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799B1 - 해조류 가공국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해조류 가공국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799B1
KR102414799B1 KR1020220010450A KR20220010450A KR102414799B1 KR 102414799 B1 KR102414799 B1 KR 102414799B1 KR 1020220010450 A KR1020220010450 A KR 1020220010450A KR 20220010450 A KR20220010450 A KR 20220010450A KR 102414799 B1 KR102414799 B1 KR 102414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odles
seaweed
coagulation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0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청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청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청정
Priority to KR1020220010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7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6Extrus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조류를 가공하여 국수를 제조하는 장치에서 세정·파쇄·교반 및 농축 공정을 통해 페이스트 상태로 공급되어 압출 성형장치에서 면을 길게 압출 성형하여 응고수가 흐르는 'ㄹ'자 또는 '나선형'의 응고장치에서 응고되도록 하여, 압출 성형되는 면이 떡처럼 서로 엉켜 붙지 않고 응고라인을 통해 최상으로 응고되도록 하며, 응고된 국수가락에 남아 있는 응고수를 세척하여 해조류 국수를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한 해조류 가공국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해조류의 염분을 세정하고, 세정된 해조류를 분쇄 후 분쇄된 해조류를 교반 및 농축시켜 페이스트로 형성하며, 해조류 페이스트를 압출 성형 후 응고수에 침지 및 응고시켜 국수를 제조하는 해조류 가공국수 제조장치에 있어서, 교반 및 농축된 해조류 페이스트를 국수가락으로 압출 성형하는 압출성형장치(40)와: 상기 압출성형장치(40)에서 압출 성형된 국수가락을 응고시키기 위한 응고장치(50)와: 상기 응고장치(50)에서 응고되어 이송된 국수가락에 남아 있는 응고수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장치(60)와: 상기 세척장치(60)에서 세척되어 이송된 국수가락을 제품별 포장 크기로 커팅하기 위한 면 커팅장치(7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해조류 가공국수 제조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of Seaweed Processed Noodle}
본 발명은 해조류 가공국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조류를 가공하여 국수를 제조하는 장치에서 세정·파쇄·교반 및 농축 공정을 통해 페이스트 상태로 공급되어 압출 성형장치에서 면을 길게 압출 성형하여 응고수가 흐르는 'ㄹ'자 또는 '나선형'의 응고장치에서 응고되도록 하여, 압출 성형되는 면이 떡처럼 서로 엉켜 붙지 않고 응고라인을 통해 최상으로 응고되도록 하며, 응고된 국수가락에 남아 있는 응고수를 세척하여 해조류 국수를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한 해조류 가공국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조류(seaweed)는 예로부터 식용·사료·비료 및 해조 공업원료 등으로 많이 이용하여 왔으며, 그 종류가 다양하여 자원량도 풍부하고, 인공양식 방법의 발달로 생산량도 증대하였다. 최근에는 현대인의 식생활에 부응하는 건강식품으로 인정을 받으면서 소비량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식량자원으로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해조류에는 비타민 B, C 및 나이아신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무기질은 특히 갈조류에 함량이 많아서 미역·다시마·톳 등은 무기질의 좋은 공급원이 된다. 또한 해조류에는 비타민이나 무기질 이외에 고등동물이 섭취하였을 때 생리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타우린·고도불포화 지방산·알긴산·후코이단·라미나란 및 식이섬유 등 다양한 기능성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최근들어 해조류는 비타민과 무기질 및 생리활성 물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건강기능성 효과가 밝혀지고 있으나, 생물 상태로는 유통이 매우 취약하여 주로 가공식품(processed food)으로 이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해조류를 이용한 면의 제조를 위해 미역·감태·다시마·톳·모자반 등을 알칼리 용액으로 세척 처리하고, 이어 고형분이 없어질 때까지 믹서 처리하고 얻어진 액상물을 농축한 다음 농축물을 노즐을 통해 염화칼슘 용액 중에 압출해 응고시키고, 이 응고물을 알긴산 용액으로 중화시켜 해조 면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즉 