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9736A -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9736A
KR20190089736A KR1020190005197A KR20190005197A KR20190089736A KR 20190089736 A KR20190089736 A KR 20190089736A KR 1020190005197 A KR1020190005197 A KR 1020190005197A KR 20190005197 A KR20190005197 A KR 20190005197A KR 20190089736 A KR20190089736 A KR 20190089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automatic
manual
line
working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헌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9/00068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46957A1/ko
Publication of KR20190089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7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9/00Steering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on a desired track
    • A01B69/007Steering or guiding of agricultural vehicles, e.g. steering of the tractor to keep the plough in the furr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62Details, componen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조향펌프; 상기 조향펌프에 연결되고, 조향핸들의 조작에 의한 수동조향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조향펌프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행방향을 변경시키는 수동조향유닛; 제어부에 의한 자동조향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조향펌프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행방향을 변경시키는 자동조향유닛;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조향펌프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자동조향유닛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조향펌프와 상기 자동조향유닛 각각에 연결된 수동우선전환유닛; 상기 조향펌프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외부장치로 배출하기 위한 외부배출라인; 및 상기 조향펌프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외부배출라인으로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조향펌프와 상기 외부배출라인 각각에 연결된 조향우선유닛을 포함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Hydraulic Steer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Vehicle}
본 발명은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는데 이용되는 농업용 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
농업용 작업차량은 땅을 이용하여 인간 생활에 필요한 작물을 재배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콤바인(Combine), 트랙터(Tractor), 이앙기 등이 농업용 작업차량에 해당한다. 콤바인은 벼, 보리, 밀, 콩 등의 작물을 예취하여 탈곡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트랙터는 견인력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앙기는 못자리나 육묘 상자에서 기른 모를 논으로 옮겨 심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농업용 작업차량은 작업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주행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한 조향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조향장치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마련된 바퀴의 방향을 변경시킴으로써 주행방향을 변경시킨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조향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조향장치(10)는 조향펌프(11) 및 조향조절부(12)를 포함한다.
상기 조향펌프(11)는 상기 조향조절부(12)에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조향펌프(11)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엔진(Engine)(미도시)이 발생시킨 구동력을 이용하여 작동유체를 이송할 수 있다. 작동유체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저장탱크(미도시)에 저장된 것이다.
상기 조향조절부(12)는 상기 조향펌프(11) 및 조향실린더(13)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조향실린더(13)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마련된 바퀴의 방향을 변경시키는 것이다. 상기 조향조절부(12)는 상기 조향펌프(11)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상기 조향실린더(13)가 갖는 제1실린더(131) 및 제2실린더(132)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실린더에 공급한다. 이 경우, 상기 조향조절부(12)는 나머지 실린더로부터 작동유체를 배출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조향조절부(12)는 상기 실린더들(131, 132)이 갖는 실린더로드(미도시)의 이동방향을 조절하여 상기 바퀴의 방향을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행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조향조절부(12)는 수동조향유닛(121) 및 자동조향유닛(122)을 포함한다.
상기 수동조향유닛(121)은 상기 조향펌프(11)에 연결된다. 운전자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에 마련된 조향핸들을 조작하면, 상기 수동조향유닛(121)은 상기 조향핸들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조향펌프(11)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상기 제1실린더(131) 또는 상기 제2실린더(132)에 공급한다. 즉, 상기 수동조향유닛(121)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행방향을 운전자의 수동조향에 따라 변경시킨다.
상기 자동조향유닛(122)은 상기 조향펌프(11)에 연결된다. 상기 자동조향유닛(122)은 제어부(14)의 제어에 따라 상기 조향펌프(11)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상기 제1실린더(131) 또는 상기 제2실린더(132)에 공급한다.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이 기설정된 주행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상기 자동조향유닛(122)을 제어한다. 즉, 상기 자동조향유닛(122)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행방향을 상기 제어부(14)의 자동조향에 따라 변경시킨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조향장치(10)는 상기 자동조향으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행방향을 변경시키는 동안 기설정된 주행경로에 예상치 못한 장애물 발생 등과 같이 작업조건에 변화가 발생한 경우, 운전자가 상기 조향핸들을 조작하더라도 상기 수동조향으로 전환되지 않고 상기 자동조향으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조향장치(10)는 작업조건의 변화에 대한 대응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작업조건의 변화에 대한 대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는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조향펌프; 상기 조향펌프에 연결되고, 조향핸들의 조작에 의한 수동조향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조향펌프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행방향을 변경시키는 수동조향유닛; 제어부에 의한 자동조향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조향펌프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행방향을 변경시키는 자동조향유닛;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조향펌프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자동조향유닛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조향펌프와 상기 자동조향유닛 각각에 연결된 수동우선전환유닛; 상기 조향펌프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외부장치로 배출하기 위한 외부배출라인; 및 상기 조향펌프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외부배출라인으로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조향펌프와 상기 외부배출라인 각각에 연결된 조향우선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은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조향펌프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자동조향유닛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조향펌프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통과시키고,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조향펌프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자동조향유닛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조향우선유닛은 상기 수동조향 및 상기 자동조향 중에서 어느 하나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조향펌프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외부배출라인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는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조향펌프; 상기 조향펌프에 연결되고, 조향핸들의 조작에 의한 수동조향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조향펌프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행방향을 변경시키는 수동조향유닛; 제어부에 의한 자동조향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조향펌프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행방향을 변경시키는 자동조향유닛; 및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조향펌프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자동조향유닛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조향펌프와 상기 자동조향유닛 각각에 연결된 수동우선전환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은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조향펌프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자동조향유닛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조향펌프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통과시키고,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조향펌프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자동조향유닛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수동조향유닛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조향실린더의 제1실린더에 연결된 제1수동연결라인, 및 상기 조향실린더의 제2실린더에 연결된 제2수동연결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조향유닛은 상기 제1실린더에 연결된 제1자동연결라인, 및 상기 제2실린더에 연결된 제2자동연결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 및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은 상기 제1실린더에 연결된 제1조향라인을 통해 상기 제1실린더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 및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은 상기 제2실린더에 연결된 제2조향라인을 통해 상기 제2실린더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자동조향유닛은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을 통해 상기 제1실린더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통과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차단하도록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에 설치된 제1자동체크밸브;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을 통해 상기 제2실린더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통과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차단하도록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에 설치된 제2자동체크밸브; 상기 제2실린더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가 상기 제2자동체크밸브를 통과하도록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을 통해 상기 제1실린더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제2자동체크밸브를 개방시키는 제1자동개방라인; 및 상기 제1실린더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가 상기 제1자동체크밸브를 통과하도록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을 통해 상기 제2실린더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자동체크밸브를 개방시키는 제2자동개방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동조향이 이루어지는 동안 수동조향이 이루어지면 수동조향에 따라 주행방향이 변경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작업조건의 변화에 대한 대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안전사고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조향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조향장치가 구비된 농업용 작업차량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에 있어서 작동유체의 유동방향을 나타낸 개략적인 유압회로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조향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6에는 작동유체의 유동방향이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실선의 유압라인에 표시된 실선의 화살표는 조향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체 또는 조향실린더에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유동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실선의 유압라인에 표시된 점선의 화살표는 조향실린더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체의 유동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점선의 유압라인에 표시된 점선의 화살표는 밸브를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유체 또는 체크밸브를 개방시키기 위한 작동유체의 유동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1)는 트랙터, 콤바인, 이앙기 등과 같은 농업용 작업차량(100)에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0)은 주행을 위한 주행부(110) 및 주행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조향실린더(120)를 포함한다. 상기 조향실린더(120)는 상기 주행부(110)가 갖는 바퀴들(111, 111')이 향하는 방향을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0)의 주행방향(이하, '상기 주행방향'이라 함)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조향실린더(120)는 작동유체를 이용한 유압식으로 작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1)는 상기 조향실린더(120)에 대한 작동유체의 공급과 배출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주행방향을 변경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1)는 조향핸들(미도시)의 조작에 의한 수동조향 및 기설정된 주행경로에 의한 자동조향을 통해 상기 주행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수동조향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0)에 탑승한 운전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자동조향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0)이 갖는 제어부(13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에는 작업조건 등에 따른 주행경로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수동조향 및 상기 자동조향을 통해 상기 주행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1)는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조향펌프(2), 및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주행방향을 변경시키는 조향조절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조향조절부(30)는 상기 자동조향과 상기 수동조향 중에서 상기 수동조향이 우선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동우선전환유닛(3), 상기 수동조향에 따라 상기 주행방향을 변경시키는 수동조향유닛(4), 및 상기 자동조향에 따라 상기 주행방향을 변경시키는 자동조향유닛(5)을 포함한다.
