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2488B1 - 쿼터글라스 제조시스템 - Google Patents

쿼터글라스 제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488B1
KR102412488B1 KR1020210161853A KR20210161853A KR102412488B1 KR 102412488 B1 KR102412488 B1 KR 102412488B1 KR 1020210161853 A KR1020210161853 A KR 1020210161853A KR 20210161853 A KR20210161853 A KR 20210161853A KR 102412488 B1 KR102412488 B1 KR 102412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glass
primer
manufacturing system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1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야야폴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야야폴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야야폴리텍
Priority to KR1020210161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4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4Joining glass to metal by means of an inter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03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6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by rubbing contact, e.g. by brushes, by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fixed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B62B3/061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power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B62B3/0625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using rigid mechanical lifting mechanisms, e.g. levers, cams or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B62B3/108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the objects being plates, doors, panel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3/00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C03C23/0085Drying; Dehydroxy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량률을 최소화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하는 쿼터글라스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울어지게 삽입 거치된 다수의 유리판을 수직되게 배치하여 이송하는 글라스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유리판의 규격정보를 판독하는 규격확인수단과, 상기 규격확인수단에 의해 규격정보가 판독된 유리판의 도포면과 둘레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도포수단 및 프라이머가 도포된 유리판과 이송이 가능한 건조부에 의해 건조가 이루어진 프레임을 열접착에 의해 상호 접착시키는 열접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쿼터글라스 제조시스템{QUATERCLASS MOUNTING SYSTEM}
본 발명은 불량률을 최소화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하는 쿼터글라스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쿼터 글라스(quarter glass)는 자동차의 리어 도어와 트렁크 사이의 삼각 유리를 말하는데, 4도어 및 5도어에서는 여닫을 수 없는 고정식(fixed type)과 여닫을 수 있고 크기가 큰 스위벨링식(swivelling type)이 있다.
이러한 개폐 유무에 따른 쿼터 글라스(Q/G)의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서스(SUS:Steel Use Stainless) 재질의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배면에 가스킷(30)과 함께 글라스(20) 표면에 본드 등과 같은 접착제의 일종인 프라이머(primer)를 도포하여 상기 프레임(10)과 고정 접착되어 볼트나 나사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자동차에 장착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쿼터 글라스(Q/G)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하여 가스킷(30) 및 글라스(20)를 프레임(10)에 장착하기에 대량생산에 용이하지 못한 작업시간의 지연을 가져오는 것은 물론, 생산률 저하 및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불량 발생율도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은 쿼터 글라스를 제조시에 대량생산의 용이성, 대량생산에 적합한 생산량의 증가 및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그 시스템을 통해 쿼터 글라스를 제조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쿼터글라스 제조시스템은 기울어지게 삽입 거치된 다수의 유리판을 수직되게 배치하여 이송하는 글라스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유리판의 규격정보를 판독하는 규격확인수단과, 상기 규격확인수단에 의해 규격정보가 판독된 유리판의 도포면과 둘레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도포수단 및 프라이머가 도포된 유리판과 이송이 가능한 건조부에 의해 건조가 이루어진 프레임을 열접착에 의해 상호 접착시키는 열접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글라스 이송부는 하부에 이동과 고정이 가능한 제1바퀴가 구비된 제1이동체와, 소정길이를 갖도록 상기 이동체 상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되 길이방향으로 유리판이 사선의 형태로 삽입 거치되는 다수의 삽입홈이 형성된 삽입체와, 상기 제1이동체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 상부와 관 연결되는 팽창체와, 상기 팽창체에 에어를 공급 또는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부재와 관 연결되는 에어공급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에어공급부재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팽창체는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상기 