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353B1 - 이중오존발생을 위한 방전관 - Google Patents
이중오존발생을 위한 방전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15353B1 KR102415353B1 KR1020200040823A KR20200040823A KR102415353B1 KR 102415353 B1 KR102415353 B1 KR 102415353B1 KR 1020200040823 A KR1020200040823 A KR 1020200040823A KR 20200040823 A KR20200040823 A KR 20200040823A KR 102415353 B1 KR102415353 B1 KR 1024153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e
- electrode tube
- inner electrode
- dielectric
- spac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10—Preparation of ozone
- C01B13/11—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 discharge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1/00—Preparation of ozone by electrical discharge
- C01B2201/10—Dischargers used for production of ozone
- C01B2201/14—Concentric/tubular discharg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xygen, Ozone, And Oxid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이중오존발생을 위한 방전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전관 내부에 두 개의 간극을 형성하여 이중으로 오존을 발생시키는 방전관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관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양측이 개방되는 내측전극관과, 상기 내측전극관의 외부를 따라 설치되는 유전체관과, 상기 내측전극관과 유전체관 사이에 설치되는 제1스페이서와, 상기 유전체관의 외부를 따라 설치되는 외측전극관 및 상기 유전체관과 외측전극관 사이에 설치되는 제2스페이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관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양측이 개방되는 내측전극관과, 상기 내측전극관의 외부를 따라 설치되는 유전체관과, 상기 내측전극관과 유전체관 사이에 설치되는 제1스페이서와, 상기 유전체관의 외부를 따라 설치되는 외측전극관 및 상기 유전체관과 외측전극관 사이에 설치되는 제2스페이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내용은 이중오존발생을 위한 방전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전관 내부에 두 개의 간극을 형성하여 이중으로 오존을 발생시키는 방전관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방전관이란, 전기가 방출되는 현상을 이용한 전기관으로, 전극을 유리관 양끝에 장치하고 관을 낮은 압력의 기체로 채운 후 전류를 방전시키면 채운 기체의 종류에 따라 빛을 방출하게 되는 원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전관의 종류에는 기체방전, 아크방전, 고주파방전 등이 있다.
본 개시내용에 적용되는 오존발생용 방전관은, 정수처리나 폐수처리, 분뇨 및 오수처리 등과 같은 산업상 목적으로 사용되는 오존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접지가 되는 외부전극의 내측에서 내부전극으로 작용하여 외부전극과 내부전극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전원이 인가될 때 내부전극과 외부전극 간에 발생하는 무성방전에 의한 전자로 인해 산소분자 일부가 산소원자로 분해된 후 분해된 산소원자가 분해되지 않는 산소분자와 결합하면서 오존을 발생하게 되는 원리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존발생용 방전관은 일반적으로 내부전극이 되는 원통형의 금속관과, 상기 금속관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금속커버와, 상기 금속관과 금속커버의 외면에 코팅된 유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방전관에 형성된 전극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주변에 기체가 방전됨으로 인하여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열은 오존의 발생비율을 감소시킬뿐만 아니라 기타 장치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방전관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단이 필수적이며, 냉각수와 같은 냉매를 사용하여 냉각시키는 것이 수냉식의 일반적인 방법이다.
