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331B1 - 분리 가능한 성형 이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분리 가능한 성형 이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331B1
KR102414331B1 KR1020200155655A KR20200155655A KR102414331B1 KR 102414331 B1 KR102414331 B1 KR 102414331B1 KR 1020200155655 A KR1020200155655 A KR 1020200155655A KR 20200155655 A KR20200155655 A KR 20200155655A KR 102414331 B1 KR102414331 B1 KR 102414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olding
transport
unit
transpo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8657A (ko
Inventor
정영화
이연형
정동연
Original Assignee
(주)대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호테크 filed Critical (주)대호테크
Priority to KR1020200155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331B1/ko
Publication of KR20220068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1/00Pressing molten glass or performed glass reheated to equivalent low viscosity without blowing
    • C03B11/06Construction of plunger or mould
    • C03B11/08Construction of plunger or mould for making solid articles, e.g. len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005Transporting hot solid glass products other than sheets or rods, e.g. lenses, prisms, by suction or floa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를 성형하는 성형 장치와 렌즈 및 금형을 이송하는 이송 장치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성형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렌즈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을 처리하는 성형 장치; 렌즈 및 금형을 상기 성형 장치 내로 투입하고, 성형이 완료된 금형을 반입하는 이송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 장치와 이송 장치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성형 이송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분리 가능한 성형 이송 시스템{Seperable Mold Transfer System}
본 발명은 렌즈를 성형하는 성형 장치와 렌즈 및 금형을 이송하는 이송 장치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성형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카메라, 카메라 폰, 웹 카메라 등이 소형화 및 박형화되어 카메라 모듈의 크기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이처럼 카메라 모듈이 소형화되면서 기존의 구면 렌즈 대신 비구면 렌즈의 수요가 크게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비구면 렌즈는 연삭 방법 또는 프레스 성형법으로 생산될 수 있는데, 연삭 방법은 대량 생산에 부적합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코어와 하코어 내에 렌즈 원재료를 넣고 상코어와 하코어를 상호 조립한 다음, 렌즈 성형기에 투입하여 고온 가열 공정, 프레싱 공정, 냉각 공정을 통하여 성형하는 프레스 성형법이 많이 이용된다.
렌즈를 성형하는 성형 장치는 렌즈 및 금형을 미리 준비하고, 성형 장치내로 순차적으로 투입하는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는데, 렌즈 및 금형을 이송하는 이송 장치가 성형 장치와 일체로 마련된 구조이다.
따라서, 사용 도중에 수리 등의 유지 보수 상황이 발생하면, 이송 장치와 성형 장치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송 장치와 성형 장치가 대면하는 위치에서의 수리 작업을 하기 어렵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송 장치와 성형 장치를 분리 가능하게 마련하여 유지 보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성형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렌즈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을 처리하는 성형 장치; 렌즈 및 금형을 상기 성형 장치 내로 투입하고, 성형이 완료된 금형을 반입하는 이송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 장치와 이송 장치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성형 이송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이송 장치와 성형 장치를 분리 가능하게 마련하고, 평상시에는 결합된 상태에서 일체형으로 운용하고, 유지 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성형 장치로부터 이송 장치를 분리하고, 그 사이의 공간을 통해 보수 작업 등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성형 장치와 이송 장치는 일체형인 상태에서 금형 유니트를 이송하고 성형 공정을 거친 후 다시 반입하여 회수하는 과정을 반복하고, 따라서 성형 장치와 이송 장치는 서로 금형 유니트가 출입되도록 연통되는 구조를 가진다.