상기 수동조향유닛(4)은 상기 조향펌프(2)에 연결된다. 상기 수동조향유닛(4)은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주행방향을 변경시킨다. 상기 자동조향유닛(5)은 상기 자동조향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주행방향을 변경시킨다. 이 경우, 상기 자동조향유닛(5)은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을 거친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주행방향을 변경시킨다.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은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조향펌프(3)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조향펌프(2)와 상기 자동조향유닛(5) 각각에 연결된다.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은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자동조향에 따라 상기 주행방향이 변경되도록 하고, 상기 수동조항이 이루어지면 상기 수동조향에 따라 상기 주행방향이 변경되도록 한다.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은 상기 자동조향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면, 상기 수동조향에 따라 상기 주행방향이 변경되도록 전환한다. 즉,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은 상기 자동조향과 상기 수동조향 중에서 상기 수동조향이 우선하여 이루어지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1)는 상기 자동조향에 따른 기설정된 주행경로에 예상치 못한 장애물 발생 등과 같이 작업조건에 변화가 발생한 경우, 운전자가 상기 조향핸들을 회전시키는 조작만으로 상기 자동조향이 상기 수동조향으로 전환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1)는 작업조건의 변화에 대한 대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안전사고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조향펌프(2) 및 상기 조향조절부(30)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조향펌프(2)는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조향펌프(2)는 상기 수동조향유닛(4) 및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조향펌프(2)는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을 통해 상기 자동조향유닛(5)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조향펌프(2)는 공급라인(21) 및 수동분기라인(22)을 통해 상기 수동조향유닛(4)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조향펌프(2)는 상기 공급라인(21) 및 자동분기라인(23)을 통해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수동분기라인(22) 및 상기 자동분기라인(23)은 상기 공급라인(21)으로부터 분기된 것이다. 상기 공급라인(21), 상기 수동분기라인(22), 및 상기 자동분기라인(23)은 각각 호스, 배관 등과 같은 관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공급라인(21), 상기 수동분기라인(22), 및 상기 자동분기라인(23)은 각각 구조물(미도시)의 내부에 홈(Groove), 구멍(Hole) 등을 가공한 통로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급라인(21), 상기 수동분기라인(22), 및 상기 자동분기라인(23)은 각각 상기 관 구조 및 상기 통로 구조가 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공급라인(21), 상기 수동분기라인(22), 및 상기 자동분기라인(23)은 각각 상기 관 구조, 상기 통로 구조, 또는 상기 관 구조와 상기 통로 구조가 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1)에 있어서 작동유체가 유동 가능한 통로를 제공하는 라인에 해당하는 구성은, 상기 관 구조, 상기 통로 구조, 또는 상기 관 구조와 상기 통로 구조가 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조향펌프(2)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0)의 엔진(미도시)이 발생시킨 구동력을 이용하여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조향펌프(2)는 작동유체가 저장된 탱크(미도시) 및 상기 수동조향유닛(4)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작동유체는 오일(Oil)일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조향조절부(30)는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 상기 수동조향유닛(4), 및 상기 자동조향유닛(5)을 포함한다.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은 상기 조향펌프(2) 및 상기 자동조향유닛(5) 각각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은 일측이 상기 조향펌프(2)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자동조향유닛(5)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유체는 상기 조향펌프(2)에서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을 거쳐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은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은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기 자동조향에 따라 상기 주행방향이 변경되도록 하고,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면 상기 수동조향에 따라 상기 주행방향이 변경되도록 한다. 상기 자동조향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면,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은 상기 수동조향에 따라 상기 주행방향이 변경되도록 전환할 수 있다. 즉,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은 상기 자동조향과 상기 수동조향 중에서 상기 수동조향이 우선하여 이루어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은 상기 자동조향에 따른 기설정된 주행경로에 예상치 못한 장애물 발생 등과 같이 작업조건의 변화에 대한 대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안전사고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다.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은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통과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은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공급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동조향유닛(5)은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을 거친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조향에 따라 상기 주행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자동조향유닛(5)은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주행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자동조향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은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통과시키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은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4)은 상기 자동조향유닛(5)에 작동유체가 공급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자동조향을 상기 수동조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자동조향유닛(5)을 제어하더라도 상기 자동조향유닛(5)에 작동유체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상기 자동조향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은 상기 자동분기라인(23)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조향펌프(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는, 상기 자동분기라인(23)을 통해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은 자동공급라인(3a)을 통해 상기 자동조향유닛(5)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작동유체는 상기 자동분기라인(23)에서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을 거쳐 상기 자동공급라인(3a)을 통해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은 수동우선전환밸브(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는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도록 이동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는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공급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는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자동조향유닛(5)에 작동유체가 공급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자동조향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는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는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자동조향유닛(5)에 작동유체가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자동조향이 이루어질 수 없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는 하나의 축 상에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는 왼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작동유체를 통과시키고, 오른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작동유체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는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는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이동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는 상기 조향펌프(2)에서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공급되기 위한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공급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자동조향유닛(5)에 작동유체가 공급되므로, 상기 자동조향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조향펌프(2)에서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공급되기 위한 작동유체는,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를 가압하여 이동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은 상기 자동분기라인(23)에 연결된 유입라인(3b), 및 상기 유입라인(3b)에 연결된 자동전환라인(3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조향펌프(2)가 공급한 작동유체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조향펌프(2)가 공급한 작동유체는 상기 공급라인(21)을 통해 상기 자동분기라인(23)으로 공급된다.
다음, 작동유체는 상기 자동분기라인(23)을 통해 유동하다가 상기 유입라인(3b)으로 공급된다. 이 경우,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는 작동유체를 차단하도록 이동한 상태이다.
다음, 상기 유입라인(3b)을 통해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일부가 상기 자동전환라인(3c)으로 공급된 후에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는 작동유체가 상기 유입라인(3b)에서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공급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이동한다. 도 4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는 상기 자동전환라인(3c)에 공급된 작동유체에 의해 왼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입라인(3b)에 공급된 작동유체는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를 통과한 후에 상기 자동공급라인(3a)을 통해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1)는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조향펌프(2)에서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공급되기 위한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1)는 별도의 조작 없이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만으로, 상기 자동조향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조향펌프(2)가 공급한 작동유체의 일부는 상기 수동조향유닛(4)에 공급되고 있어, 운전자가 상기 조향핸들을 조작함에 따라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이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는 상기 수동조향유닛(4)에서 상기 조향실린더(120)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자동조향유닛(5)에 작동유체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상기 자동조향이 이루어질 수 없는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수동조향유닛(4)에서 상기 조향실린더(120)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는,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를 가압하여 이동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은 수동우선전환라인(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동우선전환라인(32)은 일측이 상기 수동조향유닛(4)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동우선전환라인(32)에서는 상기 수동조향에 따라 상기 조향실린더(120)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로부터 분기된 작동유체가 유동한다.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조향펌프(2)가 공급한 작동유체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조향펌프(2)가 공급한 작동유체는 상기 공급라인(21)을 통해 공급된 후에, 상기 수동분기라인(22) 및 상기 자동분기라인(23) 각각으로 분기된다.
다음, 상기 수동분기라인(22)으로 분기된 작동유체는, 상기 수동분기라인(22)을 통해 상기 수동조향유닛(4)으로 공급된다.
다음, 상기 수동조향유닛(4)으로 공급된 작동유체는 상기 조향실린더(120)로 공급된다. 이 경우, 상기 수동조향유닛(4)에서 상기 조향실린더(120)로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일부가 분기되어서 상기 수동우선전환라인(32)으로 공급된다.
다음, 상기 수동우선전환라인(32)을 통해 유동하는 작동유체는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 쪽으로 유동한 후에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는 작동유체가 상기 유입라인(3b)에서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동한다. 도 3 및 도 5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는 상기 수동우선전환라인(32)에 공급된 작동유체에 의해 오른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는 스프링(Spring)의 탄성력 및 상기 수동우선전환라인(32)에 공급된 작동유체의 가압력에 의해 오른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입라인(3b)에 공급된 작동유체는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공급될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1)는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수동조향에 따라 상기 조향실린더(120)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자동조향유닛(5)에 작동유체가 공급되지 않도록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1)는 상기 조향핸들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상기 자동조향에서 상기 수동조향으로 전환됨과 아울러 상기 자동조향이 이루어질 수 없는 상태로 전환되도록 구현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는 제1전환기구(311) 및 제2전환기구(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환기구(311)는 작동유체를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전환기구(311)가 상기 유입라인(3b) 및 상기 자동공급라인(3a)에 연결되면, 상기 제1전환기구(311)는 상기 유입라인(3b)에서 상기 자동공급라인(3a)으로 작동유체가 공급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2전환기구(312)는 작동유체를 통과시키는 것이다.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전환기구(312)가 상기 유입라인(3b) 및 상기 자동공급라인(3a)에 연결되면, 상기 제2전환기구(312)는 상기 유입라인(3b)에서 상기 자동공급라인(3a)으로 작동유체가 유동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제2전환기구(312)는 상기 유입라인(3b)과 상기 자동공급라인(3a) 각각에 연결되는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가 이동하는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전환기구(312) 및 상기 제1전환기구(311)는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2전환기구(312)는 상기 제1전환기구(311)에 대해 오른쪽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수동조향유닛(4)은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주행방향을 변경시키는 것이다.
상기 수동조향유닛(4)은 상기 조향펌프(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동조향유닛(4)은 상기 수동분기라인(22) 및 상기 공급라인(21)을 통해 상기 조향펌프(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동조향유닛(4)은 상기 조향실린더(1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동조향유닛(4)은 조향라인(140)을 통해 상기 조향실린더(1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조향실린더(120)는 제1실린더(120a) 및 제2실린더(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실린더(120a) 및 상기 제2실린더(120b)는 각각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바퀴들(111, 111')이 향하는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실린더(120a) 및 상기 제2실린더(120b)는 각각 상기 바퀴들(111, 111')이 서로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실린더(120a) 및 상기 제2실린더(120b)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1)는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는 방향에 따라 상기 제1실린더(120a)에 작동유체를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제2실린더(120b)로부터 작동유체를 배출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1)는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는 방향에 따라 상기 제1실린더(120a)로부터 작동유체를 배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2실린더(120b)에 작동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수동조향유닛(4)은 제1수동연결라인(41) 및 제2수동연결라인(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은 상기 제1실린더(120a)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은 상기 제2실린더(120b)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 및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 각각에서는 상기 수동조향에 따라 작동유체가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 및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에서는 작동유체가 유동하지 않는다.
