. 가압 탄성 부품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방사형 압력을 적용하기 위해 압력을 받은 후에 변형된다. 일 실시예에서, 가압 탄성 부품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20)의 주변에 배치되고, 회전부(11)의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가압 탄성 부품을 포함한다. 즉, 회전부(11)의 외부 표면의 일부는 가압 탄성 부품으로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도 3을 참조하고 도 1 과 도 2를 합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부(11)의 어코모데이팅 챔버(11a)와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관통홀(11f)은 회전부(11)에 배치된다. 발열체(30)의 삽입 방향과 일치하는 축 방향(도 1에서 X 방향)을 따라 확장되는 가압 기기(13)가 회전부(11)의 외부 표면에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압 기기(13)는 축 방향으로 확장되지 않을 수 있다. 방사형 압력이 에어로졸 형성 기재(20)에 적용되는 한, 가압 기기(13)의 특정 모양은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 기기(13)는 시트(Sheet) 모양을 갖는다. 가압 기기(13)는 회전부(11)에 연결되어 있고, 에어로졸 형성 기재(20)에 방사형 압력을 적용하기 위해 가압 기기(13)의 일단(One End)은 방사 방향(도 1에서 Y 방향)을 따라 제1 관통홀(11f)로 삽입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를 빼기 전, 사용자가 흡입을 마치면, 가압 기기(13)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20)에 가압하도록 방사 방향을 따라 제1 관통홀(11f)로 삽입되며,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가압 기기(13) 하에서 방사형 압력을 받도록 가압 기기(13)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를 클램핑한다. 그 후, 회전부(11)는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전환되도록 그립(Grip)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발열체(30)에 접촉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회전부(11)와 동기화되어 회전하고, 에어로졸 형성 기재(20)와 발열체(30)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발열체(30)로부터 배출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움직인다.
본 실시예의 배출 기기(10)는 제1 케이스(12)를 더 포함한다. 제1 케이스(12)는 회전부(11) 상에서 슬리브되고(Sleeved),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해 가압 기기(13)를 제1 관통홀로 가압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를 빼기 전, 사용자가 흡입을 마치면, 제1 케이스(12)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를 가압하도록 가압 기기(13)를 제1 관통홀(11f)에 가압하여 축 방향을 따라 움직이도록 작동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가압 기기(13)에 의해 방사형 압력을 받는다. 제1 케이스(12)의 축 움직임 방향은 제한되지 않는다. 축이 움직인 후, 제1 케이스(12)가 가압 기기(13)을 제1 관통홀(11f)로 가압할 수 있는 한, 제1 케이스(12)는 발열체(30)의 삽입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을 따라 축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발열체(30)의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을 따라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케이스(12)의 축의 움직임은 발열체(30)의 삽입 방향과 반대다.
제1 위치에서 제1 케이스(12)는 회전부(11) 상에서 슬리브되고 축 방향을 따라 회전부(11)로부터 분리될 수 없으며, 제2 위치에서 제1 케이스(12)는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해 가압 기기(13)를 제1 관통홀(11f)로 가압할 수 있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제1 케이스(12)는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축 방향으로 회전부(11)와 연결될 수 있고, 축 방향을 따라 스프링의 일단이 회전부(11)에 연결되고 스프링의 타단이 제1 케이스(12)에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음의 조건이 충족되면 다른 연결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위치에서 제1 케이스(12)는 회전부(11) 상에서 슬리브되고 축 방향을 따라 회전부(11)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며, 제1 위치에서 제1 케이스(12)는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해 가압 기기(13)을 제1 관통홀(11f)에 가압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해 본 실시예에서, 회전부(11)는 인접면(Abutting Surface)을 포함한다. 가압 기기(13)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부분은 축 방향을 따라 인접면에 인접하며, 가압 기기(13)의 타단은 회전부(11)에 대해 탄성 물질(Elastic Element)(14)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 케이스(12)가 축 방향을 따라 움직이고 가압 기기(13)를 가압하는 동안, 가압 기기(13)는, 가압 기기(13)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부분이 회전부(11)의 인접면에 받침점(Fulcrum)으로 인접되는 교차점으로 레버 운동(Lever Movement)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2)는 회전부(11)가 원주 방향으로 특정 거리만큼 회전된 후 배출되고, 그 후 제1 케이스(12)는 탄성 물질(14)의 탄성력 하에서 발열체(30)의 삽입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을 따라 다시 돌아간다. 동시에 가압 기기(13)는, 다시 돌아갈 때 사용자가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를 뺄 수 있도록 방사 방향을 따라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로부터 분리되어 돌아갈 수도 있다.
가압 기기(13)의 타단이 탄성 물질(14)을 통해 회전부(11)와 탄력적으로 연결되는 한, 탄성 물질(14)의 특정 모양은 제한되지 않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 기기(13)는 복수의 가압 기기들이다. 도 3에서와 같이, 4개의 가압 기기(13)는 원주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으며, 가압 기기(13)는 동일하지 않은 간격으로 떨어져 있을 수도 있다. 도 2와 도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서, 탄성 물질(14)은 회전부(11) 상에서 슬리브되고, 가압 기기(13)의 타단을 클램핑(Clamping)한다. 가압 기기(13)에는 탄성 물질(14)을 어코모데이팅하기 위한 어코모데이팅 홈(Accommodating Groove)(13c)이 제공된다. 탄성 물질(14)의 특정 물질은 제한되지 않으며 탄성 강철 또는 고탄성 실리콘 같은 물질일 수 있다. 제1 케이스(12)의 물질은 제한되지 않으며 메탈이나 플라스틱이 될 수도 있다. 가압 기기(13)의 물질은 고온 내성 금속 또는 세라믹, 고분자 물질일 수 있다.
