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914B1 - 원단 권취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단 권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914B1
KR102412914B1 KR1020210194236A KR20210194236A KR102412914B1 KR 102412914 B1 KR102412914 B1 KR 102412914B1 KR 1020210194236 A KR1020210194236 A KR 1020210194236A KR 20210194236 A KR20210194236 A KR 20210194236A KR 102412914 B1 KR102412914 B1 KR 102412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support
sliding groove
winding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4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주
Original Assignee
이병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주 filed Critical 이병주
Priority to KR1020210194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9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transverse stationary or adjust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 B65H2301/44324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4Textile, fibre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하면서 전선이 인입(引入)되어 설치되는 벨트형 원단을 원단의 너비에 상관 없이 권취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원단 권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회전하면서 전선이 인입(引入)되어 설치되는 벨트형 원단을 권취하는 제1 권취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단 권취 시스템{Fabric Winding System}
본 발명은 원단 권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하면서 전선이 인입(引入)되어 설치되는 벨트형 원단을 원단의 너비에 상관 없이 권취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원단 권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 권취드럼은 전선을 용이하게 운반 또는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 나무와 금속으로 만들어진 원통 북 모양의 얼레 틀이다. 이와 같은 전 선권취드럼은 얼에 감겨지는 전선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중량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전선 포설 작업시 전선은 드럼에 감겨져 있는 상태로 현장에 입고되고, 이 드럼을 회전시켜 전선을 풀 수 있도록 드럼을 제작하여서 작업을 하게 된다. 하지만 드럼이 무거운 경우에는 드럼을 회전시키기 힘들어 전선을 여러 사람이 당기거나 멈추면서 드럼의 회전속도를 조절해야 하므로 작업이 위험하고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처럼 고중량의 전선 권취드럼에 감겨진 전선을 푸는 작업은 많은 노동력을 요하게 된다. 또 전선 권취드럼을 푸는 속도를 제어하기 어려워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이 야기되는 실정이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26977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91145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회전하면서 전선이 인입(引入)되어 설치되는 벨트형 원단을 원단의 너비에 상관 없이 권취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원단 권취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 권취 시스템은, 회전하면서 전선이 인입(引入)되어 설치되는 벨트형 원단을 권취하는 제1 권취 장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 권취 시스템은, 상기 제1 권취 장치로 공급될 원단이 권취되어 있는 권취롤이 설치되며, 회전 구동되어 원단을 상기 제1 권취 장치로 공급하는 원단 공급 장치; 및 상기 제1 권취 장치와 대향하면서 설치되며, 상기 제1 권취 장치의 권취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제1 권취 장치에 권취되어 있는 원단을 전달받아 권취하는 제2 권취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단 권취 시스템은, 상기 제1 권취 장치와 상기 원단 공급 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원단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제1 권취 장치로 공급 중인 원단이 바닥면에 쓸리지 않도록 원단을 바닥면으로부터 상승시켜 지지하는 원단 유도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원단 유도 장치는, 바닥면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1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와 대향하면서 바닥면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2 지지대; 및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의 각 상측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원단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제1 권취 장치로 공급 중인 원단을 회전하면서 지지하는 지지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상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1 수직 지지부; 상기 제1 수직 지지부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단이 상기 제1 수직 지지부의 상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제2 수직 지지부; 및 상단에 상기 지지 롤러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수직 지지부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단이 상기 제2 수직 지지부의 상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제3 수직 지지부;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수직 지지부는,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상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1 수직 프레임; 상기 제2 수직 지지부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의 상단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직 슬라이딩홈; 상기 제1 수직 슬라이딩홈의 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전단 슬라이딩홈;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는 제1 권취 롤러; 및 일단이 상기 제1 권취 롤러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권취 롤러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권취 롤러로 권취되거나 상기 제1 권취 롤러로부터 권출되는 제1 구동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수직 지지부는, 상기 제1 수직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수직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수직 프레임; 상기 제3 수직 지지부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상단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수직 슬라이딩홈; 상기 제2 수직 슬라이딩홈의 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전단 