상기 수동조향유닛(4)은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을 통해 상기 제1실린더(120a)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은 상기 제1실린더(120a)에 연결된 제1조향라인(140a)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조향라인(140a)은 일측이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실린더(120a)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동조향유닛(4)은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을 통해 상기 제2실린더(120b)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은 상기 제2실린더(120b)에 연결된 제2조향라인(140b)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조향라인(140b)은 일측이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실린더(120b)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는 방향에 따라, 상기 수동조향유닛(4)은 상기 제1실린더(120a) 및 상기 제2실린더(120b)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실린더에 작동유체를 공급함과 아울러 나머지 하나의 실린더로부터 작동유체를 배출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수동조향유닛(4)은 수동조향밸브(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동조향밸브(43)는 상기 수동조향에 따라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수동조향밸브(43)는 상기 조향핸들이 회전함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수동조향밸브(43)는 상기 수동조향에 따라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의 유동경로를 전환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수동조향밸브(43)는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통과시키지 않도록 이동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행방향을 제1방향으로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수동조향밸브(43)는 상기 조향핸들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으로 공급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으로 공급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1조향라인(140a)을 통해 상기 제1실린더(120a)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린더(120a)로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일부는, 상기 수동우선전환라인(32)을 통해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 도 3에 도시됨)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자동조향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전환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동조향밸브(43)는 상기 제2실린더(120b)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를 수동배출라인(4a)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실린더(120b)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2조향라인(140b) 및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을 통해 상기 수동조향밸브(43)로 공급된 후에 상기 수동조향밸브(43)에 의해 상기 수동배출라인(4a)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수동배출라인(4a)을 통해 배출된 작동유체는 외부장치(200)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외부장치(200)는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0)에 구비된 것으로,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것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외부장치(200)는 변속기(Transmission)일 수 있다. 상기 외부장치(200)는 작동유체를 저장하는 저장탱크일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행방향을 상기 제1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제2방향으로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수동조향밸브(43)는 상기 조향핸들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으로 공급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으로 공급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2조향라인(140b)을 통해 상기 제2실린더(120b)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2실린더(120b)로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일부는, 상기 수동우선전환라인(32)을 통해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 도 5에 도시됨)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자동조향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전환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동조향밸브(43)는 상기 제1실린더(120a)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를 상기 수동배출라인(4a)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실린더(120a)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1조향라인(140a) 및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을 통해 상기 수동조향밸브(43)로 공급된 후에 상기 수동조향밸브(43)에 의해 상기 수동배출라인(4a)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수동조향밸브(43)는 하나의 축 상에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의 유동경로를 전환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동조향밸브(43)가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통과시키지 않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동조향밸브(43)는 왼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상기 제1실린더(120a)로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제2실린더(120b)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를 상기 수동배출라인(4a)으로 배출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동조향밸브(43)가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통과시키지 않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동조향밸브(43)는 오른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상기 제2실린더(120b)로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제1실린더(120a)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를 상기 수동배출라인(4a)으로 배출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수동조향밸브(43)는 제1수동조향기구(431), 제2수동조향기구(432), 및 제3수동조향기구(4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수동조향기구(431)는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조향실린더(120)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동조향밸브(43)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수동조향기구(431)가 상기 수동분기라인(22), 상기 수동배출라인(4a),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 및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 각각에 연결되면, 상기 제1수동조향기구(431)는 상기 수동분기라인(22)을 통해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수동배출라인(4a),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 및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 각각으로 공급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수동조향밸브(43)가 수동중립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수동조향기구(431)는 상기 수동분기라인(22), 상기 수동배출라인(4a),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 및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 각각에 연결되도록 위치한다.
상기 제2수동조향기구(432)는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상기 제1실린더(120a)로 공급하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동조향밸브(43)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수동조향기구(432)가 상기 수동분기라인(22), 상기 수동배출라인(4a),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 및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 각각에 연결되면, 상기 제2수동조향기구(432)는 상기 수동분기라인(22)에서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으로 작동유체가 유동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 및 상기 제1조향라인(140a)을 통해 상기 제1실린더(120a)로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수동조향기구(432)는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에서 상기 수동배출라인(4a)으로 작동유체가 유동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실린더(120b)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 및 상기 수동배출라인(4a)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수동조향기구(432)는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상기 제1실린더(120a)로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제2실린더(120b)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를 상기 수동배출라인(4a)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수동조향기구(432)는 상기 수동분기라인(22)과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 각각에 연결되기 위한 유로, 및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과 상기 수동배출라인(4a) 각각에 연결되기 위한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수동조향기구(432)는 상기 수동우선전환라인(32)에 추가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수동조향기구(432)는 상기 수동분기라인(22)에서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으로 작동유체가 유동하도록 허용함과 동시에 상기 수동분기라인(22)에서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으로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일부가 상기 수동우선전환라인(32)으로 유동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수동조향기구(432)는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 및 상기 수동우선전환라인(32) 각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수동조향기구(432)는 상기 제1실린더(120a)로 작동유체를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작동유체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로 작동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2수동조향기구(432)는 상기 수동분기라인(22),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 그리고 상기 수동우선전환라인(32) 각각에 연결되기 위한 유로, 및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과 상기 수동배출라인(4a) 각각에 연결되기 위한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수동조향기구(432)는 상기 수동조향밸브(28)의 이동을 돕기 위한 유압모터(150)에 추가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수동조향기구(432)는 상기 수동분기라인(22)에서 상기 유압모터(150)로 작동유체가 유동하도록 허용함과 동시에 상기 유압모터(150)를 거쳐서 다시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으로 유동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2수동조향기구(432)를 거쳐 상기 유압모터(150)로 공급된 후에, 다시 상기 제2수동조향기구(432)를 거쳐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2수동조향기구(432)는 상기 수동분기라인(22)과 상기 유압모터(150) 각각에 연결되기 위한 유로, 상기 유압모터(150)와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 각각에 연결되기 위한 유로, 및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과 상기 수동배출라인(4a) 각각에 연결되기 위한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동분기라인(22)과 상기 유압모터(150) 각각에 연결되기 위한 유로에는, 상기 수동우선전환라인(32)에 연결되기 위한 분기 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수동조향기구(433)는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상기 제2실린더(120b)로 공급하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동조향밸브(43)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3수동조향기구(433)가 상기 수동분기라인(22), 상기 수동배출라인(4a),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 및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 각각에 연결되면, 상기 제3수동조향기구(433)는 상기 수동분기라인(22)에서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으로 작동유체가 유동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 및 상기 제2조향라인(140b)을 통해 상기 제2실린더(120b)로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수동조향기구(433)는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에서 상기 수동배출라인(4a)으로 작동유체가 유동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실린더(120a)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 및 상기 수동배출라인(4a)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수동조향기구(433)는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상기 제2실린더(120b)로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제1실린더(120a)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를 상기 수동배출라인(4a)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3수동조향기구(433)는 상기 수동분기라인(22)과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 각각에 연결되기 위한 유로, 및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과 상기 수동배출라인(4a) 각각에 연결되기 위한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수동조향기구(433)는 상기 수동우선전환라인(32)에 추가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수동조향기구(433)는 상기 수동분기라인(22)에서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으로 작동유체가 유동하도록 허용함과 동시에 상기 수동분기라인(22)에서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으로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일부가 상기 수동우선전환라인(32)으로 유동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수동조향기구(433)는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 및 상기 수동우선전환라인(32) 각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수동조향기구(433)는 상기 제2실린더(120b)로 작동유체를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작동유체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로 작동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3수동조향기구(433)는 상기 수동분기라인(22),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 그리고 상기 수동우선전환라인(32) 각각에 연결되기 위한 유로, 및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과 상기 수동배출라인(4a) 각각에 연결되기 위한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수동조향기구(433)는 상기 유압모터(150)에 추가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수동조향기구(433)는 상기 수동분기라인(22)에서 상기 유압모터(150)로 작동유체가 유동하도록 허용함과 동시에 상기 유압모터(150)를 거쳐서 다시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으로 유동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3수동조향기구(433)를 거쳐 상기 유압모터(150)로 공급된 후에, 다시 상기 제3수동조향기구(433)를 거쳐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3수동조향기구(433)는 상기 수동분기라인(22)과 상기 유압모터(150) 각각에 연결되기 위한 유로, 상기 유압모터(150)와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 각각에 연결되기 위한 유로, 및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과 상기 수동배출라인(4a) 각각에 연결되기 위한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동분기라인(22)과 상기 유압모터(150) 각각에 연결되기 위한 유로에는, 상기 수동우선전환라인(32)에 연결되기 위한 분기 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수동조향기구(433), 상기 제2수동조향기구(432), 및 상기 제1수동조향기구(431)는, 상기 수동조향밸브(43)가 이동하는 축 방향을 기준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1수동조향기구(431)는 상기 제3수동조향기구(433) 및 상기 제2수동조향기구(43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수동조향기구(433)는 상기 제1수동조향기구(431)에 대해 왼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수동조향기구(432)는 상기 제1수동조향기구(431)에 대해 오른쪽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자동조향유닛(5)은 상기 자동조향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주행방향을 변경시키는 것이다.
상기 자동조향유닛(5)은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 및 상기 조향실린더(120)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자동조향유닛(5)은 상기 자동공급라인(3a)을 통해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자동조향유닛(5)은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를 통과하여 상기 자동공급라인(3a)을 통해 공급된 작동유체를 상기 자동조향에 따라 상기 조향실린더(120)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자동조향유닛(5)은 상기 제어부(130, 도 2에 도시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실린더(120a) 및 상기 제2실린더(120b)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실린더에 작동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자동조향유닛(5)은 상기 제어부(130, 도 2에 도시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실린더(120a) 및 상기 제2실린더(120b) 중에서 다른 하나의 실린더로부터 작동유체를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자동조향유닛(5)은 상기 제1실린더(120a) 및 상기 제2실린더(120b) 중에서 다른 하나의 실린더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를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자동조향유닛(5)은 상기 외부배출라인(6)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외부배출라인(6)은 상기 외부장치(200)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외부배출라인(6)은 상기 수동배출라인(4a)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자동조향유닛(5)은 상기 제1실린더(120a) 및 상기 제2실린더(120b)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자동조향유닛(5)은 제1자동연결라인(51)을 통해 상기 제1실린더(120a)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은 상기 제1조향라인(140a)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조향라인(140a)을 통해 상기 제1실린더(120a)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조향라인(140a)은 일측이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실린더(120a)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자동조향유닛(5)은 제2자동연결라인(52)을 통해 상기 제2실린더(120b)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은 상기 제2조향라인(140b)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2조향라인(140b)을 통해 상기 제2실린더(120b)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조향라인(140b)은 일측이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실린더(120b)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자동조향이 이루어지는 방향에 따라, 상기 자동조향유닛(5)은 상기 제1실린더(120a) 및 상기 제2실린더(120b)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실린더에 작동유체를 공급함과 아울러 다른 하나의 실린더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를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자동조향유닛(5)은 제1자동체크밸브(53) 및 제2자동체크밸브(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자동체크밸브(53)는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에 설치된 것이다. 상기 제1자동체크밸브(53)는 상기 제1실린더(120a)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자동체크밸브(53)는 상기 제1실린더(120a)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체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자동체크밸브(53)는 상기 제1실린더(120a) 쪽을 향하는 정방향으로 유동하는 작동유체를 통과시킴과 아울러 상기 정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역방향으로 유동하는 작동유체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1자동체크밸브(53)는 체크밸브(Check Valve)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자동체크밸브(54)는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에 설치된 것이다. 상기 제2자동체크밸브(54)는 상기 제2실린더(120b)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자동체크밸브(54)는 상기 제2실린더(120b)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체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자동체크밸브(54)는 상기 제2실린더(120b) 쪽을 향하는 정방향으로 유동하는 작동유체를 통과시킴과 아울러 상기 정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역방향으로 유동하는 작동유체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2자동체크밸브(54)는 체크밸브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 및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은 상기 제1조향라인(140a)을 통해 상기 제1실린더(120a)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을 통해 상기 제1실린더(120a)로 작동유체가 공급되면, 상기 제1자동체크밸브(53)는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으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1)는 상기 수동조향유닛(4) 및 상기 자동조향유닛(5)이 하나의 제1조향라인(140a)을 통해 상기 제1실린더(120a)에 연결되더라도, 상기 제1자동체크밸브(53)를 이용하여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을 통해 상기 제1실린더(120a)로 공급되는 작동유체가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을 통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을 통해 상기 제1실린더(120a)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는,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을 통해 상기 수동조향밸브(43)로 공급되더라도, 상기 수동조향밸브(43)가 상기 수동중립위치에 위치한 상태이므로 상기 수동조향밸브(43)를 통과할 수 없다.