계속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가압 기기(13)는 방사 방향을 따라 확장되는 제1 볼록 부분(Convex Portion)(13b)을 가지고, 제1 볼록 부분(13b)은 제1 케이스(12)의 내벽에 인접한다. 제1 케이스(12)가 축 방향을 따라 움직일 때 가압 기기(13)의 제1 볼록 부분(13b)에 작용력(Acting Force)이 적용되며, 이는 가압 기기(13)를 방사 방향을 따라 제1 관통홀(11f)로 삽입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를 가압하는데 유리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케이스(12)와 대향하는 제1 볼록 부분(13b)의 일부분은 제1 경사면(13ba)과 제2 경사면(13bc)를 갖는다. 제1 경사면(13ba)은 축 방향을 따라 제1 케이스(12)와 단단하게 결합되어 있고, 제2 경사면(13bc)은 방사 방향을 따라 제1 케이스(12)와 단단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 같은 디자인은 제1 케이스(12)가 축 방향으로 가압 기기(13)에 작용력을 적용해 가압 기기(13)가 방사 방향을 따라 제1 관통홀(11f)로 삽입되도록 하는데 유리하다.
추가로 본 실시예에서, 도 2와 도 3을 참조해, 회전부(11)의 인접면에는 제2 볼록 부분(11b)이 위치하고, 가압 기기(13)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부분에는 상기 제2 볼록 부분(11b)이 인접한 제1 오목 부분(Concave Portion)(13a)이 제공된다. 제2 볼록 부분(11b)는 가압 기기(13)의 레버 운동을 위한 받침대 역할을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회전부(11)의 인접면에 제1 오목 부분이 위치하고, 가압 기기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부분에는 제1 오목 부분에 인접한 제2 볼록 부분이 제공된다. 또는 대안적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가압 기기(13)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부분과 회전부(11)의 인접면 중 하나에 볼록 부분이 위치하고 다른 부분은 매끈한 면일 때, 가압 기기(13)도 레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가압 기기(13)를 작동시킴으로써 에어로졸 형성 기재(20)에 방사형 압력을 제공한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회전부(11)의 어코모데이팅 챔버(11a)로 삽입될 때, 즉, 회전부(11)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가압 기기(13)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20)에 방사형 압력을 제공하지 않을 것이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를 회전부(11)의 어코모데이팅 챔버(11a)로 삽입하는 프로세스는 부드럽게 진행되고 저항은 작을 것이 분명하다. 회전부(11)가 순환적으로 제2 부분으로 전환될 때, 가압 기기(13)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20)에 방사형 압력을 제공하도록 더 작동함으로써,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회전부(11)와 동기화되어 회전할 수 있다. 이는 원주 방향을 따라 발열체(30)에 대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상대적으로 움직이기 유리하다.
제2 실시예
도 4와 도 5를 참조하고, 도 1과 결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볼록 부분(11d)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20)에 방사형 압력을 적용하기 위한 회전부(11)의 벽면에 배치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회전부(11)의 어코모데이팅 챔버(11a)에 삽입될 때, 볼록 부분(11d)이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를 클램핑함으로써,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회전부(11)와 동기화되어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볼록 부분(11d)은 탄성 부품(Elastic Piece)이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회전부(11)의 어코모데이팅 챔버(11a)로 삽입될 때,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를 회전부(11)의 어코모데이팅 챔버(11a)로 부드럽게 삽입하도록 탄성 부품은 방사 방향을 따라 회전부(11)의 어코모데이팅 챔버(11a)의 챔버 벽면을 향해 움직이도록 가압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발열체(30)로 삽입되고 탄성 부품을 완전히 통화한 후, 탄성 부품은 다시 돌아와 에어로졸 형성 기재(20)에 방사형 압력을 적용하여,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회전부(11)와 동기화되어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부품은 축 방향을 따라 확장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회전부(11)의 어코모데이팅 챔버(11a)로 삽입될 때 탄성 부품이 가압되어 경사면이 생성되고, 경사면이 존재함으로써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부드럽게 어코모데이팅 챔버(11a)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회전부(11)의 어코모데이팅 챔버(11a)로부터 빠질 때도 탄성 부품에는 가압되어 경사면이 생성되고, 경사면이 존재함으로써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부드럽게 어코모데이팅 챔버(11a)로 빠질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탄성 부품은 회전부(11)의 벽면에 각각 연결된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가지며,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부분은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와 대향하는 방향을 따라 바깥으로 방사형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바깥으로 방사형으로 돌출된 부분의 윗부분의 표면적은 제1 단부의 표면적과 제2 단부의 표면적 각각보다 작다. 즉,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붙어 있고 바깥으로 방사형으로 돌출된 탄성 부품의 상기 윗부분의 표면적의 접촉 영역은 더 작다. 그러므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붙어 있고 바깥으로 방사형으로 돌출된 탄성 부품의 상기 윗부분과 에어로졸 형성 기재(20) 사이의 방사형 압력은 상승할 수 있고,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바깥으로 방사형으로 돌출된 탄성 부품의 상기 윗부분에 의해 더 잘 클램핑될 수 있으며, 이는 발열체(30)로부터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를 배출하는데 유리하다.
