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207B1 -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207B1
KR102413207B1 KR1020170043881A KR20170043881A KR102413207B1 KR 102413207 B1 KR102413207 B1 KR 102413207B1 KR 1020170043881 A KR1020170043881 A KR 1020170043881A KR 20170043881 A KR20170043881 A KR 20170043881A KR 102413207 B1 KR102413207 B1 KR 102413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battery
vehicle
controller
refere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2923A (ko
Inventor
김미옥
김범규
윤종후
정태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3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207B1/ko
Priority to US15/693,968 priority patent/US10513200B2/en
Priority to CN201710918053.5A priority patent/CN108688481B/zh
Publication of KR20180112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60L58/13Maintaining the SoC within a determined r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19Switching between serial connection and parallel connection of battery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having different nominal volt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B60L58/22Balancing the charge of battery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10DC to DC converters
    • B60L2210/12Buck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54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batteries
    • B60L2240/547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Abstract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은, 서로 직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셀을 갖는 제1 배터리모듈; 서로 직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셀을 가지며 상기 제1 배터리모듈과 직렬연결된 제2 배터리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모듈 각각의 충전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모듈 중 하나의 충전상태가 기설정된 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배터리모듈의 배터리셀과 상기 제2 배터리모듈의 배터리셀 사이에 액티브 셀밸런싱을 실시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SYSTEM AND METHOD OF CHARGE CONTROLLING VEHICLE BATTERY}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배터리 추가 증설 없이 사용가능한 배터리 가용량을 보다 효율적으로 증대시켜 배터리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차량, 전기차량, 연료전지 차량 등의 친환경 차량은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구동하는 엔진 대신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는 모터에 의해 구동력을 생성한다. 친환경 차량은 모터를 구동하는데 사용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해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를 구비한다. 즉, 친환경 차량은 차량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구동 모터에 제공하여 주행하며, 차량 주행 시에 회생 제동 등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시스템이다.
친환경 차량은 배터리 용량에 따라 차량 주행거리가 좌우되므로, 차량의 주행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고가의 고용량 배터리를 채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친환경 차량이 주행 거리 향상을 위해 고가의 고용량 배터리를 적용하게 되는 경우, 친환경 차량 자체의 제품원가가 상승될 수 있으며, 고용량 배터리의 부피 및 무게가 제품의 제원에 반영되어 제품의 스펙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3-0013108
본 발명은 별도의 배터리 추가 증설 없이 사용가능한 배터리 가용량을 보다 효율적으로 증대시켜 배터리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서로 직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셀을 갖는 제1 배터리모듈;
서로 직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셀을 가지며 상기 제1 배터리모듈과 직렬연결된 제2 배터리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모듈 각각의 충전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모듈 중 하나의 충전상태가 기설정된 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배터리모듈의 배터리셀과 상기 제2 배터리모듈의 배터리셀 사이에 액티브 셀밸런싱을 실시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배터리모듈의 출력전압과 상기 제2 배터리모듈의 출력전압을 합산한 전압은 차량의 고전압 부하의 전원 전압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차량이 주행상태이고, 상기 제1 배터리모듈의 충전량이 기준값 이하이며, 상기 제2 배터리모듈의 충전량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액티브 셀밸런싱을 수행하여 상기 제2 배터리모듈에 저장된 에너지로 상기 제1 배터리모듈을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차량이 주행상태이고, 상기 제1 배터리모듈의 충전량이 기준값 이하이며, 상기 제2 배터리모듈의 충전량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력으로 상기 제1 배터리모듈을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배터리모듈의 출력전압은 차량의 저전압 부하의 전원전압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차량이 비주행상태이고, 상기 제2 배터리모듈의 충전량이 기준값 이하이며, 상기 제1 배터리모듈의 충전량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액티브 셀밸런싱을 수행하여 상기 제1 배터리모듈에 저장된 에너지로 상기 제2 배터리모듈을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제2 배터리모듈과 저전압 부하 사이에 연결된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배터리모듈의 충전량이 기준값 이하이고, 상기 제1 배터리모듈의 충전량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스위치를 