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240B1 - 만두형 어묵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만두형 어묵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240B1
KR102415240B1 KR1020210020275A KR20210020275A KR102415240B1 KR 102415240 B1 KR102415240 B1 KR 102415240B1 KR 1020210020275 A KR1020210020275 A KR 1020210020275A KR 20210020275 A KR20210020275 A KR 20210020275A KR 102415240 B1 KR102415240 B1 KR 102415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cake
hopper
stirrer
dough
dum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현
Original Assignee
이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현 filed Critical 이정현
Priority to KR1020210020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2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두형 어묵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만두형 어묵 제조 장치는 어묵피 반죽을 주입되는 제1 호퍼, 제1 호퍼 상에서 상기 어묵피 반죽을 교반하는 제1 교반기와 제1 교반기에 의해 교반된 상기 어묵피 반죽을 이송하는 제1 스크루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만두형 어묵 제조 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dumpling type fish cake}
본 발명은 만두형 어묵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만두형 어묵 제조시 만두소와 결합되는 어묵피 반죽을 기반으로 생성된 어묵피가 터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만두형 어묵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묵은 신선한 어육을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전분을 혼합하고 마늘, 계란, 소금 및 기타의 조미료를 첨가하여 성형하므로서 제조되어진다. 즉, 순수어육을 전중량의 80% 이상으로 하고, 전분을 10% 미만으로 하며 기타 성분들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련시키고 성형함과 동시에 170 내지 180도의 고온으로 유탕 처리하여 고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자외선 살균기로 살균 처리하여 밀봉 포장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형태의 어묵에 별도의 향미 성분이나 영양소 재료가 첨가되어 어묵의 풍미를 향상시키고, 어묵에서 부족한 영양 성분의 보충이 이루어지도록 한 어묵 제품이 선보이고 있다. 그 일예로서 어묵 배합물의 배합단계 또는 반죽단계에서 파, 양파 또는 당근등의 양념류를 잘게 썰어서 첨가하므로서 유탕 처리에 의해서 성형이 완료된 어묵제품의 내부에 이들 양념류 입자가 포함되도록 한 형태의 어묵을 들 수 있다.
최근에는 어묵 제품의 수요자의 입맛이 다양화되고 기존의 어묵이 지니고 있는 전통적인 맛에 입맛을 잃어감과 아울러 어묵과 유사한 조직감을 갖는 타 식품류의 종류가 점차 늘어남에 따라 새로운 조직감을 나타내면서 맛에 있어서도 종래와는 다른 맛을 내는 새로운 형태의 어묵 제품의 출현이 요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어묵 제품의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만두피를 어묵으로 한 제품도 출시되고 있고, 이러한 어묵피를 기반으로 만두형 어묵을 생산시 기존의 밀가루 만두피를 사용한 만두와는 차별적인 제조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묵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균일하고 어묵의 입자감을 살린 어묵피를 위한 어묵피 반죽에 대한 교번을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만두형 어묵을 제조시 어묵피와 만두소 간의 결합 이후 어묵피와 만두소 간의 분리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만두형 어묵 제조 장치는 어묵피 반죽을 주입되는 제1 호퍼, 상기 제1 호퍼 상에서 상기 어묵피 반죽을 교반하는 제1 교반기와 상기 제1 교반기에 의해 교반된 상기 어묵피 반죽을 이송하는 제1 스크루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호퍼는 제1 상부 호퍼 및 제1 하부 호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부 호퍼와 상기 제1 하부 호퍼 각각의 공간은 상기 어묵피 반죽의 교반 과정에 따라 분리 및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교반기는 상기 제1 상부 호퍼에 위치한 제1 상부 교반기1, 제1 상부 교반기2, 제1 상부 교반기3와 상기 제2 하부 호퍼에 위치한 제1 교반날과 제2 교반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상부 교반기2는 상기 제1 상부 호퍼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상부 교반기1 및 상기 제1 상부 교반기3은 상기 제1 상부 교반기2를 중심으로 상기 제1 상부 호퍼의 주변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상부 교반기2는 상기 어묵피 반죽을 상기 제1 상부 호퍼의 상부에서 상기 제1 상부 호퍼의 하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 상부 교반기1 및 