더불어, 본 실시예의 배출 기기(10)는 회전부(11)가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회전부(11) 상에 슬리브되고 발열체(30)의 삽입 방향과 일치하는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 케이스(12)를 더 포함한다. 회전부(11)가 원주 방향을 따라 움직이도록 하는 제1 케이스(12)의 특정 실행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도 6을 참조하고 도 4와 결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11)의 외부 표면에 축 방향을 따라 확장되는 3개의 나선홈(Spiral Groove)이 위치하고, 3개의 제3 볼록 부분(12a)이 제1 케이스(12)의 케이스 벽면 내에 배치된다. 제3 볼록 부분(12a)은 나선홈(11c)에 배치되고 나선홈(11c) 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회전부의 외부 표면에 축 방향을 따라 확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홈이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3 볼록 부분이 제1 케이스의 케이스 벽면 내에 배치되거나; 대안적으로, 회전부의 외부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3 볼록 부분이 위치하고, 제1 케이스의 케이스 벽면의 내부 표면에 축 방향으로 확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홈이 위치하며; 제3 볼록 부분은 나선홈에 배치되고 나선홈 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축 방향을 따라 제1 하우징(Housing)(12)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제3 볼록 부분(12a)은 나선홈(11c) 내에서 슬라이딩되어 회전부(11)가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작동됨으로써, 회전부(11)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전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3 볼록 부분(12a)은 상기 동일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떨어진 복수의 제 3 볼록 부분이며, 이는 회전부(11)가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하기 쉽게 만든다. 다른 실시예에서, 축 방향을 따라 제1 케이스가 움직이는 동안 회전부가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나선홈 내에서 제3 볼록 부분을 슬라이드하기만 하면, 제3 볼록 부분은 상기 동일한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떨어져 있지 않아도 된다.
즉,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회전부(11)의 어코모데이팅 챔버(11a)로 삽입되는 동안, 회전부(11)는 제1 위치에 있으며 회전부(11)는 방사형 압력을 받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회전부(11)는 제1 위치에 있을 때 방사형 압력을 받지 않으며, 이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를 발열체(30)로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는 장점이 된다. 회전부(11)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전환되는 동안,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방사형 압력을 받는다. 즉, 회전부(11)가 받는 방사형 압력은 회전부(11)의 원주형 움직임에 의해 형성된다.
제3 실시예
도 7을 참조하고, 도 1과 결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발열체(30)에 인접한 회전부(11)의 일부분에는 회전부(11)의 어코모데이팅 챔버(11a)와 연통(Communicating)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관통홀(11f)이 배치되고,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제2 관통홀(11g)에 의해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부(11)의 어코모데이팅 챔버(11a)와 연통하는 2개의 제2 관통홀(11g)이 회전부(11)에 배치된다. 사용자가 흡입을 마친 후, 제1 관통홀(11f)에서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를 집고 클램핑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손가락에 의해 적용되는 방사형 압력에 의해 회전부(11)와 동기화되어 회전하고, 회전부(11)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전환된다. 소정 거리를 회전한 후, 손가락은 제2 관통홀(11g)을 벗어나 회전부(11)의 어코모데이팅 챔버(11a)로부터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를 빼낸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회전부(11)의 어코모데이팅 챔버(11a)로 삽입될 때, 즉, 회전부(11)가 제1 부분에 있을 때, 볼록 부분은 위치하지 않는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회전부(11)의 어코모데이팅 챔버(11a)로 삽입되는 프로세스는 부드럽게 진행되며, 저항을 작게 받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가압 기기는 방사 방향을 따라 에어로졸 형성 기재(20)에 방사형 압력을 적용하는 제2 관통홀에 배치된다. 가압 기기의 특정 모양과 배치는 제1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세부 내용은 여기에 다시 기술하지 않는다.
제4 실시예
도 8을 참조하여, 회전부(11)의 외부 표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확장되는 기어(11h)가 위치하고, 전력원은 기어(11h)가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만드는 배출 기기(10)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기어(11h)는 전기 모터 또는 기어랙 드라이브(Gear-rack Drive)에 의해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되도록 구동될 수 있고, 회전부(11)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전환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도 5와 결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11)의 어코모데이팅 챔버(11a)의 챔버 벽에도 에어로졸 형성 기재(20)에는 방사형 압력을 적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볼록 부분(11d)이 제공된다. 볼록 부분(11d)의 배열과 작동 원리는 제2 실시예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며 세부 내용은 여기에 다시 기술하지 않는다.