여기서,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 및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은 상기 제2조향라인(140b)을 통해 상기 제2실린더(120b)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을 통해 상기 제2실린더(120b)로 작동유체가 공급되면, 상기 제2자동체크밸브(54)는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으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1)는 상기 수동조향유닛(4) 및 상기 자동조향유닛(5)이 하나의 제2조향라인(140b)을 통해 상기 제2실린더(120b)에 연결되더라도, 상기 제2자동체크밸브(54)를 이용하여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을 통해 상기 제2실린더(120b)로 공급되는 작동유체가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을 통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을 통해 상기 제2실린더(120b)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는,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을 통해 상기 수동조향밸브(43)로 공급되더라도, 상기 수동조향밸브(43)가 상기 수동중립위치에 위치한 상태이므로 상기 수동조향밸브(43)를 통과할 수 없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자동조향유닛(5)은 제1자동개방라인(55) 및 제2자동개방라인(5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자동개방라인(55)은 상기 제1실린더(120a)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제2자동체크밸브(54)를 개방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1자동개방라인(55)은 일측이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자동체크밸브(53)는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에서 상기 제1조향라인(140a)이 연결된 지점 및 상기 제1자동개방라인(55)이 연결된 지점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실린더(120a)로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자동개방라인(55)은 상기 제1자동체크밸브(53)의 입구 측에서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자동개방라인(55)은 타측이 상기 제2자동체크밸브(54)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자동개방라인(55)은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을 통해 상기 제1자동체크밸브(53) 쪽으로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일부를 상기 제2자동체크밸브(54)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제2자동체크밸브(54)를 개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실린더(120b)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2자동체크밸브(54)를 통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1)는 상기 제1실린더(120a)로 공급하는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제2자동체크밸브(54)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제2실린더(120b)로부터 작동유체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자동개방라인(56)은 상기 제2실린더(120b)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자동체크밸브(53)를 개방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2자동개방라인(56)은 일측이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자동체크밸브(54)는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에서 상기 제2조향라인(140b)이 연결된 지점 및 상기 제2자동개방라인(56)이 연결된 지점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실린더(120b)로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자동개방라인(56)은 상기 제2자동체크밸브(54)의 입구 측에서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자동개방라인(56)은 타측이 상기 제1자동체크밸브(53)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자동개방라인(56)은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을 통해 상기 제2자동체크밸브(54) 쪽으로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일부를 상기 제1자동체크밸브(53)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제1자동체크밸브(53)를 개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실린더(120a)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1자동체크밸브(53)를 통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1)는 상기 제2실린더(120b)로 공급하는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자동체크밸브(53)를 개방시킴으로써, 상기 제1실린더(120a)로부터 작동유체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자동조향유닛(5)은 자동조향밸브(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조향밸브(57)는 상기 자동조향에 따라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자동조향밸브(57)는 상기 제어부(130, 도 2에 도시됨)의 제어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자동조향밸브(57)는 상기 자동조향에 따라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의 유동경로를 전환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동조향 및 상기 자동조향이 모두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자동조향밸브(57)는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실린더(120a) 및 상기 제2실린더(120b) 모두에 작동유체가 공급되지 않는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행방향을 상기 제1방향으로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자동조향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자동조향밸브(57)는 상기 자동조향에 따라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으로 공급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으로 공급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1조향라인(140a)을 통해 상기 제1실린더(120a)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동조향밸브(57)는 상기 제2실린더(120b)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를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실린더(120b)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2조향라인(140b) 및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을 통해 상기 자동조향밸브(57)로 공급된 후에 상기 자동조향밸브(57)에 의해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행방향을 상기 제2방향으로 변경시키기 위해 상기 자동조향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자동조향밸브(57)는 상기 자동조향에 따라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으로 공급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으로 공급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2조향라인(140b)을 통해 상기 제2실린더(120b)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동조향밸브(57)는 상기 제1실린더(120a)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를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실린더(120a)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1조향라인(140a) 및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을 통해 상기 자동조향밸브(57)로 공급된 후에 상기 자동조향밸브(57)에 의해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자동조향밸브(57)는 하나의 축 상에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의 유동경로를 전환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조향밸브(57)가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조향밸브(57)는 오른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상기 제1실린더(120a)로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제2실린더(120b)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를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조향밸브(57)가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조향밸브(57)는 왼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상기 제2실린더(120b)로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제1실린더(120a)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를 상기 수동배출라인(4a)으로 배출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자동조향밸브(57)는 제1자동조향기구(571), 제2자동조향기구(572), 및 제3자동조향기구(5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자동조향기구(571)는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조향실린더(120)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조향밸브(57)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자동조향기구(571)가 상기 자동공급라인(3a), 상기 외부배출라인(6),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 및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 각각에 연결되면, 상기 제1자동조향기구(571)는 모든 라인들이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조향밸브(57)가 자동중립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1자동조향기구(571)는 상기 자동공급라인(3a), 상기 외부배출라인(6),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 및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 각각에 연결되도록 위치한다.
상기 제2자동조향기구(572)는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상기 제1실린더(120a)로 공급하는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조향밸브(57)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자동조향기구(572)가 상기 자동공급라인(3a), 상기 외부배출라인(6),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 및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 각각에 연결되면, 상기 제2자동조향기구(572)는 상기 자동공급라인(3a)에서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으로 작동유체가 유동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 및 상기 제1조향라인(140a)을 통해 상기 제1실린더(120a)로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자동조향기구(572)는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에서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작동유체가 유동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실린더(120b)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2조향라인(140b),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 및 상기 외부배출라인(6)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자동조향기구(572)는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상기 제1실린더(120a)로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제2실린더(120b)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를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자동조향기구(572)는 상기 자동공급라인(3a)과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 각각에 연결되기 위한 유로, 및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과 상기 외부배출라인(6) 각각에 연결되기 위한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자동조향기구(573)는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상기 제2실린더(120b)로 공급하는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조향밸브(57)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3자동조향기구(573)가 상기 자동공급라인(3a), 상기 외부배출라인(6),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 및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 각각에 연결되면, 상기 제3자동조향기구(573)는 상기 자동공급라인(3a)에서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으로 작동유체가 유동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 및 상기 제2조향라인(140b)을 통해 상기 제2실린더(120b)로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자동조향기구(573)는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에서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작동유체가 유동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실린더(120a)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1조향라인(140a),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 및 상기 외부배출라인(6)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자동조향기구(573)는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상기 제2실린더(120b)로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제1실린더(120a)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를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3자동조향기구(573)는 상기 자동공급라인(3a)과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 각각에 연결되기 위한 유로, 및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과 상기 외부배출라인(6) 각각에 연결되기 위한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자동조향기구(573), 상기 제2자동조향기구(572), 및 상기 제1자동조향기구(571)는, 상기 자동조향밸브(57)가 이동하는 축 방향을 기준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1자동조향기구(571)는 상기 제3자동조향기구(573) 및 상기 제2자동조향기구(57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자동조향기구(573)는 상기 제1자동조향기구(571)에 대해 오른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자동조향기구(572)는 상기 제1자동조향기구(571)에 대해 왼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 및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에서는 작동유체가 유동하지 않는다.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작동유체가 상기 수동조향밸브(43, 도 6에 도시됨)를 통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 및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에서는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작동유체가 유동한다.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질 때에만, 작동유체가 상기 수동조향밸브(43, 도 7 및 도 8에 도시됨)를 통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1)는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은 수동조향감지라인(33) 및 압력센서(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동조향감지라인(33)은 상기 수동우선전환라인(32)에 연결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수동우선전환라인(32)을 통해 유동하는 작동유체는, 일부가 분기되어서 상기 수동조향감지라인(33)을 통해 유동하게 된다. 상기 수동조향감지라인(33)은 일측이 상기 수동우선전환라인(32)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압력센서(3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34)는 상기 수동조향감지라인(33)을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상기 압력센서(34)는 측정된 유압값에 대한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34)가 생성한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130)에 제공하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압력센서(34)가 측정한 유압값, 즉 상기 수동조향감지라인(33)을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압력이 기설정된 유압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기설정된 유압값은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를 이동시킬 수 있는 작동유체의 유압값으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동조향감지라인(33) 및 상기 수동우선전환라인(32)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압력센서(34)가 측정한 유압값은 상기 수동우선전환라인(32)을 통해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를 가압하고 있는 작동유체의 유압값과 대략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력센서(34)가 측정한 유압이 기설정된 유압값을 초과한다는 것은, 상기 조향펌프(2)으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가 이동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압력센서(34)가 측정한 유압값이 기설정된 유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하고 상기 자동조향을 중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자동조향밸브(57)를 상기 자동중립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동조향에서 상기 자동조향으로 다시 전환될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자동조향밸브(57)가 상기 자동중립위치에 배치된 경우의 위치를 기준점으로 하여 상기 자동조향밸브(57)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주행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감지신호가 수신된 후에 상기 자동조향밸브(57)를 상기 자동중립위치로 이동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자동조향유닛(4)에는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에 의해 작동유체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상기 자동조향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이다. 상기 압력센서(34)는 무선통신 및 유선통신 등을 이용하여 상기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주행부(110)에 설치된 조향각 센서(Wheel Angle Sensor)를 통해 상기 주행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조향각센서는 상기 바퀴들(111, 111')이 향하는 방향 및 각도에 관한 조향정보를 상기 제어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조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100)이 기설정된 주행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상기 자동조향유닛(4)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조향각센서는 상기 바퀴들(111, 111')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바퀴가 향하는 방향 및 각도에 관한 조향정보를 상기 제어부(13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조향각센서는 무선통신 및 유선통신 등을 이용하여 상기 조향정보를 상기 제어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1)는 조향우선유닛(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향우선유닛(7)은 상기 조향펌프(2) 및 상기 외부배출라인(6) 각각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조향우선유닛(7)은 일측이 상기 조향펌프(2)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외부배출라인(6)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유체는 상기 조향펌프(2)에서 상기 조향우선유닛(7)을 거쳐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조향우선유닛(7)의 일측은 상기 자동분기라인(23)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자동분기라인(23) 및 상기 공급라인(21)을 통해 상기 조향펌프(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조향우선유닛(7)은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는지 여부 및 상기 자동조향이 이루어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선택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수동조향 및 상기 자동조향 중에서 어느 하나가 이루어지면, 상기 조향우선유닛(7)은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조향우선유닛(7)은 상기 수동조향 또는 상기 자동조향이 이루어지면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외부장치(200)로 배출되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1)는 상기 수동조향 또는 상기 자동조향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수동조향유닛(4) 또는 상기 자동조향유닛(5)에 작동유체가 부족하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조향우선유닛(7)은 상기 자동분기라인(23) 및 상기 외부배출라인(6) 각각에 연결된 조향배출라인(7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향배출라인(7a)은 일측이 상기 자동분기라인(23)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외부배출라인(6)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동조향 및 상기 자동조향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작동유체는 상기 조향배출라인(7a)을 통해 상기 조향우선유닛(7)을 거쳐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수동조향 또는 상기 자동조향이 이루어지는 경우, 작동유체는 상기 조향우선유닛(7)에 의해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조향우선유닛(7)은 조향우선밸브(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향우선밸브(71)는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도록 이동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향우선밸브(71)는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향우선밸브(71)는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작동유체가 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외부장치(200)에 작동유체가 공급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향우선밸브(71)는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향우선밸브(71)는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작동유체가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외부장치(200)에 작동유체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조향우선밸브(71)는 하나의 축 상에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상기 조향우선밸브(71)는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는지 여부 및 상기 자동조향이 이루어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향우선밸브(71)는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이동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향우선밸브(71)는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작동유체가 배출되므로, 상기 외부장치(200)로 작동유체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는, 일부가 분기되어서 상기 조향우선밸브(71)를 가압하여 이동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향우선유닛(7)은 상기 조향배출라인(7a)에 연결된 배출개방라인(7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개방라인(7b)은 일측이 상기 조향배출라인(7a)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조향우선밸브(7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조향배출라인(7a)을 통해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되는 작동유체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배출개방라인(7b)의 일측은 상기 조향우선밸브(71)의 입구 측에서 상기 조향배출라인(7a)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동조향 및 상기 자동조향이 모두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조향펌프(2, 도 2에 도시됨)가 공급한 작동유체는 상기 자동분기라인(23)으로 공급된 후에, 상기 조향배출라인(7a)으로 공급된다. 이 경우, 상기 조향우선밸브(71)는 작동유체를 차단하도록 이동한 상태이다.
