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1623B1 -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 Google Patents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1623B1
KR102411623B1 KR1020200185677A KR20200185677A KR102411623B1 KR 102411623 B1 KR102411623 B1 KR 102411623B1 KR 1020200185677 A KR1020200185677 A KR 1020200185677A KR 20200185677 A KR20200185677 A KR 20200185677A KR 102411623 B1 KR102411623 B1 KR 102411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teering
flow path
hydraulic pressur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5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동희
김경식
유병록
고재구
Original Assignee
신진정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진정밀(주) filed Critical 신진정밀(주)
Priority to KR1020200185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6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65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specially adapted means for varying pressurised fluid supply based on need, e.g. on-demand, variable assi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5Handover processes
    • B60W60/0053Handover processes from vehicle to occup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8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type of steering valve used
    • B62D5/087Sliding spo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1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unit
    • B62D5/12Piston and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00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Supply reservoir or sump assemblies
    • F15B1/26Supply reservoir or sump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01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1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with means or adapted for load sen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55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 G05D1/006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with safety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automatic pilot to manual pilot and vice vers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수동운전 모드 시 좌측 조향 포트 및 우측 조향 포트 중 어느 하나로 유압을 공급하고 다른 하나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탱크 포트로 공급하는 수동조향밸브와, 자동운전 모드 시 상기 좌측 조향 포트 및 상기 우측 조향 포트 중 어느 하나로 유압을 공급하고 다른 하나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상기 탱크 포트로 공급하는 자동조향밸브와, 펌프 포트로부터 유압을 제공받는 조향우선밸브와, 상기 수동운전 모드 시 상기 조향우선밸브로부터 상기 자동조향밸브로 흐르는 유압을 차단하여 상기 조향우선밸브로부터 상기 수동조향밸브로 유압을 흐르게 하고, 상기 자동운전 모드 시 상기 조향우선밸브로부터 상기 자동조향밸브로 유압을 흐르게 하는 메인절환밸브와, 상기 자동운전 모드 중 상기 수동운전 모드로 비상 전환 시 상기 조향우선밸브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상기 수동조향밸브로부터 상기 메인절환밸브의 일단으로 제공되는 유압보다 낮춰서 상기 메인절환밸브의 타단으로 공급하여 상기 메인절환밸브가 상기 조향우선밸브로부터 상기 자동조향밸브로 흐르는 유압을 차단할 수 있게 하는 감압밸브를 포함하여, 자동운전 모드 중 긴급하게 수동운전 모드로 비상 전환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HYDRAULIC POWER STE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랙터, 로더, 지게차, 휠굴삭기, 포장기계 등과 같은 특수 목적 차량에 설치되어 수동운전 모드 및 자동운전 모드를 지원할 수 있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트랙터, 로더, 지게차, 휠굴삭기, 포장기계, 기타 운송 수단 등과 같은 특수 목적 차량의 경우 운전자가 조향할 때 적은 힘으로 쉽게 조향이 가능하도록 운전자 핸들 조향시 핸들의 회전운동을 유압에 의한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핸들 조향감을 가볍게 해주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가 적용된 조향장치가 사용된다.
특수 목적 차량의 경우 미리 예정된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트랙터의 경우 경작지의 작업을 위해 미리 예정된 지그재그 형태의 경로를 따라 주행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최근 트랙터와 같은 특수 목적 차량에 대한 자율 주행 기술 연구가 심도 있게 연구되고 있으며, 실제로 널리 응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08995호(2017.09.27. 농기계 용 자동 조향 시스템의 유압 제어 밸브 조립체)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39475호(2013.12.23. 트랙터 자율 주행 조향 시스템)에는 자율 주행을 위한 조향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자율 주행 조향 시스템에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89735 (2019.07.31.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에서와 같이 자동조향으로 작업차량의 주행방향을 변경시키는 동안 기 설정된 주행경로에 예상치 못한 장애물 발생 등과 같이 비상 상황이 발생되어 운전자가 상기 조향 핸들을 조작하는 경우 자동조향이 수동조향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율 주행 조향 시스템에서는 비상시에 운전자가 수동조향을 시도하는 경우 자동조향 유닛 회로에 우선하여 수동조향 유닛회로로 유압이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수동조향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단지 자동조향에서 수동조향으로의 전환만 이루어진 상태로 미숙한 수동조향이나 자동조향 유닛의 오작동에 의해 자동조향 유닛에 의한 조향 조작이 발생될 우려를 갖는다. 이러한 자동조향 유닛의 오작동에 의한 위험은 자동조향 유닛 자체의 고장이나 이상에 의해 더욱 커진다.
또한, 종래의 자율 주행 조향 시스템에서는 자동조향으로 작업 차량의 주행방향을 변경시키는 동안 기 설정된 주행경로에 예상치 못한 장애물 발생 등과 같이 비상 상황이 발생되어 운전자가 상기 조향 핸들을 조작하는 경우 자동조향이 수동조향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되기는 하나, 자동조향에서 수동조향으로 전환이 느리게 진행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8995호(2017.09.2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9475호(2013.12.2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89735호(2019.07.31.)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자동운전 모드 중 긴급하게 수동운전 모드로 비상 전환이 가능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수동조향밸브, 자동조향밸브, 조향우선밸브, 메인절환밸브 및 감압밸브로 구성된다. 상기 수동조향밸브는 수동운전 모드 시, 좌측 조향 포트 및 우측 조향 포트 중, 어느 하나로 유압을 공급하고, 다른 하나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탱크 포트로 공급한다. 상기 자동조향밸브는 자동운전 모드 시, 상기 좌측 조향 포트 및 상기 우측 조향 포트 중, 어느 하나로 유압을 공급하고, 다른 하나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상기 탱크 포트로 공급한다. 상기 조향우선밸브는 펌프 포트로부터 유압을 제공받는다. 상기 메인절환밸브는 상기 수동운전 모드 시, 상기 조향우선밸브로부터 상기 자동조향밸브로 흐르는 유압을 차단하여 상기 조향우선밸브로부터 상기 수동조향밸브로 유압을 흐르게 한다. 상기 메인절환밸브는 상기 자동운전 모드 시, 상기 조향우선밸브로부터 상기 자동조향밸브로 유압을 흐르게 한다. 상기 감압밸브는 상기 자동운전 모드 중 상기 수동운전 모드로 비상 전환 시, 상기 조향우선밸브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상기 수동조향밸브로부터 상기 메인절환밸브의 일단으로 제공되는 유압보다 낮춰서 상기 메인절환밸브의 타단으로 공급하여, 상기 메인절환밸브가 상기 조향우선밸브로부터 상기 자동조향밸브로 흐르는 유압을 차단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는 자동조향온오프밸브 및 자동조향차단밸브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동조향온오프밸브는 상기 자동운전 모드를 온(ON) 또는 오프(OFF)할 수 있다. 상기 자동조향차단밸브는 상기 자동조향온오프밸브가 상기 자동운전 모드를 오프하면 상기 자동조향밸브로부터 상기 좌측 조향 포트 및 상기 우측 조향 포트 중 어느 하나로 흐르는 유압과 다른 하나로부터 상기 자동조향밸브로 흐르는 유압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조향차단밸브는 상기 자동조향온오프밸브가 상기 자동운전 모드를 온하면 상기 자동조향밸브로부터 상기 좌측 조향 포트 및 상기 우측 조향 포트 중 어느 하나로 흐르는 유압과 다른 하나로부터 상기 자동조향밸브로 흐르는 유압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 감압밸브는 상기 자동운전 모드 중 상기 수동운전 모드로 비상 전환 시, 상기 조향우선밸브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상기 수동조향밸브로부터 상기 메인절환밸브의 일단으로 제공되는 유압보다 낮춰서 상기 자동조향온오프밸브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자동조향온오프밸브는 상기 자동운전 모드 중 상기 수동운전 모드로 비상 전환 시, 상기 감압밸브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상기 메인절환밸브의 타단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는 로드센싱밸브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드센싱밸브는 상기 수동운전 모드 시 상기 수동조향밸브가 상기 조향우선밸브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상기 좌측 조향 포트 및 상기 우측 조향 포트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하고 다른 하나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상기 탱크 포트로 공급하도록 상기 조향우선밸브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상기 수동조향밸브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로드센싱밸브는 상기 자동운전 모드 시 상기 자동조향밸브가 상기 메인절환밸브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상기 로드센싱밸브의 일단에 연결하여 상기 수동조향밸브로 흐르는 유로를 차단하여 상기 조향우선밸브로부터 상기 자동조향밸브로 유압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는 제1 연결 유로, 제2 연결 유로, 제3 연결 유로, 제4 연결 유로, 제5 연결 유로, 제6 연결 유로, 제7 연결 유로, 제8 연결 유로, 제9 연결 유로, 제10 연결 유로, 제11 연결 유로, 제12 연결 유로, 제13 연결 유로, 제14 연결 유로, 제15 연결 유로, 제16 연결 유로, 제17 연결 유로, 제18 연결 유로, 제19 연결 유로, 제20 연결 유로, 제21 연결 유로 및 제22 연결 유로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유로는 