제5 실시예
도 9를 참조하고, 도 1과 결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발열체(30)의 확장 방향과 일치하는 축 방향을 따라 회전부(11)에 배치된 후, 에어로졸 형성 기재(20)의 원주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제한된다. 구체적으로, 회전부(11)의 어코모데이팅 챔버(11a)의 내벽에는 발열체(30)의 확장 방향과 일치하는 축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4 볼록 부분(11j)이 제공된다.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떨어져 있는 제4 볼록 부분(11j)은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4 볼록 부분(11j)의 개수는 다르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형성 기재(20)의 외부 표면에는 축 방향을 따라 확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 부분(20a)이 제공된다. 제4 볼록 부분(11j)이 축 방향을 따라 제2 오목 부분(20a)으로 삽입된다. 회전부(11)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하며 전환될 때,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도 회전부(11)와 동기화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회전부의 어코모데이팅 챔버의 내벽에는 발열체의 확장 방향과 일치하는 축 방향을 따라 확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오목 부분이 제공될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외부 표면에는 축 방향을 따라 확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4 볼록 부분이 위치하고, 제4 볼록 부분은 축 방향을 따라 제2 오목 부분으로 삽입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축 방향을 따라 회전부에 배치된 후,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원주 방향을 따르는 움직임이 제한되는 경우, 제2 오목 부분과 제4 볼록 부분은 축 방향을 따라 확장되지 않을 수도 있는 점에 대해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회전부의 어코모데이팅 챔버의 내벽에 제2 오목 부분이 위치하고,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제4 볼록 부분이 제공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축 방향을 따라 회전부로 삽입되고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로 회전한 후, 제4 볼록 부분과 제2 오목 부분은 결합되고,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원주 방향을 따르는 움직임은 축 방향을 따라 회전부에 배치된 후 제한된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회전부(11)의 어코모데이팅 챔버(11a)로 삽입될 때, 즉, 회전부(11)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볼록 부분은 위치하지 않는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를 회전부(11)의 어코모데이팅 챔버(11a)로 삽입하는 프로세스는 부드럽게 진행되고, 저항은 작게 받는다.
회전부(11)의 어코모데이팅 챔버(11a)의 챔버 내벽에 배치된 볼록 부분이 탄성 부품일 때, 탄성 부품에는 탄성 부품의 변형에 따라 어코모데이팅 챔버(11a)로 삽입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를 검출하기 위한 변형 센서가 위치하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이를 통해 변형 센서가 제공된 후, 미성년자가 실수로 발열체(30)를 작동시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회전부(11)의 어코모데이팅 챔버(11a)로 삽입될 때에만 발열체(30)는 가열된다. 그러므로 보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5 및 도 7을 참조하면, 회전부(11)에는 발열체(30)가 삽입되는 홀(11e)이 위치하고, 홀(11e)은 발열체(30)의 외경 이상인 구멍을 갖는다. 상기 실시예의 배출 기기(10)가 회전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연결된 후 홀(11e)의 구멍이 발열체(30)의 외경 보다 클 때, 발열체(30)는 에어로졸을 생성하도록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를 가열한 후, 회전부의 어코모데이팅 챔버(11a)의 내부가 홀(11e)을 통해 외부 공기와 연통함으로써, 사용자가 에어로졸 형성 기재(20)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공기 통로에는 사용자가 에어로졸 형성 기재(20)을 통해 생성된 에어로졸을 부드럽게 흡입할 수 있는 배출 기기의 다른 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뚜껑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 부분(11d)에 배치될 수 있고, 관통홀(11g)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기기에 배치될 수 있다. 뚜껑과 관통홀(11g) 모두 외부 공기와 연통할 수 있다. 이 경우,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제거될 때, 회전부(11)의 단부와 발열체(30)의 지지 부분 사이에 형성된 갭(Gap)으로 잔해가 떨어져 기기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막기 위해, 뚜껑-홀(11e)의 구멍은 발열체(30)의 외경과 같은 사이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6 실시예
도 10를 참조하고, 도 1과 결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하고, 이는 발열체; 및 상기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배출 기기(10)를 포함한다. 회전부(11)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를 회전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연결되어 있고, 이는 축 방향을 따라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제한되지 않는다. 발열체(30)는 회전부(11)의 어코모데이팅 챔버(11a)로 삽입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발열체(30)가 발열체 홀더(31)를 통해 배치되는 몸체 부분(40)을 더 포함한다. 회전부(11)는 몸체 부분(40)에 배치되고,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는 몸체 부분(40)에 연결되며, 축 방향으로 몸체 부분(40)과 상관없이 움직인다.
이 같은 디자인으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부(11)가 회전하는 동안, 회전부(11)는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하고, 몸체 부분(40)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대안적으로, 회전부(11)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몸체 부분(40)은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하고, 발열체(30)는 몸체 부분(40)과 동기화되어 회전한다. 두 경우 모두에서 원주 방향(도 1에서 Z 방향)으로 발열체(30)에 대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몸체 부분에 배치된 회전부는, 발열체 홀더(31)와 같이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는 발열체에 연결되어 있고, 발열체와의 축 방향으로 상대적인 움직임은 없다. 이 같은 디자인으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부(11)가 회전하는 동안, 회전부(11)는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하고, 발열체(30)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대안적으로, 회전부(11)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발열체(30)는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하고, 몸체 부분(40)은 발열체와 동기화되어 회전한다. 두 경우 모두에서 원주 방향(도 1에서 Z 방향)으로 발열체(30)에 대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특히,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슬롯(15)은 배출 기기(10)에 배치되고, 제2 슬롯(16)은 몸체 부분(40)에 배치된다. 도 11과 결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롯(15)과 제2 슬롯(16)는 몸체 부분(40)에 회전부(11)을 맞물리도록 결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몸체 부분(40)에 회전부(11)가 맞물리는 한, 회전부(11)와 몸체 부분(40)은 다른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제어 서킷(41), 표시등(45), 버튼(44), 배터리(42) 및 충전 제어 서킷(43)도 몸체 부분(40)에 배치된다. 발열체(30)는 배터리(42)에 연결된 제어 서킷(41)에 연결되고, 충전 제어 서킷(43)은 배터리(42)와 제어 서킷(41)에 연결된다. 발열체(30)의 작동과 멈춤 동작은 버튼(44)을 가압하여 제어될 수 있다. 버튼(44) 상의 표시등(45)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제어 서킷(41)과 발열체(30)는 200℃ 내지 500℃ 사이의 발열체(30) 온도를 제어하도록 상호작용함으로써, 가열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안정적으로 에어로졸을 휘발시킬 수 있게 한다. 충전 제어 서킷(43)은 배터리(42)를 충전하는 것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본 실시예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의해 에어로졸을 흡입할 때,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회전부(11)의 어코모데이팅 챔버(11a)로 삽입되고, 발열체(30)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로 삽입된다. 이때, 회전부(11)는 제1 위치에 있고,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발열체(30)와 접촉한 상태로 둘 다 상대적으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발열체(30)는 사용자가 흡입하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를 가열하도록 제어된다. 사용자가 흡입을 마치면, 회전부(11)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빠지기 전에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제어된다. 회전부(11)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발열체(30)와 연결되어 접촉된 상태고, 에어로졸 형성 기재(20)와 발열체(30)는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움직인다.