만일, 이송 장치와 성형 장치가 분리되지 않고 일체형으로 결합된 경우에는 유지 보수 측면에서 매우 불리할 수 있다. 특히, 이송 장치와 성형 장치가 대면하는 위치에서의 구조물을 수리 또는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 장치 전체에 걸쳐서 분해 작업 등을 해야 하므로, 유지 보수 작업 시간이 상당히 지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고 간편하게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 장치와 성형 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성형 및 이송 동작 수행시, 성형 장치내로 금형을 투입하고 성형 공정이 완료된 금형을 배출하여 이송 장치로 보내는 과정에서 매우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이송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성형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이송 장치의 저면에는 가이드 봉이 마련되고, 이송 장치를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에는 가이드 봉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가 마련되어서 이송 장치의 이동시 안정되게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이송 장치의 저면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용 캐스터가 마련되고, 지지용 캐스터는 이송 장치의 이동시 베이스 부재로부터 벗어 나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며, 이송 장치를 2개의 가이드 봉 및 지지 부재, 캐스터에 의한 3점 지지가 가능하여 이송 장치의 결합시 또는 이동시 항상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송 장치의 저면에 쇽 업소버를 마련하고, 베이스 부재에는 간격을 두고 고정 브래킷을 마련하며, 이송 장치의 결합시 또는 이동시 고정 브래킷에 쇽 업소버가 접촉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이송 장치의 결합시 또는 이동시의 충격을 대폭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체형 성형 이송 시스템의 성형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체형 성형 이송 시스템에서 금형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장치와 성형 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체형 성형 이송 시스템에서 금형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장치와 성형 장치가 분리된 상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성형 장치로부터 이송 장치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직선 이동하여 분리되는 방식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성형 장치와 이송 장치가 힌지 결합되어 회전 분리되는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송 장치와 성형 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이송 장치의 저면의 구체적인 설치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이송 장치가 성형 장치로부터 분리된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이송 장치 저면에 마련되는 충격 흡수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이송 장치 저면에 마련되는 캐스터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금형이 성형 장치에서 이송 장치로 넘어가는 부분의 구조를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금형을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송시, 금형 반입부와 배출부 또는 금형 반출부와 투입부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4는 도 13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금형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넘어가는 과정의 다른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6은 도 15와 다른 예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체형 성형 이송 시스템의 성형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체형 성형 이송 시스템에서 금형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 장치와 성형 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성형 이송 시스템(100)은 성형 장치(1000)와 이송 장치(2000)가 분리 가능하게 일체형으로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 성형 장치(1000)는 금형 유니트(200)를 통해 피성형물을 휴대 단말기의 커버 글라스, 렌즈 등으로 성형할 수 있다. 금형 유니트(200)를 가열 및 가압하면 금형 유니트(200) 내부에 수납된 피성형물의 일부 또는 전부가 곡면으로 성형될 수 있다.
피성형물은 카메라 렌즈, 곡면부를 갖는 글라스, 시계 커버 유리, 자동차 계기판 유리, 각종 계측기 커버 유리, 사파이어, 광투과성 플레이트, 휴대 단말기의 프론트 커버 및 백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의 상부에는 메인 챔버(3)가 설치될 수 있다. 메인 챔버 입구측에는 금형 유니트(200)를 메인 챔버(3) 내부로 투입하는 투입 챔버(2)가 마련될 수 있다. 투입 챔버(2)에는 금형 유니트(200)를 밀어주는 투입 실린더(5)가 마련될 수 있다. 메인 챔버 출구측에는 메인 챔버(3) 내부를 통과한 금형 유니트(200)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챔버(4)가 마련될 수 있다.
배출 수단은 메인 챔버 출구로부터 배출 챔버(4)의 내부로 금형 유니트(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배출 수단은 배출 실린더(6) 및 배출 바(7)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 바(7)가 직선 이동되거나 회전되면 금형 유니트(200)가 배출 챔버(4) 쪽으로 더 이동될 수 있거나, 배출 셔터(331)로부터 도피될 수 있다.
피성형물에 곡면부를 형성하는 금형 유니트(200)는 메인 챔버(3)의 내부를 통과하며, 예열, 성형 또는 냉각될 수 있다.