종래의 해조류를 가공한 국수 제조 공정에 의하면, 해조류의 염분을 세척하고 열풍 건조하는 탈염 세정 및 건조단계, 건조된 해조류를 분말 상태로 분쇄하는 분쇄단계, 분쇄된 해조류 분말을 교반 및 용해시켜 페이스트로 형성하는 페이스트 제조단계, 해조류 페이스트를 국수가락으로 압출 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 성형된 국수를 응고제에 침지시켜 응고시키는 응고단계, 응고된 국수가락을 담아 포장한 다음 살균하는 살균처리 단계의 공정 등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해조류 가공 공정을 통해 면 형태로 압출성형되는 국수가락을 응고시킬 때, 가공 공정에서의 응고를 위한 장치는 면 형태로 압출 성형되는 국수가락을 압출장치 하단에 위치되어 응고수가 담겨진 통 속에 자유 낙하되도록 하고, 낙하되는 국수가락을 일정 길이로 커팅하게 되는데, 낙하되는 국수가락이 같은 위치에 계속해서 낙하됨에 따라 응고수에서 응고되는 과정에서 국수가락끼리 서로 엉켜붙어 떡처럼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응고수를 이용하여 국수가락을 응고시킨 후 국수가락에 남아 있는 응고수의 세척을 위한 세척장치가 마련되지 않아 수작업으로 일일이 세척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해조류 가공국수를 압출성형단계를 통해 응고할 때 압출되는 국수가 락을 길게 압출 성형토록 하고, 길게 압출 성형되는 국수가락이 응고되는 과정에서 서로 엉켜붙는 현상을 방지하며, 국수가락에 남아 있는 응고수를 용이하게 세척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331501호(2013. 11. 13.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해조류를 가공하여 국수를 제조하는 장치에서 세정·파쇄·교반 및 농축 공정을 통해 페이스트 상태로 공급되어 압출성형장치에서 압출 성형되는 면을 응고수가 흐르는 응고장치에서 응고되도록 하여 압출 성형되는 면이 떡처럼 서로 엉켜 붙지 않고, 응고라인을 통해 최상으로 응고되도록 하는 해조류 가공국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출 성형되는 면을 흐르는 응고수를 통해 응고시키기 위하여 응고라인을 'ㄹ'자 또는 '나선형'으로 형성하여 응고장치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여 가공국수 제조장치 전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해조류 가공국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응고라인을 통해 응고된 국수가락을 세척장치의 세척라인를 타고 흐르도록 함과 동시에 세척라인 상부의 세척수 공급관의 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통해 세척되도록 하여 국수가락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한 해조류 가공국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해조류의 염분을 세정하고, 세정된 해조류를 분쇄 후 분쇄된 해조류를 교반 및 용해시켜 페이스트로 형성하며, 해조류 페이스트를 압출 성형 후 응고수에 침지 및 응고시켜 국수를 제조하는 해조류 가공국수 제조장치에 있어서,
교반 및 농축된 해조류 페이스트를 국수가락으로 압출 성형하는 압출성형장치와: 상기 압출성형장치에서 압출 성형된 국수가락을 응고시키기 위한 응고장치와: 상기 응고장치에서 응고되어 이송된 국수가락에 남아 있는 응고수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장치와: 상기 세척장치에서 세척되어 이송된 국수가락을 제품별 포장 크기로 커팅하는 면 커팅장치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해조류를 가공하여 국수를 제조하는 장치에서 세정·파쇄·교반 및 농축 공정을 통해 페이스트 상태로 공급되어 압출성형장치에서 압출 성형되는 면을 응고수가 흐르는 'ㄹ'자 또는 '나선형'의 응고라인에서 응고되도록 하여, 압출 성형되는 면이 떡처럼 서로 엉켜 붙지 않고 응고라인을 통해 최상으로 응고되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압출 성형되는 면을 흐르는 응고수를 통해 응고시키기 위한 응고장치의 응고라인을 'ㄹ'자 또는 '나선형'으로 형성하여 응고장치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여 해조류 가공국수 제조장치 전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응고라인을 통해 응고된 국수가락을 세척장치의 세척라인를 타고 흐르도록 함과 동시에 세척라인 상부의 세척수 공급관의 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통해 세척되도록 하여 국수가락에 남아 있는 응고수를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가공국수 제조장치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보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가공국수 제조장치에서 응고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가공국수 제조장치에서 세척장치를 보인 평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해조류 가공국수 제조를 위한 제조장치(1)는 해조류 세정장치(10)를 통해 해조류의 염분을 세정하고, 세정된 해조류를 분쇄장치(20)를 통해 분쇄한 다음, 분쇄장치(20)로 분쇄된 해조류를 교반 및 농축장치(30)를 통해 교반 및 농축시켜 페이스트로 형성한다.