상기 제1 상부 교반기3은 상기 어묵피 반죽을 상기 제1 상부 호퍼의 하부에서 상기 제1 상부 호퍼의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상부 교반기1 및 상기 제1 상부 교반기3는 연결축을 기반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축은 제1 하위 연결축과 제2 하위 연결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부 교반기1은 상기 제1 하위 연결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상부 교반기2는 상기 제2 하위 연결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1 하위 연결축과 상기 제2 하위 연결축 간의 각도는 교반 각도로서 만두형 어묵의 어묵피 입도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묵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균일하고 어묵의 입자감을 살린 어묵피를 위한 어묵피 반죽에 대한 교번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만두형 어묵을 제조시 어묵피와 만두소 간의 결합 이후 어묵피와 만두소 간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따른 만두형 어묵의 제조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형 어묵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형 어묵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형 어묵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묵피 반죽의 특성에 따른 교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 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따른 만두형 어묵의 제조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만두형 어묵 제조 장치(100)는 제1 호퍼(110)와, 제1 스크루컨베이어(120)와 제2 호퍼(130)와 제2 스크루컨베이어(140)와 절단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호퍼(110)는 어묵피 반죽이 투입되어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1 교반기(111)가 설치된다. 도 1에서는 제1 교반기(111)의 간단한 개념을 나타낸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어묵피 반죽을 보다 균일하게 하고 어묵 입자의 특성을 살리기 위한 보다 구체적인 제1 교반기(111)의 구조가 개시된다.
제1 호퍼(110)의 하단부는 제1 스크루컨베이어(120)와 연통될 수 있다. 제1 스크루컨베이어(120)는 제1 호퍼(110) 내의 어묵피 반죽을 이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하우징(121)과 스크루축과 스크루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21)의 일단은 제1호퍼(110)의 하단부와 연통되고, 타단에는 제1플랜지가 형성되며 내부에 스크루축이 삽입된다. 스크루축은 하우징(121)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외면에 나선 형상의 스크루가 형성된다.
스크루는 회전하면서 제1 호퍼(110) 내의 어묵피 반죽을 이송하게 된다. 제2 호퍼(130)는 만두소가 투입되어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2교반기(131)가 설치된다. 도 1에서는 제2 교반기(131)의 간단한 개념을 나타낸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보다 구체적인 제2 교반기(131)의 구조가 개시된다.
제2스크루컨베이어(140)는 상기 제2호퍼(130) 내의 만두소 및 상기 제1스크루컨베이어에 의해 공급되는 어묵피 반죽을 이송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형 어묵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호퍼 상에서 어묵피 반죽을 보다 균일하게 하기 위한 제1 호퍼 상의 제1 교반기의 동작이 개시된다.
어묵피 반죽은 기존에 만두피를 형성하던 밀가루 반죽과 서로 다른 입자의 크기 및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어묵피 반죽을 형성하는 어묵의 질감과 입도를 최대한 살리기 위해 어묵피 반죽을 교반하는 제1 호퍼의 교반 동작은 기존의 밀가루 반죽을 교반하는 것과 다르게 수행될 수 있다.
제1 호퍼는 제1 상부 호퍼(210)와 제1 하부 호퍼(220)로 분할될 수 있고, 제1 상부 호퍼(210) 상에 서로 다른 복수의 교반기(제1 상부 교반기1(260), 제1 상부 교반기2(250), 제1 상부 교반기3(270) 등)가 서로 다른 위치에 서로 다른 각도로 설치되어 교반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 하부 호퍼(220) 상에는 후술할 제1 교반날(225) 및 제2 교반날(265)이 설치되어 최종적으로 교반된 어묵피 반죽을 제1 스큐류 컨베이어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상부 호퍼(210) 상에 서로 다른 복수의 교반기는 제1 상부 교반기1(260), 제1 상부 교반기2(250), 제1 상부 교반기3(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 교반기1(260), 제1 상부 교반기2(250), 제1 상부 교반기3(270)는 제1 상부 호퍼(210)에서 어묵피 반죽에 대한 교반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상부 교반기1(260) 및 제1 상부 교반기3(270)은 제1 상부 호퍼(210)의 주변부에서 회전을 진행하면서 어묵피 반죽에 대한 교반을 수행하고, 제1 상부 교반기2(250)는 제1 상부 호퍼(210)의 중심부에서 회전을 진행하면서 어묵피 반죽에 대한 교반을 수행할 수 있다.
