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639B1 - 폴더블 스티어링 휠 - Google Patents

폴더블 스티어링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639B1
KR102412639B1 KR1020210047897A KR20210047897A KR102412639B1 KR 102412639 B1 KR102412639 B1 KR 102412639B1 KR 1020210047897 A KR1020210047897 A KR 1020210047897A KR 20210047897 A KR20210047897 A KR 20210047897A KR 102412639 B1 KR102412639 B1 KR 102412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grip
steering wheel
rotation guide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에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에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에이피
Priority to KR1020210047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6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6Adaptations on rotatable parts of the steering wheel for accommodation of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10Hubs; Connecting hubs to steering columns, e.g. adjustable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블 스티어링 휠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요청에 따라 스티어링 휠이 접혀지도록 하여, 운전석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폴더블 스티어링 휠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 2 그립부가 접혀지도록 구성되므로, 운전석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2 그립부가 접히도록 하는 회전수단은 매우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므로, 현재 양산 중인 차종에 바로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폴더블 스티어링 휠{Foldable steering wheel}
본 발명은 폴더블 스티어링 휠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요청에 따라 스티어링 휠이 접혀지도록 하여, 운전석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폴더블 스티어링 휠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운전을 위하여 운전자가 직접 운전하지 않고 원하는 목적지까지 자율 주행으로 운행할 수 있는 자율주행차량의 개발이 왕성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 자율주행 자동차의 상용화 시작 시기는 2030년으로 보고 있으며, 이때 본격적으로 시장에 출시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자율주행 자동차의 기술적 단계는 0~5단계로 구분되는데 4단계인 운전자 조작 없이 주행 가능한 수준으로 2025년까지 발전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자율주행 자동차는 도시의 공간,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큰 변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측되며, 이에 관련된 연구 필요성 및 중요성 또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한편, 차량의 운전석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조향신호를 입력받는 스티어링휠 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스티어링 휠은 차량의 방향 전환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핸들의 조작으로 발생된 회전력이 스티어링 샤프트를 통해 기어 장치에 전달이 되고 기어장치가 타이로드를 움직여 바퀴를 회전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자율 주행 차량의 자율주행 모드에서는 차량 조향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스티어링 휠 또한 필요하지 않으나, 운전석에는 여전히 스티어링 휠이 배치되어 있어, 운전석의 공간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자율 주행 모드에서 운전석의 공간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한 새로운 스티어링 휠이 필요한 실정이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218341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의 요청에 따라 스티어링 휠이 접혀지도록 하여, 운전석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폴더블 스티어링 휠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스티어링 휠은 저면에 스티어링 컬럼이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구비되는 연장부를 갖는 몸체부재; 운전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반원형의 호 형태로 형성되며 양 단부가 상기 연장부의 양측 전방에 연결되는 제 1 그립부; 운전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반원형의 호 형태로 형성되며 양 단부가 상기 연장부의 양측 후방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 2 그립부; 및 상기 연장부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 2 그립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방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 1 연장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방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 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그립부는 상기 제 1 연장부의 양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그립부는 상기 제 2 연장부의 양측에 위치되고,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제 2 연장부의 일측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액츄에이터; 및 일단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이동로드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2 그립부에 연결되는 회전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로드의 전후 이동에 의하여 상기 회전운동부가 회전되면, 상기 제 2 그립부가 하방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운동부는, 상기 이동로드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링크와, 일단부가 상기 링크와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회전안내부와, 상기 제 2 그립부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제 1 회전안내부를 향하도록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회전안내부와, 상기 제 1 회전안내부와 상기 제 2 회전안내부를 일체로 연결시키되 축 역할을 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로드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링크를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제 1 회전안내부가 상기 회전축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제 2 회전안내부를 회전시켜서, 상기 제 2 그립부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 1 회전안내부의 상단에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연장부에는 상기 링크가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오목부가 형성되되, 상기 오목부의 양측 상부에 상기 회전축이 안착되고, 상기 오목부의 양측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회전축을 