상기 수냉식을 이용한 오존발생용 방전관은, 냉각수가 흐르는 금속관 외측에 두 개의 전극을 두고, 두 전극 사이에 세라믹이나 유리와 같은 유전체를 삽입한 후, 전압을 가하게 되면 전극과 유전체 사이 간극에서 방전이 일어나며, 이 간극 사이에 산소를 공급하면 산소분자가 분해되어 다른 산소분자와 결합하면서 오존이 생성되게 된다. 여기서, 전극, 바람직하게는 내측전극에 유전체가 설치된 상태에서 유전체와 외측전극 사이 간극은 오존 방생량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종래 무성방전관의 경우 유전체와 외측전극 사이의 방전을 위한 간극을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스페이서가 존재하며, 방전관 외측에 간극 유지용 돌기가 방전관의 길이방향 및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형성되어 외측전극과의 일정한 간극을 유지하면서 공기유동의 영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간극유지를 위한 돌기는 별도의 가공이 필요하며, 돌기가 형성된 방전관을 조립하는것에 불편함이 있고, 추가적인 제조비용이 들게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방전을 위한 간극은 작업이 용이하며 합선되지 않는 범위, 예를 들어 0.2mm의 범위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간극을 0.2mm로 유지시키기 위한 스페이서를 제작하는 것이 어려우며, 0.2mm사이의 간극을 통해 생성되는 오존의 양이 적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방전관 내부에 오존발생을 위한 간극을 이중으로 구성한 이중오존발생을 위한 방전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관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양측이 개방되는 내측전극관과, 상기 내측전극관의 외부를 따라 설치되는 유전체관과, 상기 내측전극관과 유전체관 사이에 설치되는 제1스페이서와, 상기 유전체관의 외부를 따라 설치되는 외측전극관 및 상기 유전체관과 외측전극관 사이에 설치되는 제2스페이서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스페이서는, 상기 내측전극관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 배치되는 제1나선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나선패드부는 0.2~0.4mm의 두께를 가지며, 내열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스페이서는, 상기 내측전극관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소켓부 및 상기 한 쌍의 소켓부에 연장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외측전극관과 연결되는 간극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소켓부의 외측부에 내측전극관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전원연결부를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소켓부와 전원연결부 사이에 삽입되는 연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소켓부 일단에서 내측전극관을 향해 인입 형성되되, 상기 소켓부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연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간극유지부의 일단은 내측전극관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전체관은 간극유지부의 일단에 접하고, 상기 외측전극관은 상기 간극유지부의 절곡부에 결합되되, 상기 유전체관과 외측전극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간극은 0.2~0.4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소켓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유전체관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 배치되는 제2나선패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나선패드부는 0.2~0.4mm의 두께를 가지며, 내열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 방전관에 비해 이중의 간극으로부터 오존을 생성할 수 있어 오존생성효율이 증대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간극을 두기 위하여 돌기 등을 용접하는 공정없이, 별도의 제1, 제2스페이서라는 구성을 삽입시킴으로써 간극을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내측전극관 내부와 외측전극관 외부로 냉각수를 유동시켜 방열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관의 사시도.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관의 단면도.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관에 있어서, 소켓부의 상세도.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관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관에 있어서, 제2나선패드부가 결합된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관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관의 단면도.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관에 있어서, 소켓부의 상세도.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관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관에 있어서, 제2나선패드부가 결합된 상태의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전관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관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관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양측이 개방되는 내측전극관(10)과, 상기 내측전극관(10)의 외부를 따라 설치되는 유전체관(20)과, 상기 내측전극관(10)과 유전체관(20) 사이에 설치되는 제1스페이서(30)와, 상기 유전체관(20)의 외부를 따라 설치되는 외측전극관(40) 및 상기 유전체관(20)과 외측전극관(40) 사이에 설치되는 제2스페이서(50)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전극관(10)은 그 외측면을 따라 전극, 바람직하게는 내부전극이 될 수 있는 원통형의 금속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측전극관(10)의 양측부는 개방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공간이 형성되어 일측으로부터 냉각수가 유입되고 타측으로 냉각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간을 통해 냉각수가 유동하면서 방전관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켜줄 수 있다. 