메인 챔버 입구측으로부터 메인 챔버 출구측을 향하여 예열 유니트(10), 성형 유니트(30), 냉각 유니트(40)가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열 유니트(10)에서 금형 유니트(200)를 예열 온도로 예열할 수 있다. 성형 유니트(30)는 성형 온도로 금형 유니트(200)를 가열할 수 있다. 성형 유니트(30)는 금형 유니트(200)를 가열 및 가압하여 피성형물을 성형할 수 있다. 가열 성형 방식은 성형 온도가 예열 온도보다 높고, 냉각 성형 방식은 성형 온도가 예열 온도보다 낮을 수 있다.
성형 유니트(30)의 하류측에는 피성형물의 성형이 완료된 금형 유니트(200)를 서서히 냉각시키는 냉각 유니트(4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냉각 유니트(40)는 메인 챔버(3)의 외부에 마련될 수 있고, 메인 챔버(3)의 내부 및 외부에 모두 마련될 수 있다.
예열 유니트(10)는 메인 챔버(3)의 바닥에 설치된 다수의 예열 하부 블록(14)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열 하부 블록(14)은 금형 유니트(200)의 하부를 지지하거나 가열할 수 있다.
예열 유니트(10)의 상부에는 예열 피스톤(12)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다수의 예열 실린더(11)가 설치될 수 있다. 예열 피스톤(12)의 끝단에는 금형 유니트(200)의 상부에 대면되는 예열 상부 블록(13)이 설치될 수 있다. 예열 상부 블록(13)은 금형 유니트(200)의 상부에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성형 유니트(30)는 메인 챔버(3)의 바닥에 설치된 다수의 성형 하부 블록(34), 메인 챔버(3)의 내부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성형 피스톤(32), 성형 피스톤(32)을 승강시키는 다수의 성형 실린더(31), 성형 피스톤(32)에 연결된 성형 상부 블록(3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성형 하부 블록(34)은 메인 챔버 내부의 바닥에 설치되며, 금형 유니트(200)가 성형 온도를 유지하도록 금형 유니트(200)의 하부를 가열할 수 있다.
금형 유니트(200)의 상부에 성형 피스톤(32)과 함께 움직이는 성형 상부 블록(33)을 접촉시켜 금형 유니트(200)를 성형 온도로 가열 또는 가압할 수 있다.
냉각 유니트(40)는 메인 챔버(3)의 바닥에 설치된 다수의 냉각 하부 블록(44), 냉각 상부 블록(43)에 연결되며 상하로 움직이는 냉각 피스톤(42), 냉각 피스톤(42)을 승강시키는 다수의 냉각 실린더(4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 하부 블록(44)은 메인 챔버 내부의 바닥에 설치되며, 금형 유니트(200)가 정해진 냉각 온도까지 소정의 냉각 속도로 냉각되도록 금형 유니트(20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냉각 피스톤(42)에 냉각 상부 블록(43)이 결합되고, 냉각 하부 블록(44)과 냉각 상부 블록(43)은 금형 유니트(200)를 냉각시킬 수 있다. 금형 유니트(200)의 상부에 냉각 상부 블록(43)이 접촉되고 금형 유니트(200)의 하부에 냉각 하부 블록(44)이 접촉된 상태로 금형 유니트(200)가 냉각될 수 있다.
메인 챔버(3) 내에서 금형 유니트(200)를 예열 유니트(10), 성형 유니트(30), 냉각 유니트(40)로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이송 유니트(60)가 마련될 수 있다.
메인 챔버(3)의 외부까지 고온이 되면 에너지 손실, 작업자 화상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메인 챔버(3)의 프레임(3a) 표면을 냉각하기 위하여 프레임(3a) 내부에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냉각수 통로(70)가 마련될 수 있다.
