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609B1 - 데이터 처리방법, 프리코딩 방법, 통신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처리방법, 프리코딩 방법, 통신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15609B1 KR102415609B1 KR1020227002641A KR20227002641A KR102415609B1 KR 102415609 B1 KR102415609 B1 KR 102415609B1 KR 1020227002641 A KR1020227002641 A KR 1020227002641A KR 20227002641 A KR20227002641 A KR 20227002641A KR 102415609 B1 KR102415609 B1 KR 1024156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signal points
- symbol
- plane
- ph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04L1/0004—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applied to control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5—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signal space coding, i.e. adding redundancy in the signal constellation, e.g. Trellis Coded Modulation [TCM]
- H03M13/255—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signal space coding, i.e. adding redundancy in the signal constellation, e.g. Trellis Coded Modulation [TCM] with Low Density Parity Check [LDPC] cod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8—Formatting
- H04L1/003—Adaptive formatting arrangements particular to signalling, e.g. variable amount of b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57—Block cod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7—Rate match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71—Use of interleav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04L27/36—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04L27/362—Modulation using more than one carrier, e.g. with quadrature carriers, separately amplitude modulate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부호화부는 N비트의 제 1 비트 열을 출력한다. 매핑부는 입력된 제 2 비트 열 중 제 1 복소신호 s1을 생성하기 위한 제 1 비트 수 X와 제 2 복소신호 s2를 생성하기 위한 제 2 비트 수 Y로부터 얻어지는 비트 수 (X+Y)비트 열을 이용하여 제 1 복소신호 S1과 제 2 복소신호 S2를 생성한다. 상기 부호화부의 후단에 제 2 비트 열의 길이가 X+Y의 값의 배수가 되도록 제 1 비트 열을 조정해서 출력하는 비트길이 조정부를 포함함으로써 블록부호의 부호어 길이와 새로운 변조방식의 세트에 의한 매핑에 필요한 비트 수를 조정한다.
Description
(관련 출원에 관한 언급) 2013년 1월 11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2013-003905호, 2013년 2월 22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2013-033353호 및 2013년 9월 20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2013-195166호에 포함되는 특허청구범위, 명세서, 도면 및 요약서의 개시 내용은 모두 본원에 원용된다.
본 발명은 데이터 처리방법, 프리코딩 방법 및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멀티 안테나를 이용한 통신방법으로 예를 들어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라고 불리는 통신방법이 있다.
MIMO로 대표되는 멀티 안테나 통신에서는 1 이상의 계열의 송신데이터를 변조해, 각 변조신호를 다른 안테나로부터 동일주파수(공통의 주파수)를 이용해 동시에 송신함으로써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높이거나 및/또는 (단위 시간당의)데이터의 통신속도를 높이거나 할 수 있다.
도 72는 공간 다중 MIMO 방식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MIMO 방식은 송신안테나 수 2(TX1, TX2), 수신안테나 수 2(RX1, RX2), 송신변조신호(송신 스트림) 수 2일 때의 송수신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송신장치는 신호생성부 및 무선처리부를 갖는다.
신호생성부는 데이터를 통신로 부호화하고, MIMO 프리코딩 처리를 실행하여, 동일주파수(공통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동시에 송신할 수 있는 2개의 송신신호 z1(t) 및 z2(t)를 생성한다. 무선처리부는 필요에 따라서 개개의 송신신호를 주파수 방향으로 다중화하며, 즉, 멀티 캐리어화(예를 들어 OFDM 방식))하며, 또, 수신장치가 전송로 왜곡이나, 주파수 오프셋, 위상 왜곡 등의 추정을 하기 위한 파일럿신호를 삽입한다(단, 파일럿신호는 다른 왜곡 등을 추정해도 좋고, 또, 파일럿신호를 수신장치가 신호 검출을 위해 이용해도 좋다. 또, 파일럿신호의 수신장치에서의 사용형태는 이것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송신안테나는 2개의 안테나(TX1 및 TX2)를 이용하여 z1(t) 및 z2(t)를 송신한다.
수신장치는 수신안테나(RX1 및 RX2), 무선처리부, 채널변동 추정부 및 신호처리부를 포함한다. 수신안테나(RX1)는 송신장치의 2개의 송신안테나(TX1 및 TX2)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다. 채널변동 추정부는 파일럿신호를 이용하여 채널변동치를 추정하고, 채널변동의 추정치를 신호처리부에 공급한다. 신호처리부는 2개의 수신안테나에서 수신한 신호와 추정된 채널치에 의거하여 z1(t) 및 z2(t)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복원하고 이것을 1개의 수신데이터로서 얻는다. 단, 수신데이터는 「0」 「1」의 경판정치라도 좋고, 대수 우도 또는 대수 우도 비 등의 연판정치라도 좋다.
또, 부호화방법으로 터보 부호나 LDPC(Low-Density Parity-Check) 부호 등의 여러 가지의 부호화방법이 이용되고 있다(비 특허문헌 1, 비 특허문헌 2).
R. G. Gallager, "Low-densityparity-check codes," IRE Trans. Inform. Theory, IT-8, pp-21-28, 1962.
"Performance analysis and design optimization of LDPC-coded MIMO OFDM systems" IEEE Trans. Signal Processing. , vol. 52, no. 2, pp. 348-361, Feb. 2004.
C. Douillard, and C. Berrou, "Turbo codes with rate-m/(m+1) constituent convolutional codes, " IEEE Trans. Commun., vol. 53, no. 10, pp. 1630-1638, Oct. 2005.
C. Berrou, "The ten-year-old turbo codes are entering into service, "IEEE Communication Magazine, vol. 41, no. 8, pp. 110-116, Aug. 2003.
DVB Document A122, Framing structure, channel coding and modulation for a second generation digital terrestrial television broadcasting syste, m (DVB-T2), June 2008.
D. J. C. Mackay, "Good error-correcting codes based on very sparse matrices, " IEEE Trans. Inform. Theory, vol. 45, no. 2, pp399-431, March 1999.
S.M.Alamouti, "A simple transmit diversity techniqu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IEEE J. Select. Areas Commun., vol. 16, no. 8, pp. 1451-1458, Oct 1998.
V. Tarokh, H. Jafrkhani, and A.R.Calderbank, "Space-time block cod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s: Performance results, "IEEE J. Select. Areas Commun., vol. 17, no. 3, no. 3, pp. 451-460, March 1999.
본 발명의 목적은 MIMO 방식을 이용한 때에 LDPC 부호 등의 부호화 방법을 적용한 상태에서의 실장 상의 과제를 해결하는 데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는 데이터 통신을 위한 송수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처리방법은 K비트의 정보 비트 열로부터 N비트의 부호어인 제 1 비트 열(503)을 출력하는 부호화스텝과, 입력된 제 2 비트 열 중 제 1 복소신호 s1을 생성하기 위한 제 1 비트 수 X와 제 2 복소신호 s2를 생성하기 위한 제 2 비트 수 Y로부터 얻어지는 비트 수 (X+Y)비트 열을 이용하여 제 1 복소신호 s1과 제 2 복소신호 s2를 생성하는 매핑스텝과, 상기 부호화스텝 후, 상기 매핑스텝의 전에 상기 제 2 비트 열의 길이가 상기 비트 수 (X+Y)의 배수가 되도록 제 1 비트 열을 조정하여 출력하는 비트길이 조정스텝을 포함한다.
데이터를 처리함에 있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송신방법은, 제 1 부호화율 및 제 1 부호길이를 이용해서 제 1 정보를 부호화하여 제 1 부호화 데이터 계열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부호화율 및 상기 제 1 부호길이와는 다른 제 2 부호길이를 이용해서 제 2 정보를 부호화하여 제 2 부호화 데이터 계열을 생성하며, 제 1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에 상기 제 1 부호화 데이터 계열을 매핑하여 제 1 변조 심벌 계열을 생성하고, 제 2 16QAM 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에 상기 제 2 부호화 데이터 계열을 매핑하여 제 2 변조 심벌 계열을 생성하며, 송신장치와 수신장치와의 사이에서 기지(旣知)의 심벌 군(group)인 파일럿심벌 군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변조 심벌 계열 및 상기 파일럿심벌 군에 의거하여 제 1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을 생성하며, 상기 제 2 변조 심벌 계열 및 상기 파일럿심벌 군에 의거하여 제 2 OFDM 심벌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OFDM 심벌 및 상기 제 2 OFDM 심벌에 의거하여 생성된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제 1 16QAM 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 및 상기 제 2 16QAM 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은 실축(實軸) 및 허축(虛軸)을 가지는 I/Q 평면에 있어서 인접하는 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비균일하고, 상기 제 1 16QAM 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은 상기 I/Q 평면에 있어서 제 1 배치 패턴을 가지며, 상기 제 2 16QAM 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은 상기 I/Q 평면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치 패턴과는 다른 제 2 배치 패턴을 가진다.
데이터를 처리함에 있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수신방법은, 제 1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 및 제 2 OFDM 심벌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OFDM 심벌 및 상기 제 2 OFDM 심벌로부터 파일럿심벌 군을, 상기 제 1 OFDM 심벌로부터 제 1 변조 심벌 계열을, 상기 제 2 OFDM 심벌로부터 제 2 변조 심벌 계열을 각각 추출하며, 상기 파일럿심벌 군은 송신장치와 수신장치와의 사이에서 기지(旣知)의 심벌 군이고, 상기 파일럿심벌 군에 의거하여 제 1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에 매핑된 상기 제 1 변조 심벌 계열을 복조하여 제 1 부호화 데이터 계열을 생성하며, 상기 파일럿심벌 군에 의거하여 제 2 16QAM 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에 매핑된 상기 제 2 변조 심벌 계열을 복조하여 제 2 부호화 데이터 계열을 생성하고, 제 1 부호화율 및 제 1 부호길이를 이용해서 상기 제 1 부호화 데이터 계열을 복호하여 제 1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부호화율 및 상기 제 1 부호길이와는 다른 제 2 부호길이를 이용해서 상기 제 2 부호화 데이터 계열을 복호하여 제 2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 1 16QAM 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 및 상기 제 2 16QAM 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은 실축 및 허축을 가지는 I/Q 평면에 있어서 인접하는 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비균일하고, 상기 제 1 16QAM 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은 상기 I/Q 평면에 있어서 제 1 배치 패턴을 가지며, 상기 제 2 16QAM 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은 상기 I/Q 평면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치 패턴과는 다른 제 2 배치 패턴을 가진다.
데이터를 처리함에 있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수신장치는, 제 1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 및 제 2 OFDM 심벌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와, 상기 제 1 OFDM 심벌 및 상기 제 2 OFDM 심벌로부터 파일럿심벌 군을, 상기 제 1 OFDM 심벌로부터 제 1 변조 심벌 계열을, 상기 제 2 OFDM 심벌로부터 제 2 변조 심벌 계열을 각각 추출하며, 상기 파일럿심벌 군은 송신장치와 수신장치와의 사이에서 기지(旣知)의 심벌 군인 OFDM 심벌 처리 회로와, 상기 파일럿심벌 군에 의거하여 제 1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에 매핑된 상기 제 1 변조 심벌 계열을 복조해서 제 1 부호화 데이터 계열을, 제 2 16QAM 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에 매핑된 상기 제 2 변조 심벌 계열을 복조해서 제 2 부호화 데이터 계열을 각각 생성하는 디매핑 회로와, 제 1 부호화율 및 제 1 부호길이를 이용해서 상기 제 1 부호화 데이터 계열을 복호하여 제 1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부호화율 및 상기 제 1 부호길이와는 다른 제 2 부호길이를 이용해서 상기 제 2 부호화 데이터 계열을 복호하여 제 2 정보를 생성하는 복호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16QAM 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 및 상기 제 2 16QAM 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은 실축 및 허축을 가지는 I/Q 평면에 있어서 인접하는 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비균일하고, 상기 제 1 16QAM 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은 상기 I/Q 평면에 있어서 제 1 배치 패턴을 가지며, 상기 제 2 16QAM 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은 상기 I/Q 평면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치 패턴과는 다른 제 2 배치 패턴을 가진다.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처리방법에 의하면 MIMO 방식을 이용한 때에 LDPC부호 등의 부호화방법을 적용한 상태에서의 실장 상의 과제에 공헌할 수 있다.
도 1은 I-Q 평면에서의 QPSK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2는 I-Q 평면에서의 16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3은 I-Q 평면에서의 64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4는 I-Q 평면에서의 256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5는 송신장치의 구성의 예,
도 6은 송신장치의 구성의 예,
도 7은 송신장치의 구성의 예,
도 8은 신호처리부의 구성의 예,
도 9는 프레임 구성의 예,
도 10은 I-Q 평면에서의 16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1은 I-Q 평면에서의 64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2는 I-Q 평면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3은 I-Q 평면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4는 I-Q 평면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5는 I-Q 평면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6은 I-Q 평면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7은 I-Q 평면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8은 I-Q 평면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9는 I-Q 평면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20은 I-Q 평면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21은 I-Q평면의 제 1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22는 I-Q평면의 제 2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23은 I-Q평면의 제 3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24는 I-Q평면의 제 4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25는 I-Q평면의 제 1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26은 I-Q평면의 제 2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27은 I-Q평면의 제 3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28은 I-Q평면의 제 4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29는 I-Q평면의 제 1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30은 I-Q평면의 제 2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31은 I-Q평면의 제 3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32는 I-Q평면의 제 4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33은 I-Q평면의 제 1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34는 I-Q평면의 제 2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35는 I-Q평면의 제 3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36은 I-Q평면의 제 4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37은 I-Q평면의 제 1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38은 I-Q평면의 제 2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39는 I-Q평면의 제 3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40은 I-Q평면의 제 4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41은 I-Q평면의 제 1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42는 I-Q평면의 제 2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43은 I-Q평면의 제 3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44는 I-Q평면의 제 4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45는 I-Q평면의 제 1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46은 I-Q평면의 제 2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47은 I-Q평면의 제 3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48은 I-Q평면의 제 4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49는 I-Q평면의 제 1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50은 I-Q평면의 제 2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51은 I-Q평면의 제 3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52는 I-Q평면의 제 4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53은 송신안테나와 수신안테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54는 수신장치의 구성의 예,
도 55는 I-Q 평면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56은 I-Q 평면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57은 실시형태 1의 송신장치의 변조신호를 생성하는 부분의 구성도,
도 58은 변조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의 플로차트,
도 59는 실시형태 1의 비트길이 조정처리의 플로차트,
도 60은 실시형태 2의 변조부의 구성,
도 61은 패리티 검사행렬의 예,
도 62는 부분행렬의 구성 예,
도 63은 부호화부(502LA)에서 실행되는 LDPC부호화처리의 플로차트,
도 64는 상기 아큐므레이트 처리를 실현하는 구성의 예의 도면,
도 65는 실시형태 2의 비트길이 조정처리의 플로차트,
도 66은 조정용 비트 열의 생성방법의 예,
도 67은 조정용 비트 열의 생성방법의 예,
도 68은 조정용 비트 열의 생성방법의 예,
도 69는 비트길이 조정부가 생성하는 조정비트 열의 변형 예,
도 70은 비트길이 조정부가 생성하는 조정비트 열의 변형 예,
도 71은 실시형태 2에 관한 발명의 착안의 하나를 설명하는 도면,
도 72는 MIMO 시스템의 개요도,
도 73은 실시형태 3의 변조부의 구성도,
도 74는 비트 인터리버(502BI)의 동작을 출력되는 비트 열에서 설명하는 도면,
도 75는 비트 인터리버(502)의 실장 예,
도 76은 비트길이 조정처리의 예,
도 77은 부가하는 비트 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8은 비트 열 조정부의 삽입의 예,
도 79는 변조부 구성의 변형 예,
도 80은 실시형태 4의 변조부의 구성도,
도 81은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82는 BBFRAME의 길이 K비트와 확보되는 TmpPadNum의 길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83은 도 80과는 다른 변조부의 구성도,
도 84는 비트 열(501~8003)의 비트길이를 설명하는 도면,
도 85는 수신장치의 비트 열 복호부의 예,
도 86은 비트 열 조정부의 입출력을 설명하는 도
도 87은 수신장치의 비트 열 복호부의 예,
도 88은 수신장치의 비트 열 복호부의 예,
도 89는 실시형태 6의 처리를 개념적에서 설명하는 도면,
도 90은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91은 송신 측의 변조부의 구성의 예,
도 92는 각 비트 열의 비트길이를 나타내는 도면,
도 93은 도 91과는 다른 송신 측의 변조부의 구성도,
도 94는 각 비트 열의 비트길이를 나타내는 도면,
도 95는 각 비트 열의 비트길이를 나타내는 도면,
도 96은 수신장치의 비트 열 복호부의 예,
도 97은 프리코딩 관련의 처리를 실행하는 부분의 도면,
도 98은 프리코딩 관련의 처리를 실행하는 부분의 도면,
도 99는 신호처리부의 구성의 일례,
도 100은 2개의 스트림을 송신하는 경우의 시간-주파수에서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
도 101 (A)는 출력되는 제 1 비트 열(503)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B) 출력되는 제 2 비트 열(5703)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2는 (A) 출력되는 제 1 비트 열(503)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B) 출력되는 제 2 비트 열(5703)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3은 (A) 출력되는 제 1 비트 열(503Λ)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B)는 출력되는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7303)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4 (A)는 출력되는 제 1 비트 열(503')(또는 503Λ)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B)는 출력되는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8003)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5 (A)는 출력되는 N비트의 부호어(503)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B)는 출력되는 N-PunNum비트의 데이터 열(9102)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6은 프레임 구성의 개요,
도 107은 동일 시각에 2 종류 이상의 신호가 존재하는 예,
도 108은 송신장치의 구성의 일례,
도 109는 프레임 구성의 예,
도 110은 수신장치의 구성의 예,
도 111은 I-Q 평면에서의 16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12는 I-Q 평면에서의 64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13은 I-Q 평면에서의 256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14는 I-Q 평면에서의 16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15는 I-Q 평면에서의 64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16은 I-Q 평면에서의 256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17은 송신장치의 구성의 일례,
도 118은 수신장치의 구성의 일례,
도 119는 I-Q 평면에서의 16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20은 I-Q 평면에서의 64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21은 I-Q 평면에서의 256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22는 송신장치의 구성의 일례,
도 123은 프레임 구성의 일례,
도 124는 수신장치의 구성의 일례,
도 125는 송신장치의 구성의 일례,
도 126은 프레임 구성의 일례,
도 127은 수신장치의 구성의 일례,
도 128은 시공간블록부호(Space-Time Block Codes)를 이용한 전송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9는 송신장치의 구성의 일례,
도 130은 송신장치의 구성의 일례,
도 131은 송신장치의 구성의 일례,
도 132는 송신장치의 구성의 일례,
도 133은 시공간블록부호(Space-Time Block Codes)를 이용한 전송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I-Q 평면에서의 16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3은 I-Q 평면에서의 64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4는 I-Q 평면에서의 256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5는 송신장치의 구성의 예,
도 6은 송신장치의 구성의 예,
도 7은 송신장치의 구성의 예,
도 8은 신호처리부의 구성의 예,
도 9는 프레임 구성의 예,
도 10은 I-Q 평면에서의 16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1은 I-Q 평면에서의 64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2는 I-Q 평면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3은 I-Q 평면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4는 I-Q 평면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5는 I-Q 평면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6은 I-Q 평면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7은 I-Q 평면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8은 I-Q 평면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9는 I-Q 평면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20은 I-Q 평면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21은 I-Q평면의 제 1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22는 I-Q평면의 제 2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23은 I-Q평면의 제 3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24는 I-Q평면의 제 4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25는 I-Q평면의 제 1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26은 I-Q평면의 제 2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27은 I-Q평면의 제 3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28은 I-Q평면의 제 4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29는 I-Q평면의 제 1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30은 I-Q평면의 제 2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31은 I-Q평면의 제 3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32는 I-Q평면의 제 4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33은 I-Q평면의 제 1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34는 I-Q평면의 제 2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35는 I-Q평면의 제 3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36은 I-Q평면의 제 4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37은 I-Q평면의 제 1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38은 I-Q평면의 제 2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39는 I-Q평면의 제 3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40은 I-Q평면의 제 4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41은 I-Q평면의 제 1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42는 I-Q평면의 제 2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43은 I-Q평면의 제 3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44는 I-Q평면의 제 4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45는 I-Q평면의 제 1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46은 I-Q평면의 제 2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47은 I-Q평면의 제 3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48은 I-Q평면의 제 4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49는 I-Q평면의 제 1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50은 I-Q평면의 제 2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51은 I-Q평면의 제 3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52는 I-Q평면의 제 4 상한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53은 송신안테나와 수신안테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54는 수신장치의 구성의 예,
도 55는 I-Q 평면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56은 I-Q 평면에서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57은 실시형태 1의 송신장치의 변조신호를 생성하는 부분의 구성도,
도 58은 변조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의 플로차트,
도 59는 실시형태 1의 비트길이 조정처리의 플로차트,
도 60은 실시형태 2의 변조부의 구성,
도 61은 패리티 검사행렬의 예,
도 62는 부분행렬의 구성 예,
도 63은 부호화부(502LA)에서 실행되는 LDPC부호화처리의 플로차트,
도 64는 상기 아큐므레이트 처리를 실현하는 구성의 예의 도면,
도 65는 실시형태 2의 비트길이 조정처리의 플로차트,
도 66은 조정용 비트 열의 생성방법의 예,
도 67은 조정용 비트 열의 생성방법의 예,
도 68은 조정용 비트 열의 생성방법의 예,
도 69는 비트길이 조정부가 생성하는 조정비트 열의 변형 예,
도 70은 비트길이 조정부가 생성하는 조정비트 열의 변형 예,
도 71은 실시형태 2에 관한 발명의 착안의 하나를 설명하는 도면,
도 72는 MIMO 시스템의 개요도,
도 73은 실시형태 3의 변조부의 구성도,
도 74는 비트 인터리버(502BI)의 동작을 출력되는 비트 열에서 설명하는 도면,
도 75는 비트 인터리버(502)의 실장 예,
도 76은 비트길이 조정처리의 예,
도 77은 부가하는 비트 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8은 비트 열 조정부의 삽입의 예,
도 79는 변조부 구성의 변형 예,
도 80은 실시형태 4의 변조부의 구성도,
도 81은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82는 BBFRAME의 길이 K비트와 확보되는 TmpPadNum의 길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83은 도 80과는 다른 변조부의 구성도,
도 84는 비트 열(501~8003)의 비트길이를 설명하는 도면,
도 85는 수신장치의 비트 열 복호부의 예,
도 86은 비트 열 조정부의 입출력을 설명하는 도
도 87은 수신장치의 비트 열 복호부의 예,
도 88은 수신장치의 비트 열 복호부의 예,
도 89는 실시형태 6의 처리를 개념적에서 설명하는 도면,
도 90은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91은 송신 측의 변조부의 구성의 예,
도 92는 각 비트 열의 비트길이를 나타내는 도면,
도 93은 도 91과는 다른 송신 측의 변조부의 구성도,
도 94는 각 비트 열의 비트길이를 나타내는 도면,
도 95는 각 비트 열의 비트길이를 나타내는 도면,
도 96은 수신장치의 비트 열 복호부의 예,
도 97은 프리코딩 관련의 처리를 실행하는 부분의 도면,
도 98은 프리코딩 관련의 처리를 실행하는 부분의 도면,
도 99는 신호처리부의 구성의 일례,
도 100은 2개의 스트림을 송신하는 경우의 시간-주파수에서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
도 101 (A)는 출력되는 제 1 비트 열(503)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B) 출력되는 제 2 비트 열(5703)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2는 (A) 출력되는 제 1 비트 열(503)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B) 출력되는 제 2 비트 열(5703)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3은 (A) 출력되는 제 1 비트 열(503Λ)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B)는 출력되는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7303)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4 (A)는 출력되는 제 1 비트 열(503')(또는 503Λ)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B)는 출력되는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8003)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5 (A)는 출력되는 N비트의 부호어(503)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B)는 출력되는 N-PunNum비트의 데이터 열(9102)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6은 프레임 구성의 개요,
도 107은 동일 시각에 2 종류 이상의 신호가 존재하는 예,
도 108은 송신장치의 구성의 일례,
도 109는 프레임 구성의 예,
도 110은 수신장치의 구성의 예,
도 111은 I-Q 평면에서의 16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12는 I-Q 평면에서의 64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13은 I-Q 평면에서의 256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14는 I-Q 평면에서의 16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15는 I-Q 평면에서의 64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16은 I-Q 평면에서의 256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17은 송신장치의 구성의 일례,
도 118은 수신장치의 구성의 일례,
도 119는 I-Q 평면에서의 16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20은 I-Q 평면에서의 64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21은 I-Q 평면에서의 256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
도 122는 송신장치의 구성의 일례,
도 123은 프레임 구성의 일례,
도 124는 수신장치의 구성의 일례,
도 125는 송신장치의 구성의 일례,
도 126은 프레임 구성의 일례,
도 127은 수신장치의 구성의 일례,
도 128은 시공간블록부호(Space-Time Block Codes)를 이용한 전송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9는 송신장치의 구성의 일례,
도 130은 송신장치의 구성의 일례,
도 131은 송신장치의 구성의 일례,
도 132는 송신장치의 구성의 일례,
도 133은 시공간블록부호(Space-Time Block Codes)를 이용한 전송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원 발명의 각 실시형태의 설명에 앞서, 이후의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발명이 적용 가능한 송신방법 및 수신방법과 이들을 이용하는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의 구성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구성 예 R1)
도 5는 기지국(방송국, 액세스포인트 등)의 송신장치에 있어서 전송방식의 전환이 가능한 때의 변조신호를 생성하는 부분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본 구성 예에서는 전환 가능한 전송방식의 하나로 2개의 스트림을 송신하는(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방식) 전송방법이 있는 것으로 한다.
기지국(방송국, 액세스포인트 등)의 송신장치가 2개의 스트림을 송신하는 경우의 전송방법에 대해서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의 부호화부(502)는 정보(501) 및 제어신호(512)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512)에 포함되는 부호화율, 부호길이(블록길이)의 정보에 의거하여 부호화를 실시해서 부호화 후의 데이터(503)를 출력한다.
매핑부(504)는 부호화 후의 데이터(503), 제어신호(512)를 입력으로 한다. 그리고 제어신호(512)가 전송방식으로 2개의 스트림을 송신하는 것을 지정한 것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제어신호(512)가 2개의 스트림의 각 변조방식으로 변조방식 α와 변조방식 β를 지정한 것으로 한다. 또, 변조방식 α는 x비트의 데이터를 변조하는 변조방식, 변조방식 β는 y비트의 데이터를 변조하는 변조방식으로 한다(예를 들어 16QAM(16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인 경우 4비트의 데이터를 변조하는 변조방식이며, 64QAM(64 Quadrature mplitude Modulation)인 경우 6비트의 데이터를 변조하는 변조방식이다).
그러면 매핑부(504)는 x+y비트의 데이터 중의 x비트의 데이터에 대해 변조방식 α로 변조해서 베이스밴드신호 s1(t)(505A)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또, 나머지의 y비트의 데이터의 데이터에 대해서 변조방식 β로 변조해서 베이스밴드신호 s2(t)(505B)를 출력한다(또, 도 5에서는 매핑부를 하나로 하고 있으나, 이와는 다른 구성으로 s1(t)를 생성하기 위한 매핑부와 s2(t)를 생성하기 위한 매핑부가 별도로 존재하고 있어도 좋다. 이때, 부호화 후의 데이터(503)는 s1(t)를 생성하기 위한 매핑부와 s2(t)를 생성하기 위한 매핑부로 구분되게 된다).
또, s1(t) 및 s2(t)는 복소수로 표현되며(단, 복소수, 실수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 t는 시간이다. 또,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등의 멀티 캐리어를 이용한 전송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 s1 및 s2는 s1(f) 및 s2(f)와 같이 주파수 f의 함수, 또는, s1(t, f) 및 s2(t, f)와 같이 시간 t, 주파수 f의 함수로 생각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베이스밴드신호, 프리코딩 행렬, 위상변경 등을 시간 t의 함수로서 설명하고 있으나, 주파수 f의 함수, 시간 t 및 주파수 f의 함수로 생각해도 좋다.
따라서, 베이스밴드신호, 프리코딩 행렬, 위상변경 등을 심벌번호 i의 함수로서 설명을 진행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 시간 t의 함수, 주파수 f의 함수, 시간 t 및 주파수 f의 함수로 생각하면 좋다.
즉, 심벌과 베이스밴드신호를 시간 축 방향으로 생성해서 배치해도 좋고, 주파수 축 방향으로 생성해서 배치해도 좋다. 또, 심벌과 베이스밴드신호를 시간 축 방향 및 주파수축 방향으로 생성해서 배치해도 좋다.
파워 변경부(506A)(파워 조정부 506A)는 베이스밴드신호 s1(t)(505A) 및 제어신호(512)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512)에 의거하여 실수 P1을 설정하고, P1×s1(t)를 파워변경 후의 신호(507A)로서 출력한다(또, P1을 실수로 하고 있으나 복소수라도 좋다).
마찬가지로, 파워 변경부(506B)(파워 조정부 506B)는 베이스밴드신호 s2(t)(505B) 및 제어신호(512)를 입력으로 하여 실수 P2를 설정하고, P2×s2(t)를 파워변경 후의 신호(507B)로서 출력한다(또, P2를 실수로 하고 있으나 복소수라도 좋다).
가중 합성부(508)는 파워변경 후의 신호(507A), 파워변경 후의 신호(507B) 및 제어신호(512)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512)에 의거하여 프리코딩 행렬 F(또는 F(i))를 설정한다. 슬롯번호(심벌번호)를 i로 하면 가중 합성부(508)는 이하의 연산을 실행한다.
여기서, a(i), b(i), c(i), d(i)는 복소수로 표현할 수 있고(실수라도 좋다), a(i), b(i), c(i), d(i) 중 3개 이상이 0(제로)이어서는 안 된다. 또, 프리코딩 행렬은 i의 함수라도 좋고 i의 함수가 아니라도 좋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이 i의 함수일 때 프리코딩 행렬이 슬롯번호(심벌번호)에 의해 바뀌게 된다.
그리고 가중 합성부(508)는 식 (R1)에서의 u1(i)를 가중합성 후의 신호(509A)로서 출력하고, 식 (R1)에서의 u2(i)를 가중합성 후의 신호(509B)로서 출력한다.
파워 변경부(510A)는 가중합성 후의 신호(509A)(u1(i)) 및 제어신호(512)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512)에 의거하여 실수 Q1을 설정해, Q1×u1(t)를 파워변경 후의 신호(511A)(z1(i))로서 출력한다(또, Q1을 실수로 하고 있으나, 복소수라도 좋다).
같이 파워 변경부(510B)는 가중합성 후의 신호(509B)(u2(i)) 및 제어신호(512)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512)에 의거하여 실수 Q2를 설정하고, Q2×u2(t)를 파워변경 후의 신호(511A)(z2(i))로서 출력한다(또, Q2를 실수로 하고 있으나 복소수라도 좋다).
따라서 이하의 식이 성립한다.
다음에, 도 5와는 다른 2개의 스트림을 송신하는 경우의 전송방법에 대해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도 6에 있어서 도 5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위상변경부(501)는 식 (R1)에서의 u2(i)를 가중합성 후의 신호(509B) 및 제어신호(512)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512)에 의거하여 식 (R1)에서의 u2(i)를 가중합성 후의 신호(509B)의 위상을 변경한다. 따라서, 식 (R1)에서의 u2(i)를 가중합성 후의 신호(509B)의 위상을 변경한 후의 신호는 ejθ(i)×u2(i)로 나타내지고, ejθ(i)×u2(i)가 위상변경 후의 신호(602)로서 위상변경부(601)는 출력한다(j는 허수 단위). 또, 변경하는 위상의 값은 θ(i)와 같이 i의 함수인 것이 특징적인 부분이 된다.
그리고 도 6의 파워 변경부(510A 및 510B)는 입력신호의 파워 변경을 각각 실시한다. 따라서, 도 6에서의 파워 변경부(510A 및 510B)의 각각의 출력 z1(i), z2(i)는 다음 식과 같이 표시된다.
또, 식 (R3)을 실현하는 방법으로, 도 6과 다른 구성으로 도 7이 있다. 도 6과 도 7이 다른 점은 파워 변경부와 위상변경부의 순번이 바뀌어 있다는 점이다(파워 변경을 실행한다, 위상변경을 실행한다고 하는 기능 자신은 변하지 않는다). 이때, z1(i), z2(i)는 다음 식과 같이 표시된다.
또, 식 (R3)의 z1(i)와 식 (R4)의 z1(i)는 동일하고, 또, 식 (R3)의 z2(i)와 식 (R4)의 z2(i)도 동일하다.
식 (R3) 및 식 (R4)에서의 변경하는 위상의 값 θ(i)는 예를 들어 θ(i+1)-θ(i)가 고정치가 되도록 설정하면 직접파가 지배적인 전파의 전파환경에 있어서 수신장치는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단, 변경하는 위상의 값 θ(i)의 인가방법은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도 5 내지 도 7에서 얻은 신호 z1(i), z2(i)에 대해서 실행하는 신호처리부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삽입부(804A)는 신호 z1(i)(801A), 파일럿심벌(802A), 제어정보심벌(803A) 및 제어신호(512)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512)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에 따라서, 신호(심벌) z1(i)(801A)에 파일럿심벌(802A) 및 제어정보심벌(803A)을 삽입하여 프레임 구성에 따른 변조신호(805A)를 출력한다.
또, 파일럿심벌(802A) 및 제어정보심벌(803A)는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나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등으로 변조된 심벌이다(다른 변조방식을 이용해도 좋다).
무선부(806A)는 변조신호(805A) 및 제어신호(512)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512)에 의거하여, 변조신호(805A)에 대해 주파수변환, 증폭 등의 처리를 실행하여(OFDM 방식을 이용하고 있을 때는 역 푸리에변환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송신신호(807A)를 출력하며, 송신신호(807A)는 안테나(808A)로부터 전파로서 출력된다.
삽입부(804B)는 신호 z2(i)(801B), 파일럿심벌(802B), 제어정보심벌(803B) 및 제어신호(512)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512)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에 따라서, 신호(심벌) z2(i)(801B)에 파일럿심벌(802B), 제어정보심벌(803B)을 삽입하여 프레임 구성에 따른 변조신호(805B)를 출력한다.
또, 파일럿심벌(802B) 및 제어정보심벌(803B)는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나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등으로 변조된 심벌이다(다른 변조방식을 이용해도 좋다).
무선부(806B)는 변조신호(805B) 및 제어신호(512)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512)에 의거하여 변조신호(805B)에 대해서 주파수변환, 증폭 등의 처리를 실행해서(OFDM 방식을 이용하고 있을 때는 역 푸리에변환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송신신호(807B)를 출력하며, 송신신호(807B)는 안테나(808B)로부터 전파로서 출력된다.
여기서, 신호 z1(i)(801A)와 신호 z2(i)(801B)에 있어서 i가 동일 번호의 신호 z1(i)(801A)와 신호 z2(i)(801B)는 동일(공통)의 주파수를 동일시간에 각각 다른 안테나로부터 송신되게 된다(즉, MIMO 방식을 이용한 전송방법이 된다).
또, 파일럿심벌(802A) 및 파일럿심벌(802B)는 수신장치에 있어서 신호 검출, 주파수 오프셋의 추정, 게인 컨트롤, 채널추정 등을 실행하기 위한 심벌이며, 여기에서는 파일럿심벌이라고 이름 붙이고 있으나, 레퍼런스 심벌 등의 다른 호칭으로 해도 좋다.
그리고 제어정보심벌(803A) 및 제어정보심벌(803B)는 송신장치가 이용한 변조방식의 정보, 전송방식의 정보, 프리코딩 방식의 정보, 오류정정 부호방식의 정보, 오류정정부호의 부호화율 정보, 오류정정부호의 블록길이(부호길이)의 정보 등을 수신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심벌이다. 또, 제어정보심벌(803A) 및 제어정보심벌(803B)의 일방만으로 제어정보심벌을 송신해도 좋다.
도 9는 2개의 스트림을 송신하는 경우의 시간-주파수에서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있어서 횡축은 주파수이고 종축은 시간이며, 일례로 캐리어 1에서 캐리어 38, 시간 $1에서 시간 $11의 심벌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도 8의 안테나(806A)로부터 송신하는 송신신호의 프레임 구성과 안테나(808B)로부터 송신하는 송신신호의 프레임을 동시에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있어서, 도 8의 안테나(806A)로부터 송신하는 송신신호의 프레임인 경우 데이터심벌은 신호(심벌) z1(i)에 상당한다. 그리고 파일럿심벌은 파일럿심벌(802A)에 상당한다.
도 9에 있어서 도 8의 안테나(806B)로부터 송신하는 송신신호의 프레임인 경우 데이터심벌은 신호(심벌) z2(i)에 상당한다. 그리고 파일럿심벌은 파일럿심벌(802B)에 상당한다.
(따라서, 앞에서도 설명한 것과 같이, 신호 z1(i)(801A)와 신호 z2(i)(801B)에 있어서 i가 동일한 번호의 신호 z1(i)(801A)와 신호 z2(i)(801B)는 동일(공통)한 주파수를 동일시간에 각각 다른 안테나로부터 송신되게 된다. 또, 파일럿심벌의 구성은 도 9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파일럿심벌의 시간 간격, 주파수 간격은 도 9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 9에서는 도 8의 안테나(806A) 및 도 8의 안테나(806B)로부터 동일 시각, 동일주파수(동일(서브) 캐리어)에 파일럿심벌이 송신되는 프레임 구성으로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시간 A, 주파수 a((서브) 캐리어 a)에 있어서 도 8의 안테나(806A)에 파일럿심벌을 배치하고, 시간 A, 주파수 a((서브) 캐리어 a)에 있어서 도 8의 안테나(806B)에는 심벌을 배치하지 않는 것으로 하며, 시간 B, 주파수 b((서브) 캐리어 b)에 있어서 도 8의 안테나(806A)에 심벌을 배치하지 않는 것으로 하고, 시간 B, 주파수 b((서브) 캐리어 b)에 있어서 도 8의 안테나(806B)에 파일럿심벌을 배치하는 것으로 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도 9에서는 데이터심벌과 파일럿심벌 밖에 기술하고 있지 않으나, 다른 심벌, 예를 들어 제어정보심벌 등의 심벌이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도 5에서 도 7에 있어서, 파워 변경부의 일부(또는 전부)가 존재하는 경우를 예에서 설명하였으나, 파워 변경부의 일부가 없는 경우도 생각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있어서 파워 변경부(506A)(파워 조정부 506A), 파워 변경부(506B)(파워 조정부 506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z1(i) 및 z2(i)는 이하와 같이 표시된다.
또, 도 5에 있어서 파워 변경부(510A)(파워 조정부 510A), 파워 변경부(510B)(파워 조정부 510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z1(i) 및 z2(i)는 이하와 같이 표시된다.
또, 도 5에 있어서 파워 변경부(506A)(파워 조정부 506A), 파워 변경부(506B)(파워 조정부 506B), 파워 변경부(510A)(파워 조정부 510A), 파워 변경부(510B)(파워 조정부 510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z1(i) 및 z2(i)는 이하와 같이 표시된다.
또, 도 6 또는 도 7에 있어서 파워 변경부(506A)(파워 조정부 506A), 파워 변경부(506B)(파워 조정부 506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z1(i) 및 z2(i)는 이하와 같이 표시된다.
또, 도 6 또는 도 7에 있어서 파워 변경부(510A)(파워 조정부 510A), 파워 변경부(510B)(파워 조정부 510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z1(i) 및 z2(i)는 이하와 같이 표시된다.
또, 도 6 또는 도 7에 있어서 파워 변경부(506A)(파워 조정부 506A), 파워 변경부(506B)(파워 조정부 506B), 파워 변경부(510A)(파워 조정부 510A), 파워 변경부(510B)(파워 조정부 510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z1(i) 및 z2(i)는 이하와 같이 표시된다.
다음에, 베이스밴드신호 s1(t)(505A)와 베이스밴드신호 s1(t)(505B)를 생성하기 위한 변조방식의 매핑 방법의 예로 QPSK, 16QAM, 64QAM, 256QAM의 매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QPSK의 매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QPSK의 신호점 배치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에 있어서 4개의 ○이 QPSK의 신호점이며, 횡축은 I, 종축은 Q가 된다.
QPSK의 4개의 신호 점(도 1의 「○」이 신호점이다)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는 (wq, wq), (-wq, wqq), (wq,-wq), (-wq,-wq)가 된다(wq는 0보다 큰 실수가 된다).
여기서, 송신하는 비트(입력 비트)를 b0, b1로 한다. 예를 들어 송신하는 비트가 (b0, b1)=(0, 0)인 경우 도 1에서의 신호점(501)에 매핑 되며,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을 I, 직교성분을 Q로 하면 (I, Q)=(wq, wq)가 된다.
즉, 송신하는 비트(b0, b1)에 의거하여 (QPSK 변조시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가 결정된다. 또, b0B1세트 (0 0~1 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의 일례는 도 1과 같다. QPSK의 4개의 신호점(도 1의 「○」)(wq, wq), (-wq, wq), (wq,-wq), (-wq,-wq)의 바로 아래에 b0b1의 세트 0 0~1 1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b0B1세트 0 0~1 1의 바로 위의 신호점(「○」)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가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및 직교성분 Q가 된다. 또, QPSK 시의 b0B1세트 (0 0~1 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는 도 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QPSK 변조 시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를 복소 표현한 값이 베이스밴드신호(s1(t) 또는 s2(t))가 된다.
16QAM의 매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6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2에 있어서 16개의 ○이 16QAM의 신호점이며, 횡축은 I, 종축은 Q가 된다.
16QAM의 16개의 신호점(도 2의 「○」이 신호점이다)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는 (3w16, 3w16), (3w16, w16), (3w16,-w16), (3w16,-3w16), (w16, 3w16), (w16, w16), (w16,-w16), (w16,-3w16), (-w16, 3w16), (-w16, w16), (-w16,-w16), (-w16,-3w16), (-3w16, 3w16), (-3w16, w16), (-3w16,-w16), (-3w16,-3w16)이 된다(w16은 0보다 큰 실수가 된다).
여기서, 송신하는 비트(입력 비트)를 b0, b1, b2, b3으로 한다. 예를 들어 송신하는 비트가 (b0, b1, b2, b3)=(0, 0, 0, 0)인 경우, 도 2에서의 신호점(201)에 매핑 되고,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을 I, 직교성분을 Q로 하면 (I, Q)=(3w16, 3w16)이 된다.
즉, 송신하는 비트(b0, b1, b2, b3)에 의거하여 (16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가 결정된다. 또, b0, b1, b2, b3의 세트 (0000~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의 일례는 도 2와 같다. 16QAM의 16개의 신호점(도 2의 「○」)(3w16, 3w16), (3w16, w16), (3w16,-w16), (3w16,-3w16), (w16, 3w16), (w16, w16), (w16,-w16), (w16,-3w16), (-w16, 3w16), (-w16, w16), (-w16,-w16), (-w16,-3w16), (-3w16, 3w16), (-3w16, w16), (-3w16,-w16), (-3w16,-3w16)의 바로 아래에 b0, b1, b2, b3의 세트 0000~1111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b0, b1, b2, b3의 세트 0000~1111의 바로 위의 신호점(「○」)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가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및 직교성분 Q가 된다. 또, 16QAM일 때의 b0, b1, b2, b3의 세트 (0000~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는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16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를 복소 표현한 값이 베이스밴드신호(s1(t) 또는 s2(t))가 된다.
64QAM의 매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64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3에 있어서 64개의 ○이 64QAM의 신호점이며, 횡축은 I, 종축은 Q가 된다.
64QAM의 64개의 신호점(도 3의 「○」이 신호점이다)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는,
(7w64, 7w64), (7w64, 5w64), (7w64, 3w64), (7w64, w64), (7w64,-w64), (7w64,-3w64), (7w64,-5w64), (7w64, -7w64)
(5w64, 7w64), (5w64, 5w64), (5w64, 3w64), (5w64, w64), (5w64,-w64), (5w64,-3w64), (5w64,-5w64), (5w64, -7w64)
(3w64, 7w64), (3w64, 5w64), (3w64, 3w64), (3w64, w64), (3w64,-w64), (3w64,-3w64), (3w64,-5w64), (3w64, -7w64)
(w64, 7w64), (w64, 5w64), (w64, 3w64), (w64, w64), (w64,-w64), (w64,-3w64), (w64,-5w64), (w64, -7w64)
(-w64, 7w64), (-w64, 5w64), (-w64, 3w64), (-w64, w64), (-w64,-w64), (-w64,-3w64), (-w64,-5w64), (-w64,-7w64)
(-3w64, 7w64), (-3w64, 5w64), (-3w64, 3w64), (-3w64, w64), (-3w64,-w64), (-3w64,-3w64),(-3w64,-5w64), (-3w64,-7w64)
(-5w64, 7w64), (-5w64, 5w64), (-5w64, 3w64), (-5w64, w64), (-5w64,-w64), (-5w64,-3w64), (-5w64,-5w64), (-5w64,-7w64)
(-7w64, 7w64), (-7w64, 5w64), (-7w64, 3w64), (-7w64, w64), (-7w64,-w64), (-7w64,-3w64), (-7w64,-5w64), (-7w64,-7w64)
가 된다(w64는 0보다 큰 실수가 된다).
여기서, 송신하는 비트(입력 비트)를 b0, b1, b2, b3, b4, b5로 한다. 예를 들어 송신하는 비트가 (b0, b1, b2, b3, b4, b5)=(0, 0, 0, 0, 0, 0)인 경우에, 도 3에서의 신호점(301)에 매핑 되며,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을 I, 직교성분을 Q로 하면 (I, Q)=(7w64, 7w64)가 된다.
즉, 송신하는 비트 (b0, b1, b2, b3, b4, b5)에 의거하여 (64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가 결정된다. 또,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의 일례는 도 3과 같다. 64QAM의 64개의 신호점(도 3의 「○」)(7w64, 7w64), (7w64, 5w64), (7w64, 3w64), (7w64, w64), (7w64,-w64), (7w64,-3w64), (7w64,-5w64), (7w64,-7w64)
(5w64, 7w64), (5w64, 5w64), (5w64, 3w64), (5w64, w64), (5w64,-w64), (5w64,-3w64), (5w64,-5w64), (5w64,-7w64)
(3w64, 7w64), (3w64, 5w64), (3w64, 3w64), (3w64, w64), (3w64,-w64), (3w64,-3w64), (3w64,-5w64), (3w64,-7w64)
(w64, 7w64), (w64, 5w64), (w64, 3w64), (w64, w64), (w64,-w64), (w64,-3w64), (w64,-5w64), (w64,-7w64)
(-w64, 7w64), (-w64, 5w64), (-w64, 3w64), (-w64, w64), (-w64,-w64), (-w64,-3w64), (-w64,-5w64), (-w64,-7w64)
(-3w64, 7w64), (-3w64, 5w64), (-3w64, 3w64), (-3w64, w64), (-3w64,-w64), (-3w64,-3w64), (-3w64,-5w64), (-3w64,-7w64)
(-5w64, 7w64), (-5w64, 5w64), (-5w64, 3w64), (-5w64, w64), (-5w64,-w64), (-5w64,-3w64), (-5w64,-5w64), (-5w64,-7w64)
(-7w64, 7w64), (-7w64, 5w64), (-7w64, 3w64), (-7w64, w64), (-7w64,-w64), (-7w64,-3w64), (-7w64,-5w64), (-7w64,-7w64)의 바로 아래에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의 바로 위의 신호점(「○」)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가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및 직교성분 Q가 된다. 또, 64QAM일 때의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는 도 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64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를 복소 표현한 값이 베이스밴드신호(s1(t) 또는 s2(t))가 된다.
256QAM의 매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256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4에 있어서 256개의 ○이 256QAM의 신호점이다.
256QAM의 256개의 신호점(도 4의 「○」이 신호점이다)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는,
(15w256, 15w256), (15w256, 13w256), (15w256, 11w256), (15w256, 9w256), (15w256, 7w256), (15w256, 5w256), (15w256, 3w256), (15w256, w256), (15w256, -15w256), (15w256, -13w256), (15w256, -11w256), (15w256, -9w256), (15w256, -7w256), (15w256, -5w256), (15w256, -3w256), (15w256, -w256),
(13w256, 15w256), (13w256, 13w256), (13w256, 11w256), (13w256, 9w256), (13w256, 7w256), (13w256, 5w256), (13w256, 3w256), (13w256, w256 ), (13w256, -15w256), (13w256, -13w256), (13w256, -11w256), (13w256, -9w256), (13w256, -7w256), (13w256, -5w256), (13w256, -3w256), (13w256, -w256),
(11w256, 15w256), (11w256, 13w256), (11w256, 11w256), (11w256, 9w256), (11w256, 7w256), (11w256, 5w256), (11w256, 3w256), (11w256, w256), (11w256, -15w256), (11w256, -13w256), (11w256, -11w256), (11w256, -9w256), (11w256, -7w256), (11w256, -5w256), (11w256, -3w256), (11w256, -w256),
(9w256, 15w256), (9w256, 13w256), (9w256, 11w256), (9w256, 9w256), (9w256, 7w256), (9w256, 5w256), (9w256, 3w256), (9w256, w256), (9w256, -15w256), (9w256, -13w256), (9w256, -11w256), (9w256, -9w256), (9w256, -7w256), (9w256, -5w256), (9w256, -3w256), (9w256, -w256),
(7w256, 15w256), (7w256, 13w256), (7w256, 11w256), (7w256, 9w256), (w256, 7w256), (7w256, 5w256), (7w256, 3w256), (7w256, w256), (7w256, -15w256), (7w256, -13w256), (7w256, -11w256), (7w256, -9w256), (7w256, -7w256), (7w256, -5w256), (7w256, -3w256), (7w256, -w256),
(5w256, 15w256), (5w256, 13w256), (5w256, 11w256), (5w256, 9w256), (5w256, 7w256), (5w256, 5w256), (5w256, 3w256), (5w256, w256), (5w256, -15w256), (5w256, -13w256), (5w256, -11w256), (5w256, -9w256), (5w256, -7w256), (5w256, -5w256), (5w256, -3w256), (5w256, -w256),
(3w256, 15w256), (3w256, 13w256), (3w256, 11w256), (3w256, 9w256), (3w256, 7w256), (3w256, 5w256), (3w256, 3w256), (3w256, w256), (3w256, -15w256), (3w256, -13w256), (3w256, -11w256), (3w256, -9w256), (3w256, -7w256), (3w256, -5w256), (3w256, -3w256), (3w256, -w256),
(w256, 15w256), (w256, 13w256), (w256, 11w256), (w256, 9w256), (w256, 7w256), (w256 5w256), (w256, 3w256), (w256, w256), (w256, -15w256), (w256, -13w256), (w256, -11w256), (w256, -9w256), (w256, -7w256), (w256, -5w256), (w256, -3w256), (w256, -w256),
(-15w256, 15w256), (-15w256, 13w256), (-15w256, 11w256), (-15w256, 9w256), (-15w256, 7w256), (-15w256, 5w256), (-15w256, 3w256), (-15w256, w256), (-15w256,-15w256), (-15w256,-13w256), (-15w256,-11w256), (-15w256,-9w256), (-15w256,-7w256), (-15w256,-5w256), (-15w256,-3w256), (-15w256,-w256),
(-13w256, 15w256), (-13w256, 13w256), (-13w256, 11w256), (-13w256, 9w256), (-13w256, 7w256), (-13w256, 5w256), (-13w256, 3w256), (-13w256, w256), (-13w256,-15w256), (-13w256,-13w256), (-13w256,-11w256), (-13w256,-9w256), (-13w256,-7w256), (-13w256,-5w256), (-13w256,-3w256), (-13w256,-w256),
(-11w256, 15w256), (-11w256, 13w256), (-11w256, 11w256), (-11w256, 9w256), (-11w256, 7w256), (-11w256, 5w256), (-11w256, 3w256), (-11w256, w256), (-11w256,-15w256), (-11w256,-13w256), (-11w256,-11w256), (-11w256,-9w256), (-11w256,-7w256), (-11w256,-5w256), (-11w256,-3w256), (-11w256,-w256),
(-9w256, 15w256), (-9w256, 13w256), (-9w256, 11w256), (-9w256, 9w256), (-9w256, 7w256), (-9w256, 5w256), (-9w256, 3w256), (-9w256, w256), (-9w256,-15w256), (-9w256,-13w256), (-9w256,-11w256), (-9w256,-9w256), (-9w256,-7w256), (-9w256,-5w256), (-9w256,-3w256), (-9w256,-w256),
(-7w256, 15w256), (-7w256, 13w256), (-7w256, 11w256), (-7w256, 9w256), (-7w256, 7w256), (-7w256, 5w256), (-7w256, 3w256), (-7w256, w256), (-7w256,-15w256), (-7w256,-13w256), (-7w256,-11w256), (-7w256,-9w256), (-7w256,-7w256), (-7w256,-5w256), (-7w256,-3w256), (-7w256,-w256),
(-5w256, 15w256), (-5w256, 13w256), (-5w256, 11w256), (-5w256, 9w256), (-5w256, 7w256), (-5w256, 5w256), (-5w256, 3w256), (-5w256, w2566), (-5w256,-15w256), (-5w256,-13w256), (-5w256,-11w2566), (-5w256,-9w256), (-5w256,-7w256), (-5w256,-5w256), (-5w256,-3w256), (-5w256,-w256),
(-3w256, 15w256), (-3w256, 13w256), (-3w256, 11w256), (-3w256, 9w256), (-3w256, 7w256), (-3w256, 5w256), (-3w256, 3w256), (-3w256, w256), (-3w256,-15w256), (-3w256,-13w256), (-3w256,-11w256), (-3w256,-9w256), (-3w256,-7w256), (-3w256,-5w256), (-3w256,-3w256), (-3w256,-w256),
(-w256, 15w256), (-w256, 13w256), (-w256, 11w256), (-w256, 9w256), (-w256, 7w256), (-w256, 5w256), (-w256, 3w256), (-w256, w256), (-w256,-15w256), (-w256,-13w256), (-w256,-11w256), (-w256,-9w256), (-w256,-7w256), (-w256,-5w256), (-w256,-3w256), (-w256,-w256)
이 된다(w256은 0보다 큰 실수가 된다).
여기서, 송신하는 비트(입력 비트)를 b0, b1, b2, b3, b4, b5, b6, b7로 한다. 예를 들어 송신하는 비트가 (b0, b1, b2, b3, b4, b5, b6, b7)=(0, 0, 0, 0, 0, 0, 0, 0)인 경우, 도 4에서의 신호점(401)에 매핑 되며,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을 I, 직교성분을 Q로 하면 (I, Q)=(15w256, 15w256)이 된다.
즉, 송신하는 비트(b0, b1, b2, b3, b4, b5, b6, b7)에 의거하여 (256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가 결정된다. 또, b0, b1, b2, b3, b4, b5, b6, b7의 세트 (00000000~1111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의 일례는 도 4와 같다. 256QAM의 256개의 신호점(도 4의 「○」)
(15w256, 15w256), (15w256, 13w256), (15w256, 11w256), (15w256, 9w256), (15w256, 7w256), (15w256, 5w256), (15w256, 3w256), (15w256, w256), (15w256, -15w256), (15w256, -13w256), (15w256, -11w256), (15w256, -9w256), (15w256, -7w256), (15w256, -5w256), (15w256, -3w256), (15w256, -w256),
(13w256, 15w256), (13w256, 13w256), (13w256, 11w256), (13w256, 9w256), (13w256, 7w256), (13w256, 5w256), (13w256, 3w256), (13w256, w256), (13w256, -15w256), (13w256,-13w256), (13w256,-11w256), (13w256,-9w256), (13w256,-7w256), (13w256,-5w256), (13w256,-3w256), (13w256,-w256),
(11w256, 15w256), (11w256, 13w256), (11w256, 11w256), (11w256, 9w256), (11w256, 7w256), (11w256, 5w256), (11w256, 3w256), (11w256, w256), (11w256,-15w256), (11w256,-13w256), (11w256,-11w256), (11w256,-9w256), (11w256,-7w256), (11w256,-5w256), (11w256,-3w256), (11w256,-w256),
(9w256, 15w256), (9w256, 13w256), (9w256, 11w256), (9w256, 9w256), (9w256, 7w256), (9w256, 5w256), (9w256, 3w256), (9w256, w256), (9w256,-15w256), (9w256,-13w256), (9w256,-11w256), (9w256,-9w256), (9w256,-7w256), (9w256,-5w256), (9w256,-3w256), (9w256,-w256),
(7w256, 15w256), (7w256, 13w256), (7w256, 11w256), (7w256, 9w256), (7w256, 7w256), (7w256, 5w256), (7w256, 3w256), (7w256, w256), (7w256,-15w256), (7w256,-13w256), (7w256,-11w256), (7w256,-9w256), (7w256,-7w256), (7w256,-5w256), (7w256,-3w256), (7w256,-w256),
(5w256, 15w256), (5w256, 13w256), (5w256, 11w256), (5w256, 9w256), (5w256, 7w256), (5w256, 5w256), (5w256, 3w256), (5w256, w256), (5w256,-15w256), (5w256,-13w256), (5w256,-11w256), (5w256,-9w256), (5w256,-7w256), (5w256,-5w256), (5w256,-3w256), (5w256,-w256),
(3w256, 15w256), (3w256, 13w256), (3w256, 11w256), (3w256, 9w256), (3w256, 7w256), (3w256, 5w256), (3w256, 3w256), (3w256, w256), (3w256,-15w256), (3w256,-13w256), (3w256,-11w256), (3w256,-9w256), (3w256,-7w256), (3w256,-5w256), (3w256,-3w256), (3w256,-w256),
(w256, 15w256), (w256, 13w256), (w256, 11w256), (w256, 9w256), (w256, 7w256), (w256, 5w256), (w256, 3w256), (w256, w256), (w256,-15w256), (w256,-13w256), (w256,-11w256), (w256,-9w256), (w256,-7w256), (w256,-5w256), (w256,-3w256), (w256,-w256),
(-15w256, 15w256), (-15w256, 13w256), (-15w256, 11w256), (-15w256, 9w256), (-15w256, 7w256), (-15w256, 5w256), (-15w256, 3w256), (-15w256, w256), (-15w256,-15w256), (-15w256,-13w2566), (-15w256,-11w256), (-15w256,-9w256), (-15w256,-7w256), (-15w256,-5w256), (-15w256,-3w256), (-15w256,-w256),
(-13w256, 15w256), (-13w256, 13w256), (-13w256, 11w256), (-13w256, 9w256), (-13w256, 7w256), (-13w256, 5w256), (-13w256, 3w256), (-13w256, w256), (-13w256,-15w256), (-13w256,-13w256), (-13w256,-11w256), (-13w256,-9w256), (-13w256,-7w256), (-13w256,-5w256), (-13w256,-3w256), (-13w256,-w256),
(-11w256, 15w256), (-11w256, 13w256), (-11w256, 11w256), (-11w256, 9w256), (-11w256, 7w256), (-11w256, 5w256), (-11w256, 3w256), (-11w256, w256), (-11w256,-15w256), (-11w256,-13w256), (-11w256,-11w256), (-11w256,-9w256), (-11w256,-7w256), (-11w256,-5w256), (-11w256,-3w256), (-11w256,-w256),
(-9w256, 15w256), (-9w256, 13w256), (-9w256, 11w256), (-9w256, 9w256), (-9w256, 7w256), (-9w256, 5w256), (-9w256, 3w256), (-9w256, w256), (-9w256,-15w256), (-9w256,-13w256), (-9w256,-11w256), (-9w256,-9w256), (-9w256,-7w256), (-9w256,-5w256), (-9w256,-3w256), (-9w256,-w256),
(-7w256, 15w256), (-7w256, 13w256), (-7w256, 11w256), (-7w256, 9w256), (-7w256, 7w256), (-7w256, 5w256), (-7w256, 3w256), (-7w256, w256), (-7w256,-15w256), (-7w256,-13w256), (-7w256,-11w256), (-7w256,-9w256), (-7w256,-7w256), (-7w256,-5w256), (-7w256,-3w256), (-7w256,-w256),
(-5w256, 15w256), (-5w256, 13w256), (-5w256, 11w256), (-5w256, 9w256), (-5w256, 7w256), (-5w256, 5w256), (-5w256, 3w256), (-5w256, w256), (-5w256,-15w256), (-5w256,-13w256), (-5w256,-11w256), (-5w256,-9w256), (-5w256,-7w256), (-5w256,-5w256), (-5w256,-3w256), (-5w256,-w256),
(-3w256, 15w256), (-3w256, 13w256), (-3w256, 11w256), (-3w256, 9w256), (-3w256, 7w256), (-3w256, 5w256), (-3w256, 3w256), (-3w256, w256), (-3w256,-15w256), (-3w256,-13w256), (-3w256,-11w256), (-3w256,-9w256), (-3w256,-7w256), (-3w256,-5w256), (-3w256,-3w256), (-3w256,-w256),
(-w256, 15w256), (-w256, 13w256), (-w256, 11w256), (-w256, 9w256), (-w256, 7w256), (-w256, 5w256), (-w256, 3w256), (-w256, w256), (-w256,-15w256), (-w256,-13w256), (-w256,-11w256), (-w256,-9w256), (-w256,-7w256), (-w256,-5w256), (-w256,-3w256), (-w256,-w256)
의 바로 아래에 b0, b1, b2, b3, b4, b5, b6, b7의 세트 00000000~11111111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b0, b1, b2, b3, b4, b5, b6, b7의 세트 00000000~11111111의 바로 위의 신호점(「○」)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가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및 직교성분 Q가 된다.
또, 256QAM일 때의 b0, b1, b2, b3, b4, b5, b6, b7의 세트 (00000000~1111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는 도 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256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를 복소 표현한 값이 베이스밴드신호 (s1(t) 또는 s2(t))가 된다.
이때, 도 5~도 7의 매핑부(504)의 출력인 베이스밴드신호(505A)(s1(t)(s2(i)))의 평균전력과 베이스밴드신호(505B)(s2(t)(s2(i)))의 평균전력을 동일하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 된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QPSK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q, 앞에서 설명한 1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16,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 및 앞에서 설명한 25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256에 관해 이하의 관계식이 성립한다.
DVB 규격에서는 MIMO 전송방법에 있어서 2개의 안테나로부터 변조신호 #1, 변조신호 #2를 송신할 때, 변조신호 #1의 송신 평균전력과 변조신호 #2의 송신 평균전력을 다르게 설정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일례로 앞의 설명에 있어서 식 (R2), 식 (R3), 식 (R4), 식 (R5), 식 (R8)인 경우에 있어서 Q1≠Q2인 경우가 된다.
더 구체적인 예로 이하를 생각한다.
<1>식 (R2)에 있어서 프리코딩 행렬 F(또는 F(i))가 이하의 어느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또는,
또는,
또는,
또는,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R15), 식 (R16), 식 (R17), 식 (R18), 식 (R19), 식 (R20), 식 (R21), 식 (R22)에 있어서 α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으며,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α는 0(제로)은 아니다. 그리고, β도 0(제로)은 아니다.
또는,
또는,
또는,
또는,
또는,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R23), 식 (R25), 식 (R27), 식 (R29)에 있어서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β는 0(제로)은 아니다.
또는,
또는,
또는,
또는,
단, θ11(i), θ21(i)는 i의(시간, 또는 주파수의) 함수이고, λ는 고정 값이며, α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으며,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α는 0(제로)은 아니다. 그리고, β도 0(제로)은 아니다.
<2>식 (R3)에 있어서 프리코딩 행렬 F(또는 F(i))가 식 (15) 내지 식 (30)의 어느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3>식 (R4)에 있어서 프리코딩 행렬 F(또는 F(i))가 식 (15)으로부터 식 (30)의 어느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4>식 (R5)에 있어서 프리코딩 행렬 F(또는 F(i))가 식 (15)으로부터 식 (34)의 어느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5>식 (R8)에 있어서 프리코딩 행렬 F(또는 F(i))가 식 (15)으로부터 식 (30)의 어느 식으로 표시되는 경우.
또, <1>내지 <5>에 있어서 s1(t)의 변조방식과 s2(t)의 변조방식 (s1(i)의 변조방식과 s2(i)의 변조방식)은 다른 것으로 한다.
이상에 있어서 본 구성 예의 중요한 점에 대해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 설명하는 점은 <1>내지 <5>에서의 프리코딩 방법일 때, 특히, 중요한, <1>내지 <5>에서의 프리코딩 방법에 있어서 식 (15) 내지 식 (34) 이외의 프리코딩 행렬을 이용한 때에도 실시가 가능하다.
<1>내지 <5>에서의 s1(t)(s1(i))(즉, 베이스밴드신호(505A))의 변조방식의 변조 다치 수(modulation level)(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신호점의 수, 예를 들어 16QAM인 때 변조 다치 수는 16이 된다)를 2g(g는 1 이상의 정수), <1>내지 <5>에서의 s2(t)(s2(i))(즉, 베이스밴드신호(505B))의 변조방식의 변조 다치 수(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신호점의 수, 예를 들어 64QAM 때 변조 다치 수는 64가 된다).를 2h(h는 1 이상의 정수)로 한다(또, g≠h로 한다).
그러면, s1(t)(s1(i))의 1 심벌에 의해 g비트의 데이터, s2(t)(s2(i))의 1 심벌에 의해 h비트의 데이터가 전송되게 된다. 따라서, s1(t)(s1(i)) 1 심벌과 s2(t)(s2(i)) 1 심벌로 형성되는 1 슬롯에서는 g+h비트가 전송되게 된다. 이때, 높은 공간 다이버시티 게인을 얻기 위해서는 이하의 조건이 중요해진다.
<조건 R-1>
식 (R2), 또는 식 (R3), 또는 식 (R4), 또는 식 (R5), 또는 식 (R8)의 어느 프리코딩(단, 프리코딩 이외의 처리도 포함한다)을 실행한 경우에는 프리코딩 등의 처리를 실행한 후의 신호 z1(t)(z1(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또, 프리코딩 등의 처리를 실행한 후의 신호 z2(t)(z2(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다음에, <조건 R-1>을 다른 표현을 실행하는 동시에, 새로운 추가 조건에 있어서 식 (R2), 식 (R3), 식 (R4), 식 (R5), 식 (R8) 각각으로 나누어 설명을 한다.
(Case 1)
고정의 프리코딩 행렬을 이용하여 식 (R2)의 처리를 실행한 경우:
식 (R2)의 연산의 도중 단계의 식으로 이하의 식을 생각한다.
(또, Case 1의 경우에는 프리코딩 행렬 F는 고정의 프리코딩 행렬로 한다(단, s1(t)(s1(i))에서의 변조방식 및/또는 s2(t)(s2(i))에서의 변조방식이 바뀐 경우에는 프리코딩 행렬이 바뀌어도 좋다).
s1(t)(s1(i))(즉, 베이스밴드신호(505A))의 변조방식의 변조 다치 수를 2g(g는 1 이상의 정수), s2(t)(s2(i))(즉, 베이스밴드신호(505B))의 변조방식의 변조 다치 수를 2h(h는 1 이상의 정수)로 하고, g≠h로 한다.
이때, 이하의 조건이 성립하면 높은 공간 다이버시티 게인을 얻을 수 있다.
<조건 R-2>
식 (R35)의 신호 u1(t)(u1(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또, 식 (R35)의 신호 u2(t)(u2(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그리고 식 (R2)에 있어서 |Q1|>|Q2|(Q1의 절대치가 Q2의 절대치보다 크다)로 한 때 이하의 조건을 생각한다.
<조건 R-3>
식 (R35)의 신호 u1(t)(u1(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그리고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u1(t)(u1(i))의 2g+h개의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Euclid) 거리를 D1으로 한다(또, D1은 0(제로) 이상의 실수가 된다(D1≥0). D1이 0(제로)일 때 2g+h개의 신호점 중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신호점이 존재하게 된다).
또, 식 (R35)의 신호 u2(t)(u2(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그리고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u2(t)(u2(i))의 2g+h개의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하는(또, D2는 0(제로) 이상의 실수가 된다(D2≥0). D2가 0(제로)일 때 2g+h개의 신호점 중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신호점이 존재하게 된다).
이때, D1>D2(D1은 D2보다 크다)가 성립한다.
그런데, 도 53에 송신안테나와 수신안테나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송신장치의 송신안테나 #1(5302A)로부터 변조신호 #1(5301A)이 송신되고, 송신안테나 #2(5302B)로부터 변조신호 #2(5301B)가 송신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송신안테나 #1(5302A)로부터 z1(t)(z1(i))(즉, u1(t)(u1(i)))를 송신하고, 송신안테나 #2(5302B)로부터 z2(t)(z2(i))(즉, u2(t)(u2(i)))를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수신장치의 수신안테나 #1(5303X) 및 수신안테나 #2(5303Y)에서는 송신장치가 송신한 변조신호를 수신(수신신호(530X) 및 수신신호(5304Y)를 얻는다)하게 되지만, 이때 송신안테나 #1(5302A)로부터 수신안테나 #1(5303X)의 전파계수를 h11(t)로 하고, 송신안테나 #1(5302A)로부터 수신안테나 #2(5303Y)의 전파계수를 h21(t)로 하며, 송신안테나 #2(5302B)로부터 수신안테나 #1(5303X)의 전파계수를 h12(t)로 하고, 송신안테나 #2(5302B)로부터 수신안테나 #2(5303Y)의 전파계수를 h22(t)로 한다(t는 시간).
이때, |Q1|>|Q2|가 성립하는 점에서 z1(t)(z1(i))(즉, u1(t)(u1(i)))의 변조신호의 수신상태가 수신데이터의 수신 품질의 지배적인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조건 R-3>을 만족함으로써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또, 동일한 이유에서 |Q1|<|Q2|일때 <조건 R-3'>이 성립하면 좋다.
<조건 R-3'>
식 (R35)의 신호 u1(t)(u1(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그리고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u1(t)(u1(i))의 2g+h개의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로 하는(또, D1은 0(제로) 이상의 실수가 된다(D1≥0). D1이 0(제로)일 때 2g+h개의 신호점 중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신호점이 존재하게 된다).
또, 식 (R35)의 신호 u2(t)(u2(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그리고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u2(t)(u2(i))의 2g+h개의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하는(또, D2는 0(제로) 이상의 실수가 된다(D2≥0). D2가 0(제로)일 때 2g+h개의 신호점 중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신호점이 존재하게 된다).
이때, D11<D2(D1은 D2보다 작다)가 성립한다.
Case 1에 있어서, 예를 들어 s1(t)(s1(i))에서의 변조방식 및 s2(t)(s2(i))에서의 변조방식으로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QPSK, 16QAM, 64QAM, 256QAM을 적용하게 된다. 이때, 구체적인 매핑 방법에 대해서는 본 구성 예의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된다. 단, QPSK, 16QAM, 64QAM, 256QAM 이외의 변조방식을 이용해도 좋다.
(Case 2)
식 (R15) 내지 식 (R30)의 프리코딩 행렬의 어느 프리코딩 행렬을 이용해 식 (R2)의 처리를 실행한 경우:
식 (R2)의 연산의 도중 단계의 식으로 식 (R35)을 생각한다. 또, Case 2인 경우에는 프리코딩 행렬 F는 고정의 프리코딩 행렬로 하고, 프리코딩 행렬 F는 식 (R15) 내지 식 (R30)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단, s1(t)(s1(i))에서의 변조방식 및/또는 s2(t)(s2(i))에서의 변조방식이 바뀐 경우에는 프리코딩 행렬이 바뀌어도 좋다.
s1(t)(s1(i))(즉, 베이스밴드신호(505A))의 변조방식의 변조 다치 수를 2g(g는 1 이상의 정수), s2(t)(s2(i))(즉, 베이스밴드신호(505B))의 변조방식의 변조 다치 수를 2h(h는 1 이상의 정수)로 하고, g≠h로 한다.
이때, <조건 R-2>가 성립하면 높은 공간 다이버시티 게인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식 (R2)에 있어서 |Q1|>|Q2|(Q1의 절대치가 Q2의 절대치보다 크다)로 한 때, Case 1일 때와 마찬가지로 <조건 R-3>이 성립하는 것을 생각한다.
이때, |Q1|>|Q2|가 성립한다는 점에서 z1(t)(z1(i))(즉, u1(t)(u1(i)))의 변조신호의 수신상태가 수신데이터의 수신 품질의 지배적인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조건 R-3>을 만족함으로써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또, 이하의 조건이 성립해도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조건 R-3''>
<조건 R-3>이 성립하는 동시에 식 (R2)에 있어서 P1=P2가 성립한다.
이때, |Q1|>|Q2|가 성립한다는 점에서 z1(t)(z1(i))(즉, u1(t)(u1(i)))의 변조신호의 수신상태가 수신데이터의 수신 품질의 지배적인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조건 R-3''>을 만족함으로써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또, 동일한 이유에서 |Q1|<|Q2|일 때 <조건 R-3'>이 성립하면 좋다.
또, 동일한 이유에서 |Q1|<|Q2|일 때 이하의 조건이 성립해도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조건 R-3'''>
<조건 R-3'>이 성립하는 동시에 식 (R2)에 있어서 P1=P2가 성립한다.
Case 2에 있어서 예를 들어 s1(t)(s1(i))에서의 변조방식 및 s2(t)(s2(i))에서의 변조방식으로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QPSK, 16QAM, 64QAM, 256QAM을 적용하게 된다. 이때, 구체적인 매핑 방법에 대해서는 본 구성 예의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된다. 단, QPSK, 16QAM, 64QAM, 256QAM 이외의 변조방식을 이용해도 좋다.
(Case 3)
식 (R31) 내지 식 (R34)의 프리코딩 행렬의 어느 프리코딩 행렬을 이용해 식 (R2)의 처리를 실행한 경우:
식 (R2)의 연산의 도중 단계의 식으로 식 (R35)을 생각한다. 또, Case 3인 경우에는 프리코딩 행렬 F는 시간(또는 주파수)에 의해 프리코딩 행렬이 바뀌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F(i))는 식 (R31) 내지 식 (R34)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
s1(t)(s1(i))(즉, 베이스밴드신호(505A))의 변조방식의 변조 다치 수를 2g(g는 1 이상의 정수), s2(t)(s2(i))(즉, 베이스밴드신호(505B))의 변조방식의 변조 다치 수를 2h(h는 1 이상의 정수)로 하고, g≠h로 한다.
이때, 이하의 <조건 R-4>가 성립하면 높은 공간 다이버시티 게인을 얻을 수 있다.
<조건 R-4>
심벌번호 i를 N 이상 M 이하(N은 정수, M은 정수로 하며, N<M(M은 N보다 작다)로 한다).에 있어서 s1(t)(s1(i))(즉, 베이스밴드신호(505A))의 변조방식이 고정(바뀌지 않는다) 및 s2(t)(s2(i))(즉, 베이스밴드신호(505B))의 변조방식이 고정(바뀌지 않는다)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심벌번호 i를 N 이상 M 이하로 한 때, 이것을 만족하는 모든 i에서 식 (R35)의 신호 u1(t)(u1(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또, 심벌번호 i를 N 이상 M 이하로 한 때, 이것을 만족하는 모든 i에서 식 (R35)의 신호 u2(t)(u2(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그리고 식 (R2)에 있어서 |Q1|>|Q2|(Q1의 절대치가 Q2의 절대치보다 크다)로 한 때 <조건 R-5>가 성립하는 것을 생각한다.
<조건 R-5>
심벌번호 i를 N 이상 M 이하(N은 정수, M은 정수로 하고, N<M(M은 N보다 작다)로 한다).에 있어서 s1(t)(s1(i))(즉, 베이스밴드신호(505A))의 변조방식이 고정(바뀌지 않는다) 및 s2(t)(s2(i))(즉, 베이스밴드신호(505B))의 변조방식이 고정(바뀌지 않는다) 것으로 한다.
심벌번호 i를 N 이상 M 이하로 한 때, 이것을 만족하는 모든 i에서 식 (R35)의 신호 u1(t)(u1(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그리고 심벌번호 i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u1(t)(u1(i))의 2g+h개의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i)로 한다(또, D1(i)는 0(제로) 이상의 실수가 되는(D1(i)≥0). D1(i)가 0(제로)일 때 2g+h개의 신호점 중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신호점이 존재하게 된다).
또, 심벌번호 i를 N 이상 M 이하로 한 때, 이것을 만족하는 모든 i에서 식 (R35)의 신호 u2(t)(u2(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그리고 심벌번호 i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u2(t)(u2(i))의 2g+h개의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i)로 하는(또, D2(i)는 0(제로) 이상의 실수가 되는(D2(i)≥0). D2(i)가 0(제로)일 때 2g+h개의 신호점 중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신호점이 존재하게 된다).
이때, 심벌번호 i를 N 이상 M 이하로 한 때, 이것을 만족하는 모든 i에서 D1(i)>D2(i)(D1(i)는 D2(i)보다 크다)가 성립한다.
이때, |Q1|>|Q2|가 성립한다는 점에서 z1(t)(z1(i))(즉, u1(t)(u1(i)))의 변조신호의 수신상태가 수신데이터의 수신 품질의 지배적인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조건 R-5>를 만족함으로써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또, 이하의 조건이 성립해도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조건 R-5'>
<조건 R-5>가 성립하는 동시에 식 (R2)에 있어서 P1=P2가 성립한다.
이때, |Q1|>|Q2|가 성립한다는 점에서 z1(t)(z1(i))(즉, u1(t)(u1(i)))의 변조신호의 수신상태가 수신데이터의 수신 품질의 지배적인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조건 R-5'>를 만족함으로써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또, 동일한 이유에서 |Q1|<|Q2|일 때 <조건 R-5''>가 성립하면 좋다.
<조건 R-5''>
심벌번호 i를 N 이상 M 이하(N은 정수, M은 정수로 하며, N<M(M은 N보다 작다)로 한다).에 있어서 s1(t)(s1(i))(즉, 베이스밴드신호(505A))의 변조방식이 고정(바뀌지 않는다) 및 s2(t)(s2(i))(즉, 베이스밴드신호(505B))의 변조방식이 고정(바뀌지 않는다) 것으로 한다.
심벌번호 i를 N 이상 M 이하로 한 때, 이것을 만족하는 모든 i에서 식 (R35)의 신호 u1(t)(u1(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그리고 심벌번호 i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u1(t)(u1(i))의 2g+h개의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i)로 하는(또, D1(i)는 0(제로) 이상의 실수가 되는(D1(i)≥0). D1(i)가 0(제로)일 때 2g+h개의 신호점 중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신호점이 존재하게 된다).
또, 심벌번호 i를 N 이상 M 이하로 한 때, 이것을 만족하는 모든 i에서 식 (R35)의 신호 u2(t)(u2(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그리고 심벌번호 i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u2(t)(u2(i))의 2g+h개의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i)로 하는(또, D2(i)는 0(제로) 이상의 실수가 되는(D2(i)≥0). D2(i)가 0(제로)일 때 2g+h개의 신호점 중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신호점이 존재하게 된다).
이때, 심벌번호 i를 N 이상 M 이하로 한 때, 이것을 만족하는 모든 i에서 D1(i)<D2(i)(D1(i)는 D2(i)보다 작다)가 성립한다.
또, 동일한 이유에서 |Q1|<|Q2|일 때 이하의 조건이 성립해도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조건 R-5'''>
<조건 R-5''>가 성립하는 동시에 식 (R2)에 있어서 P1=P2가 성립한다.
Case 3에 있어서 예를 들어 s1(t)(s1(i))에서의 변조방식 및 s2(t)(s2(i))에서의 변조방식으로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QPSK, 16QAM, 64QAM, 256QAM을 적용하게 된다. 이때, 구체적인 매핑 방법에 대해서는 본 구성 예의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된다. 단, PSK, 16QAM, 64QAM, 256QAM 이외의 변조방식을 이용해도 좋다.
(Case 4)
고정의 프리코딩 행렬을 이용해 식 (R3)의 처리를 실행한 경우:
식 (R3)의 연산의 도중 단계의 식으로 이하의 식을 생각한다.
(또, Case 4의 경우에는 프리코딩 행렬 F는 고정의 프리코딩 행렬로 한다(단, s1(t)(s1(i))에서의 변조방식 및/또는 s2(t)(s2(i))에서의 변조방식이 바뀌었을 경우에는 프리코딩 행렬이 바뀌어도 좋다).
s1(t)(s1(i))(즉, 베이스밴드신호(505A))의 변조방식의 변조 다치 수를 2g(g는 1 이상의 정수), s2(t)(s2(i))(즉, 베이스밴드신호(505B))의 변조방식의 변조 다치 수를 2h(h는 1 이상의 정수)로 하고, g≠h로 한다.
이때, 이하의 조건이 성립하면 높은 공간 다이버시티 게인을 얻을 수 있다.
<조건 R-6>
식 (R36)의 신호 u1(t)(u1(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또, 식 (R36)의 신호 u2(t)(u2(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그리고 식 (R3)에 있어서 |Q1|>|Q2|(Q1의 절대치가 Q2의 절대치보다 크다)로 한 때 이하의 조건을 생각한다.
<조건 R-7>
식 (R36)의 신호 u1(t)(u1(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그리고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u1(t)(u1(i))의 2g+h개의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로 하는(또, D1은 0(제로) 이상의 실수가 된다(D1≥0). D1이 0(제로)일 때 2g+h개의 신호점 중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신호점이 존재하게 된다).
또, 식 (R36)의 신호 u2(t)(u2(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그리고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u2(t)(u2(i))의 2g+h개의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하는(또, D2는 0(제로) 이상의 실수가 된다(D2≥0). D2가 0(제로)일 때 2g+h개의 신호점 중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신호점이 존재하게 된다).
이때, D1>D2(D1은 D2보다 크다)가 성립한다.
그런데, 도 53에 송신안테나와 수신안테나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송신장치의 송신안테나 #1(5302A)로부터 변조신호 #1(5301A)이 송신되고, 송신안테나 #2(5302B)로부터 변조신호 #2(5301B)가 송신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송신안테나 #1(5302A)로부터 z1(t)(z1(i))(즉, u1(t)(u1(i)))를 송신하고, 송신안테나 #2(5302B)로부터 z2(t)(z2(i))(즉, u2(t)(u2(i)))를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수신장치의 수신안테나 #1(5303X) 및 수신안테나 #2(5303Y)에서는 송신장치가 송신한 변조신호를 수신(수신신호(530X) 및 수신신호(5304Y)를 얻는다)하게 되지만, 이때, 송신안테나 #1(5302A)로부터 수신안테나 #1(5303X)의 전파계수를 h11(t)로 하고, 송신안테나 #1(5302A)로부터 수신안테나 #2(5303Y)의 전파계수를 h21(t)로 하며, 송신안테나 #2(5302B)로부터 수신안테나 #1(5303X)의 전파계수를 h12(t)로 하고, 송신안테나 #2(5302B)로부터 수신안테나 #2(5303Y)의 전파계수를 h22(t)로 한다(t는 시간).
이때, |Q1|>|Q2|가 성립한다는 점에서 z1(t)(z1(i))(즉, u1(t)(u1(i)))의 변조신호의 수신상태가 수신데이터의 수신 품질의 지배적인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조건 R-7>을 만족함으로써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또, 동일한 이유에서 |Q1|<|Q2|일 때 <조건 R-7'>이 성립하면 좋다.
<조건 R-7'>
식 (R36)의 신호 u1(t)(u1(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그리고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u1(t)(u1(i))의 2g+h개의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로 하는(또, Dv은 0(제로) 이상의 실수가 된다(D1≥0). D1이 0(제로)일 때 2g+h개의 신호점 중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신호점이 존재하게 된다).
또, 식 (R36)의 신호 u2(t)(u2(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그리고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u2(t)(u2(i))의 2g+h개의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하는(또, D2는 0(제로) 이상의 실수가 된다(D2≥0). D2가 0(제로)일 때 2g+h개의 신호점 중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신호점이 존재하게 된다).
이때, D1<D2(D1은 D2보다 작다)가 성립한다.
Case 4에 있어서 예를 들어 s1(t)(s1(i))에서의 변조방식 및 s2(t)(s2(i))에서의 변조방식으로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QPSK, 16QAM, 64QAM, 256QAM을 적용하게 된다. 이때, 구체적인 매핑 방법에 대해서는 본 구성 예의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된다. 단, QPSK, 16QAM, 64QAM, 256QAM 이외의 변조방식을 이용해도 좋다.
(Case 5)
식 (R15) 내지 식 (R30)의 프리코딩 행렬의 어느 프리코딩 행렬을 이용해 식 (R3)의 처리를 실행한 경우:
식 (R3)의 연산의 도중 단계의 식으로 식 (R36)을 생각한다. 또, Case 5인 경우에는 프리코딩 행렬 F는 고정의 프리코딩 행렬로 하고, 프리코딩 행렬 F는 식 (R15) 내지 식 (R30)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단, s1(t)(s1(i))에서의 변조방식 및/또는 s2(t)(s2(i))에서의 변조방식이 바뀌었을 경우에는 프리코딩 행렬이 바뀌어도 좋다.
s1(t)(s1i))(즉, 베이스밴드신호(505A))의 변조방식의 변조 다치 수를 2g(g는 1 이상의 정수), s2(t)(s2(i))(즉, 베이스밴드신호(505B))의 변조방식의 변조 다치 수를 2h(h는 1 이상의 정수)로 하고, g≠h로 한다.
이때, <조건 R-6>이 성립하면 높은 공간 다이버시티 게인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식 (R3)에 있어서 |Q1|>|Q2|(Q1의 절대치가 Q2의 절대치보다 크다)로 한 때, Case 4일 때와 마찬가지로 <조건 R-7>이 성립하는 것을 생각한다.
이때, |Q1|>|Q2|가 성립한다는 점에서 z1(t)(z1(i))(즉, u1(t)(u1(i)))의 변조신호의 수신상태가 수신데이터의 수신 품질의 지배적인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조건 R-7>을 만족함으로써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또, 이하의 조건이 성립해도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조건 R-7''>
<조건 R-7>이 성립하는 동시에 식 (R3)에 있어서 P1=P2가 성립한다.
이때, |Q1|>|Q2|가 성립한다는 점에서 z1(t)(z1(i))(즉, u1(t)(u1(i)))의 변조신호의 수신상태가 수신데이터의 수신 품질의 지배적인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조건 R-7''>을 만족함으로써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또, 동일한 이유에서 |Q1|<|Q2|일 때 <조건 R-7'>이 성립하면 좋다.
또, 동일한 이유에서 |Q1|<|Q2|일 때 이하의 조건이 성립해도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조건 R-7'''>
<조건 R-7'>이 성립하는 동시에 식 (R3)에 있어서 P1=P2가 성립한다.
Case 5에 있어서 예를 들어 s1(t)(s1(i))에서의 변조방식 및 s2(t)(s2(i))에서의 변조방식으로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QPSK, 16QAM, 64QAM, 256QAM을 적용하게 된다. 이때, 구체적인 매핑 방법에 대해서는 본 구성 예의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된다. 단, QPSK, 16QAM, 64QAM, 256QAM 이외의 변조방식을 이용해도 좋다.
(Case 6)
고정의 프리코딩 행렬을 이용해 식 (R4)의 처리를 실행한 경우:
식 (R4)의 연산의 도중 단계의 식으로 이하의 식을 생각한다.
(또, Case 6의 경우에는 프리코딩 행렬 F는 고정의 프리코딩 행렬로 한다(단, s1(t)(s1(i))에서의 변조방식 및/또는 s2(t)(s2(i))에서의 변조방식이 바뀌었을 경우에는 프리코딩 행렬이 바뀌어도 좋다).
s1(t)(s1(i))(즉, 베이스밴드신호(505A))의 변조방식의 변조 다치 수를 2g(g는 1 이상의 정수), s2(t)(s2(i))(즉, 베이스밴드신호(505B))의 변조방식의 변조 다치 수를 2h(h는 1 이상의 정수)로 하고, g≠h로 한다.
이때, 이하의 조건이 성립하면 높은 공간 다이버시티 게인을 얻을 수 있다.
<조건 R-8>
식 (R37)의 신호 u1(t)(u1(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또, 식 (R37)의 신호 u2(t)(u2(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그리고 식 (R4)에 있어서 |Q1|>|Q2|(Q1의 절대치가 Q2의 절대치보다 크다)로 한 때 이하의 조건을 생각한다.
<조건 R-9>
식 (R37)의 신호 u1(t)(u1(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그리고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u1(t)(u1(i))의 2g+h개의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로 하는(또, D1은 0(제로) 이상의 실수가 된다(D1≥0). D1이 0(제로)일 때 2g+h개의 신호점 중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신호점이 존재하게 된다).
또, 식 (R37)의 신호 u2(t)(u2(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그리고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u2(t)(u2(i))의 2g+h개의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하는(또, D2는 0(제로) 이상의 실수가 된다(D2≥0). D2가 0(제로)일 때 2g+h개의 신호점 중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신호점이 존재하게 된다).
이때, D1>D2(D1 D2다 크다)가 성립한다.
그런데, 도 53에 송신안테나와 수신안테나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송신장치의 송신안테나 #1(5302A)로부터 변조신호 #1(5301A)이 송신되고, 송신안테나 #2(5302B)로부터 변조신호 #2(5301B)가 송신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송신안테나 #1(5302A)로부터 z1(t)(z1(i))(즉, u1(t)(u1(i)))를 송신하고, 송신안테나 #2(5302B)로부터 z2(t)(z2(i))(즉, u2(t)(u2(i)))를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수신장치의 수신안테나 #1(5303X) 및 수신안테나 #2(5303Y)에서는 송신장치가 송신한 변조신호를 수신(수신신호(530X) 및 수신신호(5304Y)를 얻는다)하게 되지만, 이때, 송신안테나 #1(5302A)로부터 수신안테나 #1(5303X)의 전파계수를 h11(t)로 하고, 송신안테나 #1(5302A)로부터 수신안테나 #2(5303Y)의 전파계수를 h21(t)로 하며, 송신안테나 #2(5302B)로부터 수신안테나 #1(5303X)의 전파계수를 h12(t)로 하고, 송신안테나 #2(5302B)로부터 수신안테나 #2(5303Y)의 전파계수를 h22(t)로 한다(t는 시간).
이때, |Q1|>|Q2|가 성립한다는 점에서 z1(t)(z1(i))(즉, u1(t)(u1(i)))의 변조신호의 수신상태가 수신데이터의 수신 품질의 지배적인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조건 R-9>를 만족함으로써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또, 동일한 이유에서 |Q1|<|Q2일 때 <조건 R-9'>가 성립하면 좋다.
<조건 R-9'>
식 (R37)의 신호 u1(t)(u1(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그리고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u1(t)(u1(i))의 2g+h개의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로 하는(또, D1은 0(제로) 이상의 실수가 된다(D1≥0). D1이 0(제로)일 때 2g+h개의 신호점 중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신호점이 존재하게 된다).
또, 식 (R37)의 신호 u2t)(u2(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그리고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u2(t)(u2(i))의 2g+h개의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하는(또, D2는 0(제로) 이상의 실수가 된다(D2≥0). D2가 0(제로)일 때 2g+h개의 신호점 중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신호점이 존재하게 된다).
이때, D1<D2(D1은 D2보다 작다)가 성립한다.
Case 6에 있어서 예를 들어 s1(t)(s1(i))에서의 변조방식 및 s2(t)(s2(i))에서의 변조방식으로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QPSK, 16QAM, 64QAM, 256QAM을 적용하게 된다. 이때, 구체적인 매핑 방법에 대해서는 본 구성 예의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된다. 단, QPSK, 16QAM, 64QAM, 256QAM 이외의 변조방식을 이용해도 좋다.