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서로 직렬 연결된 제1 배터리모듈 및 제2 배터리모듈과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모듈 각각의 충전상태를 감시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모듈 중 하나의 충전상태가 기설정된 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1 배터리모듈의 배터리셀과 상기 제2 배터리모듈의 배터리셀 사이에 액티브 셀밸런싱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액티브 셀밸런싱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컨트롤러가 차량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동작 상태가 차량 주행상태이면,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1 배터리모듈의 충전량과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 배터리모듈의 충전량이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2 배터리모듈의 충전량과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배터리모듈의 충전량이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컨트롤러가 액티브 셀밸런싱을 수행하여 상기 제2 배터리모듈에 저장된 에너지로 상기 제1 배터리모듈을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제2 배터리모듈의 충전량이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컨트롤러는 외부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배터리모듈을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액티브 셀밸런싱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컨트롤러가 차량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동작 상태가 차량 비주행상태이면,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2 배터리모듈의 충전량과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2 배터리모듈의 충전량이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1 배터리모듈의 충전량과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배터리모듈의 충전량이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컨트롤러가 액티브 셀밸런싱을 수행하여 상기 제1 배터리모듈에 저장된 에너지로 상기 제2 배터리모듈을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은 상기 제2 배터리모듈과 저전압 부하 사이에 연결된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배터리모듈의 충전량이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2 배터리모듈의 충전량을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2 배터리모듈의 충전량이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상기 제2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에 따르면, 별도의 배터리 추가 증설 없이 사용가능한 배터리 가용량을 보다 효율적으로 증대시켜 배터리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별도 고가/고부피/고중량의 배터리를 추가 증설하지 않아 원가를 절감시키고 차량의 제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액티브 셀밸런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10)은 제1 배터리모듈(11), 제2 배터리모듈(12), 컨트롤러(13), 제1 스위치(14), 제2 스위치(15), 인버터(16), LDC(17), 고전압부하(18) 및 저전압부하(1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배터리모듈(11)은 서로 직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셀(111)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제1 배터리모듈(1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6.5Ah의 용량을 갖는 8개의 배터리셀이 서로 직렬 연결 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배터리모듈(12)은 서로 직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셀(121)을 가지며 제1 배터리모듈(11)과 직렬 연결된다. 예를 들면, 제2 배터리모듈(12)은 30Ah의 용량을 갖는 8개의 배터리 셀을 포함할 수 있다. 8개의 배터리셀 중 4개의 배터리셀이 서로 직렬연결되며 각각의 직렬연결된 구조는 상호 병렬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터리모듈(11)의 출력전압과 제2 배터리모듈(12)의 출력전압을 합산한 전압은 차량의 고전압부하(18)의 전원 전압(예를 들어, 도 1의 예에서 48V)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제2 배터리모듈(12)의 출력전압은 차량의 저전압부하(19)의 전원 전압(예를 들어, 도 1의 예에서 12V)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배터리모듈의 출력전압을 합산한 전압은 인버터(16)에 의해 교류로 변환되어 차량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의 전원 전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배터리모듈(11)과 고전압부하(18) 사이에는 제1 스위치(14)가 연결될 수 있고, 제2 배터리모듈(12)과 저전압부하(19) 사이에는 제2 스위치(15)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스위치(14, 15)는 릴레이 등과 같은 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스위칭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스위치(14)와 제2 스위치(15)는 컨트롤러(13)에 의해 온/오프가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운행을 위해 모터를 구동하여야 하는 경우, 컨트롤러(13)는 제1 스위치(14)를 온 시켜 제1 배터리모듈(11)과 제2 배터리모듈(12)의 합산 전압이 모터(18) 측으로 제공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컨트롤러(13)는 제2 스위치(15)를 온 시켜 차량의 운행에 필요한 저전압부하로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며, 제2 배터리모듈(12)의 상태(충전량, 온도 등)를 감시하고 필요에 따라 제2 스위치(15)를 오프 시켜 제2 배터리모듈(12)을 보호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더하여, 컨트롤러(13)는 제1 및 제2 배터리모듈(11, 12) 각각의 충전상태(SOC: State Of Charge)를 감시하고, 제1 및 제2 배터리모듈(11, 12) 중 하나의 충전상태가 기설정된 레벨 이하인 경우, 제1 배터리모듈(11)의 배터리셀(111)과 제2 배터리모듈(12)의 배터리셀(121) 사이에 액티브(Active) 셀밸런싱을 실시할 수 있다. 컨트롤러(13)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과 같은 제어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액티브 셀밸런싱은 도 1과 같이 직렬로 연결된 제 1 및 제2 배터리모듈(11, 12) 중 배터리의 SOC가 높은 셀의 에너지를 낮은셀로 이동시켜 SOC의 밸런싱을 맞추는 방식을 말한다.