상부 블록은 예열 상부 블록(13), 성형 상부 블록(33), 냉각 상부 블록(4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블록(300)은 예열 하부 블록(14), 성형 하부 블록(34), 냉각 하부 블록(4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열 상부 블록(13), 성형 상부 블록(33), 냉각 상부 블록(43), 예열 하부 블록(14), 성형 하부 블록(34), 냉각 하부 블록(44) 중 적어도 하나를 블록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열 유니트(10)에 설치된 블록을 예열 블록, 성형 유니트(30)에 설치된 블록을 성형 블록, 냉각 유니트(40)에 설치된 블록을 냉각 블록으로 정의할 수 있다. 각 유니트의 설치 길이 또는 블록의 개수는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공정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금형 유니트(200)의 이송 방향을 제1 방향이라고 정의하고, 금형 유니트의 이송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제2 방향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송 유니트(60)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고, 메인 챔버(3) 내부의 금형 유니트(200)를 제1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금형 유니트(200)는 이송 장치(2000)에서 피성형물의 성형을 위해 성형 장치(1000)로 이동하고, 소정의 성형 공정을 거친 후 다시 이송 장치(2000)로 반입되어 처리될 수 있다.
성형 장치(1000)와 이송 장치(2000)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케이스의 내부에 금형 유니트(2000)를 이송 및 성형하기 위한 각종 장치(또는 유니트)가 마련될 수 있다.
성형 장치(1000)와 이송 장치(2000)는 하부에 각각 수납 박스(1002)(2010)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 박스(2010)에는 각종 제어기와 전선 등이 수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송 장치(2000)는 성형 장치(1000)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분리된 공간(S)을 통해 성형 장치(1000)의 안쪽 또는 이송 장치(2000)의 안쪽 부분에 대하여 유지 보수 관리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성형 장치(1000)로부터 이송 장치(2000)의 분리 동작시, 원활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로서, 베이스 부재(3000)의 상면에 소정 길이의 가이드 레일(3100)을 마련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와 다른 구조의 이송 장치 분리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힌지부(500)를 통해 이송 장치(2000)를 성형 장치(1000)로부터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송 장치(2000)와 성형 장치(1000)는 결합된 상태에서 작동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다양한 형태의 잠금 장치(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송 장치와 성형 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이송 장치의 저면의 구체적인 설치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이송 장치가 성형 장치로부터 분리된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평면도, 도 8은 도 6의 측면도, 도 9는 도 6의 정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송 장치(2000)의 저면에는 가이드 구조체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구조체는 이송 장치(2000)의 저면에 마련되는 가이드 봉(2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부재(3000)의 상면 일측에는 가이드 봉(2100)을 지지하면서 가이드해줄 수 있는 지지 부재(3200)가 고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가이드 봉(2100)은 이송 장치(2000)의 저면에 형성되는 연결 부재(2110)을 통해 이송 장치(2000)의 이동시 동시에 이동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지지 부재(3200)의 설치 위치는 베이스 부재(3000)에서 성형 장치(10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송 장치(2000)의 이동 방향으로 베이스 부재(3000)의 중심부(C)로부터 도면상 우측인 베이스 부재(3000)의 바깥쪽 방향에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3200)를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3200)가 베이스 부재(3000)의 바깥면 쪽에 치우쳐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송 장치(2000)의 이동시, 동시에 이동하는 가이드 봉(2100)이 지지 부재(320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항상 가이드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만일, 지지 부재(3200)가 성형 장치(1000)쪽에 근접되게 마련되는 경우에는 이송 장치(2000)의 이동시 가이드 봉(2100)이 지지 부재(320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또한, 이송 장치(2000)의 저면 소정 위치에는 이송 장치(20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용 캐스터(2200)가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송 장치(2000)의 저면 소정 위치에는 이송 장치(2000)의 이동시 충격을 흡수 또는 완화시켜주는 쇽 업소버((shock absorber)(23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부재(3000)에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 2개의 고정 브래킷이 고정될 수 있다.