(Case 7)
식 (R15) 내지 식 (R30)의 프리코딩 행렬의 어느 프리코딩 행렬을 이용해 식 (R4)의 처리를 실행한 경우:
식 (R4)의 연산의 도중 단계의 식으로 식 (R37)을 생각한다. 또, Case 7인 경우에는 프리코딩 행렬 F는 고정의 프리코딩 행렬로 하며, 프리코딩 행렬 F는 식 (R15) 내지 식 (R30)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단, s1(t)(s1(i))에서의 변조방식 및/또는 s2(t)(s2(i))에서의 변조방식이 바뀌었을 경우에는 프리코딩 행렬이 바뀌어도 좋다.
s1(t)(s1(i))(즉, 베이스밴드신호(505A))의 변조방식의 변조 다치 수를 2g(g는 1 이상의 정수), s2(t)(s2(i))(즉, 베이스밴드신호(505B))의 변조방식의 변조 다치 수를 2h(h는 1 이상의 정수)로 하고, g≠h로 한다.
이때, <조건 R-8>이 성립하면 높은 공간 다이버시티 게인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식 (R4)에 있어서 |Q1|>|Q2|(Q1의 절대치가 Q2의 절대치보다 크다)로 한 때, Case 6인 때와 마찬가지로 <조건 R-9>가 성립하는 것을 생각한다.
이때, |Q1|>|Q2|가 성립한다는 점에서 z1(t)(z1(i))(즉, u1(t)(u1(i)))의 변조신호의 수신상태가 수신데이터의 수신 품질의 지배적인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조건 R-9>를 만족함으로써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또, 이하의 조건이 성립해도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조건 R-9''>
<조건 R-9>가 성립하는 동시에 식 (R4)에 있어서 P1=P2가 성립한다.
이때, |Q1|>|Q2|가 성립한다는 점에서 z1(t)(z1(i))(즉, u1(t)(u1(i)))의 변조신호의 수신상태가 수신데이터의 수신 품질의 지배적인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조건 R-9''>를 만족함으로써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또, 동일한 이유에서 |Q1|<|Q2|일 때 <조건 R-9'>가 성립하면 좋다.
또, 동일한 이유에서 |Q1|<|Q2|일 때 이하의 조건이 성립해도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조건 R-9'''>
<조건 R-9'>가 성립하는 동시에 식 (R4)에 있어서 P1=P2가 성립한다.
Case 7에 있어서 예를 들어 s1(t)(s1(i))에서의 변조방식 및 s2(t)(s2(i))에서의 변조방식으로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QPSK, 16QAM, 64QAM, 256QAM을 적용하게 된다. 이때, 구체적인 매핑 방법에 대해서는 본 구성 예의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된다. 단, QPSK, 16QAM, 64QAM, 256QAM 이외의 변조방식을 이용해도 좋다.
(Case 8)
고정의 프리코딩 행렬을 이용해 식 (R5)의 처리를 실행한 경우:
식 (R5)의 연산의 도중 단계의 식으로 이하의 식을 생각한다.
(또, Case 8인 경우에는 프리코딩 행렬 F는 고정의 프리코딩 행렬로 한다(단, s1(t)(s1(i))에서의 변조방식 및/또는 s2(t)(s2(i))에서의 변조방식이 바뀌었을 경우에는 프리코딩 행렬이 바뀌어도 좋다).
s1(t)(s1(i))(즉, 베이스밴드신호(505A))의 변조방식의 변조 다치 수를 2g(g는 1 이상의 정수), s2(t)(s2(i))(즉, 베이스밴드신호(505B))의 변조방식의 변조 다치 수를 2h(h는 1 이상의 정수)로 하고, g≠h로 한다.
이때, 이하의 조건이 성립하면 높은 공간 다이버시티 게인을 얻을 수 있다.
<조건 R-10>
식 (R38)의 신호 u1(t)(u1(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또, 식 (R38)의 신호 u2(t)(u2(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그리고 식 (R5)에 있어서 |Q1|>|Q2|(Q1의 절대치가 Q2의 절대치보다 크다)로 한 때, 이하의 조건을 생각한다.
<조건 R-11>
식 (R38)의 신호 u1(t)(u1(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그리고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u1(t)(u1(i))의 2g+h개의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로 하는(또, D1은 0(제로) 이상의 실수가 된다(D1≥0). D1이 0(제로)일 때 2g+h개의 신호점 중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신호점이 존재하게 된다).
또, 식 (R38)의 신호 u2(t)(u2(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그리고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u2(t)(u2(i))의 2g+h개의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하는(또, D2는 0(제로) 이상의 실수가 된다(D2≥0). D2가 0(제로)일 때 2g+h개의 신호점 중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신호점이 존재하게 된다).
이때, D1>D2(D1은 D2보다 크다)가 성립한다.
그런데, 도 53에 송신안테나와 수신안테나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송신장치의 송신안테나 #1(5302A)로부터 변조신호 #1(5301A)이 송신되고 송신안테나 #2(5302B)로부터 변조신호 #2(5301B)가 송신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송신안테나 #1(5302A)로부터 z1(t)(z1(i))(즉, u1(t)(u1(i)))를 송신하고 송신안테나 #2(5302B)로부터 z2(t)(z2(i))(즉, u2(t)(u2(i)))를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수신장치의 수신안테나 #1(5303X) 및 수신안테나 #2(5303Y)에서는 송신장치가 송신한 변조신호를 수신(수신신호(530X) 및 수신신호(5304Y)를 얻는다)하게 되지만, 이때, 송신안테나 #1(5302A)로부터 수신안테나 #1(5303X)의 전파계수를 h11(t)로 하고, 송신안테나 #1(5302A)로부터 수신안테나 #2(5303Y)의 전파계수를 h21(t)로 하며, 송신안테나 #2(5302B)로부터 수신안테나 #1(5303X)의 전파계수를 h12(t)로 하고, 송신안테나 #2(5302B)로부터 수신안테나 #2(5303Y)의 전파계수를 h22(t)로 한다(t는 시간).
이때, |Q1|>|Q2|가 성립한다는 점에서 z1(t)(z1(i))(즉, u1(t)(u1(i)))의 변조신호의 수신상태가 수신데이터의 수신 품질의 지배적인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조건 R-11>을 만족함으로써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또, 동일한 이유에서 |Q1|<|Q2|일 때 <조건 R-11'>이 성립하면 좋다.
<조건 R-11'>
식 (R38)의 신호 u1(t)(u1(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그리고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u1(t)(u1(i))의 2g+h개의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로 하는(또, D1은 0(제로) 이상의 실수가 된다(D1≥0). D1이 0(제로)일 때 2g+h개의 신호점 중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신호점이 존재하게 된다).
또, 식 (R38)의 신호 u2(t)(u2(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그리고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u2(t)(u2(i))의 2g+h개의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하는(또, D2는 0(제로) 이상의 실수가 된다(D2≥0). D2가 0(제로)일 때 2g+h개의 신호점 중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신호점이 존재하게 된다).
이때, D1<D2(D1은 D2보다 작다)가 성립한다.
Case 8에 있어서 예를 들어 s1(t)(s1(i))에서의 변조방식 및 s2(t)(s2(i))에서의 변조방식으로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QPSK, 16QAM, 64QAM, 256QAM을 적용하게 된다. 이때, 구체적인 매핑 방법에 대해서는 본 구성 예의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된다. 단, QPSK, 16QAM, 64QAM, 256QAM 이외의 변조방식을 이용해도 좋다.
(Case 9)
식 (R15) 내지 식 (R30)의 프리코딩 행렬의 어느 프리코딩 행렬을 이용해 식 (R5)의 처리를 실행한 경우:
식 (R5)의 연산의 도중 단계의 식으로 식 (R38)을 생각한다. 또, Case 9인 경우에는 프리코딩 행렬 F는 고정의 프리코딩 행렬로 하고, 프리코딩 행렬 F는 식 (R15) 내지 식 (R30)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단, s1(t)(s1(i))에서의 변조방식 및/또는 s2(t)(s2(i))에서의 변조방식이 바뀌었을 경우에는 프리코딩 행렬이 바뀌어도 좋다.
s1(t)(s1(i))(즉, 베이스밴드신호(505A))의 변조방식의 변조 다치 수를 2g(g는 1 이상의 정수), s2(t)(s2(i))(즉, 베이스밴드신호(505B))의 변조방식의 변조 다치 수를 2h(h는 1 이상의 정수)로 하고, g≠h로 한다.
이때, <조건 R-10>이 성립하면 높은 공간 다이버시티 게인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식 (R5)에 있어서 |Q1|>|Q2|(Q1의 절대치가 Q2의 절대치보다 크다)로 한 때, Case 8인 때와 마찬가지로 <조건 R-11>이 성립하는 것을 생각한다.
이때, |Q1|>|Q2|가 성립한다는 점에서 z1(t)(z1(i))(즉, u1(t)(u1(i)))의 변조신호의 수신상태가 수신데이터의 수신 품질의 지배적인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조건 R-11>을 만족함으로써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또, 동일한 이유에서 |Q1|<|Q2|일 때 <조건 R-11'>이 성립하면 좋다.
Case 9에 있어서 예를 들어 s1(t)(s1(i))에서의 변조방식 및 s2(t)(s2(i))에서의 변조방식으로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QPSK, 16QAM, 64QAM, 256QAM을 적용하게 된다. 이때, 구체적인 매핑 방법에 대해서는 본 구성 예의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된다. 단, QPSK, 16QAM, 64QAM, 256QAM 이외의 변조방식을 이용해도 좋다.
(Case 10)
식 (R31) 내지 식 (R34)의 프리코딩 행렬의 어느 프리코딩 행렬을 이용해 식 (R5)의 처리를 실행한 경우:
식 (R5)의 연산의 도중 단계의 식으로 식 (R38)을 생각한다. 또, Case 10인 경우에는 프리코딩 행렬 F는 시간(또는 주파수)에 의해, 프리코딩 행렬이 바뀌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F(i))는 식 (R31) 내지 식 (R34)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
s1(t)(s1(i))(즉, 베이스밴드신호(505A))의 변조방식의 변조 다치 수를 2g(g는 1 이상의 정수), s2(t)(s2(i))(즉, 베이스밴드신호(505B))의 변조방식의 변조 다치 수를 2h(h는 1 이상의 정수)로 하고, g≠h로 한다.
이때, 이하의 <조건 R-12>가 성립하면 높은 공간 다이버시티 게인을 얻을 수 있다.
<조건 R-12>
심벌번호 i를 N 이상 M 이하(N은 정수, M은 정수로 하며, N<M(M은 N보다 작다)로 한다).에 있어서 s1(t)(s1(i))(즉, 베이스밴드신호(505A))의 변조방식이 고정(바뀌지 않는다) 및 s2(t)(s2(i))(즉, 베이스밴드신호(505B))의 변조방식이 고정(바뀌지 않는다) 것으로 한다.
그리고 심벌번호 i를 N 이상 M 이하로 한 때, 이것을 만족하는 모든 i에서 식 (R38)의 신호 u1(t)(u1(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또, 심벌번호 i를 N 이상 M 이하로 한 때, 이것을 만족하는 모든 i에서 식 (R38)의 신호 u2(t)(u2(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그리고 식 (R5)에 있어서 |Q1|>|Q2|(Q1의 절대치가 Q2의 절대치보다 크다)로 한 때, <조건 R-13>이 성립하는 것을 생각한다.
<조건 R-13>
심벌번호 i를 N 이상 M 이하(N은 정수, M은 정수로 하며, N<M(M은 N보다 작다)로 한다).에 있어서 s1(t)(s1(i))(즉, 베이스밴드신호(505A))의 변조방식이 고정(바뀌지 않는다) 및 s2(t)(s2(i))(즉, 베이스밴드신호(505B))의 변조방식이 고정(바뀌지 않는다) 것으로 한다.
심벌번호 i를 N 이상 M 이하로 한 때, 이것을 만족하는 모든 i에서 식 (R38)의 신호 u1(t)(uv(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그리고 심벌번호 i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u1(t)(u1(i))의 2g+h개의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i)로 하는(또, D1(i)는 0(제로) 이상의 실수가 되는(D1(i)≥0). D1(i)가 0(제로)일 때 2g+h개의 신호점 중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신호점이 존재하게 된다).
또, 심벌번호 i를 N 이상 M 이하로 한 때, 이것을 만족하는 모든 i에서 식 (R38)의 신호 u2(t)(u2(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그리고 심벌번호 i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u2(t)(u2(i))의 2g+h개의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i)로 하는(또, D2(i)는 0(제로) 이상의 실수가 되는(D2(i)≥0). D2(i)가 0(제로)일 때 2g+h개의 신호점 중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신호점이 존재하게 된다).
이때, 심벌번호 i를 N 이상 M 이하로 한 때, 이것을 만족하는 모든 i에서 D1(i)>D2(i)(D1(i)는 D2(i)보다 크다)가 성립한다.
이때, |Q1|>|Q2|가 성립한다는 점에서 z1(t)(z1(i))(즉, u1(t)(u1(i)))의 변조신호의 수신상태가 수신데이터의 수신 품질의 지배적인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조건 R-13>을 만족함으로써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또, 이하의 조건이 성립해도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또, 동일한 이유에서 |Q1|<|Q2|일 때 <조건 R-13''>이 성립하면 좋다.
<조건 R-13''>
심벌번호 i를 N 이상 M 이하(N은 정수, M은 정수로 하며, N<M(M은 N보다 작다)로 한다).에 있어서 s1(t)(s1(i))(즉, 베이스밴드신호(505A))의 변조방식이 고정(바뀌지 않는다) 및 s2(t)(s2(i))(즉, 베이스밴드신호(505B))의 변조방식이 고정(바뀌지 않는다) 것으로 한다.
심벌번호 i를 N 이상 M 이하로 한 때, 이것을 만족하는 모든 i에서 식 (R38)의 신호 u1(t)(u1(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그리고 심벌번호 i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u1(t)(u1(i))의 2g+h개의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i)로 하는(또, D1(i)는 0(제로) 이상의 실수가 되는(D1(i)≥0). D1(i)가 0(제로)일 때 2g+h개의 신호점 중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신호점이 존재하게 된다).
또, 심벌번호 i를 N 이상 M 이하로 한 때, 이것을 만족하는 모든 i에서 식 (R38)의 신호 u2(t)(u2(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그리고 심벌번호 i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u2(t)(u2(i))의 2g+h개의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i)로 하는(또, D2(i)는 0(제로) 이상의 실수가 되는(D2(i)≥0). D2(i)가 0(제로)일 때 2g+h개의 신호점 중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신호점이 존재하게 된다).
이때, 심벌번호 i를 N 이상 M 이하로 한 때, 이것을 만족하는 모든 i에서 D1(i)<Dv(i)(D1(i)는 D2(i)보다 작다)가 성립한다.
Case 10에 있어서 예를 들어 s1(t)(s1(i))에서의 변조방식 및 s2(t)(s2(i))에서의 변조방식으로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QPSK, 16QAM, 64QAM, 256QAM을 적용하게 된다. 이때, 구체적인 매핑 방법에 대해서는 본 구성 예의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된다. 단, QPSK, 16QAM, 64QAM, 256QAM 이외의 변조방식을 이용해도 좋다.
(Case 11)
고정의 프리코딩 행렬을 이용해 식 (R8)의 처리를 실행한 경우:
식 (R8)의 연산의 도중 단계의 식으로 이하의 식을 생각한다.
(또, Case 11인 경우에는 프리코딩 행렬 F는 고정의 프리코딩 행렬로 한다(단, s1(t)(s1(i))에서의 변조방식 및/또는 s2(t)(s2(i))에서의 변조방식이 바뀌었을 경우에는 프리코딩 행렬이 바뀌어도 좋다).
s1(t)(s1(i))(즉, 베이스밴드신호(505A))의 변조방식의 변조 다치 수를 2g(g는 1 이상의 정수), s2(t)(s2(i))(즉, 베이스밴드신호(505B))의 변조방식의 변조 다치 수를 2h(h는 1 이상의 정수)로 하고, g≠h로 한다.
이때, 이하의 조건이 성립하면 높은 공간 다이버시티 게인을 얻을 수 있다.
<조건 R-14>
식 (R39)의 신호 u1(t)(u1(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또, 식 (R39)의 신호 u2(t)(u2(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그리고 식 (R8)에 있어서 |Q1|>|Q2|(Q1의 절대치가 Q2의 절대치보다 크다)로 한 때, 이하의 조건을 생각한다.
<조건 R-15>
식 (R39)의 신호 u1(t)(u1(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그리고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u1(t)(u1(i))의 2g+h개의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로 하는(또, D1은 0(제로) 이상의 실수가 된다(D1≥0). D1이 0(제로)일 때 2g+h개의 신호점 중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신호점이 존재하게 된다).
또, 식 (R39)의 신호 u2(t)(u2(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그리고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u2(t)(u2(i))의 2g+h개의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하는(또, D2는 0(제로) 이상의 실수가 된다(D2≥0). D2가 0(제로)일 때 2g+h개의 신호점 중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신호점이 존재하게 된다).
이때, D1>D2(D1은 D2보다 크다)가 성립한다.
그런데, 도 53에 송신안테나와 수신안테나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송신장치의 송신안테나 #1(5302A)로부터 변조신호 #1(5301A)이 송신되고 송신안테나 #2(5302B)로부터 변조신호 #2(5301B)가 송신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송신안테나 #1(5302A)로부터 z1(t)(z1(i))(즉, u1(t)(u1(i)))를 송신하고 송신안테나 #2(5302B)로부터 z2(t)(z2(i))(즉, u2(t)(u2(i)))를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수신장치의 수신안테나 #1(5303X) 및 수신안테나 #2(5303Y)에서는 송신장치가 송신한 변조신호를 수신(수신신호(530X) 및 수신신호(5304Y)를 얻는다) 하게 되지만, 이때, 송신안테나 #1(5302A)로부터 수신안테나 #1(5303X)의 전파계수를 h11(t)으로 하고, 송신안테나 #1(5302A)로부터 수신안테나 #2(5303Y)의 전파계수를 h21(t)으로 하고, 송신안테나 #2(5302B)로부터 수신안테나 #1(5303X)의 전파계수를 h12(t)으로 하고, 송신안테나 #2(5302B)로부터 수신안테나 #2(5303Y)의 전파계수를 h22(t)로 한다(t는 시간).
이때, |Q1|>|Q2|가 성립한다는 점에서 z1(t)(z1(i))(즉, u1(t)(u1(i)))의 변조신호의 수신상태가 수신데이터의 수신 품질의 지배적인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조건 R-15>를 만족함으로써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또, 동일한 이유에서 |Q1|<|Q2|일 때 <조건 R-15'>가 성립하면 좋다.
<조건 R-15'>
식 (R39)의 신호 u1(t)(u1(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그리고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u1(t)(u1(i))의 2g+h개의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로 하는(또, D1은 0(제로) 이상의 실수가 된다(D1≥0). D1이 0(제로)일 때 2g+h개의 신호점 중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신호점이 존재하게 된다).
또, 식 (R39)의 신호 u2(t)(u2(i))의 1 심벌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는 2g+h개가 된다. (1 심벌에 있어서 g+h비트의 데이터가 취할 수 있는 값 모두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을 작성하면 2g+h개의 신호점을 작성할 수 있다. 이 수가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수가 된다). 그리고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u2(t)(u2(i))의 2g+h개의 후보가 되는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하는(또, D2는 0(제로) 이상의 실수가 된다(D2≥0). D2가 0(제로)일 때 2g+h개의 신호점 중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존재하는 신호점이 존재하게 된다).
이때, D1<D2(D1은 D2보다 작다)가 성립한다.
Case 11에 있어서 예를 들어 s1(t)(s1(i))에서의 변조방식 및 s2(t)(s2(i))에서의 변조방식으로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QPSK, 16QAM, 64QAM, 256QAM을 적용하게 된다. 이때, 구체적인 매핑 방법에 대해서는 본 구성 예의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된다. 단, QPSK, 16QAM, 64QAM, 256QAM 이외의 변조방식을 이용해도 좋다.
(Case 12)
식 (R15) 내지 식 (R30)의 프리코딩 행렬의 어느 프리코딩 행렬을 이용해 식 (R8)의 처리를 실행한 경우:
식 (R8)의 연산의 도중 단계의 식으로 식 (R39)을 생각한다. 또, Case 12인 경우에는 프리코딩 행렬 F는 고정의 프리코딩 행렬로 하며, 프리코딩 행렬 F는 식 (R15) 내지 식 (R30)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것으로 한다(단, s1(t)(s1(i))에서의 변조방식 및/또는 s2(t)(s2(i))에서의 변조방식이 바뀌었을 경우에는 프리코딩 행렬이 바뀌어도 좋다.
s1(t)(s1(i))(즉, 베이스밴드신호(505A))의 변조방식의 변조 다치 수를 2g(g는 1 이상의 정수), s2(t)(s2(i))(즉, 베이스밴드신호(505B))의 변조방식의 변조 다치 수를 2h(h는 1 이상의 정수)로 하고, g≠h로 한다.
이때, <조건 R-14>가 성립하면 높은 공간 다이버시티 게인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식 (R8)에 있어서 |Q1|>|Q2|(Q1의 절대치가 Q2의 절대치보다 크다)로 한 때, Case 11인 때와 마찬가지로 <조건 R-15>가 성립하는 것을 생각한다.
이때, |Q1|>|Q2|가 성립한다는 점에서 z1(t)(z1(i))(즉, u1(t)(u1(i)))의 변조신호의 수신상태가 수신데이터의 수신 품질의 지배적인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조건 R-15>를 만족함으로써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또, 동일한 이유에서 |Q1|<|Q2|일 때 <조건 R-15'>가 성립하면 좋다.
Case 12에 있어서 예를 들어 s1(t)(s1(i))에서의 변조방식 및 s2(t)(s2(i))에서의 변조방식으로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QPSK, 16QAM, 64QAM, 256QAM을 적용하게 된다. 이때, 구체적인 매핑 방법에 대해서는 본 구성 예의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된다. 단, QPSK, 16QAM, 64QAM, 256QAM 이외의 변조방식을 이용해도 좋다.
이상, 본 구성 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프리코딩을 실시한 후의 2개의 변조신호를 다른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송신방법에 있어서 평균 송신전력이 큰 쪽의 변조신호의 신호점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크게 함으로써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또, 이상의 구성 예에서 설명한, 송신안테나, 수신안테나 각각은 복수의 안테나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프리코딩을 실시한 후의 2개의 변조신호 각각을 송신하는 다른 안테나는 다른 시간에 있어서 하나의 변조신호를 동시에 송신하도록 이용되어도 좋다.
또, 상술한 프리코딩 방법은 싱글 캐리어 방식, OFDM 방식, 웨이브 렛 변환(wavelet transformation)을 이용한 OFDM 방식 등의 멀티 캐리어 방식, 스펙트럼 확산방식을 적용한 때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이후의 실시형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동시에, 수신장치에 동작에 대해서도 설명을 하는 것으로 한다.
(구성 예 S1)
본 구성 예에서는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2개의 송신신호의 송신 평균전력이 다를 때의 프리코딩 방법의 더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도 5는 기지국(방송국, 액세스포인트 등)의 송신장치에 있어서 전송방식의 전환이 가능한 것으로 한 때의 변조신호를 생성하는 부분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기지국(방송국, 액세스포인트 등)의 송신장치에 대해서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의 부호화부(502)는 정보(501) 및 제어신호(512)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512)에 포함되는 부호화율, 부호길이(블록길이)의 정보에 의거하여 부호화를 실행하고, 부호화 후의 데이터(503)를 출력한다.
매핑부(504)는 부호화 후의 데이터(503) 및 제어신호(512)를 입력으로 한다. 그리고 제어신호(512)는 전송방식으로서 2개의 스트림을 송신하는 것을 지정한 것으로 한다. 또, 제어신호(512)가 2개의 스트림의 각 변조방식으로 변조방식 α와 변조방식 β를 지정한 것으로 한다. 또, 변조방식 α는 x비트의 데이터를 변조하는 변조방식, 변조방식 β는 y비트의 데이터를 변조하는 변조방식으로 한다(예를 들어 16QAM(16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인 경우 4비트의 데이터를 변조하는 변조방식이며, 64QAM(64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인 경우 6비트의 데이터를 변조하는 변조방식이다).
그러면, 매핑부(504)는 x+y비트의 데이터 중 x비트의 데이터에 대해 변조방식 α로 변조해서 베이스밴드신호 s1(t)(505A)를 생성 및 출력하고, 또, 나머지의 y비트의 데이터의 데이터에 대해 변조방식 β로 변조해서 베이스밴드신호 s2(t)(505B)를 출력한다(또, 도 5에서는 매핑부를 하나로 하고 있으나, 이와는 다른 구성으로, s1(t)를 생성하기 위한 매핑부와 s2(t)를 생성하기 위한 매핑부가 별도로 존재하고 있어도 좋다. 이때, 부호화 후의 데이터(503)는 s1(t)를 생성하기 위한 매핑부와 s2(t)를 생성하기 위한 매핑부로 구분되게 된다).
또, s1(t) 및 s2(t)는 복소수로 표현되고(단, 복소수, 실수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 t는 시간이다. 또,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등의 멀티 캐리어를 이용한 전송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 s1 및 s2는 s1(f) 및 s2(f)와 같이 주파수 f의 함수, 또는 s1(t, f) 및 s2(t, f)와 같이 시간 t, 주파수 f의 함수로 생각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베이스밴드신호, 프리코딩 행렬, 위상변경 등을 시간 t의 함수로서 설명하고 있으나, 주파수 f의 함수, 시간 t 및 주파수 f의 함수로 생각해도 좋다.
따라서, 베이스밴드신호, 프리코딩 행렬, 위상변경 등을 심벌번호 i의 함수로서 설명을 진행하고 있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 시간 t의 함수, 주파수 f의 함수, 시간 t 및 주파수 f의 함수로 생각하면 좋다. 즉, 심벌, 베이스밴드신호를 시간 축 방향으로 생성해서 배치해도 좋고, 주파수 축 방향으로 생성해서 배치해도 좋다. 또, 심벌, 베이스밴드신호를 시간 축 방향 및 주파수 축 방향으로 생성해서 배치해도 좋다.
파워 변경부(506A)(파워 조정부 506A)는 베이스밴드신호 s1(t)(505A) 및 제어신호(512)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512)에 의거하여 실수 P1을 설정하고, P1×s1(t)를 파워변경 후의 신호(507A)로서 출력한다(또, P1을 실수로 하고 있으나, 복소수라도 좋다).
마찬가지로, 파워 변경부(506B)(파워 조정부 506B)는 베이스밴드신호 s2(t)(505B) 및 제어신호(512)를 입력으로 하여, 실수 P2를 설정하고, P2×s2(t)를 파워변경 후의 신호(507B)로서 출력한다(또, P2를 실수로 하고 있으나, 복소수라도 좋다).
가중 합성부(508)는 파워변경 후의 신호(507A), 파워변경 후의 신호(507B) 및 제어신호(512)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512)에 의거하여 프리코딩 행렬 F(또는 F(i))를 설정한다. 슬롯번호(심벌번호)를 i로 하면 가중 합성부(508)는 이하의 연산을 실행한다.
여기서, a(i), b(i), c(i), d(i)는 복소수로 표현할 수 있고(실수라도 좋다)., a(i), b(i), c(i), d(i) 중 3개 이상이 0(제로)이어서는 안 된다. 또, 프리코딩 행렬은 i의 함수라도 좋고, i의 함수가 아니라도 좋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이 i의 함수일 때 프리코딩 행렬이 슬롯번호(심벌번호)에 의해 바뀌게 된다.
그리고 가중 합성부(508)는 식 (S1)에서의 u1(i)를 가중합성 후의 신호(509A)로서 출력하고, 식 (S1)에서의 u2(i)를 가중합성 후의 신호(509B)로서 출력한다.
파워 변경부(510A)는 가중합성 후의 신호(509A)(u1(i)) 및 제어신호(512)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512)에 의거하여 실수 Q1을 설정하고, Q1×u1(t)를 파워변경 후의 신호(511A)(z1(i))로서 출력한다(또, Q1을 실수로 하고 있으나, 복소수라도 좋다).
마찬가지로, 파워 변경부(510B)는 가중합성 후의 신호(509B)(u2(i)) 및 제어신호(512)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512)에 의거하여 실수 Q2를 설정하고, Q2×u2(t)를 파워변경 후의 신호(511A)(z2(i))로서 출력한다(또, Q2를 실수로 하고 있으나, 복소수라도 좋다).
따라서, 이하의 식이 성립한다.
다음에, 도 5와는 다른 2개의 스트림을 송신하는 경우의 전송방법에 대해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도 6에 있어서 도 5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위상변경부(601)는 식 (S1)에서의 u2(i)를 가중합성 후의 신호(509B) 및 제어신호(512)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512)에 의거하여 식 (S1)에서의 u2(i)를 가중합성 후의 신호(509B)의 위상을 변경한다. 따라서, 식 (S1)에서의 u2(i)를 가중합성 후의 신호(509B)의 위상을 변경한 후의 신호는 ejθ(i)×u2(i)와 나타나 ejθ(i)×u2(i)가 위상변경 후의 신호(602)로서 위상변경부(601)는 출력한다(j는 허수 단위). 또, 변경하는 위상의 값은, θ(i)와 같이 i의 함수인 것이 특징적인 부분이 된다.
그리고 도 6의 파워 변경부(510A 및 510B)는 입력신호의 파워 변경을 각각 실시한다. 따라서, 도 6에서의 파워 변경부(510A 및 510B)의 각각의 출력 z1(i), z2(i)는 다음 식과 같이 표시된다.
또, 식 (S3)을 실현하는 방법으로, 도 6과 다른 구성으로는 도 7이 있다. 도 6과 도 7이 다른 점은 파워 변경부와 위상변경부의 순번이 바뀌어 있다는 점이다. (파워 변경을 실행하고 위상변경을 실행한다고 하는 기능 자신은 변하지 않는다). 이때, z1(i), z2(i)는 다음 식과 같이 표시된다.
또, 식 (S3)의 z1(i)와 식 (S4)의 z1(i)는 동일하고, 또, 식 (S3)의 z2(i)와 식 (S4)의 z2(i)도 동일하다.
식 (S3) 및 식 (S4)에서의 변경하는 위상의 값 θ(i)는 예를 들어 θ(i+1)-θ(i)가 고정치가 되도록 설정하면 직접파가 지배적인 전파의 전파환경에 있어서 수신장치는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단, 변경하는 위상의 값 θ(i)의 부여방법은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도 5 내지 도 7에 의해 얻어진 신호 z1(i), z2(i)에 대해 실시하는 신호처리부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삽입부(804A)는 신호 z1(i)(801A), 파일럿심벌(802A), 제어정보심벌(803A), 제어신호(512)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512)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에 따라서, 신호(심벌) z1(i)(801A)에 파일럿심벌(802A), 제어정보심벌(803A)을 삽입하여, 프레임 구성에 따른 변조신호(805A)를 출력한다.
또, 파일럿심벌(802A), 제어정보심벌(803A)는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나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등으로 변조된 심벌이다(다른 변조방식을 이용해도 좋다).
무선부(806A)는 변조신호(805A) 및 제어신호(512)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512)에 의거하여 변조신호(805A)에 대해 주파수변환, 증폭 등의 처리를 실행하여(OFDM 방식을 이용하고 있을 때는 역 푸리에변환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송신신호(807A)를 출력하며, 송신신호(807A)는 안테나(808A)로부터 전파로서 출력된다.
삽입부(804B)는 신호 z2(i)(801B), 파일럿심벌(802B), 제어정보심벌(803B), 제어신호(512)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512)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에 따라서, 신호(심벌) z2(i)(801B)에 파일럿심벌(802B), 제어정보심벌(803B)을 삽입하여 프레임 구성에 따른 변조신호(805B)를 출력한다.
또, 파일럿심벌(802B), 제어정보심벌(803B)는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나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등으로 변조된 심벌이다(다른 변조방식을 이용해도 좋다).
무선부(806B)는 변조신호(805B) 및 제어신호(512)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512)에 의거하여 변조신호(805B)에 대해 주파수변환, 증폭 등의 처리를 실행하여(OFDM 방식을 이용하고 있을 때는 역 푸리에변환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송신신호(807B)를 출력하며, 송신신호(807B)는 안테나(808B)로부터 전파로서 출력된다.
여기서, 신호 z1(i)(801A)와 신호 z2(i)(801B)에 있어서 i가 동일 번호의 신호 z1(i)(801A)와 신호 z2(i)(801B)는 동일(공통)의 주파수를 동일시간에 각각 다른 안테나로부터 송신하게 된다. (즉, MIMO 방식을 이용한 전송방법이 된다).
또, 파일럿심벌(802A) 및 파일럿심벌(802B)는 수신장치에 있어서 신호 검출, 주파수 오프셋의 추정, 게인 컨트롤, 채널추정 등을 행하기 위한 심벌이며, 여기에서는 파일럿심벌이라고 이름 붙이고 있으나, 레퍼런스 심벌 등 다른 호칭으로 해도 좋다.
그리고 제어정보심벌(803A) 및 제어정보심벌(803B)는 송신장치가 이용한 변조방식의 정보, 전송방식의 정보, 프리코딩 방식의 정보, 오류정정 부호방식의 정보, 오류정정부호의 부호화율 정보, 오류정정부호의 블록길이(부호길이)의 정보 등을 수신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심벌이다. 또, 제어정보심벌(803A) 및 제어정보심벌(803B)의 일방만으로 제어정보심벌을 송신해도 좋다.
도 9는 2개의 스트림을 송신하는 경우의 시간-주파수에서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있어서 횡축은 주파수, 종축은 시간이며, 일례로 캐리어 1에서부터 캐리어 38, 시간 $1에서부터 시간 $11의 심벌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도 8의 안테나(806A)로부터 송신하는 송신신호의 프레임 구성과 안테나(808B)로부터 송신하는 송신신호의 프레임을 동시에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있어서 도 8의 안테나(806A)로부터 송신하는 송신신호의 프레임인 경우 데이터심벌은 신호(심벌) z1(i)에 상당한다. 그리고 파일럿심벌은 파일럿심벌(802A)에 상당한다.
도 9에 있어서 도 8의 안테나(806B)로부터 송신하는 송신신호의 프레임인 경우 데이터심벌은 신호(심벌) z2(i)에 상당한다. 그리고 파일럿심벌은 파일럿심벌(802B)에 상당한다.
(따라서, 앞에서도 설명한 것과 같이, 신호 z1(i)(801A)와 신호 z2(i)(801B)에 있어서 i가 동일 번호의 신호 z1(i)(801A)와 신호 z2(i)(801B)는 동일(공통)의 주파수를 동일시간에 각각 다른 안테나로부터 송신되게 된다. 또, 파일럿심벌의 구성은 도 9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파일럿심벌의 시간 간격, 주파수 간격은 도 9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 9에서는 도 8의 안테나(806A) 및 도 8의 안테나(806B)로부터 동일 시각, 동일주파수(동일(서브) 캐리어)에 파일럿심벌이 송신되는 프레임 구성으로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시간 A, 주파수 a((서브) 캐리어 a)에 있어서 도 8의 안테나(806A)에 파일럿심벌을 배치하고, 시간 A, 주파수 a((서브) 캐리어 a)에 있어서 도 8의 안테나(806B)에는 심벌을 배치하지 않는 것으로 하며, 시간 B, 주파수 b((서브) 캐리어 b)에 있어서 도 8의 안테나(806A)에 심벌을 배치하지 않는 것으로 하고, 시간 B, 주파수 b((서브) 캐리어 b)에 있어서 도 8의 안테나(806B)에 파일럿심벌을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도 9에서는 데이터심벌과 파일럿심벌 밖에 기술하고 있지 않으나, 다른 심벌, 예를 들어 제어정보심벌 등의 심벌이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도 5에서부터 도 7에 있어서 파워 변경부의 일부(또는 모두)가 존재하는 경우를 예에서 설명하였으나, 파워 변경부의 일부가 없는 경우도 생각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있어서 파워 변경부(506A)(파워 조정부 506A), 파워 변경부(506B)(파워 조정부 506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z1(i) 및 z2(i)는 이하와 같이 표시된다.
또, 도 5에 있어서 파워 변경부(510A)(파워 조정부 510A), 파워 변경부(510B)(파워 조정부 510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z1(i) 및 z2(i)는 이하와 같이 표시된다.
또, 도 5에 있어서 파워 변경부(506A)(파워 조정부 506A), 파워 변경부(506B)(파워 조정부 506B), 파워 변경부(510A)(파워 조정부 510A), 파워 변경부(510B)(파워 조정부 510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z1(i) 및 z2(i)는 이하와 같이 표시된다.
또, 도 6 또는 도 7에 있어서 파워 변경부(506A)(파워 조정부 506A), 파워 변경부(506B)(파워 조정부 506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z1(i) 및 z2(i)는 이하와 같이 표시된다.
또, 도 6 또는 도 7에 있어서 파워 변경부(510A)(파워 조정부 510A), 파워 변경부(510B)(파워 조정부 510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z1(i) 및 z2(i)는 이하와 같이 표시된다.
또, 도 6 또는 도 7에 있어서 파워 변경부(506A)(파워 조정부 506A), 파워 변경부(506B)(파워 조정부 506B), 파워 변경부(510A)(파워 조정부 510A), 파워 변경부(510B)(파워 조정부 510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z1(i) 및 z2(i)는 이하와 같이 표시된다.
다음에, 앞에서 설명한 2개의 스트림을 송신하는(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방식) 전송방법을 이용한 때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2개의 송신신호의 송신 평균전력이 다를 때의 프리코딩 방법의 보다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예 1)
이하에서는 도 5에서부터 도 7의 매핑부(504)에 있어서 s1(t)(s1(i))를 얻기 위한 변조방식을 16QAM으로 하고, s2(t)(s2(i))를 얻기 위한 변조방식을 64QAM으로 하며, 예를 들어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의 어느 프리코딩 및/또는 파워 변경을 실행한 때의 프리코딩 행렬(F)의 구성과 파워 변경에 관한 조건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16QAM의 매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6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0에 있어서 16개의 ○이 16QAM의 신호점이며, 횡축은 I, 종축은 Q가 된다.
16QAM의 16개의 신호점(도 10의 「○」이 신호점이다)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는 (3w16, 3w16), (3w16, w16), (3w16,-w16), (3w16,-3w16), (w16, 3w16), (w16, w16), (w16,-w16), (w16,-3w16), (-w16, 3w16), (-w16, w16), (-w16,-w16), (-w16,-3w16), (-3w16, 3w16), (-3w16, w16), (-3w16,-w16), (-3w16,-3w16)이 된다(w16은 0보다 큰 실수가 된다).
여기서, 송신하는 비트(입력 비트)를 b0, b1, b2, b3으로 한다. 예를 들어 송신하는 비트가 (b0, b1, b2, b3)=(0, 0, 0, 0)인 경우 도 10에서의 신호점 1001에 매핑 되며,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을 I, 직교성분을 Q로 하면 (I, Q)=(3w16, 3w16)이 된다.
즉, 송신하는 비트(b0, b1, b2, b3)에 의거하여 (16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가 결정된다. 또, b0, b1, b2, b3의 세트 (0000~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의 일례는 도 10과 같다. 16QAM의 16개의 신호점(도 10의 「○」)(3w16, 3w16), (3w16, w16), (3w16,-w16), (3w16,-3w16), (w16, 3w16), (w16, w16), (w16,-w16), (w16,-3w16), (-w16, 3w16), (-w16, w16), (-w16,-w16), (-w16,-3w16), (-3w16, 3w16), (-3w16, w16), (-3w16,-w16), (-3w16,-3w16)의 바로 아래에 b0, b1, b2, b3의 세트 0000~1111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b0, b1, b2, b3의 세트 0000~1111의 바로 위의 신호점(「○」)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가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및 직교성분 Q가 된다. 또, 16QAM일 때의 b0, b1, b2, b3의 세트 (0000~1111)과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는 도 1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16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를 복소 표현한 값이 도 5에서부터 도 7의 베이스밴드신호(s1(t) 또는 s2(t))가 된다.
64QAM의 매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64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1에 있어서 64개의 ○이 64QAM의 신호점이며, 횡축은 I, 종축은 Q가 된다.
64QAM의 64개의 신호점(도 11의 「○」이 신호점이다)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는,
(7w64, 7w64), (7w64, 5w64), (7w64, 3w64), (7w64, w64), (7w64,-w64), (7w64,-3w64), (7w64,-5w64), (7w64,-7w64)
(5w64, 7w64), (5w64, 5w64), (5w64, 3w64), (5w64, w64), (5w64,-wv), (5w64,-3wv), (5w64,-5w64), (5w64,-7w64)
(3w64, 7w64), (3w64, 5w64), (3w64, 3w64), (3w64, w64), (3w64,-w64), (3w64,-3wv), (3w64,-5w64), (3w64,-7w64)
(w64, 7w64), (w64, 5w64), (w64, 3w64), (w64, w64), (w64,-w64), (w64,-3w64), (w64,-5w64), (w64,-7w64)
(-w64, 7w64), (-w64, 5w64), (-w64, 3w64), (-w64, w64), (-w64,-w64), (-w64,-3w64), (-w64,-5w64), (-w64,-7w64)
(-3w64, 7w64), (-3w64, 5w64), (-3w64, 3w64), (-3w64, w64), (-3w64,-w64), (-3w64,-3w64), (-3w64,-5w64), (-3w64,-7w64)
(-5w64, 7w64), (-5w64, 5w64), (-5w64, 3w64), (-5w64, w64), (-5w64,-w64), (-5w64,-3w64), (-5w64,-5w64), (-5w64,-7w64)
(-7w64, 7w64), (-7w64, 5w64), (-7w64, 3w64), (-7w64, w64), (-7w64,-w64), (-7w64,-3w64), (-7w64,-5w64), (-7w64,-7w64)
가 된다(w64는 0보다 큰 실수가 된다).
여기서, 송신하는 비트(입력 비트)를 b0, b1, b2, b3, b4, b5로 한다. 예를 들어 송신하는 비트가 (b0, b1, b2, b3, b4, b5)=(0, 0, 0, 0, 0, 0)인 경우 도 11에서의 신호점 1101에 매핑 되며,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을 I, 직교성분을 Q로 하면 (I, Q)=(7w64, 7w64)가 된다.
즉, 송신하는 비트(b0, b1, b2, b3, b4, b5)에 의거하여 (64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가 결정된다. 또,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의 일례는 도 11과 같다. 64QAM의 64개의 신호점(도 11의 「○」)(7w64, 7w64), (7w64, 5w64), (7w64, 3w64), (7w64, w64), (7w64,-w64), (7w64,-3w64), (7w64,-5w64), (7w64,-7w64)
(5w64, 7w64), (5w64, 5w64), (5w64, 3w64), (5w64, w64), (5w64,-wv), (5w64,-3wv), (5w64,-5w64), (5w64,-7w64)
(3w64, 7w64), (3w64, 5w64), (3w64, 3w64), (3w64, w64), (3w64,-w64), (3w64,-3wv), (3w64,-5w64), (3w64,-7w64)
(w64, 7w64), (w64, 5w64), (w64, 3w64), (w64, w64), (w64,-w64), (w64,-3w64), (w64,-5w64), (w64,-7w64)
(-w64, 7w64), (-w64, 5w64), (-w64, 3w64), (-w64, w64), (-w64,-w64), (-w64,-3w64), (-w64,-5w64), (-w64,-7w64)
(-3w64, 7w64), (-3w64, 5w64), (-3w64, 3w64), (-3w64, w64), (-3w64,-w64), (-3w64,-3w64), (-3w64,-5w64), (-3w64,-7w64)
(-5w64, 7w64), (-5w64, 5w64), (-5w64, 3w64), (-5w64, w64), (-5w64,-w64), (-5w64,-3w64), (-5w64,-5w64), (-5w64,-7w64)
(-7w64, 7w64), (-7w64, 5w64), (-7w64, 3w64), (-7w64, w64), (-7w64,-w64), (-7w64,-3w64), (-7w64,-5w64), (-7w64,-7w64)
의 바로 아래에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의 바로 위의 신호점(「○」)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가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및 직교성분 Q가 된다. 또, 64QAM일 때의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는 도 1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64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를 복소 표현한 값이 도 5에서부터 도 7의 베이스밴드신호(s1(t) 또는 s2(t))가 된다.
여기에서의 예에서는 도 5~도 7에 있어서 베이스밴드신호(505A)(s1(t)(s1(i)))의 변조방식을 16QAM, 베이스밴드신호(505B)(s2(t)(s2(i)))의 변조방식을 64QAM으로 하여 프리코딩 행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도 5~도 7의 매핑부(504)의 출력인 베이스밴드신호(505A)(s1(t)(s1(i)))의 평균전력과 베이스밴드신호(505B)(s2(t)(s2(i))) 평균전력을 동일하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 된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1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16 및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에 관해서 이하의 관계식이 성립한다.
또, 식 (S11) 및 식 (S12)에 있어서 z는 0보다 큰 실수로 한다. 그리고,
<1>식 (S2)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
의 구성 및 Q1과 Q2의 관계에 있어서 이하에서((예 1-1)~(예 1-8)) 상세하게 설명한다.
(예 1-1)
앞에서 설명한 <1>에서 <5>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 있어서 프리코딩 행렬 F를 이하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14), 식 (S15), 식 (S16), 식 (S17)에 있어서 α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으며,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α는 0(제로)은 아니다. 그리고 β도 0(제로)은 아니다.
또, 본 구성 예(본 명세서 중에서 공통이다)에 있어서 복소평면에서의 예를 들어 편각과 같은 위상의 단위는 「라디안(radian)」으로 하고 있다. (예외적으로 degree(「도」)를 이용할 때는 단위를 나타내고 있다).
복소평면을 이용하면 복소수의 극좌표에 의한 표시로 극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복소수 z = a + jb(a, b는 함께 실수이며, j는 허수 단위이다)에 복소평면 상의 점 (a, b)을 대응시켰을 때 이 점이 극좌표에서[r, θ은 라고 표시된다면,
a=r×cosθ,
b=r×sinθ
식 (49)가 성립하며, r은 z의 절대치(r = |z|)이며, θ가 편각(argument)이 된다. 그리고 z = a + jb는 rejθ로 표시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식 (S14)에서부터 식 (S17)에 있어서 ejπ로 기재하고 있으나, 편각 π의 단위는 「라디안(radian)」이 된다.
이때,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에 대해 생각한다.
먼저,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1(t)(z1(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으로 이하가 있다.
α가 실수일 때:
또는,
α가 허수일 때:
또는,
그리고 베이스밴드신호(505A)(s1(t)(s1(i)))의 변조방식은 16QAM, 베이스밴드신호(505B)(s2(t)(s2(i)))의 변조방식은 64QAM이 된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리코딩(및 위상변경, 파워 변경)을 실행하여 변조신호를 각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경우, 시간 u의(단위) 시간, 주파수(캐리어) v에 의해 도 8의 안테나(808A)로부터 송신하는 심벌과 안테나(808B)로부터 송신하는 심벌에 의해 송신되는 총 비트 수는 (16QAM을 이용함에 따른) 4비트와 (64QAM을 이용함에 따른) 6비트의 합인 10비트가 된다.
16QAM의 매핑을 위한 입력 비트를 b0, 16, b1, 16, b2, 16, b3, 16, 64QAM의 매핑을 위한 입력 비트를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로 한 때, 식 (S18), 식 (S19), 식 (S20), 식 (S21)의 어느 α로 설정해도 신호 z1(t)(z1(i))에 있어서,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이 동상 I-직교 Q평면에 존재하며,
마찬가지로, 신호 z2(t)(z2(i))에 있어서도,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이 동상 I-직교 Q평면에 존재한다.
앞의 성명에서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1(t)(z1(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으로 식 (S18)~식 (S21)을 기재하였으나, 이 점에 대해 설명한다.
신호 z1(t)(z1(i))에 있어서,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이 동상 I-직교 Q평면에 존재하게 되나, 이 210=1024개의 신호점이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겹치지 않고 1024개의 신호점으로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신호 z2(t)(z2(i))를 송신하는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변조신호가 수신장치에 이르지 않는 경우, 수신장치는 신호 z1(t)(z1(i))를 이용하여 검파 및 오류정정 복호를 실시하게 되나, 이때, 수신장치가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해서는 「겹치지 않고 1024개의 신호점」이 존재하면 좋기 때문이다.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14), 식 (S15), 식 (S16), 식 (S17)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18), 식 (S19), 식 (S20), 식 (S21)과 같이 α를 설정한 경우,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1(t)(u1(i))에 있어서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12와 같이 된다. 또, 도 12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12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024개의 신호점 중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가장 오른쪽의 가장 아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가장 왼쪽의 가장 아래의 4개를 제외한 1020개의 신호점에서의 가장 근접하는 다른 신호점과의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14), 식 (S15), 식 (S16), 식 (S17)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18), 식 (S19), 식 (S20), 식 (S21)과 같이 α를 설정한 경우,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2(t)(u2(i))에 있어서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13과 같이 된다. 또, 도 13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13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12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로 하고, 도 13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한다. 그러면 D1>D2가 성립한다. 따라서, 구성 예 R1로부터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 있어서 Q1≠Q2인 경우에 Q1>Q2가 성립하면 좋게 된다.
(예 1-2)
다음에, 앞에서 설명한 1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16 및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에 관해서 식 (S11) 및 식 (S12)이 성립하고,
<1>식 (S2)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를 이하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22), 식 (S24)에 있어서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β는 0(제로)은 아니다.
이때,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에 대해 생각한다.
먼저,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1(t)(z1(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으로 이하가 있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26), 식 (S27), 식 (S28), 식 (S29)에 있어서 tan-1(x)는 역삼각함수(inverse trigonometric function)(삼각함수의 정의역을 적당하게 제한한 것의 역함수)이며,
가 된다. 또, 「tan-1(x)」는 「Tan-1(x)」, 「arctan(x)」, 「Arctan(x)」로 기재해도 좋다. 그리고 N은 정수로 한다.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22), 식 (S23), 식 (S24), 식 (S25)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26), 식 (S27), 식 (S28), 식 (S29)과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1t)(u1(i))에서의 동상 I-직교 Q평면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12와 같이 된다. 또, 도 12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12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024개의 신호점 중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가장 오른쪽의 가장 아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가장 왼쪽의 가장 아래의 4개를 제외한 1020개의 신호점에서의 가장 근접하는 다른 신호점과의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22), 식 (S23), 식 (S24), 식 (S25)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26), 식 (S27), 식 (S28), 식 (S29)과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2(t)(u2(i))에서의 동상 I-직교 Q평면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13과 같이 된다. 또, 도 13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13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12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로 하고, 도 13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한다. 그러면, D1>D2가 성립한다. 따라서, 구성 예 R1로부터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 있어서 Q1≠Q2인 경우, Q1>Q2가 성립하면 좋게 된다.
(예 1-3)
앞에서 설명한 1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16 및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에 관해서 식 (S11) 및 식 (S12)이 성립하고,
<1>식 (S2)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를 이하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31), 식 (S32), 식 (S33), 식 (S34)에 있어서 α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으며,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α는 0(제로)은 아니다. 그리고 β도 0(제로)은 아니다.
이때,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에 대해 생각한다.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1(t)(z1(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으로 이하가 있다.
α가 실수일 때:
또는,
α가 허수일 때:
또는,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31), 식 (S32), 식 (S33), 식 (S34)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35), 식 (S36), 식 (S37), 식 (S38)과 같이 α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1(t)(u1(i))에서의 동상 I-직교 Q평면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14와 같이 된다. 또, 도 14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14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024개의 신호점 중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가장 오른쪽의 가장 아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가장 왼쪽의 가장 아래의 4개를 제외한 1020개의 신호점에서의 가장 근접하는 다른 신호점과의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31), 식 (S32), 식 (S33), 식 (S34)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35), 식 (S36), 식 (S37), 식 (S38)과 같이 α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2(t)(u2(i))에서의 동상 I-직교 Q평면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15와 같이 된다. 또, 도 15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15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14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로 하고, 도 15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한다. 그러면, D1>D2가 성립한다. 따라서, 구성 예 R1로부터,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 있어서 Q1≠Q2인 경우, Q1>Q2가 성립하면 좋게 된다.
(예 1-4)
다음에, 앞에서 설명한 1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16 및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에 관해서 식 (S11) 및 식 (S12)이 성립하고,
<1>식 (S2)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를 이하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39), 식 (S41)에 있어서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β는 0(제로)은 아니다.
이때,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에 대해 생각한다.
먼저,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1(t)(z1(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으로 이하가 있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43), 식 (S44), 식 (S45), 식 (S46)에 있어서 tan-1(x)는 역삼각함수(inverse trigonometric function)(삼각함수의 정의역을 적당하게 제한한 것의 역함수)이며,
이 된다. 또, 「tan-1(x)」는 「Tan-1(x)」, 「arctan(x)」, 「Arctan(x)」로 기재해도 좋다. 그리고 N은 정수로 한다.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39), 식 (S40), 식 (S41), 식 (S42)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43), 식 (S44), 식 (S45), 식 (S46)과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1(t)(u1(i))에서의 동상 I-직교 Q평면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14와 같이 된다.
또, 도 14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14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024개의 신호점 중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가장 오른쪽의 가장 아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가장 왼쪽의 가장 아래의 4개를 제외한 1020개의 신호점에서의 가장 근접하는 다른 신호점과의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39), 식 (S40), 식 (S41), 식 (S42)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43), 식 (S44), 식 (S45), 식 (S46)과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2(t)(u2(i))에서의 동상 I-직교 Q평면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15와 같이 된다. 또, 도 15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15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14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로 하고, 도 15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한다. 그러면, D1>D2가 성립한다. 따라서, 구성 예 R1로부터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 있어서 Q1≠Q2인 경우, Q1>Q2가 성립하면 좋게 된다.
(예 1-5)
앞에서 설명한 1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16 및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에 관해서 식 (S11) 및 식 (S12)이 성립하며,
<1>식 (S2)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를 이하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48), 식 (S49), 식 (S50), 식 (S51)에 있어서 α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으며,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α는 0(제로)은 아니다. 그리고 β도 0(제로)은 아니다.
이때,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에 대해 생각한다.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2(t)(z2(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으로 이하가 있다.
α가 실수일 때:
또는,
α가 허수 때:
또는,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48), 식 (S49), 식 (S50), 식 (S51)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52), 식 (S53), 식 (S54), 식 (S55)과 같이 α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2(t)(u2(i))에서의 동상 I-직교 Q평면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16과 같이 된다. 또, 도 16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16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024개의 신호점 중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가장 오른쪽의 가장 아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가장 왼쪽의 가장 아래의 4개를 제외한 1020개의 신호점에서의 가장 근접하는 다른 신호점과의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48), 식 (S49), 식 (S50), 식 (S51)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52), 식 (S53), 식 (S54), 식 (S55)과 같이 α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1(t)(u1(i))에서의 동상 I-직교 Q평면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17과 같이 된다. 또, 도 17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17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16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하고, 도 17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으로 한다. 그러면, D1<D2가 성립한다. 따라서, 구성 예 R1로부터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 있어서 Q1≠Q2인 경우, Q1<Q2가 성립하면 좋아지게 된다.
(예 1-6)
다음에, 앞에서 설명한 1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16 및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에 관해서 식 (S11) 및 식 (S12)이 성립하고,
<1>식 (S2)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를 이하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56), 식 (S58)에 있어서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β는 0(제로)은 아니다.
이때,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에 대해 생각한다.
먼저,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2(t)(z2(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으로 이하가 있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60), 식 (S61), 식 (S62), 식 (S63)에 있어서 tan-1(x)는 역삼각함수(inverse trigonometric function)(삼각함수의 정의역을 적당하게 제한한 것의 역함수)이며,
이 된다. 또, 「tan-1(x)」는 「Tan-1(x)」, 「arctan(x)」, 「Arctan(x)」로 기재해도 좋다. 그리고 N은 정수로 한다.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56), 식 (S57), 식 (S58), 식 (S59)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60), 식 (S61), 식 (S62), 식 (S63)과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2(t)(u2(i))에서의 동상 I-직교 Q평면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16과 같이 된다.
또, 도 16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16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024개의 신호점 중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가장 오른쪽의 가장 아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가장 왼쪽의 가장 아래의 4개를 제외한 1020개의 신호점에서의 가장 근접하는 다른 신호점과의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56), 식 (S57), 식 (S58), 식 (S59)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60), 식 (S61), 식 (S62), 식 (S63)과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1(t)(u1(i))에서의 동상 I-직교 Q평면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17과 같이 된다. 또, 도 17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17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16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하고, 도 17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으로 한다. 그러면, D1<D2가 성립한다. 따라서, 구성 예 R1로부터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 있어서 Q1≠Q2인 경우, Q1<Q2가 성립하면 좋게 된다.
(예 1-7)
앞에서 설명한 1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16 및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에 관해서 식 (S11) 및 식 (S12)이 성립하고,
<1>식 (S2)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를 이하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65), 식 (S66), 식 (S67), 식 (S68)에 있어서 α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으며,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α는 0(제로)은 아니다. 그리고 β도 0(제로)은 아니다.
이때,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에 대해 생각한다.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2(t)(z2(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으로 이하가 있다.
α가 실수일 때:
또는,
α가 허수일 때:
또는,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65), 식 (S66), 식 (S67), 식 (S68)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69), 식 (S70), 식 (S71), 식 (S72)와 같이 α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2(t)(u2(i))에서의 동상 I-직교 Q평면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18과 같이 된다. 또, 도 18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18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024개의 신호점 중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가장 오른쪽의 가장 아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가장 왼쪽의 가장 아래의 4개를 제외한 1020개의 신호점에서의 가장 근접하는 다른 신호점과의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65), 식 (S66), 식 (S67), 식 (S68)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69), 식 (S70), 식 (S71), 식 (S72)와 같이 α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1(t)(u1(i))에서의 동상 I-직교 Q평면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19와 같이 된다. 또, 도 19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19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18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하고, 도 19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으로 한다. 그러면, D1<D2가 성립한다. 따라서, 구성 예 R1로부터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 있어서 Q1≠Q2인 경우, Q1<Q2가 성립하면 좋게 된다.
(예 1-8)
다음에, 앞에서 설명한 1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16 및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에 관해서 식 (S11) 및 식 (S12)이 성립하고,
<1>식 (S2)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를 이하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73), 식 (S75)에 있어서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β는 0(제로)은 아니다.
이때,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에 대해 생각한다.
먼저,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2(t)(z2(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으로 이하가 있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77), 식 (S78), 식 (S79), 식 (S80)에 있어서 tan-1(x)는 역삼각함수(inverse trigonometric function)(삼각함수의 정의역을 적당하게 제한한 것의 역함수)이며,
이 된다. 또, 「tan-1(x)」는 「Tan-1(x)」, 「arctan(x)」, 「Arctan(x)」로 기재해도 좋다. 그리고 N은 정수로 한다.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73), 식 (S74), 식 (S75), 식 (S76)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77), 식 (S78), 식 (S79), 식 (S80)과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2(t)(u2(i))에서의 동상 I-직교 Q평면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18과 같이 된다. 또, 도 18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18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024개의 신호점 중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가장 오른쪽의 가장 아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가장 왼쪽의 가장 아래의 4개를 제외한 1020개의 신호점에서의 가장 근접하는 다른 신호점과의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73), 식 (S74), 식 (S75), 식 (S76)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77), 식 (S78), 식 (S79), 식 (S80)과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1(t)(u1(i))에서의 동상 I-직교 Q평면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19와 같이 된다. 또, 도 19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19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18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하고, 도 19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으로 한다. 그러면, D1<D2가 성립한다. 따라서, 구성 예 R1로부터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 있어서 Q1≠Q2인 경우, Q1<Q2가 성립하면 좋게 된다.
(예 1-보충)
(예 1-1)~(예 1-8)에서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있는 α의 값의 예 및 θ의 값의 예를 나타내었으나, α의 값 및 θ의 값은 이들 값이 아니라도, 구성 예 R1에 나타낸 조건을 만족함으로써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다.
(예 2)
이하에서는 도 5에서부터 도 7의 매핑부(504)에 있어서 s1(t)(s1(i))를 얻기 위한 변조방식을 64QAM으로 하고, s2(t)(s2(i))를 얻기 위한 변조방식을 16QAM으로 하며, 예를 들어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의 어느 프리코딩 및/또는 파워 변경을 실행한 때의 프리코딩 행렬(F)의 구성과 파워 변경에 관한 조건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16QAM의 매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6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0에 있어서 16개의 ○이 16QAM의 신호점이며, 횡축은 I, 종축은 Q가 된다.
16QAM의 16개의 신호점(도 10의 「○」이 신호점이다)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는 (3w16, 3w16), (3w16, w16), (3w16,-w16), (3w16,-3w16), (w16, 3w16), (w16, w16), (w16,-w16), (w16,-3w16), (-w16, 3w16), (-w16, w16), (-w16,-w16), (-w16,-3w16), (-3w16, 3w16), (-3w16, w16), (-3w16,-w16), (-3w16,-3w16)이 된다(w16은 0보다 큰 실수가 된다).
여기서, 송신하는 비트(입력 비트)를 b0, b1, b2, b3으로 한다. 예를 들어 송신하는 비트가 (b0, b1, b2, b3)=(0, 0, 0, 0)인 경우, 도 10에서의 신호점 1001에 매핑 되며,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을 I, 직교성분을 Q로 하면 (I, Q)=(3w16, 3w16)이 된다.
즉, 송신하는 비트(b0, b1, b2, b3)에 의거하여 (16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가 결정된다. 또, b0, b1, b2, b3의 세트 (0000~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의 일례는 도 10과 같다. 16QAM의 16개의 신호점(도 10의 「○」) (3w16, 3w16), (3w16, w16), (3w16,-w16), (3w16,-3w16), (w16, 3w16), (w16, w16), (w16,-w16), (w16,-3w16), (-w16, 3w16), (-w16, w16), (-w16,-w16), (-w16,-3w16), (-3w16, 3w16), (-3w16, w16), (-3w16,-w16), (-3w16,-3w16)의 바로 아래에 b0, b1, b2, b3의 세트 0000~1111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b0, b1, b2, b3의 세트 0000~1111의 바로 위의 신호점(「○」)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가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및 직교성분 Q가 된다. 또, 16QAM일 때의 b0, b1, b2, b3의 세트 (0000~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는 도 1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16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를 복소 표현한 값이 도 5에서부터 도 7의 베이스밴드신호(s1(t) 또는 s2(t))가 된다.
64QAM의 매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64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1에 있어서 64개의 ○이 64QAM의 신호점이며, 횡축은 I, 종축은 Q가 된다.
64QAM의 64개의 신호점(도 11의 「○」이 신호점이다)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는,
(7w64, 7w64), (7w64, 5w64), (7w64, 3w64), (7w64, w64), (7w64,-w64), (7w64,-3w64), (7w64,-5w64), (7w64,-7w64)
(5w64, 7w64), (5w64, 5w64), (5w64, 3w64), (5w64, w64), (5w64,-w64), (5w64,-3w64), (5w64,-5w64), (5w64,-7w64)
(3w64, 7w64), (3w64, 5w64), (3w64, 3w64), (3w64, w64), (3w64,-w64), (3w64,-3w64), (3w64,-5w64), (3w64,-7w64)
(w64, 7w64), (w64, 5w64), (w64, 3w64), (w64, w64), (w64,-w64), (w64,-3w64), (w64,-5w64), (w64,-7w64)
(-w64, 7w64), (-w64, 5w64), (-w64, 3w64), (-w64, w64), (-w64,-w64), (-w64,-3w64), (-w64,-5w64), (-w64,-7w64)
(-3w64, 7w64), (-3w64, 5w64), (-3w64, 3w64), (-3w64, w64), (-3w64,-w64), (-3w64,-3w64), (-3w64,-5w64), (-3w64,-7w64)
(-5w64, 7w64), (-5w64, 5w64), (-5w64, 3w64), (-5w64, w64), (-5w64,-w64), (-5w64,-3w64), (-5w64,-5w64), (-5w64,-7w64)
(-7w64, 7w64), (-7w64, 5w64), (-7w64, 3w64), (-7w64, w64), (-7w64,-w64), (-7w64,-3w64), (-7w64,-5w64), (-7w64,-7w64)가 된다(w64는 0보다 큰 실수가 된다).
여기서, 송신하는 비트(입력 비트)를 b0, b1, b2, b3, b4, b5로 한다. 예를 들어 송신하는 비트가 (b0, b1, b2, b3, b4, b5)=(0, 0, 0, 0, 0, 0)인 경우, 도 11에서의 신호점 1101에 매핑 되며,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을 I, 직교성분을 Q로 하면 (I, Q)=(7w64, 7w64)가 된다.
즉, 송신하는 비트(b0, b1, b2, b3, b4, b5)에 의거하여 (64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가 결정된다. 또,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의 일례는 도 11과 같다. 64QAM의 64개의 신호점(도 11의 「○」)(7w64, 7w64), (7w64, 5w64), (7w64, 3w64), (7w64, w64), (7w64,-w64), (7w64,-3w64), (7w64,-5w64), (7w64,-7w64)
(5w64, 7w64), (5w64, 5w64), (5w64, 3w64), (5w64, w64), (5w64,-w64), (5w64,-3w64), (5w64,-5w64), (5w64,-7w64)
(3w64, 7w64), (3w64, 5w64), (3w64, 3w64), (3w64, w64), (3w64,-w64), (3w64,-3w64), (3w64,-5w64), (3w64,-7w64)
(w64, 7w64), (w64, 5w64), (w64, 3w64), (w64, w64), (w64,-w64), (w64,-3w64), (w64,-5w64), (w64,-7w64)
(-w64, 7w64), (-w64, 5w64), (-w64, 3w64), (-w64, w64), (-w64,-w64), (-w64,-3w64), (-w64,-5w64), (-w64,-7w64)
(-3w64, 7w64), (-3w64, 5w64), (-3w64, 3w64), (-3w64, w64), (-3w64,-w64), (-3w64,-3w64), (-3w64,-5w64), (-3w64,-7w64)
(-5w64, 7w64), (-5w64, 5w64), (-5w64, 3w64), (-5w64, w64), (-5w64,-w64), (-5w64,-3w64), (-5w64,-5w64), (-5w64,-7w64)
(-7w64, 7w64), (-7w64, 5w64), (-7w64, 3w64), (-7w64, w64), (-7w64,-w64), (-7w64,-3w64), (-7w64,-5w64), (-7w64,-7w64)의 바로 아래에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의 바로 위의 신호점(「○」)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가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및 직교성분 Q가 된다. 또, 64QAM일 때의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는 도 1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64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를 복소 표현한 값이 도 5에서부터 도 7의 베이스밴드신호(s1(t) 또는 s2(t))가 된다.
여기에서의 예에서는 도 5~도 7에 있어서 베이스밴드신호(505A)(s1(t)(s1(i)))의 변조방식을 64QAM, 베이스밴드신호(505B)(s2(t)(s2(i)))의 변조방식을 16QAM으로 하여, 프리코딩 행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도 5~도 7의 매핑부(504)의 출력인 베이스밴드신호(505A)(s1(t)(s1(i)))의 평균전력과 베이스밴드신호(505B)(s2(t)(s2(i))) 평균전력을 동일하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 된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1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16 및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에 관해서 이하의 관계식이 성립한다.
또, 식 (S82) 및 식 (S83)에 있어서 z는 0보다 큰 실수로 한다. 그리고,
<1>식 (S2)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
의 구성 및 Q1과 Q2의 관계에 있어서 이하에서 ((예 2-1)~(예 28)) 상세하게 설명한다.
(예 2-1)
앞에서 설명한 <1>에서 <5>중 어느 하나의 경우에 있어서 프리코딩 행렬 F를 이하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85), 식 (S86), 식 (S87), 식 (S88)에 있어서 α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으며,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α는 0(제로)은 아니다. 그리고 β도 0(제로)은 아니다.
이때,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에 대해 생각한다.
먼저,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2(t)(z2(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으로 이하가 있다.
α가 실수일 때:
또는,
α가 허수 때:
또는,
그런데, 베이스밴드신호(505A)(s1(t)(s1(i)))의 변조방식을 64QAM, 베이스밴드신호(505B)(s2(t)(s2(i)))의 변조방식을 16QAM이 된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프리코딩(및 위상변경, 파워 변경)을 실시하여 변조신호를 각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경우, 시간 u의 (단위)시간, 주파수(캐리어) v에 의해 도 8의 안테나(808A)로부터 송신하는 심벌과 안테나(808B)로부터 송신하는 심벌에 의해 송신되는 총 비트 수는 (16QAM을 이용함에 따른) 4비트와 (64QAM을 이용함에 따른) 6비트의 합의 10비트가 된다.
16QAM의 매핑을 위한 입력 비트를 b0, 16, b1, 16, b2, 16, b3, 16, 64QAM의 매핑을 위한 입력 비트를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로 한 때, 식 (S89), 식 (S90), 식 (S91), 식 (S92)의 어느 α로 설정해도 신호 z1(t)(z1(i))에 있어서,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이 동상 I-직교 Q평면에 존재하고,
마찬가지로, 신호 z2(t)(z2(i))에 있어서도,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이 동상 I-직교 Q평면에 존재한다.
앞의 설명에서,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2(t)(z2(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으로 식 (S89)~식 (S92)을 기재하였으나, 이 점에 대해 설명한다.
신호 z2(t)(z2(i))에 있어서,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이 동상 I-직교 Q평면에 존재하게 되나, 이 210=1024개의 신호점이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겹치지 않으며, 1024개의 신호점으로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신호 z1(t)(z1(i))를 송신하는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변조신호가 수신장치에 이르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장치는 신호 z2(t)(z2(i))를 이용해서 검파 및 오류정정 복호를 실시하게 되지만, 이때, 수신장치가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해서는 「겹치지 않고, 1024개의 신호점」존재하면 좋기 때문이다.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85), 식 (S86), 식 (S87), 식 (S88)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89), 식 (S90), 식 (S91), 식 (S92)와 같이 α를 설정한 경우,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2(t)(u2(i))에 있어서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16과 같이 된다. 또, 도 16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16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024개의 신호점 중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가장 오른쪽의 가장 아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가장 왼쪽의 가장 아래의 4개를 제외한 1020개의 신호점에서의 가장 근접하는 다른 신호점과의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85), 식 (S86), 식 (S87), 식 (S88)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89), 식 (S90), 식 (S91), 식 (S92)와 같이 α를 설정한 경우,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1(t)(u1(i))에 있어서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17과 같이 된다. 또, 도 17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17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16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하고, 도 17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으로 한다. 그러면, D1<D2가 성립한다. 따라서, 구성 예 R1로부터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 있어서 Q1≠Q2인 경우, Q1<Q2가 성립하면 좋게 된다.
(예 2-2)
다음에, 앞에서 설명한 1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16 및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에 관해서 식 (S11) 및 식 (S12)이 성립하고,
<1>식 (S2)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를 이하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93), 식 (S95)에 있어서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β는 0(제로)은 아니다.
이때,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에 대해 생각한다.
먼저,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2(t)(z2(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으로 이하가 있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97), 식 (S98), 식 (S99), 식 (S100)에 있어서 tan-1(x)는 역삼각함수(inverse trigonometric function)(삼각함수의 정의역을 적당하게 제한한 것의 역함수)이며,
이 된다. 또, 「tan-1(x)」는 -1an-1(x)」, 「arctan(x)」, 「Arctan(x)」로 기재해도 좋다. 그리고 N은 정수로 한다.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93), 식 (S94), 식 (S95), 식 (S96)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97), 식 (S98), 식 (S99), 식 (S100)과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2(t)(u2(i))에서의 동상 I-직교 Q평면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16과 같이 된다. 또, 도 16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16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024개의 신호점 중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가장 오른쪽의 가장 아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가장 왼쪽의 가장 아래의 4개를 제외한 1020개의 신호점에서의 가장 근접하는 다른 신호점과의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93), 식 (S94), 식 (S95), 식 (S96)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97), 식 (S98), 식 (S99), 식 (S100)과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1(t)(u1(i))에서의 동상 I-직교 Q평면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17과 같이 된다. 또, 도 17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17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16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 하고, 도 17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으로 한다. 그러면, D1<D2 성립한다. 따라서, 구성 예 R1로부터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 있어서 Q1≠Q2 경우, Q1<Q2 성립하면 좋게 된다.
(예 2-3)
앞에서 설명한 1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16 및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에 관해서 식 (S11) 및 식 (S12)이 성립하고,
<1>식 (S2)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를 이하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102), 식 (S103), 식 (S104), 식 (S105)에 있어서 α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으며,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α는 0(제로)은 아니다. 그리고 β도 0(제로)은 아니다.
이때,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에 대해 생각한다.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2(t)(z2(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으로 이하가 있다.
α가 실수일 때:
또는,
α가 허수일 때:
또는,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102), 식 (S103), 식 (S104), 식 (S105)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106), 식 (S107), 식 (S108), 식 (S109)과 같이 α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2(t)(u2(i))에서의 동상 I-직교 Q평면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18과 같이 된다. 또, 도 18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18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024개의 신호점 중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가장 오른쪽의 가장 아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가장 왼쪽의 가장 아래의 4개를 제외한 1020개의 신호점에서의 가장 근접하는 다른 신호점과의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102), 식 (S103), 식 (S104), 식 (S105)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106), 식 (S107), 식 (S108), 식 (S109)과 같이 α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1(t)(u1(i))에서의 동상 I-직교 Q평면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19와 같이 된다. 또, 도 19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19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18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 하고, 도 19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으로 한다. 그러면, D1<D2 성립한다. 따라서, 구성 예 R1로부터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 있어서 Q1≠Q2 경우, Q1<Q2 성립하면 좋게 된다.
(예 2-4)
다음에, 앞에서 설명한 1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16 및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에 관해서 식 (S11) 및 식 (S12)이 성립하고,
<1>식 (S2)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를 이하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110), 식 (S112)에 있어서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β는 0(제로)은 아니다.
이때,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에 대해 생각한다.
먼저,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2(t)(z2(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으로 이하가 있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114), 식 (S115), 식 (S116), 식 (S117)에 있어서 tan-1(x)는 역삼각함수(inverse trigonometric function)(삼각함수의 정의역을 적당하게 제한한 것의 역함수)이며,
가 된다. 또, 「tan-1(x)」는 「Tan-1(x)」, 「arctan(x)」, 「Arctan(x)」로 기재해도 좋다. 그리고 N은 정수로 한다.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110), 식 (S111), 식 (S112), 식 (S113)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114), 식 (S115), 식 (S116), 식 (S117)과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2(t)(u2(i))에서의 동상 I-직교 Q평면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18과 같이 된다. 또, 도 18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18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024개의 신호점 중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가장 오른쪽의 가장 아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가장 왼쪽의 가장 아래의 4개를 제외한 1020개의 신호점에서의 가장 근접하는 다른 신호점과의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110), 식 (S111), 식 (S112), 식 (S113)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114), 식 (S115), 식 (S116), 식 (S117)과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1(t)(u1(i))에서의 동상 I-직교 Q평면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19와 같이 된다. 또, 도 19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19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18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 하고, 도 19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으로 한다. 그러면, D1<D2 성립한다. 따라서, 구성 예 R1로부터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 있어서 Q1≠Q2 경우, Q1<Q2 성립하면 좋게 된다.
(예 2-5)
앞에서 설명한 1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16 및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에 관해서 식 (S11) 및 식 (S12)이 성립하고,
<1>식 (S2)에 있어서 P12=P22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2=P2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2=P2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를 이하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119), 식 (S120), 식 (S121), 식 (S122)에 있어서 α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으며,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α는 0(제로)은 아니다. 그리고 β도 0(제로)은 아니다.
이때,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에 대해 생각한다.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1(t)(z1(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으로 이하가 있다.
α가 실수일 때:
또는,
α가 허수일 때:
또는,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119), 식 (S120), 식 (S121), 식 (S122)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123), 식 (S124), 식 (S125), 식 (S126)과 같이 α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1(t)(u1(i))에서의 동상 I-직교 Q평면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12와 같이 된다. 또, 도 12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12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024개의 신호점 중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가장 오른쪽의 가장 아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가장 왼쪽의 가장 아래의 4개를 제외한 1020개의 신호점에서의 가장 근접하는 다른 신호점과의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119), 식 (S120), 식 (S121), 식 (S122)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123), 식 (S124), 식 (S125), 식 (S126)과 같이 α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2(t)(u2(i))에서의 동상 I-직교 Q평면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13과 같이 된다. 또, 도 13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13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12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로 하고, 도 13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 한다. 그러면, D1>D2 성립한다. 따라서, 구성 예 R1로부터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 있어서 Q1≠Q2 경우, Q1>Q2 성립하면 좋게 된다.
(예 2-6)
다음에, 앞에서 설명한 1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16 및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에 관해서 식 (S11) 및 식 (S12)이 성립하고,
<1>식 (S2)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를 이하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127), 식 (S129)에 있어서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β는 0(제로)은 아니다.
이때,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에 대해 생각한다.
먼저,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1(t)(z1(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으로 이하가 있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131), 식 (S132), 식 (S133), 식 (S134)에 있어서 tan-1(x)는 역삼각함수(inverse trigonometric function)(삼각함수의 정의역을 적당하게 제한한 것의 역함수)이며,
이 된다. 또, 「tan-1(x)」는 「Tan-1(x)」, 「arctan(x)」, 「Arctan(x)」로 기재해도 좋다. 그리고 N은 정수로 한다.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127), 식 (S128), 식 (S129), 식 (S130)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131), 식 (S132), 식 (S133), 식 (S134)과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1(t)(u1(i))에서의 동상 I-직교 Q평면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12와 같이 된다. 또, 도 12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12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024개의 신호점 중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가장 오른쪽의 가장 아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가장 왼쪽의 가장 아래의 4개를 제외한 1020개의 신호점에서의 가장 근접하는 다른 신호점과의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127), 식 (S128), 식 (S129), 식 (S130)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131), 식 (S132), 식 (S133), 식 (S134)과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2(t)(u2(i))에서의 동상 I-직교 Q평면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13과 같이 된다. 또, 도 13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13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12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로 하고, 도 13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한다. 그러면, D1>D2가 성립한다. 따라서, 구성 예 R1로부터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 있어서 Q1≠Q2인 경우, Q1>Q2가 성립하면 좋게 된다.
(예 2-7)
앞에서 설명한 1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16 및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에 관해서 식 (S11) 및 식 (S12)이 성립하고,
<1>식 (S2)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를 이하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136), 식 (S137), 식 (S138), 식 (S139)에 있어서 α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으며,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α는 0(제로)은 아니다. 그리고 β도 0(제로)은 아니다.
이때,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에 대해 생각한다.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1(t)(z1(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으로 이하가 있다.
α가 실수일 때:
또는,
α가 허수 때:
또는,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136), 식 (S137), 식 (S138), 식 (S139)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140), 식 (S141), 식 (S142), 식 (S143)과 같이 α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1(t)(u1(i))에서의 동상 I-직교 Q평면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14와 같이 된다. 또, 도 14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14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024개의 신호점 중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가장 오른쪽의 가장 아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가장 왼쪽의 가장 아래의 4개를 제외한 1020개의 신호점에서의 가장 근접하는 다른 신호점과의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136), 식 (S137), 식 (S138), 식 (S139)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140), 식 (S141), 식 (S142), 식 (S143)과 같이 α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2(t)(u2(i))에서의 동상 I-직교 Q평면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15와 같이 된다. 또, 도 15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15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14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로 하고, 도 15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한다. 그러면, D1>D2가 성립한다. 따라서, 구성 예 R1로부터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 있어서 Q1≠Q2인 경우, Q1>Q2가 성립하면 좋게 된다.
(예 2-8)
다음에, 앞에서 설명한 1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16 및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에 관해서 식 (S11) 및 식 (S12)이 성립하고,
<1>식 (S2)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를 이하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144), 식 (S146)에 있어서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β는 0(제로)은 아니다.
이때,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에 대해 생각한다.
먼저,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1(t)(z1(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으로 이하가 있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148), 식 (S149), 식 (S150), 식 (S151)에 있어서 tan-1(x)는 역삼각함수(inverse trigonometric function)(삼각함수의 정의역을 적당하게 제한한 것의 역함수)이며,
이 된다. 또, 「tan-1(x)」는 「Tan-1(x)」, 「arctan(x)」, 「Arctan(x)」로 기재해도 좋다. 그리고 N은 정수로 한다.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144), 식 (S145), 식 (S146), 식 (S147)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148), 식 (S149), 식 (S150), 식 (S151)과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1(t)(u1(i))에서의 동상 I-직교 Q평면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14와 같이 된다. 또, 도 14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14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024개의 신호점 중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가장 오른쪽의 가장 아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가장 왼쪽의 가장 아래의 4개를 제외한 1020개의 신호점에서의 가장 근접하는 다른 신호점과의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144), 식 (S145), 식 (S146), 식 (S147)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148), 식 (S149), 식 (S150), 식 (S151)과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2(t)(u2(i))에서의 동상 I-직교 Q평면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15와 같이 된다.
또, 도 15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15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14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로 하고, 도 15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한다. 그러면, D1>D2가 성립한다. 따라서, 구성 예 R1로부터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 있어서 Q1≠Q2인 경우, Q1>Q2가 성립하면 좋게 된다.
(예 2-보충)
(예 2-1)~(예 2-8)에서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있는 α의 값의 예 및 θ의 값의 예를 나타내었으나, α의 값 및 θ의 값은 이들 값이 아니라도, 구성 예 R1에 나타낸 조건을 만족함으로써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다.
(예 3)
이하에서는 도 5에서부터 도 7의 매핑부(504)에 있어서 s1(t)(s1(i))를 얻기 위한 변조방식을 64QAM으로 하고, s2(t)(s2(i))를 얻기 위한 변조방식을 256QAM으로 하며, 예를 들어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의 어느 프리코딩 및/또는 파워 변경을 실행한 때의 프리코딩 행렬(F)의 구성과 파워 변경에 관한 조건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64QAM의 매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64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1에 있어서 64개의 ○이 64QAM의 신호점이며, 횡축은 I, 종축은 Q가 된다.
64QAM의 64개의 신호점(도 11의 「○」이 신호점이다)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는,
(7w64, 7w64), (7w64, 5w64), (7w64, 3w64), (7w64, w64), (7w64,-w64), (7w64,-3w64), (7w64,-5w64), (7w64,-7w64)
(5w64, 7w64), (5w64, 5w64), (5w64, 3w64), (5w64, w64), (5w64,-wv), (5w64,-3wv), (5w64,-5w64), (5w64,-7w64)
(3w64, 7w64), (3w64, 5w64), (3w64, 3w64), (3w64, w64), (3w64,-w64), (3w64,-3wv), (3w64,-5w64), (3w64,-7w64)
(w64, 7w64), (w64, 5w64), (w64, 3w64), (w64, w64), (w64,-w64), (w64,-3w64), (w64,-5w64), (w64,-7w64)
(-w64, 7w64), (-w64, 5w64), (-w64, 3w64), (-w64, w64), (-w64,-w64), (-w64,-3w64), (-w64,-5w64), (-w64,-7w64)
(-3w64, 7w64), (-3w64, 5w64), (-3w64, 3w64), (-3w64, w64), (-3w64,-w64), (-3w64,-3w64), (-3w64,-5w64), (-3w64,-7w64)
(-5w64, 7w64), (-5w64, 5w64), (-5w64, 3w64), (-5w64, w64), (-5w64,-w64), (-5w64,-3w64), (-5w64,-5w64), (-5w64,-7w64)
(-7w64, 7w64), (-7w64, 5w64), (-7w64, 3w64), (-7w64, w64), (-7w64,-w64), (-7w64,-3w64), (-7w64,-5w64), (-7w64,-7w64)
가 된다(w64는 0보다 큰 실수가 된다).
여기서, 송신하는 비트(입력 비트)를 b0, b1, b2, b3, b4, b5로 한다. 예를 들어 송신하는 비트가 (b0, b1, b2, b3, b4, b5)=(0, 0, 0, 0, 0, 0)인 경우, 도 11에서의 신호점 1101에 매핑 되며,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을 I, 직교성분을 Q로 하면 (I, Q)=(7w64, 7w64)가 된다.
즉, 송신하는 비트(b0, b1, b2, b3, b4, b5)에 의거하여 (64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가 결정된다. 또,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의 일례는 도 11과 같다. 64QAM의 64개의 신호점(도 11의 「○」)(7w64, 7w64), (7w64, 5w64), (7w64, 3w64), (7w64, w64), (7w64,-w64), (7w64,-3w64), (7w64,-5w64), (7w64,-7w64)
(5w64, 7w64), (5w64, 5w64), (5w64, 3w64), (5w64, w64), (5w64,-wv), (5w64,-3wv), (5w64,-5w64), (5w64,-7w64)
(3w64, 7w64), (3w64, 5w64), (3w64, 3w64), (3w64, w64), (3w64,-w64), (3w64,-3wv), (3w64,-5w64), (3w64,-7w64)
(w64, 7w64), (w64, 5w64), (w64, 3w64), (w64, w64), (w64,-w64), (w64,-3w64), (w64,-5w64), (w64,-7w64)
(-w64, 7w64), (-w64, 5w64), (-w64, 3w64), (-w64, w64), (-w64,-w64), (-w64,-3w64), (-w64,-5w64), (-w64,-7w64)
(-3w64, 7w64), (-3w64, 5w64), (-3w64, 3w64), (-3w64, w64), (-3w64,-w64), (-3w64,-3w64), (-3w64,-5w64), (-3w64,-7w64)
(-5w64, 7w64), (-5w64, 5w64), (-5w64, 3w64), (-5w64, w64), (-5w64,-w64), (-5w64,-3w64), (-5w64,-5w64), (-5w64,-7w64)
(-7w64, 7w64), (-7w64, 5w64), (-7w64, 3w64), (-7w64, w64), (-7w64,-w64), (-7w64,-3w64), (-7w64,-5w64), (-7w64,-7w64)의 바로 아래에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의 바로 위의 신호점(「○」)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가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및 직교성분 Q가 된다. 또, 64QAM일 때의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는 도 1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64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를 복소 표현한 값이 도 5에서부터 도 7의 베이스밴드신호(s1(t) 또는 s2(t))가 된다.
256QAM의 매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은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256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20에 있어서 256개의 ○이 256QAM의 신호점이다.
256QAM의 256개의 신호점(도 20의 「○」이 신호점이다)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는,
(15w256, 15w256), (15w256, 13w256), (15w256, 11w256), (15w256, 9w256), (15w256, 7w256), (15w256, 5w256), (15w256, 3w256), (15w256, w256), (15w256,-15w256), (15w256,-13w256), (15w256,-11w256), (15w256,-9w256), (15w256,-7w256), (15w256,-5w256), (15w256,-3w256), (15w256,-w256),
(13w256, 15w256), (13w256, 13w256), (13w256, 11w256), (13w256, 9w256), (13w256, 7w256), (13w256, 5w256), (13wv, 3w256), (13w256, w256), (13w256,-15w256), (13w256,-13w256), (13w256,-11w256), (13w256,-9w256), (13w256,-7w256), (13w256,-5w256), (13w256,-3w256), (13w256,-w256),
(11w256, 15w256), (11w256, 13w256), (11w256, 11w256), (11w256, 9w256), (11w256, 7w256), (11w256, 5w256), (11w256, 3w256), (11w256, w256), (11w256,-15w256), (11w256,-13w256), (11w256,-11w256), (11w256,-9w256), (11w256,-7w256), (11w256,-5w256), (11w256,-3w256), (11w256,-w256),
(9w256, 15w256), (9w256, 13w256), (9w256, 11w256), (9w256, 9w256), (9w256, 7w256), (9w256, 5w256), (9w256, 3w256), (9w256, w256), (9w256,-15w256), (9w256,-13w256), (9w256,-11w256), (9w256,-9w256), (9w256,-7w256), (9w256,-5w256), (9w256,-3w256), (9w256,-w256),
(7w256, 15w256), (7w256, 13w256), (7w256, 11w256), (7w256, 9w256), (7w256, 7w256), (7w256, 5w256), (7w256, 3w256), (7w256, w256), (7w256,-15w256), (7w256,-13w256), (7w256,-11w256), (7w256,-9w256), (7w256,-7w256), (7w256,-5w256), (7w256,-3w256), (7w256,-w256),
(5w256, 15w256), (5w256, 13w256), (5w256, 11w256), (5w256, 9w256), (5w256, 7w256), (5w256, 5w256), (5w256, 3w256), (5w256, w256), (5w256,-15w256), (5w256,-13w256), (5w256,-11w256), (5w256,-9w256), (5w256,-7w256), (5w256,-5w256), (5w256,-3w256), (5w256,-w256),
(3w256, 15w256), (3w256, 13w256), (3w256, 11w256), (3w256, 9w256), (3w256, 7w256), (3w256, 5w256), (3w256, 3w256), (3w256, w256), (3w256,-15w256), (3w256,-13w256), (3w256,-11w256), (3w256,-9w256), (3w256,-7w256), (3w256,-5w256), (3w256,-3w256), (3w256,-w256),
(w256, 15w256), (w256, 13w256), (w256, 11w256), (w256, 9w256), (w256, 7w256), (w256, 5w256), (w256, 3w256), (w256, w256), (w256,-15w256), (w256,-13w256), (w256,-11w256), (w256,-9w256), (w256,-7w256), (w256,-5w256), (w256,-3w256), (w256,-w256),
(-15w256, 15w256), (-15w256, 13w256), (-15w256, 11w256), (-15w256, 9w256), (-15w256, 7w256), (-15w256, 5w256), (-15w256, 3w256), (-15w256, w256), (-15w256,-15w256), (-15w256,-13w256), (-15w256,-11w256), (-15w256,-9w256), (-15w256,-7w256), (-15w256,-5w256), (-15w256,-3w256), (-15w256,-w256),
(-13w256, 15w256), (-13w256, 13w256), (-13w256, 11w256), (-13w256, 9w256), (-13w256, 7w256), (-13w256, 5w256), (-13w256, 3w256), (-13w256, w256), (-13w256,-15w256), (-13w256,-13w256), (-13w256,-11w256), (-13w256,-9w256), (-13w256,-7w256), (-13w256,-5w256), (-13w256,-3w256), (-13w256,-w256),
(-11w256, 15w256), (-11w256, 13w256), (-11w256, 11w256), (-11w256, 9w256), (-11w256, 7w256), (-11w256, 5w256), (-11w256, 3w256), (-11w256, w256), (-11w256,-15w256), (-11w256,-13w256), (-11w256,-11w256), (-11w256,-9w256), (-11w256,-7w256), (-11w256,-5w256), (-11w256,-3w256), (-11w256,-w256),
(-9w256, 15w256), (-9w256, 13w256), (-9w256, 11w256), (-9w256, 9w256), (-9w256, 7w256), (-9w256, 5w256), (-9w256, 3w256), (-9w256, w256), (-9w256,-15w256), (-9w256,-13w256), (-9w256,-11w256), (-9w256,-9w256), (-9w256,-7w256), (-9w256,-5w256), (-9w256,-3w256), (-9w256,-w256),
(-7w256, 15w256), (-7w256, 13w256), (-7w256, 11w256), (-7w256, 9w256), (-7w256, 7w256), (-7w256, 5w256), (-7w256, 3w256), (-7w256, w256), (-7w256,-15w256), (-7w256,-13w256), (-7w256,-11w256), (-7w256,-9w256), (-7w256,-7w256), (-7w256,-5w256), (-7w256,-3w256), (-7w256,-w256),
(-5w256, 15w256), (-5w256, 13w256), (-5w256, 11w256), (-5w256, 9w256), (-5w256, 7w256), (-5w256, 5w256), (-5w256, 3w256), (-5w256, w256), (-5w256,-15w256), (-5w256,-13w256), (-5w256,-11w256), (-5w256,-9w256), (-5w256,-7w256), (-5w256,-5w256), (-5w256,-3w256), (-5w256,-w256),
(-3w256, 15w256), (-3w256, 13w256), (-3w256, 11w256), (-3w256, 9w256), (-3w256, 7w256), (-3w256, 5w256), (-3w256, 3w256), (-3w256, w256), (-3w256,-15w256), (-3w256,-13w256), (-3w256,-11w256), (-3w256,-9w256), (-3w256,-7w256), (-3w256,-5w256), (-3w256,-3w256), (-3w256,-w256),
(-w256, 15w256), (-w256, 13w256), (-w256, 11w256), (-w256, 9w256), (-w256, 7w256), (-w256, 5w256), (-w256, 3w256), (-w256, w256), (-w256,-15w256), (-w256,-13w256), (-w256,-11w256), (-w256,-9w256), (-w256,-7w256), (-w256,-5w256), (-w256,-3w256), (-w256,-w256)
이 된다(w256은 0보다 큰 실수가 된다).