슬라이딩홈;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전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전단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제1 구동 와이어의 타단이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구동 와이어가 상기 제1 권취 롤러에 권취됨에 따라 상기 제1 전단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승되고, 상기 제1 구동 와이어가 상기 제1 권취 롤러로부터 권출됨에 따라 상기 제1 전단 슬라이딩홈을 따라 하강되는 제2 전단 돌기; 상기 제2 전단 돌기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2 권취 롤러; 일단이 상기 제2 권취 롤러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권취 롤러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권취 롤러로 권취되거나 상기 제2 권취 롤러로부터 권출되는 제2 구동 와이어; 상기 제1 수직 슬라이딩홈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주는 제2 하단 지지 스프링; 및 상기 제1 전단 슬라이딩홈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전단 돌기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2 전단 돌기의 하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전단 돌기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주는 제2 전단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수직 지지부는, 상기 제2 수직 슬라이딩홈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상단에 상기 지지 롤러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수직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상기 제2 수직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3 수직 프레임; 상기 제3 수직 프레임의 전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전단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제2 구동 와이어의 타단이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구동 와이어가 상기 제2 권취 롤러에 권취됨에 따라 상기 제2 전단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승되고, 상기 제2 구동 와이어가 상기 제2 권취 롤러로부터 권출됨에 따라 상기 제2 전단 슬라이딩홈을 따라 하강되는 제3 전단 돌기; 상기 제2 수직 슬라이딩홈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3 수직 프레임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3 수직 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3 수직 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주는 제3 하단 지지 스프링; 및 상기 제2 전단 슬라이딩홈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3 전단 돌기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3 전단 돌기의 하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3 전단 돌기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주는 제3 전단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구동 와이어는, 타단이 상기 제1 전단 슬라이딩홈의 상측을 통해 상기 제1 전단 슬라이딩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 전단 돌기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구동 와이어는, 타단이 상기 제2 전단 슬라이딩홈의 상측을 통해 상기 제2 전단 슬라이딩홈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3 전단 돌기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회전하면서 전선이 인입(引入)되어 설치되는 벨트형 원단을 원단의 너비에 상관 없이 권취 공정을 수행할 수 있어 권취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 권취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 공급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권취 장치와 제2 권취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제1 권취 장치에 의한 원단의 권취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단 권취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제1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제1 지지대의 다단 신장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 권취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 권취 시스템(10)은, 제1 권취 장치(100)를 포함한다.
제1 권취 장치(100)는, 회전하면서 전선이 인입(引入)되어 설치되는 벨트형 원단(P)을 후술하는 원단 공급 장치(200) 등으로 전달받아 권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권취 장치(100)는, 회전 구동되면서 권취해 둔 원단(P)을 후술하는 제2 권취 장치(300)로 다시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 권취 시스템(10)은, 원단 공급 장치(200) 및 제2 권취 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원단 공급 장치(200)는, 제1 권취 장치(100)로 공급될 원단(P)이 권취되어 있는 권취롤(R)이 설치되며, 회전 구동되어 원단(P)을 제1 권취 장치(100)로 공급한다.
제2 권취 장치(300)는, 제1 권취 장치(100)와 대향하면서 설치되며, 제1 권취 장치(100)의 권취 공정이 완료된 후 제1 권취 장치(100)에 권취되어 있는 원단(P)을 전달받아 권취한다.
이때, 제1 권취 장치(100)와 제2 권취 장치(300)는, 원단(P)의 권취 공정이 수행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P)의 일단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110, 310)가 장치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원단(P)의 권취 공정이 시작되면 체결부(110, 310)가 장치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원단(P)의 일단을 체결한 상태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원단(P)을 권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 권취 시스템(10)은, 회전하면서 전선이 인입(引入)되어 설치되는 벨트형 원단을 원단의 너비에 상관 없이 권취 공정을 수행할 수 있어 권취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단 권취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단 권취 시스템(20)은, 제1 권취 장치(100), 원단 공급 장치(200), 제2 권취 장치(3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단 유도 장치(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권취 장치(100), 원단 공급 장치(200) 및 제2 권취 장치(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원단 유도 장치(400)는, 제1 권취 장치(100)와 원단 공급 장치(200) 사이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원단 공급 장치(200)로부터 제1 권취 장치(100)로 공급 중인 원단(P)이 바닥면에 쓸리지 않도록 원단(P)을 바닥면으로부터 상승시켜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원단 유도 장치(400)는, 제1 지지대(500), 제2 지지대(600) 및 지지 롤러(7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대(500)는, 제2 지지대(600)와 대향하면서 바닥면에 직립되어 설치되어 지지 롤러(700)의 일측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대(500)는, 제1 수직 지지부(510), 제2 수직 지지부(520), 제3 수직 지지부(530) 및 안착 플레이트(540)를 포함한다.