다음, 상기 조향배출라인(7a)을 통해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일부가 상기 배출개방라인(7b)으로 공급된 후에 상기 조향우선밸브(71)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조향우선밸브(71)는 작동유체가 상기 조향배출라인(7a)에서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이동한다. 도 9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조향우선밸브(71)는 상기 배출개방라인(7b)에 공급된 작동유체에 의해 왼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작동유체는 상기 조향배출라인(7a)를 통해 상기 조향우선밸브(71)를 통과한 후에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1)는 상기 수동조향 및 상기 자동조향이 모두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작동유체가 배출되도록 상기 조향우선밸브(7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1)는 별도의 조작 없이 상기 수동조향 및 상기 자동조향이 모두 이루어지지 않는 것만으로,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조향펌프(2)가 공급한 작동유체는 상기 수동분기라인(22)을 통해 상기 수동조향유닛(4)에 공급되므로 운전자가 상기 조향핸들을 조작함에 따라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이고, 상기 조향펌프(2)가 공급한 작동유체는 상기 자동분기라인(23) 및 상기 자동공급라인(3a)을 통해 상기 자동조향유닛(5)에 공급되므로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자동조향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향우선밸브(71)는 상기 수동조향유닛(4) 및 상기 자동조향유닛(5)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작동유체가 배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외부장치(200)로 작동유체가 공급되지 않고 상기 조향실린더(120)로만 작동유체가 공급되는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수동조향유닛(4) 및 상기 자동조향유닛(5)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조향실린더(120)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는, 일부가 분기되어서 상기 조향우선밸브(71)를 가압하여 이동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향우선유닛(7)은 제1조향우선라인(72), 제2조향우선라인(73), 제3조향우선라인(74), 및 제1조향우선셔틀밸브(7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은 상기 자동조향유닛(5) 및 상기 제1조향우선셔틀밸브(75) 각각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자동조향유닛(5)에서 상기 조향실린더(120)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는 일부가 분기되어서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을 통해 상기 제1조향우선셔틀밸브(75)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2조향우선라인(73)은 상기 제1조향우선셔틀밸브(75) 및 상기 조향우선밸브(71) 각각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제1조향우선셔틀밸브(75)를 통과한 작동유체는, 상기 제2조향우선라인(73)을 통해 상기 조향우선밸브(71)로 공급된 후에 상기 조향우선밸브(71)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3조향우선라인(74)은 상기 수동우선전환라인(32) 및 상기 제1조향우선셔틀밸브(75) 각각에 연결된 것이다. 상기 수동조향유닛(4)에서 상기 조향실린더(120)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는 일부가 분기되어서 상기 수동우선전환라인(32)으로 공급된 후에, 상기 수동우선전환라인(32)을 통해 유동하다가 상기 제3조향우선라인(74)이 연결된 지점에서 분기되어서 상기 제3조향우선라인(74)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동우선전환라인(32)을 통해 유동하는 작동유체는 상기 제3조향우선라인(74) 및 상기 수동조향감지라인(33) 각각으로 분기될 수 있고, 나머지가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조향우선셔틀밸브(75)는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 상기 제2조향우선라인(73), 및 상기 제3조향우선라인(74) 각각이 서로 연결되는 지점에 설치된 것이다. 상기 제1조향우선셔틀밸브(75)는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과 상기 제3조향우선라인(74) 중에서 어느 하나를 통해 유동하는 작동유체를 상기 제2조향우선라인(73)을 통해 상기 조향우선밸브(71)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향우선밸브(71)는 상기 제2조향우선라인(73)을 통해 공급된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수동조향 또는 상기 자동조향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조향펌프(2)가 공급한 작동유체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우선, 도 9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조향우선밸브(71)는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이동한 상태이다.
다음, 상기 자동조향이 이루어짐에 따라 작동유체는 상기 자동조향밸브(57)를 거쳐 상기 조향실린더(120)로 공급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자동조향밸브(57)에 공급되는 작동유체는 일부가 분기되어서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으로 공급된다. 상기 자동조향밸브(57)는 상기 자동조향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자동공급라인(3a) 및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을 연결하는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자동조향기구(572) 및 상기 제3자동조향기구(573) 각각이 상기 자동공급라인(3a) 및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을 연결하는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린더(120a)로 작동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2자동조향기구(572)는 상기 제1실린더(120a)로 공급하는 작동유체의 일부를 분기시켜서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작동유체는 상기 제2자동조향기구(572)가 갖는 유로를 통해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으로 공급된 후에,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을 통해 상기 제1조향우선셔틀밸브(75)를 통과하여 상기 제2조향우선라인(73)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2자동조향기구(572)는 상기 자동공급라인(3a),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 및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 각각에 연결되기 위한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실린더(120b)로 작동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제3자동조향기구(573)는 상기 제2실린더(120b)로 공급하는 작동유체의 일부를 분기시켜서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작동유체는 상기 제3자동조향기구(573)가 갖는 유로를 통해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으로 공급된 후에,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을 통해 상기 제1조향우선셔틀밸브(75)를 통과하여 상기 제2조향우선라인(73)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3자동조향기구(573)는 상기 자동공급라인(3a),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 및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 각각에 연결되기 위한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짐에 따라 작동유체는 상기 수동우선전환라인(32)을 통해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로 공급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수동우선전환라인(32)을 통해 유동하는 작동유체는 일부가 분기되어서 상기 제3조향우선라인(74)으로 공급된다. 상기 제3조향우선라인(74)으로 공급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1조향우선셔틀밸브(75)를 통과하여 상기 제2조향우선라인(73)으로 공급될 수 있다.