여기서, 송신하는 비트(입력 비트)를 b0, b1, b2, b3, b4, b5, b6, b7로 한다. 예를 들어 송신하는 비트가 (b0, b1, b2, b3, b4, b5, b6, b7)=(0, 0, 0, 0, 0, 0, 0, 0)인 경우, 도 20에서의 신호점 2001에 매핑 되며,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을 I, 직교성분을 Q로 하면 (I, Q)=(15w256, 15w256)이 된다.
즉, 송신하는 비트(b0, b1, b2, b3, b4, b5, b6, b7)에 의거하여 (256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가 결정된다. 또, b0, b1, b2, b3, b4, b5, b6, b7의 세트 (00000000~1111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의 일례는 도 20과 같다. 256QAM의 256개의 신호점(도 20의 「○」)
(15w256, 15w256), (15w256, 13w256), (15w256, 11w256), (15w256, 9w256), (15w256, 7w256), (15w256, 5w256), (15w256, 3w256), (15w256, w256), (15w256,-15w256), (15w256,-13w256), (15w256,-11w256), (15w256,-9w256), (15w256,-7w256), (15w256,-5w256), (15w256,-3w256), (15w256,-w256),
(13w256, 15w256), (13w256, 13w256), (13w256, 11w256), (13w256, 9w256), (13w256, 7w256), (13w256, 5w256), (13wv, 3w256), (13w256, w256), (13w256,-15w256), (13w256,-13w256), (13w256,-11w256), (13w256,-9w256), (13w256,-7w256), (13w256,-5w256), (13w256,-3w256), (13w256,-w256),
(11w256, 15w256), (11w256, 13w256), (11w256, 11w256), (11w256, 9w256), (11w256, 7w256), (11w256, 5w256), (11w256, 3w256), (11w256, w256), (11w256,-15w256), (11w256,-13w256), (11w256,-11w256), (11w256,-9w256), (11w256,-7w256), (11w256,-5w256), (11w256,-3w256), (11w256,-w256),
(9w256, 15w256), (9w256, 13w256), (9w256, 11w256), (9w256, 9w256), (9w256, 7w256), (9w256, 5w256), (9w256, 3w256), (9w256, w256), (9w256,-15w256), (9w256,-13w256), (9w256,-11w256), (9w256,-9w256), (9w256,-7w256), (9w256,-5w256), (9w256,-3w256), (9w256,-w256),
(7w256, 15w256), (7w256, 13w256), (7w256, 11w256), (7w256, 9w256), (7w256, 7w256), (7w256, 5w256), (7w256, 3w256), (7w256, w256), (7w256,-15w256), (7w256,-13w256), (7w256,-11w256), (7w256,-9w256), (7w256,-7w256), (7w256,-5w256), (7w256,-3w256), (7w256,-w256),
(5w256, 15w256), (5w256, 13w256), (5w256, 11w256), (5w256, 9w256), (5w256, 7w256), (5w256, 5w256), (5w256, 3w256), (5w256, w256), (5w256,-15w256), (5w256,-13w256), (5w256,-11w256), (5w256,-9w256), (5w256,-7w256), (5w256,-5w256), (5w256,-3w256), (5w256,-w256),
(3w256, 15w256), (3w256, 13w256), (3w256, 11w256), (3w256, 9w256), (3w256, 7w256), (3w256, 5w256), (3w256, 3w256), (3w256, w256), (3w256,-15w256), (3w256,-13w256), (3w256,-11w256), (3w256,-9w256), (3w256,-7w256), (3w256,-5w256), (3w256,-3w256), (3w256,-w256),
(w256, 15w256), (w256, 13w256), (w256, 11w256), (w256, 9w256), (w256, 7w256), (w256, 5w256), (w256, 3w256), (w256, w256), (w256,-15w256), (w256,-13w256), (w256,-11w256), (w256,-9w256), (w256,-7w256), (w256,-5w256), (w256,-3w256), (w256,-w256),
(-15w256, 15w256), (-15w256, 13w256), (-15w256, 11w256), (-15w256, 9w256), (-15w256, 7w256), (-15w256, 5w256), (-15w256, 3w256), (-15w256, w256), (-15w256,-15w256), (-15w256,-13w256), (-15w256,-11w256), (-15w256,-9w256), (-15w256,-7w256), (-15w256,-5w256), (-15w256,-3w256), (-15w256,-w256),
(-13w256, 15w256), (-13w256, 13w256), (-13w256, 11w256), (-13w256, 9w256), (-13w256, 7w256), (-13w256, 5w256), (-13w256, 3w256), (-13w256, w256), (-13w256,-15w256), (-13w256,-13w256), (-13w256,-11w256), (-13w256,-9w256), (-13w256,-7w256), (-13w256,-5w256), (-13w256,-3w256), (-13w256,-w256),
(-11w256, 15w256), (-11w256, 13w256), (-11w256, 11w256), (-11w256, 9w256), (-11w256, 7w256), (-11w256, 5w256), (-11w256, 3w256), (-11w256, w256), (-11w256,-15w256), (-11w256,-13w256), (-11w256,-11w256), (-11w256,-9w256), (-11w256,-7w256), (-11w256,-5w256), (-11w256,-3w256), (-11w256,-w256),
(-9w256, 15w256), (-9w256, 13w256), (-9w256, 11w256), (-9w256, 9w256), (-9w256, 7w256), (-9w256, 5w256), (-9w256, 3w256), (-9w256, w256), (-9w256,-15w256), (-9w256,-13w256), (-9w256,-11w256), (-9w256,-9w256), (-9w256,-7w256), (-9w256,-5w256), (-9w256,-3w256), (-9w256,-w256),
(-7w256, 15w256), (-7w256, 13w256), (-7w256, 11w256), (-7w256, 9w256), (-7w256, 7w256), (-7w256, 5w256), (-7w256, 3w256), (-7w256, w256), (-7w256,-15w256), (-7w256,-13w256), (-7w256,-11w256), (-7w256,-9w256), (-7w256,-7w256), (-7w256,-5w256), (-7w256,-3w256), (-7w256,-w256),
(-5w256, 15w256), (-5w256, 13w256), (-5w256, 11w256), (-5w256, 9w256), (-5w256, 7w256), (-5w256, 5w256), (-5w256, 3w256), (-5w256, w256), (-5w256,-15w256), (-5w256,-13w256), (-5w256,-11w256), (-5w256,-9w256), (-5w256,-7w256), (-5w256,-5w256), (-5w256,-3w256), (-5w256,-w256),
(-3w256, 15w256), (-3w256, 13w256), (-3w256, 11w256), (-3w256, 9w256), (-3w256, 7w256), (-3w256, 5w256), (-3w256, 3w256), (-3w256, w256), (-3w256,-15w256), (-3w256,-13w256), (-3w256,-11w256), (-3w256,-9w256), (-3w256,-7w256), (-3w256,-5w256), (-3w256,-3w256), (-3w256,-w256),
(-w256, 15w256), (-w256, 13w256), (-w256, 11w256), (-w256, 9w256), (-w256, 7w256), (-w256, 5w256), (-w256, 3w256), (-w256, w256), (-w256,-15w256), (-w256,-13w256), (-w256,-11w256), (-w256,-9w256), (-w256,-7w256), (-w256,-5w256), (-w256,-3w256), (-w256,-w256)
의 바로 아래에 b0, b1, b2, b3, b4, b5, b6, b7의 세트 00000000~11111111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b0, b1, b2, b3, b4, b5, b6, b7의 세트 00000000~11111111의 바로 위의 신호점(「○」)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가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및 직교성분 Q가 된다. 또, 256QAM일 때의 b0, b1, b2, b3, b4, b5, b6, b7의 세트 (00000000~1111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는 도 2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256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를 복소 표현한 값이 도 5에서부터 도 7의 베이스밴드신호(s1(t) 또는 s2(t))가 된다.
여기에서의 예에서는 도 5~도 7에 있어서 베이스밴드신호(505A)(s1(t)(s1(i)))의 변조방식을 64QAM, 베이스밴드신호(505B)(s2(t)(s2(i)))의 변조방식을 256QAM으로 하여 프리코딩 행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도 5~도 7의 매핑부(504)의 출력인 베이스밴드신호(505A)(s1(t)(s1(i)))의 평균전력과 베이스밴드신호(505B)(s2(t)(s2(i))) 평균전력을 동일하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 된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 및 앞에서 설명한 25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256에 관해서 이하의 관계식이 성립한다.
또, 식 (S153) 및 식 (S154)에 있어서 z는 0보다 큰 실수로 한다. 그리고,
<1>식 (S2)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
의 구성에 대해 이하에서((예 3-1)~(예 3-8)) 상세하게 설명한다.
(예 3-1)
앞에서 설명한 <1>에서 <5>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 있어서 프리코딩 행렬 F를 이하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156), 식 (S157), 식 (S158), 식 (S159)에 있어서 α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으며,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α는 0(제로)은 아니다. 그리고 β도 0(제로)은 아니다.
이때,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에 대해 생각한다.
먼저,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1(t)(z1(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으로 이하가 있다.
α가 실수일 때:
또는,
α가 허수일 때:
또는,
그런데, 베이스밴드신호(505A)(s1(t)(s1(i)))의 변조방식을 64QAM, 베이스밴드신호(505B)(s2(t)(s2(i)))의 변조방식을 256QAM으로 하게 된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리코딩(및 위상변경, 파워 변경)을 실시하고, 변조신호를 각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경우, 시간 u의(단위) 시간, 주파수(캐리어) v에 의해 도 8의 안테나(808A)로부터 송신하는 심벌과 안테나(808B)로부터 송신하는 심벌에 의해 송신되는 총 비트 수는 (64QAM을 이용함에 따른) 6비트와 (256QAM을 이용함에 따른) 8 비트의 합의 14비트가 된다.
64QAM의 매핑을 위한 입력 비트를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256QAM의 매핑을 위한 입력 비트를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으로 한 때, 식 (S160), 식 (S161), 식 (S162), 식 (S163)의 어느 α로 설정해도,
신호 z1(t)(z1(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이 (0, 0, 0, 0,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이 동상 I-직교 Q평면에 존재하고,
마찬가지로, 신호 z2(t)(z2(i))에 있어서도,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이(0, 0, 0, 0,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이 동상 I-직교 Q평면에 존재한다.
앞의 설명에서,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1(t)(z1(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으로 해서, 식 (S160)~식 (S163)을 기재하였으나, 이 점에 대해 설명한다.
신호 z1(t)(z1(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이 (0, 0, 0, 0,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이 동상 I-직교 Q평면에 존재하게 되지만, 이 214=16384개의 신호점이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겹치지 않으며, 16384개의 신호점으로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신호 z2(t)(z2(i))를 송신하는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변조신호가 수신장치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 수신장치는 신호 z1(t)(z1(i))를 이용하여 검파 및 오류정정 복호를 실시하게 되지만, 이때, 수신장치가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해서는 「겹치지 않으며, 16384개의 신호점」이 존재하면 좋기 때문이다.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156), 식 (S157), 식 (S158), 식 (S159)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160), 식 (S161), 식 (S162), 식 (S163)과 같이 α를 설정한 경우,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1(t)(u1(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에 대응하는 신호점 중 제 1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21과 같으며, 제 2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22와 같고, 제 3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23과 같고, 제 4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24와 같다. 또, 도 21, 도 22, 도 23, 도 24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 「△」이 원점(0)이 된다.
도 21, 도 22, 도 23, 도 24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638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6384개의 신호점 중 도 21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도 24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아래, 도 22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도 23의 가장 왼쪽의 가장 아래의 4개를 제외한 16380개의 신호점에서의 가장 근접하는 다른 신호점과의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156), 식 (S157), 식 (S158), 식 (S159)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160), 식 (S161), 식 (S162), 식 (S163)과 같이 α를 설정한 경우,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2(t)(u2(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에 대응하는 신호점 중 제 1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25와 같고, 제 2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26과 같고, 제 3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27과 같고, 제 4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28과 같다. 또, 도 25, 도 26, 도 27, 도 28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 「△」이 원점(0)이 된다.
도 25, 도 26, 도 27, 도 28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638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21, 도 22, 도 23, 도 24의 1638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로 하고, 도 25, 도 26, 도 27, 도 28의 1638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한다. 그러면, D1>D2가 성립한다. 따라서, 구성 예 R1로부터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 있어서 Q1≠Q2인 경우, Q1>Q2가 성립하면 좋게 된다.
(예 3-2)
다음에,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 및 앞에서 설명한 25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256에 관해서 식 (S153) 및 식 (S154)가 성립하고,
<1>식 (S2)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를 이하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164), 식 (S166)에 있어서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β는 0(제로)은 아니다.
이때,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에 대해 생각한다.
먼저,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1(t)(z1(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으로 이하가 있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168), 식 (S169), 식 (S170), 식 (S171)에 있어서 tan-1(x)는 역삼각함수(inverse trigonometric function)(삼각함수의 정의역을 적당하게 제한한 것의 역함수)이며,
가 된다. 또, 「tan-1(x)」는 「Tan-1(x)」, 「arctan(x)」, 「Arctan(x)」로 기재해도 좋다. 그리고 N은 정수로 한다.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164), 식 (S165), 식 (S166), 식 (S167)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168), 식 (S169), 식 (S170), 식 (S171)과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1(t)(u1(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에 대응하는 신호점 중 제 1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21과 같고, 제 2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22와 같고, 제 3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23과 같고, 제 4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24와 같다. 또, 도 21, 도 22, 도 23, 도 24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가 원점(0)이 된다.
도 21, 도 22, 도 23, 도 24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638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6384개의 신호점 중 도 21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도 24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아래, 도 22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도 23의 가장 왼쪽의 가장 아래의 4개를 제외한 16380개의 신호점에서의 가장 근접하는 다른 신호점과의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164), 식 (S165), 식 (S166), 식 (S167)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168), 식 (S169), 식 (S170), 식 (S171)과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2(t)(u2(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에 대응하는 신호점 중 제 1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25와 같고, 제 2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26과 같고, 제 3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27과 같고, 제 4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28과 같다. 또, 도 25, 도 26, 도 27, 도 28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 「△」이 원점(0)이 된다.
도 25, 도 26, 도 27, 도 28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638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21, 도 22, 도 23, 도 24의 1638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로 하고, 도 25, 도 26, 도 27, 도 28의 1638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한다. 그러면, D1>D2가 성립한다. 따라서, 구성 예 R1로부터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 있어서 Q1≠Q2인 경우, Q1>Q2가 성립하면 좋게 된다.
(예 3-3)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 및 앞에서 설명한 25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256에 관해서 식 (S153) 및 식 (S154)가 성립하고,
<1>식 (S2)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를 이하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173), 식 (S174), 식 (S175), 식 (S176)에 있어서 α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으며,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α는 0(제로)은 아니다. 그리고 β도 0(제로)은 아니다.
이때,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에 대해 생각한다.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1(t)(z1(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으로 이하가 있다.
α가 실수일 때:
또는,
α가 허수일 때:
또는,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173), 식 (S174), 식 (S175), 식 (S176)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177), 식 (S178), 식 (S179), 식 (S180)과 같이 α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1(t)(u1(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에 대응하는 신호점 중 제 1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29와 같고, 제 2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30과 같고, 제 3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31과 같고, 제 4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32와 같다. 또, 도 29, 도 30, 도 31, 도 32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 「△」이 원점(0)이 된다.
도 29, 도 30, 도 31, 도 32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638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6384개의 신호점 중 도 29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도 32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아래, 도 30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도 31의 가장 왼쪽의 가장 아래의 4개를 제외한 16380개의 신호점에서의 가장 근접하는 다른 신호점과의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173), 식 (S174), 식 (S175), 식 (S176)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177), 식 (S178), 식 (S179), 식 (S180)과 같이 α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2(t)(u2(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에 대응하는 신호점 중 제 1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33과 같고, 제 2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34와 같고, 제 3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35와 같고, 제 4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36과 같다. 또, 도 33, 도 34, 도 35, 도 36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 「△」이 원점(0)이 된다.
도 33, 도 34, 도 35, 도 36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29, 도 30, 도 31, 도 32의 1638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로 하고, 도 33, 도 34, 도 35, 도 36의 1638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한다. 그러면, D1>D2가 성립한다. 따라서, 구성 예 R1로부터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 있어서 Q1≠Q2인 경우, Q1>Q2가 성립하면 좋게 된다.
(예 3-4)
다음에,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 및 앞에서 설명한 25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256에 관해서 식 (S153) 및 식 (S154)가 성립하고,
<1>식 (S2)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를 이하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181), 식 (S183)에 있어서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β는 0(제로)은 아니다.
이때,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에 대해 생각한다.
먼저,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1(t)(z1(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으로 이하가 있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185), 식 (S186), 식 (S187), 식 (S188)에 있어서 tan-1(x)는 역삼각함수(inverse trigonometric function)(삼각함수의 정의역을 적당하게 제한한 것의 역함수)이며,
가 된다. 또, 「tan-1(x)」는 「Tan-1(x)」, 「arctan(x)」, 「Arctan(x)」로 기재해도 좋다. 그리고 N은 정수로 한다.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181), 식 (S182), 식 (S183), 식 (S184)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185), 식 (S186), 식 (S187), 식 (S188)과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1(t)(u1(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에 대응하는 신호점 중 제 1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29와 같고, 제 2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30과 같고, 제 3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31과 같고, 제 4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32와 같다. 또, 도 29, 도 30, 도 31, 도 32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 「△」이 원점(0)이 된다.
도 29, 도 30, 도 31, 도 32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638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6384개의 신호점 중 도 29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도 32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아래, 도 30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도 31의 가장 왼쪽의 가장 아래의 4개를 제외한 16380개의 신호점에서의 가장 근접하는 다른 신호점과의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181), 식 (S182), 식 (S183), 식 (S184)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185), 식 (S186), 식 (S187), 식 (S188)과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2(t)(u2(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에 대응하는 신호점 중 제 1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33과 같고, 제 2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34와 같고, 제 3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35와 같고, 제 4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36과 같다. 또, 도 33, 도 34, 도 35, 도 36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 「△」이 원점(0)이 된다.
도 33, 도 34, 도 35, 도 36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638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29, 도 30, 도 31, 도 32의 1638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로 하고, 도 33, 도 34, 도 35, 도 36의 1638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한다. 그러면, D1>D2가 성립한다. 따라서, 구성 예 R1로부터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 있어서 Q1≠Q2인 경우, Q1>Q2가 성립하면 좋게 된다.
(예 3-5)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 및 앞에서 설명한 25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256에 관해서 식 (S153) 및 식 (S154)가 성립하고,
<1>식 (S2)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를 이하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190), 식 (S191), 식 (S192), 식 (S193)에 있어서 α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으며,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α는 0(제로)은 아니다. 그리고 β도 0(제로)은 아니다.
이때,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에 대해 생각한다.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2(t)(z2(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으로 이하가 있다.
α가 실수일 때:
또는,
α가 허수 때:
또는,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190), 식 (S191), 식 (S192), 식 (S193)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194), 식 (S195), 식 (S196), 식 (S197)과 같이 α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2(t)(u2(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에 대응하는 신호점 중 제 1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37과 같고, 제 2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38과 같고, 제 3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39와 같고, 제 4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40과 같다. 또, 도 37, 도 38, 도 39, 도 40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 「△」이 원점(0)이 된다.
도 37, 도 38, 도 39, 도 40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638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6384개의 신호점 중 도 37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도 40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아래, 도 38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도 39의 가장 왼쪽의 가장 아래의 4개를 제외한 16380개의 신호점에서의 가장 근접하는 다른 신호점과의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190), 식 (S191), 식 (S192), 식 (S193)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194), 식 (S195), 식 (S196), 식 (S197)과 같이 α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1(t)(u1(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에 대응하는 신호점 중 제 1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41과 같고, 제 2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42와 같고, 제 3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43과 같고, 제 4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44와 같다. 또, 도 41, 도 42, 도 43, 도 44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 「△」이 원점(0)이 된다.
도 41, 도 42, 도 43, 도 44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37, 도 38, 도 39, 도 40의 1638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하고, 도 41, 도 42, 도 43, 도 44의 1638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으로 한다. 그러면, D1<D2가 성립한다. 따라서, 구성 예 R1로부터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 있어서 Q1≠Q2인 경우, Q1<Q2가 성립하면 좋게 된다.
(예 3-6)
다음에,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 및 앞에서 설명한 25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256에 관해서 식 (S153) 및 식 (S154)가 성립하고,
<1>식 (S2)에 있어서 P1 2=P2 2으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를 이하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198), 식 (S200)에 있어서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β는 0(제로)은 아니다.
이때,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에 대해 생각한다.
먼저,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2(t)(z2(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으로 이하가 있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202), 식 (S203), 식 (S204), 식 (S205)에 있어서 tan-1(x)는 역삼각함수(inverse trigonometric function)(삼각함수의 정의역을 적당하게 제한한 것의 역함수)이며,
가 된다. 또, 「tan-1(x)」는 「Tan-1(x)」, 「arctan(x)」, 「Arctan(x)」로 기재해도 좋다. 그리고 N은 정수로 한다.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198), 식 (S199), 식 (S200), 식 (S201)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202), 식 (S203), 식 (S204), 식 (S205)과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2(t)(u2(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에 대응하는 신호점 중 제 1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37과 같고, 제 2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38과 같고, 제 3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39와 같고, 제 4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40과 같다. 또, 도 37, 도 38, 도 39, 도 40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 「△」이 원점(0)이 된다.
도 37, 도 38, 도 39, 도 40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638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6384개의 신호점 중 도 37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도 40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아래, 도 38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도 39의 가장 왼쪽의 가장 아래의 4개를 제외한 16380개의 신호점에서의 가장 근접하는 다른 신호점과의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198), 식 (S199), 식 (S200), 식 (S201)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202), 식 (S203), 식 (S204), 식 (S205)과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1(t)(u1(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에 대응하는 신호점 중 제 1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41과 같고, 제 2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42와 같고, 제 3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43과 같고, 제 4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44와 같다. 또, 도 41, 도 42, 도 43, 도 44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 「△」이 원점(0)이 된다.
도 41, 도 42, 도 43, 도 44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37, 도 38, 도 39, 도 40의 1638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하고, 도 41, 도 42, 도 43, 도 44의 1638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으로 한다. 그러면, D1<D2가 성립한다. 따라서, 구성 예 R1로부터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 있어서 Q1≠Q2인 경우, Q1<Q2가 성립하면 좋게 된다.
(예 3-7)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 및 앞에서 설명한 25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256에 관해서 식 (S153) 및 식 (S154)가 성립하고,
<1>식 (S2)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를 이하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207), 식 (S208), 식 (S209), 식 (S210)에 있어서 α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으며,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α는 0(제로)은 아니다. 그리고 β도 0(제로)은 아니다.
이때,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에 대해 생각한다.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2(t)(z2(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으로 이하가 있다.
α가 실수일 때:
또는,
α가 허수 때:
또는,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207), 식 (S208), 식 (S209), 식 (S210)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211), 식 (S212), 식 (S213), 식 (S214)과 같이 α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2(t)(u2(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에 대응하는 신호점 중 제 1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45와 같고, 제 2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46과 같고, 제 3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47과 같고, 제 4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48과 같다. 또, 도 45, 도 46, 도 47, 도 48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 「△」이 원점(0)이 된다.
도 45, 도 46, 도 47, 도 48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638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6384개의 신호점 중 도 45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도 48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아래, 도 46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도 47의 가장 왼쪽의 가장 아래의 4개를 제외한 16380개의 신호점에서의 가장 근접하는 다른 신호점과의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207), 식 (S208), 식 (S209), 식 (S210)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211), 식 (S212), 식 (S213), 식 (S214)과 같이 α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1(t)(u1(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에 대응하는 신호점 중 제 1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49와 같고, 제 2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50과 같고, 제 3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51과 같고, 제 4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52와 같다. 또, 도 49, 도 50, 도 51, 도 52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 「△」이 원점(0)이 된다.
도 49, 도 50, 도 51, 도 52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45, 도 46, 도 47, 도 48의 1638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하고, 도 49, 도 50, 도 51, 도 52의 1638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으로 한다. 그러면, D1<D2가 성립한다. 따라서, 구성 예 R1로부터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 있어서 Q1≠Q2인 경우, Q1<Q2가 성립하면 좋게 된다.
(예 3-8)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 및 앞에서 설명한 25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256에 관해서 식 (S153) 및 식 (S154)가 성립하고,
<1>식 (S2)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를 이하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215), 식 (S217)에 있어서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β는 0(제로)은 아니다.
이때,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에 대해 생각한다.
먼저,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2(t)(z2(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으로 이하가 있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219), 식 (S220), 식 (S221), 식 (S222)에 있어서 tan-1(x)는 역삼각함수(inverse trigonometric function)(삼각함수의 정의역을 적당하게 제한한 것의 역함수)이며,
이 된다. 또, 「tan-1(x)」는 「Tan-1(x)」, 「arctan(x)」, 「Arctan(x)」로 기재해도 좋다. 그리고 N은 정수로 한다.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215), 식 (S216), 식 (S217), 식 (S218)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219), 식 (S220), 식 (S221), 식 (S222)와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2(t)(u2(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에 대응하는 신호점 중 제 1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45와 같고, 제 2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46과 같고, 제 3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47과 같고, 제 4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48과 같다. 또, 도 45, 도 46, 도 47, 도 48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 「△」이 원점(0)이 된다.
도 45, 도 46, 도 47, 도 48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638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6384개의 신호점 중 도 45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도 48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아래, 도 46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도 47의 가장 왼쪽의 가장 아래의 4개를 제외한 16380개의 신호점에서의 가장 근접하는 다른 신호점과의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215), 식 (S216), 식 (S217), 식 (S218)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219), 식 (S220), 식 (S221), 식 (S222)와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1(t)(u1(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에 대응하는 신호점 중 제 1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49와 같고, 제 2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50과 같고, 제 3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51과 같고, 제 4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52와 같다. 또, 도 49, 도 50, 도 51, 도 52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 「△」이 원점(0)이 된다.
도 49, 도 50, 도 51, 도 52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45, 도 46, 도 47, 도 48의 1638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하고, 도 49, 도 50, 도 51, 도 52의 1638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으로 한다. 그러면, D1<D2가 성립한다. 따라서, 구성 예 R1로부터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 있어서 Q1≠Q2인 경우, Q1<Q2가 성립하면 좋게 된다.
(예 3-보충)
(예 3-1)~(예 3-8)에서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있는 α의 값의 예 및 θ의 값의 예를 나타내었으나, α의 값 및 θ의 값은 이들 값이 아니라도, 구성 예 R1에 나타낸 조건을 만족함으로써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다.
(예 4)
이하에서는 도 5에서부터 도 7의 매핑부(504)에 있어서 s1(t)(s1(i))를 얻기 위한 변조방식을 256QAM으로 하며, s2(t)(s2(i))를 얻기 위한 변조방식을 64QAM으로 하고, 예를 들어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의 어느 프리코딩 및/또는 파워 변경을 실행한 때의 프리코딩 행렬(F)의 구성과 파워 변경에 관한 조건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64QAM의 매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64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1에 있어서 64개의 ○이 64QAM의 신호점이며, 횡축은 I, 종축은 Q가 된다.
64QAM의 64개의 신호점(도 11의 「○」이 신호점이다)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는,
(7w64, 7w64), (7w64, 5w64), (7w64, 3w64), (7w64, w64), (7w64,-w64), (7w64,-3w64), (7w64,-5w64), (7w64,-7w64)
(5w64, 7w64), (5w64, 5w64), (5w64, 3w64), (5w64, w64), (5w64,-wv), (5w64,-3wv), (5w64,-5w64), (5w64,-7w64)
(3w64, 7w64), (3w64, 5w64), (3w64, 3w64), (3w64, w64), (3w64,-w64), (3w64,-3wv), (3w64,-5w64), (3w64,-7w64)
(w64, 7w64), (w64, 5w64), (w64, 3w64), (w64, w64), (w64,-w64), (w64,-3w64), (w64,-5w64), (w64,-7w64)
(-w64, 7w64), (-w64, 5w64), (-w64, 3w64), (-w64, w64), (-w64,-w64), (-w64,-3w64), (-w64,-5w64), (-w64,-7w64)
(-3w64, 7w64), (-3w64, 5w64), (-3w64, 3w64), (-3w64, w64), (-3w64,-w64), (-3w64,-3w64), (-3w64,-5w64), (-3w64,-7w64)
(-5w64, 7w64), (-5w64, 5w64), (-5w64, 3w64), (-5w64, w64), (-5w64,-w64), (-5w64,-3w64), (-5w64,-5w64), (-5w64,-7w64)
(-7w64, 7w64), (-7w64, 5w64), (-7w64, 3w64), (-7w64, w64), (-7w64,-w64), (-7w64,-3w64), (-7w64,-5w64), (-7w64,-7w64)
가 된다(w64는 0보다 큰 실수가 된다).
여기서, 송신하는 비트(입력 비트)를 b0, b1, b2, b3, b4, b5로 한다. 예를 들어 송신하는 비트가 (b0, b1, b2, b3, b4, b5)=(0, 0, 0, 0, 0, 0)인 경우, 도 11에서의 신호점 1101에 매핑 되며,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을 I, 직교성분을 Q로 하면 (I, Q)=(7w64, 7w64)가 된다.
즉, 송신하는 비트(b0, b1, b2, b3, b4, b5)에 의거하여 (64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가 결정된다. 또,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의 일례는 도 11과 같다. 64QAM의 64개의 신호점(도 11의 「○」) (7w64, 7w64), (7w64, 5w64), (7w64, 3w64), (7w64, w64), (7w64,-w64), (7w64,-3w64), (7w64,-5w64), (7w64,-7w64)
(5w64, 7w64), (5w64, 5w64), (5w64, 3w64), (5w64, w64), (5w64,-wv), (5w64,-3wv), (5w64,-5w64), (5w64,-7w64)
(3w64, 7w64), (3w64, 5w64), (3w64, 3w64), (3w64, w64), (3w64,-w64), (3w64,-3wv), (3w64,-5w64), (3w64,-7w64)
(w64, 7w64), (w64, 5w64), (w64, 3w64), (w64, w64), (w64,-w64), (w64,-3w64), (w64,-5w64), (w64,-7w64)
(-w64, 7w64), (-w64, 5w64), (-w64, 3w64), (-w64, w64), (-w64,-w64), (-w64,-3w64), (-w64,-5w64), (-w64,-7w64)
(-3w64, 7w64), (-3w64, 5w64), (-3w64, 3w64), (-3w64, w64), (-3w64,-w64), (-3w64,-3w64), (-3w64,-5w64), (-3w64,-7w64)
(-5w64, 7w64), (-5w64, 5w64), (-5w64, 3w64), (-5w64, w64), (-5w64,-w64), (-5w64,-3w64), (-5w64,-5w64), (-5w64,-7w64)
(-7w64, 7w64), (-7w64, 5w64), (-7w64, 3w64), (-7w64, w64), (-7w64,-w64), (-7w64,-3w64), (-7w64,-5w64), (-7w64,-7w64)의 바로 아래에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의 바로 위의 신호점(「○」)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가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및 직교성분 Q가 된다. 또, 64QAM일 때의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는 도 1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64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를 복소 표현한 값이 도 5에서부터 도 7의 베이스밴드신호(s1(t) 또는 s2(t))가 된다.
256QAM의 매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은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256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20에 있어서 256개의 ○이 256QAM의 신호점이다.
256QAM의 256개의 신호점(도 20의 「○」이 신호점이다)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는,
(15w256, 15w256), (15w256, 13w256), (15w256, 11w256), (15w256, 9w256), (15w256, 7w256), (15w256, 5w256), (15w256, 3w256), (15w256, w256), (15w256,-15w256), (15w256,-13w256), (15w256,-11w256), (15w256,-9w256), (15w256,-7w256), (15w256,-5w256), (15w256,-3w256), (15w256,-w256),
(13w256, 15w256), (13w256, 13w256), (13w256, 11w256), (13w256, 9w256), (13w256, 7w256), (13w256, 5w256), (13wv, 3w256), (13w256, w256), (13w256,-15w256), (13w256,-13w256), (13w256,-11w256), (13w256,-9w256), (13w256,-7w256), (13w256,-5w256), (13w256,-3w256), (13w256,-w256),
(11w256, 15w256), (11w256, 13w256), (11w256, 11w256), (11w256, 9w256), (11w256, 7w256), (11w256, 5w256), (11w256, 3w256), (11w256, w256), (11w256,-15w256), (11w256,-13w256), (11w256,-11w256), (11w256,-9w256), (11w256,-7w256), (11w256,-5w256), (11w256,-3w256), (11w256,-w256),
(9w256, 15w256), (9w256, 13w256), (9w256, 11w256), (9w256, 9w256), (9w256, 7w256), (9w256, 5w256), (9w256, 3w256), (9w256, w256),
(9w256,-15w256), (9w256,-13w256), (9w256,-11w256), (9w256,-9w256), (9w256,-7w256), (9w256,-5w256), (9w256,-3w256), (9w256,-w256),
(7w256, 15w256), (7w256, 13w256), (7w256, 11w256), (7w256, 9w256), (7w256, 7w256), (7w256, 5w256), (7w256, 3w256), (7w256, w256),
(7w256,-15w256), (7w256,-13w256), (7w256,-11w256), (7w256,-9w256), (7w256,-7w256), (7w256,-5w256), (7w256,-3w256), (7w256,-w256),
(5w256, 15w256), (5w256, 13w256), (5w256, 11w256), (5w256, 9w256), (5w256, 7w256), (5w256, 5w256), (5w256, 3w256), (5w256, w256),
(5w256,-15w256), (5w256,-13w256), (5w256,-11w256), (5w256,-9w256), (5w256,-7w256), (5w256,-5w256), (5w256,-3w256), (5w256,-w256),
(3w256, 15w256), (3w256, 13w256), (3w256, 11w256), (3w256, 9w256), (3w256, 7w256), (3w256, 5w256), (3w256, 3w256), (3w256, w256), (3w256,-15w256), (3w256,-13w256), (3w256,-11w256), (3w256,-9w256), (3w256,-7w256), (3w256,-5w256), (3w256,-3w256), (3w256,-w256),
(w256, 15w256), (w256, 13w256), (w256, 11w256), (w256, 9w256), (w256, 7w256), (w256, 5w256), (w256, 3w256), (w256, w256), (w256,-15w256), (w256,-13w256), (w256,-11w256), (w256,-9w256), (w256,-7w256), (w256,-5w256), (w256,-3w256), (w256,-w256),
(-15w256, 15w256), (-15w256, 13w256), (-15w256, 11w256), (-15w256, 9w256), (-15w256, 7w256), (-15w256, 5w256), (-15w256, 3w256),
(-15w256, w256), (-15w256,-15w256), (-15w256,-13w256), (-15w256,-11w256), (-15w256,-9w256), (-15w256,-7w256), (-15w256,-5w256), (-15w256,-3w256), (-15w256,-w256),
(-13w256, 15w256), (-13w256, 13w256), (-13w256, 11w256), (-13w256, 9w256), (-13w256, 7w256), (-13w256, 5w256), (-13w256, 3w256), (-13w256, w256),
(-13w256,-15w256), (-13w256,-13w256), (-13w256,-11w256), (-13w256,-9w256), (-13w256,-7w256), (-13w256,-5w256), (-13w256,-3w256), (-13w256,-w256),
(-11w256, 15w256), (-11w256, 13w256), (-11w256, 11w256), (-11w256, 9w256), (-11w256, 7w256), (-11w256, 5w256), (-11w256, 3w256), (-11w256, w256),
(-11w256,-15w256), (-11w256,-13w256), (-11w256,-11w256), (-11w256,-9w256), (-11w256,-7w256), (-11w256,-5w256), (-11w256,-3w256), (-11w256,-w256),
(-9w256, 15w256), (-9w256, 13w256), (-9w256, 11w256), (-9w256, 9w256), (-9w256, 7w256), (-9w256, 5w256), (-9w256, 3w256), (-9w256, w256),
(-9w256,-15w256), (-9w256,-13w256), (-9w256,-11w256), (-9w256,-9w256), (-9w256,-7w256), (-9w256,-5w256), (-9w256,-3w256), (-9w256,-w256),
(-7w256, 15w256), (-7w256, 13w256), (-7w256, 11w256), (-7w256, 9w256), (-7w256, 7w256), (-7w256, 5w256), (-7w256, 3w256), (-7w256, w256),
(-7w256,-15w256), (-7w256,-13w256), (-7w256,-11w256), (-7w256,-9w256), (-7w256,-7w256), (-7w256,-5w256), (-7w256,-3w256), (-7w256,-w256),
(-5w256, 15w256), (-5w256, 13w256), (-5w256, 11w256), (-5w256, 9w256), (-5w256, 7w256), (-5w256, 5w256), (-5w256, 3w256), (-5w256, w256),
(-5w256,-15w256), (-5w256,-13w256), (-5w256,-11w256), (-5w256,-9w256), (-5w256,-7w256), (-5w256,-5w256), (-5w256,-3w256), (-5w256,-w256),
(-3w256, 15w256), (-3w256, 13w256), (-3w256, 11w256), (-3w256, 9w256), (-3w256, 7w256), (-3w256, 5w256), (-3w256, 3w256), (-3w256, w256),
(-3w256,-15w256), (-3w256,-13w256), (-3w256,-11w256), (-3w256,-9w256), (-3w256,-7w256), (-3w256,-5w256), (-3w256,-3w256), (-3w256,-w256),
(-w256, 15w256), (-w256, 13w256), (-w256, 11w256), (-w256, 9w256), (-w256, 7w256), (-w256, 5w256), (-w256, 3w256), (-w256, w256),
(-w256,-15w256), (-w256,-13w256), (-w256,-11w256), (-w256,-9w256), (-w256,-7w256), (-w256,-5w256), (-w256,-3w256), (-w256,-w256)
이 된다(w256은 0보다 큰 실수가 된다).
여기서, 송신하는 비트(입력 비트)를 b0, b1, b2, b3, b4, b5, b6, b7로 한다. 예를 들어 송신하는 비트가 (b0, b1, b2, b3, b4, b5, b6, b7)=(0, 0, 0, 0, 0, 0, 0, 0)인 경우, 도 20에서의 신호점 2001에 매핑 되며,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을 I, 직교성분을 Q로 하면 (I, Q)=(15w256, 15w256)이 된다.
즉, 송신하는 비트(b0, b1, b2, b3, b4, b5, b6, b7)에 의거하여 (256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가 결정된다. 또, b0, b1, b2, b3, b4, b5, b6, b7의 세트 (00000000~1111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의 일례는 도 20과 같다. 256QAM의 256개의 신호점(도 20의 「○」)
(15w256, 15w256), (15w256, 13w256), (15w256, 11w256), (15w256, 9w256), (15w256, 7w256), (15w256, 5w256), (15w256, 3w256), (15w256, w256), (15w256,-15w256), (15w256,-13w256), (15w256,-11w256), (15w256,-9w256), (15w256,-7w256), (15w256,-5w256), (15w256,-3w256), (15w256,-w256),
(13w256, 15w256), (13w256, 13w256), (13w256, 11w256), (13w256, 9w256), (13w256, 7w256), (13w256, 5w256), (13wv, 3w256), (13w256, w256), (13w256,-15w256), (13w256,-13w256), (13w256,-11w256), (13w256,-9w256), (13w256,-7w256), (13w256,-5w256), (13w256,-3w256), (13w256,-w256),
(11w256, 15w256), (11w256, 13w256), (11w256, 11w256), (11w256, 9w256), (11w256, 7w256), (11w256, 5w256), (11w256, 3w256), (11w256, w256), (11w256,-15w256), (11w256,-13w256), (11w256,-11w256), (11w256,-9w256), (11w256,-7w256), (11w256,-5w256), (11w256,-3w256), (11w256,-w256),
(9w256, 15w256), (9w256, 13w256), (9w256, 11w256), (9w256, 9w256), (9w256, 7w256), (9w256, 5w256), (9w256, 3w256), (9w256, w256),
(9w256,-15w256), (9w256,-13w256), (9w256,-11w256), (9w256,-9w256), (9w256,-7w256), (9w256,-5w256), (9w256,-3w256), (9w256,-w256),
(7w256, 15w256), (7w256, 13w256), (7w256, 11w256), (7w256, 9w256), (7w256, 7w256), (7w256, 5w256), (7w256, 3w256), (7w256, w256),
(7w256,-15w256), (7w256,-13w256), (7w256,-11w256), (7w256,-9w256), (7w256,-7w256), (7w256,-5w256), (7w256,-3w256), (7w256,-w256),
(5w256, 15w256), (5w256, 13w256), (5w256, 11w256), (5w256, 9w256), (5w256, 7w256), (5w256, 5w256), (5w256, 3w256), (5w256, w256),
(5w256,-15w256), (5w256,-13w256), (5w256,-11w256), (5w256,-9w256), (5w256,-7w256), (5w256,-5w256), (5w256,-3w256), (5w256,-w256),
(3w256, 15w256), (3w256, 13w256), (3w256, 11w256), (3w256, 9w256), (3w256, 7w256), (3w256, 5w256), (3w256, 3w256), (3w256, w256), (3w256,-15w256), (3w256,-13w256), (3w256,-11w256), (3w256,-9w256), (3w256,-7w256), (3w256,-5w256), (3w256,-3w256), (3w256,-w256),
(w256, 15w256), (w256, 13w256), (w256, 11w256), (w256, 9w256), (w256, 7w256), (w256, 5w256), (w256, 3w256), (w256, w256), (w256,-15w256), (w256,-13w256), (w256,-11w256), (w256,-9w256), (w256,-7w256), (w256,-5w256), (w256,-3w256), (w256,-w256),
(-15w256, 15w256), (-15w256, 13w256), (-15w256, 11w256), (-15w256, 9w256), (-15w256, 7w256), (-15w256, 5w256), (-15w256, 3w256),
(-15w256, w256), (-15w256,-15w256), (-15w256,-13w256), (-15w256,-11w256), (-15w256,-9w256), (-15w256,-7w256), (-15w256,-5w256), (-15w256,-3w256), (-15w256,-w256),
(-13w256, 15w256), (-13w256, 13w256), (-13w256, 11w256), (-13w256, 9w256), (-13w256, 7w256), (-13w256, 5w256), (-13w256, 3w256), (-13w256, w256),
(-13w256,-15w256), (-13w256,-13w256), (-13w256,-11w256), (-13w256,-9w256), (-13w256,-7w256), (-13w256,-5w256), (-13w256,-3w256), (-13w256,-w256),
(-11w256, 15w256), (-11w256, 13w256), (-11w256, 11w256), (-11w256, 9w256), (-11w256, 7w256), (-11w256, 5w256), (-11w256, 3w256), (-11w256, w256),
(-11w256,-15w256), (-11w256,-13w256), (-11w256,-11w256), (-11w256,-9w256), (-11w256,-7w256), (-11w256,-5w256), (-11w256,-3w256), (-11w256,-w256),
(-9w256, 15w256), (-9w256, 13w256), (-9w256, 11w256), (-9w256, 9w256), (-9w256, 7w256), (-9w256, 5w256), (-9w256, 3w256), (-9w256, w256),
(-9w256,-15w256), (-9w256,-13w256), (-9w256,-11w256), (-9w256,-9w256), (-9w256,-7w256), (-9w256,-5w256), (-9w256,-3w256), (-9w256,-w256),
(-7w256, 15w256), (-7w256, 13w256), (-7w256, 11w256), (-7w256, 9w256), (-7w256, 7w256), (-7w256, 5w256), (-7w256, 3w256), (-7w256, w256),
(-7w256,-15w256), (-7w256,-13w256), (-7w256,-11w256), (-7w256,-9w256), (-7w256,-7w256), (-7w256,-5w256), (-7w256,-3w256), (-7w256,-w256),
(-5w256, 15w256), (-5w256, 13w256), (-5w256, 11w256), (-5w256, 9w256), (-5w256, 7w256), (-5w256, 5w256), (-5w256, 3w256), (-5w256, w256),
(-5w256,-15w256), (-5w256,-13w256), (-5w256,-11w256), (-5w256,-9w256), (-5w256,-7w256), (-5w256,-5w256), (-5w256,-3w256), (-5w256,-w256),
(-3w256, 15w256), (-3w256, 13w256), (-3w256, 11w256), (-3w256, 9w256), (-3w256, 7w256), (-3w256, 5w256), (-3w256, 3w256), (-3w256, w256),
(-3w256,-15w256), (-3w256,-13w256), (-3w256,-11w256), (-3w256,-9w256), (-3w256,-7w256), (-3w256,-5w256), (-3w256,-3w256), (-3w256,-w256),
(-w256, 15w256), (-w256, 13w256), (-w256, 11w256), (-w256, 9w256), (-w256, 7w256), (-w256, 5w256), (-w256, 3w256), (-w256, w256),
(-w256,-15w256), (-w256,-13w256), (-w256,-11w256), (-w256,-9w256), (-w256,-7w256), (-w256,-5w256), (-w256,-3w256), (-w256,-w256)
의 바로 아래에 b0, b1, b2, b3, b4, b5, b6, b7의 세트 00000000~11111111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b0, b1, b2, b3, b4, b5, b6, b7의 세트 00000000~11111111의 바로 위의 신호점(「○」)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가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및 직교성분 Q가 된다. 또, 256QAM일 때의 b0, 1, b2, b3, b4, b5, b6, b7의 세트 (00000000~1111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는 도 2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256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를 복소 표현한 값이 도 5에서부터 도 7의 베이스밴드신호(s1(t) 또는 s2(t))가 된다.
여기에서의 예에서는 도 5~도 7에 있어서 베이스밴드신호(505A)(s1(t) (s1(i)))의 변조방식을 256QAM, 베이스밴드신호(505B)(s2(t) (s2(i)))의 변조방식을 64QAM으로 하고, 프리코딩 행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도 5~도 7의 매핑부(504)의 출력인 베이스밴드신호(505A)(s1(t)(s1(i)))의 평균전력과 베이스밴드신호(505B)(s2(t)(s2(i))) 평균전력을 동일하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 된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 및 앞에서 설명한 25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256에 관해서 이하의 관계식이 성립한다.
또, 식 (S224) 및 식 (S225)에 있어서 z는 0보다 큰 실수로 한다. 그리고,
<1>식 (S2)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
의 구성에 대해 이하에서((예 4-1)~(예 4-8)) 상세하게 설명한다.
(예 4-1)
앞에서 설명한 <1>에서 <5>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 있어서 프리코딩 행렬 F를 이하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227), 식 (S228), 식 (S229), 식 (S230)에 있어서 α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으며,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α는 0(제로)은 아니다.
그리고 β도 0(제로)은 아니다.
이때,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에 대해 생각한다.
먼저,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2(t)(z2(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으로 이하가 있다.
α가 실수일 때:
또는,
α가 허수일 때:
또는,
그런데, 베이스밴드신호(505A)(s1(t)(s1(i)))의 변조방식은 256QAM, 베이스밴드신호(505B)(s2(t)(s2(i)))의 변조방식은 64QAM이 된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리코딩(및 위상변경, 파워 변경)을 실시하고, 변조신호를 각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경우, 시간 u의(단위) 시간, 주파수(캐리어) v에 의해 도 8의 안테나(808A)로부터 송신하는 심벌과 안테나(808B)로부터 송신하는 심벌에 의해 송신되는 총 비트 수는 (64QAM을 이용함에 따른) 6비트와 (256QAM을 이용함에 따른) 8 비트의 합의 14비트가 된다.
64QAM의 매핑을 위한 입력 비트를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4, 256QAM의 매핑을 위한 입력 비트를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으로 한 때, 식 (S231), 식 (S232), 식 (S233), 식 (S234)의 어느 α로 설정해도,
신호 z1(t)(z1(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이 (0, 0, 0, 0,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이 동상 I-직교 Q평면에 존재하며,
같이 신호 z2(t)(z2(i))에 있어서도,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이 (0, 0, 0, 0,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이 동상 I-직교 Q평면에 존재한다.
앞의 설명에서,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2(t)(z2(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으로 해서, 식 (S231)~식 (S234)을 기재하였으나, 이 점에 대해 설명한다.
신호 z2(t)(z2(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이 (0, 0, 0, 0,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이 동상 I-직교 Q평면에 존재하게 되지만, 이 214=16384개의 신호점이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겹치지 않으며, 16384개의 신호점으로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신호 z1(t)(z1(i))를 송신하는 안테나로부터 송신된 변조신호가 수신장치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 수신장치는 신호 z2(t)(z2(i))를 이용하여 검파 및 오류정정 복호를 실시하게 되지만, 이때, 수신장치가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해서는 「겹치지 않으며, 16384개의 신호점」이 존재하면 좋기 때문이다.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227), 식 (S228), 식 (S229), 식 (S230)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231), 식 (S232), 식 (S233), 식 (S234)과 같이 α를 설정한 경우,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2(t)(u2(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에 대응하는 신호점 중 제 1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37과 같고, 제 2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38과 같고, 제 3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39와 같고, 제 4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40과 같다. 또, 도 37, 도 38, 도 39, 도 40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 「△」이 원점(0)이 된다.
도 37, 도 38, 도 39, 도 40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638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6384개의 신호점 중 도 37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도 40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아래, 도 38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도 39의 가장 왼쪽의 가장 아래의 4개를 제외한 16380개의 신호점에서의 가장 근접하는 다른 신호점과의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227), 식 (S228), 식 (S229), 식 (S230)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231), 식 (S232), 식 (S233), 식 (S234)과 같이 α를 설정한 경우,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1(t)(u1(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에 대응하는 신호점 중 제 1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41과 같고, 제 2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42와 같고, 제 3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43과 같고, 제 4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44와 같다. 또, 도 41, 도 42, 도 43, 도 44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 「△」이 원점(0)이 된다.
도 41, 도 42, 도 43, 도 44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638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37, 도 38, 도 39, 도 40의 1638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하고, 도 41, 도 42, 도 43, 도 44의 1638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으로 한다. 그러면, D1<D2가 성립한다. 따라서, 구성 예 R1로부터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 있어서 Q1≠Q2인 경우, Q1<Q2가 성립하면 좋게 된다.
(예 4-2)
다음에,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 및 앞에서 설명한 25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256에 관해서 식 (S224) 및 식 (S225)이 성립하고,
<1>식 (S2)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를 이하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235), 식 (S237)에 있어서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β는 0(제로)은 아니다.
이때,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에 대해 생각한다.
먼저,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2(t)(z2(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으로 이하가 있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239), 식 (S240), 식 (S241), 식 (S242)에 있어서 tan-1(x)는 역삼각함수(inverse trigonometric function)(삼각함수의 정의역을 적당하게 제한한 것의 역함수)이며,
이 된다. 또, 「tan-1(x)」는 「Tan-1(x)」, 「arctan(x)」, 「Arctan(x)」로 기재해도 좋다. 그리고 N은 정수로 한다.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235), 식 (S236), 식 (S237), 식 (S238)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239), 식 (S240), 식 (S241), 식 (S242)와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2(t)(u2(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에 대응하는 신호점 중 제 1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37과 같고, 제 2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38과 같고, 제 3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39와 같고, 제 4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40과 같다. 또, 도 37, 도 38, 도 39, 도 40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 「△」이 원점(0)이 된다.
도 37, 도 38, 도 39, 도 40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638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6384개의 신호점 중 도 37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도 40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아래, 도 38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도 39의 가장 왼쪽의 가장 아래의 4개를 제외한 16380개의 신호점에서의 가장 근접하는 다른 신호점과의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235), 식 (S236), 식 (S237), 식 (S238)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239), 식 (S240), 식 (S241), 식 (S242)와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1(t)(u1(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에 대응하는 신호점 중 제 1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41과 같고, 제 2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42와 같고, 제 3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43과 같고, 제 4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44와 같다. 또, 도 41, 도 42, 도 43, 도 44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 「△」이 원점(0)이 된다.
도 41, 도 42, 도 43, 도 44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638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37, 도 38, 도 39, 도 40의 1638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하고, 도 41, 도 42, 도 43, 도 44의 1638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으로 한다. 그러면, D1<D2가 성립한다. 따라서, 구성 예 R1로부터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 있어서 Q1≠Q2인 경우, Q1<Q2가 성립하면 좋게 된다.
(예 4-3)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 및 앞에서 설명한 25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256에 관해서 식 (S224) 및 식 (S225)이 성립하고,
<1>식 (S2)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를 이하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244), 식 (S245), 식 (S246), 식 (S247)에 있어서 α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으며,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α는 0(제로)은 아니다. 그리고 β도 0(제로)은 아니다.
이때,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에 대해 생각한다.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2(t)(z2(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으로 이하가 있다.
α가 실수일 때:
또는,
α가 허수 때:
또는,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244), 식 (S245), 식 (S246), 식 (S247)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248), 식 (S249), 식 (S250), 식 (S251)과 같이 α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2(t)(u2(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에 대응하는 신호점 중 제 1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45와 같고, 제 2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46과 같고, 제 3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47과 같고, 제 4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48과 같다. 또, 도 45, 도 46, 도 47, 도 48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 「△」이 원점(0)이 된다.
도 45, 도 46, 도 47, 도 48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638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6384개의 신호점 중 도 45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도 48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아래, 도 46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도 47의 가장 왼쪽의 가장 아래의 4개를 제외한 16380개의 신호점에서의 가장 근접하는 다른 신호점과의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244), 식 (S245), 식 (S246), 식 (S247)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248), 식 (S249), 식 (S250), 식 (S251)과 같이 α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1(t)(u1(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에 대응하는 신호점 중 제 1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49와 같고, 제 2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50과 같고, 제 3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51과 같고, 제 4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52와 같다. 또, 도 49, 도 50, 도 51, 도 52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 「△」이 원점(0)이 된다.
도 49, 도 50, 도 51, 도 52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45, 도 46, 도 47, 도 48의 1638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하고, 도 49, 도 50, 도 51, 도 52의 1638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으로 한다. 그러면, D1<D2가 성립한다. 따라서, 구성 예 R1로부터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 있어서 Q1≠Q2인 경우, Q1<Q2가 성립하면 좋게 된다.
(예 4-4)
다음에,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 및 앞에서 설명한 25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256에 관해서 식 (S224) 및 식 (S225)이 성립하고,
<1>식 (S2)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를 이하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252), 식 (S254)에 있어서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β는 0(제로)은 아니다.
이때,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에 대해 생각한다.
먼저,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2(t)(z2(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으로 이하가 있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256), 식 (S257), 식 (S258), 식 (S259)에 있어서 tan-1(x)는 역삼각함수(inverse trigonometric function)(삼각함수의 정의역을 적당하게 제한한 것의 역함수)이며,
이 된다. 또, 「tan-1(x)」는 「Tan-1(x)」, 「arctan(x)」, 「Arctan(x)」로 기재해도 좋다. 그리고 N은 정수로 한다.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252), 식 (S253), 식 (S254), 식 (S255)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256), 식 (S257), 식 (S258), 식 (S259)과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2(t)(u2(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에 대응하는 신호점 중 제 1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45와 같고, 제 2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46과 같고, 제 3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47과 같고, 제 4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48과 같다. 또, 도 45, 도 46, 도 47, 도 48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 「△」이 원점(0)이 된다.
도 45, 도 46, 도 47, 도 48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동상 I-직교 Q평면에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638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6384개의 신호점 중 도 45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도 48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아래, 도 46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도 47의 가장 왼쪽의 가장 아래의 4개를 제외한 16380개의 신호점에서의 가장 근접하는 다른 신호점과의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252), 식 (S253), 식 (S254), 식 (S255)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256), 식 (S257), 식 (S258), 식 (S259)과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1(t)(u1(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에 대응하는 신호점 중 제 1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49와 같고, 제 2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50과 같고, 제 3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51과 같고, 제 4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52와 같다. 또, 도 49, 도 50, 도 51, 도 52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 「△」이 원점(0)이 된다.
도 49, 도 50, 도 51, 도 52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45, 도 46, 도 47, 도 48의 1638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하고, 도 49, 도 50, 도 51, 도 52의 1638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으로 한다. 그러면, D1<D2가 성립한다. 따라서, 구성 예 R1로부터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 있어서 Q1≠Q2인 경우, Q1<Q2가 성립하면 좋게 된다.
(예 4-5)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 및 앞에서 설명한 25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256에 관해서 식 (S224) 및 식 (S225)이 성립하고,
<1>식 (S2)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를 이하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261), 식 (S262), 식 (S263), 식 (S264)에 있어서 α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으며,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α는 0(제로)은 아니다. 그리고 β도 0(제로)은 아니다.
이때,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에 대해 생각한다.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1(t)(z1(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으로 이하가 있다.
α가 실수일 때:
또는,
α가 허수일 때:
또는,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261), 식 (S262), 식 (S263), 식 (S264)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265), 식 (S266), 식 (S267), 식 (S268)과 같이 α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1(t)(u1(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에 대응하는 신호점 중 제 1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21과 같고, 제 2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22와 같고, 제 3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23과 같고, 제 4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24와 같다. 또, 도 21, 도 22, 도 23, 도 24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 「△」이 원점(0)이 된다.
도 21, 도 22, 도 23, 도 24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638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6384개의 신호점 중 도 21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도 24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아래, 도 22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도 23의 가장 왼쪽의 가장 아래의 4개를 제외한 16380개의 신호점에서의 가장 근접하는 다른 신호점과의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261), 식 (S262), 식 (S263), 식 (S264)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265), 식 (S266), 식 (S267), 식 (S268)과 같이 α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2(t)(u2(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에 대응하는 신호점 중 제 1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25와 같고, 제 2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26과 같고, 제 3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27과 같고, 제 4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28과 같다. 또, 도 25, 도 26, 도 27, 도 28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 「△」이 원점(0)이 된다.
도 25, 도 26, 도 27, 도 28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21, 도 22, 도 23, 도 24의 1638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로 하고, 도 25, 도 26, 도 27, 도 28의 1638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한다. 그러면, D1>D2가 성립한다. 따라서, 구성 예 R1로부터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 있어서 Q1≠Q2인 경우, Q1>Q2가 성립하면 좋게 된다.
(예 4-6)
다음에,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 및 앞에서 설명한 25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256에 관해서 식 (S224) 및 식 (S225)이 성립하고,
<1>식 (S2)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를 이하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269), 식 (S271)에 있어서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β는 0(제로)은 아니다.
이때,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에 대해 생각한다.
먼저,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1(t)(z1(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으로 이하가 있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273), 식 (S274), 식 (S275), 식 (S276)에 있어서 tan-1(x)는 역삼각함수(inverse trigonometric function)(삼각함수의 정의역을 적당하게 제한한 것의 역함수)이며,
이 된다. 또, 「tan-1(x)」는 「Tan-1(x)」, 「arctan(x)」, 「Arctan(x)」로 기재해도 좋다. 그리고 N은 정수로 한다.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269), 식 (S270), 식 (S271), 식 (S272)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273), 식 (S274), 식 (S275), 식 (S276)과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1(t)(u1(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에 대응하는 신호점 중 제 1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21과 같고, 제 2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22와 같고, 제 3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23과 같고, 제 4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24와 같다. 또, 도 21, 도 22, 도 23, 도 24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 「△」이 원점(0)이 된다.
도 21, 도 22, 도 23, 도 24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638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6384개의 신호점 중 도 21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도 24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아래, 도 22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도 23의 가장 왼쪽의 가장 아래의 4개를 제외한 16380개의 신호점에서의 가장 근접하는 다른 신호점과의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269), 식 (S270), 식 (S271), 식 (S272)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273), 식 (S274), 식 (S275), 식 (S276)과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2(t)(u2(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에 대응하는 신호점 중 제 1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25와 같고, 제 2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26과 같고, 제 3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27과 같고, 제 4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28과 같다. 또, 도 25, 도 26, 도 27, 도 28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 「△」이 원점(0)이 된다.
도 25, 도 26, 도 27, 도 28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21, 도 22, 도 23, 도 24의 1638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로 하고, 도 25, 도 26, 도 27, 도 28의 1638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한다. 그러면, D1>D2가 성립한다. 따라서, 구성 예 R1로부터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 있어서 Q1≠Q2인 경우, Q1>Q2가 성립하면 좋게 된다.
(예 4-7)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 및 앞에서 설명한 25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256에 관해서 식 (S224) 및 식 (S225)이 성립하고,
<1>식 (S2)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를 이하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278), 식 (S279), 식 (S280), 식 (S281)에 있어서 α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으며,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α는 0(제로)은 아니다. 그리고 β도 0(제로)은 아니다.
이때,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에 대해 생각한다.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1(t)(z1(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α의 값으로 이하가 있다.
α가 실수일 때:
또는,
α가 허수일 때:
또는,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278), 식 (S279), 식 (S280), 식 (S281)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282), 식 (S283), 식 (S284), 식 (S285)과 같이 α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1(t)(u1(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에 대응하는 신호점 중 제 1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29와 같고, 제 2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30과 같고, 제 3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31과 같고, 제 4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32와 같다. 또, 도 29, 도 30, 도 31, 도 32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 「△」이 원점(0)이 된다.
도 29, 도 30, 도 31, 도 32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638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6384개의 신호점 중 도 29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도 32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아래, 도 30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도 31의 가장 왼쪽의 가장 아래의 4개를 제외한 16380개의 신호점에서의 가장 근접하는 다른 신호점과의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278), 식 (S279), 식 (S280), 식 (S281)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282), 식 (S283), 식 (S284), 식 (S285)과 같이 α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2(t)(u2(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에 대응하는 신호점 중 제 1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33과 같고, 제 2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34와 같고, 제 3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35와 같고, 제 4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36과 같다. 또, 도 33, 도 34, 도 35, 도 36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 「△」이 원점(0)이 된다.
도 33, 도 34, 도 35, 도 36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29, 도 30, 도 31, 도 32의 1638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로 하고, 도 33, 도 34, 도 35, 도 36의 1638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한다. 그러면, D1>D2가 성립한다. 따라서, 구성 예 R1로부터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 있어서 Q1≠Q2인 경우, Q1>Q2가 성립하면 좋게 된다.
(예 4-8)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 및 앞에서 설명한 25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256에 관해서 식 (S224) 및 식 (S225)이 성립하고,
<1>식 (S2)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를 이하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286), 식 (S288)에 있어서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β는 0(제로)은 아니다.
이때,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에 대해 생각한다.
먼저,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1(t)(z1(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으로 이하가 있다.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S290), 식 (S291), 식 (S292), 식 (S293)에 있어서 tan-1(x)는 역삼각함수(inverse trigonometric function)(삼각함수의 정의역을 적당하게 제한한 것의 역함수)이며,
이 된다. 또, 「tan-1(x)」는 「Tan-1(x)」, 「arctan(x)」, 「Arctan(x)」로 기재해도 좋다. 그리고 N은 정수로 한다.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286), 식 (S287), 식 (S288), 식 (S289)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290), 식 (S291), 식 (S292), 식 (S293)과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1(t)(u1(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에 대응하는 신호점 중 제 1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29와 같고, 제 2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30과 같고, 제 3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31과 같고, 제 4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32와 같다. 또, 도 29, 도 30, 도 31, 도 32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 「△」이 원점(0)이 된다.
도 29, 도 30, 도 31, 도 32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638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6384개의 신호점 중 도 29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도 32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아래, 도 30의 가장 오른쪽의 가장 위, 도 31의 가장 왼쪽의 가장 아래의 4개를 제외한 16380개의 신호점에서의 가장 근접하는 다른 신호점과의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가 서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286), 식 (S287), 식 (S288), 식 (S289)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290), 식 (S291), 식 (S292), 식 (S293)과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2(t)(u2(i))에 있어서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 b0, 256, b1, 256, b2, 256, b3, 256, b4, 256, b5, 256, b6, 256, b7, 256)에 대응하는 신호점 중 제 1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의 배치는 도 33과 같고, 제 2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34와 같고, 제 3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35와 같고, 제 4 상한에 존재하는 신호점 배치는 도 36과 같다. 또, 도 33, 도 34, 도 35, 도 36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 「△」이 원점(0)이 된다.
도 33, 도 34, 도 35, 도 36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29, 도 30, 도 31, 도 32의 1638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로 하고, 도 33, 도 34, 도 35, 도 36의 1638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한다. 그러면, D1>D2가 성립한다. 따라서, 구성 예 R1로부터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 있어서 Q1≠Q2인 경우, Q1>Q2가 성립하면 좋게 된다.
(예 4-보충)
(예 4-1)~(예 4-8)에서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있는 α의 값의 예 및 θ의 값의 예를 나타내었으나, α의 값 및 θ의 값은 이들 값이 아니라도, 구성 예 R1에 나타낸 조건을 만족함으로써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변형 예)
다음에, (예 1)~(예 4)를 변형한 프리코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있어서 베이스밴드신호(511A)(z1(t)(z1(i))) 및 베이스밴드신호 511B(z2(t)(z2(i)))가 다음 식의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경우를 생각한다.
단, θ11(i), θ21(i)는 i의(시간, 또는 주파수의) 함수이며, λ는 고정 값이며, α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으며,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α는 0(제로)은 아니다. 그리고 β도 0(제로)은 아니다.
그리고 (예 1)의 변형으로 베이스밴드신호(505A)(s1(t)(s1(i)))의 변조방식을 16QAM, 베이스밴드신호(505B)(s2(t)(s2(i)))의 변조방식을 64QAM으로 하고, 앞에서 설명한 1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16 및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에 관해서 식 (S11) 및 식 (S12)이 성립하고,
식 (S295), 식 (S296)의 α에 있어서,
식 (S18), 식 (S19), 식 (S20), 식 (S21)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고, 또한, Q1>Q2로 하거나,
또는,
식 (S295), 식 (S296)의 α에 있어서,
식 (S35), 식 (S36), 식 (S37), 식 (S38)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고, 또한, Q1>Q2로 하거나,
또는,
식 (S295), 식 (S296)의 α에 있어서,
식 (S52), 식 (S53), 식 (S54), 식 (S55)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고, 또한, Q1<Q2로 하거나,
또는,
식 (S295), 식 (S296)의 α에 있어서,
식 (S69), 식 (S70), 식 (S71), 식 (S72)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고, 또한, Q1<Q2로 하거나,
해도 (예 1)과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 2)의 변형으로 베이스밴드신호(505A)(s1(t)(s1(i)))의 변조방식을 64QAM, 베이스밴드신호(505B)(s2(t)(s2(i)))의 변조방식을 16QAM으로 하고, 앞에서 설명한 1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16 및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에 관해서 식 (S82) 및 식 (S83)이 성립하고,
식 (S295), 식 (S296)의 α에 있어서,
식 (S89), 식 (S90), 식 (S91), 식 (S92)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고, 또한, Q1<Q2로 하거나,
또는,
식 (S295), 식 (S296)의 α에 있어서,
식 (S106), 식 (S107), 식 (S108), 식 (S109)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고, 또한, Q1<Q2로 하거나,
또는,
식 (S295), 식 (S296)의 α에 있어서,
식 (S123), 식 (S124), 식 (S125), 식 (S126)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고, 또한, Q1>Q2로 하거나,
또는,
식 (S295), 식 (S296)의 α에 있어서,
식 (S140), 식 (S141), 식 (S142), 식 (S143)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고, 또한, Q1>Q2로 하거나,
해도 (예 2)로 해도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 3)의 변형으로 베이스밴드신호(505A)(s1(t)(s1(i)))의 변조방식을 64QAM, 베이스밴드신호(505B)(s2(t)(s2(i)))의 변조방식을 256QAM으로 하며,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 및 앞에서 설명한 25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256에 관해서 식 (S153) 및 식 (S154)가 성립하고,
식 (S295), 식 (S296)의 α에 있어서,
식 (S160), 식 (S161), 식 (S162), 식 (S163),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고, 또한, Q1>Q2로 하거나,
또는,
식 (S295), 식 (S296)의 α에 있어서,
식 (S177), 식 (S178), 식 (S179), 식 (S180),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고, 또한, Q1>Q2로 하거나,
또는,
식 (S295), 식 (S296)의 α에 있어서,
식 (S194), 식 (S195), 식 (S196), 식 (S197),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고, 또한, Q1<Q2로 하거나,
또는,
식 (S295), 식 (S296)의 α에 있어서,
식 (S211), 식 (S212), 식 (S213), 식 (S214)의 것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고, 또한, Q1<Q2로 하거나,
해도 (예 3)과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 4)의 변형으로 베이스밴드신호(505A)(s1(t)(s1(i)))의 변조방식을 256QAM, 베이스밴드신호(505B)(s2(t)(s2(i)))의 변조방식을 64QAM으로 하고,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 및 앞에서 설명한 25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256에 관해서 식 (S224) 및 식 (S225)이 성립하고,
식 (S295), 식 (S296)의 α에 있어서,
식 (S231), 식 (S232), 식 (S233), 식 (S234)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고, 또한, Q1<Q2로 하거나,
식 (S295), 식 (S296)의 α에 있어서,
식 (S248), 식 (S249), 식 (S250), 식 (S251)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고, 또한, Q1<Q2로 하거나,
식 (S295), 식 (S296)의 α에 있어서,
식 (S265), 식 (S266), 식 (S267), 식 (S268)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고, 또한, Q1>Q2로 하거나,
식 (S295), 식 (S296)의 α에 있어서,
식 (S282), 식 (S283), 식 (S284), 식 (S285)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고, 또한, Q1>Q2로 하거나,
해도 (예 4)와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앞에서 설명한 변형 예에서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있는 α의 값의 예 및 θ의 값의 예를 나타내었으나, α의 값 및 θ의 값은 이들 값이 아니라도, 구성 예 R1에 나타낸 조건을 만족함으로써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예 1)~(예 4) 및 그 변경 예와는 다른 예를 설명한다.
(예 5)
이하에서는 도 5에서부터 도 7의 매핑부(504)에 있어서 s1(t)(s1(i))를 얻기 위한 변조방식을 16QAM으로 하고, s2(t)(s2(i))를 얻기 위한 변조방식을 64QAM으로 하고, 예를 들어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의 어느 프리코딩 및/또는 파워 변경을 실행한 때의 프리코딩 행렬(F)의 구성과 파워 변경에 관한 조건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16QAM의 매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6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0에 있어서 16개의 ○이 16QAM의 신호점이며, 횡축은 I, 종축은 Q가 된다.
16QAM의 16개의 신호점(도 10의 「○」이 신호점이다)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는 (3w16, 3w16), (3w16, w16), (3w16,-w16), (3w16,-3w16), (w16, 3w16), (w16, w16), (w16,-w16), (w16,-3w16), (-w16, 3w16), (-w16, w16), (-w16,-w16), (-w16,-3w16), (-3w16, 3w16), (-3w16, w16), (-3w16,-w16), (-3w16,-3w16)이 된다(w16은 0보다 큰 실수가 된다).
여기서, 송신하는 비트(입력 비트)를 b0, b1, b2, b3으로 한다. 예를 들어 송신하는 비트가 (b0, b1, b2, b3)=(0, 0, 0, 0)인 경우, 도 10에서의 신호점 1001에 매핑 되며,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을 I, 직교성분을 Q로 하면 (I, Q)=(3w16, 3w16)이 된다.
즉, 송신하는 비트(b0, b1, b2, b3)에 의거하여 (16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가 결정된다. 또, b0, b1, b2, b3의 세트 (0000~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의 일례는 도 10과 같다. 16QAM의 16개의 신호점(도 10의 「○」)(3w16, 3w16), (3w16, w16), (3w16,-w16), (3w16,-3w16), (w16, 3w16), (w16, w16), (w16,-w16), (w16,-3w16), (-w16, 3w16), (-w16, w16), (-w16,-w16), (-w16,-3w16), (-3w16, 3w16), (-3w16, w16), (-3w16,-w16), (-3w16,-3w16)의 바로 아래에 b0, b1, b2, b3의 세트 0000~1111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b0, b1, b2, b3의 세트 0000~1111의 바로 위의 신호점(「○」)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가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및 직교성분 Q가 된다. 또, 16QAM일 때의 b0, b1, b2, b3의 세트 (0000~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는 도 1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16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를 복소 표현한 값이 도 5에서부터 도 7의 베이스밴드신호(s1(t) 또는 s2(t))가 된다.
64QAM의 매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64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1에 있어서 64개의 ○이 64QAM의 신호점이며, 횡축은 I, 종축은 Q가 된다. 64QAM의 64개의 신호점(도 11의 「○」이 신호점이다)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는,
(7w64, 7w64), (7w64, 5w64), (7w64, 3w64), (7w64, w64), (7w64,-w64), (7w64,-3w64), (7w64,-5w64), (7w64,-7w64)
(5w64, 7w64), (5w64, 5w64), (5w64, 3w64), (5w64, w64), (5w64,-wv), (5w64,-3wv), (5w64,-5w64), (5w64,-7w64)
(3w64, 7w64), (3w64, 5w64), (3w64, 3w64), (3w64, w64), (3w64,-w64), (3w64,-3wv), (3w64,-5w64), (3w64,-7w64)
(w64, 7w64), (w64, 5w64), (w64, 3w64), (w64, w64), (w64,-w64), (w64,-3w64), (w64,-5w64), (w64,-7w64)
(-w64, 7w64), (-w64, 5w64), (-w64, 3w64), (-w64, w64), (-w64,-w64), (-w64,-3w64), (-w64,-5w64), (-w64,-7w64)
(-3w64, 7w64), (-3w64, 5w64), (-3w64, 3w64), (-3w64, w64), (-3w64,-w64), (-3w64,-3w64), (-3w64,-5w64), (-3w64,-7w64)
(-5w64, 7w64), (-5w64, 5w64), (-5w64, 3w64), (-5w64, w64), (-5w64,-w64), (-5w64,-3w64), (-5w64,-5w64), (-5w64,-7w64)
(-7w64, 7w64), (-7w64, 5w64), (-7w64, 3w64), (-7w64, w64), (-7w64,-w64), (-7w64,-3w64), (-7w64,-5w64), (-7w64,-7w64)
가 된다(w64는 0보다 큰 실수가 된다).
여기서, 송신하는 비트(입력 비트)를 b0, b1, b2, b3, b4, b5로 한다. 예를 들어 송신하는 비트가 (b0, b1, b2, b3, b4, b5)=(0, 0, 0, 0, 0, 0)인 경우, 도 11에서의 신호점 1101에 매핑 되며,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을 I, 직교성분을 Q로 하면 (I, Q)=(7w64, 7w64)가 된다.
즉, 송신하는 비트(b0, b1, b2, b3, b4, b5)에 의거하여 (64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가 결정된다. 또,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의 일례는 도 11과 같다. 64QAM의 64개의 신호점(도 11의 「○」)(7w64, 7w64), (7w64, 5w64), (7w64, 3w64), (7w64, w64), (7w64,-w64), (7w64,-3w64), (7w64,-5w64), (7w64,-7w64)
(5w64, 7w64), (5w64, 5w64), (5w64, 3w64), (5w64, w64), (5w64,-wv), (5w64,-3wv), (5w64,-5w64), (5w64,-7w64)
(3w64, 7w64), (3w64, 5w64), (3w64, 3w64), (3w64, w64), (3w64,-w64), (3w64,-3wv), (3w64,-5w64), (3w64,-7w64)
(w64, 7w64), (w64, 5w64), (w64, 3w64), (w64, w64), (w64,-w64), (w64,-3w64), (w64,-5w64), (w64,-7w64)
(-w64, 7w64), (-w64, 5w64), (-w64, 3w64), (-w64, w64), (-w64,-w64), (-w64,-3w64), (-w64,-5w64), (-w64,-7w64)
(-3w64, 7w64), (-3w64, 5w64), (-3w64, 3w64), (-3w64, w64), (-3w64,-w64), (-3w64,-3w64), (-3w64,-5w64), (-3w64,-7w64)
(-5w64, 7w64), (-5w64, 5w64), (-5w64, 3w64), (-5w64, w64), (-5w64,-w64), (-5w64,-3w64), (-5w64,-5w64), (-5w64,-7w64)
(-7w64, 7w64), (-7w64, 5w64), (-7w64, 3w64), (-7w64, w64), (-7w64,-w64), (7w64,-3w64), (-7w64,-5w64), (-7w64,-7w64)의 바로 아래에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의 바로 위의 신호점(「○」)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가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및 직교성분 Q가 된다. 또, 64QAM일 때의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는 도 1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64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를 복소 표현한 값이 도 5에서부터 도 7의 베이스밴드신호(s1(t) 또는 s2(t))가 된다.
여기에서의 예에서는 도 5~도 7에 있어서 베이스밴드신호(505A)(s1(t)(s1(i)))의 변조방식을 16QAM, 베이스밴드신호(505B)(s2(t)(s2(i)))의 변조방식을 64QAM으로 하고, 프리코딩 행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도 5~도 7의 매핑부(504)의 출력인 베이스밴드신호(505A)(s1(t)(s1(i)))의 평균전력과 베이스밴드신호(505B)(s2(t)(s2(i))) 평균전력을 동일하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 된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1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16 및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에 관해서 식 (S11) 및 식 (S12)이 성립한다. 또, 식 (S11) 및 식 (S12)에 있어서 z는 0보다 큰 실수로 한다. 그리고,
<1>식 (S2)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의 구성 및 Q1과 Q2의 관계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앞에서 설명한 1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16 및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에 관해서 식 (S11) 및 식 (S12)이 성립하고,
<1>식 (S2)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로 식 (S22), 식 (S23), 식 (S24), 식 (S25) 중 어느 하나를 생각한다.
또, 식 (S22), 식 (S24)에 있어서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β는 0(제로)은 아니다.
이때,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에 대해 생각한다.
먼저,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1(t)(z1(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으로 이하가 있다.
또는,
또는,
또는,
또, N은 정수로 한다.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22), 식 (S23), 식 (S24), 식 (S25)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297), 식 (S298), 식 (S299), 식 (S300)과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1(t)(u1(i))에서의 동상 I-직교 Q평면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55와 같이 된다. 또, 도 55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55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22), 식 (S23), 식 (S24), 식 (S25)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297), 식 (S298), 식 (S299), 식 (S300)과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2(t)(u2(i))에서의 동상 I-직교 Q평면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56과 같이 된다. 또, 도 56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56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55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로 하고, 도 56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한다. 그러면, D1>D2가 성립한다. 따라서, 구성 예 R1로부터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 있어서 Q1≠Q2인 경우, Q1>Q2가 성립하면 좋게 된다.
(예 5-보충)
앞에서 설명한 예에서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있는 θ의 값의 예를 나타내었으나, θ의 값은 이들 값이 아니라도 구성 예 R1에 나타낸 조건을 만족함으로써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다.
(예 6)
이하에서는 도 5에서부터 도 7의 매핑부(504)에 있어서 s1(t)(s1(i))를 얻기 위한 변조방식을 64QAM으로 하고, s2(t)(s2(i))를 얻기 위한 변조방식을 16QAM으로 하고, 예를 들어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의 어느 프리코딩 및/또는 파워 변경을 실행한 때의 프리코딩 행렬(F)의 구성과 파워 변경에 관한 조건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16QAM의 매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6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0에 있어서 16개의 ○이 16QAM의 신호점이며, 횡축은 I, 종축은 Q가 된다.
16QAM의 16개의 신호점(도 10의 「○」이 신호점이다)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는 (3w16, 3w16), (3w16, w16), (3w16,-w16), (3w16,-3w16), (w16, 3w16), (w16, w16), (w16,-w16), (w16,-3w16), (-w16, 3w16), (-w16, w16), (-w16,-w16), (-w16,-3w16), (-3w16, 3w16), (-3w16, w16), (-3w16,-w16), (-3w16,-3w16)이 된다(w16은 0보다 큰 실수가 된다).
여기서, 송신하는 비트(입력 비트)를 b0, b1, b2, b3으로 한다. 예를 들어 송신하는 비트가 (b0, b1, b2, b3)=(0, 0, 0, 0)인 경우, 도 10에서의 신호점 1001에 매핑 되며,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을 I, 직교성분을 Q로 하면 (I, Q)=(3w16, 3w16)이 된다.
즉, 송신하는 비트(b0, b1, b2, b3)에 의거하여 (16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가 결정된다. 또, b0, b1, b2, b3의 세트 (0000~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의 일례는 도 10과 같다. 16QAM의 16개의 신호점(도 10의 「○」)((3w16, 3w16), (3w16, w16), (3w16,-w16), (3w16,-3w16), (w16, 3w16), (w16, w16), (w16,-w16), (w16,-3w16), (-w16, 3w16), (-w16, w16), (-w16,-w16), (-w16,-3w16), (-3w16, 3w16), (-3w16, w16), (-3w16,-w16), (-3w16,-3w16)의 바로 아래에 b0, b1, b2, b3의 세트 0000~1111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b0, b1, b2, b3의 세트 0000~1111의 바로 위의 신호점(「○」)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가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및 직교성분 Q가 된다. 또, 16QAM일 때의 b0, b1, b2, b3의 세트 (0000~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는 도 1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16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를 복소 표현한 값이 도 5에서부터 도 7의 베이스밴드신호(s1(t) 또는 s2(t))가 된다.
64QAM의 매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64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1에 있어서 64개의 ○이 64QAM의 신호점이며, 횡축은 I, 종축은 Q가 된다.
64QAM의 64개의 신호점(도 11의 「○」이 신호점이다)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는,
(7w64, 7w64), (7w64, 5w64), (7w64, 3w64), (7w64, w64), (7w64,-w64), (7w64,-3w64), (7w64,-5w64), (7w64,-7w64)
(5w64, 7w64), (5w64, 5w64), (5w64, 3w64), (5w64, w64), (5w64,-wv), (5w64,-3wv), (5w64,-5w64), (5w64,-7w64)
(3w64, 7w64), (3w64, 5w64), (3w64, 3w64), (3w64, w64), (3w64,-w64), (3w64,-3wv), (3w64,-5w64), (3w64,-7w64)
(w64, 7w64), (w64, 5w64), (w64, 3w64), (w64, w64), (w64,-w64), (w64,-3w64), (w64,-5w64), (w64,-7w64)
(-w64, 7w64), (-w64, 5w64), (-w64, 3w64), (-w64, w64), (-w64,-w64), (-w64,-3w64), (-w64,-5w64), (-w64,-7w64)
(-3w64, 7w64), (-3w64, 5w64), (-3w64, 3w64), (-3w64, w64), (-3w64,-w64), (-3w64,-3w64), (-3w64,-5w64), (-3w64,-7w64)
(-5w64, 7w64), (-5w64, 5w64), (-5w64, 3w64), (-5w64, w64), (-5w64,-w64), (-5w64,-3w64), (-5w64,-5w64), (-5w64,-7w64)
(-7w64, 7w64), (-7w64, 5w64), (-7w64, 3w64), (-7w64, w64), (-7w64,-w64), (-7w64,-3w64), (-7w64,-5w64), (-7w64,-7w64)
가 된다(w64는 0보다 큰 실수가 된다).
여기서, 송신하는 비트(입력 비트)를 b0, b1, b2, b3, b4, b5로 한다. 예를 들어 송신하는 비트가 (b0, b1, b2, b3, b4, b5)=(0, 0, 0, 0, 0, 0)인 경우, 도 11에서의 신호점 1101에 매핑 되며,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을 I, 직교성분을 Q로 하면 (I, Q)=(7w64, 7w64)가 된다.
즉, 송신하는 비트(b0, b1, b2, b3, b4, b5)에 의거하여 (64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가 결정된다. 또,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의 일례는 도 11과 같다. 64QAM의 64개의 신호점(도 11의 「○」)(7w64, 7w64), (7w64, 5w64), (7w64, 3w64), (7w64, w64), (7w64,-w64), (7w64,-3w64), (7w64,-5w64), (7w64,-7w64)
(5w64, 7w64), (5w64, 5w64), (5w64, 3w64), (5w64, w64), (5w64,-wv), (5w64,-3wv), (5w64,-5w64), (5w64,-7w64)
(3w64, 7w64), (3w64, 5w64), (3w64, 3w64), (3w64, w64), (3w64,-w64), (3w64,-3wv), (3w64,-5w64), (3w64,-7w64)
(w64, 7w64), (w64, 5w64), (w64, 3w64), (w64, w64), (w64,-w64), (w64,-3w64), (w64,-5w64), (w64,-7w64)
(-w64, 7w64), (-w64, 5w64), (-w64, 3w64), (-w64, w64), (-w64,-w64), (-w64,-3w64), (-w64,-5w64), (-w64,-7w64)
(-3w64, 7w64), (-3w64, 5w64), (-3w64, 3w64), (-3w64, w64), (-3w64,-w64), (-3w64,-3w64), (-3w64,-5w64), (-3w64,-7w64)
(-5w64, 7w64), (-5w64, 5w64), (-5w64, 3w64), (-5w64, w64), (-5w64,-w64), (-5w64,-3w64), (-5w64,-5w64), (-5w64,-7w64)
(-7w64, 7w64), (-7w64, 5w64), (-7w64, 3w64), (-7w64, w64), (-7w64,-w64), (-7w64,-3w64), (-7w64,-5w64), (-7w64,-7w64)의 바로 아래에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의 바로 위의 신호점(「○」)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가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및 직교성분 Q가 된다. 또, 64QAM일 때의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는 도 1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64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를 복소 표현한 값이 도 5에서부터 도 7의 베이스밴드신호(s1(t) 또는 s2(t))가 된다.
여기에서의 예에서는 도 5~도 7에 있어서 베이스밴드신호(505A)(s1(t)(s1(i)))의 변조방식을 64QAM, 베이스밴드신호(505B)(s2(t)(s2(i)))의 변조방식을 16QAM으로 하고, 프리코딩 행렬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도 5~도 7의 매핑부(504)의 출력인 베이스밴드신호(505A)(s1(t)(s1(i)))의 평균전력과 베이스밴드신호(505B)(s2(t)(s2(i))) 평균전력을 동일하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 된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1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16 및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에 관해서 식 (82) 및 식 (83)이 성립한다. 또, 식 (S82) 및 식 (S83)에 있어서 z는 0보다 큰 실수로 한다. 그리고,
<1>식 (S2)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의 구성 및 Q1과 Q2의 관계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앞에서 설명한 16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16 및 앞에서 설명한 64QAM의 매핑 방법에서 기재한 계수 w64에 관해서 식 (S11) 및 식 (S12)이 성립하고,
<1>식 (S2)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2>식 (S3)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3>식 (S4)에 있어서 P1 2=P2 2로 한 경우
<4>식 (S5)인 경우
<5>식 (S8)인 경우
의 연산을 실행할 때의 프리코딩 행렬 F로 식 (S93), 식 (S94), 식 (S95), 식 (S96) 중 어느 하나를 생각한다.
또, 식 (S93), 식 (S95)에 있어서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β는 0(제로)은 아니다.
이때,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에 대해 생각한다.
먼저,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서의 신호 z2(t)(z2(i))에 주목하여, 수신장치가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기 위한 θ의 값으로 이하가 있다.
또는,
또는,
또는,
또, N은 정수로 한다.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93), 식 (S94), 식 (S95), 식 (S96)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301), 식 (S302), 식 (S303), 식 (S304)과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2(t)(u2(i))에서의 동상 I-직교 Q평면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55와 같이 된다. 또, 도 55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55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프리코딩 행렬 F를 식 (S93), 식 (S94), 식 (S95), 식 (S96)의 어느 하나로 설정하고, 식 (S301), 식 (S302), 식 (S303), 식 (S304)과 같이 θ를 설정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생각하면 (b0, 16, b1, 16, b2, 16, b3, 16, b0, 64, b1, 64, b2, 64, b3, 64, b4, 64, b5, 64)가 (0, 0, 0, 0, 0, 0, 0, 0, 0, 0)에 대응하는 신호점에서부터 (1, 1, 1, 1, 1, 1, 1, 1, 1, 1)에 대응하는 신호점의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신호 u1(t)(u1(i))에서의 동상 I-직교 Q평면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56과 같이 된다. 또, 도 56에 있어서 횡축은 I, 종축은 Q, 「●」이 신호점이 된다.
도 56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신호점은 겹치지 않으며, 1024개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도 55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2로 하고, 도 56의 1024개의 신호점의 최소 유클리드 거리를 D1으로 한다. 그러면, D1<D2가 성립한다. 따라서, 구성 예 R1로부터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8)에 있어서 Q1≠Q2인 경우, Q1<Q2가 성립하면 좋게 된다.
(예 6-보충)
앞에서 설명한 예에서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있는 θ의 값의 예를 나타내었으나, θ의 값은 이들 값이 아니라도 구성 예 R1에 나타낸 조건을 만족함으로써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예 1)~(예 4) 및 그 변형 예, (예 5), (예 6)을 이용하여 송신장치가 변조신호를 송신한 때의 수신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53에 송신안테나와 수신안테나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송신장치의 송신안테나 #1(S4902A)로부터 변조신호 #1(S4901A)이 송신되고, 안테나 #2(S4902B)로부터 변조신호 #2(S4901B)가 송신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수신장치의 수신안테나 #1(S4903X) 및 수신안테나 #2(S4903Y)에서는 송신장치가 송신한 변조신호를 수신(수신신호(S490X) 및 수신신호(S4904Y)를 얻는다)하게 되나, 이때, 송신안테나 #1(S4902A)에서부터 수신안테나 #1(S4903X)의 전파계수를 h11(t)로 하고, 송신안테나 #1(S4902A)에서부터 수신안테나 #2(S4903Y)의 전파계수를 h21(t)로 하며, 송신안테나 #2(S4902B)로부터 수신안테나 #1(S4903X)의 전파계수를 h12(t)로 하고, 송신안테나 #2(S4902B)로부터 수신안테나 #2(S4903Y)의 전파계수를 h22(t)로 한다(t는 시간).
도 54는 수신장치의 구성의 일례이다. 무선부(5402X)는 수신안테나 #1(S4903X)에서 수신한 수신신호(5401X)를 입력으로 하여, 증폭, 주파수변환 등의 처리를 실행하여 신호(5403X)를 출력한다.
신호처리부(5404X)는 예를 들어 OFDM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이면 푸리에 변환, 패럴렐 시리얼변환 등의 처리를 실행하여 베이스밴드신호(5405X)를 얻는다. 이때, 베이스밴드신호(5405X)를 r'1(t)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무선부 5402 Y는 수신안테나 #2(S4903Y)로 수신한 수신신호(5401Y)를 입력으로 하여, 증폭, 주파수변환 등의 처리를 실행하여 신호(5403Y)를 출력한다.
신호처리부(5404Y)는 예를 들어 OFDM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이면 푸리에 변환, 패럴렐 시리얼변환 등의 처리를 실행하여 베이스밴드신호(5405Y)를 얻는다. 이때, 베이스밴드신호(5405Y)를 r'2(t)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채널추정부(5406X)는 베이스밴드신호(5405X)를 입력으로 하여, 예를 들어 도 9의 프레임 구성에서의 파일럿심벌로부터 채널추정(전파계수의 추정)을 실시하여 채널추정신호(5407X)를 출력한다. 또, 채널추정신호(5407X)는 h11(t)의 추정신호인 것으로 하며, h'11(t)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채널추정부(5408X)는 베이스밴드신호(5405X)를 입력으로 하여, 예를 들어 도 9의 프레임 구성에서의 파일럿심벌로부터 채널추정(전파계수의 추정)을 실시하여 채널추정신호(5409X)를 출력한다. 또, 채널추정신호(5409X)는 h12(t)의 추정신호인 것으로 하며, h'12(t)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채널추정부(5406Y)는 베이스밴드신호(5405Y)를 입력으로 하여, 예를 들어 도 9의 프레임 구성에서의 파일럿심벌로부터 채널추정(전파계수의 추정)을 실시하여 채널추정신호(5407Y)를 출력한다. 또, 채널추정신호(5407Y)는 h21(t)의 추정신호인 것으로 하며, h'21(t)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채널추정부(5408Y)는 베이스밴드신호(5405Y)를 입력으로 하여, 예를 들어 도 9의 프레임 구성에서의 파일럿심벌로부터 채널추정(전파계수의 추정)을 실시하여 채널추정신호(5409Y)를 출력한다. 또, 채널추정신호(5409Y)는 h22(t)의 추정신호인 것으로 하며, h'22(t)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제어정보 복조부(5410)는 베이스밴드신호(5005X) 및 베이스밴드신호(540Y)를 입력으로 하여, 데이터(심벌)와 함께 송신장치가 송신한 송신방법, 변조방식, 송신전력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심벌을 복조(검파·복호)하여 제어정보(5411)를 출력한다.