삽입홈에 거치된 한 쌍의 유리판 사이로 상승하되 상승된 이후에 상기 에어공급부재에서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볼(BALL) 형상으로 팽창하여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유리판이 수직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되 일 방향으로 편심되게 형성된 편심체와, 양측이 상기 제1이동체에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되 하면은 회전하는 상기 편심체와 면접하여 승강하며, 외면은 상기 에어공급부재와 관 연결된 승강체 및 상기 승강체 상부에 다수 형성되되 상부에는 상기 팽창체와 관 연결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볼 형태로 팽창이 이루어진 지름의 크기는 적어도 다수의 상기 삽입홈에 삽입 거치된 유리판 간의 간격과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삽입체 중 어느 하나의 내면은 'ㄴ'자 형상이며, 다른 하나의 내면은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규격확인수단은 제1암에 의해 흡착된 유리판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 및 획득한 영상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영상정보가 출력되는 모니터에 다수 형성된 임의의 포인트와 상호 매칭을 통해 유리판의 규격을 판단하여 규격정보를 획득하며, 획득한 영상정보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영상판독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포수단은 지주와, 상기 지주 외면에 설치되되 상부에는 완충부재가 구비된 설치판과, 유리판과 면접하여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도포부재 및 상기 도포부재과 관 연결되되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외부에서 프라이머를 공급하는 공급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포부재는 상기 완충부재 상부에 설치되되 외면에는 도포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기 위한 제1도포체가 구비된 제1도포유닛 및 상기 제1도포유닛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면에는 유리판의 둘레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기 위한 제2도포체가 구비된 제2도포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조부는 하부에 제2바퀴가 구비된 제2이동체 및 상기 이동체 상부에 형성되되 프라이머가 도포된 프레임이 거치되는 한 쌍의 거치대를 포함하며, 서로 이웃하는 상기 거치대는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되 외면에는 프레임이 거치되는 회전대, 조임의 정도에 따라 상기 회전대를 상기 고정대에 고정 또는 해지시키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리판과 프레임 간의 열접착은 프레임이 삽입된 지그를 제2암이 파지 후, 고정한 상태에서 흡착에 의해 프라이머가 도포된 유리판을 파지한 제2암이 상기 지그 방향으로 이동하여 프레임과 유리판이 상호 접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쿼터글라스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에 대한 수작업을 최소한으로 하는 자동공정을 실행하여 상기 쿼터글라스의 대량생산은 물론,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쿼터글라스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쿼터글라스 제조시스템에 대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쿼터글라스 제조시스템에 대한 규격확인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대한 포인트가 형성된 모니터에 출력된 유리판을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쿼터글라스 제조시스템에 대한 글라스 이송부를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대한 글라스 이송부의 작용관계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쿼터글라스 제조시스템에 대한 도포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 대한 도포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9에 대한 작용관계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쿼터글라스 제조시스템에 대한 유리판과 프레임 간의 1차 부착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12에 대한 지그 내에 수납된 프레임과 그 프레임에 유리판이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쿼터글라스 제조시스템에 대한 건조부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4에 대한 거치대의 작용관계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쿼터글라스 제조시스템에 대한 열접착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쿼터글라스 제조시스템에 의해 획득한 쿼터글라스에 가스킷이 설치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쿼터글라스 제조시스템(이하, 간략하게 '제조시스템'이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 도시한 쿼터글라스(Q/G)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삼각형의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그 형상과 대향되게 지그(40)의 삽입홈(121) 등이 동일 형상을 갖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형상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화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시스템(1)은 크게, 글라스 이송부(100), 규격확인수단(200), 도포수단(300) 및 건조부(400)에 의해 건조가 이루어진 프레임(10)과 프라이머가 도포된 유리판(20)을 상호 열접착에 의해 접착시키는 열접착수단(500)을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규격확인수단(2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210) 및 영상판독부(220)를 포함한다.
예컨대 카메라(210)는 유리판(20)이 다수 적재된 글라스 이송부(100)가 다관절 구조를 갖는 제1암(A-1) 방향으로 이송되면 상기 제1암(A-1)은 공기흡착 방식을 통해 유리판(20)을 개별 흡착하여 상기 카메라(210) 전면을 바라보도록 이동시키며, 이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210)는 유리판(20) 전체를 촬영한 영상정보를 영상판독부(220)에 전송하게 된다.