상기 내측전극관(10)의 외측면을 따라 내부전극이 형성되고, 외부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후술하는 전원연결부에 의해 전달되면서 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내측전극관(10)의 외측면을 따라 유전체관(20)이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전체관(20)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양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내측전극관(10)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되, 그 내경은 상기 내측전극관(10)의 외경과 미세한 차이를 가지거나 거의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측전극관(10)과 유전체관(2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며, 이하 제1간극(s1)이라고 한다. 상기 간극(s1)은 외부로부터 산소(O2)가 유입되어 방전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산소가 방전되어 최종적으로는 오존(O3)으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간극(s1)을 만들어주기 위하여 내측전극관(10)과 유전체관(20)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제1스페이서(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스페이서(30)는, 상기 내측전극관(10)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 배치되는 제1나선패드부(3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나선패드부(31)는 내측전극관(10)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는데, 그 폭에 의하여 제1간극(s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나선패드부(31)는 0.2~0.4mm의 두께를 가지며, 내열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본적으로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키기 위한 간극을 형성함에 있어, 작업이 가능하며 합선되지 않는 범위로 0.2~0.4mm가 적당하므로, 상기 제1나선패드부(31)의 두께를 0.2~0.4mm로 한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나선패드부(31)는 내열성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1간극(s1)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나선패드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관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4는 소켓부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소켓부(51)의 외측부에 내측전극관(10)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전원연결부(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연결부(13)는 방전관으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구성이며, 상기 소켓부(51)와 전원연결부(13) 사이에 삽입되는 연결링부(15)를 더 포함하여 전원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스페이서(50)는, 상기 내측전극관(10)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소켓부(51) 및 상기 한 쌍의 소켓부(51)에 연장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유전체관(20) 및 외측전극관(40)과 연결되는 간극유지부(5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스페이서(50)는 본 개시내용의 방전관에서 두 번째 간극을 만들기 위한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전체관(20)과 외측전극관(40) 사이에 형성되는 제2간극(s2)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스페이서(50)는, 내측전극관(10)의 양단부에서 외측면을 따라 결합되는 한 쌍의 소켓부(51)를 포함한다. 상기 소켓부(51)는 내부에 내측전극관(10)이 관통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며, 소켓부(51)에 형성되는 연통홀(52)을 통해 산소가 유입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소켓부(10) 일단에서 내측전극관(10)을 향해 인입 형성되되, 상기 소켓부(51)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연통홀(5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켓부(10)의 일단 외주면을 따라 하나 이상의 연통홀(52)이 형성되는데, 상기 연통홀(52)은 내측전극관(10) 방향을 향해 인입 형성되어, 이후 연통홀(52)을 통해 산소가 유입되면, 내측전극관(10)과 유전체관(20) 사이의 제1간극(s1)을 통과하면서 방전이 일어나 오존이 생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통홀(52)은 소켓부(51) 외주면 둘레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하나 이상으로 배치됨에 따라, 후술하는 연결링부(15)와 접하는 부분과, 산소가 유입되는 부분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소켓부(51)에 연장 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유전체관(20) 및 외측전극관(40)과 연결되는 간극유지부(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극유지부(53)는 내측전극관(10)과 유전체관(20) 사이에 형성되는 제1간극(s1)에 더하여, 유전체관(20)과 외측전극관(40) 사이에 형성되는 제2간극(s2)을 유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간극유지부(53)는 한 쌍의 소켓부(51)에서 서로를 향해 연장 설치되고, 내부는 유전체관(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간극유지부(53)의 일측은 상기 소켓부(51)와 연결되며, 타측은 외측전극관(4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간극유지부(53)의 