또한, 발열체(30)의 표면에는 발열체(30)가 에어로졸 형성 기재(20)와 함께 원주 방향으로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글레이즈(Glaze) 레이어가 제공된다. 글레이즈 레이어가 배치된 후, 발열체(30)와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상대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움직일 때 발생하는 저항을 더 작게 받으며, 이는 발열체(30)로부터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를 배출하는데 유리하다.
제7 실시예
도 1과 결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를 배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발열체(30)가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로 삽입된 후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발열체(30)에 대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되, 에어로졸 형성 기재(20)와 발열체(30)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전환되는 동안 원주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1 위치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발열체(30)와 연결되고 접촉된 상태이며, 발열체(30)에 대하여 제1 축방향 위치를 갖고; 제2 위치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발열체(30)와 연결되고 접촉된 상태이며, 발열체(30)에 대하여 제2 축방향 위치를 갖고, 에어로졸 형성 기재(20)와 발열체(30)는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움직인다. 제1 축방향 위치는 제2 축방향 위치와 동일하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20)와 발열체(30) 사이를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동안, 발열체(30)에 부착된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발열체(30)로부터 배출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사용자에 의해 발열체(30)로부터 쉽게 빠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하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를 배출하는 상기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설명된 배출 기기를 사용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회전부(11)와 함께 원주 방향을 따라 제2 위치로 동기화되어 회전함으로써, 발열체(30)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빠르게 움직여 배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배출되는 동안 제2 위치에서 방사형 압력을 받는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발열체(30)와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유리하며, 즉,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방사형 압력을 받아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를 배출하는데 유리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축방향 위치는 제2 축방향 위치와 동일하지 않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대하여 회전부(11)가 회전하는 동안,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발열체(30)와 접촉된 상태이고, 발열체(30)와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원주 방향으로만 움직이지 않고 축 방향으로도 움직이며; 이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20)와 발열체(30)는 원주 방향으로 움직이고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전환되는 동안 발열체(30)와 접촉되는 한 적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배출되는 동안, 회전부(11)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전환될 때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방사형 압력을 받는다. 즉, 제1 위치에서, 회전부(11)는 방사형 압력의 대상이 아니고, 이로 인해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를 발열체(30)로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는 장점이 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회전부(11)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전환되는 동안 방사형 압력을 받는다. 방사형 압력 하에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20)와 발열체(30)는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게 되고,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부드럽게 제거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배출 기기에 사용할 수 있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를 포함하는 연기 생성 기기(Smoking Producing Article)을 제공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20)가 발열체(30)의 확장 방향과 일치하는 원주 방향을 따라 배출 기기의 회전부(11) 상에 위치한 후, 에어로졸 형성 기재(20)의 원주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제한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20)의 외부 표면에는 제4 볼록 부분 또는 제2 오목 부분(20a)이 제공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20)의 추가적인 설명은 제5 실시예를 통해 추론할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 더 이상 기술하지 않는다.
연기 생성 기기가 제4 볼록 부분 또는 제2 오목 부분(20a)에 의해 축 방향을 따라 배출 기기의 회전부(11)으로 삽입된 후, 회전부(11)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할 때 에어로졸 형성 기재(20)는 회전부(11)와 동기화되어 원주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원리와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상기 설명한 실시예의 수정안이나 변형안도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만들어진 모든 동등한 수정안이나 변경안은 첨부된 청구 범위를 통해 커버될 것이다.