유리판(20)에 대한 영상정보를 획득한 영상판독부(2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임의의 포인트(P)가 다수 형성된 모니터(221) 상에 출력 됨과 동시에 해당 포인트(P)와 매칭되는 지점을 판독하여 유리판(20)에 대한 규격정보를 판독 후, 연산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영상판독부(220)는 제어부(600)에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를 통해 해당 유리판(20)에 대한 규격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영상판독부(220)의 포인트(P)는 유리판(20)의 테두리를 따라 그 외면에 다른 색상을 갖도록 형성된 도포면(21)의 색상정보를 판독하여 유리판(20)에 대한 규격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판독부(220)는 판독된 규격정보를 제어부(600)에 전송하게 되며, 상기 제어부(600)는 전송된 규격정보를 기반으로 제1암(A-1)에 의한 프라이머가 도포될 위치 즉, 상기 제1암(A-1)에 유리판(20)이 흡착된 상태에서 도포면(21)을 따라 프라이머의 도포가 이루어지도록 제어가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글라스 이송부(1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암(A-1)에 의한 흡착이 용이하도록 수납된 다수의 유리판(20)이 수직되게 배치되어 이송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글라스 이송부(100)는 제1이동체(110), 삽입체(120), 승강부재(130), 팽창체(140) 및 에어공급부재(150)를 포함하며, 상기한 구성(예를 들어 승강부재와 에어공급부재)들은 상기 제1이동체(110)에 디스플레이 및 다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컨트롤러(160)에 의해 제어된다.
제1이동체(1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브라켓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되 그 하부에는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한 제1바퀴(111)가 구비되어 글라스 이송부(100)에 적재된 다수의 유리판(20)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이동체(110) 외면에는 승강체(135)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137)가 삽입되어 상기 승강체(135)가 승강시에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안내홈(11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체(1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이동체(110) 상부에 서로 이웃하게 한 쌍으로 구비되되 그 상면에는 소정의 깊이를 갖는 삽입홈(121)이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121)에 유리판(20)이 수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한 쌍의 삽입홈(121) 중 어느 하나 즉, 유리판(20)의 끝단이 삽입되는 상기 삽입홈(121)의 형상은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삽입체(120)에 수납된 다수의 유리판(20)에 대한 정렬이 가능하게 하며, 다른 하나의 상기 삽입홈(121)은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유리판(20)의 하단이 삽입 거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부재(130)는 컨트롤러(160)의 제어를 통해 제1이동체(110) 외면에서 승강하되 그 승강을 통해 각각의 팽창체(140)가 삽입체(120)에 다수 수납된 한 쌍의 유리판(20) 사이에 배치 및 해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모터(131), 편심체(133), 승강체(135) 및 노즐(139)을 포함한다.
여기서, 모터(131)는 컨트롤러(160)에 의해 외부전원을 인가받아 회전할 수 있도록 제1이동체(1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되 그 회전하는 각각의 구동축에는 편심체(133)가 결합하여 상기 편심체(133)가 회전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한다.
이때, 편심체(133)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일 방향으로 편심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편심체(133)의 회전에 의해 승강체(135) 하면을 상방으로 밀어올려 상기 승강체(135)의 상승이 가능하게 하며, 역방향으로 회전시에는 상기 승강체(0의 자중에 의해 하강하는 상승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승강체(135) 상부에는 팽창체(140)와 관(PIPE) 연결되는 노즐(139)이 길이방향으로 다수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139)의 개수는 한정하고 있지 않으나, 수직방향으로 세우고자 하는 유리판(20) 하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는 개수를 갖도록 한다.
나아가 승강체(135) 외면은 콤프레셔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에어공급부재(150)과 관 연결되어 상기 에어공급부재(150)를 통해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팽창체(140)가 풍성과 같은 볼(BALL) 형사을 갖게 팽창할 수 있도록 한다.
부연하면,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최초 글라스 이송부(100)에 유리판(20)을 수납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사선의 형태로 기울어지게 수납이 되며, 이러한 기울어짐은 제1암(A-1)이 공기 흡착 방식으로 유리판(20)을 흡착시에 용이하지 못하게 되며, 이는 유리판(20)의 낙하로 인한 파손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하여, 사선형태로 기울어진 다수의 유리판(20)을 한번에 수직되게 세우기 위해 작업자는 컨트롤러(160)를 조작하여 우선적으로 모터(131)에 의해 편심체(133)의 돌출된 부분이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회전시켜 상기 편심체(133)에 의해 승강체(135)의 상승이 가능하게 한다.