상기 펌프 포트 및 상기 조향우선밸브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 유로는 상기 조향우선밸브 및 상기 수동조향밸브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3 연결 유로는 상기 수동조향밸브 및 상기 좌측 조향 포트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4 연결 유로는 상기 수동조향밸브 및 상기 우측 조향 포트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5 연결 유로는 상기 수동조향밸브 및 상기 탱크 포트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6 연결 유로는 상기 조향우선밸브 및 상기 로드센싱밸브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7 연결 유로는 상기 로드센싱밸브 및 상기 수동조향밸브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8 연결 유로는 상기 제2 연결 유로 및 상기 메인절환밸브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9 연결 유로는 상기 메인절환밸브 및 상기 자동조향밸브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0 연결 유로는 상기 자동조향밸브 및 상기 자동조향차단밸브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1 연결 유로는 상기 자동조향차단밸브 및 상기 제3 연결 유로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2 연결 유로는 상기 자동조향차단밸브 및 상기 제4 연결 유로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3 연결 유로는 상기 자동조향차단밸브 및 상기 자동조향밸브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4 연결 유로는 상기 자동조향밸브 및 상기 제5 연결 유로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5 연결 유로는 상기 제2 연결 유로 및 상기 감압밸브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6 연결 유로는 상기 감압밸브 및 상기 자동조향온오프밸브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7 연결 유로는 상기 자동조향온오프밸브 및 상기 메인절환밸브의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8 연결 유로는 상기 제17 연결 유로 및 상기 자동조향차단밸브의 일단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9 연결 유로는, 상기 자동조향차단밸브의 타단 및 상기 메인절환밸브의 일단을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제7 연결 유로를 경유할 수 있다. 상기 제20 연결 유로는 상기 로드센싱밸브 및 상기 자동조향밸브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1 연결 유로는 상기 감압밸브 및 상기 제5 연결 유로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2 연결 유로는 상기 자동조향온오프밸브 및 상기 제5 연결 유로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수동운전 모드 시, 상기 조향우선밸브는, 상기 펌프 포트로부터 상기 제1 연결 유로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상기 제2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수동조향밸브로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제6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로드센싱밸브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수동운전 모드 시, 상기 수동조향밸브는, 상기 조향우선밸브로부터 상기 제2 연결 유로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상기 제3 연결 유로 및 상기 제4 연결 유로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함과 아울러 다른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상기 제5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탱크 포트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수동운전 모드 시, 상기 메인절환밸브는 상기 제8 연결 유로 및 상기 제9 연결 유로를 연결해제할 수 있다. 상기 수동운전 모드 시, 상기 로드센싱밸브는 상기 조향우선밸브로부터 상기 제6 연결 유로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상기 제7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수동조향밸브로 공급하여, 상기 수동조향밸브가 상기 조향우선밸브로부터 상기 제2 연결 유로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상기 제3 연결 유로 및 상기 제4 연결 유로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함과 아울러 다른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상기 제5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탱크 포트로 공급하도록 상기 수동조향밸브의 유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자동운전 모드 시, 상기 조향우선밸브는, 상기 펌프 포트로부터 상기 제1 연결 유로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상기 제2 연결 유로 및 상기 제15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감압밸브로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제2 연결 유로 및 상기 제8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메인절환밸브로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제6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로드센싱밸브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자동운전 모드 시, 상기 감압밸브는 상기 조향우선밸브로부터 상기 제2 연결 유로 및 상기 제15 연결 유로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상기 제16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자동조향온오프밸브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자동운전 모드 시, 상기 메인절환밸브는 상기 조향우선밸브로부터 상기 제2 연결 유로 및 상기 제8 연결 유로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상기 제9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자동조향밸브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자동운전 모드 시, 상기 자동조향밸브는, 상기 메인절환밸브로부터 상기 제9 연결 유로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상기 제10 연결 유로 및 상기 제13 연결 유로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함과 아울러 다른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상기 제14 연결 유로 및 상기 제5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탱크 포트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자동운전 모드 시, 상기 로드센싱밸브는 상기 제6 연결 유로 및 상기 제7 연결 유로를 연결해제하여, 상기 자동조향밸브가 상기 메인절환밸브로부터 상기 제9 연결 유로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상기 제10 연결 유로 및 상기 제13 연결 유로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함과 아울러 다른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상기 제14 연결 유로 및 상기 제5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탱크 포트로 공급하도록 상기 자동조향밸브의 유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자동운전 모드 시, 상기 자동조향차단밸브는 상기 제10 연결 유로 및 상기 제11 연결 유로를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제12 연결 유로 및 상기 제13 연결 유로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자동운전 모드 시, 상기 자동조향온오프밸브는 상기 감압밸브로부터 상기 제16 연결 유로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상기 제17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메인절환밸브의 타단으로 공급하여, 상기 메인절환밸브가 상기 조향우선밸브로부터 상기 제2 연결 유로 및 상기 제8 연결 유로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상기 제9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자동조향밸브로 공급하도록 상기 메인절환밸브의 유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자동운전 모드 시, 상기 자동조향온오프밸브는 상기 감압밸브로부터 상기 제16 연결 유로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상기 제17 연결 유로 및 상기 제18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자동조향차단밸브의 일단으로 공급하여, 상기 자동조향차단밸브가 상기 제10 연결 유로 및 상기 제11 연결 유로를 연결하고 상기 제12 연결 유로 및 상기 제13 연결 유로를 연결하도록 상기 자동조향차단밸브의 유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자동운전 모드 중 상기 수동운전 모드로 비상 전환 시, 상기 수동조향밸브는 상기 제7 연결 유로 및 상기 제19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메인절환밸브의 일단 및 상기 자동조향차단밸브의 타단으로 유압을 공급하여, 상기 메인절환밸브가 상기 제8 연결 유로 및 상기 제9 연결 유로를 연결해제하도록 상기 메인절환밸브의 유로를 변경함과 아울러 상기 자동조향차단밸브가 상기 제10 연결 유로 및 상기 제11 연결 유로를 연결해제하고 상기 제12 연결 유로 및 상기 제13 연결 유로를 연결해제하도록 상기 자동조향차단밸브의 유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자동운전 모드 중 상기 자동운전 모드 해제 시, 상기 자동조향온오프밸브는, 상기 감압밸브로부터 상기 제16 연결 유로를 통해 제공되는 유압을 상기 제17 연결 유로로 공급하지 않고 상기 제22 연결 유로 및 상기 제5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탱크 포트로 공급하여, 상기 메인절환밸브가 상기 제8 연결 유로 및 상기 제9 연결 유로를 연결해제하도록 상기 메인절환밸브의 유로를 변경함과 아울러 상기 자동조향차단밸브가 상기 제10 연결 유로 및 상기 제11 연결 유로를 연결해제하고 상기 제12 연결 유로 및 상기 제13 연결 유로를 연결해제하도록 상기 자동조향차단밸브의 유로를 변경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자동운전 모드 시 자동조향밸브로 유압을 공급하는 메인절환밸브를 구비하는데, 상기 메인절환밸브의 일단의 유압보다 타단의 유압을 낮춰서 상기 메인절환밸브가 상기 자동조향밸브로 유압을 공급하지 않도록 상기 메인절환밸브의 유로를 변경하는 감압밸브를 구비하기 때문에, 자동운전 모드 중에 긴급하게 수동운전 모드로 비상 전환 시에 상기 메인절환밸브가 상기 자동조향밸브로 유압을 공급하지 않도록 상기 메인절환밸브의 유로를 신속하게 변경하여서, 자동운전 모드 중 긴급하게 수동운전 모드로 비상 전환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가 포함되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가 포함되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회로도,
도 3은 도 2에서 수동운전 모드로 좌회전 시 유압 흐름을 화살표로 나타내는 회로도,
도 4는 도 2에서 수동운전 모드로 우회전 시 유압 흐름을 화살표로 나타내는 회로도,
도 5는 도 2에서 자동운전 모드로 좌회전 시 유압 흐름을 화살표로 나타내는 회로도,
도 6은 도 2에서 자동운전 모드로 우회전 시 유압 흐름을 화살표로 나타내는 회로도,
도 7은 도 2에서 자동운전 모드 중 수동운전 모드로 비상 전환 시 유압 흐름을 화살표로 나타내는 회로도,
도 8은 도 2에서 자동운전 모드 중 자동운전 모드 해제 시 유압 흐름을 화살표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가 포함되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는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200)에 설치될 수 있다.