우선 제1 상부 교반기2(250)는 스크류 타입으로 구현되어 제1 상부 호퍼(210)의 상부에 있는 어묵피 반죽을 제1 상부 호퍼(210)의 하부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상부 교반기2(250)는 스크류 동작을 통해 제1 상부 호퍼(210)에 존재하는 어묵피 반죽을 제2 하부 호퍼(220)로 이동시키기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상부 교반기2(250)의 스크류날은 제1 상부 호퍼(210)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길어지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길이 변화를 통해 제1 상부 호퍼(210)의 하부로 이동하는 어묵피 반죽이 상대적으로 압착될 수 있다. 이는 제1 상부 교반기1(260) 및 제1 상부 교반기3(270)의 교반 동작 및 스큐류날의 이동 범위를 기반으로 제1 상부 교반기1(260) 및 제1 상부 교반기3(270)의 스크류날과 접촉되지 않도록 제1 상부 교반기2(250)의 스크류날의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제1 상부 교반기1(260) 및 제1 상부 교반기3(270)은 제1 상부 교반기2(250)를 중심으로 제1 상부 호퍼(210)의 주변을 회전하면서 어묵피 반죽을 교반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상부 교반기1(260)과 제1 상부 교반기3(270)은 하나의 연결 축에 연결되어 특정 교반 각도를 형성하여 제1 상부 호퍼(210) 상에서 회전하면서 교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연결축은 제1 상부 교반기1(260)이 연결된 제1 하위 연결축(265)과 제1 상부 교반기3(270)이 연결된 제2 하위 연결축(27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위 연결축(265)과 제2 하위 연결축(275)의 각도를 조절하여 교반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제1 상부 교반기1(260)과 제1 상부 교반기3(270) 간의 교반 각도(290)는 최대 180도이고 최소로는 제1 상부 교반기1(260)과 제1 상부 교반기3(270) 간의 스크류날이 서로 접촉하지 않는 각도로 줄어들 수 있다. 교반 각도(290)가 최소 각도 이하로 줄어들지 않도록 제1 하위 연결축(265)과 제2 하위 연결축(275) 사이의 각도 제한 구조가 추가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교반 각도(290)는 교반 시간, 제조하려는 어묵피 반죽의 밀도, 어묵피의 두께 등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상부 교반기1(260) 및 제1 상부 교반기3(270)의 스큐류날은 제1 상부 교반기2(250)의 스큐류날과 반대로 하부의 어묵피 반죽을 상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하부 호퍼(220) 상으로 어묵피 반죽을 이동시키기 이전에 제1 상부 교반기1(260) 및 제1 상부 교반기3(270)의 스큐류날을 기반으로 어묵피 반죽이 제1 상부 호퍼(210)의 하부에서 제1 상부 호퍼(210)의 상부로 이동되고, 제1 상부 교반기2(250)는 상부의 어묵피 반죽으로 제1 상부 호퍼(210)의 상부에서 제1 상부 호퍼(210)의 하부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상하로 어묵피 반죽이 계속적으로 상하로 혼합될 수 있다.
제1 상부 호퍼(210)와 제1 하부 호퍼(220)는 공간적으로 분리될 수 있고, 제1 상부 호퍼(210) 상에서 교반 동작이 일정 정도 수행 이후 제1 상부 호퍼(210)와 제1 하부 호퍼(220)의 공간이 연결되어 제1 하부 호퍼(220) 상으로 어묵피 반죽이 전달될 수 있다.