액티브 셀밸런싱 과정은 도 2 내지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액티브 셀밸런싱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특히 도 2는 차량이 주행 상태인 경우를 도시하고, 도 3은 차량이 ACC/IG/ST 상태인 경우를 도시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차량이 주행 상태일 경우 제1 스위치(14)가 온되어 차량 주행에 필요한 고전압부하(18) 즉, 구동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고 저전압부하(19)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LDC(17)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이때, 차량은 고전압부하(18) 및 LDC(17)에 필요한 전원을 상시 공급하기 때문에 제1 배터리모듈(11)이 방전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13)는 제1 배터리모듈의 충전량을 감시하고, 제1 배터리모듈(11)의 충전량이 기준값 즉, 기설정된 레벨 이하로 방전되면 액티브 셀밸런싱을 수행하여 제2 배터리모듈(12)에 저장된 에너지 중 일부를 제1 배터리모듈(11)로 이동시켜 제1 배터리모듈(11)의 배터리셀(111)을 충전시킴으로써 제1 배터리모듈(11)의 과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차량의 키가 ACC(Accessary) 상태, IG(Ignition) 온/오프 상태, ST(Start) 상태일 경우 제1 스위치(14)가 오프되어 LDC(17)가 미작동된다. 이때, 차량은 제2 배터리모듈(12)로부터 전원 전압을 공급받아 열선, 라디오, 블랙박스 및 외부 장착 부품 등을 포함한 저전압부하(19)를 가동시키고 저전압부하(19)의 소모전류로 인해 제2 배터리모듈(12)이 방전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13)는 제2 배터리모듈(12)의 충전량을 감시하고, 제2 배터리모듈(12)의 충전량이 기설정된 레벨 이하로 방전되면 컨트롤러(13)는 액티브 셀밸런싱을 수행하여 제1 배터리모듈(11)에 저장된 에너지 일부를 제2 배터리모듈(12)로 이동시켜 제2 배터리모듈(12)의 배터리셀(121)을 충전시킴으로써 제2 배터리모듈(12)의 과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러(13)는 제1 및 제2 배터리모듈(11, 12)에 저장된 충전량이 기설정된 레벨 이하로 떨어지지 않고 일정 레벨 이상을 유지하도록 액티브 셀밸런싱을 실시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의 흐름도로서, 특히 도 4는 고전압배터리의 액티브 셀밸런싱 과정을 도시하고, 도 5는 저전압배터리의 액티브 셀밸런싱 과정을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배터리모듈(11, 12) 중 하나의 충전상태가 기설정된 레벨 이하인 경우, 컨트롤러(13)는 제1 배터리모듈(11)의 배터리셀(111)과 제2 배터리모듈(12)의 배터리셀(121) 사이에 액티브 셀밸런싱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컨트롤러(13)는 외부로부터 차량 동작 상태 신호를 수신받는다(S410). 여기서, 차량 동작 상태 신호는 ACC, IG, ST 및 주행 중 어느 하나의 동작 상태 신호에 해당된다.
이때, 컨트롤러(13)에 차량 주행 신호가 수신되면(S420), 컨트롤러(13)는 제1 배터리모듈(11)에 저장된 에너지 충전량과 기준값을 비교한다(S430). 이때, 차량 주행 신호외 다른 신호가 수신되면 컨트롤러(13)는 차량의 상태를 다시 재감시한다.
만약, 제1 배터리모듈(11)의 충전량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하이면, 컨트롤러(13)는 제2 배터리모듈(12)에 저장된 에너지 충전량과 기준값을 비교한다(S440).
이때, 제1 배터리모듈(11)의 충전량이 기준값 이상이면 컨트롤러(13)는 제1 배터리모듈(11)에 저장된 에너지량이 차량의 고전압부하(18)에 공급하고도 충분한 양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1 배터리모듈(11)을 추가적으로 충전시키지 않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컨트롤러(13)는 차량의 상태를 재감시한다.