Claims (41)
- 발열체(Heating Body)를 제공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Aerosol Generating Device)를 위한 배출 기기(Releasing Mechanism)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상기 배출 기기에 배치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Aerosol-forming Substrate)로 삽입되어 사용되되,
상기 배출 기기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 및 상기 발열체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전환되는 동안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모두에서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상기 발열체와 접촉 상태인, 배출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발열체에 대하여 제1 축방향 위치(Axial Position)를 가지며;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상기 제2 위치에서의 상기 발열체에 대하여 제2 축방향 위치를 가지며, 상기 제1 축방향 위치는 상기 제2 축방향 위치와 동일한, 배출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상기 회전부와 동기화되어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위치로 회전할 수 있는, 배출 기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방사형 압력을 적용하기 위한 가압 기기는, 상기 회전부에 배치되는, 배출 기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기기가,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가압 탄성 부품(Pressing Elastic Piece)인, 배출 기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탄성 부품이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의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압 탄성 부품을 포함하는, 배출 기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와 연통(Communicating)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관통홀(Through-hole)이 상기 회전부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 기기가 상기 회전부에 연결되며,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상기 방사형 압력을 적용하도록 상기 가압 기기의 일단(One End)이 방사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관통홀로 삽입되는, 배출 기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기기는 축 방향을 따라 확장되며, 이는 상기 발열체의 삽입 방향과 일치되는, 배출 기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 상에 슬리브되고(Sleeved)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해 상기 가압 기기를 상기 제1 관통홀로 가압하는, 제1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배출 기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인접면(Abutting Surface)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 기기의 상기 일단과 타단 사이의 부분은 상기 인접면에 인접하며, 상기 가압 기기의 상기 타단은 상기 회전부와 탄성 물질(Elastic Element)로 연결되어 있는, 배출 기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물질은, 상기 회전부의 외부 표면 상에 슬리브되고 상기 가압 기기의 상기 타단을 클램핑(Clamping)하는, 배출 기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기기는, 상기 방사 방향을 따라 확장되는 제1 볼록 부분(Convex Portion)을 가지고, 상기 제1 볼록 부분은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벽에 인접하는, 배출 기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면에 제2 볼록 부분이 위치하며, 상기 가압 기기의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사이의 상기 부분에는 상기 제2 볼록 부분이 인접한 제1 오목 부분(Concave Portion)이 위치하거나;
대안적으로, 상기 인접면에 제1 오목 부분이 위치하고, 상기 가압 기기의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 사이의 상기 부분에는 상기 제1 오목 부분에 인접한 제2 볼록 부분이 위치하는, 배출 기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방사형 압력을 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볼록 부분은 상기 회전부의 벽면에 배치되는, 배출 기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부분은 탄성 부품인, 배출 기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품은 상기 회전부의 상기 벽면에 각각 연결된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의 부분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단부와 대향하는 방향을 따라 바깥으로 방사형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바깥으로 방사형으로 돌출된 상기 부분의 윗부분의 표면적은 상기 제1 단부의 표면적과 상기 제2 단부의 표면적 각각보다 작은, 배출 기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상기 회전부를 구동하도록 상기 발열체의 삽입 방향과 일치되는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1 케이스 - 상기 제1 케이스는 상기 회전부 상에 슬리브됨 - 를 더 포함하는, 배출 기기.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외부 표면에 상기 축 방향을 따라 확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홈(Spiral Groove)이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3 볼록 부분이 상기 제1 케이스의 케이스 벽면 내에 배치되거나;
대안적으로, 상기 회전부의 외부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3 볼록 부분이 위치하고, 상기 제1 케이스의 케이스 벽면의 내부 표면에 상기 축 방향으로 확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선홈이 위치하며;
상기 제3 볼록 부분은 상기 나선홈에 배치되며 상기 나선홈 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는, 배출 기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에 인접한 상기 회전부의 일부분에 상기 회전부와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관통홀이 위치하고,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상기 제2 관통홀에 의해 노출되는, 배출 기기. - 제19항에 있어서,
방사 방향을 따라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에 방사형 압력을 적용하는 가압 기기가 상기 제2 관통홀에 배치되는, 배출 기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외부 표면에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확장되는 기어가 위치하고, 상기 기어가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동시키는 전력원이 상기 배출 기기에 배치되는, 배출 기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상기 원주 방향으로의 움직임은,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상기 발열체의 확장 방향과 일치하는 축 방향을 따라 상기 회전부에 위치한 후에 제한되는, 배출 기기.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내벽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목 부분이 위치하고,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외부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4 볼록 부분이 위치하며, 상기 제4 볼록 부분은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오목 부분으로 삽입되거나;