제1 상부 호퍼(210)와 제1 하부 호퍼(220) 공간 간의 연결되는 시점은 어묵피에 포함되는 어묵 입자의 입도의 정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어묵 입자의 입도가 상대적으로 커야할수록 제1 상부 호퍼(210)와 제1 하부 호퍼(220) 공간 간의 연결되는 시점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결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형 어묵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제1 호퍼 중 제1 하부 호퍼 상에서 교반 동작이 개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하부 호퍼 상에서 최종적으로 교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제1 하부 호퍼 상에 설치된 제1 하부 교반기는 복수개의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의 날을 사용하여 제1 상부 호퍼에서 전달되는 어묵피 반죽을 교반할 수 있다.
제1 교반날(310)은 제1 상부 호퍼에서 제1 하부 호퍼 상으로 전달되는 어묵피 반죽을 전체적으로 교반을 하면서 제2 교반날(320) 쪽으로 전달할 수 있고, 제1교반날(310)과 제2 교반날(320) 사이에 들어온 어묵피 반죽은 제1교반날(310)과 제2 교반날(320) 사이에서 일부 압축될 수 있다.
제1 교반날(310)을 통과하는 어묵피 반죽의 양이 제2 교반날(320)을 통과하는 어묵피 반죽의 양보다 많은 경우, 제1 교반날(310)을 통과하는 어묵피 반죽으로 인한 압력으로 인해 1차적으로 압착된 형태의 어묵피 반죽이 제2 교반날(320)을 통과할 수 있다.
제1 하부 호퍼 상에서 어묵피 반죽의 압축을 위해 제1 교반날(310)의 회전 속도는 제2 교반날(320)의 회전 속도보다 빠르게 설정될 수 있고, 이러한 회전 속도의 차이를 기반으로 제1 교반날(310)을 통과하는 어묵피 반죽으로 인한 압력으로 인해 1차적으로 압착된 형태의 어묵피 반죽이 제2 교반날(320)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제1 교반날(310)에 포함된 날과 날 사이의 면적보다 제2 교반날(320)에 포함된 날과 날 사이의 면적을 더 넓게 함으로써 제1 교반날(310)을 통과하는 어묵피 반죽으로 인한 압력으로 인해 1차적으로 압착된 형태의 어묵피 반죽이 제2 교반날(320)을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교반날(320)을 통과한 어묵피 반죽은 제1 스크류 컨베이어(35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형 어묵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제1 하부 호퍼로부터 어묵피 반죽을 받아서 전달하는 제1 스큐류 컨베이어 상의 전달 동작이 개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스큐류 컨베이어 상에서는 제1 하부 호퍼 상의 어묵피 반죽을 제1 스큐류 동작을 기반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스큐류 컨베이어 상에서는 어묵피 반죽의 압착을 위해서 1차 테이퍼링 구조(410) 기반의 1차 테이퍼링 동작 및 2차 테이퍼링 구조(410) 기반의 2차 테이퍼링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1차 테이퍼링 동작은 제1 스큐류 컨베이어 상의 스큐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1차 테이퍼링을 수행하기 위해 제1 스큐류 컨베이어 상의 스큐류는 전달 방향으로 갈수록 날이 작아지는 스크류 구조를 가지게 되고, 뒤에서 전달되는 양이 앞으로 전달하는 양보다 많게 되면서 어묵피 반죽의 압착이 추가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2차 테이퍼링 동작은 스크류의 말단에 위치하여 최종적으로 추출되는 어묵피 반죽이 나오는 홀 구조를 테이퍼링 구조로 형성하여 추가적으로 어묵피 반죽이 압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묵피 반죽의 특성에 따른 교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서는 어묵피 반죽의 특성을 고려하여 교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어묵피 반죽은 만두형 어묵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생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묵피 반죽은 피를 형성하는 어묵의 입자의 입도에 따라 서로 다른 교반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만두형 어묵의 제조 장치는 피에 포함되는 어묵의 입도를 고려하여 제1 상부 호퍼 상에서의 제1 상부 교반기1(510), 제1 상부 교반기2(520), 제1 상부 교반기3(530)의 동작, 제1 하부 교반기의 제1 교반날(550), 제2 교반날(560)의 동작 및 제1 스큐류 컨베이어(570) 상의 스큐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우선 어묵의 입도를 상대적으로 크게 하기 위해서 아래와 같은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1-a) 제1 상부 교반기1(510), 제1 