이 과정에서 승강체(135)의 상승을 통해 다수의 노즐(139)이 한 쌍의 유리판(20) 사이로 인입될 수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노즐(139)의 인입과 함께 에어공급부재(150)의 에어공급을 통해 팽창체(140)가 부풀어지게 소정의 지름을 갖도록 팽창하면 그 지름에 부합되게 사선형태의 유리판(20)이 수직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제1암(A-1)에 의한 흡착의 용이성을 구현하게 된다.
이때, 팽창체(140)의 지름(D1)은 최소한 유리판(20)의 간격(D2)와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팽창시켜 유리판(20)이 거의 수직에 근접할 수 있게 하며, 상기 팽창체(140)의 팽창시기는 편심체(133)가 45도의 경사각을 이룰시에 에어공급부재(150)를 통해 팽창이 시작되어 상기 편심체(133)가 직각을 이룰시에 원하는 지름의 크기만큼 팽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도포수단(300)은 유리판(20)에 형성된 도포면(21)과 유리판(20)의 끝단을 이루는 둘레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구성으로 제1암(A-1)의 회전을 통해 유리판(20)의 도포면(21)과 둘레면이 함께 프라이머의 도포가 이루어져 공정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도록 설치판(320), 도포부재(330) 및 공급부재(3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1암(A-1)에 흡착된 상태로 상기 제1암(A-1)이 회전하여 도포수단(300)으로 유리판(20)이 이동하면 규격정보를 전송받은 제어부(600)는 상기 제1암(A-1)을 통해 유리판(20)이 규격정보에 부합될 수 있게 회전하여 도포면(21)과 둘레면에 프라이머의 도포가 이루어지게 한다.
설치판(32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높이를 갖는 지주(310) 외면에 제1암(A-1)과 대향되는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며, 그 외면에는 제1도포유닛(331)의 하부를 지지하되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과정에서 진동이나 압력을 흡수하기 위한 실린더나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진 완충부재(321)가 구비된다.
하여, 유리판(20)에 프라이머를 도포시에 해당 유리판(20)이 제2도포체(334)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압력에 대하여 완충부재(321)의 완충작용을 통해 압력의 흡수가 가능하여 프라이머의 도포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도포부재(330)는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부재(340)를 통해 외부에서 공급되는 프라이머가 유리판(20)에 형성된 도포면(21)과 둘레면에 일체로 도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도포유닛(331) 및 제2도포유닛(33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도포유닛(331) 외면에는 액상의 프라이머를 흡수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스펀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제1도포체(333)가 구비되며, 상기 제1도포체(333)는 전체적으로 반구의 형상으로 돌출되어 도포면(21)과의 면접을 통해 프라이머의 도포가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제2도포유닛(332) 상면에는 상술한 제1도포체(333)와 동종의 재질로 이루어진 제2도포체(334)가 구비되며, 상기 제2도포체(334)는 제1암(A-1)의 회전을 통해 유리판(20) 둘레면에 프라이머가 도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제1암(A-1)에 흡착된 유리판(20)이 회전시에 각각 프라이머를 흡수 후, 배출하는 제1도포체(333)와 제2도포체(334)에 의해 한번에 해당 유리판(20)의 도포면과 둘레면 모두에 프라이머의 도포가 가능해져 공정시간의 단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공급부재(34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도포유닛(331) 및 제2도포유닛(332)과 관 연결되는 펌프(341) 및 상기 펌프(341)와 관 연결되는 탱크(343)를 포함하되, 상기 펌프(341)는 제어부(600)의 제어를 통해 상기 탱크(343) 내부에 수용된 프라이머를 강제 흡입하여 제1도포체(333) 및 제2도포체(334)에 프라이머를 공급한다.