덮도록 회전지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폴더블 스티어링 휠을 이용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이 자율주행모드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차량이 자율주행모드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회전수단을 조작하여 상기 제 2 그립부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폴더블 스티어링 휠을 이용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이 파킹모드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차량이 파킹모드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회전수단을 조작하여 상기 제 2 그립부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스티어링 휠은 제 2 그립부가 접혀지도록 구성되므로, 운전석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2 그립부가 접히도록 하는 회전수단은 매우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므로, 현재 양산 중인 차종에 바로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지지부가 회전축을 덮도록 구성되므로, 차량의 진동 등이 회전축으로 전해진다 하더라도 회전축은 외부 이탈 없이 안전하게 회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율주행모드로 전환되면 운전자는 운전 중 차량을 조작할 필요가 거의 없으므로 제 2 그립부를 하방으로 회전시켜서 운전석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이 파킹모드로 전환되면, 운전자는 운전 중 차량을 조작할 필요가 전혀 없으므로 제 2 그립부를 하방으로 회전시켜서 운전자가 보다 용이하게 하차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스티어링 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스티어링 휠의 제 2 연장부에 위치되는 회전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스티어링 휠의 제 2 연장부에 위치되는 회전수단의 수직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스티어링 휠의 제 2 연장부에 위치되는 회전수단의 수평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스티어링 휠의 제 2 그립부가 회전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5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스티어링 휠의 제 2 그립부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스티어링 휠의 제 2 그립부가 회전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6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스티어링 휠의 제 2 그립부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스티어링 휠의 제 2 그립부가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스티어링 휠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스티어링 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티어링 휠(100)은 몸체부재(110), 제 1 그립부(120), 제 2 그립부(122) 및 회전수단(130)을 포함한다. 몸체부재(110)는 몸체부(112) 및 연장부(114)를 포함한다. 몸체부(112)는 상측으로는 에어백(미도시)이 장착되며, 저면에 스티어링 컬럼(미도시)이 결합된다. 연장부(114)는 몸체부(112)의 양측에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 1 그립부(120)는 운전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반원형의 호 형태로 형성되며 양 단부가 연장부(114)의 양측 전방에 연결된다. 제 2 그립부(122)는 운전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반원형의 호 형태로 형성되며 양 단부가 연장부(114)의 양측 후방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본 발명에서 전방이라 함은 차량의 윈드실드(미도시)와 가까워지는 방향을 일컫고, 후방이라 함은 차량의 윈드실드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일컫는다.
회전수단(130)은 연장부(114)에 지지된 상태로 제 2 그립부(122)를 회전시켜서 제 2 그립부(122)가 접혀지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스티어링 휠의 제 2 연장부에 위치되는 회전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스티어링 휠의 제 2 연장부에 위치되는 회전수단의 수직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스티어링 휠의 제 2 연장부에 위치되는 회전수단의 수평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 및 추가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연장부(114)는, 몸체부(112)의 전방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 1 연장부(114a)와, 몸체부(112)의 후방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 2 연장부(114b)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 1 연장부(114a)와 제 2 연장부(114b)는 상호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고, 각각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 1 그립부(120)는 제 1 연장부(114a)의 양측에 연결되고, 제 2 그립부(122)는 제 2 연장부(114b)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제 2 연장부(114b)의 내부에 회전수단(130)이 위치되며, 회전수단(130)을 덮도록 제 2 연장부(114b)의 상부에 연장커버(114b-1)가 위치될 수 있다.
회전수단(130)은 액츄에이터(140) 및 회전운동부(150)를 포함한다. 액츄에이터(140)는 제 2 연장부(114b)의 일측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액츄에이터(140)는 예를 들면 유압 또는 공압 또는 전기 등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링크(152)를 전후 이동시키는 것으로, 제 2 연장부(114b)의 일측 내부에 고정되는 실린더(142)와, 실린더(142)의 후방에 위치되는 이동로드(144)를 포함한다. 그리고 실린더(142)로 전달되는 유압, 공압 등에 의하여 이동로드(144)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회전운동부(150)는 일단부는 액츄에이터(140)의 이동로드(144)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 2 그립부(122)에 연결된다. 그리고 이동로드(144)의 전후 이동에 의하여 회전운동부(150)가 회전되면, 제 2 그립부(122)가 하방으로 회전된다. 즉, 회전운동부(150)는 이동로드(144)의 전후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킨다. 이러한 회전운동부(150)는 링크(152), 제 1 회전안내부(154), 제 2 회전안내부(156) 및 회전축(158)을 포함한다. 여기서 링크(152)를 제외한 제 1 회전안내부(154), 제 2 회전안내부(156), 회전축(158) 및 제 2 그립부(122)는 상호 일체로 연결되어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링크(152)는 이동로드(144)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이동로드(144)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 1 회전안내부(154)는 일단부는 링크(152)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 2 회전안내부(156)는 제 2 그립부(122)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되 제 1 회전안내부(154)를 향하도록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제 2 회전안내부(156)는 제 2 그립부(122)의 단부에 하방으로 절곡되도록 연장 형성되며, 이때, 제 2 회전안내부(156)의 하단이 제 1 회전안내부(154)의 타단부와 겹치도록 위치되는 것이다. 회전축(158)은 상호 겹치는 제 1 회전안내부(154)와 제 2 회전안내부(156)를 일체로 연결시키며 제 2 여장부에 지지된 상태로 축 역할을 한다.