만약, 제2 배터리모듈(12)의 충전량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컨트롤러(13)는 액티브 셀밸런싱을 수행하여 제2 배터리모듈(12)에 저장된 에너지를 제1 배터리모듈(11)로 이동시켜 충전시킨다(S450).
이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컨트롤러(13)는 차량의 상태를 재감시하여 상기의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배터리모듈(12)의 충전량이 기준값 이하이면, 컨트롤러(13)는 외부 전력을 이용하여 제1 배터리모듈(11)을 충전시킨다(S460). 예를 들면, 배터리 시스템이 적용되는 차량이 엔진과 모터 각각의 구동력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인 경우, 외부 전력은 엔진 구동에 의한 회전력을 알터네이터를 이용하여 변환한 전기 에너지일 수 있다.
이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컨트롤러(13)는 차량의 상태를 재감시하여 상기의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컨트롤러(13)는 외부로부터 차량 동작 상태 신호를 수신받는다(S510).
이때, 컨트롤러(13)에 차량 비주행 상태 신호 즉, ACC, IG, ST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 신호가 수신되면(S520), 컨트롤러(13)는 제2 배터리모듈(12)에 저장된 에너지 충전량과 기준값을 비교한다(S530). 이때, 차량 비주행 신호외 다른 신호가 수신되면 컨트롤러(13)는 차량의 상태를 다시 재확인한다.
만약, 제2 배터리모듈(12)의 충전량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하이면, 컨트롤러(13)는 제1 배터리모듈(11)에 저장된 에너지의 충전량과 기준값을 비교한다(S540).
이때, 제2 배터리모듈(12)의 충전량이 기준값 이상이면, 컨트롤러(13)는 제2 배터리모듈(12)에 저장된 에너지량이 차량의 저전압부하(19)에 공급하고도 충분한 양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2 배터리모듈(12)을 추가적으로 충전시키지 않고,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컨트롤러(13)는 차량의 상태를 재감시한다.
만약, 제1 배터리모듈(11)의 충전량이 기준값 이상이면, 컨트롤러(13)는 액티브 셀밸런싱을 수행하여 제1 배터리모듈(11)에 저장된 에너지를 제2 배터리모듈(12)로 이동시켜 충전시킨다(S550).
이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컨트롤러(13)는 차량의 상태를 재감시하여 상기의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배터리모듈(11)의 충전량이 기준값 이하이면, 컨트롤러(13)는 제2 배터리모듈(12)의 충전량을 기설정된 값과 비교한다(S560). 이때, 제2 배터리모듈(12)의 충전량이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제2 배터리모듈(12)의 추가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제2 스위치(15)를 오프시켜 제2 배터리모듈(12)과 저전압 부하 사이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개방상태가 되게 한다(S57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별도의 배터리 추가 증설 없이 사용가능한 배터리 가용량을 보다 효율적으로 증대시켜 배터리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별도 고가/고부피/고중량의 배터리를 추가 증설하지 않아 원가를 절감시키고 차량의 제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1: 제1 배터리모듈 12: 제2 배터리모듈
111,121: 배터리셀 13: 컨트롤러
14: 제1 스위치 15: 제2 스위치
16: 인버터 17: LDC
18: 고전압부하 19: 저전압부하

Claims (12)

  1. 서로 직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셀을 갖는 제1 배터리모듈;
    서로 직렬 연결된 복수의 배터리셀을 가지며 상기 제1 배터리모듈과 직렬연결된 제2 배터리모듈; 및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모듈 각각의 충전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모듈 중 하나의 충전상태가 기설정된 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배터리모듈의 배터리셀과 상기 제2 배터리모듈의 배터리셀 사이에 액티브 셀밸런싱을 실시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차량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차량의 동작 상태가 비주행상태이고, 상기 제2 배터리모듈의 충전량이 기준값 이하이고, 상기 제1 배터리모듈의 충전량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액티브 셀밸런싱을 수행하여 상기 제1 배터리모듈에 저장된 에너지로 상기 제2 배터리모듈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모듈의 출력전압과 상기 제2 배터리모듈의 출력전압을 합산한 전압은 차량의 고전압 부하의 전원 전압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차량이 주행상태이고, 상기 제1 배터리모듈의 충전량이 기준값 이하이며, 상기 제2 배터리모듈의 충전량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액티브 셀밸런싱을 수행하여 상기 제2 배터리모듈에 저장된 에너지로 상기 제1 배터리모듈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차량이 주행상태이고, 상기 제1 배터리모듈의 충전량이 기준값 이하이며, 상기 제2 배터리모듈의 충전량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력으로 상기 제1 배터리모듈을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배터리모듈의 출력전압은 차량의 저전압 부하의 전원전압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배터리모듈과 저전압 부하 사이에 연결된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배터리모듈의 충전량이 기준값 이하이고, 상기 제1 배터리모듈의 충전량이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