안착 플레이트(54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며, 상측에 제1 수직 지지부(510)가 직립되어 고정 설치된다.
제1 수직 지지부(510)는, 안착 플레이트(540)의 상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며, 제2 수직 지지부(520)가 상하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2 수직 지지부(520)는, 제1 수직 지지부(510)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단이 제1 수직 지지부(510)의 상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며, 제3 수직 지지부(530)가 상하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3 수직 지지부(530)는, 상단에 지지 롤러(700)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2 수직 지지부(520)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단이 제2 수직 지지부(520)의 상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한다.
여기서, 제2 수직 지지부(520)와 제3 수직 지지부(530)는, 제2 지지대(600)가 상승 또는 하강에 대응하여 동일한 속도로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지지 롤러(700)가 수평을 이루면서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제2 지지대(600)는, 제1 지지대 (500)와 대향하면서 바닥면에 직립되어 설치되며, 지지 롤러(700)의 타측을 지지한다.
여기서, 제2 지지대(600)는, 상술한 제1 지지대(500)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지지대(500)의 제1 수직 지지부(510), 제2 수직 지지부(520), 제3 수직 지지부(530) 및 안착 플레이트(540) 등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지지 롤러(700)는, 제1 지지대(500)와 제2 지지대(600)의 각 상측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원단 공급 장치(200)로부터 제1 권취 장치(100)로 공급 중인 원단(P)을 회전하면서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단 권취 시스템(20)은, 원단 공급 장치(200)로부터 제1 권취 장치(100)로 공급 중인 원단(P)이 바닥면에 쓸리지 않도록 원단(P)을 바닥면으로부터 상승시켜 지지함으로써, 원단(P)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단(P)의 완성 품질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제1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지지대(500)의 제1 수직 지지부(510)는, 제1 수직 프레임(511), 제1 수직 슬라이딩홈(512), 제1 전단 슬라이딩홈(513), 제1 권취 롤러(514) 및 제1 구동 와이어(515)를 포함한다.
제1 수직 프레임(511)은, 안착 플레이트(540)의 상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며, 제1 수직 슬라이딩홈(512), 제1 전단 슬라이딩홈(513), 제1 권취 롤러(514) 및 제1 구동 와이어(515)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제1 수직 슬라이딩홈(512)은, 제2 수직 지지부(520), 즉 제2 수직 프레임(521)이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수직 프레임(511)의 상단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제1 수직 프레임(511)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전단 슬라이딩홈(513)은, 제2 전단 돌기(524)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수직 슬라이딩홈(512)의 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권취 롤러(514)는, 스텝 모터 등의 구동장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제1 수직 프레임(511)의 전단에 설치되어 제1 구동 와이어(515)의 일단을 권취 또는 권출시켜 준다.
제1 구동 와이어(515)는, 일단이 제1 권취 롤러(514)에 설치되어 제1 권취 롤러(514)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권취 롤러(514)로 권취되거나 제1 권취 롤러(514)로부터 권출되고, 타단이 제1 수직 프레임(511)의 내측을 따라 제1 전단 슬라이딩홈(513)의 상측까지 설치된 뒤 제1 전단 슬라이딩홈(513)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1 전단 슬라이딩홈(513)에 안착되는 제2 전단 돌기(524)의 상측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구동 와이어(515)는, 타단이 제1 전단 슬라이딩홈(513)의 상측을 통해 제1 전단 슬라이딩홈(513)으로 삽입되어 제2 전단 돌기(524)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 와이어(515)가 제1 권취 롤러(514)에 권취됨에 따라 제2 전단 돌기(524)를 상승시켜 제2 수직 프레임(521)이 상승되도록 하고, 제1 권취 롤러(514)가 권취되어 있던 제1 구동 와이어(515)를 권출시켜 줌에 따라 제2 전단 돌기(524)를 하강시켜 제2 수직 프레임(521)이 하강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수직 지지부(520)는, 제2 수직 프레임(521), 제2 수직 슬라이딩홈(522), 제2 전단 슬라이딩홈(523), 제2 전단 돌기(524), 제2 권취 롤러(525), 제2 구동 와이어(526), 제2 하단 지지 스프링(527) 및 제2 전단 지지 스프링(528)을 포함한다.