스티어링 샤프트(200)의 상단부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의 상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스티어링 샤프트(200)의 상단에는 스티어링 휠(300)이 설치될 수 있다. 스티어링 휠(300)은 운전자가 차량을 조향하기 위해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즉, 운전자가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을 좌측으로 조향하기 위해, 스티어링 휠(300)을 손으로 잡고 좌측으로 회전시키면, 스티어링 샤프트(200)는 스티어링 휠(300)과 함께 좌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상기 차량의 주행방향을 우측으로 조향하기 위해 스티어링 휠(300)을 손으로 잡고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스티어링 샤프트(200)는 스티어링 휠(300)과 함게 우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는 오일 펌프(400)로부터 오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에는 오일 펌프(400)로부터 오일을 공급받는 펌프 포트(P)가 형성될 수 있다.
오일 펌프(400)는 오일 탱크(500)에 저장된 오일을 펌핑하여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일 펌프(400)는 제1 오일 유로(P1)를 통해 오일 탱크(500)와 연결될 수 있고, 펌프 포트(P)는 제2 오일 유로(P2)를 통해 오일 펌프(4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는 오일을 오일 탱크(500)로 회수할 수 있다.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에는 오일 탱크(500)로 오일을 회수하는 탱크 포트(T)가 형성될 수 있다. 탱크 포트(T)는 제3 오일 유로(P3)를 통해 오일 탱크(5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는 좌우측 차륜(810, 82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조향시킬 수 있다.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에는 차축(700)에 설치된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 및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로 오일을 공급받거나 회수받는 조향 포트(L, R)가 형성될 수 있다.
차륜(810, 820)은 좌측 차륜(810) 및 우측 차륜(820)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차륜(810)의 휠 내측에는 좌측 조향 너클(910)이 설치될 수 있고, 좌측 조향 너클(910)의 일단은 차축(700)의 좌측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좌측 조향 너클(910)의 타단은 링크 바(930)의 좌측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우측 차륜(820)의 휠 내측에는 우측 조향 너클(920)이 설치될 수 있고, 우측 조향 너클(920)의 일단은 차축(700)의 우측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우측 조향 너클(920)의 타단은 링크 바(930)의 우측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 및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 각각은 실린더 및 피스톤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 중 실린더의 끝단은 차축(7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 중 피스톤로드의 끝단은 좌측 조향 너클(910)의 양단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 중 실린더의 끝단은 차축(7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 중 피스톤로드의 끝단은 우측 조향 너클(920)의 양단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의 조향 포트(L, R)는 좌측 조향 포트(L) 및 우측 조향 포트(R)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조향 포트(L)는 제4 오일 유로(P4)를 통해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실린더 및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실린더에 연결될 수 있고, 우측 조향 포트(R)는 제5 오일 유로(P5)를 통해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실린더 및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실린더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오일 유로(P4)의 일단부는 두 개로 분지되어 제1 단부 유로(P41) 및 제2 단부 유로(P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부 유로(P41)는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실린더 중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피스톤로드의 끝단에서 먼 부분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단부 유로(P42)는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실린더 중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피스톤로드의 끝단에 가까운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제5 오일 유로(P5)의 일단부는 두 개로 분지되어 제3 단부 유로(P51) 및 제4 단부 유로(P5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단부 유로(P51)는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실린더 중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피스톤로드의 끝단에 가까운 부분에 연결될 수 있고, 제4 단부 유로(P52)는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실린더 중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피스톤로드의 끝단에서 먼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좌측 조향 포트(L)에서 배출되는 오일이 제4 오일 유로(P4)를 통해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실린더 및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실린더로 이동되면,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피스톤로드는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실린더에서 인출되면서 좌측 조향 너클(910)을 좌측으로 회전시키고,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피스톤로드는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실린더로 삽입되면서 우측 조향 너클(920)을 좌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 좌측 차륜(810) 및 우측 차륜(820)은 좌측으로 조향될 수 있다. 이 때,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실린더 내부의 유압 및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실린더 내부의 유압은 제5 오일 유로(P5)로 이동된 후 우측 조향 포트(R)를 통해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의 내부로 이동될 수 있고, 이 후에 탱크 포트(T)를 통해 배출되어서 제3 오일 유로(P3)를 통해 오일 탱크(500)로 회수될 수 있다. 즉, 제4 오일 유로(P4)를 통해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실린더 및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실린더로 이동되는 유압은, 각각의 실린더 내부 중 각각의 피스톤 일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피스톤의 타측보다 고압이 될 수 있다. 또한, 제5 오일 유로(P5)를 통해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실린더 및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실린더에서 유출되는 유압은, 각각의 실린더 내부 중 각각의 피스톤 타측에 충진된 유압으로서, 상기 피스톤의 일측보다 저압이 될 수 있다.
또한, 우측 조향 포트(R)에서 배출되는 오일이 제5 오일 유로(P5)를 통해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실린더 및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실린더로 이동되면,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피스톤로드는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실린더로 삽입되면서 좌측 조향 너클(910)을 우측으로 회전시키고,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피스톤로드는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실린더에서 인출되면서 우측 조향 너클(920)을 우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므로, 좌측 차륜(810) 및 우측 차륜(820)은 우측으로 조향될 수 있다. 이 때,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실린더 내부의 유압 및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실린더 내부의 유압은 제4 오일 유로(P4)로 이동된 후 좌측 조향 포트(L)를 통해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의 내부로 이동될 수 있고, 이 후에 탱크 포트(T)를 통해 배출되어서 제3 오일 유로(P3)를 통해 오일 탱크(500)로 회수될 수 있다. 즉, 제5 오일 유로(P5)를 통해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실린더 및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실린더로 이동되는 유압은, 각각의 실린더 내부 중 각각의 피스톤 타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피스톤의 일측보다 고압이 될 수 있다. 또한, 제4 오일 유로(P4)를 통해 제1 조향 실린더 장치(610)의 실린더 및 제2 조향 실린더 장치(620)의 실린더에서 유출되는 유압은, 각각의 실린더 내부 중 각각의 피스톤 일측에 충진된 유압으로서, 상기 피스톤의 타측보다 저압이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가 포함되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는, 수동조향밸브(10), 자동조향밸브(20), 조향우선밸브(30), 메인절환밸브(40) 및 감압밸브(50)를 포함할 수 있다.
수동조향밸브(10)는 수동운전 모드 시, 좌측 조향 포트(L) 및 우측 조향 포트(R) 중, 어느 하나로 유압을 공급할 수 있고, 다른 하나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탱크 포트(T)로 공급할 수 있다. 즉, 수동조향밸브(10)는 수동운전 모드로 좌회전 시, 좌측 조향 포트(L)로 유압을 공급할 수 있고, 우측 조향 포트(R)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탱크 포트(T)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수동조향밸브(10)는 수동운전 모드로 우회전 시, 우측 조향 포트(R)로 유압을 공급할 수 있고, 좌측 조향 포트(L)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탱크 포트(T)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수동운전 모드 시 유압 흐름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자동조향밸브(20)는 자동운전 모드 시, 좌측 조향 포트(L) 및 우측 조향 포트(R) 중, 어느 하나로 유압을 공급할 수 있고, 다른 하나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탱크 포트(T)로 공급할 수 있다. 즉, 자동조향밸브(20)는 자동운전 모드로 좌회전 시, 좌측 조향 포트(L)로 유압을 공급할 수 있고, 우측 조향 포트(R)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탱크 포트(T)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자동조향밸브(20)는 자동운전 모드로 우회전 시, 우측 조향 포트(R)로 유압을 공급할 수 있고, 좌측 조향 포트(L)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탱트 포트(T)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자동운전 모드 시 유압 흐름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조향우선밸브(30)는 펌프 포트(P)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을 수 있다.
메인절환밸브(40)는 상기 수동운전 모드 시, 조향우선밸브(30)로부터 자동조향밸브(20)로 흐르는 유압을 차단하여 조향우선밸브(30)로부터 수동조향밸브(10)로 유압을 흐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메인절환밸브(40)는 상기 자동운전 모드 시, 조향우선밸브(30)로부터 자동조향밸브(20)로 유압을 흐르게 할 수 있다.