다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조향 및 상기 수동조향 중에서 어느 하나가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제2조향우선라인(73)으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는, 상기 조향우선밸브(71) 쪽으로 유동한 후에 상기 조향우선밸브(71)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조향우선밸브(71)는 작동유체가 상기 조향배출라인(7a)에서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조향우선밸브(71)는 상기 수동조향유닛(4) 및 상기 자동조향유닛(5)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조향실린더(120)로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조향우선밸브(71)는 상기 제2조향우선라인(73)을 통해 공급된 작동유체에 의해 오른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향우선밸브(71)는 스프링(Spring)의 탄성력 및 상기 제2조향우선라인(73)을 통해 공급된 작동유체의 가압력에 의해 오른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조향우선라인(73)을 통해 공급된 작동유체의 유압 및 상기 배출개방라인(7b)을 통해 공급된 작동유체의 유압이 동일한 경우, 상기 조향우선밸브(71)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오른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향배출라인(7a)에 공급된 작동유체는 상기 조향우선밸브(71)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될 수 없다. 상기 제2조향우선라인(73) 및 상기 배출개방라인(7b)은 상기 조향우선밸브(71)를 기준으로 하여 서로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1)는 상기 수동조향 및 상기 자동조향 중에서 어느 하나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조향실린더(120)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작동유체가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조향우선밸브(7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1)는 별도의 조작 없이 상기 조향실린더(120)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장치(200)로 작동유체가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함과 아울러 상기 조향실린더(120)로 작동유체가 집중적으로 공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조향우선밸브(71)는 제1조향우선기구(711) 및 제2조향우선기구(7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조향우선기구(711)는 작동유체를 차단하는 것이다. 상기 조향우선밸브(71)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조향우선기구(711)가 상기 조향배출라인(7a)에 연결되면, 상기 제1조향우선기구(711)는 상기 조향배출라인(7a)에서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작동유체가 배출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2조향우선기구(712)는 작동유체를 통과시키는 것이다. 상기 조향우선밸브(71)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조향우선기구(712)가 상기 조향배출라인(7a)에 연결되면, 상기 제2조향우선기구(712)는 상기 조향배출라인(7a)에서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작동유체가 유동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제2조향우선기구(712)는 상기 조향배출라인(7a)에 연결되는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향우선밸브(71)가 이동하는 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조향우선기구(712) 및 상기 제1조향우선기구(711)는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2조향우선기구(712)는 상기 제1조향우선기구(711)에 대해 오른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자동조향기구(572)가 상기 제1실린더(120a)로 공급하는 작동유체의 일부를 분기시켜서 상기 조향우선밸브(71)로 공급하고, 상기 제3자동조향기구(573)가 상기 제2실린더(120b)로 공급하는 작동유체의 일부를 분기시켜서 상기 조향우선밸브(71)로 공급하도록 구현된 경우, 상기 제2자동조향기구(572) 및 상기 제3자동조향기구(573)는 각각 5개씩의 연결포트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자동조향기구(572) 및 상기 제3자동조향기구(573)는 각각 상기 자동공급라인(3a), 상기 외부배출라인(6),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 및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 각각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포트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자동조향기구(571) 또한 5개의 연결포트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조향우선유닛(7)은 제2조향우선셔틀밸브(7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조향우선셔틀밸브(76)는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에 설치된 것이다.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은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 및 상기 제1조향우선셔틀밸브(75)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은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에 연결된 제1부분,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에 연결된 제2부분, 및 상기 제1조향우선셔틀밸브(75)에 연결된 제3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조향우선셔틀밸브(76)는 상기 제1부분, 상기 제2부분, 및 상기 제3부분이 서로 연결되는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조향우선셔틀밸브(76)는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을 통해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 및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조향우선셔틀밸브(76)는 상기 자동조향에 따라 상기 조향실린더(120)로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일부가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을 통해 상기 조향우선밸브(71)로 전달되도록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과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 중에서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조향실린더(120)로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일부가,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을 통해 상기 제2조향우선셔틀밸브(76)을 통과한 후에 상기 제1조향우선셔틀밸브(75)를 거쳐 상기 제2조향우선라인(73)을 통해 상기 조향우선밸브(71)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2조향우선라인(73)으로 공급된 작동유체는 상기 조향우선밸브(71)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작동유체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조향우선밸브(7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조향에 따라 상기 제1실린더(120a)로 작동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작동유체는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을 통해 유동하다가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이 연결된 지점에 도달하면, 일부가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으로 분기되어 상기 제2조향우선셔틀밸브(76)를 통과한 후에 상기 제1조향우선셔틀밸브(75)를 거쳐 상기 제2조향우선라인(73)을 통해 상기 조향우선밸브(71)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향우선밸브(71)는 상기 제1실린더(120a)로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작동유체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실린더(120b)로부터 작동유체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실린더(120b)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 및 상기 자동조향밸브(57)를 거쳐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조향에 따라 상기 제2실린더(120b)로 작동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작동유체는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을 통해 유동하다가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이 연결된 지점에 도달하면, 일부가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으로 분기되어 상기 제2조향우선셔틀밸브(76)를 통과한 후에 상기 제1조향우선셔틀밸브(75)를 거쳐 상기 제2조향우선라인(73)을 통해 상기 조향우선밸브(71)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향우선밸브(71)는 상기 제2실린더(120b)로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작동유체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실린더(120a)로부터 작동유체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실린더(120a)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 및 상기 자동조향밸브(57)를 거쳐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동조향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자동조향밸브(57)가 상기 자동중립위치에 위치하므로,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 및 상기 제2조향우선라인(73)에는 작동유체가 유동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조향우선밸브(71)는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향우선밸브(71)는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작동유체가 배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장치(200)에 작동유체가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향우선유닛(7)이 상기 제2조향우선셔틀밸브(76)를 이용하여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과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 중에서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조향실린더(120)로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일부가 상기 조향우선밸브(71)로 전달되도록 구현된 경우, 상기 제2자동조향기구(572) 및 상기 제3자동조향기구(573)는 각각 4개씩의 연결포트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자동조향기구(572) 및 상기 제3자동조향기구(573)는 각각 상기 자동공급라인(3a), 상기 외부배출라인(6),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 및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 각각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포트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와 대비할 때, 상기 제2자동조향기구(572) 및 상기 제3자동조향기구(573) 각각이 갖는 연결포트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제1자동조향기구(571) 또한 4개의 연결포트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1)에 있어서, 상기 자동조향유닛(5)은 상술한 실시예들이 하나의 자동조향밸브(57,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됨)를 구비한 것과 달리 제1자동조향밸브(58) 및 제2자동조향밸브(5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자동조향밸브(58)는 상기 자동조향에 따라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제1자동조향밸브(58)는 상기 제어부(130, 도 2에 도시됨)의 제어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30, 도 2에 도시됨)는 무선통신 및 유선통신 등을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1자동조향밸브(58)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자동조향밸브(58)는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 및 상기 제1실린더(120a)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자동조향밸브(58)는 상기 자동공급라인(3a)을 통해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자동조향밸브(58)는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을 통해 상기 제1실린더(120a)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자동조향밸브(58)는 제1자동배출기구(581) 및 제1자동공급기구(5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자동배출기구(581)는 상기 제1실린더(120a)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를 통과시킴과 아울러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으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차단하는 것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자동조향밸브(58)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자동배출기구(581)가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 상기 외부배출라인(6), 및 상기 자동공급라인(3a) 각각에 연결되면, 상기 제1자동배출기구(581)는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 및 상기 외부배출라인(6)을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자동공급라인(3a)이 다른 라인과 연결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실린더(120a)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을 통해 상기 제1자동배출기구(581)로 공급된 후에, 상기 제1자동배출기구(581)를 통과하여 상기 외부배출라인(6)을 통해 상기 외부장치(200)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으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는 상기 자동공급라인(3a)을 통해 상기 제1자동배출기구(581)로 공급된 후에, 상기 제1자동배출기구(581)를 통과하지 못하고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제1자동공급기구(582)는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으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통과시킴과 아울러 상기 외부배출라인(6)을 통해 작동유체가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자동조향밸브(58)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자동공급기구(582)가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 상기 외부배출라인(6), 및 상기 자동공급라인(3a) 각각에 연결되면, 상기 제1자동공급기구(582)는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 및 상기 자동공급라인(3a)을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외부배출라인(6)이 다른 라인과 연결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으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는 상기 자동공급라인(3a)을 통해 상기 제1자동공급기구(582)로 공급된 후에, 상기 제1자동공급기구(582)를 통과하여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을 통해 상기 제1실린더(120a)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자동공급기구(582)에서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는 작동유체가 유동하지 않는다.