상부 교반기2(520), 제1 상부 교반기3(530)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낮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상부 교반기1(510)과 제1 상부 교반기3(530) 간의 교반 각도가 상대적으로 크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어묵피 반죽이 압착되지 않고, 날로 인해 입도가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a) 또한, 제1 하부 교반기의 제1 교반날(550), 제2 교반날(560)의 동작에 있어서, 제1 교반날(550)의 속도를 낮추고, 제2 교반날(560)의 속도를 상대적으로 높여 제1 교반날(550)과 제2 교반날(560) 사이에서 어묵피 반죽이 압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3-a) 또한, 제1 스큐류 컨베이어(570) 상의 스큐류의 동작 속도를 상대적으로 낮추어 어묵피 반죽이 압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어묵의 입도를 상대적으로 작게 하기 위해서 전술한 동작의 반대로 아래와 같은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1-b) 제1 상부 교반기1(510), 제1 상부 교반기2(520), 제1 상부 교반기3(530)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높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상부 교반기1(510)과 제1 상부 교반기3(530) 간의 교반 각도가 상대적으로 작도록 설정할 수 있다.
(2-b) 또한, 제1 하부 교반기의 제1 교반날(550), 제2 교반날(560)의 동작에 있어서, 제1 교반날(550)의 속도를 높이고, 제2 교반날(560)의 속도를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다.
(3-b) 또한, 제1 스큐류 컨베이어(570) 상의 스큐류의 동작 속도를 상대적으로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 설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두형 어묵의 제조 장치는 다양한 어묵 입도를 가지는 어묵피에 대한 생산이 가능하다.
이뿐만 아니라, 어묵피 상의 어묵 입도에 따라 제1 상부 호퍼와 제1 하부 호퍼 간의 연결 시간도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묵 입도가 상대적으로 커져야 할수록 제1 상부 호퍼와 제1 하부 호퍼를 상대적으로 빠르게 연결하여 제1 상부 호퍼 상에서 계속적인 혼합 동작으로 인해 어묵 입도가 작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어묵 입도가 상대적으로 작아져야 할수록 제1 상부 호퍼와 제1 하부 호퍼를 상대적으로 느리게 연결하여 제1 상부 호퍼 상에서 계속적인 혼합 동작으로 인해 어묵 입도가 상대적으로 작아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에서는 절단부가 만두속을 포함하는 어묵피에 대한 절단을 수행시 절단부가 절단을 수행하도, 절단 이후, 만두속이 어묵피 외부로 나오지 않게 하기 위한 동작이 개시된다.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절단부(150)는 제2 스크루컨베이어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공급된 어묵피 반죽과 만두소를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절단부(650)는 상부 플레이트(651), 하부 플레이트(653) 및 절단부재(65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651) 및 하부 플레이트(653)는 각각 내공간부 및 외공간부와 연통되는 상부 홀 및 하부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절단부재(655)는 상부 플레이트(651) 및 하부 플레이트(653) 사이에 설치되어 어묵피 반죽과 만두소를 커팅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복수개의 절단부재(655)는 각각 외측 단부가 상기 플레이트의 테두리 영역에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 회전핀(656)에 결합한 상태에서, 내측 단부가 회전하여 홀의 중앙으로 모이면서 만두소(a) 및 어묵피 (b)를 커팅하게 된다.
복수개의 절단 부재(655)는 카메라의 조리개가 닫히고 열리는 것과 동일 내지 유사한 동작을 통해 중앙에서 하강하는 어묵피 반죽과 만두소를 커팅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절단 부재(655)는 절단을 하되, 어묵피 간에 뭉쳐서 결합이 되어야 하는 위치에서 어묵피 반죽의 결합이 보다 단단하게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절단 부재(655)의 각도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제1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여 결합부의 반죽이 결합될 수 있다. 절단 부재(655)의 절단 각도는 회전축(656)의 움직임에 따라 상대적으로 커지면서 어묵피 반죽과 만두소에 대한 커팅이 수행될 수 있다.