그리고 회전축(158)은 제 1 회전안내부(154)의 상단에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제 2 연장부(114b)에는 링크(152)가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오목부(1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오목부(116)의 양측 상부에 회전축(158)이 안착된다. 그리고 오목부(116)의 양측 상부에 안착되는 회전축(158)을 덮도록 회전지지부(118)가 구비된다. 이처럼 회전지지부(118)가 회전축(158)을 덮도록 구성되므로, 차량의 진동 등이 회전축(158)으로 전해진다 하더라도 회전축(158)은 외부 이탈 없이 안전하게 회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스티어링 휠의 제 2 그립부가 회전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5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스티어링 휠의 제 2 그립부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스티어링 휠의 제 2 그립부가 회전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6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스티어링 휠의 제 2 그립부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스티어링 휠의 제 2 그립부가 회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5의 (a) 및 도 6의 (a)를 참조하면, 이동로드(144)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링크(152)를 전방으로 당기기 시작하면, 링크(152)가 이동로드(144)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도 5의 (b) 및 도 6의 (b)와 같이, 제 1 회전안내부(154)의 일단부는 링크(152)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링크(152)와 제 1 회전안내부(154) 간의 접혀진 각도가 점차 펴지게 된다. 이때, 제 1 회전안내부(154)의 타단부는 회전을 하게 되는데, 제 1 회전안내부(154), 회전축(158) 및 제 2 회전안내부(156)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1 회전안내부(154)가 회전되면, 제 2 회전축(158) 또한 회전축(158)을 축으로 하여 회전된다. 그러면 제 2 회전안내부(156)와 일체로 연결된 제 2 그립부(122) 또한 회전되어, 제 2 그립부(122)가 하방으로 회전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의 제 2 그립부(122)가 접혀지도록 구성되므로, 운전석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2 그립부(122)가 접히도록 하는 회전수단(130)은 매우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므로, 현재 양산 중인 차종에 바로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더블 스티어링 휠을 이용한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폴더블 스티어링 휠을 이용한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는 먼저, 제어부(미도시)는 차량이 자율주행모드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어서, 차량이 자율주행모드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는 회전수단(130)을 조작하여 제 2 그립부(122)를 회전시킨다. 즉, 자율주행모드로 전환되면 운전자는 운전 중 차량을 조작할 필요가 거의 없으므로 제 2 그립부(122)를 하방으로 회전시켜서 운전석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폴더블 스티어링 휠을 이용한 제어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먼저, 차량이 파킹모드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어서 차량이 파킹모드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하면, 회전수단(130)을 조작하여 제 2 그립부(122)를 회전시킨다. 즉, 운전자가 기어를 조작하여 차량이 파킹모드로 전환되면, 운전자는 운전 중 차량을 조작할 필요가 전혀 없으므로 제 2 그립부(122)를 하방으로 회전시켜서 운전자가 보다 용이하게 하차할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폴더블 스티어링 휠 110: 몸체부재
112: 몸체부 114: 연장부
114a: 제 1 연장부 114b: 제 2 연장부
114b-1: 연장커버 116: 오목부
118: 회전지지부 120: 제 1 그립부
122: 제 2 그립부 130: 회전수단
140: 액츄에이터 142: 실린더
144: 이동로드 150: 회전운동부
152: 링크 154: 제 1 회전안내부
156: 제 2 회전안내부 158: 회전축

Claims (6)

  1. 저면에 스티어링 컬럼이 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구비되는 연장부를 갖는 몸체부재;
    운전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반원형의 호 형태로 형성되며 양 단부가 상기 연장부의 양측 전방에 연결되는 제 1 그립부;
    운전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반원형의 호 형태로 형성되며 양 단부가 상기 연장부의 양측 후방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 2 그립부; 및
    상기 연장부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 2 그립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연장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방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 1 연장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방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제 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그립부는 상기 제 1 연장부의 양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그립부는 상기 제 2 연장부의 양측에 위치되고,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제 2 연장부의 일측 내부에 고정된 상태로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액츄에이터; 및
    일단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이동로드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 2 그립부에 연결되는 회전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로드의 전후 이동에 의하여 상기 회전운동부가 회전되면, 상기 제 2 그립부가 하방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스티어링 휠.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부는, 상기 이동로드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링크와, 일단부가 상기 링크와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1 회전안내부와, 상기 제 2 그립부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되 상기 제 1 회전안내부를 향하도록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 2 회전안내부와, 상기 제 1 회전안내부와 상기 제 2 회전안내부를 일체로 연결시키되 축 역할을 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로드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링크를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제 1 회전안내부가 상기 회전축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제 2 회전안내부를 회전시켜서, 상기 제 2 그립부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스티어링 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 1 회전안내부의 상단에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연장부에는 상기 링크가 안내되도록 오목하게 오목부가 형성되되, 상기 오목부의 양측 상부에 상기 회전축이 안착되고,
    상기 오목부의 양측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회전축을 덮도록 회전지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블 스티어링 휠.