감압밸브(50)는 상기 자동운전 모드 중 상기 수동운전 모드로 비상 전환 시, 조향우선밸브(30)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수동조향밸브(10)로부터 메인절환밸브(40)의 일단으로 제공되는 유압보다 낮춰서 메인절환밸브(40)의 타단으로 공급하여, 메인절환밸브(40)가 조향우선밸브(30)로부터 자동조향밸브(20)로 흐르는 유압을 차단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자동운전 모드 중 상기 수동운전 모드로 비상 전환 시 유압 흐름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는 자동조향온오프밸브(60) 및 자동조향차단밸브(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동조향온오프밸브(60)는 상기 자동운전 모드를 온(ON) 또는 오프(OFF)할 수 있다.
자동조향차단밸브(70)는 자동조향온오프밸브(60)가 상기 자동운전 모드를 오프하면 자동조향밸브(20)로부터 좌측 조향 포트(L) 및 우측 조향 포트(R) 중 어느 하나로 흐르는 유압과 다른 하나로부터 자동조향밸브(20)로 흐르는 유압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자동조향차단밸브(70)는 자동조향온오프밸브(60)가 상기 자동운전 모드를 온하면 자동조향밸브(20)로부터 좌측 조향 포트(L) 및 우측 조향 포트(R) 중 어느 하나로 흐르는 유압과 다른 하나로부터 자동조향밸브(20)로 흐르는 유압을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가 자동조향온오프밸브(60) 및 자동조향차단밸브(70)를 더 포함하는 경우, 감압밸브(50)는 상기 자동운전 모드 중 상기 수동운전 모드로 비상 전환 시, 조향우선밸브(30)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수동조향밸브(10)로부터 메인절환밸브(40)의 일단으로 제공되는 유압보다 낮춰서 자동조향온오프밸브(6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가 자동조향온오프밸브(60) 및 자동조향차단밸브(70)를 더 포함하는 경우, 자동조향온오프밸브(60)는 상기 자동운전 모드 중 상기 수동운전 모드로 비상 전환 시, 감압밸브(50)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메인절환밸브(40)의 타단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는 로드센싱밸브(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드센싱밸브(80)는 상기 수동운전 모드 시 수동조향밸브(10)가 조향우선밸브(30)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좌측 조향 포트(L) 및 우측 조향 포트(R)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하고 다른 하나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탱크 포트(T)로 공급하도록 조향우선밸브(30)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수동조향밸브(1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로드센싱밸브(80)는 상기 자동운전 모드 시 자동조향밸브(20)가 메인절환밸브(40)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로드센싱밸브(80)의 일단에 연결하여 수동조향밸브(10)로 흐르는 유로를 차단하여 조향우선밸브(30)로부터 자동조향밸브(20)로 유압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는, 제1 연결 유로(L1), 제2 연결 유로(L2), 제3 연결 유로(L3), 제4 연결 유로(L4), 제5 연결 유로(L5), 제6 연결 유로(L6), 제7 연결 유로(L7), 제8 연결 유로(L8), 제9 연결 유로(L9), 제10 연결 유로(L10), 제11 연결 유로(L11), 제12 연결 유로(L12), 제13 연결 유로(L13), 제14 연결 유로(L14), 제15 연결 유로(L15), 제16 연결 유로(L16), 제17 연결 유로(L17), 제18 연결 유로(L18), 제19 연결 유로(L19), 제20 연결 유로(L20), 제21 연결 유로(L21) 및 제22 연결 유로(L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유로(L1)는 펌프 포트(P) 및 조향우선밸브(30)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연결 유로(L2)는 조향우선밸브(30) 및 수동조향밸브(10)를 연결할 수 있다.
제3 연결 유로(L3)는 수동조향밸브(10) 및 좌측 조향 포트(L)를 연결할 수 있다.
제4 연결 유로(L4)는 수동조향밸브(10) 및 우측 조향 포트(R)를 연결할 수 있다.
제5 연결 유로(L5)는 수동조향밸브(10) 및 탱크 포트(T)를 연결할 수 있다.
제6 연결 유로(L6)는 조향우선밸브(30) 및 로드센싱밸브(80)를 연결할 수 있다.
제7 연결 유로(L7)는 로드센싱밸브(80) 및 수동조향밸브(10)를 연결할 수 있다.
제8 연결 유로(L8)는 제2 연결 유로(L2) 및 메인절환밸브(40)를 연결할 수 있다.
제9 연결 유로(L9)는 메인절환밸브(40) 및 자동조향밸브(2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0 연결 유로(L10)는 자동조향밸브(20) 및 자동조향차단밸브(7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1 연결 유로(L11)는 자동조향차단밸브(70) 및 제3 연결 유로(L3)를 연결할 수 있다.
제12 연결 유로(L12)는 자동조향차단밸브(70) 및 제4 연결 유로(L4)를 연결할 수 있다.
제13 연결 유로(L13)는 자동조향차단밸브(70) 및 자동조향밸브(2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4 연결 유로(L14)는 자동조향밸브(20) 및 제5 연결 유로(L5)를 연결할 수 있다.
제15 연결 유로(L15)는 제2 연결 유로(L2) 및 감압밸브(5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6 연결 유로(L16)는 감압밸브(50) 및 자동조향온오프밸브(6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7 연결 유로(L17)는 자동조향온오프밸브(60) 및 메인절환밸브(40)의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제18 연결 유로(L18)는 제17 연결 유로(L17) 및 자동조향차단밸브(70)의 일단을 연결할 수 있다.
제19 연결 유로(L19)는 자동조향차단밸브(70)의 타단 및 메인절환밸브(40)의 일단을 연결할 수 있다. 제19 연결 유로(L19)는 제7 연결 유로(L7)를 경유할 수 있다.
제20 연결 유로(L20)는 로드센싱밸브(80) 및 자동조향밸브(20)를 연결할 수 있다.
제21 연결 유로(L21)는 감압밸브(50) 및 제5 연결 유로(L5)를 연결할 수 있다.
제22 연결 유로(L22)는 자동조향온오프밸브(60) 및 제5 연결 유로(L5)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연결 유로(L2)에는 제15 연결 유로(L15)가 연결되는 부분과 수동조향밸브(10) 사이에 제1 체크밸브(CV1)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체크밸브(CV1)는 조향우선밸브(30)로부터 제2 연결 유로(L2)를 통해 수동조향밸브(10)로 공급되는 유압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제3 연결 유로(L3)에는 제11 연결 유로(L11)가 연결되는 부분과 수동조향밸브(10) 사이에 제2 체크밸브(CV2)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체크밸브(CV2)는 수동조향밸브(10)로부터 제3 연결 유로(L3)를 통해 좌측 조향 포트(L)로 공급되는 유압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제4 연결 유로(L3)에는 제12 연결 유로(L12)가 연결되는 부분과 수동조향밸브(10) 사이에 제3 체크밸브(CV3)가 설치될 수 있다. 제3 체크밸브(CV3)는 수동조향밸브(10)로부터 제4 연결 유로(L4)를 통해 우측 조향 포트(R)로 공급되는 유압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는 지로터 펌프(G)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동조향밸브(10)는 조향우선밸브(30)로부터 제2 연결 유로(L2)를 통해 제공되는 유압을 지로터 펌프(G)로 공급할 수 있다. 지로터 펌프(G)는 수동조향밸브(10)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상승시킨 후 수동조향밸브(10)로 다시 공급할 수 있다. 수동조향밸브(10)는 지로터 펌프(G)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제3 연결 유로(L3) 또는 제4 연결 유로(L4)로 공급할 수 있다. 수동운전 모드로 좌회전 시, 수동조향밸브(10)는 지로터 펌프(G)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제3 연결 유로(L3)로 공급할 수 있다. 수동운전 모드로 우회전 시, 수동조향밸브(10)는 지로터 펌프(G)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제4 연결 유로(L4)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는 제23 연결 유로(L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3 연결 유로(L23)는 조향우선밸브(30) 및 외부 기기(EF)를 연결할 수 있다. 