2개의 고정 브래킷은 성형 장치(1000)에 가까운 위치에 1개의 고정 브래킷인 제1 고정 브래킷(3310), 제1 고정 브래킷(3310)과 거리를 두고 성형 장치(10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제2 고정 브래킷(33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송 장치(2000)가 성형 장치(1000)와 결합된 상태일때에는 제1 고정 브래킷(3310)에 쇽 업소버(2300)가 대면되고, 반대로 이송 장치(2000)가 d동하여 성형 장치(100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게 되면 제2 고정 브래킷(3320)에 쇽 업소버(2300)가 대면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이송 장치(2000)의 전면에는 별도의 지지 캐스터(221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지 캐스터(2210)는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을 수 있다.
지지 캐스터(2210)는 이송 장치(2000)의 저면 일측에 형성되는 지지용 캐스터(2200)와 동일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사이즈는 지지용 캐스터(220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이송 장치(2000)를 성형 장치(1000)로부터 이격되게 이동시키면, 이송 장치(2000)는 베이스 부재(3000)의 끝단부로부터 돌출된 길이(L)에 해당하는 부분은 지지해줄 수 없으므로, 이때 지지 캐스터(2220)를 통해 바닥면에 지지되게 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지지 부재(3200)에는 가이드 봉(2100)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삽입홈(32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쇽 업소버(2300)의 사시도로서, 이송 장치(2000)의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2310), 고정 부재(2310)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체결 부재(2320)와 제2 체결 부재(2322), 제1 체결 부재(2320)와 제2 체결 부재(2322)의 단부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흡수 부재(2330)와 제2 흡수 부재(23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흡수 부재(2330)에는 충돌 등에 의해 가압력이 작용하면 수축하는 제1 가압편(2331)이 형성되고, 제2 흡수 부재(2332)에는 마찬가지로 충돌 등에 의해 가압력이 작용하면 제2 가압편(2333)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압편(2331)과 제2 가압편(2333)은 가압력이 해제되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즉 댐퍼와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을 참조하면, 이송 장치(2000)의 저면에 고정된 쇽 업소버(2300)는 성형 장치(1000)와 결합시에는 제1 고정 브래킷(3310)에 접촉하면서 충격을 흡수해줄 수 있다. 즉, 제1 고정 브래킷(3310)에 쇽 업소버(2300)의 한쪽에 마련된 제1 흡수 부재(2330)의 제1 가압편(2331)과 충돌하면, 제1 가압편(2331)이 수축하면서 충돌시의 충격력을 흡수해줄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이송 장치(2000)가 이동하여 성형 장치(1000)로부터 멀어지면, 베이스 부재(3000)에 마련된 제2 고정 브래킷(3320)에 쇽 업소버(2300)가 충돌하면서 제2 흡수 부재(2330)의 제2 가압편(2333)이 수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해줄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이송 장치 저면에 마련되는 캐스터의 측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지지용 캐스터(2200)는 회전 가능한 휠(2220), 휠(2220)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2230), 이송 장치(2000)의 저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체결부재(2240)으로 이루어지고, 휠(2220)의 양측(도 11에서의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지지용 체결 부재(2250)가 나사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지지용 체결 부재(2250)는 휠(2220)에 의해 이송 장치(2000)를 확실하게 지지하지 못하는 경우,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송 장치(2000)의 저면에 복수의 지지 포인트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이송 장치(2000)의 폭 방향(이동 방향의 직교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의 가이드 봉(2100)을 마련하고, 이송 장치(2000)의 이동 방향으로의 일측면(성형 장치(1000) 방향)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용 캐스터(2200)에 의한 3점 지지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3000)의 상면에는 2개의 고정 브래킷인 제1 고정 브래킷(3310)과 제2 고정 브래킷(3320)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이송 장치(2000)를 지지해줄 수 있다.