우선, 절단 부재(655)의 날의 회전핀에서 멀어질수록 날의 폭이 상대적으로 두꺼워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날의 폭이 회전핀에서 홀 방향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경우, 홀 방향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많은 어묵피 반죽이 밀려남아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단 부재(655)의 말단 구조(600)는 모인 어묵피 반죽이 보다 단단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말단 구조(600)를 가질 수 있다. 말단 구조(600)는 절단 부재(655)의 내부 길이 방향으로 파인 호 구조일 수 있고, 날보다 제1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절단 부재(655)가 회전하여 복수의 호 구조가 만나는 경우, 홀 구조(610)가 형성될 수 있고, 홀 구조(610)는 만두피 역할을 하는 어묵피를 뭉쳐서 결합하여 만두속을 감싸는 어묵피가 터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홀 구조(610)는 반원 구조일 수 있다.
즉, 복수의 절단 부재가 하부 플레이트(653)의 중심으로 모여 이웃하는 절단 부재(655)와 접하는 경우, 각 절단 부재(655)의 내측 단면들은 서로 접하지 않고 각 내측 단면들 사이에 홀 구조가 형성된다. 이러한 홀 구조(610)는 절단 부재(655)의 말단 구조(600)로 인해 어묵피가 만나서 만두속을 감싸는 위치에 어묵피 반죽이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만두속이 어묵피 밖으로 터지는 것을 반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단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에서는 절단 부재의 회전에 따른 움직임이 개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절단 부재(700)가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시 절단 부재(700)가 회전에 따라 수평면을 기준으로 제1 방향으로 하단으로 움직이면서 절단을 수행할 수 있다.
회전축을 기준으로 절단 부재(700)가 움직이는 경우, 수평면을 기준으로 한 절단 부재(700)의 절단 각도는 회전축의 움직임에 따라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다. 절단 각도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한 움직임에 따라 절단 부재(700)가 제1 방향으로 수평면을 기준으로 하단으로 움직이는 각도일 수 있다.
회전축을 기준으로 한 절단 부재(700)의 움직임에 따라 절단 각도가 상대적으로 커지는 경우, 홀 부분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어묵 반죽 피의 두께가 두꺼워지면서 어묵피 반죽이 보다 단단하게 결합되어 어묵피와 만두소 간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싱에 따르면, 회전축을 기준으로 한 절단 부재(700)의 절단 각도는 만두피를 형성하는 어묵피의 속성에 따라 다르게 조정될 수 있다.
어묵피 반죽의 점성이 상대적으로 낮을수록 어묵피 반죽이 터질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따라서 어묵피 반죽의 점성이 상대적으로 낮을수록 절단 부재(700)의 절단 각도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어 어묵피 반죽이 터질 수 있는 가능성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만두형 어묵 제조 장치는,
    어묵피 반죽이 주입되는 제1 호퍼;
    상기 제1 호퍼 상에서 상기 어묵피 반죽을 교반하는 제1 교반기; 및
    상기 제1 교반기에 의해 교반된 상기 어묵피 반죽을 이송하는 제1 스크루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호퍼는 제1 상부 호퍼 및 제1 하부 호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부 호퍼와 상기 제1 하부 호퍼 각각의 공간은 상기 어묵피 반죽의 교반 과정에 따라 분리 및 연결되고,
    상기 제1 교반기는 상기 제1 상부 호퍼에 위치한 제1 상부 교반기1, 제1 상부 교반기2, 제1 상부 교반기3와 제2 하부 호퍼에 위치한 제1 교반날과 제2 교반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부 교반기2는 상기 제1 상부 호퍼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상부 교반기1 및 상기 제1 상부 교반기3은 상기 제1 상부 교반기2를 중심으로 상기 제1 상부 호퍼의 주변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상부 교반기2는 상기 어묵피 반죽을 상기 제1 상부 호퍼의 상부에서 상기 제1 상부 호퍼의 하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 상부 교반기1 및 상기 제1 상부 교반기3은 상기 어묵피 반죽을 상기 제1 상부 호퍼의 하부에서 상기 제1 상부 호퍼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형 어묵 제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교반기1 및 상기 제1 상부 교반기3는 연결축을 기반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축은 제1 하위 연결축과 제2 하위 연결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부 교반기1은 상기 제1 하위 연결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상부 교반기2는 상기 제2 하위 연결축과 연결되고,
    상기 제1 하위 연결축과 상기 제2 하위 연결축 간의 각도는 교반 각도로서 만두형 어묵의 어묵피 입도에 따라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형 어묵 제조 장치.