앞에서 설명한 송신방법의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송신장치는 변조신호를 송신하고 있게 된다. 따라서, 이하의 어느 하나의 송신방법이 된다.
<1>식 (S2)의 송신방법
<2>식 (S3)의 송신방법
<3>식 (S4)의 송신방법
<4>식 (S5)의 송신방법
<5>식 (S6)의 송신방법
<6>식 (S7)의 송신방법
<7>식 (S8)의 송신방법
<8>식 (S9)의 송신방법
<9>식 (S10)의 송신방법
<10>식 (S295)의 송신방법
<11>식 (S296)의 송신방법
그런데, 식 (S2)의 방법으로 송신된 경우 이하의 관계가 성립한다.
식 (S3) 방법으로 송신된 경우 이하의 관계가 성립한다.
식 (S4) 방법으로 송신된 경우 이하의 관계가 성립한다.
식 (S5) 방법으로 송신된 경우 이하의 관계가 성립한다.
식 (S6) 방법으로 송신된 경우 이하의 관계가 성립한다.
식 (S7) 방법으로 송신된 경우 이하의 관계가 성립한다.
식 (S8) 방법으로 송신된 경우 이하의 관계가 성립한다.
식 (S9) 방법으로 송신된 경우 이하의 관계가 성립한다.
식 (S10) 방법으로 송신된 경우 이하의 관계가 성립한다.
식 (S295) 방법으로 송신된 경우 이하의 관계가 성립한다.
식 (S296) 방법으로 송신된 경우 이하의 관계가 성립한다.
검파부(5412)는 베이스밴드신호(5405X, 5405Y), 채널추정신호(5407X, 5409X, 5407Y, 5409Y) 및 제어정보(5411)를 입력으로 한다. 그리고 제어정보(5411)에 의거하여 상기의 식 (S305), 식 (S306), 식 (S307), 식 (S308), 식 (S309), 식 (S310), 식 (S311), 식 (S312), 식 (S313), 식 (S314), 식 (S315) 중 어느 관계식이 성립하고 있는가를 검파부(5412)는 알 수 있다.
그래서, 식 (S305), 식 (S306), 식 (S307), 식 (S308), 식 (S309), 식 (S310), 식 (S311), 식 (S312), 식 (S313), 식 (S314), 식 (S315) 중 어느 하나의 관계식에 의거하여 검파부(5412)는 s1(t)(s1(i)) 및 s2(t)(s2(i))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각 비트의 검파를 실시하고(각 비트의 대수 우도, 또는 각 비트의 대수 우도 비를 구한다) 검파결과(5413)를 출력한다.
그리고 복호부(5414)는 검파결과(5413)를 입력으로 하여 오류정정부호의 복호를 실시하여 수신데이터(5415)를 출력한다.
이상, 본 구성 예에서는 MIMO 전송방식에서의 프리코딩 방법 및 그 프리코딩 방법을 이용한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프리코딩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상의 구성 예에서 설명한 송신안테나, 수신안테나 각각은 복수의 안테나에 의해 구성된 하나의 안테나유닛이라도 좋다. 또, 프리코딩을 실시한 후의 2개의 변조신호 각각을 송신하는 복수의 안테나는 다른 시간에 있어서 하나의 변조신호를 동시에 송신하도록 이용되어도 좋다.
또, 수신장치에 있어서 수신안테나를 2개 구비하고 있는 경우의 수신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신안테나를 3개 이상 구비하고 있어도 마찬가지로 실시함으로써 수신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구성 예의 프리코딩 방법은 싱글 캐리어 방식, OFDM 방식, 웨이브 렛 변환을 이용한 OFDM 방식 등의 멀티 캐리어 방식, 스펙트럼 확산방식을 적용한 때에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또, 이상의 각 구성 예에서 설명한 송신방법, 수신방법,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는 어디까지나 이후의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구성의 일례이다. 이후의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발명이 이상에서 설명한 송신방법, 수신방법,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와는 다른 송신방법, 수신방법,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실시형태 1~4에 대해서>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구성 예 R1)나 (구성 예 S1)의 부호화부와 매핑부의 내부 또는/및 부호화부와 매핑부의 전후에서 이루어지는 처리의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한다. 부호화부 및 매핑부를 포함하는 본 구성은 BICM(Bit Interleaved Coded Modulation)이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제 1 복소신호 s1(s1(t) 또는 s1(f) 또는 s1(t, f)(t는 시간, f는 주파수))은 어느 변조방식, 예를 들어 BPSK(BinaryPhase Shift Keying),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6QAM(16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QAM(64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256QAM(256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등의 매핑에 의거한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로 표현할 수 있는 베이스밴드신호이다. 마찬가지로 제 2 복소신호 s2(s2(t) 또는 s2(f) 또는 s2(t, f))도 어느 변조방식, 예를 들어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6QAM(16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QAM(64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256QAM(256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등의 매핑에 의거한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로 표현할 수 있는 베이스밴드신호이다.
매핑부(504)는 제 2 비트 열을 입력으로 한다. 그리고 매핑부(504)는 (X+Y)비트 열을 입력으로 한다. 매핑부(504)는 (X+Y)비트 열 중 제 1 비트 수 X를 이용하여, 제 1 변조방식의 매핑에 의거하여 제 1 복소신호 s1을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매핑부(504)는 (X+Y)비트 열 중 제 2 비트 수 Y를 이용하여, 제 2 변조방식의 매핑에 의거하여 제 2 복소신호 s2를 생성한다.
또, 본 명세서의 이후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매핑부(504) 이후에서는 (구성 예 R1) (구성 예 S1)에서 설명한 구체적인 프리코딩이 실행되어도 좋고, 또, 식 (R2), 식 (R3), 식 (R4), 식 (R5), 식 (R6), 식 (R7), 식 (R8), 식 (R9), 식 (R10), 식 (S2), 식 (S3), 식 (S4), 식 (S5), 식 (S6), 식 (S7), 식 (S8), 식 (S9), 식 (S10)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프리코딩이 실행되어도 좋다.
부호화부(502)는 K비트의 정보 비트 열로부터(오류정정부호의) 부호화를 실행하여 N비트의 부호어인 제 1 비트 열(503)을 출력한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오류정정부호로 N비트의 부호어, 즉, N비트의 블록길이(부호길이)를 가지는 블록부호가 이용되는 것으로 한다. 블록부호의 예로는 예를 들어 비 특허문헌 1, 비 특허문헌 6 등에 기재되어 있는 LDPC(블록) 부호, 테일 바이팅(tail-biting)을 이용한 터보부호, 비 특허문헌 3, 비 특허문헌 4 등에 기재되어 있는 테일 바이팅을 이용한 Duo-Binary Turbo부호, 비 특허문헌 5 등에 기재되어 있는 LDPC(블록) 부호와 BCH 부호(Bose-Chaudhuri-Hocquenghem code)를 연접한 부호 등의 부호가 있다.
또, K, N은 자연수이며, N>K의 관계가 성립한다. 그리고 LDPC부호로 자주 이용되는 조직부호에서는 제 1 비트 열에는 K비트의 정보 비트 열이 포함되게 된다.
그런데, 비트 수 X+Y의 값에 따라서는 부호화부의 출력인 부호어 길이(N비트)가 2개의 복소신호 s1과 s2를 생성하기 위한 비트 수 (X+Y)비트의 배수가 되지 않는 경우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부호어 길이 N이 64800비트, 변조방식으로 64QAM을 이용하고, X=6으로 하며, 또, 변조방식으로 256QAM을 이용하고, Y=8로 하며, X+Y=14인 경우를 생각한다. 또, 예를 들어 부호어 길이 N이 16200비트, 방식으로는 256QAM을 이용하며, X=8로 하고, 또, 변조방식으로 256QAM을 이용하며, Y=8로 하고, X+Y=16인 경우를 생각한다.
어느 경우도 「부호화부의 출력인 부호어 길이(N비트)가 2개의 복소신호 s1과 s2를 생성하기 위한 비트 수 (X+Y)비트의 배수가 되지 않는다」가 된다.
이하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부호화부가 출력하는 부호어의 길이(N비트)가 임의의 길이라도 매핑부가 비트 수를 남기지 않고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조정을 한다.
또, 보충으로, 부호화부의 출력인 부호어 길이(N비트)가 2개의 복소신호 s1과 s2를 생성하기 위한 비트 수 (X+Y)비트의 배수가 되는 경우의 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송신장치가 부호화에 이용하는 부호어 길이 N비트의 오류정정부호의 하나의 블록을 효율 좋게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생각한다. 이때, 동일주파수, 동일시간에 송신되는 제 1 복소신호 s1 및 제 2 복소신호 s2에 의해 송신할 수 있는 비트 수 (X+Y)에 있어서 비트 수 (X+Y)가 복수의 블록의 비트로 구성되어 있지 않은 쪽이 송신장치 및/또는 수신장치의 메모리를 삭감할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어 (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16QAM, 16QAM) 때 동일주파수, 동일시간에 송신되는 제 1 복소신호 s1 및 제 2 복소신호 s2에 의해 송신할 수 있는 비트 수 (X+Y)는 8 비트이며, 이 8 비트는 복수의 (오류정정부호의) 블록의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편이 좋다. 즉, 송신장치가 선택한 변조방식에 있어서 동일주파수, 동일시간에 송신되는 제 1 복소신호 s1 및 제 2 복소신호 s2에 의해 송신할 수 있는 비트 수 (X+Y)는 복수의 (오류정정부호의) 블록의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편이 좋다.
따라서, 「부호화부의 출력인 부호어 길이(N비트)가 2개의 복소신호 s1과 s2를 생성하기 위한 비트 수 (X+Y)비트의 배수가 된다」라도 좋다.
그런데, 송신장치에 있어서 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및 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 모두 복수의 변조방식의 전환이 가능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비트 수 (X+Y)는 복수의 값을 취할 가능성이 커진다.
이때, 비트 수 (X+Y)가 취할 수 있는 모든 값에 있어서 「부호화부의 출력인 부호어 길이(N비트)가 2개의 복소신호 s1과 s2를 생성하기 위한 비트 수 (X+Y)비트의 배수가 된다」를 만족한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처리방법이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이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57은 실시형태 1의 「송신장치의 변조신호를 생성하는 부분」(이하, 변조부라고 부른다)의 구성이다. 도면 중에서 앞에서 설명한 구성 예 R1에서 설명한 「변조신호를 생성하는 부분」과 동일한 기능이나 신호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변조부는 부호화부(502), 매핑부(504)의 사이에 비트길이 조정부(5701)를 갖는다.
부호화부(502)는 제어신호(512)에 따라서 K비트의 정보 비트 열로부터 N비트의 부호어(블록길이(부호길이))인 제 1 비트 열(503)을 출력한다.
매핑부(504)는 제어신호(512)에 따라서 복소신호 s1(t)의 생성에 이용하는 변조방식인 제 1 변조방식과 복소신호 s2(t)의 생성에 이용하는 변조방식인 제 2 변조방식을 선택한다. 입력된 제 2 비트 열(5703) 중 제 1 복소신호 s1을 생성하기 위한 제 1 비트 수 X와 제 2 복소신호 s2를 생성하기 위한 제 2 비트 수 Y로부터 얻어지는 비트 수 (X+Y)비트 열을 이용하여 제 1 복소신호 s1(t)와 제 2 복소신호 s2(t)를 생성한다(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비트길이 조정부(5701)는 부호화부(502)의 후단, 매핑부(504)의 전단에 위치한다. 비트길이 조정부(5701)는 제 1 비트 열(503)을 입력하고, 제 1 비트 열(503)의 비트길이(여기에서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블록)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에 대해 비트길이의 조정을 실행해서 제 2 비트 열(5703)을 생성한다.
도 58은 본 실시형태의 변조처리방법에서의 비트길이 조정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하지 않는 제어부는 제 1 복소신호 s1을 생성하기 위한 제 1 비트 수 X와 제 2 복소신호 s2를 생성하기 위한 제 2 비트 수 Y로부터 얻어지는 비트 수 (X+Y)를 취득한다(스텝 S5801).
다음에, 제어부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블록)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에 대해 비트길이 조정을 실행하는가 여부를 판정한다(S5803). 판정의 조건으로 제어신호로부터 얻어진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비트가 X+Y의 값의 「배수가 아닌가/배수인가」를 이용할 수 있다. 또, X+Y의 값과 비트 수 N의 값의 대응테이블의 값에 의해 이 판정을 실행해도 좋다. 또, X+Y의 정보는 복소신호 s1(t)의 생성에 이용하는 변조방식인 제 1 변조방식과 복소신호 s2(t)의 생성에 이용하는 변조방식인 제 2 변조방식의 정보라도 좋다.
예를 들어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이 64800비트이며, X+Y의 값이 16인 경우,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 N비트는 X+Y의 값의 배수이다. 제어부는 「비트길이 조정을 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S5803의 결과가 NO).
제어부는 비트길이 조정이 불필요하다라고 판정한 경우(S5803의 결과가 NO), 비트길이 조정부(5701)에 입력한 제 1 비트 열(503)을 그대로 제 2 비트 열(5703)로서 출력하도록 설정한다(S5805). 즉, 앞에서 설명한 예에서는 비트길이 조정부(5701)에서 오류정정부호의 64800비트의 부호어가 입력이고, 오류정정부호의 64800비트의 부호어가 출력이 된다(비트길이 조정부(5701)는 입력한 비트 열(503)을 그대로 5703으로서 매핑부에 출력한다).
그리고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이 64800비트이며 X+Y의 값이 14인 경우,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 N비트는 X+Y의 값의 배수는 아니다. 이 경우, 제어부는 「비트길이를 조정한다」고 판정하게 된다(S5803의 결과가 YES).
제어부는 「비트길이를 조정한다」고 판정한 경우, 비트길이 조정부(5701)에 입력한 제 1 비트 열(503)에 비트길이 조정처리를 실행하도록 설정한다(S5805).
도 59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비트길이 조정처리의 플로차트이다.
제어부는 제 1 비트 열(503)에 어느 비트의 조정이 필요한가에 대응하는 값 PadNuM을 결정한다(S5901). 즉,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 N비트에 대해 부가하는 비트의 수가 PadNum이 된다.
실시형태 1에서는 이하의 수식에서 도출되는 값과 동일한 수(부족분)를 PadNum(비트)의 값으로 결정한다.
PadNum = ceil(N/(X+Y)) × (X+Y) -N
여기서 ceil 함수는 소수점 이하를 절상한 정수를 되돌려주는 함수이다.
또한, 이 결정처리는 상기의 식의 값과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라면 연산에 의하지 않아도, 테이블에 보유한 값을 이용하는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미리 제어신호(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s1을 생성하기 위한 변조방식의 정보와 s2를 생성하기 위한 변조방식의 정보의 세트)에 대해 조정이 필요한 비트 수(PadNum의 값)를 보유해 두고, 현재의 X+Y의 값에 대응하는 PadNum의 값을 조정이 필요한 비트 수로 결정해도 좋다. 테이블에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과 X+Y의 값의 관계에 대응하여 조정비트 수를 얻을 수 있는 것이면 부호화율, 파워 불균형의 값 등, 무엇을 인덱스 값으로 하는 것이라도 상관없다.
또, 상기 제어는 s1을 생성하기 위한 변조방식과 s2를 생성하기 위한 변조방식이 각각 바뀌는 통신시스템인 때에 특별히 필요하다.
다음에, 제어부는 비트길이 조정부(5701)에 대해 PadNum비트에 의해 구성되는 비트길이 조정을 위한 조정비트 열을 생성하도록 지시한다(S5903).
또, PadNum비트에 의해 구성되는 비트길이 조정을 위한 조정비트 열은 예를 들어 PadNum비트의 「0(제로)」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PadNum비트의 「1」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중요한 점은 도 57의 변조부를 구비하는 송신장치와 이 송신장치가 송신한 변조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가 PadNum비트에 의해 구성되는 비트길이 조정을 위한 조정비트 열에 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으면 좋다. 따라서, 특정한 규칙에 의해 PadNum비트에 의해 구성되는 비트길이 조정을 위한 조정비트 열을 생성하고, 이 특정한 규칙을 송신장치와 수신장치가 공유하고 있으면 좋게 된다. 따라서, PadNum비트에 의해 구성되는 비트길이 조정을 위한 조정비트 열은 앞에서 설명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비트길이 조정부(5701)는 제 1 비트 열(503)을 입력으로 하여,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의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의 예를 들어 후단이나 선단 등의 소정의 위치에 조정비트 열(즉, PadNum비트에 의해 구성되는 비트길이 조정을 위한 조정비트 열)을 부가하여, 구성하는 비트 수가 비트 수 (X+Y)의 배수가 되는 매핑부를 위한 제 2 비트 열을 출력한다.
<본 실시형태의 효과>
부호화부가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의 부호어를 출력한 때, N의 값에 의하지 않고, 모든 변조방식의 조합에 의거하는 복소신호의 세트에 대해 동일주파수, 동일시간에 송신되는 제 1 복소신호 s1 및 제 2 복소신호 s2에 의해 송신할 수 있는 비트 수 (X+Y)는 복수의 (오류정정부호의)블록의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송신장치 및/또는 수신장치의 메모리를 삭감할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또한, 비트길이 조정부(5701)는 부호화부(502)의 하나의 기능으로 해도, 매핑부(504)의 하나의 기능에 포함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실시형태 2)
도 60은 본 실시형태의 변조부의 구성이다.
본 실시형태의 변조부는 부호화부(502LA), 비트길이 조정부(6001) 및 매핑부(504)를 포함한다. 매핑부(504)의 처리는 동일하므에서 설명을 할애한다.
<부호화부(502LA)>
부호화부(502LA)는 K비트(K는 자연수)의 정보비트를 입력으로 하여 N비트(N은 자연수)로 구성되는 예를 들어 조직부호의 LDPC부호의 부호어를 얻어서 출력한다. 단, N>K로 한다. 또, 정보부분 이외의 패리티 부분의 N-K비트의 패리티 부분의 비트 열을 얻기 위해 LDPC부호의 패리티 검사행렬은 아큐뮤레이트 구조(Accumulate)를 가지는 것으로 한다.
LDPC부호화를 실행하기 위한 입력이 되는 제 i 번째 블록의 정보를 Xi, j(i는 정수이며, j는 1 이상 N 이하의 정수로 한다).로 표시한다. 그리고 부호화 후에 얻어지는 패리티를 Pi, k(k는 N+1 이상 K 이하의 정수로 한다).로 표시한다. 그리고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의 벡터를 u=(X1, X2, X3, …, XK-2, XK-1, XK, PK+1, PK+2, PK+3, …, PN-2, PN-1, PN)T로 하며, 이 LDPC부호의 패리티 검사행렬을 H로 한다. 그러면, Hu=0(또, 여기에서의 「Hu=0의 0(제로)」은 모든 요소가 0의 벡터인 것을 의미한다)이 성립한다.
이때, 패리티 검사행렬 H는 도 61과 같이 표시된다. 도 61에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패리티 검사행렬 H에 있어서 행 수는 N-K(제 1 행에서 제 N-K 행까지 존재한다), 열 수는 N(제 1 열에서 제 N 열까지 존재한다)이 된다. 그리고 정보에 관련하는 부분행렬(61-1)(Hcx)의 행 수는 N-K(제 1 행에서 제 N-K 행까지 존재한다)가 되고, 열 수는 K(제 1 열에서 제 K 열까지 존재한다)가 된다. 또, 패리티에 관련하는 부분행렬(61-2)(Hcp)의 행 수는 N-K(제 1 행에서 제 N-K 행까지 존재한다)가 되고, 열 수는 N-K(제 1 열에서 제N-K열까지 존재한다)가 된다. 그러면, 패리티 검사행렬 H=[Hcx Hcp]로 표시되게 된다.
도 62는 본 실시형태에서 예로 들고 있는 아큐뮤레이트 구조를 가지는 LDPC부호의 패리티 검사행렬 H에서의 패리티에 관련하는 부분행렬 Hcp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6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패리티에 관련하는 부분행렬 Hcp의 i행 j열의 요소를 Hcp, comp[i][j](i 및 j는 1 이상 N-K 이하의 정수(i, j=1, 2, 3, …, N-K-1, N-K))로 나타내는 것으로 하면 이하가 성립한다.
도 63은 부호화부(502LA)에서 실행되는 LDPC부호화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먼저, 부호화부(502LA)는 LDPC부호의 부호어 중 정보부분에 관련하는 연산을 실행한다. 예로 패리티 검사행렬 H의 j(단, j는 1 이상 N-K이하의 정수로 한다). 행째를 예에서 설명한다.
패리티 검사행렬 H의 정보에 관련하는 부분행렬(61-1)(Hcx)의 j행째의 벡터와 제 i 번째 블록의 정보를 Xi, j를 이용하여 연산을 실행해서 중간값 Yi, j를 얻는다(S6301).
다음에, 부호화부(502LA)는 패리티에 관련하는 부분행렬(61-2)(Hcp)가 아큐뮤레이트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이하의 연산을 실행해서 패리티를 얻는다.
Pi, N+j = Yi, j EXOR Pi, N+j-1
(EXOR는 2를 법으로 하는 가산이다). 단, j가 1일 때 이하의 연산을 실행하게 된다.
Pi, N+1 = Yi, j EXOR 0
도 64는 상기 아큐뮤레이트 처리를 실현하는 구성의 예이다. 도 64에 있어서 64-1은 배타적 논리합, 64-2는 레지스터이다, 또, 레지스터 64-2의 초기치는 「0(제로)」가 된다.
<비트길이 조정부(6001)>
비트길이 조정부(6001)는 실시형태 1의 비트길이 조정부와 마찬가지로 N비트의 부호어(블록길이(부호길이))인 제 1 비트 열(503)을 입력하고 비트길이 조정을 실행해서 제 2 비트 열(6003)을 출력한다.
특징적인 점은 부호화처리에 의해 얻어진(제 i 번째 블록의) N비트의 부호어 중 소정의 부분의 비트 값을 부분적으로 1 이상 반복해서(repetition) 이용하는 것이다.
도 65는 본 실시형태의 비트길이 조정처리의 플로차트이다.
비트길이 조정처리는 실시형태 1의 도 58의 스텝 S5807이 기동되는 것과 대응한 조건으로 기동된다.
도 58과 마찬가지로 어느 비트의 조정이 필요한가를 결정한다(스텝 S6501). 이 처리는 실시형태 1의 도 59의 스텝 S5901에 대응하는 스텝이다.
다음에, 제어부는 비트길이 조정부(6001)에 N비트의 부호어 중 소정의 부분의 비트 값을 반복함으로써 조정용 비트 열(여기에서는 「조정비트 열」이라고 부른다)을 생성하도록 지시한다(S6503)
이하에서는 도 66, 도 67, 도 68을 이용해서 「조정비트 열」의 생성방법의 예를 설명한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의 벡터를 u=(X1, X2, X3, …, XK-2, XK-1, XK, PK+1, PK+2, PK+3, …, PN-2, PN-1, PN)T가 된다.
<도 66 (예 1)에 의한 「조정비트 열」의 생성방법>
도 66 (예 1)에서는 먼저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의 벡터를 u=(X1, X2, X3, …, XK-2, XK-1, XK, PK+1, PK+2, PK+3, …, PN-2, PN-1, PN)T(66-1)의 정보비트 중 Xa의 비트를 추출한다. 그리고 Xa를 반복해서 Xa를 복수 개(복수 비트) 생성하여 이것을 「조정비트 열」(66-2)로 하고, 「조정비트 열」(66-2)을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에 부가한다(도 66의 66-1 및 66-2가 된다). 따라서, 도 60의 비트길이 조정부(6001)에 있어서 도 60의 비트길이 조정부(6001)의 입력인 제 1 비트 열(503)이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이며, 도 60의 비트길이 조정부(6001)의 출력인 제 2 비트 열(6003)이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66-1) 및 「조정비트 열」(66-2)이 된다.
또, 도 66 (예 1)에 있어서 「조정비트 열」을 가장 후미에 삽입(부가)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의 어느 위치에 삽입해도 좋다. 또, 「조정비트 열」로부터 1비트 이상으로 구성하는 블록을 복수 개 생성하고, 각 블록을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의 어느 한 위치에 삽입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도 66 (예 2)에 의한 「조정비트 열」의 생성방법>
도 66 (예 2)에서는 먼저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의 벡터를 u=(X1, X2, X3, …, XK-2, XK-1, XK, PK+1, PK+2, PK+3, …, PN-2, PN-1, PN)T(66-3)의 패리티 비트 중 Pb의 비트를 추출한다. 그리고 Pb를 반복해서 Pb를 복수 개(복수 비트) 생성하여 이것을 「조정비트 열」(66-2)로 하고, 「조정비트 열」(66-4)을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에 부가한다(도 66의 66-3 및 66-4가 된다). 따라서, 도 60의 비트길이 조정부(6001)에 있어서 도 60의 비트길이 조정부(6001)의 입력인 제 1 비트 열(503)이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이며, 도 60의 비트길이 조정부(6001)의 출력인 제 2 비트 열(6003)이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 66-3) 및 「조정비트 열」(66-4)이 된다.
또, 도 66 (예 2)에 있어서 「조정비트 열」을 가장 후미에 삽입(부가)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의 어느 위치에 삽입해도 좋다. 또, 「조정비트 열」로부터 1비트 이상으로 구성하는 블록을 복수 개 생성하고, 각 블록을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의 어느 한 위치에 삽입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도 67에 의한 「조정비트 열」의 생성방법>
도 67에서는 먼저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의 벡터를 u=(X1, X2, X3, …, XK-2, XK-1, XK, PK+1, PK+2, PK+3, …, PN-2, PN-1, PN)T(67-1)에서 M비트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선택한 비트에 Xa 및 Pb를 포함하여 선택한 M비트의 각 비트를 1회 카피한다. 이때, M비트로 구성되는 벡터 M을 m=[Xa, Pb, …]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벡터 m=[Xa, Pb, …]를 「조정비트 열」(67-2)로 하여, 「조정비트 열」(67-2)을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에 부가한다(도 67의 67-1 및 67-2가 된다). 따라서, 도 60의 비트길이 조정부(6001)에 있어서 도 60의 비트길이 조정부(6001)의 입력인 제 1 비트 열(503)이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이며, 도 60의 비트길이 조정부(6001)의 출력인 제 2 비트 열(6003)이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67-1) 및 「조정비트 열」(67-2)이 된다.
또, 도 67에 있어서 「조정비트 열」을 가장 후미에 삽입(부가)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의 어느 위치에 삽입해도 좋다. 또, 「조정비트 열」로부터 1비트 이상으로 구성하는 블록을 복수 개 생성하고, 각 블록을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의 어느 한 위치에 삽입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조정비트 열」은 정보비트만으로부터 생성해도 좋고, 패리티 비트만으로부터 생성해도 좋으며, 정보비트와 패리티 비트 양자를 이용해서 생성해도 좋다.
<도 68에 의한 「조정비트 열」의 생성방법>
도 68에서는 먼저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의 벡터를 u=(X1, X2, X3, …, XK-2, XK-1, XK, PK+1, PK+2, PK+3, …, PN-2, PN-1, PN)T(68-1)에서 M비트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선택한 비트에 Xa 및 Pb를 포함하여 선택한 M비트의 각 비트를 1회 카피한다. 이때, M비트로 구성되는 벡터 M을 m=[Xa, Pb, …]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M비트로 구성되는 벡터 m=[Xa, Pb, …]의 각 비트를 최저한 1회 카피하며, Γ비트로 구성되는 벡터 γ를 γ=[Xa, Xa, Pb, …]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M<Γ가 된다). 그리고 벡터 γ=[Xa, Xa, Pb, …]를 「조정비트 열」(68-2)로 하여, 「조정비트 열」(68-2)을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에 부가한다(도 68의 68-1 및 68-2가 된다).
따라서, 도 60의 비트길이 조정부(6001)에 있어서 도 60의 비트길이 조정부(6001)의 입력인 제 1 비트 열(503)이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이며, 도 60의 비트길이 조정부(6001)의 출력인 제 2 비트 열(6003)이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68-1) 및 「조정비트 열」(68-2)이 된다.
또, 도 68에 있어서 「조정비트 열」을 가장 후미에 삽입(부가)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의 어느 위치에 삽입해도 좋다. 또, 「조정비트 열」로부터 1비트 이상으로 구성하는 블록을 복수 개 생성해서, 각 블록을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의 어느 한 위치에 삽입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조정비트 열」은 정보비트만으로부터 생성해도 좋고, 패리티 비트만으로부터 생성해도 좋으며, 정보비트와 패리티 비트 양자를 이용해서 생성해도 좋다.
<비트길이 조정부(6001)가 생성하는 「조정비트 열」의 수에 대해>
비트길이 조정부(6001)가 생성하는 「조정비트 열」의 수는 실시형태 1 등에서 기재한 내용과 같이 결정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 도 6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0에 있어서 제 1 복소신호 s1(s1(t) 또는 s1(f) 또는 s1(t, f)(t는 시간, f는 주파수))는 어느 변조방식, 예를 들어 BPSK, QPSK, 16QAM, 64QAM, 256QAM 등의 매핑에 의거한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로 표현할 수 있는 베이스밴드신호이다. 마찬가지로 제 2 복소신호 s2(s2(t) 또는 s2(f) 또는 s2(t, f))도 어느 변조방식, 예를 들어 BPSK, QPSK, 16QAM, 64QAM, 256QAM 등의 매핑에 의거한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로 표현할 수 있는 베이스밴드신호이다.
매핑부(504)는 제 2 비트 열을 입력으로 한다. 그리고 매핑부(504)는 (X+Y)비트 열을 입력으로 한다. 매핑부(504)는 (X+Y)비트 열 중 제 1 비트 수 X를 이용하여, 제 1 변조방식의 매핑에 의거해서 제 1 복소신호 s1을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매핑부(504)는 (X+Y)비트 열 중 제 2 비트 수 Y를 이용하여 제 2 변조방식의 매핑에 의거해서 제 2 복소신호 s2를 생성한다. 부호화부(502)는 K비트의 정보 비트 열로부터 (오류정정부호의) 부호화를 실행하여 N비트의 부호어인 제 1 비트 열(503)을 출력한다.
그런데, 비트 수 X+Y의 값에 따라서는 부호화부의 출력인 부호어 길이(N비트)가 2개의 복소신호 s1과 s2를 생성하기 위한 비트 수 (X+Y)비트의 배수가 되지 않는 경우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부호어 길이 N이 64800비트, 변조방식으로 64QAM을 이용하고, X=6으로 하며, 또, 변조방식으로 256QAM을 이용하고, Y=8로 하며, X+Y=14인 경우를 생각한다. 또, 예를 들어 부호어 길이 N이 16200비트, 변조방식으로 256QAM을 이용하며, X=8로 하고, 또, 변조방식으로 256QAM을 이용하며, Y=8로 하고, X+Y=16인 경우를 생각한다.
어느 경우도 「부호화부의 출력인 부호어 길이(N비트)가 2개의 복소신호 s1과 s2를 생성하기 위한 비트 수 (X+Y)비트의 배수가 되지 않는다」가 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호화부가 출력하는 부호어의 길이(N비트)가 임의의 길이라도 매핑부가 비트 수를 남기기지 않고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조정을 비트길이 조정부(6001)가 실행하게 된다.
보충으로, 부호화부의 출력인 부호어 길이(N비트)가 2개의 복소신호 s1과 s2를 생성하기 위한 비트 수 (X+Y)비트의 배수가 되는 경우의 이점에 대해 설명한다.
송신장치가 부호화에 이용하는 부호어 길이 N비트의 오류정정부호의 하나의 블록을 효율 좋게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생각한다. 이때, 동일주파수, 동일시간에 송신되는 제 1 복소신호 s1 및 제 2 복소신호 s2에 의해 송신할 수 있는 비트 수 (X+Y)에 있어서 비트 수 (X+Y)가 복수의 블록의 비트로 구성되어 있지 않은 쪽이 송신장치 및/또는 수신장치의 메모리를 삭감할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어 (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16QAM, 16QAM) 때, 동일주파수, 동일시간에 송신되는 제 1 복소신호 s1 및 제 2 복소신호 s2에 의해 송신할 수 있는 비트 수 (X+Y)는 8 비트이며, 이 8 비트는 복수의 (오류정정부호의)블록의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편이 좋다. 즉, 송신장치가 선택한 변조방식에 있어서 동일주파수, 동일시간에 송신되는 제 1 복소신호 s1 및 제 2 복소신호 s2에 의해 송신할 수 있는 비트 수 (X+Y)는 복수의 (오류정정부호의)블록의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편이 좋다.
따라서, 「부호화부의 출력인 부호어 길이(N비트)가 2개의 복소신호 s1과 s2를 생성하기 위한 비트 수 (X+Y)비트의 배수가 된다」가 좋다.
그런데, 송신장치에 있어서 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및 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 모두 복수의 변조방식의 전환이 가능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비트 수 (X+Y)는 복수의 값을 취할 가능성이 커진다.
이때, 비트 수 (X+Y)가 취할 수 있는 모든 값에 있어서 「부호화부의 출력인 부호어 길이(N비트)가 2개의 복소신호 s1과 s2를 생성하기 위한 비트 수 (X+Y)비트의 배수가 된다」를 만족한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처리방법이 필요하다.
매핑부(504)는 제어신호(512)에 따라서 복소신호 s1(t)의 생성에 이용하는 변조방식인 제 1 변조방식과 복소신호 s2(t)의 생성에 이용하는 변조방식인 제 2 변조방식을 선택한다. 입력된 제 2 비트 열(6003) 중 제 1 복소신호 s1을 생성하기 위한 제 1 비트 수 X와 제 2 복소신호 s2를 생성하기 위한 제 2 비트 수 Y로부터 얻어지는 비트 수 (X+Y)비트 열을 이용하여 제 1 복소신호 s1(t)와 제 2 복소신호 s2(t)를 생성한다.
비트길이 조정부(6001)는 제 1 비트 열(503)을 입력하고, 제 1 비트 열(503)의 비트길이(여기에서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블록)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에 대해 비트길이의 조정을 실행하여 제 2 비트 열(5703)을 생성한다.
도 58은 본 실시형태의 변조처리방법에서의 비트길이 조정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하지 않는 제어부는 제 1 복소신호 s1을 생성하기 위한 제 1 비트 수 X와 제 2 복소신호 s2를 생성하기 위한 제 2 비트 수 Y로부터 얻어지는 비트 수 (X+Y)를 취득한다(스텝 S5801)
다음에, 제어부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블록)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에 대해 비트길이 조정을 실행하는가 여부를 판정한다(S5803). 판정의 조건으로 제어신호로부터 얻어진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비트가 X+Y의 값의 「배수가 아닌가/배수인가」를 이용할 수 있다. 또, X+Y의 값과 비트 수 N의 값의 대응테이블의 값에 의해 이 판정을 해도 좋다. 또, X+Y의 정보는 복소신호 s1(t)의 생성에 이용하는 변조방식인 제 1 변조방식과 복소신호 s2(t)의 생성에 이용하는 변조방식인 제 2 변조방식의 정보라도 좋다.
예를 들어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이 64800비트이며, X+Y의 값이 16인 경우,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 N비트는 X+Y의 값의 배수이다. 제어부는 「비트길이 조정을 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S5803의 결과가 NO).
제어부는 비트길이 조정이 불필요하다라고 판정한 경우(S5803의 결과가 NO), 비트길이 조정부(5701)에 대해 입력한 제 1 비트 열(503)을 그대로 제 2 비트 열(5703)로서 출력하도록 설정한다(S5805). 즉, 앞에서 설명한 예에서는 비트길이 조정부(5701)에 있어서 오류정정부호의 64800비트의 부호어가 입력이며, 오류정정부호의 64800비트의 부호어가 출력이 된다. (비트길이 조정부(5701)는 입력한 비트 열(503)을 그대로 5703으로서 매핑부에 출력한다)
그리고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이 64800비트이며, X+Y의 값이 14인 경우,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 N비트는 X+Y의 값의 배수는 아니다. 이 경우, 제어부는 「비트길이를 조정한다」고 판정하게 된다(S5803의 결과가 YES).
제어부는 「비트길이를 조정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비트길이 조정부(5701)에 입력한 제 1 비트 열(503)에 비트길이 조정처리를 실행하도록 설정한다(S5805). 즉,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비트길이 조정처리와 「조정비트 열」을 생성하고,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의 벡터에 「조정비트 열」을 부가하게 된다(예를 들어 도 66, 도 67, 도 68과 같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의 벡터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이 64800비트와 같이 고정인 경우, X+Y의 값, 즉, 제 1 변조방식과 제 2 변조방식의 세트가 바뀌는 경우(또는 제 1 변조방식과 제 2 변조방식의 세트의 설정 변경이 가능한 경우)에는 적절하게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를 변경하게 된다(또, X+Y의 값(1의 변조방식과 제 2 변조방식의 세트)에 따라서는 「조정비트 열」이 필요없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하나의 중요한 점은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와 「조정비트 열」로 구성되는 제 2 비트 열(6003)의 비트 수가 설정된 제 1 변조방식과 제 2 변조방식의 세트에 의해 결정하는 비트 수 (X+Y)의 배수가 되어 있는 것이다.
다음에, 특징적인 「조정비트 열」의 생성방법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9, 도 70은 비트길이 조정부가 생성하는 「조정비트 열」의 변형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69, 도 70의 503은 도 60의 비트길이 조정부(6001)의 입력이 되는 제 1 비트 열(503)이 된다. 도 69, 도 70의 6003은 비트길이 조정부가 출력하는 제 2 비트 열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69, 도 70에서는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 제 2 비트 열(6003)은 제 1 비트 열(503)의 후에 「조정비트 열」이 부가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단, 「조정비트 열」을 부가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범례>
개개의 4각 테두리는 제 1 비트 열(503) 혹은 제 2 비트 열(6003)의 비트의 개개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 「0」을 둘러싸는 4각 테두리는 값을 「0」으로 하는 비트를 나타낸다.
도면 중 「1」을 둘러싸는 4각 테두리는 값을 「1」로 하는 비트를 나타낸다.
도면 중 해칭된(사선의) 4각 테두리인 p_last는 「아큐뮤레이트 처리의 최종 출력 비트에 대응하는 위치의 비트에 대응하는 비트의 비트 값」이다. 즉, 앞에서 설명한 패리티 검사행렬에 있어서 패리티에 관련하는 부분행렬이 아큐뮤레이트 구조를 가지는 LDPC부호에서는 p_last는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의 벡터를 u=(X1, X2, X3, …, XK-2, XK-1, XK, PK+1, PK+2, PK+3, …, PN-2, PN-1, PN)T로 한 경우의 PN이 된다(p_last는 패리티 검사행렬에 있어서 패리티에 관련하는 부분행렬이 아큐뮤레이트 구조를 가지는 LDPC부호에 있어서 아큐뮤레이트 구조의 패리티에 관련하는 부분행렬의 최종열에 관련하는 비트가 된다).
흑색의 4각 테두리(connected)는 부호화부(502)가 도 63의 처리에 있어서 「p_last의 값의 도출에 이용한 어느 하나의 비트」이다.
connected 비트의 하나가 스텝 S6303의 아큐뮤레이트 처리에서 p_last의 도출에 이용되는 마지막에서부터 2번째의 비트 p_2ndlast에 대응하는 비트의 비트 값이다. 즉, 앞에서 설명한 패리티 검사행렬에 있어서 패리티에 관련하는 부분행렬이 아큐뮤레이트 구조를 가지는 LDPC부호에서는 p_2ndlast는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의 벡터를 u=(X1, X2, X3, …, XK-2, XK-1, XK, PK+1, PK+2, PK+3, …, PN-2, PN-1, PN)T로 한 경우 connected 비트의 하나가 PN-1이 된다.
또,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의 벡터를 u=(X1, X2, X3, …, XK-2, XK-1, XK, PK+1, PK+2, PK+3, …, PN-2, PN-1, PN)T로 하는 패리티에 관련하는 부분행렬이 아큐뮤레이트 구조를 가지는 LDPC부호의 패리티 검사행렬 H(N-K행 N열의 행렬)에 있어서 제 N-K 행을 구성하는 벡터를 hN-K로 한다. 이때, hN-K는 1행 N열의 벡터가 된다.
그리고 벡터 hN-K에 있어서 「1」이 되는 열을 g로 한다. 또, g는 1 이상 K 이하의 정수로 한다. 이때, connected 비트로 Xg도 후보가 된다.
도면 중 any를 둘러싸는 4각 테두리는 「0」 「1」 중 어느 하나의 비트이다.
또, PadNum으로 나타내는 화살표의 길이는 비트길이를(부족분을 보충하는 방법으로) 조정하는 경우의 조정비트 수이다.
이하, 예를 설명한다. 해칭된(사선의) p_last는 PN이 된다.
도 60의 비트길이 조정부(6001)는 이하의 변형 예 중 어느 하나의 「조정비트 열」을 생성한다(또, 「조정비트 열」의 배치방법에 대해서는 도 60에 한정되지 않음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 69의 제 1 변형 예>
비트길이 조정부(6001)는 「조정비트 열」을 p_last의 값을 1 이상 반복함으로써 생성한다.
<도 69의 제 2 변형 예>
비트길이 조정부(6001)는 「조정비트 열」의 일부를 p_last의 값을 1 이상 반복함으로써 생성한다. 또, 「any」에 대해서도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의 벡터를 u=(X1, X2, X3, …, XK-2, XK-1, XK, PK+1, PK+2, PK+3, …, PN-2, PN-1, PN)T중 어느 하나의 비트로부터 생성된다.
<도 69의 제 3 변형 예>
비트길이 조정부(6001)는 「조정비트 열」의 일부를 p_last의 값을 1 이상 반복함으로써 생성한다. 또, 「조정비트 열」의 일부를 미리 결정된 비트로 구성한다.
<도 70의 제 4 변형 예>
비트길이 조정부(6001)는 「조정비트 열」을 connected 비트의 값을 1 이상 반복함으로써 생성한다.
<도 70의 제 5 변형 예>
비트길이 조정부(6001)는 「조정비트 열」의 일부를 connected 비트의 값을 1 이상 반복함으로써 생성한다. 또, 「any」에 대해서도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의 벡터를 u=(X1, X2, X3, …, XK-2, XK-1, XK, PK+1, PK+2, PK+3, …, PN-2, PN-1, PN)T 중 어느 하나의 비트로부터 생성한다.
<도 70의 제 6 변형 예>
비트길이 조정부(6001)는 「조정비트 열」을 p_last의 값 및 connected 비트의 값으로부터 생성한다.
<도 70의 제 7 변형 예>
비트길이 조정부(6001)는 「조정비트 열」의 일부를 p_last의 값 및 connected 비트의 값으로부터 생성한다. 또, 「any」에 대해서도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의 벡터를 u=(X1, X2, X3, …, XK-2, XK-1, XK, PK+1, PK+2, PK+3, …, PN-2, PN-1, PN)T 중 어느 하나의 비트로부터 생성된다.
<도 70의 제 8 변형 예>
비트길이 조정부(6001)는 「조정비트 열」의 일부를 p_last의 값 및 connected 비트의 값으로부터 생성한다. 또, 「조정비트 열」의 일부를 미리 결정된 비트로 구성한다.
<도 70의 제 9 변형 예>
비트길이 조정부(6001)는 「조정비트 열」의 일부를 connected 비트의 값으로부터 생성한다. 또, 「조정비트 열」의 일부를 미리 결정된 비트로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의 효과>
도 7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의 착안의 하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상단은 도 69 및 도 70의 제 1 비트 열(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503)을 다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중단은 (스텝 S6303의) 아큐뮤레이트 처리를 수반하는 LDPC부호화처리에 의해 관념되는 관념상의 LDPC부호의 패리티 검사행렬 H이다.
도면 중 「1」은 관념상의 LDPC부호의 패리티 검사행렬에 있어서 태너 그래프(Tanner graph)를 그린 때 에지를 형성하게 된다. 스텝 S6303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p_last의 값은 p_2ndlast의 값을 이용해서 연산된다. 그러나, p_last의 값은 아큐뮤레이트 처리순서에서 최종 비트이며, 다음의 비트 값과의 관련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관념상의 패리티 검사행렬 H에 있어서 p_last(혹은 p_last에 대응하는 비트)의 열 가중은 다른 패리티 부분의 비트의 열 가중 2에 비해 적으며, 열 가중 1이 된다. (또, 열 가중은 패리티 검사행렬의 각 열의 열 벡터에 있어서 「1」의 요소를 가지는 수이다).
도면의 하단은 상기 관념상의 패리티 검사행렬 H의 태너 그래프이다.
동그라미(○)는 변수(비트) 노드를 나타낸다. 동그라미 중 해칭된(사선의) 동그라미는 p_last를 추상(抽象)하는 변수(비트) 노드이다. 또, 흑색 동그라미는 connected 비트를 추상하는 비트 노드이다. 또, 이 도면의 하단에서 사각(□)은 이러한 변수(비트) 노드가 연결된 체크 노드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checknode_last로 표시하는 체크 노드는 p_last를 추상하는 비트 노드가 접속하고 있는 체크 노드이다. 또, 도면의 하단 중 실선은 checknode_last와 에지를 가지는 변수(비트) 노드이다.
앞에서 설명한 connected 비트는 p_2ndlast를 포함하여 checknode_last에 직접 접속하고 있는 비트 군이다. 도면의 하단에서 실선은 checknode_last에 접속된 비트 노드와 직접 접속하고 있는 에지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면의 하단에서 점선은 다른 체크 노드의 관념상의 패리티 검사행렬 H의 에지를 나타내고 있다.
그런데, 패리티에 관련하는 부분행렬이 아큐뮤레이트 구조를 가지는 LDPC부호에 있어서 sum-product 복호와 같은 BP(Belief Propagation) 복호를 실시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도 71의 하단의 태너 그래프에 주목한다. 특히, 패리티의 변수(비트) 노드와 체크 노드로 형성하는 그래프에 주목한다.
이때, p_2ndlast 등의 p_last와는 다른 패리티 부분의 비트를 추상하는 변수(비트) 노드는 2개의 체크 노드에 접속되어 있다(도면 중 에지 수 2).
패리티의 변수(비트) 노드와 체크 노드로 형성하는 그래프에 주목한 경우, 패리티 에지 수가 2인 경우, 2개의 방향의 (체크 노드)로부터 외부 값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반복 복호가 이루어지므로 먼 체크 노드, 변수(비트) 노드로부터 신뢰도가 전파하게 된다.
이에 대해 p_last를 추상하는 변수(비트) 노드는 패리티의 변수(비트) 노드와 체크 노드로 형성하는 그래프에 주목한 경우 1개의 체크 노드(checknode_last) 밖에 에지를 갖지 않는다(도면 중 에지 수 1로 기재한 선).
따라서, p_last의 변수(비트) 노드는 외부 값을 1 방향으로부터 밖에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반복 복호가 이루어지므로 먼 체크 노드, 변수(비트) 노드로부터 신뢰도가 전파하게 되나, p_last의 변수(비트) 노드는 외부 값을 1 방향으로부터 밖에 얻을 수 없으므로 많은 신뢰도를 얻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p_last의 신뢰성은 다른 패리티 비트의 신뢰성에 비해 낮아진다.
따라서, p_last의 신뢰성이 낮으므로 이에 의해 다른 비트에 대해 오류 전파가 발생하고 있게 된다.
따라서, p_last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면 오류 전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다른 비트의 신뢰도가 향상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에서는 이 점에 주목하여 p_last를 반복해서 송신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또, p_last의 신뢰성이 낮으므로 신뢰성이 낮아지는 비트가 connected 비트이다(또, 이 점은 앞에서 설명한 「Hu=0」의 관계로부터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connected 비트의 신뢰성이 낮으므로 이에 의해 다른 비트에서 오류 전파가 발생하고 있게 된다.
따라서, connected 비트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면 오류 전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다른 비트의 신뢰도가 향상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발명에서는 이 점에 주목하여 connected 비트를 반복해서 송신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당연하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실시형태를 복수 조합해서 실시해도 좋다.
(실시형태 3)
도 73은 본 실시형태의 변조부의 구성이다.
도 73의 변조부는 부호화부(502LA), 비트 인터리버(502BI), 비트길이 조정부(7301) 및 매핑부(5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매핑부(504)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동작하므로 그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부호화부(502LA)는 제 i 번째 블록에서의 K비트의 정보를 입력으로 하여 제 i 번째 블록의 N비트의 부호어(503Λ)를 출력한다. 여기서, N비트의 비트 열 5는 4320비트, 16800비트, 64800비트 등의 어느 특정한 비트 수인 것으로 한다.
비트 인터리버(502BI)는 예를 들어 제 i 번째 블록을 구성하는 N비트의 비트 열(503Λ)을 입력하여 비트 인터리브 처리를 실행해서 N비트의(인터리브 후의) 비트 열(503V)을 출력한다. 인터리브 처리는 비트 인터리버(502BI)의 입력 비트의 순번에 대해서 순번의 교체를 실행하고, 순번의 교체를 실행한 비트 열을 출력한다는 처리가 된다. 예를 들어 비트 인터리버(502BI)의 입력 비트의 열이, b1, b2, b3, b4, b5의 순으로 배열되어 있은 경우 인터리브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비트 인터리버(502BI)의 출력 비트 열이, b2, b4, b5, b1, b3의 순이 된다(단, 순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트길이 조정부(7301)는 예를 들어 N비트의(비트 인터리브 후의) 비트 열(503V)을 입력해서 비트길이의 조정을 실행하여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7303)을 출력한다.
도 74는 도 73의 비트 인터리버(502BI)의 동작을 출력되는 비트 열에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단, 도 74는 비트 인터리브 방법의 일례이며, 비트 인터리브 방법은 본 방법 이외의 방법이라도 좋다. 도면 중 해칭된(사선의) 4각 테두리 및 흑색의 4각 테두리는 실시형태 2의 도 69 등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도 74의 503Λ은 비트 인터리브 처리 전의 비트 열의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4의 503U는 1회째의 비트 인터리브 처리(σ1) 후의 비트 열의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4의 503V는 2번째의 비트 인터리브 처리(σ2) 후의 비트 열의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실선 화살표는 화살표 시작지점의 위치(순번)의 비트가 1회째의 비트 인터리브 처리에 의해 화살표가 끝나는 지점의 위치(순번)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예를 들어 σ1(N-1)은 패리티 부분의 최종 비트 값인 N-1의 위치(N번째)의 p_last가 1회째의 인터리브에 의한 위치의 이동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본 도면의 예에서는 σ1(N-1)은 N-1이며 위치가 바뀌지 않는다. 또, σ1(N-2)은 p_2ndlast의 위치의 이동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비트 인터리버는 LDPC부호의 부호화에 의해 생성된 부호어 중 특히 패리티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비트의 위치의 거리를 길게 함으로써 통신로에서의 버스트 오류에 대한 내성을 강하게 하기 위해 실시하는 처리이다. 부호화처리 직후의 503Λ에서 인접하고 있던 p_last와 p_2ndlast는 인터리브 처리 σ1에 의해 503U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위치의 간격을 가지게 된다.
점선 화살표는 화살표 시작지점의 위치(순번)의 비트가 복수 회의 비트 인터리브 처리(σ1,σ2, …)를 실시한 결과 화살표가 끝나는 지점의 위치(순번)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σ(N-1)은 복수 회의 σ1, σ2의 합성 치환이다. 2개의 치환을 이용하는 본 도면의 예에서는 σ2(σ1(N-1))와 등가이다.
이와 같이 비트 인터리버(502BI)는 비트 인터리버(502BI)의 입력 비트의 순번에 대해 순번의 교체를 실행하고, 순번의 교체를 실행한 비트 열을 출력한다고 하는 처리가 된다.
도 75는 비트 인터리버(502)의 실장 예이다.
비트 인터리브 처리는 인터리브 대상의 비트 열을 상기 비트 열의 비트 수의 약수인 Nr과 Nc의 사이즈의 메모리에 저장하며, 메모리에 기입하는 순서와 판독하는 순서를 변경함으로써 실시되는 것이다.
먼저, 비트 인터리버는 비트 인터리브 처리의 대상으로 하는 비트 수 N의 메모리를 확보한다. 단, N=Nr×Nc로 한다.
Nr 및 Nc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화율 및/또는 설정한 변조방식 (또는 변조방식의 세트)에 따라서 변경할 수 있다.
도 75에서 Nr×Nc개의 개개의 사각은 대응하는 비트의 값이 기입되는 (값 0 또는 값 1이 누적되는) 기억부를 나타내고 있다.
세로 방향으로 되돌아오는 실선 화살표(WRITE 방향)는 화살표 시작지점에서부터 화살표 끝 지점을 향해서 비트 열을 메모리에 기입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도면 중의 Bitfirst는 최초의 비트를 기입하는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 각 열에 있어서 각 열의 선두의 기입 위치는 변경할 수 있어도 좋다.
그리고 세로방향으로 되돌아오는 점선 화살표(READ 방향)는 판독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75의 예는 503Λ 중 패리티 부분의 비트 열을 재배열하는 처리(소위 패리티 인터리브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WRITE 방향으로 어드레스가 연속한 메모리에 기입된 p_2ndlast와 p_last는 간격을 가지게 된다.
도 76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비트길이 조정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73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는 어느 비트의 조정이 필요한가를 결정한다(스텝 S7601). 이 처리는 실시형태 1의 스텝 S5901에 대응하는 스텝이다.
다음에, 제어부는 도 73의 비트길이 조정부(7301)에 예를 들어 제 i 번째 블록의 N비트의 부호어에 부가하는 비트 열(예를 들어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부가하는 비트, 실시형태 2에서 설명한 「조정비트 열」)의 비트 인터리브 후에 부가하는 위치를 지정한다(S7603).
일례에 대해 도 7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7에 있어서 503V는 도 73의 인터리브 후의 비트 열을 나타내고 있고, 예를 들어 인터리브 후의 제 i 번째 블록의 N비트의 부호어인 것으로 한다. 7303은 도 73의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을 나타내고 있고, 인터리브 후의 제 i 번째 블록의 N비트의 부호어에 대해 부가하는 비트 열을 부가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도 77에 있어서 4각 테두리(□)는 인터리브 후의 제 i 번째 블록의 N비트의 부호어의 각 비트를 나타내고 있고, 흑색의 4각 테두리(■)는 부가하는 비트 열의 비트를 나타내고 있다.
도 77의 예에서는 7314#1A의 □과 7314#1B의 □의 사이에 부가하는 비트 열의 비트(■) 7314#1을 삽입하고, 7314#2A의 □과 7314#2B의 □의 사이에 부가하는 비트 열의 비트(■) 7314#2를 삽입하는 방법으로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7303)을 형성한다. 즉, 인터리브 후의 제 i 번째 블록의 N비트의 부호어에 부가하는 비트 열을 삽입·부가함으로써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7303)은 생성되게 된다(S7605).
또, 실시형태 1, 실시형태 2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 i 번째 블록의(LDPC부호의) 부호어의 벡터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이 64800비트와 같이 고정인 경우 X+Y의 값, 즉, s1(t)의 제 1 변조방식과 s2(t)의 제 2 변조방식의 세트가 바뀌는 경우(또는 s1(t)의 제 1 변조방식과 s2(t)의 제 2 변조방식의 세트의 설정 변경이 가능한 경우) 적절하게 부가하는 비트 열의 비트 수를 변경하게 된다. (또, X+Y의 값(s1(t)의 제 1 변조방식과 s2(t)의 제 2 변조방식의 세트)에 따라서는 부가하는 비트 열이 필요없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하나의 중요한 점은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와 부가하는 비트 열로 구성되는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7303)의 비트 수가 설정된 s1(t)의 제 1 변조방식과 s2(t)의 제 2 변조방식의 세트로 결정하는 비트 수 (X+Y)의 배수가 되어 있는 것이다.
앞에서의 설명에서는 「비트길이 조정부(7301)는 예를 들어 N비트의(비트 인터리브 후의) 비트 열(503V)을 입력해서 비트길이의 조정을 실행하여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7303)을 출력한다」라고 하고 있었으나, 「비트길이 조정부(7301)는 예를 들어 N×z비트의(비트 인터리브 후의) 비트 열(503V)을 입력해서 비트길이의 조정을 실행하여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7303)을 출력한다(z는 1 이상의 정수)」로 해도 좋다.
도 75는 비트 인터리버(502)의 실장 예이다.
비트 인터리브 처리는 인터리브 대상의 비트 열을 상기 비트 열의 비트 수의 약수인 Nr과 Nc의 사이즈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메모리에 기입 순서와 판독 순서를 변경함으로써 실시되는 것이다.
먼저, 비트 인터리버는 비트 인터리브 처리의 대상으로 하는 비트 수 N×z의 메모리를 확보한다. 단, N×z=Nr×Nc로 한다.
Nr 및 Nc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화율 및/또는 설정한 변조방식 (또는 변조방식의 세트)에 따라서 변경할 수 있다.
도 75에 있어서 Nr×Nc개의 개개의 사각은 대응하는 비트의 값이 기입되는(값 0 또는 값 1이 누적된다). 기억부를 나타내고 있다.
세로 방향으로 되돌아오는 실선 화살표(WRITE 방향)는 화살표 시작지점에서부터 화살표 끝지점을 향하여 비트 열을 메모리에 기입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도면 중의 Bitfirst는 최초의 비트를 기입하는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 각 열에 있어서 각 열의 선두의 기입 위치는 변경할 수 있어도 좋다.
그리고 세로방향으로 되돌아오는 점선 화살표는(READ 방향) 판독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75의 예는 503Λ 중 패리티 부분의 비트 열을 재배열하는 처리(소위 패리티 인터리브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WRITE 방향으로 어드레스가 연속한 메모리에 기입된 p_2ndlast와 p_last는 간격이 생기게 된다.
도 76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비트길이 조정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73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는 제어부는 어느 비트의 조정이 필요한가를 결정한다(스텝 S7601). 이 처리는 실시형태 1의 스텝 S5901에 대응하는 스텝이다.
다음에, 제어부는 도 73의 비트길이 조정부(7301)에 예를 들어 N비트의 부호어로 형성되는 블록을 z개분에 부가하는 비트 열(예를 들어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부가하는 비트, 실시형태 2에서 설명한 「조정비트 열」)의 비트 인터리브 후에 부가하는 위치를 지정한다(S7603).
일례에 대해 도 7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77에 있어서 503V는 도 73의 인터리브 후의 비트 열을 나타내고 있고, 예를 들어 인터리브 후의 N비트의 부호어로 형성되는 블록 z개분인 것으로 한다.
7303은 도 73의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을 나타내고 있고, 인터리브 후의 N비트의 부호어로 형성되는 블록 z개분에 대해 부가하는 비트 열을 부가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도 77에 있어서 4각 테두리(□)는 N비트의 부호어로 형성되는 블록 z개분의 각 비트를 나타내고 있고, 흑색의 4각 테두리(■)는 부가하는 비트 열의 비트를 나타내고 있다.
도 77의 예에서는 7314#1A의 □과 7314#1B의 □ 사이에 부가하는 비트 열의 비트(■) 7314#1을 삽입하고, 7314#2A의 □과 7314#2B의 □ 사이에 부가하는 비트 열의 비트(■) 7314#2를 삽입하는 방법으로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7303)을 형성한다. 즉, 인터리브 후의 N비트의 부호어로 형성되는 블록 z개분에 부가하는 비트 열을 삽입·부가함으로써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7303)은 생성되게 된다(S7605).
또, 실시형태 1, 실시형태 2에서 설명과 같이 생각하면 「제 i 번째 블록의(LDPC부호의) 부호어의 벡터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이 64800비트와 같이 고정인 경우 X+Y의 값, 즉, s1(t)의 제 1 변조방식과 s2(t)의 제 2 변조방식의 세트가 바뀌는 경우(또는 s1(t)의 제 1 변조방식과 s2(t)의 제 2 변조방식의 세트의 설정 변경이 가능한 경우) 적절하게 부가하는 비트 열의 비트 수를 변경하게 된다(또, X+Y의 값(s1(t)의 제 1 변조방식과 s2(t)의 제 2 변조방식의 세트)에 따라서는 부가하는 비트 열이 필요없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하나의 중요한 점은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 z개분의 비트 열, 즉, N×z의 비트 열」과 「부가하는 비트 열」로 구성되는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7303)의 비트 수가 설정된 s1(t)의 제 1 변조방식과 s2(t)의 제 2 변조방식의 세트로 결정하는 비트 수 (X+Y)의 배수가 되고 있다는 점이다.
<본 실시형태의 착안>
(1) 변조방식의 변경에 대한 대응
본 발명의 하나의 과제는 실시형태 1, 실시형태 2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복소신호 s1(t)의 변조방식과 s2(t)의 변조방식의 세트의 교체에 있어서 비트의 부족에 대응하는 것이다.
(인터리브의 사이즈가 N비트인 경우)
(효과 1)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와 부가하는 비트 열로 구성되는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7303)의 비트 수가 설정된 s1(t)의 제 1 변조방식과 s2(t)의 제 2 변조방식의 세트로 결정하는 비트 수 (X+Y)의 배수가 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 부호화부가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비트의 부호어를 출력한 때, N의 값에 의하지 않고 모든 변조방식의 조합에 의거하는 복소신호의 세트에 대해 동일주파수, 동일시간에 송신되는 제 1 복소신호 s1 및 제 2 복소신호 s2에 의해 송신할 수 있는 비트 수 (X+Y)는 복수의 (오류정정부호의)블록의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송신장치 및/또는 수신장치의 메모리를 삭감할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효과 2)
X+Y의 값, 즉, s1(t)의 제 1 변조방식과 s2(t)의 제 2 변조방식의 세트가 바뀌는 경우(또는 s1(t)의 제 1 변조방식과 s2(t)의 제 2 변조방식의 세트의 설정 변경이 가능한 경우), 도 73과 같이, 비트길이 조정부(7301)를 비트 인터리버(502BI)의 후단에 설치함으로써 비트 인터리버의 메모리 사이즈를 s1(t)의 제 1 변조방식과 s2(t)의 제 2 변조방식의 세트에 의하지 않고 일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비트 인터리버의 메모리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비트길이 조정부(7301)와 비트 인터리버(502BI)의 순서가 역이 되면 s1(t)의 제 1 변조방식과 s2(t)의 제 2 변조방식의 세트에 의해 메모리 사이즈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비트 인터리버(502BI)의 후단에 비트길이 조정부(7301)를 배치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또, 도 73에서는 비트 인터리버(502BI)의 직후에 비트길이 조정부(7301)를 배치하고 있으나, 비트 인터리버(502BI)와 비트길이 조정부(7301)의 사이에 다른 인터리브를 실시하는 인터리버가 삽입되어 있어도 좋고, 그 외의 처리부가 삽입되어 있어도 좋다).
또,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를 복수 준비해도 좋다. 예를 들어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로 Na비트, Nb비트를 준비하는 것으로 한다.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a비트의 오류정정부호를 이용한 때 비트 인터리버의 메모리 사이즈는 Na비트로 하여 비트 인터리버를 실시하고, 그 후, 도 73의 비트길이 조정부(7301)는 필요한 경우에는 부가하는 비트 열을 부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b비트의 오류정정부호를 이용한 때 비트 인터리버의 메모리 사이즈는 Nb비트로 하여 비트 인터리버를 실시하고, 그 후, 도 73의 비트길이 조정부(7301)는 필요한 경우에는 부가하는 비트 열을 부가하게 된다.
(인터리브의 사이즈가 N×z비트인 경우)
(효과 3)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 z개분의 비트 열, 즉, N×z비트의 비트 열」과「부가하는 비트 열」로 구성되는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7303)의 비트 수가 설정된 s1(t)의 제 1 변조방식과 s2(t)의 제 2 변조방식의 세트로 결정하는 비트 수 (X+Y)의 배수가 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 부호화부가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비트의 부호어를 출력한 때, N의 값에 의하지 않고 모든 변조방식의 조합에 의거하는 복소신호의 세트에 대해 동일주파수, 동일시간에 송신되는 제 1 복소신호 s1 및 제 2 복소신호 s2에 의해 송신할 수 있는 비트 수 (X+Y)는 z개의 부호어 이외의 블록의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송신장치 및/또는 수신장치의 메모리를 삭감할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효과 4)
X+Y의 값, 즉, s1(t)의 제 1 변조방식과 s2(t)의 제 2 변조방식의 세트가 바뀌는 경우(또는 s1(t)의 제 1 변조방식과 s2(t)의 제 2 변조방식의 세트의 설정 변경이 가능한 경우), 도 73과 같이 비트길이 조정부(7301)를 비트 인터리버(502BI)의 후단에 설치함으로써 비트 인터리버의 메모리 사이즈를 s1(t)의 제 1 변조방식과 s2(t)의 제 2 변조방식의 세트에 의하지 않고 일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비트 인터리버의 메모리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비트길이 조정부(7301)와 비트 인터리버(502BI)의 순서가 역이 되면 s1(t)의 제 1 변조방식과 s2(t)의 제 2 변조방식의 세트에 의해 메모리 사이즈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비트 인터리버(502BI)의 후단에 비트길이 조정부(7301)를 배치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또, 도 73에서는 비트 인터리버(502BI)의 직후에 비트길이 조정부(7301)를 배치하고 있으나, 비트 인터리버(502BI)와 비트길이 조정부(7301)의 사이에 다른 인터리브를 실시하는 인터리버가 삽입되어 있어도 좋고, 그 외의 처리부가 삽입되어 있어도 좋다).
또,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를 복수 준비해도 좋다. 예를 들어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로 Na비트, Nb비트를 준비하는 것으로 한다.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a비트의 오류정정부호를 이용한 때, 비트 인터리버의 메모리 사이즈는 Na×z비트로 하여 비트 인터리버를 실시하고, 그 후, 도 73의 비트길이 조정부(7301)는 필요한 경우에는 부가하는 비트 열을 부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b비트의 오류정정부호를 이용한 때, 비트 인터리버의 메모리 사이즈는 Nb×z비트로 하여 비트 인터리버를 실시하고, 그 후, 도 73의 비트길이 조정부(7301)는 필요한 경우에는 부가하는 비트 열을 부가하게 된다.
또, 각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에 대해 복수의 비트 인터리브 사이즈를 준비해도 좋다. 예를 들어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가 N비트일 때 비트 인터리브 사이즈로 N×a비트, N×b비트를 준비하는 것으로 한다(단, a, b 모두 1 이상의 정수로 한다). 그리고 비트 인터리브 사이즈로 N×a비트를 이용한 때 비트 인터리버를 실시하고, 그 후, 도 73의 비트길이 조정부(7301)는 필요한 경우에는 부가하는 비트 열을 부가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비트 인터리브 사이즈로 N×b비트를 이용한 때 비트 인터리버를 실시하고, 그 후, 도 73의 비트길이 조정부(7301)는 필요한 경우에는 부가하는 비트 열을 부가하게 된다.
(실시형태 3의 보충)
(방법 1),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 N의 변경에 의한 대응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 N을 인수 X+Y를 포함하는 값으로 결정함으로써 본래적인 해결로 할 수 있다.
그러나, 먼저,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 N을 새로운 변조방식의 세트에 의한 X+Y의 모든 패턴의 값을 인수로 한 수로 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X+Y가 6+8인 경우의 14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 N은 인수로서 7을 포함하는 수로 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 후, 변조방식의 세트로 X=10과 Y=12의 합계치 22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 N은 새로 11도 인수로 하는 수로 할 필요가 있다.
(방법 2) 과거의 비트 인터리버의 Nr×Nc메모리에 대한 후방 호환
또, 도 75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비트 인터리버는 소정 수의 비트에 대해 Nc×Nr의 소정 수의 메모리의 기입 또는 판독 어드레스의 차이를 이용해서 실현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제 1 단계에서의 사양(규격)에 있어서 선택 가능한 변조방식이 예를 들어 X+Y가 12 이하가 되는 수일 때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N에 대해서 적절한 비트 인터리브 처리를 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제 2 단계에서의 사양(규격)에 있어서 예를 들어 X+Y의 새로운 수로 14가 부가되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X+Y=14일 때 제 1 단계에서의 사양(규격)의 적절한 비트 인터리브를 포함하는 제어를 하기는 어렵다. 이 점에 대해 「값을 반복할 비트」를 p_last로 하여 설명한다.
도 78에서는 비트 인터리버(502BI)의 (후단이 아닌) 전단에 비트 열 조정부를 삽입하고 있다. 도면 중의 점선 4각 테두리가 임시로 삽입된 비트길이 조정부이다.
비트길이 조정부가 비트 인터리버(502BI)의 (후단이 아닌) 전단에 위치하면 p_last의 비트 위치는 비트 열(503Λ)의 최종 비트이다.
이 경우, N비트의 비트 열(503)에 6비트의 조정비트를 부가한 6003을 후단에 출력하게 된다. 6비트의 조정비트를 수신한 인터리버는 제 1 단계에서의 사양(규격)에서 정해진 Nr×Nc비트의 배수가 아닌 새로운 인수(예를 들어 7이나 11)를 가지는 비트 수의 비트 열의 인터리브 처리를 해야 하게 된다. 따라서, 비트 인터리버(502BI)의 (후단이 아닌) 전단에 비트 열 조정부를 삽입한 경우 제 1 단계에서의 사양(규격)의 비트 인터리버에 대한 친화성이 낮다.
이에 대해, 도 73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는 비트길이 조정부(7301)는 비트 인터리버(502BI)의 (전단이 아니라) 후단에 위치한다.
이 순서의 구성에 의해 비트 인터리버(502BI)는 제 1 단계에서의 사양(규격)의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N비트를 입력하여 503의 부호어 길이 혹은 부호어 중의 소정의 수의 비트에 적합한 비트 인터리브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 같이 복소신호 s1(t)와 s2(t)의 세트를 생성하기 위한 비트 수 (X+Y)에 대한 비트의 부족에 대응할 수 있다.
<다른 예>
도 79는 본 실시형태의 변조부의 변형 예이다.
부호화부(502LA)의 후단에 비트길이 조정부(7301)를 구성하는 비트 값 보유부(7301A) 및 조정비트 열 생성부(7301B)를 구비하고 있다.
비트 값 보유부(7301A)는 우선 입력된 N비트의 503을 그대로 비트 인터리버에 공급한다. 그 후, 비트 인터리버(502BI)는 비트길이(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 N비트의 비트 열(503)을 비트 인터리브 처리해서 비트 열(503V)을 출력한다.
또, 비트 값 보유부(7301A)는 부호화부가 출력하는 제 1 비트 열(503) 중 「값을 반복할 비트 위치」의 비트 값을 보유하며, 조정비트 열 생성부(7301B)에 공급한다.
조정비트 열 생성부(7301B)는 취득한 「값을 반복할 비트의 비트 값」을 이용해서 실시형태 2의 어느 하나의 조정비트 열을 생성하여 N비트의 비트 열(503V)과 함께 조정비트 열을 503에 포함시켜서 출력한다.
이 변형 예에 의하면,
(1) 「값을 반복할 비트」의 위치를 예를 들어 오류정정부호의 부호화율 등에 의해 변경되는 비트 인터리브의 패턴의 영향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값을 반복할 비트」가 p_last인 경우, plast의 위치는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비트길이 조정부는 비트 열을 고정적인 위치인 최후에 입력된 비트의 반복으로부터 생성할 수 있다.
(2) 소정의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를 위해 설계된 비트 인터리버의 처리와 친화성의 점에 있어서도 매우 적합하다.
또, 도면 중 점선 사각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7301A 및 7301B의 기능을 비트 인터리버(502BI)의 기능에 포함시키도록 하여 구성해도 좋다.
(실시형태 4)
실시형태 1~3에서는 비트 열(503)의 비트길이의 X+Y의 값의 배수에 대한 부족분 (PadNum비트)을 조정비트 열에 의해 보충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실시형태 4에서는 비트길이를 X+Y의 값의 배수가 되는 잉여분만큼 짧게 함으로써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특히, 오류정정부호의 부호화의 전단에서 기지의 정보를 삽입하여, 기지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에 대해 부호화를 실행하고, 그 후 기지 정보를 삭제함으로써 비트계열 길이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또, TmpPadNuM은 삽입하는 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인 동시에 그 후에 삭제하는 비트의 수이기도 하다.
도 80은 본 실시형태의 변조부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비트길이 조정부(8001)는 전단부(8001A)와 비트길이 조정부 후단부(8001B)를 포함한다.
전단부(8001A)는 「전단부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 전단부는 입력된 정보의 비트 열에 일시적으로 기지(旣知)의 정보인 「조정비트 열」을 부가해서 K비트의 비트 열을 출력한다.
부호화부(502)는 K비트의 기지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비트 열을 입력으로 하여 부호화를 실시해서 N비트의 부호어인 제 1 비트 열(503)을 출력한다. 또, 부호화부(502)에서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는 조직부호(정보와 패리티로 구성되는 부호)인 것으로 한다.
후단부(8001B)는 「후단부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 후단부는 비트 열(503)을 입력하고, 전단부(8001A)에서 일시적으로 삽입한 기지의 정보인 「조정비트 열」을 삭제(remove)한다. 이에 의해 전단부(8001A)가 출력하는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8003)의 계열길이는 X+Y의 값의 배수가 된다.
또, 「X+Y의 값」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3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 81은 본 실시형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점선 사각 OUTER는 「전단부에 관한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전단부에 관한 처리는 제어부가 전단부에 처리 내용을 설정하기 위한 처리이다. 또, 제어부는 도 80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신호선(512)을 출력하는 것이 제어부가 된다.
제어부는 X+Y의 값에 의거하여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N비트 중 K비트의 정보 중에서 기지의 정보의 비트길이 TmpPadNuM을 취득한다(S8101).
예를 들어 취득되는 값으로 이하의 계산식을 생각한다.
TmpPadNum = N -(floor(N/(X+Y))× (X+Y))
여기서, floor는 소수점 이하의 절상함수이다.
이 값의 취득은 연산에 의해 구할 필요는 반드시 없으며, 예를 들어 부호화부(502)의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 N 등의 파라미터에 의해 테이블에서 취득되는 것이라도 좋다.
다음에, 제어부는 전단부의 출력 비트 열(501)이 K비트가 되도록 TmpPadNum의 길이의 필드를 확보한다. 즉, K비트 중에서 정보를 K-TmpPadNum(비트), 삽입하는 기지의 정보를 TmpPadNum(비트)가 되도록 제어한다(S8103).
(예 1) 도 80의 전단부(8001A)가 프레임생성 처리부의 일부인 경우:
도 80의 전단부(8001A)는 변조부보다 기능적으로 전단의 프레임 구성부에 위치해도 좋다.
예를 들어 DVB 등의 시스템에 있어서 X+Y의 값에 따라서 통상 K비트의 (정보)비트 열로 구성되는 베이스밴드 프레임(소위 BBFRAME) 중 TmpPadNum의 길이의 필드를 사전에 확보해도 좋다. 도 82는 BBFRAME의 길이 K비트와 확보되는 TmpPadNum의 길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BBHEADER는 BBFRAME의 헤더이다. DATAFIELD는 길이 DFL(비트)의 데이터 비트 열이다. 해칭한 부분의 길이인 제 1 패딩 길이는 X+Y의 값에 의하지 않으며, TS패킷의 정수 배 등에서 DFL에 못 미는 비트 수의 조정에 이용되는 패딩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TmpPadNuM은 제 1 패딩과는 별도로 일시적으로 패딩하는 수인 TmpPadNum을 확보하도록 하는 비트길이이다.
또, 입력단에 위치하는 전단부는 부호어 길이 N(혹은 그것과 등가인 정보를 주는 테이블의 인덱스(부호화율 등)를 포함한다)에 의거하여 필드길이를 확보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예 2) 도 80의 전단부(8001A)가 외부호(外符號)의 부호화처리를 실행하는 다른 부호화부인 경우:
도 80의 전단부(8001A)는 변조부 내에서 부호화부(502)의 부호어의 외부호로서 연접되는 외부호를 생성하는 외부호 처리부라도 좋다.
이 경우, 외부호의 부호화율(부호어 길이)을 변경함으로써 X+Y분의 필드를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호 처리로 BCH 부호를 이용하는 경우, 생성 다항식 g(x)의 차수를 X+Y 적게 함으로써 (외부호의) 부호어 길이 Nouter는 X+Y 짧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X+y비트의 필드를 확보할 수 있다.
차수의 변경에는 각종 변형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 다항식 g(x)의 차수가 조정이 불필요한 경우에 비해 적게 되도록 테이블에 값(혹은 차수 변경을 위한 인덱스)이 설정되어 있고, 이 테이블에 의해 제어신호를 통해서 g(x)가 생성되도록 주어지는 것으로 해도 좋다.
「필드」란 후단의 부호화부가 처리하는 K비트의 비트 열 중 비트의 배열에서 연속 혹은 이산의 구별을 불문하고 TmpPadNum의 수의 값을 패딩 혹은 간헐적으로 삽입하기 위한 1 이상의 복수를 포함하는 필드이다.
제어부는 전단부에 확보된 길이 TmpPadNum의 필드에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을 필(fill) 하도록 지시한다(S8105). 도 80의 전단부(8001A)는 그 후 필드에 조정비트 열을 필하여 길이 K비트의 비트 열(501)을 부호화부(502)에 출력한다(S8105).
여기서, 기지의 정보(조정비트 열)는 예를 들어 「모든 값이 0(제로)」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이 기지의 정보와 전송하기 위한 정보로 구성한 K비트에 대해 도 80의 부호화부(102)는 부호화를 실행하여 정보와 패리티로 구성된 N비트의 부호어를 얻는다(S8107). 또, 부호화를 간단하게 실시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기지의 정보(조정비트 열)를 「모든 값이 0(제로)」로 하는 방법이 있으나, 기지의 정보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호 측, 복호 측의 양자에서 기지의 정보계열이 무엇인가를 공유할 수 있으면 좋다. 또, 도 80의 부호화부(502)의 처리결과에 비트 인터리브 처리를 포함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도 80의 후단부(8001B)는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 (혹은 인터리브된 후에 원래의 조정비트 열의 개개의 비트에 대응하는 비트 군)을 제거(remove)하여, N비트보다 짧은 비트 수의 제 2 비트 열(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8003)을 출력한다(S8109). 이 처리도 X+Y의 값에 따라서 삭제하는 위치를 나타낸 테이블의 값에 의해 지시받는 것으로 해도 좋다.
(효과)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의 부호길이 N에 대해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을 삭제한 N-TmpPadNum(비트)의 제 2 비트 열(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8003)에서 제 2 비트 열(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8003)의 비트 수 N-TmpPadNum이 설정된 s1(t)의 제 1 변조방식과 s2(t)의 제 2 변조방식의 세트로 결정하는 비트 수 (X+Y)의 배수가 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의 벡터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이 64800비트와 같이 고정인 경우 X+Y의 값, 즉, s1(t)의 제 1 변조방식과 s2(t)의 제 2 변조방식의 세트가 바뀌는 경우(또는 s1(t)의 제 1 변조방식과 s2(t)의 제 2 변조방식의 세트의 설정 변경이 가능한 경우), 적절하게 일시적으로 삽입하고, 그 후 삭제하는 조정비트 열(비트 수TmpPadNum)의 수를 변경하게 된다. (또, X+Y의 값(s1(t)의 제 1 변조방식과 s2(t)의 제 2 변조방식의 세트)에 따라서는 TmpPadNum이 제로인 경우도 있다).
이에 의해 부호화부가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비트의 부호어를 출력한 때, N의 값에 의하지 않고 모든 변조방식의 조합에 의거하는 복소신호의 세트에 대해 동일주파수, 동일시간에 송신되는 제 1 복소신호 s1 및 제 2 복소신호 s2에 의해 송신할 수 있는 비트 수 (X+Y)는 복수의 (오류정정부호의)블록의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송신장치 및/또는 수신장치의 메모리를 삭감할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도 83은 도 80과는 다른 변조부의 구성이다. 또, 도 83에 있어서 도 80과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83이 도 80과 다른 점은 부호화부(502)의 후단 및 후단부(8001B)의 전단에 비트 인터리버(502BI)가 삽입되어 있다는 점이다. 또, 도 83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8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4는 비트 열(501~8003)의 비트길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비트 열(501)은 전단부(8001A)가 출력하는 비트 열이며, 기지의 정보를 위한 길이 TmpPadNum(비트)의 필드를 포함하여 길이 K비트의(정보) 비트 열이다.
비트 열(503Λ)은 부호화부(502)가 출력하는 비트 열이며,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인 길이 N비트의 비트 열(제 1 비트 열)이다.
비트 열(503V)은 비트 인터리버에 의해 비트의 값의 순번이 바뀐 길이 N비트의 비트 열이다.
비트 열(8003)은 후단부(8001B)가 출력하는 길이 N-TmpPadNum비트로 조정된 제 2 비트 열(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이다. 또, 비트 열(8003)은 비트 열(503V)에서 TmpPadNum비트의 기지의 정보를 삭제한 비트 열이 된다.
<본 실시형태의 효과>
상술한 구성에 의해 수신 측의 복호에 있어서 특수한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의 추정(복호 처리)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송신 측에 있어서 삽입하는 조정비트 열을 기지의 정보로 하고, 또한, 일차적으로 삽입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만 삭제하는 구성을 취한다. 이 때문에 수신장치의 복호에서는 기지의 정보를 이용해서 오류정정부호의 복호를 하므로 높은 오류정정능력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또, 사전 처리부가 BCH나 RS의 외부호를 생성하는 처리인 경우 필드의 확보도 용이하며, 더 적합하다.
(실시형태 5)
실시형태 5 및 6에서는 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된 비트 열(501)을 (수신장치 측에서) 복호하는 방법·구성에 관한 발명을 설명한다.
더 상세하게는,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4의 「변조신호를 생성하는 부분」(변조부)에 의해 (정보) 비트 열(501)로부터 생성되어, MIMO 프리코딩 처리 등의 처리를 경유하여 송신된 복소신호 s1(t), s2(t) 신호에 대해 복조(검파) 처리를 실행하고, 복소신호(x1(t) 및 x2(t))로부터 비트 열로 복원하는 처리이다.
또, x1(t) 및 x2(t)는 각 수신안테나에서 수신한 수신신호로부터 얻은 복소 베이스밴드신호이다.
도 85는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3의 송신방법에 의거하여 송신된 변조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의 비트 열 복호부이다.
도면 중 ^캐리트(caret)는 캐리트 아래의 참조부호의 신호의 추정 결과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캐리트를 참조부호 앞에 ^를 붙이고 생략한다.
도 85의 비트 열 복호부는 검파(복조)부, 비트길이 조정부 및 오류정정 복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검파(복조)부는 각 수신안테나에서 수신한 수신신호로부터 얻은 복소 베이스밴드신호 x1(t) 및 x2(t)로부터 제 1 복소신호 s1에 포함되는 제 1 비트 수 X와 제 2 복소신호 s2에 포함되는 제 2 비트 수 Y의 비트 수 (X+Y)비트에 대응하는 경판정치 또는 연판정치 또는 대수 대수 우도 또는 대수 우도 비 등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X+Y의 정수 배의 길이인 제 2 비트 열에 대응하는 데이터 열을 출력한다. 또한 ^5703은 N+PadNum의 예를 들어 「제 2 비트 열」(R202)에 대응하는 데이터 열이다.
도 85의 비트길이 조정부는 제 2비트길이의 비트 열에 대응하는 데이터 열(^5703)을 입력으로 한다. 그리고 비트길이 조정부는 송신 측에서 삽입된 길이 PadNum의 「조정비트 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오류정정 복호부에 출력하고, 또, N개의 비트 열에 대응하는 데이터 열(^503V)을 출력한다.
디 인터리버는 N개의 비트 열에 대응하는 데이터 열(^503V)에 대해 디 인터리브를 실시하고, 디 인터리브 후의 N개의 데이터 열(^503Λ)을 오류정정 복호부에 출력한다. ^503V 및 ^503Λ은 각각 비트 열(503V 및 503Λ)에 상당하는 데이터 열이다.
도 85의 오류정정 복호부는 길이 PadNum의 「조정비트 열」에 대응하는 데이터 및 디 인터리브 후의 N개의 데이터 열(^503Λ)을 입력으로 하여, 오류정정 복호(예를 들어 LDPC부호를 이용하고 있을 때는 신뢰도전파(BP(Belief Propagation)) 복호(예를 들어 sum-product 복호, min-sum 복호, Normalized BP 복호, offset BP 복호 등)나 Bit Flipping 복호)를 실시하여 K비트의 정보비트 추정계열을 얻는다.
또, 송신 측에 있어서 비트 인터리버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도 85와 같이 디 인터리버를 삽입하게 된다. 한편, 송신 측에 있어서 비트 인터리버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85에서의 디 인터리버가 불필요해진다.
도 86은 본 실시형태의 비트 열 조정부의 입출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5703은 N비트+PadNum의 길이의 비트 열에 대응하는 데이터 열이다. 6개의 사각으로 둘러싸는 0이 조정비트 열이다. ^503은 비트길이 조정부가 출력하는 N비트의 부호어에 대응하는 데이터 열을 나타낸다.
도 87은 실시형태 4의 송신방법에 의거하여 송신된 변조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의 비트 열 복호부이다.
검파(복조)부는 각 수신안테나에서 수신한 수신신호로부터 얻은 복소 베이스밴드신호 x1(t) 및 x2(t)로부터 제 1 복소신호 s1에 포함되는 제 1 비트 수 X와 제 2 복소신호 s2에 포함되는 제 2 비트 수 Y의 비트 수 (X+Y)비트에 대응하는 경판정치 또는 연판정치 또는 대수 대수 우도 또는 대수 우도 비 등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X+Y의 정수 배의 길이인 제 2 비트 열에 대응하는 데이터 열(8701)을 출력한다. 또, 8701은 N-TmpPadNum의 예를 들어 「제 2 비트 열」(8003)(도 83)에 대응하는 데이터 열이다.
도 87의 대수 우도비 삽입부는 제 2 비트 열에 대응하는 데이터 열(8701)을 입력으로 하여, 제 2 비트 열에 대응하는 데이터 열(8701)에 대해 실시형태 4에서 설명한 「송신 측에서 삭제한 기지의 정보인 「조정비트 열」」에 대응하는 (예를 들어) 대수 우도비(TmpPadNum분)를 삽입해서 조정 후의 데이터 열(8702)을 출력한다. 따라서, 조정 후의 데이터 열(8702)은 N개분의 데이터 열이 된다.
도 87의 디 인터리버는 조정 후의 데이터 열(8702)을 입력으로 하여, 데이터의 재배열을 실행하여 재배열 후의 데이터 열(8703)을 출력한다.
도 87의 오류정정 복호부는 재배열 후의 데이터 열(8703)을 입력으로 하여, 오류정정 복호(예를 들어 LDPC부호를 이용하고 있을 때는 신뢰도 전파(BP(Belief Propagation)) 복호(예를 들어 sum-product 복호, min-sum 복호, Normalized BP복호, offset BP복호 등)나 Bit Flipping 복호)를 실시해서 K비트의 정보비트 추정계열을 얻는다. 그리고 기지의 정보 삭제부는 K비트의 정보비트 추정계열로부터 기지의 정보를 삭제한 데이터(8704)를 얻어서 출력한다.
또, 송신 측에 있어서 비트 인터리버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도 87과 같이 디 인터리버를 삽입하게 된다. 한편, 송신 측에 있어서 비트 인터리버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87에서의 디 인터리버가 불필요해진다.
<본 실시형태의 효과>
도 85, 도 87을 이용해서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4의 송신방법을 이용하여 변조신호를 송신한 경우의 수신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을 하였다.
어느 수신장치에 있어서도 송신장치가 이용한 s1(t)를 위한 변조방식, s2(t)를 위한 변조방식에 상당하는 정보에 의거하여 수신장치의 동작을 변경하여 오류정정 복호의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또, 부호화부가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비트의 부호어를 출력한 때, N의 값에 의하지 않고 모든 변조방식의 조합에 의거하는 복소신호의 세트에 대해 동일주파수, 동일시간에 송신되는 제 1 복소신호 s1 및 제 2 복소신호 s2에 의해 송신할 수 있는 비트 수 (X+Y)는 복수의 (오류정정부호의)블록의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하고 있고, 이에 수반하여 오류정정 복호부가 복조 및 복호를 실시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동작함으로써 수신장치의 메모리를 삭감할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실시형태 6)
도 88은 본 실시형태의 수신장치의 비트 열 복호부이다.
디 인터리브부, 검파부의 동작은 실시형태 5의 것과 동일하다.
검파부는 비트 열로 실시형태 2에서 설명한 조정비트 열의 제 1 변형 예~제 9 변형 예 중 어느 하나의 조정비트 열이 삽입된 비트 열(^6003)을 출력한다.
본 실시형태의 비트길이 조정부는 제 2 비트 열에 대응하는 데이터 열(예를 들어 제 2 비트 열에 대응하는 대수 우도비), 상기 N비트 중 소정의 부분의 비트 값에 대응하는 부분 데이터(예를 들어 대수 우도비)를 추출한다.
비트 열 조정부는 높은 오류정정능력을 얻기 위해 예를 들어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N+TmpPadNum비트의 비트 열(^6003)로부터 조정비트 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추출한다.
·조정비트 열의 개개의 비트에 대응하는 데이터로부터 예를 들어 조정비트 열에 관련하는, 예를 들어 대수 우도비 Additional-Prob를 생성한다.
·생성한 AdditionalProb를 오류정정 복호부에 공급한다.
·오류정정 복호부는 AdditionalProb와 N비트 중 소정의 부분의 비트 값에 대응하는 부분 데이터(예를 들어 대수 우도비)를 이용해서 오류정정부호의 N비트의 부호어를 추정한다.
그때, 오류정정 복호부는 실시형태 2의 태너 그래프 구조(패리티 검사행렬)에 의거하여 예를 들어 sum-product 복호를 실행한다.
도 89는 본 실시형태의 처리를 개념적에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 중 동그라미나 사각은 실시형태 2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정보를 가리킨다.
도면 중 ^6003은 디 맵핑가의 출력하는 비트길이 N+padNum의 제 2 비트 열이다.
도면 중 ^503은 비트길이 조정부가 출력하는 비트길이 N의 비트 열(^503)이다. 도면 중 Additional-Prob는 조정비트 열의 예를 들어 대수 우도비로부터 얻어진 새로운 대수 우도비이다. 이 새로운 대수 우도비를 이용하여 실시형태 2의 각종 변형 예에서 설명한 「소정의 부분」의 대수 우도비가 주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소정의 부분」이 p_last인 경우 p_last의 대수 우도비를 줄 수 있다. 또, 소정의 부분에 p_2ndlast를 추가함으로써 p_2ndlast의 대수 우도비, 혹은 간접적으로 p_last에의 대수 우도비가 주어지게 된다.
이에 의해 높은 오류정정능력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실시형태 7)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4에서는 송신방법 및 송신 측의 장치에 대해서, 실시형태 5 및 실시형태 6에서는 수신방법 및 수신 측의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송신방법 및 송신 측의 장치와 수신방법 및 수신 측의 장치의 관계에 대해 보충 설명을 한다.