상기 제1자동공급기구(582) 및 상기 제1자동배출기구(581)는 상기 제1자동조향밸브(58)가 이동하는 축 방향을 기준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1자동공급기구(582)는 상기 제1자동배출기구(581)에 대해 왼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자동조향밸브(59)는 상기 자동조향에 따라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제2자동조향밸브(59)는 상기 제어부(130, 도 2에 도시됨)의 제어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30, 도 2에 도시됨)는 무선통신 및 유선통신 등을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2자동조향밸브(59)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자동조향밸브(59)는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 및 상기 제2실린더(120b)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은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제2자동조향밸브(59) 및 상기 제1자동조향밸브(58) 각각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수동조향유닛(4), 상기 제2자동조향밸브(59), 및 상기 제1자동조향밸브(58)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자동조향밸브(59)는 상기 자동공급라인(3a)을 통해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자동공급라인(3a)은 일측이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에 연결되고, 타측이 분기되어서 상기 제2자동조향밸브(59) 및 상기 제1자동조향밸브(58)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자동조향밸브(59)는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을 통해 상기 제2실린더(120b)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외부배출라인(6)은 분기되어서 상기 제2자동조향밸브(59) 및 상기 제1자동조향밸브(58)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자동조향밸브(59)는 제2자동배출기구(591) 및 제2자동공급기구(5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자동배출기구(591)는 상기 제2실린더(120b)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를 통과시킴과 아울러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으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차단하는 것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자동조향밸브(59)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자동배출기구(591)가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 상기 외부배출라인(6), 및 상기 자동공급라인(3a) 각각에 연결되면, 상기 제2자동배출기구(591)는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 및 상기 외부배출라인(6)을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자동공급라인(3a)이 다른 라인과 연결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실린더(120b)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는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을 통해 상기 제2자동배출기구(591)로 공급된 후에, 상기 제2자동배출기구(591)를 통과하여 상기 외부배출라인(6)을 통해 상기 외부장치(200)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으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는 상기 자동공급라인(3a)을 통해 상기 제2자동배출기구(591)로 공급된 후에, 상기 제2자동배출기구(591)를 통과하지 못하고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 도 2에 도시됨)는 상기 제2실린더(120b)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가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2자동조향밸브(59)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실린더(120a)로 작동유체가 공급되도록 상기 제1자동조향밸브(58)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자동공급기구(592)는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으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통과시킴과 아울러 상기 외부배출라인(6)을 통해 작동유체가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자동조향밸브(59)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자동공급기구(592)가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 상기 외부배출라인(6), 및 상기 자동공급라인(3a) 각각에 연결되면, 상기 제2자동공급기구(592)는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 및 상기 자동공급라인(3a)을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외부배출라인(6)이 다른 라인과 연결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으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는 상기 자동공급라인(3a)을 통해 상기 제2자동공급기구(592)로 공급된 후에, 상기 제2자동공급기구(592)를 통과하여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을 통해 상기 제2실린더(120b)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2자동공급기구(592)에서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는 작동유체가 유동하지 않는다. 상기 제어부(130, 도 2에 도시됨)는 상기 제2실린더(120b)로 작동유체가 공급되도록 상기 제2자동조향밸브(59)를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실린더(120a)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가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제1자동조향밸브(58)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자동공급기구(592) 및 상기 제2자동배출기구(591)는 상기 제2자동조향밸브(59)가 이동하는 축 방향을 기준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2자동공급기구(592)는 상기 제2자동배출기구(591)에 대해 오른쪽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제2조향우선셔틀밸브(76)는 상기 자동조향에 따라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을 통해 상기 제1실린더(120a)로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일부 또는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을 통해 상기 제2실린더(120b)로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일부가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을 통해 상기 조향우선밸브(71)로 전달되도록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조향에 따라 상기 제1자동조향밸브(58)를 거쳐 상기 제1실린더(120a)로 작동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작동유체는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을 통해 유동하다가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이 연결된 지점에 도달하면, 일부가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으로 분기되어 상기 제2조향우선셔틀밸브(76)를 통과한 후에 상기 제1조향우선셔틀밸브(75)를 거쳐 상기 제2조향우선라인(73)을 통해 상기 조향우선밸브(71)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향우선밸브(71)는 상기 제1자동조향밸브(58)를 거쳐 상기 제1실린더(120a)로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조향배출라인(7a)을 통해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작동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조향에 따라 상기 제2자동조향밸브(59)를 거쳐 상기 제2실린더(120b)로 작동유체가 공급되는 경우, 작동유체는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을 통해 유동하다가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이 연결된 지점에 도달하면, 일부가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으로 분기되어 상기 제2조향우선셔틀밸브(76)를 통과한 후에 상기 제1조향우선셔틀밸브(75)를 거쳐 상기 제2조향우선라인(73)을 통해 상기 조향우선밸브(71)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향우선밸브(71)는 상기 제2자동조향밸브(59)를 거쳐 상기 제2실린더(120b)로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조향배출라인(7a)을 통해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작동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동조향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제1자동조향밸브(58)를 거쳐 상기 제1실린더(120a)로 작동유체가 공급되지 않음과 아울러 상기 제2자동조향밸브(59)를 거쳐 상기 제2실린더(120b)로 작동유체가 공급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 및 상기 제2조향우선라인(73)에는 작동유체가 유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조향우선밸브(71)는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향우선밸브(71)는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작동유체가 배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외부장치(200)에 작동유체가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조향유닛(5)이 상기 제1자동조향밸브(58) 및 상기 제2자동조향밸브(59)를 포함함과 아울러 상기 조향우선유닛(7)이 상기 제2조향우선셔틀밸브(76)를 이용하여 상기 조향실린더(120)로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일부가 상기 조향우선밸브(71)로 전달하도록 구현된 경우, 상기 제1자동배출기구(581), 상기 제1자동공급기구(582), 상기 제2자동배출기구(591), 및 상기 제2자동공급기구(592)는 각각 3개씩의 연결포트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자동배출기구(581) 및 상기 제1자동공급기구(582)는 각각 상기 자동공급라인(3a), 상기 외부배출라인(6), 및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 각각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포트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자동배출기구(591) 및 상기 제2자동공급기구(592)는 각각 상기 자동공급라인(3a), 상기 외부배출라인(6), 및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 각각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포트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와 대비할 때, 상기 제1자동배출기구(581), 상기 제1자동공급기구(582), 상기 제2자동배출기구(591), 및 상기 제2자동공급기구(592) 각각이 갖는 연결포트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1)는 제1모듈본체(1a) 및 제2모듈본체(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모듈본체(1a)에는 상기 수동조향밸브(4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동조향밸브(43)는 상기 제1모듈본체(1a)의 외부에 위치한 조향펌프(2)에 상기 수동분기라인(22)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동분기라인(22)은 일부가 상기 제1모듈본체(1a)의 외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나머지 일부가 상기 제1모듈본체(1a)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모듈본체(1a)에는 상기 수동조향유닛(4)이 갖는 구성 중에서 일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모듈본체(1b)에는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 및 상기 자동조향밸브(57)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는 상기 제2모듈본체(1b)의 외부에 위치한 조향펌프(2)에 상기 자동분기라인(23)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자동분기라인(23)은 일부가 상기 제2모듈본체(1b)의 외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나머지 일부가 상기 제2모듈본체(1b)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모듈본체(1b)에는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이 갖는 구성 전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자동조향밸브(57)는 상기 제2모듈본체(1b)에 설치된 수동우선전환밸브(31)에 연결되도록 상기 제2모듈본체(1b)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모듈본체(1b)에는 상기 자동조향유닛(5)이 갖는 구성 전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자동조향유닛(5) 및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은 상기 제2모듈본체(1b)의 내부에 배치된 내부유로를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자동조향밸브(48)는 상기 제2모듈본체(1b)의 외부에 위치한 조향실린더(120)에 상기 조향라인(14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조향라인(140)은 일부가 상기 제2모듈본체(1b)의 외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나머지 일부가 상기 제2모듈본체(1b)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모듈본체(1a)에 설치된 수동조향밸브(43)는 상기 제2모듈본체(1b)의 내부에서 상기 조향라인(14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모듈본체(1b)에는 상기 수동조향유닛(4)이 갖는 구성 중에서 일부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모듈본체(1b)에는 상기 수동조향유닛(4)이 갖는 구성 중에서 상기 수동조향밸브(43)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모듈본체(1b)에는 상기 조향우선밸브(71)가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조향우선밸브(71)는 상기 제2모듈본체(1b)의 외부에 위치한 조향펌프(2)에 상기 자동분기라인(23)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조향우선밸브(71)는 상기 제2모듈본체(1b)의 외부에 위치한 외부장치(200, 도 16에 도시됨)에 상기 외부배출라인(6)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외부배출라인(6)은 일부가 상기 제2모듈본체(1b)의 외부에 배치됨과 아울러 나머지 일부가 상기 제2모듈본체(1b)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모듈본체(1b)에는 상기 조향우선유닛(7)이 갖는 구성 전부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모듈본체(1b) 및 상기 제1모듈본체(1a)는 서로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 상기 수동조향유닛(4), 및 상기 자동조향유닛(5)은 상기 제2모듈본체(1b)의 내부에 배치된 내부유로 및 상기 제1모듈본체(1a)의 내부에 배치된 내부유로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모듈본체(1b) 및 상기 제1모듈본체(1a)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모듈본체(1b) 및 상기 제1모듈본체(1a)는 각각의 외부에 배치된 외부유로(1c)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동조향유닛(4)은 상기 제1모듈본체(1a)의 내부에 배치된 내부유로, 상기 외부유로(1c), 및 상기 제2모듈본체(1b)의 내부에 배치된 내부유로를 통해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은 상기 제2모듈본체(1b)의 내부에 배치된 내부유로를 통해 상기 자동조향유닛(5)에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2 : 조향펌프
3 : 수동우선전환유닛 4 : 수동조향유닛
5 : 자동조향유닛 6 : 외부배출라인
7 : 조향우선유닛 21 : 공급라인
22 : 수동분기라인 23 : 자동분기라인
31 : 수동우선전환밸브 32 : 수동우선전환라인
33 : 수동조향감지라인 34 : 압력센서
41 : 제1수동연결라인 42 : 제2수동연결라인
48 : 수동조향밸브 51 : 제1자동연결라인
52 : 제2자동연결라인 53 : 제1자동체크밸브
54 : 제2자동체크밸브 55 : 제1자동개방라인
56 : 제2자동개방라인 57 : 자동조향밸브
58 : 제1자동조향밸브 59 : 제2자동조향밸브
71 : 조향우선밸브 72 : 제1조향우선라인
73 : 제2조향우선라인 74 : 제3조향우선라인
75 : 제1조향우선셔틀밸브 76 : 제2조향우선셔틀밸브
110 : 주행부 120 : 조향실린더
120a : 제1실린더 120b : 제2실린더
130 : 제어부 140 : 조향라인
140a : 제1조향라인 140b : 제2조향라인

Claims (15)

  1.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조향펌프(2);
    상기 조향펌프(2)에 연결되고, 조향핸들의 조작에 의한 수동조향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행방향을 변경시키는 수동조향유닛(4);
    제어부(130)에 의한 자동조향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행방향을 변경시키는 자동조향유닛(5);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조향펌프(2)와 상기 자동조향유닛(5) 각각에 연결된 수동우선전환유닛(3);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외부장치(200)로 배출하기 위한 외부배출라인(6); 및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조향펌프(2)와 상기 외부배출라인(6) 각각에 연결된 조향우선유닛(7)을 포함하고,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은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통과시키고,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조향우선유닛(7)은 상기 수동조향 및 상기 자동조향 중에서 어느 하나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은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도록 이동하는 수동우선전환밸브(31)를 포함하고,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는 상기 조향펌프(2)에서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공급되기 위한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공급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이동하고, 상기 수동조향유닛(4)에서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조향실린더(120)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은 상기 수동조향유닛(4)에 연결된 수동우선전환라인(32)을 포함하되, 상기 수동우선전환라인(32)에서는 상기 수동조향에 따라 상기 수동조향유닛(4)에서 상기 조향실린더(120)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로부터 분기된 작동유체가 유동하고,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는 상기 수동조향에 따라 상기 수동우선전환라인(32)을 통해 유동하는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은 상기 수동우선전환라인(32)에 연결된 수동조향감지라인(33), 및 상기 수동조향감지라인(33)을 따라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유압을 측정하는 압력센서(34)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센서(34)에서 측정된 유압이 기설정된 유압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자동조향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우선유닛(7)은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이동하는 조향우선밸브(71)를 포함하고,
    상기 조향우선밸브(71)는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이동하고, 상기 수동조향유닛(4) 및 상기 자동조향유닛(5) 중에서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조향실린더(120)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우선유닛(7)은 상기 자동조향유닛(5)에 연결된 제1조향우선라인(72), 상기 조향우선밸브(71)에 연결된 제2조향우선라인(73), 상기 수동조향유닛(4)에 연결된 제3조향우선라인(74), 및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과 상기 제3조향우선라인(74) 중에서 어느 하나를 통해 유동하는 작동유체가 상기 제2조향우선라인(73)을 통해 상기 조향우선밸브(71)로 전달되도록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 상기 제2조향우선라인(73), 및 상기 제3조향우선라인(74)이 서로 연결되는 지점에 설치된 제1조향우선셔틀밸브(75)를 포함하며,