상기 교반 및 농축장치(30)를 통해 형성된 해조류 페이스트는 압출성형장치(40)를 통해 국수가락 형태로 압출 성형한다.
이때 교반 및 농축장치(30)를 통해 교반 및 농축된 해조류 페이스트를 국수가락으로 압출 성형하는 압출성형장치(40)에서 면으로 압출 성형하는 사출판(41)은 국수 종류 및 페이스트 상태에 따라 사출구멍(42)의 크기가 다른 사출판(41)을 사용한다.
사출판(41)에 형성되는 사출구멍(42)의 직경은 국수가락이 1~3mm의 굵기로 압출 성형되도록 1.5~3.5mm으로 형성하고, 각 사출구멍(42) 사이의 간격은 압출되는 국수가락끼리 서로 엉키거나 뭉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10×10mm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압출성형장치(40)를 통해 1~3mm의 굵기로 압출 성형된 국수가락은 응고수가 흐르는 응고장치(50)를 통해 응고시킨다.
이때 상기 압출성형장치(40)를 통해 압출 성형되는 국수가락을 응고하기 위한 응고장치(50)는 응고수를 공급하기 위한 응고수 공급펌프(51)와, 응고수 공급펌프(51)를 통해 공급되는 응고수가 흐르는 'ㄹ'자 또는 '나선형'의 응고라인(52)으로 형성되어 압출 성형된 국수가락을 응고라인(52)을 흐르는 응고수에 침지시킴과 동시에 이송되면서 응고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르면, 압출성형장치(40)에서 사출판(41)을 통해 압출 성형되는 1~3mm의 굵기의 국수가락을 'ㄹ'자 또는 '나선형'의 응고라인(52)에서 흐르는 응고수에 침지시킴과 동시에 이송시키도록 하되, 응고라인(52)의 길이는 이송되는 국수가락이 0.2~0.5m/sec의 속도로 흐르는 응고수를 통해 3~9분 동안 이송되면서 응고되는 길이로 형성한다.
상기 'ㄹ'자 또는 '나선형'의 응고장치(50)에서 흐르는 응고수를 통해 응고되어 이송된 국수가락은 세척장치(60)를 통해 국수가락에 남아 있는 응고수를 세척한다.
상기 세척장치(60)는 응고라인(52)을 통해 응고된 국수가락을 흐르면서 이송되도록 하는 세척라인(61)과, 세척라인(61) 상부에 위치하여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관(62)과, 세척수 공급관(62)의 하단에 일정 간격을 유지한 채 복수 개로 형성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63)로 이루어져 응고라인(52)을 통해 응고된 국수가락에 남아 있는 응고수를 세척수를 통해 깨끗하게 세척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세척장치(60)에서 응고라인(52)을 통해 응고된 국수가락이 흐르면서 이송되도록 하는 세척라인(61)은 장치 부피 및 설치 공간의 최소화를 위해 일정길이마다 절곡 형성하여 구부러진 형태로 형성하되 바람직하게는 'ㄷ' 또는 'ㄹ'자 형태로 형성토록 한다.