타측은 상기 연통부(52)와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홀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간극유지부(53)의 타측 둘레를 따라 배치됨에 따라 그 내부로 산소가 유입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간극유지부(53)의 일단은 내측전극관(10)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54)를 포함하며, 상기 유전체관(20)은 간극유지부(53)의 일단에 접하고, 상기 외측전극관(40)은 상기 간극유지부(53)의 절곡부(54)에 결합되되, 상기 유전체관(20)과 외측전극관(4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곡부(54)는 간극유지부(53)의 일단에서 내측전극관(10)을 향해 내부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54)를 형성하여, 상기 절곡부(54)로 외측전극관(40)이 안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유전체관(20)과 외측전극관(40) 사이에 제2간극(s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간극(s2)으로 산소가 유입되어 방전이 일어나 오존이 생성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간극은 0.2~0.4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전관에서, 방전을 일으키기 위한 간극을 형성함에 있어, 작업이 가능하며 합선되지 않는 범위로 0.2~0.4mm가 적당하므로, 상기 간극,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간극(s2)을 0.2~0.4mm로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간극유지부(53)의 절곡부의 두께가 0.2~0.4mm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2간극(s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소켓부(51)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유전체관(20)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 배치되는 제2나선패드부(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나선패드부(55)는 제1나선패드부(31)과 마찬가지로 0.2~0.4mm의 두께를 가지며, 내열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소켓부(51)의 일단에서부터 연장 설치된다. 상기 제2나선패드부(55)는 상기 제2간극(s2)을 유지하기 위한 절곡부(54)를 대체할 수 있는 구성으로, 간극유지부(53)의 절곡부를 형성하지 않고도, 별도의 패드형상을 나선형으로 연장시킴으로써 간극을 유지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내측전극관
11 : 제1나선패드부
13 : 전원연결부
15 : 연결링부
20 : 유전체관
30 : 제1스페이서
31 : 제1나선패드부
40 : 외측전극관
50 : 제2스페이서
51 : 소켓부
52 : 연통홀
53 : 간극유지부
54 : 절곡부
55 : 제2나선패드부
s1 : 제1간극
s2 : 제2간극
11 : 제1나선패드부
13 : 전원연결부
15 : 연결링부
20 : 유전체관
30 : 제1스페이서
31 : 제1나선패드부
40 : 외측전극관
50 : 제2스페이서
51 : 소켓부
52 : 연통홀
53 : 간극유지부
54 : 절곡부
55 : 제2나선패드부
s1 : 제1간극
s2 : 제2간극
Claims (11)
-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양측이 개방되는 내측전극관;
상기 내측전극관의 외부를 따라 설치되는 유전체관;
상기 내측전극관과 유전체관 사이에 설치되는 제1스페이서;
상기 유전체관의 외부를 따라 설치되는 외측전극관; 및
상기 유전체관과 외측전극관 사이에 설치되는 제2스페이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1스페이서는, 상기 내측전극관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 배치되는 제1나선패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나선패드부는 0.2~0.4mm의 두께를 가지며, 내열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 삭제
- 삭제
- 삭제
-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양측이 개방되는 내측전극관;
상기 내측전극관의 외부를 따라 설치되는 유전체관;
상기 내측전극관과 유전체관 사이에 설치되는 제1스페이서;
상기 유전체관의 외부를 따라 설치되는 외측전극관; 및
상기 유전체관과 외측전극관 사이에 설치되는 제2스페이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2스페이서는,
상기 내측전극관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소켓부 및
상기 한 쌍의 소켓부에 연장 설치되며, 일단이 외측전극관과 연결되는 간극유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켓부의 외측부에 내측전극관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되는 전원연결부를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와 전원연결부 사이에 삽입되는 연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양측이 개방되는 내측전극관;
상기 내측전극관의 외부를 따라 설치되는 유전체관;
상기 내측전극관과 유전체관 사이에 설치되는 제1스페이서;
상기 유전체관의 외부를 따라 설치되는 외측전극관; 및
상기 유전체관과 외측전극관 사이에 설치되는 제2스페이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2스페이서는,
상기 내측전극관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소켓부 및
상기 한 쌍의 소켓부에 연장 설치되며, 일단이 외측전극관과 연결되는 간극유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켓부 일단에서 내측전극관을 향해 인입 형성되되,
상기 소켓부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연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양측이 개방되는 내측전극관;
상기 내측전극관의 외부를 따라 설치되는 유전체관;
상기 내측전극관과 유전체관 사이에 설치되는 제1스페이서;
상기 유전체관의 외부를 따라 설치되는 외측전극관; 및
상기 유전체관과 외측전극관 사이에 설치되는 제2스페이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2스페이서는,
상기 내측전극관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소켓부 및