KR1020210020275A 2021-02-16 2021-02-16 만두형 어묵 제조 장치 KR102415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275A KR102415240B1 (ko) 2021-02-16 2021-02-16 만두형 어묵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275A KR102415240B1 (ko) 2021-02-16 2021-02-16 만두형 어묵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5240B1 true KR102415240B1 (ko) 2022-06-30

Family

ID=82215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275A KR102415240B1 (ko) 2021-02-16 2021-02-16 만두형 어묵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2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166A (ja) * 2000-08-31 2002-03-05 Shin Nippon Kikai Kogyo Kk 菓子生地の絞り装置
JP2004524131A (ja) * 2000-01-31 2004-08-12 テトラ ラバル ホールデイングス エ フイナンス ソシエテ アノニム 混合方法と装置
KR20150118421A (ko) * 2014-04-14 2015-10-22 (주)해뜨는식품 만두형어묵의 제조장치
CN211462980U (zh) * 2019-10-10 2020-09-11 天津市华之龙生物质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生物质锅炉的混合进料搅拌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4131A (ja) * 2000-01-31 2004-08-12 テトラ ラバル ホールデイングス エ フイナンス ソシエテ アノニム 混合方法と装置
JP2002065166A (ja) * 2000-08-31 2002-03-05 Shin Nippon Kikai Kogyo Kk 菓子生地の絞り装置
KR20150118421A (ko) * 2014-04-14 2015-10-22 (주)해뜨는식품 만두형어묵의 제조장치
CN211462980U (zh) * 2019-10-10 2020-09-11 天津市华之龙生物质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生物质锅炉的混合进料搅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77472B (zh) 面包粉、面包粉混合物及摇出用面包粉类的容纳体
US5296247A (en) Method of making pre-cooked filled pasta products by co-extrusion
US5216946A (en) Precooked filled pasta products made by co-extrusion
KR102302305B1 (ko) 만두형 어묵 제조 방법
KR102415240B1 (ko) 만두형 어묵 제조 장치
JPS62151160A (ja) 水産ねり製品の製造法
US10457804B2 (en) Sandwich and method for forming
JP4893924B2 (ja) 混捏製品の製造装置、製造方法、混捏製品および加工品
KR101671415B1 (ko) 만두형 어묵의 제조방법
KR100529831B1 (ko) 원형만두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1671412B1 (ko) 만두형어묵의 제조장치
KR102009525B1 (ko) 어육 제조 장치
WO2013138581A1 (en) Multi-layered food product and method for forming
JP2009050277A (ja) 具にバターと味噌とを含む饅頭並びに饅頭の具の分離防止方法
KR100512923B1 (ko) 연육을 이용한 만두 및 그 제조방법
KR100841734B1 (ko) 떡볶이 전용 떡 성형장치
KR20110090562A (ko) 칼라 뻥튀기의 제조방법
US10537111B2 (en) Multi-layered food product and method for forming
AU677655B2 (en) Precooked filled pasta products made by co-extrusion
US20030044510A1 (en) Meat patty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CN115884681B (zh) 含有粒状物的组合食品的成形方法
SK3302001A3 (en) Extrusion die for making snack foods with two or more filled axial hollows
JPS60192549A (ja) えびせんべいの製造法
JP2902547B2 (ja) 成形挽肉加工食品の製造法
CN1455645A (zh) 球状加工食品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