  8. 서로 직렬 연결된 제1 배터리모듈 및 제2 배터리모듈과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모듈 각각의 충전상태를 감시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배터리모듈 중 하나의 충전상태가 기설정된 레벨 이하인 경우,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1 배터리모듈의 배터리셀과 상기 제2 배터리모듈의 배터리셀 사이에 액티브 셀밸런싱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액티브 셀밸런싱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컨트롤러가 차량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동작 상태가 차량 비주행상태이면,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2 배터리모듈의 충전량과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2 배터리모듈의 충전량이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1 배터리모듈의 충전량과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배터리모듈의 충전량이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컨트롤러가 액티브 셀밸런싱을 수행하여 상기 제1 배터리모듈에 저장된 에너지로 상기 제2 배터리모듈을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셀밸런싱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동작 상태가 차량 주행상태이면,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1 배터리모듈의 충전량과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 배터리모듈의 충전량이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2 배터리모듈의 충전량과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배터리모듈의 충전량이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컨트롤러가 액티브 셀밸런싱을 수행하여 상기 제2 배터리모듈에 저장된 에너지로 상기 제1 배터리모듈을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배터리모듈의 충전량이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컨트롤러는 외부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배터리모듈을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11. 삭제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은 상기 제2 배터리모듈과 저전압 부하 사이에 연결된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배터리모듈의 충전량이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2 배터리모듈의 충전량을 기설정된 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2 배터리모듈의 충전량이 기설정된 값 이하이면 상기 제2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KR1020170043881A 2017-04-04 2017-04-04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KR102413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881A KR102413207B1 (ko) 2017-04-04 2017-04-04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US15/693,968 US10513200B2 (en) 2017-04-04 2017-09-01 Vehicle batter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charge of battery in the system
CN201710918053.5A CN108688481B (zh) 2017-04-04 2017-09-29 车辆电池系统和控制该系统中的电池充电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881A KR102413207B1 (ko) 2017-04-04 2017-04-04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923A KR20180112923A (ko) 2018-10-15
KR102413207B1 true KR102413207B1 (ko) 2022-06-27

Family

ID=63672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881A KR102413207B1 (ko) 2017-04-04 2017-04-04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13200B2 (ko)
KR (1) KR102413207B1 (ko)
CN (1) CN1086884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02786B2 (en) * 2016-11-18 2019-12-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including multiple analog switch monitoring system with simultaneous switch-state detection
KR102410515B1 (ko) * 2017-12-07 2022-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제어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CN109910678B (zh) * 2019-03-25 2021-03-30 爱驰汽车有限公司 车载双源电池包的能源充电系统、方法、设备及存储介质
DE102019208280A1 (de) * 2019-06-06 2020-12-10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s Energiespeichersystem und Verfahren zu dessen Betreiben
JP7439663B2 (ja) * 2020-07-07 2024-02-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車両
CN113135254B (zh) * 2021-04-17 2022-07-22 深圳市威特利电源有限公司 一种电动骑行交通工具的追踪充电系统及方法
CN113335068A (zh) * 2021-07-06 2021-09-03 北京汽车集团越野车有限公司 故障诊断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3650527B (zh) * 2021-08-26 2023-07-18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动力电池电压均衡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5946572B (zh) * 2022-11-21 2023-06-30 上海玫克生储能科技有限公司 电池模组的容量计算及补电控制方法、系统、设备和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550B1 (ko) * 2009-11-30 2010-12-14 정윤이 배터리 팩과 이를 포함한 능동형 셀 발란싱 배터리 관리장치
US20140183939A1 (en) * 2012-12-28 2014-07-0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apny Dual Function Battery System and Method
US20150329003A1 (en) * 2014-05-15 2015-11-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ic vehicle operation to manage battery capacity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86780B2 (ja) * 2008-07-01 2014-05-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池システム
US8541979B2 (en) * 2010-06-22 2013-09-24 A123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balancing voltage of individual battery cells within a battery pack