대안적으로, 상기 회전부의 내벽에 적어도 하나의 제4 볼록 부분이 위치하고,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외부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오목 부분이 위치하며, 상기 제4 볼록 부분은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오목 부분으로 삽입되는, 배출 기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품의 변형에 따라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상기 회전부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변형 센서가 상기 탄성 부품에 위치하는, 배출 기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에 상기 발열체가 삽입되는 홀(Hole)이 위치하며, 상기 홀은 상기 발열체의 외경 이상인 구멍(Aperture)을 갖는, 배출 기기. -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발열체; 및
제1항에 따른 상기 배출 기기;
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열체가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로 삽입된 후,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상기 발열체에 대하여 원주 방향을 따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와 상기 발열체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전환되는 동안 상기 원주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모두에서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가 상기 발열체와 접촉 상태인,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배출하는 방법.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발열체에 대하여 제1 축방향 위치를 가지며;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상기 제2 위치에서의 상기 발열체에 대하여 제2 축방향 위치를 가지며, 상기 제1 축방향 위치는 상기 제2 축방향 위치와 동일한,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배출하는 방법.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제1항의 상기 배출 기기의 상기 회전부와 동기화되어 상기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위치로 회전할 수 있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배출하는 방법. - 연기 생성 기기(Smoking Producing Article)는 제23항의 상기 배출 기기에 사용할 수 있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로졸 형성 기재의 외부 표면에 제4 볼록 부분 또는 제2 오목 부분이 위치하는 물품.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810060869.3A CN108451028B (zh) | 2018-01-22 | 2018-01-22 | 松脱机构、气雾产生装置、松脱方法及发烟制品 |
CN201810060869.3 | 2018-01-22 | ||
PCT/CN2018/077765 WO2019140749A1 (zh) | 2018-01-22 | 2018-03-01 | 松脱机构、气雾产生装置、松脱方法及发烟制品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4047A KR20200044047A (ko) | 2020-04-28 |
KR102416544B1 true KR102416544B1 (ko) | 2022-07-05 |
Family
ID=63238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08029A KR102416544B1 (ko) | 2018-01-22 | 2018-03-01 | 배출 기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배출 방법 및 연기 생성 기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1559082B2 (ko) |
EP (1) | EP3744192A4 (ko) |
JP (1) | JP6876871B2 (ko) |
KR (1) | KR102416544B1 (ko) |
CN (1) | CN108451028B (ko) |
WO (1) | WO201914074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03536A (zh) * | 2018-06-14 | 2021-01-08 |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 用于气溶胶生成装置的可缩回加热器 |
CN108783605B (zh) | 2018-08-07 | 2024-02-13 | 上海新型烟草制品研究院有限公司 | 一种松脱机构及气雾产生装置 |
TWI739172B (zh) * | 2018-10-12 | 2021-09-11 | 瑞士商傑太日煙國際股份有限公司(瑞士) | 氣溶膠產生裝置及其加熱腔體與氣溶膠產生系統 |
JP7547370B2 (ja) * | 2019-04-29 | 2024-09-09 |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 加熱ゾーン絶縁部を備えたエアロゾル発生装置 |
CN110301683A (zh) * | 2019-08-09 | 2019-10-08 | 深圳市讴可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电子烟的控制方法、装置及电子烟 |
CN114144081A (zh) | 2019-08-28 | 2022-03-04 |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 用于气溶胶生成装置的扩张感受器加热装置 |
JP7530423B2 (ja) | 2019-09-06 | 2024-08-07 | ジェイティ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スエイ | エアロゾル発生装置及びそのための加熱チャンバ |
CN110584215B (zh) * | 2019-09-26 | 2024-10-15 | 深圳麦时科技有限公司 | 烘烤烟具 |
KR102363396B1 (ko) * | 2019-10-16 | 2022-02-15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추출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20220097498A (ko) * | 2020-02-27 | 2022-07-07 |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 흡연 시스템, 디바이스, 및 소모품 |
CN111317177B (zh) * | 2020-02-28 | 2023-07-11 | 深圳御烟实业有限公司 | 一种双向退烟机构及气溶胶产生装置 |
CN115038347A (zh) * | 2020-03-18 | 2022-09-09 |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 吸取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程序 |
CN111359884B (zh) * | 2020-03-27 | 2024-06-07 | 陕西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 用于卷烟机中梗丝分选通道的自动调节装置 |
KR102535305B1 (ko) * | 2020-06-17 | 2023-05-22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CN111904030A (zh) * | 2020-06-29 | 2020-11-10 | 深圳市吉迩科技有限公司 | 提烟机构及气溶胶产生装置 |
WO2022123770A1 (ja) * | 2020-12-11 | 2022-06-16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香味吸引器及び香味吸引器の製造方法 |
GB202101461D0 (en) * | 2021-02-03 | 2021-03-17 | Nicoventures Trading Ltd | Aerosol provision system |
WO2022215256A1 (ja) * | 2021-04-09 | 2022-10-13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香味吸引器及び喫煙システム |
JP7532527B2 (ja) * | 2021-04-09 | 2024-08-13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香味吸引器及び喫煙システム |
WO2022230087A1 (ja) * | 2021-04-28 | 2022-11-03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香味吸引器および喫煙システム |
WO2023026322A1 (ja) * | 2021-08-23 | 2023-03-02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エアロゾル生成システム |
CN113876035B (zh) * | 2021-10-26 | 2023-10-24 |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 一种具有烟支夹紧装置的烟具 |
KR102603883B1 (ko) * | 2021-11-26 | 2023-11-20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시스템 |
WO2024018012A1 (en) * | 2022-07-21 | 2024-01-25 | Nicoventures Trading Limited | Aerosol provision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940447A (fr) | 1946-02-11 | 1948-12-13 | Fume-cigarette ou cigare | |