따라서, 이송 장치(2000)는 성형 장치(1000)와 결합 상태 또는 이격된 상태일때 항상 안정된 지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송 장치(2000)의 사이클 타임은 성형 장치(1000)의 사이클 타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보다 효율적인 동선으로 신속하게 렌즈와 금형의 이송을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한 것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이송 장치(2000)의 금형 반출부(2030)와 성형 장치(1000)의 투입부(1010)는 최소한 동일 높이로 셋팅되거나 또는 높이(H) 만큼 단차를 두고 마련될 수 있다. 높이(H)는 실제로는 1mm 또는 그 이하로서 매우 작은 단차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송 장치(2000)내에 마련된 금형 유니트(200)는 성형 공정을 위해 성형 장치(1000)로 이송될 수 있고, 금형 유니트(200)의 이송을 위한 이송 수단은 여러 가지로 구비될 수 있다.
금형 유니트(200)를 이송하기 위한 구체적인 이송 수단은 예를 들어 3가지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이송 수단은 금형 유니트(200)를 파지하고 들어 올린 상태에서 금형 반출부(2030)로부터 성형 장치(1000)의 내부로 투입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그리퍼를 갖춘 로봇 아암이 될 수 있다.
제2 이송 수단은 금형 반출부(2030)에 순환하는 콘베이어 벨트로 구성하고, 콘베이어 벨트위에 성형하기 위한 금형 유니트(200)를 올려 놓고 이송시키면 성형 장치(1000)의 투입부(1010)안으로 이송될 수 있다.
제3 이송 수단은 금형 반출부(2030) 위에 놓인 금형 유니트(200)를 밀어서 투입부(1010)안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금형 유니트(200)을 밀기 위한 수단은 실린더와 같은 구동 수단 등이 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금형 유니트(200)을 제1 위치(P1)에서 제2 위치(P2)로 이송시, 금형 반입부(2020)와 배출부(1020), 금형 반출부(2030)와 투입부(1010)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 반입부(2020)와 배출부(1020)는 서로 대면되거나, 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 반입부(2020)와 배출부(1020) 사이의 이격된 거리(L1)는 금형 유니트(200)의 이송 방향으로의 길이(L2)의 1/2 이하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만일, 이격된 거리(L1)이 금형 유니트(200)의 길이(L2)에 대해 1/2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금형 유니트(200)의 이동시, 거리(L1) 사이로 빠져서 이송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금형 반출부(2030)와 투입부(1010)간의 이격 거리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또한, 도 15를 참조하면, 금형 유니트(200)를 성형 장치(1000)의 배출부(1020)에서 이송 장치(2000)의 금형 반입부(2020)로 이송시, 금형 반입부(2020)의 선단부 상부에는 모따기 처리한 경사면(202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거리(L1)만큼 떨어져 있어도 금형 유니트(200)는 경사면(2021)으로 인해 원활하게 제1 위치(P1)에서 제2 위치(P2)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 16을 참조하면, 배출부(1020)와 금형 반입부(2020)가 높이(H1) 만큼 차이가 나는 경우에도 금형 유니트(200)는 제1 위치(P1)에서 제2 위치(P2)로 아무런 지장없이 이송될 수 있다.