한편, 상술한 도포수단(300)을 통해 유리판(20)에 프라이머의 도포가 이루어지면 해당 프라이머가 굳기 이전 즉, 열접착수단(500)에 의해 열접착을 구현하기 이전에 해당 유리판(20)을 지그(40)에 수용된 상태로 이송된 프레임(10)과 1차로 접착하는 선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라이머가 도포된 유리판(20)이 제1암(A-1)에 흡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암(A-1)은 서로 이웃하는 제2암(A-2)이 그립한 지그(40)에 삽입된 프레임(10)과 서로 마주보게 회전 후, 상기 프레임(10) 방향으로 전진하도록 제어부(600)에 의해 제어되어 해당 유리판(20)과 상기 프레임(10)이 서로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도 13의 (b) 참조)
한편, 제2암(A-2)에 그립된 지그(40) 내부에는 이동 가능한 건조부(400)에서 건조가 이루어진 프레임(10)이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지그(40) 외면에 형성된 수납홈(43)에 수납된 상태로 그립이 이루어진다.(도 13의 (a) 참조)
여기서, 지그(40)에 수납되기 이전의 프레임(10)에 대한 건조는 물론, 건조 이후에 제2암(A-2)까지 이송되어지는 본 발명에서의 건조부(400)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이동체(410) 및 거치대(420)를 포함한다.
제2이동체(410)는 상술한 제1이동체(110)와 동일하게 다수의 수직 및 수평브라켓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되 그 하부에는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한 제2바퀴(411)가 구비된다.
거치대(42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이동체(410) 상부에 형성되되 고정대(421), 회전대(423) 및 고정나사(425)를 포함한다.
예컨대 고정대(421)는 제2이동체(410) 상부에 서로 이웃하게 한 쌍으로 구비되되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양측에는 회전대(423)가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회전대(423)는 전체적으로 하부가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성형되되 개구된 양 끝단은 고정대(421) 상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며, 그 회전에 의해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이 거치되는 수직길이(H)와 너비(W)의 가변을 일으켜 다양한 형상을 갖는 상기 프레임(10)의 거치가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회전체(423)의 각도 조절 이후에는 고정나사(425)의 조임 정도에 따라 상기 회전대(423)을 상기 고정대(421)에 고정하거나 해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건조부(400)에 거치되는 프레임(10)의 홈부(13) 즉, 프라이머가 도포된 유리판(20)에 형성된 도포면(21)과 서로 면접하는 부분에는 작업자에 의해 프라이머가 추가로 도포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프레임(10)과 유리판(20) 간의 부착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프라이머가 도포된 프레임(10)의 경우, 건조부(400)에 거치된 상태로 최소 1시간 동안 상온에서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건조가 이루어진 상기 프레임(10)의 작업자에 의해 지그(40)의 수납홈(43)에 삽입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의 지그(40)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암(A-2)에 구비된 그립퍼에 의해 파지가 용이하도록 일측 또는 양측에 그립공(41)이 형성되며, 상기 지그(40)에 수납되는 프레임(10)은 배면 즉, 홈부(13) 및 가스킷(30)이 끼움 결합하는 결합홈(11)이 형성된 배면이 외부로 상기 지그(40)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수납된다.
그리고, 프레스 등으로 구성된 상기 열접착수단(500)은 1차적으로 유리판(20)과 프레임(10)이 지그(40) 내에서 서로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유리판(20)과 상기 프레임(10) 간의 접착에 대한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2차적으로 열접착을 실행한다.
이를 위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판(20)과 프레임(10)이 상호 부착된 상태인 지그(40)를 개폐 가능한 프레스에 고정 삽입 후, 제어부(600)의 제어신호에 의해 열선이나 히터 등의 인가된 전기에 의해 발열하는 열원을 통해 약 30 ~ 50℃의 온도로 약 2 ~4분 동안 열접착을 실행하게 되며, 이러한 공정을 통해 본 발명에서 제조하고자 하는 쿼터글라스(Q/G)의 형상이 완성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제조지스템(1)은 상술한 열접착수단(500)에 의해 유리판(20)과 프레임(10)의 접착이 완전히 이루어지면 지그(40)에서 쿼터글라스(Q/G)를 탈거 후,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 배면에 형성된 결합홈(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기둥형상의 가스킷(30)을 형상맞춤으로 끼움 결합하는 5)단계를 실행하여 상기 쿼터글라스(Q/G)가 상품으로서의 출고가 가능할 수 있도록 트레이(미도시) 등에 이송가능하게 적재된다.