제2 수직 프레임(521)은, 제1 수직 슬라이딩홈(512)에 안착되어 제1 수직 슬라이딩홈(51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제2 수직 슬라이딩홈(522), 제2 전단 슬라이딩홈(523), 제2 전단 돌기(524), 제2 권취 롤러(525), 제2 구동 와이어(526), 제2 하단 지지 스프링(527) 및 제2 전단 지지 스프링(528)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제2 수직 슬라이딩홈(522)은, 제3 수직 지지부(530), 즉 제3 수직 프레임(531)이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수직 프레임(521)의 상단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제2 수직 프레임(521)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전단 슬라이딩홈(523)은, 제3 전단 돌기(532)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2 수직 슬라이딩홈(522)의 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전단 돌기(524)는, 제2 수직 프레임(521)의 전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제1 전단 슬라이딩홈(513)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제1 구동 와이어(515)의 타단이 상측에 설치되어 제1 구동 와이어(515)가 제1 권취 롤러(514)에 권취됨에 따라 제1 전단 슬라이딩홈(513)을 따라 상승되고, 제1 구동 와이어(515)가 제1 권취 롤러(514)로부터 권출됨에 따라 제1 전단 슬라이딩홈(513)을 따라 하강된다.
제2 권취 롤러(525)는, 스텝 모터 등의 구동장치(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 구동되며, 제2 전단 돌기(524)의 내측에 설치되어 제2 구동 와이어(526)의 일단을 권취 또는 권출시켜 준다.
제2 구동 와이어(526)는, 일단이 제2 권취 롤러(525)에 설치되어 제2 권취 롤러(525)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2 권취 롤러(525)로 권취되거나 제2 권취 롤러(525)로부터 권출되고, 타단이 제2 수직 프레임(521)의 내측을 따라 제2 전단 슬라이딩홈(523)의 상측까지 설치된 뒤 제2 전단 슬라이딩홈(523)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제2 전단 슬라이딩홈(523)에 안착되는 제3 전단 돌기(532)의 상측에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구동 와이어(526)는, 타단이 제2 전단 슬라이딩홈(523)의 상측을 통해 제2 전단 슬라이딩홈(523)으로 삽입되어 제3 전단 돌기(532)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동 와이어(526)가 제2 권취 롤러(525)에 권취됨에 따라 제3 전단 돌기(532)를 상승시켜 제3 수직 프레임(531)이 상승되도록 하고, 제2 권취 롤러(525)가 권취되어 있던 제2 구동 와이어(526)를 권출시켜 줌에 따라 제3 전단 돌기(532)를 하강시켜 제3 수직 프레임(531)이 하강 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하단 지지 스프링(527)은, 제1 수직 슬라이딩홈(512)의 하측에 설치되어 제2 수직 프레임(521)이 하강함에 따라 제2 수직 프레임(521)의 하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제2 수직 프레임(52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제2 전단 지지 스프링(528)은, 제1 전단 슬라이딩홈(513)의 하측에 설치되어 제2 전단 돌기(524)가 하강함에 따라 제2 전단 돌기(524)의 하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제2 전단 돌기(524)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 수직 지지부(530)는, 제3 수직 프레임(531), 제3 전단 돌기(532), 제3 하단 지지 스프링(533) 및 제3 전단 지지 스프링(534)을 포함한다.
제3 수직 프레임(531)은, 제2 수직 슬라이딩홈(522)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상단에 지지 롤러(700)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2 수직 슬라이딩홈(522)에 안착되어 제2 수직 슬라이딩홈(52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제3 전단 돌기(532), 제3 하단 지지 스프링(533) 및 제3 전단 지지 스프링(534) 등의 구성들이 설치된다.