수동조향밸브(10) 및 자동조향밸브(20)가 작동되지 않을 시, 조향우선밸브(30)는 제23 연결 유로(L23)를 통해 외부 기기(EF)로 유압을 공급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 수동운전 모드로 좌회전 시 유압 흐름을 화살표로 나타내는 회로도, 도 4는 도 2에서 수동운전 모드로 우회전 시 유압 흐름을 화살표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수동운전 모드 시, 조향우선밸브(30)는, 펌프 포트(P)로부터 제1 연결 유로(L1)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2 연결 유로(L2)를 통해 수동조향밸브(10)로 공급함과 아울러 제6 연결 유로(L6)를 통해 로드센싱밸브(8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동운전 모드 시, 수동조향밸브(10)는, 조향우선밸브(30)로부터 제2 연결 유로(L2)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3 연결 유로(L3) 및 제4 연결 유로(L4)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함과 아울러 다른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제5 연결 유로(L5)를 통해 탱크 포트(T)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동운전 모드 시, 메인절환밸브(40)는 제8 연결 유로(L8) 및 제9 연결 유로(L9)를 연결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동운전 모드 시, 로드센싱밸브(80)는 조향우선밸브(30)로부터 제6 연결 유로(L6)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7 연결 유로(L7)를 통해 수동조향밸브(10)로 공급하여, 수동조향밸브(10)가 조향우선밸브(30)로부터 제2 연결 유로(L2)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3 연결 유로(L3) 및 제4 연결 유로(L4)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함과 아울러 다른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제5 연결 유로(L5)를 통해 탱크 포트(T)로 공급하도록 수동조향밸브(10)의 유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수동운전 모드로 좌회전 시, 조향우선밸브(30)는, 펌프 포트(P)로부터 제1 연결 유로(L1)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2 연결 유로(L2)를 통해 수동조향밸브(10)로 공급함과 아울러 제6 연결 유로(L6)를 통해 로드센싱밸브(8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동운전 모드로 좌회전 시, 수동조향밸브(10)는, 조향우선밸브(30)로부터 제2 연결 유로(L2)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3 연결 유로(L3)로 공급함과 아울러 제4 연결 유로(L4)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제5 연결 유로(L5)를 통해 탱크 포트(T)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동운전 모드로 좌회전 시, 메인절환밸브(40)는 제8 연결 유로(L8) 및 제9 연결 유로(L9)를 연결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동운전 모드로 좌회전 시, 로드센싱밸브(80)는 조향우선밸브(30)로부터 제6 연결 유로(L6)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7 연결 유로(L7)를 통해 수동조향밸브(10)로 공급하여, 수동조향밸브(10)가 조향우선밸브(30)로부터 제2 연결 유로(L2)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3 연결 유로(L3)로 공급함과 아울러 제4 연결 유로(L4)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제5 연결 유로(L5)를 통해 탱크 포트(T)로 공급하도록 수동조향밸브(10)의 유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수동운전 모드로 우회전 시, 조향우선밸브(30)는, 펌프 포트(P)로부터 제1 연결 유로(L1)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2 연결 유로(L2)를 통해 수동조향밸브(10)로 공급함과 아울러 제6 연결 유로(L6)를 통해 로드센싱밸브(8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동운전 모드로 우회전 시, 수동조향밸브(10)는, 조향우선밸브(30)로부터 제2 연결 유로(L2)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4 연결 유로(L4)로 공급함과 아울러 제3 연결 유로(L3)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제5 연결 유로(L5)를 통해 탱크 포트(T)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동운전 모드로 우회전 시, 메인절환밸브(40)는 제8 연결 유로(L8) 및 제9 연결 유로(L9)를 연결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동운전 모드로 우회전 시, 로드센싱밸브(80)는 조향우선밸브(30)로부터 제6 연결 유로(L6)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7 연결 유로(L7)를 통해 수동조향밸브(10)로 공급하여, 수동조향밸브(10)가 조향우선밸브(30)로부터 제2 연결 유로(L2)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4 연결 유로(L4)로 공급함과 아울러 제3 연결 유로(L3)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제5 연결 유로(L5)를 통해 탱크 포트(T)로 공급하도록 수동조향밸브(10)의 유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서 자동운전 모드로 좌회전 시 유압 흐름을 화살표로 나타내는 회로도, 도 6은 도 2에서 자동운전 모드로 우회전 시 유압 흐름을 화살표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자동운전 모드 시, 조향우선밸브(30)는, 펌프 포트(P)로부터 제1 연결 유로(L1)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2 연결 유로(L2) 및 제15 연결 유로(L15)를 통해 감압밸브(50)로 공급함과 아울러 제2 연결 유로(L2) 및 제8 연결 유로(L8)를 통해 메인절환밸브(40)로 공급함과 아울러 제6 연결 유로(L6)를 통해 로드센싱밸브(8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운전 모드 시, 감압밸브(50)는 조향우선밸브(30)로부터 제2 연결 유로(L2) 및 제15 연결 유로(L15)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16 연결 유로(L16)를 통해 자동조향온오프밸브(6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운전 모드 시, 메인절환밸브(40)는 조향우선밸브(30)로부터 제2 연결 유로(L2) 및 제8 연결 유로(L8)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9 연결 유로(L9)를 통해 자동조향밸브(2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운전 모드 시, 자동조향밸브(20)는, 메인절환밸브(40)로부터 제9 연결 유로(L9)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10 연결 유로(L10) 및 제13 연결 유로(L13)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함과 아울러 다른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제14 연결 유로(L14) 및 제5 연결 유로(L5)를 통해 탱크 포트(T)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운전 모드 시, 로드센싱밸브(80)는 제6 연결 유로(L6) 및 제7 연결 유로(L7)를 연결해제하여, 자동조향밸브(20)가 메인절환밸브(40)로부터 제9 연결 유로(L9)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10 연결 유로(L10) 및 제13 연결 유로(L13)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함과 아울러 다른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제14 연결 유로(L14) 및 제5 연결 유로(L5)를 통해 탱크 포트(T)로 공급하도록 자동조향밸브(20)의 유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운전 모드 시, 자동조향차단밸브(70)는 제10 연결 유로(L10) 및 제11 연결 유로(L11)를 연결함과 아울러 제12 연결 유로(L12) 및 제13 연결 유로(L13)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운전 모드 시, 자동조향온오프밸브(60)는 감압밸브(50)로부터 제16 연결 유로(L16)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17 연결 유로(L17)를 통해 메인절환밸브(40)의 타단으로 공급하여, 메인절환밸브(40)가 조향우선밸브(30)로부터 제2 연결 유로(L2) 및 제8 연결 유로(L8)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9 연결 유로(L9)를 통해 자동조향밸브(20)로 공급하도록 메인절환밸브(40)의 유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운전 모드 시, 자동조향온오프밸브(60)는 감압밸브(50)로부터 제16 연결 유로(L16)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17 연결 유로(L17) 및 제18 연결 유로(L18)를 통해 자동조향차단밸브(70)의 일단으로 공급하여, 자동조향차단밸브(70)가 제10 연결 유로(L10) 및 제11 연결 유로(L11)를 연결하고 제12 연결 유로(L12) 및 제13 연결 유로(L13)를 연결하도록 자동조향차단밸브(70)의 유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자동운전 모드로 좌회전 시, 조향우선밸브(30)는, 펌프 포트(P)로부터 제1 연결 유로(L1)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2 연결 유로(L2) 및 제15 연결 유로(L15)를 통해 감압밸브(50)로 공급함과 아울러 제2 연결 유로(L2) 및 제8 연결 유로(L8)를 통해 메인절환밸브(40)로 공급함과 아울러 제6 연결 유로(L6)를 통해 로드센싱밸브(8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운전 