상기 세척장치(60)를 통해 응고수가 세척된 국수가락은 면 커팅장치(70)를 통해 제품별 포장 크기로 커팅한다. 이때 면 커팅장치(70)에서의 면 커팅은 컨트롤러에 의해 커팅 간격 및 회전 속도가 조절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커터(71)를 통해 응고된 면을 커팅토록 한다.
한편,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해조류 가공국수 제조장치는, 냉장 보관되는 염장 다사마 등의 해조류를 세정장치(10)와 분쇄장치(20)를 통해 세정 및 분쇄하고, 분쇄된 해조류에 첨가제를 투입하여 교반 및 농축장치(30)에서 페이스트 상태로 형성한 다음, 교반 및 농축장치(30)를 통해 형성된 페이스트 상태의 해조류를 압출성형장치(40)를 통해 국수가락으로 압출 성형하며, 압출 성형된 국수가락을 응고장치(50)를 통해 응고시킨 다음, 세척장치(60) 및 커팅장치(70)를 통해 응고된 면을 세척 및 커팅하기 위한 장치(1)이다.
상기 과정을 통해 형성된 페이스트 상태의 해조류를 국수가락 형태로 압출 성형하기 위해 압출성형장치(40)에 공급하게 되면, 공급된 페이스트 상태의 해조류는 압출성형장치(40)에 설치된 사출판(41)을 통과하면서 국수가락 형태로 압출 성형된다. 이때 바람직한 실시례는 사출판(41)에 1.5~3.5mm의 직경을 갖는 사출구멍(42)을 통해 1~3mm의 굵기의 국수가락을 압출 성형하며, 10×10mm로 유지되는 사출구멍(42) 간의 간격을 통해 압출 성형되는 국수가락끼리 서로 엉키거나 뭉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작동을 통해 압출 성형된 국수가락은 응고를 위해 응고장치(50)로 공급된다.
상기 압출성형장치(40)을 통해 응고장치(50)로 공급된 국수가락은 'ㄹ'자 또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응고라인(52)에서 응고수 공급펌프(51)를 통해 공급되는 응고수를 타고 흐르면서 응고되는데, 응고라인(52)을 따라 이송됨과 동시에 국수가락이 응고수를 따라 흐르기 때문에 서로 엉켜붙지 않게 된다.
이때 응고라인(52)을 'ㄹ'자 또는 '나선형'으로 형성함에 따라 응고장치(50)의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여 해조류 가공국수 제조장치(1) 전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응고수 공급펌프(51)를 통해 응고라인(52)에 공급되는 응고수의 흐름 속도는 매우 중요하다. 응고수의 흐름 속도가 너무 늦으면 응고라인(52)에 국수가락이 공급되면서 곧바로 뭉쳐지게 되고, 또 너무 빠르면 응고수의 흐름에 의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뭉쳐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위해 0.2~0.5m/sec의 속도로 응고수가 흐르는 응고라인(52)에서 약 3~9분 가량 응고수를 타고 흐르면서 응고되도록 하면, 응고라인(52)에서 공급 및 이송되는 국수가락이 서로 뭉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압출 성형되는 국수가락을 응고시키기 위하여 응고라인(52)이 'ㄹ'자 또는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0.2~0.5m/sec의 속도로 응고수가 흐르는 응고라인(52)을 3~9분 동안 타고 흐르면서 응고되도록 하면, 국수가락이 너무 짧거나 긴 응고 시간으로 인하여 퍼지거나 딱딱해지지 않고 가공 및 취식이 용이한 최적의 상태로 응고됨은 물론 응고장치(50)의 부피 및 설치 장소의 최소화가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응고장치(50)의 응고라인(52)을 통해 응고된 국수가락에는 응고를 위한 응고수가 묻어 있어 세척장치(60)를 통한 국수가락의 세척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응고장치(50)를 통해 응고된 국수가락이 세척장치(60)에 이송되면, 이송된 국수가락은 장치 부피 및 설치 공간의 최소화를 위해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 세척라인(61)을 타고 흐르면서 이송되고, 세척라인(61)에서 이송되는 국수가락은 세척라인(61) 상부에 위치되어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관(62)에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로 설치되는 노즐(63)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통해 깨끗하게 세척되면서 이송된다. 이때 세척라인(61)은 세척장치 부피 및 설치 공간의 최소화를 위해 'ㄷ' 또는 'ㄹ'자 형태로 절곡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척장치(60)에서 응고수가 세척된 국수가락은 면 커팅장치(70)에서 컨트롤러를 통해 커팅 간격 및 속도가 조절되고,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커터(71)를 통해 제품별 포장 크기로 커팅된다.