1...베이스 2...투입 챔버
3...메인 챔버 3a...프레임
4...배출 챔버 5...투입 실린더
6...배출 실린더 7...배출 바
10...예열 유니트 11...예열 실린더
12...예열 피스톤 13...예열 상부 블록
14...예열 하부 블록 30...성형 유니트
31...성형 실린더 32...성형 피스톤
33...성형 상부 블록 34...성형 하부 블록
40...냉각 유니트 41...냉각 실린더
42...냉각 피스톤 43...냉각 상부 블록
44...냉각 하부 블록 60...이송 유니트
70...냉각수 통로 200...금형 유니트
300...하부 블록 320...투입 구멍
321...투입 셔터 330...배출 구멍
331...배출 셔터 500... 힌지부
1000... 성형 장치 1010... 투입부
1020... 배출부
2000... 이송 장치 2010... 수납 박스
2020... 금형 반입부 2021... 경사면
2030... 금형 반출부 2100... 가이드 봉
2110... 연결 부재 2200... 지지용 캐스터
2210... 지지 캐스터 2220... 휠
2230... 지지 브래킷 2240... 고정용 체결 부재
2250... 지지용 체결 부재 2300... 쇽 업소버
2310... 고정 부재 2320... 제1 체결 부재
2321... 제1 체결 너트 2322... 제2 체결 부재
2323... 제2 체결 너트 2330... 제1 흡수 부재
2331... 제1 가압편 2332... 제2 흡수 부재
2333... 제2 가압편
3000... 베이스 부재 3100... 가이드 레일
3200... 지지 부재 3310... 제1 고정 브래킷
3320... 제2 고정 브래킷 C... 중심부
L... 돌출된 길이
H,H1,H2... 높이 P1... 제1 위치
P2... 제2 위치 S... 공간

Claims (12)

  1. 렌즈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을 처리하는 성형 장치;
    렌즈 및 금형을 상기 성형 장치 내로 투입하고, 성형이 완료된 금형을 반입하는 이송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 장치와 이송 장치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성형 장치는,
    금형을 투입하는 투입부, 투입된 상기 금형을 성형 공정을 거친 다음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장치는,
    상기 배출부로부터 성형이 완료된 금형을 반입하도록 상기 배출부와 분리 가능하게 대면되는 금형 반입부, 상기 성형 장치내로 투입하여 성형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금형을 상기 투입부로 반출하도록 상기 투입부와 분리 가능하게 대면되는 금형 반출부를 포함하는 성형 이송 시스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는 상기 성형 장치로부터 직선 이동하거나 또는 힌지 부재에 의해 곡선 이동하여 분리되는 성형 이송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와 성형 장치간에 이격된 거리가 형성되고,
    상기 이격된 거리는,
    이송되는 금형 유니트의 이송 방향의 길이에 대해 1/2 이하인 성형 이송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와 성형 장치간의 이격된 거리는,
    상기 이송 장치에 마련되는 금형 반출부와 상기 성형 장치의 투입부간의 이격된 거리이거나 또는 상기 이송 장치에 마련되는 금형 반입부와 상기 성형 장치의 배출부간의 이격된 거리인 성형 이송 시스템.
  6. 렌즈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을 처리하는 성형 장치;
    렌즈 및 금형을 상기 성형 장치 내로 투입하고, 성형이 완료된 금형을 반입하는 이송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 장치와 이송 장치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송 장치와 성형 장치간에 이격된 거리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 장치와 성형 장치간의 이격된 거리는,
    상기 이송 장치에 마련되는 금형 반출부와 상기 성형 장치의 투입부간의 이격된 거리이거나 또는 상기 이송 장치에 마련되는 금형 반입부와 상기 성형 장치의 배출부간의 이격된 거리이며,
    상기 금형 반출부와 상기 투입부중 적어도 어느 한쪽, 또는 상기 금형 반입부와 상기 배출부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금형 유니트의 이동시 간섭없이 이동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성형 이송 시스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 반출부와 상기 투입부, 또는 상기 금형 반입부와 상기 배출부는 서로 높이차를 두고 형성되고,
    상기 금형 반출부와 상기 투입부, 또는 상기 금형 반입부와 상기 배출부중 높이가 낮은 쪽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성형 이송 시스템.
  8. 렌즈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을 처리하는 성형 장치;
    렌즈 및 금형을 상기 성형 장치 내로 투입하고, 성형이 완료된 금형을 반입하는 이송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 장치와 이송 장치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송 장치와 성형 장치의 하부에는 베이스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이송 장치가 성형 장치로부터 이격되게 분리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는 성형 이송 시스템.