모드로 좌회전 시, 감압밸브(50)는 조향우선밸브(30)로부터 제2 연결 유로(L2) 및 제15 연결 유로(L15)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16 연결 유로(L16)를 통해 자동조향온오프밸브(6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운전 모드로 좌회전 시, 메인절환밸브(40)는 조향우선밸브(30)로부터 제2 연결 유로(L2) 및 제8 연결 유로(L8)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9 연결 유로(L9)를 통해 자동조향밸브(2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운전 모드로 좌회전 시, 자동조향밸브(20)는, 메인절환밸브(40)로부터 제9 연결 유로(L9)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10 연결 유로(L10)로 공급함과 아울러 제13 연결 유로(L13)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제14 연결 유로(L14) 및 제5 연결 유로(L5)를 통해 탱크 포트(T)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운전 모드로 좌회전 시, 로드센싱밸브(80)는 제6 연결 유로(L6) 및 제7 연결 유로(L7)를 연결해제하여, 자동조향밸브(20)가 메인절환밸브(40)로부터 제9 연결 유로(L9)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10 연결 유로(L10)로 공급함과 아울러 제13 연결 유로(L13)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제14 연결 유로(L14) 및 제5 연결 유로(L5)를 통해 탱크 포트(T)로 공급하도록 자동조향밸브(20)의 유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운전 모드로 좌회전 시, 자동조향차단밸브(70)는 제10 연결 유로(L10) 및 제11 연결 유로(L11)를 연결함과 아울러 제12 연결 유로(L12) 및 제13 연결 유로(L13)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운전 모드로 좌회전 시, 자동조향온오프밸브(60)는 감압밸브(50)로부터 제16 연결 유로(L16)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17 연결 유로(L17)를 통해 메인절환밸브(40)의 타단으로 공급하여, 메인절환밸브(40)가 조향우선밸브(30)로부터 제2 연결 유로(L2) 및 제8 연결 유로(L8)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9 연결 유로(L9)를 통해 자동조향밸브(20)로 공급하도록 메인절환밸브(40)의 유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운전 모드로 좌회전 시, 자동조향온오프밸브(60)는 감압밸브(50)로부터 제16 연결 유로(L16)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17 연결 유로(L17) 및 제18 연결 유로(L18)를 통해 자동조향차단밸브(70)의 일단으로 공급하여, 자동조향차단밸브(70)가 제10 연결 유로(L10) 및 제11 연결 유로(L11)를 연결하고 제12 연결 유로(L12) 및 제13 연결 유로(L13)를 연결하도록 자동조향차단밸브(70)의 유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자동운전 모드로 우회전 시, 조향우선밸브(30)는, 펌프 포트(P)로부터 제1 연결 유로(L1)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2 연결 유로(L2) 및 제15 연결 유로(L15)를 통해 감압밸브(50)로 공급함과 아울러 제2 연결 유로(L2) 및 제8 연결 유로(L8)를 통해 메인절환밸브(40)로 공급함과 아울러 제6 연결 유로(L6)를 통해 로드센싱밸브(8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운전 모드로 우회전 시, 감압밸브(50)는 조향우선밸브(30)로부터 제2 연결 유로(L2) 및 제15 연결 유로(L15)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16 연결 유로(L16)를 통해 자동조향온오프밸브(6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운전 모드로 우회전 시, 메인절환밸브(40)는 조향우선밸브(30)로부터 제2 연결 유로(L2) 및 제8 연결 유로(L8)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9 연결 유로(L9)를 통해 자동조향밸브(2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운전 모드로 우회전 시, 자동조향밸브(20)는, 메인절환밸브(40)로부터 제9 연결 유로(L9)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13 연결 유로(L13)로 공급함과 아울러 제10 연결 유로(L10)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제14 연결 유로(L14) 및 제5 연결 유로(L5)를 통해 탱크 포트(T)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운전 모드로 우회전 시, 로드센싱밸브(80)는 제6 연결 유로(L6) 및 제7 연결 유로(L7)를 연결해제하여, 자동조향밸브(20)가 메인절환밸브(40)로부터 제9 연결 유로(L9)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13 연결 유로(L13)로 공급함과 아울러 제10 연결 유로(L10)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제14 연결 유로(L14) 및 제5 연결 유로(L5)를 통해 탱크 포트(T)로 공급하도록 자동조향밸브(20)의 유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운전 모드로 우회전 시, 자동조향차단밸브(70)는 제10 연결 유로(L10) 및 제11 연결 유로(L11)를 연결함과 아울러 제12 연결 유로(L12) 및 제13 연결 유로(L13)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운전 모드로 우회전 시, 자동조향온오프밸브(60)는 감압밸브(50)로부터 제16 연결 유로(L16)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17 연결 유로(L17)를 통해 메인절환밸브(40)의 타단으로 공급하여, 메인절환밸브(40)가 조향우선밸브(30)로부터 제2 연결 유로(L2) 및 제8 연결 유로(L8)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9 연결 유로(L9)를 통해 자동조향밸브(20)로 공급하도록 메인절환밸브(40)의 유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운전 모드로 우회전 시, 자동조향온오프밸브(60)는 감압밸브(50)로부터 제16 연결 유로(L16)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제17 연결 유로(L17) 및 제18 연결 유로(L18)를 통해 자동조향차단밸브(70)의 일단으로 공급하여, 자동조향차단밸브(70)가 제10 연결 유로(L10) 및 제11 연결 유로(L11)를 연결하고 제12 연결 유로(L12) 및 제13 연결 유로(L13)를 연결하도록 자동조향차단밸브(70)의 유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서 자동운전 모드 중 수동운전 모드로 비상 전환 시 유압 흐름을 화살표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여기서는, 자동운전 모드로 좌회전 중 수동운전 모드로 비상 좌회전 전환 시만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자동운전 모드 중 상기 수동운전 모드로 비상 전환 시, 수동조향밸브(10)는 제7 연결 유로(L7) 및 제19 연결 유로(L19)를 통해 메인절환밸브(40)의 일단 및 자동조향차단밸브(70)의 타단으로 유압을 공급하여, 메인절환밸브(40)가 제8 연결 유로(L8) 및 제9 연결 유로(L9)를 연결해제하도록 메인절환밸브(40)의 유로를 변경함과 아울러 자동조향차단밸브(70)가 제10 연결 유로(L10) 및 제11 연결 유로(L11)를 연결해제하고 제12 연결 유로(L12) 및 제13 연결 유로(L13)를 연결해제하도록 자동조향차단밸브(70)의 유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자동운전 모드 중 상기 수동운전 모드로 비상 전환 시, 수동조향밸브(10)가 제7 연결 유로(L7) 및 제19 연결 유로(L19)를 통해 메인절환밸브(40)의 일단 및 자동조향차단밸브(70)의 타단으로 유압을 공급하게 되면, 메인절환밸브(40)는 제19 연결 유로(L19)가 연결된 일단의 유압이 제17 연결 유로(L17)가 연결된 타단의 유압보다 높기 때문에, 메인절환밸브(40)의 스풀이 도면 상 왼쪽으로 이동되어 유로가 변경됨으로서, 메인절환밸브(40)는 제8 연결 유로(L8) 및 제9 연결 유로(L9)를 연결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절환밸브(40)는 제19 연결 유로(L19)가 연결된 일단의 유압이 제17 연결 유로(L17)가 연결된 타단의 유압보다 높은 이유는, 감압밸브(50)가 제17 연결 유로(L17)로 공급되는 유압을 감압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자동운전 모드 중 상기 수동운전 모드로 비상 전환 시, 수동조향밸브(10)가 제7 연결 유로(L7) 및 제19 연결 유로(L19)를 통해 메인절환밸브(40)의 일단 및 자동조향차단밸브(70)의 타단으로 유압을 공급하게 되면, 자동조향차단밸브(70)는 제18 연결 유로(L18)가 연결된 일단의 유압이 제19 연결 유로(L19)가 연결된 타단의 유압보다 낮기 때문에, 자동조향차단밸브(70)의 스풀이 도면 상 왼쪽으로 이동되어 유로가 변경됨으로서, 자동조향차단밸브(70)는 제10 연결 유로(L10) 및 제11 연결 유로(L11)를 연결해제하고 제12 연결 유로(L12) 및 제13 연결 유로(L13)를 연결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조향차단밸브(70)는 제18 연결 유로(L18)가 연결된 일단의 유압이 제19 연결 유로(L19)가 연결된 타단의 유압보다 낮은 이유는, 감압밸브(50)가 제18 연결 유로(L18)로 공급되는 유압을 감압하였기 때문이다.