이때, 가스킷(30)의 결합 이외에 필요에 따라 상기 가스킷(30)에 구비된 이형지(미도시)는 물론, 프레임(10)의 정면에 구비된 이형지(50)를 제거하는 공정이나 해당 이형지(50)가 제거된 이후에 상술한 공정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크래치 등의 존재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검사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스크래치 검사는 작업자가 쿼터글라스(Q/G)를 여러 각도에 걸쳐 조명을 반사시켜 그 반사정도에 따른 불량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시스템(1)은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쿼터글라스(Q/G)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에 대한 수작업을 최소한으로 하는 자동공정을 실행하여 상기 쿼터글라스(Q/G)의 대량생산은 물론,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쿼터글라스 제조시스템
100: 글라스 이송부
110: 제1이동체 111: 제1바퀴
113: 안내홈 120: 삽입체
121: 삽입홈 130: 승강부재
131: 모터 133: 편심체
135: 승강체 137: 가이드
139: 노즐 140: 팽창체
150: 에어공급부재 160: 컨트롤러
200: 규격확인수단
210: 카메라 220: 영상판독부
221: 모니터
300: 도포수단
310: 지주 320: 설치판
321: 완충부재 330: 도포부재
331: 제1도포유닛 332: 제2도포유닛
333: 제1도포체 334: 제2도포체
340: 공급부재 341: 펌프
343: 탱크
400: 건조부
410: 제2이동체 411: 제2바퀴
420: 거치대 421: 고정대
423: 회전대 425: 고정나사
500: 열접착수단
600: 제어부
10: 프레임
11: 결합홈 13: 홈부
20: 유리판
21; 도포면
30: 가스킷
40: 지그
41: 그립공 43: 수납홈
50: 이형지

Claims (11)

  1. 삭제
  2. 기울어지게 삽입 거치된 다수의 유리판을 수직되게 배치하여 이송하는 글라스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유리판의 규격정보를 판독하는 규격확인수단;
    상기 규격확인수단에 의해 규격정보가 판독된 유리판의 도포면과 둘레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도포수단; 및
    프라이머가 도포된 유리판과 이송이 가능한 건조부에 의해 건조가 이루어진 프레임을 열접착에 의해 상호 접착시키는 열접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글라스 이송부는,
    하부에 이동과 고정이 가능한 제1바퀴가 구비된 제1이동체;
    소정길이를 갖도록 상기 이동체 상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되 길이방향으로 유리판이 사선의 형태로 삽입 거치되는 다수의 삽입홈이 형성된 삽입체;
    상기 제1이동체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 상부와 관 연결되는 팽창체;
    상기 팽창체에 에어를 공급 또는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부재와 관 연결되는 에어공급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에어공급부재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터글라스 제조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체는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상기 삽입홈에 거치된 한 쌍의 유리판 사이로 상승하되 상승된 이후에 상기 에어공급부재에서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볼(BALL) 형상으로 팽창하여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유리판이 수직되게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터글라스 제조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되 일 방향으로 편심되게 형성된 편심체;
    양측이 상기 제1이동체에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되 하면은 회전하는 상기 편심체와 면접하여 승강하며, 외면은 상기 에어공급부재와 관 연결된 승강체;
    상기 승강체 상부에 다수 형성되되 상부에는 상기 팽창체와 관 연결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터글라스 제조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볼 형태로 팽창이 이루어진 지름의 크기는 적어도 다수의 상기 삽입홈에 삽입 거치된 유리판 간의 간격과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터글라스 제조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삽입체 중 어느 하나의 내면은 'ㄴ'자 형상이며, 다른 하나의 내면은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터글라스 제조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규격확인수단은,
    제1암에 의해 흡착된 유리판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 및
    획득한 영상정보를 전송받아 해당 영상정보가 출력되는 모니터에 다수 형성된 임의의 포인트와 상호 매칭을 통해 유리판의 규격을 판단하여 규격정보를 획득하며, 획득한 영상정보를 제어부에 전송하는 영상판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터글라스 제조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수단은,
    지주;
    상기 지주 외면에 설치되되 상부에는 완충부재가 구비된 설치판;
    유리판과 면접하여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도포부재; 및
    상기 도포부재과 관 연결되되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외부에서 프라이머를 공급하는 공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터글라스 제조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재는
    상기 완충부재 상부에 설치되되 외면에는 도포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기 위한 제1도포체가 구비된 제1도포유닛; 및
    상기 제1도포유닛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면에는 유리판의 둘레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기 위한 제2도포체가 구비된 제2도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터글라스 제조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하부에 제2바퀴가 구비된 제2이동체; 및
    상기 이동체 상부에 형성되되 프라이머가 도포된 프레임이 거치되는 한 쌍의 거치대;를 포함하며,
    서로 이웃하는 상기 거치대는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되 외면에는 프레임이 거치되는 회전대, 조임의 정도에 따라 상기 회전대를 상기 고정대에 고정 또는 해지시키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터글라스 제조시스템.