도 90은 본 실시형태의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송신장치는 2개의 변조신호를 다른 안테나로부터 각각 송신하게 된다. 송신장치의 무선처리부는 예를 들어 OFDM의 신호처리, 주파수변환, 전력증폭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도 90의 송신장치의 신호생성부(9001)는 송신정보를 입력으로 하여, 부호화, 매핑, 프리코딩 등의 처리를 실행하여 프리코딩 후의 변조신호 z1(t) 및 z2(t)를 출력한다. 따라서, 신호생성부(9001)에서는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4에서 기재한 송신방법에 관한 처리 및 앞에서 설명한 프리코딩의 처리를 하게 된다.
도 90의 수신장치의 수신안테나(RX1)에서는 송신장치의 안테나(TX1)에서 송신한 신호와 송신안테나(TX2)에서 송신한 신호의 공간에서 다중화된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수신장치의 수신안테나(RX2)에서는 송신장치의 안테나(TX1)로부터 송신한 신호와 송신안테나(TX2)로부터 송신한 신호의 공간에서 다중화된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도 90의 수신장치의 채널추정부에서는 변조신호 z1(t)의 채널변동 및 변조신호 z2(t)의 채널변동의 추정이 각 안테나에서 실행되게 된다.
그리고 도 90의 수신장치의 신호처리부((9002)에서는 실시형태 5 및 실시형태 6에서 설명한 수신처리 등이 이루어지게 되며, 그 결과 송신장치가 송신한 송신정보의 추정 결과를 수신장치는 얻게 된다.
또, 앞에서의 설명에서는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6에 맞춰서 설명하였으나, 이후의 실시형태에서 송신방법 및 송신 측의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 90의 송신장치에 관한 설명이며, 수신방법 및 수신 측의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 90의 수신장치에 관한 설명이 된다.
(실시형태 8)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4에서 설명한 「비트길이를 X+Y의 값의 배수가 되도록 잉여분을 짧게 하는 조정방법」의 변형 예에 대해 설명한다.
(예 1)
도 91은 본 실시형태의 송신 측의 변조부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91에 있어서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도면과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였다.
부호화부(502)는 제어정보(512) 및 제 i 블록의 K비트의 정보(501)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정보(512)에 포함되는 오류정정부호의 방식, 부호화율, 블록길이(부호길이)의 정보에 의거하여 LDPC부호화등의 오류정정부호화를 실행하여 제 i 블록의 N비트의 부호어(503)를 출력한다.
비트길이 조정부(9101)는 제어정보(512) 및 제 i 블록의 N비트의 부호어(503)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정보(512)에 포함되는 s1(t)를 위한 변조방식 및 s2(t)를 위한 변조방식의 정보, 또는 「X+Y의 값」에 의거하여 N비트의 부호어(503)로부터 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 PunNum의 수를 결정하고, N비트의 부호어(503)로부터 PunNum비트의 데이터를 삭제하여 N-PunNum비트의 데이터 열(9102)을 출력한다. 또,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N-PunNum이 「X+Y의 값」의 배수가 되는 PunNuM을 결정하게 된다(또, X+Y의 값(s1(t)의 제 1 변조방식과 s2(t)의 제 2 변조방식의 세트)에 따라서는 PunNum이 0(제로)이 될 수도 있다).
단, 「X+Y의 값」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매핑부(504)는 제어정보(512) 및 N-PunNum비트의 데이터 열(9102)을 입력으로 하여, 제어정보(512)에 포함되는 s1(t)를 위한 변조방식 및 s2(t)를 위한 변조방식의 정보로부터, s1(t)를 위한 변조방식 및 s2(t)를 위한 변조방식에 의거한 매핑을 실시해서 제 1 복소신호 s1(t)(505A) 및 제 2 복소신호 s2(t)(505B)를 출력한다.
도 92는 각 비트 열의 비트길이를 나타내고 있고, 1개의 사각은 1비트를 나타내고 있다. 도 91의 제 i 블록의 K비트의 정보(501)는 도 92와 같이 나타낸 것과 같다.
그리고 도 91의 제 i 블록의 N비트의 부호어(503)는 도 92와 같이 나타낸 것과 같다. 그리고 제 i 블록의 N비트의 부호어(503)로부터 PunNum비트를 선택하여 삭제를 실행해서 N-PunNum비트의 데이터 열(9102)을 생성한다(도 92 참조).
(예 2)
도 93은 본 실시형태의 도 91과는 다른 송신 측의 변조부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93에 있어서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도면과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였다.
부호화부(502)는 제어정보(512) 및 제 i 블록의 K비트의 정보(501)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정보(512)에 포함되는 오류정정부호의 방식, 부호화율, 블록길이(부호길이)의 정보에 의거하여 LDPC부호화 등의 오류정정부호화를 실행하여 제 i 블록의 N비트의 부호어(503)를 출력한다.
비트 인터리버(9103)는 제어정보(512) 및 제 i 블록의 N비트의 부호어(503)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정보(512)에 포함되는 비트 인터리브 방법의 정보에 의거하여 제 i 블록의 N비트의 부호어의 순번을 재배열하여 인터리브 후의 제 i 블록의 N비트의 부호어(9104)를 출력한다.
비트길이 조정부(9101)는 제어정보(512) 및 인터리브 후의 제 i 블록의 N비트의 부호어(9104)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정보(512)에 포함되는 s1(t)를 위한 변조방식 및 s2(t)를 위한 변조방식의 정보, 또는 「X+Y의 값」에 의거하여 인터리브 후의 제 i 블록의 N비트의 부호어(9104)로부터 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 PunNum의 수를 결정하고, 인터리브 후의 제 i 블록의 N비트의 부호어(9104)로부터 PunNum비트의 데이터를 삭제해서 N-PunNum비트의 데이터 열(9102)을 출력한다. 또,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N-PunNum이 「X+Y의 값」의 배수가 되는 PunNuM을 결정하게 된다(또, X+Y의 값(s1(t)의 제 1 변조방식과 s2(t)의 제 2 변조방식의 세트)에 따라서는 PunNum이 0(제로)이 될 수도 있다).
단, 「X+Y의 값」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매핑부(504)는 제어정보(512) 및 N-PunNum비트의 데이터 열(9102)을 입력으로 하여, 제어정보(512)에 포함되는 s1(t)를 위한 변조방식 및 s2(t)를 위한 변조방식의 정보로부터 s1(t)를 위한 변조방식 및 s2(t)를 위한 변조방식에 의거한 매핑을 실시해서 제 1 복소신호 s1(t)(505A) 및 제 2 복소신호 s2(t)(505B)를 출력한다.
도 94는 각 비트 열의 비트길이를 나타내고 있고, 1개의 사각은 1비트를 나타내고 있다. 도 94의 제 i 블록의 K비트의 정보(501)는 도 94와 같이 나타낸 것과 같다.
그리고 도 93의 제 i 블록의 N비트의 부호어(503)는 도 94와 같이 나타낸 것과 같다. 그 후, 도 94와 같이 제 i 블록의 N비트의 부호어(503)에 대해 비트 인터리브, 즉, 비트의 재배열을 실행하여 인터리브 후의 제 i 블록의 N비트의 부호어(9104)를 생성한다.
그리고 인터리브 후의 제 i 블록의 N비트의 부호어(9104)로부터 PunNum비트를 선택하고, 삭제를 실행하여 N-PunNum비트의 데이터 열(9102)을 생성한다(도 94 참조).
(효과)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비트길이 조정부(9101)가 출력하는 N-PunNum비트의 데이터 열(9102)에 있어서 N-PunNum이 「X+Y의 값」의 배수가 되는 PunNuM을 결정하게 된다.
이에 의해 부호화부가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비트의 부호어를 출력한 때, N의 값에 의하지 않고 모든 변조방식의 조합에 의거하는 복소신호의 세트에 대해서 N-PunNum이 「X+Y의 값」의 배수가 되어 있으므로, 동일주파수, 동일시간에 송신되는 제 1 복소신호 s1 및 제 2 복소신호 s2에 의해 송신할 수 있는 비트 수 (X+Y)는 복수의 (오류정정부호의)블록의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송신장치 및/또는 수신장치의 메모리를 삭감할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또, X+Y의 값, 즉, s1(t)의 제 1 변조방식과 s2(t)의 제 2 변조방식의 세트가 바뀌는 경우(또는 s1(t)의 제 1 변조방식과 s2(t)의 제 2 변조방식의 세트의 설정 변경이 가능한 경우), 도 93과 같이, 비트길이 조정부(9101)를 비트 인터리버(9103)의 후단에 설치함으로써 비트 인터리버의 메모리 사이즈를 s1(t)의 제 1 변조방식과 s2(t)의 제 2 변조방식의 세트에 의하지 않고 일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비트 인터리버의 메모리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비트길이 조정부(9101)와 비트 인터리버(9103)의 순서가 역이 되면 s1(t)의 제 1 변조방식과 s2(t)의 제 2 변조방식의 세트에 의해 메모리 사이즈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비트 인터리버(9103)의 후단에 비트길이 조정부(9101)를 배치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또, 도 93에서는 비트 인터리버(9103)의 직후에 비트길이 조정부(9101)를 배치하고 있으나, 비트 인터리버(9103)와 비트길이 조정부(9101) 사이에 다른 인터리브를 실시하는 인터리버가 삽입되어 있어도 좋고, 그 외의 처리부가 삽입되어 있어도 좋다).
또,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를 복수 준비해도 좋다. 예를 들어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로 Na비트, Nb비트를 준비하는 것으로 한다.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a비트의 오류정정부호를 이용한 때 비트 인터리버의 메모리 사이즈는 Na비트로 하여 비트 인터리버를 실시하고, 그 후, 도 93의 비트길이 조정부(9101)는 필요한 경우에 필요한 수의 비트를 삭제한다. 마찬가지로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b비트의 오류정정부호를 이용한 때 비트 인터리버의 메모리 사이즈는 Nb비트로 하여 비트 인터리버를 실시하고, 도 93의 비트길이 조정부(9101)는 필요한 경우에는 필요한 수의 비트를 삭제하게 된다.
(예 3)
도 93은 본 실시형태의 도 91과는 다른 송신 측의 변조부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93에 있어서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도면과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였다.
부호화부(502)는 제어정보(512) 및 제 i 블록의 K비트의 정보(501)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정보(512)에 포함되는 오류정정부호의 방식, 부호화율, 블록길이(부호길이)의 정보에 의거하여 LDPC부호화 등의 오류정정부호화를 실행하여 제 i 블록의 N비트의 부호어(503)를 출력한다.
비트 인터리버(9103)는 제어정보(512) 및 N비트의 부호어 z개분, 즉, N×z의 비트를 입력으로 해서(단, z는 1 이상의 정수로 한다)., 제어정보(512)에 포함되는 비트 인터리브 방법의 정보에 의거하여 N×z의 비트의 순번을 재배열하여 인터리브 후의 비트 열(9104)을 출력한다.
비트길이 조정부(9101)는 제어정보(512) 및 인터리브 후의 비트 열(9104)을 입력으로 하여, 제어정보(512)에 포함되는 s1(t)를 위한 변조방식 및 s2(t)를 위한 변조방식의 정보, 또는 「X+Y의 값」에 의거하여 인터리브 후의 비트 열(9104)로부터 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 PunNum의 수를 결정하고, 인터리브 후의 인터리브 후의 비트 열(9104)로부터 PunNum비트의 데이터를 삭제해서 N×z-PunNum비트의 데이터 열(9102)을 출력한다.
또,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와 같이, N×z-PunNum이 「X+Y의 값」의 배수가 되는 PunNuM을 결정하게 된다(또, X+Y의 값(s1(t)의 제 1 변조방식과 s2(t)의 제 2 변조방식의 세트)에 따라서는 PunNum이 0(제로)이 될 수도 있다).
단, 「X+Y의 값」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매핑부(504)는 제어정보(512) 및 N×z-PunNum비트의 데이터 열(9102)을 입력으로 하여, 제어정보(512)에 포함되는 s1(t)를 위한 변조방식 및 s2(t)를 위한 변조방식의 정보로부터 s1(t)를 위한 변조방식 및 s2(t)를 위한 변조방식에 의거한 매핑을 실행해서 제 1 복소신호 s1(t)(505A) 및 제 2 복소신호 s2(t)(505B)를 출력한다.
도 95는 각 비트 열의 비트길이를 나타내고 있고, 1개의 사각은 1비트를 나타내고 있다. 도 95의 501은 K비트의 정보의 묶음 z개분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95의 N비트의 부호어 z개분 503은 도 95와 같이 나타낸 것과 같다. 그 후, 도 95와 같이 N비트의 부호어 z개분(503)에 대해 비트 인터리브, 즉, 비트의 재배열을 실행하여 N×z비트의 인터리브 후의 비트 열(9104)을 생성한다.
그리고 N×z비트의 인터리브 후의 비트 열(9104)로부터 PunNum비트를 선택해서 삭제를 실행하여 N×z-PunNum비트의 데이터 열(9102)을 생성한다(도 95 참조).
(효과)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비트길이 조정부(9101)가 출력하는 N×z-PunNum비트의 데이터 열(9102)에 있어서 N×z-PunNum이 「X+Y의 값」의 배수가 되는 PunNuM을 결정하게 된다.
이에 의해 부호화부가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비트의 부호어를 출력한 때, N의 값에 의하지 않고 모든 변조방식의 조합에 의거하는 복소신호의 세트에 대해 N×z-PunNum이 「X+Y의 값」의 배수가 되어 있으므로, 동일주파수, 동일시간에 송신되는 제 1 복소신호 s1 및 제 2 복소신호 s2에 의해 송신할 수 있는 비트 수 (X+Y)는 z개의 부호어 이외의 블록의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송신장치 및/또는 수신장치의 메모리를 삭감할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또, X+Y의 값, 즉, s1(t)의 제 1 변조방식과 s2(t)의 제 2 변조방식의 세트가 바뀌는 경우(또는 s1(t)의 제 1 변조방식과 s2(t)의 제 2 변조방식의 세트의 설정 변경이 가능한 경우), 도 93과 같이 비트길이 조정부(9101)를 비트 인터리버(9103)의 후단에 설치함으로써 비트 인터리버의 메모리 사이즈를 s1(t)의 제 1 변조방식과 s2(t)의 제 2 변조방식의 세트에 의하지 않고 일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비트 인터리버의 메모리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비트길이 조정부(9101)와 비트 인터리버(9103)의 순서가 역이 되면 s1(t)의 제 1 변조방식과 s2(t)의 제 2 변조방식의 세트에 의해 메모리 사이즈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비트 인터리버(9103)의 후단에 비트길이 조정부(9101)를 배치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또, 도 93에서는 비트 인터리버(9103)의 직후에 비트길이 조정부(9101)를 배치하고 있으나, 비트 인터리버(9103)와 비트길이 조정부(9101) 사이에 다른 인터리브를 실시하는 인터리버가 삽입되어 있어도 좋고, 그 외의 처리부가 삽입되어 있어도 좋다).
또,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를 복수 준비해도 좋다. 예를 들어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로 Na비트, Nb비트를 준비하는 것으로 한다.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a비트의 오류정정부호를 이용한 때 비트 인터리버의 메모리 사이즈는 Na비트로 하여 비트 인터리버를 실시하고, 그 후, 도 93의 비트길이 조정부(9101)는 필요한 경우 필요한 수의 비트를 삭제한다. 마찬가지로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b비트의 오류정정부호를 이용한 때 비트 인터리버의 메모리 사이즈는 Nb비트로 하여 비트 인터리버를 실시하고, 도 93의 비트길이 조정부(9101)는 필요한 경우 필요한 수의 비트를 삭제하게 된다.
또, 각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에 대해 복수의 비트 인터리브 사이즈를 준비해도 좋다. 예를 들어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가 N비트일 때 비트 인터리브 사이즈로 N×a비트, N×b비트를 준비하는 것으로 한다(단, a, b 모두 1 이상의 정수로 한다). 그리고 비트 인터리브 사이즈로 N×a비트를 이용한 때 비트 인터리버를 실시하고, 그 후, 도 93의 비트길이 조정부(9101)는 필요한 경우에는 필요한 수의 비트를 삭제한다. 마찬가지로 비트 인터리브 사이즈로 N×b비트를 이용한 때 비트 인터리버를 실시하고, 그 후, 도 93의 비트길이 조정부(9101)는 필요한 경우에는 필요한 수의 비트를 삭제하게 된다.
(실시형태 9)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8에서 설명한 송신방법으로 송신한 변조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의, 특히, 비트 열 복호부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 8의 「변조신호를 생성하는 부분」(변조부)에 의해 (정보) 비트 열(501)로부터 생성되어 MIMO 프리코딩 처리 등의 처리를 경유해서 송신된 복소신호 s1(t), s2(t) 신호에 대해서 복조(검파) 처리를 실행하고, 복소신호(x1(t) 및 x2(t))로부터 비트 열에 복원하는 처리이다.
또, x1(t) 및 x2(t)는 각 수신안테나에서 수신한 수신신호로부터 얻은 복소 베이스밴드신호이다.
도 96은 실시형태 8의 송신방법에 의거하여 송신된 변조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의 비트 열 복호부이다.
도면 중 ^캐리트(caret)는 캐리트 아래의 참조부호의 신호의 추정 결과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캐리트를 참조부호 앞에 ^를 부여하고 생략한다.
도 96의 비트 열 복호부는 검파(복조)부, 비트길이 조정부 및 오류정정 복호부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도 96의 검파(복조)부는 각 수신안테나에서 수신한 수신신호로부터 얻은 복소 베이스밴드신호 x1(t) 및 x2(t)로부터 제 1 복소신호 s1에 포함되는 제 1 비트 수 X와 제 2 복소신호 s2에 포함되는 제 2 비트 수 Y의 비트 수 (X+Y)비트에 대응하는 경판정치 또는 연판정치 또는 대수 우도 또는 대수 우도비 등의 데이터를 생성해서 X+Y의 정수 배의 길이인 N-PunNum비트의 데이터 열 또는 N×z-PunNum비트의 데이터 열(9102)에 대응하는 데이터 열(9601)을 출력한다.
도 96의 대수 우도비 삽입부는 N-PunNum비트의 데이터 열 또는 N×z-PunNum비트의 데이터 열(9102)에 대응하는 데이터 열(9601)을 입력으로 하여, 송신 측에서 삭제한 PunNum비트 각각의 비트에서의 대수 우도비를 삽입, 즉, PunNum개의 대수 우도비를 N-PunNum비트의 데이터 열 또는 N×z-PunNum비트의 데이터 열(9102)에 대응하는 데이터 열(9601)에 삽입해서 N개 또는 N×z개의 대수 우도비 계열(9602)을 출력한다.
도 96의 디 인터리버는 N개 또는 N×z개의 대수 우도비 계열(9602)을 입력으로 하여 디 인터리브를 실시해서 디 인터리브 후의 N개 또는 N×z개의 대수 우도비 계열(9603)을 출력한다.
도 96의 오류정정 복호부는 디 인터리브 후의 N개 또는 N×z개의 대수 우도비 계열(9603)을 입력으로 하여, 오류정정 복호(예를 들어 LDPC부호를 이용하고 있을 때는 신뢰도 전파(BP(Belief Propagation)) 복호(예를 들어 sum-product 복호, min-sum 복호, Normalized BP복호, offset BP복호 등)나 Bit Flipping 복호)를 실시해서 K비트 또는 K×z비트의 정보비트 추정계열을 얻는다.
또, 송신 측에 있어서 비트 인터리버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 96과 같이 디 인터리버를 삽입하게 된다. 한편, 송신 측에 있어서 비트 인터리버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96에서의 디 인터리버가 불필요해진다.
<본 실시형태의 효과>
도 96을 이용해서 실시형태 8의 송신방법을 이용하여 변조신호를 송신한 경우의 수신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을 했다.
어느 수신장치에 있어서도 송신장치가 이용한 s1(t)를 위한 변조방식, s2(t)를 위한 변조방식에 상당하는 정보에 의거하여 수신장치의 동작을 변경해서 오류정정 복호의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또, 부호화부가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비트의 부호어를 출력한 때, N의 값에 의하지 않고 모든 변조방식의 조합에 의거하는 복소신호의 세트에 대해 동일주파수, 동일시간에 송신되는 제 1 복소신호 s1 및 제 2 복소신호 s2에 의해 송신할 수 있는 비트 수 (X+Y)는 복수의 (오류정정부호의)블록의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하고 있고, 이에 수반하여 오류정정 복호부가 복조 및 복호를 실시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동작함으로써 수신장치의 메모리를 삭감할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실시형태 10)
지금까지 프리코딩 방법에 넓게 적용한 경우의 비트길이 조정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리코딩을 실시한 후에 규칙적으로 위상변경을 실행하는 송신방법을 이용한 때의 비트길이 조정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7은 본 실시형태의 송신장치에서의 프리코딩 관련의 처리를 실행하는 부분의 도면이다.
도 97의 매핑부(9702)는 비트 계열(9701) 및 제어신호(9712)를 입력으로 한다. 그리고 제어신호(9712)가 전송방식으로 2개의 스트림을 송신하는 것을 지정한 것으로 한다. 또, 제어신호(9712)가 2개의 스트림의 각 변조방식으로 변조방식 α와 변조방식 β를 지정한 것으로 한다. 또, 변조방식 α는 x비트의 데이터를 변조하는 변조방식, 변조방식 β는 y비트의 데이터를 변조하는 변조방식으로 한다(예를 들어 16QAM(16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인 경우 4비트의 데이터를 변조하는 변조방식이며, 64QAM(64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인 경우 6비트의 데이터를 변조하는 변조방식이다).
그러면 매핑부(9702)는 x+y비트의 데이터 중 x비트의 데이터에 대해 변조방식 α로 변조하여 베이스밴드신호 s1(t)(9703A)를 생성해서 출력하고, 또, 나머지의 y비트의 데이터의 데이터에 대해 변조방식 β로 변조하여 베이스밴드신호 s2(t)(9703B)를 출력한다(또, 도 97에서는 매핑부를 하나로 하고 있으나, 이와는 다른 구성으로 s1(t)를 생성하기 위한 매핑부와 s2(t)를 생성하기 위한 매핑부가 따로 존재하고 있어도 좋다. 이때, 비트 계열(9701)은 s1(t)를 생성하기 위한 매핑부와 s2(t)를 생성하기 위한 매핑부에 배분되게 된다).
또, s1(t) 및 s2(t)는 복소수로 표현되고(단, 복소수, 실수 중 어느 하나라도 좋다), 또, t는 시간이다. 또,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등의 멀티 캐리어를 이용한 전송방식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 s1 및 s2는 s1(f) 및 s2(f)와 같이 주파수 f의 함수, 또는 s1(t, f) 및 s2(t, f)와 같이 시간 t, 주파수 f의 함수로 생각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베이스밴드신호, 프리코딩 행렬, 위상변경 등을 시간 t의 함수로서 설명하고 있으나, 주파수 f의 함수, 시간 t 및 주파수 f의 함수로 생각해도 좋다.
따라서, 베이스밴드신호, 프리코딩 행렬, 위상변경 등을 심벌번호 i의 함수로서 설명을 진행하고 있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 시간 t의 함수, 주파수 f의 함수, 시간 t 및 주파수 f의 함수로 생각하면 좋다. 즉, 심벌, 베이스밴드신호를 시간 축 방향에서 생성해서 배치해도 좋고, 주파수 축 방향에서 생성해서 배치해도 좋다. 또, 심벌, 베이스밴드신호를 시간 축 방향 및 주파수 축 방향에서 생성해서 배치해도 좋다.
파워 변경부(9704A)(파워 조정부(9704A))는 베이스밴드신호 s1(t)(9703A) 및 제어신호(9712)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9712)에 의거하여 실수 P1을 설정하고, P1×s1(t)를 파워변경 후의 신호(9705A)로서 출력한다(또, P1을 실수로 하고 있으나, 복소수라도 좋다).
같이 파워 변경부(9704B)(파워 조정부(9704B))는 베이스밴드신호 s2(t)(9703B) 및 제어신호(9712)를 입력으로 하여, 실수 P2를 설정해, P2×s2(t)를 파워변경 후의 신호(9705B)로서 출력한다(또, P2를 실수로 하고 있으나, 복소수라도 좋다).
가중합성부(9706)는 파워변경 후의 신호(9705A), 파워변경 후의 신호(9705B) 및 제어신호(9712)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9712)에 의거하여 프리코딩 행렬 F(또는 F(i))를 설정한다. 슬롯번호(심벌번호)를 i로 하면 가중합성부(9706)는 이하의 연산을 실행한다.
여기서, a, b, c, d는 복소수로 표현할 수 있고(실수라도 좋다), a, b, c, d 중 3개 이상이 0(제로)이어서는 안 된다. 또, a, b, c, d는 s1(t)의 변조방식 및 s2(t)의 변조방식의 세트가 결정됨으로써 정해지는 계수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가중합성부(9706)는 식 (R10-1)에서의 u1(i)를 가중합성 후의 신호(9707A)로서 출력하고, 식 (R10-1)에서의 u2(i)를 가중합성 후의 신호(9707B)로서 출력한다.
위상변경부(9708)는 식 (R10-1)에서의 u2(i)(가중합성 후의 신호(9707B)) 및 제어신호(9712)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9712)에 의거하여 식 (R10-1)에서의 u2(i)(가중합성 후의 신호(9707B))의 위상을 변경한다.
따라서, 식 (R10-1)에서의 u2(i)(가중합성 후의 신호(9707B))의 위상을 변경한 후의 신호는 ejθ(i)×u2(i)로 표시되고, ejθ(i)×u2(i)를 위상변경 후의 신호(9709)로서 위상변경부(9708)는 출력한다(j는 허수 단위). 또, 변경하는 위상의 값은 θ(i)와 같이 i의 함수인 것이 특징적인 부분이 된다.
파워 변경부(9710A)는 가중합성 후의 신호(9707A)(u1(i)) 및 제어신호(9712)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9712)에 의거하여 실수 Q1을 설정하고, Q1×u1(t)를 파워변경 후의 신호 9711A(z1(i))로서 출력한다(또, Q1을 실수로 하고 있으나, 복소수라도 좋다).
마찬가지로 파워 변경부(9710B)는 위상변경 후의 신호(9709)(ejθ(i)×u2(i)) 및 제어신호(9712)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9712)에 의거하여 실수 Q2를 설정하고, Q2×ejθ(i)×u2(i)를 파워변경 후의 신호 9711B(z2(i))로서 출력한다(또, Q2를 실수로 하고 있으나, 복소수라도 좋다).
따라서, 도 97에서의 파워 변경부(9710A 및 9710B)의 각각의 출력 z1(i), z2(i)는 다음 식과 같이 표시된다.
또, 식 (R10-2)을 실현하는 방법으로, 도 97과 다른 구성으로 도 98이 있다. 도 97과 도 98이 다른 점은 파워 변경부와 위상변경부의 순번이 바뀐 점이다. (파워 변경을 실행하고 위상변경을 실행한다고 하는 기능 자신은 변함이 없다). 이때, z1(i), z2(i)는 다음 식과 같이 표시된다.
또, 식 (R10-2)의 z1(i)와 식 (R10-3)의 z1(i)는 동일하고, 또, 식 (R10-2)의 z2(i)와 식 (R10-3)의 z2(i)도 동일하다.
식 (R10-2) 및 식 (R10-3)에서의 변경하는 위상의 값 θ(i)는 예를 들어 θ(i+1)-θ(i)가 고정치가 되도록 설정하면 직접파가 지배적인 전파의 전파환경에 있어서 수신장치는 양호한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단, 변경하는 위상의 값 θ(i)의 부여방법은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θ(i)의 부여방법과 비트길이 조정부의 동작의 관계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9는 도 97, 도 98에 의해 얻어진 신호 z1(i), z2(i)에 대해 실시하는 신호처리부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삽입부(9724A)는 신호 z1(i)(9721A), 파일럿심벌(9722A), 제어정보심벌(9723A) 및 제어신호(9712)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9712)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에 따라서, 신호(심벌) z1(i)(9721A)에 파일럿심벌(9722A), 제어정보심벌(9723A)을 삽입하여 프레임 구성에 따른 변조신호(9725A)를 출력한다.
또, 파일럿심벌(9722A), 제어정보심벌(9723A)는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나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등으로 변조된 심벌이다(다른 변조방식을 이용해도 좋다).
무선부(9726A)는 변조신호(9725A) 및 제어신호(9712)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9712)에 의거하여 변조신호(9725A)에 대해서 주파수변환, 증폭 등의 처리를 실행하여(OFDM 방식을 이용하고 있을 때는 역 푸리에변환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송신신호(9727A)를 출력하며, 송신신호(9727A)는 안테나(9728A)로부터 전파로서 출력된다.
삽입부(9724B)는 신호 z2(i)(9721B), 파일럿심벌(9722B), 제어정보심벌(9723B), 제어신호(9712)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9712)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에 따라서, 신호(심벌) z2(i)(9721B)에 파일럿심벌(9722B), 제어정보심벌(9723B)을 삽입해서 프레임 구성에 따른 변조신호(9725B)를 출력한다.
또, 파일럿심벌(9722B), 제어정보심벌(9723B)는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나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등으로 변조된 심벌이다(다른 변조방식을 이용해도 좋다).
무선부(9726B)는 변조신호(9725B) 및 제어신호(9712)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9712)에 의거하여 변조신호(9725B)에 대해서 주파수변환, 증폭 등의 처리를 실행하여(OFDM 방식을 이용하고 있을 때는 역 푸리에변환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송신신호(9727B)를 출력하고, 송신신호(9727B)는 안테나(9728B)로부터 전파로서 출력된다.
여기서, 신호 z1(i)(9721A)와 신호 z2(i)(9721B)에 있어서 i가 동일 번호인 신호 z1(i)(9721A)와 신호 z2(i)(9721B)는 동일(공통)한 주파수가 동일시간에 각각 다른 안테나로부터 송신되게 된다(즉, MIMO 방식을 이용한 전송방법이 된다).
또, 파일럿심벌(9722A) 및 파일럿심벌(9722B)는 수신장치에 있어서 신호 검출, 주파수 오프셋의 추정, 게인 컨트롤, 채널추정 등을 실행하기 위한 심벌이며, 여기에서는 파일럿심벌이라고 부르고 있으나, 레퍼런스 심벌 등의 다른 호칭으로 해도 좋다.
그리고 제어정보심벌(9723A) 및 제어정보심벌(9723B)는 송신장치가 이용한 변조방식의 정보, 전송방식의 정보, 프리코딩 방식의 정보, 오류정정 부호방식의 정보, 오류정정부호의 부호화율 정보, 오류정정부호의 블록길이(부호길이)의 정보 등을 수신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심벌이다. 또, 제어정보심벌(9723A) 및 제어정보심벌(9723B)의 일방 만에 의해 제어정보심벌을 송신해도 좋다.
도 100은 2개의 스트림을 송신하는 경우의 시간-주파수에서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0에 있어서 횡축은 주파수, 종축은 시간이며, 일례로 캐리어 1에서부터 캐리어 38, 시간 $1에서부터 시간 $11의 심벌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0은 도 99의 안테나(9728A)로부터 송신하는 송신신호의 프레임 구성과 안테나(9728B)로부터 송신하는 송신신호의 프레임을 동시에 나타내고 있다.
도 100에 있어서, 도 99의 안테나(9728A)로부터 송신하는 송신신호의 프레임인 경우 데이터심벌은 신호(심벌) z1(i)에 상당한다. 그리고 파일럿심벌은 파일럿심벌(9722A)에 상당한다.
도 100에 있어서 도 99의 안테나(9728B)로부터 송신하는 송신신호의 프레임인 경우 데이터심벌은 신호(심벌) z2(i)에 상당한다. 그리고 파일럿심벌은 파일럿심벌(9722B)에 상당한다.
(따라서, 앞에서도 설명한 것과 같이, 신호 z1(i)(9721A)와 신호 z2(i)(9721B)에 있어서 i가 동일한 번호의 신호 z1(i)(9721A)와 신호 z2(i)(9721B)는 동일(공통)의 주파수가 동일시간에 각각 다른 안테나로부터 송신되게 된다. 또, 파일럿심벌의 구성은 도 1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파일럿심벌의 시간 간격, 주파수 간격은 도 1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 100에서는 도 99의 안테나(9728A) 및 도 99의 안테나(9728B)로부터 동일 시각, 동일주파수(동일(서브)캐리어)로 파일럿심벌이 송신되는 프레임 구성으로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시간 A, 주파수 a((서브) 캐리어 a)에 있어서 도 99의 안테나(9728A)에 파일럿심벌을 배치하고, 시간 A, 주파수 a((서브) 캐리어 a)에 있어서 도 99의 안테나(9728B)에는 심벌을 배치하지 않는 것으로 하고, 시간 B, 주파수 b((서브) 캐리어 b)에 있어서 도 99의 안테나(9728A)에 심벌을 배치하지 않는 것으로 하고, 시간 B, 주파수 b((서브) 캐리어 b)에 있어서 도 99의 9728 B에 파일럿심벌을 배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도 99에서는 데이터심벌과 파일럿심벌 밖에 기술하고 있지 않으나, 다른 심벌, 예를 들어 제어정보심벌 등의 심벌이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도 97, 도 98에 있어서 파워 변경부의 일부(또는 모두)가 존재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파워 변경부의 일부가 없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7 또는 도 98에 있어서 파워 변경부(9704A)(파워 조정부(9704A)) 및 파워 변경부(9704B)(파워 조정부(9704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z1(i) 및 z2(i)는 이하와 같이 표시된다.
또, 도 97 또는 도 98에 있어서 파워 변경부(9710A)(파워조정부(9710A)), 파워 변경부(9710B)(파워 조정부(9710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z1(i) 및 z2(i)는 이하와 같이 표시된다.
또, 도 97 또는 도 98에 있어서 파워 변경부(9704A)(파워 조정부(9704A)), 파워 변경부(9704B)(파워 조정부(9704B)), 파워 변경부(9710A)(파워 조정부(9710A)), 파워 변경부(9710B)(파워 조정부(9710B))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z1(i) 및 z2(i)는 이하와 같이 표시된다.
다음에, 프리코딩 관련의 처리에서의 θ(i)의 부여방법과 비트길이 조정부의 동작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복소평면에서의 예를 들어 편각과 같은 위상의 단위는 「라디안(radian)」으로 하고 있다.
복소평면을 이용하면 복소수의 극좌표에 의한 표시로 극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복소수 z = a + jb(a, b는 모두 실수이며, j는 허수 단위이다)에 복소평면 상의 점 (a, b)를 대응시켰을 때 이 점이 극좌표에서 [r, θ]로 표시되면, a=r×cosθ, b=r×sinθ,
가 성립되며, r은 z의 절대치(r = |z|)이고, θ가 편각(argument)이 된다. 그리고 z = a + jb는 r×ejθ로 표시된다.
그리고 베이스밴드신호, s1, s2, z1, z2는 복소신호가 되나, 복소신호는 동상신호를 I, 직교 신호를 Q로 한 때, 복소신호는 I+jQ(j는 허수 단위)로 표시되게 된다. 이때, I가 제로가 되어도 좋고, Q가 제로가 되어도 좋다.
먼저, 프리코딩 관련의 처리에서의 θ(i)의 부여방법의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 규칙적으로 θ(i)를 변경하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로 θ(i)의 변경에 주기를 부여하는 것으로 한다. θ(i)의 변경의 주기를 z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단, z는 2 이상의 정수로 한다). 이때, θ(i)의 변경의 주기 z=9로 한 때, 일례로 이하와 같이 θ(i)의 변경을 실행하는 것으로 한다.
슬롯번호(심벌번호) i가,
i=9×k+0일 때, θ(i=9×k+0)=0 라디안
i=9×k+1일 때, θ(i=9×k+1)=(2×1×π)/9 라디안
i=9×k+2일 때, θ(i=9×k+2)=(2×2×π)/9 라디안
i=9×k+3일 때, θ(i=9×k+3)=(2×3×π)/9 라디안
i=9×k+4일 때, θ(i=9×k+4)=(2×4×π)/9 라디안
i=9×k+5일 때, θ(i=9×k+5)=(2×5×π)/9 라디안
i=9×k+6일 때, θ(i=9×k+6)=(2×6×π)/9 라디안
i=9×k+7일 때, θ(i=9×k+7)=(2×7×π)/9 라디안
i=9×k+8일 때, θ(i=9×k+8)=(2×8×π)/9 라디안
으로 하도록 θ(i)의 변경의 주기 z=9를 형성할 수 있다(단, k는 정수인 것으로 한다).
또, θ(i)의 변경의 주기 z=9의 형성방법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9개의 위상 λ0, λ1, λ2, λ3, λ4, λ5, λ6, λ7, λ8을 준비하고,
슬롯번호(심벌번호) i가,
i=9×k+0일 때, θ(i=9×k+0)=λ0 라디안
i=9×k+1일 때, θ(i=9×k+1)=λ1 라디안
i=9×k+2일 때, θ(i=9×k+2)=λ2 라디안
i=9×k+3일 때, θ(i=9×k+3)=λ3 라디안
i=9×k+4일 때, θ(i=9×k+4)=λ4 라디안
i=9×k+5일 때, θ(i=9×k+5)=λ5 라디안
i=9×k+6일 때, θ(i=9×k+6)=λ6 라디안
i=9×k+7일 때, θ(i=9×k+7)=λ7 라디안
i=9×k+8일 때, θ(i=9×k+8)=λ8 라디안
으로 하도록 θ(i)의 변경의 주기 z=9를 형성할 수 있다(단, k는 정수인 것으로 하며, 0≤λv<2π로 한다(v는 0 이상 8 이하의 정수)).
단, 주기 z=9를 성립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이하의 2개의 방법이 있다.
(1) x를 0 이상 8 이하의 정수, y를 0 이상 8 이하의 y≠x의 정수로 하고, 이를 만족하는 모든 x, 모든 y에서 λx≠λy가 성립한다.
(2) x를 0 이상 8 이하의 정수, y를 0 이상 8 이하의 y≠x의 정수로 하고, λx≠λy가 성립하는 x, y가 존재하는 주기 9를 형성한다.
이것을 일반적으로 생각하면, θ(i)의 변경의 주기 z(단, z는 2 이상의 정수로 한다).의 형성방법은 z개의 위상, λv(v는 0 이상 z-1 이하의 정수)를 준비하고,
슬롯번호(심벌번호) i가,
i=z×k+v일 때, θ(i=z×k+v)=λv 라디안
으로 하도록 θ(i)의 변경의 주기 z를 형성할 수 있다(단, k는 정수인 것으로 하며, 0≤λv<2π로 한다).
단, 주기 z를 성립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이하의 2개의 방법이 있다.
(1) x를 0 이상 z-1 이하의 정수, y를 0 이상 z-1 이하의 y≠x의 정수로 하고, 이를 만족하는 모든 x, 모든 y에서 λx≠λy가 성립한다.
(2) x를 0 이상 z-1 이하의 정수, y를 0 이상 z-1 이하의 y≠x의 정수로 하고, λx≠λy가 성립하는 x, y가 존재하는 주기 z를 형성한다.
다음에, 도 97, 도 98에서의 매핑부(9702) 이전의 처리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9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에서 특히 중요한 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형태 1의 변형 예>
실시형태 1에 있어서 도 97, 도 98에서의 매핑부(9702) 이전의 처리를 실행하는 변조부의 구성은 도 57과 같다. 그리고 실시형태 1의 특징은,
「도 57의 부호화부(502)가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의 부호어를 출력한 때, N의 값에 의하지 않고 매핑부(504)에서 사용하는 2개의 변조방식이 모든 변조방식의 조합에 의거하는 복소신호의 세트에 대해 동일주파수, 동일시간에 송신되는 제 1 복소신호 s1 및 제 2 복소신호 s2에 의해 송신할 수 있는 비트 수 (X+Y)는 복수의 (오류정정부호의)블록의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비트길이 조정부(5701)는 제 1 비트 열(503)을 입력으로 하여,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의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의 예를 들어 후단이나 선단 등 또는 소정의 위치에 조정비트 열을 부가하여, 구성하는 비트 수가 비트 수 (X+Y)의 배수가 되는 매핑부를 위한 제 2 비트 열을 출력한다.」
이다.
또, 「X+Y의 값」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3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실시형태 1의 변형 예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θ(i)의 변경의 주기 z를 더 고려하여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를 결정하게 된다.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64800비트로 하고, 또, θ(i)의 변경의 주기 z를 9로 한다. 그리고 변조방식으로는 QPSK, 16QAM, 64QAM, 256QAM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로는 (QPSK, QPSK), (QPSK, 16QAM), (QPSK, 64QAM), (QPSK, 256QAM), (16QAM, 16QAM), (16QAM, 64QAM), (16QAM, 256QAM), (64QAM, 256QAM), (256QAM, 256QAM)라는 세트를 생각할 수 있으나, 이 중 어느 하나의 예를 픽업하여 설명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 1 복소신호 s1(s1(t))의 변조방식 및 제 2 복소신호 s2(s2(t))의 변조방식 모두 복수의 변조방식으로부터 전환 가능한 것으로 한다.
이후의 설명을 위해 이하와 같은 정의를 한다.
α를 0 이상의 정수로 하고, 또, β를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그리고, α와 β의 최소공배수를 LCM(α,β)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α를 8, β를 6으로 하면 LCM(α,β)은 24가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의 실시형태 1의 변형 예의 특징으로는 (X+Y)의 값과 θ(i)의 변경의 주기 z와 부호길이의 비트 수 (N)과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의 합에 대해 γ=LCM(X+Y, z)로 하면 부호길이의 비트 수 (N)과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의 합은 γ의 배수인 것으로 한다. 즉, 부호길이의 비트 수 (N)과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의 합은 X+Y와 z의 최소공배수의 배수인 것으로 한다. 단, X는 1 이상의 정수, Y는 1 이상의 정수, 따라서, X+Y는 2 이상의 정수로 하고, z는 2 이상의 정수로 한다. 또,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가 0일 때가 이상적이나, 0이 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때, 앞에서 설명한 특징과 같이 조정비트 열을 부가하는 것이 하나의 중요한 포인트가 된다.
이하에서는 이 점에 대해서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예 1)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을 (16QAM, 16QAM)으로 하고, 오류정정부호(예를 들어 LDPC부호 등의 블록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를 64800비트로 하며, θ(i)의 변경의 주기 z를 9로 한다. 그러면 γ=LCM(X+Y, z)=(8, 9)=72가 된다. 따라서, 상기 특징을 만족하기 위해 필요한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72×N비트가 된다(단, N은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도 101 (A)는 도 57의 변조부의 부호화부(502)가 출력하는 제 1 비트 열(503)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1 (A)에 있어서 10101은 비트 수 64800의 제 i 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고, 10102는 비트 수 64800의 제 i+1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으며, 10103은 비트 수 64800의 제 i+2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고, 10104는 비트 수 64800의 제 i+3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후, 제 i+4번째 블록의 부호어, 제 i+5번째 블록의 부호어, …와 같이 이어지게 된다.
앞에서도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특징을 만족하기 위해 필요한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72×N비트가 된다(단, N은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여기에서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를 0(제로) 비트로 한다. 따라서, 도 57의 변조부의 비트길이 조정부(5701)가 출력하는 제 2 비트 열(5703)의 모습은 도 101 (B)와 같이 된다. 즉, 도 101 (B)는 도 57의 변조부의 부호화부(502)가 출력하는 제 1 비트 열(503)의 모습과 같고, 도 57의 변조부의 비트길이 조정부(5701)가 출력하는 제 2 비트 열(5703)에서는 비트 수 64800의 제 i 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1, 비트 수 64800의 제 i+1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2, 비트 수 64800의 제 i+2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3, 비트 수 64800의 제 i+3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4, 이후, 제 i+4번째 블록의 부호어, 제 i+5번째 블록의 부호어, …와 같이 이어지게 된다.
(예 2)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을 (64QAM, 256QAM)으로 하고, 오류정정부호(예를 들어 LDPC부호 등의 블록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를 64800비트로 하며, θ(i)의 변경의 주기 z를 9로 한다. 그러면 γ=LCM(X+Y, z)=(14, 9)=126이 된다. 따라서, 상기 특징을 만족하기 위해 필요한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126×n+90비트가 된다(단, N은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도 102 (A)는 도 57의 변조부의 부호화부(502)가 출력하는 제 1 비트 열(503)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2 (A)에 있어서 10101은 비트 수 64800의 제 i 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고, 10102는 비트 수 64800의 제 i+1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고, 10103은 비트 수 64800의 제 i+2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고, 10104는 비트 수 64800의 제 i+3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고, 이후, 제 i+4번째 블록의 부호어, 제 i+5번째 블록의 부호어, …와 같이 이어지게 된다.
앞에서도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특징을 만족하기 위해 필요한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126×n+90비트가 된다(단, N은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여기에서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를 90비트로 한다. 따라서, 도 57의 변조부의 비트길이 조정부(5701)가 출력하는 제 2 비트 열(5703)의 모습은 도 102 (B)와 같이 된다.
도 102 (B)에 있어서 10201, 10202, 10203은 「조정비트 열」을 나타내고 있다. 「조정비트 열」 10201은 비트 수 64800의 제 i 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1을 위한 조정비트 열이며, 그 비트 수는 90비트이다. 따라서, 비트 수 64800의 제 i 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1과 「조정비트 열」 10201의 합계 비트 수는 64890비트가 된다. 이에 의해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비트 수 64800의 제 i 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1과 「조정비트 열」 10201의 합계 비트 수는 64890비트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슬롯 수(여기에서는 1 슬롯은 s1의 심벌 1 심벌과 s2의 심벌 1 심벌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θ(i)의 변경의 주기 z=9의 정수 배가 된다.
이에 의해 비트 수 64800의 제 i 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1과 「조정비트 열」 10201의 합계 비트 수는 64890비트를 형성하는 슬롯에서 θ(i)가 취할 수 있는 9개 값의 각 출현 회수가 동일해지므로 제 i 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1에 포함되는 정보를 높은 수신 품질로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마찬가지로, 「조정비트 열」 10202는 비트 수 64800의 제 i+1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2를 위한 조정비트 열이며, 그 비트 수는 90비트이다. 따라서, 비트 수 64800의 제 i+1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2와 「조정비트 열」 10202의 합계 비트 수는 64890비트가 된다. 이에 의해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비트 수 64800의 제 i+1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2와 「조정비트 열」 10202의 합계 비트 수는 64890비트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슬롯 수 θ(i)의 변경의 주기 z=9의 정수 배가 된다. 따라서, 비트 수 64800의 제 i+1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2와 「조정비트 열」 10202의 합계 비트 수는 64890비트를 형성하는 슬롯에 있어서 θ(i)가 취할 수 있는 9개의 값의 각 출현 회수가 동일해지므로 제 i+1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2에 포함되는 정보를 높은 수신 품질로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마찬가지로, 「조정비트 열」 10203은 비트 수 64800의 제 i+2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3을 위한 조정비트 열이며, 그 비트 수는 90비트이다. 따라서, 비트 수 64800의 제 i+2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3과 「조정비트 열」 10203의 합계 비트 수는 64890비트가 된다. 이에 의해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비트 수 64800의 제 i+2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3과 「조정비트 열」 10203의 합계 비트 수는 64890비트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슬롯 수 θ(i)의 변경의 주기 z=9의 정수 배가 된다. 따라서, 비트 수 64800의 제 i+2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3과 「조정비트 열」 10203의 합계 비트 수는 64890비트를 형성하는 슬롯에 있어서 θ(i)가 취할 수 있는 9개의 값의 각 출현 회수가 동일해지므로 제 i+2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3에 포함되는 정보를 높은 수신 품질로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또, 조정비트 열의 삽입방법에 대해서는 도 10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64800비트의 부호어와 90비트 조정비트 열의 합계 64890비트를 어떤 순번으로 배열해도 좋다.
<실시형태 2의 변형 예>
실시형태 2에 있어서 도 97, 도 98에서의 매핑부(9702) 이전의 처리를 실행하는 변조부의 구성은 도 60과 같다. 그리고 실시형태 2의 특징은,
「도 60의 부호화부(502LA)가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의 부호어를 출력한 때, N의 값에 의하지 않고 매핑부(504)에서 사용하는 2개의 변조방식이 모든 변조방식의 조합에 의거하는 복소신호의 세트에 대해 동일주파수, 동일시간에 송신되는 제 1 복소신호 s1 및 제 2 복소신호 s2에 의해 송신할 수 있는 비트 수 (X+Y)는 복수의 (오류정정부호의)블록의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비트길이 조정부(6001)는 제 1 비트 열(503)을 입력으로 하여,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의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의 예를 들어 후단이나 선단 또는 소정의 위치에 조정비트 열을 부가하여 구성하는 비트 수가 비트 수 (X+Y)의 배수가 되는 매핑부를 위한 제 2 비트 열을 출력한다. 그리고 조정비트 열은 부호화처리에 의해 얻어진 N비트의 부호어 중 소정의 부분의 비트 값을 부분적으로 1 이상 반복해서(repetition) 구성하는 것이다.」
이다. 또, 「X+Y의 값」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3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실시형태 2의 변형 예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θ(i)의 변경의 주기 z를 더 고려해서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를 결정하게 된다.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64800비트로 하고, 또, θ(i)의 변경의 주기 z를 9로 한다. 그리고 변조방식으로는 QPSK, 16QAM, 64QAM, 256QAM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으로는 (QPSK, QPSK), (QPSK, 16QAM), (QPSK, 64QAM), (QPSK, 256QAM), (16QAM, 16QAM), (16QAM, 64QAM), (16QAM, 256QAM), (64QAM, 256QAM), (256QAM, 256QAM)이라는 세트를 생각할 수 있으나, 이 중 어느 하나의 예를 픽업해서 설명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 1 복소신호 s1(s1(t))의 변조방식 및 제 2 복소신호 s2(s2(t))의 변조방식 모두 복수의 변조방식으로부터 전환이 가능한 것으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의 실시형태 2의 변형 예의 특징으로는 (X+Y)의 값과 θ(i)의 변경의 주기 z와 부호길이의 비트 수 (N)과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의 합에 대해 γ=LCM(X+Y, z)로 하면 부호길이의 비트 수 (N)과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의 합은 γ의 배수인 것으로 한다. 즉, 부호길이의 비트 수 (N)과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의 합은 X+Y와 z의 최소공배수의 배수인 것으로 한다. 단, X는 1 이상의 정수, Y는 1 이상의 정수, 따라서, X+Y는 2 이상의 정수로 하고, z는 2 이상의 정수로 한다. 또,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가 0일 때가 이상적이지만, 0이 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때, 앞에서 설명한 특징과 같이 조정비트 열을 부가하는 것이 하나의 중요한 포인트가 된다.
이하에서는 이 점에 대해서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예 3)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을 (16QAM, 16QAM)으로 하고, 오류정정부호(예를 들어 DPC 부호 등의 블록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를 64800비트로 하며, θ(i)의 변경의 주기 z를 9로 한다. 그러면 γ=LCM(X+Y, z)=(8, 9)=72가 된다. 따라서, 상기 특징을 만족하기 위해 필요한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72×N비트가 된다(단, N은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도 101 (A)는 도 60의 변조부의 부호화부(502LA)가 출력하는 제 1 비트 열(503)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1 (A)에 있어서 10101은 비트 수 64800의 제 i 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고, 10102는 비트 수 64800의 제 i+1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고, 10103은 비트 수 64800의 제 i+2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고, 10104는 비트 수 64800의 제 i+3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고, 이후, 제 i+4번째 블록의 부호어, 제 i+5번째 블록의 부호어, …와 같이 이어지게 된다.
앞에서도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특징을 만족하기 위해 필요한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72×N비트가 된다(단, N은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여기에서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를 0(제로) 비트로 한다. 따라서, 도 60의 변조부의 비트길이 조정부(6001)가 출력하는 제 2 비트 열(6003)의 모습은 도 101 (B)와 같이 된다. 즉, 도 101 (B)는 도 60의 변조부의 R102LA가 출력하는 제 1 비트 열(503)의 모습과 마찬가지로, 도 60의 변조부의 비트길이 조정부(6001)가 출력하는 제 2 비트 열(6003)에서는 비트 수 64800의 제 i 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1, 비트 수 64800의 제 i+1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2, 비트 수 64800의 제 i+2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3, 비트 수 64800의 제 i+3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4, 이후, 제 i+4번째 블록의 부호어, 제 i+5번째 블록의 부호어, …와 같이 이어지게 된다.
(예 4)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을 (64QAM, 256QAM)으로 하고, 오류정정부호(예를 들어 LDPC부호 등의 블록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를 64800비트로 하며, θ(i)의 변경의 주기 z를 9로 한다. 그러면 γ=LCM(X+Y, z)=(14, 9)=126이 된다. 따라서, 상기 특징을 만족하기 위해 필요한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126×n+90비트가 된다(단, N은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도 102 (A)는 도 60의 변조부의 부호화부(502LA)가 출력하는 제 1 비트 열(503)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2 (A)에 있어서 10101은 비트 수 64800의 제 i 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고, 10102는 비트 수 64800의 제 i+1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고, 10103은 비트 수 64800의 제 i+2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고, 10104는 비트 수 64800의 제 i+3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고, 이후, 제 i+4번째 블록의 부호어, 제 i+5번째 블록의 부호어, …와 같이 이어지게 된다.
앞에서도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특징을 만족하기 위해 필요한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126×n+90비트가 된다(단, N은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여기에서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를 90비트로 한다. 따라서, 도 60의 변조부의 비트길이 조정부(6001)가 출력하는 제 2 비트 열(6003)의 모습은 도 102 (B)와 같이 된다.
도 102 (B)에 있어서 10201, 10202, 10203은 「조정비트 열」을 나타내고 있다. 「조정비트 열」 10201은 비트 수 64800의 제 i 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1을 위한 조정비트 열이며, 그 비트 수는 90비트이다. 따라서, 비트 수 64800의 제 i 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1과 「조정비트 열」 10201의 합계 비트 수는 64890비트가 된다. 이에 의해 실시형태 2에서 설명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비트 수 64800의 제 i 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1과 「조정비트 열」 10201의 합계 비트 수는 64890비트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슬롯 수(여기에서는 1 슬롯이란 s1의 심벌 1 심벌과 s2의 심벌 1 심벌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θ(i)의 변경의 주기 z=9의 정수 배가 된다.
이에 의해 비트 수 64800의 제 i 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1과 「조정비트 열」 10201의 합계 비트 수는 64890비트를 형성하는 슬롯에 있어서 θ(i)가 취할 수 있는 9개의 값의 각 출현 회수가 동일해지므로 제 i 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1에 포함되는 정보를 높은 수신 품질로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마찬가지로, 「조정비트 열」 10202는 비트 수 64800의 제 i+1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2를 위한 조정비트 열이며, 그 비트 수는 90비트이다. 따라서, 비트 수 64800의 제 i+1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2와 「조정비트 열」 10202의 합계 비트 수는 64890비트가 된다. 이에 의해 실시형태 2에서 설명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비트 수 64800의 제 i+1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2와 「조정비트 열」 10202의 합계 비트 수는 64890비트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슬롯 수 θ(i)의 변경의 주기 z=9의 정수 배가 된다. 따라서, 비트 수 64800의 제 i+1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2와 「조정비트 열」 10202의 합계 비트 수는 64890비트를 형성하는 슬롯에 있어서 θ(i)가 취할 수 있는 9개의 값의 각 출현 회수가 동일해지므로 제 i+1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2에 포함되는 정보를 높은 수신 품질로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마찬가지로, 「조정비트 열」 10203은 비트 수 64800의 제 i+2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3을 위한 조정비트 열이며, 그 비트 수는 90비트이다. 따라서, 비트 수 64800의 제 i+2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3과 「조정비트 열」 10203의 합계 비트 수는 64890비트가 된다. 이에 의해 실시형태 2에서 설명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비트 수 64800의 제 i+2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3과 「조정비트 열」 10203의 합계 비트 수는 64890비트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슬롯 수 θ(i)의 변경의 주기 z=9의 정수 배가 된다. 따라서 비트 수 64800의 제 i+2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3과 「조정비트 열」 10203의 합계 비트 수는 64890비트를 형성하는 슬롯에 있어서 θ(i)가 취할 수 있는 9개의 값의 각 출현 회수가 동일해지므로 제 i+2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3에 포함되는 정보를 높은 수신 품질로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또, 실시형태 2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조정비트 열은 부호화처리에 의해 얻어진 N비트의 부호어 중 소정의 부분의 비트 값을 부분적으로 1 이상 반복해서(repetition) 구성하게 된다. 또, 조정비트 열의 구체적인 구성방법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2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그리고 조정비트 열의 삽입방법에 대해서는 도 10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64800비트의 부호어와 90비트 조정비트 열의 합계 64890비트를 어떤 순번으로 배열해도 좋다.
<실시형태 3의 변형 예>
실시형태 3에 있어서 도 97, 도 98에서의 매핑부(9702) 이전의 처리를 실행하는 변조부의 구성은 도 73과 같다. 그리고 실시형태 3의 특징은,
「도 73의 부호화부(502LA)가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의 부호어를 출력한 때, N의 값에 의하지 않고 매핑부(504)에서 사용하는 2개의 변조방식이 모든 변조방식의 조합에 의거하는 복소신호의 세트에 대해 동일주파수, 동일시간에 송신되는 제 1 복소신호 s1 및 제 2 복소신호 s2에 의해 송신할 수 있는 비트 수 (X+Y)는 복수의 (오류정정부호의)블록의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게 하기 위해, 비트길이 조정부(7301)는 비트 열(503V)을 입력으로 하여,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의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의 예를 들어 후단이나 선단 또는 소정의 위치에 조정비트 열을 부가하여 구성하는 비트 수가 비트 수 (X+Y)의 배수가 되는 매핑부를 위한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을 출력한다. 그리고 조정비트 열은 부호화처리에 의해 얻어진 N비트의 부호어 중 소정의 부분의 비트 값을 부분적으로 1 이상 반복해서(repetition) 구성하거나, 또는 소정의 비트 열로 구성하는 것이다.」
이다. 또, 「X+Y의 값」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3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실시형태 2의 변형 예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θ(i)의 변경의 주기 z를 고려하여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를 결정하게 된다.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64800비트로 하고, 또, θ(i)의 변경의 주기 z를 9로 한다. 그리고 변조방식으로는 QPSK, 16QAM, 64QAM, 256QAM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으로는 (QPSK, QPSK), (QPSK, 16QAM), (QPSK, 64QAM), (QPSK, 256QAM), (16QAM, 16QAM), (16QAM, 64QAM), (16QAM, 256QAM), (64QAM, 256QAM), (256QAM, 256QAM)이라는 세트를 생각할 수 있으나, 이 중 어느 하나의 예를 픽업해서 설명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 1 복소신호 s1(s1(t))의 변조방식 및 제 2 복소신호 s2(s2(t))의 변조방식 모두 복수의 변조방식으로부터 전환이 가능한 것으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의 실시형태 3의 변형 예의 특징으로는 (X+Y)의 값과 θ(i)의 변경의 주기 z와 부호길이의 비트 수 (N)과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의 합에 대해 γ=LCM(X+Y, z)로 하면 부호길이의 비트 수 (N)과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의 합은 γ의 배수인 것으로 한다. 즉, 부호길이의 비트 수 (N)과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의 합은 X+Y와 z의 최소공배수의 배수인 것으로 한다. 단, X는 1 이상의 정수, Y는 1 이상의 정수, 따라서, X+Y는 2 이상의 정수로 하고, z는 2 이상의 정수로 한다. 또,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가 0일 때가 이상적이지만, 0이 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때, 앞에서 설명한 특징과 같이 조정비트 열을 부가하는 것이 하나의 중요한 포인트가 된다.
이하에서는 이 점에 대해서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예 5)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을 (16QAM, 16QAM)으로 하고, 오류정정부호(예를 들어 LDPC부호 등의 블록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를 64800비트로 하며, θ(i)의 변경의 주기 z를 9로 한다. 그러면 γ=LCM(X+Y, z)=(8, 9)=72가 된다. 따라서, 상기 특징을 만족하기 위해 필요한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72×N비트가 된다(단, N은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도 101 (A)는 도 73의 변조부의 부호화부(502LA)가 출력하는 제 1 비트 열(503Λ)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1 (A)에 있어서 10101은 비트 수 64800의 제 i 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고, 10102는 비트 수 64800의 제 i+1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고, 10103은 비트 수 64800의 제 i+2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고, 10104는 비트 수 64800의 제 i+3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고, 이후, 제 i+4번째 블록의 부호어, 제 i+5번째 블록의 부호어, …와 같이 이어지게 된다.
앞에서도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특징을 만족하기 위해 필요한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72×N비트가 된다(단, N은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여기에서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를 0(제로) 비트로 한다. 따라서, 도 73의 변조부의 비트길이 조정부(7301)가 출력하는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7303)의 모습은 도 101 (B)와 같이 된다. 즉, 도 101 (B)는 도 73의 변조부의 R102LA가 출력하는 제 1 비트 열(503Λ)의 모습과 같이, 도 73의 변조부의 비트길이 조정부(7301)가 출력하는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7303)에서는 비트 수 64800의 제 i 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1, 비트 수 64800의 제 i+1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2, 비트 수 64800의 제 i+2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3, 비트 수 64800의 제 i+3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4, 이후, 제 i+4번째 블록의 부호어, 제 i+5번째 블록의 부호어, …와 같이 이어지게 된다.
(예 6)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을 (64QAM, 256QAM)으로 하고, 오류정정부호(예를 들어 LDPC부호 등의 블록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를 64800비트로 하며, θ(i)의 변경의 주기 z를 9로 한다. 그러면 γ=LCM(X+Y, z)=(14, 9)=126이 된다. 따라서, 상기 특징을 만족하기 위해 필요한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126×n+90비트가 된다(단, N은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도 103 (A)는 도 73의 변조부의 부호화부(502LA)가 출력하는 제 1 비트 열(503Λ)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3 (A)에 있어서 10101은 비트 수 64800의 제 i 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고, 10102는 비트 수 64800의 제 i+1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고, 이후, 제 i+2번째 블록의 부호어, 제 i+3번째 블록의 부호어, …와 같이 이어지게 된다.
앞에서도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특징을 만족하기 위해 필요한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126×n+90비트가 된다(단, N은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여기에서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를 90비트로 한다. 따라서, 도 73의 변조부의 비트길이 조정부(7301)가 출력하는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7303)의 모습은 도 103 (B)와 같이 된다.
도 103 (B)에 있어서 103A는 부호어의(1) 비트를 나타내고 있고, 103B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를 나타내고 있다. 10301은 제 i 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1과 제 i 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1을 위한 조정비트 열로 구성된 합계 비트 수는 64890비트가 된다. 그리고 10302는 제 i+1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2와 제 i+1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2를 위한 조정비트 열로 구성된 합계 비트 수는 64890비트가 된다.
이에 의해 실시형태 3에서 설명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비트 수 64800의 제 i 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1과 「조정비트 열」의 합계 비트 수는 64890비트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슬롯 수(여기에서는 1 슬롯은 s1의 심벌 1 심벌과 s2의 심벌 1 심벌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θ(i)의 변경의 주기 z=9의 정수 배가 된다.
이에 의해 비트 수 64800의 제 i 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1과 「조정비트 열」의 합계 비트 수는 64890비트를 형성하는 슬롯에 있어서 θ(i)가 취할 수 있는 9개의 값의 각 출현 회수가 동일해지므로 제 i 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1에 포함되는 정보를 높은 수신 품질로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마찬가지로, 비트 수 64800의 제 i+1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2와 「조정비트 열」의 합계 비트 수는 64890비트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슬롯 수 θ(i)의 변경의 주기 z=9의 정수 배가 된다. 따라서, 비트 수 64800의 제 i+1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2와 「조정비트 열」의 합계 비트 수는 64890비트를 형성하는 슬롯에 있어서 θ(i)가 취할 수 있는 9개의 값의 각 출현 회수가 동일해지므로 제 i+1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2에 포함되는 정보를 높은 수신 품질로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또, 실시형태 3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조정비트 열은 부호화처리에 의해 얻어진 N비트의 부호어 중 소정의 부분의 비트 값을 부분적으로 1 이상 반복해서(repetition) 구성하거나, 또는 소정의 비트 열로 구성하게 된다. 또, 조정비트 열의 구체적인 구성방법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3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그리고 조정비트 열의 삽입방법에 대해서는 도 10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64800비트의 부호어와 90비트 조정비트 열의 합계 64890비트를 어떤 순번으로 배열해도 좋다.
또, 실시형태 3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인터리브의 사이즈가 N×z비트인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이하와 같은 특징을 가지게 된다.
「도 73의 부호화부(502LA)가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의 부호어를 출력한 때, N의 값에 의하지 않고 매핑부(504)에서 사용하는 2개의 변조방식이 모든 변조방식의 조합에 의거하는 복소신호의 세트에 대해 동일주파수, 동일시간에 송신되는 제 1 복소신호 s1 및 제 2 복소신호 s2에 의해 송신할 수 있는 비트 수 (X+Y)는 복수의 (오류정정부호의)블록의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비트길이 조정부(7301)는 인터리버에 축적하는 N×z비트에 대해 조정비트 열을 부가해서, N×z비트와 조정비트 열의 합계 비트 수가 γ=LCM(X+Y, z)의 배수가 된다.」
<실시형태 4의 변형 예>
실시형태 4에 있어서 도 97, 도 98에서의 매핑부(9702) 이전의 처리를 실행하는 변조부의 구성은 도 80, 도 83과 같다. 그리고 실시형태 4의 특징은,
「제 i 번째 블록의 LDPC부호의 부호어의 부호길이 N에 있어서 부호화 전에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을 삭제한 제 2 비트 열(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8003)에 있어서 제 2 비트 열(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8003)의 비트 수가 설정된 s1(t)의 제 1 변조방식과 s2(t)의 제 2 변조방식의 세트로 결정하는 비트 수 (X+Y)의 배수가 되어 있는 것이다.」
이다. 또, 「X+Y의 값」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3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실시형태 4의 변형 예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θ(i)의 변경의 주기 z를 고려하여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를 결정하게 된다.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64800비트로 하고, 또, θ(i)의 변경의 주기 z를 9로 한다. 그리고 변조방식으로는 QPSK, 16QAM, 64QAM, 256QAM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으로는 (QPSK, QPSK), (QPSK, 16QAM), (QPSK, 64QAM), (QPSK, 256QAM), (16QAM, 16QAM), (16QAM, 64QAM), (16QAM, 256QAM), (64QAM, 256QAM), (256QAM, 256QAM)이라는 세트를 생각할 수 있으나, 이 중 어느 하나의 예를 픽업해서 설명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 1 복소신호 s1(s1(t))의 변조방식 및 제 2 복소신호 s2(s2(t))의 변조방식 모두 복수의 변조방식으로부터 전환이 가능한 것으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의 실시형태 4의 변형 예의 특징으로는 (X+Y)의 값과 θ(i)의 변경의 주기 z와 부호길이의 비트 수 (N)과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의 합에 대해 γ=LCM(X+Y, z)로 하면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의 비트 수는 γ의 배수인 것으로 한다. 즉,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의 비트 수는 X+Y와 z의 최소공배수의 배수인 것으로 한다. 단, X는 1 이상의 정수, Y는 1 이상의 정수, 따라서, X+Y는 2 이상의 정수로 하고, z는 2 이상의 정수로 한다. 또,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의 비트 수와 부호어의 비트 수의 차이가 0일 때가 이상적이지만, 0이 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때, 앞에서 설명한 특징과 같이 비트길이를 조정하는 것이 하나의 중요한 포인트가 된다.
이하에서는 이 점에 대해서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예 7)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을 (16QAM, 16QAM)으로 하고, 오류정정부호(예를 들어 LDPC부호 등의 블록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를 64800비트로 하며, θ(i)의 변경의 주기 z를 9로 한다. 그러면 γ=LCM(X+Y, z)=(8, 9)=72가 된다. 따라서, 상기 특징을 만족하기 위해 필요한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72×N비트가 된다(단, N은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도 101 (A)는 도 80 및 도 83의 변조부의 부호화부(502)가 출력하는 제 1 비트 열(503')(또는 503Λ)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1 (A)에 있어서 10101은 비트 수 64800의 제 i 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고, 10102는 비트 수 64800의 제 i+1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고, 10103은 비트 수 64800의 제 i+2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고, 10104는 비트 수 64800의 제 i+3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고, 이후, 제 i+4번째 블록의 부호어, 제 i+5번째 블록의 부호어, …와 같이 이어지게 된다. 또, 블록의 부호어 10101, 10102, 10103, 10104에는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앞에서도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특징을 만족하기 위해 필요한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72×N비트가 된다(단, N은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여기에서는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를 0(제로) 비트로 한다. 따라서, 도 80 및 도 83의 후단부(8001B)가 출력하는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8003)의 모습은 도 101 (B)와 같이 된다. 즉, 도 101 (B)는 도 80 및 도 83의 변조부의 R102가 출력하는 제 1 비트 열(503')(또는 503Λ)의 모습과 같이, 도 80 및 도 83의 후단부(8001B)가 출력하는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8003)에서는 비트 수 64800의 제 i 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1, 비트 수 64800의 제 i+1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2, 비트 수 64800의 제 i+2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3, 비트 수 64800의 제 i+3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4, 이후, 제 i+4번째 블록의 부호어, 제 i+5번째 블록의 부호어, …와 같이 이어지게 된다.
(예 8)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을 (64QAM, 256QAM)으로 하고, 오류정정부호(예를 들어 LDPC부호 등의 블록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를 64800비트로 하며, θ(i)의 변경의 주기 z를 9로 한다. 그러면 γ=LCM(X+Y, z)=(14, 9)=126이 된다. 따라서, 상기 특징을 만족하기 위해 필요한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126×n+36비트가 된다(단, N은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도 104 (A)는 도 80 및 도 83의 변조부의 부호화부(502)가 출력하는 제 1 비트 열(503')(또는 503Λ)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4 (A)에 있어서 10401은 비트 수 64800의 제 i 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고, 10402는 비트 수 64800의 제 i+1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고, 이후, 제 i+2번째 블록의 부호어, 제 i+3번째 블록의 부호어, …와 같이 이어지게 된다.
또, 도 104에 있어서 104b는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의 비트를 나타내고 있고, 104a는 그 이외의 비트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도 104 (A)의 비트 수 64800의 제 i 번째 블록의 부호어 10401에는 36비트의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의 비트 104b가 존재하고 있고, 또, 비트 수 64800의 제 i+1번째 블록의 부호어 10402에는 36비트의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의 비트 104b가 존재하고 있다.
앞에서도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특징을 만족하기 위해 필요한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126×n+36비트가 된다(단, N은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여기에서는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를 36비트로 한다. 그리고 도 80 및 도 83에서의 후단부(8001B)에서는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을 삭제한다. 따라서, 도 80 및 도 83의 변조부의 후단부(8001B)가 출력하는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8003)의 모습은 도 104 (B)와 같이 된다.
도 104 (B)에 있어서 10403은 제 i 번째의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을 나타내고 있고, 비트 104a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i 번째의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 10403의 비트 수는 64800-36=64764가 된다.
마찬가지로, 10404는 제 i+1번째의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을 나타내고 있고, 비트 104a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i+1번째의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 10404의 비트 수는 64800-36=64764가 된다.
…
따라서, 실시형태 4에서 설명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제 i 번째의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을 송신하는데 필요한 슬롯 수(여기에서는 1 슬롯은 s1의 심벌 1 심벌과 s2의 심벌 1 심벌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θ(i)의 변경의 주기 z=9의 정수 배가 된다.
이에 의해 제 i 번째의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을 형성하는 슬롯에 있어서 θ(i)가 취할 수 있는 9개의 값의 각 출현 회수가 동일해지므로 제 i 번째의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에 포함되는 정보를 높은 수신 품질로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또, 제 i+1번째의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을 송신하는데 필요한 슬롯 수(여기에서는 1 슬롯은 s1의 심벌 1 심벌과 s2의 심벌 1 심벌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θ(i)의 변경의 주기 z=9의 정수 배가 된다.
이에 의해 제 i+1번째의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을 형성하는 슬롯에 있어서 θ(i)가 취할 수 있는 9개의 값의 각 출현 회수가 동일해지므로 제 i+1번째의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에 포함되는 정보를 높은 수신 품질로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
또,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구체적인 구성방법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4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실시형태 8의 변형 예>
실시형태 8에 있어서 도 97, 도 98에서의 매핑부(9702) 이전의 처리를 실행하는 변조부의 구성은 도 91, 도 93과 같다. 그리고 실시형태 8의 특징은,
「비트길이 조정부는 N비트의 부호어에서 PunNum비트의 데이터를 삭제하고 N-PunNum비트의 데이터 열을 출력한다. 이때, NPunNum이 「X+Y의 값」의 배수가 되는 PunNuM을 결정한다.」
이다. 또, 「X+Y의 값」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3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실시형태 8의 변형 예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θ(i)의 변경의 주기 z를 고려하여 삭제하는 데이터의 비트 수 PunNuM을 결정하게 된다.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64800비트로 하고, 또, θ(i)의 변경의 주기 z를 9로 한다. 그리고 변조방식으로는 QPSK, 16QAM, 64QAM, 256QAM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으로는 (QPSK, QPSK), (QPSK, 16QAM), (QPSK, 64QAM), (QPSK, 256QAM), (16QAM, 16QAM), (16QAM, 64QAM), (16QAM, 256QAM), (64QAM, 256QAM), (256QAM, 256QAM)이라는 세트를 생각할 수 있으나, 이 중 어느 하나의 예를 픽업해서 설명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 1 복소신호 s1(s1(t))의 변조방식 및 제 2 복소신호 s2(s2(t))의 변조방식 모두 복수의 변조방식으로부터 전환이 가능한 것으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의 실시형태 8의 변형 예의 특징으로는 (X+Y)의 값과 θ(i)의 변경의 주기 z와 부호길이의 비트 수 (N)과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의 합에 대해 γ=LCM(X+Y, z)로 하면 N-PunNum비트의 데이터 열의 비트 수 N-PunNuM은 γ의 배수인 것으로 한다. 즉, N-PunNuM은 X+Y와 z의 최소공배수의 배수인 것으로 한다. 단, X는 1 이상의 정수, Y는 1 이상의 정수, 따라서, X+Y는 2 이상의 정수로 하고, z는 2 이상의 정수로 한다. 또, PunNuM은 0일 때가 이상적이지만, 0이 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때, 앞에서 설명한 특징과 같이 N-PunNuM을 조정하는 것이 하나의 중요한 포인트가 된다.
이하에서는 이 점에 대해서 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예 9)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을 (16QAM, 16QAM)으로 하고, 오류정정부호(예를 들어 DPC 부호 등의 블록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를 64800비트로 하며, θ(i)의 변경의 주기 z를 9로 한다. 그러면 γ=LCM(X+Y, z)=(8, 9)=72가 된다. 따라서, 상기 특징을 만족하기 위해 필요한 PunNuM은 72×N비트가 된다(단, N은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도 101 (A)는 도 91 및 도 93의 변조부의 부호화부(502)가 출력하는 N비트의 부호어(503)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1 (A)에 있어서 10101은 비트 수 64800의 제 i 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고, 10102는 비트 수 64800의 제 i+1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고, 10103은 비트 수 64800의 제 i+2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고, 10104는 비트 수 64800의 제 i+3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고, 이후, 제 i+4번째 블록의 부호어, 제 i+5번째 블록의 부호어, …와 같이 이어지게 된다.
앞에서도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특징을 만족하기 위해 필요한 PunNuM은 72×N비트가 된다(단, N은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여기에서는 PunNuM을 0(제로) 비트로 한다. 따라서, 도 91 및 도 93의 비트길이 조정부(9101)가 출력하는 N-PunNum비트의 데이터 열(9102)의 모습은 도 101 (B)와 같이 된다. 즉, 도 101 (B)는 도 91 및 도 93의 변조부의 R102가 출력하는 제 1 비트 열(503)의 모습과 같이, 비트길이 조정부(9101)가 출력하는 N-PunNum비트의 데이터 열(9102)에서는 비트 수 64800의 제 i 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1, 비트 수 64800의 제 i+1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2, 비트 수 64800의 제 i+2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3, 비트 수 64800의 제 i+3번째 블록의 부호어 10104, 이후, 제 i+4번째 블록의 부호어, 제 i+5번째 블록의 부호어, …와 같이 이어지게 된다.
(예 10)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을 (64QAM, 256QAM)으로 하고, 오류정정부호(예를 들어 LDPC부호 등의 블록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를 64800비트로 하며, θ(i)의 변경의 주기 z를 9로 한다. 그러면 γ=LCM(X+Y, z)=(14, 9)=126이 된다. 따라서, 상기 특징을 만족하기 위해 필요한 PunNuM은 126×n+36비트가 된다(단, N은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도 105 (A)는 도 91 및 도 93의 변조부의 부호화부(502)가 출력하는 N비트의 부호어(503)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5 (A)에 있어서 10101은 비트 수 64800의 제 i 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고, 10102는 비트 수 64800의 제 i+1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고, 10103은 비트 수 64800의 제 i+2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고, 10104는 비트 수 64800의 제 i+3번째 블록의 부호어를 나타내고 있고, 이후, 제 i+4번째 블록의 부호어, 제 i+5번째 블록의 부호어, …와 같이 이어지게 된다.
앞에서도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특징을 만족하기 위해 필요한 PunNuM은 126×n+36비트가 된다(단, N은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여기에서는 PunNuM을 36비트로 한다. 따라서, 도 91 및 도 93의 비트길이 조정부(9101)가 출력하는 N-PunNum비트의 데이터 열(9102)의 모습은 도 105 (B)와 같이 된다.
도 105 (B)에 있어서 10501은 제 i 번째의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 즉, 제 i 번째의 N-PunNum비트의 데이터 열이 된다. 따라서, 64800-36=64764비트에 의해 구성되는 제 i 번째의 비트길이 조정 후의 블록이다.
마찬가지로, 10502는 제 i+1번째의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 즉, 제 i+1번째의 N-PunNum비트의 데이터 열이 된다. 따라서, 64800-36=64764비트에 의해 구성되는 제 i+1번째의 비트길이 조정 후의 블록이다. 그리고 10503은 제 i+2번째의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 즉, 제 i+2번째의 N-PunNum비트의 데이터 열이 된다. 따라서, 64800-36=64764비트에 의해 구성되는 제 i+2번째의 비트길이 조정 후의 블록이다.
10504는 제 i+3번째의 비트길이 조정 후의 비트 열, 즉, 제 i+3번째의 N-PunNum비트의 데이터 열이 된다. 따라서, 64800-36=64764비트에 의해 구성되는 제 i+3번째의 비트길이 조정 후의 블록이다.
…
따라서, 실시형태 8에서 설명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제 i 번째의 비트길이 조정 후의 블록을 송신하는데 필요한 슬롯 수(여기에서는 1 슬롯은 s1의 심벌 1 심벌과 s2의 심벌 1 심벌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θ(i)의 변경의 주기 z=9의 정수 배가 된다.
이에 의해 제 i 번째의 비트길이 조정 후의 블록을 형성하는 슬롯에 있어서 θ(i)가 취할 수 있는 9개의 값의 각 출현 회수가 동일해지므로 제 i 번째의 비트길이 조정 후의 블록에 포함되는 정보를 높은 수신 품질로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또, 제 i+1번째의 비트길이 조정 후의 블록을 송신하는데 필요한 슬롯 수(여기에서는 1 슬롯은 s1의 심벌 1 심벌과 s2의 심벌 1 심벌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θ(i)의 변경의 주기 z=9의 정수 배가 된다.
이에 의해 제 i+1번째의 비트길이 조정 후의 블록을 형성하는 슬롯에 있어서 θ(i)가 취할 수 있는 9개의 값의 각 출현 회수가 동일해지므로 제 i+1번째의 비트길이 조정 후의 블록에 포함되는 정보를 높은 수신 품질로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제 i+2번째의 비트길이 조정 후의 블록을 송신하는데 필요한 슬롯 수(여기에서는 1 슬롯은 s1의 심벌 1 심벌과 s2의 심벌 1 심벌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θ(i)의 변경의 주기 z=9의 정수 배가 된다.
이에 의해 제 i+2번째의 비트길이 조정 후의 블록을 형성하는 슬롯에 있어서 θ(i)가 취할 수 있는 9개의 값의 각 출현 회수가 동일해지므로 제 i+2번째의 비트길이 조정 후의 블록에 포함되는 정보를 높은 수신 품질로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제 i+3번째의 비트길이 조정 후의 블록을 송신하는데 필요한 슬롯 수(여기에서는 1 슬롯은 s1의 심벌 1 심벌과 s2의 심벌 1 심벌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θ(i)의 변경의 주기 z=9의 정수 배가 된다.
이에 의해 제 i+3번째의 비트길이 조정 후의 블록을 형성하는 슬롯에 있어서 θ(i)가 취할 수 있는 9개의 값의 각 출현 회수가 동일해지므로 제 i+3번째의 비트길이 조정 후의 블록에 포함되는 정보를 높은 수신 품질로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이후의 비트길이 조정 후의 블록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상기의 예의 같이 실시함으로써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또, 수신장치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5, 실시형태 6, 실시형태 7, 실시형태 8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단, 비트길이의 조정방법에 대해서는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또, 부호화부가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비트의 부호어를 출력한 때, N의 값에 의하지 않고 모든(s1과 s2의) 변조방식의 조합에 의거하는 복소신호의 세트에 대해 비트길이 조정 후의 블록이 상기의 예에서 설명한 어느 하나를 만족하면 송신장치 및/또는 수신장치의 메모리를 삭감의 효과가 보다 효과적이 될 가능성이 크다.
(실시형태 11)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0에서 복수의 예를 이용하여 「부호화부가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비트의 부호어를 출력한 때, 비트길이 조정 후의 블록이 「X+Y의 값」의 배수가 되어 있다와 같이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호화부가 오류정정부호의 부호어 길이(블록길이(부호길이)) N비트의 부호어를 출력한 때, 비트길이 조정 후의 블록이 「X+Y의 값」의 배수가 되어 있다」에 대해서 한번 더 설명을 한다.
또, 「X+Y의 값」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3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16200비트 또는 64800비트로 하고,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으로는 (QPSK, QPSK), (QPSK, 16QAM), (QPSK, 64QAM), (QPSK, 256QAM), (16QAM, 16QAM), (16QAM, 64QAM), (16QAM, 256QAM), (64QAM, 256QAM), (256QAM, 256QAM)이라는 세트를 생각한다(또, 이하에서는 N은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그러면 아래와 같이 된다.
[1]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QPSK, QPSK),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162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4가 된다).
[1-1]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4×N이 된다.
[1-2] 실시형태 4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4×N이 된다(단, 4×n<16200으로 한다).
[1-3] 실시형태 8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4×N이 된다(단, 4×n<16200으로 한다).
[2]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QPSK, 16QAM),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162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6이 된다).
[2-1]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6×N이 된다.
[2-2] 실시형태 4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6×N이 된다(단, 6×n<16200으로 한다).
[2-3] 실시형태 8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6×N이 된다(단, 6×n<16200으로 한다).
[3]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QPSK, 64QAM),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162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8이 된다).
[3-1]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8×N이 된다.
[3-2] 실시형태 4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8×N이 된다(단, 8×n<16200으로 한다).
[3-3] 실시형태 8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8×N이 된다(단, 8×n<16200으로 한다).
[4]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QPSK, 256QAM),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162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10이 된다).
[4-1]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10×N이 된다.
[4-2] 실시형태 4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10×N이 된다(단, 10×n<16200으로 한다).
[4-3] 실시형태 8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10×N이 된다(단, 10×n<16200으로 한다).
[5]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16QAM, 16QAM),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162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8이 된다).
[5-1]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8×N이 된다.
[5-2] 실시형태 4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8×N이 된다(단, 8×n<16200으로 한다).
[5-3] 실시형태 8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8×N이 된다(단, 8×n<16200으로 한다).
[6]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16QAM, 64QAM),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162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10이 된다).
[6-1]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10×N이 된다.
[6-2] 실시형태 4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10×N이 된다(단, 10×n<16200으로 한다).
[6-3] 실시형태 8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10×N이 된다(단, 10×n<16200으로 한다).
[7]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16QAM, 256QAM),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162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12가 된다).
[7-1]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12×N이 된다.
[7-2] 실시형태 4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12×N이 된다(단, 12×n<16200으로 한다).
[7-3] 실시형태 8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12×N이 된다(단, 12×n<16200으로 한다).
[8]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64QAM, 256QAM),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162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14가 된다).
[8-1]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14×n+12가 된다.
[8-2] 실시형태 4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14×n+2가 된다(단, 14×n+2<16200으로 한다).
[8-3] 실시형태 8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14×n+2가 된다(단, 14×n+2<16200으로 한다).
[9]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256QAM, 256QAM),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162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16이 된다).
[9-1]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16×n+8이 된다.
[9-2] 실시형태 4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16×n+8이 된다(단, 16×n+8<16200으로 한다).
[9-3] 실시형태 8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16×n+8이 된다(단, 16×n+8<16200으로 한다).
[10]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QPSK, QPSK),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648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4가 된다).
[10-1]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4×N이 된다.
[10-2] 실시형태 4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4×N이 된다(단, 4×n<64800으로 한다).
[10-3] 실시형태 8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4×N이 된다(단, 4×n<64800으로 한다).
[11]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QPSK, 16QAM),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648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6이 된다).
[11-1]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6×N이 된다.
[11-2] 실시형태 4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6×N이 된다(단, 6×n<64800으로 한다).
[11-3] 실시형태 8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6×N이 된다(단, 6×n<64800으로 한다).
[12]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QPSK, 64QAM),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648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8이 된다).
[12-1]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8×N이 된다.
[12-2] 실시형태 4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8×N이 된다(단, 8×n<64800으로 한다).
[12-3] 실시형태 8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8×N이 된다(단, 8×n<64800으로 한다).
[13]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QPSK, 256QAM),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648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10이 된다).
[13-1]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10×N이 된다.
[13-2] 실시형태 4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10×N이 된다(단, 10×n<64800으로 한다).[13-3] 실시형태 8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10×N이 된다(단, 10×n<64800으로 한다).
[14]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16QAM, 16QAM),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648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8이 된다).
[14-1]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8×N이 된다.
[14-2] 실시형태 4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8×N이 된다(단, 8×n<64800으로 한다).
[14-3] 실시형태 8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8×N이 된다(단, 8×n<64800으로 한다).
[15]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16QAM, 64QAM),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648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10이 된다).
[15-1]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10×N이 된다.
[15-2] 실시형태 4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10×N이 된다(단, 10×n<64800으로 한다).[15-3] 실시형태 8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10×N이 된다(단, 10×n<64800으로 한다).
[16]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16QAM, 256QAM),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648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12가 된다).
[16-1]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12×N이 된다.
[16-2] 실시형태 4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12×N이 된다(단, 12×n<64800으로 한다).[16-3] 실시형태 8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12×N이 된다(단, 12×n<64800으로 한다).
[17]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64QAM, 256QAM),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648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14가 된다).
[17-1]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14×n+6이 된다.
[17-2] 실시형태 4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14×n+8이 된다(단, 14×n+8<64800으로 한다).
[17-3] 실시형태 8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14×n+8이 된다(단, 14×n+8<64800으로 한다).
[18]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256QAM, 256QAM),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648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16이 된다).
[18-1]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16×N이 된다.
[18-2] 실시형태 4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16×N이 된다(단, 16×n<64800으로 한다).
[18-3] 실시형태 8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16×N이 된다(단, 16×n<64800으로 한다).
예를 들어 통신시스템이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으로는 (QPSK, QPSK), (QPSK, 16QAM), (QPSK, 64QAM), (QPSK, 256QAM), (16QAM, 16QAM), (16QAM, 64QAM), (16QAM, 256QAM), (64QAM, 256QAM), (256QAM, 256QAM) 중 어느 하나의 변조방식의 세트를 설정할 수 있고, 또,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16200비트, 혹은 64800비트의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이때, 앞에서 설명한 [1] 내지 [18]에서 설명한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특징적인 점으로는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어느 변조방식의 세트라도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에 따라서 추가하는 비트의 비트 수, 혹은 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가 다르다고 하는 점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케이스 1과 케이스 2를 든다.
케이스 1: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64QAM, 256QAM)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송신장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16200비트, 혹은 64800비트의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로 16200비트를 선택한 때, 앞에서 설명한 [8-1]을 적용할 때 예를 들어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를 12로 설정하고, 앞에서 설명한 [8-2]를 적용할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를 2로 설정하며, 앞에서 설명한 [8-3]을 적용할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를 2로 설정한다.
그리고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로 64800비트를 선택한 때, 앞에서 설명한 [17-1]을 적용할 때 예를 들어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를 6으로 설정하고, 앞에서 설명한 [17-2]를 적용할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를 8로 설정하고, 앞에서 설명한 [17-3]을 적용할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를 8로 설정한다.
케이스 2: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256QAM, 256QAM)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송신장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16200비트, 혹은 64800비트의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로 16200비트를 선택한 때, 앞에서 설명한 [9-1]을 적용할 때 예를 들어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를 8로 설정하고, 앞에서 설명한 [9-2]를 적용할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를 8로 설정하고, 앞에서 설명한 [9-3]을 적용할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를 8로 설정한다.
그리고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로 64800비트를 선택한 때, 앞에서 설명한 [18-1]을 적용할 때 예를 들어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를 0으로 설정하고, 앞에서 설명한 [18-2]를 적용할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를 0으로 설정하고, 앞에서 설명한 [18-3]을 적용할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를 0으로 설정한다.
다음에,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16200비트 또는 64800비트로 하고,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으로는 (QPSK, QPSK), (QPSK, 16QAM), (QPSK, 64QAM), (QPSK, 256QAM), (16QAM, 16QAM), (16QAM, 64QAM), (16QAM, 256QAM), (64QAM, 256QAM), (256QAM, 256QAM)이라는 세트를 생각하여 실시형태 10의 방법을 적용한 경우를 생각한다. 단, 실시형태 10에서 설명한 θ(i)의 변경의 주기 z를 9로 한다(또, 이하에서는 N은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그러면 이하와 같이 된다.
[19]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QPSK, QPSK),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162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4가 된다).
[19-1]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1의 변형 예 내지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3의 변형 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36×N이 된다.
[19-2]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4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36×N이 된다(단, 36×n<16200으로 한다).
[19-3]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8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36×N이 된다(단, 36×n<16200으로 한다).
[20]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QPSK, 16QAM),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162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6이 된다).
[20-1]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1의 변형 예 내지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3의 변형 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18×N이 된다.
[20-2]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4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18×N이 된다(단, 18×n<16200으로 한다).
[20-3]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8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18×N이 된다(단, 18×n<16200으로 한다).
[21]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QPSK, 64QAM),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162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8이 된다).
[21-1]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1의 변형 예 내지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3의 변형 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72×N이 된다.
[21-2]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4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72×N이 된다(단, 72×n<16200으로 한다).
[21-3]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8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72×N이 된다(단, 72×n<16200으로 한다).
[22]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QPSK, 256QAM),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162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10이 된다).
[22-1]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1의 변형 예 내지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3의 변형 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90×N이 된다.
[22-2]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4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90×N이 된다(단, 90×n<16200으로 한다).
[22-3]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8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90×N이 된다(단, 90×n<16200으로 한다).
[23]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16QAM, 16QAM),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162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8이 된다).
[23-1]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1의 변형 예 내지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3의 변형 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72×N이 된다.
[23-2]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4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72×N이 된다(단, 72×n<16200으로 한다).
[23-3]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8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72×N이 된다(단, 72×n<16200으로 한다).
[24]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16QAM, 64QAM),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162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10이 된다).
[24-1]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1의 변형 예 내지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3의 변형 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90×N이 된다.
[24-2]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4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90×N이 된다(단, 90×n<16200으로 한다).
[24-3]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8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90×N이 된다(단, 90×n<16200으로 한다).
[25]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16QAM, 256QAM),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162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12가 된다).