US8427107B2 (en) * 2010-06-22 2013-04-23 A 123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extending the usable capacity of a battery pack via controlling battery current through different current paths
CN102064580A (zh) * 2010-12-14 2011-05-18 宁波飞驰达电子科技发展有限公司 串联电池组充电平衡系统及其充电平衡方法
US9371067B2 (en) * 2011-03-31 2016-06-21 Elite Power Solutions Llc Integrated battery control system
KR101811062B1 (ko) 2011-07-27 2017-12-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이차전지 배터리의 균등화 장치
JP5821619B2 (ja) 2011-12-26 2015-11-24 ソニー株式会社 電力貯蔵装置、電力システムおよび電動車両
KR101497602B1 (ko) * 2012-05-02 2015-03-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밸런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밸런싱 방법
US9302595B2 (en) * 2013-01-16 2016-04-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utonomous charge balancing circuit and method for battery pack
US9403443B2 (en) * 2014-01-14 2016-08-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harge balance system and method
US9718455B2 (en) * 2014-02-20 2017-08-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tive battery parameter identification using conditional extended kalman filter
US9272634B2 (en) * 2014-02-20 2016-03-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tive battery system estimation request generation
KR101558797B1 (ko) * 2014-08-12 2015-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행거리 연장을 위한 배터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0703211B2 (en) * 2015-03-16 2020-07-07 Thunder Power New Energy Vehicle Development Company Limited Battery pack, battery charging station, and charging method
GB2536657A (en) 2015-03-24 2016-09-28 Jaguar Land Rover Ltd Auxiliary battery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GB201514330D0 (en) * 2015-08-12 2015-09-23 Isis Innovation Smart cells and control methods and systems
US9912177B2 (en) * 2016-06-17 2018-03-06 Qualcomm Incorporated Single transformer high-power balanc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550B1 (ko) * 2009-11-30 2010-12-14 정윤이 배터리 팩과 이를 포함한 능동형 셀 발란싱 배터리 관리장치
US20140183939A1 (en) * 2012-12-28 2014-07-0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apny Dual Function Battery System and Method
US20150329003A1 (en) * 2014-05-15 2015-11-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ic vehicle operation to manage battery capac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923A (ko) 2018-10-15
CN108688481A (zh) 2018-10-23
US20180281616A1 (en) 2018-10-04
US10513200B2 (en) 2019-12-24
CN108688481B (zh) 2023-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3207B1 (ko)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US8193761B1 (en) Hybrid power source
US7832513B2 (en) Vehicular electrica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2237706B (zh) 具有多个蓄电池的电源单元
KR102016752B1 (ko)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 제어방법
US9895982B2 (en) Vehicle driving system and method
US201602214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power management
CN110303944B (zh) 一种电动汽车快速充电系统及方法
US9431180B2 (en) Energy storage arrangement
WO2011102458A1 (ja) 電源システム、及び、電気自動車
EP2596982A2 (en) Power supply system for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473487B1 (en) Battery system for vehicle
JP2011072153A (ja) 車両用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並びに車両用電源装置の容量均等化方法
KR19990037523A (ko)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견인 배터리 모듈의 충전 용량 유지방법
US11097634B2 (en) Start control system of vehicl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US20130057213A1 (en) Battery monitoring and charging system and motor-driven vehicle
CN107919723B (zh) 用于控制辅助电池的继电器的系统及方法
US9931949B2 (en) Fault detection in a multi-high voltage bus system
US6777912B1 (en) Power source system for driving vehicle
KR101353953B1 (ko) 전기 차량의 전력 공급을 위한 릴레이 장치 및 그 구동 제어 방법
CN104908604B (zh) 机载电网
KR101866001B1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직류 변환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11152668B (zh) 适用于马达驱动设备的双重混合电池组
KR101816040B1 (ko) 배터리 밸런싱 장치
KR20210115269A (ko) 모터 구동체 적용 더블 하이브리드 배터리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