  11. 제2항에 있어서,
    유리판과 프레임 간의 열접착은,
    프레임이 삽입된 지그를 제2암이 파지 후, 고정한 상태에서 흡착에 의해 프라이머가 도포된 유리판을 파지한 제2암이 상기 지그 방향으로 이동하여 프레임과 유리판이 상호 접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터글라스 제조시스템.
KR1020210161853A 2021-11-23 2021-11-23 쿼터글라스 제조시스템 KR102412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853A KR102412488B1 (ko) 2021-11-23 2021-11-23 쿼터글라스 제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1853A KR102412488B1 (ko) 2021-11-23 2021-11-23 쿼터글라스 제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2488B1 true KR102412488B1 (ko) 2022-06-23

Family

ID=82221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1853A KR102412488B1 (ko) 2021-11-23 2021-11-23 쿼터글라스 제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4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9358A (ko) * 2001-10-08 2003-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쿼터 글라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74013A (ko) * 2002-03-15 2003-09-19 문형윤 이중 판유리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9358A (ko) * 2001-10-08 2003-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쿼터 글라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74013A (ko) * 2002-03-15 2003-09-19 문형윤 이중 판유리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4973B2 (en) Assembly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a roof module into a vehicle body
KR101888570B1 (ko) 자동차 베어링 허브 코팅 장치
JP2000511568A (ja) 貼り合わせ装置、およびこれを動作させる方法
US200802864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ating Optics
KR102412488B1 (ko) 쿼터글라스 제조시스템
CN113775150A (zh) 一种用于瓷砖的自动涂胶装置
US11484902B2 (en) Manufacturing system for coating an article
CN107539499B (zh) 卫星sada小型两轴转台装置
CN101477958B (zh) 邦定装置和邦定方法
CN215918060U (zh) 自动涂胶下料设备
JPH11226479A (ja) ステージ旋回装置および基板処理システム
JPH0319215A (ja) 貼付装置
CN210614227U (zh) 一种用于工装夹具的可旋转底涂的上料台
JP3742262B2 (ja) 太陽電池セルとカバーガラスとの接着方法および接着装置
US87137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shower walls
JPS584582B2 (ja) 内面塗装装置
JPS62101587A (ja) 自動車用ウインドガラスの取付装置
CN110813645A (zh) 一种水晶球饰品自动夹持安装机
CN213837795U (zh) 用于单元幕墙的自动装配玻璃装置及装配系统
US20080001418A1 (en) Pickup Member for Handling Crude Ceramic Products
CN209737620U (zh) 一种汽车传感器机器人工作站
CN113635997B (zh) 一种汽车天窗装配设备及其装配方法
JPH05152262A (ja) ウエーハ接着装置およびウエーハ接着方法
CN216883141U (zh) 一种光学元件定角度上靠体装置
CN216420005U (zh) 力敏片基层胶自动匀胶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