    상기 조향우선밸브(71)는 상기 제2조향우선라인(73)을 통해 공급된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조향유닛(5)은 상기 자동조향에 따라 이동하는 자동조향밸브(57), 상기 자동조향밸브(57)와 상기 조향실린더(120)가 갖는 제1실린더(120a)에 연결된 제1자동연결라인(51), 및 상기 자동조향밸브(57)와 상기 조향실린더(120)가 갖는 제2실린더(120b)에 연결된 제2자동연결라인(52)을 포함하고,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은 상기 제1조향우선셔틀밸브(75),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 및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조향우선유닛(7)은 상기 자동조향에 따라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과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 중에서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조향실린더(120)로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일부가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을 통해 상기 제1조향우선셔틀밸브(75)로 전달되도록 상기 제1조향우선라인(72)에 설치된 제2조향우선셔틀밸브(7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조향유닛(4)은 상기 수동조향에 따라 이동하는 수동조향밸브(43)를 포함하고,
    상기 수동조향밸브(43)는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조향실린더(120)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수동조향기구(431),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상기 조향실린더(120)의 제1실린더(120a)에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조향실린더(120)의 제2실린더(120b)로부터 작동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제2수동조향기구(432), 및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상기 제2실린더(120b)에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제1실린더(120a)로부터 작동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제3수동조향기구(433)를 포함하며,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은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도록 이동하는 수동우선전환밸브(31), 및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와 상기 수동조향밸브(43) 각각에 연결된 수동우선전환라인(32)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동조향기구(432)는 상기 제1실린더(120a)로 공급하는 작동유체의 일부를 상기 수동우선전환라인(32)으로 공급하며,
    상기 제3수동조향기구(433)는 상기 제2실린더(120b)로 공급하는 작동유체의 일부를 상기 수동우선전환라인(32)으로 공급하고,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는 상기 수동우선전환라인(32)을 통해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조향유닛(4)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조향실린더(120)의 제1실린더(120a)에 연결된 제1수동연결라인(41), 및 상기 조향실린더(120)의 제2실린더(120b)에 연결된 제2수동연결라인(42)을 포함하고,
    상기 자동조향유닛(5)은 상기 제1실린더(120a)에 연결된 제1자동연결라인(51), 및 상기 제2실린더(120b)에 연결된 제2자동연결라인(52)을 포함하며,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 및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은 상기 제1실린더(120a)에 연결된 제1조향라인(140a)을 통해 상기 제1실린더(120a)에 연결되고,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 및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은 상기 제2실린더(120b)에 연결된 제2조향라인(140b)을 통해 상기 제2실린더(120b)에 연결되며,
    상기 자동조향유닛(5)은,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을 통해 상기 제1실린더(120a)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통과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으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차단하도록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에 설치된 제1자동체크밸브(53);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을 통해 상기 제2실린더(120b)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통과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으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차단하도록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에 설치된 제2자동체크밸브(54);
    상기 제2실린더(120b)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가 상기 제2자동체크밸브(54)를 통과하도록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을 통해 상기 제1실린더(120a)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제2자동체크밸브(54)를 개방시키는 제1자동개방라인(55); 및
    상기 제1실린더(120a)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가 상기 제1자동체크밸브(53)를 통과하도록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을 통해 상기 제2실린더(120b)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자동체크밸브(53)를 개방시키는 제2자동개방라인(5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조향유닛(5)은 상기 자동조향에 따라 이동하는 자동조향밸브(57)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조향밸브(57)는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으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조향실린더(120)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자동조향기구(571),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으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상기 조향실린더(120)의 제1실린더(120a)에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제2실린더(120b)로부터 작동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제2자동조향기구(572), 및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으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상기 조향실린더(120)의 제2실린더(120b)에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제1실린더(120a)로부터 작동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제3자동조향기구(573)를 포함하며,
    상기 조향우선유닛(7)은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이동하는 조향우선밸브(71)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자동조향기구(572)는 상기 제1실린더(120a)로 공급하는 작동유체의 일부를 분기시켜서 상기 조향우선밸브(71)로 공급하며,
    상기 제3자동조향기구(573)는 상기 제2실린더(120b)로 공급하는 작동유체의 일부를 분기시켜서 상기 조향우선밸브(71)로 공급하고,
    상기 조향우선밸브(71)는 상기 제2자동조향기구(572) 또는 상기 제3자동조향기구(573)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외부배출라인(6)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조향유닛(5)은 상기 자동조향에 따라 이동하는 제1자동조향밸브(58), 상기 자동조향에 따라 이동하는 제2자동조향밸브(59), 상기 제1자동조향밸브(58)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조향실린더(120)의 제1실린더(120a) 각각에 연결된 제1자동연결라인(51), 및 상기 제2자동조향밸브(59)와 상기 조향실린더(120)의 제2실린더(120b) 각각에 연결된 제2자동연결라인(52)을 포함하고,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은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제1자동조향밸브(58) 및 상기 제2자동조향밸브(59) 각각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조향펌프(2), 상기 제1자동조향밸브(58), 및 상기 제2자동조향밸브(59) 각각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조향유닛(4)이 갖는 수동조향밸브(43)가 설치된 제1모듈본체(1a), 및
    상기 자동조향유닛(5)이 갖는 자동조향밸브(57),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이 갖는 수동우선전환밸브(31), 및 상기 조향우선유닛(7)이 갖는 조향우선밸브(71)가 설치된 제2모듈본체(1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13.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조향펌프(2);
    상기 조향펌프(2)에 연결되고, 조향핸들의 조작에 의한 수동조향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행방향을 변경시키는 수동조향유닛(4);
    제어부(130)에 의한 자동조향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주행방향을 변경시키는 자동조향유닛(5); 및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조향펌프(2)와 상기 자동조향유닛(5) 각각에 연결된 수동우선전환유닛(3)을 포함하고,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은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통과시키고,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기 수동조향유닛(4)은 상기 농업용 작업차량의 조향실린더(120)의 제1실린더(120a)에 연결된 제1수동연결라인(41), 및 상기 조향실린더(120)의 제2실린더(120b)에 연결된 제2수동연결라인(42)을 포함하고,
    상기 자동조향유닛(5)은 상기 제1실린더(120a)에 연결된 제1자동연결라인(51), 및 상기 제2실린더(120b)에 연결된 제2자동연결라인(52)을 포함하며,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 및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은 상기 제1실린더(120a)에 연결된 제1조향라인(140a)을 통해 상기 제1실린더(120a)에 연결되고,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 및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은 상기 제2실린더(120b)에 연결된 제2조향라인(140b)을 통해 상기 제2실린더(120b)에 연결되며,
    상기 자동조향유닛(5)은,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을 통해 상기 제1실린더(120a)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통과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1수동연결라인(41)으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차단하도록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에 설치된 제1자동체크밸브(53);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을 통해 상기 제2실린더(120b)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통과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2수동연결라인(42)으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차단하도록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에 설치된 제2자동체크밸브(54);
    상기 제2실린더(120b)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가 상기 제2자동체크밸브(54)를 통과하도록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을 통해 상기 제1실린더(120a)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제2자동체크밸브(54)를 개방시키는 제1자동개방라인(55); 및
    상기 제1실린더(120a)로부터 배출된 작동유체가 상기 제1자동체크밸브(53)를 통과하도록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을 통해 상기 제2실린더(120b)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제1자동체크밸브(53)를 개방시키는 제2자동개방라인(5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은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도록 이동하는 수동우선전환밸브(31)를 포함하고,
    상기 수동우선전환밸브(31)는 상기 조향펌프(2)에서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공급되기 위한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공급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이동하고, 상기 수동조향유닛(4)에서 상기 조향실린더(120)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이용하여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자동조향유닛(5)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조향유닛(5)은 상기 자동조향에 따라 이동하는 제1자동조향밸브(58) 및 상기 자동조향에 따라 이동하는 제2자동조향밸브(59)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자동연결라인(51)은 상기 제1자동조향밸브(58)와 상기 제1실린더(120a) 각각에 연결되며,
    상기 제2자동연결라인(52)은 상기 제2자동조향밸브(59)와 상기 제2실린더(120b)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수동우선전환유닛(3)은 상기 수동조향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조향펌프(2)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상기 제1자동조향밸브(58) 및 상기 제2자동조향밸브(59) 각각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조향펌프(2), 상기 제1자동조향밸브(58), 및 상기 제2자동조향밸브(59) 각각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KR1020190005197A 2018-01-23 2019-01-15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KR201900897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0682 WO2019146957A1 (ko) 2018-01-23 2019-01-17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08510 2018-01-23
KR1020180008510 2018-01-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736A true KR20190089736A (ko) 2019-07-31

Family

ID=67473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197A KR20190089736A (ko) 2018-01-23 2019-01-15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973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7386A (ko) * 2019-12-17 2021-06-25 신진정밀(주) 비상 대응이 가능한 유압식 자율주행 조향 장치
KR102411623B1 (ko) * 2020-12-29 2022-06-22 신진정밀(주)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20220094449A (ko) * 2020-12-29 2022-07-06 신진정밀(주)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20230077916A (ko) 2021-11-26 2023-06-02 하이드로텍(주) 농기계의 자동 조향 장치용 유압밸브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7386A (ko) * 2019-12-17 2021-06-25 신진정밀(주) 비상 대응이 가능한 유압식 자율주행 조향 장치
KR102411623B1 (ko) * 2020-12-29 2022-06-22 신진정밀(주)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20220094449A (ko) * 2020-12-29 2022-07-06 신진정밀(주) 유압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KR20230077916A (ko) 2021-11-26 2023-06-02 하이드로텍(주) 농기계의 자동 조향 장치용 유압밸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9736A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US9309648B2 (en) Steering device for wheel loader
KR20190089735A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KR20140034808A (ko) 건설기계용 유압시스템
CN108860306B (zh) 液压转向单元
US11014604B2 (en) Hydraulic steering arrangement
SE443548B (sv) Sett och anordning for reglering av fluidmanovrerad styrapparatur for fartyg och liknande
JPH04271960A (ja) 車両用液圧式ステアリング装置
US20190169819A1 (en) Shovel and control valve for shovel
US10625775B2 (en) Hydraulic steering arrangement
CN108860300B (zh) 液压转向单元
KR102177250B1 (ko) 특수 차량용 자동 조향 제어 시스템
JP5210248B2 (ja) 作業機の油圧装置
EP4005361A1 (en) Hydraulic steering device for agricultural work vehicle
US20190329649A1 (en) System for assisting the driving of a trailer from an open tipping hydraulic circuit
JP5503198B2 (ja) 作業機の油圧装置
KR20210011333A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US7204186B2 (en) Fluid circuit for feeding primary and auxiliary users with preset priorities
KR20210011335A (ko) 농업용 작업차량의 유압식 조향장치
US8534416B2 (en) Hydraulic steering
EP4005360A1 (en) Hydraulic steering device of agricultural work vehicle
KR20230077916A (ko) 농기계의 자동 조향 장치용 유압밸브장치
JP2001259492A (ja) 薬液噴霧装置
KR101182469B1 (ko) 굴삭기의 아암실린더 충격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