  9. 렌즈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을 처리하는 성형 장치;
    렌즈 및 금형을 상기 성형 장치 내로 투입하고, 성형이 완료된 금형을 반입하는 이송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 장치와 이송 장치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송 장치와 성형 장치의 하부에는 베이스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이송 장치의 저면에는 이동 방향의 가이드 봉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이송 장치의 이동시 상기 가이드 봉이 삽입되고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가이드되는 지지 부재가 고정되는 성형 이송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장치의 저면에는 하나 이상의 지지용 캐스터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용 캐스터는 상기 이송 장치를 상기 성형 장치로부터 이격되게 이동시키면,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부분에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성형 이송 시스템.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이송 장치의 이동시 함께 이동하는 상기 가이드 봉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의 중심부로부터 성형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마련되는 성형 이송 시스템.
  12. 렌즈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을 처리하는 성형 장치;
    렌즈 및 금형을 상기 성형 장치 내로 투입하고, 성형이 완료된 금형을 반입하는 이송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성형 장치와 이송 장치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송 장치와 성형 장치의 하부에는 베이스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의 소정의 위치에는 상기 이송 장치의 이동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고정 브래킷이 고정되며,
    상기 이송 장치의 저면에는 상기 이송 장치의 이동시 충격을 흡수 또는 완화시켜주도록 상기 고정 브래킷에 접촉하는 쇽 업소버가 구비되는 성형 이송 시스템.
KR1020200155655A 2020-11-19 2020-11-19 분리 가능한 성형 이송 시스템 KR102414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655A KR102414331B1 (ko) 2020-11-19 2020-11-19 분리 가능한 성형 이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655A KR102414331B1 (ko) 2020-11-19 2020-11-19 분리 가능한 성형 이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657A KR20220068657A (ko) 2022-05-26
KR102414331B1 true KR102414331B1 (ko) 2022-06-30

Family

ID=81809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655A KR102414331B1 (ko) 2020-11-19 2020-11-19 분리 가능한 성형 이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331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336B1 (ko) * 2007-06-08 2014-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원소재 및 성형렌즈 자동 멀티 매거진 장치와 원소재 투입및 성형렌즈 취출 자동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657A (ko) 2022-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1689B1 (ko) 대형 유리성형물 성형장치
EP0872329A1 (en) Injection blow molding machine, injection blow molding method and injection molding machine
CN108790258A (zh) 刹车片压制机双爪式下模循环机构
EP1514662B1 (en) Resin molding machine
KR100257957B1 (ko) 수지 성형 장치
KR102414331B1 (ko) 분리 가능한 성형 이송 시스템
WO2007004475A1 (ja) 光学素子の成型装置
CN105107995A (zh) 一种具有对比组装装置的汽车锁扣组装自动化生产线
CN1264627C (zh) 低压压铸设备及其操作方法
CN105414476A (zh) 一种微波芯片注蜡机
KR101413709B1 (ko) 예열챔버가 마련된 렌즈 성형 장치
CN214521549U (zh) 提拉机构及多工位成型机
CN109987826A (zh) 玻璃模具移载设备及包括其的玻璃加工系统
JP5111970B2 (ja) 予備成形樹脂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CN110091464B (zh) 注射成型方法及模具装置
KR102327376B1 (ko) 사출 금형장치
EP0703059A1 (en) Stretch blow molding machine with movable blow mold unit for easier access
KR101144599B1 (ko) 자외선 경화 몰딩장치
JPH04164826A (ja) ガラスレンズ成形装置および製造方法
CN109775964A (zh) 玻璃加工设备和玻璃加工系统
JP4132956B2 (ja) ガラス用成形システム
JP3204347B2 (ja) 光学素子の成形装置
CN217622147U (zh) 一种软膜热压装置
KR102179334B1 (ko) 수지 성형품의 제조 장치, 수지 성형 시스템 및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CN219028263U (zh) 一种洗衣机自动化注塑生产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