[25-1]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1의 변형 예 내지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3의 변형 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36×N이 된다.
[25-2]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4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36×N이 된다(단, 36×n<16200으로 한다).
[25-3]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8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36×N이 된다(단, 36×n<16200으로 한다).
[26]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64QAM, 256QAM),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162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14가 된다).
[26-1]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1의 변형 예 내지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3의 변형 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126×n+54가 된다.
[26-2]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4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126×n+72가 된다(단, 126×n+72<16200으로 한다).
[26-3]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8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126×n+72가 된다(단, 126×n+72<16200으로 한다).
[27]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256QAM, 256QAM),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162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16이 된다).
[27-1]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1의 변형 예 내지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3의 변형 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144×n+72가 된다.
[27-2]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4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144×n+72가 된다(단, 144×n+72<16200으로 한다).
[27-3]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8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144×n+72가 된다(단, 144×n+72<16200으로 한다).
[28]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QPSK, QPSK),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648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4가 된다).
[28-1]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1의 변형 예 내지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3의 변형 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36×N이 된다.
[28-2]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4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36×N이 된다(단, 36×n<64800으로 한다).
[28-3]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8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36×N이 된다(단, 36×n<64800으로 한다).
[29]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QPSK, 16QAM),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648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6이 된다).
[29-1]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1의 변형 예 내지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3의 변형 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18×N이 된다.
[29-2]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4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18×N이 된다(단, 18×n<64800으로 한다).
[29-3]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8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18×N이 된다(단, 18×n<64800으로 한다).
[30]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QPSK, 64QAM),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648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8이 된다).
[30-1]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1의 변형 예 내지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3의 변형 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72×N이 된다.
[30-2]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4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72×N이 된다(단, 72×n<64800으로 한다).
[30-3]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8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72×N이 된다(단, 72×n<64800으로 한다).
[31]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QPSK, 256QAM),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648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10이 된다).
[31-1]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1의 변형 예 내지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3의 변형 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90×N이 된다.
[31-2]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4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90×N이 된다(단, 90×n<64800으로 한다).
[31-3]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8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90×N이 된다(단, 90×n<64800으로 한다).
[32]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16QAM, 16QAM),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648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8이 된다).
[32-1]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1의 변형 예 내지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3의 변형 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72×N이 된다.
[32-2]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4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72×N이 된다(단, 72×n<64800으로 한다).
[32-3]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8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72×N이 된다(단, 72×n<64800으로 한다).
[33]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16QAM, 64QAM),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648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10이 된다).
[33-1]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1의 변형 예 내지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3의 변형 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90×N이 된다.
[33-2]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4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90×N이 된다(단, 90×n<64800으로 한다).
[33-3]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8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90×N이 된다(단, 90×n<64800으로 한다).
[34]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16QAM, 256QAM),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648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12가 된다).
[34-1]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1의 변형 예 내지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3의 변형 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36×N이 된다.
[34-2]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4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36×N이 된다(단, 36×n<64800으로 한다).
[34-3]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8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36×N이 된다(단, 36×n<64800으로 한다).
[35]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64QAM, 256QAM),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648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14가 된다).
[35-1]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1의 변형 예 내지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3의 변형 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126×n+90이 된다.
[35-2]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4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126×n+36이 된다(단, 126×n+36<64800으로 한다).
[35-3]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8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126×n+36이 된다(단, 126×n+36<64800으로 한다).
[36]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256QAM, 256QAM),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64800비트로 한다(「X+Y의 값」은 16이 된다).
[36-1]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1의 변형 예 내지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3의 변형 예」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 때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는 144×N이 된다.
[36-2]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4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는 144×N이 된다(단, 144×n<64800으로 한다).
[36-3] 「실시형태 10의 실시형태 8의 변형 예」의 방법을 이용한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는 144×N이 된다(단, 144×n<64800으로 한다).
예를 들어 통신시스템이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으로는 (QPSK, QPSK), (QPSK, 16QAM), (QPSK, 64QAM), (QPSK, 256QAM), (16QAM, 16QAM), (16QAM, 64QAM), (16QAM, 256QAM), (64QAM, 256QAM), (256QAM, 256QAM) 중 어느 하나의 변조방식의 세트를 설정할 수 있고, 또,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16200비트, 혹은 64800비트의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단, 실시형태 10에서 설명한 θ(i)의 변경의 주기 z를 9로 한다.
이때, 앞에서 설명한 [19] 내지 [36]에서 설명한 어느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특징적인 점으로는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어느 변조방식의 세트라도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에 따라서 추가하는 비트의 비트 수, 혹은 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가 다르다고 하는 점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케이스 3과 케이스 4를 든다.
케이스 3: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64QAM, 256QAM)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송신장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16200비트, 혹은 64800비트의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로 16200비트를 선택한 때, 앞에서 설명한 [26-1]을 적용할 때 예를 들어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를 54로 설정하고, 앞에서 설명한 [26-2]를 적용할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를 72로 설정하고, 앞에서 설명한 [26-3]을 적용할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를 72로 설정한다.
그리고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로 64800비트를 선택한 때, 앞에서 설명한 [35-1]을 적용할 때 예를 들어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를 90으로 설정하고, 앞에서 설명한 [35-2]를 적용할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를 36으로 설정하고, 앞에서 설명한 [35-3]을 적용할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를 36으로 설정한다.
케이스 4:
(s1(t)(제 1 복소신호 s1)의 변조방식, s2(t)(제 2 복소신호 s2)의 변조방식)이 (256QAM, 256QAM)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송신장치는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를 16200비트, 혹은 64800비트의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로 16200비트를 선택한 때, 앞에서 설명한 [27-1]을 적용할 때 예를 들어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를 72로 설정하고, 앞에서 설명한 [27-2]를 적용할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를 72로 설정하고, 앞에서 설명한 [27-3]을 적용할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를 72로 설정한다.
그리고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로 64800비트를 선택한 때, 앞에서 설명한 [36-1]을 적용할 때 예를 들어 (추가하는) 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를 0으로 설정하고, 앞에서 설명한 [36-2]를 적용할 때 「일시적으로 삽입된 조정비트 열(기지의 정보)의 비트 수」를 0으로 설정하고, 앞에서 설명한 [36-3]을 적용할 때 PunNum(삭제하는 비트)의 비트 수를 0으로 설정한다.
(실시형태 12)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1에서 설명한 비트길이 조정방법을 DVB 규격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T2(T:Terrestrial) 규격을 이용한 방송시스템에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DVB-T2규격을 이용한 방송시스템의 프레임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6은 DVB-T2규격에서의 방송국이 송신하는 신호의 프레임 구성의 개요를 나타내고 있다. DVB-T2규격에서는 OFDM 방식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시간-주파수 축으로 프레임이 구성되어 있다. 도 106은 시간-주파수 축에서의 프레임 구성을 나타내고 있고, 프레임은 P1 Signallingdata(이하, P1심벌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10601), L1 Pre-Signalling data(10602), L1 Post-Signalling data(10603), Common PLP(10604), PLP#1~#N(10605-1~10605-N)로 구성되어 있다(PLP:Physical Layer Pipe). (여기서, L1 Pre-Signalling data(10602), L1 Post-Signalling data(10603)를 P2심벌이라고 부른다).
이와 같이, P1 Signalling data(10601), L1 Pre-Signalling data(10602), L1 Post-Signalling data(10603), Common PLP(10604), PLP#1~#N(10605-1~10605-N)으로 구성되어 있는 프레임을 T2프레임이라고 부르고 있고, 프레임 구성의 하나의 단위로 되어 있다.
P1 Signalling data(10601)에 의해 수신장치가 신호 검출, 주파수 동기(주파수 오프셋 추정도 포함한다)를 행하기 위한 심벌이라는 것과 동시에 프레임에서의 FFT(Fast Fourier Transform) 사이즈의 정보, SISO(Single-Input Single-Output)/MISO(Multiple-Input Single-Output) 중 어느 방식으로 변조신호를 송신하는가의 정보 등을 전송한다(또, DVB-T2규격에서는, SISO 방식인 경우 하나의 변조신호를 송신하는 방식이고, MISO 방식인 경우 복수의 변조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이며, 또한, 비 특허문헌 5, 비 특허문헌 7, 비 특허문헌 8에 나타내고 있는 시공간 블록부호를 이용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SISO 방식일 때 하나의 스트림으로부터 복수의 변조신호를 생성하여 복수의 안테나로 송신해도 좋다.
L1 Pre-Signalling data(10602)에 의해 송신프레임에서 사용하는 가드 인터벌의 정보, APR(Peak to Average Power Ratio)를 삭감하기 위해서 실시하는 신호처리방법에 관한 정보, L1 Post-Signalling data를 전송할 때의 변조방식, 오류정정방식(FEC: Forward Error Correction), 오류정정방식의 부호화율의 정보, L1 Post-Signalling data의 사이즈 및 정보사이즈의 정보, 파일럿 패턴의 정보, 셀(주파수 영역) 고유번호의 정보, 노멀 모드 및 확장 모드(노멀 모드와 확장 모드에서는 데이터 전송에 이용하는 서브 캐리어수가 다르다) 중 어느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가의 정보 등을 전송한다.
L1 Post-Signalling data(10603)에 의해 PLP의 수의 정보, 사용하는 주파수 영역에 관한 정보, 각 PLP의 고유번호의 정보, 각 PLP를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변조방식, 오류정정방식, 오류정정방식의 부호화율의 정보, 각 PLP의 송신하는 블록수의 정보 등을 전송한다. Common PLP(10604), PLP#1~#N(10605-1~10605-N)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영역이다.
도 106의 프레임 구성에서는 P1 Signalling data(10601), L1 Pre-Signalling data(10602), L1 Post-Signalling data(10603), Common PLP(10604), PLP#1~#N(10605-1~10605-N)는 시분할로 송신되고 있ssm 것과 같이 기재하고 있으나, 실제는 동일 시각에 2 종류 이상의 신호가 존재하고 있다. 그 예를 도 107에 나타낸다. 도 107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동일 시각에 L1 Pre-Signalling data, L1 Post-Signalling data, Common PLP가 존재하고 있거나, 동일 시각에 PLP#1, PLP#2가 존재하거나 하는 경우도 있다. 즉, 각 신호는 시분할 및 주파수분할을 병용하여 프레임이 구성되어 있다.
도 108은 DVB-T2규격에서의 (예를 들어 방송국)의 송신장치에 대해 앞에서 설명한 프리코딩 및 위상변경을 실행하는 송신방법을 적용한 송신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PLP 신호생성부(10802)는 PLP용의 송신데이터(10801)(복수 PLP용의 데이터), 제어신호(10809)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10809)에 포함되는 각 PLP의 오류정정부호화 정보, 변조방식의 정보 등의 정보에 의거하여 오류정정부호화, 변조방식에 의거한 매핑을 실행해서 PLP의(직교) 베이스밴드신호(10803)를 출력한다.
P2심벌 신호생성부(10805)는 P2심벌용 송신데이터(10804), 제어신호(10809)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10809)에 포함되는 P2심벌의 오류정정정보, 변조방식의 정보 등의 정보에 의거하여 오류정정부호화, 변조방식에 의거한 매핑을 실행해서 P2심벌의(직교) 베이스밴드신호(10806)를 출력한다.
제어신호생성부(10808)는 P1심벌용의 송신데이터(10807), P2심벌용 송신데이터(10804)를 입력으로 하여, 도 106에서의 각 심벌 군(P1 Signalling data(10601), L1 Pre-Signalling data(10602), L1 Post-Signalling data(10603), Common PLP(10604), PLP#1~#N(10605-1~10605-N))의 송신방법(오류정정부호, 오류정정부호의 부호화율, 변조방식, 블록길이, 프레임 구성, 규칙적으로 프리코딩 행렬을 바꾸는 송신방법을 포함하는 선택한 송신방법, 파일럿심벌 삽입방법,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FFT의 정보 등, PAPR 삭감방법의 정보, 가드 인터벌 삽입방법의 정보)의 정보를 제어신호(10809)로서 출력한다.
프레임 구성부(10810)는 PLP의 베이스밴드신호(10812), P2심벌의 베이스밴드신호(10806), 제어신호(10809)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성의 정보에 의거하여 주파수, 시간 축에서의 재배열을 실행하여 프레임 구성에 따른 스트림 1의(직교) 베이스밴드신호(10811-1)(매핑 후의 신호, 즉, 사용하는 변조방식에 의거하는 베이스밴드신호), 스트림 2의(직교) 베이스밴드신호(10811-2)(매핑 후의 신호, 즉, 사용하는 변조방식에 의거하는 베이스밴드신호)를 출력한다.
신호처리부(10812)는 스트림 1의 베이스밴드신호(10811-1), 스트림 2의 베이스밴드신호(10811-2), 제어신호(10809)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7609)에 포함되는 송신방법에 의거한 신호처리 후의 변조신호 1(10813-1) 및 신호처리 후의 변조신호 2(108313-2)를 출력한다.
또, 신호처리부(10812)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파일럿 삽입부(10814-1)는 신호처리 후의 변조신호 1(10813-1), 제어신호(10809)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10809)에 포함되는 파일럿심벌의 삽입방법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신호처리 후의 변조신호 1(10813-1)에 파일럿심벌을 삽입해서 파일럿심벌 삽입 후의 변조신호(10815-1)를 출력한다.
파일럿 삽입부(0814-2)는 신호처리 후의 변조신호 2(10813-2), 제어신호(10809)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10809)에 포함되는 파일럿심벌의 삽입방법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신호처리 후의 변조신호 2(10813-2)에 파일럿심벌을 삽입해서 파일럿심벌 삽입 후의 변조신호(10815-2)를 출력한다.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부(10816-1)는 파일럿심벌 삽입 후의 변조신호(10815-1), 제어신호(10809)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10809)에 포함되는 IFFT의 방법의 정보에 의거하여 IFFT를 실행하고, IFFT 후의 신호(10816-1)를 출력한다.
IFFT부(10816-2)는 파일럿심벌 삽입 후의 변조신호(10815-2), 제어신호(10809)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10809)에 포함되는 IFFT의 방법의 정보에 의거하여 IFFT를 실행하고, IFFT 후의 신호(10817-2)를 출력한다.
PAPR 삭감부(10818-1)는 IFFT 후의 신호(10817-1), 제어신호(10809)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10809)에 포함되는 PAPR 삭감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IFFT 후의 신호(10817-1)에 PAPR 삭감을 위한 처리를 실행해서 PAPR 삭감 후의 신호(10819-1)를 출력한다.
PAPR 삭감부(10818-2)는 IFFT 후의 신호(10817-2), 제어신호(10809)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10809)에 포함되는 PAPR 삭감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IFFT 후의 신호(10817-2)에 PAPR 삭감을 위한 처리를 실행해서 PAPR 삭감 후의 신호(10819-2)를 출력한다.
가드 인터벌 삽입부(10820-1)는 PAPR 삭감 후의 신호(10819-1), 제어신호(10809)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10809)에 포함되는 가드 인터벌의 삽입방법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PAPR 삭감 후의 신호(10819-1)에 가드 인터벌을 삽입하고, 가드 인터벌 삽입 후의 신호(10821-1)를 출력한다.
가드 인터벌 삽입부(10820-2)는 PAPR 삭감 후의 신호(10819-2), 제어신호(10809)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10809)에 포함되는 가드 인터벌의 삽입방법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PAPR 삭감 후의 신호(10819-2)에 가드 인터벌을 삽입하고, 가드 인터벌 삽입 후의 신호(10821-2)를 출력한다.
P1심벌 삽입부(10822)는 가드 인터벌 삽입 후의 신호(10821-1), 가드 인터벌 삽입 후의 신호(10821-2), P1심벌용의 송신데이터(10807)를 입력으로 하여, P1심벌용의 송신데이터(10807)로부터 P1심벌의 신호를 생성하고, 가드 인터벌 삽입 후의 신호(10821-1)에 대해 P1심벌을 부가하며, P1심벌을 부가한 후의 신호(10823-1) 및 가드 인터벌 삽입 후의 신호(10821-2)에 대해 P1심벌을 부가하여 P1심벌을 부가한 후의 신호(10823-2)를 출력한다. 또, P1심벌의 신호는 P1심벌을 부가한 후의 신호(10823-1), P1심벌을 부가한 후의 신호(10823-2) 양자에 부가되어 있어도 좋고, 또, 어느 일방에 부가되고 있어도 좋다. 일방에 부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부가되어 있는 신호가 부가되어 있는 구간에서는 부가되어 있지 않은 신호에는 베이스밴드신호로 0(제로)의 신호가 존재하게 된다.
무선처리부(10824-1)는 P1심벌을 부가한 후의 신호(10823-1)를 입력으로 하여, 주파수변환, 증폭 등의 처리가 실행되어서 송신신호(10825-1)를 출력한다. 그리고 송신신호(10825-1)는 안테나(10826-1)로부터 전파로서 출력된다.
무선처리부(10824-2)는 P1심벌용 처리 후의 신호(10823-2)를 입력으로 하여, 주파수변환, 증폭 등의 처리가 실행되어서 송신신호(10825-2)를 출력한다. 그리고 송신신호(10825-2)는 안테나(10826-2)로부터 전파로서 출력된다.
예를 들어 도 106과 같은 프레임 구성에 의해 방송국이 각 심벌을 송신한 것으로 한다. 이때, 일례로 PLP(혼란을 피하기 위해 #1에서 $1로 변경한다)$1과 PLP$K를 방송국이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2개의 변조신호를 2개의 안테나로 송신할 때의 주파수-시간 축에서의 프레임 구성을 도 109에 나타낸다.
도 109와 같이, PLP$1은 시각 T, 캐리어 3(도 109의 10901)을 슬롯의 선두로 하고, 시각 T+4, 캐리어 4를 슬롯의 최후(도 109의 10902)로 하여 슬롯(심벌)이 존재하고 있다(도 109 참조).
즉, PLP$1에서는 시각 T, 캐리어 3은 제 1번째의 슬롯이고, 제 2번째의 슬롯은 시각 T, 캐리어 4이며, 제 3번째의 슬롯은 시각 T, 캐리어 5이고, …, 제 7번째의 슬롯은 시각 T+1, 캐리어 1이며, 제 8번째의 슬롯은 시각 T+1, 캐리어 2이고, 제 9번째의 슬롯은 시각 T+1, 캐리어 3이며, …, 제 14번째의 슬롯은 시각 T+1, 캐리어 8이고, 제 15번째의 슬롯은 시각 T+2, 캐리어 0이며, …가 된다.
그리고 PLP$K는 시각 S, 캐리어 4 (도 109의 10903)를 슬롯의 선두로 하고, 시각 S+8, 캐리어 4를 슬롯의 최후(도 109의 10904)로 하여 슬롯(심벌)이 존재하고 있다(도 109 참조).
즉, PLP$K에서는 시각 S, 캐리어 4는 제 1번째의 슬롯이고, 제 2번째의 슬롯은 시각 S, 캐리어 5이며, 제 3번째의 슬롯은 시각 S, 캐리어 6이고, …, 제 5번째의 슬롯은 시각 S, 캐리어 8이며, 제 9번째의 슬롯은 시각 S+1, 캐리어 1이고, 제 10번째의 슬롯은 시각 S+1, 캐리어 2이며, …, 제 16번째의 슬롯은 시각 S+1, 캐리어 8이고, 제 17번째의 슬롯은 시각 S+2, 캐리어 0이며, …가 된다.
또, 각 PLP의 선두의 슬롯(심벌)의 정보와 마지막 슬롯(심벌)의 정보를 포함하는 각 PLP가 사용하고 있는 슬롯의 정보는 P1심벌, P2심벌, 제어심벌 군 등의 제어심벌에 의해 전송되고 있게 된다.
다음에, 도 108의 신호처리부(10812)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신호처리부(10812)는 LDPC부호의 부호화부, 매핑부, 프리코딩부, 비트길이 조정부, 재배열부(인터리버)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신호처리부(10812)는 제어신호(10809)를 입력으로 하고 있고, 제어신호(10809)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LDPC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 전송방법의 정보(SISO 전송, MIMO 전송, MISO 전송), 변조방식의 정보 등에 의거하여 신호처리방법을 결정한다. 이때, 전송방식으로 MIMO 전송이 선택된 경우, LDPC부호의 부호길이(블록길이), 변조방식의 세트에 의거하여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1에서 설명한 비트길이 조정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거하여 신호처리부(10812)는 비트길이의 조정을 실행하고, 그 후, 인터리브나 매핑, 경우에 따라서는 프리코딩을 실시해서 신호처리 후의 변조신호 1(10813-1) 및 신호처리 후의 변조신호 2(10813-2)를 출력한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P1심벌, P2심벌, 제어심벌 군에 의해 각 PLP의 전송방법(예를 들어 하나의 스트림을 송신하는 전송방법, 시공간블록부호를 이용한 전송방법, 2개의 스트림을 송신하는 전송방법) 및 사용하고 있는 변조방식의 정보가 단말에 전송된다.
이때의 단말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0에 있어서 P1심벌 검출, 복호부(11011)는 방송국(도 108)이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처리 후의 신호(11004-X, 11004-Y)를 입력으로 하여 P1심벌을 검출함으로써 신호 검출, 시간 주파수 동기를 실시하는 동시에, P1심벌에 포함되는 제어정보를(복조 및 오류정정 복호를 실시함으로써) 얻어서 P1심벌 제어정보(11012)를 출력한다.
OFDM 방식관련 처리부(11003-X)는 안테나(11001-X)에서 수신한 수신신호(11002-X)를 입력으로 하여, OFDM 방식을 위한 수신 측의 신호처리를 실행해서 신호처리 후의 신호(11004-X)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OFDM 방식관련 처리부(11003-Y)는 안테나(11001-Y)에서 수신한 수신신호(11002-Y)를 입력으로 하여, OFDM 방식을 위한 수신 측의 신호처리를 실행해서 신호처리 후의 신호(11004-Y)를 출력한다.
OFDM 방식관련 처리부(11003-X 및 11003-Y)는 P1심벌 제어정보(11012)를 입력으로 하고 있고, 이 정보에 의거하여 OFDM 방식을 위한 신호처리방법을 변경한다(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송국이 송신하는 신호의 전송방법의 정보가 P1심벌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P2심벌 복조부(11013)는 신호처리 후의 신호(11004-X, 11004-Y) 및 P1심벌 제어정보(11012)를 입력으로 하여, P1심벌 제어정보에 의거하여 신호처리를 실행하고, 복조(오류정정 복호를 포함한다)를 실시하여 P2심벌 제어정보(11014)를 출력한다.
제어정보 생성부(11015)는 P1심벌 제어정보(11012) 및 P2심벌 제어정보(11014)를 입력으로 하여, (수신 동작에 관계하는) 제어정보를 묶어서 제어신호(11016)로서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신호(11016)는 도 1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 부에 입력되게 된다.
변조신호 z1의 채널변동 추정부(11005-1)는 (또, 변조신호 z1 실시형태 A1에 기술한 것과 같다) 신호처리 후의 신호(11004-X), 제어신호(11016)를 입력으로 하여, 송신장치가 변조신호 z1을 송신한 안테나와 수신안테나(11001-X) 간의 채널변동을 신호처리 후의 신호(11004-X)에 포함되는 파일럿심벌 등을 이용해 추정하고, 채널추정신호(11006-1)를 출력한다.
변조신호 z2의 채널변동 추정부(11005-2)는 (또, 변조신호 z2 실시형태 A1에 기술한 것과 같다) 신호처리 후의 신호(11004-X), 제어신호(11016)를 입력으로 하여, 송신장치가 변조신호 z2를 송신한 안테나와 수신안테나(11001-X) 간의 채널변동을 신호처리 후의 신호(11004-X)에 포함되는 파일럿심벌 등을 이용해서 추정하여 채널추정신호(11006-2)를 출력한다.
변조신호 z1의 채널변동 추정부(11007-1)는 (또, 변조신호 z1 실시형태 A1에 기술한 것과 같다) 신호처리 후의 신호(11004-Y), 제어신호(11016)를 입력으로 하여, 송신장치가 변조신호 z1을 송신한 안테나와 수신안테나(11001-Y) 간의 채널변동을 신호처리 후의 신호(11004-Y)에 포함되는 파일럿심벌 등을 이용해 추정하여 채널추정신호(11008-1)를 출력한다.
변조신호 z2의 채널변동 추정부(11007-2)는 (또, 변조신호 z2 실시형태 A1에 기술한 것과 같다) 신호처리 후의 신호(11004-Y), 제어신호(11016)를 입력으로 하여, 송신장치가 변조신호 z2를 송신한 안테나와 수신안테나(11001-Y) 간의 채널변동을 신호처리 후의 신호(11004-Y)에 포함되는 파일럿심벌 등을 이용해 추정하여 채널추정신호(11008-2)를 출력한다.
신호처리부(11009)는 신호(11006-1, 11006-2, 11008-1, 11008-2, 11004-X, 11004-Y) 및 제어신호(11016)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11016)에 포함되어 있는 각 PLP를 전송하기 위해 이용한 전송방식·변조방식·오류정정 부호화방식·오류정정부호화의 부호화율·오류정정부호의 블록 사이즈 등의 정보에 의거하여 복조, 복호의 처리를 실행해서 수신데이터(11010)를 출력한다. 또, 수신장치는 P1심벌, P2심벌, 제어심벌 군 등의 제어심벌에 포함하는 각 PLP가 사용하고 있는 슬롯의 정보로부터 필요로 하고 있는 PLP를 추출하여 복조(신호 분리, 신호 검파를 포함한다), 오류정정 복호를 실시하게 된다.
앞에서의 설명에서는 DVB-T2규격에서의 (예를 들어 방송국)의 송신장치에 대해 프리코딩 및 위상변경을 실행하는 송신방법을 적용한 송신장치와 이 송신장치가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의 구성에 대해 주로 설명하였다.
그런데, DVB-T2규격을 이용한 방송시스템이 운용되어서 이미 DVB-T2규격의 변조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장치가 보급되어 있는 경우, 새로운 규격을 도입할 때 DVB-T2규격의 변조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장치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DVB-T2규격의 변조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장치에 영향을 주지 않고 하나의 스트림을 송신하는 전송방법 및 2개의 스트림을 송신하는 전송방법을 도입하기 위한 P1심벌(P1 Signalling data) 및 P2심벌(L1 Pre-Signalling data 및 L1 Post-Signalling data)의 구성방법 및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1에서 설명한 비트길이 조정방법을 도입하기 위한 P1심벌(P1 Signalling data) 및 P2심벌(L1 Pre-Signalling data 및 L1 Post-Signalling data)의 구성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DVB-T2규격에서는 P1심벌(P1 Signalling data)의 S1필드에 있어서 이하와 같이 규정하고 있다.
또, 표 1에 있어서 SISO 방식은 하나의 스트림을 하나의 안테나 또는 복수 안테나를 이용해서 송신하는 방식이며, MISO 방식은 비 특허문헌 5, 비 특허문헌 7, 비 특허문헌 8에 기재되어 있는 시공간(또는 주파수 공간) 블록부호에 의해 복수의 변조신호를 생성하고,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해 변조신호를 송신하는 방식이다.
P2심벌의 L1 Post-Signalling data의 PLP_FEC_TYPE의 2비트에 있어서 PLP에서 사용하고 있는 FEC(Forwawrd Error Correction)의 타입이 규정되고 있다.
다음에, DVB-T2규격의 변조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장치에 영향을 주지 않고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1에 기재한 비트길이 조정을 실현하기 위한 P1심벌과 P2심벌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앞의 설명에서는 DVB-T2규격에서의 P1심벌(P1 Signalling data)의 S1필드에 대해 설명하였다. 또, DVB 규격에서는 P1심벌(P1 Signalling data)의 S1필드를 이하와 같이 규정하고 있다.
또, 표 3, 표 4에 있어서 SISO 방식은 하나의 스트림을 하나의 안테나 또는 복수 안테나를 이용해서 송신하는 방식이며, MISO 방식은 비 특허문헌 5, 비 특허문헌 7, 비 특허문헌 8에 기재되어 있는 시공간(또는 주파수 공간) 블록부호에 의해 복수의 변조신호를 생성하고,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해 변조신호를 송신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새로운 규격을 위해 표 3, 표 4에 있어서 S1의 값이 「111」이고, 또한, S2 field 1, S2 field 2가 설정된 때의 정의를 이하와 같이 한다.
또, 표 5~표 8에 있어서 「x」는 부정(어느 값이라도 좋다)을 의미하고, SISO 방식은 하나의 스트림을 하나의 안테나 또는 복수 안테나를 이용해서 송신하는 방식이며, MISO 방식은 비 특허문헌 5, 비 특허문헌 7, 비 특허문헌 8에 기재되어 있는 시공간(또는 주파수 공간) 블록부호에 의해 복수의 변조신호를 생성하고,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해 변조신호를 송신하는 방식, MIMO 방식은 예를 들어 앞에서 설명한 실 프리코딩 등을 실시한 2개의 스트림을 송신하는 방식이다.
이상과 같이 송신장치가 송신하는 P1심벌에 의해,
「하나의 스트림을 송신하는 전송방법 및 2개의 스트림을 송신하는 전송방법의 어느 전송방식으로 전송했는가」
를 수신장치는 알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하나의 스트림을 송신하는 전송방법, 또는 SISO 방식(하나의 스트림을 하나의 안테나 또는 복수 안테나를 이용해서 송신하는 방식), 또는 MISO 방식(비 특허문헌 X1, 비 특허문헌 X2에 기재되어 있는 시공간(또는 주파수 공간) 블록부호에 의해 복수의 변조신호를 생성하고, 복수의 안테나를 이용해 변조신호를 송신하는 방식), 또는 MIMO 전송방식이 선택되었을 때 P2심벌의 L1 Post-Signalling data의 PLP_FEC_TYPE의 2비트를 이하와 같이 정의한다(또, P1심벌의 S1 및 S2의 설정방법은 표 3, 표 4, 표 5~표 8과 같다).
또, P2심벌의 L1 Post-Signalling data의 PLP_NUM_PER_CHANNEL_USE의 3비트를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정의한다.
또, 「X+Y의 값」, s1, s2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3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것으로 한다.
따라서, P1심벌에 의해 Ω규격의 MIMO 전송방식이 지정된 경우, P2심벌의 L1 Post-Signalling data의 PLP_FEC_TYPE의 2비트의 값에 의해 지정된 LDPC부호의 블록길이 및 P2심벌의 L1Post-Signalling data의 PLP_NUM_PER_CHANNEL_USE의 3비트에 의해 지정된 s1의 변조방식과 s2의 변조방식에 의해 도 108의 신호처리부(10812)는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1에서 설명한 비트길이 조정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거하여 비트길이의 조정(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의 조정)을 실시하고, 그 후, 인터리브나 매핑, 경우에 따라서는 프리코딩을 실행해서 신호처리 후의 변조신호 1(10813-1) 및 신호처리 후의 변조신호 2(10813-2)를 출력한다.
또, 비트길이의 조정(조정비트 열의 비트 수의 조정)의 구체적의 수치 예에 대해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1에서 기재하고 있다. 단, 어디까지나 예이다.
그리고 도 110의 단말의 수신장치에 있어서 P1심벌 검출, 복조부(11011) 및 P2심벌 복조부(11013)에 의해 P1심벌, P2심벌의 L1 Post-Signalling data의 PLP_FEC_TYPE 및 P2심벌의 L1 Post-Signalling data의 PLP_NUM_PER_CHANNEL_USE의 데이터를 얻어서, 얻어진 데이터에 의거하여 제어신호 생성부(11015)는 송신장치가 이용한 비트길이 조정방법을 추정하며, 신호처리부(11009)는 추정한 비트길이 조정방법에 의거한 신호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또, 신호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1의 수신장치의 동작 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이상과 같이 실시함으로써 송신장치는 DVB-T2규격에 의거한 변조신호에 더하여 새로운 규격의 변조신호를 효율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즉, P1심벌, P2심벌에 의한 제어정보를 적게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새로운 규격의 변조신호를 송신할 때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1에서 설명한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 수신장치는 P1심벌, P2심벌에 의해 수신신호가 DVB-T2규격의 신호인가 새로운 규격의 신호인가를 판단할 수 있고, 또,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1에서 설명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1에서 설명한 비트길이 조정을 실행하여 변조신호를 방송국이 송신함으로써 단말의 수신장치는 LDPC부호 등의 블록부호의 각 블록을 구성하는 심벌이 명확(복수의 블록의 데이터로 구성하는 심벌이 존재하지 않는다)하므로 P1심벌, P2심벌의 제어정보의 구성을 적게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복수의 블록의 데이터로 구성하는 심벌이 존재하는 경우, 그때의 프레임 구성에 관한 정보를 부가할 필요가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P1심벌의 구성 및 P2심벌의 구성은 예이며, 다른 구성방법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단, P1심벌, P2심벌로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동시에 새로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심벌을 송신프레임에 추가해도 좋다.
(보충 1)
당연하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실시형태를 복수 조합해서 실시해도 좋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은 전칭기호(universal quantifier)를 나타내고 있고, 「∃」은 존재기호(existential quantifier)를 나타내고 있다.
또, 본 명세서에 복소평면에서의 예를 들어 편각과 같은 위상의 단위는 「라디안(radian)」으로 하고 있다.
복소평면을 이용하면 복소수의 극좌표에 의한 표시로 극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복소수 z = a + jb(a, b는 모두 실수이며, j는 허수 단위이다)에 복소평면 상의 점 (a, b)를 대응시킨 때 이 점이 극좌표에서 [r, θ]로 표시되면,
a=r×cosθ,
b=r×sinθ
가 성립하며, r은 z의 절대치 (r = |z|)이고, θ가 편각(argument)이 된다. 그리고 z = a + jb는 r×ejθ로 표시되게 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베이스밴드신호, s1, s2, z1, z2는 복소신호가 되나, 복소신호는 동상신호를 I, 직교 신호를 Q로 한 때, 복소신호는 I + jQ(j는 허수 단위)로 표시되게 된다. 이때, I가 제로가 되어도 좋고, Q가 제로가 되어도 좋다.
또, 예를 들어 상기 통신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미리 ROM(Read Only Memory)에 저장해 두고, 그 프로그램을 CPU(Central Processor Unit)에 의해 동작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통신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에 저장하고, 기억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컴퓨터의 RAM(Random Access Memory)에 기록하여, 컴퓨터를 그 프로그램에 따라서 동작시키도록 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의 각 실시형태 등의 각 구성은 전형적으로는 집적회로인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서 실현되어도 좋다. 이들은 개별적으로 1 칩화되어도 좋고, 각 실시형태의 모든 구성 또는 일부의 구성을 포함하도록 1 칩화되어도 좋다. 여기에서는 LSI로 하였으나, 집적도의 차이에 따라 IC(IntegratedCircuit),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라고 호칭되는 경우도 있다. 또, 집적회로화의 수법은 LSI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용회로 또는 범용프로세서로 실현해도 좋다.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할 수 있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 가능한 리컨피거러블 프로세서를 이용해도 좋다.
또,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다른 기술에 의해 LSI를 치환할 수 있는 집적회로화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해서 기능 블록의 집적화를 실시해도 좋다. 바이오 기술의 적응 등이 가능성으로 있을 수 있다.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1에서 비트길이 조정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또, 실시형태 12에서는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1의 비트길이 조정방법을 DVB 규격에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들 실시형태 중에서 변조방식으로 16QAM, 64QAM, 256QAM을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2에서 16QAM 대신에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16개의 신호점을 가지는 변조방식을 이용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2에서 64QAM 대신에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64개의 신호점을 가지는 변조방식, 256QAM의 대신에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 256개의 신호점을 가지는 변조방식을 이용해도 좋다.
또, 본 명세서에서 1개의 안테나는 복수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수신장치와 안테나가 별개로 되어 있는 구성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안테나에서 수신한 신호, 또는 안테나에서 수신한 신호에 대해 주파수변환을 실행한 신호를 케이블을 통해서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수신장치가 구비하며, 수신장치는 그 후의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또, 수신장치가 얻은 데이터·정보는 그 후 영상이나 음으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모니터)에 표시되거나 스피커로부터 음이 출력되거나 한다. 또, 수신장치가 얻은 데이터·정보는 영상이나 음에 관한 신호처리가 이루어지고(신호처리를 부가하지 않아도 좋다), 수신장치가 구비하는 RCA 단자(영상단자, 음성용 단자),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디지털용 단자 등으로부터 출력되어도 좋다.
(보충 2)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1에서 비트길이 조정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또, 실시형태 12에서는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1비트 길이조정방법을 DVB 규격에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들 실시형태 중에서 변조방식으로 16QAM, 64QAM, 256QAM을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16QAM, 64QAM, 256QAM에 대한 구체적인 매핑 방법에 대해서는 (구성 예 R1)에서 설명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구성 예 R1)과는 다른 16QAM, 64QAM, 256QAM의 매핑 방법 등의 구성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 설명하는 16QAM, 64QAM, 256QAM을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2에 대해 적용해도 좋으며, 이때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2에서 설명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6QAM을 확장화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16QAM의 매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1은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6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11에 있어서 16개의 ○이 16QAM의 신호점이며, 횡축은 I, 종축은 Q가 된다. 또, 도 111에서 f>0(f는 0보다 큰 실수)이며, f≠3이고, 또한, f≠1인 것으로 한다.
16QAM의 16개의 신호점(도 111의 「○」이 신호점이다)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는,
(3×w16a, 3×w16a), (3×w16a, f×w16a), (3×w16a,-f×w16a), (3×w16a,-3×w16a), (f×w16a, 3×w16a), (f×w16a, f×w16a), (f×w16a,-f×w16a), (f×w16a,-3×w16a), (-f×w16a, 3×w16a), (-f×w16a, f×w16a), (-f×w16a,-f×w16a), (-f×w16a,-3×w16a), (-3×w16a, 3×w16a), (-3×w16a, f×w16a), (-3×w16a,-f×w16a), (-3×w16a,-3×w16a)가 된다(w16a는 0보다 큰 실수가 된다).
여기서, 송신하는 비트(입력 비트)를 b0, b1, b2, b3으로 한다. 예를 들어 송신하는 비트가 (b0, b1, b2, b3)=(0, 0, 0, 0)인 경우 도 111에서의 신호점 11101에 매핑 되며,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을 I, 직교성분을 Q로 하면 (I, Q)=(3×w16a, 3×w16a)가 된다.
즉, 송신하는 비트(b0, b1, b2, b3)에 의거하여 (16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가 결정된다. 또, b0, b1, b2, b3의 세트 (0000~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의 일례는 도 111과 같다. 16QAM의 16개의 신호점(도 111의 「○」)
(3×w16a, 3×w16a), (3×w16a, f×w16a), (3×w16a,-f×w16a), (3×w16a,-3×w16a), (f×w16a, 3×w16a), (f×w16a, f×w16a), (f×w16a,-f×w16a), (f×w16a,-3×w16a), (-f×w16a, 3×w16a), (-f×w16a, f×w16a), (-f×w16a,-f×w16a), (-f×w16a,-3×w16a), (-3×w16a, 3×w16a), (-3×w16a, f×w16a), (-3×w16a,-f×w16a), (-3×w16a,-3×w16a)
의 바로 아래에 b0, b1, b2, b3의 세트 0000~1111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b0, b1, b2, b3의 세트 0000~1111의 바로 위의 신호점(「○」)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가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및 직교성분 Q가 된다. 또, 16QAM일 때의 b0, b1, b2, b3의 세트 (0000~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는 도 11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1의 16개의 신호점에 있어서 「신호점 1」 「신호점 2」…「신호점 15」 「신호점 16」이라고 부른다(16개의 신호점이 존재하므로 「신호점 1」 내지 「신호점 16」이 존재하게 된다). 동상 I-직교 Q평면에서 「신호점 i」와 원점의 거리를 Di로 한다. 이때, w16a를 이하와 같이 부여한다.
그러면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평균 파워는 z2가 된다.
또, 앞에서 설명에 있어서 (구성 예 R1)와 동등하게 되는 경우를 uniform-16QAM이라고 하고, 그 이외의 경우를 non-uniform 16QAM이라고 한다.
64QAM의 매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2는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64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12에 있어서 64개의 ○이 64QAM의 신호점이며, 횡축은 I, 종축은 Q가 된다. 도 112에서 g1>0(g1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g2>0(g2는 0보다 큰 실수)이며, 또한, g3>0(g3는 0보다 큰 실수)이고,
{{g1≠7이고, 또한, g2≠7이며, 또한, g3≠7}이 성립하며},
또한,{{(g1, g2, g3)≠(1, 3, 5)이고, 또한, (g1, g2, g3)≠(1, 5, 3)이며, 또한, (g1, g2, g3)≠(3, 1, 5)이고, 또한, (g1, g2, g3)≠(3, 5, 1)이며, 또한, (g1, g2, g3)≠(5, 1, 3)이고, 또한, (g1, g2, g3)≠(5, 3, 1)}가 성립하고},
또한,{{g1≠g2이고, 또한, g1≠g3이며, 또한, g2≠g3}가 성립하는}인 것으로 한다.
64QAM의 64개의 신호점(도 112의 「○」이 신호점이다)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는,
(7×w64a, 7×w4a), (7×w64a, g3×w64a), (7×w64a, g2×w64a), (7×w64a, g1×w64a), (7×w64a,-g1×w64a), (7×w64a,-g2×w64a), (7×w64a,-g3×w64a), (7×w64a,-7×w4a)
(g3×w64a, 7×w4a), (g3×w64a, g3×w64a), (g3×w64a, g2×w64a), (g3×w64a, g1×w64a), (g3×w64a,-g1×w64a), (g3×w64a,-g2×w64a), (g3×w64a,-g3×w64a), (g3×w64a,-7×w64a)
(g2×w64a, 7×w64a), (g2×w64a, g3×w64a), (g2×w64a, g2×w64a), (g2×w64a, g1×w64a), (g2×w64a,-g1×w64a), (g2×w64a,-g2×w64a), (g2×w64a,-g3×w64a), (g2×w64a,-7×w64a)
(g1×w64a, 7×w64a), (g1×w64a, g3×w64a), (g1×w64a, g2×w64a), (g1×w64a, g1×w64a), (g1×w64a,-g1×w64a), (g1×w64a,-g2×w64a), (g1×w64a,-g3×w64a), (g1×w64a,-7×w64a)
(-g1×w64a, 7×w64a), (-g1×w64a, g3×w64a), (-g1×w64a, g2×w64a), (-g1×w64a, g1×w64a), (-g1×w64a,-g1×w64a), (-g1×w64a,-g2×w64a), (-g1×w64a,-g3×w64a), (-g1×w64a,-7×w64a)
(-g2×w64a, 7×w64a), (-g2×w64a, g3×w64a), (-g2×w64a, g2×w64a), (-g2×w64a, g1×w64a), (-g2×w64a,-g1×w64a), (-g2×w64a,-g2×w64a), (-g2×w64a,-g3×w64a), (-g2×w64a,-7×w64a)
(-g3×w64a, 7×w64a), (-g3×w64a, g3×w64a), (-g3×w64a, g2×w64a), (-g3×w64a, g1×w64a), (-g3×w64a,-g1×w64a), (-g3×w64a,-g2×w64a), (-g3×w64a,-g3×w64a), (-g3×w64a,-7×w64a)
(-7×w64a, 7×w64a), (-7×w64a, g3×w64a), (-7×w64a, g2×w64a), (-7×w64a, g1×w64a), (-7×w64a,-g1×w64a), (-7×w64a,-g2×w64a), (-7×w64a,-g3×w64a), (-7×w64a,-7×w64a)
가 된다(w64a는 0보다 큰 실수가 된다).
여기서, 송신하는 비트(입력 비트)를 b0, b1, b2, b3, b4, b5로 한다. 예를 들어 송신하는 비트가 (b0, b1, b2, b3, b4, b5)=(0, 0, 0, 0, 0, 0)인 경우, 도 112에서의 신호점 11201에 매핑 되며,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을 I, 직교성분을 Q로 하면 (I, Q)=(7×w64a, 7×w64a)가 된다.
즉, 송신하는 비트(b0, b1, b2, b3, b4, b5)에 의거하여 (64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가 결정된다. 또,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의 일례는 도 112와 같다. 64QAM의 64개의 신호점(도 112의 「○」)
(7×w64a, 7×w64a), (7×w64a, g3×w64a), (7×w64a, g2×w64a), (7×w64a, g1×w64a), (7×w64a,-g1×w64a), (7×w64a,-g2×w64a), (7×w64a,-g3×w64a), (7×w64a,-7×w64a)
(g3×w64a, 7×w64a), (g3×w64a, g3×w64a), (g3×w64a, g2×w64a), (g3×w64a, g1×w64a), (g3×w64a,-g1×w64a), (g3×w64a,-g2×w64a), (g3×w64a,-g3×w64a), (g3×w64a,-7×w4a)
(g2×w64a, 7×w4a), (g2×w64a, g3×w64a), (g2×w64a, g2×w64a), (g2×w64a, g1×w64a), (g2×w64a,-g1×w64a), (g2×w64a,-g2×w64a), (g2×w64a,-g3×w64a), (g2×w64a,-7×w4a)
(g1×w64a, 7×w4a), (g1×w64a, g3×w64a), (g1×w64a, g2×w64a), (g1×w64a, g1×w64a), (g1×w64a,-g1×w64a), (g1×w64a,-g2×w64a), (g1×w64a,-g3×w64a), (g1×w64a,-7×w64a)
(-g1×w64a, 7×w64a), (-g1×w64a, g3×w64a), (-g1×w64a, g2×w64a), (-g1×w64a, g1×w64a), (-g1×w64a,-g1×w64a), (-g1×w64a,-g2×w64a), (-g1×w64a,-g3×w64a), (-g1×w64a,-7×w64a)
(-g2×w64a, 7×w64a), (-g2×w64a, g3×w64a), (-g2×w64a, g2×w64a), (-g2×w64a, g1×w64a), (-g2×w64a,-g1×w64a), (-g2×w64a,-g2×w64a), (-g2×w64a,-g3×w64a), (-g2×w64a,-7×w64a)
(-g3×w64a, 7×w64a), (-g3×w64a, g3×w64a), (-g3×w64a, g2×w64a), (-g3×w64a, g1×w64a), (-g3×w64a,-g1×w64a), (-g3×w64a,-g2×w64a), (-g3×w64a,-g3×w64a), (-g3×w64a,-7×w64a)
(-7×w64a, 7×w64a), (-7×w64a, g3×w64a), (-7×w64a, g2×w64a), (-7×w64a, g1×w64a), (-7×w64a,-g1×w64a), (-7×w64a,-g2×w64a), (-7×w64a,-g3×w64a), (-7×w64a,-7×w64a)
의 바로 아래에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의 바로 위의 신호점(「○」)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가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및 직교성분 Q가 된다. 또, 64QAM일 때의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는 도 11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2의 64개의 신호점에 있어서 「신호점 1」 「신호점 2」…「신호점 63」 「신호점 64」라고 한다(64개의 신호점이 존재하므로 「신호점 1」 내지 「신호점 64」가 존재하게 된다).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신호점 i」와 원점의 거리를 Di로 한다. 이때, w64a를 이하와 같이 부여한다.
그러면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평균 파워는 z2가 된다.
또, 앞에서의 설명에 있어서 (구성 예 R1)과 동등하게 되는 경우를 uniform-64QAM이라고 하고, 그 이외인 경우를 non-uniform 64QAM이라고 한다.
256QAM의 매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3은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256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13에 있어서 256개의 ○이 256QAM의 신호점이며, 횡축은 I, 종축은 Q가 된다. 도 113에서 h1>0(h1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h2>0(h2는 0보다 큰 실수)이며, 또한, h3>0(h3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h4>0(h4는 0보다 큰 실수)이며, 또한, h5>0(h5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h6>0(h6은 0보다 큰 실수)이며, 또한, h7>0(h7은 0보다 큰 실수)이며,
{{h1≠15이고, 또한, h2≠15이고, 또한, h3≠15이고, 또한, h4≠15이고, 또한, h5≠15이고, 또한, h6≠15이고, 또한, h7≠15}가 성립하며},
또한,
{{a1은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2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3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4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5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6은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7은 1 이상 7 이하의 정수}가 성립하고,{x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y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x≠y}가 성립한 때,{모든 x, 모든 y에서 ax≠ay가 성립}할 때 (ha1, ha2, ha3, ha4, ha5, ha6, ha7)≠(1, 3, 5, 7, 9, 11, 13)이 성립한다}.
또한,{{h1≠h2이고, 또한, h1≠h3이고, 또한, h1≠h4이고, 또한, h1≠h5이며,
또한, h1≠h6이고, 또한, h1≠h7이고,
또한, h2≠h3이고, 또한, h2≠h4이고, 또한, h2≠h5이고, 또한, h2≠h6이고, 또한, h2≠h7이며,
또한, h3≠h4이고, 또한, h3≠h5이고, 또한, h3≠h6이고, 또한, h3≠h7이며,
또한, h4≠h5이고, 또한, h4≠h6이고, 또한, h4≠h7이며,
또한, h5≠h6이고, 또한, h5≠h7이고,
또한, h6≠h7}이 성립한다}
인 것으로 한다.
256QAM의 256개의 신호점(도 113의 「○」이 신호점이다)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는,
(15×w256a, 15×w256a), (15×w256a, h7×w256a), (15×w256a, h6×w256a), (15×w256a, h5×w256a), (15×w256a, h4×w256a), (15×w256a, h3×w256a), (15×w256a, h2×w256a), (15×w256a, h1×w256a), (15×w256a,-15×w256a), (15×w256a,-h7×256a), (15×w256a,-h6×w256a), (15×w256a,-h5×w256a), (15×w256a,-h4×w256a), (15×w256a,-h3×w256a), (15×w256a,-h2×w256a), (15×w256a,-h1×w256a),
(h7×w256a, 15×w256a), (h7×w256a, h7×w256a), (h7×w256a, h6×w256a), (h7×w256a, h5×w256a), (h7×w256a, h4×w256a), (h7×w256a, h3×w256a), (h7×w256a, h2×w256a), (h7×w256a, h1×w256a), (h7×w256a,-15×w256a), (h7×w256a,-h7×w256a), (h7×w256a,-h6×w256a), (h7×w256a,-h5×w256a), (h7×w256a,-h4×w256a), (h7×w256a,-h3×w256a), (h7×w256a,-h2×w256a), (h7×w256a,-h1×w256a),
(h6×w256a, 15×w256a), (h6×w256a, h7×w256a), (h6×w256a, h6×w256a), (h6×w256a, h5×w256a), (h6×w256a, h4×w256a), (h6×w256a, h3×w256a), (h6×w256a, h2×w256a), (h6×w256a, h1×w256a), (h6×w256a,-15×w256a), (h6×w256a,-h7×w256a), (h6×w256a,-h6×w256a), (h6×w256a,-h5×w256a), (h6×w256a,-h4×w256a), (h6×w256a,-h3×w256a), (h6×w256a,-h2×w256a), (h6×w256a,-h1×w256a),
(h5×w256a, 15×w256a), (h5×w256a, h7×w256a), (h5×w256a, h6×w256a), (h5×w256a, h5×w256a), (h5×w256a, h4×w256a), (h5×w256a, h3×w256a), (h5×w256a, h2×w256a), (h5×w256a, h1×w256a), (h5×w256a,-15×w256a), (h5×w256a,-h7×w256a), (h5×w256a,-h6×w256a), (h5×w256a,-h5×w256a), (h5×w256a,-h4×w256a), (h5×w256a,-h3×w256a), (h5×w256a,-h2×w256a), (h5×w256a,-h1×w256a),
(h4×w256a, 15×w256a), (h4×w256a, h7×w256a), (h4×w256a, h6×w256a), (h4×w256a, h5×w256a), (h4×w256a, h4×w256a), (h4×w256a, h3×w256a), (h4×w256a, h2×w256a), (h4×w256a, h1×w256a), (h4×w256a,-15×w256a), (h4×w256a,-h7×w256a), (h4×w256a,-h6×w256a), (h4×w256a,-h5w256a), (h4×w256a,-h4×w256a), (h4×w256a,-h3w256a), (h4×w256a,-h2w256a), (h4×w256a,-h1w256a),
(h3×w256a, 15×w256a), (h3×w256a, h7×w256a), (h3×w256a, h6×w256a), (h3×w256a, h5×w256a), (h3×w256a, h4×w256a), (h3×w256a, h3×w256a), (h3×w256a, h2×w256a), (h3×w256a, h1×w256a), (h3×w256a,-15×w256a), (h3×w256a,-h7×w256a), (h3×w256a,-h6×w256a), (h3×w256a,-h5×w256a), (h3×w256a,-h4×w256a), (h3×w256a,-h3×w256a), (h3×w256a,-h2×w256a), (h3×w256a,-h1×w256a),
(h2×w256a, 15×w256a), (h2×w256a, h7×w256a), (h2×w256a, h6×w256a), (h2×w256a, h5×w256a), (h2×w256a, h4×w256a), (h2×w256a, h3×w256a), (h2×w256a, h2×w256a), (h2×w256a, h1×w256a), (h2×w256a,-15×w256a), (h2×w256a,-h7×w256a), (h2×w256a,-h6×w256a), (h2×w256a,-h5×w256a), (h2×w256a,-h4×w256a), (h2×w256a,-h3×w256a), (h2×w256a,-h2×w256a), (h2×w256a,-h1×w256a),
(h1×w256a, 15×w256a), (h1×w256a, h7×w256a), (h1×w256a, h6×w256a), (h1×w256a, h5×w256a), (h1×w256a, h4×w256a), (h1×w256a, h3×w256a), (h1×w256a, h2×w256a), (h1×w256a, h1×w256a), (h1×w256a,-15×w256a), (h1×w256a,-h7×w256a), (h1×w256a,-h6×w256a), (h1×w256a,-h5×w256a), (h1×w256a,-h4×w256a), (h1×w256a,-h3×w256a), (h1×w256a,-h2×w256a), (h1×w256a,-h1×w256a),
(-15×w256a, 15×w256a), (-15×w256a, h7×w256a), (-15×w256a, h6×w256a), (-15×w256a, h5×w256a), (-15×w256a, h4×w256a), (-15×w256a, h3×w256a), (-15×w256a, h2×w256a), (-15×w256a, h1×w256a), (-15×w256a,-15×w256a), (-15×w256a,-h7×w256a), (-15×w256a,-h6×w256a), (-15×w256a,-h5×w256a), (-15×w256a,-h4×w256a), (-15×w256a,-h3×w256a), (-15×w256a,-h2×w256a), (-15×w256a,-h1×w256a),
(-h7×w256a, 15×w256a), (-h7×w256a, h7×w256a), (-h7×w256a, h6×w256a), (-h7×w256a, h5×w256a), (-h7×w256a, h4×w256a), (-h7×w256a, h3×w256a), (-h7×w256a, h2×w256a), (-h7×w256a, h1×w256a), (-h7×w256a,-15×w256a), (-h7×w256a,-h7×w256a), (-h7×w256a,-h6×w256a), (-h7×w256a,-h5×w256a), (-h7×w256a,-h4×w256a), (-h7×w256a,-h3×w256a), (-h7×w256a,-h2×w256a), (-h7×w256a,-h1×w256a),
(-h6×w256a, 15×w256a), (-h6×w256a, h7×w256a), (-h6×w256a, h6×w256a), (-h6×w256a, h5×w256a), (-h6×w256a, h4×w256a), (-h6×w256a, h3×w256a), (-h6×w256a, h2×w256a), (-h6×w256a, h1×w256a),
(-h6×w256a,-15×w256a), (-h6×w256a,-h7×w256a), (-h6×w256a,-h6×w256a), (-h6×w256a,-h5×w256a), (-h6×w256a,-h4×w256a), (-h6×w256a,-h3×w256a), (-h6×w256a,-h2×w256a), (-h6×w256a,-h1×w256a),
(-h5×w256a, 15×w256a), (-h5×w256a, h7×w256a), (-h5×w256a, h6×w256a), (-h5×w256a, h5×w256a), (-h5×w256a, h4×w256a), (-h5×w256a, h3×w256a), (-h5×w256a, h2×w256a), (-h5×w256a, h1×w256a), (-h5×w256a,-15×w256a), (-h5×w256a,-h7×w256a), (-h5×w256a,-h6×w256a), (-h5×w256a,-h5×w256a), (-h5×w256a,-h4×w256a), (-h5×w256a,-h3×w256a), (-h5×w256a,-h2×w256a), (-h5×w256a,-h1×w256a),
(-h4×w256a, 15×w256a), (-h4×w256a, h7×w256a), (-h4×w256a, h6×w256a), (-h4×w256a, h5×w256a), (-h4×w256a, h4×w256a), (-h4×w256a, h3×w256a), (-h4×w256a, h2×w256a), (-h4×w256a, h1×w256a),
(-h4×w256a,-15×w256a), (-h4×w256a,-h7×w256a), (-h4×w256a,-h6×w256a), (-h4×w256a,-h5×w256a), (-h4×w256a,-h4×w256a), (-h4×w256a,-h3×w256a), (-h4×w256a,-h2×w256a), (-h4×w256a,-h1×w256a),
(-h3×w256a, 15×w256a), (-h3×w256a, h7×w256a), (-h3×w256a, h6×w256a), (-h3×w256a, h5×w256a), (-h3×w256a, h4×w256a), (-h3×w256a, h3×w256a), (-h3×w256a, h2×w256a), (-h3×w256a, h1×w256a), (-h3×w256a,-15×w256a), (-h3×w256a,-h7×w256a), (-h3×w256a,-h6×w256a), (-h3×w256a,-h5×w256a), (-h3×w256a,-h4×w256a), (-h3×w256a,-h3×w256a), (-h3×w256a,-h2×w256a), (-h3×w256a,-h1×w256a),
(-h2×w256a, 15×w256a), (-h2×w256a, h7×w256a), (-h2×w256a, h6×w256a), (-h2×w256a, h5×w256a), (-h2×w256a, h4×w256a), (-h2×w256a, h3×w256a), (-h2×w256a, h2×w256a), (-h2×w256a, h1×w256a), (-h2×w256a,-15×w256a), (-h2×w256a,-h7×w256a), (-h2×w256a,-h6×w256a), (-h2×w256a, h5×w256a), (-h2×w256a,-h4×w256a), (-h2×w256a,-h3×w256a), (-h2×w256a,-h2×w256a), (-h2×w256a,-h1×w256a),
(-h1×w256a, 15×w256a), (-h1×w256a, h7×w256a), (-h1×w256a, h6×w256a), (-h×w256a, h5×w256a), (-h1×w256a, h4×w256a), (-h1×w256a, h3×w256a), (-h1×w256a, h2×w256a), (-h1×w256a, h1×w256a), (-h1×w256a,-15×w256a), (-h1×w256a,-h7×w256a), (-h1×w256a,-h6×w256a), (-h1×w256a,-h5×w256a), (-h1×w256a,-h4×w256a), (-h1×w256a,-h3×w256a), (-h1×w256a,-h2×w256a), (-h1×w256a,-h1×w256a),
가 된다(w256a는 0보다 큰 실수가 된다).
여기서, 송신하는 비트(입력 비트)를 b0, b1, b2, b3, b4, b5, b6, b7로 한다. 예를 들어 송신하는 비트가 (b0, b1, b2, b3, b4, b5, b6, b7)=(0, 0, 0, 0, 0, 0, 0, 0)인 경우, 도 113에서의 신호점 11301에 매핑 되며,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을 I, 직교성분을 Q로 하면 (I, Q)=(15×w256a, 15×w256a)가 된다.
즉, 송신하는 비트(b0, b1, b2, b3, b4, b5, b6, b7)에 의거하여 (256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가 결정된다. 또, b0, b1, b2, b3, b4, b5, b6, b7의 세트 (00000000~1111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의 일례는 도 113과 같다. 256QAM의 256개의 신호점(도 113의 「○」)
(15×w256a, 15×w256a), (15×w256a, h7×w256a), (15×w256a, h6×w256a), (15×w256a, h5×w256a), (15×w256a, h4×w256a), (15×w256a, h3×w256a), (15×w256a, h2×w256a), (15×w256a, h1×w256a), (15×w256a,-15×w256a), (15×w256a,-h7×256a), (15×w256a,-h6×w256a), (15×w256a,-h5×w256a), (15×w256a,-h4×w256a), (15×w256a,-h3×w256a), (15×w256a,-h2×w256a), (15×w256a,-h1×w256a),
(h7×w256a, 15×w256a), (h7×w256a, h7×w256a), (h7×w256a, h6×w256a), (h7×w256a, h5×w256a), (h7×w256a, h4×w256a), (h7×w256a, h3×w256a), (h7×w256a, h2×w256a), (h7×w256a, h1×w256a), (h7×w256a,-15×w256a), (h7×w256a,-h7×w256a), (h7×w256a,-h6×w256a), (h7×w256a,-h5×w256a), (h7×w256a,-h4×w256a), (h7×w256a,-h3×w256a), (h7×w256a,-h2×w256a), (h7×w256a,-h1×w256a),
(h6×w256a, 15×w256a), (h6×w256a, h7×w256a), (h6×w256a, h6×w256a), (h6×w256a, h5×w256a), (h6×w256a, h4×w256a), (h6×w256a, h3×w256a), (h6×w256a, h2×w256a), (h6×w256a, h1×w256a), (h6×w256a,-15×w256a), (h6×w256a,-h7×w256a), (h6×w256a,-h6×w256a), (h6×w256a,-h5×w256a), (h6×w256a,-h4×w256a), (h6×w256a,-h3×w256a), (h6×w256a,-h2×w256a), (h6×w256a,-h1×w256a),
(h5×w256a, 15×w256a), (h5×w256a, h7×w256a), (h5×w256a, h6×w256a), (h5×w256a, h5×w256a), (h5×w256a, h4×w256a), (h5×w256a, h3×w256a), (h5×w256a, h2×w256a), (h5×w256a, h1×w256a), (h5×w256a,-15×w256a), (h5×w256a,-h7×w256a), (h5×w256a,-h6×w256a), (h5×w256a,-h5×w256a), (h5×w256a,-h4×w256a), (h5×w256a,-h3×w256a), (h5×w256a,-h2×w256a), (h5×w256a,-h1×w256a),
(h4×w256a, 15×w256a), (h4×w256a, h7×w256a), (h4×w256a, h6×w256a), (h4×w256a, h5×w256a), (h4×w256a, h4×w256a), (h4×w256a, h3×w256a), (h4×w256a, h2×w256a), (h4×w256a, h1×w256a), (h4×w256a,-15×w256a), (h4×w256a,-h7×w256a), (h4×w256a,-h6×w256a), (h4×w256a,-h5w256a), (h4×w256a,-h4×w256a), (h4×w256a,-h3w256a), (h4×w256a,-h2w256a), (h4×w256a,-h1w256a),
(h3×w256a, 15×w256a), (h3×w256a, h7×w256a), (h3×w256a, h6×w256a), (h3×w256a, h5×w256a), (h3×w256a, h4×w256a), (h3×w256a, h3×w256a), (h3×w256a, h2×w256a), (h3×w256a, h1×w256a), (h3×w256a,-15×w256a), (h3×w256a,-h7×w256a), (h3×w256a,-h6×w256a), (h3×w256a,-h5×w256a), (h3×w256a,-h4×w256a), (h3×w256a,-h3×w256a), (h3×w256a,-h2×w256a), (h3×w256a,-h1×w256a),
(h2×w256a, 15×w256a), (h2×w256a, h7×w256a), (h2×w256a, h6×w256a), (h2×w256a, h5×w256a), (h2×w256a, h4×w256a), (h2×w256a, h3×w256a), (h2×w256a, h2×w256a), (h2×w256a, h1×w256a), (h2×w256a,-15×w256a), (h2×w256a,-h7×w256a), (h2×w256a,-h6×w256a), (h2×w256a,-h5×w256a), (h2×w256a,-h4×w256a), (h2×w256a,-h3×w256a), (h2×w256a,-h2×w256a), (h2×w256a,-h1×w256a),
(h1×w256a, 15×w256a), (h1×w256a, h7×w256a), (h1×w256a, h6×w256a), (h1×w256a, h5×w256a), (h1×w256a, h4×w256a), (h1×w256a, h3×w256a), (h1×w256a, h2×w256a), (h1×w256a, h1×w256a), (h1×w256a,-15×w256a), (h1×w256a,-h7×w256a), (h1×w256a,-h6×w256a), (h1×w256a,-h5×w256a), (h1×w256a,-h4×w256a), (h1×w256a,-h3×w256a), (h1×w256a,-h2×w256a), (h1×w256a,-h1×w256a),
(-15×w256a, 15×w256a), (-15×w256a, h7×w256a), (-15×w256a, h6×w256a), (-15×w256a, h5×w256a), (-15×w256a, h4×w256a), (-15×w256a, h3×w256a), (-15×w256a, h2×w256a), (-15×w256a, h1×w256a), (-15×w256a,-15×w256a), (-15×w256a,-h7×w256a), (-15×w256a,-h6×w256a), (-15×w256a,-h5×w256a), (-15×w256a,-h4×w256a), (-15×w256a,-h3×w256a), (-15×w256a,-h2×w256a), (-15×w256a,-h1×w256a),
(-h7×w256a, 15×w256a), (-h7×w256a, h7×w256a), (-h7×w256a, h6×w256a), (-h7×w256a, h5×w256a), (-h7×w256a, h4×w256a), (-h7×w256a, h3×w256a), (-h7×w256a, h2×w256a), (-h7×w256a, h1×w256a), (-h7×w256a,-15×w256a), (-h7×w256a,-h7×w256a), (-h7×w256a,-h6×w256a), (-h7×w256a,-h5×w256a), (-h7×w256a,-h4×w256a), (-h7×w256a,-h3×w256a), (-h7×w256a,-h2×w256a), (-h7×w256a,-h1×w256a),
(-h6×w256a, 15×w256a), (-h6×w256a, h7×w256a), (-h6×w256a, h6×w256a), (-h6×w256a, h5×w256a), (-h6×w256a, h4×w256a), (-h6×w256a, h3×w256a), (-h6×w256a, h2×w256a), (-h6×w256a, h1×w256a),(-h6×w256a,-15×w256a), (-h6×w256a,-h7×w256a), (-h6×w256a,-h6×w256a), (-h6×w256a,-h5×w256a), (-h6×w256a,-h4×w256a), (-h6×w256a,-h3×w256a), (-h6×w256a,-h2×w256a), (-h6×w256a,-h1×w256a),
(-h5×w256a, 15×w256a), (-h5×w256a, h7×w256a), (-h5×w256a, h6×w256a), (-h5×w256a, h5×w256a), (-h5×w256a, h4×w256a), (-h5×w256a, h3×w256a), (-h5×w256a, h2×w256a), (-h5×w256a, h1×w256a), (-h5×w256a,-15×w256a), (-h5×w256a,-h7×w256a), (-h5×w256a,-h6×w256a), (-h5×w256a,-h5×w256a), (-h5×w256a,-h4×w256a), (-h5×w256a,-h3×w256a), (-h5×w256a,-h2×w256a), (-h5×w256a,-h1×w256a),
(-h4×w256a, 15×w256a), (-h4×w256a, h7×w256a), (-h4×w256a, h6×w256a), (-h4×w256a, h5×w256a), (-h4×w256a, h4×w256a), (-h4×w256a, h3×w256a), (-h4×w256a, h2×w256a), (-h4×w256a, h1×w256a),(-h4×w256a,-15×w256a), (-h4×w256a,-h7×w256a), (-h4×w256a,-h6×w256a), (-h4×w256a,-h5×w256a), (-h4×w256a,-h4×w256a), (-h4×w256a,-h3×w256a), (-h4×w256a,-h2×w256a), (-h4×w256a,-h1×w256a),
(-h3×w256a, 15×w256a), (-h3×w256a, h7×w256a), (-h3×w256a, h6×w256a), (-h3×w256a, h5×w256a), (-h3×w256a, h4×w256a), (-h3×w256a, h3×w256a), (-h3×w256a, h2×w256a), (-h3×w256a, h1×w256a), (-h3×w256a,-15×w256a), (-h3×w256a,-h7×w256a), (-h3×w256a,-h6×w256a), (-h3×w256a,-h5×w256a), (-h3×w256a,-h4×w256a), (-h3×w256a,-h3×w256a), (-h3×w256a,-h2×w256a), (-h3×w256a,-h1×w256a),
(-h2×w256a, 15×w256a), (-h2×w256a, h7×w256a), (-h2×w256a, h6×w256a), (-h2×w256a, h5×w256a), (-h2×w256a, h4×w256a), (-h2×w256a, h3×w256a), (-h2×w256a, h2×w256a), (-h2×w256a, h1×w256a), (-h2×w256a,-15×w256a), (-h2×w256a,-h7×w256a), (-h2×w256a,-h6×w256a), (-h2×w256a, h5×w256a), (-h2×w256a,-h4×w256a), (-h2×w256a,-h3×w256a), (-h2×w256a,-h2×w256a), (-h2×w256a,-h1×w256a),
(-h1×w256a, 15×w256a), (-h1×w256a, h7×w256a), (-h1×w256a, h6×w256a), (-h×w256a, h5×w256a), (-h1×w256a, h4×w256a), (-h1×w256a, h3×w256a), (-h1×w256a, h2×w256a), (-h1×w256a, h1×w256a), (-h1×w256a,-15×w256a), (-h1×w256a,-h7×w256a), (-h1×w256a,-h6×w256a), (-h1×w256a,-h5×w256a), (-h1×w256a,-h4×w256a), (-h1×w256a,-h3×w256a), (-h1×w256a,-h2×w256a), (-h1×w256a,-h1×w256a),
의 바로 아래에 b0, b1, b2, b3, b4, b5, b6, b7의 세트 00000000~11111111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b0, b1, b2, b3, b4, b5, b6, b7의 세트 00000000~11111111의 바로 위의 신호점(「○」)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가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및 직교성분 Q가 된다. 또, 256QAM일 때의 b0, b1, b2, b3, b4, b5, b6, b7의 세트 (00000000~1111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는 도 11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3의 256개의 신호점에 있어서 「신호점 1」 「신호점 2」…「신호점 255」 「신호점 256」이라고 부른다. (256개의 신호점이 존재하므로, 「신호점 1」 내지 「신호점 256」이 존재하게 된다).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신호점 i」와 원점의 거리를 Di로 한다. 이때, w256a를 이하와 같이 부여한다.
그러면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평균 파워는 z2가 된다.
또, 앞에서의 설명에 있어서 (구성 예 R1)과 동등하게 되는 경우를 uniform-256QAM이라고 하고, 그 이외인 경우를 non-uniform 256QAM이라고 한다.
(보충 3)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1에 있어서 비트길이 조정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또, 실시형태 12에서는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1의 비트길이 조정방법을 DVB 규격에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들 실시형태 중에서 변조방식으로 16QAM, 64QAM, 256QAM을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16QAM, 64QAM, 256QAM에 대한 구체적인 매핑 방법에 대해서는 (구성 예 R1)에서 설명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구성 예 R1), (보충 2)와는 다른 16QAM, 64QAM, 256QAM의 매핑 방법 등의 구성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 설명하는 16QAM, 64QAM, 256QAM을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2에 대해 적용해도 좋으며, 이때,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2에서 설명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6QAM의 매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4는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6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14에 있어서 16개의 ○이 16QAM의 신호점이며, 횡축은 I, 종축은 Q가 된다. 또, 도 114에서 f1>0(f1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f2>0(f2는 0보다 큰 실수)이며, f1≠3이고, 또한, f2≠3이고, 또한, f1≠f2인 것으로 한다.
16QAM의 16개의 신호점(도 114의 「○」이 신호점이다)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는,
(3×w16b, 3×w16b), (3×w16b, f2×w16b), (3×w16b,-f2×w16b), (3×w16b,-3×w16b), (f1×w16b, 3×w16b), (f1×w16b, f2×w16b), (f1×w16b,-f2×w16b), (f1×w16b,-3×w16b), (-f1×w16b, 3×w16b), (-f1×w16b, f2×w16b), (-f1×w16b,-f2×w16b), (-f1×w16b,-3×w16b), (-3×w16b, 3×w16b), (-3×w16b, f2×w16b), (-3×w16b,-f2×w16b), (-3×w16b,-3×w16b),
가 된다(w16b는 0보다 큰 실수가 된다).
여기서, 송신하는 비트(입력 비트)를 b0, b1, b2, b3으로 한다. 예를 들어 송신하는 비트가 (b0, b1, b2, b3)=(0, 0, 0, 0)인 경우, 도 114에서의 신호점 11401에 매핑 되며,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을 I, 직교성분을 Q로 하면 (I, Q)=(3×w16b, 3×w16b)이 된다.
즉, 송신하는 비트(b0, b1, b2, b3)에 의거하여 (16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가 결정된다. 또, b0, b1, b2, b3의 세트 (0000~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의 일례는 도 114와 같다. 16QAM의 16개의 신호점(도 114의 「○」)
(3×w16b, 3×w16b), (3×w16b, f2×w16b), (3×w16b,-f2×w16b), (3×w16b,-3×w16b), (f1×w16b, 3×w16b), (f1×w16b, f2×w16b), (f1×w16b,-f2×w16b), (f1×w16b,-3×w16b), (-f1×w16b, 3×w16b), (-f1×w16b, f2×w16b), (-f1×w16b,-f2×w16b), (-f1×w16b,-3×w16b), (-3×w16b, 3×w16b), (-3×w16b, f2×w16b), (-3×w16b,-f2×w16b), (-3×w16b,-3×w16b),
의 바로 아래에 b0, b1, b2, b3의 세트 0000~1111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b0, b1, b2, b3의 세트 0000~1111의 바로 위의 신호점(「○」)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가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및 직교성분 Q가 된다. 또, 16QAM일 때의 b0, b1, b2, b3의 세트 (0000~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는 도 11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4의 16개의 신호점에 있어서 「신호점 1」 「신호점 2」…「신호점 15」 「신호점 16」이라고 부른다. (16개의 신호점이 존재하므로, 「신호점 1」 내지 「신호점 16」이 존재하게 된다).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신호점 i」와 원점의 거리를 Di로 한다. 이때, w16b를 이하와 같이 부여한다.
그러면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평균 파워는 z2가 된다. 또, 앞에서 설명한 16QAM의 효과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64QAM의 매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5는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64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15에 있어서 64개의 ○이 64QAM의 신호점이며, 횡축은 I, 종축은 Q가 된다.
도 115에 대해 g1>0(g1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g2>0(g2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g3>0(g3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g4>0(g4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g5>0(g5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g6>0(g6은 0보다 큰 실수)이며,
{g1≠7이고, 또한, g2≠7이고, 또한, g3≠7이고, 또한, g1≠g2이고, 또한, g1≠g3이고, 또한, g2≠g3}이고
또한,
{g4≠7이고, 또한, g5≠7이고, 또한, g6≠7이고, 또한, g4≠g5이고, 또한, g4≠g6이고, 또한, g5≠g6}이며
또한,
{{g1≠g4, 또는 g2≠g5, 또는 g3≠g6}이 성립한다}.
64QAM의 64개의 신호점(도 115의 「○」이 신호점이다)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는,
(7×w64b, 7×w64b), (7×w64b, g6×w64b), (7×w64b, g5×w64b), (7×w64b, g4×w64b), (7×w64b,-g4×w64b), (7×w64b,-g5×w64b), (7×w64b,-g6×w64b), (7×w64b,-7×w64b)
(g3×w64b, 7×w64b), (g3×w64b, g6×w64b), (g3×w64b, g5×w64b), (g3×w64b, g4×w64b), (g3×w64b,-g4×w64b), (g3×w64b,-g5×w64b), (g3×w64b,-g6×w64b), (g3×w64b,-7×w64b)
(g2×w64b, 7×w64b), (g2×w64b, g6×w64b), (g2×w64b, g5×w64b), (g2×w64b, g4×w64b), (g2×w64b,-g4×w64b), (g2×w64b,-g5×w64b), (g2×w64b,-g6×w64b), (g2×w64b,-7×w64b)
(g1×w64b, 7×w64b), (g1×w64b, g6×w64b), (g1×w64b, g5×w64b), (g1×w64b, g4×w64b), (g1×w64b,-g4×w64b), (g1×w64b,-g5×w64b), (g1×w64b,-g6×w64b), (g1×w64b,-7×w64b)
(-g1×w64b, 7×w64b), (-g1×w64b, g6×w64b), (-g1×w64b, g5×w64b), (-g1×w64b, g4×w64b), (-g1×w64b,-g4×w64b), (-g1×w64b,-g5×w64b), (-g1×w64b,-g6×w64b), (-g1×w64b,-7×w64b)
(-g2×w64b, 7×w64b), (-g2×w64b, g6×w64b), (-g2×w64b, g5×w64b), (-g2×w64b, g4×w64b), (-g2×w64b,-g4×w64b), (-g2×w64b,-g5×w64b), (-g2×w64b,-g6×w64b), (-g2×w64b,-7×w64b)
(-g3×w64b, 7×w64b), (-g3×w64b, g6×w64b), (-g3×w64b, g5×w64b), (-g3×w64b, g4×w64b), (-g3×w64b,-g4×w64b), (-g3×w64b,-g5×w64b), (-g3×w64b,-g6×w64b), (-g3×w64b,-7×w64b)
(-7×w64b, 7×w64b), (-7×w64b, g6×w64b), (-7×w64b, g5×w64b), (-7×w64b, g4×w64b), (-7×w64b,-g4×w64b), (-7×w64b,-g5×w64b), (-7×w64b,-g6×w64b), (-7×w64b,-7×w64b)
가 된다(w64b는 0보다 큰 실수가 된다).
여기서, 송신하는 비트(입력 비트)를 b0, b1, b2, b3, b4, b5로 한다. 예를 들어 송신하는 비트가 (b0, b1, b2, b3, b4, b5)=(0, 0, 0, 0, 0, 0)인 경우, 도 115에서의 신호점 11501에 매핑 되며,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을 I, 직교성분을 Q로 하면 (I, Q)=(7×w64b, 7×w64b)이 된다.
즉, 송신하는 비트(b0, b1, b2, b3, b4, b5)에 의거하여 (64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가 결정된다. 또,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의 일례는 도 115과 같다. 64QAM의 64개의 신호점(도 115의 「○」)
(7×w64b, 7×w64b), (7×w64b, g6×w64b), (7×w64b, g5×w64b), (7×w64b, g4×w64b), (7×w64b,-g4×w64b), (7×w64b,-g5×w64b), (7×w64b,-g6×w64b), (7×w64b,-7×w64b)
(g3×w64b, 7×w64b), (g3×w64b, g6×w64b), (g3×w64b, g5×w64b), (g3×w64b, g4×w64b), (g3×w64b,-g4×w64b), (g3×w64b,-g5×w64b), (g3×w64b,-g6×w64b), (g3×w64b,-7×w64b)
(g2×w64b, 7×w64b), (g2×w64b, g6×w64b), (g2×w64b, g5×w64b), (g2×w64b, g4×w64b), (g2×w64b,-g4×w64b), (g2×w64b,-g5×w64b), (g2×w64b,-g6×w64b), (g2×w64b,-7×w64b)
(g1×w64b, 7×w64b), (g1×w64b, g6×w64b), (g1×w64b, g5×w64b), (g1×w64b, g4×w64b), (g1×w64b,-g4×w64b), (g1×w64b,-g5×w64b), (g1×w64b,-g6×w64b), (g1×w64b,-7×w64b)
(-g1×w64b, 7×w64b), (-g1×w64b, g6×w64b), (-g1×w64b, g5×w64b), (-g1×w64b, g4×w64b), (-g1×w64b,-g4×w64b), (-g1×w64b,-g5×w64b), (-g1×w64b,-g6×w64b), (-g1×w64b,-7×w64b)
(-g2×w64b, 7×w64b), (-g2×w64b, g6×w64b), (-g2×w64b, g5×w64b), (-g2×w64b, g4×w64b), (-g2×w64b,-g4×w64b), (-g2×w64b,-g5×w64b), (-g2×w64b,-g6×w64b), (-g2×w64b,-7×w64b)
(-g3×w64b, 7×w64b), (-g3×w64b, g6×w64b), (-g3×w64b, g5×w64b), (-g3×w64b, g4×w64b), (-g3×w64b,-g4×w64b), (-g3×w64b,-g5×w64b), (-g3×w64b,-g6×w64b), (-g3×w64b,-7×w64b)
(-7×w64b, 7×w64b), (-7×w64b, g6×w64b), (-7×w64b, g5×w64b), (-7×w64b, g4×w64b), (-7×w64b,-g4×w64b), (-7×w64b,-g5×w64b), (-7×w64b,-g6×w64b), (-7×w64b,-7×w64b)
의 바로 아래에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의 바로 위의 신호점(「○」)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가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및 직교성분 Q가 된다. 또, 64QAM일 때의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는 도 115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5의 64개의 신호점에 있어서 「신호점 1」 「신호점 2」…「신호점 63」 「신호점 64」이라고 부른다. (64개의 신호점이 존재하므로, 「신호점 1」 내지 「신호점 64」가 존재하게 된다).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신호점 i」와 원점의 거리를 Di로 한다. 이때, w64b를 이하와 같이 부여한다.
그러면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평균 파워는 z2가 된다. 또, 효과에 대해서는 다음에 설명한다.
256QAM의 매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6은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256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16에 있어서 256개의 ○이 256QAM의 신호점이며, 횡축은 I, 종축은 Q가 된다.
도 116에서 h1>0(h1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h2>0(h2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h3>0(h3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h4>0(h4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h5>0(h5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h6>0(h6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h7>0(h7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h8>0(h8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h9>0(h9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h10>0(h10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h11>0(h11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h12>0(h12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h13>0(h13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h14>0(h14는 0보다 큰 실수)이며,
{h1≠15이고, 또한, h2≠15이고, 또한, h3≠15이고, 또한, h4≠15이고, 또한, h5≠15이고, 또한, h6≠15이고, 또한, h7≠15이며,
또한, h1≠h2이고, 또한, h1≠h3이고, 또한, h1≠h4이고, 또한, h1≠h5이고, 또한, h1≠h6이고, 또한, h1≠h7이며, 또한, h2≠h3이고, 또한, h2≠h4이고, 또한, h2≠h5이고, 또한, h2≠h6이고, 또한, h2≠h7이며, 또한, h3≠h4이고, 또한, h3≠h5이고, 또한, h3≠h6이고, 또한, h3≠h7이며, 또한, h4≠h5이고, 또한, h4≠h6이고, 또한, h4≠h7이며, 또한, h5≠h6이고, 또한, h5≠h7이고, 또한, h6≠h7}이며,
또한,
{h8≠15이고, 또한, h9≠15이고, 또한, h10≠15이고, 또한, h11≠15이고, 또한, h12≠15이고, 또한, h13≠15이고, 또한, h14≠15이며, 또한, h8≠h9이고, 또한, h8≠h10이고, 또한, h8≠h11이고, 또한, h8≠h12이며, 또한, h8≠h13이고, 또한, h8≠h14이며, 또한, h9≠h10이고, 또한, h9≠h11이고, 또한, h9≠h12이고, 또한, h9≠h13이고, 또한, h9≠h14이며, 또한, h10≠h11이고, 또한, h10≠h12이고, 또한, h10≠h13이고, 또한, h10≠h14이며, 또한, h11≠h12이고, 또한, h11≠h13이고, 또한, h11≠h14이며, 또한, h12≠h13이고, 또한, h12≠h14이고, 또한, h13≠h14}이며,
또한,
{h1≠h8, 또는 h2≠h9, 또는 h3≠h10, 또는 h4≠h11, 또는 h5≠h12, 또는 h6≠h13, 또는 h7≠h14}가 성립한다.
256QAM의 256개의 신호점(도 116의 「○」이 신호점이다)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는,
(15×w256b, 15×w256b), (15×w256b, h14×w256b), (15×w256b, h13×w256b), (15×w256b, h12×w256b), (15×w256b, h11×w256b), (15×w256b, h10×w256b), (15×w256b, h9×w256b), (15×w256b, h8×w256b), (15×w256b, -15×w256b), (15×w256b,-h14×w256b), (15×w256b,-h13×w256b), (15×w256b,-h12×w256b), (15×w256b,-h11×w256b), (15×w256b,-h10×w256b), (15×w256b,-h9×w256b), (15×w256b,-h8×w256b),
(h7×w256b, 15×w256b), (h7×w256b, h14×w256b), (h7×w256b, h13×w256b), (h7×w256b, h12×w256b), (h7×w256b, h11×w256b), (h7×w256b, h10×w256b), (h7×w256b, h9×w256b), (h7×w256b, h8×w256b), (h7×w256b, -15×w256b), (h7×w256b,-h14×w256b), (h7×w256b,-h13×w256b), (h7×w256b,-h12×w256b), (h7×w256b,-h11×w256b), (h7×w256b,-h10×w256b), (h7×w256b,-h9×w256b), (h7×w256b,-h8×w256b),
(h6×w256b, 15×w256b), (h6×w256b, h14×w256b), (h6×w256b, h13×w256b), (h6×w256b, h12×w256b), (h6×w256b, h11×w256b), (h6×w256b, h10×w256b), (h6×w256b, h9×w256b), (h6×w256b, h8×w256b), (h6×w256b, -15×w256b), (h6×w256b,-h14×w256b), (h6×w256b,-h13×w256b), (h6×w256b,-h12×w256b), (h6×w256b,-h11×w256b), (h6×w256b,-h10×w256b), (h6×w256b,-h9×w256b), (h6×w256b,-h8×w256b),
(h5×w256b, 15×w256b), (h5×w256b, h14×w256b), (h5×w256b, h13×w256b), (h5×w256b, h12×w256b), (h5×w256b, h11×w256b), (h5×w256b, h10×w256b), (h5×w256b, h9×w256b), (h5×w256b, h8×w256b), (h5×w256b, -15×w256b), (h5×w256b,-h14×w256b), (h5×w256b,-h13×w256b), (h5×w256b,-h12×w256b), (h5×w256b,-h11×w256b), (h5×w256b,-h10×w256b), (h5×w256b,-h9×w256b), (h5×w256b,-h8×w256b),
(h4×w256b, 15×w256b), (h4×w256b, h14×w256b), (h4×w256b, h13×w256b), (h4×w256b, h12×w256b), (h4×w256b, h11×w256b), (h4×w256b, h10×w256b), (h4×w256b, h9×w256b), (h4×w256b, h8×w256b), (h4×w256b, -15×w256b), (h4×w256b,-h14×w256b), (h4×w256b,-h13×w256b), (h4×w256b,-h12×w256b), (h4×w256b,-h11×w256b), (h4×w256b,-h10×w256b), (h4×w256b,-h9×w256b), (h4×w256b,-h8×w256b),
(h3×w256b, 15×w256b), (h3×w256b, h14×w256b), (h3×w256b, h13×w256b), (h3×w256b, h12×w256b), (h3×w256b, h11×w256b), (h3×w256b, h10×w256b), (h3×w256b, h9×w256b), (h3×w256b, h8×w256b), (h3×w256b, -15×w256b), (h3×w256b,-h14×w256b), (h3×w256b,-h13×w256b), (h3×w256b,-h12×w256b), (h3×w256b,-h11×w256b), (h3×w256b,-h10×w256b), (h3×w256b,-h9×w256b), (h3×w256b,-h8×w256b),
(h2×w256b, 15×w256b), (h2×w256b, h14×w256b), (h2×w256b, h13×w256b), (h2×w256b, h12×w256b), (h2×w256b, h11×w256b), (h2×w256b, h10×w256b), (h2×w256b, h9×w256b), (h2×w256b, h8×w256b), (h2×w256b, -15×w256b), (h2×w256b,-h14×w256b), (h2×w256b,-h13×w256b), (h2×w256b,-h12×w256b), (h2×w256b,-h11×w256b), (h2×w256b,-h10×w256b), (h2×w256b,-h9×w256b), (h2×w256b,-h8×w256b),
(h1×w256b, 15×w256b), (h1×w256b, h14×w256b), (h1×w256b, h13×w256b), (h1×w256b, h12×w256b), (h1×w256b, h11×w256b), (h1×w256b, h10×w256b), (h1×w256b, h9×w256b), (h1×w256b, h8×w256b),
(h1×w256b,-15×w256b), (h1×w256b,-h14×w256b), (h1×w256b,-h13×w256b), (h1×w256b,-h12×w256b), (h1×w256b,-h11×w256b), (h1×w256b,-h10×w256b), (h1×w256b,-h9×w256b), (h1×w256b,-h8×w256b), (-15×w256b, 15×w256b), (-15×w256b, h14×w256b), (-15×w256b, h13×w256b), (-15×w256b, h12×w256b), (-15×w256b, h11×w256b), (-15×w256b, h10×w256b), (-15×w256b, h9×w256b), (-15×w256b, h8×w256b),
(-15×w256b,-15×w256b), (-15×w256b,-h14×w256b), (-15×w256b,-h13×w256b), (-15×w256b,-h12×w256b), (-15×w256b,-h11×w256b), (-15×w256b, h10×w256b), (-15×w256b,-h9×w256b), (-15×w256b,-h8×w256b),
(-h7×w256b, 15×w256b), (-h7×w256b, h14×w256b), (-h7×w256b, h13×w256b), (-h7×w256b, h12×w256b), (-h7×w256b, h11×w256b), (-h7×w256b, h10×w256b), (-h7×w256b, h9×w256b), (-h7×w256b, h8×w256b), (-h7×w256b,-15×w256b), (-h7×w256b,-h14×w256b), (-h7×w256b,-h13×w256b), (-h7×w256b,-h12×w256b), (-h7×w256b,-h11×w256b), (-h7×w256b,-h10×w256b), (-h7×w256b,-h9×w256b), (-h7×w256b, h8×w256b),
(-h6×w256b, 15×w256b), (-h6×w256b, h14×w256b), (-h6×w256b, h13×w256b), (-h6×w256b, h12×w256b), (-h6×w256b, h11×w256b), (-h6×w256b, h10×w256b), (-h6×w256b, h9×w256b), (-h6×w256b, h8×w256b), (-h6×w256b,-15×w256b), (-h6×w256b,-h14×w256b), (-h6×w256b,-h13×w256b), (-h6×w256b,-h12×w256b), (-h6×w256b,-h11×w256b), (-h6×w256b,-h10×w256b), (-h6×w256b,-h9×w256b), (-h6×w256b, h8×w256b),
(-h5×w256b, 15×w256b), (-h5×w256b, h14×w256b), (-h5×w256b, h13×w256b), (-h5×w256b, h12×w256b), (-h5×w256b, h11×w256b), (-h5×w256b, h10×w256b), (-h5×w256b, h9×w256b), (-h5×w256b, h8×w256b),
(-h5×w256b,-15×w256b), (-h5×w256b,-h14×w256b), (-h5×w256b,-h13×w256b), (-h5×w256b,-h12×w256b), (-h5×w256b,-h11×w256b), (-h5×w256b,-h10×w256b), (-h5×w256b,-h9×w256b), (-h5×w256b,-h8×w256b),
(-h4×w256b, 15×w256b), (-h4×w256b, h14×w256b), (-h4×w256b, h13×w256b), (-h4×w256b, h12×w256b), (-h4×w256b, h11×w256b), (-h4×w256b, h10×w256b), (-h4×w256b, h9×w256b), (-h4×w256b, h8×w256b), (-h4×w256b,-15×w256b), (-h4×w256b,-h14×w256b), (-h4×w256b,-h13×w256b), (-h4×w256b,-h12×w256b), (-h4×w256b,-h11×w256b), (-h4×w256b,-h10×w256b), (-h4×w256b,-h9×w256b), (-h4×w256b,-h8×w256b),
(-h3×w256b, 15×w256b), (-h3×w256b, h14×w256b), (-h3×w256b, h13×w256b), (-h3×w256b, h12×w256b), (-h3×w256b, h11×w256b), (-h3×w256b, h10×w256b), (-h3×w256b, h9×w256b), (-h3×w256b, h8×w256b), (-h3×w256b,-15×w256b), (-h3×w256b,-h14×w256b), (-h3×w256b,-h13×w256b), (-h3×w256b,-h12×w256b), (-h3×w256b,-h11×w256b), (-h3×w256b,-h10×w256b), (-h3×w256b,-h9×w256b), (-h3×w256b,-h8×w256b),
(-h2×w256b, 15×w256b), (-h2×w256b, h14×w256b), (-h2×w256b, h13×w256b), (-h2×w256b, h12×w256b), (-h2×w256b, h11×w256b), (-h2×w256b, h10×w256b), (-h2×w256b, h9×w256b), (-h2×w256b, h8×w256b), (-h2×w256b,-15×w256b), (-h2×w256b,-h14×w256b), (-h2×w256b,-h13×w256b), (-h2×w256b,-h12×w256b), (-h2×w256b,-h11×w256b), (-h2×w256b,-h10×w256b), (-h2×w256b,-h9×w256b), (-h2×w256b,-h8×w256b),
(-h1×w256b, 15×w256b), (-h1×w256b, h14×w256b), (-h1×w256b, h13×w256b), (-h1×w256b, h12×w256b), (-h1×w256b, h11×w256b), (-h1×w256b, h10×w256b), (-h1×w256b, h9×w256b), (-h1×w256b, h8×w256b), (-h1×w256b,-15×w256b), (-h1×w256b,-h14×w256b), (-h1×w256b,-h13×w256b), (-h1×w256b,-h12×w256b), (-h1×w256b,-h11×w256b), (-h1×w256b,-h10×w256b), (-h1×w256b,-h9×w256b), (-h1×w256b,-h18×w256b),
가 된다(w256b는 0보다 큰 실수가 된다).