상기 면 커팅장치(70)를 통해 제품별 포장 크기로 커팅된 국수는 계량 과정을 거쳐 포장장치 통해 제품으로 포장되며, 포장된 제품은 살균처리장치를 통해 살균 처리되어 출하장으로 이송된다.
바람직하게는 면 성형 공정을 통해 압출 성형되는 국수가락을 0.2~0.5m/sec의 속도로 응고수가 흐르는 'ㄹ'자 또는 '나선형'의 응고라인(52)에서 약 3~9분 동안 응고시킨 후, 'ㄷ' 또는 'ㄹ'자 형태로 절곡 형성된 세척라인(61)에서 국수가락에 남아 있는 응고수의 세척하고 제품별 포장 크기로 커팅함에 따라 압출 성형되는 면이 떡처럼 서로 엉켜 붙지 않고, 응고라인을 통해 최상의 조건으로 응고시킴에 따라 양질의 해조류 가공국수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또는/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오로지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가공국수 제조장치
10 : 세정장치 20 : 분쇄장치
30 : 교반 및 농축장치 40 : 압출성형장치
41 : 사출판 42 : 사출구멍
50 : 응고장치 51 : 응고수 공급펌프
52 : 응고라인 60 : 세척장치
61 : 세척라인 62 : 세척수 공급관
63 : 노즐 70 : 면 커팅장치
71 : 커터

Claims (7)

  1. 해조류의 염분을 세정하고, 세정된 해조류를 분쇄 후 분쇄된 해조류를 교반 및 농축시켜 페이스트로 형성하며, 해조류 페이스트를 압출 성형 후 응고수에 침지 및 응고시켜 국수를 제조하는 해조류 가공국수 제조장치에 있어서,
    교반 및 농축된 해조류 페이스트를 국수가락으로 압출 성형하는 압출성형장치(40)와:
    상기 압출성형장치(40)에서 압출 성형된 국수가락을 응고시키기 위한 응고장치(50)와:
    상기 응고장치(50)에서 응고되어 이송된 국수가락에 남아 있는 응고수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장치(60)와:
    상기 세척장치(60)에서 세척되어 이송된 국수가락을 제품별 포장 크기로 커팅하기 위한 면 커팅장치(70):로 이루어지되,
    상기 응고장치(50)는 응고수를 공급하기 위한 응고수 공급펌프(51)와, 응고수 공급펌프(51)를 통해 공급되는 응고수가 흐르는 'ㄹ'자 또는 '나선형'의 응고라인(52)으로 형성되어 압출 성형된 국수가락을 응고라인(52)을 흐르는 응고수에 침지시킴과 동시에 이송되도록 하고,
    상기 응고라인(52)의 길이는 이송되는 국수가락이 0.2~0.5m/sec의 속도로 흐르는 응고수를 통해 3~9분 동안 이송되면서 응고되는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가공국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성형장치(40)에서 면을 압출 성형하는 사출판(41)에 형성되는 사출구멍(42)의 직경은 국수가락이 1~3mm의 굵기로 압출 성형되도록 1.5~3.5mm으로 형성하고, 각 사출구멍(42) 사이의 간격은 압출되는 국수가락끼리 서로 엉키거나 뭉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10×10mm의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가공국수 제조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60)는 국수가락이 흐르면서 이송되도록 하는 세척라인(61)과, 세척라인(61) 상부에 위치하여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관(62)과, 세척수 공급관(62)의 하단에 일정 간격을 유지한 채 복수 개로 형성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6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가공국수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라인(61)은 세척장치 부피 및 설치 공간의 최소화를 위해 'ㄷ' 또는 'ㄹ'자 형태로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가공국수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 커팅장치(7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커터(71)를 통해 면을 커팅하되, 컨트롤러에 의해 커팅 간격 및 회전 속도가 조절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조류 가공국수 제조장치.