US5878752A (en) * | 1996-11-25 | 1999-03-09 | Philip Morris Incorpora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cleaning, and maintaining electrical heat sources and lighters useful in smoking systems and other apparatuses |
UA79677C2 (en) * | 2003-01-20 | 2007-07-10 | Japan Tobacco Inc | Packing for rod-like smoking products |
WO2008112472A2 (en) * | 2007-03-09 | 2008-09-18 | Eli Lilly And Company | Delay mechanism for automatic injection device |
CN101487101B (zh) | 2008-01-17 | 2011-05-11 |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 一种ct70级连续油管用钢 |
CN101634001B (zh) | 2008-07-24 | 2011-07-20 |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 一种ct90级连续油管用钢及其制造方法 |
CN101944682A (zh) * | 2009-07-07 | 2011-01-12 | 技嘉科技股份有限公司 | 连接座总成 |
KR101057774B1 (ko) * | 2010-12-13 | 2011-08-19 | 신종수 | 전자담배 |
MY168320A (en) * | 2011-11-21 | 2018-10-30 | Philip Morris Products Sa | Extractor for an aerosol-generating device |
EP2608298B1 (de) | 2011-12-22 | 2018-07-04 | Umicore AG & Co. KG | Elektrokatalysator für Brennstoffzellen sowi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
BR112014012258B1 (pt) * | 2011-12-30 | 2021-01-12 | Philip Morris Products S.A. | dispositivo gerador de aerossol e método de aquecimento de um substrato formador de aerossol |
KR20140109455A (ko) * | 2012-01-03 | 2014-09-15 |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 휴대용 에어로졸-발생 장치를 위한 전원 시스템 |
CN202528361U (zh) * | 2012-01-19 | 2012-11-14 | 江苏益尔机电有限公司 | 用于双模轮胎定型硫化机的快速更换模具机构 |
WO2015155289A1 (en) * | 2014-04-10 | 2015-10-15 | Philip Morris Products S.A. | Aerosol-generating device with helix-shaped heater |
CN104544569B (zh) * | 2014-05-30 | 2017-10-31 | 深圳麦克韦尔股份有限公司 | 电子烟 |
WO2016023172A1 (zh) * | 2014-08-12 | 2016-02-18 | 刘水根 | 一种烟草蒸发器 |
CN104451427B (zh) | 2014-12-11 | 2016-08-24 | 宝鸡石油钢管有限责任公司 | 一种无焊接缺陷连续油管及制造方法 |
KR102694916B1 (ko) * | 2015-02-06 | 2024-08-16 |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 에어로졸-발생 장치용 개선된 추출기 |
CN104770895B (zh) * | 2015-03-13 | 2017-08-08 |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 用于烟制品的加热装置以及烟雾发生器 |
CN205432131U (zh) * | 2015-10-28 | 2016-08-10 | 深圳麦克韦尔股份有限公司 | 电子烟雾化器 |
CN205597118U (zh) * | 2016-03-14 | 2016-09-28 |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 烟支加热装置及电子烟 |
CN206025202U (zh) * | 2016-08-30 | 2017-03-22 |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 一种自动退出烟蒂的装置 |
CN106376975B (zh) | 2016-09-18 | 2023-10-31 | 上海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 气雾产生装置及其使用方法 |
CN206187398U (zh) * | 2016-11-11 | 2017-05-24 | 陈金柱 | 紧固装置 |
CN207940349U (zh) * | 2018-01-22 | 2018-10-09 | 上海新型烟草制品研究院有限公司 | 松脱机构、气雾产生装置及发烟制品 |
JP7266750B2 (ja) * | 2019-08-28 | 2023-04-28 | フィリップ・モーリス・プロダクツ・ソシエテ・アノニム | エアロゾル発生装置のための弾性封止要素 |
WO2021152035A1 (en) * | 2020-01-29 | 2021-08-05 | Philip Morris Products S.A. | An adjustable retaining member for an aerosol-generating device |
-
2018
- 2018-01-22 CN CN201810060869.3A patent/CN108451028B/zh active Active
- 2018-03-01 EP EP18901048.1A patent/EP3744192A4/en active Pending
- 2018-03-01 WO PCT/CN2018/077765 patent/WO2019140749A1/zh unknown
- 2018-03-01 US US16/652,965 patent/US11559082B2/en active Active
- 2018-03-01 JP JP2020517184A patent/JP6876871B2/ja active Active
- 2018-03-01 KR KR1020207008029A patent/KR102416544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4047A (ko) | 2020-04-28 |
WO2019140749A1 (zh) | 2019-07-25 |
EP3744192A1 (en) | 2020-12-02 |
EP3744192A4 (en) | 2021-10-27 |
US11559082B2 (en) | 2023-01-24 |
CN108451028A (zh) | 2018-08-28 |
JP6876871B2 (ja) | 2021-05-26 |
CN108451028B (zh) | 2024-10-15 |
JP2021502800A (ja) | 2021-02-04 |
US20200323270A1 (en) | 2020-10-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16544B1 (ko) | 배출 기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배출 방법 및 연기 생성 기기 | |
EP3818856B1 (en) | Releasing mechanism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corresponding device | |
CN206687163U (zh) | 低温烘烤烟具 | |
KR102612201B1 (ko) |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세정하도록 구성된 세정 도구,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 도구의 세트 및 세정 도구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세정 방법 | |
CN207940349U (zh) | 松脱机构、气雾产生装置及发烟制品 | |
KR102672786B1 (ko) | 유지 기구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 |
CN105686089A (zh) | 电子烟 | |
CN208941050U (zh) | 雾化器及电子烟 | |
KR102697671B1 (ko) | 저온 로스팅 흡연 도구 | |
HRP960252A2 (en) | Protective and cigarette ejection system for an electrical lighter | |
US20210386119A1 (en) |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 |
KR102535305B1 (ko)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
WO2020119285A1 (zh) | 清洁工具 | |
CN111418907A (zh) | 气雾产生装置与气雾产生装置的控制方法 | |
JP2022502014A (ja) | 蒸気生成装置 | |
KR20210076937A (ko) |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 |
WO2020078134A1 (zh) | 一种气雾产生装置及气雾产生系统 | |
CN110584215B (zh) | 烘烤烟具 | |
EP4260718A1 (en) | Flavor inhaler | |
CN208286372U (zh) | 一种松脱机构以及气雾产生装置 | |
CN108451050B (zh) | 发烟加热器件的分离器及雾化装置 | |
CN220831920U (zh) | 电子雾化装置 | |
KR102372705B1 (ko) | 전자담배 시험장치 및 시험방법 | |
RU2816489C1 (ru) | Заря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генерирующая аэрозоль, с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ой крышкой | |
WO2022167583A1 (en) |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heating of such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