여기서, 송신하는 비트(입력 비트)를 b0, b1, b2, b3, b4, b5, b6, b7로 한다. 예를 들어 송신하는 비트가 (b0, b1, b2, b3, b4, b5, b6, b7)=(0, 0, 0, 0, 0, 0, 0, 0)인 경우, 도 116에서의 신호점 11601에 매핑 되며,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을 I, 직교성분을 Q로 하면 (I, Q)=(15×w256b, 15×w256b)이 된다.
즉, 송신하는 비트(b0, b1, b2, b3, b4, b5, b6, b7)에 의거하여 (256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가 결정된다. 또, b0, b1, b2, b3, b4, b5, b6, b7의 세트 (00000000~1111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의 일례는 도 116과 같다. 256QAM의 256개의 신호점(도 116의 「○」)
(15×w256b, 15×w256b), (15×w256b, h14×w256b), (15×w256b, h13×w256b), (15×w256b, h12×w256b), (15×w256b, h11×w256b), (15×w256b, h10×w256b), (15×w256b, h9×w256b), (15×w256b, h8×w256b), (15×w256b, -15×w256b), (15×w256b,-h14×w256b), (15×w256b,-h13×w256b), (15×w256b,-h12×w256b), (15×w256b,-h11×w256b), (15×w256b,-h10×w256b), (15×w256b,-h9×w256b), (15×w256b,-h8×w256b),
(h7×w256b, 15×w256b), (h7×w256b, h14×w256b), (h7×w256b, h13×w256b), (h7×w256b, h12×w256b), (h7×w256b, h11×w256b), (h7×w256b, h10×w256b), (h7×w256b, h9×w256b), (h7×w256b, h8×w256b), (h7×w256b, -15×w256b), (h7×w256b,-h14×w256b), (h7×w256b,-h13×w256b), (h7×w256b,-h12×w256b), (h7×w256b,-h11×w256b), (h7×w256b,-h10×w256b), (h7×w256b,-h9×w256b), (h7×w256b,-h8×w256b),
(h6×w256b, 15×w256b), (h6×w256b, h14×w256b), (h6×w256b, h13×w256b), (h6×w256b, h12×w256b), (h6×w256b, h11×w256b), (h6×w256b, h10×w256b), (h6×w256b, h9×w256b), (h6×w256b, h8×w256b), (h6×w256b, -15×w256b), (h6×w256b,-h14×w256b), (h6×w256b,-h13×w256b), (h6×w256b,-h12×w256b), (h6×w256b,-h11×w256b), (h6×w256b,-h10×w256b), (h6×w256b,-h9×w256b), (h6×w256b,-h8×w256b),
(h5×w256b, 15×w256b), (h5×w256b, h14×w256b), (h5×w256b, h13×w256b), (h5×w256b, h12×w256b), (h5×w256b, h11×w256b), (h5×w256b, h10×w256b), (h5×w256b, h9×w256b), (h5×w256b, h8×w256b), (h5×w256b, -15×w256b), (h5×w256b,-h14×w256b), (h5×w256b,-h13×w256b), (h5×w256b,-h12×w256b), (h5×w256b,-h11×w256b), (h5×w256b,-h10×w256b), (h5×w256b,-h9×w256b), (h5×w256b,-h8×w256b),
(h4×w256b, 15×w256b), (h4×w256b, h14×w256b), (h4×w256b, h13×w256b), (h4×w256b, h12×w256b), (h4×w256b, h11×w256b), (h4×w256b, h10×w256b), (h4×w256b, h9×w256b), (h4×w256b, h8×w256b), (h4×w256b, -15×w256b), (h4×w256b,-h14×w256b), (h4×w256b,-h13×w256b), (h4×w256b,-h12×w256b), (h4×w256b,-h11×w256b), (h4×w256b,-h10×w256b), (h4×w256b,-h9×w256b), (h4×w256b,-h8×w256b),
(h3×w256b, 15×w256b), (h3×w256b, h14×w256b), (h3×w256b, h13×w256b), (h3×w256b, h12×w256b), (h3×w256b, h11×w256b), (h3×w256b, h10×w256b), (h3×w256b, h9×w256b), (h3×w256b, h8×w256b), (h3×w256b, -15×w256b), (h3×w256b,-h14×w256b), (h3×w256b,-h13×w256b), (h3×w256b,-h12×w256b), (h3×w256b,-h11×w256b), (h3×w256b,-h10×w256b), (h3×w256b,-h9×w256b), (h3×w256b,-h8×w256b),
(h2×w256b, 15×w256b), (h2×w256b, h14×w256b), (h2×w256b, h13×w256b), (h2×w256b, h12×w256b), (h2×w256b, h11×w256b), (h2×w256b, h10×w256b), (h2×w256b, h9×w256b), (h2×w256b, h8×w256b), (h2×w256b, -15×w256b), (h2×w256b,-h14×w256b), (h2×w256b,-h13×w256b), (h2×w256b,-h12×w256b), (h2×w256b,-h11×w256b), (h2×w256b,-h10×w256b), (h2×w256b,-h9×w256b), (h2×w256b,-h8×w256b),
(h1×w256b, 15×w256b), (h1×w256b, h14×w256b), (h1×w256b, h13×w256b), (h1×w256b, h12×w256b), (h1×w256b, h11×w256b), (h1×w256b, h10×w256b), (h1×w256b, h9×w256b), (h1×w256b, h8×w256b),(h1×w256b,-15×w256b), (h1×w256b,-h14×w256b), (h1×w256b,-h13×w256b), (h1×w256b,-h12×w256b), (h1×w256b,-h11×w256b), (h1×w256b,-h10×w256b), (h1×w256b,-h9×w256b), (h1×w256b,-h8×w256b),
(-15×w256b, 15×w256b), (-15×w256b, h14×w256b), (-15×w256b, h13×w256b), (-15×w256b, h12×w256b), (-15×w256b, h11×w256b), (-15×w256b, h10×w256b), (-15×w256b, h9×w256b), (-15×w256b, h8×w256b), (-15×w256b,-15×w256b), (-15×w256b,-h14×w256b), (-15×w256b,-h13×w256b), (-15×w256b,-h12×w256b), (-15×w256b,-h11×w256b), (-15×w256b, h10×w256b), (-15×w256b,-h9×w256b), (-15×w256b,-h8×w256b),
(-h7×w256b, 15×w256b), (-h7×w256b, h14×w256b), (-h7×w256b, h13×w256b), (-h7×w256b, h12×w256b), (-h7×w256b, h11×w256b), (-h7×w256b, h10×w256b), (-h7×w256b, h9×w256b), (-h7×w256b, h8×w256b), (-h7×w256b,-15×w256b), (-h7×w256b,-h14×w256b), (-h7×w256b,-h13×w256b), (-h7×w256b,-h12×w256b), (-h7×w256b,-h11×w256b), (-h7×w256b,-h10×w256b), (-h7×w256b,-h9×w256b), (-h7×w256b, h8×w256b),
(-h6×w256b, 15×w256b), (-h6×w256b, h14×w256b), (-h6×w256b, h13×w256b), (-h6×w256b, h12×w256b), (-h6×w256b, h11×w256b), (-h6×w256b, h10×w256b), (-h6×w256b, h9×w256b), (-h6×w256b, h8×w256b), (-h6×w256b,-15×w256b), (-h6×w256b,-h14×w256b), (-h6×w256b,-h13×w256b), (-h6×w256b,-h12×w256b), (-h6×w256b,-h11×w256b), (-h6×w256b,-h10×w256b), (-h6×w256b,-h9×w256b), (-h6×w256b, h8×w256b),
(-h5×w256b, 15×w256b), (-h5×w256b, h14×w256b), (-h5×w256b, h13×w256b), (-h5×w256b, h12×w256b), (-h5×w256b, h11×w256b), (-h5×w256b, h10×w256b), (-h5×w256b, h9×w256b), (-h5×w256b, h8×w256b), (-h5×w256b,-15×w256b), (-h5×w256b,-h14×w256b), (-h5×w256b,-h13×w256b), (-h5×w256b,-h12×w256b), (-h5×w256b,-h11×w256b), (-h5×w256b,-h10×w256b), (-h5×w256b,-h9×w256b), (-h5×w256b,-h8×w256b),
(-h4×w256b, 15×w256b), (-h4×w256b, h14×w256b), (-h4×w256b, h13×w256b), (-h4×w256b, h12×w256b), (-h4×w256b, h11×w256b), (-h4×w256b, h10×w256b), (-h4×w256b, h9×w256b), (-h4×w256b, h8×w256b), (-h4×w256b,-15×w256b), (-h4×w256b,-h14×w256b), (-h4×w256b,-h13×w256b), (-h4×w256b,-h12×w256b), (-h4×w256b,-h11×w256b), (-h4×w256b,-h10×w256b), (-h4×w256b,-h9×w256b), (-h4×w256b,-h8×w256b),
(-h3×w256b, 15×w256b), (-h3×w256b, h14×w256b), (-h3×w256b, h13×w256b), (-h3×w256b, h12×w256b), (-h3×w256b, h11×w256b), (-h3×w256b, h10×w256b), (-h3×w256b, h9×w256b), (-h3×w256b, h8×w256b), (-h3×w256b,-15×w256b), (-h3×w256b,-h14×w256b), (-h3×w256b,-h13×w256b), (-h3×w256b,-h12×w256b), (-h3×w256b,-h11×w256b), (-h3×w256b,-h10×w256b), (-h3×w256b,-h9×w256b), (-h3×w256b,-h8×w256b),
(-h2×w256b, 15×w256b), (-h2×w256b, h14×w256b), (-h2×w256b, h13×w256b), (-h2×w256b, h12×w256b), (-h2×w256b, h11×w256b), (-h2×w256b, h10×w256b), (-h2×w256b, h9×w256b), (-h2×w256b, h8×w256b), (-h2×w256b,-15×w256b), (-h2×w256b,-h14×w256b), (-h2×w256b,-h13×w256b), (-h2×w256b,-h12×w256b), (-h2×w256b,-h11×w256b), (-h2×w256b,-h10×w256b), (-h2×w256b,-h9×w256b), (-h2×w256b,-h8×w256b),
(-h1×w256b, 15×w256b), (-h1×w256b, h14×w256b), (-h1×w256b, h13×w256b), (-h1×w256b, h12×w256b), (-h1×w256b, h11×w256b), (-h1×w256b, h10×w256b), (-h1×w256b, h9×w256b), (-h1×w256b, h8×w256b), (-h1×w256b,-15×w256b), (-h1×w256b,-h14×w256b), (-h1×w256b,-h13×w256b), (-h1×w256b,-h12×w256b), (-h1×w256b,-h11×w256b), (-h1×w256b,-h10×w256b), (-h1×w256b,-h9×w256b), (-h1×w256b,-h18×w256b),
의 바로 아래에 b0, b1, b2, b3, b4, b5, b6, b7의 세트 00000000~11111111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b0, b1, b2, b3, b4, b5, b6, b7의 세트 00000000~11111111의 바로 위의 신호점(「○」)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가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및 직교성분 Q가 된다. 또, 256QAM일 때의 b0, b1, b2, b3, b4, b5, b6, b7의 세트 (00000000~1111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는 도 116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6의 256개의 신호점에 있어서 「신호점 1」 「신호점 2」…「신호점 255」 「신호점 256」이라고 부른다. (256개의 신호점이 존재하므로, 「신호점 1」 내지 「신호점 256」이 존재하게 된다).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신호점 i」와 원점의 거리를 Di로 한다. 이때, w256b를 이하와 같이 부여한다.
그러면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평균 파워는 z2가 된다. 또, 효과에 대해서는 다음에 설명한다.
다음에, 앞에서 설명한 QAM을 사용했을 때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송신장치와 수신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7은 송신장치의 구성의 일례이다. 오류정정 부호화부(11702)는 정보(11701)를 입력으로 하여 LDPC부호나 터보 부호 등의 오류정정부호화를 실행하여 오류정정부호화 후의 데이터(11703)를 출력한다.
인터리브부(11704)는 오류정정부호화 후의 데이터(11703)를 입력으로 하여, 데이터의 재배열을 시행하고 인터리브 후의 데이터(11705)를 출력한다.
매핑부(11706)는 인터리브 후의 데이터(11705)를 입력으로 하여, 송신장치가 설정한 변조방식에 의거해 매핑을 실행해서 직교 베이스밴드신호(동상 I성분과 직교 Q성분)(11707)을 출력한다.
무선부(11708)는 직교 베이스밴드신호(11707)를 입력으로 하여, 직교 변조, 주파수변환, 증폭 등의 처리를 실행해서 송신신호(11709)를 출력한다. 그리고 송신신호(11709)는 전파로서 안테나(11710)로부터 출력된다.
도 118은 도 117의 송신장치가 송신한 변조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의 구성의 일례이다.
무선부(11803)는 안테나(11801)에서 수신한 수신신호(11802)를 입력으로 하여 주파수변환, 직교 복조 등의 처리를 하여 직교 베이스밴드신호(11804)를 출력한다.
디 맵핑부(11805)는 직교 베이스밴드신호(11804)를 입력으로 하여 주파수 오프셋 추정 및 제거, 채널변동(전송로 변동)의 추정을 하는 동시에, 데이터심벌에서의 각 비트의, 예를 들어 대수 우도비를 추정해서 대수 우도비 신호(11806)를 출력한다.
디 인터리브부(11807)는 대수 우도비 신호(11806)를 입력으로 하여 재배열을 실행해서 디 인터리브 후의 대수 우도비 신호(11808)를 출력한다.
복호부(11809)는 디 인터리브 후의 대수 우도비 신호(11808)를 입력으로 하여 오류정정부호의 복호를 실시해서 수신데이터(11810)를 출력한다.
효과를 설명함에 있어서 16QAM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2개의 경우(<16QAM#1>및<16QAM#2>)를 비교한다.
<16QAM#1>보충 2에서 설명한 16QAM이며,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111에 나타낸 것과 같다.
<16QAM#2>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114에 나타낸 것과 같으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f1>0(f1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f2>0(f2는 0보다 큰 실수)이며, f1≠3이고, 또한, f1≠3이고, 또한, f1≠f2인 것으로 한다.
16QAM에서는 앞에서도 설명한 것과 같이 b0, b1, b2, b3의 4비트가 전송된다. 그리고, <16QAM#1>로 한 때, 수신장치에 있어서 각 비트의 대수 우도비를 구한 경우 4비트는 「2비트의 고 품위의 비트, 2비트의 저 품위의 비트」로 나누어진다. 한편, <16QAM#2>로 한 때, 「f1>0(f1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f2>0(f2는 0보다 큰 실수)이며, f1≠3이고, 또한, f1≠3이고, 또한, f1≠f2인 것으로 한다.」의 조건에 의해 「2비트의 고 품위의 비트, 1비트의 중 품위의 비트, 1비트의 저 품위의 비트」로 나누어진다. 이상과 같이 4비트의 품질의 배분이 <16QAM#1>과 <16QAM#2>에 따라서 다르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 118의 복호부(11809)에서 오류정정부호의 복호를 실시한 경우,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에 따라서는 <16QAM#2>로 하는 편이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가능성이 있다.
또, 64QAM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신호점의 배치를 도 115와 같이 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때, 앞에서 설명한,
「g1>0(g1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g2>0(g2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g3>0(g3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g4>0(g4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g5>0(g5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g6>0(g6은 0보다 큰 실수)이며,
{g1≠7이고, 또한, g2≠7이고, 또한, g3≠7이고, 또한, g1≠g2이고, 또한, g1≠g3이고, 또한, g2≠g3}이고
또한,
{g4≠7이고, 또한, g5≠7이고, 또한, g6≠7이고, 또한, g4≠g5이고, 또한, g4≠g6이고, 또한, g5≠g6}
또한,
{g1≠g4, 또는 g2≠g5, 또는 g3≠g6}이 성립한다.」
가 중요한 조건이며, 보충 2에서 설명한 신호점 배치와 다른 점이다.
마찬가지로, 256QAM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신호점의 배치를 도 116과 같이 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때, 앞에서 설명한,
「h1>0(h1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h2>0(h2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h3>0(h3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h4>0(h4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h5>0(h5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h6>0(h6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h7>0(h7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h8>0(h8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h9>0(h9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h10>0(h10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h11>0(h11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h12>0(h12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h13>0(h13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h14>0(h14는 0보다 큰 실수)이며,
{h1≠15이고, 또한, h2≠15이고, 또한, h3≠15이고, 또한, h4≠15이고, 또한, h5≠15이고, 또한, h6≠15이고, 또한, h7≠15, 또한, h1≠h2이고, 또한, h1≠h3이고, 또한, h1≠h4이고, 또한, h1≠h5이고, 또한, h1≠h6이고, 또한, h1≠h7, 또한, h2≠h3이고, 또한, h2≠h4이고, 또한, h2≠h5이고, 또한, h2≠h6이고, 또한, h2≠h7, 또한, h3≠h4이고, 또한, h3≠h5이고, 또한, h3≠h6이고, 또한, h3≠h7, 또한, h4≠h5이고, 또한, h4≠h6이고, 또한, h4≠h7, 또한, h5≠h6이고, 또한, h5≠h7, 또한, h6≠h7}이고,
또한,
{h8≠15이고, 또한, h9≠15이고, 또한, h10≠15이고, 또한, h11≠15이고, 또한, h12≠15이고, 또한, h13≠15이고, 또한, h14≠15, 또한, h8≠h9이고, 또한, h8≠h10이고, 또한, h8≠h11이고, 또한, h8≠h12이고, 또한, h8≠h13이고, 또한, h8≠h14, 또한, h9≠h10이고, 또한, h9≠h11이고, 또한, h9≠h12이고, 또한, h9≠h13이고, 또한, h9≠h14, 또한, h10≠h11이고, 또한, h10≠h12이고, 또한, h10≠h13이고, 또한, h10≠h14, 또한, h11≠h12이고, 또한, h11≠h13이고, 또한, h11≠h14, 또한, h12≠h13이고, 또한, h12≠h14, 또한, h13≠h14}이고,
또한,
{h1≠h8, 또는 h2≠h9, 또는 h3≠h10, 또는 h4≠h11, 또는 h5≠h12, 또는 h6≠h13, 또는 h7≠h14}가 성립한다.」
가 중요한 조건이며, 보충 2에서 설명한 신호점 배치와 다른 점이다.
또, 도 117, 도 118에서는 상세한 구성을 생략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고 있는 OFDM 방식, 스펙트럼 확산 통신방식을 이용해서 변조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또,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2에서 설명한 MIMO 전송방식이나 시공간블록부호(Space-Time Block Codes) 등의 시공간부호(Space-Time Codes)(단, 심벌을 주파수 축으로 배열해도 좋다), 프리코딩을 실행하거나 또는 프리코딩을 실행하지 않는 MIMO 전송방식에서 앞에서 설명한 16QAM, 64QAM, 256QAM을 이용해도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할 가능성이 있다.
(보충 4)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1에서 비트길이 조정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또, 실시형태 12에서는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1의 비트길이 조정방법을 DVB 규격에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들 실시형태 중에서 변조방식으로 16QAM, 64QAM, 256QAM을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16QAM, 64QAM, 256QAM에 대한 구체적인 매핑 방법에 대해서는 (구성 예 R1)에서 설명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구성 예 R1), (보충 2) (보충 3)과는 다른 16QAM, 64QAM, 256QAM의 매핑 방법 등의 구성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 설명하는 16QAM, 64QAM, 256QAM을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2에 대해 적용해도 좋고, 이때,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2에서 설명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6QAM의 매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9는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16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19에 있어서 16개의 ○이 16QAM의 신호점이며, 횡축은 I, 종축은 Q가 된다.
또, 도 119에서 k1>0(k1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k2>0(k2는 0보다 큰 실수)이며, k1≠1이고, 또한, k2≠1이고, 또한, k1≠k2인 것으로 한다.
16QAM의 16개의 신호점(도 119의 「○」이 신호점이다)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는,
(k1×w16c, k2×w16c), (k1×w16c, 1×w16c), (k1×w16c,-1×w16c), (k1×w16c,-k2×w16c), (1×w16c, k2×w16c), (1×w16c, 1×w16c), (1×w16c,-1×w16c), (1×w16c,-k2×w16c), (-1×w16c, k2×w16c), (-1×w16c, 1×w16c), (-1×w16c,-1×w16c), (-1×w16c,-k2×w16c), (-k1×w16c, k2×w16c), (-k1×w16c, 1×w16c), (-k1×w16c,-1×w16c), (-k1×w16c,-k2×w16c),
가 된다(w16c는 0보다 큰 실수가 된다).
여기서, 송신하는 비트(입력 비트)를 b0, b1, b2, b3으로 한다. 예를 들어 송신하는 비트가 (b0, b1, b2, b3)=(0, 0, 0, 0)인 경우, 도 119에서의 신호점 11901에 매핑 되며,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을 I, 직교성분을 Q로 하면 (I, Q)=(k1×w16c, k2×w16c)이 된다.
즉, 송신하는 비트(b0, b1, b2, b3)에 의거하여 (16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가 결정된다. 또, b0, b1, b2, b3의 세트 (0000~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의 일례는 도 119과 같다. 16QAM의 16개의 신호점(도 119의 「○」)
(k1×w16c, k2×w16c), (k1×w16c, 1×w16c), (k1×w16c,-1×w16c), (k1×w16c,-k2×w16c), (1×w16c, k2×w16c), (1×w16c, 1×w16c), (1×w16c,-1×w16c), (1×w16c,-k2×w16c), (-1×w16c, k2×w16c), (-1×w16c, 1×w16c), (-1×w16c,-1×w16c), (-1×w16c,-k2×w16c), (-k1×w16c, k2×w16c), (-k1×w16c, 1×w16c), (-k1×w16c,-1×w16c), (-k1×w16c,-k2×w16c),
의 바로 아래에 b0, b1, b2, b3의 세트 0000~1111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b0, b1, b2, b3의 세트 0000~1111의 바로 위의 신호점(「○」)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가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및 직교성분 Q가 된다. 또, 16QAM일 때의 b0, b1, b2, b3의 세트 (0000~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는 도 119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9의 16개의 신호점에 있어서 「신호점 1」 「신호점 2」…「신호점 15」 「신호점 16」이라고 부른다. (16개의 신호점이 존재하므로, 「신호점 1」 내지 「신호점 16」이 존재하게 된다).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신호점 i」와 원점의 거리를 Di로 한다. 이때, w16c를 이하와 같이 부여한다.
그러면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평균 파워는 z2가 된다. 또, 앞에서 설명한 16QAM의 효과에 대해서는 다음에 설명한다.
64QAM의 매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0은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64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20에 있어서 64개의 ○이 64QAM의 신호점이며, 횡축은 I, 종축은 Q가 된다.
도 120에서,
「m1>0(m1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m2>0(m2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m3>0(m3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m4>0(m4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m5>0(m5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m6>0(m6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m7>0(m7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m8>0(m8은 0보다 큰 실수)이며,
{m1≠m2이고, 또한, m1≠m3이고, 또한, m1≠m4이고, 또한, m2≠m3이고, 또한, m2≠m4이고, 또한, m3≠m4}이고,
또한,
{m5≠m6이고, 또한, m5≠m7이고, 또한, m5≠m8이고, 또한, m6≠m7이고, 또한, m6≠m8이고, 또한, m7≠m8}이며,
또한,
{m1≠m5, 또는 m2≠m6, 또는 m3≠m7, 또는 m4≠m8}이 성립한다.」
또는,
「m1>0(m1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m2>0(m2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m3>0(m3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m4>0(m4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m5>0(m5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m6>0(m6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m7>0(m7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m8>0(m8은 0보다 큰 실수)이며,
{m1≠m2이고, 또한, m1≠m3이고, 또한, m1≠m4이고, 또한, m2≠m3이고, 또한, m2≠m4이고, 또한, m3≠m4}이고,
또한,
{m5≠m6이고, 또한, m5≠m7이고, 또한, m5≠m8이고, 또한, m6≠m7이고, 또한, m6≠m8이고, 또한, m7≠m8}이며,
또한,
{m1≠m5, 또는 m2≠m6, 또는 m3≠m7, 또는 m4≠m8가 성립한다}
또한,
{m1=m5, 또는 m2=m6, 또는 m3=m7, 또는 m4=m8가 성립한다}
가 성립한다.」
로 한다.
64QAM의 64개의 신호점(도 120의 「○」이 신호점이다)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는,
(m4×w64c, m8×w64c), (m4×w64c, m7×w64c), (m4×w64c, m6×w64c), (m4×w64c, m5×w64c), (m4×w64c,-m5×w64c), (m4×w64c,-m6×w64c), (m4×w64c,-m7×w64c), (m4×w64c,-m8×w64c)
(m3×w64c, m8×w64c), (m3×w64c, m7×w64c), (m3×w64c, m6×w64c), (m3×w64c, m5×w64c), (m3×w64c,-m5×w64c), (m3×w64c,-m6×w64c), (m3×w64c,-m7×w64c), (m3×w64c,-m8×w64c)
(m2×w64c, m8×w64c), (m2×w64c, m7×w64c), (m2×w64c, m6×w64c), (m2×w64c, m5×w64c), (m2×w64c,-m5×w64c), (m2×w64c,-m6×w64c), (m2×w64c,-m7×w64c), (m2×w64c,-m8×w64c)
(m1×w64c, m8×w64c), (m1×w64c, m7×w64c), (m1×w64c, m6×w64c), (m1×w64c, m5×w64c), (m1×w64c,-m5×w64c), (m1×w64c,-m6×w64c), (m1×w64c,-m7×w64c), (m1×w64c,-m8×w64c)
(-m1×w64c, m8×w64c), (-m1×w64c, m7×w64c), (-m1×w64c, m6×w64c), (-m1×w64c, m5×w64c), (-m1×w64c,-m5×w64c), (-m1×w64c,-m6×w64c), (-m1×w64c,-m7×w64c), (-m1×w64c,-m8×w64c)
(-m2×w64c, m8×w64c), (-m2×w64c, m7×w64c), (-m2×w64c, m6×w64c), (-m2×w64c, m5×w64c), (-m2×w64c,-m5×w64c), (-m2×w64c,-m6×w64c), (-m2×w64c,-m7×w64c), (-m2×w64c,-m8×w64c)
(-m3×w64c, m8×w64c), (-m3×w64c, m7×w64c), (-m3×w64c, m6×w64c), (-m3×w64c, m5×w64c), (-m3×w64c,-m5×w64c), (-m3×w64c,-m6×w64c), (-m3×w64c,-m7×w64c), (-m3×w64c,-m8×w64c)
(-m4×w64c, m8×w64c), (-m4×w64c, m7×w64c), (-m4×w64c, m6×w64c), (-m4×w64c, m5×w64c), (-m4×w64c,-m5×w64c), (-m4×w64c,-m6×w64c), (-m4×w64c,-m7×w64c), (-m4×w64c,-m8×w64c)
가 된다(w64c는 0보다 큰 실수가 된다).
여기서, 송신하는 비트(입력 비트)를 b0, b1, b2, b3, b4, b5로 한다. 예를 들어 송신하는 비트가 (b0, b1, b2, b3, b4, b5)=(0, 0, 0, 0, 0, 0)인 경우, 도 120에서의 신호점 12001에 매핑 되며,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을 I, 직교성분을 Q로 하면 (I, Q)=(m4×w64c, m8×w64c)이 된다.
즉, 송신하는 비트(b0, b1, b2, b3, b4, b5)에 의거하여 (64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가 결정된다. 또,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의 일례는 도 120과 같다. 64QAM의 64개의 신호점(도 120의 「○」)
(m4×w64c, m8×w64c), (m4×w64c, m7×w64c), (m4×w64c, m6×w64c), (m4×w64c, m5×w64c), (m4×w64c,-m5×w64c), (m4×w64c,-m6×w64c), (m4×w64c,-m7×w64c), (m4×w64c,-m8×w64c)
(m3×w64c, m8×w64c), (m3×w64c, m7×w64c), (m3×w64c, m6×w64c), (m3×w64c, m5×w64c), (m3×w64c,-m5×w64c), (m3×w64c,-m6×w64c), (m3×w64c,-m7×w64c), (m3×w64c,-m8×w64c)
(m2×w64c, m8×w64c), (m2×w64c, m7×w64c), (m2×w64c, m6×w64c), (m2×w64c, m5×w64c), (m2×w64c,-m5×w64c), (m2×w64c,-m6×w64c), (m2×w64c,-m7×w64c), (m2×w64c,-m8×w64c)
(m1×w64c, m8×w64c), (m1×w64c, m7×w64c), (m1×w64c, m6×w64c), (m1×w64c, m5×w64c), (m1×w64c,-m5×w64c), (m1×w64c,-m6×w64c), (m1×w64c,-m7×w64c), (m1×w64c,-m8×w64c)
(-m1×w64c, m8×w64c), (-m1×w64c, m7×w64c), (-m1×w64c, m6×w64c), (-m1×w64c, m5×w64c), (-m1×w64c,-m5×w64c), (-m1×w64c,-m6×w64c), (-m1×w64c,-m7×w64c), (-m1×w64c,-m8×w64c)
(-m2×w64c, m8×w64c), (-m2×w64c, m7×w64c), (-m2×w64c, m6×w64c), (-m2×w64c, m5×w64c), (-m2×w64c,-m5×w64c), (-m2×w64c,-m6×w64c), (-m2×w64c,-m7×w64c), (-m2×w64c,-m8×w64c)
(-m3×w64c, m8×w64c), (-m3×w64c, m7×w64c), (-m3×w64c, m6×w64c), (-m3×w64c, m5×w64c), (-m3×w64c,-m5×w64c), (-m3×w64c,-m6×w64c), (-m3×w64c,-m7×w64c), (-m3×w64c,-m8×w64c)
(-m4×w64c, m8×w64c), (-m4×w64c, m7×w64c), (-m4×w64c, m6×w64c), (-m4×w64c, m5×w64c), (-m4×w64c,-m5×w64c), (-m4×w64c,-m6×w64c), (-m4×w64c,-m7×w64c), (-m4×w64c,-m8×w64c)
의 바로 아래에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의 바로 위의 신호점(「○」)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가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및 직교성분 Q가 된다. 또, 64QAM일 때의 b0, b1, b2, b3, b4, b5의 세트 (000000~11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는 도 12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0의 64개의 신호점에 있어서 「신호점 1」 「신호점 2」…「신호점 63」 「신호점 64」이라고 부른다. (64개의 신호점이 존재하므로, 「신호점 1」 내지 「신호점 64」가 존재하게 된다).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신호점 i」와 원점의 거리를 Di로 한다. 이때, w64c를 이하와 같이 부여한다.
그러면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평균 파워는 z2가 된다. 또, 효과에 대해서는 다음에 설명한다.
256QAM의 매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1은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256QAM의 신호점 배치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21에 있어서 256개의 ○이 256QAM의 신호점이며, 횡축은 I, 종축은 Q가 된다.
도 121에서,
「n1>0(n1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2>0(n2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3>0(n3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4>0(n4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5>0(n5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6>0(n6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7>0(n7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8>0(n8은 0보다 큰 실수),
또한, n9>0(n9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10>0(n10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11>0(n11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12>0(n12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13>0(n13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14>0(n14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15>0(n15는 0보다 큰 실수),
또한, n16>0(n16은 0보다 큰 실수)이며,
{n1≠n2이고, 또한, n1≠n3이고, 또한, n1≠n4이고, 또한, n1≠n5이고, 또한, n1≠n6이고, 또한, n1≠n7이고, 또한, n1≠n8,
또한, n2≠n3이고, 또한, n2≠n4이고, 또한, n2≠n5이고, 또한, n2≠n6이고, 또한, n2≠n7이고, 또한, n2≠n8,
또한, n3≠n4이고, 또한, n3≠n5이고, 또한, n3≠n6이고, 또한, n3≠n7이고, 또한, n3≠n8,
또한, n4≠n5이고, 또한, n4≠n6이고, 또한, n4≠n7이고, 또한, n4≠n8,
또한, n5≠n6이고, 또한, n5≠n7이고, 또한, n5≠n8,
또한, n6≠n7이고, 또한, n6≠n8,
또한, n7≠n8}
또한,
{n9≠n10이고, 또한, n9≠n11이고, 또한, n9≠n12이고, 또한, n9≠n13이고, 또한, n9≠n14이고, 또한, n9≠n15이고, 또한, n9≠n16,
또한, n10≠n11이고, 또한, n10≠n12이고, 또한, n10≠n13이고, 또한, n10≠n14이고, 또한, n10≠n15이고, 또한, n10≠n16,
또한, n11≠n12이고, 또한, n11≠n13이고, 또한, n11≠n14이고, 또한, n11≠n15이고, 또한, n11≠n16,
또한, n12≠n13이고, 또한, n12≠n14이고, 또한, n12≠n15이고, 또한, n12≠n16,
또한, n13≠n14이고, 또한, n13≠n15이고, 또한, n13≠n16,
또한, n14≠n15이고, 또한, n14≠n16,
또한, n15≠n16}
또한,
{n1≠n9, 또는 n2≠n10, 또는 n3≠n11, 또는 n4≠n12, 또는 n5≠n13, 또는 n6≠n14, 또는 n7≠n15, 또는 n8≠n16가 성립한다}
가 성립한다.」
또는,
「n1>0(n1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2>0(n2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3>0(n3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4>0(n4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5>0(n5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6>0(n6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7>0(n7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8>0(n8은 0보다 큰 실수),
또한, n9>0(n9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10>0(n10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11>0(n11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12>0(n12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13>0(n13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14>0(n14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15>0(n15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16>0(n16은 0보다 큰 실수)이며,
{n1≠n2이고, 또한, n1≠n3이고, 또한, n1≠n4이고, 또한, n1≠n5이고, 또한, n1≠n6이고, 또한, n1≠n7이고, 또한, n1≠n8,
또한, n2≠n3이고, 또한, n2≠n4이고, 또한, n2≠n5이고, 또한, n2≠n6이고, 또한, n2≠n7이고, 또한, n2≠n8,
또한, n3≠n4이고, 또한, n3≠n5이고, 또한, n3≠n6이고, 또한, n3≠n7이고, 또한, n3≠n8,
또한, n4≠n5이고, 또한, n4≠n6이고, 또한, n4≠n7이고, 또한, n4≠n8,
또한, n5≠n6이고, 또한, n5≠n7이고, 또한, n5≠n8,
또한, n6≠n7이고, 또한, n6≠n8,
또한, n7≠n8}
또한,
{n9≠n10이고, 또한, n9≠n11이고, 또한, n9≠n12이고, 또한, n9≠n13이고, 또한, n9≠n14이고, 또한, n9≠n15이고, 또한, n9≠n16,
또한, n10≠n11이고, 또한, n10≠n12이고, 또한, n10≠n13이고, 또한, n10≠n14이고, 또한, n10≠n15이고, 또한, n10≠n16,
또한, n11≠n12이고, 또한, n11≠n13이고, 또한, n11≠n14이고, 또한, n11≠n15이고, 또한, n11≠n16,
또한, n12≠n13이고, 또한, n12≠n14이고, 또한, n12≠n15이고, 또한, n12≠n16,
또한, n13≠n14이고, 또한, n13≠n15이고, 또한, n13≠n16,
또한, n14≠n15이고, 또한, n14≠n16,
또한, n15≠n16}
또한,
{n1≠n9, 또는 n2≠n10, 또는 n3≠n11, 또는 n4≠n12, 또는 n5≠n13, 또는 n6≠n14, 또는 n7≠n15, 또는 n8≠n16가 성립한다}
한편,
{n1=n9, 또는 n2=n10, 또는 n3=n11, 또는 n4=n12, 또는 n5=n13, 또는 n6=n14, 또는 n7=n15, 또는 n8=n16가 성립한다}
가 성립한다.」
로 한다.
256QAM의 256개의 신호점(도 121의 「○」이 신호점이다)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는,
(n8×w256c, n16×w256c), (n8×w256c, n15×w256c), (n8×w256c, n14×w256c), (n8×w256c, n13×w256c), (n8×w256c, n12×w256c), (n8×w256c, n11×w256c), (n8×w256c, n10×w256c), (n8×w256c, n9×w256c), (n8×w256c,-n16×w256c), (n8×w256c,-n15×w256c), (n8×w256c,-n14×w256c), (n8×w256c,-n13×w256c), (n8×w256c,-n12×w256c), (n8×w256c,-n11×w256c), (n8×w256c,-n10×w256c), (n8×w256c,-n9×w256c),
(n7×w256c, n16×w256c), (n7×w256c, n15×w256c), (n7×w256c, n14×w256c), (n7×w256c, n13×w256c), (n7×w256c, n12×w256c), (n7×w256c, n11×w256c), (n7×w256c, n10×w256c), (n7×w256c, n9×w256c), (n7×w256c,-n16×w256c), (n7×w256c,-n15×w256c), (n7×w256c,-n14×w256c), (n7×w256c,-n13×w256c), (n7×w256c,-n12×w256c), (n7×w256c,-n11×w256c), (n7×w256c,-n10×w256c), (n7×w256c,-n9×w256c),
(n6×w256c, n16×w256c), (n6×w256c, n15×w256c), (n6×w256c, n14×w256c), (n6×w256c, n13×w256c), (n6×w256c, n12×w256c), (n6×w256c, n11×w256c), (n6×w256c, n10×w256c), (n6×w256c, n6×w256c), (n6×w256c,-n16×w256c), (n6×w256c,-n15×w256c), (n6×w256c,-n14×w256c), (n6×w256c,-n13×w256c), (n6×w256c,-n12×w256c), (n6×w256c,-n11×w256c), (n6×w256c,-n10×w256c), (n6×w256c,-n9×w256c),
(n5×w256c, n16×w256c), (n5×w256c, n15×w256c), (n5×w256c, n14×w256c), (n5×w256c, n13×w256c), (n5×w256c, n12×w256c), (n5×w256c, n11×w256c), (n5×w256c, n10×w256c), (n5×w256c, n9×w256c), (n5×w256c,-n16×w256c), (n5×w256c,-n15×w256c), (n5×w256c,-n14×w256c), (n5×w256c,-n13×w256c), (n5×w256c,-n12×w256c), (n5×w256c,-n11×w256c), (n5×w256c,-n10×w256c), (n5×w256c,-n9×w256c),
(n4×w256c, n16×w256c), (n4×w256c, n15×w256c), (n4×w256c, n14×w256c), (n4×w256c, n13×w256c), (n4×w256c, n12×w256c), (n4×w256c, n11×w256c), (n4×w256c, n10×w256c), (n4×w256c, n9×w256c), (n4×w256c,-n16×w256c), (n4×w256c,-n15×w256c), (n4×w256c,-n14×w256c), (n4×w256c,-n13×w256c), (n4×w256c,-n12×w256c), (n4×w256c,-n11×w256c), (n4×w256c,-n10×w256c), (n4×w256c,-n9×w256c),
(n3×w256c, n16×w256c), (n3×w256c, n15×w256c), (n3×w256c, n14×w256c), (n3×w256c, n13×w256c), (n3×w256c, n12×w256c), (n3×w256c, n11×w256c), (n3×w256c, n10×w256c), (n3×w256c, n9×w256c), (n3×w256c,-n16×w256c), (n3×w256c,-n15×w256c), (n3×w256c,-n14×w256c), (n3×w256c,-n13×w256c), (n3×w256c,-n12×w256c), (n3×w256c,-n11×w256c), (n3×w256c,-n10×w256c), (n3×w256c,-n9×w256c),
(n2×w256c, n16×w256c), (n2×w256c, n15×w256c), (n2×w256c, n14×w256c), (n2×w256c, n13×w256c), (n2×w256c, n12×w256c), (n2×w256c, n11×w256c), (n2×w256c, n10×w256c), (n2×w256c, n9×w256c), (n2×w256c,-n16×w256c), (n2×w256c,-n15×w256c), (n2×w256c,-n14×w256c), (n2×w256c,-n13×w256c), (n2×w256c,-n12×w256c), (n2×w256c,-n11×w256c), (n2×w256c,-n10×w256c), (n2×w256c,-n9×w256c),
(n1×w256c, n16×w256c), (n1×w256c, n15×w256c), (n1×w256c, n14×w256c), (n1×w256c, n13×w256c), (n1×w256c, n12×w256c), (n1×w256c, n11×w256c), (n1×w256c, n10×w256c), (n1×w256c, n9×w256c), (n1×w256c,-n16×w256c), (n1×w256c,-n15×w256c), (n1×w256c,-n14×w256c), (n1×w256c,-n13×w256c), (n1×w256c,-n12×w256c), (n1×w256c,-n11×w256c), (n1×w256c,-n10×w256c), (n1×w256c,-n9×w256c),
(-n8×w256c, n16×w256c), (-n8×w256c, n15×w256c), (-n8×w256c, n14×w256c), (-n8×w256c, n13×w256c), (-n8×w256c, n12×w256c), (-n8×w256c, n11×w256c), (-n8×w256c, n10×w256c), (-n8×w256c, n9×w256c), (-n8×w256c,-n16×w256c), (-n8×w256c,-n15×w256c), (-n8×w256c,-n14×w256c), (-n8×w256c,-n13×w256c), (-n8×w256c,-n12×w256c), (-n8×w256c,-n11×w256c), (-n8×w256c,-n10×w256c), (-n8×w256c,-n9×w256c),
(-n7×w256c, n16×w256c), (-n7×w256c, n15×w256c), (-n7×w256c, n14×w256c), (-n7×w256c, n13×w256c), (-n7×w256c, n12×w256c), (-n7×w256c, n11×w256c), (-n7×w256c, n10×w256c), (-n7×w256c, n9×w256c), (-n7×w256c,-n16×w256c), (-n7×w256c,-n15×w256c), (-n7×w256c,-n14×w256c), (-n7×w256c,-n13×w256c), (-n7×w256c,-n12×w256c), (-n7×w256c,-n11×w256c), (-n7×w256c,-n10×w256c), (-n7×w256c,-n9×w256c),
(-n6×w256c, n16×w256c), (-n6×w256c, n15×w256c), (-n6×w256c, n14×w256c), (-n6×w256c, n13×w256c), (-n6×w256c, n12×w256c), (-n6×w256c, n11×w256c), (-n6×w256c, n10×w256c), (-n6×w256c, n6×w256c), (-n6×w256c,-n16×w256c), (-n6×w256c,-n15×w256c), (-n6×w256c,-n14×w256c), (-n6×w256c,-n13×w256c), (-n6×w256c,-n12×w256c), (-n6×w256c,-n11×w256c), (-n6×w256c,-n10×w256c), (-n6×w256c,-n9×w256c),
(-n5×w256c, n16×w256c), (-n5×w256c, n15×w256c), (-n5×w256c, n14×w256c), (-n5×w256c, n13×w256c), (-n5×w256c, n12×w256c), (-n5×w256c, n11×w256c), (-n5×w256c, n10×w256c), (-n5×w256c, n9×w256c), (-n5×w256c,-n16×w256c), (-n5×w256c,-n15×w256c), (-n5×w256c,-n14×w256c), (-n5×w256c,-n13×w256c), (-n5×w256c,-n12×w256c), (-n5×w256c,-n11×w256c), (-n5×w256c,-n10×w256c), (-n5×w256c,-n9×w256c),
(-n4×w256c, n16×w256c), (-n4×w256c, n15×w256c), (-n4×w256c, n14×w256c), (-n4×w256c, n13×w256c), (-n4×w256c, n12×w256c), (-n4×w256c, n11×w256c), (-n4×w256c, n10×w256c), (-n4×w256c, n9×w256c), (-n4×w256c,-n16×w256c), (-n4×w256c,-n15×w256c), (-n4×w256c,-n14×w256c), (-n4×w256c,-n13×w256c), (-n4×w256c,-n12×w256c), (-n4×w256c,-n11×w256c), (-n4×w256c,-n10×w256c), (-n4×w256c,-n9×w256c),
(-n3×w256c, n16×w256c), (-n3×w256c, n15×w256c), (-n3×w256c, n14×w256c), (-n3×w256c, n13×w256c), (-n3×w256c, n12×w256c), (-n3×w256c, n11×w256c), (-n3×w256c, n10×w256c), (-n3×w256c, n9×w256c), (-n3×w256c,-n16×w256c), (-n3×w256c,-n15×w256c), (-n3×w256c,-n14×w256c), (-n3×w256c,-n13×w256c), (-n3×w256c,-n12×w256c), (-n3×w256c,-n11×w256c), (-n3×w256c,-n10×w256c), (-n3×w256c,-n9×w256c),
(-n2×w256c, n16×w256c), (-n2×w256c, n15×w256c), (-n2×w256c, n14×w256c), (-n2×w256c, n13×w256c), (-n2×w256c, n12×w256c), (-n2×w256c, n11×w256c), (-n2×w256c, n10×w256c), (-n2×w256c, n9×w256c), (-n2×w256c,-n16×w256c), (-n2×w256c,-n15×w256c), (-n2×w256c,-n14×w256c), (-n2×w256c,-n13×w256c), (-n2×w256c,-n12×w256c), (-n2×w256c,-n11×w256c), (-n2×w256c,-n10×w256c), (-n2×w256c,-n9×w256c),
(-n1×w256c, n16×w256c), (-n1×w256c, n15×w256c), (-n1×w256c, n14×w256c), (-n1×w256c, n13×w256c), (-n1×w256c, n12×w256c), (-n1×w256c, n11×w256c), (-n1×w256c, n10×w256c), (-n1×w256c, n9×w256c), (-n1×w256c,-n16×w256c), (-n1×w256c,-n15×w256c), (-n1×w256c,-n14×w256c), (-n1×w256c,-n13×w256c), (-n1×w256c,-n12×w256c), (-n1×w256c,-n11×w256c), (-n1×w256c,-n10×w256c), (-n1×w256c,-n9×w256c),
가 된다(w256c는 0보다 큰 실수가 된다).
여기서, 송신하는 비트(입력 비트)를 b0, b1, b2, b3, b4, b5, b6, b7로 한다. 예를 들어 송신하는 비트가 (b0, b1, b2, b3, b4, b5, b6, b7)=(0, 0, 0, 0, 0, 0, 0, 0)인 경우, 도 121에서의 신호점 12101에 매핑 되며,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을 I, 직교성분을 Q로 하면 (I, Q)=(n8×w256c, n16×w256c)이 된다.
즉, 송신하는 비트(b0, b1, b2, b3, b4, b5, b6, b7)에 의거하여 (256QAM일 때의)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직교성분 Q가 결정된다. 또, b0, b1, b2, b3, b4, b5, b6, b7의 세트 (00000000~1111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의 일례는 도 121과 같다. 256QAM의 256개의 신호점(도 121의 「○」)
(n8×w256c, n16×w256c), (n8×w256c, n15×w256c), (n8×w256c, n14×w256c), (n8×w256c, n13×w256c), (n8×w256c, n12×w256c), (n8×w256c, n11×w256c), (n8×w256c, n10×w256c), (n8×w256c, n9×w256c), (n8×w256c,-n16×w256c), (n8×w256c,-n15×w256c), (n8×w256c,-n14×w256c), (n8×w256c,-n13×w256c), (n8×w256c,-n12×w256c), (n8×w256c,-n11×w256c), (n8×w256c,-n10×w256c), (n8×w256c,-n9×w256c),
(n7×w256c, n16×w256c), (n7×w256c, n15×w256c), (n7×w256c, n14×w256c), (n7×w256c, n13×w256c), (n7×w256c, n12×w256c), (n7×w256c, n11×w256c), (n7×w256c, n10×w256c), (n7×w256c, n9×w256c), (n7×w256c,-n16×w256c), (n7×w256c,-n15×w256c), (n7×w256c,-n14×w256c), (n7×w256c,-n13×w256c), (n7×w256c,-n12×w256c), (n7×w256c,-n11×w256c), (n7×w256c,-n10×w256c), (n7×w256c,-n9×w256c),
(n6×w256c, n16×w256c), (n6×w256c, n15×w256c), (n6×w256c, n14×w256c), (n6×w256c, n13×w256c), (n6×w256c, n12×w256c), (n6×w256c, n11×w256c), (n6×w256c, n10×w256c), (n6×w256c, n6×w256c), (n6×w256c,-n16×w256c), (n6×w256c,-n15×w256c), (n6×w256c,-n14×w256c), (n6×w256c,-n13×w256c), (n6×w256c,-n12×w256c), (n6×w256c,-n11×w256c), (n6×w256c,-n10×w256c), (n6×w256c,-n9×w256c),
(n5×w256c, n16×w256c), (n5×w256c, n15×w256c), (n5×w256c, n14×w256c), (n5×w256c, n13×w256c), (n5×w256c, n12×w256c), (n5×w256c, n11×w256c), (n5×w256c, n10×w256c), (n5×w256c, n9×w256c), (n5×w256c,-n16×w256c), (n5×w256c,-n15×w256c), (n5×w256c,-n14×w256c), (n5×w256c,-n13×w256c), (n5×w256c,-n12×w256c), (n5×w256c,-n11×w256c), (n5×w256c,-n10×w256c), (n5×w256c,-n9×w256c),
(n4×w256c, n16×w256c), (n4×w256c, n15×w256c), (n4×w256c, n14×w256c), (n4×w256c, n13×w256c), (n4×w256c, n12×w256c), (n4×w256c, n11×w256c), (n4×w256c, n10×w256c), (n4×w256c, n9×w256c), (n4×w256c,-n16×w256c), (n4×w256c,-n15×w256c), (n4×w256c,-n14×w256c), (n4×w256c,-n13×w256c), (n4×w256c,-n12×w256c), (n4×w256c,-n11×w256c), (n4×w256c,-n10×w256c), (n4×w256c,-n9×w256c),
(n3×w256c, n16×w256c), (n3×w256c, n15×w256c), (n3×w256c, n14×w256c), (n3×w256c, n13×w256c), (n3×w256c, n12×w256c), (n3×w256c, n11×w256c), (n3×w256c, n10×w256c), (n3×w256c, n9×w256c), (n3×w256c,-n16×w256c), (n3×w256c,-n15×w256c), (n3×w256c,-n14×w256c), (n3×w256c,-n13×w256c), (n3×w256c,-n12×w256c), (n3×w256c,-n11×w256c), (n3×w256c,-n10×w256c), (n3×w256c,-n9×w256c),
(n2×w256c, n16×w256c), (n2×w256c, n15×w256c), (n2×w256c, n14×w256c), (n2×w256c, n13×w256c), (n2×w256c, n12×w256c), (n2×w256c, n11×w256c), (n2×w256c, n10×w256c), (n2×w256c, n9×w256c), (n2×w256c,-n16×w256c), (n2×w256c,-n15×w256c), (n2×w256c,-n14×w256c), (n2×w256c,-n13×w256c), (n2×w256c,-n12×w256c), (n2×w256c,-n11×w256c), (n2×w256c,-n10×w256c), (n2×w256c,-n9×w256c),
(n1×w256c, n16×w256c), (n1×w256c, n15×w256c), (n1×w256c, n14×w256c), (n1×w256c, n13×w256c), (n1×w256c, n12×w256c), (n1×w256c, n11×w256c), (n1×w256c, n10×w256c), (n1×w256c, n9×w256c), (n1×w256c,-n16×w256c), (n1×w256c,-n15×w256c), (n1×w256c,-n14×w256c), (n1×w256c,-n13×w256c), (n1×w256c,-n12×w256c), (n1×w256c,-n11×w256c), (n1×w256c,-n10×w256c), (n1×w256c,-n9×w256c),
(-n8×w256c, n16×w256c), (-n8×w256c, n15×w256c), (-n8×w256c, n14×w256c), (-n8×w256c, n13×w256c), (-n8×w256c, n12×w256c), (-n8×w256c, n11×w256c), (-n8×w256c, n10×w256c), (-n8×w256c, n9×w256c), (-n8×w256c,-n16×w256c), (-n8×w256c,-n15×w256c), (-n8×w256c,-n14×w256c), (-n8×w256c,-n13×w256c), (-n8×w256c,-n12×w256c), (-n8×w256c,-n11×w256c), (-n8×w256c,-n10×w256c), (-n8×w256c,-n9×w256c),
(-n7×w256c, n16×w256c), (-n7×w256c, n15×w256c), (-n7×w256c, n14×w256c), (-n7×w256c, n13×w256c), (-n7×w256c, n12×w256c), (-n7×w256c, n11×w256c), (-n7×w256c, n10×w256c), (-n7×w256c, n9×w256c), (-n7×w256c,-n16×w256c), (-n7×w256c,-n15×w256c), (-n7×w256c,-n14×w256c), (-n7×w256c,-n13×w256c), (-n7×w256c,-n12×w256c), (-n7×w256c,-n11×w256c), (-n7×w256c,-n10×w256c), (-n7×w256c,-n9×w256c),
(-n6×w256c, n16×w256c), (-n6×w256c, n15×w256c), (-n6×w256c, n14×w256c), (-n6×w256c, n13×w256c), (-n6×w256c, n12×w256c), (-n6×w256c, n11×w256c), (-n6×w256c, n10×w256c), (-n6×w256c, n6×w256c), (-n6×w256c,-n16×w256c), (-n6×w256c,-n15×w256c), (-n6×w256c,-n14×w256c), (-n6×w256c,-n13×w256c), (-n6×w256c,-n12×w256c), (-n6×w256c,-n11×w256c), (-n6×w256c,-n10×w256c), (-n6×w256c,-n9×w256c),
(-n5×w256c, n16×w256c), (-n5×w256c, n15×w256c), (-n5×w256c, n14×w256c), (-n5×w256c, n13×w256c), (-n5×w256c, n12×w256c), (-n5×w256c, n11×w256c), (-n5×w256c, n10×w256c), (-n5×w256c, n9×w256c), (-n5×w256c,-n16×w256c), (-n5×w256c,-n15×w256c), (-n5×w256c,-n14×w256c), (-n5×w256c,-n13×w256c), (-n5×w256c,-n12×w256c), (-n5×w256c,-n11×w256c), (-n5×w256c,-n10×w256c), (-n5×w256c,-n9×w256c),
(-n4×w256c, n16×w256c), (-n4×w256c, n15×w256c), (-n4×w256c, n14×w256c), (-n4×w256c, n13×w256c), (-n4×w256c, n12×w256c), (-n4×w256c, n11×w256c), (-n4×w256c, n10×w256c), (-n4×w256c, n9×w256c), (-n4×w256c,-n16×w256c), (-n4×w256c,-n15×w256c), (-n4×w256c,-n14×w256c), (-n4×w256c,-n13×w256c), (-n4×w256c,-n12×w256c), (-n4×w256c,-n11×w256c), (-n4×w256c,-n10×w256c), (-n4×w256c,-n9×w256c),
(-n3×w256c, n16×w256c), (-n3×w256c, n15×w256c), (-n3×w256c, n14×w256c), (-n3×w256c, n13×w256c), (-n3×w256c, n12×w256c), (-n3×w256c, n11×w256c), (-n3×w256c, n10×w256c), (-n3×w256c, n9×w256c), (-n3×w256c,-n16×w256c), (-n3×w256c,-n15×w256c), (-n3×w256c,-n14×w256c), (-n3×w256c,-n13×w256c), (-n3×w256c,-n12×w256c), (-n3×w256c,-n11×w256c), (-n3×w256c,-n10×w256c), (-n3×w256c,-n9×w256c),
(-n2×w256c, n16×w256c), (-n2×w256c, n15×w256c), (-n2×w256c, n14×w256c), (-n2×w256c, n13×w256c), (-n2×w256c, n12×w256c), (-n2×w256c, n11×w256c), (-n2×w256c, n10×w256c), (-n2×w256c, n9×w256c), (-n2×w256c,-n16×w256c), (-n2×w256c,-n15×w256c), (-n2×w256c,-n14×w256c), (-n2×w256c,-n13×w256c), (-n2×w256c,-n12×w256c), (-n2×w256c,-n11×w256c), (-n2×w256c,-n10×w256c), (-n2×w256c,-n9×w256c),
(-n1×w256c, n16×w256c), (-n1×w256c, n15×w256c), (-n1×w256c, n14×w256c), (-n1×w256c, n13×w256c), (-n1×w256c, n12×w256c), (-n1×w256c, n11×w256c), (-n1×w256c, n10×w256c), (-n1×w256c, n9×w256c), (-n1×w256c,-n16×w256c), (-n1×w256c,-n15×w256c), (-n1×w256c,-n14×w256c), (-n1×w256c,-n13×w256c), (-n1×w256c,-n12×w256c), (-n1×w256c,-n11×w256c), (-n1×w256c,-n10×w256c), (-n1×w256c,-n9×w256c),
의 바로 아래에 b0, b1, b2, b3, b4, b5, b6, b7의 세트 00000000~11111111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b0, b1, b2, b3, b4, b5, b6, b7의 세트 00000000~11111111의 바로 위의 신호점(「○」)의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각각의 좌표가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동상성분 I 및 직교성분 Q가 된다. 또, 256QAM일 때의 b0, b1, b2, b3, b4, b5, b6, b7의 세트 (00000000~11111111)와 신호점의 좌표의 관계는 도 12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21의 256개의 신호점에 있어서 「신호점 1」 「신호점 2」…「신호점 255」 「신호점 256」이라고 부른다. (256개의 신호점이 존재하므로, 「신호점 1」 내지 「신호점 256」이 존재하게 된다). 동상 I-직교 Q평면에 있어서 「신호점 i」와 원점의 거리를 Di로 한다. 이때, w256c를 이하와 같이 부여한다.
그러면 매핑 후의 베이스밴드신호의 평균 파워는 z2가 된다. 또, 효과에 대해서는 다음에 설명한다.
다음에, 앞에서 설명한QAM을 사용했을 때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송신장치와 수신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7은 송신장치의 구성의 일례이다. 오류정정 부호화부(11702)는 정보(11701)을 입력으로 하여 LDPC부호나 터보 부호 등의 오류정정부호화를 실행하여 오류정정부호화 후의 데이터(11703)를 출력한다.
인터리브부(11704)는 오류정정부호화 후의 데이터(11703)를 입력으로 하여 데이터의 재배열을 실행해서 인터리브 후의 데이터(11705)를 출력한다.
매핑부(11706)는 인터리브 후의 데이터(11705)를 입력으로 하여 송신장치가 설정한 변조방식에 의거해 매핑을 실행해서 직교 베이스밴드신호(동상 I성분과 직교 Q성분)(11707)를 출력한다.
무선부(11708)는 직교 베이스밴드신호(11707)를 입력으로 하여, 직교 변조, 주파수변환, 증폭 등의 처리를 실행해서 송신신호(11709)를 출력한다. 그리고 송신신호(11709)는 전파로서 안테나(11710)로부터 출력된다.
도 118은 도 117의 송신장치가 송신한 변조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의 구성의 일례이다.
무선부(11803)는 안테나(11801)에서 수신한 수신신호(11802)를 입력으로 하여, 주파수변환, 직교 복조 등의 처리를 해서 직교 베이스밴드신호(11804)를 출력한다.
디 맵핑부(11805)는 직교 베이스밴드신호(11804)를 입력으로 하여 주파수 오프셋 추정 및 제거, 채널변동(전송로 변동)의 추정을 하는 동시에, 데이터심벌에서의 각 비트의 예를 들어 대수 우도비를 추정하고, 대수 우도비 신호(11806)를 출력한다.
디 인터리브부(11807)는 대수 우도비 신호(11806)를 입력으로 하여 재배열을 실행하여 디 인터리브 후의 대수 우도비 신호(11808)를 출력한다.
복호부(11809)는 디 인터리브 후의 대수 우도비 신호(11808)를 입력으로 하여 오류정정부호의 복호를 실시하여 수신데이터(11810)를 출력한다.
효과를 설명함에 있어서 16QAM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2개의 경우(<16QAM#3>및<16QAM#4>)를 비교한다.
<16QAM#3>보충 2에서 설명한 16QAM이며,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111에 나타낸 것과 같다.
<16QAM#4>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신호점의 배치는 도 119에 나타낸 것과 같으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k1>0(k1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k2>0(k2는 0보다 큰 실수)이며, k1≠1이고, 또한, k2≠1이고, 또한, k1≠k2인 것으로 한다.
16QAM에서는 앞에서도 설명한 것과 같이 b0, b1, b2, b3의 4비트가 전송된다. 그리고, <16QAM#3>으로 한 때, 수신장치에 있어서 각 비트의 대수 우도비를 구한 경우 4비트는 「2비트의 고품위의 비트, 2비트의 저 품위의 비트」로 나누어진다. 한편, <16QAM#4>로 한 때, 「k1>0(k1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k2>0(k2는 0보다 큰 실수)이며, k1≠1이고, 또한, k2≠1이고, 또한, k1≠k2인 것으로 한다.」의 조건에 의해, 「1비트의 고품위의 비트, 2비트의 중 품위의 비트, 1비트의 저 품위의 비트」로 나누어진다. 이상과 같이, 4비트의 품질의 배분이 <16QAM#3>으로<16QAM#4>에 따라 다르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 118의 복호부(11809)로 오류정정부호의 복호를 실시한 경우에는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에 따라서는 <16QAM#4>로 하는 편이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또, 64QAM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신호점의 배치를 도 120과 같이 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때, 앞에서 설명한,
「m1>0(m1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m2>0(m2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m3>0(m3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m4>0(m4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m5>0(m5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m6>0(m6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m7>0(m7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m8>0(m8은 0보다 큰 실수)이며,
{m1≠m2이고, 또한, m1≠m3이고, 또한, m1≠m4이고, 또한, m2≠m3이고, 또한, m2≠m4이고, 또한, m3≠m4}
또한,
{m5≠m6이고, 또한, m5≠m7이고, 또한, m5≠m8이고, 또한, m6≠m7이고, 또한, m6≠m8이고, 또한, m7≠m8}
또한,
{m1≠m5, 또는 m2≠m6, 또는 m3≠m7, 또는 m4≠m8가 성립한다}
가 성립한다.」
또는,
「m1>0(m1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m2>0(m2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m3>0(m3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m4>0(m4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m5>0(m5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m6>0(m6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m7>0(m7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m8>0(m8은 0보다 큰 실수)이며,
{m1≠m2이고, 또한, m1≠m3이고, 또한, m1≠m4이고, 또한, m2≠m3이고, 또한, m2≠m4이고, 또한, m3≠m4}
또한,
{m5≠m6이고, 또한, m5≠m7이고, 또한, m5≠m8이고, 또한, m6≠m7이고, 또한, m6≠m8이고, 또한, m7≠m8}
또한,
{m1≠m5, 또는 m2≠m6, 또는 m3≠m7, 또는 m4≠m8가 성립한다}
또한,
{m1=m5, 또는 m2=m6, 또는 m3=m7, 또는 m4=m8가 성립한다}
가 성립한다.」
로 한다.
가 중요한 조건이며, 보충 2에서 설명한 신호점 배치와 다른 점이다.
마찬가지로, 256QAM에 있어서 동상 I-직교 Q 평면에서의 신호점의 배치를 도 121과 같이 한 경우,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수신장치에 있어서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때, 앞에서 설명한,
「n1>0(n1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2>0(n2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3>0(n3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4>0(n4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5>0(n5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6>0(n6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7>0(n7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8>0(n8은 0보다 큰 실수),
또한, n9>0(n9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10>0(n10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11>0(n11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12>0(n12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13>0(n13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14>0(n14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15>0(n15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16>0(n16은 0보다 큰 실수)이며,
{n1≠n2이고, 또한, n1≠n3이고, 또한, n1≠n4이고, 또한, n1≠n5이고, 또한, n1≠n6이고, 또한, n1≠n7이고, 또한, n1≠n8,
또한, n2≠n3이고, 또한, n2≠n4이고, 또한, n2≠n5이고, 또한, n2≠n6이고, 또한, n2≠n7이고, 또한, n2≠n8,
또한, n3≠n4이고, 또한, n3≠n5이고, 또한, n3≠n6이고, 또한, n3≠n7이고, 또한, n3≠n8,
또한, n4≠n5이고, 또한, n4≠n6이고, 또한, n4≠n7이고, 또한, n4≠n8,
또한, n5≠n6이고, 또한, n5≠n7이고, 또한, n5≠n8,
또한, n6≠n7이고, 또한, n6≠n8,
또한, n7≠n8}
또한,
{n9≠n10이고, 또한, n9≠n11이고, 또한, n9≠n12이고, 또한, n9≠n13이고, 또한, n9≠n14이고, 또한, n9≠n15이고, 또한, n9≠n16,
또한, n10≠n11이고, 또한, n10≠n12이고, 또한, n10≠n13이고, 또한, n10≠n14이고, 또한, n10≠n15이고, 또한, n10≠n16,
또한, n11≠n12이고, 또한, n11≠n13이고, 또한, n11≠n14이고, 또한, n11≠n15이고, 또한, n11≠n16,
또한, n12≠n13이고, 또한, n12≠n14이고, 또한, n12≠n15이고, 또한, n12≠n16,
또한, n13≠n14이고, 또한, n13≠n15이고, 또한, n13≠n16,
또한, n14≠n15이고, 또한, n14≠n16,
또한, n15≠n16}
또한,
{n1≠n9, 또는 n2≠n10, 또는 n3≠n11, 또는 n4≠n12, 또는 n5≠n13, 또는 n6≠n14, 또는 n7≠n15, 또는 n8≠n16가 성립한다}
가 성립한다.」
또는,
「n1>0(n1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2>0(n2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3>0(n3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4>0(n4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5>0(n5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6>0(n6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7>0(n7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8>0(n8은 0보다 큰 실수),
또한, n9>0(n9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10>0(n10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11>0(n11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12>0(n12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13>0(n13은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14>0(n14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15>0(n15는 0보다 큰 실수)이고, 또한, n16>0(n16은 0보다 큰 실수)이며,
{n1≠n2이고, 또한, n1≠n3이고, 또한, n1≠n4이고, 또한, n1≠n5이고, 또한, n1≠n6이고, 또한, n1≠n7이고, 또한, n1≠n8,
한편, n2≠n3이고, 또한, n2≠n4이고, 또한, n2≠n5이고, 또한, n2≠n6이고, 또한, n2≠n7이고, 또한, n2≠n8,
또한, n3≠n4이고, 또한, n3≠n5이고, 또한, n3≠n6이고, 또한, n3≠n7이고, 또한, n3≠n8,
또한, n4≠n5이고, 또한, n4≠n6이고, 또한, n4≠n7이고, 또한, n4≠n8,
또한, n5≠n6이고, 또한, n5≠n7이고, 또한, n5≠n8,
또한, n6≠n7이고, 또한, n6≠n8,
또한, n7≠n8}
또한,
{n9≠n10이고, 또한, n9≠n11이고, 또한, n9≠n12이고, 또한, n9≠n13이고, 또한, n9≠n14이고, 또한, n9≠n15이고, 또한, n9≠n16,
또한, n10≠n11이고, 또한, n10≠n12이고, 또한, n10≠n13이고, 또한, n10≠n14이고, 또한, n10≠n15이고, 또한, n10≠n16,
또한, n11≠n12이고, 또한, n11≠n13이고, 또한, n11≠n14이고, 또한, n11≠n15이고, 또한, n11≠n16,
또한, n12≠n13이고, 또한, n12≠n14이고, 또한, n12≠n15이고, 또한, n12≠n16,
또한, n13≠n14이고, 또한, n13≠n15이고, 또한, n13≠n16,
또한, n14≠n15이고, 또한, n14≠n16,
또한, n15≠n16}
또한,
{n1≠n9, 또는 n2≠n10, 또는 n3≠n11, 또는 n4≠n12, 또는 n5≠n13, 또는 n6≠n14, 또는 n7≠n15, 또는 n8≠n16가 성립한다}
또한,
{n1=n9, 또는 n2=n10, 또는 n3=n11, 또는 n4=n12, 또는 n5=n13, 또는 n6=n14, 또는 n7=n15, 또는 n8=n16가 성립한다}
가 성립한다.」
가 중요한 조건이며, 보충 2에서 설명한 신호점 배치와 다른 점이다.
또, 도 117, 도 118에서는 상세한 구성을 생략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고 있는 OFDM 방식, 스펙트럼 확산 통신방식을 이용해서 변조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하는 경우라도 똑같이 실시할 수 있다.
또,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2에서 설명한 MIMO 전송방식이나 시공간블록부호(Space-Time Block Codes) 등의 시공간부호(Space-Time Codes)(단, 심벌을 주파수 축으로 배열해도 좋다), 프리코딩 실시하는 또는 프리코딩을 실행하지 않는 MIMO 전송방식에 있어서 앞에서 설명한 16QAM, 64QAM, 256QAM을 이용해도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할 가능성이 있다.
(보충 5)
여기에서는 (보충 2), (보충 3), (보충 4)에서 설명한 QAM을 이용한 통신·방송시스템의 구성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2는 송신장치의 일례이며, 도 117과 마찬가지로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였다.
송신방법 지시부(12202)는 입력신호(12201)를 입력으로 하여, 입력신호(12201)에 의거하여 데이터심벌을 생성하기 위한, 오류정정부호에 관한 정보신호(12203) (예를 들어 오류정정부호의 부호화율, 오류정정부호의 블록길이 등), 변조방식에 관한 정보신호(12204) (예를 들어 변조방식), 변조방식에 관한 파라미터의 정보신호(12205) (예를 들어 QAM일 때의 진폭의 값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다. 또, 입력신호(12201)를 송신장치가 사용하는 사용자가 생성해도 좋고, 통신시스템으로 사용하는 경우 통신 상대의 피드백 정보를 입력신호(12201)로 해도 좋다.
오류정정 부호화부(11702)는 정보(11701), 오류정정부호에 관한 정보신호(12203)를 입력으로 하여, 오류정정부호에 관한 정보신호(12203)에 의거하여 오류정정부호화를 실행하여 오류정정부호화 후의 데이터(11703)를 출력한다.
매핑부(11706)는 인터리브 후의 데이터(11705), 변조방식에 관한 정보신호(12204), 변조방식에 관한 파라미터의 정보신호(12205)를 입력으로 하여, 변조방식에 관한 정보신호(12204) 및 변조방식에 관한 파라미터의 정보신호(12205)에 의거해 매핑을 실행해서 직교 베이스밴드신호(11707)를 출력한다.
제어정보심벌 생성부(12207)는 오류정정부호에 관한 정보신호(12203), 변조방식에 관한 정보신호(12204), 변조방식에 관한 파라미터의 정보신호(12205), 제어 데이터(12206)를 입력으로 하여, 예를 들어 오류정정부호화의 처리 및 BPSK나 QPSK와 같은 변조 처리를 실행해서 제어정보 심벌신호(12208)를 출력한다.
무선부(11703)는 직교 베이스밴드신호(11707), 제어심벌신호(12208), 파일럿심벌신호(12209), 프레임 구성신호(12210)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신호(12210)에 의거하여 프레임에 의거한 송신신호(11709)를 출력한다. 또, 프레임 구성은 도 123에서 나타낸 것과 같다.
도 123은 종축 주파수, 횡축 시간에서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이다. 도 123에 있어서 12301은 파일럿심벌이고, 12302는 제어정보심벌이며, 12303은 데이터심벌이다. 파일럿심벌(12301)은 도 122의 파일럿심벌신호(12209)에 상당하고, 제어정보심벌(12302)은 도 122의 제어정보 심벌신호(12208)에 상당하며, 데이터심벌(12303)은 도 122의 직교 베이스밴드신호(11707)에 상당한다.
도 124는 도 122의 송신장치가 송신한 변조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이며, 도 118과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동기부(12405)는 직교 베이스밴드신호(11804)를 입력으로 하여, 예를 들어 도 123에서의 파일럿심벌(12301)을 검출 및 이용함으로써 주파수 동기, 시간 동기, 프레임 동기를 실시해서 동기신호(12406)로서 출력한다.
제어정보 복조부(12401)는 직교 베이스밴드신호(12403), 동기신호(12406)를 입력으로 하여, 도 123에서의 제어정보심벌(12302)의 복조(및 오류정정 복호)를 실시해서 제어정보신호(12402)를 출력한다.
주파수 오프셋·전송로 추정부(12403)는 직교 베이스밴드신호(12403), 동기신호(12406)를 입력으로 하여, 예를 들어 도 123에서의 파일럿심벌(12301)을 이용해서 주파수 오프셋 및 전파에 의한 전송로의 변동을 추정하여 주파수 오프셋 및 전송로의 변동 추정신호(12404)를 출력한다.
디 맵핑부(11805)는 직교 베이스밴드신호(12403), 제어정보신호(12402), 주파수 오프셋 및 전송로의 변동 추정신호(12404), 동기신호(12406)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정보신호(12402)에 의해 도 123의 데이터심벌(12303)의 변조방식을 판별하고, 직교 베이스밴드신호(12403) 및 주파수 오프셋 및 전송로의 변동 추정신호(12404)를 이용해서 데이터심벌 중의 각 비트의 대수 우도비를 구해서 대수 우도비 신호(11806)를 출력한다.
디 인터리브부(11807)는 대수 우도비 신호(11808), 제어정보신호(12402)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정보신호(12402)에 포함되는 변조방식·오류정정 부호화방식 등의 송신방법의 정보로부터 송신장치가 이용한 인터리브 방법에 대응하는 디 인터리브 방법의 처리를 실행해서 디 인터리브 후의 대수 우도비 신호(11808)를 출력한다.
복호부(11809)는 디 인터리브 후의 대수 우도비 신호(11808), 제어정보신호(12402)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정보에 포함되는 오류정정 부호화방식에 관한 정보로부터 그 부호에 의거하는 오류정정 복호를 실시해서 수신데이터(11810)를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보충 2), (보충 3), (보충 4)에서 설명한 QAM을 이용한 때의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예 1>
도 122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부호로 복수의 블록길이(부호길이)의 송신을 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한다.
예로, 블록길이(부호길이) 16200비트의 LDPC(블록) 부호에 의한 오류정정부호화 및 블록길이(부호길이) 64800비트의 LDPC(블록) 부호에 의한 오류정정부호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도 122의 송신장치는 오류정정부호화를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의 2개의 오류정정방식을 생각한다.
<오류정정방식 #1>
부호화율 2/3, 블록길이(부호길이) 16200비트(정보:10800비트, 패리티:5400비트)의 LDPC(블록) 부호를 이용해서 부호화를 실시한다.
<오류정정방식 #2>
부호화율 2/3, 블록길이(부호길이) 64800비트(정보:43200비트, 패리티:21600비트)의 LDPC(블록) 부호를 이용해서 부호화를 실시한다.
그리고 도 122의 송신장치에서 도 111에서 설명한 16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2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방식 #1>을 이용한 때에 도 111의 f=f#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오류정정방식 #2>를 이용한 때에 도 111의 f=f#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조건 #H1>
f#1≠1이고, 또한, f#2≠1이고, 또한, f#1≠f#2가 성립하면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오류정정방식 #1> <오류정정방식 #2>어느 때에도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오류정정방식 #1> <오류정정방식 #2>에서 f의 호적 값이 다르므로).
도 122의 송신장치에서 도 112에서 설명한 64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2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방식 #1>을 이용한 때 도 112의 g1=g1,#1, g2=g2,#1, g3=g3,#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오류정정방식 #2>를 이용한 때 도 112의 g1=g1,#2, g2=g2,#2, g3=g3,#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이하가 성립하면 좋다.
<조건 #H2>
{(g1,#1, g2,#1, g3,#1)≠(1, 3, 5)이고, 또한, (g1,#1, g2,#1, g3,#1)≠(1, 5, 3)이고, 또한, (g1,#1, g2,#1, g3,#1)≠(3, 1, 5)이고, 또한, (g1,#1, g2,#1, g3,#1)≠(3, 5, 1)이고, 또한, (g1,#1, g2,#1, g3,#1)≠(5, 1, 3)이고, 또한, (g1,#1, g2,#1, g3,#1)≠(5, 3, 1)}
또한,
{(g1,#2, g2,#2, g3,#2)≠(1, 3, 5)이고, 또한, (g1,#2, g2,#2, g3,#2)≠(1, 5, 3)이고, 또한, (g1,#2, g2,#2, g3,#2)≠(3, 1, 5)이고, 또한, (g1,#2, g2,#2, g3,#2)≠(3, 5, 1)이고, 또한, (g1,#2, g2,#2, g3,#2)≠(5, 1, 3)이고, 또한, (g1,#2, g2,#2, g3,#2)≠(5, 3, 1)}
또한,
{{g1,#1≠g1,#2, 또는 g2,#1≠g2,#2, 또는 g3,#1≠g3,#2}가 성립한다}
가 성립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오류정정방식 #1> <오류정정방식 #2>어느 경우에도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오류정정방식 #1> <오류정정방식 #2>로 g1, g2, g3의 호적한 세트가 다르므로).
도 122의 송신장치에서 도 113에서 설명한 256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2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방식 #1>을 이용한 때 도 113의 h1=h1,#1, h2=h2,#1, h3=h3,#1, h4=h4,#1, h5=h5,#1, h6=h6,#1, h7=h7,#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오류정정방식 #2>를 이용한 때 도 113의 h1=h1,#2, h2=h2,#2, h3=h3,#2, h4=h4,#2, h5=h5,#2, h6=h6,#2, h7=h7,#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이하가 성립하면 좋다.
<조건 #H3>
{{a1은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2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3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4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5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6은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7은 1 이상 7 이하의 정수}가 성립하며, {x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y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x≠y}가 성립한 때, {모든 x, 모든 y로, ax≠ay가 성립한다}일 때, (ha1,#1, ha2,#1, ha3,#1, ha4,#1, ha5,#1, ha6,#1, ha7,#1)≠(1, 3, 5, 7, 9, 11, 13)가 성립한다}
또한,
{{a1은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2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3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4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5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6은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7은 1 이상 7 이하의 정수}가 성립하며, {x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y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x≠y}가 성립한 때, {모든 x, 모든 y로, ax≠ay가 성립한다}일 때 (ha1,#2, ha2,#2, ha3,#2, ha4,#2, ha5,#2, ha6,#2, ha7,#2)≠(1, 3, 5, 7, 9, 11, 13)가 성립한다}
또한,
{{h1,#1≠h1,#2, 또는 h2,#1≠h2,#2, 또는 h3,#1≠h3,#2, 또는 h4,#1≠h4,#2, 또는 h5,#1≠h5,#2, 또는 h6,#1≠h6,#2, 또는 h7,#1≠h7,#2}가 성립한다}가 성립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오류정정방식 #1> <오류정정방식 #2>어느 경우에도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오류정정방식 #1> <오류정정방식 #2>로 h1, h2, h3, h4, h5, h6, h7의 호적한 세트가 다르므로).
이상을 정리하면 이하와 같이 된다.
다음의 2개의 오류정정방식을 생각한다.
<오류정정방식 #1*>
부호화율 A, 블록길이(부호길이) B비트의 블록부호를 이용해서 부호화를 실시한다(A는 실수이며, 0<A<1이 성립하고, B는 0보다 큰 정수로 한다).
<오류정정방식 #2*>
부호화율 A, 블록길이(부호길이) C비트의 블록부호를 이용해서 부호화를 실시한다(A는 실수이며, 0<A<1이 성립하고, C는 0보다 큰 정수이며, B≠C가 성립한다).
그리고 도 122의 송신장치에서 도 111에서 설명한 16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2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방식 #1*>를 이용한 때 도 111의 f=f#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오류정정방식 #2*>를 이용한 때 도 111의 f=f#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조건 #H1>이 성립하면 좋다.
도 122의 송신장치에서 도 112에서 설명한 64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2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방식 #1*>를 이용한 때 도 112의 g1=g1,#1, g2=g2,#1, g3=g3,#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오류정정방식 #2*>를 이용한 때 도 112의 g1=g1,#2, g2=g2,#2, g3=g3,#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조건 #H2>가 성립하면 좋다.
도 122의 송신장치에서 도 113에서 설명한 256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2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방식 #1*>를 이용한 때 도 113의 h1=h1,#1, h2=h2,#1, h3=h3,#1, h4=h4,#1, h5=h5,#1, h6=h6,#1, h7=h7,#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오류정정방식 #2*>를 이용한 때 도 112의 h1=h1,#2, h2=h2,#2, h3=h3,#2, h4=h4,#2, h5=h5,#2, h6=h6,#2, h7=h7,#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조건 #H3>이 성립하면 좋다.
<예 2>
도 122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부호로 복수의 블록길이(부호길이)의 송신을 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한다.
예로, 블록길이(부호길이) 16200비트의 LDPC(블록) 부호에 의한 오류정정부호화 및 블록길이(부호길이) 64800비트의 LDPC(블록) 부호에 의한 오류정정부호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도 122의 송신장치는 오류정정부호화를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의 2개의 오류정정방식을 생각한다.
<오류정정방식 #3>
부호화율 2/3, 블록길이(부호길이) 16200비트(정보:10800비트, 패리티:5400비트)의 LDPC(블록) 부호를 이용해서 부호화를 실시한다.
<오류정정방식 #4>
부호화율 2/3, 블록길이(부호길이) 64800비트(정보:43200비트, 패리티:21600비트)의 LDPC(블록) 부호를 이용해서 부호화를 실시한다.
그리고 도 122의 송신장치에서 도 114에서 설명한 16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2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방식 #3>을 이용한 때 도 114의 f1=f1,#1, f2=f2,#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오류정정방식 #4>를 이용한 때 도 114의 f1=f1,#2, f2=f2,#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조건 #H4>
{f1,#1≠f1,#2, 또는 f2,#1≠f2,#2}가 성립하면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오류정정방식 #3> <오류정정방식 #4>의 어느 경우에도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오류정정방식 #3> <오류정정방식 #4>에서 f1, f2의 호적한 세트가 다르므로).
도 122의 송신장치에서 도 115에서 설명한 64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2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방식 #3>을 이용한 때 도 115의 g1=g1,#1, g2=g2,#1, g3=g3,#1, g4=g4,#1, g5=g5,#1, g6=g6,#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오류정정방식 #4>를 이용한 때 도 115의 g1=g1,#2, g2=g2,#2, g3=g3,#2, g4=g4,#2, g5=g5,#2, g6=g6,#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이하가 성립하면 좋다.
<조건 #H5>
{
{{g1,#1≠g1,#2이고, 또한, g1,#1≠g2,#2이고, 또한, g1,#1≠g3,#2}, 또는, {g2,#1≠g1,#2이고, 또한, g2,#1≠g2,#2이고, 또한, g2,#1≠g3,#2}, 또는, {g3,#1≠g1,#2이고, 또한, g3,#1≠g2,#2이고, 또한, g3,#1≠g3,#2}가 성립한다},
또는,
{{g4,#1≠g4,#2이고, 또한, g4,#1≠g5,#2이고, 또한, g4,#1≠g6,#2}, 또는, {g5,#1≠g4,#2이고, 또한, g5,#1≠g5,#2이고, 또한, g5,#1≠g6,#2}, 또는, {g6,#1≠g4,#2이고, 또한, g6,#1≠g5,#2이고, 또한, g6,#1≠g6,#2}가 성립한다}
}
가 성립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오류정정방식 #3> <오류정정방식 #4>의 어느 경우에도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오류정정방식 #3> <오류정정방식 #4>로 g1, g2, g3, g4, g5, g6의 호적한 세트가 다르므로).
도 122의 송신장치에서 도 116에서 설명한 256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2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방식 #3>을 이용한 때 도 116의 h1=h1,#1, h2=h2,#1, h3=h3,#1, h4=h4,#1, h5=h5,#1, h6=h6,#1, h7=h7,#1, h8=h8,#1, h9=h9,#1, h10=h10,#1, h11=h11,#1, h12=h12,#1, h13=h13,#1, h14=h14,#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오류정정방식 #4>를 이용한 때 도 116의 h1=h1,#2, h2=h2,#2, h3=h3,#2, h4=h4,#2, h5=h5,#2, h6=h6,#2, h7=h7,#2, h8=h8,#2, h9=h9,#2, h10=h10,#2, h11=h11,#2, h12=h12,#2, h13=h13,#2, h14=h14,#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이하가 성립하면 좋다.
<조건 #H6>
{
{k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1,#1≠h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2,#1≠h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3,#1≠h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4,#1≠h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5,#1≠h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6,#1≠h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7,#1≠hk,#2가 성립한다}
}
또는,
{
{k는 8 이상 14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8,#1≠hk,#2가 성립하는},
또는, {k는 8 이상 14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9,#1≠h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8 이상 14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10,#1≠h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8 이상 14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11,#1≠h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8 이상 14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12,#1≠h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8 이상 14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13,#1≠h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8 이상 14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14,#1≠hk,#2가 성립한다}
}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오류정정방식 #3> <오류정정방식 #4>의 어느 경우에도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오류정정방식 #3> <오류정정방식 #4>로 h1, h2, h3, h4, h5, h6, h7, h8, h9, h10, h11, h12, h13, h14의 호적한 세트가 다르므로).
이상을 정리하면 이하와 같이 된다.
다음의 2개의 오류정정방식을 생각한다.
<오류정정방식 #3*>
부호화율 A, 블록길이(부호길이) B비트의 블록부호를 이용해서 부호화를 실시한다(A는 실수이며, 0<A<1이 성립하고, B는 0보다 큰 정수로 한다).
<오류정정방식 #4*>
부호화율 A, 블록길이(부호길이) C비트의 블록부호를 이용해서 부호화를 실시한다(A는 실수이며, 0<A<1이 성립하고, C는 0보다 큰 정수이며, B≠C가 성립한다)
그리고 도 122의 송신장치에서 도 114에서 설명한 16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2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방식 #3*>를 이용한 때 도 114의 f1=f1,#1, f2=f2,#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오류정정방식 #4*>를 이용한 때 도 114의 f1=f1,#2, f2=f2,#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조건 #H4>가 성립하면 좋다.
도 122의 송신장치에서 도 115에서 설명한 64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2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방식 #3*>를 이용한 때 도 115의 g1=g1,#1, g2=g2,#1, g3=g3,#1, g4=g4,#1, g5=g5,#1, g6=g6,#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오류정정방식 #4*>를 이용한 때 도 115의 g1=g1,#2, g2=g2,#2, g3=g3,#2, g4=g4,#2, g5=g5,#2, g6=g6,#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조건 #H5>가 성립하면 좋다.
도 122의 송신장치에서 도 116에서 설명한 256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2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방식 #3*>를 이용한 때 도 116의 h1=h1,#1, h2=h2,#1, h3=h3,#1, h4=h4,#1, h5=h5,#1, h6=h6,#1, h7=h7,#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오류정정방식 #4*>를 이용한 때 도 116의 h1=h1,#2, h2=h2,#2, h3=h3,#2, h4=h4,#2, h5=h5,#2, h6=h6,#2, h7=h7,#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조건 #H6>가 성립하면 좋다.
<예 3>
도 122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부호로 복수의 블록길이(부호길이)의 송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예로, 블록길이(부호길이) 16200비트의 LDPC(블록) 부호에 의한 오류정정부호화 및 블록길이(부호길이) 64800비트의 LDPC(블록) 부호에 의한 오류정정부호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도 122의 송신장치는 오류정정부호화를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의 2개의 오류정정방식을 생각한다.
<오류정정방식 #5>
부호화율 2/3, 블록길이(부호길이) 16200비트(정보:10800비트, 패리티:5400비트)의 LDPC(블록) 부호를 이용해서 부호화를 실시한다.
<오류정정방식 #6>
부호화율 2/3, 블록길이(부호길이) 64800비트(정보:43200비트, 패리티:21600비트)의 LDPC(블록) 부호를 이용해서 부호화를 실시한다.
그리고 도 122의 송신장치에서 도 119에서 설명한 16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2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방식 #5>를 이용한 때 도 119의 k1=k1,#1, k2=k2,#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오류정정방식 #6>을 이용한 때 도 119의 k1=k1,#2, k2=k2,#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조건 #H7>
{k1,#1≠k1,#2, 또는 k2,#1≠k2,#2}가 성립한다
가 되면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오류정정방식 #5> <오류정정방식 #6>의 어느 경우에도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오류정정방식 #5> <오류정정방식 #6>에서 k1, k2의 호적한 세트가 다르므로).
도 122의 송신장치에서 도 120에서 설명한 64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2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방식 #5>를 이용한 때 도 120의 m1=m1,#1, m2=m2,#1, m3=m3,#1, m4=m4,#1, m5=m5,#1, m6=m6,#1, m7=m7,#1, m8=m8,#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오류정정방식 #6>을 이용한 때 도 120의 m1=m1,#2, m2=m2,#2, m3=m3,#2, m4=m4,#2, m5=m5,#2, m6=m6,#2, m7=m7,#2, m8=m8,#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이하가 성립하면 좋다.
<조건 #H8>
{
{{m1,#1≠m1,#2이고, 또한, m1,#1≠m2,#2이고, 또한, m1,#1≠m3,#2이고, 또한, m1,#1≠m4,#2}, 또는, {m2,#1≠m1,#2이고, 또한, m2,#1≠m2,#2이고, 또한, m2,#1≠m3,#2이고, 또한, m2,#1≠m4,#2}, 또는, {m3,#1≠m1,#2이고, 또한, m3,#1≠m2,#2이고, 또한, m3,#1≠m3,#2이고, 또한, m3,#1≠m4,#2}또는, {m4,#1≠m1,#2이고, 또한, m4,#1≠m2,#2이고, 또한, m4,#1≠m3,#2이고, 또한, m4,#1≠m4,#2}가 성립한다},
또는,
{{m5,#1≠m5,#2이고, 또한, m5,#1≠m6,#2이고, 또한, m5,#1≠m7,#2이고, 또한, m5,#1≠m8,#2}, 또는, {m6,#1≠m5,#2이고, 또한, m6,#1≠m6,#2이고, 또한, m6,#1≠m7,#2이고, 또한, m6,#1≠m8,#2}, 또는, {m7,#1≠m5,#2이고, 또한, m7,#1≠m6,#2이고, 또한, m7,#1≠m7,#2이고, 또한, m7,#1≠m8,#2}또는, {m8,#1≠m5,#2이고, 또한, m8,#1≠m6,#2이고, 또한, m8,#1≠m7,#2이고, 또한, m8,#1≠m8,#2}가 성립한다}
}
가 성립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오류정정방식 #5> <오류정정방식 #6>의 어느 경우에도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오류정정방식 #5> <오류정정방식 #6>에서 m1, m2, m3, m4, m5, m6, m7, m8의 호적한 세트가 다르므로).