도 8은 도 2에서 자동운전 모드 중 자동운전 모드 해제 시 유압 흐름을 화살표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여기서는, 자동운전 모드로 좌회전 중 자동운전 모드 해제 시만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자동운전 모드 중 상기 자동운전 모드 해제 시, 자동조향온오프밸브(60)는, 감압밸브(50)로부터 제16 연결 유로(L16)를 통해 제공되는 유압을 제17 연결 유로(L17)로 공급하지 않고 제22 연결 유로(L22) 및 제5 연결 유로(L5)를 통해 탱크 포트(T)로 공급하여, 메인절환밸브(40)가 제8 연결 유로(L8) 및 제9 연결 유로(L9)를 연결해제하도록 메인절환밸브(40)의 유로를 변경함과 아울러 자동조향차단밸브(70)가 제10 연결 유로(L10) 및 제11 연결 유로(L11)를 연결해제하고 제12 연결 유로(L12) 및 제13 연결 유로(L13)를 연결해제하도록 자동조향차단밸브(70)의 유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상기 자동운전 모드 중 상기 자동운전 모드 해제 시, 자동조향온오프밸브(60)가 감압밸브(50)로부터 제16 연결 유로(L16)를 통해 제공되는 유압을 제17 연결 유로(L17)로 공급하지 않고 제22 연결 유로(L22) 및 제5 연결 유로(L5)를 통해 탱크 포트(T)로 공급하게 되면, 메인절환밸브(40)는 제17 연결 유로(L17) 측의 유압이 해제되고, 제19 연결 유로(L19) 측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메인절환밸브(40)의 스풀이 도면 상 왼쪽으로 이동되어 유로가 변경됨으로서, 메인절환밸브(40)는 제8 연결 유로(L8) 및 제9 연결 유로(L9)를 연결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운전 모드 중 상기 자동운전 모드 해제 시, 자동조향온오프밸브(60)가 감압밸브(50)로부터 제16 연결 유로(L16)를 통해 제공되는 유압을 제17 연결 유로(L17)로 공급하지 않고 제22 연결 유로(L22) 및 제5 연결 유로(L5)를 통해 탱크 포트(T)로 공급하게 되면, 자동조향차단밸브(70)는 제18 연결 유로(L18)가 연결된 일단의 유압이 해제되고, 제19 연결 유로(L19) 측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자동조향차단밸브(70)의 스풀이 도면 상 왼쪽으로 이동되어 유로가 변경됨으로서, 자동조향차단밸브(70)는 제10 연결 유로(L10) 및 제11 연결 유로(L11)를 연결해제하고 제12 연결 유로(L12) 및 제13 연결 유로(L13)를 연결해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100)는, 자동운전 모드 시 자동조향밸브(20)로 유압을 공급하는 메인절환밸브(40)를 구비하는데, 메인절환밸브(40)의 일단의 유압보다 타단의 유압을 낮춰서 메인절환밸브(40)가 자동조향밸브(20)로 유압을 공급하지 않도록 메인절환밸브(40)의 유로를 변경하는 감압밸브(50)를 구비하기 때문에, 자동운전 모드 중에 긴급하게 수동운전 모드로 비상 전환 시에 메인절환밸브(40)가 자동조향밸브(20)로 유압을 공급하지 않도록 메인절환밸브(40)의 유로를 신속하게 변경하여서, 자동운전 모드 중 긴급하게 수동운전 모드로 비상 전환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수동조향밸브 20 : 자동조향밸브
30 : 조향우선밸브 40 : 메인절환밸브
50 : 감압밸브 60 : 자동조향온오프밸브
70 : 자동조향차단밸브 80 : 로드센싱밸브
100 :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L : 좌측 조향 포트
L1 : 제1 연결 유로 L2 : 제2 연결 유로
L3 : 제3 연결 유로 L4 : 제4 연결 유로
L5 : 제5 연결 유로 L6 : 제6 연결 유로
L7 : 제7 연결 유로 L8 : 제8 연결 유로
L9 : 제9 연결 유로 L10 : 제10 연결 유로
L11 : 제11 연결 유로 L12 : 제12 연결 유로
L13 : 제13 연결 유로 L14 : 제14 연결 유로
L15 : 제15 연결 유로 L16 : 제16 연결 유로
L17 : 제17 연결 유로 L18 : 제18 연결 유로
L19 : 제19 연결 유로 L20 : 제20 연결 유로
L21 : 제21 연결 유로 L22 : 제22 연결 유로
P : 펌프 포트 R : 우측 조향 포트
T : 탱크 포트

Claims (8)

  1. 수동운전 모드 시, 좌측 조향 포트 및 우측 조향 포트 중, 어느 하나로 유압을 공급하고, 다른 하나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탱크 포트로 공급하는 수동조향밸브;
    자동운전 모드 시, 상기 좌측 조향 포트 및 상기 우측 조향 포트 중, 어느 하나로 유압을 공급하고, 다른 하나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상기 탱크 포트로 공급하는 자동조향밸브;
    펌프 포트로부터 유압을 제공받는 조향우선밸브;
    상기 수동운전 모드 시 상기 조향우선밸브로부터 상기 자동조향밸브로 흐르는 유압을 차단하여 상기 조향우선밸브로부터 상기 수동조향밸브로 유압을 흐르게 하고, 상기 자동운전 모드 시 상기 조향우선밸브로부터 상기 자동조향밸브로 유압을 흐르게 하는 메인절환밸브; 및
    상기 자동운전 모드 중 상기 수동운전 모드로 비상 전환 시, 상기 조향우선밸브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상기 수동조향밸브로부터 상기 메인절환밸브의 일단으로 제공되는 유압보다 낮춰서 상기 메인절환밸브의 타단으로 공급하여, 상기 메인절환밸브가 상기 조향우선밸브로부터 상기 자동조향밸브로 흐르는 유압을 차단할 수 있게 하는 감압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수동운전 모드 시 상기 수동조향밸브가 상기 조향우선밸브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상기 좌측 조향 포트 및 상기 우측 조향 포트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하고 다른 하나로부터 유압을 제공받아 상기 탱크 포트로 공급하도록 상기 조향우선밸브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상기 수동조향밸브로 공급하는 로드센싱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드센싱밸브는 상기 자동운전 모드 시 상기 자동조향밸브가 상기 메인절환밸브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상기 로드센싱밸브의 일단에 연결하여 상기 수동조향밸브로 흐르는 유로를 차단하여 상기 조향우선밸브로부터 상기 자동조향밸브로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동운전 모드를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자동조향온오프밸브; 및
    상기 자동조향온오프밸브가 상기 자동운전 모드를 오프하면 상기 자동조향밸브로부터 상기 좌측 조향 포트 및 상기 우측 조향 포트 중 어느 하나로 흐르는 유압과 다른 하나로부터 상기 자동조향밸브로 흐르는 유압을 차단하고, 상기 자동조향온오프밸브가 상기 자동운전 모드를 온하면 상기 자동조향밸브로부터 상기 좌측 조향 포트 및 상기 우측 조향 포트 중 어느 하나로 흐르는 유압과 다른 하나로부터 상기 자동조향밸브로 흐르는 유압을 개방하는 자동조향차단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운전 모드 중 상기 수동운전 모드로 비상 전환 시, 상기 감압밸브는 상기 조향우선밸브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상기 수동조향밸브로부터 상기 메인절환밸브의 일단으로 제공되는 유압보다 낮춰서 상기 자동조향온오프밸브로 공급하고, 상기 자동조향온오프밸브는 상기 감압밸브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상기 메인절환밸브의 타단으로 공급하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펌프 포트 및 상기 조향우선밸브를 연결하는 제1 연결 유로와,
    상기 조향우선밸브 및 상기 수동조향밸브를 연결하는 제2 연결 유로와,
    상기 수동조향밸브 및 상기 좌측 조향 포트를 연결하는 제3 연결 유로와,
    상기 수동조향밸브 및 상기 우측 조향 포트를 연결하는 제4 연결 유로와,
    상기 수동조향밸브 및 상기 탱크 포트를 연결하는 제5 연결 유로와,
    상기 조향우선밸브 및 상기 로드센싱밸브를 연결하는 제6 연결 유로와,
    상기 로드센싱밸브 및 상기 수동조향밸브를 연결하는 제7 연결 유로와,
    상기 제2 연결 유로 및 상기 메인절환밸브를 연결하는 제8 연결 유로와,
    상기 메인절환밸브 및 상기 자동조향밸브를 연결하는 제9 연결 유로와,
    상기 자동조향밸브 및 상기 자동조향차단밸브를 연결하는 제10 연결 유로와,
    상기 자동조향차단밸브 및 상기 제3 연결 유로를 연결하는 제11 연결 유로와,
    상기 자동조향차단밸브 및 상기 제4 연결 유로를 연결하는 제12 연결 유로와,
    상기 자동조향차단밸브 및 상기 자동조향밸브를 연결하는 제13 연결 유로와,
    상기 자동조향밸브 및 상기 제5 연결 유로를 연결하는 제14 연결 유로와,
    상기 제2 연결 유로 및 상기 감압밸브를 연결하는 제15 연결 유로와,
    상기 감압밸브 및 상기 자동조향온오프밸브를 연결하는 제16 연결 유로와,
    상기 자동조향온오프밸브 및 상기 메인절환밸브의 타단을 연결하는 제17 연결 유로와,
    상기 제17 연결 유로 및 상기 자동조향차단밸브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18 연결 유로와,
    상기 자동조향차단밸브의 타단 및 상기 메인절환밸브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7 연결 유로를 경유하는 제19 연결 유로와,
    상기 로드센싱밸브 및 상기 자동조향밸브를 연결하는 제20 연결 유로와,
    상기 감압밸브 및 상기 제5 연결 유로를 연결하는 제21 연결 유로와,
    상기 자동조향온오프밸브 및 상기 제5 연결 유로를 연결하는 제22 연결 유로를 더 포함하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동운전 모드 시,
    상기 조향우선밸브는, 상기 펌프 포트로부터 상기 제1 연결 유로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상기 제2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수동조향밸브로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제6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로드센싱밸브로 공급하고,
    상기 수동조향밸브는, 상기 조향우선밸브로부터 상기 제2 연결 유로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상기 제3 연결 유로 및 상기 제4 연결 유로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함과 아울러 다른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상기 제5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탱크 포트로 공급하며,
    상기 메인절환밸브는 상기 제8 연결 유로 및 상기 제9 연결 유로를 연결해제하고,