상기 한 쌍의 소켓부에 연장 설치되며, 일단이 외측전극관과 연결되는 간극유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간극유지부의 일단은 내측전극관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전체관은 간극유지부의 일단에 접하고, 상기 외측전극관은 상기 간극유지부의 절곡부에 결합되되,
상기 유전체관과 외측전극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간극은 0.2~0.4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양측이 개방되는 내측전극관;
상기 내측전극관의 외부를 따라 설치되는 유전체관;
상기 내측전극관과 유전체관 사이에 설치되는 제1스페이서;
상기 유전체관의 외부를 따라 설치되는 외측전극관; 및
상기 유전체관과 외측전극관 사이에 설치되는 제2스페이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2스페이서는,
상기 내측전극관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소켓부 및
상기 한 쌍의 소켓부에 연장 설치되며, 일단이 외측전극관과 연결되는 간극유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소켓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유전체관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 배치되는 제2나선패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나선패드부는 0.2~0.4mm의 두께를 가지며, 내열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0823A KR102415353B1 (ko) | 2020-04-03 | 2020-04-03 | 이중오존발생을 위한 방전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0823A KR102415353B1 (ko) | 2020-04-03 | 2020-04-03 | 이중오존발생을 위한 방전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23559A KR20210123559A (ko) | 2021-10-14 |
KR102415353B1 true KR102415353B1 (ko) | 2022-07-01 |
Family
ID=78151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40823A KR102415353B1 (ko) | 2020-04-03 | 2020-04-03 | 이중오존발생을 위한 방전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1535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65960B1 (ko) * | 2021-10-18 | 2024-05-14 | 오존테크 주식회사 | 간격유지용 지지부재가 내설된 오존발생장치 |
KR102494002B1 (ko) * | 2022-05-20 | 2023-01-31 | 오존테크 주식회사 | 오존발생장치용 전극봉 및 이를 이용한 방전관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344442A (ja) | 2005-06-08 | 2006-12-21 | Hitachi Displays Ltd | 外部電極放電管,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
JP2012206898A (ja) * | 2011-03-30 | 2012-10-25 | Metawater Co Ltd | オゾン発生器 |
JP2013155073A (ja) * | 2012-01-30 | 2013-08-15 | Metawater Co Ltd | オゾン発生電極 |
JP2013252985A (ja) | 2012-06-06 | 2013-12-19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オゾン発生装置 |
JP2014042444A (ja) | 2012-07-25 | 2014-03-06 | Viscas Corp | 振動発電ケーブル、その製造方法、および振動発電体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1566B1 (ko) | 2002-02-23 | 2005-03-08 | 주식회사 세아이엔씨 | 오존 발생용 방전관 및 이를 이용한 오존 발생기 |
-
2020
- 2020-04-03 KR KR1020200040823A patent/KR10241535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344442A (ja) | 2005-06-08 | 2006-12-21 | Hitachi Displays Ltd | 外部電極放電管,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
JP2012206898A (ja) * | 2011-03-30 | 2012-10-25 | Metawater Co Ltd | オゾン発生器 |
JP2013155073A (ja) * | 2012-01-30 | 2013-08-15 | Metawater Co Ltd | オゾン発生電極 |
JP2013252985A (ja) | 2012-06-06 | 2013-12-19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オゾン発生装置 |
JP2014042444A (ja) | 2012-07-25 | 2014-03-06 | Viscas Corp | 振動発電ケーブル、その製造方法、および振動発電体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23559A (ko) | 2021-10-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260631B2 (ja) | 誘電体バリア放電ランプ | |
KR102415353B1 (ko) | 이중오존발생을 위한 방전관 | |
JP5027672B2 (ja) | 誘電バリア放電ランプのためのランプホルダ | |
KR102014892B1 (ko) | 수처리장치 등에 사용되는 플라즈마 발생장치 | |
US12080542B2 (en) | Light irradiation device | |
KR102472927B1 (ko) | 오존 발생기 유닛 및 시스템 | |
JP7020785B2 (ja) | オゾン発生器 | |
JP2004522284A (ja) | ガス放電ランプ | |
KR20200038574A (ko) | 이중 유전체관 구조를 가지는 플라즈마 발생장치 | |
CN109314038B (zh) | 具有汞齐沉积物的uv低压汞灯 | |
JP2014078460A (ja) | エキシマランプ | |
JP2002255514A (ja) | オゾン発生装置 | |
KR101582315B1 (ko) | 오존 발생기 | |
RU2559806C1 (ru) | Источник излучения | |
JP2014015376A (ja) | オゾナイザ | |
JP2005116242A (ja) | エキシマランプ | |
JP2005135863A (ja) | 誘電体バリア放電ランプおよび光照射装置 | |
JP3677525B2 (ja) | 無電極放電ランプ装置 | |
TWI548588B (zh) | 臭氧產生裝置 | |
JP6411120B2 (ja) | レーザ装置 | |
KR101211861B1 (ko) | 오존발생장치 | |
JP5640966B2 (ja) | エキシマランプ | |
JP5072817B2 (ja) | オゾン発生装置 | |
US20050214183A1 (en) | Heat sink and ozone generator arrangement | |
JP2014032911A (ja) | エキシマラン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