도 122의 송신장치에서 도 121에서 설명한 256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2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방식 #5>를 이용한 때 도 121의 n1=n1,#1, n2=n2,#1, n3=n3,#1, n4=n4,#1, n5=n5,#1, n6=n6,#1, n7=n7,#1, n8=n8,#1, n9=n9,#1, n10=n10,#1, n11=n11,#1, n12=n12,#1, n13=n13,#1, n14=n14,#1, n15=n15,#1, n16=n16,#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오류정정방식 #6>을 이용한 때 도 121의 n1=n1,#2, n2=n2,#2, n3=n3,#2, n4=n4,#2, n5=n5,#2, n6=n6,#2, n7=n7,#2, n8=n8,#2, n9=n9,#2, n10=n10,#2, n11=n11,#2, n12=n12,#2, n13=n13,#2, n14=n14,#2, n15=n15,#2, n16=n16,#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이하가 성립하면 좋다.
<조건 #H9>
{
{k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1,#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2,#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3,#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4,#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5,#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6,#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7,#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8,#1≠nk,#2가 성립한다}
}
또는,
{
{k는 9 이상 16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9,#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9 이상 16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10,#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9 이상 16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11,#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9 이상 16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12,#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9 이상 16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13,#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9 이상 16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14,#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9 이상 16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15,#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9 이상 16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16,#1≠nk,#2가 성립한다}
}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오류정정방식 #5> <오류정정방식 #6>의 어느 경우에도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오류정정방식 #5> <오류정정방식 #6>에서 n1, n2, n3, n4, n5, n6, n7, n8, n9, n10, n11, n12, n13, n14, n15, n16의 호적한 세트가 다르므로).
이상을 정리하면 이하와 같이 된다.
다음의 2개의 오류정정방식을 생각한다.
<오류정정방식 #5*>
부호화율 A, 블록길이(부호길이) B비트의 블록부호를 이용해서 부호화를 실시한다(A는 실수이며, 0<A<1이 성립하고, B는 0보다 큰 정수로 한다).
<오류정정방식 #6*>
부호화율 A, 블록길이(부호길이) C비트의 블록부호를 이용해서 부호화를 실시한다(A는 실수이며, 0<A<1이 성립하고, C는 0보다 큰 정수이며, B≠C가 성립한다).
그리고 도 122의 송신장치에서 도 119에서 설명한 16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2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방식 #5*>를 이용한 때 도 119의 k1=k1,#1, k2=k2,#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오류정정방식 #6*>를 이용한 때 도 119의 k1=k1,#2, k2=k2,#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조건 #H7>이 성립하면 좋다.
도 122의 송신장치에서 도 121에서 설명한 256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2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방식 #5*>를 이용한 때 도 121의 n1=n1,#1, n2=n2,#1, n3=n3,#1, n4=n4,#1, n5=n5,#1, n6=n6,#1, n7=n7,#1, n8=n8,#1, n9=n9,#1, n10=n10,#1, n11=n11,#1, n12=n12,#1, n13=n13,#1, n14=n14,#1, n15=n15,#1, n16=n16,#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오류정정방식 #6*>를 이용한 때 도 121의 n1=n1,#2, n2=n2,#2, n3=n3,#2, n4=n4,#2, n5=n5,#2, n6=n6,#2, n7=n7,#2, n8=n8,#2, n9=n9,#2, n10=n10,#2, n11=n11,#2, n12=n12,#2, n13=n13,#2, n14=n14,#2, n15=n15,#2, n16=n16,#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조건 #H9>가 성립하면 좋다.
또, 도 122, 도 124에서는 상세한 구성을 생략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고 있는 OFDM 방식, 스펙트럼 확산 통신방식을 이용해서 변조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실행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또,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2에서 설명한 MIMO 전송방식이나 시공간블록부호(Space-Time Block Codes) 등의 시공간부호(Space-Time Codes)(단, 심벌을 주파수 축으로 배열해도 좋다), 프리코딩을 실행하거나 또는 프리코딩을 실행하지 않는 MIMO 전송방식에 있어서 앞에서 설명한 16QAM, 64QAM, 256QAM을 이용해도 데이터의 수신 품질이 향상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송신장치가 변조하여(매핑을 실행하여) 변조신호를 송신할 때 송신장치는 수신장치가 변조방식 및 변조방식의 파라미터를 식별할 수 있는 제어정보를 송신하고, 수신장치(도 124)는 이 정보를 얻음으로써 디 맵핑(복조)이 가능해진다.
(보충 6)
여기에서는 (보충 2), (보충 3), (보충 4)에서 설명한 QAM을 이용한 통신·방송시스템의 구성, 특히, MIMO 전송방식을 이용한 때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5는 송신장치의 일례이며, 도 122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였다.
송신방법 지시부(12202)는 입력신호(12201)를 입력으로 하여, 입력신호(12201)에 의거하여 데이터심벌을 생성하기 위한 오류정정부호에 관한 정보신호(12203) (예를 들어 오류정정부호의 부호화율, 오류정정부호의 블록길이 등), 변조방식에 관한 정보신호(12204) (예를 들어 변조방식), 변조방식에 관한 파라미터의 정보신호(12205) (예를 들어 QAM일 때의 진폭의 값에 관한 정보), 송신방법에 관한 정보신호(12505) (MIMO 전송, 싱글 스트림 전송, MISO 전송(시공간블록부호를 이용한 전송) 등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다. 또, 입력신호(12201)를 송신장치가 사용하는 사용자가 생성해도 좋고, 통신시스템으로 사용하는 경우 통신 상대의 피드백 정보를 입력신호(12201)로 해도 좋다. 또, 본 설명에 있어서 송신방법으로 MIMO 전송, 싱글 스트림 전송, MISO 전송(시공간블록부호를 이용한 전송)을 지정할 수 있고, MIMO 전송으로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2에서 설명한 프리코딩 및 위상변경을 실행하는 송신방법을 취급하는 것으로 한다.
오류정정 부호화부(11702)는 정보(11701), 오류정정부호에 관한 정보신호(12203)를 입력으로 하여, 오류정정부호에 관한 정보신호(12203)에 의거하여 오류정정부호화를 실행하여 오류정정부호화 후의 데이터(11703)를 출력한다.
신호처리부(12501)는 오류정정부호화 후의 데이터(11703), 변조방식에 관한 정보신호(12204), 변조방식에 관한 파라미터의 정보신호(12205), 송신방법에 관한 정보신호(12505)를 입력으로 하여, 이들 신호에 의거하여 오류정정부호화 후의 데이터(11703)에 대해 인터리브, 매핑, 프리코딩, 위상변경, 파워 변경 등의 처리를 실행해서 처리 후의 베이스밴드신호(12502A, 12502B)를 출력한다.
제어정보심벌 생성부(12207)는 오류정정부호에 관한 정보신호(12203), 변조방식에 관한 정보신호(12204), 변조방식에 관한 파라미터의 정보신호(12205), 제어 데이터(12206), 송신방법에 관한 정보신호(12505)를 입력으로 하여, 예를 들어 오류정정부호화의 처리 및 BPSK나 QPSK와 같은 변조 처리를 실행해서 제어정보 심벌신호(12208)를 출력한다.
무선부(12503A)는 처리 후의 베이스밴드신호(12502A), 제어심벌신호(12208), 파일럿심벌신호(12209), 프레임 구성신호(12210)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신호(12210)에 의거하여 프레임에 의거한 송신신호(12504A)를 출력하며, 프레임에 의거한 송신신호(12504A)는 안테나 #1(12505A)로부터 전파로서 출력된다. 또, 프레임 구성은 도 126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무선부(12503B)는 처리 후의 베이스밴드신호(12502B), 제어심벌신호(12208), 파일럿심벌신호(12209), 프레임 구성신호(12210)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신호(12210)에 의거하여 프레임에 의거한 송신신호(12504B)를 출력하며, 프레임에 의거한 송신신호(12504B)는 안테나 #2(12505B)로부터 전파로서 출력된다. 또, 프레임 구성은 도 126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다음에, 도 126을 이용해서 도 125의 신호처리부(1250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6은 종축 주파수, 횡축 시간에서의 프레임 구성의 일례이며, 도 126 (A)는 도 125의 안테나 #1(12505A)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프레임 구성, 도 126 (B)는 도 125의 안테나 #2(12505B)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프레임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126에서의 파일럿심벌(12601), 제어정보심벌(12602), 데이터심벌(12603)을 송신하는 경우의 송신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전송방식으로는 1 스트림의 변조신호가 도 125의 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되게 된다. 이때, 예를 들어 이하의 제 1 방법과 제 2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제 1 방법:
신호처리부(12501)는 오류정정부호화 후의 데이터(11703), 변조방식에 관한 정보신호(12204), 변조방식에 관한 파라미터의 정보신호(12205), 송신방법에 관한 정보신호(12505)를 입력으로 하여, 적어도 변조방식에 관한 정보신호(12204), 변조방식에 관한 파라미터의 정보신호(12205)에 따라서 변조방식을 결정하고, 그 변조방식에 따른 매핑을 실행해서 처리 후의 베이스밴드신호(12502A)를 출력한다. 이때, 처리 후의 베이스밴드신호(12502B)는 출력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또, 신호처리부(12501)는 예를 들어 인터리브 등의 처리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무선부(12503A)는 처리 후의 베이스밴드신호(12502A), 제어심벌신호(12208), 파일럿심벌신호(12209), 프레임 구성신호(12210)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신호(12210)에 의거하여 프레임에 의거한 송신신호(12504A)를 출력하며, 프레임에 의거한 송신신호(12504A)는 안테나 #1(12505A)로부터 전파로서 출력된다. 또, 무선부(12503B)는 동작하지 않으며, 따라서 안테나 #2(12505B)로부터 전파는 출력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전송방식으로는 1 스트림의 변조신호가 도 125의 송신장치로부터 송신되게 되는 경우인 제 2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방법:
신호처리부(12501)는 오류정정부호화 후의 데이터(11703), 변조방식에 관한 정보신호(12204), 변조방식에 관한 파라미터의 정보신호(12205), 송신방법에 관한 정보신호(12505)를 입력으로 하여, 적어도 변조방식에 관한 정보신호(12204), 변조방식에 관한 파라미터의 정보신호(12205)에 따라서 변조방식을 결정하고, 그 변조방식에 따른 매핑을 실행해서 매핑 후의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신호처리부(12501)는 매핑 후의 신호에 의거하는 신호를 2개 계통 생성해서 처리 후의 베이스밴드신호(12502A) 및 처리 후의 베이스밴드신호(12502B)로서 출력한다. 또, 「매핑 후의 신호에 의거하는 신호를 2개 계통 생성해서」라고 기재하였으나, 매핑 후의 신호에 대해 위상변경이나 파워 변경을 실행함으로써 매핑 후의 신호에 의거하는 신호를 2개 계통 생성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신호처리부(12501)는 예를 들어 인터리브 등의 처리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무선부(12503A)는 처리 후의 베이스밴드신호(12502A), 제어심벌신호(12208), 파일럿심벌신호(12209), 프레임 구성신호(12210)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신호(12210)에 의거하여 프레임에 의거한 송신신호(12504A)를 출력하며, 프레임에 의거한 송신신호(12504A)는 안테나 #1(12505A)로부터 전파로서 출력된다. 무선부(12503B)는 처리 후의 베이스밴드신호(12502B), 제어심벌신호(12208), 파일럿심벌신호(12209), 프레임 구성신호(12210)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신호(12210)에 의거하여 프레임에 의거한 송신신호(12504B)를 출력하며, 프레임에 의거한 송신신호(12504B)는 안테나 #2(12505B)로부터 전파로서 출력된다.
다음에, 도 126에서의, 파일럿심벌(12604A, 12604B), 제어정보심벌(12605A, 12605B), 데이터심벌(12606A, 12606B)을 송신하는 경우의 송신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파일럿심벌(12604A, 12604B)은 시간 Y1에 송신장치로부터 동일주파수(공통의 주파수)를 이용해서 송신되는 심벌이다.
마찬가지로, 제어정보심벌(12505A, 12605B)은 시간 Y2에 송신장치로부터 동일주파수(공통의 주파수)를 이용해서 송신되는 심벌이다.
그리고 데이터심벌(12606A, 12606B)는 시간 Y3에서 Y10에 송신장치로부터 동일주파수(공통의 주파수)를 이용해서 송신되는 심벌이다.
신호처리부(12501)는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2에서 설명한 MIMO 전송방식이나 시공간블록부호(Space-Time Block Codes) 등의 시공간부호(Space-Time Codes)(단, 심벌을 주파수 축으로 배열해도 좋다), 프리코딩을 실행하거나 또는 프리코딩을 실행하지 않는 MIMO 전송방식에 따른 신호처리를 하게 된다. 특히, 프리코딩, 위상변경 및 파워 변경을 실행하는 경우 신호처리부(12501)는 예를 들어 도 97, 도 98, (또는 도 5, 도 6, 도 7에서 부호화부를 제외한 부분)을 적어도 구비하고 있게 된다.
신호처리부(12501)는 오류정정부호화 후의 데이터(11703), 변조방식에 관한 정보신호(12204), 변조방식에 관한 파라미터의 정보신호(12205), 송신방법에 관한 정보신호(12505)를 입력으로 한다. 그리고 신호처리부(12501)는 송신방법에 관한 정보신호(12505)가 「프리코딩, 위상변경 및 파워 변경을 실행한다」는 정보인 경우 신호처리부(12501)는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2에서 도 97, 도 98, (또는 도 5, 도 6, 도 7에 있어서 부호화부를 제외한 부분)의 설명과 동일한 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따라서, 신호처리부(12501)는 처리 후의 베이스밴드신호(12502A, 12502B)를 출력한다(또, 신호처리부(12501)는 예를 들어 인터리브 등의 처리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무선부(12503A)는 처리 후의 베이스밴드신호(12502A), 제어심벌신호(12208), 파일럿심벌신호(12209), 프레임 구성신호(12210)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신호(12210)에 의거하여 프레임에 의거한 송신신호(12504A)를 출력하며, 프레임에 의거한 송신신호(12504A)는 안테나 #1(12505A)로부터 전파로서 출력된다.
무선부(12503B)는 처리 후의 베이스밴드신호(12502B), 제어심벌신호(12208), 파일럿심벌신호(12209), 프레임 구성신호(12210)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신호(12210)에 의거하여 프레임에 의거한 송신신호(12504B)를 출력하며, 프레임에 의거한 송신신호(12504B)는 안테나 #2(12505B)로부터 전파로서 출력된다.
또, 신호처리부(12501)가 시공간블록부호(Space-Time BlockCodes)를 이용한 전송방법을 실시하는 경우의 구성에 대해서 도 12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매핑부(12802)는 데이터신호(오류정정부호화 후의 데이터)(12801), 제어신호(12806)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12806)에 포함되는 변조방식에 관련하는 정보에 의거하여 매핑을 실행해서 매핑 후의 신호(12803)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매핑 후의 신호(12803)는 s0, s1, s2, s3, … s(2i), s(2i+1), …의 순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MIS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처리부(12804)는 매핑 후의 신호(12803) 및 제어신호(12806)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12806)가 MIS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방식으로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고 있는 경우 MISO 처리 후의 신호(12805A 및 12805B)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MISO 처리 후의 신호(12805A)는 s0, s1, s2, s3, …, s(2i), s(2i+1), …가 되고, MISO 처리 후의 신호(12805B)는 -s1*, s0*, -s3*, s2*…, -s(2i+1)*, s(2i)*, …가 된다. 또, 「*」은 복소공역을 의미한다.
이때, MISO 처리 후의 신호(12805A 및 12805B)가 각각 도 125의 처리 후의 베이스밴드신호(12502A 및 12502B)에 상당한다. 또, 시공간블록부호의 방법은 앞에서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무선부(12503A)는 처리 후의 베이스밴드신호(12502A), 제어심벌신호(12208), 파일럿심벌신호(12209), 프레임 구성신호(12210)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신호(12210)에 의거하여 프레임에 의거한 송신신호(12504A)를 출력하며, 프레임에 의거한 송신신호(12504A)는 안테나 #1(12505A)로부터 전파로서 출력된다.
무선부(12503B)는 처리 후의 베이스밴드신호(12502B), 제어심벌신호(12208), 파일럿심벌신호(12209), 프레임 구성신호(12210)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신호(12210)에 의거하여 프레임에 의거한 송신신호(12504B)를 출력하며, 프레임에 의거한 송신신호(12504B)는 안테나 #2(12505B)로부터 전파로서 출력된다.
도 127은 도 125의 송신장치가 송신한 변조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이며, 도 124와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동기부(12405)는 직교 베이스밴드신호(11804)를 입력으로 하여, 예를 들어 도 126에서의 파일럿심벌(12601, 12604A, 12604B)을 검출 및 이용함으로써 주파수 동기, 시간 동기, 프레임 동기를 실시하여 동기신호(12406)로서 출력한다.
제어정보 복조부(12401)는 직교 베이스밴드신호(12403), 동기신호(12406)를 입력으로 하여, 도 126에서의 제어정보심벌(12602, 12605A, 1605B)의 복조(및 오류정정 복호)를 실시해서 제어정보신호(12402)를 출력한다.
주파수 오프셋·전송로 추정부(12403)는 직교 베이스밴드신호(12403), 동기신호(12406)를 입력으로 하여, 예를 들어 도 126에서의 파일럿심벌(12601, 12604A, 12604B)를 이용해서 주파수 오프셋 및 전파에 의한 전송로의 변동을 추정하여 주파수 오프셋 및 전송로의 변동 추정신호(12404)를 출력한다.
무선부(12703X)는 안테나 #1(12701X)에서 수신한 수신신호(12702X)를 입력으로 하여, 주파수변환, 직교 복조(및 푸리에 변환) 등의 처리를 실행해서 직교 베이스밴드신호(12704X)를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무선부(12703Y)는 안테나 #2(12701Y)에서 수신한 수신신호(12702Y)를 입력으로 하여, 주파수변환, 직교 복조(및 푸리에 변환) 등의 처리를 실행해서 직교 베이스밴드신호(12704Y)를 출력한다.
신호처리부(12705)는 직교 베이스밴드신호(12704X, 12704Y), 제어정보신호(12402), 주파수 오프셋 및 전송로의 변동 추정신호(12404), 동기신호(12406)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정보신호(12402)에 의해 변조방식, 송신방법을 판별하고, 이들에 의거한 신호처리, 복조를 실행해서 데이터심벌 중의 각 비트의 대수 우도비를 구해서 대수 우도비 신호(12706)를 출력한다(또, 신호처리부(12705)는 디 인터리브의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도 있다).
복호부(12707)는 대수 우도비 신호(12706), 제어정보신호(12402)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정보에 포함되는 오류정정 부호화방식에 관한 정보로부터 그 부호에 의거한 오류정정 복호를 실시해서 수신데이터(12708)를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보충 2), (보충 3), (보충 4)에서 설명한 QAM을 이용한 때의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예 1>
도 125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부호로 복수의 블록길이(부호길이)의 송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예로, 블록길이(부호길이) 16200비트의 LDPC(블록) 부호에 의한 오류정정부호화 및 블록길이(부호길이) 64800비트의 LDPC(블록) 부호에 의한 오류정정부호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도 125의 송신장치는 오류정정부호화를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의 2개의 오류정정방식을 생각한다.
<오류정정방식 #1>
부호화율 2/3, 블록길이(부호길이) 16200비트(정보:10800비트, 패리티:5400비트)의 LDPC(블록) 부호를 이용해서 부호화를 실시한다.
<오류정정방식 #2>
부호화율 2/3, 블록길이(부호길이) 64800비트(정보:43200비트, 패리티:21600비트)의 LDPC(블록) 부호를 이용해서 부호화를 실시한다.
그리고 도 125의 송신장치에서 도 111에서 설명한 16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5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방식 #1>을 이용한 때 도 111의 f=f#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오류정정방식 #2>를 이용한 때 도 111의 f=f#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조건 #H10>
도 125에서 대응하고 있는 각 송신방법에서,
f#1≠1이고, 또한, f#2≠1이고, 또한, f#1≠f#2가 성립,
하면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오류정정방식 #1> <오류정정방식 #2>어느 경우에도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오류정정방식 #1> <오류정정방식 #2>에서 f의 호적 값이 다르기 때문에).
도 125의 송신장치에서 도 112에서 설명한 64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5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방식 #1>을 이용한 때 도 112의 g1=g1,#1, g2=g2,#1, g3=g3,#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오류정정방식 #2>를 이용한 때 도 112의 g1=g1,#2, g2=g2,#2, g3=g3,#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이하가 성립하면 좋다.
<조건 #H11>
도 125에서 대응하고 있는 각 송신방법에서 이하가 성립한다.
{(g1,#1, g2,# 1, g3,#1)≠(1, 3, 5)이고, 또한, (g1,#1, g2,#1, g3,#1)≠(1, 5, 3)이고, 또한, (g1,#1, g2,#1, g3,#1)≠(3, 1, 5)이고, 또한, (g1,#1, g2,#1, g3,#1)≠(3, 5, 1)이고, 또한, (g1,#1, g2,#1, g3,#1)≠(5, 1, 3)이고, 또한, (g1,#1, g2,#1, g3,#1)≠(5, 3, 1)}
또한,
{(g1,#2, g2,#2, g3,#2)≠(1, 3, 5)이고, 또한, (g1,#2, g2,#2, g3,#2)≠(1, 5, 3)이고, 또한, (g1,#2, g2,#2, g3,#2)≠(3, 1, 5)이고, 또한, (g1,#2, g2,#2, g3,#2)≠(3, 5, 1)이고, 또한, (g1,#2, g2,#2, g3,#2)≠(5, 1, 3)이고, 또한, (g1,#2, g2,#2, g3,#2)≠(5, 3, 1)}
또한,
{{g1,#1≠g1,#2, 또는 g2,#1≠g2,#2, 또는 g3,#1≠g3,#2}가 성립한다}
가 성립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오류정정방식 #1> <오류정정방식 #2>어느 경우에도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오류정정방식 #1> <오류정정방식 #2>로 g1, g2, g3의 호적한 세트가 다르므로).
도 125의 송신장치에서 도 113에서 설명한 256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5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방식 #1>을 이용한 때 도 113의 h1=h1,#1, h2=h2,#1, h3=h3,#1, h4=h4,#1, h5=h5,#1, h6=h6,#1, h7=h7,#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오류정정방식 #2>를 이용한 때 도 113의 h1=h1,#2, h2=h2,#2, h3=h3,#2, h4=h4,#2, h5=h5,#2, h6=h6,#2, h7=h7,#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이하가 성립하면 좋다.
<조건 #H12>
도 125에서 대응하고 있는 각 송신방법에서 이하가 성립한다.
{{a1은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2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3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4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5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6은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7은 1 이상 7 이하의 정수}가 성립하며, {x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y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x≠y}가 성립한 때, {모든 x, 모든 y로, ax≠ay가 성립한다}일 때 (ha1,#1, ha2,#1, ha3,#1, ha4,#1, ha5,#1, ha6,#1, ha7,#1)≠(1, 3, 5, 7, 9, 11, 13)가 성립한다}
또한,
{{a1은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2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3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4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5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6은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7은 1 이상 7 이하의 정수}가 성립하며, {x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y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x≠y}가 성립한 때, {모든 x, 모든 y로, ax≠ay가 성립한다}일 때 (ha1,#2, ha2,#2, ha3,#2, ha4,#2, ha5,#2, ha6,#2, ha7,#2)≠(1, 3, 5, 7, 9, 11, 13)가 성립한다}
또한,
{{h1,#1≠h1,#2, 또는 h2,#1≠h2,#2, 또는 h3,#1≠h3,#2, 또는 h4,#1≠h4,#2, 또는 h5,#1≠h5,#2, 또는 h6,#1≠h6,#2, 또는 h7,#1≠h7,#2}가 성립한다}
가 성립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오류정정방식 #1> <오류정정방식 #2>어느 경우에도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오류정정방식 #1> <오류정정방식 #2>로 h1, h2, h3, h4, h5, h6, h7의 호적한 세트가 다르므로).
이상을 정리하면 이하와 같이 된다.
다음의 2개의 오류정정방식을 생각한다.
<오류정정방식 #1*>
부호화율 A, 블록길이(부호길이) B비트의 블록부호를 이용해서 부호화를 실시한다(A는 실수이며, 0<A<1이 성립하고, B는 0보다 큰 정수로 한다).
<오류정정방식 #2*>
부호화율 A, 블록길이(부호길이) C비트의 블록부호를 이용해서 부호화를 실시한다(A는 실수이며, 0<A<1이 성립하고, C는 0보다 큰 정수이며, B≠C가 성립한다).
그리고 도 125의 송신장치에서 도 111에서 설명한 16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5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방식 #1*>를 이용한 때 도 111의 f=f#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오류정정방식 #2*>를 이용한 때 도 111의 f=f#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조건 #H10>이 성립하면 좋다.
도 125의 송신장치에서 도 112에서 설명한 64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5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방식 #1*>를 이용한 때 도 112의 g1=g1,#1, g2=g2,#1, g3=g3,#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오류정정방식 #2*>를 이용한 때 도 112의 g1=g1,#2, g2=g2,#2, g3=g3,#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조건 #H11>이 성립하면 좋다.
도 125의 송신장치에서 도 113에서 설명한 256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5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방식 #1*>를 이용한 때 도 113의 h1=h1,#1, h2=h2,#1, h3=h3,#1, h4=h4,#1, h5=h5,#1, h6=h6,#1, h7=h7,#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오류정정방식 #2*>를 이용한 때 도 112의 h1=h1,#2, h2=h2,#2, h3=h3,#2, h4=h4,#2, h5=h5,#2, h6=h6,#2, h7=h7,#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조건 #H12>가 성립하면 좋다.
<예 2>
도 125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부호로 복수의 블록길이(부호길이)의 송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예로, 블록길이(부호길이) 16200비트의 LDPC(블록) 부호에 의한 오류정정부호화 및 블록길이(부호길이) 64800비트의 LDPC(블록) 부호에 의한 오류정정부호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도 125의 송신장치는 오류정정부호화를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의 2개의 오류정정방식을 생각한다.
<오류정정방식 #3>
부호화율 2/3, 블록길이(부호길이) 16200비트(정보:10800비트, 패리티:5400비트)의 LDPC(블록) 부호를 이용해서 부호화를 실시한다.
<오류정정방식 #4>
부호화율 2/3, 블록길이(부호길이) 64800비트(정보:43200비트, 패리티:21600비트)의 LDPC(블록) 부호를 이용해서 부호화를 실시한다.
그리고 도 125의 송신장치에서 도 114에서 설명한 16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5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방식 #3>을 이용한 때 도 114의 f1=f1,#1, f2=f2,#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오류정정방식 #4>를 이용한 때 도 114의 f1=f1,#2, f2=f2,#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조건 #H13>
도 125에서 대응하고 있는 각 송신방법에서 이하가 성립한다.
{f1,#1≠f1,#2, 또는 f2,#1≠f2,#2}가 성립,
하면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오류정정방식 #3> <오류정정방식 #4>의 어느 경우에도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오류정정방식 #3> <오류정정방식 #4>에서 f1, f2의 호적한 세트가 다르므로).
도 125의 송신장치에서 도 115에서 설명한 64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5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방식 #3>을 이용한 때 도 115의 g1=g1,#1, g2=g2,#1, g3=g3,#1, g4=g4,#1, g5=g5,#1, g6=g6,#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오류정정방식 #4>를 이용한 때 도 115의 g1=g1,#2, g2=g2,#2, g3=g3,#2, g4=g4,#2, g5=g5,#2, g6=g6,#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이하가 성립하면 좋다.
<조건 #H14>
도 125에서 대응하고 있는 각 송신방법에서 이하가 성립한다.
{
{{g1,#1≠g1,#2이고, 또한, g1,#1≠g2,#2이고, 또한, g1,#1≠g3,#2}, 또는, {g2,#1≠g1,#2이고, 또한, g2,#1≠g2,#2이고, 또한, g2,#1≠g3,#2}, 또는, {g3,#1≠g1,#2이고, 또한, g3,#1≠g2,#2이고, 또한, g3,#1≠g3,#2}가 성립하거나},
또는,
{{g4,#1≠g4,#2이고, 또한, g4,#1≠g5,#2이고, 또한, g4,#1≠g6,#2}, 또는, {g5,#1≠g4,#2이고, 또한, g5,#1≠g5,#2이고, 또한, g5,#1≠g6,#2}, 또는, {g6,#1≠g4,#2이고, 또한, g6,#1≠g5,#2이고, 또한, g6,#1≠g6,#2}가 성립한다}
}
가 성립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오류정정방식 #3> <오류정정방식 #4>의 어느 경우에도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 (<오류정정방식 #3> <오류정정방식 #4>로 g1, g2, g3, g4, g5, g6의 호적한 세트가 다르므로).
도 125의 송신장치에서 도 116에서 설명한 256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5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방식 #3>을 이용한 때 도 116의 h1=h1,#1, h2=h2,#1, h3=h3,#1, h4=h4,#1, h5=h5,#1, h6=h6,#1, h7=h7,#1, h8=h8,#1, h9=h9,#1, h10=h10,#1, h11=h11,#1, h12=h12,#1, h13=h13,#1, h14=h14,#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오류정정방식 #4>를 이용한 때 도 116의 h1=h1,#2, h2=h2,#2, h3=h3,#2, h4=h4,#2, h5=h5,#2, h6=h6,#2, h7=h7,#2, h8=h8,#2, h9=h9,#2, h10=h10,#2, h11=h11,#2, h12=h12,#2, h13=h13,#2, h14=h14,#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이하가 성립하면 좋다.
<조건 #H15>
도 125에서 대응하고 있는 각 송신방법에서 이하가 성립한다.
{
{k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1,#1≠h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2,#1≠h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3,#1≠h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4,#1≠h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5,#1≠h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6,#1≠h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7,#1≠hk,#2가 성립한다}
}
또는,
{{k는 8 이상 14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8,#1≠h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8 이상 14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9,#1≠h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8 이상 14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10,#1≠h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8 이상 14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11,#1≠h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8 이상 14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12,#1≠h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8 이상 14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13,#1≠h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8 이상 14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14,#1≠hk,#2가 성립한다}
}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오류정정방식 #3> <오류정정방식 #4>의 어느 경우에도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오류정정방식 #3> <오류정정방식 #4>로 h1, h2, h3, h4, h5, h6, h7, h8, h9, h10, h11, h12, h13, h14의 호적한 세트가 다르므로).
이상을 정리하면 이하와 같이 된다.
다음의 2개의 오류정정방식을 생각한다.
<오류정정방식 #3*>
부호화율 A, 블록길이(부호길이) B비트의 블록부호를 이용해서 부호화를 실시한다(A는 실수이며, 0<A<1이 성립하고, B는 0보다 큰 정수로 한다).
<오류정정방식 #4*>
부호화율 A, 블록길이(부호길이) C비트의 블록부호를 이용해서 부호화를 실시한다(A는 실수이며, 0<A<1이 성립하고, C는 0보다 큰 정수이며, B≠C가 성립한다)
그리고 도 125의 송신장치에서 도 114에서 설명한 16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5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방식 #3*>를 이용한 때 도 114의 f1=f1,#1, f2=f2,#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오류정정방식 #4*>를 이용한 때 도 114의 f1=f1,#2, f2=f2,#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조건 #H13>이 성립하면 좋다.
도 125의 송신장치에서 도 115에서 설명한 64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5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방식 #3*>를 이용한 때 도 115의 g1=g1,#1, g2=g2,#1, g3=g3,#1, g4=g4,#1, g5=g5,#1, g6=g6,#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오류정정방식 #4*>를 이용한 때 도 115의 g1=g1,#2, g2=g2,#2, g3=g3,#2, g4=g4,#2, g5=g5,#2, g6=g6,#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조건 #H14>가 성립하면 좋다.
도 125의 송신장치에서 도 116에서 설명한 256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5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방식 #3*>를 이용한 때 도 116의 h1=h1,#1, h2=h2,#1, h3=h3,#1, h4=h4,#1, h5=h5,#1, h6=h6,#1, h7=h7,#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오류정정방식 #4*>를 이용한 때 도 116의 h1=h1,#2, h2=h2,#2, h3=h3,#2, h4=h4,#2, h5=h5,#2, h6=h6,#2, h7=h7,#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조건 #H15>가 성립하면 좋다.
<예 3>
도 125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부호로 복수의 블록길이(부호길이)의 송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예로, 블록길이(부호길이) 16200비트의 LDPC(블록) 부호에 의한 오류정정부호화 및 블록길이(부호길이) 64800비트의 LDPC(블록) 부호에 의한 오류정정부호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도 125의 송신장치는 오류정정부호화를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의 2개의 오류정정방식을 생각한다.
<오류정정방식 #5>
부호화율 2/3, 블록길이(부호길이) 16200비트(정보:10800비트, 패리티:5400비트)의 LDPC(블록) 부호를 이용해서 부호화를 실시한다.
<오류정정방식 #6>
부호화율 2/3, 블록길이(부호길이) 64800비트(정보:43200비트, 패리티:21600비트)의 LDPC(블록) 부호를 이용해서 부호화를 실시한다.
그리고 도 125의 송신장치에서 도 119에서 설명한 16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5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방식 #5>를 이용한 때 도 119의 k1=k1,#1, k2=k2,#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오류정정방식 #6>을 이용한 때 도 119의 k1=k1,#2, k2=k2,#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조건 #H16>
도 125에서 대응하고 있는 각 송신방법에서 이하가 성립한다.
{k1,#1≠k1,#2, 또는 k2,#1≠k2,#2}가 성립한다
이면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오류정정방식 #5> <오류정정방식 #6>의 어느 경우에도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오류정정방식 #5> <오류정정방식 #6>에서 k1, k2의 호적한 세트가 다르므로).
도 125의 송신장치에서 도 120에서 설명한 64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5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방식 #5>를 이용한 때 도 120의 m1=m1,#1, m2=m2,#1, m3=m3,#1, m4=m4,#1, m5=m5,#1, m6=m6,#1, m7=m7,#1, m8=m8,#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오류정정방식 #6>을 이용한 때 도 120의 m1=m1,#2, m2=m2,#2, m3=m3,#2, m4=m4,#2, m5=m5,#2, m6=m6,#2, m7=m7,#2, m8=m8,#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이하가 성립하면 좋다.
<조건 #H17>
도 125에서 대응하고 있는 각 송신방법에서 이하가 성립한다.
{
{{m1,#1≠m1,#2이고, 또한, m1,#1≠m2,#2이고, 또한, m1,#1≠m3,#2이고, 또한, m1,#1≠m4,#2}, 또는, {m2,#1≠m1,#2이고, 또한, m2,#1≠m2,#2이고, 또한, m2,#1≠m3,#2이고, 또한, m2,#1≠m4,#2}, 또는, {m3,#1≠m1,#2이고, 또한, m3,#1≠m2,#2이고, 또한, m3,#1≠m3,#2이고, 또한, m3,#1≠m4,#2}또는, {m4,#1≠m1,#2이고, 또한, m4,#1≠m2,#2이고, 또한, m4,#1≠m3,#2이고, 또한, m4,#1≠m4,#2}가 성립한다},
또는,
{{m5,#1≠m5,#2이고, 또한, m5,#1≠m6,#2이고, 또한, m5,#1≠m7,#2이고, 또한, m5,#1≠m8,#2}, 또는, {m6,#1≠m5,#2이고, 또한, m6,#1≠m6,#2이고, 또한, m6,#1≠m7,#2이고, 또한, m6,#1≠m8,#2}, 또는, {m7,#1≠m5,#2이고, 또한, m7,#1≠m6,#2이고, 또한, m7,#1≠m7,#2이고, 또한, m7,#1≠m8,#2}또는, {m8,#1≠m5,#2이고, 또한, m8,#1≠m6,#2이고, 또한, m8,#1≠m7,#2이고, 또한, m8,#1≠m8,#2}가 성립한다},
}
가 성립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오류정정방식 #5> <오류정정방식 #6>의 어느 경우에도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오류정정방식 #5> <오류정정방식 #6>에서 m1, m2, m3, m4, m5, m6, m7, m8의 호적한 세트가 다르므로).
도 125의 송신장치에서 도 121에서 설명한 256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5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방식 #5>를 이용한 때 도 121의 n1=n1,#1, n2=n2,#1, n3=n3,#1, n4=n4,#1, n5=n5,#1, n6=n6,#1, n7=n7,#1, n8=n8,#1, n9=n9,#1, n10=n10,#1, n11=n11,#1, n12=n12,#1, n13=n13,#1, n14=n14,#1, n15=n15,#1, n16=n16,#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오류정정방식 #6>을 이용한 때 도 121의 n1=n1,#2, n2=n2,#2, n3=n3,#2, n4=n4,#2, n5=n5,#2, n6=n6,#2, n7=n7,#2, n8=n8,#2, n9=n9,#2, n10=n10,#2, n11=n11,#2, n12=n12,#2, n13=n13,#2, n14=n14,#2, n15=n15,#2, n16=n16,#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이하가 성립하면 좋다.
<조건 #H18>
도 125에서 대응하고 있는 각 송신방법에서 이하가 성립한다.
{
{k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1,#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2,#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3,#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4,#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5,#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6,#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7,#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8,#1≠nk,#2가 성립한다}
}
또는,
{
{k는 9 이상 16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9,#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9 이상 16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10,#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9 이상 16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11,#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9 이상 16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12,#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9 이상 16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13,#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9 이상 16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14,#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9 이상 16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15,#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9 이상 16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16,#1≠nk,#2가 성립한다}
}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오류정정방식 #5> <오류정정방식 #6>의 어느 경우에도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오류정정방식 #5> <오류정정방식 #6>에서 n1, n2, n3, n4, n5, n6, n7, n8, n9, n10, n11, n12, n13, n14, n15, n16의 호적한 세트가 다르므로).
이상을 정리하면 이하와 같이 된다.
다음의 2개의 오류정정방식을 생각한다.
<오류정정방식 #5*>
부호화율 A, 블록길이(부호길이) B비트의 블록부호를 이용해서 부호화를 실시한다(A는 실수이며, 0<A<1이 성립하고, B는 0보다 큰 정수로 한다).
<오류정정방식 #6*>
부호화율 A, 블록길이(부호길이) C비트의 블록부호를 이용해서 부호화를 실시한다(A는 실수이며, 0<A<1이 성립하고, C는 0보다 큰 정수이며, B≠C가 성립한다)
그리고 도 125의 송신장치에서 도 119에서 설명한 16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5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방식 #5*>를 이용한 때 도 119의 k1=k1,#1, k2=k2,#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오류정정방식 #6*>를 이용한 때 도 119의 k1=k1,#2, k2=k2,#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조건 #H16>이 성립하면 좋다.
도 125의 송신장치에서 도 121에서 설명한 256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5의 송신장치가 <오류정정방식 #5*>를 이용한 때 도 121의 n1=n1,#1, n2=n2,#1, n3=n3,#1, n4=n4,#1, n5=n5,#1, n6=n6,#1, n7=n7,#1, n8=n8,#1, n9=n9,#1, n10=n10,#1, n11=n11,#1, n12=n12,#1, n13=n13,#1, n14=n14,#1, n15=n15,#1, n16=n16,#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오류정정방식 #6*>를 이용한 때 도 121의 n1=n1,#2, n2=n2,#2, n3=n3,#2, n4=n4,#2, n5=n5,#2, n6=n6,#2, n7=n7,#2, n8=n8,#2, n9=n9,#2, n10=n10,#2, n11=n11,#2, n12=n12,#2, n13=n13,#2, n14=n14,#2, n15=n15,#2, n16=n16,#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조건 #H18>이 성립하면 좋다.
또, 도 125, 도 127에서는 상세한 구성을 생략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고 있는 OFDM 방식, 스펙트럼 확산 통신방식을 이용해서 변조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실행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예 4>
도 125의 송신장치는 도 126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1개 이상의 안테나를 이용해서 1 스트림의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프리코딩, 위상변경 및 파워 변경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시공간블록부호(Space-TimeBlock Codes)를 이용한 전송방법을 실시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도 125의 송신장치가 이하의 부호화를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부호화율 A, 블록길이(부호길이) B비트의 블록부호를 이용해서 부호화를 실시한다(A는 실수이며, 0<A<1이 성립하고, B는 0보다 큰 정수로 한다).」
그리고 이하를 정의한다.
송신방법 #1:1개 이상의 안테나를 이용해서 1 스트림의 신호를 송신한다.
송신방법 #2:프리코딩, 위상변경 및 파워 변경을 실행한다.
송신방법 #3:시공간블록부호(Space-Time Block Codes)를 이용한다.
그리고 도 125의 송신장치에서 도 111에서 설명한 16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5의 송신장치가 송신방법 #X를 이용한 때 도 111의 f=f#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송신방법 #Y를 이용한 때 도 111의 f=f#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조건 #H19>
f#1≠1이고, 또한, f#2≠1이고, 또한, f#1≠f#2가 성립,
하면 좋다. 단, (X, Y)=(1, 2) 또는 (1, 3) 또는 (2, 3)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송신방법 #X를 이용한 때, 송신방법 #Y를 이용한 때 모두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송신방법 #X를 이용한 때, 송신방법 #Y를 이용한 때에 f의 호적 값이 다르므로).
도 125의 송신장치에서 도 112에서 설명한 64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5의 송신장치가 송신방법 #X를 이용한 때 도 112의 g1=g1,#1, g2=g2,#1, g3=g3,#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송신방법 #Y를 이용한 때 도 112의 g1=g1,#2, g2=g2,#2, g3=g3,#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이하가 성립하면 좋다.
<조건 #H20>
{(g1,#1, g2,#1, g3,#1)≠(1, 3, 5)이고, 또한, (g1,#1, g2,#1, g3,#1)≠(1, 5, 3)이고, 또한, (g1,#1, g2,#1, g3,#1)≠(3, 1, 5)이고, 또한, (g1,#1, g2,#1, g3,#1)≠(3, 5, 1)이고, 또한, (g1,#1, g2,#1, g3,#1)≠(5, 1, 3)이고, 또한, (g1,#1, g2,#1, g3,#1)≠(5, 3, 1)}
또한,
{(g1,#2, g2,#2, g3,#2)≠(1, 3, 5)이고, 또한, (g1,#2, g2,#2, g3,#2)≠(1, 5, 3)이고, 또한, (g1,#2, g2,#2, g3,#2)≠(3, 1, 5)이고, 또한, (g1,#2, g2,#2, g3,#2)≠(3, 5, 1)이고, 또한, (g1,#2, g2,#2, g3,#2)≠(5, 1, 3)이고, 또한, (g1,#2, g2,#2, g3,#2)≠(5, 3, 1)}
또한,
{{g1,#1≠g1,#2, 또는 g2,#1≠g2,#2, 또는 g3,#1≠g3,#2}가 성립한다}
가 성립한다. 단, (X, Y)=(1, 2) 또는 (1, 3) 또는 (2, 3)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송신방법 #X를 이용한 때, 송신방법 #Y를 이용한 때 모두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송신방법 #X를 이용한 때, 송신방법 #Y를 이용한 때에 g1, g2, g3의 호적한 세트가 다르므로).
도 125의 송신장치에서 도 113에서 설명한 256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5의 송신장치가 송신방법 #X를 이용한 때 도 113의 h1=h1,#1, h2=h2,#1, h3=h3,#1, h4=h4,#1, h5=h5,#1, h6=h6,#1, h7=h7,#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송신방법 #Y를 이용한 때 도 113의 h1=h1,#2, h2=h2,#2, h3=h3,#2, h4=h4,#2, h5=h5,#2, h6=h6,#2, h7=h7,#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이하가 성립하면 좋다.
<조건 #H21>
{{a1은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2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3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4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5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6은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7은 1 이상 7 이하의 정수}가 성립하며, {x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y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x≠y}가 성립한 때, {모든 x, 모든 y로, ax≠ay가 성립}일 때 (ha1,#1, ha2,#1, ha3,#1, ha4,#1, ha5,#1, ha6,#1, ha7,#1)≠(1, 3, 5, 7, 9, 11, 13)가 성립한다}
또한,
{{a1은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2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3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4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5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6은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a7은 1 이상 7 이하의 정수}가 성립하며, {x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y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고, 또한, x≠y}가 성립한 때, {모든 x, 모든 y로, ax≠ay가 성립}일 때 (ha1,#2, ha2,#2, ha3,#2, ha4,#2, ha5,#2, ha6,#2, ha7,#2)≠(1, 3, 5, 7, 9, 11, 13)가 성립한다}
또한,
{{h1,#1≠h1,#2, 또는 h2,#1≠h2,#2, 또는 h3,#1≠h3,#2, 또는 h4,#1≠h4,#2, 또는 h5,#1≠h5,#2, 또는 h6,#1≠h6,#2, 또는 h7,#1≠h7,#2}가 성립한다}
가 성립한다. 단, (X, Y)=(1, 2) 또는 (1, 3) 또는 (2, 3)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송신방법 #X를 이용한 때, 송신방법 #Y를 이용한 때 모두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송신방법 #X를 이용한 때, 송신방법 #Y를 이용한 때 h1, h2, h3, h4, h5, h6, h7의 호적한 세트가 다르므로).
<예 5>
도 125의 송신장치는 도 126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1개 이상의 안테나를 이용해서 1 스트림의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프리코딩, 위상변경 및 파워 변경을 실행하는 경우 시공간블록부호(Space-TimeBlock Codes)를 이용한 전송방법을 실시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도 125의 송신장치가 이하의 부호화를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부호화율 A, 블록길이(부호길이) B비트의 블록부호를 이용해서 부호화를 실시한다(A는 실수이며, 0<A<1이 성립하고, B는 0보다 큰 정수로 한다).」
그리고 이하를 정의한다.
송신방법 #1:1개 이상의 안테나를 이용해서 1 스트림의 신호를 송신한다.
송신방법 #2:프리코딩, 위상변경 및 파워 변경을 실행한다.
송신방법 #3:시공간블록부호(Space-Time Block Codes)를 이용한다.
그리고 도 125의 송신장치에서 도 114에서 설명한 16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5의 송신장치가 송신방법 #X를 이용한 때 도 114의 f1=f1,#1, f2=f2,#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송신방법 #Y를 이용한 때 도 114의 f1=f1,#2, f2=f2,#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조건 #H22>
{f1,#1≠f1,#2, 또는 f2,#1≠f2,#2}가 성립하면 좋다. 단, (X, Y)=(1, 2) 또는 (1, 3) 또는 (2, 3)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송신방법 #X를 이용한 때, 송신방법 #Y를 이용한 때 모두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송신방법 #X를 이용한 때, 송신방법 #Y를 이용한 때 f1, f2의 호적한 세트가 다르므로).
도 125의 송신장치에서 도 115에서 설명한 64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5의 송신장치가 송신방법 #X를 이용한 때 도 115의 g1=g1,#1, g2=g2,#1, g3=g3,#1, g4=g4,#1, g5=g5,#1, g6=g6,#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송신방법 #Y를 이용한 때 도 115의 g1=g1,#2, g2=g2,#2, g3=g3,#2, g4=g4,#2, g5=g5,#2, g6=g6,#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이하가 성립하면 좋다.
<조건 #H23>
{{{g1,#1≠g1,#2이고, 또한, g1,#1≠g2,#2이고, 또한, g1,#1≠g3,#2}, 또는, {g2,#1≠g1,#2이고, 또한, g2,#1≠g2,#2이고, 또한, g2,#1≠g3,#2}, 또는, {g3,#1≠g1,#2이고, 또한, g3,#1≠g2,#2이고, 또한, g3,#1≠g3,#2}가 성립한다},
또는,
{{g4,#1≠g4,#2이고, 또한, g4,#1≠g5,#2이고, 또한, g4,#1≠g6,#2}, 또는, {g5,#1≠g4,#2이고, 또한, g5,#1≠g5,#2이고, 또한, g5,#1≠g6,#2}, 또는, {g6,#1≠g4,#2이고, 또한, g6,#1≠g5,#2이고, 또한, g6,#1≠g6,#2}가 성립한다}}
하지만 성립한다. 단, (X, Y)=(1, 2) 또는 (1, 3) 또는 (2, 3)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송신방법 #X를 이용한 때, 송신방법 #Y를 이용한 때 모두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송신방법 #X를 이용한 때, 송신방법 #Y를 이용한 때 g1, g2, g3, g4, g5, g6의 호적한 세트가 다르므로).
도 125의 송신장치에서 도 116에서 설명한 256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5의 송신장치가 송신방법 #X를 이용한 때 도 116의 h1=h1,#1, h2=h2,#1, h3=h3,#1, h4=h4,#1, h5=h5,#1, h6=h6,#1, h7=h7,#1, h8=h8,#1, h9=h9,#1, h10=h10,#1, h11=h11,#1, h12=h12,#1, h13=h13,#1, h14=h14,#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송신방법 #Y를 이용한 때 도 116의 h1=h1,#2, h2=h2,#2, h3=h3,#2, h4=h4,#2, h5=h5,#2, h6=h6,#2, h7=h7,#2, h8=h8,#2, h9=h9,#2, h10=h10,#2, h11=h11,#2, h12=h12,#2, h13=h13,#2, h14=h14,#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이하가 성립하면 좋다.
<조건 #H24>
{
{k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1,#1≠h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2,#1≠h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3,#1≠h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4,#1≠h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5,#1≠h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6,#1≠h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7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7,#1≠hk,#2가 성립한다}
}
또는,
{
{k는 8 이상 14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8,#1≠h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8 이상 14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9,#1≠h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8 이상 14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10,#1≠h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8 이상 14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11,#1≠h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8 이상 14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12,#1≠h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8 이상 14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13,#1≠h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8 이상 14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h14,#1≠hk,#2가 성립한다}
}
단, (X, Y)=(1, 2) 또는 (1, 3) 또는 (2, 3)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송신방법 #X를 이용한 때, 송신방법 #Y를 이용한 때 모두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송신방법 #X를 이용한 때, 송신방법 #Y를 이용한 때 h1, h2, h3, h4, h5, h6, h7, h8, h9, h10, h11, h12, h13, h14의 호적한 세트가 다르므로).
<예 6>
도 125의 송신장치는 도 126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1개 이상의 안테나를 이용해서 1 스트림의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프리코딩, 위상변경 및 파워 변경을 실행하는 경우 시공간블록부호(Space-TimeBlock Codes)를 이용한 전송방법을 실시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도 125의 송신장치가 이하의 부호화를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부호화율 A, 블록길이(부호길이) B비트의 블록부호를 이용해서 부호화를 실시한다(A는 실수이며, 0<A<1이 성립하고, B는 0보다 큰 정수로 한다).」
그리고 이하를 정의한다.
송신방법 #1:1개 이상의 안테나를 이용해서 1 스트림의 신호를 송신한다.
송신방법 #2:프리코딩, 위상변경 및 파워 변경을 실행한다.
송신방법 #3:시공간블록부호(Space-Time Block Codes)를 이용한다.
그리고 도 125의 송신장치에서 도 119에서 설명한 16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5의 송신장치가 송신방법 #X를 이용한 때 도 119의 k1=k1,#1, k2=k2,#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송신방법 #Y를 이용한 때 도 119의 k1=k1,#2, k2=k2,#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조건 #H25>
{k1,#1≠k1,#2, 또는 k2,#1≠k2,#2}가 성립
하면 좋다. 단, (X, Y)=(1, 2) 또는 (1, 3) 또는 (2, 3)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송신방법 #X를 이용한 때, 송신방법 #Y를 이용한 때 모두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송신방법 #X를 이용한 때, 송신방법 #Y를 이용한 때 k1, k2의 호적한 세트가 다르므로).
도 125의 송신장치에서 도 120에서 설명한 64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5의 송신장치가 송신방법 #X를 이용한 때 도 120의 m1=m1,#1, m2=m2,#1, m3=m3,#1, m4=m4,#1, m5=m5,#1, m6=m6,#1, m7=m7,#1, m8=m8,#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송신방법 #Y를 이용한 때 도 120의 m1=m1,#2, m2=m2,#2, m3=m3,#2, m4=m4,#2, m5=m5,#2, m6=m6,#2, m7=m7,#2, m8=m8,#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이하가 성립하면 좋다.
<조건 #H26>
{
{{m1,#1≠m1,#2이고, 또한, m1,#1≠m2,#2이고, 또한, m1,#1≠m3,#2이고, 또한, m1,#1≠m4,#2}, 또는, {m2,#1≠m1,#2이고, 또한, m2,#1≠m2,#2이고, 또한, m2,#1≠m3,#2이고, 또한, m2,#1≠m4,#2}, 또는, {m3,#1≠m1,#2이고, 또한, m3,#1≠m2,#2이고, 또한, m3,#1≠m3,#2이고, 또한, m3,#1≠m4,#2}또는, {m4,#1≠m1,#2이고, 또한, m4,#1≠m2,#2이고, 또한, m4,#1≠m3,#2이고, 또한, m4,#1≠m4,#2}가 성립한다},
또는,
{{m5,#1≠m5,#2이고, 또한, m5,#1≠m6,#2이고, 또한, m5,#1≠m7,#2이고, 또한, m5,#1≠m8,#2}, 또는, {m6,#1≠m5,#2이고, 또한, m6,#1≠m6,#2이고, 또한, m6,#1≠m7,#2이고, 또한, m6,#1≠m8,#2}, 또는, {m7,#1≠m5,#2이고, 또한, m7,#1≠m6,#2이고, 또한, m7,#1≠m7,#2이고, 또한, m7,#1≠m8,#2}또는, {m8,#1≠m5,#2이고, 또한, m8,#1≠m6,#2이고, 또한, m8,#1≠m7,#2이고, 또한, m8,#1≠m8,#2}가 성립한다},
}
가 성립한다. 단, (X, Y)=(1, 2) 또는 (1, 3) 또는 (2, 3)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송신방법 #X를 이용한 때, 송신방법 #Y를 이용한 때 모두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송신방법 #X를 이용한 때, 송신방법 #Y를 이용한 때 m1, m2, m3, m4, m5, m6, m7, m8의 호적한 세트가 다르므로).
도 125의 송신장치에서 도 121에서 설명한 256QAM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도 125의 송신장치가 송신방법 #X를 이용한 때 도 121의 n1=n1,#1, n2=n2,#1, n3=n3,#1, n4=n4,#1, n5=n5,#1, n6=n6,#1, n7=n7,#1, n8=n8,#1, n9=n9,#1, n10=n10,#1, n11=n11,#1, n12=n12,#1, n13=n13,#1, n14=n14,#1, n15=n15,#1, n16=n16,#1로 설정하는 것으로 하며, 송신방법 #Y를 이용한 때 도 121의 n1=n1,#2, n2=n2,#2, n3=n3,#2, n4=n4,#2, n5=n5,#2, n6=n6,#2, n7=n7,#2, n8=n8,#2, n9=n9,#2, n10=n10,#2, n11=n11,#2, n12=n12,#2, n13=n13,#2, n14=n14,#2, n15=n15,#2, n16=n16,#2로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 이하가 성립하면 좋다.
<조건 #H27>
{
{k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1,#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2,#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3,#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4,#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5,#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6,#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7,#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1 이상 8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8,#1≠nk,#2가 성립한다}
}
또는,
{
{k는 9 이상 16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9,#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9 이상 16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10,#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9 이상 16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11,#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9 이상 16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12,#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9 이상 16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13,#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9 이상 16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14,#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9 이상 16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15,#1≠nk,#2가 성립한다}
또는, {k는 9 이상 16 이하의 정수이며, 이를 만족하는 모든 k에서 n16,#1≠nk,#2가 성립한다}
}
단, (X, Y)=(1, 2) 또는 (1, 3) 또는 (2, 3)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송신방법 #X를 이용한 때, 송신방법 #Y를 이용한 때 모두 수신장치는 높은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얻을 수 있을 가능성이 커진다(송신방법 #X를 이용한 때, 송신방법 #Y를 이용한 때 n1, n2, n3, n4, n5, n6, n7, n8, n9, n10, n11, n12, n13, n14, n15, n16의 호적한 세트가 다르므로).
또, 도 125, 도 127에서는 상세한 구성을 생략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고 있는 OFDM 방식, 스펙트럼 확산 통신방식을 이용해서 변조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실행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송신장치가 변조하여(매핑을 실행하여) 변조신호를 송신할 때 송신장치는 수신장치가 변조방식 및 변조방식의 파라미터를 식별할 수 있는 제어정보를 송신하고, 수신장치(도 127)는 이 정보를 얻음으로써 신호의 검파, 디 맵핑(복조)이 가능해진다.
(보충 7)
당연하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실시형태, 보충한 내용을 복수 조합해서 실시해도 좋다.
또, 각 실시형태, 보충한 내용에 대해서는 어디까지나 예이며, 예를 들어 「변조방식, 오류정정 부호화방식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 부호길이, 부호화율 등), 제어정보 등」을 예시하고 있어도 다른 「변조방식, 오류정정 부호화방식 (사용하는 오류정정부호, 부호길이, 부호화율 등), 제어정보 등」을 적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 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변조방식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기재하고 있는 변조방식 이외의 변조방식을 사용해도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실시형태, 보충한 내용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SK(Amplitude Phase Shift Keying)(예를 들어 16APSK, 64APSK, 128APSK, 256APSK, 1024APSK, 4096APSK 등), PAM(Pulse Amplitude Modulation)(예를 들어 4PAM, 8PAM, 16PAM, 64PAM, 128PAM, 256PAM, 1024PAM, 4096 PAM 등), PSK(Phase Shift Keying)(예를 들어 BPSK, QPSK, 8PSK, 16PSK, 64PSK, 128PSK, 256PSK, 1024PSK, 4096 PSK 등),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예를 들어 4QAM, 8QAM, 16QAM, 64QAM, 128QAM, 256QAM, 1024QAM, 4096QAM등) 등을 적용해도 좋고, 또, 각 변조방식에 있어서 균일 매핑, 비 균일 매핑으로 해도 좋다.
또, I-Q 평면에서의 2개, 4개, 8개, 16개, 64개, 128개, 256개, 1024개 등의 신호점의 배치방법(2개, 4개, 8개, 16개, 64개, 128개, 256개, 1024개 등의 신호점을 가지는 변조방식)을 시간, 주파수, 또는 시간 및 주파수에 따라서 전환해도 좋다.
본 명세서 중에서 제 1 변조방식에 따른 변조신호 s1 및 제 2 변조방식에 따른 s2에 대해 파워 변경, 프리코딩(가중합성), 위상변경, 파워 변경 등의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예를 들어 도 5, 도 6, 도 7, 도 97, 도 98)에 대해 설명했다. 이들 처리 대신 이하에서 설명하는 처리를 실행하여 본 명세서의 각 실시형태를 실시해도 좋다. 이하에서는 그 처리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9, 도 130은 본 명세서 중에서 설명한 「제 1 변조방식에 따른 변조신호 s1 및 제 2 변조방식에 따른 s2에 대해 파워 변경, 프리코딩, 위상변경, 파워 변경 등의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의 변형 예이다.
도 129, 도 130에서는 가중합성(프리코딩) 전에 위상변경부를 추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도 5, 도 6, 도 7과 동일하게 동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고 상세한 동작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9의 위상변경부(12902)는 매핑부(504)로부터 출력된 변조신호(12901)에 대해서, 타방의 변조신호(505A)와는 그 위상이 다르도록 위상변경처리를 하고, 위상변경 후의 변조신호 s2(t)(505B)를 파워 변경부(506B)에 출력한다.
도 130의 위상변경부(13002)는 매핑부(504)로부터 출력된 변조신호(13001)에 대해 타방의 변조신호(505A)와는 그 위상이 다르도록 위상변경처리를 하고, 위상변경 후의 변조신호 s2(t)(505B)를 파워 변경부(506B)에 출력한다.
도 131은 도 129에 나타낸 송신장치의 구성 예의 변형 예이다. 또, 도 132는 도 130에 나타낸 송신장치의 구성 예의 변형 예이다.
도 131의 위상변경부(13102)는 매핑부(504)로부터 출력된 변조신호(13101)에 대해서, 위상변경부(12902)에서 실행하는 제 1 위상변경 처리에 대해 제 2 위상변경 처리를 하고, 위상변경 후의 변조신호 s1(t)(505A)를 파워 변경부(506A)에 출력한다.
도 132의 위상변경부(13202)는 매핑부(504)로부터 출력된 변조신호(13201)에 대해서, 위상변경부(13002)에서 실행하는 제 1 위상변경 처리에 대해 제 2 위상변경 처리를 하고, 위상변경 후의 변조신호 s1(t)(505A)를 파워 변경부(506A)에 출력한다.
도 131, 도 13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매핑부로부터 출력된 변조신호의 일방만이 아니라 쌍방의 신호에 대해서 위상변경을 실행해도 좋다.
또, 위상변경부(12902, 13002, 13102, 13202)의 위상변경 처리는 이하의 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λ(i)는 위상이며, λ(i)는 i(예를 들어 시간, 주파수, 슬롯)의 함수이고, I, Q는 각각 입력되는 신호의 동상 I성분, 직교 Q성분이며, 위상변경부(12902, 13002, 13102, 13202)는 I', Q'를 출력한다.
또, 당연하지만, 도 129, 도 130, 도 131, 도 132를 이용해서 송신된 변조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는 상기에서 설명한 신호처리에 대응한 신호처리가 이루어져서 변조신호에 포함되는 각 비트의 예를 들어 대수 우도비를 구하게 된다.
또, I-Q 평면에서의 2개, 4개, 8개, 16개, 64개, 128개, 256개, 1024개 등의 신호점의 배치방법(2개, 4개, 8개, 16개, 64개, 128개, 256개, 1024개 등의 신호점을 가지는 변조방식)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변조방식의 신호점 배치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복수의 비트에 의거하여 동상성분과 직교성분을 출력하는 기능이 매핑부에서의 기능이 되며, 그 후, 프리코딩 및 위상변경을 실행하는 것이 본 발명의 하나의 유효한 기능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시간 축에서 프리코딩 웨이트, 위상을 변경할 때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으나,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OFDM 전송 등의 멀티 캐리어 전송방식을 이용한 때에도 본 실시형태는 동일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특히, 프리코딩 전환방법이 송신신호 수만에 의해 변경되고 있을 때 수신장치는 송신장치가 송신하는 송신신호 수의 정보를 얻음으로써 프리코딩 웨이트, 위상의 전환방법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송신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은 예를 들어 방송국, 기지국, 액세스포인트, 단말, 휴대전화(mobile phone) 등의 통신·방송기기인 것을 생각할 수 있으며, 이때, 수신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은 텔레비전, 라디오, 단말, 퍼스널 컴퓨터, 휴대전화, 액세스포인트, 기지국 등의 통신기기인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의 송신장치, 수신장치는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기기이며, 그 기기가 텔레비전, 라디오, 퍼스널 컴퓨터, 휴대전화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에 어떤 인터페이스를 해독하여 접속할 수 있는 형태인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데이터심벌 이외의 심벌, 예를 들어 파일럿심벌(프리 앰블, 유니크 워드, 포스트 앰블(postamble), 레퍼런스 심벌 등), 제어정보용의 심벌 등이 프레임에 어떻게 배치되고 있어도 좋다. 그리고 여기에서는 파일럿심벌, 제어정보용의 심벌이라고 부르고 있으나, 어떻게 호칭으로 해도 좋으며, 기능 자신이 중요하다.
파일럿심벌은 예를 들어 송수신기에 있어서 PSK 변조를 이용하여 변조한 기존의 심벌(또는 수신기가 동기를 취함으로써 수신기는 송신기가 송신한 심벌을 알 수 있어도 좋다)이면 좋으며, 수신기는 이 심벌을 이용해서 주파수 동기, 시간 동기, (각 변조신호의) 채널추정(CSI(Channel State Information)의 추정), 신호의 검출 등을 실시하게 된다.
또, 제어정보용의 심벌은 (애플리케이션 등의) 데이터 이외의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통신 상대에게 전송할 필요가 있는 정보(예를 들어 통신에 이용하고 있는 변조방식·오류정정 부호화방식·오류정정 부호화방식의 부호화율, 상위층에서의 설정정보 등)를 전송하기 위한 심벌이다.
또, 본 발명은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로 변경해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실시형태에서는 통신장치로서 실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통신방법을 소프트웨어로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에서는 2개의 변조신호를 2개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방법에서의 프리코딩 전환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4개의 매핑 후의 신호에 대해 프리코딩을 실행해서 4개의 변조신호를 생성하여 4개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방법, 즉, N개의 매핑 후의 신호에 대해 프리코딩을 실행해서 N개의 변조신호를 생성하여 N개의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프리코딩 웨이트(행렬)를 변경하는 프리코딩 전환방법으로 해도 마찬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프리코딩」 「프리코딩 웨이트」 등의 용어를 이용하고 있으나, 호칭 자체는 어떤 것이라도 좋으며, 본 발명에서는 그 신호처리 자신이 중요하다.
스트림 s1(t), s2(t)에 의해 다른 데이터를 전송해도 좋고,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해도 좋다.
송신장치의 송신안테나, 수신장치의 수신안테나 모두 도면에서 기재되어 있는 1개의 안테나는 복수의 안테나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송신장치, 수신장치에 대해 송신방법(MIMO, SISO, 시공간블록부호, 인터리브 방식), 변조방식, 오류정정 부호화방식을 통지할 필요가 있는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생략되어 있는 송신장치가 송신하는 프레임에 존재하게 되는 수신장치는 이것을 얻음으로써 동작을 변경하게 된다.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1에서 비트길이 조정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고, 또, 실시형태 12에서는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1의 비트길이 조정방법을 DVB 규격에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때, 송신장치에서의 비트길이 조정방법에 대해서는 도 57, 도 60, 도 73, 도 78, 도 79, 도 80, 도 83, 도 91, 도 93 등을 이용하고, 또, 수신장치에서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85, 도 87, 도 88, 도 96 등을 이용하여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2에서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MIMO 전송방법(프리코딩(가중합성), 파워 변경, 위상변경 등을 이용한다)에 대해서는 도 5, 도 6, 도 7, 도 97, 도 98 등을 이용하여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2에서 설명하고 있다.
이때,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2에서 설명하고 있는 비트길이 조정의 처리 후에, 송신방법으로 도 5, 도 6, 도 7, 도 97, 도 98 등에서 설명한 MIMO 전송방법(프리코딩(가중합성), 파워 변경, 위상변경 등을 이용한다) 대신에 도 128에서 설명한 시공간 블록부호, 공간-주파수 블록부호(심벌을 주파수 방향으로 배치하는), (MISO 전송방식, 송신 다이버시티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을 이용한 경우에 대해서도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2의 실시가 가능해진다. 즉, 도 57, 도 60, 도 73, 도 78, 도 79, 도 80, 도 83, 도 91, 도 93 등을 이용해서 비트길이가 조정된 비트 계열(디지털신호)이 도 128의 1201에 상당하며, 그 후, 도 128과 같이 매핑·MISO 처리를 하게 된다.
또, 시공간블록부호, 공간-주파수 블록부호(심벌을 주파수 방향으로 배치한다), (MISO 전송방식, 송신 다이버시티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의 방법은 도 128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33과 같이 송신해도 좋다. 도 133에 대해 설명한다(또, 도 133은 도 128과 동일하게 동작하므로,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매핑부(12802)는 데이터신호(오류정정부호화 후의 데이터)(12801), 제어신호(12806)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12806)에 포함되는 변조방식에 관련하는 정보에 의거하여 매핑을 실행해서 매핑 후의 신호(12803)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매핑 후의 신호(12803)는 s0, s1, s2, s3, …, s(2i), s(2i+1), …의 순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i는 0 이상의 정수로 한다).
MIS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처리부(12804)는 매핑 후의 신호(12803), 제어신호(12806)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12806)가 MIS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방식으로 송신하는 것을 지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MISO 처리 후의 신호(12805A 및 12805B)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MISO 처리 후의 신호(12805A)는 s0, -s1*, s2, -s3*, …, s(2i), -s(2i+1)*, …가 되고, MISO 처리 후의 신호(12805B)는 s1, s0*, s3, s2*…, s(2i+1), s(2i)*, …가 된다. 또, 「*」은 복소공역을 의미한다.
이때, MISO 처리 후의 신호(12805A 및 12805B)가 각각 도 125의 처리 후의 베이스밴드신호(12502A 및 12502B)에 상당한다. 또, 시공간블록부호의 방법은 앞에서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무선부(12503A)는 처리 후의 베이스밴드신호(12502A), 제어심벌신호(12208), 파일럿심벌신호(12209), 프레임 구성신호(12210)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신호(12210)에 의거하여 프레임에 의거한 송신신호(12504A)를 출력하며, 프레임에 의거한 송신신호(12504A)는 안테나 #1(12505A)로부터 전파로서 출력된다.
무선부(12503B)는 처리 후의 베이스밴드신호(12502B), 제어심벌신호(12208), 파일럿심벌신호(12209), 프레임 구성신호(12210)를 입력으로 하여, 프레임 구성신호(12210)에 의거하여 프레임에 의거한 송신신호(12504B)를 출력하며, 프레임에 의거한 송신신호(12504B)는 안테나 #2(12505B)로부터 전파로서 출력된다.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1에 비트길이 조정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고, 또, 실시형태 12에서는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1의 비트길이 조정방법을 DVB 규격에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때, 송신장치에서의 비트길이 조정방법에 대해서는 도 57, 도 60, 도 73, 도 78, 도 79, 도 80, 도 83, 도 91, 도 93 등을 이용하고, 또, 수신장치에서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85, 도 87, 도 88, 도 96등을 이용해서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2에서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MIMO 전송방법(프리코딩(가중합성), 파워 변경, 위상변경 등을 이용한다)에 대해서는 도 5, 도 6, 도 7, 도 97, 도 98 등을 이용해서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2에서 설명하고 있다.
이때,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2에서 설명하고 있는 비트길이 조정의 처리 후에, 송신방법으로 도 5, 도 6, 도 7, 도 97, 도 98 등에서 설명한 MIMO 전송방법(프리코딩(가중합성), 파워 변경, 위상변경 등을 이용한다) 대신에 싱글 스트림의 송신인 경우에 대해서도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2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도 57, 도 60, 도 73, 도 78, 도 79, 도 80, 도 83, 도 91, 도 93 등을 이용해 비트길이가 조정된 비트 계열(디지털신호)이 도 5, 도 6, 도 7의 비트 계열 503, 또는 도 97, 도 98의 비트 계열(9701)에 상당하며, 도 5, 도 6, 도 7의 매핑부(504) 또는 도 97, 도 98의 매핑부(9702)에 입력된다.
그리고 s1(t)의 변조방식 α는 x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변조방식이며, s2(t)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다(무 변조, y=0비트의 데이터 전송). 따라서, 본 명세서 중에서 기재되어 있는 x+y=x+0=x가 된다.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2에서 「x+y=x+0=x」로 실시하면 싱글 스트림의 송신인 경우에 대해서도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12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충 8)
본 명세서 중에서 가중합성(프리코딩)을 위한 행렬 F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하에서 기재하는 것과 같은 프리코딩 행렬 F(또는 F(i))를 이용해도 본 명세서의 각 실시형태를 실시할 수 있다.
또는,
또는,
또는,
또는,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H10), 식 (H11), 식 (H12), 식 (H13), 식 (F14), 식 (H15), 식 (H16), 식 (H17)에 있어서 α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으며,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α는 0(제로)은 아니다. 그리고 β도 0(제로)은 아니다.
또는,
또는,
또는,
또는,
또는,
또는,
또는,
또는,
또, 식 (H18), 식 (H20), 식 (H22), 식 (H24)에 있어서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β는 0(제로)은 아니다.
또는,
또는,
또는,
또는,
또는,
또는,
또는,
또는,
또는,
또는,
또는,
또는,
단, θ11(i), θ21(i), λ(i)는 i의(시간, 또는 주파수의) 함수이고, λ는 고정 값이며, α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고, β는 실수라도 좋고 허수라도 좋다. 단, α는 0(제로)은 아니다. 그리고 β도 0(제로)은 아니다.
또, 이들 이외의 프리코딩 행렬을 이용해도 본 명세서의 각 실시형태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각각 다른 변조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시스템에 넓게 적용할 수 있다. 또, 복수의 송신 개소를 가지는 유선 통신시스템(예를 들어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시스템, 광통신시스템, DSL(Digital SubscriberLine:디지털 가입자 선) 시스템)에 있어서 MIMO 전송을 실행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안테나로부터 각각 다른 변조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시스템에 넓게 적용할 수 있다. 또, 복수의 송신 개소를 가지는 유선 통신시스템(예를 들어 PLC(Power Line Communication) 시스템, 광통신시스템, DSL(Digital SubscriberLine:디지털 가입자선) 시스템)에 있어서 MIMO 전송을 실행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502, 502LA 부호화부
502BI 비트 인터리버
5701, 6001, 7301, 8001 비트길이 조정부
504 매핑부
502BI 비트 인터리버
5701, 6001, 7301, 8001 비트길이 조정부
504 매핑부
Claims (3)
- 데이터 통신을 위한 송신방법으로,
제 1 부호화율 및 제 1 부호길이를 이용해서 제 1 정보를 부호화하여 제 1 부호화 데이터 계열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부호화율 및 상기 제 1 부호길이와는 다른 제 2 부호길이를 이용해서 제 2 정보를 부호화하여 제 2 부호화 데이터 계열을 생성하며,
제 1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에 상기 제 1 부호화 데이터 계열을 매핑하여 제 1 변조 심벌 계열을 생성하고,
제 2 16QAM 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에 상기 제 2 부호화 데이터 계열을 매핑하여 제 2 변조 심벌 계열을 생성하며,
송신장치와 수신장치와의 사이에서 기지의 심벌 군인 파일럿심벌 군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변조 심벌 계열 및 상기 파일럿심벌 군에 의거하여 제 1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을 생성하며,
상기 제 2 변조 심벌 계열 및 상기 파일럿심벌 군에 의거하여 제 2 OFDM 심벌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OFDM 심벌 및 상기 제 2 OFDM 심벌에 의거하여 생성된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제 1 16QAM 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 및 상기 제 2 16QAM 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은 실축(實軸) 및 허축(虛軸)을 가지는 I/Q 평면에 있어서 인접하는 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비균일하고,
상기 제 1 16QAM 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은 상기 I/Q 평면에 있어서 제 1 배치 패턴을 가지며,
상기 제 2 16QAM 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은 상기 I/Q 평면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치 패턴과는 다른 제 2 배치 패턴을 가지는 송신방법. - 데이터 통신을 위한 수신방법으로,
제 1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 및 제 2 OFDM 심벌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OFDM 심벌 및 상기 제 2 OFDM 심벌로부터 파일럿심벌 군을, 상기 제 1 OFDM 심벌로부터 제 1 변조 심벌 계열을, 상기 제 2 OFDM 심벌로부터 제 2 변조 심벌 계열을 각각 추출하며, 상기 파일럿심벌 군은 송신장치와 수신장치와의 사이에서 기지의 심벌 군이고,
상기 파일럿심벌 군에 의거하여 제 1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에 매핑된 상기 제 1 변조 심벌 계열을 복조하여 제 1 부호화 데이터 계열을 생성하며,
상기 파일럿심벌 군에 의거하여 제 2 16QAM 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에 매핑된 상기 제 2 변조 심벌 계열을 복조하여 제 2 부호화 데이터 계열을 생성하고,
제 1 부호화율 및 제 1 부호길이를 이용해서 상기 제 1 부호화 데이터 계열을 복호하여 제 1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부호화율 및 상기 제 1 부호길이와는 다른 제 2 부호길이를 이용해서 상기 제 2 부호화 데이터 계열을 복호하여 제 2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 1 16QAM 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 및 상기 제 2 16QAM 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은 실축 및 허축을 가지는 I/Q 평면에 있어서 인접하는 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비균일하고,
상기 제 1 16QAM 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은 상기 I/Q 평면에 있어서 제 1 배치 패턴을 가지며,
상기 제 2 16QAM 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은 상기 I/Q 평면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치 패턴과는 다른 제 2 배치 패턴을 가지는 수신방법. - 데이터 통신을 위한 수신장치로,
제 1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 및 제 2 OFDM 심벌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와,
상기 제 1 OFDM 심벌 및 상기 제 2 OFDM 심벌로부터 파일럿심벌 군을, 상기 제 1 OFDM 심벌로부터 제 1 변조 심벌 계열을, 상기 제 2 OFDM 심벌로부터 제 2 변조 심벌 계열을 각각 추출하며, 상기 파일럿심벌 군은 송신장치와 수신장치와의 사이에서 기지의 심벌 군인 OFDM 심벌 처리 회로와,
상기 파일럿심벌 군에 의거하여 제 1 16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에 매핑된 상기 제 1 변조 심벌 계열을 복조해서 제 1 부호화 데이터 계열을, 제 2 16QAM 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에 매핑된 상기 제 2 변조 심벌 계열을 복조해서 제 2 부호화 데이터 계열을 각각 생성하는 디매핑 회로와,
제 1 부호화율 및 제 1 부호길이를 이용해서 상기 제 1 부호화 데이터 계열을 복호하여 제 1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부호화율 및 상기 제 1 부호길이와는 다른 제 2 부호길이를 이용해서 상기 제 2 부호화 데이터 계열을 복호하여 제 2 정보를 생성하는 복호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16QAM 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 및 상기 제 2 16QAM 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은 실축 및 허축을 가지는 I/Q 평면에 있어서 인접하는 신호점 사이의 거리가 비균일하고,
상기 제 1 16QAM 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은 상기 I/Q 평면에 있어서 제 1 배치 패턴을 가지며,
상기 제 2 16QAM 방식으로 정해지는 16개의 신호점은 상기 I/Q 평면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치 패턴과는 다른 제 2 배치 패턴을 가지는 수신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7021984A KR102456368B1 (ko) | 2013-01-11 | 2013-12-27 | 데이터 처리방법, 프리코딩 방법, 통신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3-003905 | 2013-01-11 | ||
JP2013003905 | 2013-01-11 | ||
JP2013033353 | 2013-02-22 | ||
JPJP-P-2013-033353 | 2013-02-22 | ||
JPJP-P-2013-195166 | 2013-09-20 | ||
JP2013195166 | 2013-09-20 | ||
PCT/JP2013/007687 WO2014108982A1 (ja) | 2013-01-11 | 2013-12-27 | データ処理方法、プリコーディング方法、通信装置 |
KR1020217021405A KR102356963B1 (ko) | 2013-01-11 | 2013-12-27 | 데이터 처리방법, 프리코딩 방법, 통신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21405A Division KR102356963B1 (ko) | 2013-01-11 | 2013-12-27 | 데이터 처리방법, 프리코딩 방법, 통신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7021984A Division KR102456368B1 (ko) | 2013-01-11 | 2013-12-27 | 데이터 처리방법, 프리코딩 방법, 통신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6998A KR20220016998A (ko) | 2022-02-10 |
KR102415609B1 true KR102415609B1 (ko) | 2022-06-30 |
Family
ID=51166659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01192A KR102277278B1 (ko) | 2013-01-11 | 2013-12-27 | 데이터 처리방법, 프리코딩 방법, 통신장치 |
KR1020227002641A KR102415609B1 (ko) | 2013-01-11 | 2013-12-27 | 데이터 처리방법, 프리코딩 방법, 통신장치 |
KR1020147025207A KR102205229B1 (ko) | 2013-01-11 | 2013-12-27 | 데이터 처리방법, 프리코딩 방법, 통신장치 |
KR1020217021405A KR102356963B1 (ko) | 2013-01-11 | 2013-12-27 | 데이터 처리방법, 프리코딩 방법, 통신장치 |
KR1020227021984A KR102456368B1 (ko) | 2013-01-11 | 2013-12-27 | 데이터 처리방법, 프리코딩 방법, 통신장치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01192A KR102277278B1 (ko) | 2013-01-11 | 2013-12-27 | 데이터 처리방법, 프리코딩 방법, 통신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25207A KR102205229B1 (ko) | 2013-01-11 | 2013-12-27 | 데이터 처리방법, 프리코딩 방법, 통신장치 |
KR1020217021405A KR102356963B1 (ko) | 2013-01-11 | 2013-12-27 | 데이터 처리방법, 프리코딩 방법, 통신장치 |
KR1020227021984A KR102456368B1 (ko) | 2013-01-11 | 2013-12-27 | 데이터 처리방법, 프리코딩 방법, 통신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2) | US9178650B2 (ko) |
EP (2) | EP3624348B1 (ko) |
JP (4) | JP6277525B2 (ko) |
KR (5) | KR102277278B1 (ko) |
CN (2) | CN107566089B (ko) |
WO (1) | WO201410898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552043A1 (en) * | 2011-07-25 | 2013-01-30 | Panasonic Corporation | Spatial multiplexing for bit-interleaved coding and modulation with quasi-cyclic LDPC codes |
JP5869697B2 (ja) * | 2012-12-07 | 2016-02-24 |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 信号生成方法、送信装置、受信方法および受信装置 |
CN105103511B (zh) * | 2013-04-12 | 2019-02-15 | 太阳专利托管公司 | 发送方法 |
WO2015037946A1 (en) * | 2013-09-12 | 2015-03-1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Transmitting apparatus, method of mapping data thereof, receiv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
KR102211586B1 (ko) * | 2013-09-27 | 2021-02-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CN109560892B (zh) | 2013-12-27 | 2021-04-30 |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 发送方法、接收方法及发送装置、接收装置 |
JP6362085B2 (ja) * | 2014-05-21 | 2018-07-25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認識システム、画像認識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US9184967B1 (en) * | 2014-09-30 | 2015-11-10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frame structure for MIMO narrowband power line communications |
KR102287627B1 (ko) * | 2015-02-16 | 2021-08-10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길이가 64800이며, 부호율이 4/15인 ldpc 부호어 및 4096-심볼 맵핑을 위한 비트 인터리버 및 이를 이용한 비트 인터리빙 방법 |
KR101776267B1 (ko) * | 2015-02-24 | 2017-09-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송신 장치 및 그의 리피티션 방법 |
KR102426771B1 (ko) * | 2015-02-25 | 2022-07-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송신 장치 및 그의 부가 패리티 생성 방법 |
JP7050410B2 (ja) * | 2015-06-09 | 2022-04-08 |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
DE112016002602T5 (de) * | 2015-06-10 | 2018-03-01 | Sony Corporation | Datenverarbeitungsvorrichtung, Datenverarbeitungsverfahren und Programm |
EP4117209A1 (en) * | 2015-12-23 | 2023-01-1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channel in communication or broadcasting system |
US10312947B2 (en) * | 2016-01-21 | 2019-06-04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Concatenated and sliding-window polar coding |
WO2017150418A1 (ja) | 2016-02-29 | 2017-09-08 |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 送信方法、送信装置、受信方法、受信装置 |
EP3223446A1 (en) * | 2016-03-22 | 2017-09-27 | Xieon Networks S.à r.l. | A method for protecting a link in an optical network |
US10476599B2 (en) * | 2016-04-18 | 2019-11-12 | Nec Corporation | Joint source and LDPC coding based coding modulation for ultra-high-speed optical transport |
EP3247042B1 (en) * | 2016-05-13 | 2020-09-30 | Mediatek Inc. | Bit puncturing for polar codes |
EP3487140B1 (en) * | 2016-07-14 | 2020-09-30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 Transmission method, transmission device, reception method, and reception device |
US10432234B2 (en) | 2016-07-19 | 2019-10-01 | Mediatek Inc. | Low complexity rate matching for polar codes |
US11356193B2 (en) * | 2016-10-07 | 2022-06-07 | Idac Holdings, Inc. | Rate matching and HARQ with irregular modulation |
TWI652909B (zh) | 2017-02-06 | 2019-03-01 | 聯發科技股份有限公司 | 極化碼交錯和位元選擇 |
CN115173992A (zh) * | 2017-03-25 | 2022-10-11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速率匹配的方法和装置 |
WO2018189312A1 (en) * | 2017-04-12 | 2018-10-18 |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in particular for use in a low throughput network |
WO2018198917A1 (ja) | 2017-04-24 | 2018-11-01 |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 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
CN109002409A (zh) * | 2017-06-07 | 2018-12-14 | 深圳市中兴微电子技术有限公司 | 一种位宽变换装置及方法 |
BR112020010432A2 (pt) * | 2017-11-29 | 2020-11-24 | Ntt Docomo, Inc. | aparelho de comunicação |
CN108761391B (zh) * | 2018-05-29 | 2022-04-01 | 南京信息工程大学 | 一种模型类无设备目标定位方法 |
US10965786B2 (en) * | 2018-10-31 | 2021-03-30 |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 Adaptive fixed point mapping for uplink and downlink fronthaul |
US12003350B1 (en) * | 2020-02-29 | 2024-06-04 | Space Exploration Technologies Corp. | Configurable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ignal and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user terminal to satellite uplink communication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266040A1 (en) * | 2011-04-13 | 2012-10-18 | Hamkins Jon | Method of error floor mitigation in low-density parity-check codes |
Family Cites Families (3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55932A (ja) * | 1991-08-23 | 1993-03-0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誤り訂正符復号化装置 |
GB9814960D0 (en) * | 1998-07-10 | 1998-09-09 |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 Coding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
EP1091517A1 (en) * | 1999-10-07 | 2001-04-11 | Siemens Aktiengesellschaft |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punctured or repeated data |
AU5999301A (en) * | 2000-05-25 | 2001-12-03 | Soma Networks Inc | Quality dependent data communication channel |
WO2002065724A1 (fr) * | 2001-02-13 | 2002-08-22 |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 Procede de modulation de niveaux multiples, procede de demodulation de niveaux multiples, et procede de modulation/demodulation de niveaux multiples |
EP1313248B1 (en) | 2001-11-16 | 2005-08-31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Hybrid ARQ method for packet data transmission |
CA2396213A1 (en) * | 2002-07-31 | 2004-01-31 | Anthony Gerkis | Automatic retransmit request protocol for channels with time-varying capacity |
DE10236603B4 (de) * | 2002-08-09 | 2006-05-11 | Siemens Ag |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mindestens einem ersten und zweiten Datensignal im Polarisationsmultiplex in einem optischen Übertragungssystem |
JP4224688B2 (ja) * | 2003-06-18 | 2009-02-18 | 日本電気株式会社 | レートデマッチング処理装置 |
JP4217887B2 (ja) * | 2003-07-22 | 2009-02-04 | 日本電気株式会社 | 受信装置 |
US7269205B2 (en) * | 2003-09-26 | 2007-09-11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ethod and apparatus for signal demodulation |
WO2005050885A1 (ja) * | 2003-11-21 | 2005-06-02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マルチアンテナ受信装置、マルチアンテナ受信方法、マルチアンテナ送信装置及びマルチアンテナ通信システム |
WO2006002550A1 (en) | 2004-07-07 | 2006-01-12 | Nortel Networks Limited | System and method for mapping symbols for mimo transmission |
US7562280B2 (en) * | 2004-09-10 | 2009-07-14 | The Directv Group, Inc. | Code design and implementation improvements for low density parity check codes for wireless routers using 802.11N protocol |
US7539270B2 (en) * | 2004-09-30 | 2009-05-26 | Intel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to interleave bits across symbols from different constellations |
JP4469261B2 (ja) * | 2004-11-22 | 2010-05-26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ディジタル信号伝送装置 |
CN101167291B (zh) * | 2005-04-28 | 2012-09-12 |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 使用高阶调制方案进行数字数据传输的方法和发射机 |
WO2006117014A1 (en) * | 2005-05-04 | 2006-11-09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Data transmission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diversity and constellation rearrangement of a 16 qam scheme |
US20090138785A1 (en) * | 2006-03-17 | 2009-05-28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Communication device, decoding device,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decoding method |
US7653141B2 (en) * | 2006-03-31 | 2010-01-26 | Panasonic Corporation | Multi-band OFDM UWB communication systems having improved frequency diversity |
US8880571B2 (en) * | 2006-05-05 | 2014-11-04 | Microsoft Corporation | High dynamic range data format conversions for digital media |
EP2064825B8 (en) * | 2006-09-18 | 2014-02-26 | Fujitsu Limited | Multiple-input-multiple-output transmission using non-binary ldpc coding |
JP5089339B2 (ja) | 2006-11-02 | 2012-12-05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送信方法、送信装置及び受信方法 |
CN101237241B (zh) * | 2007-01-31 | 2010-05-19 |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 一种实现混合自动请求重传处理和信道译码的方法和系统 |
US20110129032A1 (en) * | 2007-04-18 | 2011-06-02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Systems and Methods for Dual-Carrier Modulation Encoding and Decoding |
CN101325474B (zh) * | 2007-06-12 | 2012-05-09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Ldpc码的混合自动请求重传的信道编码及调制映射方法 |
WO2009002135A2 (en) * | 2007-06-28 | 2008-12-31 | Lg Electronics Inc. |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
KR101366284B1 (ko) * | 2007-11-13 | 2014-02-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골레이 부호를 이용한 블록 부호 생성 방법, 데이터 부호화방법 및 데이터 부호화 장치 |
KR100917201B1 (ko) * | 2007-12-11 | 2009-09-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신호 송수신 장치 |
CN101499805A (zh) * | 2008-01-31 | 2009-08-05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编码、解码方法以及编码、解码装置 |
GB0805302D0 (en) * | 2008-03-20 | 2008-04-30 | Cambridge Silicon Radio Ltd | Dual carrier modulation |
US8014436B2 (en) * | 2008-07-02 | 2011-09-06 |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 Multi-dimensional signal of reduced peak-to-RMS ratio |
US8565326B2 (en) | 2008-07-08 | 2013-10-22 |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 System and method for bit allocation and interleaving |
KR102382798B1 (ko) | 2011-02-18 | 2022-04-04 | 선 페이턴트 트러스트 | 신호생성방법 및 신호생성장치 |
JP5664919B2 (ja) * | 2011-06-15 | 2015-02-04 | ソニー株式会社 |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
-
2013
- 2013-12-27 KR KR1020217001192A patent/KR10227727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12-27 CN CN201710916224.0A patent/CN107566089B/zh active Active
- 2013-12-27 JP JP2014538947A patent/JP6277525B2/ja active Active
- 2013-12-27 CN CN201380013398.6A patent/CN104170260B/zh active Active
- 2013-12-27 EP EP19205334.6A patent/EP3624348B1/en active Active
- 2013-12-27 KR KR1020227002641A patent/KR10241560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12-27 KR KR1020147025207A patent/KR10220522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12-27 US US14/382,879 patent/US9178650B2/en active Active
- 2013-12-27 WO PCT/JP2013/007687 patent/WO201410898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12-27 KR KR1020217021405A patent/KR10235696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12-27 EP EP13870553.8A patent/EP2945291B1/en active Active
- 2013-12-27 KR KR1020227021984A patent/KR10245636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
- 2015-09-21 US US14/859,737 patent/US9479234B2/en active Active
- 2015-09-21 US US14/860,018 patent/US9479235B2/en active Active
-
2016
- 2016-09-08 US US15/259,557 patent/US9735918B2/en active Active
-
2017
- 2017-05-15 US US15/594,771 patent/US9900125B2/en active Active
- 2017-12-26 US US15/854,243 patent/US10110341B2/en active Active
- 2017-12-27 JP JP2017252092A patent/JP6739045B2/ja active Active
-
2018
- 2018-09-14 US US16/131,261 patent/US10432346B2/en active Active
-
2019
- 2019-08-14 US US16/540,260 patent/US10594432B2/en active Active
-
2020
- 2020-01-13 US US16/740,810 patent/US10819464B2/en active Active
- 2020-07-02 JP JP2020114545A patent/JP7122614B2/ja active Active
- 2020-08-31 US US17/007,149 patent/US11025363B2/en active Active
-
2021
- 2021-04-15 US US17/231,469 patent/US11936470B2/en active Active
-
2022
- 2022-07-14 JP JP2022112898A patent/JP2022141788A/ja active Pending
-
2024
- 2024-01-25 US US18/422,563 patent/US20240243834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266040A1 (en) * | 2011-04-13 | 2012-10-18 | Hamkins Jon | Method of error floor mitigation in low-density parity-check codes |
Also Published 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122614B2 (ja) | 送信方法および送信装置 | |
JP7072542B2 (ja) | 送信方法、受信方法、および、送信装置、受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