    상기 로드센싱밸브는 상기 조향우선밸브로부터 상기 제6 연결 유로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상기 제7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수동조향밸브로 공급하여, 상기 수동조향밸브가 상기 조향우선밸브로부터 상기 제2 연결 유로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상기 제3 연결 유로 및 상기 제4 연결 유로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함과 아울러 다른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상기 제5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탱크 포트로 공급하도록 상기 수동조향밸브의 유로를 변경하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자동운전 모드 시,
    상기 조향우선밸브는, 상기 펌프 포트로부터 상기 제1 연결 유로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상기 제2 연결 유로 및 상기 제15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감압밸브로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제2 연결 유로 및 상기 제8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메인절환밸브로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제6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로드센싱밸브로 공급하고,
    상기 감압밸브는 상기 조향우선밸브로부터 상기 제2 연결 유로 및 상기 제15 연결 유로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상기 제16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자동조향온오프밸브로 공급하며,
    상기 메인절환밸브는 상기 조향우선밸브로부터 상기 제2 연결 유로 및 상기 제8 연결 유로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상기 제9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자동조향밸브로 공급하고,
    상기 자동조향밸브는, 상기 메인절환밸브로부터 상기 제9 연결 유로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상기 제10 연결 유로 및 상기 제13 연결 유로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함과 아울러 다른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상기 제14 연결 유로 및 상기 제5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탱크 포트로 공급하며,
    상기 로드센싱밸브는 상기 제6 연결 유로 및 상기 제7 연결 유로를 연결해제하여, 상기 자동조향밸브가 상기 메인절환밸브로부터 상기 제9 연결 유로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상기 제10 연결 유로 및 상기 제13 연결 유로 중 어느 하나로 공급함과 아울러 다른 하나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을 상기 제14 연결 유로 및 상기 제5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탱크 포트로 공급하도록 상기 자동조향밸브의 유로를 변경하고,
    상기 자동조향차단밸브는 상기 제10 연결 유로 및 상기 제11 연결 유로를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제12 연결 유로 및 상기 제13 연결 유로를 연결하며,
    상기 자동조향온오프밸브는 상기 감압밸브로부터 상기 제16 연결 유로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상기 제17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메인절환밸브의 타단으로 공급하여 상기 메인절환밸브가 상기 조향우선밸브로부터 상기 제2 연결 유로 및 상기 제8 연결 유로를 통해 제공된 유압을 상기 제9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자동조향밸브로 공급하도록 상기 메인절환밸브의 유로를 변경함과 아울러, 상기 제17 연결 유로 및 상기 제18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자동조향차단밸브의 일단으로 공급하여 상기 자동조향차단밸브가 상기 제10 연결 유로 및 상기 제11 연결 유로를 연결하고 상기 제12 연결 유로 및 상기 제13 연결 유로를 연결하도록 상기 자동조향차단밸브의 유로를 변경하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자동운전 모드 중 상기 수동운전 모드로 비상 전환 시,
    상기 수동조향밸브는 상기 제7 연결 유로 및 상기 제19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메인절환밸브의 일단 및 상기 자동조향차단밸브의 타단으로 유압을 공급하여, 상기 메인절환밸브가 상기 제8 연결 유로 및 상기 제9 연결 유로를 연결해제하도록 상기 메인절환밸브의 유로를 변경함과 아울러 상기 자동조향차단밸브가 상기 제10 연결 유로 및 상기 제11 연결 유로를 연결해제하고 상기 제12 연결 유로 및 상기 제13 연결 유로를 연결해제하도록 상기 자동조향차단밸브의 유로를 변경하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자동운전 모드 중 상기 자동운전 모드 해제 시,
    상기 자동조향온오프밸브는, 상기 감압밸브로부터 상기 제16 연결 유로를 통해 제공되는 유압을 상기 제17 연결 유로로 공급하지 않고 상기 제22 연결 유로 및 상기 제5 연결 유로를 통해 상기 탱크 포트로 공급하여, 상기 메인절환밸브가 상기 제8 연결 유로 및 상기 제9 연결 유로를 연결해제하도록 상기 메인절환밸브의 유로를 변경함과 아울러 상기 자동조향차단밸브가 상기 제10 연결 유로 및 상기 제11 연결 유로를 연결해제하고 상기 제12 연결 유로 및 상기 제13 연결 유로를 연결해제하도록 상기 자동조향차단밸브의 유로를 변경하는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1020200185677A 2020-12-29 2020-12-29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102411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677A KR102411623B1 (ko) 2020-12-29 2020-12-29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677A KR102411623B1 (ko) 2020-12-29 2020-12-29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1623B1 true KR102411623B1 (ko) 2022-06-22

Family

ID=82216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677A KR102411623B1 (ko) 2020-12-29 2020-12-29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1623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7807A (ja) * 1994-11-04 1996-08-13 Caterpillar Inc 自動式機械の操舵制御装置
JP2666539B2 (ja) * 1990-08-10 1997-10-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自動操向装置
KR19980060566A (ko) * 1996-12-31 1998-10-07 오상수 자동 조향장치
KR100374714B1 (ko) * 1997-12-26 2003-05-01 주식회사 만도 자동조향장치
JP2013248928A (ja) * 2012-05-30 2013-12-12 Komatsu Ltd 無人ダンプトラック
KR20130139475A (ko) 2012-06-13 2013-12-23 (주)언맨드솔루션 트랙터 자율 주행 조향 시스템
KR20170108995A (ko) 2015-11-13 2017-09-27 샹하이 화처 네비게이션 테크놀로지 엘티디. 농기계 용 자동 조향 시스템의 유압 제어 밸브 조립체
KR20190089736A (ko) * 2018-01-23 2019-07-3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KR20190089735A (ko) 2018-01-23 2019-07-3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6539B2 (ja) * 1990-08-10 1997-10-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自動操向装置
JPH08207807A (ja) * 1994-11-04 1996-08-13 Caterpillar Inc 自動式機械の操舵制御装置
KR19980060566A (ko) * 1996-12-31 1998-10-07 오상수 자동 조향장치
KR100374714B1 (ko) * 1997-12-26 2003-05-01 주식회사 만도 자동조향장치
JP2013248928A (ja) * 2012-05-30 2013-12-12 Komatsu Ltd 無人ダンプトラック
KR20130139475A (ko) 2012-06-13 2013-12-23 (주)언맨드솔루션 트랙터 자율 주행 조향 시스템
KR20170108995A (ko) 2015-11-13 2017-09-27 샹하이 화처 네비게이션 테크놀로지 엘티디. 농기계 용 자동 조향 시스템의 유압 제어 밸브 조립체
KR20190089736A (ko) * 2018-01-23 2019-07-3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KR20190089735A (ko) 2018-01-23 2019-07-3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64436B1 (en) Steering control system
WO1995030570A1 (en) Hydraulic drive and steering systems for a vehicle
EP0665333B1 (en) Method and device for steering a surface compacting machine
JPH04271960A (ja) 車両用液圧式ステアリング装置
US6490861B2 (en) Hydraulic steering system
KR102411623B1 (ko)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US9340954B2 (en) Regenerative circuit for articulated joint
KR102501507B1 (ko)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JPS6354594B2 (ko)
JPS59128055A (ja) 車両の4輪操舵装置
US6854539B2 (en) Vehicle steering system
US3848693A (en) Dual hydraulic power steering system with hydrostatic control
US7789190B2 (en) Hydraulic steering
CN218141756U (zh) 一种电液控制的开芯自动转向器
JP2002154445A (ja) 操舵装置
KR0139115Y1 (ko) 휠타입 로다의 과도한 조향 방지장치
SU1087400A1 (ru) Гидравлическа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2280304B1 (ko) 비상 대응이 가능한 유압식 자율주행 조향 장치
CN220764491U (zh) 用于线控转向系统的转向装置及车辆系统
JP4075130B2 (ja) 走行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JPS6244849Y2 (ko)
JPH035170Y2 (ko)
KR900011146Y1 (ko) 무한궤도형 불도우저의 조향장치
JP3132138B2 (ja) 動力車輌における操舵装置
JPH03550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