KR1020220010450A 2022-01-25 2022-01-25 해조류 가공국수 제조장치 KR102414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450A KR102414799B1 (ko) 2022-01-25 2022-01-25 해조류 가공국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0450A KR102414799B1 (ko) 2022-01-25 2022-01-25 해조류 가공국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4799B1 true KR102414799B1 (ko) 2022-06-30

Family

ID=82214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0450A KR102414799B1 (ko) 2022-01-25 2022-01-25 해조류 가공국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79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3025A (ja) * 1995-12-28 1997-07-08 Hideaki Aoyanagi 帯状海藻麺とその製造装置
KR19980076874A (ko) * 1997-04-15 1998-11-16 공호영 해조류를 이용한 식품가공시스템
KR200201867Y1 (ko) * 2000-04-25 2000-11-01 이기봉 곡물국수의 제조장치
KR101331501B1 (ko) 2011-02-15 2013-11-19 박종남 해조류 가공국수 제조방법
KR20170044957A (ko) * 2015-10-16 2017-04-26 박병용 무거운 세척대상물의 효율적 세척을 위한 버블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3025A (ja) * 1995-12-28 1997-07-08 Hideaki Aoyanagi 帯状海藻麺とその製造装置
KR19980076874A (ko) * 1997-04-15 1998-11-16 공호영 해조류를 이용한 식품가공시스템
KR200201867Y1 (ko) * 2000-04-25 2000-11-01 이기봉 곡물국수의 제조장치
KR101331501B1 (ko) 2011-02-15 2013-11-19 박종남 해조류 가공국수 제조방법
KR20170044957A (ko) * 2015-10-16 2017-04-26 박병용 무거운 세척대상물의 효율적 세척을 위한 버블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4800B1 (ko) 해조류 가공국수 제조방법
JPH0247269B2 (ko)
JPS61192278A (ja) 食料品の製造方法
JPH04267863A (ja) 食品ベースの粒体を生産する方法およびそれを実施する装置
AU20072971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a reconstituted food product
KR102414799B1 (ko) 해조류 가공국수 제조장치
RU2016108534A (ru) Кондитерские продукты и их получение
CN117897078A (zh) 酱料供应设备和包括该设备的食用产品制造系统
KR100202097B1 (ko) 해조류를 이용한 식품가공방법
JP2018102264A (ja) 豆腐類連続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US4795328A (en) Encapsulation apparatus
JP6678165B2 (ja) カット野菜の殺菌装置、殺菌システム、殺菌方法及び殺菌済みカット野菜
KR100837735B1 (ko) 해조류 마카로니 및 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07117072A (ja) 大豆蛋白質含有の繊維状またはフィルム状成形食品
JP4162965B2 (ja) 麺状食品の製造装置
JP3122565B2 (ja) 海藻麺の製造装置
CN210120891U (zh) 一种熟食饲料加工用物料混合机
KR19980076874A (ko) 해조류를 이용한 식품가공시스템
CN208117935U (zh) 一种果皮切条机
JP2016202016A (ja) 千切りキャベツの製造方法
JP3560296B2 (ja) 帯状海藻麺の製造装置
KR101656521B1 (ko) 캡슐형 순대식품 제조장치
CN208358749U (zh) 一种食品生产加工用操作台
JP5561523B2 (ja) 低カロリー麺類の製造方法
CN116195756B (zh) 一种双蛋白奶酪棒的制备装置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