제3 전단 돌기(532)는, 제3 수직 프레임(531)의 전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제2 전단 슬라이딩홈(523)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제2 구동 와이어(526)의 타단이 상측에 설치되어 제2 구동 와이어(526)가 제2 권취 롤러(525)에 권취됨에 따라 제2 전단 슬라이딩홈(523)을 따라 상승되고, 제2 구동 와이어(526)가 제2 권취 롤러(525)로부터 권출됨에 따라 제2 전단 슬라이딩홈(523)을 따라 하강된다.
제3 하단 지지 스프링(533)은, 제2 수직 슬라이딩홈(522)의 하측에 설치되어 제3 수직 프레임(531)이 하강함에 따라 제3 수직 프레임(531)의 하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제3 수직 프레임(531)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제3 전단 지지 스프링(534)은, 제2 전단 슬라이딩홈(523)의 하측에 설치되어 제3 전단 돌기(532)가 하강함에 따라 제3 전단 돌기(532)의 하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제3 전단 돌기(532)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원단 권취 시스템
100: 제1 권취 장치
200: 원단 공급 장치
300: 제2 권취 장치
400: 원단 유도 장치
500: 제1 지지대
600: 제2 지지대
700: 지지 롤러

Claims (3)

  1. 회전하면서 전선이 인입(引入)되어 설치되는 벨트형 원단을 권취하는 제1 권취 장치;
    상기 제1 권취 장치로 공급될 원단이 권취되어 있는 권취롤이 설치되며, 회전 구동되어 원단을 상기 제1 권취 장치로 공급하는 원단 공급 장치;
    상기 제1 권취 장치와 대향하면서 설치되며, 상기 제1 권취 장치의 권취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제1 권취 장치에 권취되어 있는 원단을 전달받아 권취하는 제2 권취 장치; 및
    상기 제1 권취 장치와 상기 원단 공급 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원단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제1 권취 장치로 공급 중인 원단이 바닥면에 쓸리지 않도록 원단을 바닥면으로부터 상승시켜 지지하는 원단 유도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원단 유도 장치는,
    바닥면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1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와 대향하면서 바닥면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2 지지대; 및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의 각 상측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원단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제1 권취 장치로 공급 중인 원단을 회전하면서 지지하는 지지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안착 플레이트;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상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1 수직 지지부;
    상기 제1 수직 지지부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단이 상기 제1 수직 지지부의 상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제2 수직 지지부; 및
    상단에 상기 지지 롤러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수직 지지부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단이 상기 제2 수직 지지부의 상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제3 수직 지지부;는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직 지지부는,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상측에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1 수직 프레임;
    상기 제2 수직 지지부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의 상단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수직 슬라이딩홈;
    상기 제1 수직 슬라이딩홈의 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전단 슬라이딩홈;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는 제1 권취 롤러; 및
    일단이 상기 제1 권취 롤러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권취 롤러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권취 롤러로 권취되거나 상기 제1 권취 롤러로부터 권출되는 제1 구동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수직 지지부는,
    상기 제1 수직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수직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수직 프레임;
    상기 제3 수직 지지부가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상단으로 개구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수직 슬라이딩홈;
    상기 제2 수직 슬라이딩홈의 전단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전단 슬라이딩홈;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전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전단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제1 구동 와이어의 타단이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구동 와이어가 상기 제1 권취 롤러에 권취됨에 따라 상기 제1 전단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승되고, 상기 제1 구동 와이어가 상기 제1 권취 롤러로부터 권출됨에 따라 상기 제1 전단 슬라이딩홈을 따라 하강되는 제2 전단 돌기;
    상기 제2 전단 돌기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2 권취 롤러;
    일단이 상기 제2 권취 롤러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권취 롤러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권취 롤러로 권취되거나 상기 제2 권취 롤러로부터 권출되는 제2 구동 와이어;
    상기 제1 수직 슬라이딩홈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주는 제2 하단 지지 스프링; 및