  5. 삭제
  6. 삭제
KR1020210047897A 2021-04-13 2021-04-13 폴더블 스티어링 휠 KR102412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897A KR102412639B1 (ko) 2021-04-13 2021-04-13 폴더블 스티어링 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897A KR102412639B1 (ko) 2021-04-13 2021-04-13 폴더블 스티어링 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2639B1 true KR102412639B1 (ko) 2022-06-23

Family

ID=82222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897A KR102412639B1 (ko) 2021-04-13 2021-04-13 폴더블 스티어링 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63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2144U (ko) * 1994-12-30 1996-07-20 스티어링 휠
KR19980046646A (ko) * 1996-12-13 1998-09-15 김영귀 자동차의 접이식 조향핸들
KR101796639B1 (ko) * 2016-10-18 2017-11-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의 조향시스템 이동장치
US20180037248A1 (en) * 2015-04-23 2018-02-0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rrangement of a Steering Wheel in a Motor Vehicle Suitable for Autonomous Driving
JP2019006306A (ja) * 2017-06-27 2019-01-17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CN111017001A (zh) * 2019-11-29 2020-04-17 广东工业大学 一种可折叠式无人驾驶车辆方向盘总成机构和控制方法
KR102183411B1 (ko) 2019-11-22 2020-11-26 주식회사 대유에이피 웜 기어를 구비한 폴더블 스티어링 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2144U (ko) * 1994-12-30 1996-07-20 스티어링 휠
KR19980046646A (ko) * 1996-12-13 1998-09-15 김영귀 자동차의 접이식 조향핸들
US20180037248A1 (en) * 2015-04-23 2018-02-0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rrangement of a Steering Wheel in a Motor Vehicle Suitable for Autonomous Driving
US10526002B2 (en) * 2015-04-23 2020-01-0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rrangement of a steering wheel in a motor vehicle suitable for autonomous driving
KR101796639B1 (ko) * 2016-10-18 2017-11-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의 조향시스템 이동장치
JP2019006306A (ja) * 2017-06-27 2019-01-17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183411B1 (ko) 2019-11-22 2020-11-26 주식회사 대유에이피 웜 기어를 구비한 폴더블 스티어링 휠
CN111017001A (zh) * 2019-11-29 2020-04-17 广东工业大学 一种可折叠式无人驾驶车辆方向盘总成机构和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1522B2 (ja) 車両用操舵装置
JP5131523B2 (ja) 車両用操舵装置
CN105172877B (zh) 单一电机式的电机驱动柱装置
KR102478083B1 (ko) 차량용 리어 스포일러 장치
JP6596615B1 (ja) 車両用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109050660A (zh) 一种汽车转向轮的转向节、转向装置及汽车
JP5491988B2 (ja) 作業車の操向操作装置
JP2008150034A (ja) 自動車用の空気案内装置
JP2002193114A (ja) 車両用の折り畳み可能なステアリングコラム組立体
JP4277798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113511255A (zh) 折叠式方向盘组件及包括折叠式方向盘组件的转向装置
KR102412639B1 (ko) 폴더블 스티어링 휠
JP2001121972A (ja) 揺動部品用駆動装置
JP2008213774A (ja) 電力線の配索構造
JP5271564B2 (ja) 操舵装置
US11292517B2 (en) Tilting car frame
JP5110352B2 (ja) 電動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3454041B2 (ja) ブレーキペダルの支持構造
JP2019043216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8265742A (ja) 乗用車用のコンバーチブルルーフ
JPH0672242A (ja) サイドミラー支持装置
JP2019043218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624836B2 (ja) 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KR20070030526A (ko) 자동차의 유압 파워 스티어링장치
KR100622509B1 (ko) 자동차의 조향칼럼용 부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