    상기 제1 전단 슬라이딩홈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전단 돌기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2 전단 돌기의 하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전단 돌기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주는 제2 전단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수직 지지부는,
    상기 제2 수직 슬라이딩홈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상단에 상기 지지 롤러의 일측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수직 슬라이딩홈에 안착되어 상기 제2 수직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3 수직 프레임;
    상기 제3 수직 프레임의 전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전단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제2 구동 와이어의 타단이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구동 와이어가 상기 제2 권취 롤러에 권취됨에 따라 상기 제2 전단 슬라이딩홈을 따라 상승되고, 상기 제2 구동 와이어가 상기 제2 권취 롤러로부터 권출됨에 따라 상기 제2 전단 슬라이딩홈을 따라 하강되는 제3 전단 돌기;
    상기 제2 수직 슬라이딩홈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3 수직 프레임이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3 수직 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3 수직 프레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주는 제3 하단 지지 스프링; 및
    상기 제2 전단 슬라이딩홈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3 전단 돌기가 하강함에 따라 상기 제3 전단 돌기의 하측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3 전단 돌기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주는 제3 전단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는, 원단 권취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10194236A 2021-12-31 2021-12-31 원단 권취 시스템 KR102412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236A KR102412914B1 (ko) 2021-12-31 2021-12-31 원단 권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236A KR102412914B1 (ko) 2021-12-31 2021-12-31 원단 권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2914B1 true KR102412914B1 (ko) 2022-06-23

Family

ID=82221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4236A KR102412914B1 (ko) 2021-12-31 2021-12-31 원단 권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9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902B1 (ko) * 2023-08-10 2023-11-16 이중태 권취 및 비닐 래핑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6090A (ja) * 1995-06-07 1999-06-02 ムーア ビジネス フォーム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ロールからウエブを供給するためのアセンブリ
JP2000318924A (ja) * 1999-05-10 2000-11-21 Nitta Ind Corp 緯糸巻き取り機
KR200291145Y1 (ko) 2002-07-04 2002-10-11 임용호 전선권취장치
KR20120052055A (ko) * 2010-11-15 2012-05-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리프트의 위치 조절장치
KR101726977B1 (ko) 2016-04-20 2017-04-13 신중근 전기 모터식 전선권취용 분리형 드럼장치
KR20180046621A (ko) * 2016-10-28 2018-05-09 (주)에스알산업 원단롤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6090A (ja) * 1995-06-07 1999-06-02 ムーア ビジネス フォーム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ロールからウエブを供給するためのアセンブリ
JP2000318924A (ja) * 1999-05-10 2000-11-21 Nitta Ind Corp 緯糸巻き取り機
KR200291145Y1 (ko) 2002-07-04 2002-10-11 임용호 전선권취장치
KR20120052055A (ko) * 2010-11-15 2012-05-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리프트의 위치 조절장치
KR101726977B1 (ko) 2016-04-20 2017-04-13 신중근 전기 모터식 전선권취용 분리형 드럼장치
KR20180046621A (ko) * 2016-10-28 2018-05-09 (주)에스알산업 원단롤 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902B1 (ko) * 2023-08-10 2023-11-16 이중태 권취 및 비닐 래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2914B1 (ko) 원단 권취 시스템
CN102992107A (zh) 重力弹簧张力放线架
JP5342873B2 (ja) 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昇降装置及び日射遮蔽材の支持装置
JP5308691B2 (ja) 昇降装置
JP4856986B2 (ja) 横型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駆動装置
JP6473313B2 (ja) 遮蔽装置
JP2000130052A (ja) 日射遮蔽材の昇降装置
CN217051418U (zh) 一种剧场舞台用电动式卷扬吊杆装置
KR101704272B1 (ko) 자동차용 전동식 도어 커튼 장치
JP3273007B2 (ja) たくし上げカーテン
JP2902251B2 (ja) 巻上型ブラインド
JP2021109766A (ja) 昇降装置
US1786084A (en) Porch curtain
JP3261106B2 (ja) 横型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角度調節装置
JP5875789B2 (ja) ロープ据付方法
JP4873841B2 (ja) 日射遮蔽装置
JP2006149717A (ja) 舞台幕折上げ昇降装置
CN219341072U (zh) 收卷机
JP4174465B2 (ja) 複数パネルからなる舞台装置
CN220998738U (zh) 一种工程测绘放线装置
JP2010261174A (ja) 日射遮蔽装置の操作装置
US858917A (en) Window-screen.
CN219778124U (zh) 一种生产线控制装置
JPH06210075A (ja) 舞台吊物機構
JP3686200B2 (ja) 舞台の音響反射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